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032B1 - 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 - Google Patents

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032B1
KR101128032B1 KR1020090109013A KR20090109013A KR101128032B1 KR 101128032 B1 KR101128032 B1 KR 101128032B1 KR 1020090109013 A KR1020090109013 A KR 1020090109013A KR 20090109013 A KR20090109013 A KR 20090109013A KR 101128032 B1 KR101128032 B1 KR 10112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underwater
control
unmanned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2102A (en
Inventor
최형식
박용헌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032B1/en
Priority to PCT/KR2010/007640 priority patent/WO2011059197A2/en
Publication of KR20110052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1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34Diving chambers with mechanical link, e.g. cable, to a base
    • B63C11/36Diving chambers with mechanical link, e.g. cable, to a base of closed type
    • B63C11/42Diving chambers with mechanical link, e.g. cable, to a base of closed type with independent propulsion or direc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 B63G2008/004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autonomously ope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ipulato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작업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및 운반이 간편하며 안정적인 원격 제어와 정확한 위치 제어 및 자세 유지가 가능하여 수중 구조물의 보수 유지와 생태계의 감시 및 조사가 가능한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에서 구조물이나 생태계의 조사 및 측정이 가능한 2자유도 카메라를 장착한 3자유도의 수중 작업 로봇 및; 수중 작업 로봇과 테더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 수중 작업 로봇을 이송하는 한편 수중 작업 로봇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수중 작업 로봇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고 테더 케이블의 길이를 제어하는 4자유도의 무인 수상 로봇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수중 작업 로봇에는 3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를 배치하여 선회 및 위치 제어와 자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자세 제어용 모터의 실린더 배치는 수중 작업 로봇 선체의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에 대응하여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무인 수상 로봇은 수상에서의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한 dGPS와, 무인 수상 로봇의 원격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와, 수중 작업 로봇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소나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robot, more specifically, low cost, easy to install and transport, stable remote control and accurate position control and attitude can be maintained to maintain the maintenance of underwater structures and to monitor and investigate the eco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egree unmanned floating robot-based underwater robo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 degree of freedom underwater work robot equipped with a two degree of freedom camera capable of surveying and measuring the structure or ecosystem in the water; It is connected with the underwater robot and the tether cable to transfer the underwater robot while providing stable power to the underwater robot, measur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and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tether cable. The robot is integrated, but the three posture control motors are arranged in the underwater work robot to enable turning, position control, and posture control, and the arrangement of the cylinders of the posture control motor is based on the rolling and In order to maintain equilibrium in response to pitching, the unmanned aquatic robot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dGPS for accurate position control in the water, a wireless transceiver for remote control of the unmanned aquatic robot, and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Characterized by having a sonar sensor that can.

본 발명에 따르면, 저가의 센서를 이용하더라도 수중 작업 로봇의 정밀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비용이 높고 저속이며 항해 및 위치 제어가 어려운 수중 작업 로봇의 이송을 저가의 수상 로봇을 이용하여 고속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using a low-cost sensor,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underwater robot, and the high speed, low speed, difficult to control the navigation and position control of the underwater robot using a low-cost waterborne robot You can control it.

수중 작업 로봇, 무인 잠수정, ROV, AUV Underwater Robot, Unmanned Submersible, ROV, AUV

Description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

본 발명은 수중 작업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robot.

