KR101130697B1 -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 Google Patents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697B1
KR101130697B1 KR1020100042787A KR20100042787A KR101130697B1 KR 101130697 B1 KR101130697 B1 KR 101130697B1 KR 1020100042787 A KR1020100042787 A KR 1020100042787A KR 20100042787 A KR20100042787 A KR 20100042787A KR 101130697 B1 KR101130697 B1 KR 10113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s
signal line
ground
layers
flexibl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350A (ko
Inventor
구자명
정순완
홍순민
문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697B1/ko
Priority to US13/078,131 priority patent/US8624124B2/en
Publication of KR2011012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19Printed shielding conductors for shielding around or between signal conductors, e.g. coplanar or coaxial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63Mean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672Superposed layout, i.e.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681Mesh conductors, e.g. as a ground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배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기적인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최소화하면서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Multilayer stretchable cable}
본 발명은 신축성 배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기적인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최소화하면서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에 관한 것이다.
신축성 있는 케이블 또는 회로물은 기존의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FFC(Flexible Flat Cable)처럼 유연성을 가진 것은 물론, 자유롭게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는 신축성도 갖추고 있다. 이런 신축성 있는 케이블 또는 회로물이 반복적인 움직임이 많은 힌지(hinge)나 구동부에 이용될 경우,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설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편리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제조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기적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신호선과 접지선으로 구성된 배선구조가 필요하다. 그리고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기적인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최소화하면서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신호선과 접지선의 배열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의 신축성 있는 케이블 또는 회로물을 전기적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품 등에 사용할 경우, 배선이나 회로물이 신축할 때, 신호선과 접지선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여 전자기적인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기적인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최소화하면서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신축성 배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은 신축성 필름, 상기 신축성 필름 내에 배열된 복수의 도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상기 신축성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둘 이상의 층을 나누어 각 층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 중에서, 적어도 한 층의 복수의 도전선은 신호선이고, 상기 신호선이 존재하는 층에 인접한 다른 적어도 한 층의 복수의 도전선은 접지선이며,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선은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신축성 필름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선은 하나씩 서로 대응되도록 배열되고, 지그재그 형태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층에 배열된 상기 신호선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신축성 배선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고, 각각 다른 층에 배열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선 사이의 간격은 5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호선의 상하층에 접지선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호선의 상층과 상기 접지선의 하층에 각각 쉴드면(shield plane)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면은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메쉬(mesh)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은 신축성 필름, 상기 신축성 필름 내에 배열된 복수의 도전선 및 상기 신축성 필름 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접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과 상기 접지면은 상기 신축성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둘 이상의 층을 나누어 각 층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신호선이며, 상기 신호선은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신축성 필름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접지면은 메쉬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면의 메쉬구조는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같은 층에 배열된 상기 신호선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신축성 배선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고, 각각 다른 층에 배열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면 사이의 간격은 5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호선의 상하층에 상기 접지면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호선의 상층과 상기 접지면의 하층에 각각 쉴드면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면은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메쉬구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은 신호선과 접지선 사이의 평균 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외부에서 받는 전자기적인 간섭을 최소화한 채로 전기적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은 구부러진 형태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의 디자인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d 및 도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변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d 및 도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변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신축성 배선은 두 개의 층으로 나뉘어 각 층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선과 도전선을 커버하는 절연체인 신축성 필름(1)을 포함할 수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전선은 지그재그 형태로 만곡되어 각 층에서 배선의 폭  방향(4)으로 병렬로 배열될 수 있고, 도 1b를 참조하면 도전선은 지그재그 형태의 모양이 말발굽 모양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만곡되어 각 층에서 배선의 폭 방향(4)으로 병렬 배열될 수 있다.
