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375B1 - 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 Google Patents

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375B1
KR101123375B1 KR1020040053720A KR20040053720A KR101123375B1 KR 101123375 B1 KR101123375 B1 KR 101123375B1 KR 1020040053720 A KR1020040053720 A KR 1020040053720A KR 20040053720 A KR20040053720 A KR 20040053720A KR 101123375 B1 KR101123375 B1 KR 10112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urgical
electrode
opposite
tubular
hand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04568A (en
Inventor
알란 엘만
존 가리토
Original Assignee
존 가리토
알란 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가리토, 알란 엘만 filed Critical 존 가리토
Priority to KR102004005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375B1/en
Publication of KR2006000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3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short,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e.g. for neurosurgery or arth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5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short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hrough natural open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 중 양극(bipolar) 및 단극(unipolar)으로 작동 가능하며 MIS에 적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 이 양극 작용은 전기 수술용 전류를 양극 전극의 활성화된 단부들 사이 작은 활성 영역으로 제한하며 따라서 환자의 신체 조직에 손상을 줄 수도 있는 과도한 열의 발생 가능성을 경감시킨다. 또한 활성화된 영역의 위치는 제어가 가능해서 과도한 열에 보다 민감한 환자의 신체 조직을 피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이 핸드피스에 집도의가 제어할 수 있는 유연한 단부로 구성되어서 집도의가 수술 중에 원하는 대로 단부를 조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핸드피스가 양극과 단극 전극 모두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전극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활성화되는 전극 단부를 가위나 이격 배치되는 갈퀴 또는 루프(loop)로 대체할 수 있다. 유연한 단부는 일정하게 이격된 슬롯이나 나선 또는 스프링에 의해서 유연성이 확보된다.An electrosurgical handpiece that can be operated bipolar and unipolar during surgery and configured for application to MIS. This bipolar action limits the electrosurgical current to a small active area between the active ends of the bipolar electrode and thus reduces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excessive heat that may damage the body tissue of the patient. The location of the activated area can also be controlled to avoid body tissue in patients who are more sensitive to excessive heat. In certain embodiments, the handpiece is comprised of flexible ends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surgeon so that the surgeon can manipulate the ends as desired during surgery. In another embodiment, the handpiece includes both anode and unipolar electrodes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ctuate the electrodes. In another embodiment, the end of the electrode being activated may be replaced with a rake or loop placed with scissors or spaced apart. The flexible ends are secured by regularly spaced slots, spirals or springs.

전자 수술, 핸드피스, 조직 치료, 튜브형 부품, 전기 절연 튜브, 격리부, 전기 전도성 배선, 유연한 끝부분Electrosurgical, Handpieces, Tissue Therapy, Tubular Components, Electrically Insulated Tubes, Isolators, Electrically Conductive Wiring, Flexible Ends

Description

조직 치료를 위한 전자 수술 핸드피스{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Electronic surgical handpiece for tissue therapy {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도 1은 본 발명에 의거해서 양극 활성화 장치에 연결되며 개방된 위치에서 핸들이 부착된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의 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m of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with a handle attached in an open position and connected to a bipolar activat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폐쇄된 위치에서 핸들이 부착됨으로써 도 1에서 제시한 핸드피스의 한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FIG. 2 is a side view of a modified form of the handpiece shown in FIG. 1 by attaching the handle in a closed position. FIG.

도 3은 도 2에서 3-3을 가로지르는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across 3-3 in FIG. 2. FIG.

도 4는 제조 초기 단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도 2의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에서 작동 단부를 나타낸 부분적인 사시도.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ng end of the electrosurgical handpiece of FIG.

도 5 및 도 6은 도 4와 유사하며 제조 과정 후반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Figures 5 and 6 are similar to Figure 4 and show the late stage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7은 도 2의 핸드피스의 단부에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state assembled at the end of the handpiece of FIG.

도 8 및 도 9는 발명에 의거해서 두 가지 종류의 단극 활성화 장치를 연결한 것으로 도 7과 유사한 도면.8 and 9 are views similar to those of FIG. 7 in which two types of unipolar activation devices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0은 다양한 양극 활성화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도 7과 유사한 도면.FIG. 10 is a view similar to FIG. 7 with various anode activation devices connected; FIG.

도 11은 도 7에서 제시된 장치가 양극 어댑터와 전기 수술용 유니트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vice shown in FIG. 7 connected to a bipolar adapter and an electrosurgical unit. FIG.

도 12는 추간판 탈출증 치료 등을 위한 목적으로 복강경 수술에서 도 11에서 제시한 장치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Figure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using the device shown in Figure 11 in laparoscopic surgery for the purpose of treating disc herniation.

도 13은 본 발명에 의거해서 양극 전극과 단극 전극 모두를 포함하는 또 다른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handpiece comprising both a positive electrode and a monopolar electro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에서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를 전극들이 모두 수축된 상태에서 나타낸 확대도.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operating end of the handpiece in FIG. 13 with all electrodes contracted; FIG.

도 15는 도 13에서 15-15 선에 대한 단면도.15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5-15 in FIG. 13;

도 16은 도 13의 핸드피스가 양극 전극이 연장 위치로 설정되고 단극 전극이 수축 위치로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piece of FIG. 13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is set to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single electrode is set to the retracted position; FIG.

도 17은 도 16에서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를 확대한 도면.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operating end of the handpiece in FIG. 16; FIG.

도 18은 도 13의 핸드피스가 단극 전극이 연장 위치로 설정되고 양극 전극이 수축 위치로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piece of FIG. 13 in which the unipolar electrode is set to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positive electrode is set to the retracted position; FIG.

도 19은 도 18에서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를 확대한 도면.19 is an enlarged view of the operating end of the handpiece in FIG.

도 20은 도 13에서 제시한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에 대한 한 적용 유형을 확대한 것으로서 가위를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20 shows an embodiment using scissors as an enlargement of one type of application for the operating end of the handpiece shown in FIG. 13.

도 21은 본 발명에 의거해서 제시되는 양극 활성화 장치의 또 다른 형태에서 작동 단부(작동 단부는 굽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제시됨)를 나타낸 사시도.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ng end (the operating end is presented in an unbent state) in another form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ation device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도 21과 동일하며 이 경우에는 가능한 여러 굽힘 위치 중 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작동 단부가 제시된 도면.FIG. 22 is the same as FIG. 21, in which case the end of operation is presented in the state of one of several possible bending positions.

도 23은 본 발명에 의거해서 제시되는 양극 활성화 장치의 또 다른 형태에서작동 단부(작동 단부는 굽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제시됨)를 나타낸 사시도.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ng end (the operating end is presented in an unbent state) in another form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ation device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4는 도 23과 동일하며 이 경우에는 가능한 여러 굽힘 위치 중 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작동 단부가 제시된 도면.FIG. 24 is the same as FIG. 23, in which case the operating end is shown in the state of one of several possible bending positions. FIG.

도 25는 발명에 의거해서 핸드피스의 또 다른 제안 형태를 보여 주며 작동 단부는 굽혀진 상태로 제시되어 있는 평면도.Figure 25 shows another proposed form of the handpiece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in which the working end is presented in a bent state;

도 26은 본 발명에 의거한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실시예로, 그 외부 핸드피스 하우징의 단부를 나타낸 측면도.FIG. 26 is a side view of an end portion of an outer handpiece housing in another embodiment of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7은 도 26과 유사하며 발명에 의거해서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 주는 도면.FIG. 27 is a view similar to FIG. 26 and showing yet another form of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도 28은 도 29과 유사하며 발명에 의거해서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 주는 도면.FIG. 28 is a view similar to FIG. 29 showing another form of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FIG.

도 29은 도 28과 유사하며 발명에 의거해서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 주는 도면.FIG. 29 is a view similar to FIG. 28 and showing yet another form of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루프(loop) 형식의 전극 단부의 확대 단면도.3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nd of a loop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도 30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 위치에서 관찰한 전극의 단부의 단면도.FIG. 3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observed at a position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FIG. 30. FIG.

도 32는 또 다른 변형예인 루프 전극의 단부의 확대 단면도3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nd of a loop electrode as another modification;

도 33은 도 32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 위치에서 관찰한 전극의 단면도.FIG. 33 is a 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observed at a position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FIG. 32;

도 34는 도 30의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의 확대 사시도.3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 end of the handpiece of FIG.

도 35는 도 32의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의 확대 사시도.FIG. 3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 end of the handpiece of FIG. 32;

도 36은 도 35의 핸드피스의 작동 단부의 전극의 확대 사시도로서, 작동 단부가 굽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3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de of the operating end of the handpiece of FIG. 35,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end is in the bent positio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2: 핸들 13: 손잡이12: handle 13: handle

14: 트리거 16: 튜브형 부재14: Trigger 16: Tubular member

21: 전기 절연 벽 20: 튜브형 부재21: electrical insulation wall 20: tubular member

22, 24: 전기 절연 구역 26, 28: 와이어22, 24: electrical insulation zone 26, 28: wire

30, 32: 반구형 전극 34: 슬롯30, 32: hemispherical electrode 34: slot

35: 구멍 36: 당김 와이어35: hole 36: pull wire

본 발명은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와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를 작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the electrosurgical handpiece.

전기 수술은 치과 의사, 의사, 수의사들에게 있어서 이미 보편화된 치료법이다. 바늘, 칼날, 메스, 볼, 와이어 루프 등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전극을 구비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는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전극도 제공된다. 전기 수술은 다양한 종류의 수술에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외과 수술 방법 중에는 '복강경수술법'이라고도 하는 최소 침해형 수술(MIS)이 포함되는데 이 방법에서는 환자 신체의 절개 부분을 통해 작은 직경의 캐뉼러를 삽입하고, 광섬유 뷰어(TV 카메라와 모니터)와 함께 전기 수술 핸드피스에서 연장된 노즐을 캐뉼러를 통해 수술 환자의 환부까지 도달시켜서, 집도의는 뷰어를 통해 수술 과정을 관찰하면서 전기 수술 전극을 사용하여 수술을 수행한다.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5,304,763호에는 MlS의 한 형태가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에 개시된 내용들이 인용되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Electrosurgery is already a common treatment for dentists, doctors and veterinarians. Electrosurgical handpieces having electrod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as needles, blades, scalpels, balls, wire loops, etc., are commercially available. Also provided are electrodes with various functions. Electrosurgery has been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urgery. These surgical methods include 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also known as laparoscopic surgery, which involves inserting small diameter cannula through an incision in the patient's body and with a fiber optic viewer (TV camera and monitor). By extending the nozzle from the electrosurgical handpiece through the cannula to the affected patient's affected area, the surgeon performs the surgery using the electrosurgical electrode while observing the surgical procedure through the viewer. U.S. Patent No. 5,304,763, issued to the applicant, describes one form of MlS,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또한 전기 수술에서의 MIS는 탈출 추간판 환부에 캐뉼러를 통해 단극(unipolar) 전극을 도입하고 디스크의 축소를 위하여 전극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추간판 탈출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시스템은 또한 원하는 탈출 추간판 부위에 활성화된 단극 단부를 놓기 위해 단극을 구부릴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는 신경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가 필요하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활성화된 단극 전극의 단부에 열 센서가 부착되어 전기 수술시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고 열이 너무 높은 수준까지 발생했을 경우 전기 수술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MIS in electrosurgery has also been used to alleviate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by introducing a unipolar electrode through the cannula into the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lesion and activating the electrode to shrink the disc. Such a system also provides the ability to bend the monopole to place the activated monopole end at the desired escape intervertebral disc site. In this process, care must be taken to prevent nerve damage. In a conventional system, a thermal sensor is attached to an end of an activated monopolar electrode to detect heat generated by current during electrosurgical operation and to block electrosurgical current when heat is generated to an excessively high level.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가 공급되면 조직의 치료가 가능해지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in which the treatment of tissue is possible when energy is suppli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과도한 열의 위험을 줄이고 MIS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that can be used in MIS and to reduce the risk of excessive heat that can harm a patient.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술 시 양극(bipolar)으로 작동하며 MIS에서의 사용을 위해 구성된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가 제공된다. 양극 작용은, 전기 수술시 전류를 양극 전극의 활성화된 단부들 사이의 작은 활성 영역으로 제한하며 따라서 환자의 신체조직에 손상을 줄 수도 있는 과도한 열의 발생 가능성을 경감시킨다. 또한 활성화된 영역의 위치는 제어가 가능해서 과도한 열에 보다 민감한 환자의 신체 조직을 피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that operates bipolar during surgery and is configured for use in a MIS. Anodic action limits current during electrosurgery to a small active area between the activated ends of the anode electrode and thus reduces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excessive heat that may damage the patient's body tissues. The position of the activated area is also controllable and can be adjusted to avoid the body tissue of a patient who is more sensitive to excessive heat.