무인 잠수정은 사람이 직접 깊은 바다를 조사하는 것이 어려워 인간을 대신하여 바다 조사에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무인 잠수정은 크게 ROV(Remotely Operated Vehicle, 유선 원격 제어 무인 잠수정)와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자율 무인 잠수정)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Unmanned submersibles have been used for ocean surveys on behalf of human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survey deep oceans. These unmanned submersibles are largely divided into ROVs (Remotely Operated Vehicles) and AUVs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ROV는 모선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한 수동적인 제어로 구동하고, 보통의 경우 작업을 위한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가 달려 있어 수저면 혹은 저속의 운동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AUV는 '스스로 움직이는 잠수정'을 뜻한다. 즉, 인간이 타지 않고, 원격 조종 및 동력 전달을 하기 위한 별다른 장치 없이, 동력원과 스스로 움직이기 위한 제어장치를 갖추고 수중에서 탐사 작업을 수행하므로 수중 로봇이라고도 명명된다.ROVs are driven by manual control via a cable connected to the busbar, usually with a manipulator for the job to perform work on the bottom or at low speeds. AUV means 'submersible moving by itself'. That is, it is also referred to as an underwater robot because it does not burn a human, and does not have any other device for remote control and power transmission, and has a power source and a control device for moving itself, and performs exploration work underwater.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수중 로봇의 경우 수중에서 이들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해 내는 것이 어려워, 수중 로봇을 이용하여 수중의 구조물이나 생태계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또한, AUV는 로봇 자체에 배터리를 싣고 동작하므로 운항시간이 매우 짧은 단점이 있고, ROV는 외부의 테더 케이블(Tether Cable)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지만 대부분이 해저 면에 부착된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하여 수중 작업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대형인 것이 부담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type of underwater robot,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ir exact position in the water,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exact position of the underwater structure or ecosystem using the underwater robot. In addition, the AUV has a short operating time because it operates with a battery in the robot itself, and the ROV is powered by an external tether cable, but most of them use a manipulator attached to the sea floor. It is designed to work underwater and is large.

이들의 절대 위치는 관성항법 장치나 3개 이상의 소나센서를 이용한 상대위치로 관측되나, 관성항법 장치는 매우 고가이고 소나센서들은 설치가 매우 어렵고 고가에 속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센서의 정확도는 많이 떨어져서 이를 이용한 수중 로봇의 위치 제어는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수중 로봇은 고가, 부정확한 위치 제어, 센서 설치의 어려움, 전원 공급의 어려움, 무거운 중량 등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Their absolute position is observed as relative position using inertial navigation device or three or more sonar sensors, but inertial navigation device is very expensive and sonar sensors are very difficult and expensive to install. Nevertheless, the accuracy of these sensors is so poor that the positional control of underwater robots using them is very difficult. As such, underwater robots have difficulties such as high cost, inaccurate position control, difficulty in installing a sensor, difficulty in supplying power, and heavy weight.

최근 들어 교량, 댐 등의 인공구조물의 보수 유지와 양식장의 감시, 생태계의 조사, 수중의 위험물 제거 등과 같이 강, 호수 및 연근해에서의 보수 유지, 감시 및 조사 관련 작업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대다수가 보수, 감시 및 조사 대상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저비용, 간편한 설치 및 운반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AUV나 ROV 등의 로봇은 이러한 작업에 상당히 부적합하다.In recent years, maintenance related to maintenance, monitoring and investigation of rivers, lakes and near-shore waters has increased rapidly, such as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bridges and dams, surveillance of farms, ecosystem surveys, and removal of dangerous substances in the water. Many of these tasks are critical to knowing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for maintenance, monitoring and investigation, and require low cost, easy installation and transportation. However, conventionally developed robots such as AUV and ROV are not suitable for this tas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및 운반이 간편하며 안정적인 원격 제어와 정확한 위치 제어 및 자세 유지가 가능하여 수중 구조물의 보수 유지와 생태계의 감시 및 조사가 가능한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st is low, easy to install and transport, stable remote control and accurate position control and attitude can be maintained maintenanc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and monitoring and investigation of the ecosyst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degree unmanned floating robot-based underwater robot.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hich are not limited to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e disclosure of the embodiments thereof, but also to the broader ranges by means and combinations within the range readily recited therefrom. Add that it will be inclu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에서 구조물이나 생태계의 조사 및 측정이 가능한 2자유도 카메라를 장착한 3자유도의 수중 작업 로봇 및; 수중 작업 로봇과 테더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 수중 작업 로봇을 이송하는 한편 수중 작업 로봇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수중 작업 로봇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고 테더 케이블의 길이를 제어하는 4자유도의 무인 수상 로봇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수중 작업 로봇에는 3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를 배치하여 선회 및 위치 제어와 자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자세 제어용 모터의 실린더 배치는 수중 작업 로봇 선체의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에 대응하여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무인 수상 로봇은 수상에서의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한 dGPS와, 무인 수상 로봇의 원격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와, 수중 작업 로봇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소나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종축 방향의 2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는 전후방 운동과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측방의 1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는 측방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중 작업 로봇은 자체 자세 정보를 구하기 위한 2축 기울기 센서와 방향 정보를 구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인 수상 로봇은 3축의 추진체를 구비하되, 종축 방향의 2축의 추진체는 전후방 운동과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측방의 1축의 추진체는 측방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인 수상 로봇은 테더 케이블을 이용하여 수중 작업 로봇의 수중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테더 케이블 길이 제어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 degree of freedom underwater work robot equipped with a two degree of freedom camera capable of surveying and measuring the structure or ecosystem in the water; It is connected with the underwater robot and the tether cable to transfer the underwater robot while providing stable power to the underwater robot, measur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and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tether cable. The robot is integrated, but the three posture control motors are arranged in the underwater work robot to enable turning, position control, and posture control, and the arrangement of the cylinders of the posture control motor is based on the rolling and In order to maintain equilibrium in response to pitching, the unmanned aquatic robot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dGPS for accurate position control in the water, a wireless transceiver for remote control of the unmanned aquatic robot, and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Characterized by having a sonar sensor that can.
To this end, the two posture control motors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d rotational movements, and one posture control motor on the side side controls the lateral movements.
The underwater robot may include a two-axis tilt sensor for obtaining its own attitude information and a gyro sensor for obtaining direc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nmanned water robot is provided with a three-axis propellant, the two-axis propellant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is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ellant of one side of the side controls the lateral movement.
And, the unmanned water robo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ther cable length control motor that can control the underwater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using a tether cable.