도전선의 지그재그 형태 배열 또는 말발굽 형태 배열은 외부응력에 의해 신축성 필름(1)이 신축할 때, 함께 신축할 수 있는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그재그형태의 모양은 삼각형 모양과 말발굽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지그재그 패턴을 가지는 모든 모양을 다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전선은 비교적 가는 두께 또는 직경(대략 0.01 ~ 5mm정도)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는 소정의 커넥터 등과 접속하거나 회로보드의 단자와 직접 접속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선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거나, 비전도성 섬유(fiber)나 폴리머 실(thread)과 같은 심재의 표면에 구리, 은, 금, 백금, 철, 니켈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을 코팅한 도전사(conductive yarn) 또는 이들을 꼬아 다발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선은 비전도성 물질로 둘러싸인 전도성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여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도전선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선은 신축 가능한 심재의 표면에 전도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가 감겨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심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비전도성 재질인 실리콘(silic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또는 합성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신축성 배선의 제조공정 또는 신축성 배선의 신축시 발생할 수 있는 도전선의 단락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신축성 필름(1)은 박판 형태의 신축성 있는 폴리머, 고무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져 병렬 배치된 지그재그 형태 또는 병렬 배치된 말발굽 형태의 도전선을 감싸도록 상부필름 및 하부필름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신축성 있는 폴리머로서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것이 선호된다.
두 개의 층으로 나뉘어 각 층에 배치된 도전선 중에서, 상층부에 배치된 도전선은 신호선(2)으로 이용될 수 있고, 하층부에 배치된 도전선은 접지선(3)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신호선(2)과 접지선(3)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신호선(2)과 접지선(3)을 사용하는 구조는 전기적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조이다.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기적인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신호선(2)과 접지선(3)이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어야 하며 그 거리에 변함이 없어야 한다. 그리고, 노이즈(noise) 발생원으로부터 접지선(3)과 신호선(2)까지의 평균거리가 동일해야 한다. 전기적인 신호의 전송 중에, 신호선(2)과 접지선(3)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되면 임피던스가 변하게 되고, 노이즈 발생원으로부터 접지선(3)과 신호선(2)까지의 평균거리가 다르면, 노이즈인가 시 신호왜곡의 차이가 발생하여 전자기적인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외부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장(Stretching), 뒤틀림(Twisting), 접힘 (Folding) 등을 수용해야 하는 부품이나 제품군은 유연성과 신축성이 있는 구조를 가진 배선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동시에 전기적인 신호의 고속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신호선(2)과 접지선(3)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노이즈 발생원으로부터 신호선(2)과 접지선(3)까지의 평균거리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배선의 사용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외부응력에 따라 자유롭게 신축하면서 전기적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 단일 층에 신호선과 접지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만곡되어 배치되고 이들을 신축성 절연체로 커버하는 신축성 배선의 구조가 제시되었다.  
신호선과 접지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외부응력에 따라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으나, 배선의 신축시 단일 층에 배치된 신호선과 접지선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여 임피던스가 변하게 된다.
그리고 신호선과 접지선을 동일한 층에 나란히 배치하는 단일 층의 배선구조는, 외부로부터 노이즈가 인가될 경우, 노이즈 발생원으로부터 신호선과 접지선까지의 평균거리, 즉 노이즈 발생원과 신호선 사이의 평균거리 및 노이즈 발생원과 접지선 사이의 평균거리가 상이하여, 노이즈에 의해 신호선과 접지선 사이에 신호왜곡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기적인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고속으로 전송할 수 없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신축성 배선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제시한다.
상층부에 배치된 신호선(2)과 하층부에 배치된 접지선(3)이 하나씩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있다. 그리고 상층부 신호선(2)의 지그재그 형태가 하층부 접지선(3)의 지그재그형태와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있다(도 1a, 도 1b 참조).
