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364B1 -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364B1
KR101119364B1 KR1020100100035A KR20100100035A KR101119364B1 KR 101119364 B1 KR101119364 B1 KR 101119364B1 KR 1020100100035 A KR1020100100035 A KR 1020100100035A KR 20100100035 A KR20100100035 A KR 20100100035A KR 101119364 B1 KR101119364 B1 KR 10111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harging
time
discharging
vehic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정환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3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an electric vehicle are provided to save an electrical energy by perform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lan of the electric vehicle. CONSTITUTION: An operation mode decision unit(21) comprises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An operation environment configuration unit(22) sets a charge base time and a discharge base time. The charge and discharge time(24) charges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in a first mode. The charge and discharge unit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he charge and discharge time in a second mode.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를 충방전하는 시스템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그 운행계획이나 전기의 가격에 따라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적절한 시점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적절한 시점에 방전시켜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a device thereof, and in particular, to allow a user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t an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or the price of electricity, and to discharge the energy at an appropriate time. To be used.

지금까지는 주로 가솔린, 경유, LPG, LNG 등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는 자동차가 대부분이었지만, 화석연료의 고갈과 함께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Until now, most automobiles use fossil energy such as gasoline, diesel, LPG, and LNG, but the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is expected to explode with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그러나 전기자동차도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용과 에너지 절약에 계속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However, electric vehicles also use electric energy, so they must keep an eye on economic utilization and energy saving.

또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사회에서 전기의 변동요금제가 실시되고,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부하일 뿐 아니라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전기자동차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줄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Grid society, the variable rate system of electricity is implemented, and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not only a load that consumes electric energy, bu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important source of energy. Various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make it availab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의 운행계획이나 전기의 가격에 따라 가장 적절한 시점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meet the above necessity,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t the most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of the electric vehicle or the price of electricity, and to use it as an energy supply source if necessa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nd a device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전기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수단;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충전기준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동작환경 설정수단;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확인수단; 및 상기 제1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충방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d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preparation for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running, and the electric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second mode of charging /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o use the vehicle as an energy sourc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rging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ime checking means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n the first mode, and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n the second mod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중앙서버 또는 사용자로부터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전기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수단;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충전기준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동작환경 설정수단;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확인수단; 및 충방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over time from the central server or the user;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first mode in which an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in preparation for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driven,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 discharged to use the electric vehicle as an energy sourc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rging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ime checking means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이때 상기 충방전수단은 상기 제1모드인 경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2모드인 경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한다.
At this time,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low if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n the first mode, and the current time is in the second mode. I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low if it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electric vehicle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expensive if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Discharge the battery.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기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수단;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충전기준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동작환경 설정수단;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확인수단; 및 상기 제1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충방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One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d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preparation for the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running, and the electric vehicle to use the electric vehicle as an energy sourc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n electric vehicle operation mode including a second mode for charging / discharging a vehicle battery;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rging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ime checking means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n the first mode, and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n the second mod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중앙서버 또는 사용자로부터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전기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수단;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충전기준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동작환경 설정수단;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확인수단; 및 충방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with time from a central server or a user;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first mode in which an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in preparation for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driven,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 discharged to use the electric vehicle as an energy sourc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rging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ime checking means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이때 상기 충방전수단은 상기 제1모드인 경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2모드인 경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한다.
At this time,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low if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n the first mode, and the current time is in the second mode. I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low if it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electric vehicle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expensive if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Discharge the battery.

상기 동작모드 결정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상기 동작모드 결정수단은 사용자의 휴대단말 또는 IHD 장치로부터 상기 동작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may rece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mode from a user's portable terminal or an IHD device.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set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의 휴대단말 또는 IHD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means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from a user's portable terminal or an IHD device.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은 날짜, 시간, 요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date, a time, and a day of the week.

상기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과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력량과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 metering mean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charge and discharge power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상기 계량수단은 스마트 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ering means may comprise a smart meter.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측정된 충전 전력량과 방전 전력량을 근거로 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과 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The metering means may calculate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and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e based on the measured amount of charging power and the amount of discharge power.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로부터 방전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측정된 충전 시간과 방전 시간을 근거로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The metering means may measure a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time for discharging from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this case, the metering means may calculate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e or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e using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according to time based on the measured charging time and the discharge time.

상기 계량수단을 통해 계산된 실제 전기요금 정보는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IHD 장치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The actual electric charg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tering means may be transmitted to a central server, a user mobile terminal, an IHD device, or the like.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체용량과 잔여용량을 근거로 충전시의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의 전기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The metering means may estimate the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or the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ing based on the total capacity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은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IHD 장치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The estimated electric charge may be transmitted to a central server, a user mobile terminal, an IHD device, or the like.

상기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과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력량, 방전 전력량,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 중 하나 이상을 충방전 이력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충방전 이력 관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may include charge / discharge history management means for storing and managing one or more of charging power amount, discharging power amount, charging time, and discharging time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s charging / discharging history information. It can be made to include more.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가 적어도 예상 주행거리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t an electric vehicle driving plan including at least an expected driving distance.

이때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체용량과 잔여용량을 근거로 충전시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 전기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된 전기요금은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IHD 장치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tering means may predict the electric charge when charging or the electric charge when discharging based on the total capacity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operation plan. The estimated electricity bill may be transmitted to a central server, a user mobile terminal, an IHD device, or the like.

상기 충방전수단은 복수의 전기자동차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과 방전을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and may independently proces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이때 상기 동작모드 결정수단은 각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동작모드를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각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is configured to individuall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for each electric vehicle battery,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means is configured to set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discharge reference time for each electric vehicle battery individually. Can be.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의 변동요금제 아래에서 사용자는 운행계획에 따라 전기의 가격이 저렴할 때를 지정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variable electricity rate plan, the user may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by designating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low according to the driving plan.