발명의 이러한 실시 형태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피스에는 이중 구역으로 절연된 긴 튜브가 제공되며, 각 구역은 양극 전극의 두 개의 와이어 중 하나를 수용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handpiece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tube insulated with a double zone, each zone containing one of the two wires of the anode electr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MIS 사용을 위한 전극은 집도의에 의해 제어 가능한 구부러지는 팁(flexible tip)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집도의가 수술 과정 동안 원하는 대로 이 단부를 조작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구부러지는 단부는 전극 하우징의 단부를 약화 처리(weakening)함으로써 구현되며, 이 약화 처리된 하우징의 단부에 연결된 당김 줄(pul1 string)이나 와이어가 한쪽 단부에 자리하고 반대편 단부에는 집도의가 이 줄이나 와이어를 조작함으로써 하우징의 구부러지는 단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함께 제안된다. 이 기능으로 인해 집도의는 활성화된 전극 단부를 탈출 추간판 내의 최적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환부를 제거하고 수술 중 조직을 축소시키기 위해 적절한 열을 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for MIS use consists of a flexible tip that is controllable by the gynecologist so that the gynecologist can manipulate this end as desired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nt end is realized by weakening the end of the electrode housing, with a pul1 string or wire connected at one end of the weakened housing to one end and at the other end of the conduit. A mechanism is also proposed which allows the bending end of the housing to be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by manipulating this string or wire. This function allows the surgeon to move the activated electrode end to an optimal position in the escape intervertebral disc to apply unnecessary heat to remove unnecessary lesions and to shrink tissue during surgery.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단극 전극과 양극 전극이 조합되어 MIS 사용에 적용되는 다목적 전극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는, 전극들은 쉽게 교체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핸드피스에는 세 개의 구역으로 절연되는 긴 튜브가 제공되며, 그 중 두 개는 양극 전극의 두 개의 와이어 중 하나를 수납하고 나머지 하나는 단극 전극의 와이어 수용을 담당한다. 캐뉼러에서 핸드피스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집도의가 필요에 따라 양극 또는 단극 전극을 성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양극이나 단극 전극을 선택적으로 연장시켜 작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Howev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purpose electrode system in which a monopolar electrode and a bipolar electrode are combined to be applied to MIS use. Preferably, the electrodes are easily replaceab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andpiece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tube insulated into three zones, two of which receive one of the two wir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other responsible for receiving the wire of the monopolar electrode. A method is provided for selectively extending a positive electrode or a monopolar electrode to operate the bipolar or monopolar electrode as needed without the removal of the handpiece from the cannula.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 MIS용으로 적용되는 다목적 전극 시스템의 교체 가능 요소의 하나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가위가 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e of the replaceable elements of the multipurpose electrode system applied for MIS can be an electric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scissors.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성능 개선을 위해 유연하게 처리된 하우징 단부의 변경 및 특정 시술을 위한 전극 팁(tip)의 변경이 포함된다.Still other preferred embodiments include changing the housing end flexibly treated to improve performance and changing the electrode tip for a particular procedure.

본 발명의 구성은, 추간판 탈출증의 MIS에서 중요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극의 위치를 제어하고 열의 발생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 다른 MIS 과정에도 중요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과정에는 일반적으로 조직의 건조, 축소, 변성이 포함되며 특히 조직의 탄력 증가나 축소를 위해 콜라겐 조직에 적용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not only to provide important advantages in MIS of disc herniation, but also to other MIS processes where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s and control the generation of heat. This process usually involves drying, shrinking, or degeneration of the tissue, and particularly applicable to collagen tissue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elasticity of the tissue.

본 발명을 특징짓는 다양한 신규성들은 이 명세서의 일부이자, 이것에 첨부된 청구항에 특별히 표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발명 적용시 장점과 그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특정한 목적들, 그리고 참고 자료가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서술을 제공하는 첨부 도면, 설명 자료와 함께 제공된다.Various novelties which characterize the invention are part of this specification and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claims appended hereto.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dvantages in the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specific objects obtainable by the use thereof, and reference materials are provided together with accompanying drawings and explanatory material which provide more preferred embodiments an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IS 절차들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이 조직의 축소나 절제 또는 출혈 부위의 응고를 위해 시술 동안 캐뉼러 내로 삽입되는 전기 수술용 전극 구성과 관련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추간판 탈출증 및 기타 조직의 축소를 위한 전기 수술 방법 역시 기술적인 측면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핸드피스는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가 양극 핸드피스이며 양극 전극의 경우 전기 수술용 전류가 두 개의 전극 팁(tip) 사이에 미세한 활성화 영역으로 제한되며, 만일 열이 발생하더라도 원하지 않은 멀리 떨어진 조직에는 그 열 발생이 미미하기 때문에 복잡한 온도 센서 및 그와 관련된 제어 회로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열 센서가 내장된 단극 전극을 사용하는 장치와 유사하다는 점을 언급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MIS procedure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further explanation is provided except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struction of an electrosurgical electrode that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during the procedure for tissue shrinkage, ablation or coagulation of the bleeding site. It is not necessary. Electrosurgical methods for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and other tissue reduction are also well known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 The new hand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polar handpiece, in which the device proposed in the invention is an electrosurgical current limited to a minute activation area between two electrode tips, which is undesirable even if heat is generated. Just to mention that distant tissue is similar to a device using a single-pole electrode with a built-in thermal sensor, except that the heat generation is minimal and no complicated temperature sensor and associated control circuitry are required. Will be enough.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MIS를 위해 설계된 전극에는 캐뉼러에 삽입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강성의 튜브 형태의 외부 하우징이 제공되며, 굽힘력이 적용되었을 때 휘어지지만 힘이 제거되었을 때 변형되기 전의 형태로 다시 튜브 형태의 하우징을 복원시키는 직선 형태의 단부, 즉 팁이 제공된다. 튜브는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적절한 유연성과 힘이 제거되었을 때에는 형태 복원 기억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다시 튜브를 직선으로 유지시키는 플라스틱의 예로는 델론(Delron), 비닐, 나일론 등이 있다. 튜브가 휘어졌을 때의 위치는 여러 가지로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휘어져야 할 단부에 예를 들면 슬롯을 배치하는 것과 같이 외부 튜브의 한쪽 측을 약하게 함으로써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튜브형 외부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해서 핸들이 제공되며 이 핸들에는 손잡이와 함께 손으로 쥐었을 때 튜브 끝을 휘게 하는 메커니즘에 연결된 트리거가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슬롯 절단으로 약하게 처리된 튜브의 측면에 당김 줄이나 와이어를 부착(슬롯 이외의 부분에 부착)함으로써 실현된다. 당김 줄이나 와이어는 튜브의 반대편 방향에 있는 트리거에 연결된다. 손잡이의 트리거를 당기면 튜브의 단부가 튜브에서 약하게 처리된 부분으로 휘게 된다. 트리거에서 다시 손을 놓으면 튜브의 복원 기억 특성 때문에 원래 직선 형태로 튜브 형태가 되돌아 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designed for MIS is provided with an outer housing in the form of a tube that is rigid enough to be inserted into the cannula, which flexes when a bending force is applied but before deformation when the force is removed. A straight end, ie a tip, is provided that restores the tubular housing back to form. The tube is made of metal such as plastic or stainless steel. Examples of plastics that keep the tubes straight by exhibiting shape-recovery memory properties when adequate flexibility and force are removed include Delron, vinyl, and nylon. The position when the tube is bent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and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weakening one side of the outer tube, for example by placing a slot at the end to be bent. In a preferred embodiment, a handle is provided to support the tubular outer housing, which is attached with a handle that is coupled to a trigger connected to a mechanism that bends the end of the tube when gripped by h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realized by attaching (attaching to parts other than slots) pull wires or wires on the side of the tube which is weakly treated by slot cutting. A pull string or wire is connected to the trigg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ube. Pulling the trigger on the handle causes the end of the tube to bend into the weakly treated portion of the tube. When you release your hand from the trigger, the tube reverts back to its original straight line because of the restoring memory characteristics of the tube.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핸드피스의 한 형태가 도면부호 10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것은 손잡이(13), 트리거(14)가 부착된 핸들(12)를 포함하며, 상단 구멍(15)를 통해 제1 튜브형 외부 부재(16)가 장착된다. 이 부재(16)는 작은 외부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MIS용 표준형 캐뉼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크기는 0.018cm ~ 0.25cm(0.07 인치 ~ 0.1 인치)이며, 길이는 2.54cm ~ 5.08cm(10 인치 ~ 20 인치)이다. 외부 튜브형 부재(16)에는, 이 튜브형 외부 부재(16)가 핸들 구멍(15)에 삽입되고 일례로 고정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에 튜브형 외부 부재(16)의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직경 확장 단부(18)(도 11 참고)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순한 장착 구조를 통해 필요시 일회용 튜브형 부재와 전극으로 조립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in FIG. 1, one form of the positive electrode handpie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at 10. It comprises a handle 13, a handle 12 to which a trigger 14 is attached, through which the first tubular outer member 16 is mounted. This member 16 has a small outer diameter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 standard cannula for MIS. Typically, sizes range from 0.018 cm to 0.25 cm (0.07 inches to 0.1 inch) and lengths range from 2.54 cm to 5.08 cm (10 inches to 20 inches). The outer tubular member 16 has a diameter that acts as a stop of the tubular outer member 16 when the tubular outer member 16 is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15 and fixed by, for example, a set screw (not shown). Preferably, an extended end 18 (see FIG. 11) is provided. This simple mounting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assemble and use disposable tubular members and electrodes as needed.

튜브형 외부 부재(16)의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내부 루멘(lumen)(예를 들어서 플라스틱 루멘)(제2 튜브형 부재)(20)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것은 가운데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된 두 구역(22, 24)를 형성하는 전기 절연 벽(21)을 포함하고 있다(도 3). 내부 튜브형 부재(20)는 고정 나사(표시되지 않음)와 같은 편리한 수단을 통해서 외부 튜브 부재(16) 내에 고정 가능한데, 이것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 대로, 양극 전극을 다른 양극 전극이나 유사하게 구성된 단극 전극으로 제2 튜브형 부재(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는 전극(20)이 구멍(15)을 통해 하우징(12)에 연결되어 외부 튜브형 부재(16)까지 연장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전기 전도성 와이어(26, 28)(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는 절연된 구역(22, 24) 중 하나를 통해 각각 연장되며, 그 결과로 벽(21)이 두 개의 전도성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게 된다(도 4). 뿐만 아니라, 분리벽(21)을 둘러싸고 있는 원형 벽(30)은 튜브 끝에서 짧은 거리만큼 제거되어(도 5), 분리벽(21)만이 앞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 돌출한 벽(21)은, 와이어(26, 28)의 돌출 단부에 용융되어 연결된 두개의 반구형 전극(30, 32) 사이의 절연체가 된다(도 6).Inside the tubular outer member 16 lies an electrically insulated inner lumen (eg plastic lumen) (second tubular member) 20, which is in the middle two electrically insulated zones 22. , An electrical insulation wall 21 forming 24 (FIG. 3). The inner tubular member 20 can be secured within the outer tube member 16 via a convenient means such as a fastening screw (not shown), which is configured similarly to other anode electrodes or other anode electrodes,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second tubular member 20 with a unipolar electrode. 1 illustrates this property by showing that the electrode 2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2 through a hole 15 and extends to the outer tubular member 16. Electrically conductive wires 26, 28 (eg made of stainless steel) extend through one of the insulated zones 22, 24, respectively, with the result that the wall 21 electrically isolates the two conductive wires. (FIG. 4). In addition, the circular wall 30 surrounding the dividing wall 21 is removed by a short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tube (FIG. 5), so that only the dividing wall 21 protrudes forward. This protruding wall 21 becomes an insulator between two hemispherical electrodes 30 and 32 which are fused and connected to the protruding ends of the wires 26 and 28 (FIG. 6).