본 발명에 따르면, 저가의 센서를 이용하더라도 수중 작업 로봇의 정밀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비용이 높고 저속이며 항해 및 위치 제어가 어려운 수중 작 업 로봇의 이송을 저가의 수상 로봇을 이용하여 고속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low-cost sensor is used,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underwater robot, and the high-speed precision of the low-cost waterborne robot can be used to transfer the underwater robot, which is expensive, low-speed, and difficult to navigate and position.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potential effects that may occur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estimated therefrom and potential advantages that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It will be added that it will be covered by a wider sco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이 수중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1 is a view showing a multi-degree unmanned aquatic robot based underwater operation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orking in the water, Figure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multi-degree of freedom unmanned aquatic robot based underwater operation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은, 무인 수 상 로봇(20)이 수중 작업 로봇(10)과 테더 케이블(Tether Cable)(30)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In the multi-degree of freedom unmanned aquatic robot-based underwater work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aquatic robot 20 is connected to the underwater work robot 10 and a tether cable (30) to form an integrated.

본 발명에서는 수중에서의 이동이 어려운 수중 작업 로봇(10)을 기동성과 제어성이 좋은 무인 수상 로봇(20)에 테더 케이블(30)로 연결하여 원하는 수중 위치의 수면으로 이송하고, 그 자리에 무인 수상 로봇(20)을 위치 제어 시킨 후에, 무인 수상 로봇(20)이 테더 케이블(30)을 제어(늘어뜨리거나 끌어당김)하여 수중 작업 로봇(10)을 원하는 수중 위치로 근접시키고(도 1 참조), 소나센서(40)로 수중 작업 로봇(10)의 위치를 파악하면서 수중 작업 로봇(10)의 자세 제어용 모터(51, 52)를 제어하여 수중의 목표 지점에 수중 작업 로봇(10)이 정확히 위치하도록 정밀 제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water robot 10, which is difficult to move underwater, is connected to the unmanned aquatic robot 20 having good maneuverability and controllability with a tether cable 3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desired underwater position, where it is unmanned. After positioning the aquatic robot 20, the unmanned aquatic robot 20 controls (stretches or pulls) the tether cable 30 to bring the underwater robot 10 to the desired underwater position (see FIG. 1). ), The sonar sensor 40 controls the posture control motors 51 and 52 of the underwater robot 10 while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10. Precise positioning to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수중 작업 로봇(10)에 부착된 2자유도 카메라(60)를 이용하여 교량, 댐 등의 인공구조물의 유지 보수와 양식장의 감시, 생태계의 조사 작업 등에 쉽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중 작업 로봇(10)을 이용하여 수중에 설치된 기뢰와 같은 위험물을 탐지 및 제거하는 장비로도 쉽게 활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for maintenance of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bridges and dams, monitoring farms, surveying ecosystems, etc. by using the two degree of freedom camera 60 attached to the underwater robot 10. Using the underwater robot 10 can be easily used as equipment for detecting and removing dangerous goods such as mines installed in the water.