신호선(2)과 접지선(3)을 서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하면 배선의 신축시에도 신호선(2)과 접지선(3)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2)과 접지선(3) 사이의 거리 변화로 인해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2)과 접지선(3)을 층을 달리하여 하나씩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하면 종래 기술처럼 단일 층에 나란히 배치하는 것과 달리 노이즈 인가 시, 노이즈 발생원으로부터 신호선(2)과 접지선(3)까지의 평균거리가 동일해 질 수있다. 따라서, 노이즈 인가 시, 신호선(2)과 접지선(3) 사이에 신호왜곡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2)과 접지선(3)의 지그재그 형태를 층을 달리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면, 전자기적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전선을 꼬아서 사용하는 연선(Twisted Pair cable)처럼 전자기적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응력에 따라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고,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기적인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c는 도 1a 및 도 1b의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복수 층 구조를 보다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상층에는 신호선(2)이 하층에는 접지선(3)이 서로 하나씩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신호선(2)과 접지선(3) 사이의 간격(pitch, 이하 피치(5)라 함.)은 5mm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축성 필름(1)의 두께에 따라 0.05mm이하까지 낮출 수 있다. 피치(5)가 작으면 노이즈 인가 시, 노이즈 발생원으로부터 신호선(2)과 접지선(3)까지의 평균거리의 차이가 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2)과 접지선(3) 사이의 신호왜곡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2층 구조의 신축성 배선을 나타내고 있으나, 2층 이상의 복수 층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d 및 도 1e는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변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d는 신호선(2)을 사이에 두고 신호선(2)의 상 하층에 접지선(3)이 배열된 구조를 나타내고, 도 1e는 신호선(2)의 상층과 접지선(3)의 하층에 각각 쉴드면(6)이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쉴드면(6)은 배선의 신축성을 위해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메쉬(mesh)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신호선(2)과 접지선(3)의 상 하층에 각각 쉴드면(6)을 배치함으로써, 더욱 완벽하게 외부로부터의 전자기적인 간섭을 차폐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신축성 배선은 두 개의 층으로 나뉘어 한 층에 배열된 복수의 신호선(2), 신호선(2)이 배열된 층의 상층 또는 하층에 배치된 접지면(7) 및 도전선과 접지면(7)을 커버하는 절연체인 신축성 필름(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신호선은 지그재그 형태로 만곡되어 각 층에서 배선의 폭  방향(4)으로 병렬로 배열될 수 있고, 도 2b를 참조하면 신호선은 지그재그 형태의 모양이 말발굽 모양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만곡되어 각 층에서 배선의 폭 방향(4)으로 병렬 배열될 수 있다. 신호선(2)의 지그재그 형태 배열 또는 말발굽 형태 배열은 외부응력에 의해 신축성 필름(1)이 신축할 때, 함께 신축할 수 있는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그재그형태의 모양은 삼각형 모양과 말발굽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지그재그 패턴을 가지는 모든 모양을 다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접지면(7)은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메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 접지선 대신 접지면을 이용하는 경우, 신호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만곡되어 배선의 폭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신호선의 하층에 접지면이 배치되며, 절연체인 신축성 필름이 이들을 커버하는 신축성 배선의 구조가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배선은 접지면이 유연성 및 신축성이 없는 전도성을 띈 금속소재이므로, 신축성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외부응력에 따라 자유롭게 신축하면서 전기적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없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접지면(7)을 사용하는 종래의 신축성 배선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제시한다.
신호선(2)의 상층부 또는 하층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접지면(7)은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메쉬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접지면(7)의 이러한 메쉬구조는 신호선(2)과 마찬가지로 신축성 필름(1)이 신축할 때, 함께 신축할 수 있는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응력에 따라 자유롭게 신축하면서 전기적인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특성들은 도 1a 및 도 1b에 신호선(2)과 접지선(3)을 사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것과 동일하다.
도 2c는 도 2a 및 도 2b의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층에는 신호선(2)이 하층에는 접지면(7)이 배치될 수 있다.
신호선(2)과 접지면(7) 사이의 간격은 5mm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축성 필름(1)의 두께에 따라 0.05mm이하까지 낮출 수 있다. 이 간격이 작으면 노이즈 인가 시, 노이즈 발생원으로부터 신호선(2)과 접지면(7)까지의 평균거리의 차이가 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2)과 접지면(7)사이의 신호왜곡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2층 구조의 신축성 배선을 나타내고 있으나, 2층 이상의 복수 층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d 및 도 2e는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의 변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d는 신호선(2)을 사이에 두고 신호선(2)의 상 하층에 접지면(7)이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고, 도 2e는 신호선(2)의 상층과 접지면(7)의 하층에 각각 쉴드면(6)이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쉴드면(6)은 접지면(7)과 마찬가지로 배선의 신축성을 위해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메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신호선(2)과 접지면(7)의 상 하층에 각각 쉴드면(6)을 배치함으로써, 더욱 완벽하게 외부로부터의 전자기적인 간섭을 차폐할 수 있다.