도 4는 반구형 전극이 추가되기 전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반구형 전극(30, 32)을 와이어 단부에 부착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먼저 앞으로 당겨진 전극 와이어(26, 28)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와이어들을 후퇴시켜서 반구형 전극을 다시 작동 위치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구형 전극(30, 32)은 중앙 벽 절연체(21)에 의해 전체 길이(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충분히 이격된다.FIG. 4 shows the distal end of the assembly before the hemispherical electrode is added, and FIG. 6 shows the electrode wires 26 and 28 first pulled forward to make room for attaching the hemispherical electrodes 30 and 32 to the wire ends. It is shown. As can also be seen in FIG. 7, by retracting the wires so that the hemispherical electrodes are placed back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spherical electrodes 30, 32 are sufficiently over the entire length (length of the assembly) by the central wall insulator 21. Spaced apart.

튜브형 외부 부재(16)는 외부 벽(30)을 관통하는 일련의 이격 슬롯(34)들을 절단함으로써, 튜브형 부재(16)의 원위 단부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약화되게 처리된다. 당김 와이어(36)는 내부 튜브형 부재(20)의 아래쪽 외측을 따라서, 즉 슬롯(34)과 동일한 쪽에 외부 튜브형 부재(16)를 통해 뻗어 있고, 외부 튜브형 부재가 플라스틱일 경우에는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융접에 의하여, 또는 금속일 경우에는 용접에 의하여 외부 벽(30)에 고정된다(도 4의 도면부호 38). 어셈블리에서 당김 와이어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슬롯(34)의 앞쪽에 구멍(35)을 생성한다. 당김 와이어(36)의 반대쪽 단부는 트리거(14)에 부착된다(도 1). 외부 튜브형 부재(16)는 손잡이(23) 내의 고정적인 위치로 유지되며 손잡이(13) 역시 동일하게 핸들(12)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핸들(12)에 회전축이 고정되는 트리거(14)를 당기면, 도 2에서처럼, 연결된 당김 와이어(36)는 외부 튜브형 부재의 원위 단부에 장력을 가하게 되어, 도면부호 44에 제시된 것처럼 다른 편 단부가 약화 처리된 부분(34) 근처에서 아래쪽으로 휘게 된다. 트리거를 다시 놓으면 외부 튜브형 부재(16)의 복원 특성으로 인해서 도 1에서처럼 원래 직선 위치로 돌아온다. 만일 필요하다면 이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해서 복원 스프링(46)을 트리거(14)에 추가할 수도 있다.The tubular outer member 16 is treated to weaken at a position spaced a short distance from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member 16 by cutting a series of spaced slots 34 through the outer wall 30. The pull wire 36 extends through the outer tubular member 16 along the bottom outside of the inner tubular member 20, ie on the same side as the slot 34, and uses an adhesive or welds when the outer tubular member is plastic. Is fixed to the outer wall 30 by means of welding, or in the case of metal, by means of welding 38. A hole 35 is created in front of the slot 34 to be connected to the pull wire in the assembly. The opposite end of the pull wire 36 is attached to the trigger 14 (FIG. 1). The outer tubular member 16 is held in a fixed position within the handle 23 and the handle 13 is likewise held fixed relative to the handle 12. Thus, by pulling the trigger 14 at which the axis of rotation is fixed to the handle 12, as in FIG. 2, the connected pull wire 36 exerts a tension on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ular member, so that the other end as shown at 44. It is bent downward near the weakened portion 34. When the trigger is released, the return characteristic of the outer tubular member 16 returns to its original straight position as in FIG. 1. If necessary, a restoring spring 46 may be added to the trigger 14 to assist in this movement.

실제 양극 전극은 내부 튜브형 부재(20)와 이 유연한 팁의 단부에 위치한 절연 반구형 전극(30, 32)이 조합되어서 구성된다. 와이어(26, 28) 각각의 기단부 근처에는 표준 양극 커넥터(42)가 연결된다(도 1). 도면부호 48(도 11)에 설명된 것처럼, 일반적인 전기 수술 유닛의 앞면 패널의 동종 커넥터에 전술한 표준 커넥터가 연결되고, 이 유닛이 활성화되면 와이어(26, 28)를 통해서 양극 전기 수술 전류가 구형 팁(30, 32)을 통해 흐르게 되며, 단열 벽 격리체(21)의 단부 주위의 구형 전극(30, 32)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 수술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탈출 추간판의 축소를 위해서는 구형 전극이 바람직하지만, 방전을 전극의 단부의 최인접부로 제한하는 양극 장치에서는, 직선 와이어, 바늘형, 고리형, 루프(loop)형의 여러 형태의 전극을 구형 전극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성 중 하나로서 내부 튜브형 부재(20)(도 1 참고)를 다른 튜브형 부재(16)로부터 인출하고 다른 전극 구성이 적용된 다른 내부 튜브형 부재(20)를 이 자리에 밀어 넣음으로써 이중 튜브형 부재 어셈블리를 적용하고 이러한 방식을 통해 다른 전극 단부를 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환자의 신체를 통해 외부 튜브 부재(16)를 연장시키기 전 또는 캐뉼러가 환자 신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중 루멘 구조에서의 양극 어셈블리를 단일 하우징을 가진 하나의 루멘 내에서의 단극 전극으로 교체 가능하며, 이 경우 앞서 말한 여러 전극 형태와 함께 단극 전극 단부는 내부 튜브 부재(20')의 단부에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중앙 절연부의 존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도 9에 설명되어 있다. 전극 교체를 할 경우 집도의는 내부 튜브 부재를 끌어 당겨서 제거한 후에 다른 전극을 가진 내부 튜브 부재로 교체함으로써 수술 중에 이미 수술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외부 튜브 부재와 함께 손잡이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양한 전기 수술용 전류 주파수들을 적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주파수 범위는 1.5MHz ~ 4MHz이다.The actual anode electrode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e inner tubular member 20 and the insulating hemispherical electrodes 30, 32 located at the ends of this flexible tip. Near the proximal end of each of the wires 26, 28 a standard positive connector 42 is connected (FIG. 1). As described at 48 (FIG. 11), the aforementioned standard connector is connected to a homogeneous connector on the front panel of a typical electrosurgical unit, and when this unit is activated, the bipolar electrosurgical current is spherical through the wires 26 and 28. An electrosurgical discharge is generated which flows through the tips 30 and 32 and is formed between the spherical electrodes 30 and 32 around the ends of the insulating wall insulator 21. Although a spherical electrode is preferred for the reduction of the escape intervertebral disc, in a bipolar device that restricts the discharge to the closest portion of the end of the electrode, various types of electrodes of straight wire, needle, ring, and loop type can be replaced with the spherical electrode. Can be used. Also,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tubular member is drawn by pulling the inner tubular member 20 (see FIG. 1) out of the other tubular member 16 and pushing the other inner tubular member 20 to which another electrode configuration is applied. By applying the member assembly and in this way other electrode ends can be easily applied. This property is applicable before extending the outer tube member 16 through the patient's body or while the cannula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anode assembly in a dual lumen structure with a monopole electrode in one lumen with a single housing, in which case the monopole electrode end is forward from the end of the inner tube member 20 'with the various electrode shapes mentioned above. It protrudes to eliminate the need for the presence of the central insulation. This property is described in FIG. 9. In the case of electrode replacement, the surgeon pulls out and removes the inner tube member and then replaces it with an inner tube member having another electrod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replace the handle with the outer tube member that is already securely fixed in the surgical position during surgery. Various electrosurgical current frequencies may be applied but the preferred frequency range is 1.5 MHz to 4 MHz.

도 8과 도 10은 다른 활성화된 전극 구성의 예이다. 도 10에서는 양극 고리형 어셈블리(50)를 보여 주고 있으며 이것은 쉽게 단극으로 활용 가능하다. 도 8에서는 단극 루프(loop) 어셈블리(52)가 제시되었고 도 9에서는 단극 바늘형(54), 즉, 뾰쪽한 전극 어셈블리를 제시하고 있다.8 and 10 are examples of other activated electrode configurations. 10 shows a bipolar ring assembly 50, which can be easily used as a single pole. 8 shows a unipolar loop assembly 52 and FIG. 9 shows a unipolar needle 54, ie a pointed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장점들 중 한 가지는 다양한 전극을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는 수술 작업 중에 집도의가 이러한 전극에 대한 제어와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올바른 수술을 집도하기 위해서 캐뉼러 내에서 전극이 올바른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활성화 수술 영역 내에 전극 단부의 움직임에 대한 제어와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집도의가 실제로 유연한 팁을 구부려야 하는 정도는 절개 또는 축소할 디스크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유연한 팁을 채택함으로써 집도의는 전기 수술용 유니트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전에 보다 용이하게 최적화된 전극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측(도 12)에서부터 캐뉼러(50)가 삽입되기 때문에 긴 노즐(16)이 필요하며 집도의가 뷰어를 통해서 캐뉼러의 위치를 관찰하는 동안 캐뉼러(56)의 위치가 결정된다. 캐뉼러의 위치가 올바로 지정되고 나면 유연한 단부(44)가 캐뉼러의 단부의 바깥쪽에 위치할 때까지 전극(16)이 캐뉼러(56)을 통해서 삽입되며 그 후에는 앞뒤로 이동하고 전극 팁(44)을 구부림으로써 디스크의 수술 부위 내의 올바른 위치에 자리 잡도록 한다. 커넥터(42)는 전기 수술 메인프레임(48)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극 작동 단부에 공급되는 전기 수술용 에너지는 메인프레임의 제어와 일반적인 풋 스위치(foot switch)를 이용해서 결정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집도의는 앞서 참고로 제시된 특허 문헌에서처럼 캐뉼러나 손잡이에 장착 가능한 손가락 스위치 활성화 장치를 이용해서 전기 수술용 에너지를 손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선호한다.One of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surgeon to gain control and flexibility over these electrodes during the surgical operation where the various electrodes need to be replaced, while at the same time the electrodes are positioned correctly in the cannula to guide the correct surgery. Maintaining at the position allows the control and flexibility of movement of the electrode end within the active surgical area. The degree to which the practitioner actually bends the flexible tip is determined by its position relative to the area of the disc to be cut or reduced. By adopting a flexible tip, the surgeon can more easily find optimized electrode positions before energizing the electrosurgical unit. Since the cannula 50 is generally inserted from the patient side (FIG. 12), a long nozzle 16 is required and the position of the cannula 56 is determined while the physician observes the position of the cannula through the viewer. Once the cannula is correctly positioned, the electrode 16 is inserted through the cannula 56 until the flexible end 44 is positioned outside of the end of the cannula, after which it moves back and forth and the electrode tip 44 Bend to ensure proper positioning within the surgical area of the disc. The connector 42 can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electrosurgical mainframe 48, so the electrosurgical energy supplied to the electrode operating end is determined using the control of the mainframe and a common foot switch. However, most surgeons prefer a method of manually controlling electrosurgical energy using finger switch activation devices that can be mounted on cannula or handles, as in the patent literature cited above.

