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440B1 -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440B1
KR101121440B1 KR1020110058685A KR20110058685A KR101121440B1 KR 101121440 B1 KR101121440 B1 KR 101121440B1 KR 1020110058685 A KR1020110058685 A KR 1020110058685A KR 20110058685 A KR20110058685 A KR 20110058685A KR 101121440 B1 KR101121440 B1 KR 101121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obile communication
tag
func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440B1/ko
Priority to CN201280036575.8A priority patent/CN103703863A/zh
Priority to CN201810410143.8A priority patent/CN108289154A/zh
Priority to PCT/KR2012/002174 priority patent/WO2012173332A1/ko
Priority to JP2014515712A priority patent/JP2014519786A/ja
Priority to US13/444,810 priority patent/US2012032237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에프시(NFC) 방식의 태그와 리더모드(Reader Mode)로서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태그에서 기록된 데이타를 엔에프시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엔에프시 안테나; 상기 태그에 기록되어진 데이타를 엔에프시 방식으로 상기 엔에프시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엔에프시 컨트롤러; 상기 태그에 기록되어져 있는 데이타를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로부터 인가받아 상기 데이타를 분석하는 기능제어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의 데이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어가 포함되는 기능제어데이타이고, 상기 기능제어부는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 포함된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인가하여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 포함된 명령어가 실행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강제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Mobile phone using NFC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에프시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엔에프시 태그가 위치된 특정 지역으로 이동되었을 경우에 상기 태그와의 통신에 의하여 벨소리, 녹음, 스캔, 착신전환과 같은 통신단말기의 기능을 강제적으로 제어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유무선단말기간의 통신뿐만 아니라 통신의 착신과 발신을 인지하기 위한 벨소리 기능과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 기능 이외에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MP3,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녹음, 문서를 복사하여 기록하는 스캔, 기록된 문자 정보를 읽도록 하는 전자책, 메모, 데이터 단말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function, 이하, ‘기능’이라 한다.)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이하, ‘이동단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으로 까지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 진행될 전망이다.
특히, 이동단말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거의 모든 사람이 이동단말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러한 이동단말에 엔에프시(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적용하여 저전력으로 근거리에서 무선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엔에프시 기능을 이용하여 신용카드와 같이 금융 결제하는 방식을 비접촉식 어플리케이션 신호라 하며 비접촉식 어플리케이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스마트카드 수단이라 하고, 최근에는 이동단말에 스마트카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단말을 휴대한 상태로 회의실, 교육장소, 도서관 등과 같이 정숙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통신의 착신 상태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착신벨 소리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타인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거나 해당 프로그램의 진행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제한된 장소(영역, 존; zone)에서는 이동단말이 청각적인 벨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무음 또는 매너모드로 운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소, 개발실, 공장 등과 같이 많은 비용을 투입하여 새로운 기술을 연구, 개발, 생산하는 장소(이하, ‘보안지역’이라 한다.)에서 이동단말의 카메라 기능, 녹음기능, 스캔기능 등을 이용하여 중요한 비밀정보를 허락 없이 촬영, 녹음 및 스캔하여 외부로 유출하거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신속하게 전송하는 등의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보안지역에서는 보안 유지를 위하여 이동단말의 카메라 기능, 녹음 기능, 스캔 기능, 통신 기능, 착신벨 기능 등과 같은 선택된 특정 기능이 운용되지 않도록 자동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에프시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엔에프시 태그와 통신을 통해 상기 태그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장치구성(예를 들면, 카메라, 진동, 벨소리, 메세지출력, 착신전환, 녹음, 스캔)의 제어 명령어를 송신 및 실행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치구성을 강제제어할 수 있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엔에프시(NFC) 방식의 태그와 리더모드(Reader Mode)로서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태그에서 읽어들이는 데이타를 엔에프시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엔에프시 안테나; 상기 태그에서 읽어들이는 데이타를 상기 엔에프시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엔에프시 컨트롤러; 상기 태그에서 읽어들이는 데이타를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로부터 인가받아 상기 데이타를 분석하는 