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148B1 - 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 Google Patents

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148B1
KR101126148B1 KR1020090099700A KR20090099700A KR101126148B1 KR 101126148 B1 KR101126148 B1 KR 101126148B1 KR 1020090099700 A KR1020090099700 A KR 1020090099700A KR 20090099700 A KR20090099700 A KR 20090099700A KR 101126148 B1 KR101126148 B1 KR 101126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mounting
coupling
buck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2847A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09009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148B1/en
Publication of KR2011004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8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 전방의 설치된 로더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에 설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결합부(결합후크)의 간격이 정확하지 않아도 장착이 가능하고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도 어태치먼트를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도 용이하게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장착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achment attachment device for mounting an attachment mounted on a loader installed in front of a mobile work vehicle, such as a 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an attachment coupling unit installed in an attachment such as a bucket to mount the attachment ( Attachment can be installed even if the gap of coupling hook) is not accurate, and attachment can be attached easily without attachment from the driver's seat by allowing attachment of attachment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locking device. A mounting aid.

본 발명은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상기 한 쌍의 장착 브래킷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수단과,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 상부와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과, 상기 한 쌍의 장착 브래킷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coupling means that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is fixedly coupled to the pair of mounting brackets, respectively, and the upper rail and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coupling means are respectively fixed and coupled in a long horizontal dir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coupling member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pair of mounting brackets.

이동작업차, 어태치먼트, 버킷, 장착, 결합부재, 레일, 보조장치 Mobile work vehicle, attachment, bucket, mounting, coupling member, rail, auxiliary device

Description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Attachment Mounting Aids {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본 발명은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 전방에 설치된 로더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에 설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결합부(결합후크)의 간격이 정확하지 않아도 장착이 가능하고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도 어태치먼트를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도 용이하게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장착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n attachment mounted to a loader installed in front of a mobile work vehicle such as a 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an attachment coupling unit installed in an attachment such as a bucket to mount the attachment ( Attachment can be installed even if the gap of coupling hook) is not accurate, and attachment can be attached easily without attachment from the driver's seat by allowing attachment of attachment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locking device. A mounting aid.

종래, 이동 작업차의 하나인 트랙터는 전방부에 전방 로더를 장착하여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운반, 내리기, 싣기 등의 작업을 하고, 상기 로더에는 단순히 버킷만을 고정 부착하여 흙이나 퇴비의 상 하차 작업을 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Conventionally, a tractor, which is one of the mobile work vehicles, is equipped with a front loader at the front to carry out operations such as transporting, unloading and loading by using a hydraulic cylinder, and simply attaches only a bucket to the loader to unload soil or compost. Most of the time was.

하지만, 근래 농 축산업이 중. 대규모화 되면서 수작업을 하기 위한 인건비의 상승 및 인력부족으로 인하여 기계 장비에 의한 작업이 요구되고 또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상기 로더의 선단부에 베일 집게, 버킷,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를 착탈할 수 있는 작업용 어태치먼트가 개발된 바 있다.However, the farming industry has recently Due to the increase in labor cost and lack of manpower for manual operation due to large scale, work by mechanical equipment is required, and attachments of various work equipments such as bale tongs, buckets, hooks, etc. can be attached to the tip of the loader to perform various tasks. Work attachments have been developed.

본 출원인은 이동 작업차에 베일 집게, 버킷,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를 착탈할 수 있는 작업용 어태치먼트를 개발함에 있어서 2조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어태치먼트가 각각 또는 동시에 좌우 이동 및 폭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발명을 특허출원 제2008-68405호, 특허출원 제2008-68406 호 및 특허출원 제2008-74184호로 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다.The present applicant uses two sets of hydraulic cylinders to develop attachment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ttachments, such as bale tongs, buckets and hooks, to a mobile work vehicle. Patents have been filed with patent applications 2008-68405, patent applications 2008-68406 and patent applications 2008-74184.