한동안 전기자동차를 운행할 계획이 없는 경우 전기자동차에 전기 에너지를 유지하는 것은 낭비이므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 에너지 소비처에 구비된 타 전기 기기를 동작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If there is no plan to operate an electric vehicle for a while, maintaining electric energy in the electric vehicle is wasteful, and thus it can be used to operate other electric devices provided at energy consumers such as homes or offices.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처의 전기 에너지 소비를 줄여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 에너지를 전력회사에 다시 팔아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by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energy consumer,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obtain economic benefits by reselling the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electric power company.

특히 한 가정에도 자동차가 여러 대 구비되는 현실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하면 사회 전반에 걸쳐 적지 않은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수요가 많을 때 예비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 발전소의 증설을 억제하는 광범위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a home where there are many cars, us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s an energy source can save a lot of electric energy throughout society. For example, when power demand is high, it can be used as backup power, and a wide range of effects of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general power plants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또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
도 2는 설정된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에 따라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예,
도 3은 동작모드에 따른 충전/방전 동작의 상태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또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기의 가격 구조에 관한 예
도 6은 사용자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방법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구체적인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또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
도 9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는 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
도 11은 복수의 전기자동차 배터리가 연결되는 실시예이다.
1 is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in which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performed on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a set operation mode, a charging reference time,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3 is a state diagram of a charge / discharge oper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ice structure of electricity that changes with time.
6 is a specific example of charging or discharg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in a manner that is most beneficial to the user;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pecific embodi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various methods of configur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10 is a general overview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are conn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와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은 사용자가 운행계획이나 전기의 가격 등에 따라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적절한 시간에 맞추어 충전하거나 방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user to charge or dis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t an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driving plan or the price of electricity.

본 발명에서 '방전'이란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 에너지를 다시 회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 means to recover the electrical energy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gain.

방전된 전기 에너지는 티브이(TV) 세트, 오디오 세트, 냉장고와 같이 에너지 소비처에 구비된 각종 부하를 구동시키는 에너지로 사용되거나 전력회사에 다시 판매할 수도 있다.The discharged electrical energy may be used as energy for driving various loads provided in the energy consumer such as a TV set, an audio set, a refrigerator, or sold back to a power company.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나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은 동작모드 결정수단(21), 동작환경 설정수단(22), 시간확인수단(23), 및 충방전수단(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21, an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a time checking means 23, and a charging / discharging means ( 24).

동작모드 결정수단(21)은 사용자가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동작모드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21 allows the user to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which includes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제1모드는 전기자동차(15)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전기자동차(15)의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시로 전기자동차(15)를 운행하는 상황에 적합하다.The first mode i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n preparation for the driving of the electric vehicle 15 when the electric vehicle 15 is not traveling, and the electric vehicle 15 is operated from time to time. Suitable for

제2모드는 전기자동차(15)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전기자동차(15)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즉, 제2모드는 출장이나 여행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한동안 전기자동차(15)를 운행하지 않는 상황에 적합하다.
The second mode is a mode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n order to use the electric vehicle 15 as an energy source when the electric vehicle 15 is not traveling. That is, the second mode is suitable for a situation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15 is not operated for a whil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a business trip or a trip.

동작환경 설정수단(22)은 사용자가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allows the user to set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충전기준시간이란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할 시간을 말하며, 방전기준시간이란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방전시킬 시간을 말한다. 즉, 충전기준시간은 언제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할 것인지를 알려 주고, 방전기준시간은 언제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방전시킬 것인지를 알려 준다.The charging reference time refers to a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refers to a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That is,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ells when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tells when to dis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은 어느 시점이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시간(기간)을 지정하여 설정된다.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are set by designating a time (period) in a predetermined range, not at any point in time.

예컨대 매일 어느 시각부터 어느 시각까지, 특정 날짜의 어느 시각부터 어느 시각까지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특정 날짜나 요일로 설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t may be set to any time from any time to any time, from any time to any time of a specific date, or may be set to a specific date or day of the week.

또한,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은 연속하지 않는 시간 구간으로 복수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충전기준시간은 02시부터 05시까지와 22시부터 24시까지로 설정하고, 방전기준시간은 10시부터 13시까지와 14시부터 15시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may be set in plural time intervals that are not continuous. For example, the charging reference time may be set from 02 to 05 hours and from 22 to 24 hours,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may be set from 10 to 13 hours and from 14 to 15 hours.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은 서로 겹치지 않게 설정되어야 한다.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shall be set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은 사용자의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이나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기의 가격을 참조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기의 가격이 싼 시간대를 지정하여 충전기준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전기의 가격이 비싼 시간대를 지정하여 방전기준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may be set by referring to a user's electric vehicle operation plan or the price of electricity that varies according to time. That is, the user can specify a time zone with a low price of electricity and set it as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a user can specify a time zone with a high price of electricity and set it as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동작모드 결정수단(21)과 동작환경 설정수단(22)은 사용자(11)가 직접 키 버튼을 이용하여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21 and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11 to directly input an operation mode, a charging reference time,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using a key button.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여기서 IHD(In Home Display) 장치(13)란 각 에너지 소비처에 구비되어 각종 에너지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를 말하며, 사용자 휴대단말(12)이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말한다.In this case, the IHD (In Home Display) device 13 refers to a device that is provided at each energy consumer and displays various energy-related information. The user mobile terminal 12 is a mobile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carry,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It is a communication terminal.

동작모드 결정수단(21)과 동작환경 설정수단(22)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을 통해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와 인터페이스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21 and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may interface with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through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로부터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는 사용자가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 정보를 전송한다.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operation mode,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may be operated by the user. It provides the user interface screen to set the time, discharge reference time, and transmits the operation mode, charging reference time, discharge reference tim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시간확인수단(23)은 현재 시간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간확인수단(23)은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RTC(Real Time Clock)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The time checking means 23 performs a role of identifying the current time. The time checking means 23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method of measuring the current time. For example, the time checking means 23 may measure the current time by using a Real Time Clock (RTC).

