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597B1 - 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597B1
KR101117597B1 KR1020090087043A KR20090087043A KR101117597B1 KR 101117597 B1 KR101117597 B1 KR 101117597B1 KR 1020090087043 A KR1020090087043 A KR 1020090087043A KR 20090087043 A KR20090087043 A KR 20090087043A KR 101117597 B1 KR101117597 B1 KR 101117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ar
display unit
slide
guid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9388A (en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9008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97B1/en
Publication of KR2011002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3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PMP,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오픈(OPEN)할 경우 메인바디와 디스플레이부와의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하고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가 반자동으로 오픈 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기기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display unit is open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MP, an electronic dictionary, or the like, the angl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unit is set to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not only enables the user to look at the screen of the display part conveniently and clearly, but also opens the display part semi-automaticall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and increasing durability of the devic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끝단이 상부하우징(500)과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하부하우징(600)과 힌지고정되어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하며, 타측 끝단에는 회전조절부(370)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개폐를 반자동 제어하는 제1 회전바(300)와; 일측 끝단이 상부하우징(500)과 힌지고정되고, 타측 끝단이 하부하우징(600)과 힌지고정되어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2 회전바(400)와; ㄷ자 형상의 케이스로서 개방된 부분이 아래 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상기 제2 회전바(400)의 일측이 안착되어 힌지고정되는 상부하우징(500); 및 ㄷ자 형상의 케이스로서 개방된 부분이 윗 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상기 제2 회전바(400)의 타측 끝단이 안착되어 힌지고정되며, 일측 벽면에는 축가이드(650)가 형성되고 타측 벽면에는 볼가이드(610)가 형성된 하부하우징(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hinged and fixed to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and fixed to the lower housing 600 to connect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A first rotation bar 300 having a rotation control unit 370 at the other end to semi-automatic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play unit 200; A second rotating bar 400 having one end end hinged to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other end hinged to the lower housing 600 to support and support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An upper housing 500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seated and fixed so that the open portion is in a downward direction as a c-shaped case; And a c-shaped case so that the open portion is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seated and fixed, and a shaft guide 650 is provided at one wall. It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wall surface is formed with a ball housing 610, the lower housing 600;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메인바디, 디스플레이부, 제1 회전바, 제2 회전바, 상부하우징, 하부하우징 Main body, display unit, first rotating bar, second rotating bar, upper housing, lower housing

Description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PMP,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오픈(OPEN)할 경우 메인바디와 디스플레이부와의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하고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가 반자동으로 오픈 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기기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display unit is open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MP, an electronic dictionary, or the like, the angl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unit is set to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not only enables the user to look at the screen of the display part conveniently and clearly, but also opens the display part semi-automaticall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and increasing durability of the device. .

최근 IT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PMP, 전자사전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었으며, 기술의 컨버전서(Convergence)화 경향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가 동영상재생기능과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 spread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MPs, electronic dictionaries, etc. has become commonplace, and due to the convergence trend of technology, most portable terminals use video playback functions and display devices. Equipped.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의 단말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적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오픈 하면 메인바디와 디스플레이부가 평행하게 배열 되어 화면주시에 불편함이 따른다.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splay device, a folding type or a slide type terminal is mainly used to reduce the size of the devic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terminal, when the display unit is opened,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unit are arranged in parallel, which is inconvenient for screen display. It follows.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6609호에는 "슬라이드 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5-0056609 discloses a "slide up typ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클로즈(Close)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오픈(Open)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slide-up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slide-up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메인바디(2), 메인바디(2)를 따라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드바디(4), 메인바디(2)와 슬라이드바디(4)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바디(4)를 오픈 할 경우 슬라이드바디(4)의 일측을 승강시키는 각도유지부재(6)를 포함하고 있다.1 and 2,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main body 2 and a slide body 4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o one side along the main body 2, the main body 2, and the slide body. It is provided between the (4) and the angle holding member (6) for lifting up one side of the slide body (4) when opening the slide body (4).

메인바디(2)의 전면 양측에는 한 쌍의 슬롯(18)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바디(4)의 배면 양측에는 슬롯(1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돌기(20)가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slots 1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slide protrusions 20 sliding along the slots 1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slide body 4.