상기 어태치먼트 중 상기 버킷에는 로더의 좌우측 선단부에 결합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측에 한 쌍의 장착 브래킷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 브래킷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Among the attachments, the bucket is provided with a pair of mounting bracke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front ends of the loader, and the mounting brackets have mounting holes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버킷을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 작업차의 전면에 설치된 로더의 선단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트랙터를 버킷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이 때 상기 로더의 선단부에 설치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가 상기 버킷의 일면에 수직이 되어야 하므로, 상기 트랙터를 상기 로더의 선단부가 상기 버킷의 일면에 수직이 되도록 이동하든지 아니면 상기 버킷을 상기 로더의 선단부와 .상기 버킷의 일면이 수직을 이루도록 수작업으로 이동시켜야 하고,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서 버킷을 결합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결합후크)의 폭이 상기 버킷의 장착브래킷의 폭과 일치되어야 한다. In order to mount the bucket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o the tip of the loader installed on the front of a mobile work vehicle such as a tractor, the tractor must be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bucket is located, and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loader is the bucket. Should be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tractor, the tractor should be mov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loader is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bucket, or the bucket must be moved manually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loader and one side of the bucke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the width of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coupling hook) for coupling the bucket should match the width of the mounting bracket of the bucket.

그러나, 상기 버킷은 통상 120-150㎏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수작업으로 근거리 이동도 어렵고, 또한 트랙터의 운전이 미숙한 사람에게는 상기 트랙터를 버킷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도 어려운 것이므로, 상기 버킷을 상기 로더에 장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bucket usually has a weight of about 120-150 kg, it is difficult to move near by hand, and it is also difficult to move the tractor to a position for installing the bucket for a person who is inexperienced in driving the tract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mount a bucket to the loader.

또한, 상기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서 버킷을 결합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결합후크)의 폭을 상기 버킷의 장착브래킷의 폭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운전석에서 여러 번 내려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of the mobile work vehicle has to take down several times from the driver's seat in order to match the width of the attachment bracket (coupling hook) that couples the bucket to the attachment bracket of the bucket.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 전방의 설치된 로더에 장착되는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에 설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결합부(결합후크)의 간격이 정확하지 않아도 장착이 가능하고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도 어태치먼트를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도 용이하게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장착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attachment, such as a bucket mounted to the loader installed in front of a mobile vehicle such as a tractor attachment attachment for mounting the attachment Attachment is possible even if the gap between the parts (coupling hook) is not accurate, and the attachment can be securely attach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locking device so that the driver of the mobile work vehicle can be easily attached attachments such as buckets without getting out of the driver's sea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ttachment mounting ai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장착 브래킷이 구비된 어태치먼트를 이동작업차 전방에 설치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 브래킷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수단과,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 상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제1 결합링크와 제2 결합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결합링크는 일측이 상기 장착 브래킷의 상부 장착공과 고정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2 결합링크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2 결합링크는 다른 일측이 상기 장착 브래킷의 하부 장착공과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tachment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tachment attachment for easily mounting the attachment with a pair of mounting bracket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installed in front of the mobile work vehicle In the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pair of coupling means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mounting brackets, and the rail is fixedly coupled to the top of the pair of coupling means respectively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upling means is Comprising a first coupling link and a second coupling link, the first coupling link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link, the second coupling The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with the lower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장착 브래킷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coupling members respectively installed under the pair of mounting bracket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태치먼트가 버킷인 것을 특징으로 힌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is a bucket.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이 그 중간 부분에 상기 레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further comprises a wid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ail in the middl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결합부(결합후크)의 간격이 정확하지 않아도 장착이 가능하고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도 어태치먼트를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도 용이하게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tachment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even if the interval of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combination hook) for mounting the attachment, and can be securely mounted attachment without a separate locking device, thereby mov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river of the work car can easily attach attachments such as a bucket without getting off the driver's sea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버킷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버킷에 설치된 제1 실시 예로서, 버킷(200)에 설치된 장착 브래킷(210)이 그 상하부 장착공 사이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고 각 장착 브래킷(210) 사이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구조를 가진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a)는 측면도이고 도 3 (b)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버킷에 설치된 제2 실시예로서, 버킷(200)에 설치된 장착 브래킷(210)이 그 상하부 장착공 사이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각 장착 브래킷(210) 사이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구조를 가진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a)는 측면도이고 도 3 (b)는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ment mounting aid installed in a bu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n attachment moun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cket, and a mounting bracket 210 installed in the bucket 200. ) Has a relatively wide wid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unting holes and a relatively wide width between each mounting bracket 210, Figure 2 (a) is a side view and Figure 3 (b) is a plan view, 3 is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ucket, the mounting bracket 210 installed in the bucket 200 is relatively narrow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unting holes and each mounting bracket 210 2 (a) is a side view and FIG. 3 (b)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장착 브래킷이 구비된 어태치먼트(버킷, 집초기 등,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어태치먼트가 버킷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어태치먼트가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의 전방에 구비된 로더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상기 어태치먼트를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보조장치이다.Attachment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ttachment (bucket, lawnmower, etc., the attachment is equipp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mounting bracke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attachment is It is installed in the case of a bucket), the attachment is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loader provided in front of the mobile vehicle such as a tractor, etc. to easily mount the attachment to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the attachment It is an auxiliary device.

