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724B1 -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 Google Patents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724B1
KR101126724B1 KR1020110132486A KR20110132486A KR101126724B1 KR 101126724 B1 KR101126724 B1 KR 101126724B1 KR 1020110132486 A KR1020110132486 A KR 1020110132486A KR 20110132486 A KR20110132486 A KR 20110132486A KR 101126724 B1 KR101126724 B1 KR 10112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pring
coupling
springs
sliding
brack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갑
Original Assignee
유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갑 filed Critical 유병갑
Priority to KR102011013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724B1/en
Priority to PCT/KR2012/001044 priority patent/WO201308931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7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8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exterior of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PURPOSE: A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is provided to couple a tension spring without a separate clamping device and improv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maintained. CONSTITUTION: A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comprises a body part(40), a plurality of sliding coupling parts, and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parts. The body part is coupled with a tension spring(30). The sliding coupling part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and comprise vertical and horizontal bars that ar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11,21) formed in first and second springs(10,20) of the tension spring. The elastic coupling parts are coupled to coupling holes and coupling grooves(12,22)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of the tension spring.

Description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Bracket cover for vehicle wiper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본 발명은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텐션 스프링에 별도의 클램핑 장치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텐션 스프링을 결합할 수 있으며, 특히,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한 상태에서 결합력을 형성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텐션 스프링을 구성하는 제1, 2 스프링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홀에 슬라이딩 결합부와 같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제1, 2 스프링의 결합홈에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탄성 결합부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직바 높이를 텐션 스프링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슬라이딩 결합부 상측에 제2 경사면을 형성해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tension spring even without forming a separate clamping device in the tension spring, in particular, forming a bonding force while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y one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constituting the tension spring, like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 It can be configured to couple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elastic coupling to reduce the breakage, by forming a vertical height of the vertical coupling of the sliding coupling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ension spring can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and further, the second on the sliding coupling Bracket cover for vehicle wipers that can form slopes to maintain tension spring curvature One will.

일반적으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자동차의 앞 유리창 또는 앞, 뒤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빗물, 눈, 먼지 등)을 제가하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a vehicle wiper device is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rain, snow, dust, etc.) on the windshield of the car or the front and rear windows.

이러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이 차량의 유리창면에 직접 밀착된 상태에서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을 깨끗이 긁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리창과의 밀착상태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Such a vehicle wiper device is a matter of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window because the wiper strip made of rubber material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window surface of the vehicle to clean scrape of foreign matter on the window.

한편, 상기와 같은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는 열처리를 통해 제작된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이 삽입되어 와이퍼 스트립에 탄성력을 부가해 차량의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 차량의 유리면에 와이퍼 스트립의 밀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vehicle wiper device as described above, a tension spring having a constant curvature produced through heat treatment is inserted to smoothly adhere the wiper strip to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when applying the elastic force to the wiper stri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It is common to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done.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장치(공개특허 10-2011-0031788)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1 to 2 are related to the conventional vehicle wiper device (Patent Publication 10-2011-0031788), looking at its configuration,

내측으로 제2 고정홀(123)을 포함하는 한쌍의 텐션 스프링(120)과 상기 텐션 스프링(120)에 결합하는 와이퍼 스트립(110)이 구성되어 있다.A pair of tension springs 120 including a second fixing hole 123 inward and a wiper strip 110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s 120 are configured.

또한, 차량용 와이퍼의 아암과 텐션 스프링(120)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 커버(150)가 구성된다.In addition, a bracket cover 150 for coupling with the arm of the vehicle wiper and the tension spring 120 is configured.

상기 브라켓 커버(150)는 상측으로는 아암과 결합하기 위한 아암 결합부(151)가 구성되고, 하측에는 와이퍼 스트립(110)이 결합하기 위한 와이퍼 결합부(153)가 구성되어 있다.The bracket cover 150 has an upper arm engaging portion 151 for engaging with the arm, and the lower side is configured with a wiper engaging portion 153 for engaging the wiper strip 110.

또한, 상기 브라켓 커버(150)의 하측에는 텐션 스프링(120)의 제2 고정홀(123)과 대응하는 다수의 제2 고정돌기(155)가 탄성 지지부재(156)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재(156)는 레버(157)에 의해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15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holes 123 of the tension spring 120 are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member 156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cover 150 and the elastic support. The member 156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orm an elastic force by the lever 157.

아울러, 상기 제2 고정돌기(155)가 형성된 양 측면으로는 텐션 스프링(120)의 결합시 가이드 하기 위한 결합 가이드(154)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guide 154 for guiding the coupling of the tension spring 12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55 is formed.

상기와 같은 구조의 브라켓 커버(150)는 텐션 스프링(120)과 브라켓 커버(150)가 직접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120)에 별도의 클램핑 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텐션 스프링(120)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The bracket cover 150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 120 and the bracket cover 150 is a structure that can not install a separate clamping device to the tension spring 120 It is made to act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20).