메인바디(2)의 내부 상측에는 힌지축의 역할을 하는 지지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바디(4)의 양측에는 가이드홈(32)이 구비되어 있다.A support 28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to serve as a hinge shaft, and guide grooves 3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lide body 4.

각도유지부재(6)는 본체(34)와 상기 본체(34)의 하부 양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터팁(36)과 본체(34)의 상부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38)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터팁(36)은 지지부(28)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가이드돌기(38)는 가이드홈(3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The angle retaining member 6 includes a main body 34 and a pair of rotor tips 36 extending from both lower ends of the main body 34 and guide protrusions 38 extending outward from both upper sides of the main body 34. The rotor tip 36 is rotatably fixed to the support 28 and the guide protrusion 38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상기와 같은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는 슬라이드바디(4)를 열 때 가이드홈(32) 의 단부에 가이드돌기(38)가 걸리면서 로터팁(36)을 축으로 본체(34)가 회전되어 슬라이드바디(4)가 경사지게 열리게 된다.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body 34 is rotated around the rotor tip 36 while the guide protrusion 38 is caught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32 when the slide body 4 is opened. ) Will be opened inclin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업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 동작단계가 완전수동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오픈 될 때까지 사용자가 계속하여 힘을 가해주어야 하며, 슬라이드바디의 단부가 슬라이드돌기를 따라 이동할 때 메인바디에 닿아 부드럽게 열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slide-up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ust continue to apply the force until the operation stage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end of the slide body moves along the slide protrus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does not open smoothly on the main body.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이동범위가 짧아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키패드(Key pad)를 설치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크게 하거나 와이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range of the display unit is short,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enough space to install a keypad for an interface, and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or to apply to a terminal using a wide displa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회전바를 반자동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가 개폐될 때 메인바디와의 마찰이나 접촉을 방지하여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메인바디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메인바디에 키 패드를 설치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figured to the semi-automatic rotary movement of the two rotary bars supporting the display unit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play unit as well as to prevent friction or contact with the main body when the display unit is opened and closed.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main body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ensure sufficient space to install the keypad on the main bod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일측 끝단이 상부하우징(500)과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하부하우징(600)과 힌지고정되어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하며, 타측 끝단에는 회전조절부(370)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개폐를 반자동 제어하는 제1 회전바(300)와; 일측 끝단이 상부하우징(500)과 힌지고정되고, 타측 끝단이 하부하우징(600)과 힌지고정되어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2 회전바(400)와; ㄷ자 형상의 케이스로서 개방된 부분이 아래 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상기 제2 회전바(400)의 일측이 안착되어 힌지고정되는 상부하우징(500); 및 ㄷ자 형상의 케이스로서 개방된 부분이 윗 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상기 제2 회전바(400)의 타측 끝단이 안착되어 힌지고정되며, 일측 벽면에는 축가이드(650)가 형성되고 타측 벽면에는 볼가이드(610)가 형성된 하부하우징(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을 제공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concep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ne end is hinged and fixed to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and fixed to the lower housing 600 to connect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ontrol unit 370, the first rotary bar 300 for semi-automatic control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play unit 200; A second rotating bar 400 having one end end hinged to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other end hinged to the lower housing 600 to support and support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An upper housing 500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seated and fixed so that the open portion is in a downward direction as a c-shaped case; And a c-shaped case so that the open portion is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seated and fixed, and a shaft guide 650 is provided at one wall.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d the lower housing 600, the ball guide 61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조절부(370)는, 상기 제1 회전바(3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축(330)과; 상기 제1 회전바(3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40)과; 상기 스프링홈(340)에 삽입되는 제1 스프링(350); 및 상기 제1 스프링(350)의 끝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볼(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rotation control unit 370, the guide shaft 3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 spring groove 34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A first spring 350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340; And a guide ball 360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spring 3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축가이드(650)는 상기 하부하우징(600)의 일측 벽면에 제2 고정핀(325)을 동심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가이드축(330)의 운동경로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볼가이드(610)는 상기 하부하우징(600)의 타측 벽면에 상기 제2 고정핀(325)을 동심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가이드볼(360)의 운동경로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볼가이드(610)의 안쪽 원호(614)는 일측이 돌출되어 턱을 형성하고 상기 턱의 타측으로 가면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haft guide 650 is to be round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shaft 330 to rotate in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second fixing pin 325 on one side wal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600 The ball guide 610 is formed to be rounded along the path of movement of the guide ball 360 to rotate the second fixing pin 325 in the concentric circle on the other wal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600, The inner arc 614 of the ball guide 6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formed to protrude to form a jaw and widen while going to the other side of the jaw.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축(330)과 상기 제2 회전바(400)의 제4 고정핀(425)은 제2 스프링(430)이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200)를 오픈(Open)할 때 상기 제1 회전바(300)가 반자동 동작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fixing pin 425 of the guide shaft 33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ring 430 to open the display unit 200 (Open). When the first rotation bar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to give an elastic force to operate semi-automatically.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 의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화면을 바라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가 반자동으로 개폐되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기기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이 적어서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오픈시 메인바디와 분리되어 메인바디에 키 패드 등을 설치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look at the screen comfortably by inclin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to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display uni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applied to the device. Loss of physical forc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unit is opened, the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a space for installing a keypad or the like on the main body can be sufficiently secu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which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업 모듈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드 업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슬라이드 업 모듈의 분해도이고, 도 5a는 도 4b에 도시된 하부하우징의 일측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4b에 도시된 하부하우징의 타측 측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slide u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up module illustrated in FIG. 3, and FIG. 4B is an exploded view of the slide up module illustrated in FIG. 4A. 5A is a side view of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shown in FIG. 4B, and FIG. 5B is a sid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using shown in FIG. 4B.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은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하는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와,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 바(40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고정되는 상부하우징(500) 및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며 하부에는 메인바디(100)가 고정되는 하부하우징(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display unit 200, and a first rotating bar connect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The upper housing 5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and the display unit 200 is fixed to the upper side. And a lower housing 600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and having a main body 100 fixed thereto.

