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526B1 -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526B1
KR101126526B1 KR1020100093695A KR20100093695A KR101126526B1 KR 101126526 B1 KR101126526 B1 KR 101126526B1 KR 1020100093695 A KR1020100093695 A KR 1020100093695A KR 20100093695 A KR20100093695 A KR 20100093695A KR 101126526 B1 KR101126526 B1 KR 10112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user
tracking
list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조민구
오신행
한진영
권태경
최양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 그룹이나 혹은 일반 대중에게 접근이 허용된 공공의 카메라 (CCTV) 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위치와 시간을 기반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비디오 일기를 작성한다. 이와 같은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은 특정 시간 동안 다양한 장소에서 활동하는 개인의 일상을 각 위치마다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후, 해당 영상을 기록 및 가공하여 웹에서 일기 형태로 보여주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카메라, 개인 무선 휴대장치, 위치 관리 서버, 비디오 서버,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및 웹서버로 구성된다.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는 비디오 일기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컴퓨터 시스템 구성 요소로서,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한다. 생성된 트래킹 리스트를 바탕으로 비디오 다이어리 에이전트는 비디오 서버와 통신하여 위치 정보의 해당 카메라 태그와 시간 정보와 일치하는 비디오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후, 비디오 다이어리 에이전트는 생성된 비디오 리스트를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로 가공하고,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비디오 일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AUTOMATED METHOD FOR COMPOSING INTERNET VIDEO DIARY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의 검색과 공유가 허용된 공공의 카메라 (예를 들어, CCTV) 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비디오 일기 작성을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그 작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와는 달리 현재의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풍부한 대역폭을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비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들간에 공유하는 것도 쉽게 가능하게 되었다. 일례로 유튜브 (YouTube) 와 같이 고품질 멀티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을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활성화되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다양한 응용방법으로 결합한 유기적인 관계형 서비스로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의 변화 외에 정보 교환의 형태에도 큰 변화가 발생하였는데, 과거 특정 대상과 지정하여 통신하던 단말 대 단말 (point-to-point) 형태에서 싸이월드 (Cyworld), 트위터 (Twitter), 페이스북 (Facebook) 과 같은 다대다 (M-t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SNS) 로 그 모습이 진화하였으며, 각종 카페, 블로그는 인터넷이라는 사이버 공간에서 불특정다수 혹은 지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자신의 생활을 담을 수 있는 수단으로 급부상하였다.
현존하는 서비스들은 텍스트 혹은 이미지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텍스트나 단순한 이미지에 비해서 상당히 많은 정보를 함축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잠재력이 큰 미디어로서 앞으로 그 활용분야가 훨씬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개인용 고성능 휴대기기의 등장이나 곳곳에 설치되고 있는 수많은 CCTV들은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과 편집,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커다란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비디오 데이터들을 활용하는 기술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들을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사용자 그룹이나 혹은 일반 대중에게 접근이 허용된 공공의 카메라, 예를 들어, 폐쇄 회로 TV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각 개인의 위치와 시간을 기반으로 검색하여 자동으로 비디오 일기를 작성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접근이 가능한 모든 비디오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즉흥적으로 자동 블로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현장의 비디오 정보를 스트리밍 할 수 있는 다수의 공공 카메라를 가정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를 통해 위치와 시간을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특정 시간동안 다양한 장소에서 활동하는 개인의 일상을 각 위치마다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후, 해당 영상을 기록 및 가공하여 웹에서 일기 형태로 보여주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환경에서 수많은 공공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와 개인의 위치 정보 수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을 가정하여, 개인의 위치 및 시간에 기초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근래에 다양한 소스로부터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과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시간이나 위치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의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사물이나 지형과 관련한 추가 정보를 비디오 데이터에 삽입하고 이를 통해 비디어 데이터의 검색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서버, 위치 관리 서버 및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은,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서버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트래킹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필 관리 서버의 사용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일기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트래킹 리스트 생성 단계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ID, 및 시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들을 위치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용자 ID, 위치 정보, 촬영 시간,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트래킹 리스트 생성 단계는,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 중 인접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갖는 트래킹 아이템들이 있다면, 중복되는 트래킹 아이템들을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으로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비디오 리스트 생성 단계는, (a) 트래킹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b)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에 포함된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획득된 카메라 태그에 의해 식별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 시간 동안 촬영된 비디오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비디오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단계는, 비디오 리스트의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 중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와 일치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단계는,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에 대한 참조 횟수를 사용자 