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536B1 -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536B1
KR101118536B1 KR1020090101072A KR20090101072A KR101118536B1 KR 101118536 B1 KR101118536 B1 KR 101118536B1 KR 1020090101072 A KR1020090101072 A KR 1020090101072A KR 20090101072 A KR20090101072 A KR 20090101072A KR 101118536 B1 KR101118536 B1 KR 101118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e
summary information
box
area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4419A (en
Inventor
백성욱
지수미
우정근
최호철
김성국
우경덕
이정중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536B1/en
Publication of KR2011004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4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5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콘텐츠의 시나리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흐름 순의 장면 단위로 입력 받고, 상기 요약 정보를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요약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흐름도의 장면 박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장면 박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면 박스의 시나리오 내용에 대한 장면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 도구를 포함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선택된 장면 박스에 대한 장면이 제작되면, 상기 제작된 장면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태의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각 장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요약 정보 선택 시, 상기 장면의 논리적 흐름에 대응하는 흐름도 기호가 자동 생성되어 상기 장면 박스에 연결된다.A method is provide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includes (a) receiving summary information about a scenario of the content in a flow order of scene units, and displaying the summary information in a first area of a first interface; b) if the summary information is selected, generating a scene box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and placing it in a second area of the first interface; (c) if the scene box is selected, the selected scene box Providing a second interface including a production tool for producing a scene for the scenario content of (d) When a scene for the selected scene box is produced, a script in the form of text corresponding to the produced scene is generated And (e) integrating each scene comprising the script to create one completed content, In step (b), when the summary information is selected, a flowchart symbol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flow of the scen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connected to the scene box.

콘텐츠, 시나리오, 저작 기술, 상호 작용 Content, scenarios, authoring skills, interaction

Description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How to provide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thods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흐름도 방식으로 저작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author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means for authoring content that can interact with a user in a flowchart manner.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식은, 작성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카메라, 화면 구도, 시각적 장치들의 배치를 지정한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고, 작성 된 스토리보드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전체 구성의 흐름에 따라 초기에 작성한 내용을 순차적으로 제작함으로써 전체적인 콘텐츠를 구성한다.In general, the method of producing animation content is to create a storyboard specifying the arrangement of cameras, screen composition, and visual devices based on the written scenario, and use the created storyboard to initially create the scenario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entire scenario. The overall contents are composed by producing contents sequentially.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콘텐츠 시나리오(11)에 기초하여 스토리 보드(12)를 작성한 후, 전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라이팅 작업, 렌더링 작업 및 사운드 작업 등을 통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거나, 전문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호 작용이 가능한 게임을 제작함으로써 최종 콘텐츠(13)를 완성한다.FIG. 1 illustrates a cont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reating a storyboard 12 based on a content scenario 11, a writing program, a rendering job, a sound job, and the like are performed using a professional program. The final content 13 is completed by producing animation through the programmer, or by using a programmer to create an interactive game.

이러한 일반적인 콘텐츠 제작 방식에서, 텍스트(text)로 이루어진 시나리오 를 통해 기획자의 의도를 쉽게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콘텐츠에 대한 최종 편집 작업까지 마친 후, 콘텐츠 장면을 다시 추가하거나 장면의 순서를 변경하는 것 역시 어려움이 따른다.In this general way of creating content, it is not easy to grasp the intentions of the planner through text scenarios, and to add content scenes again or change the order of the scenes after the final editing of the content. Difficulties also follow.

특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의 전개가 여러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게임 콘텐츠의 경우, 상기한 일반적인 콘텐츠 제작 방식으로는 시나리오의 전체적인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는 상호 작용이 있는 장면을 제작할 경우, 숙련된 툴 사용과 프로그래밍 작업을 통해 콘텐츠에 필요한 요소들을 일일이 작성해야 하는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ame contents in which scenarios are develop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a user's input in various direction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overall flow of the scenario at a glance with the general content prod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When creating interactive scenes, the use of skilled tools and programming requires considerable effort to create the elements of the content.