1 : 신축성 필름            2 : 신호선
3 : 접지선                 4 : 신축성 필름의 폭 방향
5 : 피치                   6 : 쉴드면
7: 접지면

Claims (12)

  1. 신축성 필름; 및
    상기 신축성 필름 내에 배열된 복수의 도전선;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상기 신축성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둘 이상의 층을 나누어 각 층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 중에서, 적어도 한 층의 복수의 도전선은 신호선이고, 상기 신호선이 존재하는 층에 인접한 다른 적어도 한 층의 복수의 도전선은 접지선이며,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선은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신축성 필름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호선의 상층과 상기 접지선의 하층에 각각 쉴드면(shield plane)이 배열되는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선은 하나씩 서로 대응되도록 배열되고, 지그재그 형태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3. 제1항에 있어서,
    같은 층에 배열된 상기 신호선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신축성 배선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고, 각각 다른 층에 배열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선 사이의 간격은 5mm 이하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호선의 상하층에 접지선이 배열되는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면은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메쉬(mesh)구조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7. 신축성 필름;
    상기 신축성 필름 내에 배열된 복수의 도전선; 및
    상기 신축성 필름 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접지면;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과 상기 접지면은 상기 신축성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둘 이상의 층을 나누어 각 층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신호선이며, 상기 신호선은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신축성 필름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접지면은 메쉬구조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의 메쉬구조는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구조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9.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같은 층에 배열된 상기 신호선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신축성 배선의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고, 각각 다른 층에 배열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면 사이의 간격은 5mm 이하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10.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호선의 상하층에 상기 접지면이 배치되는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11.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신호선의 상층과 상기 접지면의 하층에 각각 쉴드면이 배치되는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면은 얇은 선이 반복적으로 얽혀 있는 벌집형상의 메쉬구조인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KR1020100042787A 2010-05-07 2010-05-07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KR10113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87A KR101130697B1 (ko) 2010-05-07 2010-05-07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US13/078,131 US8624124B2 (en) 2010-05-07 2011-04-01 Multilayer stretchable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87A KR101130697B1 (ko) 2010-05-07 2010-05-07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50A KR20110123350A (ko) 2011-11-15
KR101130697B1 true KR101130697B1 (ko) 2012-04-02

Family

ID=4490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787A KR101130697B1 (ko) 2010-05-07 2010-05-07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24124B2 (ko)
KR (1) KR101130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6334B2 (en) 2008-10-07 2014-11-11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ing stretchable or flexible electronics for medical applications
US8097926B2 (en) 2008-10-07 2012-01-17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for sensing and delivering therapy
US9723122B2 (en) 2009-10-01 2017-08-01 Mc10, Inc. Protective case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JP2014523633A (ja) 2011-05-27 2014-09-11 エムシー10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的、光学的、且つ/又は機械的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の装置及びシステムを製造する方法
US9018532B2 (en) * 2011-06-09 2015-04-28 Multi-Fineline Electronix, Inc. Stretchable circuit assemblies
US9171794B2 (en) 2012-10-09 2015-10-27 Mc10, Inc. Embedding thin chips in polymer
US9601557B2 (en) 2012-11-16 2017-03-21 Apple Inc. Flexible display
US10528135B2 (en) 2013-01-14 2020-01-07 Ctrl-Labs Corporation Wearable muscle interfa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hat interact with content displayed on an electronic display
US10152082B2 (en) 2013-05-13 2018-12-11 North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that accommodate different user forms
US11921471B2 (en) 2013-08-16 2024-03-0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wearable devices having secondary power sources in links of a band for providing secondary power in addition to a primary power source