메인바디(100)는 단말기의 본체로서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저장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입력을 위한 수단 등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200)는 정보나 영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로서 LCD나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 형식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는 공지의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a main body of the terminal, and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display unit 200 displays the information or an image so as to visually recognize it.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LCD and OLED, are used as the device, and a touch screen type display device may be used as necessary.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may be used in a variety of known.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제1 회전바(300)는 중심부와 타측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굴곡된 꺾쇠모양이고, 상기 굴곡부로부터 일측 끝단까지의 폭은 제2 회전바(400)가 겹쳐지도록 좁게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로부터 타측 끝단까지의 폭은 상기 제1 회전바(300)가 하부하우징(600)의 내홈에 안착되도록 하부하우징(600)의 내홈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단(段)부를 형성한다.4A and 4B, the first rotation bar 300 is a curved shape in which any por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other side is bent, and the width from the bend to one end thereof overlaps the second rotation bar 400. It is formed narrowly, the width from the bent portion to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inner groove of the lower housing 600 so that the first rotating bar 300 is seated in the inner groove of the lower housing 600 Form a part.

상기 단부의 측면은 제2 회전바(400)의 굴곡 각도와 대응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2 회전바(400)와 결합시 빈틈없이 겹쳐지도록 하여 콤펙트(Compact)한 일체형의 슬라이드 업 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회전바(300)의 일측면으로서 제2회전바(400)가 겹치는 부분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 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The side surface of the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second rotary bar 400 so as to overlap without gap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rotary bar 400 to form a compact integrated slide-up module. It is preferable. In this case, a portion where the second rotation bar 400 overlaps with one side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is formed in the same width as the first rotation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on bar 400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but it can be variously changed as necessary.

제1 회전바(300)의 일측 끝단과 타측에는 각각 제1 핀관통홀(310) 및 제2 핀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관통홀(310, 320)에는 각각 고정핀(pin)이 체결되어 제1 고정핀(315)은 제1 회전바(300)의 일측 끝단을 상부하우징(500)에 힌지고정하고, 제2 고정핀(325)은 제1 회전축(300)의 타측을 하부하우징(600)에 힌지고정한다. The first pin through hole 310 and the second pin through hole 320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respectively, and the fixing pins are formed at the pin through holes 310 and 320, respectively. pin) is fastened so that the first fixing pin 315 hinges one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to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second fixing pin 325 i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shaft 300. Is hinged to the lower housing 600.