프로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참조 횟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서버, 위치 관리 서버,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 및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는,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을 수신하고,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 모듈;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서버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트래킹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프로필 관리 서버의 사용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및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일기를 작성하는 인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서버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트래킹 리스트 생성 장치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ID, 및 시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들을 위치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수단; 사용자 ID, 위치 정보, 촬영 시간,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수단; 및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 중 인접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갖는 트래킹 아이템들이 있다면, 중복되는 트래킹 아이템들을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으로 통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비디오 리스트 생성 장치는, 트래킹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을 선택하는 수단;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에 포함된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를 획득하는 수단; 및 획득된 카메라 태그에 의해 식별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 시간 동안 촬영된 비디오를 식별하는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를 포함하는 하나의 비디오 아이템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 관리 서버의 사용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장치는, 비디오 리스트의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 중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와 일치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수단;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추가하는 수단;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에 대한 참조 횟수를 사용자 프로필로부터 획득하는 수단;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참조 횟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하는 수단; 및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의 개수가 최대 허용 비디오 아이템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 중에서 참조 횟수가 낮은 순서대로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을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제거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입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실생활 기반의 일기가 자동으로 작성됨으로써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기존 문자화된 일기에 비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비단 일기 뿐 아니라 학회의 참석 보고나 활동 상황을 자동으로 기록하거나 장애인/노약자/유아/감시대상 전과자등의 행동을 모니터링 하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잠재 활용 분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일반적인 비디오 자료뿐만이 아니라 사물이나 지형 정보에 대한 객체 태깅 (object tagging) 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내에서 주변에 대한 상황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고 풍부한 비디오 일기를 작성할 수 있게 하고, 근래에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등의 기술과 결합하여 잠재적인 산업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을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기능별 세부 모듈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트래킹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프로필에 적합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이라 함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카메라, 개인 무선 휴대장치, 위치 관리 서버, 비디오 서버,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및 웹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을 지칭한다 (도 1 참조). 비디오 일기 작성은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가 시작한다.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는 사람을 대신하여 비디오 일기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주는 컴퓨터 시스템 구성 요소로서,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얻어낸다. 이렇게 하여 얻어낸 개인에 대한 위치 정보들의 리스트로 생성한 것을 '트래킹 리스트'라고 한다. 위치 관리 서버는 카메라들이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트래킹 리스트의 각 개별 항목 (트래킹 아이템) 에는 사용자의 위치와 시간뿐 아니라 그 위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태그도 포함하고 있다.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한 비디오 다이어리 에이전트는 트래킹 리스트의 트래킹 아이템에 포함된 해당 카메라 태그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서버에 비디오 데이터를 요청한다. 이후, 비디오 다이어리 에이전트는 비디오 서버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비디오 리스트와 위치, 시간 정보를 조합하여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비디오 일기를 제공함으로써 비디오 일기 작성 과정이 완료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은 개인 무선 휴대 장치 (100), 위치 관리 서버 (200), 카메라 (300), 비디오 서버 (400),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 (500) 및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개인 무선 휴대 장치 (100) 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위치 정보가 위치 관리 서버 (200) 에 수집되고, 카메라 (300) 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된 비디오가 비디오 서버 (400) 에 저장되며,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 (500) 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위치 관리 서버 (200) 및 비디오 서버 (400) 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비디오 일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시스템의 각 기능별 세부 모듈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인 무선 휴대 장치 (100) 는 실외에서는 GPS, 실내에서는 무선랜과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를 이용하는 위치 정보 획득 모듈 (110) 과 위치 정보 송신 모듈 (120) 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위치 관리 서버 (200) 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개인의 위치 정보를 위치 관리 서버 (200) 에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위치 관리 서버 (200) 에서 위치 정보 수신 모듈 (210) 은 개인 무선 휴대 장치 (100) 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를 셀룰러 혹은 무선랜, 와이브로 등의 무선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이를 위치 데이터 베이스 (220) 에 저장한다. 위치 관리 서버 (200) 는 유선 네트워크로 인터넷과 연결되어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의 요청 시 위치 정보 검색 모듈 (230) 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들을 전송한다.