이에, 사용자가 작업 과정에 대한 흐름을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흐름도 구성 기반 방법의 기술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의 동적인 변화와 순서 변화를 적용할 수 있는 시간 관계 명세 모델을 비롯하여, 시스템의 구성 방식을 플로우 차트를 통해 만들고 가상 설계를 통해 진행할 프로세스의 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써 설계 작업에 시각적 도움을 주는 기술들이 제시되었다.Therefore, a time relationship specification that can apply dynamic changes and order changes of various data for a multimedia presentation, for example, a flow chart configuration-based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understand and manage the flow of a work process. In addition to the models, techniques have been presented to help design work by visualizing how the system is structured through flow charts and graphically depicting the results of the processes that will be followed through virtual design.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콘텐츠 시나리오(21)에 기초하여 스토리 보드(22)를 작성한 후, 다시 스토리 보드에 기초하여 흐름도 기반의 시나리오(23)를 작성한다. 이후, 전문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흐름도 기반의 시나리오에 따라 스크립트 기반의 콘텐츠(24)를 직접 작성하여 최종 콘텐츠(25)를 완성한다.After the storyboard 22 is created based on the content scenario 21, a flowchart 23 is created based on the storyboard again. Thereafter, the professional programmer directly creates the script-based content 24 according to the flowchart-based scenario using the program to complete the final content 25.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작업자가 시스템 및 데이터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의 전개가 여러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이 포함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시나리오의 기본 구조 이해와 장면을 제작할 수 있는 숙련된 툴 사용 및 프로그래밍 작업은 여전히 요구되므로, 전문 제작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에게는 콘텐츠 제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However, although the prior art illustrated in FIG. 2 as described above allows an operator to easily understand the flow of the system and data, the user may input contents including interactions in which the scenarios are develop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n the case of production, understand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scenario and using skilled tools and programming for creating a scene are still required, so it is difficult to produce content for a general user, not a professional producer.

따라서, 일반 사용자도 상호 작용이 포함된 콘텐츠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that allows an ordinary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create contents with interaction.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텐츠 저작을 위한 콘텐츠 내용의 전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entire flow of content content for content authoring.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의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장면들의 진행 방식을 직관적인 흐름도 기반으로 구성하는 수단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configuring the progress of the scenes constituting the scenario of the content based on an intuitive flow chart.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립트 형태의 장면 제작을 위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uitive interface for creating a scene in the form of a scrip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콘텐츠의 시나리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흐름 순의 장면 단위로 입력 받고, 상기 요약 정보를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요약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흐름도의 장면 박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장면 박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면 박스의 시나리오 내용에 대한 장면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 도구를 포함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선택된 장면 박스에 대한 장면이 제작되면, 상기 제작된 장면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태의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크립 트를 포함하는 각 장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요약 정보 선택 시, 상기 장면의 논리적 흐름에 대응하는 흐름도 기호가 자동 생성되어 상기 장면 박스에 연결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a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scenario of the content in the order of scenes in the flow order, the summary information Displaying in the first area of the first interface, (b) if the summary information is selected, generating a scene box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and placing the scene box in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interface, (c) if the scene box is selected, providing a second interface including a production tool capable of producing a scene for scenario contents of the selected scene box; (d) if a scene for the selected scene box is produced Generating a script in a text form corresponding to the produced scene; and (e) passing through each scene including the script. By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one of the completed content, the step (b) is a flow chart symbol is selected the summ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flow of the scen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coupled to the scene box.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는 (a) 상기 콘텐츠의 시나리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흐름 순의 장면 단위로 입력 받고, 상기 요약 정보를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요약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흐름도의 장면 박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장면 박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면 박스의 시나리오 내용에 대한 장면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 도구를 포함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선택된 장면 박스에 대한 장면이 제작되면, 상기 제작된 장면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태의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각 장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that provides an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flow sequence of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scenario of the content; Receiving input in a scene unit and displaying the summary information in a first area of a first interface; (b) when the summary information is selected, a scene box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scene; (C) providing a second interface comprising a production tool capable of producing a scene for the scenario content of the selected scene box if the scene box is selected; When a scene for the selected scene box is produced, generating a script in a text form corresponding to the produced scene. And (e) integrating each scene including the script to generate one completed content, and a program for performing each of the steps described in any one of the step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 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provid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작업자 중심의 장면 구성이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operator-centered scene configuration is possible.

