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185B1 -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185B1
KR101122185B1 KR1020110094766A KR20110094766A KR101122185B1 KR 101122185 B1 KR101122185 B1 KR 101122185B1 KR 1020110094766 A KR1020110094766 A KR 1020110094766A KR 20110094766 A KR20110094766 A KR 20110094766A KR 101122185 B1 KR101122185 B1 KR 10112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derground
indicators
ground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후
Priority to KR102011009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1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185B1/en
Priority to PCT/KR2012/002453 priority patent/WO201301897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n underground facilities managing system using a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stall a ground indicator at a position on the ground and an underground indicator underground where an underground facility is installed, thereby detecting location movement of the underground facility when a natural disaster occurs. CONSTITUTION: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includes information of a underground facility(200). A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is buried underground with the underground facility. A user terminal(30) acquires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a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The user terminal identifi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 communication network(40) provid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50).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decode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underground indicators.

Description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지표와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를 바코드, QR 코드, 자기마커, RFID 태그 와이파이 장치 등과 같은 정보인식수단에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로 읽어들임으로써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손쉽게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지하시설물의 정보가 공유되어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의 방지를 할 수 있는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ground indicator and information on an underground facility installed on the ground, including information on an underground facility, and embedded in the basement with the underground facility. The underground maps are stored in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such as barcodes, QR codes, magnetic markers, RFID tags, Wi-Fi devices, etc., and read by the user terminal.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that can prevent the accident of large-scale accidents that do not know the changed information and double work to check the underground facilities at each construction because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is shared. A system and method thereof are provided.

가스관 폭발, 도시가스 폭발, 송유관 파열과 같은 자연재해 및 굴착, 복구 공사시 상 .하수도, 가스, 전력, 통신, 난방, 송유관등 지하에 매설된 특수 지하시설물의 안정성이 고려되고 정밀한 설계, 시공과 함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중요시되고 있다.Natural disasters such as gas pipe explosion, city gas explosion, oil pipe rupture, recovery, and restoration work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tability of special underground facilities buried underground such as water, sewage, gas, power, communication, heating, oil pipes, etc. Together, ongoing maintenance is becoming important.

그러나 지하시설물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매설상태가 획일화 되어있지 않으며, 복잡한 형태로 지하에 묻혀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확인, 점검 등의 신속한 안전관리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시기에 매설물들을 교체, 보수하기가 곤란하여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하여 인적, 물적인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However, since underground facilities are various in type, they are not uniformly buried, and they are buried underground in a complex form. It is difficult to do so, and unexpected accidents can cause great loss of human and material.

지하시설물에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하시설물들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occurring in underground facilities, a management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manage underground facilities is required.

지하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하시설물이 놓이는 곳의 지형도와 종?횡단면도, 지하시설물 도면의 획득을 위한 측량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지하 시설물들에 의한 대형사고 및 다른 지하시설물의 시공에 있어서의 설계를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에 관련된 정보가 지형도상에 정확하게 표현되어야 한다.In order to manage underground facilities, surveying is required to obtain the topography,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views, and underground facility drawings where the underground facilities are located. In particular, for the design of large-scale accidents and other underground facilities by underground facilities, information related to underground facilities must be accurately represented on the topographic map.

지하시설물의 설계시 고려되는 지하시설물로는 상하수도과, 한국전력선로, 한국통신선로, 도시가스관이 고려된다. 또한 지형도상에 기록되어져야 하는 지하시설물들의 속성들은 관의 재질, 관의 길이, 관의 직경, 관의 수, 관의 깊이, 관의 위치 등이다.Underground facilities considered in the design of underground facilities include water and sewage, Korea Electric Power Line, Korea Telecom Line, and city gas pipeline. Also, the properties of underground facilities to be recorded on the topographic map are the material of the pipe, the length of the pipe,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number of pipes, the depth of the pipe, and the location of the pipe.

지하시설물들의 정확한 위치 및 정보를 이용하여 GIS를 구축하므로써 지하시설물의 시공시 대형사고를 막을 수 있고, 사고가 발생햇을 경우 그 사고범위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By constructing GIS using the exact location and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large accidents can be prevented during construc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scope and location of the accident can be grasped so that more efficient management can be achieved.

지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도 수치지도화와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통해 상수도 관리, 하수도 관리, 관망해석, 상?하수도 도면 관리 및 출력, 상?하수도 시설물 통계, 거리 및 면적측정 기능/버퍼 존분석 등을 수행하는 상?하수도 유지관리시스템 등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Water supply management, sewage management, pipe network analysis, water and sewage drawing management and output, water and sewage facility statistics, distance and area measurement function / buffer zone analysis through digital mapping and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Development of water and sewage maintenance systems, etc., is being promoted.

또한, 지하시설물의 설계 도면과 실제 시공위치 및 규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다. 따라서, 해당 위치를 직접 파서 보기 전까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not known whether the design drawings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 actual construction location and specifications match.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check until the location is directly parsed.