이때 상기 제1 고정핀(315)의 머리부는 제1 회전바(300)와 제2회전바(400)의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핀관통홀(310)에 핀머리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제1 고정핀(315)의 머리부가 제1 회전바(300)의 몸체에 완전히 묻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head of the first fixing pin 315 is locat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A pin head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first pin through hole 310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head so that the head of the first fixing pin 315 is completely buried in the body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제1 회전바(300)의 타측 끝단으로서 제2 핀관통홀(320)의 하부에는 제1 회전바(300)의 움직임을 반자동 제어하는 회전조절부(370)가 구비되어 있다. As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n through hole 32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ontrol unit 370 for semi-automatic control of the movement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회전조절부(370)는 제1 회전바(300)의 일측면에 구비된 가이드축(330)과, 제1 회전바(30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스프링부재가 삽입되는 스프링홈(340), 상기 스프링홈(340)에 삽입되어 후술하여 설명할 가이드볼(36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350), 제1 스프링(350)의 끝단에 구비되어 회전바의 움직임을 반자동 제어하는 가이드볼(360)로 구성된다.The rotation adjusting part 370 is formed on the guide shaft 3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pring groove 340 into which the spring member is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34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spring 350, the first spring 350 to give an elastic force to the guide ball 360 to be described later to semi-automatical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bar It is composed of a guide ball 360.

가이드축(330)은 제1 회전바(300)의 일측면에 제1 회전바(3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축(330)의 원주연에는 두 개의 홈(332, 334)이 형성되며, 내 측홈(332)은 후술하여 설명할 축가이드(650)와 결합하고 외측홈(334)은 후술하여 설명할 제2 스프링(430)과 결합된다.The guide shaft 33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rotation bar 300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In addition, two grooves 332 and 334 are formed at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guide shaft 330, and the inner groove 332 is combined with the shaft guide 6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uter groove 334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coupled to the second spring 430 to be.

스프링홈(340)은 제1 회전바(300)의 일측면에 반관통 형성되며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축(330)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된다. 스프링홈(340)에는 제1 스프링(350)이 결합된다. 제1 스프링(350)의 끝단에는 중심부의 지름이 제1 스프링(350)의 지름보다 큰 구(球)체의 가이드볼(36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볼(360)은 후술하여 설명할 하부하우징(600)의 볼가이드부(610)와 결합한다.The spring groove 340 is formed through the semi-penetra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and preferably has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guide shaft 330. The first spring 350 is coupled to the spring groove 340. At the end of the first spring 350 is provided a guide ball 360 of a sphere body having a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pring 350, the guide ball 360 is a lower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Coupling with the ball guide portion 610 of the housing 600.

제2 회전바(400)는 제1 회전바(300)와 같이 중심부와 타측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굴곡된 꺾쇠모양이고, 일측 끝단의 폭은 상부하우징(500)의 내홈의 폭과 동일하고, 타측 끝단의 폭은 하부하우징(600)의 내홈의 폭과 동일하여 각각 상부하우징(500) 및 하부하우징(600)의 내홈에 안착된다. 또한 제2 회전바(400)의 몸체는 제1 회전바(300)의 일측면(302)과 겹쳐지도록 좁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바(300)의 일측면(302)과 제2 회전바(400)의 몸체부의 합이 제1 회전바(300)의 타측 및 제2 회전바(400)의 양측 끝단의 폭과 동일하게 한다.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a curved shape in which any por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other side is bent like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width of one end thereof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inner groove of the upper housing 500. The width of the other end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inner groove of the lower housing 600 is seated in the inner groove of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lower housing 6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ody of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narrowly formed so as to overlap one side 302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preferably one side 302 and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The sum of the body parts of the rotation bar 400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opposite ends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on bar 400.

제2 회전바(400)의 양측 끝단에는 각각 제3 핀관통홀(410) 및 제4 핀관통홀(420)이 형성되며, 제3 핀관통홀(410)은 제3 고정핀(415)에 의하여 상부하우징(500)에 힌지고정되고, 제4 핀관통홀(420)은 제4 고정핀(425)에 의하여 하부하우징(600)에 힌지고정된다.The third pin through hole 410 and the fourth pin through hole 4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otation bar 400, respectively, and the third pin through hole 410 is connected to the third fixing pin 415. The upper housing 500 is hinged and fixed, and the fourth pin through hole 420 is hinged to the lower housing 600 by the fourth fixing pin 425.