또한, 콘텐츠 내용의 논리적 흐름 구성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여, 제작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쉽고 편리하게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essibility to the logical flow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content is easy, so that non-production users can easily and conveniently author content.

또한, 콘텐츠 저작을 위한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전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overall flow of the content of the content for content authorin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For reference,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includes.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이하,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장치)(100)는 시나리오 요약 정보 입력부(110), 요약 정보 표시부(120), 장면 박스 생성부(130), 장면 제작 도구 제공부(140), 스크립트 생성부(150) 및 콘텐츠 생성부(16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ent authoring means provid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cenario summary information input unit 110, a summary information display unit 120, and a scene box. The generator 130, the scene production tool providing unit 140, the script generator 150, and the content generator 160 are included.

각 구성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시나리오 요약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의 시나리오(이하, 시나리오라 칭함)에 대한 요약 정보를 흐름 순의 장면 단위로 입력 받아 저장한다.To describe each component in detail, first, the scenario summary information input unit 110 receives and stores summary information about a scenario of a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cenario) from a user in a flow order of scene unit.

여기에서 ‘장면’은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영상적 의미 전달 단위를 의미하며,‘요약 정보’는 시나리오를 장면 단위로 요약한 내용 및 장면의 특성에 대한 태그를 포함한다. 장면의 특성에 대한 태그는 추후 장면 검색 또는 분류에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scene' refers to a visual semantic transmission unit constituting the scenario, and the 'summary information' includes a summary of the scenario in terms of scenes and tags for characteristics of the scene. Tag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ene can be used for later scene search or classification.

한편, 요약 정보 표시부(120)는 시나리오 요약 정보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요약 정보를 흐름도 기반의 장면 구성 인터페이스(이하, 제 1 인터페이스라 칭 함)의 제 1 영역에 표시한다.Meanwhile, the summary information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summary information input from the scenario summary information input unit 110 in a first area of a flowchart-based scene composition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interface).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1 영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interface and the first reg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한편, 장면 박스 생성부(130)는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요약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흐름도의 장면 박스를 생성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에 배치한다.Meanwhile, when the summary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first interface is selected, the scene box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scene box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and arranges the scene box in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interface.

이때, 요약 정보의 선택은 제 1 영역의 요약 정보가 드래그(drag)되어 제 2 영역으로 드롭(drop)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만일 제 1 영역에 표시된 요약 정보가 복수 개 선택되면, 장면 박스 생성부(130)는 선택된 요약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장면 박스를 생성하고 자동 분기하여 제 2 영역에 배치한다.In this case, the selection of the summary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dragging the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to the second area. If a plurality of summary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s selected, the scene box generation unit may be selected. 130 generates a scene box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automatically branches and places it in the second area.

또한, 장면 박스 생성부(130)는, 각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장면 박스가 생성되면, 장면의 논리적 흐름에 기초하여 논리적 흐름에 대응하는 흐름도 기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흐름도 기호를 제 2 영역에 배치된 장면 박스에 연결한다.In addition, when a scene box corresponding to each summary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scene box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flowchart symbol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flow based on the logical flow of the scen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flowchart symbol in the second area. Connect to the placed scene box.

요약 정보의 선택, 자동 분기 및 흐름도 기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lection of the summary information, the automatic branching and the flow chart symbol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한편, 장면 제작 도구 제공부(140)는 제 2 영역에 배치된 장면 박스가 선택(클릭 또는 더블 클릭)되는 경우, 선택된 장면에 대한 내용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 도구를 포함하는 제작 도구 기반의 장면 제작 인터페이스(이하, 제 2 인터페이스라 칭함)를 제공한다.Meanwhile, when the scene box disposed in the second area is selected (clicked or double-clicked), the scene production tool providing unit 140 includes a production tool-based scene production that includes a production tool that can produce content for the selected scene. It provides an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interface).