이러한 정보들을 손쉽게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크나 현재까지 이를 제대로 지원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GPS등의 정보와 조합이 될 경우 해당 정보의 정확성 및 확장성은 크게 늘어날 수 있으므로, 상하수도를 비롯하여, 가스관, 송유관 등 지하시설물에 대해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ere is a great demand for a system that can easily enter and verify this information, but to date it is not well supported. In addition, if the system that can manage this is combined with information such as GPS, the accuracy and scalability of the informa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water and sewage, gas and oil pipelines. It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시설물에 대한 통합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효과적이고 능동적인 지하시설물의 관리가 가능한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capable of effective and active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by building a syste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상에 지상지표를 설치하고 지하에 지하지표를 설치하여 지진, 산사태,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시 지하시설물의 위치이동을 탐지할 수 있는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during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landslides, floods by installing ground indicators on the ground where underground facilities are embedded It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시설물의 관거제품에 설치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과 같은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하여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얻고, 이를 시공할 때의 시공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시공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의 변경을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by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such as a barcode or QR code installed in the conduit product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stored in a database along with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when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It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that can be updated and confirmed in real time to change of information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을 이용한 상대 좌표 측정 방법에 의해 상하수도 관거가 설치되는 위치의 정확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무선랜을 이용한 좌표 산출에 의한 상하수도 관거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tal water and sewage condui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y calculating the coordinates using a wireless LAN that can calculate the exact position of the location where water and sewage conduits are installed by a method of measuring relative coordinates using a wireless LAN.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다수 지점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에 포함된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다수의 지하 지표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위치정보 서버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에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위치정보 서버로 구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of a plurality of points, including the bas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ints,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buried nearby; A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including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buried underground with the underground facilities; A user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a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to identify the bas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buried nearby; 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Receiving the encryption cod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ground indicators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figured to decode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ground indicators and send back to the user terminal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는 지하시설물을 시공하는 때에 지하시설물 주변 지점을 계측하여 그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저장한 코드이거나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와이파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underground indicators measure points around underground facilities when constructing underground facilities, and stor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Code or an electronic tag such as NFC-based RFID, a wireless LAN-based RTLS tag,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Fi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상지표와 지하지표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는 암호화하여 일반적 수단으로는 알 수 없도록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information, the ground information, the ground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are encrypted and stored so that they cannot be known by general mean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전화기, 스마트폰, PDA , 타블렛 PC 이며,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다수의 지하지표에 표시된 정보를 포함한 코드 또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다수의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파악하고 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is a general telephone,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PC, and receives a code o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It is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th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buried nearby, and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지하지표는 지하시설물 자체에 표시되거나 지하시설물을 시공하는 때에 지하시설물에 부착되거나 지하시설물 주변에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derground tables are displayed on the underground facilities themselves or when the underground facilities are constructed, they are attached to the underground facilities or are buried underground together around the underground facilities.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지하시설물의 관거와 관련된 제품의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정보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인식코드와 매핑된 상기 제품 관련정보를 저장 및 전송 처리하는 통합관리서버; 상기 정보인식코드를 상기 제품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인쇄하는 정보인식 코드 인쇄단말; 상기 정보인식코드가 부착된 제품으로부터 상기 정보인식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정보인식코드에 매핑된 상기 제품 관련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시키며, GPS 위성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품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지하시설물의도 관거와 관련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권한을 인증하는 인증 서버; 및 상기 정보인식코드 및 상기 해당 제품의 관련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해당 제품의 정보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제품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품 관련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generating an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using a serial number of a product related to the conduit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storing and transmitting the product related information mapped to th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An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printing terminal for printing th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in a form attachable to the product; Recognizing th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from the product wit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product related information mapped to th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received via GPS satellites A user terminal generating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 authentication server for authenticating authority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duit of underground facilities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maps and stores th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an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provides the st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product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If receiv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base server for updating and storing the product relat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품이 시공되는 영역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3개의 무선 신호 송신 장치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적어도 3개의 무선 신호 송신 장치들 중 하나의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각 장치가 설치된 지점의 3차원 좌표를 측량하여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3차원 좌표를 토대로 시공 지점의 상대 좌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 송신 장치의 절대 좌표와 상기 계산된 상대 좌표값에 의해 시공시의 실제 절대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t least three radio signal transmitters installed in an area in which the product is constructed,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based on one of the at least three radio signal transmitters. And measuring and calculat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point where each device is installed, determining a relative coordinate value of the construction point based on the calculat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the absolute coordinates of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s the reference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through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ctual absolute coordinate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by the calculated relative coordinate valu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보인식코드가 부착되는 대상은 파이프, 파이프 관련 부품, 맨홀, 설계도, 주요 지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is attached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pipes, pipe-related parts, manholes, blueprints, and main poi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보 인식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스마트 태그, 데이터 매트릭스, 컬러짚 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is any one selected from a bar code, a QR code, a smart tag, a data matrix, and a color straw code.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시설물 관리방법은 통합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 정보 인식 코드 인쇄 단말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이용하여 관거를 종합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하수도 관거와 관련된 제품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인식 코드를 생성하는 제1 단계-여기서, 상하수도 관거와 관련된 제품 관련 정보는 상기 정보 인식 코드와 매핑되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존재함; 상기 정보 인식 코드 인쇄 단말에서 상기 생성된 정보 인식 코드를 부착 가능한 형태로 인쇄하는 제2 단계-여기서, 상기 인쇄된 정보 인식 코드는 상기 상하수도 관거에 부착됨;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상하수도 관거에 부착된 정보 인식 코드를 인식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품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제품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시간 정보와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제품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제3 단계 또는 제5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품 관련 정보를 전송하되, 사용자 단말의 권한을 인증한 뒤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mprehensively managing conduits using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 user terminal, an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print terminal, and a database server,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products related to water and sewage conduits is integrated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 first step of generating an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wherein product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water and sewage conduit is mapped with th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and is present in a database server; A second step of prin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in an attachable form by th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printing terminal, wherein the printed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is attached to the water and sewage conduit; A third step of recognizing an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attached to the water and sewage conduit through the user terminal; A fourth step of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by the database server,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product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updating the product related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fter the third step or the fifth step, the product-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transmit the information after authenticating the authority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4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제품이 시공되는 영역 내에 설치된 적어도 3개의 무선 신호 송신 장치들 중 하나의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각 장치가 설치된 지점의 3차원 좌표를 측량하여 계산하는 제4-1 단계, 상기 계산된 3차원 좌표를 토대로 시공 지점의 상대 좌표값을 결정하는 제4-2 단계 및 상기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 송신 장치의 절대 좌표와 상기 계산된 상대 좌표값에 의해 시공시의 실제 절대 좌표를 산출하는 제4-3 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location information is based on one of at least thre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e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product is constructed, Step 4-1 of surveying and calculat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Step 4-2 of determining a relative coordinate value of a construction point based on the calculat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Absolute coordinates of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as the reference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through the third step to calculate the actual absolute coordinate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calculated relative coordinate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전용장비가 아닌 일반장비로 지하시설물에 부착된 코드를 읽어들이거나 또는 전자태그, 와이파이 장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지하시설물의 측정장비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easurement equipment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by reading the code attached to the underground facilities as non-dedicated equipment or receiving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Wi-Fi device, and the like.

아울러, 시공할때 인식코드 리딩시의 GPS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제품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시공 정보를 입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시공 정보의 설계 도면과의 일치여부를 즉시 확인함은 물론 정확한 지하시설물의 시공정보, 지형정보 및 속성정보를 용이하게 갱신입력 및 유지관리할 수가 있게 되며, 갱신정보가 인터넷 또는 무선랜을 통하여 각 기관이 담당하는 지하시설물에 대한 갱신자료를 교환하거나 공유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지하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고, 추후 유지 보수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ading the identification code during construction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roduct informa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input and managed, and immediately confirmed whether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matches the design draw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and maintain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accurate underground facilities, and exchange the updated data on the underground facilities that each institution is in charge of via the Internet or wireless LAN. By sharing or sharing,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underground facilities more effectively, and can be easily used for future maintenance.