충방전수단(24)은 동작모드 결정수단(21)에 의해 결정된 동작모드, 그리고 동작환경 설정수단(22)에 의해 설정된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에 따라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하거나 방전시킨다.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24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determined by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21 and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set by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Or discharge.

도 2를 참조하여 충방전수단(24)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2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충방전수단(24)은 동작모드가 제1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S211), 시간확인수단(23)에 의해 파악되는 현재 시간이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S212),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한다(S213).If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irst mode (S211), when the current time grasped by the time checking means 23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S212),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 -1) is charged (S213).

그러나 동작모드가 제2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간확인수단(23)에 의해 파악되는 현재 시간이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하고(S214,S213), 현재 시간이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방전한다(S215,S216).However,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second mod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s charged when the current time determined by the time checking means 23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S214, S213),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s discharged (S215 and S216).

이와 같이 동작모드가 제1모드일 때는 충전동작만을 수행하지만, 동작모드가 제2모드일 때는 충전동작과 방전동작을 모두 수행하게 된다.As such, only the charg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but both the charging operation and the discharge operation are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만일 동작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현재 시간이 충전기준시간도 아니고 방전기준시간도 아닐 때는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S217).
If the operation mode is not set or the current time is neither the charging reference time nor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an oper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s not performed (S217).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state diagram of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동작모드가 제1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의 상태 다이어그램으로서, 현재 시간이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에 있을 때는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천이하거나 충전동작이 유지되고, 현재 시간이 충전기준시간이 아닐 때는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천이하거나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3A is a state diagram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first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charging state or the charging operation is maintained, and the current time is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f not,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state where no charge and discharge occurs, or the state where no charge and discharge occurs.

도 3b는 동작모드가 제2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의 상태 다이어그램으로서, 현재 시간이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에 있을 때는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천이하거나 충전동작이 유지되고, 현재 시간이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에 있을 때는 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천이하거나 방전동작이 유지된다.3B is a state diagram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second mode, and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state where charging is performed or the charging operation is maintained and the current time is set to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When in the range,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state where the discharge is made or the discharge operation is maintained.

그러나 현재 시간이 충전기준시간이 아니고 방전기준시간도 아닐 때는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천이하거나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However, when the current time is not the charging reference time or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state where no charge and discharge is performed or the state where no charge and discharge is performed is maintained as it is.

도 4를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나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은 수신수단(2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4,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receiving means (25).

수신수단(25)은 중앙서버(16) 또는 사용자(11)로부터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eceiving means 25 serves to receiv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over time from the central server 16 or the user 11.

여기서 중앙서버(16)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기의 가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버이다. 중앙서버(16)는 일반적으로 전력회사가 운영하는데, 무선 메쉬(Mesh), 전력선 통신망, 인터넷망 등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전기의 가격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수단(25)은 이러한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16)로부터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Here, the central server 16 is a server that provides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that changes with tim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entral server 16 is generally operated by a power company. The central server 16 may transmit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wireless mesh,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internet network. Electricity pric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server 16.

수신수단(25)은 사용자(11)가 직접 전기의 가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receiving means 25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11 to directly enter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즉, 전력회사가 전기의 가격 정보를 팩시밀리, 문자 메시지, 전화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인터넷 웹사이트 등을 통해 공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기의 가격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ower company notifies the user of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through facsimile, text message, telephone, or the like through the Internet website, the user can check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over time. The user can then directly enter price information for electricity.

또한, 수신수단(25)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을 통해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로부터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means 25 may receive electric price information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through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변동요금제 아래에서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기의 가격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Under the variable tariff, the price structure of electricity that changes over time can vary as needed.

도 5는 전기의 가격 구조에 관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는 상가, 공장, 대형건물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계시별 요금제(TOU: Time of Use Pricing)를 보인 것이고, 도 5b는 시간대에 따라 전기의 가격이 다르면서 특히 피크 구간에서의 가격이 매우 높은 임계 피크 요금제(CPP: Critical Peak Pricing)를 보인 것이며, 도 5c는 전기의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실시간 요금제(RTP: Real-Time Pricing)를 보인 것이다.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ice structure of electricity. FIG. 5A illustrates Time of Use Pricing (TOU) mainly used in shopping malls, factories, and large buildings. FIG. 5B illustrates electricity according to time zones. Shows a Critical Peak Pricing (CPP) with a very different price, especially in the peak period, and FIG. 5C shows a Real-Time Pricing (RTP) in which the price of electricity fluctuates in real time. It is seen.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충방전수단(24)은 기본적으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을 기초로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에 대한 충전/방전을 수행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charging / discharging means 24 basically charges /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based on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Perform a discharge.

그러나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에서도 전기의 가격이 변동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전기의 가격이 쌀 때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에서도 전기의 가격이 변동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전기의 가격이 비쌀 때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rice of electricity may fluctuate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charge is mad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low, and the price of electricity may fluctuate even within the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This can be done to make it happen.

도 6은 충전기준시간이 01시~10시로 설정되고, 방전기준시간이 12시~24시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할 때, 도 5에 도시된 각 예에서 충방전수단(24)이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FIG. 6 is assuming that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s set to 01 o'clock to 10 o'clock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is set to 12 o'clock to 24 o'clock, and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24 perform charging and discharging in each example shown in FIG. 5. This is an example.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충전과 관련하여, 도 5a와 도 5b의 예에서는 01시~08시의 전기 가격이 08시~10시의 전기 가격보다 싸므로, 가능한 01시~08시 사이에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한다.Regarding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n the examples of FIGS. 5A and 5B, since the electricity price from 01:00 to 08:00 is cheaper than the electricity price from 08:00 to 10:00,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도 5c의 예에서는 충전기준시간인 01시~10시에 걸쳐 계속 전기의 가격이 증가하므로 가능한 이른 시간에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한다.
In the example of FIG. 5C,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s charged as early as possible because the price of electricity continues to increase over the charge reference time of 01 o'clock to 10 o'clock.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방전과 관련하여, 도 5a의 예에서는 12시~22시의 전기 가격이 22시~24시의 전기 가격보다 비싸므로, 가능한 12시~22시 사이에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방전한다.In connection with the discharge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n the example of FIG. 5A, the electric price of 12 o'clock to 22:00 is higher than the electric price of 22:00 to 24 o'clock. The battery 15-1 is discharged.