기능제어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의 데이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어가 포함되는 기능제어데이타이고, 상기 기능제어부는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 포함된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인가하여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 포함된 명령어가 실행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강제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는 상기 태그에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여 통신가능 대상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태그와 엔에프시 통신을 개시하고, 상기 태그로부터 읽어들이는 기능제어데이타를 상기 기능제어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가 저장되는 명령어포맷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엔에프시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식별정보부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와, 상기 명령어포맷부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구비된 기능제어데이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송신하는 태그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명령저장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오프시키는 명령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프 된 기능을 온 시키는 명령어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오프 시킨 후 설정된 시간 이후에 온 시키는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식별자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저장되는 엔에프시 방식의 태그와 엔에프시 방식으로 통신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그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리더모드로 변환되는 리더모드변환단계; 상기 리더모드 변환단계 이후, 상기 태그에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는 식별자 정보요청단계; 상기 태그로부터 식별자 정보요청 단계 이후에 상기 태그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응답수신단계; 상기 응답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태그와 세션을 형성할지를 판단하는 세션형성판단단계; 상기 세션형성판단단계에서 통신가능한 식별자 정보로 확인되면 세션을 형성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데이타를 읽어들이는 데이타수신단계; 상기 데이타수신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기능제어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서 명령어를 독출하는 명령어독출단계; 상기 명령어독출단계에서 독출된 명령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에 인가하여 상기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명령어실행단계; 및 상기 명령어실행단계에서 선택된 장치의 실행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선택된 기능을 오프시키는 명령어와 선택된 기능을 온 시키는 명령어 및 선택된 기능을 오프 시킨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온 시키는 명령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리더모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 제어 명령어를 태그에 저장하여 통신가능위치에 접근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강제제어할 수 있어 영화관이나 공원, 버스, 목욕탕과 같이 특정한 장소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으로 인한 주변사람들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일일이 조작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태그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서 단말기구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서 태그의 구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엔에프시(NFC) 방식으로 통신하는 태그(20)와 이동통신단말기(10) 간의 강제제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10)는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스마트폰, PDA, PDP, 넷북, 태블릿PC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태그(20)는 특정한 지역이나 장소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식별자 정보를 통하여 인증되는 엔에프시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10)에 선택된 기능의 실행을 강제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기능제어데이타를 제공한다.
즉, 예를 들면, 상기 태그(20)는 극장에 설치되어 관람객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벨소리 모드를 상영관에 입장하면 상기 태그(20)와 관람객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1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NFC)에 의하여 자동으로 착신시에 진동모드로 강제변환되거나 또는 카메라를 오프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태그(2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에 포함된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하나 이상 저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태그(20)는 강제로 오프시키는 락킹명령어를 송신하는 제1태그(20a)와, 오프된 기능을 온시키는 언락킹 명령어를 송신하는 제2태그(20b)와, 오프 명령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온 하는 명령어를 송신하는 제3태그(20c)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락킹 명령과 언락킹 명령을 송신하는 각각의 태그(20a, 20b, 20c)는 극장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극장에 출입하는 관객의 이동통신단말기(10)의 벨소리를 강제오프시킨다. 