또한, 지하시설물의 상하수도 관거에 대한 통합 관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권한에 따른 정보 공개량과 수준의 제어가 가능하며, 정보 제공의 수준에 따라 일반인들에게도 기본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또한, 무선랜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좌표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절대 좌표 정보를 구함으로써 지하시설물의 상하수도 관거 설치 및 관리를 위해 정밀도가 높은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granting access to the database where integrated management information on water and sewage conduits of underground facilities is stor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and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according to the authority. In addition, by calculating the relative coordinates using the wireless LAN, and obtain the absolute coordinate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advantage that the high-precision loc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and sewage conduit of underground facilities. ha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에 지상지표와 지하지표를 설치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절차를 나타내는 흐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불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정밀 측량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정밀 좌표 산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ground indicator and the ground indicator are installed at a point where underground facilities are bur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showing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procedure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ecision survey using a wireless 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calculating precision coordinates using a W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본 발명에 의한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가 도시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자리 이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다수 지점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에 포함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200)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다수의 지하 지표(20-1, 20-2, ..., 20-n)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3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와 위치정보 서버(50)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40)과; 상기 통신망(4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서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송신하는 위치정보 서버(50)로 구성된다.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of a plurality of points where the movement of the seat rarely occurs, and the bas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ple points and th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buried nearby.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ments including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buried underground with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Indicators 20-1, 20-2, ..., 20-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the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20-n. A user terminal 30 which grasps the bas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buried in the vicinity of a point where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underground signs are installed; A communication network 40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50;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in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20-n) receives the encryption cod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20 -n) is composed of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50 that decrypt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n) and transmits back to the user terminal (30).

설명안된 부호 60은 국가지리정보원의 서버이며, 위치정보 서버(50)가 요청하는 지역의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지상지표와 지하지표의 부호는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때에는 대표번호 10과 20을 사용하여 표시한다.Unexplained code 60 is a server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provides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area reques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50. The signs of the ground indicators and underground indicators shall be marked using the representative numbers 10 and 20,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는 지하시설물(200)을 시공하는 때에 지하시설물 주변 지점을 계측하여 그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이거나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실시간으로 사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태그, 와이파이 장치 등일 수 있다.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points around the underground facilities when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th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Code including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for example, barcode, two-dimensional code including QR code, etc.) or electronic tags such as NFC-based RFID, wireless LAN-based RTLS (Real Time Location System, A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things in real time), a Wi-Fi device, and the like.

이때 상기 계측된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는 암호화하여 일반적 수단으로는 알 수 없도록 하여 저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ground information (10-1, 10-2, ... 10-n) and the ground information (20-1, 20-2, ..., 20-n) measured the groun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errain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are encrypted and stored so that they cannot be known by general mean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는 지하시설물(200)의 일종인 관거제품의 생산시에 관거제품에 표시되거나 코드 인쇄물을 부착하여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de (for example, a bar code, a two-dimensional code including a QR code,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attaching the printed code or printed on the conduit product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conduit product, which is a kind of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have.

그러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코드를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30)(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로 읽어들여 인터넷 또는 무선랜(Wireless LAN)을 통해 지하시설물(200)의 관거제품에 관련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손쉽게 지하시설물(200)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가 공유되어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의 방지를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면에서 가장 저렴하다.Therefore, the user reads the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ser terminal 30 (eg, smart phone, tablet PC, etc.) he is using, the conduit product of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through the Internet or a wireless LAN. Th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easily accessed by accessing the homepage related to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is shared and the underground facilities are surveyed every time they are constructed. It is the cheapest in terms of economics because it can prevent large accidents caused by construction without knowing work and changed information.

현재까지 나와있는 모든 관거제품을 인식하는 수단은 특별한 기능(주파수 발생, 혹은 자기력 발생)을 발생해야 하므로 원가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코드방식보다 상당히 고가이고 장치가 복잡하여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Means for recognizing all conduit products to date have to generate a special function (frequency generation, or magnetic force generation) in terms of cost is considerably more expensive than the cod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s complicated and can cause a failure.

그러므로, 지하에 매설하게 되는 경우 수명이 짧아지거나 침수등으로 인하여 변질되거나 형질이 변경되고 고장이 발생될 소지가 많다. 본 발명에 의한 코드 방식은 인쇄방식이라서 가장 저렴하고 가장 오래 사용할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반영구적이다.
Therefore, when buried underground, lifespan is shortened or deteriorated due to flooding, traits are chang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failure. Cod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inting method is the cheapest and the longest use, it is semi-permanent because no failure occurs.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30)는 일반전화기, 스마트폰, PDA , 타블렛 PC 등 널리 보급된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표시된 정보를 포함한 코드(예, QR코드 등) 또는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와이파이 장치 등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파악하고 통신망(40)을 통해 위치정보 서버(50)에 제공한다.
The user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idely used portable terminal such as a general telephone,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PC, and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n) and codes containing information shown in a number of underground tables (20-1, 20-2, ..., 20-n) (e.g. QR codes, etc.) or electronic tags such as NFC-based RFID, WLAN-based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RTLS tag, Wi-Fi device, etc. of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a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20-n) grasps the bas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buried nearby,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5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도 2에 본 발명에 의해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지점에 지상지표와 지하지표를 설치한 실시예가 도시된다.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ground indicators and underground indicators are installed at a point where underground facilities are buri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해 지상지표(10)는 지하시설(200)이 매설된 지상에 설치된 거의 모든 지점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건축물(21), 석재고정지표(12), 교통 표지판(13), 교통 신호등(14), 측량기준점으로 설치된 지표못(22) 및 관공서 건물(23) 등의 위치정보를 계측하고 그 계측된 정보를 표시하는 QR코드(12a, 13a, 14a, 21a, 22a, 23a)를 본 발명에 의한 지상지표(10)로서 사람의 눈에 잘 띄며 이동이 적은 곳에 표시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indicator 10 may be used at almost any point installed on the ground where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is buried, and as shown, a large building 21, a stone fixing indicator 12, and a traffic sign 13 ), QR codes 12a, 13a, 14a, 21a, 22a for measu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ffic light 14, the index pond 22 installed as a survey reference point, and the public office building 23, and displaying the measured information. 23a) is displayed on the ground indic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ce where the movement is prominent and less visible.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는 지하시설물(200) (예를 들면, 관거 등) 자체에 표시되거나 지하시설물(200)을 시공하는 때에 지하시설물(200)에 부착되거나 지하시설물 주변에 함께 지하에 매설될 수 있다. Many of the underground tables 20-1, 20-2, ..., 20-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layed on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eg, conduits, etc.) or construct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When attached to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or may be buried underground together around the underground facilities.