이하 상기 어태치먼트가 버킷(200)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10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ttachment mounting assist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attachment is the bucket 200.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100)는 상기 버킷(200)을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조장치로서, 상기 버킷(200)에 구비된 한 쌍의 장착 브래킷(210)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수단과,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 상부와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30)과, 상기 한 쌍의 장착 브래킷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 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attachment mounting assistance device 100 is an auxiliary device installed to easily mount the bucket 200 to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and is fixed to a pair of mounting brackets 210 provided in the bucket 200, respectively. A pair of coupling means coupled to each other, a pair of coupling mean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and the both ends of the pair of coupling means, the rail 3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mounting brackets.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ash 40.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결합링크(10)와 제2 결합링크(20)로 구성하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링크(10)는 그 일측이 상기 장착 브래킷(210)의 상부 장착공과 고정핀(11)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2 결합링크(20)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2 결합링크(20)는 다른 일측이 상기 장착 브래킷(210)의 하부 장착공과 고정핀(21)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다.The coupling means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coupling link 10 and the second coupling link 20,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link 10 is one side of the upper mounting of the mounting bracket 210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ball and the fixing pin 11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link 20,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link 2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210 The ball and the fixed pin 21 is fixedly coupled.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을 상기 제1 결합링크(10)와 제2 결합링크(20)로 구성하게 함으로써 상기 장착 브래킷(210)의 상부 장착공과 하부 장착공과 사이의 길이가 상기 버킷(200)의 제조사마다 상이하더라도 상기 제1 결합링크(10)와 상기 제2 결합링크(20)가 힌지 결합된 부분을 조절하여 그 길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장착 브래킷(210)의 상부 장착공과 하부 장착공 사이의 길이가 긴 경우에 상기 제1 결합링크(10)와 제2 결합링크(2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상기 장착 브래킷(210)의 상부 장착공과 하부 장착공 사이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상기 제1 결합링크(10)와 제2 결합링크(2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the first coupling link 10 and the second coupling link 20 so that the length between the upper mounting hole and the lower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21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bucket 200. Even if it is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by adjusting the hinge-coupled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link 10 and the second coupling link 20 will be able to easily correspond to the length. FIG. 2 illustrates a state of the first coupling link 10 and the second coupling link 20 when the length between the upper mounting hole and the lower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210 is long. When the length between the upper mounting hole and the lower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210 is short, the state of the first coupling link 10 and the second coupling link 20 is shown.

상기 레일(30)은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 상부, 즉 좌측에서 제1 결합링크(10)와 제2 결합링크(20)가 결합되는 지점과 우측에서 제1 결합링크(10)와 제2 결합링크(20)가 결합되는 지점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레일(30)은 각 양단부가 상기 지점에 고정 결합하게 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30)이 상기 지점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지점보다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The rail 30 has a point at which the first coupling link 10 and the second coupling link 20 ar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oupling means, that is, the left side, and the first coupling link 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t the right side. Each link 20 is fixedly coupled to a point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long. Each of the rails 30 may be fixed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ails,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rails 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points but protru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oints.

