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805B1 -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805B1
KR101128805B1 KR1020060089747A KR20060089747A KR101128805B1 KR 101128805 B1 KR101128805 B1 KR 101128805B1 KR 1020060089747 A KR1020060089747 A KR 1020060089747A KR 20060089747 A KR20060089747 A KR 20060089747A KR 101128805 B1 KR101128805 B1 KR 10112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video call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5227A (ko
Inventor
문수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805B1/ko
Priority to EP06020604.2A priority patent/EP1771002B1/en
Priority to CN2006101492969A priority patent/CN1949861B/zh
Priority to US11/537,998 priority patent/US20070139516A1/en
Priority to JP2006270998A priority patent/JP4986561B2/ja
Publication of KR2008002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소정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다수의 이모티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화상통화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을 선택하고, 표시될 위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신호와 함께 화상통화 상대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당 이모티콘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은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들이 이모티콘 정보를 공유하고, 해당 이모티콘을 나타내는 코드와 표시위치 정보만을 패킷의 형태로 전달하는 방법.
이모티콘, 오버레이, 화상통화

Description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moticon display function and a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통화의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단말기의 외관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오버레이 방법의 진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에서 전송할 이모티콘의 선택과정에서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에서 이모티콘의 표시 위치 선택과정에서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모티콘이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화상통화 중 이모티콘을 화상 위에 오버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오버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wireless data communication)은 이동중인 사람이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영상 등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주고받는 통신기능을 말한다. 즉, 셀룰러폰, 휴대용 컴퓨터, PDA . IMT-2000 등 각종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에 양방향으로 자료를 교환하거나 검색하는 이동 통신체계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체계중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은 1980년대 초에 북미지역에서 서비스 대상지역을 수 km ~ 수 10 km 직경의 육각형 셀로 분할한 후 , 지리적으로 떨어진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셀간에서 무선채널 절체 기능을 구현한 셀룰러폰(cellular-phone) 이동 통신 시스템을 최초로 상용화하므로써 급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IMT-2000으로 불리는 제 3 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는데, 이 시스템은 이동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PSTN/ISDN/B-ISDN 등과 같은 고정 통신망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 예컨대,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정보서비스망에 무선링크를 사용하여 접속을 가능케 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통화의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단말기(1,2)는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호 송수신하여 각 디스플레 이 장치(3,4)를 통해 표시하면서 음성통화를 실행한다. 기지국(5)은 상기 단말기(1,2)로부터 무선송출된 호(call) 신호를 처리하거나 혹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요구된 착신호를 각 단말기(1,2)로 전송하고 페이징채널을 통해 섹터 내의 단말기와 채널정보를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단말기는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정보나 문구 혹은 문자삽입을 전혀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중인 사용자에게 재미를 더해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통화 중 송신자 및 수신자의 화면에 이모티콘(emoticon)을 오버레이(overlay) 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오버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다수의 이모티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화상통화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을 선택하고, 표시될 위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신호와 함께 화상통화 상대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당 이모티콘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은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들이 이모티콘 정보를 공유하고, 해당 이모티콘을 나타내는 코드와 표시위치 정보만을 패킷의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화상통화 중 입력신호에 따라 텍스트와 그래픽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이모티콘 및 그 위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선택된 이모티콘 정보 및 상기 이모티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에서 이를 분석하여 해당 이모티콘을 화면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오버레이 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이모티콘 및 표시위치 선택 신호는 터치패널(Touch panel)을 이용하여 입력하거나, 키패드 배열 구조와 유사하게 분할된 화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오버레이 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서 이모티 콘이 표시될 대상 화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사이의 화상통신을 예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두 단말기(terminal)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수행되는 조건이라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PDA, 혹은 컴퓨터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사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이모티콘(emoticon)은 텍스트(text)와 그래픽 아이콘(icon)을 통칭하는 용어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10)와; 