한편, 스크립트 생성부(150)는 각 장면 박스에 대한 장면이 제작되면, 제작 된 장면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식의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저장한다.Meanwhile, when a scene for each scene box is produced, the script generation unit 150 generates and stores a script in a text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roduced scene.

제 2 인터페이스 및 각 장면 박스에 대응하는 스크립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interface and the script corresponding to each scene box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한편, 콘텐츠 생성부(160)는 스크립트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각 장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를 생성한다.Meanwhile, the content generator 160 integrates each scene including the script generated by the script generator 150 to generate one completed content.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For reference, component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 software components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perform predetermined roles. .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component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us, by way of example, an element may compris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Components and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os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100)를 중심으로 도 4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flowchart of FIG. 4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pparatus 100 providing the content authoring means illustrated in FIG. 3.

먼저,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사용자(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의 시나리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흐름 순의 장면 단위로 입력 받고, 요약 정보를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401).First, the apparatus 100 providing the content authoring means receives a summary information on a scenario of the content from a user (user terminal) in the order of scenes in a flow order, and displays the summary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of the first interface ( S401).

단계 S401 후,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제 1 영역에 표시된 요약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요약 정보의 개수를 파악한다(S402).After the step S401, when the summary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s selected,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the content authoring means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S402).

단계 S402 결과, 선택된 요약 정보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선택된 다수 개의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흐름도의 장면 박스를 각각 생성하고 이를 자동 분기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에 배치한다(S403).As a result of the step S402, when the number of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is plural,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the content authoring means generates a scene box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automatically branches the same to generate the first interface of the first interface. It arrange | positions in 2 area | regions (S403).

만일, 단계 S402 결과, 선택된 요약 정보의 개수가 단수 개이면,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흐름도의 장면 박스를 생성하고 이를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에 배치한다(S404).If, as a result of step S402, the number of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is singular,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the content authoring means generates a scene box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and places it in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interface. (S404).

단계 S403 또는 S404 후,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에 배치된 장면 박스가 선택(클릭 또는 더블 클릭)되면,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선택된 장면 박스의 시나리오 내용에 대한 장면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 도구를 포함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405).After the step S403 or S404, when the scene box disposed in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interface is selected (clicked or double-clicked), the device 100 providing the content authoring means may produce a scene for the scenario content of the selected scene box. In operation S405, a second interface including a manufacturing tool may be provided.

단계 S405 후,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장면 박스에 대한 장면이 제작되면, 제작된 장면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태의 스크립트를 생성한다(S406).After operation S405, the apparatus 100 providing the content authoring means generates a script in a text form corresponding to the created scene when the scene for the selected scene box is produced using the second interface (S406).

단계 S406 후,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100)는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각 장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를 생성한다(S407).After the step S406, the apparatus 100 providing the content authoring means integrates each scene including the script to generate one completed content (S40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기반의 장면 구성 인터페이스(제 1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chart-based scene composition interface (firs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제 1 인터페이스(500)는 제 1 영역(510) 및 제 2 영역(520)을 포함하며, 제 1 영역(510)에는 시나리오 요약 정보(511)가 시나리오 흐름순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 2 영역(520)에는 제 1 영역(510)에서 선택된 요약 정보(511)에 대응하는 흐름도의 장면 박스(521)가 표시되어 있다.The first interface 500 illustrated in FIG. 5 includes a first area 510 and a second area 520, and scenario summary information 511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scenario flow in the first area 510. In the second area 520, a scene box 521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the summary information 511 selected in the first area 510 is displayed.

제 1 영역(510)의 요약 정보(511)는 시나리오를 장면 단위로 요약한 내용 및 장면의 특성에 대한 태그를 포함하며, 별도의 메뉴(아이콘)(512)를 통해 요약 정보의 추가, 삭제, 기존에 제작했던 요약 정보의 검색 또는 분류가 가능하다. 이때, 요약 정보의 검색 및 분류를 위해 요약 정보에 포함된 장면의 특성에 대한 태그가 이용될 수 있다.The summary information 511 of the first area 510 includes a summary of the scenario in a scene unit and a tag for characteristics of the scene. The summary information 511 may be added, deleted, or added through a separate menu (icon) 512. It is possible to search or classify summary information that has been produced previously. In this case, a tag for a characteristic of a scene included in the summary information may be used to search and classify the summary information.