그리고 극장에서 퇴실하는 관객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강제 제어를 통해 오프된 벨소리가 자동으로 온 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태그(20a, 20b, 20c)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자체적으로 갖는 기능을 실현하는 다 수개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카메라, 스캐너, 음향입출력장치, 진동출력장치, 디스플레이, 광출력장치, 데이타송수신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태그(20)에서 송신되는 기능제어 명령어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상기와 같은 장치가 장착되어 유무선 단말기 간의 통신, 카메라, 음성녹음 및 재생, 스캔, 벨소리 및 진동출력의 온오프, 착신모드변경(진동, 벨소리), 동영상의 촬영 및 재생, 무선인터넷 접속, 문자송수신, 음성통화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기능'으로 총칭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 출력장치와 진동출력장치는 착신이나 수신 음량의 조절과 소거, 진동 또는 벨소리 출력과, 진동모드에서 벨소리모드로의 변경, 녹음 및 재생, 키패드의 터치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의 조절이나 소거를 수행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출력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기능중에서 발광되어 랜턴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와 키패드의 밝기를 조절하는 발광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데이타송수신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10)간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근접된 단말기 간에 무선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적외선통신장치와 블루투스를 일예로 들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실행가능한 장치에 의해 구현되며, 각 장치는 상기 태그(20a, 20b, 20c)와의 엔에프시 통신을 수행하는 엔에프시 장치가 아닌 이동통신단말기(10)를 제어하는 단말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는 리더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태그(20)와 일대일로 엔에프시 방식으로 통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약 10센티미터의 근거리에서 13.56㎒의 주파수대역의 데이타를 수신하는 안테나(11)와, 상기 안테나(11)를 통하여 상기 태그(20)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들여 엔에프시 방식으로 무선통신하는 엔에프시 컨트롤러(12)와,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에서 수신된 기능제어데이타에서 명령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기능제어부(13)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제어하는 단말제어부(14)와, 수신된 기능제어데이타를 기록 및 저장하는 메모리(15)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1)는 10센티미터의 근거리에서 상기 태그(20)에서 읽어들이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에 인가하고,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에서 인가되는 송신신호를 상기 태그(20)에 송신한다.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는 상기 태그(20)의 식별자 정보의 요청 및 확인하는 태그통신구현모듈(1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자 정보(AID)는 데이타 포맷에 따라 서로 다른 애플릿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는 상기 태그(20)와 근접된 거리에 위치되면 상기 태그통신구현모듈(121)이 구동되어 상기 태그(20)에 상기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여 상호 간의 데이타 포맷이 동일한 것을 확인하여 상기 태그(20)와 무선통신을 진행한다.
상기 단말제어부(14)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카메라, 전원부, 녹음기, 재생기, 진동출력장치, 음향출력장치, 디스플레이, 광출력장치와, 유무선데이타통신, 단말기간 통화 및 문자송수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에 장착된 장치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제어부(14)는 상기 기능제어부에서 인가되는 명령어를 수신하여 장착되는 장치들 중에서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어느 하나의 장치를 강제 오프, 온, 또는 오프 후 일정시간이 후 온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한다.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에서 수신된 기능제어데이타에 포함된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제어부(14)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제어부는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에서 인가되는 기능제어데이타를 상기 메모리(15)에 저장하고, 저장된 기능제어데이타를 분석하여 명령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추출된 명령어를 상기 단말제어부(14)에 인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상기 명령어가 카메라의 오프, 벨소리모드 오프, 디스플레이의 오프, 진동출력오프, 녹음기의 오프, 스피커의 오프, 카메라오프와 같은 기능 중 어느 하나의 명령어인지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제어부(14)에 인가한다.
아울러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상기 단말제어부(14)의 명령어 실행 및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문자로서 출력하는 명령어를 상기 단말제어부(14)에 인가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태그(2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장치에서 태그(20)는 상기 리더기(이동통신단말기(10))에 장착된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를 저장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와 세션을 형성한 이후에 데이타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명령어가 포함된 기능제어데이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에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태그(20a)는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부(21)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저장되는 명령어포맷부(23)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와 엔에프시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식별정보부(21)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와, 상기 명령어포맷부(23)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로 이루어진 기능제어데이타를 송신하는 태그통신부(22)를 포함한다.
