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762B1 -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762B1
KR101118762B1 KR1020077020418A KR20077020418A KR101118762B1 KR 101118762 B1 KR101118762 B1 KR 101118762B1 KR 1020077020418 A KR1020077020418 A KR 1020077020418A KR 20077020418 A KR20077020418 A KR 20077020418A KR 101118762 B1 KR101118762 B1 KR 10111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ey
mode
dur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605A (ko
Inventor
스캇 알랜 켄댈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7010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등의 장치의 여러 기능들을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제어하게 하는 방법(500)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방법(500)은 회전시키고 누를 수 있는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한다. 또한, 이 방법은 제1 모드 동안, 온-스크린 메뉴에 응답해 키를 회전시키고 눌러 사용자가 장치의 제1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단계(525), 및 제2 모드 동안, 온-스크린 메뉴의 제공 없이 키를 회전시키고 눌러 사용자가 장치의 제2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단계(530 - 575)를 포함한다.
제어 키, 온-스크린 메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섹션

Description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METHOD FOR ENABLING USER CONTROL OF AN APPARATUS}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장치에 대한 사용자 제어 방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등의 장치의 여러 기능들을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제어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등의 장치들은 흔히 소형의 무선 원격 제어 디바이스 및/또는 그 밖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현재의 설계는 비교적 많은 수의 키/버튼을 포함해 이러한 장치들이 제공할 수 있는 많은 기능들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설계는 예를 들어 장치의 일정한 기능을 제어하는데만 사용되는 특정한 키/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설계에서는,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복잡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비교적 많은 수의 키/버튼에 질릴 수도 있고, 일정한 키/버튼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들이 이해하고 있고 쓰기 편한 키/버튼과, 장치의 기본 동작 및 제어(예컨대, 온/오프 등)에 필요한 키/버튼 이외에는 이용가 능한 키/버튼 중 상당수의 이용을 회피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장치들이 제공할 수 있는 많은 이용가능한 기능들을 이용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피하면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등의 장치를 사용자가 제어하게 하고, 비교적 많은 수의 장치의 기능들을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제어하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해 준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회전시키고 누를 수 있는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제1 모드 동안 온-스크린 메뉴에 응답해 키를 회전시키고 눌러 사용자가 장치의 제1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단계, 및 제2 모드 동안 온-스크린 메뉴의 제공 없이 키를 회전시키고 눌러 사용자가 장치의 제2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회전시키고 누를 수 있는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온-스크린 메뉴를 활성화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제1 모드 동안 온-스크린 메뉴에 응답해 키를 회전시키고 눌러 사용자가 장치의 제1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프로세싱 수단, 및 제2 모드 동안 온-스크린 메뉴의 제공 없이 키를 회전시키고 눌러 사용자가 장치의 제2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프로세싱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회전시키고 누를 수 있는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복수의 행과 열의 선택가능한 아이콘을 갖는 온-스크린 메뉴를 활성화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제1 모드 동안 온-스크린 메뉴에 응답해 키를 회전시키고 눌러 사용자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제1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이 키는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키를 회전시켜 온-스크린 메뉴 내의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행들 간에 이동시키고, 정해진 키 섹션을 눌러 선택가능한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예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추가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제어 키의 추가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장치의 추가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스크린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온-스크린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여러 특징과 이점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떤 식으로든 국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예시 환경(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100)은 입력 디바이스(10)와 장치(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는 소형의 무선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 구현되지만, 유선 및/또는 무선 키보드, 장치(20)의 집적 제어 패널, 및/또는 그 밖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는 집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로 구현되지만, 집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를 포함한 다른 유형의 장치 또는 디바이스(예컨대, 셋톱 박스 등)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와 장치(20)에 관한 추가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의 추가 세부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는 장치(20)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여러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어 키(15)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는 