이하에서는 수중 작업 로봇(10)과 무인 수상 로봇(20)을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nderwater robot 10 and the unmanned water robo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수중 작업 로봇1. Underwater working robot

3자유도의 수중 작업 로봇(10)은 수중에서 구조물이나 생태계의 조사 및 측 정이 가능한 2자유도 카메라(60)를 장착하고 있다.The three degree of freedom underwater work robot 10 is equipped with a two degree of freedom camera 60 capable of surveying and measuring structures or ecosystems underwater.

수중 작업 로봇(10)의 선체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체적으로 구 형태로 설계하여 높은 내압 구조를 갖도록 한다.The hull of the underwater robot 10 is designed in the shape of a sphere as shown in Figure 1 and 2 to have a high internal pressure structure.

수중 작업 로봇(10)에는 3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51, 52)를 배치하여 선회 및 위치 제어와 자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자세 제어용 모터(51, 52)의 실린더 배치는 수중 작업 로봇(10) 선체의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에 대응하여 평형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때, 종축 방향의 2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51)는 전후방 운동과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측방의 1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52)는 측방 운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수중 작업 로봇(10)은 수중의 조류 속에서도 자기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ree posture control motors 51 and 52 are disposed in the underwater work robot 10 to enable turning, position control, and posture control. The cylinder arrangement of the posture control motors 51 and 52 is an underwater work robot 10. Designed to maintain the equilibrium in response to the rolling and pitching of the hull. At this time, the two attitude control motors 51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d rotational movements, and one side attitude control motor 52 controls the lateral movements. As a result, the underwater work robot 10 can maintain its own position even in the underwater algae.

한편, 수중 작업 로봇(10)은 무인 수상 로봇(20)이 이들 자세 제어용 모터(51, 52)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자체 자세 정보를 구하기 위한 2축 기울기 센서(71) 및 방향 정보를 구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72)를 구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derwater robot 10 obtains the biaxial tilt sensor 71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for obtaining its own posture information so that the unmanned aerial robot 20 can precisely control these posture control motors (51, 52). The gyro sensor 72 is provided.

무인 수상 로봇(20)이 수중 작업 로봇(10)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제어 시스템은 크게 제어기, 모터 제어기, 모터 드라이버 및 센서부로 구성된다.The entire control system for the unmanned aerial robot 20 to control the underwater work robot 10 is largely composed of a controller, a motor controller, a motor driver, and a sensor unit.

여기서 제어기는 ROV처럼 원격 조정이 가능한데,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원격 제어를 통하거나 자체의 제어 법칙에 의하여 구동하며, 수중 작업 로봇(10)에 부착된 틸팅(Tilting) 및 피칭(Pitching) 방향의 2축 기울기 센서(71)를 통해 모터 제어 시스템에 명령을 보내거나 2자유도 카메라(60)로부터 영상을 받아 수상의 무인 수상 로봇(20)으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중 작업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Here, the controller is remotely controllable like ROV, which is configured using a one-chip microprocessor, driven by remote control or by its own control law, and tilting and pitching attached to the underwater robot 10. Command to the motor control system through the two-axis tilt sensor 71 in the direction of) or receives an image from the two degree of freedom camera 60 to transmit to the unmanned water robot 20 of the award. 3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underwa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무인 수상 로봇2. Unmanned water robot