카메라 (300) 는 고정된 위치에서 주어진 시야에 대해 지속적인 비디오 녹화기능을 수행하고, 비디오 서버 (400) 에 이를 저장한다.
비디오 서버 (400) 는 상황 정보 추가 모듈 (410) 을 통해 카메라 (300) 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상황정보를 추가 (tagging) 한다. 이때, 정보 추가 (tagging) 는 단순한 카메라 태그와 시간정보 뿐만 아니라 화면이 담고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삽입하여, 일반 비디오 데이터를 유용한 주변 정보 (공공기관, 음식점, 편의점 등) 와 자동으로 연관시켜 줌으로써 일기 작성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는 고정된 위치에서 주어진 시야에 대해 녹화를 하므로, 화면이 담고 있는 사물이나 지형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정적이며, 이에 대한 정보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가공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 베이스 (420) 에 저장된다.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의 요청 시 상황 정보 검색 모듈 (430) 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 베이스 (420) 로부터 원하는 데이터가 추출되어 전송된다.
특히,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는 입력 모듈 (610),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30),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인코딩 모듈 (650) 및 출력 모듈 (660) 로 세부기능별로 구분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치 간에 서로 상호연동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본원 발명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예시적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예시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의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는 임의의 사용자의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을 입력 모듈 (610) 을 통해 받는다. 이러한 작성 요청은 개인의 수동 요청에 의할 수도 있고, 정해진 규칙이나 계획에 따라 자동으로 요청이 올 수도 있다.
특정 사용자에 대한 비디오 일기 작성이 시작되면,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은 위치 관리 서버 (200) 와 통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획득한다.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30) 은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로부터 트래킹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 (400) 와 통신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비디오 리스트로 생성한다.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은 비디오 리스트를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로 편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통합하는 등의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출력 옵션에 따라 인코딩 모듈 (650) 에 의해 추가적인 비디오 인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가공을 마친 비디오 데이터들은 출력 모듈 (660) 을 통해 시간에 따른 일기 형태로 재구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성된 비디오 일기는 최종적으로 웹서버에 게시 (publish) 되어 인터넷상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이하, 추가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도 3 을 참조하여,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의 입력 모듈 (610) 에서 미리 계획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일기 작성 요청을 받으면 (S310), 일기 작성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시간 정보가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로 전달된다 (S320).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은 전달받은 사용자 정보와 시간 정보로 위치 관리 서버 (200) 를 검색하여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한다 (S330). 트래킹 아이템은 특정 시각에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고,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으로 구성된 트래킹 리스트를 통해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이동한 위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30) 은 생성된 트래킹 리스트를 수신하여, 트래킹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 (400) 를 검색하여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한다 (S340). 비디오 아이템은 하나 이상의 트래킹 아이템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로 구성된 비디오 리스트는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이동한 위치들에서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이다.
이후,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은 사용자 프로필을 참고하여 비디오 리스트를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로 가공하며 (S350), 이러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는 비디오 일기의 작성 목적에 따라 비디오 리스트를 가공한 결과물이다.
마지막으로, 인코딩 모듈 (650) 은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의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따라 실제로 비디오 일기에서 보여줄 동영상을 작성하고 (S360), 출력 모듈 (660) 은 인코딩된 동영상의 위치를 URI 형태로 전송함으로써 웹서버에서 해당 URI 를 통해 사용자가 비디오 일기를 시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S370).