제어 키(15)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키/버튼 및/또는 다른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제어 키(15) 회전 및/또는 누름에 응답해 유선 및/또는 무선(예컨대, 적외선 또는 무선 주파수(RF) 링크 등을 통해)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여 장치(20)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여러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 키(15)는 Telenostra사가 제조한 Barrel KeyTM 또는 유사한 유형의 제어 메커니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제어 키(15)의 추가 세부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은 제어 키(15)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20)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일정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 키(15)를 조작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키(15)는 제1 및 제2 방향(즉,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세 가지 섹션(즉, 우측, 중앙, 좌측)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키(15)는 제1 모드 동안 장치(20)의 제1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제2 모드 동안에는 장치(20)의 제2 세트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제1 모드 동안에, 제어 키(15)는 복수의 행과 열의 사용자 선택가능한 아이콘들로 구성된 온-스크린 메뉴를 검색하고, 그 메뉴에서 특정한 아이콘을 선택해 장치(2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키(15)는 제1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위)으로 회전하여 온-스크린 메뉴의 행들 중에서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 또는 아래)으로 회전하여 온-스크린 메뉴의 행들 중에서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하는 행의 아이콘이 커서에 의해 하이라이트되면, 사용자는 제어 키(15)의 대응 섹션을 눌러 하이라이트된 행 내의 특정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키(15)는 온-스크린 메뉴의 도움 없이 제2 모드 동안 장치(20)의 다른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키(15)는 제2 모드 동안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장치(20)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2 모드 동안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장치(20)의 볼륨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 모드 동안에, 제어 키(15)의 우측 섹션이 눌려져 장치(20)가 동조되어 있는 채널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어 키(15)의 좌측 섹션이 눌려져 장치(20)가 동조되어 있는 채널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제2 모드 동안 제어 키(15)의 중앙 섹션을 눌러 온-스크린 메뉴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장치(20)를 전환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 키(15)는 사용자가 제1 모드 동안에는 온-스크린 메뉴를 이용하여 장치(20)의 여러 기능을 제어하게 하고, 제2 모드 동안에는 온-스크린 메뉴의 도움 없이 장치(20)의 여러 기능을 제어하게 한다. 제1 및 제2 모드 동안의 제어 키(15)의 이용에 관한 세부 내용은 후술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장치(20)의 추가 세부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장치(20)는 프런트 패널 어셈블리(FPA : 21) 등의 프런트 패널 수단, 증폭기(22) 등의 증폭 수단, I/O 블록(23) 등의 입력/출력(I/O) 수단, 프로세서(24) 등의 프로세싱 수단, 및 메모리(25) 등의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 도 4의 이러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IC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는 하나 이상의 IC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명료한 설명을 위해, 일정한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또는 그 밖의 요소와 같이 장치(20)와 연관되는 일부 종래의 구성요소들은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FPA(21)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증폭기(22)에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FPA(21)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로부터 IR 및/또는 RF 신호 등을 수신하고, 증폭기(22)로 출력될 대응 신호를 생성한다. 증폭기(22)는 FPA(21)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증폭하여 프로세서(24)에 출력한다.
I/O 블록(23)은 장치(20)의 I/O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 블록(23)은 지상, 케이블, 위성, 인터넷 및/또는 그 밖의 신호 소스 등의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로부터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변조 포맷의 음성, 영상 및/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한다. 또한, I/O 블록(23)은 프로세싱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에 출력하고, 이러한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프로세서(24)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장치(20)의 기능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동조, 복조, 순방향 에러 정정 및 전송 프로세싱 기능을 포함한 기능들을 수행함으로써 I/O 블록(23)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영상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음성, 영상 및/또는 데이터 콘텐츠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프로세싱 기능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는 추가 프로세싱(예컨대, MPEG 디코딩 등) 및 출력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의 제어 키(15)를 통해 사용자가 장치(20)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의 제어 키(15)를 통해 제공된 사용자 입력을 검출 및 프로세싱하고, 그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장치(2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는 사용자 셋업 및 장치(20)의 제어를 위해 OSD 메뉴를 활성화하고, 메모리(25)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메모리(25)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에 국한되지는 않음)과 같이 장치(20)의 그 밖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5)는 장치(20)의 데이터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5)는 소프트웨어 코드, OSD 메뉴 데이터, 사용자 셋업 데이터 및/또는 그 밖의 데이터(이에 국한되지는 않음) 등을 저장한다.