도 5b의 예에서는 14시~16시 사이의 전기 가격이 가장 높으므로 가능한 14시~16시 사이에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방전하고, 도 5c의 예에서는 가능한 16시에 가까운 시간에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방전한다.
In the example of FIG. 5B, the electric price between 14:00 and 16:00 is the highest, so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s discharged between 14:00 and 16:00 as possible, and in the example of FI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s discharged.

도 7을 참조하자면, 도 1과 도 4에 도시된 각 실시예의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나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은 계량수단(26), 전송수단(27), 충방전 이력 관리수단(28)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apparatus 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of each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 and 4 may include a metering means 26, a transmission means 27, and a charge / discharge history management means 28. It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combinations.

계량수단(26)은 기본적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량과,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로부터 방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계량수단(26)은 스마트 미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etering means 26 basically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us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and the amount of power discharged from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Such metering means 26 may be configured using a smart meter.

계량수단(26)은 측정된 충전 전력량과 방전 전력량, 그리고 전기의 가격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충전시 실제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 실제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The metering means 26 may calculate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or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ing based on the measured charging power amount, the discharge power amount, and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또한, 계량수단(26)은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하는 시간과,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로부터 방전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충전 시간과 방전 시간, 그리고 전기의 가격 정보를 근거로 충전시 또는 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ering means 26 may measure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the time for discharging from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the measured charging time and discharge time, and Based on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or discharging can be calculated.

예컨대 계량수단(26)은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전기 가격의 단위 구간(예: 1시간)별 전력량을 측정하고, 각 단위 구간별 전력량에 해당 구간에서의 전기 가격을 곱한 값을 더하여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tering means 26 measures the amount of electricity per unit section (for example, one hour) of the electricity price during the charging or discharging time, and adds the power amount of each unit section multiplied by the electricity price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Can be calculated.

구체적인 예로서 전기의 가격이 시간 단위로 변동한다면,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충전 또는 방전과 관련된 실제 전기요금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if the price of electricity fluctuates in units of time, the actual electric charge associated with charging 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0066240418-pat00001
Figure 112010066240418-pat00001

여기서 F는 충전시 실제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 실제 전기요금이며, P(i)는 시간 구간 i에서의 전기 가격, Q(i)는 시간 구간 i에서의 전력량이다.
Where F is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or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e, P (i) is the price of electricity in the time interval i, Q (i) is the amount of power in the time interval i.

계량수단(26)이 전기요금을 계산할 때는 세금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실제 전력회사에 납부해야 할 요금, 또는 실제 전력회사로부터 돌려 받을 요금이 되도록 계산할 수 있으며, 충전시 전기의 가격과 방전시 전기의 가격은 전력회사의 정책 등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When the metering means 26 calculates the electric charge, it may be calculated such that the user is required to pay the actual power company, including taxes, or the price to be returned from the actual electric power company. The price of may vary depending on the utility's policies.

전송수단(27)은 계량수단(26)에서 계산된 실제 전기요금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서버(16), 사용자 휴대단말(12), IHD 장치(13)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ans 27 may transmit the actual electric charg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tering means 26 to the central server 16,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the IHD device 13, etc. using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have.

또한, 계량수단은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전체용량과 잔여용량을 근거로 충전시 전기요금이나 방전시 전기요금을 미리 예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tering means may predict the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or the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ing based on the total capacity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예컨대 현재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잔여 용량 비율이 60%이고,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의 전기량이 Qmax라고 가정하면, 'Qmax×0.4' 만큼의 전기량과 전기의 단위 가격을 곱하여 충전시 필요한 전기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emaining capacity ratio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s 60% and the amount of electricity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Qmax is multiplied by 'Qmax × 0.4' and the unit price of electricity. You can estimate your electricity bill.

또한, 방전시 발생할 전기요금은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모두 방전한다고 가정할 때 'Qmax×0.6' 만큼의 전기량과 전기의 단위 가격을 곱하여 예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 charge to be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e can be estimated by multiplying the unit price of electricity by the amount of electricity 'Qmax × 0.6' assuming that all electric vehicle batteries are discharged.

한편, 동작환경 설정수단(22)은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에 더하여 사용자가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의 예로는 예상 주행거리를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t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plan in addition to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discharge reference time. An example of an electric vehicle driving plan is the expected mileage.

이때 계량수단(26)은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에 따라 충전시 전기요금이나 방전시 전기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ering means 26 may predict the electric charge when charging or the electric charge when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plan.

즉, 전기자동차가 주행해야 할 거리에 따라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어야 하는 전기량은 특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의 운행계획으로서 주행거리를 설정하면,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체용량과 잔여용량 및 전기의 가격 정보를 근거로 충전시 또는 방전시 전기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That is, the amount of electricity that should be charged in the battery may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hat the electric vehicle should travel. Therefore, when the user sets the mileage as the driving plan of the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or discharging can be predicted based on the total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he remaining capacity, and the price of electricity.

구체적인 예로서 현재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잔여 용량 비율이 80%이고,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체 용량에 비추어 볼 때 사용자가 설정한 주행거리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잔여 용량 비율이 90%가 되어야 한다면,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10% 더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if the current capacity ratio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80% and the remaining capacity ratio is 90% in order to drive the mileage set by the user in view of the total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You can estimate the electricity bill for charging 10% more.

상기 예에서 만일 사용자가 설정한 주행거리를 운행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잔여 용량 비율이 60%라면,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량의 20%는 방전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if the remaining capacity ratio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for driving the mileage set by the user is 60%, 20%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may be discharged.