도 1에서는 내부 부재(20)가 교체될 수 있는 핸드피스(10)의 다른 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손잡이에 연결되고 내부 및 외부 튜브 부재 사이의 틈새 공간(58)(도 3)에도 연결되는 흡입(석션) 튜브(56)이 또한 제공된다. 흡입이 흡입 튜브(56)의 단부에 제공되는 경우는, 수술 부위에서 외부 튜브 부재(16)의 원위 단부로 전달되며 따라서 수술 부위를 냉각하는 효과와 동시에 집도의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 연기나 증기를 배출한다. 도 2와 도 11의 변형예(10')에는 고정형 내부 튜브 부재(20)를 포함하고 있으며 흡입 기능이 제외되었다.1 shows another example of a handpiece 10 in which the inner member 20 can be replaced, which is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lso to the clearance space 58 (FIG. 3) between the inner and outer tube members. A suction (suction) tube 56 is also provided. If suctio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ction tube 56, smoke or vapor is transferred from the surgical site to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member 16 and thus obstructs the field of view of the house as well as cooling the surgical site. To discharge. Modifications 10 'of FIGS. 2 and 11 include a fixed inner tube member 20 and exclude the suction function.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의 부재들은 금속이나 델린(Delrin)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가압 멸균이 가능하며, 이 장치는 저가의 플라스틱으로 낮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활용 가능하다.Members of electrosurgical handpieces can be autoclaved if they are made of metal or plastic, such as Delrin, and the device is disposable because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low cost with low cost plastics.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피스는 일반적으로 조직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다: 콜라겐 축소, 조직 축소와 변성, 클라겐 수축을 위한 열유도 무선 주파치료. 콜라겐 섬유의 변성으로 인해 캡슐형 조직이 상당히 축소된 것을 치료하고 생성하는 경우. 무선 고주파 파장에 노출된 이후 콜라겐 섬유의 축소 및 재모델 처리가 필요한 경우. 또 다른 사례로는 어깨 탈구 및 추간판 디스크 처리에서처럼 캡슐화된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콜라겐 축소가 필요한 경우를 들 수 있다.The handpie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useful for tissue treatment, and is particularly useful in the following situations: heat-induced radiofrequency therapy for collagen reduction, tissue reduction and degeneration, and clagen contraction. Treatment and production of enlarging encapsulated tissue due to degeneration of collagen fibers. Reduction and remodeling of collagen fibers after exposure to radio frequency waves. Another example is when collagen reduction is needed to promote encapsulated stability, such as in shoulder dislocation and intervertebral disc treatment.

도 13 ~ 도 19에서는 양극 전극과 단극 전극 모두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를 보여주는데, 집도의가 선택적으로 양극 또는 단극 전극을 선택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추가 특성을 가진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추가 기능으로서, 사전에 구부러져 있는(pre-bent) 단부와 같이 미리 구성된 단부의 전극이 포함되어 있어, 보통은 상대적으로 강성인 외부 튜브 내측에 배치되지만 외부 튜브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미 구부러져 있는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한 가지 형태는 핸들(60)을 포함하는데, 이것에 핸드 그립이 부착되어 전방 부분(62)이 핸들(60)에 부착되고 슬라이드식 강성 부재(66)에 고정된 후방 부분(64)이 상측 부분(68)과 하측 부분(70)을 포함한다.13 to 19 show a varia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ing both a positive electrode and a monopolar electrode, with the additional characteristic of allowing the collector to selectively select and activate the positive or single electrode. In addition, the method includes additional electrodes of preconfigured ends, such as pre-bent ends, which are usually placed inside a relatively rigid outer tube but are already moved out of the outer tube. The bent position is taken. One form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handle 60, to which a hand grip is attached so that the front portion 62 is attached to the handle 60 and the rear portion 64 fixed to the slidable rigid member 66. The upper portion 68 and the lower portion 70 are included.

상측 부분(68)은 비교적 강성의 내부 튜브(72)에 연결되고, 이 내부 튜브는 손잡이(60)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 7에 도시된 형태의 이중 루멘(74)에 연결되며, 손잡이를 잡았을 때에, 이 내부 튜브는 비교적 강성의 내부 제1 전기 절연 플라스틱 튜브(74)의 이중 구역(82, 84)를 통해 연장된 와이어(78, 80)(도 7에서와 같이 반구형일 수도 있는 양극 전극(80)의 와이어)와 함께 이중 루멘(74)을 앞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The upper portion 68 is connected to a relatively rigid inner tube 72, which is slidably mounted within the handle 60 and connected to a double lumen 74 of the type shown in FIG. 7. When the inner tube is held, the inner tube may be hemispherical as shown in FIG. 7 (78, 80) of wire 78, 80 extending through the double zones 82, 84 of the relatively rigid inner first electrically insulating plastic tube 74. Together with the wire of the electrode 80, it functions to push the double lumen 74 forward.

플라스틱 튜브(74)는 강성 외부 튜브(75)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튜브(74) 아래에는, 와이어(81)를 수납하는 전기 절연 튜브(79)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하는 강성 제2 튜브(77)가 위치하고, 와이어(81)는 그 단부가 단극 전극(88)에 연결된다. 도 15에서는 두 개의 나란한 전기 절연 튜브(74, 79)만을 외부 하우징(75, 77) 없이 보여 주고 있다.The plastic tube 74 is slidably mounted in the rigid outer tube 75. Below the tube 74 is a rigid second tube 77 slidably housing the electrically insulated tube 79 containing the wire 81. The end of the wire 81 is connected to the monopolar electrode 88. Connected. In FIG. 15 only two side by side electrically insulating tubes 74, 79 are shown without outer housing 75, 77.

일반적으로 양극 전극과 단극 전극 모두는 도 13과 도 14에서처럼 수축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손잡이를 쥐었을 때 부재(72)가 작동 단부로 밀려 나가서 여기에 연결된 이중 루멘(74)과 양극 전극(80)이 함께 연결된 양극 와이어가 도 16 및 도 17에서처럼 하우징(74)을 벗어나 앞쪽으로 나가게 된다.In general, both the anode electrode and the unipolar electrode are in the contracted position as shown in FIGS. 13 and 14. When the handle is grasped, the member 72 is pushed out to the working end so that the double lumen 74 connected to it and the positive wire connec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80 together exit out of the housing 74 as shown in FIGS. 16 and 17. do.

그 다음 집도의는 터미널(91)을 통해서 전기 수술 유니트를 활성화해서 양극 전기 수술용 전류를 양극 전극의 단부(80)에 공급한다. 손잡이를 놓으면 손잡이의 스프링 장력에 의해서 또는 필요한 경우 여분의 스프링(제시하지 않음)을 이용해서 튜브(74)가 도 13과 도 14에서 제시한 위치로 다시 돌아오도록 한다. 단극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집도의는 슬라이드가 단일 튜브(79)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70)의 측면 슬라이드(90)을 눌러서 수축 위치(도 14)에서 도 18와 도 19의 연장 위치로 전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극 전극(88)이 앞으로 돌출한다. 그 이후에 집도의는 단극 전극 단부(88)에 단극 전기 수술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92)를 통해 전기 수술 유닛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극의 두 가지 동작은 서로 구분되기 때문에 집도의는 선택적으로 어떤 전극을 수술 중에 사용할 것인지 택할 수 있다. 집도의가 슬라이드(90)을 다시 해제하면 스프링(제시되지 않음)이 단일 튜브(79)를 외부 튜브(77) 내로 수축되도록 한다.The surgeon then activates the electrosurgical unit via terminal 91 to supply a bipolar electrosurgical current to the end 80 of the bipolar electrode. When the handle is released, the tube 74 is return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S. 13 and 14 by the spring tension of the handle or, if necessary, with an extra spring (not shown). If it is desirable to use a monopolar electrode, the collector may press the side slide 90 of the tube 70 with the slide connected to the single tube 79 to move it from the retracted position (FIG. 14) to the extended position of FIGS. 18 and 19. You can move forward. In this way, the monopole electrode 88 protrudes forward. Thereafter, the surgeon may activate the electrosurgical unit via wire 92 to supply unipolar electrosurgical current to the unipolar electrode end 88. Since the two operations of the electrodes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the surgeon may optionally choose which electrode to use during the surgery. When the glyph releases the slide 90 again, a spring (not shown) causes the single tube 79 to retract into the outer tube 77.

가급적이면, 해당되는 양극/단극 튜브의 최소한 한쪽 단부(가능하다면 양쪽 다)는 사전에 휘어진 상태로 제작했다가 수축 상태의 외부 튜브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될 때 사전 굽힘 형상을 기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 굽힘 형상의 유지를 위하여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도 있고, 템퍼링 등에 의해 열처리된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에 대한 기술은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물질들은 이러한 기술에 대해 분명한 특성을 제공할 것이다. 만일 금속이 내부 튜브에 적용된다면 전극 와이어들은 적절하게 서로 절연 처리되어야 하거나 튜브에 절연층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전극이 사전에 굽힘 성형되어 일정한 형태로 제작된 이 실시예에서는 휘는 방향을 직선으로 하거나 각도를 적용하는 등,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집도의가 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은 연장되는 길이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 중 하나는 한 쪽 방향으로 휘어진 전극, 다른 방향으로 휘어진 전극, 직선형 전극 등 다양한 배향의 단부를 구비하는 양극 및 단극 전극들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도 17은 왼쪽으로 단부가 휘어진 전극을 보여 주고 있으며 도 19에서는 직선형 전극을 보여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극 유형에는 직선뿐만 아니라 사방으로 미리 방향이 휘어지도록 제작된 양극이나 단극 전극이 포함될 수 있으며 두 가지 모두 동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새 전극(74, 79)이 필요에 따라 수술 도중에 쉽게 적절한 튜브형 하우징의 손잡이에 삽입될 수 있다. 양극 전극을 이용할 경우 교체 전극은 튜브(68)을 따라서 연장되며 튜브(68)가 손잡이(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전체 튜브(72) 역시 그에 따라서 이동한다. 한 예로서 단극 전극의 경우, 측면에 이 슬라이드를 따라 튜브(77)를 교체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적절한 기어나 다른 수단이 장착된 슬라이드(90) 랙(rack)(도 13에서 측면 슬롯을 따라 제시)이 적용된다. 이 전극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며 따라서 일회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또한 가장 가격이 높은 손잡이도 재활용 가능하다. 교체 가능한 전극을 연장, 수축시킬 수 있는 다른 손잡이 구조도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Preferably, at least one end (or both, if possible) of the corresponding anode / unipolar tube is constructed of a material that is pre-curved and that can remember the pre-bending shape as it extends outward from the retracted outer tube. It is preferable. Plastic may be used for maintaining the pre-bending shape, or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heat-treated by tempering or the like may be used. Techniques for such materials are very well known and suitable materials will provide clear characteristics for these techniques. If metal is applied to the inner tube, the electrode wires should be insulated appropriately from each other or an insulating layer should be applied to the tube. In this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ode is bent in advance and manufactured in a constant shap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such as making the bending direction straight or applying an angle. The only thing that the surgeon can control is that the length of the extension can only be adjuste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node and unipolar electrodes are provided having ends of various orientations, such as electrodes bent in one direction, electrodes bent in another direction, straight electrodes. FIG. 17 shows an electrode with an end bent to the left and a straight electrode in FIG. 19. In general, such an electrode type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or a monopolar electrode which is not only straight but also bent in all directions in advance, or both may be included at the same time. In the embodiment of FIG. 1, new electrodes 74, 79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andle of a suitable tubular housing during surgery as needed. When using the anode electrode the replacement electrode extends along the tube 68 and the entire tube 72 also moves accordingly when the tube 68 moves relative to the handle 62.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a monopolar electrode, a slide 90 rack (shown along the side slots in FIG. 13) with the appropriate gear or other means moving on the side to replace the tube 77 along this slide. This applies. These electrodes can be manufactured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are therefore disposable. The most expensive handles are also recyclable. Other handle constructions that can extend and contract replaceable electrodes are also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양극 또는 단극 하우징을 위한 교체 부재의 발명에 따라 다른 예가 도 20에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새로운 구조에서는 필요할 경우 단극 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만 제외하면 도 13과 동일하다. 도 20에서는 작동 단부만 제시되었는데, 그것은 이 방식에서는 가위(94)로 건(gun)의 단부에서 튜브(72)에 연결되었으며 반대쪽 단부는 회전축(95)에 연결된 휘어진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의 가위 부재(96)를 포함한다. 이미 언급된 대로 가위 부재(96)는 튜브(75)에서 확장되어 나가면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사전에 구현된다. 손잡이(62, 64)(도 13)는 스프링이 적용되어서 집도의가 손잡이를 쥠으로써 가위 부재(96)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의 작용으로 가위 부재가 다시 원 상태로 돌아오며, 튜브(75)의 벽으로 인한 움직임의 제한은 가위의 단부가 위치한 주위의 신체 조직에 가위를 정상적으로 작용하여 절단 작용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중 루멘(74)는 필요하다면 양극 전류를 가위의 단부에 적용하며 이 경우 회전축(95)은 예들 들면 와셔와 같은 부재를 이용해서 양쪽 가위 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해야 한다. 또한 가위(94)는 단극 전극 전류를 가위 부재(96)에 적용하기 위해서 단극 튜브(77)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위(94)에 터미널(단자)을 연결하지 않고 전기 수술용 전류를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 데 이 경우 가위(94)는 기계적인 작용만을 이용해서 수술에 적용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위(94)는 자체적인 튜브형 하우징(74)을 가지고 있으며 수술 중에 모든 튜브 구조체들이 캐뉼러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양극 또는 단극 전극을 교체하기 위해서 도 13의 건(gun)에 삽입할 수 있다. 가위 단부는 도 13의 실시예대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필요할 때 다른 방향을 가지는 가위로 교체될 수 있도록 전진 시에 특정한 방향을 택하도록 한다. 또는 필요하다면 도 1의 실시예대로 구조의 반대쪽 단부를 휘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해서 장착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사용 가능한 다른 기계 또는 전기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nother example is shown in FIG. 20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of a replacement member for a positive or monopolar housing. In this case, the new structure is the same as FIG. 13 except that the monopole structure can be omitted if necessary. Only the working end is shown in FIG. 20, which in this way is a sheared member 96 of curved stainless steel material, which is connected to the tube 72 at the end of the gun with scissors 94 and the opposite end to the axis of rotation 95. ). As already mentioned, the scissors member 96 is pre-implemented to move to the open position as it extends out of the tube 75. The handles 62 and 64 (FIG. 13) are structured so that springs can be applied to advance the scissors member 96 by releasing the handle. When the handle is released, the scissors memb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action of the spring, and the restriction of the movement due to the wall of the tube 75 causes the scissors to normally operate on the body tissue around the end of the scissors so that the cutting action occurs. . The double lumen 74 applies a bipolar current to the ends of the scissors if necessary, in which case the rotating shaft 95 must electrically insulate both scissors parts using a member such as a washer, for example. In addition, the scissors 94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mount the single-pole tube 77 to apply the unipolar electrode current to the scissors member 96.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not apply a current for electrosurgical operation without connecting a terminal (terminal) to the scissors 94. In this case, the scissors 94 may be applied to surgery using only a mechanical action. As mentioned earlier, the scissors 94 have their own tubular housing 74 and are inserted into the gun of FIG. 13 to replace the positive or monopolar electrodes with all tube structures positioned in the cannula during surgery. can do. The shear end is preferably embod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3 and thereby allows a specific direction to be taken when advancing so that it can be replaced with scissors having a different direction when necessary. Alternatively, if necessary, it may be mounted by adopting a method of bending the opposite end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other mechanical or electrical structures available.