이제,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을 나타내는 순서도(500)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와 장치(20)를 참조하여 도 5의 단계들을 설명한다. 도 5의 단계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든 국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단계 505에서, 장치(20)는 오프/대기 상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대기 상태는 장치(20)가 전력을 공급받지만(예컨대, 전원에 플러그인), 스위치 오프되어 있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510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의 제어 키(15)의 임의 섹션을 사용자가 눌렀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단계 510에서 사용자가 제어 키(15)의 임의 섹션을 눌렀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51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장치(20)가 여전히 오프/대기 상태로 남아있는 단계 505로 되돌아간다. 이와 달리, 단계 510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장치(20)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515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단계 515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장치(20)를 오프/대기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한다.
단계 520에서, 제어 키(15)의 중앙 섹션을 사용자가 눌렀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단계 520에서 사용자가 제어 키(15)의 중앙 섹션을 눌렀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520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장치(20)가 온-스크린 메뉴를 제공하고, 프로세서(24)의 제어하에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의 제어 키(15)를 통해 사용자가 장치(20)를 제어하게 하는 단계 525로 진행한다. 단계 520에서의 긍정적인 결정은 장치(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525에서 제공되는 온-스크린 메뉴의 예가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스크린 메뉴(600 및 700) 각각은 복수의 행과 열의 사용자 선택가능한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6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제어 키(15) 회전에 의해 행 단위로 위 아래로 이동될 수 있는 스크린 커서가 온-스크린 메뉴(600)의 4번째 행의 아이콘들을 하이라이트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방향(시계 방향 또는 위)으로 제어 키(15)를 회전시켜 온-스크린 메뉴(600)의 행들 중에서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역으로, 제2 방향(반시계 방향 또는 아래)으로 제어 키(15)를 회전시켜 온-스크린 메뉴(600)의 행들 중에서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하는 행의 아이콘이 커서에 의해 하이라이트되면, 사용자는 제어 키(15)의 대응 섹션을 눌러 하이라이트된 행에서 특정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예를 들면, 4번째 행의 아이콘들이 하이라이트된 동안, 사용자는 (i)제어 키(15)의 우측을 눌러 장치(20)가 현재 동조되어 있는 채널을 증가시키거나, (ii)제어 키(15)의 좌측을 눌러 장치(20)가 현재 동조되어 있는 채널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iii)제어 키(15)의 중앙 섹션을 눌러 채널 숫자 "0"을 입력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에서 채널 "15"를 입력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제1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위)으로 제어 키(15)를 회전시켜 제1 행의 아이콘들까지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3행 위로 이동시킬 것이다. 제1 행의 아이콘들이 온-스크린 커서에 의해 하이라이트되면, 사용자는 제어 키(15)의 좌측을 눌러 채널 숫자 "1"을 입력시킬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2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 또는 아래)으로 제어 키(15)를 회전시켜 제2 행의 아이콘들까지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1행 아래로 이동시킬 것이다. 제2 행의 아이콘들이 온-스크린 커서에 의해 하이라이트되면, 사용자는 제어 키(15)의 중앙 섹션을 눌러 채널 숫자 "5"를 입력시켜 채널 "15"를 입력하게 된다. 단계 525에서의 도 6의 온-스크린 메뉴(600)를 종료하기 위해, 사용자는 온-스크린 메뉴가 "종료"되어 사라지도록 수 초간 기다리거나, 또는 제2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 또는 아래)으로 제어 키(15)를 회전시켜 제5 행의 아이콘들까지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아래로 이동한 후, 제어 키(15)의 좌측을 눌러 "종료"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의 온-스크린 메뉴(700)는 도 6의 "사운드" 아이콘에 속하는 확장된 메뉴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확장된 온-스크린 메뉴(700)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2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 또는 아래)으로 제어 키(15)를 회전시켜 "사운드" 아이콘까지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사운드" 아이콘이 커서에 의해 하이라이트되면, 사용자는 제어 키(15)의 임의 섹션(즉, 우측, 좌측 또는 중앙)을 눌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확장된 "사운드" 메뉴를 표시하게 한다. 확장된 "사운드" 메뉴가 표시되면, 제어 키(15)의 우측을 각기 눌러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우측으로 1 아이콘씩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어 키(15)의 우측을 2번 눌렀다면, 하이라이트된 커서는 2 아이콘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음(Treble)" 아이콘을 하이라이트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어 키(15)를 위 아래로 회전시켜 "고음" 레벨을 위 아래로 제각기 조절한다. 도 6 및 도 7의 다른 아이콘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7의 확장된 "사운드" 메뉴를 종료하기 위해, 사용자는 "저음(Bass)"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된 동안 제어 키(15)의 좌측을 누를 것이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52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장치(20)가 여전히 제2 모드인 단계 53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제어 키(15)의 우측을 눌렀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단계 530에서 임의의 사용자가 제어 키(15)의 우측을 눌렀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530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장치(20)가 현재 동조되어 있는 채널을 증가시키는 단계 535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그 동조 기능을 제어하여 단계 535에서의 채널 증가를 유효하게 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535로부터 장치(20)가 여전히 온 상태인 단계 515로 되돌아간다.