한편, 도 3 내지 도 4는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와이퍼 장치(등록특허 10-1074135)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3 to 4 shows a vehicle wiper device (registered patent 10-1074135)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상기 차량용 와이퍼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wiper device,

도 3에서와 같이 브라켓 커버(240), 클램프(30), 결합홀(222)을 포함하는 텐션 스프링(220) 및 와이퍼 스트립(21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a bracket cover 240, a clamp 30, a tension spring 220 including a coupling hole 222, and a wiper strip 210 are formed.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서와 같이 브라켓 커버(240)와 클램프(230)는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한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4, the bracket cover 240 and the clamp 230 is coupled in a sliding structure.

이를 위해, 브라켓 커버(240)에는 클램프(230)와 결합하는 방향에 개방된 수용간이 형성된 하우징(245)과, 하우징부(245)의 내벽에 수용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관통형의 출입홈(247)이 포함되는 플랜지부(246)가 형성된다.To this end, the bracket cover 240 has a housing 245 formed with a receiving opening that is op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amp 230 is coupled, and a through type access groove 247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pace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portion 245. The flange portion 246 is formed.

또한, 클램프(230)에는 측면에서 연장되어 플랜지부(2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출입홈(247)을 통해 하우징부(245)로 출입되는 측면지지부(36)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lamp 230 has a side support portion 36 extending from the side and slidably supported by the flange portion 246 and entering and exiting the housing portion 245 through the access groove 247.

이에 따라, 측면 지지부(236)가 출입홈(247)에 배치되도록 클램프(230)를 브라켓 커버(240)에 삽입한 후에, 클램프(230)를 슬라이딩시켜서 측면지지부(236)를 플랜지부(246) 상에서 지지되도록 배치한다.Accordingly, after the clamp 23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cover 240 so that the side support 236 is disposed in the access groove 247, the side support 236 is slid by sliding the clamp 230. Position to be supported on the bed.

또한, 상기 브라켓 커버(240)에는 클램프(230)를 향하여 돌출된 정렬돌기(48)가 형성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중공형의 결합돌기(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racket cover 240 is formed so that the alignment protrusion 48 protruding toward the clamp 230,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coupling protrusion 32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즉, 클램프(230)가 슬라이딩 되다가 결합돌기(232)의 중공부(232b)에 정렬돌기(248)가 삽입되면 클램프(230)의 위치가 결정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clamp 230 slides and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32b of the coupling protrusion 232, the position of the clamp 230 is determined.

이때, 상기 정렬돌기(248)는 탄성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클램프(23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때에는 클램프(230)에 밀려서 내측으로 후퇴하고, 결합돌기(232)의 중공부(232b) 위치와 일치될 때 중공부(232b) 내부로 돌출되어 클램프(230)의 위치를 경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is configured to form an elastic force so that when the clamp 230 is inserted and sliding,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is pushed back into the clamp 230, and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hollow portion 232b of the coupling protrusion 232. When protruded into the hollow portion 232b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lamp 230.

또한, 브라켓 커버(240)에는 탄성력이 있는 결합부(249)가 구성되어 클램프(230) 삽입 후 클램프(230)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bracket cover 24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ack of the clamp 230 after the insertion of the clamping portion 249 is configured to the clamp 230.

하지만,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구조(공개특허 10-2011-0031788)로 이루어진 브라켓 커버(150)는 제2 고정돌기(155)가 돌기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텐션 스프링(120)의 제2 고정홀(121)에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력이 낮아 수직방향으로 텐션 스프링(120)이 이탈하는 경우가 잦아 실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bracket cover 150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2 (public patent 10-2011-0031788) is the second of the tension spring 12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55 has a protrusion shape. Since the coupling force is coupled to the fixing hole 121, the coupling force is low, the tension spring 120 is often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ot actually applied.