상기 레일(30)은 긴 봉 형상으로 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의 상부 결합후크(351)가 어떤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상부 결합후크(351)에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30)은 휨 강도가 높은 원형이 바람직하나, 사각형 파이프, U자형 파이프 등으로도 채용할 수 있으며 그 외경은 상기 상부 결합후크(35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il 30 has an elongated rod shape, so that the upper coupling hook 351 of the attachment coupling unit 35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hook 351 as described below. The rail 30 is preferably a high circular bending strength, but may be employed as a rectangular pipe, U-shaped pipe, etc. Its outer diameter is preferably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hook 351.

상기 버킷(200)에서 좌우 한 쌍의 장착 브래킷(210)의 설치 폭이 제조사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30)은 그 중간 부분에는 상기 레일(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 수단(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폭조절 수단(50)은 그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레일(30)의 중간 부분이 절단된 상태에서 각 절단된 부분이 삽입되는 구조로서 그 삽입되는 길이의 정도에 따라 상기 레일(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레일(30)의 길이가 최대로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상기 레일(30)이 최소로 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 수단(50)에 의하여 상기 레일(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installation width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mounting brackets 210 in the bucket 200 may be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the rail 30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rail 30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Width adjustment means 50 can be provided. The width adjusting means 50 is a structure in which each cut portion is inse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of the rail 30 is cut by forming an empty space therein, and the rail 30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inserted length thereof. ) Length can be adjusted.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rail 30 is maximized,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rail 30 is minimized, as shown in FIGS. 2 and 3. By means 50 is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ail (30).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한 쌍의 장착 브래킷(210)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에서 하부 결합공(352)이 형성된 위치에 맞도록 설치되며, 그 위치는 상기 제2 결합링크(20)에서 그 다른 일측이 상기 장착 브래킷(210)의 하부 장착공과 고정 결합되는 위치에서 다소 높은 위치이고, 그 형상은 일정 길이(예: 10-30cm 정도)만큼 돌출된 봉 형상이고 그 단부는 상 기 하부 결합후크(35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삼각뿔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4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부 결합공(352)을 돌출핀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40)를 상기 돌출핀이 삽입되는 중공 형상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The coupling member 40 is installed at each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mounting brackets 210, and is installed to match the position at which the lower coupling hole 352 is formed in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350 to be described later. Is a slightly higher position in the posi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link 20 is fixedly coupled with the lower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210, the shape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about 10-30cm)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rod and the end of the triangular pyramid shape or tapered shap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coupling hook 352.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member 40, the lower coupling hole 352 may be formed as a protruding pin, and the coupling member 40 may have a hollow shape into which the protruding pin is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적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는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의 전방에 구비된 로더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로서, 어태치먼트(버킷 등)와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350)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각각 또는 동시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이다. 이러한 어태치먼트 장치는 본 발명자에 의하여 특허출원 제2008-68405호, 특허출원 제2008-68406 호 및 특허출원 제2008-74184호로 출원된 바 있고 그 구조 및 작동 설명은 상기 특허출원들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to which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installed at a distal end of a loader provided in front of a mobile vehicle such as a tractor and the like, and is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the attachment, and coupled with an attachment (bucket, etc.). Attachment attachment device that allows the left and right pair of attachment coupling portion 350 to be moved from side to side or at the same time using a hydraulic cylinder. Such an attachment device has been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as patent application No. 2008-68405, patent application No. 2008-68406 and patent application No. 2008-74184, and its structure and operation description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patent applica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상기 버킷(200)에 설치된 경우 그 버킷(200)을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의 전방에 구비된 로더의 선단부에 설치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when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ucket 200, the attachment of the attachment to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installed in the front end of the loader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mobile work vehicle such as a tractor 200 The process of doing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설치된 버킷이 장착되는 제1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의 상부 결합후크(351)에 레일(30)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 착 보조장치가 설치된 버킷이 장착되는 제2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결합부재(40)가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의 하부 결합공(352)의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설치된 버킷이 장착되는 제3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의 하부 결합공(352)에 결합부재(4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process in which a bucket having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a state in which the rail 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hook 351 of the attachment coupling unit 350. 5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process in which a bucket in which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the coupling member 40 is positioned at the lower coupling hole 352 of the attachment coupling unit 350. 6 is a view showing a state placed i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third process of mounting the bucket is installed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in the lower coupling hole 352 of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350 4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40 is inserted.