계량수단이(26)이 전기요금을 예측하는 실시예에서 전송수단(27)은 계량수단(26)에서 예측된 전기요금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16), 사용자 휴대단말(12), IHD 장치(13)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metering means 26 predicts the electric bill, the transmission means 27 transmits the electric bill information predicted by the metering means 26 to the central server 16 and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rough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12, the IHD device 13, or the like.

충방전 이력 관리수단(28)은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각종 충방전 이력 정보를 비휘발성의 디지털 데이터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한다.Charge and discharge history management means 28 stores and manages various charge and discharg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a non-volatile digital data storage medium.

충방전 이력 관리수단(28)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충방전 이력 정보로서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실제 충전 전력량, 실제 방전 전력량, 실제 충전시간, 실제 방전시간 등을 관리할 수 있다.
The charge / discharge history management means 28 may manage various information as charge / discharge history information as needed. For example, the actual charging power, the actual discharge power, the actual charging time, the actual discharge time and the like can be managed.

도 8은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통신부(20-1), 제2통신부(20-2), 입력부(20-3), 표시부(20-4), 저장매체(20-5), 계량부(20-6), 배터리 인터페이스(20-7), 제어부(20-8), 시간확인수단(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IG. 8 illustrate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and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0-2, an input unit 20-3, and a display unit 20-. 4), the storage medium 20-5, the metering unit 20-6, the battery interface 20-7, the controller 20-8, and the time checking means 23 may be included.

이때 제1통신부(20-1), 제2통신부(20-2), 입력부(20-3), 표시부(20-4), 계량부(20-6) 등은 반드시 모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위에서 설명한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의 각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2, the input unit 20-3, the display unit 20-4, the metering unit 20-6, etc. are not necessarily all provided. It may be selectively include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described above.

제1통신부(20-1)는 중앙서버(16)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제2통신부(20-2)는 사용자의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may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server 16,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2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s mobi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제1통신부(20-1)와 제2통신부(20-2)는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각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하기 위한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중앙서버(16), 사용자의 휴대단말(12), IHD 장치(13) 등과 동일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한다면, 제1통신부(20-1)와 제2통신부(20-2)는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2 may communicate by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red or wireless, and may include a modem for communicating according to each communication method. If the central server 16, the user's mobile terminal 12, the IHD device 13 and the like using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2 is integrated Can be configured.

입력부(20-3)는 사용자가 키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 다양한 입력수단을 통해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로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put unit 20-3 allows a user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or commands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through various input means such as a key button or a touch screen.

표시부(20-4)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 예컨대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의 현재 설정상태, 사용자가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0-4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for example, an operation mode, a charging reference time, a current setting stat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a user operation mode, a charging reference time,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Visually displays user interface screens that allow you to configure.

시간확인수단(23)은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시간확인수단은 RTC(Real Time Clock)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The time checking means 23 serves to know the current time. As a specific example, the time checking means may measure the current time by using a real time clock (RTC).

저장매체(20-5)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읽고 쓰기가 가능한 비휘발성의 성질을 가지며,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의 동작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한다.The storage medium 20-5 has a nonvolatile property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digital data, and stores and maintain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계량부(20-6)는 배터리 인터페이스(20-7)를 통해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량이나,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로부터 방전되는 전력량을 측정한다.The metering unit 20-6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us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or the amount of power discharged from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through the battery interface 20-7.

배터리 인터페이스(20-7)는 전원라인(31)과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하여 충전이나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battery interface 20-7 connects or blocks the power line 31 and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so that charging or discharging can be performed.

제어부(20-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 프로그램(20-9)에 따라 동작하여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0-8 may be configured using a microprocessor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the like,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driving program 20-9 to collectively control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To control.

동작모드 결정수단(21)의 역할과 관련하여, 제어부(20-8)는 입력부(20-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동작모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매체(20-5)에 저장하거나, 또는 제2통신부(20-2)를 통해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로부터 동작모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매체(20-5)에 저장한다.In relation to the role of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21, the control unit 20-8 receives operation mode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0-3 and stores the operation mode information in the storage medium 20-5, or the second operation unit. The operation mod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2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20-5.

동작환경 설정수단(22)의 역할과 관련하여, 제어부(20-8)는 입력부(20-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 예상 주행거리 정보 등을 입력받아 저장매체(20-5)에 저장하거나, 또는 제2통신부(20-2)를 통해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로부터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 예상 주행거리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저장매체(20-5)에 저장한다.In relation to the role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the control unit 20-8 receives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the estimated travel distance information, etc.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0-3, and the storage medium 20. -5) or receive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the estimated driving distance information, etc.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2 and the storage medium ( 20-5).

수신수단(25)의 역할과 관련하여, 제어부(20-8)는 제1통신부(20-1)를 통해 중앙서버(16)로부터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하거나, 입력부(20-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기의 가격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제2통신부(20-2)를 통해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로부터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매체(20-5)에 저장한다.In relation to the role of the receiving means 25, the control unit 20-8 receives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from the central server 16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or through the input unit 20-3 Receives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from the user, or receives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2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20-5 do.

충방전수단(24)의 역할과 관련하여, 제어부(20-8)는 도 1과 도 4에서 설명한 충방전수단(24)의 각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인터페이스(20-7)를 제어함으로써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시키거나 방전시킨다.
In relation to the role of the charging / discharging means 24, the controller 20-8 controls the battery interface 20-7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24 described in FIGS. 1 and 4. The battery 15-1 is charged or discharged.

계량수단(26)의 역할과 관련하여, 제어부(20-8)는 계량부(20-6)에서 측정되는 충전 전력량과 방전 전력량, 충전 시간과 방전 시간 등을 근거로 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충전/방전과 관련된 전기요금을 계산하거나 예측한다.Regarding the role of the metering means 26, the control unit 20-8 is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nd discharge power, the charge time and the discharge time measured by the metering unit 20-6, etc. Calculate or forecast the electrical charge associated with charging / discharging in 1).