이중 상기 명령어포맷부(23)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명령저장모듈(231, 232, 233)과, 상기 명령저장모듈(231)에 저장된 최초 실행 명령어의 해제명령어를 저장하는 변환명령모듈(23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그는 락킹명령어가 포함된 제1태그(20a)와, 언락킹명령어가 포함된 제2태그(20b)와, 락킹후 언락 명령어가 포함된 제3태그(20c)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적용됨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태그(20a)의 상기 명령저장모듈(231)은 "A 기능 OFF", "B 기능 OFF" 및 "C 기능 OFF"와 같은 락킹(Locking)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제2태그(20b)의 상기 명령저장모듈(232)은 "A 기능 ON", "B 기능 ON" 및 "C기능 ON"과 같은 언락(Unlocking)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제3태그(20c)는 "A 기능 OFF", "B 기능 OFF" 및 "C 기능 OFF"의 명령어가 저장되는 명령저장모듈(233)과, 상기 명령저장모듈의 명령어를 변환시키는 "E시간 경과후 A 기능 ON", "E시간 경과후 B 기능 ON" 및 "E시간 경과후 C 기능 ON"와 같은 변환 명령어를 저장하는 변환명령모듈(23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태그(20a, 20b, 20c)는 주변환경이나 장소의 특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상기 제1 내지 제3태그(20a, 20b, 20c)의 명령어에 따라서 구비된 각 기능을 강제로 온 또는 오프 또는 오프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온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10)는 상기와 같은 태그(20)와 이동통신단말기(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달성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방법을 하기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방법에서 단말기구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방법은 식별자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10)에 장착되는 장치의 기능제어명령을 저장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에 송신하는 태그구동단계(S20)와, 상기 태그(20)와 엔에프시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기능제어명령에 따라서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동단계(S10)를 포함한다.
이중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구동단계(S10)는 상기 태그(20)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드리는 리더모드로 변환되는 리더모드 변환단계(S11)와, 상기 리더모드 변환단계(S11) 이후, 상기 태그(20)에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는 식별자 정보 요청단계(S12)와, 상기 식별자 정보 요청 단계(S12) 이후에 상기 태그(2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응답수신단계(S13)와, 상기 응답수신단계(S13)에서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태그(20)와 세션을 형성할지를 판단하는 세션형성 판단단계(S14)와, 상기 세션형성 판단단계(S14)에서 통신가능한 식별자 정보로 확인되면 세션을 형성하여 상기 태그(20)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수신단계(S15)와, 상기 데이타 수신단계(S15)에서 장치를 제어명령이 포함되는 기능제어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서 명령어를 독출하는 명령어 독출단계(S16)와, 상기 명령어 독출단계(S16)에서 독출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어 실행단계(S17)와, 상기 명령어실행단계에서 선택된 장치의 실행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S18)를 포함한다.
상기 리더모드 변환단계(S11)는 상기 태그(20)에 저장되는 데이타를 읽어들이기 위하여 리더모드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하여 리더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선택신호가 상기 단말제어부(14)를 통해 기능제어부(13)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를 제어하여 리더모드로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식별자 정보 요청단계(S12)는 상기 리더모드 변환단계(S11)에서 상기 기능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리더모드로 변환된 엔에프시 컨트롤러(12)가 상기 안테나(11)를 통해 근접된 태그(20)에 식별자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는 상기 태그통신구현모듈(121)을 통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응답수신단계(S13)는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에서 상기 태그(20)로부터 식별자 정보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는 상기 태그(20)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식별자 정보와 일치되는 지를 확인한다.
상기 세션형성 판단단계(S14)는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에서 상기 응답수신단계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태그(20)와 무선통신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데이타 수신단계(S15)는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에서 상기 태그(20)로부터 데이타를 읽어들이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태그(20)로부터 읽어들이는 데이타는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구현되는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기능제어데이타이다.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12)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기능제어데이타를 상기 메모리(15)에 기록한다.