참고로 제 1 영역(510) 내에서, 요약 정보는 시나리오의 흐름에 맞춰 제작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배치가 가능하다.For reference, within the first area 510, the summary information may be freely arr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cenario as desired by the producer.

제 1 영역(510)의 요약 정보(311)와 제 2 영역(520)의 장면 박스(521)는 일대일로 대응되며, 장면 박스(521)는 제 1 영역(510)의 요약 정보(511)가 드래그(drag)되어 제 2 영역(520)으로 드롭(drop)되면 자동 생성된다. 이때, 생성되는 장면 박스(521)에는 장면의 논리적 흐름에 기초하여 논리적 흐름에 대응하는 흐름도 기호(522)가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mmary information 311 of the first area 510 and the scene box 521 of the second area 520 correspond one-to-one, and the scene box 521 has a summary information 511 of the first area 510. When dragged and dropped to the second area 520, the automatic generation is performed. In this case, a flow chart symbol 522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flow may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generated scene box 521 based on the logical flow of the scene.

또한, 제 1 영역(510)에서 복수개의 요약 정보(511a, 511b, 511c)가 제 2 영역(520)으로 드래드 앤 드롭(drag and drop)되면 제 2 영역(520)에는 장면 박스(521a, 521b, 521c)가 자동 분기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pieces of summary information 511a, 511b, and 511c are dragged and dropped from the first area 510 to the second area 520, a scene box 521a, 521b and 521c may be automatically branched out.

제 2 영역(520)의 장면 박스(521) 역시 별도의 메뉴(아이콘)(530)를 통해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며, 장면 박스(521)들의 순서를 제작자의 원하는 흐름에 맞춰 변경함으로써, 제작된 내용에 대한 재구성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scene box 521 of the second area 520 can also be added or deleted through a separate menu (icon) 530, and the scene box 521 is changed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scene boxes 521 according to the desired flow of the producer. Reconstruction of contents can be done easily and simp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도구 기반의 장면 제작 인터페이스(제 2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ion tool based scene production interface (secon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제 2 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장면 박스가 선택(클릭 또는 더블 클릭)되면 제공되며, 제작자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면 제작을 위한 자원 구성 요소(예를 들어, 등장 캐릭터의 크기, 배치 모양, 위치 및 효과음 등) 등 장면 정보를 시각 적으로 확인하면서 장면을 원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The second interface shown in FIG. 6 is provided when the scene box shown in FIG. 5 is selected (clicked or double-clicked), and the producer is provided with a resource component (e.g., Scenes can be produced in the desired form while visually checking the scene information such as size, layout shape, position, and sound effects.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인터페이스에는 각각의 폴더(610)에 미리 저장된 객체(620)를 제 2 인터페이스 내의 미리 정해진 영역(630)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장면의 배경, 캐릭터 또는 주변 사물 등을 배치할 수 있다.In more detail, in the second interface, drag and drop an object 620 stored in each folder 610 in a predetermined area 630 in the second interface to arrange a background, a character, or a surrounding object of a scene. Can be.