특히, 탄성 지지부재(156)에 제2 고정돌기(155)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각각의 제2 고정돌기(155)에 텐션 스프링(120)의 제2 고정홀(121)이 결합할 경우 각각의 제2 고정돌기(155) 사이의 거리만큼은 텐션 스프링(120)이 곡률을 이루지 못하고 직선구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탄성력을 계산하여 열처리 및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120)의 탄성력이 반감되어 실제 차량에 부착하였을 때에 차량 유리면과 맞닿는 와이퍼 스트립(110)을 제대로 누르지 못함으로써, 일부 영역에서는 이물질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55 is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member 156, the second fixing hole 121 of the tension spring 120 may be coupled to each second fixing protrusion 155. In this case, since the tension spring 120 does not achieve a curvature and forms a straight section by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s 155,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20 having the heat treatment and curvature formed by calculating the elastic force is halved. In this case, the wiper strip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may not be properly pressed when actually attached to the vehicl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foreign substances may not be removed in some areas.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구조(등록특허 10-1074135)로 이루어진 브라켓 커버(240)와 결합하는 텐션 스프링(220)에 사이징 공정을 통해 금속 재질의 클램프(230)를 결합한 후, 클램프(230)와 브라켓 커버(24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에, 상기 사이징 공정에 의해 텐션 스프링(220)에 클램프(230)를 결합하게 되면,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있던 텐션 스프링(220)의 곡률이 중앙부분에서 직선구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최초 설계시의 탄성력이 반감되어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차량 유리면과 맞닿는 와이퍼 스트립(210)을 제대로 누르지 못함으로써, 일부 영역에서는 이물질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On the other hand, after coupling the clamp 230 of the metal material through the sizing process to the tension spring 220 coupled to the bracket cover 240 made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s 3 to 4 (registered patent 10-1074135), the clamp When the clamp 230 is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 220 by the sizing process, the tension spring 220 having a constant curvature is formed. Since the curvature of the) forms a straight section at the center part, the elastic force in the initial design is halved, and when attached to the vehicle, the wiper strip 2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is not properly press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are not removed in some areas. A problem has arisen.

또한, 클램프(230)에 형성된 측면지지부(236)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브라켓 커버(240)의 플랜지부(246)는 상, 하측의 이탈만 방지하도록 작용하고, 정렬돌기(248) 및 결합부(249)를 통해 좌, 우측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렬돌기(248) 및 결합부(249)는 탄성력이 부가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정렬돌기(248) 및 결합부(249)가 파손되는 일이 잦아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246 of the bracket cover 240 slidingly engag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236 formed on the clamp 230 acts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and the coupling portion 249 It is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eft, right through), Since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and the coupling portion 249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the added elastic force, the force to move to the left, right has been applied At this time,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and the coupling portion 249 are frequently broken, thereby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는 한쌍의 제1, 2 스프링이 이격거리를 두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이격거리 내에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제1, 2 스프링의 내측으로는 장공 형태의 다수의 결합홀이 구성되고, 제1, 2 스프링 사이에 형성된 이격거리의 반대방향 측면에는 장공 형태의 다수의 결합홈이 구성되어 있는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과 결합하는 몸체부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부 하측에는 텐션 스프링의 제1, 2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바와 수평바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텐션 스프링의 제1, 2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 및 결합홈에 결합하는 다수의 탄성 결합부가 형성되어, 텐션 스프링의 상, 하, 좌,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 및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rranged so that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springs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a separation distance, the wiper strip is coupled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first, second spring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in the form of a long hole is formed, the opposite side of the separation dist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 formed a constant curva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in the form of long holes In the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for forming a body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tension spring,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vertical bar and horizontal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of the tension spring The bar forms a plurality of sliding couplings are formed in the L-shape, and i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of the tension spring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portion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pring is configured to form a movement restriction and coupling forc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에서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직바의 높이는 텐션 스프링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텐션 스프링의 결합시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vertical bar of the sliding coupling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ension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when the tension spring is coupled.

본 발명에서 제1, 2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텐션 스프링과 몸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와 탄성 결합부와의 결합은 제1, 2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홀에 몸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평바를 삽입시킨 후 텐션 스프링을 수직바가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결합부에 형성된 수직바의 일측과 결합홀의 일측이 맞닿도록 하여 좌,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텐션 스프링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되, 다수의 탄성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탄성 결합부는 텐션 스프링의 제1, 2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에 슬라이딩 결합부와 같이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탄성 결합부는 텐션 스프링의 제1, 2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tension spring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and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is horizontal to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portion i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After the bar is inserted, the tension spring is sli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bar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formed on the sliding coupling part contacts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i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elastic coupling part of the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parts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of the tension spring like a sliding coupling part, and the other elastic coupling part is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of the tension spr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any on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평바에는 제1 경사면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urther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본 발명에서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 중 어느 한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부 상측에는 제2 경사면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iding coupling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서 몸체부의 하측면에는 텐션 스프링의 상, 하측 방향 및 좌, 우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텐션 스프링의 결합홈에 결합하며 가이드턱 수직바와 가이드턱 수평바로 이루어진 가이드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tension spring to prevent the upper, lower and left and right deviation of the tension spring, and the guide jaw consisting of a guide jaw vertical bar and a guide jaw horizontal bar is further formed. It is done.

본 발명에서 가이드턱의 가이드턱 수평바에는 제3 경사면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jaw horizontal bar of the guide ja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inclined surface is further formed.

본 발명에서 가이드턱의 가이드턱 수평바의 높이는 텐션 스프링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guide jaw horizontal bar of the guide ja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ension spring.

본 발명에서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 사이에는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제한하기 위한 곡률제한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limiting jaw for limiting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liding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은 텐션 스프링에 별도의 클램핑 장치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텐션 스프링을 결합할 수 있으며, 특히,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한 상태에서 향상된 결합력을 형성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 even without forming a separate clamping device in the tension spring,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forming an improved coupling force while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또한, 탄성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텐션 스프링을 구성하는 제1, 2 스프링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홀에 슬라이딩 결합부와 같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제1, 2 스프링의 결합홈에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탄성 결합부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constituting the tension spring as a sliding coupling portion, the other is configured to couple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The breakage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can be reduced.