또한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는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등을 포함하는 지중표시기, 와이파이 장치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underground tables 20-1, 20-2,..., 20-n may be an electronic tag such as NFC-based RFID, a underground indicator including a wireless LAN-based RTLS tag, a Wi-Fi device, or the like. .

여기서, 지중표시기의 경우, 안테나와 같은 부분은 일부 지상에 노출되고, 태그가 포함된 몸체와 같이 고정을 위한 부분은 땅속에 박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태그를 포함하는 지중표시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078826호에 공개된 지중표시기가 대표적이다.
Here, in the case of the underground indicator, a part such as an antenna is exposed to some ground, and a part for fixing such as a body including a tag may be fixed by being embedded in the ground. As for the underground indicator including the electronic tag, the underground indicat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8826 is representative.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는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이거나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와이파이 장치같은 주파수 발생장치 등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derground tables 20-1, 20-2,..., 20-n are codes (eg, barcodes, two-dimensional codes including QR codes, etc.) containing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Electronic tags such as NFC-based RFID, RTLS tags based on WLAN, frequency generators such as Wi-Fi devices, and the like.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는 통상의 경우에 직선으로 연결되고 맨홀이 잘되어 있을 때는, 2차원바코드 방식으로 표시를 하고, 갑작스럽게 지하에서 변곡점이 생기거나 구부러지는데 맨홀이나 지상에 표시한 것만으로는 부족한 장소에서는, 주파수발생장치로서 WIFI를 발생하는 송신기의 신호 발생장치나 블루투수 송신기, NFC 송신기를 설치한다.Many underground tables (20-1, 20-2, ..., 20-n)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in the usual case and when the manhole is well displayed, two-dimensional bar code method is used. In places where the inflection point is created or bent but not enough to be marked on the manhole or on the ground, install a signal generator, a blue pitch transmitter, or an NFC transmitter of a transmitter that generates WIFI as a frequency generator.

또한 지상에 2차원바코드를 붙이고 지하에는 동일한 위치에 주파수발생 장치(와이파이), 블루투스 장치, NFC 장치 등을 붙여놓음으로써, 예를 들어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하지표(20)는 왼쪽으로 이동되었고, 지상에 부착된 지상지표(10)이 2차원바코드는 오른쪽으로 이동되었다면, 상기 2가지의 편차를 보면 얼마나 지상과 지하가 따로 움직였는지 알 수있도록 하여 지하 시설물의 이동탐지도 가능하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two-dimensional bar code on the ground and a frequency generator (Wi-Fi), Bluetooth device, NFC device, etc. in the same position in the basement, for example, when the earthquake occurs, the underground table 20 is moved to the left, If the ground indicator 10 attached to the ground is moved to the right of the two-dimensional bar code, by looking at the two deviations it is possible to detect how the ground and underground moved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ov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상기 계측된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되는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는 암호화하여 일반적 수단으로는 알 수 없도록 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The bas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asured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underground signs (20-1, 20-2, ..., 20-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is encrypted and stored so that it cannot be known by general means.

여기서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주파수발생 장치(와이파이), 블루투스 장치 등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계하여 전원이 없더라도 또는 밧데리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수명을 4년 이상 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Here, electronic tags such as NFC-based RFID, RTLS tags based on wireless LAN, frequency generators (Wi-Fi), Bluetooth devices, etc., are designed to transmit signals only when signals are input from the outside, so they can be used without a power source or with a battery. This can be used for more than four years or semi-permanent.

현재까지 나와있는 모든 다른 측정방식은 반듯이 전용장비를 사용해서 탐지(자기마커탐지, RFID탐지, 주파수탐지)를 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30, 110)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일반적인 무선통신장치(예를들면, 스마트폰과 타블랫PC 등)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용장비가 아닌 일반장비(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과 타블랫 PC(예, 아이패드) 등)로 파이프관거에 부착된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를 읽어들이거나 또는 전자태그, 와이파이장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관거의 측정장비로 사용할 수 있다.
All other measurement methods described up to now have been detected (dedicated magnetic marker detection, RFID detection, frequency detection) using dedicated equipment, but the user terminal 30,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E.g. smartphones and tablet PCs) can be used, and cords attached to pipe conduits with general equipment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e.g. iPads) owned by the general public), not dedicated equipment (For example, a two-dimensional code including a barcode, a QR code, etc.) or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from an electronic tag, a Wi-Fi device, etc. can be used as a measurement device of the conduit.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가 도시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거종합 관리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관리자 단말기(130), 코드 식별대상(140) 및 정보인식수단(1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통합 관리 서버(101), 인증 서버(102), 데이터베이스 서버(10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dui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server 100, a user terminal 110, a network 120, an administrator terminal 130, a code identification object 140, and an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 And the like. The service server 100 includes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an authentication server 102, a database server 103, and the like.

여기서 정보인식수단(150)은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이거나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태그, 와이파이 주파수 발생장치 등일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is a code (for example, a bar code, a two-dimensional code including a QR code, etc.) including informa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an electronic tag such as an NFC-based RFID, a wireless LAN-based RTLS (Real Time). Location System) tag, Wi-Fi frequency generator, and the like.

먼저, 코드 식별대상(140)(예를 들면, 관거) 제품 생산시 부여되는 제품의 일련번호 및 제품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03)에 저장하고, 통합관리서버(101)에서는 상기 저장된 정보와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를 생성하여 정보인식수단(150)으로 사용하거나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태그, 와이파이 주파수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인식수단(150)으로 사용할 수 있다. First, the code identification object 140 (eg, conduit) stores the serial number and product information, etc., of the product given in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in the database server 103,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stores the stored information and the basement. Generate a code (for example, a bar code, a two-dimensional code including a QR code, etc.)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use as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or an electronic tag such as NFC-based RFID, RTLS based on wireless LAN ( Real Time Location System) tag, the Wi-Fi frequency generator can be used as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for storing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또한 상기 코드와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와이파이 주파수 발생장치 등의 조합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combination of the code and an electronic tag such as NFC-based RFID, a wireless LAN-based RTLS tag, and a WiFi frequency generator may be used together.