도 21 ~ 도 24에서는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피스에 사용할 두 개의 추가적인 양극 전극을 설명한다. 이 두 개의 새로운 양극 전극은 출혈 부위의 지혈 또는 소작 치료를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전극의 단부는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갈퀴 형태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두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이 두 개의 부재는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지만 환자의 특정한 혈관을 감싸 안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며 나란하게 자리잡게 된다. 이 두 개의 부재 사이에서 바람직한 거리는 약 2mm이다. 이렇게 배치된 갈퀴는 튜브형 하우징의 유연한 단부에 돌출되며 집도의가 튜브형 하우징을 이동시키고, 그것의 단부를 구부림으로써 지혈을 할 혈관 주위를 감싸거나 측면에 위치시키게 된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는, 갈퀴의 단부가 직선 형태이고 구부리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평면에 놓여 있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는 갈퀴의 한쪽 단부가 직선형이며 다른 쪽은 갈고리 형태로 구부린 평면에 나란히 연장되어 위치하고 있는 형태를 채택한다. 또한 이 두 가지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대로 교체 가능한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절개 수술을 위해서 양극 또는 단극 전극을 먼저 사용한 다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극들 중 하나로 교체해서 절개 수술 중 절단된 혈관을 지혈할 수 있다.21 to 24 illustrate two additional anode electrodes to be used in the handpie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wo new anode electrodes are configured for hemostasis or cauterization treatment of the bleeding site. For this purpose, the ends of the electrodes consist of two electrically insulated members in the form of rakes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ich are located close together but provide enough space to enclose a particular vessel of the patient. It is placed side by side. The preferred distance between these two members is about 2 mm. The rakes thus arranged protrude at the flexible end of the tubular housing and the guiding member moves the tubular housing and bends its end so that it is wrapped around the side of the blood vessel to be bleeding or positioned laterally. In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ends of the rake are straight and exten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bending plane. In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ne end of the rake is straight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extending parallel to the bent plane. Also, in these two embodiments, replaceable electrodes can be used as described above. Thus, for example, a bipolar or monopolar electrode may be first used for incision surgery, and then replaced with one of the electrode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bleeding blood vessels cut during the incision operation.

이 때에도 건(gun)의 구성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양극 전극 단부의 구성만 유일하게 변경된다. 단부에 이격된 슬롯(112)들을 형성함으로써 약화 처리한 튜브형 하우징(100)(도 21)의 절연된 격리부(표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두 개의 와이어(표시되지 않음)가 통과한다. 제3 와이어(표시되지 않음)는 집도의가 당겼을 때 도 22에서처럼 하우징의 단부가 휘어지도록 하우징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 두 개의 와이어는 양극 전기 수술용 전류를 적용하기 위해 서로 절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는 튜브형 하우징(10)에 대해서도 절연되어 있다. 특히 튜브형 하우징(10)에 대한 절연은 유연한 플라스틱 튜브(14)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두 개의 와이어는 나란히 플라스틱 튜브(114)의 단부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금속제 갈퀴(116)에 연결된다. 이 갈퀴의 단부는, 도면부호 118에서 제시한 대로, 혈관 양쪽 방향을 둘러쌀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거리에서 서로 나란히 위치한다. 이 거리(118)는 약 2mm 정도가 적당하다. 집도의는 유연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전극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2는 유연한 단부(팁)(117)가 휘어졌을 때 갈퀴의 가능한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22에서 수직방향으로 표시된 구부린 평면이 두 개의 갈퀴(116)가 차지하는(도 21에 수평방향으로 제시) 평면과 대략적으로 수직을 이루게 된다.Even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gun remains the same.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anode electrode end is changed only. Two electrically insulated wires (not shown) pass through the insulated isolation (not shown) of the weakened tubular housing 100 (FIG. 21) by forming spaced slots 112 at the ends. . A third wir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ousing such that the end of the housing bends as shown in FIG. 22 when the zip puller pulls. These two wires are not only insulated from each other to apply a bipolar electrosurgical current, but also to the tubular housing 10, which may be made of metal. In particular, the insulation on the tubular housing 10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lexible plastic tube 14. The two wires are connected to a pair of metal rakes 116 protruding from the ends of the plastic tube 114 side by side. The ends of the rakes are placed next to each other at a distance sufficient to encircle both directions of blood vessels, as indicated at 118. This distance 118 is preferably about 2 mm. The collector can manipulate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by pulling the flexible wire. FIG. 22 shows the possible positions of the rake when the flexible end (tip) 117 is bent. In this embodiment, the curved plane indi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22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ccupied by the two rakes 116 (shown horizontally in FIG. 21).

도 23와 도 24에서 제시된 변형예에서는 갈퀴의 단부가 수직면으로 위치하며 전극 단부(117)가 휘어지면 도 24에서 수직 방향으로 제시된 구부린 평면이 도 23에서 수직 방향으로 제시된 평면의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갈퀴의 단부는 구부린 수준에 따라서 다양한 평면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방향은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도 23에서 제시한 변형예에서는 돌출하는 갈퀴(122)가 짧고 다른 돌출 갈퀴(124)는 길게 구성되며 단부(126)는 짧은 돌출 갈퀴(122) 쪽을 향해 뒤로 휘어져 있다. 이 갈고리 형태는 지혈이 필요한 혈관을 잡아서 감싸야 하는 특정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the variant shown in FIGS. 23 and 24, the end of the rake is located in the vertical plane, and when the electrode end 117 is bent, the bent plane sh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24 become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plane sh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 The ends of the rakes are thus positioned in various planes depending on the level of bending. Therefore, direction is not an important factor. In the variant shown in FIG. 23, the protruding rake 122 is short, the other protruding rake 124 is elongated and the end 126 is bent back toward the short protruding rake 122. This type of hook can be useful in certain situations when you need to catch and wrap a blood vessel that requires hemostasis.

집도의가 갈퀴의 단부를 혈관 주위에 위치시킨 후에 일반적인 방식대로 갈퀴의 양끝에 양극 방전을 일으키는 전기 수술용 장치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앞의 응용 방식에 대한 설명을 따라, 다른 유용한 기계 또는 전기 구조물들이 관련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제안 가능할 것이다. 이전 실시예처럼, 절연 튜브(14)는 갈퀴 측면이 환자의 조직에 의도하지 않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서 양극 전하의 방전이 두 개의 갈퀴 단부 사이로 한정되도록 한다.After placing the end of the rake around the blood vessel, the gynecologist activates an electrosurgical device that causes bipolar discharge at both ends of the rake in the usual manner. Following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application, other useful mechanical or electrical structures may be propos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insulating tube 14 prevents the rake side from inadvertently contacting the patient's tissue such that the discharge of the positive charge is confined between the two rake ends.

이전 실시예에서는, 핸드피스의 단부에 일정한 공간을 따라 생성한 슬롯을 적용함으로써 핸드피스의 단부가 구부러지도록 하며, 핸드피스의 단부에 장착된 당김 줄을 집도의가 당겼을 때 단부가 슬롯 쪽으로 휘어지도록 한다. 도 25 ~ 도 29에서는 핸드피스 단부의 구조에서 핸드피스 단부를 보다 쉽게 휠 수 있도록 하거나 핸드피스 단부를 보다 정밀하게 휘거나 위치를 잡는 보다 바람직한 구성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는, 슬롯이 열린 쪽이 닫힌 쪽 보다 더 넓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는, 슬롯이 핸드피스 쪽으로 접근함에 따라 깊이가 달라지는 구조가 채택되었다.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서는, 슬롯들이 핸드피스의 나선형 단부로 교체되었다.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서는, 슬롯들이 스프링으로 교체되었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end of the handpiece is bent by applying a slot created along a predetermined space at the end of the handpiece, and the end of the handpiece is bent toward the slot when the pulling line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handpiece. do. 25-29 provide a more preferred configuration to make it easier to bend the end of the handpiece in the construction of the handpiece end or to bend or position the handpiece end more precisely. 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open side of the slot has a structure formed wider than the closed side. In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 structure is adopted in which the depth varies as the slot approaches the handpiece. In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the slots have been replaced with the helical end of the handpiece. In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the slots have been replaced with springs.

이전의 실시예에서처럼, 양극 핸드피스에 대해서는, 튜브형 하우징(218)의 절연 처리된 격리부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두 개의 와이어(210, 212)가 지나가고 있는데, 그 단부(219)가 일정하게 위치한 슬롯(220)에 의해 약화 처리되어 잘 구부러지게 된다. 제3 와이어(222)는 건(gun) 유형의 하우징(226)의 움직이는 트리거(224)에 연결되는데 이것은 고정 손잡이(228)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와이어(210, 212)는 양극 전기 수술용 전류를 적용하기 위해 서로 절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 튜브형 하우징(218)으로부터도 절연되어 있다. 두 개의 와이어(210, 212)는 위에서 설명된 대로 다양한 단극 또는 양극 전극 형태에 연결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25에 도시된 대로, 구부린 정도가 건(gun)의 중앙과 슬롯(220)의 중앙으로 대략 수직면이다. 두 개의 절연 와이어(210, 212)는 건의 왼쪽에 있는 커넥터(234)에 연결된다. 왼쪽 갈퀴(표시되지 않음)에 있는 이 커넥터에는, 건을 전기 수술용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일반 양극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당김줄(222)은 구부릴 수 있는 단부의 상단(도에서처럼 위쪽으로 휘어질 경우)과 같은 부분에 용접(표시되지 않음)으로 연결된다. 용접 작업은 양극 전극 와이어가 있는 절연 튜브를 삽입하기 전에 튜브(218)의 단부에 있는 액세스 슬롯(236)을 경유하고, 구부리는 슬롯(220)을 넘어 처리된다. 집도의가 이 건(gun)을 잡고 트리거(24)를 당기면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도 25에서처럼 유연한 튜브의 단부가 휘어진다. 당김 와이어의 위치와 슬롯의 위치는 구부림의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면으로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for the anode handpiece, two electrically insulated wires 210, 212 are passed through the insulated insulators of the tubular housing 218, the ends 219 of which are constantly positioned. It is weakened by the slot 220 and bent well. The third wire 222 is connected to the moving trigger 224 of the gun type housing 226, which has a fixed handle 228. The two wires 210, 212 are not only insulated from each other to apply a bipolar electrosurgical current, but also from a tubular housing 218, which may be made of metal. The two wires 210 and 212 may be connected to various monopolar or bipolar electrode types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5, the degree of bending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gun and the center of the slot 220. Two insulated wires 210, 212 are connected to a connector 234 on the left side of the gun. This connector, on the left rake (not shown), can be connected to a common positive cable that connects the gun to the electrosurgical device. Pull string 222 is connected by welding (not shown) to a portion such as the top of the bendable end (when bowed upward as shown in the figure). The welding operation is processed via the access slot 236 at the end of the tube 218 and beyond the bent slot 220 before inserting the insulating tube with the anode electrode wire. When the glyph grasps this gun and pulls the trigger 24, the wire is pulled and the end of the flexible tube is bent as shown in FIG. The position of the pull wire and the position of the slot can be oriented in various planes to control the degree of bending.