그리고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직바 높이 및 가이드턱의 가이드턱 수직바의 높이를 텐션 스프링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다.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can be maintained by form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bar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and the height of the guide bar vertical bar of the guide jaw longer than the tension spring thickness.

또한, 제1, 2, 3 경사면을 통해 텐션 스프링의 원활한 결합과 더불어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보다 원활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smoothly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as well as the smooth coupling of the tension spring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clined surfaces.

아울러, 곡률제한턱을 통해 텐션 스프링에 탄성력을 더 부가하여 와이퍼 스트립과 차량 유리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it is a useful invention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wiper strip and the vehicle glass surface by adding an elastic force to the tension spring through the curvature limiting jaw.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라켓 커버를 다른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 다른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몸체부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9는 텐션 스프링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wiper devic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cover of Figure 1 from anoth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vehicle wiper devic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view of FIG.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5 from another angl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tension sprin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한쌍의 제1, 2 스프링(10, 20)이 일정한 이격거리(d) 거리를 두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는 텐션 스프링(30)이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S. 5 to 8, a pair of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are arranged in symmetr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

상기 텐션 스프링(30)은 상기 이격거리(d) 내에 차량의 유리면을 청소하기 위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S)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ension spring 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iper strip S made of a rubber material for cleaning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is coupled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d.

또한, 상기 텐션 스프링(30)에 형성된 제1, 2 스프링(10, 20) 내측으로는 장공 형태의 다수의 결합홀(11, 21)이 구성되어 있고, 제1, 2 스프링(10, 20) 중 이격거리(d)가 형성된 반대 방향의 측면에는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장공형태의 다수의 결합홈(12, 22)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 스프링(30)은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and 21 having a long hole shape are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30, and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On the side of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d) is forme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 22 of the long hole shape made of an open structure on one side, the tension spring 30 is formed by forming a constant curvature It is.

이러한, 텐션 스프링(30)은 제1, 2 스프링(10, 20) 사이에 이격거리(d)를 형성하고, 결합홀(11, 21) 및 결합홈(12, 22)이 형성된 구조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The tension spring 30 forms a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and any shape of the structural surface on which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and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are formed. It may consist of.

즉, 도 9에서와 같이 제1, 2 스프링(10, 20)이 분리되어 있는 형태 또는, 제1, 2 스프링(10, 20)의 끝단이 연결된 형태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아니더라도 이격거리(d) 및 결합홀(11, 21)과 결합홈(12, 22)이 형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무방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may be separated, or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may be connected. In addition, even if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6, the separation distance (d) and the coupling holes (11, 21) and coupling grooves (12, 22) may be formed of any structure.

다음으로, 몸체부(40)가 구성되어 있다.Next, the body portion 40 is configured.

상기 몸체부(40)는 상측으로 아암 결합부(41)를 구성하고 있다.The body portion 40 constitutes an arm coupling portion 41 upward.

다음으로, 슬라이딩 결합부(50)는 상기 몸체부(40)의 하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며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Next,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40 is configured and the coupling holes (11, 21) formed in the first, second springs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이러한, 슬라이딩 결합부(50)는 수직바(51)와 수평바(52)가 대략 직각으로 이루어지도록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Such,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is configured in a L-shape so that the vertical bar 51 and the horizontal bar 52 is made approximately at right angles.

특히,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바(51)의 높이(h)는 텐션 스프링 두께(t) 보다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0, the height h of the vertical bar 51 formed in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may be longer than the tension spring thickness t.

또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 형태의 결합홀(11, 2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게 형성하여 결합홀(11, 21)에 수평바(52)가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coupling hole (11, 21) of the long hole form formed in the first, second spring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bar 52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so that the horizontal bar 52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에는 텐션 스프링(3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텐션 스프링(30)의 결합 후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경사면(a1)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bar 30 may be easily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er 50 to further form a first inclined surface a1 to maintain curvature after the tension spring 30 is coupled. It may be.

다음으로, 탄성 결합부(60)는 몸체부(40)의 하측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Next,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40 is configured to have an elastic force.

즉, 상기 탄성 결합부(60)는 텐션 스프링(30)이 삽입될 때에는 상측으로 밀려있다가 텐션 스프링(30)을 완전히 슬라이딩시켰을 때에는 최초의 자리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is pushed upward when the tension spring 30 is inserted, but when the tension spring 30 is fully slid, an elastic force capabl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s formed.

이러한, 탄성 결합부(60)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 및 결합홈(12, 22)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elastic coupling part 6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and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of the tension spring 30. do.