상기 생성된 정보인식수단(150)은 해당 코드 식별대상(140), 예를들면 관거제품에 인쇄되거나 부착되거나 관거제품 매설시 함께 부근에 매설되어 시공된다. 이때, 상기 정보 인식수단(150)이 부착되거나 함께 매설시에 포함하는 코드 식별대상의 정보는 지하시설물(200)(예, 관거 등)을 위해 필요한 파이프 및 해당 부속 부품 뿐만 아니라, 맨홀, 설계도, 주요 지점 등도 될 수 있다.The generated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is constructed by being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code identification object 140, for example, printed or attached to conduit products or when embedding conduit products.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code identification target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attached or buried together, as well as pipes and corresponding parts required for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eg, conduits, etc.), manholes, blueprints, It can be a major point.

한편, 시공자는 정보인식수단(150)이 부착된 해당 코드 식별대상(140)(예, 관거 등)에서 사용자 단말기(30)(예를 들면, 스마트폰(110) 또는 전용 단말기 등)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인식수단(150)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인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actor using the user terminal 30 (for example, smart phone 110 or a dedicated terminal, etc.) in the code identification object 140 (for example, conduit, etc.) to which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is attached.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information recognizing means 150.

사용자 단말기(30)는 상기 정보인식수단(150), 예컨대 QR 코드,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와이파이 주파수 발생장치 등으로부터 정보가 읽어들여지면, 해당 정보(QR 코드, 전자태그에서 수신된 신호 등)를 분석하고, 상기 해당 정보에 포함된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지형정보 및 속성정보(관의 재질, 관의 길이, 관의 직경, 관의 수, 관의깊이, 관의 위치 등) 등을 사용자단말기(3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해당 코드와 링크된 URL 주소에 의해 네트워크(120)를 통해 통합관리서버(101)로 해당 정보를 요청하여 링크된 URL의 홈페이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30 reads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for example, a QR code, an electronic tag such as an NFC-based RFID, a wireless LAN-based RTLS tag, a Wi-Fi frequency generator,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QR). Code, signal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tag, etc.), and th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pipe material, pipe length, pipe diameter, pipe Number, depth of pipe, position of pipe, etc. ) on the user terminal 30, or by reques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through the network 120 by the URL address linked with the corresponding link The homepage of the URL can be displayed.

상기 요청에 따라, 통합관리서버(101)에서는 상기 URL 주소 등을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03)에서 해당 매핑된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 또는 스마트폰(110)으로 제공한다.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checks the URL address, etc., reads the mapped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server 103 and provides the mapp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 or the smartphone 110.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해당 정보인식수단(150)이 부착된 코드 식별 대상이 되는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지형정보 및 속성정보, 예컨대 파이프 등에 관한 각종 기입력된 정보들을 포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vided information is th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to be identified code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and various pre-inform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pipes, etc. To include them.

예컨대, 상기 제공되는 정보로는 지형정보와 속성정보(관의 재질, 관의 길이, 관의 직경, 관의 수, 관의 깊이, 관의 위치 등), 제품의 종류, 사용 용도, 파이프 관 방향, 시공 시간, 관거시설의 위치, 입력 당사자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ed may include terrain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pipe material, pipe length, pipe diameter, number of pipes, pipe depth, pipe position, etc.), type of product, use purpose, pipe pipe direction, and the like. , Construction time, location of conduit facilities, input party information, etc.

한편, 상기 시공자가 해당 제품을 시공할 때, 상기 해당 제품에 부착된 정보 인식수단(150)으로부터 정보를 읽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GPS 위치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이 제품 정보와 연계되어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기(30)에 표시되고, 서비스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03)에 저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er constructs the product, when the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attached to the product,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etc. are automatically linked to the produc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30 and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103 of the service server 100.

즉, 정보를 읽어들이는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30)(예를 들면, 스마트폰(110), 태블릿 PC 등)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스캔한 제품의 정보와 함께 통합 관리서버(101)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관리서버(101)는 상기 코드식별대상(140), 예를 들면 관거 제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03)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That is, at the time of reading th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30 (for example, the smartphone 110, the tablet PC, etc.)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 and scan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together with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updates the code identification object 140,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f the conduit product, to the database server 103. Save it.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정확한 지하시설물의 시공정보, 지형정보 및 속성정보를 용이하게 갱신입력 및 유지관리할 수가 있게 되며, 갱신정보가 인터넷 또는 무선랜을 통하여 각 기관이 담당하는 지하시설물에 대한 갱신자료를 교환하거나 공유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지하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고, 추후 유지 보수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and maintain the correct construction information, topographic information, and property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exchange the updated data on the underground facilities in charge of each organization through the Internet or wireless LAN. By sharing or sharing,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underground facilities more effectively, and can be easily used for future maintenan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관거 종합관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duit comprehensive management procedure using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통합 관리서버(101)에서는 코드 식별대상, 예컨대 관거제품(140)의 제품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관거제품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인식수단(50)(예, 코드, QR 코드, 전자태그 등)을 생성(S201, S202)한다. 상기 생성된 제품관련정보(예, 코드, QR 코드, 전자태그 등)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203)된다. Referring to FIG. 4, firs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conduit product information using a code identification object, for example, a product serial number of the conduit product 140 (eg, code, QR). Code, electronic tag, etc.) (S201, S202). The generated product related information (eg, code, QR code, electronic tag, etc.) is stored in a database (S203).

이때, 상기 생성된 제품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전자태그 등)를 생성하여 정보인식수단(150)으로 사용하거나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주파수 발생장치 등에 저장하여 정보인식수단(150)으로 사용한다.In this case, a code (for example, a barcode, a two-dimensional code including a QR code, an electronic tag, etc.) including the generated product-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used as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or an electronic such as NFC-based RFID. Tag, a wireless LAN-based RTLS tag, a frequency generator, and the like are used as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150.

상기 생성된 제품관련정보를 QR 코드로 출력하여 QR 코드를 표시하는 수단(예를 들면, 테이프 등)을 해당 제품(예를들면, 관거 등)에 부착하거나, 직접 해당 관거제품에 인쇄(S204)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종합 관리가 수행된다.The means for displaying the QR code by outputting the generated product-related information as a QR code (for example, a tape, etc.)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product (for example, conduit, etc.), or directly printed on the conduit product (S204). As a result,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product is performed.