상기 명령어 독출단계(S16)는 상기 기능제어부(13)에서 상기 메모리(15)에 기록된 기능제어데이타를 분석하여 명령어를 분석하고 독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5)에 기록되는 기능제어데이타는 암호화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암호화되어 메모리(15)에 기록되는 기능제어데이타를 복호화하여 명령어를 독출한다. 이때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상기 태그(20)가 락킹, 언락킹 또는 락킹 후 언락킹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분석한다.
상기 명령어실행단계(S17)는 상기 기능제어부(13)에서 독출된 명령어를 상기 단말제어부(14)에 인가하여 선택된 기능을 강제제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제어부(14)는 상기 기능제어부(13)에서 인가되는 명령어에 따라서 선택된 장치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착신시에 진동모드로의 전환, 카메라 오프, 녹음기의 오프등과 같은 기능중에서 선택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강제로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제어부(14)는 상기 제1태그(20a)에서 송신되는 락킹 명령어 또는 상기 제2태그(20b)에서 송신된 언락킹 명령어인지를 확인하여 선택된 기능을 오프 또는 온시킨다. 아울러 상기 단말제어부(14)는 상기 제3태그(20c)의 명령저장모듈(231, 232, 233)과 변환명령모듈(234)에 저장된 명령어가 조합된 락킹 후 언락킹으로 변환되는 명령어라면 선택된 기능을 오프시킨 뒤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선택된 기능을 다시 온 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결과출력단계(S18)는 상기 기능제어부(13)에서 상기 명령어실행단계(S17)에서 구동되는 기능과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명령을 인가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제어부(13)는 상기 명령어 실행단계(S17)에서 카메라를 강제제어하여 오프 시켰다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카메라가 오프 되었습니다"라는 문자를 출력하는 결과출력명령을 상기 단말제어부(14)에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제어부(14)는 상기 기능제어부의 결과출력명령에 따라서 상기 문자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의 문장을 작성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후술되는 변환명령어에 의해 상기 명령어 실행단계(S17)에서 실행된 명령어가 변환되도록 설정된다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극장의 상영관에 입장하였고, 상기 명령어 실행단계(S17)에서 착신시에 벨소리 모드에서 진동모드로 변경되었다면, "벨소리가 오프되었으며, 2시간 후 온됩니다."라는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10)의 구동단계와 함께 상기 태그(20)의 구동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20)의 구동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시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방법에서 태그(20)의 구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태그(20)의 구동단계는, 대기단계(S21)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식별자 정보의 요청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식별자 정보요청판단단계(S22)와, 상기 식별자 정보요청판단단계(S22)에서 식별자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는 응답단계(S23)와, 상기 응답단계(S23)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와 세션을 형성하는 세션형성단계(S24)와, 상기 세션형성단계(S24) 이후에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기능제어데이타를 송신하는 명령어송신단계(S25)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자 정보요청판단단계(S2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식별자 정보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태그(20)는 상기 태그통신부(22)에서 상기 안테나(11)를 통해 송신되는 식별자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응답단계(S23)는 상기 태그통신부(22)에서 상기 식별정보부(21)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션형성단계(S24)는 상기 응답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식별자 정보의 확인결과 상호 일치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양측간에 세션이 형성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명령어송신단계(S25)는 상기 세션형성단계(S24) 이후 상기 명령어포맷부(23)에 저장된 기능제어데이타를 송신한다. 상기 기능제어데이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에 설치된 기능을 제어하는 락킹, 언락킹 및 락킹과 언락킹의 조합된 명령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태그(20a)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기능을 오프시키는 락킹명령어를 송신하고, 상기 제2태그(20b)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오프된 기능을 온시키는 언락킹 명령어를 송신하며, 상기 제3태그(20c)는 오프시킨 뒤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온시키는 락킹과 언락킹이 조합된 명령어를 각각 송신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태그(20)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장치를 강제제어하는 명령어를 저장하여 장소별 특성에 맞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기능을 강제제어 및 해제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사용으로 대중에게 불편함이나 보안이나 기밀을 필요한 장소에서의 정보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활용도가 높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사업자나 설계자 또는 판매자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이 가능하며, 위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은 엔에프시 방식으로 무선통신하는 태그(20)와 이동통신단말기(10)를 구비하고, 상기 태그(20)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기능을 강제 제어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해당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이동통신단말기 11 : 안테나
12 : 엔에프시 컨트롤러 13 : 기능제어부
14 : 단말제어부 15 : 메모리
20 : 태그 21 : 식별정보부
22 : 태그통신부 23 : 명령어포맷부
121 : 태그통신구현모듈 231, 232, 233 : 명령저장모듈
234 : 변환명령모듈

Claims (6)

  1. 엔에프시(NFC) 방식의 태그와 리더모드(Reader Mode)로서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태그에 기록되어져 있는 데이터를 엔에프시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엔에프시 안테나;