이러한 실시예들은, 튜브형 하우징(218)의 유연한 단부(219)에 구조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 튜브형 하우징(218)은 유연성 및 수명 향상, 집도의가 사용 중에 위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보통 금속으로 제작된다. 설명된 네 가지 실시예들 중에서 튜브형 하우징의 유연한 단부만 제시되었으며 내부 요소들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되었다. 이 네 가지 실시예들에서 튜브형 하우징은 슬롯(219) 영역에서 필요할 때를 제외하고는 휘어지지 않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적당한 금속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포함되며 적절한 튜브의 벽 두께는 0.005cm ~ 0.025cm(0.002 인치 ~ 0.01 인치) 정도이다. 튜브의 외부 직경은 보통 대략 0.10cm ~ 0.25cm(0.04 인치 ~ 0.1 인치)이다. 처음 두 가지 실시예에서는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슬롯을 형성하지만 다른 모양을 가지는 반면, 나머지 두 가지 실시예에서는 슬롯 대신 일반적으로 나선형 구조를 채택했다. 캐뉼러를 통한 탈출증 발생 조직을 축소시키는 경우 튜브형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38.1cm ~ 50.8cm(15 인치 ~ 20 인치) 정도 길이로 적용된다.These embodiments relate to modifying the structure at the flexible end 219 of the tubular housing 218, which allows for increased flexibility and lifespan, and facilitates positioning control during use. It is usually made of metal. Of the four embodiments described, only the flexible end of the tubular housing is presented and the internal elements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se four embodiments, the tubular housing may be fabricated from a relatively hard metal that does not bend except when needed in the slot 219 region. For example, suitable metals include stainless steel, and the wall thickness of a suitable tube is about 0.005 cm to 0.025 cm (0.002 inches to 0.01 inches).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is usually approximately 0.10 cm to 0.25 cm (0.04 inch to 0.1 inch). The first two embodiments form slots for flexibility but have a different shape, while the other two embodiments generally employ a spiral structure instead of slots. When shrinking prolapse-producing tissue through the cannula, the tubular housing is generally applied in lengths of 15 inches to 20 inches (38.1 cm to 50.8 cm).

도 26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로 구성된 튜브형 하우징(240)에는 액세스 슬롯(236)과 유연성 확보를 위한 슬롯(242)이 (가늘어지는 면의 벽(244)은, 각 슬롯의 열린 면(246)이 닫힌 면(248)에 비해 넓게 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슬롯 벽이 서로 평행하게 구성된 슬롯 구조에서보다 슬롯 벽이 관여되기 전 그 팁(248)이 좀 더 휘어지는 것을 가능케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6, the tubular housing 240 has a single access slot 236 and a slot 242 for securing flexibility (the thinner wall 244 is an open surface 246 of each slot). ) Is wider than the closed face 248). This structure allows the tip 248 to bend more before the slot wall is engaged than in a slot structure in which the slot walls are configured parallel to each other.

도 27의 제2 실시예에서는 하나로 구성된 튜브형 하우징(250)에 액세스 슬롯(236)과 팁(258)이 접근함에 따라서 깊이가 달라지는 휘어지는 슬롯(252~256)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손잡이(228)에서 가장 먼 슬롯(256)이 가장 가까운 슬롯(252)에 비해 보다 많이 휘어지기 때문에 슬롯 벽이 관여되기 전에 팁(258)이 좀 더 휘어질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27, curved slots 252 to 256 having different depths are applied as the access slot 236 and the tip 258 approach the single tubular housing 250. In this structure, the tip 258 may be more bent before the slot wall is involved because the slot 256 farthest from the handle 228 is bent more than the closest slot 252.

또한 핸드피스의 팁을 구부리는 필요에 따라 점점 가늘어지는 슬롯(벽이 테이퍼진 슬롯), 평행하게 벽을 형성한 슬롯, 다양한 깊이의 슬롯 등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연한 단부가 하나 또는 두 개의 평행한 벽 슬롯을 포함한 다음, 팁에 가까운 6개 ~ 8개의 점점 가늘어지는 벽 슬롯을 오게 할 수도 있고, 이 때 다양한 슬롯 깊이를 추가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mix tapered slots (wall tapered slots), parallel walled slots, slots of various depths, etc., as needed to bend the tip of the handpiece. Thus, for example, the flexible end may include one or two parallel wall slots, and then bring six to eight tapered wall slots close to the tip, with or without adding various slot depths. It may be.

도 28의 제3 실시예의 경우 일체로 구성되는 튜브형 하우징(260)이 제공되지만 튜브의 상단 벽에 슬롯을 형성하지 않고 나선형 구조(262)가 약 11회 정도(도면부호 264 참조) 튜브형 부재 벽에 형성했다. 나선(262)의 길이는 약 1.27cm ~ 5.08cm(0.5 인치 ~ 2 인치) 정도이다. 이 구조는 팁(268)을 굽혀지기 건의 원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상당한 복원력을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28, a tubular housing 260 is provided which is integrally formed, but without forming a slot in the top wall of the tube, the helical structure 262 is about 11 times (see reference numeral 264) in the tubular member wall. Formed. Spiral 262 is about 1.27 cm to 5.08 cm (0.5 inches to 2 inches) long. This structure provides significant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ip 268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bend gun.

도 29의 제4 실시예에서는 하나로 구성된 튜브형 하우징이 강 튜브(272), 스프링 부분(274), 강 튜브의 짧은 부분(276)으로 구성된 튜브 하우징(270)으로 교체되었다. 이 구조에서는 스프링(274)의 한쪽 끝을 제1 강 튜브(272)에 용접하고 스프링(274)의 다른 쪽 끝을 다음 강 튜브(276)의 팁에 용접한다. 이 구조의 장점은 유연성이 필요한 부분에 일반 스테인레스 스틸보다 더 많은 복원력을 가지는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유연한 팁 부분에 보다 많은 복원력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나선형 부분(274)에 더 많은 회전을 부여함으로써 도 28에서 설명된 것보다 더 강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29, the one-piece tubular housing was replaced with a tube housing 270 consisting of a steel tube 272, a spring portion 274, and a short portion 276 of the steel tube. In this structure, one end of the spring 274 is welded to the first steel tube 272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274 is welded to the tip of the next steel tube 276. The advantage of this structure is that more restorative force can be applied to the flexible tip by choosing a material that has more restoring force than that of ordinary stainless steel.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helical portion 274 more rigid by giving more rotation to it than described in FIG. 28.

양극 어셈블리가 적용될 경우 전극 와이어는 서로 절연되어야 하며 동시에 금속 튜브와도 절연 처리되어야 한다. 2중 전기 절연 하우징 라이너 튜브가 바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실제로, 전기 연결용 와이어가 자체적으로 우수한 전기 절연 코팅을 가지고 있다면 이 코팅이 모든 전기적인 절연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절연 하우징 라이너 튜브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만일 단극 전극 어셈블리의 경우전기 와이어에 충분히 우수한 전기 절연 코팅이 적용되었다면 금속 하우징과의 전기 절연을 위한 라이너 역시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길이가 연장되는 튜브형 하우징(예를 들어서 도 25의 도면부호 218이나 도 26에의 도면부호 240)을 위해 전기 절연되는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의 물질이 사용되었다면 도 26과 도 27의 슬롯 실시예가 사용 가능하며 추가적인 절연 라이너가 불필요하다. 그러나 이 경우 유연한 팁 부분이 파손되지 않고 반복되는 휨을 견딜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이 필요하다. 이러한 재질은 관련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도 28와 도 29의 나선형 방식 또한, 플라스틱과 같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튜브형 하우징과 함께 사용 가능한데, 단, 도 28의 나선형 부분(264)이 파손 없이 플라스틱에 제공될 수 있을 때에 한한다. 도 29의 실시예 역시 플라스틱 재질부(274, 276)에 금속 스프링(274)를 접착시킴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매우 강력한 상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If an anode assembly is applied, the electrode wires must be insulated from one another and at the same time insulated from the metal tube. The double electrically insulating housing liner tube plays this role. In practice, however, an insulating housing liner tube may not be needed if the wire for electrical connection has its own good electrical insulating coating, since this coating is responsible for all electrical insulating functions. Similarly, in the case of a monopolar electrode assembly, a liner for electrical insulation with the metal housing may also not be required if a sufficiently good electrical insulation coating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wire. The slot embodiments of FIGS. 26 and 27 can be used if a rigid material such as an electrically insulated plastic is used for an elongated tubular housing (eg, reference numeral 218 in FIG. 25 or 240 in FIG. 26). No additional insulation liner is needed. However, this requires a plastic material that can withstand repeated bending without breaking the flexible tip. Such materials are well known in the art. 28 and 29 can also be used with an electrically insulated tubular housing such as plastic, provided that the spiral portion 264 of FIG. 28 can be provided to the plastic without breakage. 29 may also be implemented by adhering the metal spring 274 to the plastic material portions 274 and 276. Very strong commercial adhesives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다음 소개할 실시예들에서는 새로운 핸드피스 단부의 구성에서 양극 전극이 적용되며 적용할 조직에 가하는 전기 수술용 전류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bipolar electrode is appli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new handpiece end and allows more precise control of the electrosurgical current applied to the tissue to be appli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극의 단부가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양극 소스의 단자에 이중으로 자리잡고 있는 루프 와이어가 연결된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전극의 절연된 단부에서 거의 같은 거리로 나란히 루프 와이어가 위치한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는 루프 와이어가 전극의 단부로부터 다른 거리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루프 와이어가 평행하지 않은 평면 위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nds of the electrodes are axially projected and loop wires which are doubled at the terminals of the anode source are connected. In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loop wires are located side by side at approximately the same distance from the insulated ends of the electrodes. In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the loop wire protrudes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electrode. It is also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for the loop wire to be located on a plane that is not parallel.

이러한 실시예에서 건(gun)의 구성은 양극을 적용한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양극 전극의 단부는 이격된 루프(330, 332)에 의해서 형성된다. 각 루프를 이루고 있는 두 개의 와이어 단부는 평면에서 약 0.05cm ~ 0.13cm(0.02 인치 ~ 0.05 인치)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으며 0.0953cm(0.0375 인치)가 적절하다. 각 루프의 반지름은 앞서 언급한 거리의 1/2 정도이다. 두 개의 루프는 각각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약 0.033cm ~ 0.063cm(0.013 인치 ~ 0.025 인치)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 가능하며 최적 거리는 약 0.0475cm(0.0187 인치) 정도이다. 두 개의 와이어(330, 332) 사이의 절연은 내부 접착 물질(334), 플라스틱 튜브 (336), 방열 튜브(338) 등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기 절연 물질로 교체할 수도 있다. 캐뉼러를 통한 탈출증 발생 조직을 축소시키는 경우 튜브형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38.1cm ~ 50.8cm(15 인치 ~ 20 인치) 정도 길이로 적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gun is essentially the same as when the anode is applied. The ends of the anode electrodes are formed by spaced loops 330 and 332. The two wire ends that make up each loop can be located about 0.05 cm to 0.13 cm (0.02 inch to 0.05 inch) away from the plane and 0.0953 cm (0.0375 inch) is appropriate. The radius of each loop is about 1/2 of the aforementioned distance. The two loops can be positioned approximately 0.033 cm to 0.063 cm (0.013 inches to 0.025 inch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plane, with an optimum distance of about 0.0475 cm (0.0187 inches). Insulation between the two wires 330, 332 may be handled by an internal adhesive material 334, a plastic tube 336, a heat dissipation tube 338, or the like. It can also be replaced with other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s. When shrinking prolapse-producing tissue through the cannula, the tubular housing is generally applied in lengths of 15 inches to 20 inches (38.1 cm to 50.8 cm).