이와 달리, 단계 53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54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제어 키(15)의 좌측을 눌렀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단계 540에서 사용자가 제어 키(15)의 좌측을 눌렀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540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장치(20)가 현재 동조되어 있는 채널을 감소시키는 단계 545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그 동조 기능을 제어하여 단계 545에서의 채널 감소을 유효하게 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545로부터 장치(20)가 여전히 온 상태인 단계 515로 되돌아간다.
이와 달리, 단계 54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제어 키(15)를 위로 회전시켰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는 단계 550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단계 550에서 사용자가 제어 키(15)를 위로 회전시켰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550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555로 진행하여 장치(20)가 볼륨을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장치(20)의 음성 제어 회로(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출력하여 단계 555에서의 볼륨 증가를 유효하게 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555로부터 장치(20)가 여전히 온 상태인 단계 515로 되돌아간다.
이와 달리, 단계 55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제어 키(15)를 아래로 회전시켰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는 단계 560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단계 560에서 사용자가 제어 키(15)를 아래로 회전시켰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560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565로 진행하여 장치(20)가 볼륨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장치(20)의 음성 제어 회로(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출력하여 단계 565에서의 볼륨 감소를 유효하게 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565로부터 장치(20)가 여전히 온 상태인 단계 515로 되돌아간다.
이와 달리, 단계 56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내에 제어 키(15)를 위 아래로 회전시켰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는 단계 570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단계 570에서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내에 제어 키(15)를 위 아래로 회전시켰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57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장치(20)가 여전히 온 상태인 단계 515로 되돌아간다. 이와 달리, 단계 570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575로 진행하여 장치(20)가 그 음성 출력을 소리나지 않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장치(20)의 음성 제어 회로(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출력하여 단계 575에서의 무음 기능(audio muting function)을 유효하게 한다. 무음 기능을 활성화하는 다른 방안이 본 발명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예컨대, 무음 기능은 정해진 시간내에 일정 간격으로 제어 키(15)를 아래로 회전시킨다면(즉, 고속 하향 회전) 활성화될 수 있다. 무음 기능이 활성화되었다면, 제어 키(15)를 위로 회전하여 무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음성 출력을 복원한다. 프로세스는 단계 575로부터 장치(20)가 여전히 온 상태인 단계 515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등의 장치의 여러 기능들을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제어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비 여부에 상관없이 다양한 장치들에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와 같은 용어는 집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텔레비전 세트, 컴퓨터 또는 모니터(이에 국한되지는 않음)를 포함하는 시스템 혹은 장치, 및 집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셋톱 박스, VCR, DVD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박스, PVR, 컴퓨터 또는 그 밖의 장치 등의 시스템 혹은 장치를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설계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에 대해 추가적인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일반 원리를 이용하는 임의의 변형, 이용 또는 적용들 모두를 포괄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되거나 통용되는 실시에 속하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내에 속하는 이러한 변형예 모두를 포괄한다.