본 발명의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중 사용자 정보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서버에서 위치 리스트 일명,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 4 를 참조하여,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에서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은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시간 정보 (즉, 촬영 시간) 와 일치하는 위치 정보들을 위치 데이터 베이스 (220) 로부터 획득한다 (S410).
이때, 위치 관리 서버 (200) 의 위치 정보 검색 모듈 (230) 은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시간을 수신하고, 위치 정보 수신 모듈 (210) 에서 수집되는 개인 무선 휴대 장치 (100) 의 위치 정보들 중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들을 검색하여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로 다시 전송한다. 위치 정보가 수집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인 무선 휴대 장치 (100) 는 다양한 장소를 이동하면서 위치 정보 획득 모듈 (110) 을 통해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게 되고 이를 위치 정보 송신 모듈 (120) 을 이용해 자신에게 할당된 위치 관리 서버 (200) 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은 사용자 ID, 위치 정보, 촬영 시간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생성한다 (S420).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20) 은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 중 인접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갖는 트래킹 아이템들이 있다면, 중복되는 트래킹 아이템들을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으로 통합함으로써, 인접한 시간과 위치의 트래킹 아이템들에 대한 중복을 제거하는 단계 (S430) 를 거쳐 하나의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중 비디오 서버에서 트래킹 리스트에 부합하는 비디오 리스트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 5 를 참조하여,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30) 에서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30) 이 트래킹 리스트에서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을 선택하고 (S510), 트래킹 아이템에 포함된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를 획득하여 (S520) 이를 비디오 서버 (400) 의 상황 정보 검색 모듈 (430) 에 전송한다. 상황 정보 검색 모듈 (430) 은 수신한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와 일치하는 카메라를 선택하고, 추출 시간에 맞는 영상 파일 조각을 인식할 수 있는 식별자인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를 생성하여,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30) 에 전송한다.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30) 은 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비디오 아이템을 생성하며 (S530), 해당 과정에서 다수의 카메라 태그가 획득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이 동시에 생성된다.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여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생성하고, 비디오 아이템을 하나씩 비디오 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하나의 비디오 리스트가 생성된다 (S540).
비디오 리스트는 하나 혹은 다수의 비디오 아이템으로 구성되며, 비디오 서버에는 영상 파일의 조각들이 있으며, 각각의 비디오 아이템은 이 조각 파일들 중 하나와 일치한다. 또한, 각각의 비디오 아이템에 포함된 URI 를 통해 해당 비디오에 개별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중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에서 사용자의 비디오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필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 6 을 참조하여,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이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 (500) 는 사용자 프로필 획득 모듈 (530) 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 베이스 (520) 를 포함한다.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 베이스 (520) 에 저장된 데이터는 카메라 태그와 해당 카메라가 위치한 곳의 정보 (업종, 성격, 관련 직업), 그리고, 해당 카메라 태그에 대한 참조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이 사용자 ID 를 사용자 프로필 검색 모듈 (510) 에 전달하면, 사용자 프로필 검색 모듈 (510) 은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 베이스 (520) 검색하여 사용자 ID 에 일치하는 사용자 프로필을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에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은 수신한 사용자 프로필로부터 획득된 카메라 태그와 일치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선택하여 (S610), 선택된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S620)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은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에 대한 참조 횟수를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 베이스 (520) 로부터 획득하고 (S630), 비디오 아이템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의 참조 횟수가 높은 순서대로 비디오 아이템을 정렬함 (S640) 으로써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은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포함되는 비디오 아이템들의 개수가 최대 허용 비디오 아이템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비디오 아이템의 카메라 태그에 대한 참조 횟수가 낮은 순서대로 비디오 아이템을 제거함 (S650) 으로써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카메라 태그와 사용자 프로필 매칭은 사용자의 직업, 성별, 나이 및 다이어리 사용 목적 등의 내용을 담은 프로필을 토대로 각 카메라가 위치한 장소 정보와의 연관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인 과정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20 세 대학생인 A 군이 하루 단위로 비디오 일기를 작성하도록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에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2010 년 4 월 30 일, A 군은 비디오 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즉, 개인 무선 휴대 장치 (100) 를 가지고 집, 버스정류장, 강의실, 동아리방, 서점, 음식점, 옷가게 등을 다양한 곳을 하루 동안 이동하였다.