4자유도의 무인 수상 로봇(20)은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수중 작업 로봇(10)과 테더 케이블(30)로 연결되어 있어 수중 작업 로봇(10)을 이송하는 한편 수중 작업 로봇(1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수중 작업 로봇(10)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고 테더 케이블(30)의 길이를 제어한다.The unmanned water robot 20 of 4 degrees of freedom can be controlled remotely and is connected to the underwater work robot 10 and the tether cable 30 to transfer the underwater work robot 10 to the underwater work robot 10. Stable power supply for the, measur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10 and controls the length of the tether cable (30).

무인 수상 로봇(20)은 수상의 조류나 파도에서도 목적지로 이동하고 목적지에서 자기 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3축의 추진체(81, 82)를 구비한다. 이때, 이러한 3축의 추진체(81, 82)의 부착 방향 및 기능은 상기 수중 작업 로봇(10)에 구비된 3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51, 52)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종축 방향의 2축의 추진체(81)는 전후방 운동과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측방의 1축의 추진체(82)는 측방 운동을 제어한다.The unmanned floating robot 20 is provided with three-axis propellants 81 and 82 to move to the destination even in the tide or wave of the water and to accurately control its position at the destination. At this time,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function of the three-axis propellants 81 and 8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ree posture control motors 51 and 52 included in the underwater robot 10. That is, the two-axis propellant 81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enables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d rotational movement, and the propellant 82 in one side axis controls the lateral movement.

무인 수상 로봇(20)은 수상에서의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한 dGPS(90)와, 무인 수상 로봇의 원격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100)와, 수중 작업 로봇(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소나센서(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중 작업 로봇(10)에 전원을 공급하는 테더 케이블(30)을 이용하여 수중 작업 로봇(10)의 수중 위치(깊이)를 제어할 수 있는 테더 케이블 길이 제어용 모터를 구비한다.The unmanned floating robot 20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dGPS 90 for accurate position control in the water, the wireless transceiver 100 for remote control of the unmanned floating robot, and the underwater robot 10. The sonar sensor 40 is provided. And the tether cable length control motor which can control the underwater position (depth) of the underwater robot 10 using the tether cable 30 which supplies power to the underwater robot 10 is provid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이 수중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Figure 1 shows an unmanned floating robot-based underwater work rob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working in the wa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Figure 2 shows in detail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obot robot based underwater operation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작업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Figure 3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verall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underwa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수중 작업 로봇10: underwater working robot

20 : 무인 수상 로봇20: unmanned water robot

30 : 테더 케이블30: tether cable

40 : 소나센서40: sonar sensor

51, 52 : 자세 제어용 모터51, 52: motor for attitude control

60 : 2자유도 카메라60: 2 degree of freedom camera

71 : 2축 기울기 센서71: 2-axis tilt sensor

72 : 자이로 센서72: Gyro Sensor

81, 82 : 추진체81, 82: propellant

90 : dGPS90: dGPS

100 : 무선 송수신 장치100: wireless transceiver

Claims (7)