또한, 배치된 객체들은 제 2 인터페이스 내의 별도 메뉴(640)를 통하여 확대, 축소, 회전 또는 미리 정해진 애니메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장면이 완성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는 제 2 인터페이스 내의 플레이 버 튼(650)을 이용하여 완성된 장면의 실제 움직임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rranged objects may perform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or predetermined animation through a separate menu 640 in the second interface, through which a scene may be completed. For reference, the user may check the actual movement of the completed scene using the play button 650 in the second interfa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된 장면에 대하여 자동 생성된 스크립트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ipt generated automatically for a produced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작된 장면은 스크립트 엔진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스트 형태의 스크립트로 저장된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면을 제작하는 방법 외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스트 형태의 스크립트를 제작자가 직접 이용하여 장면을 제작할 수 도 있는데,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에 능한 제작자는 스크립트를 편집함으로써 직접 장면을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다.The scene 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is stored as a script in a text form as shown in FIG. 7 through a script engine. For referenc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producing a scene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illustrated in FIG. 6, a producer may directly create a scene using a text-type script as illustrated in FIG. 7. Producers can also create or modify scenes directly by editing script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장면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8 illustrates a scene box in which a thumbnail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면 박스가 제작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면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이미지(810)가 장면 박스에 표시될 수 있는데, 장면 박스에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는 제작된 장면 중 주요 장면의 미리 보기를 제공하여, 제작자는 이를 통해 전체적인 장면의 구성을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After the scene box is produced, as shown in FIG. 8, a thumbnail image 810 for the scene may be displayed in the scene box, and the thumbnail image displayed in the scene box is the main scene of the produced scene. By providing a preview of, the creators can more intuitively understand the overall scene composi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면의 세부 정보 확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information confirmation screen of a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화면은, 장면 제작 후, 도 8에 도시된 장면 박스가 선택(클릭 또는 더블 클릭)되면 제공될 수 있으며, 제작자는 도 9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서 해당 장면의 세부적인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The screen shown in FIG. 9 may be provided when the scene box shown in FIG. 8 is selected (clicked or double-clicked) after the scene is produced, and the producer may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cene through the screen shown in FIG. You can enter or confirm.

도 9에 도시된 화면의 상단에는 제작된 장면에 대한 재생 정보(910)와 자원의 세부적인 구성 정보(920)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제공된 텍스트 입력창(930)을 통해 장면에 대한 상세 시나리오를 작성하거나 확인할 수도 있다.At the top of the screen shown in FIG. 9, playback information 910 of the produced scene and detailed configuration information 920 of the resource can be checked, and a detailed scenario of the scene is provided at the bottom through the provided text input window 930. You can also write or check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t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nt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저작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authoring interactiv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저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oring interactiv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기반의 장면 구성 인터페이스(제 1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chart-based scene composition interface (firs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도구 기반의 장면 제작 인터페이스(제 2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ion tool based scene production interface (secon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된 장면에 대하여 자동 생성된 스크립트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ipt automatically generated for a produced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장면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8 illustrates a scene box in which a thumbnail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면의 세부 정보 확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information confirmation screen of a sc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10 : 시나리오 요약 정보 입력부110: scenario summary information input unit

120 : 요약 정보 표시부120: summary information display unit

130 : 장면 박스 생성부130: scene box generator

140 : 장면 제작 도구 제공부140: scene creation tool provider

150 : 스크립트 생성부150: script generation unit

160 : 콘텐츠 생성부160: content generation unit

Claims (8)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장치가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authoring means that the content authoring means providing apparatus can interact with, (a) 상기 콘텐츠의 시나리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흐름 순의 장면 단위로 입력 받고, 상기 요약 정보를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a) receiving summary information about a scenario of the content in a flow order of scene units, and displaying the summary information in a first area of a first interface; (b) 상기 요약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흐름도의 장면 박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b) when the summary information is selected, generating a scene box of a flowch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mmary information and placing the scene box in a second area of the first interface; (c) 상기 장면 박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면 박스의 시나리오 내용에 대한 장면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 도구(tool)를 포함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c) if the scene box is selected, providing a second interface including a production tool for producing a scene of scenario contents of the selected scene box; (d) 상기 선택된 장면 박스에 대한 장면이 제작되면, 상기 제작된 장면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태의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d) if a scene for the selected scene box is produced, generating a script in a text form corresponding to the produced scene; and (e) 상기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각 장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e) integrating each scene comprising the script to create one finished content;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요약 정보 선택 시, 상기 장면의 논리적 흐름에 대응하는 흐름도 기호가 자동 생성되어 상기 장면 박스에 연결되는,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방법.Wherein (b) comprises the step of, when selecting the summary information, a flow chart symbol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flow of the scen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connected to the scene box,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provid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의 요약 정보 선택은 상기 제 1 영역의 요약 정보가 드래그(drag)되어 상기 제 2 영역으로 드롭(drop)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방법.And selecting summary information of step (b) is performed by dragging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into the second are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b) 단계는 상기 요약 정보가 복수 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장면 박스가 자동 분기되어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방법.In the step (b), when a plurality of pieces of summary information are selected, a scene box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ected pieces of summary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branched and placed in the second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장면 박스의 추가, 삭제, 기존에 삭제된 장면 박스의 검색과 불러오기 및 장면 박스의 특성에 따른 분류와 정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방법.The first interface provides an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dding, deleting, retrieving and retrieving a previously deleted scene box, and sorting and sort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scene box. Wa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요약 정보를 시나리오의 흐름에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배치 가능한 영역인 것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방법.And the first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summary information can be freely arranged as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cenario.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 단계는 폴더에 미리 저장된 객체를 화면에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장면을 제작하는,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방법.In the step (c), an object pre-stored in a folder is placed on the screen, and the scene is produced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arranged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면 박스는 상기 제작된 장면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제작된 장면 중 주요 장면의 미리 보기를 제공하는 것인,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 제공 방법.And the scene box displays a thumbnail image of the produced scene, wherein the thumbnail image provides a preview of a main scene of the produced scene.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authoring means, 상기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each ste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KR1020090101072A 2009-10-23 2009-10-23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 KR101118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072A KR101118536B1 (en) 2009-10-23 2009-10-23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072A KR101118536B1 (en) 2009-10-23 2009-10-23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419A KR20110044419A (en) 2011-04-29
KR101118536B1 true KR101118536B1 (en) 2012-03-12