사용자 단말기(30) 또는 관리자 단말기(110)에서는 시공시에 전용 어플리케이션(S205)을 실행하고, 해당 제품(140)으로부터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를 스캐닝(S206)하여 제품관련정보를 얻거나 해당 제품(140)에 부착된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주파수 발생장치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품관련정보를 얻게된다.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110 executes a dedicated application (S205)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scans a code (for example, a two-dimensional code including a barcode, a QR code, etc.) from the corresponding product 140 ( S206) to obtain product-related information or to receive a product-related information by receiving a signal from an electronic tag such as RFID attached to the product 140, a wireless LAN-based RTLS tag, a frequency generator,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기(30) 또는 관리자 단말기(110)에서는 이렇게 얻어진 제품관련정보(S206)를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해석(S208)하고, 해당 제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물 등으로 출력시키거나, 해당 제품의 세부 정보가 저장된 해당 URL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요청(S209)하게 된다.In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110, the product related information (S206) thus obtained is interpreted by a dedicated application (S208),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output on a display or printed matter, or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reques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to the stored URL (S209).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스마트폰이 아닌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용 단말기에 의해 구현될 경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최적화된 웹 서비스, 또는 전용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이나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implemented by a dedicated termin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a general smart phone, it is not processed by the dedicated application, but an optimized web service or a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he dedicated terminal. Or similar means.

통합 관리 서버(101)에서는 상기 단계 S209에서 정보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S210)하고, 해당 사용자의 권한이 인가된 사용자일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103)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독출(S211)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리자 단말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information in step S209 (S210), and if the user's authority is authorized, the database server 103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roduct. Read (S211) and transmits to the user's manager terminal 110 or the user terminal (3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공 관련정보(예컨대, GPS 상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관의 재질, 관의 길이, 관의 직경, 관의 수, 관의 깊이, 관의 위치 등))를 자동으로 생성(S213)하고, 상기 자동 생성된 정보와 해당 제품에 대한 추가 및 수정(S214)한 정보를 통합관리서버(101)로 전송한다. 통합관리서버(101)에서는 상기 수신된 추가정보 및 시공 관련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216)한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n GPS, terrain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pipe material, pipe length, pipe diameter, pipe number, pipe) Depth, the position of the pipe, etc.)) is automatically generated (S213), and the information automatically added and modified for the product (S214)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stores the received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in a database (S216).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불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통합관리서버(101)는 제품인식정보 생성부(311), 제품인식정보 관리부(312), 전자 지도매핑부(313), 정보입력부(314) 및 인증처리부(315)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1 includes a product recogn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1, a product recogn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2, an electronic map mapping unit 313, an information input unit 314, and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315. Can be configured.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03)는 QR 코드정보(321), 제품정보(322), 배송정보(323), 판매정보(324), 설계정보(325) 및 시공정보(326) 등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server 103 is composed of a database such as QR code information 321, product information 322, shipping information 323, sales information 324, design information 325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326, etc. Can be.

여기서 시공정보 데이터베이스(326)는 시공 관련정보(예컨대, GPS 상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관의 재질, 관의 길이, 관의 직경, 관의 수, 관의 깊이, 관의 위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database 326 includes construction-related information (e.g.,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n GPS, terrain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pipe material, pipe length, pipe diameter, number of pipes, pipe depth, pipe depth). Location, etc.).

지하시설물이 구축된 지역에 또다른 시설물들이 구축될 때 다시 지하시설물들의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같은 작업을 2번 반복하는 매우 비효율적인 작업이 되고, 지하시설물드이 구축될 때 지하시설물들의 위치나 속성 등이 변경되는 것을 다른 시공자가 알 수 없게 되어 대형사고가 유발되는 주원인이 된다.If another facility is surveyed when another facility is constructed in the area where the underground facility is constructed, it is very inefficient to repeat the same task twice. When the underground facility is constructed, the location and attributes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are changed. It is not possible for other contractors to know the change, which is the main cause of major accidents.

이러한 비효율성과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정보 데이터베이스(326)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inefficiency and major accidents,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database 326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a network.

상기 제품인식정보 생성부(311)는 각 제품의 일련번호 등을 이용하여 제품 인식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 또는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주파수 발생장치 등에 저장되는 제품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duct recogn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1 may use a code (eg, a barcode, a two-dimensional code including a QR code, or the like) includ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a serial number of each product, or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NFC-based RFID. Performs a function to generat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tag, a wireless LAN-based RTLS tag, and a frequency generator.

제품인식정보 관리부(312)는 해당 제품인식정보(예, QR 코드 등)에 매핑된 제품의 각종 제품인식정보(예, QR 코드, 전자태그에 저장된 제품인식정보 등)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갱신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duct recogn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2 stores and updates various product recognition information (eg, QR code, product recognition information stored in an electronic tag, etc.) of a product mapped to the corresponding product recognition information (eg, QR code). It performs the function.

전자 지도매핑부(313)는 상기 해당 제품인식정보(예, QR 코드 등)가 부착된 관거제품이 시공되어 설치될 때, 해당 관거제품이 시공된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 등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에 연결하여 전자지도에 매핑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lectronic map mapping unit 313, when the conduit product with the corresponding product recogn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QR code, etc.) is installed and installed, GIS (location information, terrain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etc.) It connects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map and display the map.

정보 입력부(314)는 관리자 단말기(13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 예를들면 스마트폰 등을 통해 입력된 제품 관련정보, 시공 관련정보, 배송 관련정보, 판매 관련정보 등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103)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314 receives a product-related information, construction-related information, delivery-related information, sales-related information, etc., which are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130 or the user terminal 30, for example, a smartphone, and the like, using a database server ( 103) to save.

인증 처리부(315)는 사용자 단말기(30)(예, 스마트폰 등)를 통해 제품인식정보(예, QR 코드,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주파수 발생장치 등에 저장되는 정보신호)를 읽어들임으로써 해당 제품의 데이터를 요청할 때, 인증서버(102) 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315 stor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QR code, electronic tag such as NFC based RFID, RTLS tag based on wireless LAN, frequency generator), etc.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eg, smartphone). When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requested by reading the information signal), the authentication server 102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user authentication.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정밀 측량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ecision survey using a wireless 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4개의 무선랜 장치가 시공 범위 내에 설치되면, 각 장치 간의 상대적인 3차원 좌표를 측량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1의 좌표를 (0,0,0)으로 기준점을 잡게 되면, 장치2, 장치 3, 장치 4의 상대적인 좌표가 측량될 수 있다. 즉, 장치2는 (0,100,10), 장치3은 (100,35,20), 장치4는 (120,95,0)과 같이 상대적인 좌표가 측량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상대 좌표는 (64,47,2)로 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four WLAN devices are installed within a construction range,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between the devices may be measured and calculated.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point of the device 1 is set to (0,0,0), the relative coordinates of the device 2, the device 3, and the device 4 may be measured. That is, relative coordinates are measured as (0, 100, 10), device 3 (100, 35, 20), and device 4 (120, 95, 0). Accordingly, the relative coordinates of the worker can be calculated as (64, 47, 2).