이동 중 A 군의 스마트폰의 비디오 일기 어플리케이션은 지속적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 (AP) 또는 GPS 를 통해 계산하면서, 5 분 단위로 위치 정보와 시간 및 사용자 ID 를 위치 관리 서버 (200) 로 전송하고 위치 관리 서버 (200) 는 해당 정보를 위치 데이터 베이스 (220) 에 저장하게 된다.
A 군이 이동한 장소들에 위치하는 카메라 (300) 는 실시간으로 주어진 영역만큼 촬영하였으며, 촬영된 영상은 약 1 분단위로 나뉘어져 촬영된 시간 및 카메라 태그와 함께 비디오 서버 (400) 의 비디오 데이터 베이스 (420) 에 저장된다.
2010 년 5 월 1 일 자정, 일 단위로 설정된 비디오 일기 생성 일정에 따라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는 A 군의 2010 년 4 월 30 일자 비디오 일기 생성 작업을 시작하고, A 군의 사용자 ID (U1001) 와 일기 날짜 (2010 년 4 월 30 일) 를 위치 관리 서버 (200) 로 전송하여 A 군이 이동한 장소들의 정보를 요청하는데, 위치 관리 서버 (200) 는 전달받은 A 군의 사용자 ID (U1001) 및 날짜 (2010 년 4 월 30 일) 와 일치하는 모든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여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로 송신한다.
위치 정보들을 수신한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는 5 분 단위로 X:2050, Y:1040 과 같은 트래킹 아이템을 하나씩 생성한다.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는 생성된 아이템들에 대해 인접한 시간의 아이템에 기록된 위치가 10 미터 이하일 경우 중복된 것으로 판단하여,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들을 삭제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카메라 태그와 시간 정보를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으로 통합한다.
이후,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성된,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트래킹 아이템으로부터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를 획득한다.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로부터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를 수신한 비디오 서버 (400) 는 수신한 촬영 시간과 카메라 태그에 맞는 비디오 데이터를 선정하고, 각 비디오 데이터별로 재생될 시간 (예를 들어, 2010 년 4 월 30 일 오전 9 시 30 분 ~ 11 시 30 분) 을 설정한다.
비디오 서버 (400) 가 해당 영상을 인식하기 위한 URI (http://diary.pe.kr/c240t0930 ~ http://diary.pe.kr/c2401130) 를 생성하여 이를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에 송신하면,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는 이를 재생시간과 조합해 비디오 아이템을 생성하여 비디오 리스트에 추가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비디오 리스트는, 20 세 남자 대학생이라는 A 군의 프로필에 기초하여 비디오 리스트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가공된다. 이 과정에서 비디오 리스트에 있는 비디오 태그 정보를 통해 카메라의 설치 위치 (버스 정류장, 강의실, 음식점, 서점 등) 를 확인하고, 이를 강의실, 서점, 버스 정류장, 음식점과 같이 프로필에 밀접한 순서대로 정렬하여 제한된 비디오 아이템 개수를 넘지 않을 만큼의 비디오 아이템들 (강의실, 서점) 을 선정해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한다. 생성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웹서버와 연동하여 A 군이 언제 어디서나 웹을 통해 일기를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아래의 표 1 은 위의 내용에 대한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00) 가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 베이스 (520) 를 검색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프로필 (직업 - 대학생, 성별 - 남, 나이 - 20 세, 다이어리 사용목적 - 일상 생활 기록) 을 토대로, 각 비디오 리스트에서 대학생이라는 직업에 맞는 C240 (강의실), C23 (동아리방), C1000 (문고) 가 선택되었으며, 다이어리 사용 목적이 일상 생활 기록이므로 이에 부합하여 C800 (버스정류장) 이 추가로 선택되었다. 아래 경우에는 이동장소 및 비디오 시간이 길지 않아 프로필에 맞는 모든 비디오 리스트가 선정되었으나, 만약 제한된 비디오 리스트 개수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카메라 참조 횟수가 많은 비디오 리스트 순으로 정렬하여 상위 랭크된 비디오 리스트만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로 선택하게 된다.