수중에서 구조물이나 생태계의 조사 및 측정이 가능한 2자유도 카메라를 장착한 3자유도의 수중 작업 로봇(10) 및; A three degree of freedom underwater robot 10 equipped with a two degree of freedom camera capable of surveying and measuring a structure or ecosystem underwater; 수중 작업 로봇과 테더 케이블(30)로 연결되어 있어 수중 작업 로봇을 이송하는 한편 수중 작업 로봇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수중 작업 로봇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고 테더 케이블(30)의 길이를 제어하는 4자유도의 무인 수상 로봇(20)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되,It is connected with the underwater robot and the tether cable 30 to transfer the underwater robot while stably supplying power to the underwater robot, measur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and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tether cable 30. Unmanned floating robot 20 of 4 degrees of freedom to be made integral, 상기 수중 작업 로봇(10)에는 3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를 배치하여 선회 및 위치 제어와 자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자세 제어용 모터의 실린더 배치는 수중 작업 로봇 선체의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에 대응하여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고,The three posture control motors are arranged in the underwater work robot 10 to enable turning, position control, and posture control, and the cylinder arrangement of the posture control motor is used for rolling and pitching the hull of the underwater work robot. To maintain equilibrium in response to 상기 무인 수상 로봇(20)은 수상에서의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한 dGPS(90)와, 무인 수상 로봇의 원격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100)와, 수중 작업 로봇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소나센서(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The unmanned floating robot 20 is a dGPS 90 for accurate position control in the water, a wireless transceiver 100 for remote control of the unmanned floating robot, and a sonar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robot. A multi-degree of freedom unmanned floating robot-based underwater work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4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종축 방향의 2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는 전후방 운동과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측방의 1개의 자세 제어용 모터는 측방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The two posture control moto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abl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d rotational movements, and the side one posture control motor controls the lateral movemen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중 작업 로봇은 자체 자세 정보를 구하기 위한 2축 기울기 센서(71)와 방향 정보를 구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The underwater robot is a multi-degree unmanned aerial robot based on a water-fre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wo-axis inclination sensor 71 for obtaining its own posture information and a gyro sensor 72 for obtaining direc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인 수상 로봇은 3축의 추진체를 구비하되, 종축 방향의 2축의 추진체는 전후방 운동과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측방의 1축의 추진체는 측방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The unmanned aquatic robot is provided with a three-axis propellant, the two-axis propellant in the longitudinal axis allow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the one-sided propellant to control the lateral movement. Based underwater working robo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인 수상 로봇은 테더 케이블을 이용하여 수중 작업 로봇의 수중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테더 케이블 길이 제어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The unmanned aquatic robot is a multi-degree unmanned aquatic robot based underwater work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ether cable length control motor that can control the underwater position of the underwater work robot using a tether cable.
KR1020090109013A 2009-11-12 2009-11-12 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 KR101128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013A KR101128032B1 (en) 2009-11-12 2009-11-12 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
PCT/KR2010/007640 WO2011059197A2 (en) 2009-11-12 2010-11-02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based on a unmanned, underwater robot with multi-degree of freed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013A KR101128032B1 (en) 2009-11-12 2009-11-12 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102A KR20110052102A (en) 2011-05-18
KR101128032B1 true KR101128032B1 (en) 2012-03-29