여기서, 상기 제1, 2 스프링(10, 20)으로 구성된 텐션 스프링(30)과 몸체부(40)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50) 및 탄성 결합부(60)의 결합은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홀(11, 21)에 몸체부(40)의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를 삽입시킨 후 텐션 스프링(30)을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직바(51)의 일측과 결합홀(11, 21)의 일측이 맞닿도록 하여 좌,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텐션 스프링(30)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고, 다수의 탄성 결합부(60) 중 어느 하나의 탄성 결합부(60)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에 슬라이딩 결합부(50)와 같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탄성 결합부(60)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결합홈(12, 22)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ere, the combination of the tension spring (30) consisting of the first, second spring (10, 20) and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formed on the lower body portion 40 is the first, second spring After inserting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of the body portion 40 into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21) formed in the (10, 20) and sliding the tension spring 30 by sliding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51 of the coupling portion 50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abut to restrict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30 i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e of the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portion 60,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is a sliding coupling portion in the coupling holes (11, 21) formed in the first, second spring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As shown in (50), the other elastic coupling portion 60 is coupled to any one coupling groove (12, 22) formed in the first, second springs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Could It is configured to be.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결합부(50) 중 어느 한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50) 상측에는 제2 경사면(a2)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2 may be further formed above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formed in any one direction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상기 제2 경사면(a2)은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30)과의 결합된 상태에서 곡률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구성된다.The second inclined surface a2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curvature as it is in engagement with the tension spring 30 having a constant curvatur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40)의 하측면에 가이드턱(80)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jaw 8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40.

상기 가이드턱(80)은 텐션 스프링(30)의 상, 하 방향으로의 거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홈(12, 22)에 결합하여 좌, 우방향으로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가이드턱 수직바(81)와 가이드턱 수평바(8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jaw 80 ha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of the tension spring 30 while limiting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f the tension spring 30. 12 and 22 may be composed of a guide jaw vertical bar 81 and a guide jaw horizontal bar 82 to limit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에, 상기 가이드턱 수직바(81)의 높이(h1)는 텐션 스프링(30)의 두께(t)보다 더 길게 형성하도록 하고, 가이드턱 수평바(82)에는 제3 경사면(a3)을 형성하하여 텐션 스프링(30)과의 결합의 용이성과 더불어 텐션 스프링(30)의 곡률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h1 of the guide jaw vertical bar 81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nsion spring 30,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a3 is formed on the guide jaw horizontal bar 82.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30 with ease of engagement with the tension spring (30).

이러한, 가이드턱(80)의 가이드턱 수평바(82)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 형태의 결합홀(12, 22)과 동일한 길이 또는 약간 작게 형성하여 결합홀(12, 22)에 가이드턱(80)이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the guide jaw horizontal bar 82 of the guide jaw 80 is the same length as the coupling holes (12, 22) of the long hole form formed in the first, second springs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It is preferable to form a little smaller so that the guide jaw 80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2, 22).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결합부(50) 사이에 곡률제한턱(90)을 더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limiting jaw 90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liding coupling parts 50.

상기 곡률제한턱(90)은 텐션 스프링(50)의 최대 곡률이 발생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텐션 스프링(30)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curvature limiting jaw 90 is disposed at a portion at which the maximum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50 occurs to prevent the tension spring 30 from being excessively ben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100)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embodiment of the vehicle wiper bracket co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100)와 텐션 스프링(3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look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wiper bracket cover 100 and the tension spring 30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텐션 스프링(30)의 결합홈(12, 22)을 몸체부(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턱(80)이 형성된 위치에 배치하여 결합시킨다.First,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of the tension spring 30 are disposed in a position where the guide jaw 8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40 is formed and engaged.

그러면, 상기 텐션 스프링의 결합홈(12, 22)과 가이드턱(80)의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몸체부(40)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가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n, as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of the tension spring are coupled to the guide jaw 80,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formed under the body portion 40 is tension tension spring. The coupling is made to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of the 30.

이때에, 탄성 결합부(60)는 텐션 스프링(30)에 형성된 제1, 2 스프링(10, 20)의 상측면(14, 24)에 의해 눌리면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is pressed by the upper surface (14, 24) of the first, second spring (10, 20)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30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한편, 상기와 같이 텐션 스프링(30)이 몸체부(40)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50) 및 가이드턱(80)의 1차 결합이 완료되면, 텐션 스프링(30)을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직바(52)가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imary coupling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and the guide jaw 80 formed in the body portion 40, the tension spring 30 is completed, the sliding spring 30 sliding coupling portion 50 The vertical bar 52 of the slide in the direction formed.

그러면,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직바(51)의 일측과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의 일측이 맞닿으면서 결합이 이루어져 좌,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텐션 스프링(30)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과 동시에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작용하게 된다.Then,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51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of the tension spring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coupling is mad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30 in any one of the left, right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acts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이때에,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경사면(a1)에 의해 상기 텐션 스프링(30)의 슬라이딩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제1 경사각(a1)은 텐션 스프링(30)의 결합 후 곡률을 유지할 수 있는 작용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sliding action of the tension spring 30 can be made more smoothly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a1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a1) is also made to maintain the curvature after the coupling of the tension spring (30).