Figure 112010062329579-pat0000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개인 무선 휴대 장치 110: 위치 정보 획득 모듈
120: 위치 정보 송신 모듈 200: 위치 관리 서버
210: 위치 정보 수신 모듈 220: 위치 데이터 베이스
230: 위치 정보 검색 모듈 300: 카메라
400: 비디오 서버 410: 상황 정보 추가 모듈
420: 비디오 데이터 베이스 430: 상황 정보 검색 모듈
500: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 510: 사용자 프로필 검색 모듈
520: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 베이스 530: 사용자 프로필 획득 모듈
600: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 610: 입력 모듈
620: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630: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40: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650: 인코딩 모듈
660: 출력 모듈

Claims (30)

  1. 비디오 서버, 위치 관리 서버 및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으로서,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서버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관리 서버의 사용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일기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들을 상기 위치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촬영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 중 인접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갖는 트래킹 아이템들이 있다면, 이러한 트래킹 아이템들을 중복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것으로 판단된 트래킹 아이템들을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으로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위치 분류 태그 및 위치의 명칭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리스트 생성 단계는,
    (a) 상기 트래킹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에 포함된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카메라 태그에 의해 식별되는 카메라에 의해 상기 촬영 시간 동안 촬영된 비디오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비디오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a), (b) 및 (c)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작성된 비디오 일기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인,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의 상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 중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와 일치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에 대한 참조 횟수를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참조 횟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의 직업, 성별, 나이 및 다이어리 사용 목적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에 의해 카메라의 위치가 식별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의 개수가 최대 허용 비디오 아이템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 중에서 참조 횟수가 낮은 순서대로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사용자의 개인 무선 휴대 장치가 주기적으로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와 관련한 상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란, 비디오가 담고 있는 화면의 사물이나 지형에 대한 정보인,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15. 비디오 서버, 위치 관리 서버, 사용자 프로필 관리 서버 및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디오 일기 작성 에이전트는,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일기 작성 요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 모듈;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
    상기 트래킹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서버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상기 프로필 관리 서버의 사용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일기를 작성하는 인코딩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들을 상기 위치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수단; 및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촬영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 중 인접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갖는 트래킹 아이템들이 있다면, 이러한 트래킹 아이템들을 중복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것으로 판단된 트래킹 아이템들을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으로 통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위치 분류 태그 및 위치의 명칭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트래킹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에 포함된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를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획득된 카메라 태그에 의해 식별되는 카메라에 의해 상기 촬영 시간 동안 촬영된 비디오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비디오 아이템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작성된 비디오 일기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인,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비디오 리스트의 상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 중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와 일치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추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에 대한 참조 횟수를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참조 횟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의 직업, 성별, 나이 및 다이어리 사용 목적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에 의해 카메라의 위치가 식별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의 개수가 최대 허용 비디오 아이템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 중에서 참조 횟수가 낮은 순서대로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제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사용자의 개인 무선 휴대 장치가 주기적으로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와 관련한 상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란, 비디오가 담고 있는 화면의 사물이나 지형에 대한 정보인,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
  28.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서버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트래킹 리스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들을 상기 위치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수단;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촬영 시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복수의 트래킹 아이템들 중 인접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갖는 트래킹 아이템들이 있다면, 이러한 트래킹 아이템들을 중복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것으로 판단된 트래킹 아이템들을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으로 통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트래킹 리스트 생성 장치.
  29.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트래킹 리스트에 기초하여, 비디오 서버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비디오 리스트 생성 장치로서,
    상기 트래킹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하나의 트래킹 아이템에 포함된 촬영 시간 및 카메라 태그를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획득된 카메라 태그에 의해 식별되는 카메라에 의해 상기 촬영 시간 동안 촬영된 비디오를 식별하는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를 포함하는 하나의 비디오 아이템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 생성 장치.