이와 같이 측량된상대 좌표로 절대 좌표를 계산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준점의 절대 좌표(위도 및 경도)와 각 장치간의 측정된 방향 및 거리값, 그리고 기존에 측정된 상대좌표를 통해 시공시의 절대 좌표를 해당 제품의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한다.In this way, absolute coordinates can be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relative coordinates to provid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In more detail, a database table corresponding to the serial number of the product is used to determine the absolute coordinates of the construction through the absolute coordinates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reference point, the measured direction and distance values between the devices, and the relative coordinates previously measured. Store in

특정 코드, 제품 일련 번호 또는 위치 정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정보 요청을 하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값과 함께 절대 좌표 값 및 상대 좌표 값을 제공한다. 이때, 상술한 방식을 통해 결정된 정밀한 절대 좌표값을 제공하여 현재의 정확한 위치 정보와 해당 위치 인근에 시공되어 있는 모든 제품들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표시해준다.When you request information from a database through a specific code, product serial number, or location information, you provide absolute and relative coordinate values along with corresponding values. At this time, by providing the precise absolute coordinate value determ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o display the current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all the products installed near the location.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 정확한 지하시설물 시공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밀도가 높은 위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a high-precision position measuring method required for accurate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정밀 좌표 산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calculating precision coordinates using a W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다수의 무선 신호 송신 장치(또는 무선랜)를 시공 범위 내 공간에 설치(S401)한 후, 한 지점을 기준으로 각 지점의 상대적인 3차원 좌표를 산출(S402)한다. 그런 다음, 산출된 값으로 시공시 위치의 상대적인 좌표값을 결정(S403)하게 된다. 이때, 기준점을 절대 좌표로 시공 시의 실제 절대 좌표를 산출(S404)함으로써, 시공 시 위치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405)할 수가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7, first,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transmitters (or wireless LANs) are installed in a space within a construction range (S401), and then relative 3D coordinates of each point are calculated based on one point (S402). Then,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of the positio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s determined by the calculated value (S403). At this time, by calculating the actual absolute coordinate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ith the reference point as the absolute coordinates (S404), it is possible to stor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n the database (S405).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따라 지하시설물(예, 상하수도 관거)를 종합 관리함에 있어서도 GPS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GPS의 오차범위의 현실화와 높이(또는 3차원 공간에서의 Z 좌표)값의 사용불가라는 단점은 여전히 존재한다.In more detail, as described above, in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eg, water and sewage conduits), due to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GPS, the realization of the error range of GPS and the use of height (or Z coordinate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 disadvantage of being impossible still exist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휴대 단말에서 위치 인식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신호 송신을 위한 장치를 설치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location recognition in a wireless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그런 다음, 각 장치를 시공 범위 내의 적절한 공간에 설치한 후 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각 지점의 상대적인 3차원 좌표를 측량하여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시공시의 상대 좌표값을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시공 범위가 장치의 신호 영역 이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after installing each device in the appropriate space within the construction range, and calculate the relati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each point on the basis of one point to determine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it is desirable that the construction range is within the signal region of the device.

이때, 이론상으로는 3개의 기준점으로 3차원 좌표 계산이 가능하나 실제로는 전파 전송의 시간 차이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최소 4개 이상의 장치가 필요하다. 즉, 각 지점마다 최소 4개 이상의 신호가 잡힐 수 있어야 한다.
In this case, theoretically, three-dimensional coordinate calculation is possible with three reference points, but in practice, at least four devices are required to reduce errors caused by time differences in radio wave transmission. That is, at least four signals must be caught at each poi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appended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지상지표 20: 지하지표
30: 사용자 단말기 40: 통신망
50; 위치정보 서버 60: 국가지리정보원 서버
100 : 서비스 서버 101 : 통합 관리 서버
102 : 인증 서버 103 : 데이터베이스 서버
110 : 스마트폰 120 : 네트워크
130 : 관리자 단말기 140 : 코드 식별 대상
150 : 정보인식수단 311 : QR 코드 생성부
312 : QR 코드 관리부 313 : 전자 지도 매핑부
314 : 정보 입력부 315 : 인증 처리부
321 : QR 코드 데이터베이스 322 :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323 :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 324 :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
325 : 설계 정보 데이터베이스 326 : 시공 정보 데이터베이스
10: Ground Indicator 20: Ground Indicator
30: user terminal 40: communication network
50; Location Information Server 6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erver
100: service server 101: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2: authentication server 103: database server
110: smartphone 120: network
130: manager terminal 140: code identification target
150: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311: QR code generation unit
312: QR code management unit 313: electronic map mapping unit
314: information input unit 315: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321: QR code database 322: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323: Shipping Information Database 324: Sales Information Database
325: Design Information Database 326: Construction Information Database

Claims (12)