또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의 일면이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의 하측면(13, 23)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 하 방향으로의 이동도 제한함과 동시에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작용하게 된다.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is disposed so as to abut the lower surface (13, 23) of the first, second spring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In addition to limiting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will act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특히,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의 높이(h)는 텐션 스프링(30)의 두께(t)보다 더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 스프링(30)의 곡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height h of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nsion spring 30,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30 is maintained as it is. To work.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서의 본체(40) 하측에 슬라이딩 결합부(50)를 직접 형성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Here, the height (h)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can be adjusted because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is direct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40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 중 어느 한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부(50) 상측에는 제2 경사면(a2)이 구성되어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30)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In addition, a second inclined surface a2 is formed above the sliding coupler 50 in any one direction of the sliding coupler 50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30 having the curvature.

한편,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결합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30)에 형성된 제1, 2 스프링(10, 20)의 결합홈(12, 22)과 가이드턱(80)의 결합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and the guide jaw 80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30 are simultaneously coupled with the sliding coupling unit 50. do.

여기서, 상기 가이드턱(80)도 결합홈(12, 22)의 일측과 맞닿으면서 좌,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텐션 스프링(30)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과 동시에 ㄱ자로 구성되어 제1, 2 스프링(10, 20)의 하측면(13, 23)을 클램핑하여 텐션 스프링(30)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작용하게 된다.Here, the guide jaw (80) is also made of letter A while at the same time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30 i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ile contacting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s (12, 22) The lower sides 13 and 23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are clamped to prevent the tension spring 30 from mov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acting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여기서, 상기 가이드턱(80)도 슬라이딩 결합부(50)와 마찬가지로 가이드턱 수평바(82)에 제3 경사면(a3)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텐션 스프링(30)의 슬라이딩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30)의 두께(t)보다 더 길게 형성된 가이드턱 수직바(81)의 높이(h1)에 의해 텐션 스프링(30)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도 겸하게 된다.Here, since the guide jaw 80 also has a third inclined surface a3 formed on the guide jaw horizontal bar 82 similarly to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the sliding action of the tension spring 30 can be performed smoothly. Simultaneously with the function, the height of the guide jaw vertical bar 81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nsion spring 30 is maintained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30 can be maintained.

한편, 상기와 같이 텐션 스프링(30)을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결합부(50) 및 가이드턱(80)을 통한 텐션 스프링(30)의 상, 하, 좌, 우 방향의 이동제한 및 결합력이 향상되는 작용과 더불어 탄성 결합부(60)에서도 텐션 스프링(30)의 좌, 우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On the other hand, by sliding the tension spring 30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restriction and coupling force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ension spring 30 through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and the guide jaw 80 is improved. In addition,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also acts to limi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30).

이를 살펴보면, 텐션 스프링(30)을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의 상측면(14, 24)에 의해 눌려져 있던 탄성 결합부(60)가 In view of this, when the tension spring 30 is slid, the elastic coupling part 60 pressed by the upper surfaces 14 and 24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of the tension spring 30 is moved.

동시에 탄성 결합부(60)가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과 결합홈(12, 22)에 결합된다.At the same time, the elastic coupling part 6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and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of the tension spring 30.

구체적으로는, 탄성 결합부(60) 중 어느 한방향에 형성되어있는 탄성 결합부(60)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에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formed in any one direction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is coupling holes 11 and 21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of the tension spring 30. ) Is combined.

즉, 슬라이딩 결합부(60)가 결합되어 있는 결합홀(11, 21)에 같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upling is made to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to which the sliding coupling part 60 is coupled.

또한, 다른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 결합부(60)는 결합홈(12, 22)의 일측에 맞닿으면서 결합하도록 작용하게 되어, 텐션 스프링(30)의 좌, 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acts to engage while abutting on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so a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is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결합부(50) 사이에 곡률제한턱(90)이 더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30) 중 곡률이 심하게 발생하는 부분을 눌러주는 역할을 하여 차량에 본 발명을 장착하였을 때에 와이퍼 스트립(S)이 차량의 유리면과 완전히 밀착하도록 작용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limiting jaw 90 is further configured between the sliding coupling parts 50 to press the part where the curvature is severely generated in the tension spring 30 so that the wiper is mounte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strip (S)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a malfunction occu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텐션 스프링(30)을 구성하는 제1, 2 스프링(10, 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과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2, 22)을 통해 텐션 스프링(30)을 지지하여 향상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텐션 스프링(30)의 지지 및 이동을 제한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들의 파손율이 적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1, 2 스프링(10, 20)이 비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constituting the tension spring 30 and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While supporting the tension spring 30 to form an improved coupling force through), even if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he breakage rate of each component restricting the support and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30 is small, thereby ensuring reliability of the product.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또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S)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지지하는 텐션 스프링(30)에 형성되는 이격거리(d)는 항상 일정해 질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 스트립(S)이 차량의 유리면을 닦는 과정에서 텐션 스프링(30) 변형에 의한 오작동율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deformation of the wiper strip (S) made of rubber material, the separation distance (d)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30) that supports it is because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combined so that the wiper strip ( S) in the process of wiping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can also obtain the effect that the malfunction rate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tension spring 30 does not occur.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임을 명시한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described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taken for granted by ordinary technicians engaged in