Claims (20)

  1. 사용자가 회전시키고 누를 수 있는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500)으로서,
    제1 모드 동안, 온-스크린 메뉴에 응답해 상기 키를 회전시키고 누름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치의 제1 세트의 기능들을 제어하게 하는 단계(525);
    제2 모드 동안, 임의의 온-스크린 메뉴의 제공 없이 상기 키를 회전시키고 누름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치의 제2 세트의 기능들을 제어하게 하는 단계(530 - 575)
    를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사용자가 누룰 수 있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온-스크린의 표시는 상기 제1 세트의 기능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가능한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키를 회전시킴으로써 그리고 상기 키의 선택가능한 섹션들 중 하나를 누름으로써 상기 선택가능한 아이콘들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2 세트의 기능들은 오디오 무음 기능(audio muting fun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제1 방향으로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키를 회전시켜 상기 오디오 무음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5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스크린 메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의 선택가능한 섹션들 중 하나를 누르는 것에 응답해 표시되는,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5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키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온-스크린 메뉴를 통해 검색(navigate)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키의 선택가능한 섹션들 중 대응하는 한 섹션을 누름으로써, 제어될 상기 제1 세트의 기능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5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3개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온-스크린 메뉴는 적어도 2개 행과 3개 열을 이루는 선택가능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며 - 각각의 열은 상기 3개의 섹션 중 상이한 섹션에게 대응함 -,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키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상기 행들 간에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3개의 열 중 특정한 열에 대응하는 상기 키의 3개의 섹션 중 하나를 누름으로써 상기 선택가능한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가능한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는 상기 온-스크린 메뉴 내에 배치되는,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5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기능들은 볼륨 조절 기능과 채널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5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 동안,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키를 회전시켜 볼륨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키를 회전시켜 상기 볼륨을 감소시키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키의 제1 섹션을 눌러 채널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키의 제2 섹션을 눌러 상기 채널을 감소시키는,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500).
  7. 삭제
  8. 사용자가 회전시키고 누를 수 있는 키(15)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장치(20)로서,
    온-스크린 메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25); 및
    제1 모드 동안, 상기 온-스크린 메뉴에 응답해 상기 키(15)를 회전시키고 누름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치(20)의 제1 세트의 기능들을 제어하게 하고, 제2 모드 동안, 임의의 온-스크린 메뉴의 제공 없이 상기 키(15)를 회전시키고 누름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치(20)의 제2 세트의 기능들을 제어하게 하는 프로세싱 수단(24)
    을 포함하고,
    상기 키는 상기 사용자가 누룰 수 있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온-스크린의 표시는 상기 제1 세트의 기능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가능한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키를 회전시킴으로써 그리고 상기 키의 선택가능한 섹션들 중 하나를 누름으로써 상기 선택가능한 아이콘들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2 세트의 기능들은 무음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키를 제1 방향으로 및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무음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제어 장치(2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스크린 메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15)의 선택가능한 섹션들 중 한 섹션을 누르는 것에 응답해 표시되는 사용자 제어 장치(2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키(1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온-스크린 메뉴를 통해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키(15)의 선택가능한 섹션들 중 대응하는 한 섹션을 누름으로써, 제어될 상기 제1 세트의 기능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제어 장치(20).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15)는 상기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3개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온-스크린 메뉴는 적어도 2개 행과 3개 열을 이루는 선택가능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며 - 각각의 열은 상기 3개의 섹션들 중 상이한 섹션에게 대응함 -,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키(15)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이라이트된 커서를 상기 행들 간에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3개의 열 중 특정한 열에 대응하는 상기 키(15)의 3개의 섹션 중 하나를 누름으로써 상기 선택가능한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가능한 아이콘들 중 선택된 하나는 상기 온-스크린 메뉴 내에 배치되는 사용자 제어 장치(20).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기능들은 볼륨 조절 기능과 채널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장치(2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 동안,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키(15)를 회전시켜 볼륨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키(15)를 회전시켜 상기 볼륨을 감소시키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키(15)의 제1 섹션을 눌러 채널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키(15)의 제2 섹션을 눌러 상기 채널을 감소시키는 사용자 제어 장치(20).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인 사용자 제어 장치(20).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77020418A 2005-02-07 2005-02-07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 KR101118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5/003470 WO2006085850A1 (en) 2005-02-07 2005-02-07 Method for enabling user control of a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605A KR20070102605A (ko) 2007-10-18