우선 이동작업차를 이동하여 상기 이동작업차의 전방에 구비된 로더의 선단부(400)에 설치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300)의 어태치먼트 결합부(350)를 상기 버킷(200)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버킷(200)의 일측 모서리나 상기 레일(30)을 밀어 상기 버킷(200)이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300)에 맞닿아 수평을 유지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300)를 약간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100)의 레일(30)을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의 상부 결합후크(351)에 삽입한다.First, the moving work vehicle is moved to move the attachment coupling part 350 of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300 installed at the front end 400 of the loader provided in front of the mobile work vehicle to the place where the bucket 200 is located. In addition, one side edge of the bucket 200 or the rail 30 is pushed so that the bucket 200 abuts on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300 to be horizontal. Next,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300 is slightly lifted and the rail 30 of the attachment mounting assistance device 1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hook 351 of the attachment coupling unit 350 as shown in FIG. 4. .

위와 같이 상기 버킷(200)의 일측 모서리를 밀어 상기 버킷(200)이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300)에 맞닿아 수평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버킷(200)이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300)와 평행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그 평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Push the one side edge of the bucket 20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ucket 200 is in contact with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300 to be horizontal, even if the bucket 200 is not parallel to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300 The parallel can be kept simple.

다음으로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300)의 각도를 약간 세우면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300)의 일면이 상기 제2 연결링크(20)가 맞닿게 되고,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40)가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의 하부 결합후크(352)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Next, when the angle of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300 is slightly raised, one surface of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link 20, and as shown in FIG. 5, the coupling member ( 40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coupling hook 352 of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350.

다음으로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300)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에 대하여 좌측의 어태치먼트 결합부(350)는 좌측으로 우측의 어태치먼트 결합부(350)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350)의 하부 결합후크(352)에 상기 결합부재(40)를 삽입시킨다.Next, in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300, the attachment coupling unit 350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coupling unit 350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attachment coupling unit 350 on the right side moves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6. The coupling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upling hook 352 of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350.

이와 같이 상기 하부 결합후크(352)에 상기 결합부재(40)를 삽입 고정되므로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도 상기 버킷(200)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As such, since the coupling member 4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coupling hook 352, the bucket 200 can be firmly fixed without a separate locking device.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상기 버킷(200)이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장치(300)에 견고히 장착되는 것이다.After the above process, the bucket 200 is firmly mounted to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300.

위와 같은 어태치먼트(버킷)의 장착과정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도 상기 버킷(200)을 용이하게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Mounting of the attachment (bucket)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driver can be easily mounted to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without the driver getting off the driver's seat.

이상에서는 어태치먼트를 버킷(200)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장착 브래킷이 구비된 다른 어태치먼트(집초기 등)에서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ttachment is limited to the bucket 200. However, the attachment may be applied to other attachments (such as weeds and the like) provided with a left and right pair of mounting bracket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도 1은 본 발명에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버킷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ttachment mounting aid installed in the bucke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버킷에 설치된 제1 실시예Figure 2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bucke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버킷에 설치된 제2 실시예3 is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cke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설치된 버킷이 장착되는 제1과정을 도시한 도면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process in which a bucket in which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moun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설치된 버킷이 장착되는 제2과정을 도시한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process in which a bucket in which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가 설치된 버킷이 장착되는 제3과정을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third process in which a bucket in which a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mounted;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1 결합링크 20: 제2 결합링크10: first coupling link 20: second coupling link

11, 12: 고정핀 30: 레일11, 12: fixed pin 30: rail

40: 결합부재 50: 폭조절 수단40: coupling member 50: width adjusting means

100: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 200: 버킷100: attachment attachment device 200: bucket

210: 장착 브래킷 300: 어태치먼트 장착장치210: mounting bracket 300: attachment mounting device

350: 어태치먼트 결합부 351: 상부 결합후크350: attachment coupling portion 351: upper coupling hook