S : 와이퍼 스트립 t : 텐션 스프링 두께 h : 수직바 높이
h1 : 가이드턱 수평바 높이
a1 : 제1 경사면 a2 : 제2 경사면 a3 : 제3 경사면
30 : 텐션 스프링
10 : 제1 스프링
11 : 결합홀 12 : 결합홈 13 : 하측면 14 : 상측면
20 : 제2 스프링
21 : 결합홀 22 : 결합홈 23 : 하측면 24 : 상측면
40 : 몸체부
41 : 아암 결합부
50 : 슬라이딩 결합부
51 : 수직바 52 : 수평바
60 : 탄성 결합부
80 : 가이드턱
81 : 가이드턱 수직바 82 : 가이드턱 수평바
90 : 곡률제한턱
100 :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S: Wiper strip t: Tension spring thickness h: Vertical bar height
h1: Height of guide bar horizontal bar
a1: first inclined plane a2: second inclined plane a3: third inclined plane
30: tension spring
10: first spring
11 coupling hole 12 coupling groove 13 lower side 14 upper side
20: second spring
21: coupling hole 22: coupling groove 23: lower side 24: upper side
40: body
41: arm coupling
50: sliding coupling
51: vertical bar 52: horizontal bar
60: elastic coupling
80: guide jaw
81: guide jaw vertical bar 82: guide jaw horizontal bar
90: curvature limit
100: bracket cover for vehicle wiper

Claims (9)

한쌍의 제1, 2 스프링(10, 20)이 이격거리(d)를 두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이격거리(d) 내에 와이퍼 스트립(S)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제1, 2 스프링(10, 20)의 내측으로는 장공 형태의 다수의 결합홀(11, 21)이 구성되고, 제1, 2 스프링(10, 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거리(d)의 반대방향 측면에는 장공 형태의 다수의 결합홈(12, 22)이 구성되어 있는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30)을 결합하기 위한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30)과 결합하는 몸체부(40)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부(40) 하측에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홀(11, 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바(51)와 수평바(52)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50)를 형성하고 있으며,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 및 결합홈(12, 22)에 결합하는 다수의 탄성 결합부(60)가 형성되어, 텐션 스프링(30)의 상, 하, 좌,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 및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distance d so that the wiper strip S is coupled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d, and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and 21 in the form of long 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20),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and 21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paration distance d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and 20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and 21. In the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for engaging the tension spring 30 having a constant curvature in which the engaging grooves 12 and 22 are formed,
To form a body portion 40 to be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 30,
Under the body portion 40, the vertical bar 51 and the horizontal bar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21)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52) forms a plurality of sliding coupling portion 50 is formed in the L-shape, coupling holes (11, 21)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and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portions 60 are formed to couple to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so that the tension spring 30 can be formed to restrict movement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form a coupling force. Bracket cover for vehicle wiper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직바(51)의 높이(h)는 텐션 스프링(30)의 두께(t)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텐션 스프링(30)의 결합시 텐션 스프링(30)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The height h of the vertical bar 51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formed below the body part 40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nsion spring 30.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30 when the tension spring 30 is coup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프링(10, 20)으로 이루어진 텐션 스프링(30)과 몸체부(40)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50)와 탄성 결합부(60)와의 결합은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홀(11, 21)에 몸체부(40)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를 삽입시킨 후 텐션 스프링(30)을 수직바(51)가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결합부(50)에 형성된 수직바(51)의 일측과 결합홀(11, 21)의 일측이 맞닿도록 하여 좌, 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텐션 스프링(30)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되, 다수의 탄성 결합부(60) 중 어느 하나의 탄성 결합부(60)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 21)에 슬라이딩 결합부(50)와 같이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탄성 결합부(60)는 텐션 스프링(30)의 제1, 2 스프링(10, 20)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결합홈(12, 22)에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between the tension spring (30) consisting of the first, second springs (10, 20) and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formed on the body portion 40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0 is the first And the tension spring 30 after inserting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formed in the body portion 40 into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 and 21 formed in the two springs 10 and 20. To sl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bar 51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51 formed in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s 11 and 21 abu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order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30, one of the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parts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springs 10 and 20 of the tension spring 30.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11, 21) formed as a sliding coupling portion 50, the other elastic coupling portion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springs (10, 20) of the tension spring (30) Any one of the engaging groove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12, 22) that is sex.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50)의 수평바(52)에는 제1 경사면(a1)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The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inclined surface (a1) is further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52)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5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의 하측에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50) 중 어느 한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부(50) 상측에는 제2 경사면(a2)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2)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50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iding coupling portion 5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40). Bracket cover for vehicle wip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의 하측면에는 텐션 스프링(30)의 상, 하측 방향 및 좌, 우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텐션 스프링(30)의 결합홈(12, 22)에 결합하며 가이드턱 수직바(81)와 가이드턱 수평바(82)로 구성된 가이드턱(80)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12 and 22 of the tension spring 30 to prevent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left and right separation of the tension spring 30. The bracket cover for the vehicle wi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jaw 80 consisting of the guide jaw vertical bar 81 and the guide jaw horizontal bar 82 is further form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턱(80)의 가이드턱 수평바(82)에는 제3 경사면(a3)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7. The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third inclined surface (a3) is further formed on the guide jaw horizontal bar (82) of the guide jaw (8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턱(80)의 가이드턱 수평바(52)의 높이(h1)는 텐션 스프링(30)의 두께(t)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7. The bracket wiper cover for vehicle wip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eight h1 of the guide jaw horizontal bar 52 of the guide jaw 80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nsion spring 3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50) 사이에는 텐션 스프링(30)의 곡률을 제한하기 위한 곡률제한턱(90)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The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urvature limiting jaw (9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liding coupling parts (50) to limit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30).
KR1020110132486A 2011-12-12 2011-12-12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KR1011267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86A KR101126724B1 (en) 2011-12-12 2011-12-12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PCT/KR2012/001044 WO2013089312A1 (en) 2011-12-12 2012-02-13 Bracket cover for vehicle wi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86A KR101126724B1 (en) 2011-12-12 2011-12-12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724B1 true KR101126724B1 (en) 2012-03-29