    상기 태그에 기록되어져 있는 데이타를 상기 엔에프시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엔에프시 컨트롤러;
    상기 태그에서 읽어들이는 데이타를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로부터 인가받아 상기 데이타를 분석하는 기능제어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의 데이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어가 포함되는 기능제어데이타이고,
    상기 기능제어부는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 포함된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인가하여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 포함된 명령어가 실행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강제제어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수의 기능 각각을 락킹 및 언락킹 하는 다수의 명령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능제어데이타는 상기 다수의 명령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동시에 락킹 또는 언락킹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에프시 컨트롤러는
    상기 태그에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여 통신가능 대상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태그와 엔에프시 통신을 개시하고, 상기 태그로부터 읽어들이는 기능제어데이타를 상기 기능제어부에 인가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가 저장되는 명령어포맷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엔에프시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식별정보부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와, 상기 명령어포맷부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구비된 기능제어데이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태그통신부를 포함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포맷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락킹한 후 설정된 시간 이후에 언락킹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5. 식별자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저장되는 엔에프시 방식의 태그와 엔에프시 방식으로 통신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그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리더모드로 변환되는 리더모드변환단계;
    상기 리더모드 변환단계 이후, 상기 태그에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는 식별자 정보요청단계;
    상기 태그로부터 식별자 정보요청 단계 이후에 상기 태그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응답수신단계;
    상기 응답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태그와 세션을 형성할지를 판단하는 세션형성판단단계;
    상기 세션형성판단단계에서 통신가능한 식별자 정보로 확인되면 세션을 형성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수신단계;
    상기 데이타수신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기능제어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제어데이타에서 명령어를 독출하는 명령어독출단계;
    상기 명령어독출단계에서 독출된 명령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에 인가하여 상기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명령어실행단계; 및
    상기 명령어실행단계에서 선택된 장치의 실행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수의 기능 각각을 락킹 및 언락킹하는 명령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능제어데이타는 상기 다수의 명령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동시에 락킹 또는 언락킹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선택된 기능을 락킹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언락킹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10058685A 2011-06-16 2011-06-16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KR101121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685A KR101121440B1 (ko) 2011-06-16 2011-06-16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CN201280036575.8A CN103703863A (zh) 2011-06-16 2012-03-26 Nfc通信方式的移动通信终端及控制方法
CN201810410143.8A CN108289154A (zh) 2011-06-16 2012-03-26 Nfc通信方式的移动通信终端及控制方法
PCT/KR2012/002174 WO2012173332A1 (ko) 2011-06-16 2012-03-26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JP2014515712A JP2014519786A (ja) 2011-06-16 2012-03-26 Nfc通信方式の移動通信端末機及び制御方法
US13/444,810 US20120322370A1 (en) 2011-06-16 2012-04-11 Near field communication-enab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685A KR101121440B1 (ko) 2011-06-16 2011-06-16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440B1 true KR101121440B1 (ko) 2012-03-16

Family

ID=4614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685A KR101121440B1 (ko) 2011-06-16 2011-06-16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322370A1 (ko)
KR (1) KR1011214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895B1 (ko) * 2013-01-30 2013-10-16 에이큐 주식회사 기능코드를 이용하여 단말기능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8147B1 (ko) * 2012-08-31 2014-04-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51967B1 (ko) * 2012-10-16 2014-10-21 주식회사 마크애니 단말 장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EP3882797A1 (en) 2007-09-24 2021-09-22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8600120B2 (en)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9684394B2 (en) 2011-01-10 2017-06-2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271407B2 (en) 2011-06-30 2019-04-23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device having Internet connectivity