352: 하부 결합공 400: 로더352: lower coupling hole 400: loader

Claims (5)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장착 브래킷이 구비된 어태치먼트를 이동작업차 전방에 설치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에 있어서, In the attachment mounting aid for easily mounting the attachment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mounting bracke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attachment mounting device installed in front of the mobile vehicle, 상기 한 쌍의 장착 브래킷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수단과, A pair of coupling means fixedly coupled to the pair of mounting brackets,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 상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ail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upper pair of coupling means, 상기 결합수단은 제1 결합링크와 제2 결합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결합링크는 일측이 상기 장착 브래킷의 상부 장착공과 고정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2 결합링크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2 결합링크는 다른 일측이 상기 장착 브래킷의 하부 장착공과 고정 결합된 것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first coupling link and a second coupling link, wherein the first coupling link has one sid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other side hinge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link, The second coupling link is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Attachment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장착 브래킷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Attachment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coupling members respectively installed under the pair of mounting bracket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어태치먼트는 버킷인 것The attachment being a bucket 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Attachment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레일은 그 중간 부분에 상기 레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The rail further comprises a wid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ail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 보조장치. Attachment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90099700A 2009-10-20 2009-10-20 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KR1011261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700A KR101126148B1 (en) 2009-10-20 2009-10-20 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700A KR101126148B1 (en) 2009-10-20 2009-10-20 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47A KR20110042847A (en) 2011-04-27
KR101126148B1 true KR101126148B1 (en) 2012-03-22

Family

ID=4404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700A KR101126148B1 (en) 2009-10-20 2009-10-20 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1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0850B1 (en) 2021-06-16 2022-08-02 Donald Raymond Curtis, III Stowable modular utility lif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7533A (en) 1981-02-20 1982-08-25 Caterpillar Mitsubishi Ltd Combination of quick coupler and blade being capable of angling
JPS60148933A (en) 1984-01-13 1985-08-06 Caterpillar Mitsubishi Ltd Working vehicle
KR200440007Y1 (en) * 2007-11-22 2008-05-20 김문수 Working machine multi functional for tractor
KR100849175B1 (en) * 2007-07-20 2008-07-30 조원일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device with tra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7533A (en) 1981-02-20 1982-08-25 Caterpillar Mitsubishi Ltd Combination of quick coupler and blade being capable of angling
JPS60148933A (en) 1984-01-13 1985-08-06 Caterpillar Mitsubishi Ltd Working vehicle
KR100849175B1 (en) * 2007-07-20 2008-07-30 조원일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device with tractor
KR200440007Y1 (en) * 2007-11-22 2008-05-20 김문수 Working machine multi functional for tra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0850B1 (en) 2021-06-16 2022-08-02 Donald Raymond Curtis, III Stowable modular utility lif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47A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481B1 (en) Game animal lift assembly for all terrain vehicles
US7607546B1 (en) Hitch mounted hoist assembly
US8979468B2 (en) Loading work apparatus with attachment tools
US20090050340A1 (en) Scarifier
US20190382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 carrier vehicle and a selectively attachable implement
US83533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utility vehicle 3-point hitch to an implement bracket
CA2793363A1 (en) Detachable boom apparatus for fork trucks
US20020104178A1 (en) Quick-release bucket adapter
US7523920B2 (en) Length-adjustable chain mount and storage apparatus
KR101126148B1 (en) A auxiliary 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US6481949B1 (en) Crane attachment for a front end loader
KR101068130B1 (en) Multi-grapple for excavator
EP2870845A1 (en) Implement hitch for a tractor
US6386820B1 (en) Hoist device mountable to a plow mount
US6035941A (en) Tractor with a front loader
KR101497677B1 (en) Snow removal device
US20170208733A1 (en) Lift Attachment System
KR20150033817A (en) Front loader and front loader with a Agricultural
CA2845456A1 (en) Fork truck boom apparatus
US9139059B1 (en) Tractor hitch
EP2790935B1 (en) Towing attachment
EP2870842A1 (en) Tractor implement hitch links
JP6176143B2 (en) Undercarriage of crawler type vehicle
US3940000A (en) Universal hydraulic lift attachment for tractors
EP4344522A1 (en) Hitch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