Family

ID=4614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486A KR101126724B1 (en) 2011-12-12 2011-12-12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6724B1 (en)
WO (1) WO201308931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7498A (en) * 2013-09-03 2015-03-18 Kcw株式会社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591651B1 (en) * 2013-09-16 2016-02-11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Flat wiper blade assembly and combination method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JP7482593B2 (en) 2020-10-16 2024-05-14 株式会社デンソーワイパシステムズ Wiper blade and connecting member for wiper bla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594A (en) 2003-07-02 2005-01-27 Nippon Wiper Blade Co Ltd Wiper blade
US7587783B1 (en) 2005-07-26 2009-09-15 Chin-Lien Lin Windshield wiper
KR100918091B1 (en) 2008-01-17 2009-09-22 주식회사 캐프 Clamping device for wiper bla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001B1 (en) * 2007-12-18 2010-02-12 Valeo Systemes Dessuyage WIPER BLADE WITH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BRUSH
KR101158370B1 (en) * 2010-04-19 2012-06-28 주식회사 캐프 Wiper bla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594A (en) 2003-07-02 2005-01-27 Nippon Wiper Blade Co Ltd Wiper blade
US7587783B1 (en) 2005-07-26 2009-09-15 Chin-Lien Lin Windshield wiper
KR100918091B1 (en) 2008-01-17 2009-09-22 주식회사 캐프 Clamping device for wiper bla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7498A (en) * 2013-09-03 2015-03-18 Kcw株式会社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CN104417498B (en) * 2013-09-03 2017-04-26 Kb雨刷系统株式会社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312A1 (en)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724B1 (en)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US9365190B2 (en) Connecting device of windshield wiper
KR101514227B1 (en) Flat wiper blade and combination method
US7299520B2 (en)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KR101608257B1 (en) Flat wiper blade and combination method
KR101350277B1 (en) Flat wiper blade and flat wiper blade assembly
US8898850B2 (en) Wiper blade
CN103921764A (en) Flat Wiper Blade Assembly
KR101691427B1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TWI548369B (en) Mounting part for slide rail assembly
KR20140144331A (en) Flat wiper blade
US7703500B2 (en) Bracket and head rail assembly
KR101495317B1 (en) Wiper blade
KR101126713B1 (en) Bracket cover of vehicle wiper
JP2015196456A (en) Vehicular mall
JP4751626B2 (en) Solar shading device mounting device
KR200475851Y1 (en) An endcap of wiper for vehicle
KR101036577B1 (en) Wiper device
CN211223362U (en) Windshield wiper connects and this windshield wiper of adaptation connects
JP7321525B2 (en) slide rail unit
KR102042416B1 (en) Endclip for Wiper blade
KR100813644B1 (en) Wiper blade
KR100998108B1 (en) Apparatus for endcaps of a car-wiper
KR100919365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wiper arms and wiper blade device for vehicle
JP2013545668A (en) Wiper bla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