US11426123B2 (en) 2013-08-16 2022-08-3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signal routing i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that detect muscle activity of a user using a set of discrete and separately enclosed pod structures
US10042422B2 (en) 2013-11-12 2018-08-07 Thalmic Lab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capacitive electromyography sensors
US20150124566A1 (en) 2013-10-04 2015-05-07 Thalmic Lab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employing contact sensors
US9788789B2 (en) * 2013-08-30 2017-10-17 Thalmic Lab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stretchable printed circuit boards
WO2015081113A1 (en) 2013-11-27 2015-06-04 Cezar Moru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electromyography sensors
WO2015123445A1 (en) 2014-02-14 2015-08-20 Thalmic Lab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elastic electrical cables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s employing same
TWI622328B (zh) * 2014-03-03 2018-04-21 Stretchable flexible circuit board
US10199008B2 (en) 2014-03-27 2019-02-05 North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as state machines
US9880632B2 (en) 2014-06-19 2018-01-30 Thalmic Lab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US9538641B2 (en) * 2014-07-08 2017-01-03 David T. Markus Elastic circuit
JP6470524B2 (ja) 2014-08-12 2019-02-13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伸縮性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伸縮性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EP2991460B1 (en) * 2014-08-29 2018-11-21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eformable electronics
US9600112B2 (en) * 2014-10-10 2017-03-21 Apple Inc. Signal trace patterns for flexible substrates
US9807221B2 (en) 2014-11-28 2017-10-31 Thalmic Lab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ffected in response to establishing and/or terminating a physical communications link
WO2016133065A1 (ja) * 2015-02-20 2016-08-25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高伸縮性配線及び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
US10078435B2 (en) 2015-04-24 2018-09-18 Thalmic Labs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teracting with electronically displayed presentation materials
JP6447391B2 (ja) * 2015-06-30 2019-01-0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10798817B2 (en) * 2015-12-11 2020-10-06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 flexible wearable circuit
WO2018012013A1 (ja) * 2016-07-12 2018-01-18 株式会社フジクラ 伸縮性基板
US10990174B2 (en) 2016-07-25 2021-04-27 Facebook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musculo-skeletal position information using wearable autonomous sensors
US11216069B2 (en) 2018-05-08 2022-01-04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speech recognition using neuromuscular information
US11635736B2 (en) 2017-10-19 2023-04-2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biological structures associated with neuromuscular source signals
KR20180075733A (ko) 2016-12-26 2018-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8022680A (zh) * 2017-11-29 2018-05-11 戴明 硅胶包覆屏蔽电线电缆
US11481030B2 (en) 2019-03-29 2022-10-2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stur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11961494B1 (en) 2019-03-29 2024-04-1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duction i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US11150730B1 (en) 2019-04-30 2021-10-19 Facebook Technologies,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omputing devices via neuromuscular signals of users
US11567573B2 (en) 2018-09-20 2023-01-3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Neuromuscular text entry, writing and drawing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US11493993B2 (en) 2019-09-04 2022-11-0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interfaces for performing inputs based on neuromuscular control
US11907423B2 (en) 2019-11-25 2024-02-2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ed interactions with an environment
US10937414B2 (en) 2018-05-08 2021-03-02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ext input using neuromuscular information
US10592001B2 (en) 2018-05-08 2020-03-17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speech recognition using neuromuscular information
KR102588626B1 (ko) * 2018-07-27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US10905350B2 (en) 2018-08-31 2021-02-02 Facebook Technologies, Llc Camera-guided interpretation of neuromuscular signals