  30.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필 관리 서버의 사용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장치로서,
    상기 비디오 리스트의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 중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와 일치하는 카메라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디오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에 추가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포함된 카메라 태그에 대한 참조 횟수를 상기 사용자 프로필로부터 획득하는 수단;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을 참조 횟수가 높은 순서로 정렬하는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의 개수가 최대 허용 비디오 아이템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들 중에서 참조 횟수가 낮은 순서대로 선택된 비디오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제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비디오 리스트 생성 장치.
KR1020100093695A 2010-09-28 2010-09-28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12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95A KR101126526B1 (ko) 2010-09-28 2010-09-28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95A KR101126526B1 (ko) 2010-09-28 2010-09-28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526B1 true KR101126526B1 (ko) 2012-03-22

Family

ID=4614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695A KR101126526B1 (ko) 2010-09-28 2010-09-28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5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441B1 (ko) * 2015-05-20 2016-01-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이동 객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KR101585379B1 (ko) * 2015-05-20 2016-01-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및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WO2016093553A1 (ko) * 2014-12-12 2016-06-1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 및 카메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816A (ko) * 2000-03-18 2001-10-23 김지원 인터넷을 통한 동물 동영상 실시간 전송 및 관련정보를제공하는 웹 사이트
KR20090001592A (ko) * 2007-04-30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제작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90035501A (ko) * 2009-03-13 2009-04-09 팅크웨어(주) 지도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71401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아이엠커넥션 전자적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816A (ko) * 2000-03-18 2001-10-23 김지원 인터넷을 통한 동물 동영상 실시간 전송 및 관련정보를제공하는 웹 사이트
KR20090001592A (ko) * 2007-04-30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제작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00071401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아이엠커넥션 전자적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5501A (ko) * 2009-03-13 2009-04-09 팅크웨어(주) 지도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553A1 (ko) * 2014-12-12 2016-06-1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 및 카메라
KR101582441B1 (ko) * 2015-05-20 2016-01-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이동 객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KR101585379B1 (ko) * 2015-05-20 2016-01-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 및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WO2016186458A1 (ko) * 2015-05-20 2016-11-24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이동 객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US10582162B2 (en) 2015-05-20 2020-03-03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n moving ob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623B2 (en) Providing visual content editing functions
US9571606B2 (en) Social media viewing system
CN105122789B (zh) 用于用户生成的视频的同步的编辑的数字平台
US10552482B2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marking highlights in a multimedia file and manipulating the multimedia file using the highlights
KR101432457B1 (ko) 콘텐츠를 자동으로 태깅하기 위한 콘텐츠 캡처 장치 및 방법
US201600347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ent-related content discovery, curation, and presentation
US20150331856A1 (en) Time-based content aggregator
CN104516892B (zh) 关联富媒体信息的用户生成内容的发布方法、系统和终端
US20130339446A1 (en)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capturing memories
CN102016840A (zh) 用于跟踪使用的系统和方法
CN101262494A (zh) 对发布信息进行处理的方法、客户端、服务器和系统
CN103635892A (zh) 自动创建用于分享照片的群体
WO20120369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KR20140093974A (ko) 이미지 주석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39060A1 (en) Content service method
US202103194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location-based content
WO2014035998A2 (en) Coded image sharing system (ciss)
CN102098549A (zh) 一种提供社会性网络服务的epg系统
US11164418B2 (en) Impromptu community streamer
US20220158961A1 (en) Media content capture and presentation
US8577965B2 (en) Knowledge base broadcasting
KR101126526B1 (ko) 자동화된 인터넷 비디오 일기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486924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CN104636633A (zh) 一种基于lbs的快速获得多种可视医疗服务的方法和系统
KR102169647B1 (ko) Sns의 인물정보 수집 및 제공과 공유에 관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