US9386666B2 (en) 2011-06-30 2016-07-05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of optically transmitting digital information from a smart phone to a control device
US9544977B2 (en) 2011-06-30 2017-01-10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of programming a load control device using a smart phone
WO2013033257A1 (en) 2011-08-29 2013-03-07 Lutron Electronics Co., Inc. Two-part load control system mountable to a single electrical wallbox
US8769624B2 (en) 2011-09-29 2014-07-01 Apple Inc. Access control utilizing indirect authentication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US10097496B2 (en) 2012-05-09 2018-10-09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US10235014B2 (en) 2012-05-09 2019-03-19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0649622B2 (en) 2012-05-09 2020-05-12 Apple Inc. Electronic message user interface
TWI609343B (zh) * 2012-09-21 2017-12-21 Mobile financial trading system and method
KR20140063987A (ko) * 2012-11-19 2014-05-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엔에프씨 태그, 엔에프씨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복수 작동 명령어 데이터 저장방법 및 실행방법
US9549323B2 (en) 2012-12-0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KR20140075976A (ko) * 2012-12-11 2014-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및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US10244086B2 (en) 2012-12-21 2019-03-26 Lutron Electronics Co., Inc. Multiple network access load control devices
US9413171B2 (en) 2012-12-21 2016-08-09 Lutron Electronics Co., Inc. Network access coordination of load control devices
US10019047B2 (en) 2012-12-21 2018-07-10 Lutron Electronics Co., Inc. Operational coordination of load control devices for control of electrical loads
CN103916520B (zh) * 2013-01-05 2016-0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情侣手机控制对方开机的方法和系统
EP2753048B1 (en) 2013-01-07 2019-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8963693B2 (en) 2013-02-27 2015-02-2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eting resources
US10135629B2 (en) 2013-03-15 2018-11-20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device user interface and database management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S9276643B2 (en) 2013-06-07 2016-03-01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nlock and tag data change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WO2014197336A1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interactions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EP2811724B1 (en) * 2013-06-07 2019-01-02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nlock and tag data change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9898642B2 (en)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AU2013404001B2 (en) 2013-10-30 2017-11-30 Apple Inc. Displaying relevant user interface objects
US10013675B2 (en) * 2014-04-17 2018-07-03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reminding user
US9483763B2 (en) 2014-05-29 2016-1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313506B2 (en) 2014-05-30 2019-06-04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US9471330B2 (en) * 2014-05-30 2016-10-18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and for selecting boot configu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9967401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hone call routing among devices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US10254948B2 (en) 2014-09-02 2019-04-09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CN115695632A (zh) 2014-09-02 2023-02-03 苹果公司 电话用户界面
CN112199000A (zh) 2014-09-02 2021-01-08 苹果公司 多维对象重排
KR102143308B1 (ko) 2014-09-02 2020-08-10 애플 인크. 경고를 관리하기 위한 축소된 크기의 인터페이스
WO2016036552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US9547419B2 (en) 2014-09-02 2017-01-17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US20160224973A1 (en) 2015-02-01 2016-08-0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9574896B2 (en) 2015-02-13 2017-02-21 Apple Inc. Navigation user interface
US10466883B2 (en) 2015-03-02 2019-11-05 Apple Inc. Screenreader user interface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US10254911B2 (en) 2015-03-08 2019-04-09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US20160358133A1 (en) 2015-06-05 2016-12-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US9940637B2 (en) 2015-06-05 2018-04-10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US10621581B2 (en) 2016-06-11 2020-04-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US9842330B1 (en) 2016-09-06 2017-1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tored-value accounts