도 30과 도 31의 제1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와이어(330, 332)가 절연 튜브(336, 338)의 자유 단부에서 동일한 거리로 연장된다. 도 30에서 도면부호 340으로 표시된 이 거리는 튜브(328)의 가로축을 따라 측정되며 약 0.13cm ~ 0.23cm(0.05 인치 ~ 0.09 인치)로 설정된다. 바람직한 거리는 약 0.191cm(0.075 인치)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30 and 31, two wires 330, 332 extend the same distance at the free ends of the insulating tubes 336, 338. This distance, indicated at 340 in FIG. 30, is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axis of the tube 328 and is set to about 0.13 cm to 0.23 cm (0.05 inch to 0.09 inch). The preferred distance is about 0.191 cm (0.075 inches).

도 32, 도 33, 도 35 및 도 36의 제2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와이어(342, 344)가 두 개의 평행한 면에서 서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며 따라서 절연 튜브(336, 338)의 자유 단부에서 다른 거리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344)는 제1 실시예에서의 와이어의 경우와 대략 동일한 길이(340)인 약 0.13cm ~ 0.23cm(0.05 인치 ~ 0.09 인치) 정도로 연장되며 바람직한 길이는 약 0.191cm(0.075 인치)이다. 다른 와이어(342)는 절연 튜브(336, 338)의 자유 단부에서 약 절반 정도의 거리, 즉, 거리(346)에 해당하는 약 0.051cm ~ 0.114cm(0.02 인치 ~ 0.045 인치) 정도로 연장되며 이 거리에 대한 바람직한 수치는 약 0.0953cm(0.0375 인치)이다. 도 35에서는 제2 실시예를 구부러지지 않은 위치로 보여 준다. 도 36에서는 유연한 팁(349)를 휘었을 때 양극 전극(342, 344)의 가능한 위치 중 하나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36에서 제시된 대로 구부림 정도는 대략 건(gun)의 중앙과 슬롯(320)의 중앙을 가로질러 수직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S. 32, 33, 35 and 36 the two wires 342 and 344 are ax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wo parallel planes and thus at the free ends of the insulating tubes 336 and 338. Extends to a different distance. For example, wire 344 extends about 0.13 cm to 0.23 cm (0.05 inch to 0.09 inch),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340 as that of the wire in the first embodiment, with a preferred length of about 0.191 cm (0.075 inch). )to be. The other wire 342 extends about half the distance from the free ends of the insulation tubes 336, 338, that is, about 0.051 cm to 0.114 cm (0.02 inch to 0.045 inc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346. Preferred values for are about 0.0953 cm (0.0375 inches). 35 shows the second embodiment in an unbent position. 36 shows one of the possible positions of the anode electrodes 342 and 344 when the flexible tip 349 is bent. In this embodiment, the degree of bending as shown in FIG. 36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across the center of the gun and the center of the slot 320.

위에서 설명된 대로 슬롯(320)은 테이퍼진 벽이나 나란한 벽, 깊이가 달라지는 슬롯이나 나선형 또는 스프링 부분으로 구성 가능하다. 미세한 루프 와이어는 약 0.018cm ~ 0.089cm(0.007 인치 ~ 0.035 인치) 정도의 직경이 가능하며 바람직한 수치는 0.038cm(0.015 인치) 정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lot 320 can be configured as a tapered wall or side-by-side wall, slots of varying depths or spiral or spring portions. Fine loop wires can be about 0.018 cm to 0.089 cm (0.007 inches to 0.035 inch) in diameter, with a preferred value of 0.038 cm (0.015 inch).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핸드피스를 작동시키는 경우 전기 수술용 전류는 활성화된 전압이 생성되는 와이어의 단부(330, 332)의 측면 사이에서 집중된다. 와이어(342, 344)에 제2 실시예에서처럼 오프셋(offset)이 적용되면 곡선 형태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대부분의 방전이 비스듬하게 발생한다. 집도의는 조직 절제 또는 혈관 지혈 등의 과정 동안에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 전극을 선택할 수 있다.When operating the handpie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lectrosurgical current is concentrated between the sides of the ends 330, 332 of the wire from which an activated voltage is generated. When an offset is applied to the wires 342 and 344 as in the second embodiment, most of the discharge occurs obliquely between the curved distal ends. The surgeon may select the electrode for optimal results during such procedures as tissue resection or vascular hemostasis.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관해서 서술되었으나 관련 분야에서의 전문가의 입장에서는 위에서 대략적으로 언급된 원칙의 범위 내에 속하지만 불가피한 수정이 있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수정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utlined above in the position of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but there may be inevitable modifications,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until such modification is made. We shall cover.

수술 중 양극 및 단극으로 작동 가능하며 MIS에 적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며, 양극 작용은 전기 수술용 전류를 양극 전극의 활성화된 단부들 사이 작은 활성 영역으로 제한하며 따라서 환자의 신체 조직에 손상을 줄 수도 있는 과도한 열의 발생 가능성을 경감시킨다. 또한 활성화된 영역의 위치는 제어가 가능해서 과도한 열에 보다 민감한 환자의 신체 조직을 피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이 핸드피스에 집도의가 제어 할 수 있는 유연한 단부로 구성되어서 집도의가 수술 중에 원하는 대로 단부를 조작할 수 있다. It provides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that is operable with bipolar and unipolar during surgery and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a MIS, wherein the bipolar action limits the electrosurgical current to a small active area between the active ends of the bipolar electrode and thus the patient's body Reduces the possibility of excessive heat that can damage tissue. The location of the activated area can also be controlled to avoid body tissue in patients who are more sensitive to excessive heat. In certain embodiments, the handpiece consists of flexible ends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surgeon so that the surgeon can manipulate the ends as desired during surgery.

Claims (33)