US10999925B2 (en) * 2018-09-19 2021-05-04 Ii-Vi Delaware, Inc. Stretchable conductor circuit
US11797087B2 (en) 2018-11-27 2023-10-2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calibration of a wearable electrode sensor system
WO2020139199A1 (en) * 2018-12-28 2020-07-02 Mas Innovation (Private) Limited Data communication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cable
CN111627595B (zh) * 2019-02-28 2022-02-2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导线、导线的制备方法以及柔性显示装置
JP7326810B2 (ja) * 2019-03-28 2023-08-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配線基板およ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7297611B2 (ja) * 2019-09-10 2023-06-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中継部材
CN111312076B (zh) * 2020-03-03 2021-1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868531B1 (en) 2021-04-08 2024-01-09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Wearable device providing for thumb-to-finger-based input gestures detected based on neuromuscular signa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4648867B (zh) * 2022-02-18 2023-12-22 上海逸能智慧动力科技有限公司 推进器的遥控信号处理系统、推进器及水上运载工具
WO2023228798A1 (ja) * 2022-05-26 2023-1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伸縮デバイ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935A (ja) * 1993-04-28 1994-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伸縮式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
KR20000076886A (ko) * 1999-03-18 2000-12-26 루이스 에이. 헥트 접지 전도체를 갖는 평탄 가요성 케이블
JP2008235024A (ja) 2007-03-20 2008-10-02 Junkosha Co Ltd 平型ケーブル
KR20110012280A (ko) * 2009-07-30 201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축성 케이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4727A (en) * 1972-06-12 1973-10-09 Western Electric Co Electrically conductive flat cable structures
JPS6038809B2 (ja) * 1979-11-20 1985-09-03 信越ポリマ−株式会社 異方導電性を有するエラスチツク構造体の製造方法
JP3113153B2 (ja) * 1994-07-26 2000-11-27 株式会社東芝 多層配線構造の半導体装置
FI962544A (fi) * 1996-06-19 1997-12-20 Iws International Inc Lattakaapeli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US20020189854A1 (en) * 2001-04-10 2002-12-19 Crumly William R. Design for long fatigue life in flexible circuits
JP4063533B2 (ja) * 2001-12-10 2008-03-19 日本碍子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板
JP4391717B2 (ja) * 2002-01-09 2009-12-2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コンタ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ンタクト方法
US7265298B2 (en) * 2003-05-30 2007-09-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erpentine and corduroy circuits to enhance the stretchability of a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
EP1551037A1 (de) * 2004-01-05 2005-07-06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Ltd. Flexibler Träger mit elektrisch leitfähiger Struktur
JP5080995B2 (ja) * 2007-03-30 2012-11-21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935A (ja) * 1993-04-28 1994-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伸縮式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
KR20000076886A (ko) * 1999-03-18 2000-12-26 루이스 에이. 헥트 접지 전도체를 갖는 평탄 가요성 케이블
JP2008235024A (ja) 2007-03-20 2008-10-02 Junkosha Co Ltd 平型ケーブル
KR20110012280A (ko) * 2009-07-30 201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축성 케이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50A (ko) 2011-11-15
US8624124B2 (en) 2014-01-07
US20110272181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697B1 (ko) 복수 층의 신축성 배선
JP4358353B2 (ja) 平衡伝送シールドケーブル
US974353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9837189B2 (en) Nested shielded ribbon cables
JP4569300B2 (ja) ケーブルハーネス
JP2004524663A (ja) リボン状の端を有する可撓性相互接続ケーブル
CN102804289A (zh) 屏蔽电缆
US20140209347A1 (en) Cable Having a Sparse Shield
JP2018081905A (ja) 曲げ形状記憶性が強い高速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349262A (zh) 具有二組以上群組集束之軟性電路排線
JP2006024372A (ja) ケーブルハーネスとその製造方法
JP3918643B2 (ja) 極細多心同軸ケーブル
JP2006286299A (ja) 多心ケーブル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KR200477214Y1 (ko) 다심 케이블
CN205451834U (zh) 高柔高安全数字信号电缆
US11963295B2 (en) Circuit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ircuit system
JP2011119138A (ja) 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156129U (zh) 一种耳机连接线
KR20070074057A (ko) 실드 케이블
CN102751015A (zh) 扁平电缆以及使用其的电缆束
JP7337135B2 (ja) ケーブル
JP2004064973A (ja) ケーブル、及びそのケーブルを用いた接続構造体
US20230059723A1 (en) Flat combined wire
JP5793378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
CN213400593U (zh) 一种导电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