Family

ID=4399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013A KR101128032B1 (en) 2009-11-12 2009-11-12 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8032B1 (en)
WO (1) WO2011059197A2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47B1 (en) * 2012-05-22 2014-02-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water navigation platform
KR101381105B1 (en) * 2012-04-30 2014-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obot control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422693B1 (en) * 2012-07-20 2014-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ubsea equipment, underwater operation system and underwater operation method
KR101625922B1 (en) * 2013-03-22 2016-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of controlling position of riser
KR102365084B1 (en) 2021-01-21 2022-02-23 주식회사 로보스텍 Underwater Drone System for Safety Diagnosis of Underwater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50B1 (en) * 2011-07-15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hull work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516556B1 (en) * 2013-11-22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length of cable in hul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S2544007B2 (en) * 2014-02-25 2016-02-19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Transformable humanoid submarine robot
KR101645646B1 (en) * 2014-08-19 2016-08-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Operating condition check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vehicle
CN104843156A (en) * 2015-05-22 2015-08-19 云南卡索实业有限公司 Intelligent robot for salvaging underwater physical evidence
CN106428479B (en) * 2015-08-06 2018-05-25 欧舶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A kind of unmanned remote controlled underwater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EP3168704B1 (en) 2015-11-12 2021-02-24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3d surveying of a surface by mobile vehicles
CN107344604A (en) * 2016-05-06 2017-11-14 中国科学院烟台海岸带研究所 A kind of marine environment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sized underwater observation robot
EP3257740B1 (en) 2016-06-13 2019-08-14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 glass sphere type pressure housing including titanium band and a multi-joint underwater robot system for deep sea exploration using the same
KR101693199B1 (en) * 2016-06-13 2017-01-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glass sphere type pressure housing including titanium band
KR102172257B1 (en) * 2017-12-14 2020-10-30 한국원자력연구원 Spent nuclear fuel inspection surface robot and method
KR102075229B1 (en) * 2018-01-05 2020-02-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Robot for inspection and various operation on the wall-side ocean structure
KR101978288B1 (en) * 2018-11-13 2019-05-14 주식회사 글로비트 Sonar apparatus installed in a floating fish cage
CN109470281B (en) * 2019-01-11 2020-04-03 中国海洋大学 Bionic lateral-line flow sensor
CN111351908A (en) * 2020-03-04 2020-06-30 深圳市宇驰检测技术股份有限公司 Aquatic ecology investigation method based on robot, underwater robot and storage medium
KR102356671B1 (en) * 2020-07-24 2022-02-07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Solar charging system for underwater robots
KR102580716B1 (en) * 2021-12-17 2023-09-1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Robot buoy
CN114899769B (en) * 2022-07-13 2022-12-20 上海临希智能科技有限公司 Underwater strong current intelligent connection guid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262Y1 (en) * 2003-05-19 2003-08-06 주식회사 육송 Hydrospace Camera Structure of Unmanned Remote control Lifeboa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80B2 (en) * 1987-09-02 1996-02-21 三井造船株式会社 Attitude control device for unmanned submersible
JPH03169796A (en) * 1989-11-29 1991-07-23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Robot device for water quality measur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262Y1 (en) * 2003-05-19 2003-08-06 주식회사 육송 Hydrospace Camera Structure of Unmanned Remote control Lifeboa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05B1 (en) * 2012-04-30 2014-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obot control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358547B1 (en) * 2012-05-22 2014-02-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water navigation platform
KR101422693B1 (en) * 2012-07-20 2014-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ubsea equipment, underwater operation system and underwater operation method
KR101625922B1 (en) * 2013-03-22 2016-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of controlling position of riser
KR102365084B1 (en) 2021-01-21 2022-02-23 주식회사 로보스텍 Underwater Drone System for Safety Diagnosis of Underwat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197A9 (en) 2011-09-29
WO2011059197A3 (en) 2011-11-17
WO2011059197A2 (en) 2011-05-19
KR20110052102A (en)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032B1 (en) Multi degree-of-freedom underwater operation robot based on unmanned surface vehicle
US10272980B2 (en) Underwater vehicles and inspection methods
EP3271240B1 (en) Communications among water environment mobile robots
JP6001085B2 (en) An articulated submarine robot having a combined movement function of walking and swimming, and a submarine explor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260389B1 (en) A multi-legged seabed walking robot for survey of high current and high turbidity underwater environment
US10604218B2 (en) Manoeuvring device and method therof
CN109367738B (en) Underwater autonomous operation robo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323824B1 (en) Underwater robot operating device
Salumäe et al. Design principle of a biomimetic underwater robot u-cat
Nassiraei et al. Development of ship hull cleaning underwater robot
Allotta et al. Design of a modula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JP2019089422A (en) Seabed survey system using underwater drone
Jung et al. A study on unmanned surface vehicle combined with remotely operated vehicle system
KR101249853B1 (en) Approximated modeling method of generalized drag torque acting on multi-joint links underwater robot
RU2468959C1 (en) Submersible robotised complex for measurements and repair of waterworks
Sakagami et al. Development of a removable multi-DOF manipulator system for man-portable underwater robots
Basu et al. Hydrone: Iot enabl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aquatic ecosystem monitoring
Gomáriz et al. Development of a low-cost autonomous oceanographic observation vehicle
Biegański et al. Design, control and applications of the underwater robot Isfar
Novick et al. The development of a highly maneuverable underwater vehicle
Tolstonogov et al. The Concept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for the Observation-class ROV
Holtzhausen Design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vehicle tracking and position control.
Oliver et al. RAO: A low-cost AUV for testing
CA2965585A1 (en) Submersible having variable lift depending on the navigation mode
Kanna CHAPTER-7 THE IMPORTANCE OF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IN THE OFFSHORE OIL AND GAS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