전송수단(27)의 역할과 관련하여, 제어부(20-8)는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에 대한 충방전 관련 정보, 예컨대 실제 충전 전력량, 실제 방전 전력량, 실제 충전시간, 실제 방전시간 등을 제2통신부(20-2)를 통해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로 전송한다.In relation to the role of the transmission means 27, the control unit 20-8, the charge and discharge related informa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for example, the actual amount of charge power, the actual amount of discharge power, the actual time of charge, the actual time of discharge, etc. Is transmitted to the user mobi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2.

충방전 이력 관리수단(28)의 역할과 관련하여, 제어부(20-8)는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에 대한 충방전 관련 정보, 예컨대 실제 충전 전력량, 실제 방전 전력량, 실제 충전시간, 실제 방전시간 등을 충방전 이력으로서 저장매체(20-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In relation to the role of the charge / discharge history management means 28, the control unit 20-8 is the charge and discharge related informa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for example, the actual amount of charge power, the actual amount of discharge power, the actual amount of charge, the actual The discharge time and the like are stored and managed in the storage medium 20-5 as a charge / discharge history.

이러한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는 전기자동차(15)에 설치되는 장치일 수도 있고, 전기자동차(15) 이외의 타 장치(예: 주차장에 설치되는 충방전 설비)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20 may be a device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15, or may be composed of other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ic vehicle 15 (for example, charge and discharge equipment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도 9a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가 전기자동차(15)의 내부에 설치되는 예를 보인 것이고, 도 9b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가 충방전 설비(10-1)에 설치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9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is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15, and FIG. 9B illustrates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is installed in the charging / discharging facility 10-1. It is an example.

전기자동차(15)의 전원라인(31)의 플러그(32)가 충방전 설비(10-1)의 콘센트(10-11)에 연결되면,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는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When the plug 32 of the power line 31 of the electric vehicle 15 is connected to the outlet 10-11 of the charging / discharging facility 10-1,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 -1) to control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도 9a와 같이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가 전기자동차(15)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도 8의 배터리 인터페이스(20-7)는 교류(AC) 전류를 직류(DC) 전류로 변환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시키거나,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의 직류(DC) 전류를 교류(AC) 전류로 변환하여 방전시키는 PCU(Power Conditioning Unit)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is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15 as shown in FIG. 9A, the battery interface 20-7 of FIG. 8 converts an AC current into a DC current.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or converts a direct current (DC) current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into an alternating current (AC) current to serve as a power conditioning unit (PCU). have.

도 9b와 같이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20)가 전기자동차(15)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고, 전기자동차(15)에 PCU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도 8의 배터리 인터페이스(20-7)는 단지 전기자동차(15)의 플러그(32)를 전원라인(31)에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 is separately installed outside the electric vehicle 15 as shown in FIG. 9B and the PCU is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15, the battery interface 20-7 of FIG. The plug 32 of the electric vehicle 15 may serve to connect or cut off the power line 3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10 shows an overall overview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력회사(18)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며, 전력회사(18)에서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는 전력선로(18-1)을 따라 분배되어 변전소 등을 거친 후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어 에너지 소비처(10)에 인입된다.The electric power company 18 supplies electric energy, and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by the electric power company 18 is distributed along the power line 18-1, passed through a substation, etc., and then converted to an appropriate voltage level, thereby saving energy. It is pulled in.

또한 변동요금제 아래에서 전기의 가격은 시간에 따라 변동하며, 변동하는 전기의 가격 정보는 중앙서버(16)가 무선 메쉬(Mesh), 전력선 통신망, 인터넷망 등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In addition, under the variable tariff, the price of electricity fluctuates with time, and the price information of the fluctuating electricity is transmitted by the central server 16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wireless mesh,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internet network.

에너지 소비처(10)에는 미터(19)가 설치되는데, 미터(Meter,19)는 에너지 수용가(10)에서의 전기 에너지의 사용량을 검출한다.
The energy consumption destination 10 is provided with a meter 19, and the meter 19 detects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consumed by the energy consumer 10.

충방전 설비(10-1)는 에너지 소비처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통로가 된다.The charge / discharge facility 10-1 is provided at an energy consumer and serves as a path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충방전 설비(10-1)는 전기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플러그를 연결하는 콘센트(Outlet)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전기자동차 충전용으로 에너지 소비처에 구비된 별도의 전력공급장치(Station)일 수도 있다.
The charging / discharging facility 10-1 may mean an outlet for connecting a power plug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or may be a separate power supply station provided at an energy consumer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have.

충방전수단(24)은 충방전 설비(10-1)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15-1)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전기자동차 배터리(15-1)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 에너지를 회수하여 에너지 수용가 측으로 공급한다.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24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by using electric energy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facility 10-1, or is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15-1. The electrical energy is recovered and supplied to the energy consumer.

회수된 전기 에너지는 에너지 수용가(10)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부하(17-1~17-k)를 구동하는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력회사(18)에 다시 판매할 수도 있다.The recovered electrical energy may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driving various loads 17-1 to 17-k provided in the energy consumer 10, and may be sold again to the electric power company 18.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동작모드 결정수단(21), 동작환경 설정수단(22), 시간확인수단(23), 및 충방전수단(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n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21, an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a time checking means 23, and a charging / discharging means 24.

또한,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은 수신수단(25), 계량수단(26), 전송수단(27) 등의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may optionally include components such as the receiving means 25, the metering means 26, the transmission means 27.

동작모드 결정수단(21), 동작환경 설정수단(22), 시간확인수단(23), 충방전수단(24), 수신수단(25), 계량수단(26), 전송수단(27) 등은 모두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지만, 각자 개별적인 장치로 구성되거나 그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이 일체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을 통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21,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the time checking means 23, the charging / discharging means 24, the receiving means 25, the metering means 26, the transmitting means 27, etc. are all Although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each may be configured as an individual devic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device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rough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로부터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 전기자동차 운행계획, 전기의 가격 정보 등을 수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는 사용자가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 전기자동차 운행계획, 전기의 가격 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receiving the operation mode,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plan,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etc.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 13) provides a user interface screen that allows a user to set an operation mode, a charging reference time, a discharge reference time, an electric vehicle driving plan, and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유선/무선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충방전수단(24)으로 전달될 수 있다.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ing / discharging means 24 using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이러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의 동작모드 결정수단(21), 동작환경 설정수단(22), 수신수단(25)은 사용자 휴대단말(12)이나 IHD 장치(13)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도 있다.In connection with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21,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22, and the receiving means 25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user portable terminal 12 or the IHD device 13. It may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including a.