다수 지점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에 포함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200)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다수의 지하 지표(20-1, 20-2, ..., 20-n)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3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와 위치정보 서버(50)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40)과;
상기 통신망(4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서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송신하는 위치정보 서버(50)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상기 지하시설물(200)의 정보가 필요한 경우, 지하시설물(200)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지상지표를 인식하는 것에 의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지상지표 및 지하지표를 필요에 따라 인식하고, 인식한 시점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의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서버(50)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 서버(5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상지표와 지하지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상지표와 지하지표의 위치변화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 installed on the ground of a plurality of points, including th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ints and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200 buried nearby. n);
A plurality of basements including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buried underground with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Indicators 20-1, 20-2, ..., 20-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the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20-n. A user terminal 30 which grasps the bas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buried in the vicinity of a point where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and underground signs are installed;
A communication network 40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50;
A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in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20-n) receives the encryption cod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20 -n) is composed of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50 to decode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ack to the user terminal 30,
The user terminal 30,
When th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is need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recognizing the ground indicator including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related information.
Recognize the ground indicator and the ground indicator as necessary,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round indicator and the ground indicator at the time of recogn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50,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50 detect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ground indicator and the ground indicator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round indicator and the ground indicator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는 지하시설물(200)을 시공하는 때에 지하시설물 주변 지점을 계측하여 그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를 저장한 코드이거나 NFC 기반의 RFID와 같은 전자태그, 무선 랜 기반의 RTLS 태그, 와이파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20-n) is to construct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At the time, it measures the point around the underground facilities and stores th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or electronic tag such as NFC-based RFID, RTLS tag based on WLAN, Wi-Fi devic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상기 지하시설물의 속성정보는 암호화하여 일반적 수단으로는 알 수 없도록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errain information and the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20-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is encrypted and stored so that it cannot be known by general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일반전화기, 스마트폰, PDA , 타블렛 PC 이며,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표시된 정보를 포함한 코드 또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파악하고 통신망(40)을 통해 위치정보 서버(5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30 is a general telephone,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PC, and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a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20-1, 20-2, ..., 20-n) by receiving a code or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plurality of ground indicators (10-1, 10-2, ... 10-n) and a plurality of underground indicators ( 20-1, 20-2, ..., 20-n) to grasp the bas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200) buried nearby and location information server ( 50)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는 지하시설물(200) 자체에 표시되거나 지하시설물(200)을 시공하는 때에 지하시설물(200)에 부착되거나 지하시설물 주변에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underground tables 20-1, 20-2,..., 20-n are displayed on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itself or attached to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when the underground facility 200 is constructed.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which is buried underground together around the facil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94766A 2011-08-04 2011-09-20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KR101122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766A KR101122185B1 (en) 2011-09-20 2011-09-20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PCT/KR2012/002453 WO2013018971A1 (en) 2011-08-04 2012-04-02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766A KR101122185B1 (en) 2011-09-20 2011-09-20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185B1 true KR101122185B1 (en) 2012-03-22

Family

ID=4614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766A KR101122185B1 (en) 2011-08-04 2011-09-20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185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11B1 (en) * 2014-05-02 2015-03-13 중앙항업(주) Field Support System for Space Information Underground Facilitues Using NFC
KR101539587B1 (en) * 2014-11-19 2015-08-10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Mobile Underground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marker approach has been applied
KR101602358B1 (en) 2015-11-24 2016-03-22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Updated image data system by GIS based new data
KR101689735B1 (en) 2016-04-11 2016-12-26 이명의 Collective System of Integrated Information for Underground Distributed Line with Pad Transformer and Pad Switch
KR101744189B1 (en) 2015-11-14 2017-07-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anhole 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USN
KR101767406B1 (en) * 2016-10-21 2017-08-11 대진기술정보 (주) A data processing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information on the buried pipe
KR20180132183A (en) 2017-05-30 2018-12-12 주식회사 차후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for underground facility and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KR102478341B1 (en) * 2021-12-08 2022-1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Underground burial management system that can build a three-dimensional underground space map
KR102633001B1 (en) * 2023-03-27 2024-02-05 주식회사 무브먼츠 Method for implement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r in an offline environment using combined data precessing of qr code and nfc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080A (en) * 2006-07-26 2008-01-30 한국수자원공사 Water supply information integrate management method using usn
KR100955592B1 (en) * 2009-12-02 2010-04-30 (주) 지오매틱스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g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44991B1 (en) * 2010-11-18 2011-06-29 주식회사 차후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drain pipe by calculating a position using a wireless lan
KR101044990B1 (en) 2010-11-18 2011-06-29 주식회사 차후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drain pipe using augmented rea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080A (en) * 2006-07-26 2008-01-30 한국수자원공사 Water supply information integrate management method using usn
KR100955592B1 (en) * 2009-12-02 2010-04-30 (주) 지오매틱스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g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44991B1 (en) * 2010-11-18 2011-06-29 주식회사 차후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drain pipe by calculating a position using a wireless lan
KR101044990B1 (en) 2010-11-18 2011-06-29 주식회사 차후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drain pipe using augmented realit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11B1 (en) * 2014-05-02 2015-03-13 중앙항업(주) Field Support System for Space Information Underground Facilitues Using NFC
KR101539587B1 (en) * 2014-11-19 2015-08-10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Mobile Underground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marker approach has been applied
KR101744189B1 (en) 2015-11-14 2017-07-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anhole 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USN
KR101602358B1 (en) 2015-11-24 2016-03-22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Updated image data system by GIS based new data
KR101689735B1 (en) 2016-04-11 2016-12-26 이명의 Collective System of Integrated Information for Underground Distributed Line with Pad Transformer and Pad Switch
KR101767406B1 (en) * 2016-10-21 2017-08-11 대진기술정보 (주) A data processing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information on the buried pipe
KR20180132183A (en) 2017-05-30 2018-12-12 주식회사 차후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for underground facility and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KR102478341B1 (en) * 2021-12-08 2022-1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Underground burial management system that can build a three-dimensional underground space map
KR102633001B1 (en) * 2023-03-27 2024-02-05 주식회사 무브먼츠 Method for implement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r in an offline environment using combined data precessing of qr code and nf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185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JP5689180B2 (en) Integrated pip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KR101744189B1 (en) Smart manhole 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USN
CN108254792A (en) Underground installation wireline inspection
KR101179001B1 (en) System for measuring position and management of buried structures
KR101958441B1 (en) System for digging,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of country life line using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AR
KR101000949B1 (en) Web-based realtime surveying managing system
KR101053456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pipe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WO2013018971A1 (e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KR101433614B1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n Buried Structure
KR101090976B1 (en) Verifying apparatus for a poi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using a third position
KR20150044572A (en) System and method for geo-fence establishment
KR1004810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JP2014055908A (en) Method and device for specifying ground-fault position of power cable
KR101044991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drain pipe by calculating a position using a wireless lan
KR100883794B1 (en) Device for surveying pipe and method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US9759833B2 (en) Buried asset detection including portable transmitter hookup logging
KR102222687B1 (en) Control point system based on mobile app
US8872626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KR101209285B1 (en) Surveying data control system for the surface of the earth checking datumpoint and benchmark
KR201101349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video call
KR100871613B1 (en) Rfid using cordinate construction-syste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185160B1 (en) System and method of mesuring the depth of a drain pipe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ans
KR101208075B1 (en) Verifying apparatus for a poi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using a third position
US9086441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