US10277283B2 (en) * 2016-09-14 2019-04-30 Sony Corporation NFC device, reader/writer device and methods for authorizing and performing an update
US10860199B2 (en) 2016-09-23 2020-12-08 Apple Inc. Dynamically adjusting touch hysteresis based on contextual data
US10496808B2 (en) 2016-10-25 2019-12-0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ccess to credentials for use in an operation
KR102185854B1 (ko) 2017-09-09 2020-12-02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KR102301599B1 (ko) 2017-09-09 2021-09-10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US11170085B2 (en) 2018-06-03 2021-11-09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860096B2 (en) 2018-09-28 2020-12-08 Apple Inc.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US10931815B1 (en) * 2018-10-24 2021-02-23 Securus Technologies, Llc Restricting video or other services for personal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resident communication and/or data devices to specific areas
US11328352B2 (en) 2019-03-24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n account
US11477609B2 (en) 2019-06-01 2022-10-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481094B2 (en) 2019-06-0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169830B2 (en) 2019-09-29 2021-11-09 Apple Inc. Account management user interfaces
AU2020356269B2 (en) 2019-09-29 2023-04-06 Apple Inc. Account management user interfaces
KR20210069321A (ko) * 2019-12-03 2021-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하여 제품 확인하는 방법
DK202070633A1 (en) 2020-04-10 2021-11-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enabling an activity
US11816194B2 (en) 2020-06-21 2023-11-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secure operations
US11800365B1 (en) 2020-12-15 2023-10-24 Securus Technologies, Llc Authorized use of personal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resident communication and/or media devices by device location eligibi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990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00006869A (ko) * 2008-07-10 2010-01-22 최길호 알에프아이디 리더와 유심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착신모드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101027886B1 (ko) 2008-01-04 2011-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의 수신모드 전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1595B (en) * 2000-09-29 2004-10-01 Sanyo Electric Co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990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027886B1 (ko) 2008-01-04 2011-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의 수신모드 전환 방법
KR20100006869A (ko) * 2008-07-10 2010-01-22 최길호 알에프아이디 리더와 유심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착신모드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47B1 (ko) * 2012-08-31 2014-04-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51967B1 (ko) * 2012-10-16 2014-10-21 주식회사 마크애니 단말 장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317895B1 (ko) * 2013-01-30 2013-10-16 에이큐 주식회사 기능코드를 이용하여 단말기능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2370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440B1 (ko)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KR101121441B1 (ko)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73937B1 (ko) 엔에프시 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
US102289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US1082020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bile provisioning of NFC credentials
RU263893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вещения о входящем вызове
KR20140146954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CN106356060A (zh) 语音通信方法及装置
JP541834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5491250A (zh) 来电号码真伪的识别方法、装置及设备
US100098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electronic device having hot spot function
JP2010114740A (ja) 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認証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519786A (ja) Nfc通信方式の移動通信端末機及び制御方法
CN105681261A (zh) 安全认证方法及装置
CN116708646B (zh) 设备协同控制方法、电子设备及设备协同控制系统
CN105376399B (zh) 用于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CN104967966B (zh) 一种绑定蓝牙设备的方法及装置
CN107124679A (zh) 多媒体文件播放的方法和装置
CN106559573A (zh) 移动终端及多媒体数据处理方法
CN106851387B (zh) 输出多媒体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760770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 정보 공유 방법
KR2006010880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차량 승차시 기능수행방법
EP42282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ing
WO2023045687A1 (zh) 投屏方法、设备及系统
CN107801252B (zh) 一种通信连接的建立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