Family

ID=4404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072A KR101118536B1 (en) 2009-10-23 2009-10-23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5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947B1 (en) * 2016-01-29 2019-08-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generating open scenario
KR101764531B1 (en) 2016-02-29 2017-08-0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image processing and data transmission in network camera environments
KR102202372B1 (en) 2017-01-17 202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creating interactive media in which user interaction can be recognized by reusing video conten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KR102181708B1 (en) * 2018-08-29 2020-11-23 정광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Ser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01A (en) * 2000-04-14 2001-11-08 조승희 Moving picture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n the internet
KR20070120706A (en) * 2006-06-20 2007-12-26 뷰모션 (주)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the digital storyboard by converting text to motion
KR20080114786A (en) * 2006-03-03 2008-12-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generation of summary of a plurality of images
KR20090000099A (en) * 2006-12-29 2009-01-07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ents making method using ani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01A (en) * 2000-04-14 2001-11-08 조승희 Moving picture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n the internet
KR20080114786A (en) * 2006-03-03 2008-12-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generation of summary of a plurality of images
KR20070120706A (en) * 2006-06-20 2007-12-26 뷰모션 (주)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the digital storyboard by converting text to motion
KR20090000099A (en) * 2006-12-29 2009-01-07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ents making method using ani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419A (en)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98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reating interactive application environments
US10846336B2 (en) Authoring tools for synthesizing hybrid slide-canvas presentations
RU2506629C2 (en) Creating presentation on infinite canvas and navigation thereon
US10909307B2 (en) Web-based system for capturing and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 for a software application
JP5295455B2 (en) How to generate an on-screen menu
US20120089933A1 (en) Content configuration for device platforms
US20100281375A1 (en) Media Clip Auditioning Used to Evaluate Uncommitted Media Content
US20080184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models
US201501211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Multi-Slide Presentations
JP2013538505A (en) Tools for presenting and editing storyboard representations of compound presentations
KR101118536B1 (en)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means of interactive contents
JP48459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quence of video frame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cene model, scene model,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menu structure, and computer program
WO2010113211A1 (en) Animation editing apparatus and ani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JP5255865B2 (en) Screen transition design support device, screen transition design support method, and screen transition design support program
JP2011150568A (en) Production preparation activity program
Connection et al. Creating your first Flash Professional CS5 document
Wardi Online video presentation tool
JP2008077432A (en) File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TW202325031A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with multiple media elements in an editing environment
JP4168808B2 (en) Object display device and program
Gerantabee et al. Flash Professional CS5 Digital Classroom
Richardson et al. Working with Components
JP2009086948A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lide show data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