소정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20)와; 화상통화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을 선택하고, 표시될 위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30)와; 다수의 이모티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50)와; 상기 키패드(30)를 통해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20)를 통해 촬 상된 영상신호와 함께 화상통화 상대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당 이모티콘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표시부(6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20)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이모티콘을 합성하기 위해 임시 저장장소로 사용되는 오버레이 버퍼(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단말기의 외관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모티콘 입력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버튼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키패드(120) 위에, 즉 네비게이션 키(122)의 일측에 이모티콘 입력 모드 전환 키(121)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것이며, 단말기 측면에 구성하거나, 일반적인 단말기의 키 패드 상의 버튼에 해당 기능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오버레이 방법의 진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4a는 이모티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기와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S411). 일대일 통화뿐만 아니라 다자간의 화상통화에서도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다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중 일부나 전부의 단말기에 이모티콘 표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화상통화 중 이모티콘을 통해 감정을 간단하고 재미있게 표현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모티콘 입력 모드 전환키를 누른다.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모티콘 입력 모드 전환 키는 키패드 위에 혹은 단말기의 측면에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화상 통화시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키에 해당 기능을 할당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모티콘 입력 모드 전환 키(121)가 눌리면, 이 입력신호에 따라 이모티콘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S412). 이어, 도 5a에서와 같이, 화면 일측에 이모티콘을 입력할 것인지 문자를 입력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팝업 메뉴를 출력시킬 수도 있다. 즉, 이미 만들어진 이모티콘을 사용하지 않고 영상 위에 문자를 쓰고 싶은 경우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사용자가 이모티콘 입력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화면의 일부 영역(111)에 다수의 이모티콘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키(122)를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선택한다. 도 5c는 네비게이션 키(122)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측 방향 키(122-1)와 좌측 방향 키(122-3)를 이용하여 이모티콘 표시 영역 상의 이모티콘의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향 혹은 하향 키(122-4, 122-2)를 이용하여 이모티콘 그룹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도 5b의 상태에서 하향키(122-2)를 누르면 도 5d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S413).
선택 키(122-5)를 이용하여 전송할 이모티콘을 선택하면(S414), 선택된 이모티콘이 표시될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과정이 수행된다. 먼저, 도6a에서와 같이 표시될 대상 단말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한다. 즉, 선택한 이모티콘을 자신의 화상 위에 오버레이해서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상대의 영상 위에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만일,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다수의 그룹통신 멤버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버레이 영상을 그룹통신 멤버 전원에게 보낼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보낼 수도 있도록 응용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A,B,C 세 사람이 그룹통신을 할 때, A라는 사람의 화상 위에 이모티콘이 오버레이된 영상을 B와 C만이 볼 수 있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모티콘이 오버레이될 대상 영상(그룹통신의 경우 단말포함)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이모티콘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위치를 선택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터치 패널(touch panel)인 경우라면, 도 6b에서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112) 등을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키패드를 이용하여 이모티콘 표시위치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6c와 같이, 가상선(113)을 이용하여 화면을 9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키패드의 숫자를 대응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단말기는 3행 4열의 키패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1"은 좌측 상단부에 "9"는 우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표시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d와 같이 화면을 12분할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좀 더 상세한 위치 표현을 위해서는 상기 9분할된 화면 중의 어느 하나를 다시 9분할한 위치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키패드의 숫자 두 개를 이용하여 화면을 81개로 분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처음 입력하는 숫자는 9개로 분할된 화면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그 다음의 숫자는 9개중 하나의 영역을 다시 9개로 분할된 화면 중에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55"는 정중 앙, "11"좌측 최상부, "99"는 우측 최하부를 나타내게 된다. 도 6d와 같이 12분할된 화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좌측 최하단은 "**"을 사용하고, 우측 최하단은 "##"을 사용할 수 있다 (S415).
대상 이모티콘 및 표시될 위치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이 선택 정보가 포함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어 데이터는 대상 이모티콘과 표시위치 정보만을 가지고 있다. 이모티콘 자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그 이모티콘을 나타내는 코드만을 전송함으로써 그 데이터의 크기가 작다 (S416).
이어,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패킷의 형태로 상대단말로 전송한다 (S417).
한편, 이모티콘 수신측 단말에서의 동작은 도 4b를 통해 나타낸 흐름도와 같이 수행된다.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중(S421)에, 이모티콘 표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S422).