KR101118762B1 true KR101118762B1 (ko) 2012-03-20

Family

ID=3496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418A KR101118762B1 (ko) 2005-02-07 2005-02-07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34648B2 (ko)
EP (1) EP1847117B1 (ko)
JP (1) JP5058824B2 (ko)
KR (1) KR101118762B1 (ko)
WO (1) WO2006085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5218B2 (en) * 2005-06-24 2013-01-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ed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CN101155277B (zh) * 2006-09-27 2011-05-0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机多操作模式的设置方法及具有多操作模式的电视机
JP4690299B2 (ja) * 2006-12-14 2011-06-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遠隔操作式入力装置
KR101445645B1 (ko) * 2007-08-03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매칭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사용자입력장치, 그리고 아이템 매칭방법
US10114477B2 (en) * 2011-07-1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09595A (ko) * 2011-07-14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5189221B1 (ja) * 2012-03-13 2013-04-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メニュー画面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6063380B (zh) * 2014-01-10 2018-06-12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用于可寻址照明的基于平板的调试工具
KR102284134B1 (ko) 2014-05-28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95701B1 (ko) * 2015-11-11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CN105578306A (zh) * 2015-12-24 2016-05-1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老人智能电视的控制方法、系统及智能电视
US9918135B1 (en) * 2017-02-07 2018-03-13 The Directv Group, Inc. Single button selection to facilitate action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928A (ko) * 1999-08-28 2001-09-03 요트.게.아. 롤페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디스플레이
KR20030051665A (ko) * 2000-09-22 2003-06-25 지아드 바다르네흐 핸드헬드 기능장치의 수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274B2 (ja) * 1990-04-13 2000-11-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KR970011265B1 (en) 1992-05-25 1997-07-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t
US5589893A (en) * 1994-12-01 1996-12-3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On-screen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receiver
US6323911B1 (en) 1995-10-02 2001-11-27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JPH11338622A (ja) * 1998-05-22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装置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CN1339738A (zh) 2000-08-18 2002-03-13 株式会社海尼克斯 具有显示屏和球形开关的遥控装置
JP3820548B2 (ja)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734792B2 (ja) 2001-07-16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40047854A (ko) 2001-09-26 2004-06-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방송 수신기
NO20020896L (no) * 2001-10-02 2003-04-03 Ziad Badarneh Interaktivt system
JP3927022B2 (ja) * 2001-12-04 2007-06-0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画像表示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画像表示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928A (ko) * 1999-08-28 2001-09-03 요트.게.아. 롤페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디스플레이
KR20030051665A (ko) * 2000-09-22 2003-06-25 지아드 바다르네흐 핸드헬드 기능장치의 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605A (ko) 2007-10-18
WO2006085850A1 (en) 2006-08-17
US20100141851A1 (en) 2010-06-10
JP2008530853A (ja) 2008-08-07
EP1847117A1 (en) 2007-10-24
EP1847117B1 (en) 2015-01-21
JP5058824B2 (ja) 2012-10-24
US8134648B2 (en)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762B1 (ko)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
US20090089675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EP1931139A1 (en) Video/audio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apparatus
JP4979024B2 (ja) チャンネル選択を可能にする方法
US20060265654A1 (en) Content display-playback system, content display-playback method, recording medium having a content display-playback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JP5775050B2 (ja) 電子機器の制御方法
CN101112083A (zh) 使用户能够控制一台设备的方法
JP4277892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5042634B2 (ja) チャネル検索方法、チャネル検索装置、ビデオ信号処理装置
US20090201422A1 (en) Automatic input change based on remote control mode change
JP2008519469A (ja) ピクチャ・クロッピング機能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67498A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KR100661363B1 (ko) 텔레비전
KR100700760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소리레벨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739114B1 (ko) 외부기기로부터의 신호 입력 알림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KR20030048981A (ko) 기능 설정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텔레비전의 입력장치
KR19990027033A (ko) 텔레비젼의 입력키 정의 방법
JP2002345073A (ja) 音響機器、音響機器の制御方法、音響機器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音響機器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音響機器の遠隔制御装置
KR19990004723A (ko) 텔레비전에서의 음량/채널조정방법
KR20050092805A (ko) 원격제어유닛과 원격제어유닛의 핫키 설정 방법 및 핫키를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KR20020023495A (ko) 피 아이 피 기능을 갖는 디지털비디오디스크 재생장치 및그 재생 제어방법
JP2006108930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7251602A (ja) アンプ装置、これ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7305175A (ja) Dvd再生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KR19990001199A (ko) 스텝조정 선택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