이때 제3 고정핀(415)은 머리부를 얇게 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4 고정핀(425)은 머리부를 두껍게 하여 머리부의 원주연에 제2 스프링(430)을 고정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한다. 제2 스프링(430)은 제4 고정핀(425)과 제1 회전바(300)의 가이드축(330)을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부(200)를 오픈(Open)할 때 제1 회전바(300)가 반자동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fixing pin 415 is thin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fourth fixing pin 425 can fix the second spring 430 to the circumference of the head by thickening the head. Form a groove. The second spring 430 connects the fourth fixing pin 425 and the guide shaft 330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to open the display unit 200. It gives elastic force to make semi-automatic operation.

상부하우징(500)은 ㄷ자 형상의 케이스로서 개방된 부분이 아랫방향이 되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의 일측이 안착되고, 상부하우징(500)의 윗부분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결합하는 디스플레이결합부(550)가 구비된다. The upper housing 500 is a U-shaped case, the open part of which is downward, and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se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housing 500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coupling unit 550 to which the display unit 200 is coupled.

상부하우징(500)의 절곡된 측면에는 핀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가 힌지결합한다. 이때 제1 고정핀(315)이 결합되는 핀관통홀(미도시)은 상부하우징(500)의 타측 벽면에만 형성되며, 제3 고정핀(415)이 결합되는 핀관통홀은 상부하우징의 양측 벽면의 동일선상에 형성된다.The bent side of the upper housing 500 has a pin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the first rotary bar 300 and the second rotary bar 400 is hinged. At this time, the pin through hole (not shown) to which the first fixing pin 315 is coupled is formed only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pin through hole to which the third fixing pin 415 is coupled to both side walls of the upper housing.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하부하우징(600)은 ㄷ자 형상의 케이스로서 개방된 부분이 윗 방향이 되어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의 타측이 안착되고, 하부하우징(600)의 아랫부분에는 메인바디(100)가 결합하는 바디결합부(640)가 구비된다. 또한 하부하우징(600)의 일측 벽면에는 제2 스프링부재(43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670)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housing 600 is a U-shaped case, the open portion of which is upward,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seat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600 The body coupling part 640 to which the main body 100 is coupled is provided. In addition, a protective cover 670 for protecting the second spring member 430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lower housing 600.

또한, 하부하우징(600)의 일측 벽면에는 축가이드(650)가 형성되며, 타측 벽면에는 볼가이드(61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haft guide 650 is formed on one wal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600, and the ball guide 610 is formed on the other wall surface.

축가이드(65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핀(325)을 동심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가이드축(330)의 운동경로를 따라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축가이드(650)의 후방에는 상기 가이드축(3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shaft guide 650 is formed to be round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shaft 330 which rotates with the second fixing pin 325 concentrically, as shown in FIG. 5A, and behind the shaft guide 650. An incision is formed to allow the guide shaft 330 to be inserted therein.

볼가이드(61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핀(325)을 동심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가이드볼(360)의 운동경로를 따라 형성되며, 바깥쪽 원호는(612) 라운드형상이고, 안쪽 원호(614)는 일측이 돌출되어 턱을 형성하며 상기 턱의 타측으로 가면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The ball guide 610 is formed along the motion path of the guide ball 360 to rotate with the second fixing pin 325 concentrically as shown in Figure 5b, the outer arc 612 is round shape, The inner arc 614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protruded to form a jaw and the width is widened while going to the other side of the jaw.

상기와 같은 볼가이드(610)의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업 모듈이 반자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가이드볼(360)이 턱의 일측에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볼(360)이 턱에 걸려서 쉽게 오픈(Open)되지 않도록 하며, 디스플레이부(200)를 오픈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면 가이드볼(360)이 턱을 통과하여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한다. 상기 반자동과정은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shape of the ball guide 610 as described above is a structure for the semi-automatic movement of the slide-u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uide ball 360 is on one side of the jaw guide ball 360 It is not easily opened by being caught by the jaw, and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open the display unit 200, the guide ball 360 passes through the jaw and moves to the other side to be automatically opened. The semi-automatic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부(200)가 클로즈(Close)된 경우에는 가이드볼(360)이 턱의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볼(360)이 턱의 일측에 있는 경우에는 턱에 걸려서 쉽게 움직일 수 없게 되고, 따라서 평상시에 사용자의 의사에 반 하여 디스플레이부(200)가 오픈(Open)되는것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closed, the guide ball 360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jaw. When the guide ball 36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jaw, the jaw cannot be easily moved and thus prevents the display unit 200 from being opened in opposition to the user's intention.