또한, 계량수단(26)은 스마트 미터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ering means 26 may be a smart meter to play its ro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나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은 복수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방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harging / discharging for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도 11을 참조하자면,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나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이 전기자동차가 아닌 충방전 설비 등 타 장치에 구현되는 경우 충방전수단(24)은 복수의 충방전 포트(24-1)를 구비하고, 각 충방전 포트(24-1)에 전기자동차 배터리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is implemented in another device such as a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other than the electric vehicle, the charging / discharging means 24 may use the plurality of charging / discharging ports 24-1.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may be connected to each charge / discharge port 24-1.

이러한 실시예에서 동작모드 결정수단과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각 충방전 포트(24-1)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동작모드, 충전기준시간, 방전기준시간, 운행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and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means are configured to individually set the operation mode,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and the operation plan for each charge / discharge port 24-1.

그리고 충방전수단(24)은 각 충방전 포트(24-1)에 연결된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해 개별적으로 충전과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24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n the electric vehicle batteries connected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orts 24-1, respectively.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10: 에너지 수용가 10-1: 충방전 설비
11: 사용자 12: 사용자 휴대단말
13: IHD 장치 15: 전기자동차
15-1: 전기자동차 배터리 16: 중앙서버
17-1~17-k: 부하 18: 전력회사
18-1: 전력선로 20: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20-1: 제1통신부 20-2: 제2통신부
20-3: 입력부 20-4: 표시부
20-5: 저장매체 20-6: 계량부
20-7: 배터리 인터페이스 20-8: 제어부
20-9: 구동 프로그램 21: 동작모드 결정수단
22: 동작환경 설정수단 23: 시간확인수단
24: 충방전수단 24-1: 충방전 포트
25: 수신수단 26: 계량수단
27: 전송수단 28: 충방전 이력 관리수단
10: Energy customer 10-1: Charge and discharge facility
11: user 12: user mobile terminal
13: IHD Device 15: Electric Vehicle
15-1: Electric Vehicle Battery 16: Central Server
17-1 to 17-k: Load 18: Utility company
18-1: Power Line 20: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Device
20-1: first communication unit 20-2: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Input section 20-4: Display section
20-5: Storage medium 20-6: Weighing unit
20-7: battery interface 20-8: control unit
20-9: Drive Program 21: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22: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23: time checking means
24: charge and discharge means 24-1: charge and discharge port
25: receiving means 26: weighing means
27: transmission means 28: charge and discharge history management means