수신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S423) 해당 이모티콘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인다 (S424). 즉, 상기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에는 이모티콘 자체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이모티콘을 메모리에서 읽어 들이게 된다. 이어, 표시할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자신의 영상 혹은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되어 표시되는 화상통화 화면의 지정된 위치에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인 이모티콘을 오버레이(Overlay)한다 (S425).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모티콘이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는 (A)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 위에 웃음을 표시하는 "ㅋㅋㅋ"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경우이다. 이때, (B)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A) 사용자의 화상 이미지 위에 (A) 사용자가 보낸 이모티콘이 오버레이된 것을 나타낸다. 도 7b는 도 7a와 유사하나, (A) 사용자가 화상 통화 상대인 (B) 사용자의 이미지 위에 이모티콘 "♡♡♡"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즉, 자신의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상대 (B)의 화상 이미지 위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이 상대 단말에도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모티콘 제어신호를 보내는 단말과 수신하는 단말 모두에 이모티콘이 동일하게 구비된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수신하는 단말에 이모티콘이 없는 경우에는 송신 단말에서 이모티콘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화를 수행할 때, 실시간으로 이모티콘 코드 및 위치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적은 데이터량으로 송신자의 화면 및 수신자의 화면에 이모티콘을 표시할 수 있어 다이나 믹한 화상 채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6)

  1.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화상통화 중 입력신호에 따라 텍스트와 그래픽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이모티콘 및 그 위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선택된 이모티콘 정보 및 상기 이모티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에서 이를 분석하여 해당 이모티콘을 화면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화상 위에 오버레이(overlay)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 및 위치 선택 신호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의 위치 정보는 키패드 배열 구조와 유사하게 분할된 화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서 이모티콘이 표시될 대상 화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의 코드 정보와 표시될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화상통화 화면상에 이모티콘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8. 소정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다수의 이모티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화상통화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을 선택하 고, 표시될 위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신호와 함께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화상통화 상대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단말기 키패드이고, 키패드 배열 구조와 유사한 모양으로 분할된 화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상기 키패드를 사용하여 이모티콘 표시될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는 이모티콘의 코드 정보와 표시될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삭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는 전송되는 화상 위에 이모티콘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소정 부위에 설치된 카메라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제공된 화상을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 단말과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모티콘 표시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은 상대 단말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화상 위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89747A 2005-09-30 2006-09-15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KR10112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747A KR101128805B1 (ko) 2006-09-15 2006-09-15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EP06020604.2A EP1771002B1 (en) 2005-09-30 2006-09-29 Mobile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CN2006101492969A CN1949861B (zh) 2005-09-30 2006-09-30 移动通信终端和在视频通信中使用其处理图像的方法
US11/537,998 US20070139516A1 (en) 2005-09-30 2006-10-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in video communications using the same
JP2006270998A JP4986561B2 (ja) 2005-09-30 2006-10-02 移動通信端末機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通話時の画像処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747A KR101128805B1 (ko) 2006-09-15 2006-09-15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227A KR20080025227A (ko) 2008-03-20
KR101128805B1 true KR101128805B1 (ko) 2012-03-23

Family

ID=3941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747A KR101128805B1 (ko) 2005-09-30 2006-09-15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751B1 (ko) * 2008-03-27 2014-10-13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통화 중 터치 피드백 제공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및 영상 통화 중 터치 피드백 제공 방법
KR101511383B1 (ko) * 2008-09-17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드로잉 패턴 전송 방법
KR102037728B1 (ko) * 2013-09-10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영역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220162956A (ko) * 2021-06-02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중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1216A1 (en) 2002-01-18 2003-07-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transferring and filtering video content data
KR20040103047A (ko) * 2003-05-30 2004-1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화 통화시 아바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9198A (ko) * 2004-08-27 2006-03-03 서동휘 그래픽 이모티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이모티콘 단축키의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1216A1 (en) 2002-01-18 2003-07-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transferring and filtering video content data
KR20040103047A (ko) * 2003-05-30 2004-1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화 통화시 아바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9198A (ko) * 2004-08-27 2006-03-03 서동휘 그래픽 이모티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이모티콘 단축키의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227A (ko)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1002B1 (en) Mobile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4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0724939B1 (ko) 카메라부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90268294A1 (en) Screen display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6254311A (zh) 直播方法和装置、直播数据流展示方法和装置
US84415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mobile terminal
CN106020592A (zh) 分屏显示方法及装置
JP2008263297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端末
EP1838099B1 (en) Image-based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CN110531913B (zh) 一种视频彩铃处理方法,通信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371798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3640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KR101128805B1 (ko)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KR20090058117A (ko) 화상통화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KR100557130B1 (ko) 아바타 움직임 편집이 가능한 단말기 및 방법
JP2008270912A (ja) 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CN1949861B (zh) 移动通信终端和在视频通信中使用其处理图像的方法
KR20110044012A (ko) 화상통화 단말기를 이용한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CN110879734A (zh) 一种用于提供未知联系人的资源的方法和电子设备
JP5056217B2 (ja) プッシュボタン式電話機、画像共有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724914B1 (ko) 카메라부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8287318A (ja) 情報通信端末
KR100605632B1 (ko) 이동단말기의 버퍼 메모리를 이용한 영상표시 장치
KR101600369B1 (ko) 통신 장치
KR1006087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