그러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0)를 오픈하기 위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면 가이드볼(360)이 턱에 눌려서 내측으로 밀리면서 턱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볼(360)이 일단 턱을 통과하게 되면 제1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볼(360)이 외부로 밀리면서 일정한 비율로 넓어지는 볼가이드(610)를 따라 쉽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제2 스프링(430)이 가이드축(330)을 당겨줌으로써 더 이상의 부가적인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가이드볼(360)이 볼가이드(610)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가 회전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user applies a certain force to open the display unit 200, the guide ball 360 is pressed against the jaw and pushed inward to pass through the jaw. In this case, once the guide ball 360 passes through the jaw, the guide ball 360 is easily pushed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350 and moves along the ball guide 610 widened at a constant rate. At this time, even if the second spring 430 does not apply any additional force by pulling the guide shaft 330, the guide ball 360 is automatically moved along the ball guide 610 while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on bar 400 is rotated.

이와 같이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가 반자동으로 회전하면, 제1 회전바(300) 및 제2 회전바(400)의 일측 끝단의 위치변하로 인하여 상부하우징(500)의 경사각이 변하게 되면서 디스플레이부(200)의 경사각이 변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rotate semi-automatically, the upper housing 500 due to the positional change of one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200 changes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200 changes.

한편, 일단 오픈된 디스플레이부(200)는 제2 스프링(4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지 전에는 다시 클로즈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once opened display unit 200 is not closed again before applying a constant forc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430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은 휴대형 단말기의 메인바디 일 측에 한 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인바디의 양측에 한 쌍의 슬라이드 업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반자동효과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on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preferably provided with a pair of slide-up module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emi-automatic effect and du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의 제1 회전바 및 제2 회전바의 모양도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rst rotary bar and the second rotary bar of the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클로즈(Close)상태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slide-up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오픈(Open)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slide-up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업 모듈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lide u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드 업 모듈의 사시도.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up module shown in FIG. 3.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슬라이드 업 모듈의 분해도.4B is an exploded view of the slide up module shown in FIG. 4A.

도 5a는 도 4b에 도시된 하부하우징의 일측 측면도.Figure 5a is a side view of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shown in Figure 4b.

도 5b는 도 4b에 도시된 하부하우징의 타측 측면도.FIG. 5B is another side view of the lower housing shown in FIG. 4B;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메인바디 200: 디스플레이부100: main body 200: display unit

300: 제1 회전바 310: 제1 핀관통홀300: first rotating bar 310: first pin through hole

320: 제2 핀관통홀 330: 가이드축320: second pin through hole 330: guide shaft

340: 스프링홈 350: 제1 스프링340: spring groove 350: first spring

360: 가이드볼 400: 제2 회전바360: guide ball 400: second rotating bar

410: 제3 핀관통홀 420: 제4 핀관통홀410: third pin through hole 420: fourth pin through hole