Claims (42)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수단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전기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는 제2모드를 포함함-;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충전기준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동작환경 설정수단;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확인수단; 및
상기 제1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충방전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electric vehicle-The operation mode is a first mod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preparation for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driving, and using the electric vehicle as an energy source And a second mode of charging /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o charg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rging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ime checking means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In the first mod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n the second mod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서버 또는 사용자로부터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전기자동차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수단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전기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는 제2모드를 포함함-;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충전기준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동작환경 설정수단;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확인수단; 및
상기 제1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충방전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according to time from a central server or a user;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electric vehicle-The operation mode is a first mod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preparation for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driving, and using the electric vehicle as an energy source And a second mode of charging /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o charg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rging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ime checking means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In the first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low. In the second mode, the current time is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low if it is within the range of, and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discharged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expensive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omprising a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결정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is configured to enable the user to directl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결정수단은 사용자의 휴대단말 또는 IHD 장치로부터 상기 동작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mode from a user's portable terminal or an IHD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set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discharge reference tim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의 휴대단말 또는 IHD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means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from a user's portable terminal or an IHD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은 날짜, 시간, 요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date, time, day of the week.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력량과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metering mean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charge power and discharge power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스마트 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met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측정된 충전 전력량과 방전 전력량을 근거로 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과 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metering means calculates an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and an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ing based on the measured charge power and discharge pow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실제 전기요금을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및 IHD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ctual electric charge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server, a user mobile terminal, and an IHD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로부터 방전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tim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the discharge time from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측정된 충전 시간과 방전 시간을 근거로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tering means charges and discharges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or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e using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time based on the measured charging time and discharge time.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실제 전기요금을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및 IHD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ctual electric charge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server, a user mobile terminal, and an IHD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체용량과 잔여용량을 근거로 충전시의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의 전기요금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estimating the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or the electric charge at the discharge based on the total capacity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을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및 IHD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redicted electric charges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server, a user portable terminal, and an IHD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력량, 방전 전력량,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 중 하나 이상을 충방전 이력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충방전 이력 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 discharg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charging and discharging history management means for storing and managing one or more of charging power, discharging power, charging time, and discharging time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s charging and discharging history informa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가 적어도 예상 주행거리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nable the user to set an electric vehicle driving plan that includes at least an estimated driving distan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체용량과 잔여용량을 근거로 충전시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 전기요금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8,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estimating the electric charge when charging or the electric charge when discharging based on the total capacity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operation plan.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을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및 IHD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9,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redicted electric charges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server, a user portable terminal, and an IHD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수단은 복수의 전기자동차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과 방전을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rocess the charge and dischar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independently.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결정수단은 각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동작모드를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각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1,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is configured to individuall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for each electric vehicle battery,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et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discharge reference time for each electric vehicle battery individually.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수단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전기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는 제2모드를 포함함-;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충전기준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동작환경 설정수단;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확인수단; 및
상기 제1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일 때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충방전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electric vehicle-The operation mode is a first mod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preparation for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driving, and using the electric vehicle as an energy source And a second mode of charging /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o charg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rging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ime checking means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In the first mod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In the second mod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에 있어서,
중앙서버 또는 사용자로부터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전기자동차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결정수단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전기자동차를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주행에 대비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전기자동차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방전하는 제2모드를 포함함-;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충전기준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방전기준시간을 설정하는 동작환경 설정수단;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확인수단; 및
상기 제1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2모드인 경우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방전기준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전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시간에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방전하는 충방전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according to time from a central server or a user;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electric vehicle-The operation mode is a first mod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preparation for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driving, and using the electric vehicle as an energy source And a second mode of charging /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o charg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rging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discharge reference time as a reference for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ime checking means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In the first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low. In the second mode, the current time is the charging reference tim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harged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low if it is within the range of, and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discharged at a time when the price of electricity is relatively expensive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range of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omprising a charging and discharging means.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결정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3 or 24,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결정수단은 사용자의 휴대단말 또는 IHD 장치로부터 상기 동작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3 or 24,
And the operation mode determining means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mode from a user's portable terminal or an IHD device.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3 or 24,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set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discharge reference time.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의 휴대단말 또는 IHD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3 or 24,
And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means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from a user's portable terminal or an IHD device.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준시간과 방전기준시간은 날짜, 시간, 요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3 or 24,
The charging reference time and the discharge reference time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date, time, day of the week.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력량과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3 or 24,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metering mean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charge and discharge power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스마트 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meter.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측정된 충전 전력량과 방전 전력량을 근거로 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과 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And the metering means calculates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and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ing based on the measured charge power and discharge power.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실제 전기요금을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및 IHD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3. The method of claim 32,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ctual electric charge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server, a user mobile terminal, and an IHD device.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로부터 방전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tim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the discharge time from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측정된 충전 시간과 방전 시간을 근거로 시간에 따른 전기의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의 실제 전기요금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e or the actual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discharge by using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with time based on the measured charging time and discharge time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실제 전기요금을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및 IHD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ctual electric charge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server, a user mobile terminal, and an IHD device.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체용량과 잔여용량을 근거로 충전시의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의 전기요금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estimating the electric charge at the time of charging or the electric charge at the discharge based on the total capacity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을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및 IHD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9. The method of claim 37,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estimated electric charge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server, a user portable terminal, and an IHD device.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력량, 방전 전력량, 충전시간, 및 방전시간 중 하나 이상을 충방전 이력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충방전 이력 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3 or 24,
And a charging / discharging history management means for storing and managing one or more of charging power, discharging power, charging time, and discharging time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s charging / discharging history information.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환경 설정수단은 사용자가 적어도 예상 주행거리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nable the user to set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plan including at least the estimated driving distance.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상기 전기자동차 운행계획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체용량과 잔여용량을 근거로 충전시 전기요금 또는 방전시 전기요금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40,
The metering mean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estimating the electric charge when charging or the electric charge when discharging based on the total capacity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operation plan.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전기요금을 중앙서버, 사용자 휴대단말, 및 IHD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방전 장치.
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estimated electric charge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server, a user portable terminal, and an IHD device.
KR1020100100035A 2010-10-13 2010-10-13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KR101119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035A KR101119364B1 (en) 2010-10-13 2010-10-13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035A KR101119364B1 (en) 2010-10-13 2010-10-13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364B1 true KR101119364B1 (en) 2012-03-06

Family

ID=4614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035A KR101119364B1 (en) 2010-10-13 2010-10-13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3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9727A1 (en) * 2012-04-25 2013-10-31 Shenzhen Byd Auto R & D Company Limited Mobile termikna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US9156366B2 (en) 2013-01-22 2015-10-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of electric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067A (en) * 1995-10-19 1997-05-02 Hitachi Ltd Charger and electric automobile
JP2009100569A (en) * 2007-10-17 2009-05-07 Toyota Motor Corp Vehicle and charging cable
JP2011055572A (en) * 2009-08-31 2011-03-17 Meidensha Corp Electric vehicle charging/discharging device and charging/discharging method using electric vehicle charging/discharging device
KR20110090183A (en) * 2010-02-03 2011-08-10 한국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067A (en) * 1995-10-19 1997-05-02 Hitachi Ltd Charger and electric automobile
JP2009100569A (en) * 2007-10-17 2009-05-07 Toyota Motor Corp Vehicle and charging cable
JP2011055572A (en) * 2009-08-31 2011-03-17 Meidensha Corp Electric vehicle charging/discharging device and charging/discharging method using electric vehicle charging/discharging device
KR20110090183A (en) * 2010-02-03 2011-08-10 한국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electric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9727A1 (en) * 2012-04-25 2013-10-31 Shenzhen Byd Auto R & D Company Limited Mobile termikna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US9399403B2 (en) 2012-04-25 2016-07-26 Byd Company Limited Mobile termina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US9156366B2 (en) 2013-01-22 2015-10-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of electric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948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CN102315672B (en) Charging/dis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discharging method
US10031503B2 (en) Energy management device, energy management method,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US9428067B2 (en) Vehicle running management system under renewable energy
Goebel On the business value of ICT-controlled plug-in electric vehicle charging in California
KR1011898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arger of Electric vehicle using a network of AMI system
JP6432816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control device
KR20100130452A (en) Charging st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with load sharing algorithm
JP2006285934A (en) Energy amount measuring system and charging system
JP2011243202A (en) Device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EP3771060A1 (en) Pow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program, pow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wer system
JP2014032630A (en) Energy management devic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O'Connell et al.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management with dynamic distribution system tariff
KR20110057557A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aging an energy on smart power supply network
JP2012060638A (en) Energy metering system, and energy metering method
JP7142291B2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system
KR101119364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KR101249659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of Electric Energy
KR101203375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llection
JP6148119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energy management method,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1181649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llection
KR20110127974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KR20110138812A (en) Network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KR101625689B1 (en) Network system
KR20120003279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