(a) 제1 단부 및 유연한 나머지 반대편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긴 튜브형 제1 부재,(a) an elongated tubular first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flexible remaining opposite second end, (b) 제1 부재 내에 위치하는 긴 튜브형 제2 부재로서, 제1 단부 및 제1 부재의 제2 단부와 인접하는 유연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전기 절연 튜브와, 제2 튜브를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분할하는 전기 절연 수단을 포함하는 긴 튜브형 제2 부재,(b) an elongated tubular second member located within the first member, the electrical insulating tube having a first end and a flexible second end adjacent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member, the second tub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zone; An elongated tubular second member comprising electrically insulating means for dividing into a second zone, (c) 제1 구역과 제2 구역에 각각 위치하며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c) a first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and a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zones and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d) 전기 수술용 양극 전류를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에 흘리기 위해서 제1 부재의 제1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수단,(d) first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through a first end of the first member for flowing an electrosurgical anode current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e) 제1 부재의 제1 단부에 대하여 제1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를 제2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와 함께 선택적으로 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수단, 및(e) second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for selectively bending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first member with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second member relative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member, and (f) 제1 및 제2 와이어에 연결되고 반대편 유연한 단부에서 연장 가능하며 전기적 절연 처리되고 활성화된 전기 수술용 전극으로서, 전기적인 절연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2 수단이 작동될 때 반대편 유연한 단부와 함께 휘는 전기 수술용 전극을 포함하며,(f) an electrosurgical electrode that is extendable, electrically insulated and activated at opposite flexible end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the opposite flexible end being actuated when the second means is operated with electrical insulation maintained; An electrosurgical electrode that bends together, 상기 전기 수술용 전극은, 생존 환자의 혈관 크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노출된 제1 갈퀴와 제2 갈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양극 핸드피스.The electrosurgical electrode is an electrosurgical bipolar handpie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rake and a second rake exposed side by side at the same interval as the blood vessel size of the surviving pati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부재는 유연한 단부에 약화 처리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양극 핸드피스.And wherein the first member comprises a weakened portion at the flexible en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분리 장치는 제2 부재의 반대편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전기 절연 벽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돌출된 벽 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양극 핸드피스.The separating device includes an electrically insulating wall portion projecting outwardly from an opposite end of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electrodes are located on either side of the projecting wal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수단은 제1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부재의 반대편 단부에 한쪽이 연결된 당김 줄이나 끈을 포함하고, The second means comprises a pull string or string located inside the first member and connected one end to an opposite end of the first member, 상기 당김 줄이나 끈의 다른 한쪽을 당기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양극 핸드피스.And a means for pulling the other side of the pull string or str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 부재는 25.4cm ~ 50.8cm(10 인치 ~ 20 인치)의 길이와 0.18cm ~ 0.25cm(0.07 인치 ~ 0.1 인치)의 직경을 가지며 MIS 캐뉼러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S용 전자수술용 양극 핸드피스.The first member has a length of 25.4 cm to 50.8 cm (10 inches to 20 inches) and a diameter of 0.18 cm to 0.25 cm (0.07 inches to 0.1 inches)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MIS cannula. Anode handpie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제1 및 제2 와이어는 제1 부재의 제2 단부에서 돌출하는 루프(1oop)를 형성하는 노출된 단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와이어의 노출된 단부 루프는 평행하거나 평행하지 않도록 이격된 평면들 상으로 연장되며, The first and second wires have exposed ends forming a loop that protrudes from the second end of the first member, and the exposed end loop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spaced parallel or not parallel. Extend over planes, 제1 및 제2 와이어에 전기 수술용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이격된 노출 단부 루프들 사이에 전기 수술용 전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양극 핸드피스.Electrosurgical bipolar handpie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electrosurgical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an electrosurgical current is produced between the spaced exposed end loop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a) 손잡이 부분과 손잡이 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한 부재를 구비하는 핸들로서, 튜브형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핸들,(a) a handle having a handle portion and a member rotatable relative to the handle portion, the handle having means for mounting a tubular member, (b) 제1 단부와 반대편 유연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긴 튜브형 제1 부재,(b) an elongated tubular first member having a second flexible end opposite the first end, (c) 제1 부재 내에 위치하고 전기 절연 처리된 긴 튜브형 제2 부재로서, 제1 단부와 제1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하는 반대편 유연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전기 절연 튜브를 포함하는 제2 부재,(c) a second tubular second member positioned within the first member and electrically insulated, the second member comprising an electrical insulation tube having a first end and an opposite flexible second end adjacent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member; , (d) 제2 부재 내에 위치하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d) an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located within the second member, (e) 제1 부재의 제1 단부에 연결되어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전기 수술용 전류를 가하는 제1 수단,(e) first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member to apply an electrosurgical current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f) 제1 부재의 제1 단부에 대하여 제1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를 제2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와 함께 선택적으로 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수단,(f) second means connected to the rotatable member for selectively bending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first member with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second member relative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member, (g)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연결되고 반대편 유연한 단부에서 연장되며 활성화된 전기 수술용 전극으로서, 회전 가능한 부재가 작동될 때 반대편 유연한 단부와 함께 휘어지는 전기 수술용 전극을 포함하며,(g) an electrosurgic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and extending from the opposite flexible end, the electrode comprising an electrosurgical electrode that bends with the opposite flexible end when the rotatable member is actuated, 반대편 유연한 단부는 약화 처리한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유연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Opposite flexible end is flexible by having a weakened portion of the electrosurgical handpiece.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약화 처리한 부분은 제1 부재의 반대편 단부로부터 근접하여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부재의 옆면에 하나 이상의 이격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nd wherein the weakened portion includes one or more spaced slots on the side of the first member at positions spaced proximately from opposite ends of the first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약하게 처리한 부분은 나선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n electrosurgical hand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kly treated portion comprises a spiral portion.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약하게 처리한 부분은 동일한 유연성을 얻기 위해서 스프링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The weakly treated portion includes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comprising a spring portion to obtain the same flexibility.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제2 부재는 제1 부재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nd the second member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first member.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핸들에 연결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도 연결되어, 제1 및 제2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반대편 제2 단부에서의 흡입(suction)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핸들 상에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nd on the handle, a means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lso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provide a suction function at the opposite second en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Electrosurgical handpiece, characterized in that.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전극의 단부가 가위 부재로 구성되며, An end of the electrode is composed of a scissors member, 가위 부재의 연장 및 수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가위 부재는 연장되면 열리고 수축하면 닫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nd means for selectively performing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cissors member, wherein the scissors member is configured to open when extended and close when contracted. 핸들, 일반적으로 튜브형 제1 부재, 일반적으로 튜브형 제2 부재, 및 제1 내지 제3 수단을 포함하며, A handle, generally a tubular first member, generally a tubular second member, and first to third means, (a) 상기 핸들은 손잡이 부분과 손잡이 부분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제1 부재를 구비하고, 지지용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a) the handle having a handle portion and a first member movable relative to the handle portion, the handle comprising means for mounting a support member, (b) 상기 튜브형 제1 부재는 제1 단부와 반대편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제1 단부와 제1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양극 또는 단극 전극을 포함하며, 전기적으로 절연 처리되는 상기 양극 전극은 제1 부재에 연결되고 튜브형 제1 부재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b) the tubular first member comprises a positive or monopolar electrode having a second end opposite the first end and having a second end adjacent to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first member, and electrically The anode electrode to be insula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nd is movable in the tubular first member, (c) 상기 튜브형 제2 부재는 튜브형 제1 부재를 따라서 핸들에 장착되고, 튜브형 제2 부재 내에서 이동 가능한 다른 양극 및 단극 전극을 포함하고, (c) the tubular second member is mounted to the handle along the tubular first member and includes other anode and unipolar electrodes moveable within the tubular second member, (d) 상기 제1 및 제2 수단은 양극 및 단극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 양극 및 단극 전기 수술용 전류를 인가하며,(d) the first and second mea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node and the unipolar electrode to apply the current for the anode and the unipolar electrosurgery, respectively (e) 상기 제3 수단은 선택적으로 양극 및 단극 전극을 반대편 제2 단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전기 수술용 전류를 가함으로써 선택한 전극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고,(e) the third means selectively makes the anode and unipolar electrodes accessible at opposite second ends, selectively energizes the selected electrodes by applying an electrosurgical current, 양극 및 단극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는 휘어진 반대편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및 단극 전극들 중 하나가 각각의 튜브형 부재에서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며, 따라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진 반대편 단부를 구비하는 다른 전극으로 상기 양극 및 단극 전극들 중 하나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t least one of the anode and unipolar electrodes includes a bent opposite end, and one of the anode and unipolar electrodes is selectively removable in each tubular member, and thus the other electrode having the opposite end bent in the other direction. An electrosurgical handpiece, wherein one of the anode and unipolar electrodes can be replaced. 제2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5, 양극 및 단극 전극 각각을 선택적으로 전진 및 후퇴시켜서 각각의 전극의 단부가 각각의 튜브형 제1 및 제2 부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제4 및 제5 수단으로 또한 포함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n electrosurgical handpiece, further comprising: fourth and fifth means for selectively advancing and retracting each of the anode and unipolar electrodes such that the ends of each electrode protrude outwardly from the respective tubular first and second members. 삭제delete (I) (a) 제1 단부와 유연한 나머지 반대편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긴 튜브형 제1 부재,(I) (a) an elongated tubular first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flexible remaining opposite second end, (b) 제1 부재 내에 위치하는 긴 튜브형 제2 부재로서, 제1 단부 및 제1 부재의 제2 단부와 인접하는 유연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전기 절연 튜브와, 제2 튜브를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분할하는 전기 절연 수단을 포함하는 긴 튜브형 제2 부재,    (b) an elongated tubular second member located within the first member, the electrical insulating tube having a first end and a flexible second end adjacent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member, the second tub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zone; An elongated tubular second member comprising electrically insulating means for dividing into a second zone, (c) 제1 구역과 제2 구역에 각각 위치하며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    (c) a first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and a second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zones and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d) 전기 수술용 양극 전류를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에 흘리기 위해서 제1 부재의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수단,    (d) first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through an end of the first member for flowing an electrosurgical bipolar current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e) 제1 부재의 제1 단부에 대하여 제1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를 제2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와 함께 선택적으로 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부재의 제1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수단, 및    (e) second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member for selectively bending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first member with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second member relative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member, and (f) 제1 및 제2 와이어에 연결되고 반대편 유연한 단부에서 각각의 구역으로부터 연장 가능하며 전기적 절연 처리되고 활성화된 전기 수술용 전극으로서, 전기적 절연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2 수단이 작동될 때 반대편 유연한 단부와 함께 휘는 전기 수술용 전극을     (f) Electrosurgical, electrically insulated, activated electrosurgical electrod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and extending from respective zones at opposite flexible ends, the opposite side when the second means is operated while the electrical insulation is maintained. Flexing electrosurgical electrodes with flexible ends 포함하는 전기 수술용 양극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n electrosurgical bipolar handpiece comprising: (II) 튜브형 제1 부재를 치료할 조직의 근처로 비-인간 동물의 신체 속에 삽입하는 단계,(II) inserting the tubular first member into the body of a non-human animal near the tissue to be treated, (III) 반대편 유연한 단부를 휘어서 전기 수술용 전극을 치료할 조직의 위치로 굽히는 단계, 및(III) bending the opposite flexible end to bend the electrosurgical electrode to the location of the tissue to be treated, and (IV) 양극 방전을 제공하여 조직에 열을 발생시켜 치료하기 위하여 제1 단부에 전기 수술용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IV) supplying an electrosurgical current to the first end to provide bipolar discharge to generate and treat heat in the tissue. 포함하는 외과 수술적 조직 치료 방법.Surgical surgical tissue treatment method comprising. 제28항에 있어서, 먼저 비-인간 동물의 신체에 캐뉼러가 삽입되며, 그 후 제1 부재가 캐뉼러 내로 삽입되어 제1 부재의 유연한 단부가 조직 근처에 도달되며,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cannula is first inserted into the body of a non-human animal, and then the firs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so that the flexible end of the first member reaches near the tissue, (IV) 단계 이후에, 튜브형 제2 부재가 튜브형 제1 부재로부터 제거되고, 튜브형 제1 부재를 캐뉼러에서 제거하지 않고 튜브형 제2 부재를 다른 전극으로 구성된 다른 튜브형 제2 부재로 교체한 다음 다른 튜브형 제2 부재 내의 전극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 수술적 조직 수축 방법.After step (IV), the tubular second member is removed from the tubular first member, and the tubular second member is replaced with another tubular second member composed of other electrodes without removing the tubular first member from the cannula and then Surgical surgical tissue contra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lectrode in the tubular second member. 제28항에 있어서,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에는 단극 전극이 제공되고 양극 또는 단극 전극의 반대편 단부에 선택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하고 양극 또는 단극 전극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 또한 제공되며, 29. The electrosurgical handpiece of claim 28, wherein the electrosurgical handpiece is provided with a monopolar electrode and also with means for selectively accessing the opposit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or monopolar electrode and selectively providing energy to the positive electrode or monopolar electrode, 양극 및 단극 전극 중 하나를 이용해서 조직을 우선 치료한 후에 튜브형 제1 부재가 캐뉼러 속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 양극 및 단극 전극 중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조직을 치료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 수술적 조직 수축 방법.First treating the tissue with one of the anode and monopole electrodes and then treating the tissue with the other of the anode and monopole electrodes while the tubular first member is held in the cannula. Surgical surgical tissue contraction method. (a) 손잡이 부분과 손잡이 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한 부재를 구비하는 핸들로서, 튜브형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핸들,(a) a handle having a handle portion and a member rotatable relative to the handle portion, the handle having means for mounting a tubular member, (b) 제1 단부와 반대편 유연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긴 튜브형 제1 부재,(b) an elongated tubular first member having a second flexible end opposite the first end, (c) 제1 부재 내에 위치하고 전기 절연 처리된 긴 튜브형 제2 부재로서, 제1 단부와 제1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하는 반대편 유연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전기 절연 튜브를 포함하는 제2 부재,(c) a second tubular second member positioned within the first member and electrically insulated, the second member comprising an electrical insulation tube having a first end and an opposite flexible second end adjacent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member; , (d) 제2 부재 내에 위치하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d) an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located within the second member, (e) 제1 부재의 제1 단부에 연결되어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전기 수술용 전류를 가하는 제1 수단,(e) first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member to apply an electrosurgical current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f) 제1 부재의 제1 단부에 대하여 제1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를 제2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와 함께 선택적으로 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수단,(f) second means connected to the rotatable member for selectively bending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first member with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second member relative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member, (g)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연결되고 반대편 유연한 단부에서 연장되며 활성화된 전기 수술용 전극으로서, 회전 가능한 부재가 작동될 때 반대편 유연한 단부와 함께 휘어지는 전기 수술용 전극을 포함하며,(g) an electrosurgic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wire and extending from the opposite flexible end, the electrode comprising an electrosurgical electrode that bends with the opposite flexible end when the rotatable member is actuated, 제1 부재의 반대편 유연한 단부는 복원 기억 특성을 가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 And the opposite flexible end of the first member comprises a material having restoring memory properties.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제2 부재는 제1 부재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nd the second member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first member.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핸들에 연결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도 연결되어, 제1 및 제2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반대편 제2 단부에서의 흡입(suction)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핸들 상에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용 핸드피스.And on the handle, a means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lso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provide a suction function at the opposite second en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Electrosurgical handpie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40053720A 2004-07-09 2004-07-09 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KR1011233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720A KR101123375B1 (en) 2004-07-09 2004-07-09 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720A KR101123375B1 (en) 2004-07-09 2004-07-09 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568A KR20060004568A (en) 2006-01-12
KR101123375B1 true KR101123375B1 (en) 2012-03-27

Family

ID=3711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720A KR101123375B1 (en) 2004-07-09 2004-07-09 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3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58Y1 (en) 2013-05-02 2013-06-26 제이엠티(주) High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959B1 (en) * 2011-05-12 2013-04-01 신경민 Electrode device having flexible tube for high frequency thermotherapy
WO2023022253A1 (en) * 2021-08-18 2023-02-23 주식회사 딥큐어 Electrode apparatus for blocking or regulating nerves inside bod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571B1 (en) 1999-05-03 2001-05-15 Alan G. Ellman Electro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US20020058938A1 (en) 1996-09-20 2002-05-16 Ioan Cosmescu Multifunctional telescopic monopolar/bipolar surgical device and method therefo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8938A1 (en) 1996-09-20 2002-05-16 Ioan Cosmescu Multifunctional telescopic monopolar/bipolar surgical device and method therefore
US6231571B1 (en) 1999-05-03 2001-05-15 Alan G. Ellman Electro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US20010014806A1 (en) 1999-05-03 2001-08-16 Ellman Alan G. Electro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58Y1 (en) 2013-05-02 2013-06-26 제이엠티(주) High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568A (en)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0279B1 (en) Electro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US6231571B1 (en) Electro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US6210409B1 (en) Electro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US7226444B1 (en) Position-controllable laser surgical instrument
US6692445B2 (en) Biopsy sampler
US7611511B2 (en) Bipolar medical instrument and electrosurgical system comprising such an instrument
CA2614328C (en) Anchored rf ablation device for the destruction of tissue masses
US5380321A (en) Shielded energy transmitting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s therefor
JP4756179B2 (en) Shaped electrodes for electrosurgical cutting and excision
EP1607061B1 (en) Electrosurgical handpiece
US7507232B1 (en) Flexible electrosurgical electrode with manipulator
US6852111B1 (en) Laparoscopic electrotome
JP2003511193A (en) Tissue cutting method using protruding electrosurgical electrodes
AU2001222604A1 (en) Electro-cautery catheter
US7160295B1 (en) Flexible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treating tissue
US6346106B1 (en) Instrument and method employing snare electrode windable about rotatable spool for minimally invasive electrosurgical resection
US6231578B1 (en) Ultrasonic snare for excising tissue
KR20050048464A (en)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treating tissue
US20100016784A1 (en) Positionable medical system for positioning medical components on or within a body
KR101123375B1 (en) Electorsurgical handpiece for treating tissue
US20080294160A1 (en) RF endoscopic electrosurgical instrument
AU2021383848A1 (en) Braided or woven electrodes
US10765444B2 (en) Medical instrument for ablation of tissue
JP73141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delivery
EP3106118B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interchangeable micro-t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