430: 제2 스프링 500: 상부하우징430: second spring 500: upper housing

600: 하부하우징 610: 볼가이드600: lower housing 610: ball guide

650: 축가이드650: shaft guide

Claims (4)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에 있어서,In the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일측 끝단이 상부하우징(500)과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하부하우징(600)과 힌지고정되어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하며, 타측 끝단에는 회전조절부(370)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개폐를 반자동 제어하는 제1 회전바(300)와;One end is hinged and fixed to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and fixed to the lower housing 600 to connect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ontrol unit 370 A first rotating bar 300 which semi-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play unit 200; 일측 끝단이 상부하우징(500)과 힌지고정되고, 타측 끝단이 하부하우징(600)과 힌지고정되어 메인바디(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2 회전바(400)와;A second rotating bar 400 having one end end hinged to the upper housing 500 and the other end hinged to the lower housing 600 to support and support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ㄷ자 형상의 케이스로서 개방된 부분이 아래 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상기 제2 회전바(400)의 일측이 안착되어 힌지고정되는 상부하우징(500); 및An upper housing 500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seated and fixed so that the open portion is in a downward direction as a c-shaped case; And ㄷ자 형상의 케이스로서 개방된 부분이 윗 방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바(300) 및 상기 제2 회전바(400)의 타측 끝단이 안착되어 힌지고정되며, 일측 벽면에는 축가이드(650)가 형성되고 타측 벽면에는 볼가이드(610)가 형성된 하부하우징(600);The c-shaped case is opened so that the open portion is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30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00 is seated and fixed, and a shaft guide 650 is provided at one wall surface. A lower housing 600 having a ball guide 610 formed on the other wall;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조절부(370)는,The rotation control unit 370, 상기 제1 회전바(3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축(330)과;A guide shaft 3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상기 제1 회전바(3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스프링홈(340)과;A spring groove 34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bar 300; 상기 스프링홈(340)에 삽입되는 제1 스프링(350); 및A first spring 350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340; And 상기 제1 스프링(350)의 끝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볼(360);A guide ball 360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spring 3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축가이드(650)는 상기 하부하우징(600)의 일측 벽면에 제2 고정핀(325)을 동심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가이드축(330)의 운동경로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볼가이드(610)는 상기 하부하우징(600)의 타측 벽면에 상기 제2 고정핀(325)을 동심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가이드볼(360)의 운동경로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볼가이드(610)의 안쪽 원호(614)는 일측이 돌출되어 턱을 형성하고 상기 턱의 타측으로 가면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The shaft guide 650 is formed to be round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shaft 330 rotating on the one side wall of the lower housing 600 by the second fixing pin 325 in a concentric circle, the ball guide 610 ) Is formed to be round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ball 360 to rotate on the other wal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600 with the second fixing pin 325 in a concentric circle, the inner arc of the ball guide 610 614 is a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formed to protrude to form a jaw and wider while going to the other side of the jaw.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이드축(330)과 상기 제2 회전바(400)의 제4 고정핀(425)은 제2 스프링(430)이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200)를 오픈(Open)할 때 상기 제1 회전바(300)가 반자동 동작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The fourth fixing pin 425 of the guide shaft 330 and the second rotation bar 400 is connected to a second spring 430 to open the display unit 200. Slide-up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give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300 is semi-automatic operation.
KR1020090087043A 2009-09-15 2009-09-15 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KR101117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043A KR101117597B1 (en) 2009-09-15 2009-09-15 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043A KR101117597B1 (en) 2009-09-15 2009-09-15 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388A KR20110029388A (en) 2011-03-23
KR101117597B1 true KR101117597B1 (en) 2012-02-24

Family

ID=4393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043A KR101117597B1 (en) 2009-09-15 2009-09-15 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56B1 (en) * 2010-04-12 2011-07-0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Long stroke tilting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2426694B1 (en) * 2017-05-0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201B1 (en) 2005-08-23 2006-11-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 rotary slid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7103B1 (en) 2006-08-2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O2009109238A2 (en) 2008-03-04 2009-09-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ink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201B1 (en) 2005-08-23 2006-11-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 rotary slid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7103B1 (en) 2006-08-2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O2009109238A2 (en) 2008-03-04 2009-09-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ink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388A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734B1 (en)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JP5112121B2 (en) Biaxial hing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5599226B2 (en) Switchgear
KR100709652B1 (en) Folding cellular phone
JP5333054B2 (en) Electronics
US20120149438A1 (en)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and hinge device of the same
JP2009033750A (en)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US20060101618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EP1936925A1 (en) Torsion coil spring an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WO2009034484A2 (en) Hinge for fold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fold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KR20050037054A (en) Portable terminal and swing hinge module thereof
WO2012039360A1 (en) Cov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7912523B2 (en) Crescent hinge
JP2004308872A (en) Opening/clos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1117597B1 (en) Slide up module for handheld terminal
KR100675731B1 (en)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KR100726468B1 (en)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060136030A (en)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8797730B2 (en) Slid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20110080492A (en) Free stop hinge apparatus for folding-type mobile phone
US8186016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device of folding type
WO2009035242A2 (en) Swing hinge for mobile phones
JP2011199835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00120781A (en) Hinge module for folder type mobile phone
JP5431892B2 (en) Small electronic devi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small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