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374B1 -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374B1
KR101115374B1 KR1020100035814A KR20100035814A KR101115374B1 KR 101115374 B1 KR101115374 B1 KR 101115374B1 KR 1020100035814 A KR1020100035814 A KR 1020100035814A KR 20100035814 A KR20100035814 A KR 20100035814A KR 101115374 B1 KR101115374 B1 KR 10111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ordinate value
scroll bar
scroll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415A (ko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3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37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바의 위치가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에 다음 화면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전환 방법은,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터치 조작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켜 이동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터치 조작에 의해 스크롤바가 이동하는 경우라면 이동된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스크롤바가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크롤바가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자동적으로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반응성을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CREEN CONVER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입력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스크롤바가 이동함에 따라 스크롤바가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자동적으로 화면을 전환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단문 서비스 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정보통신분야의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종전 음성 정보통신 중심에서 점점 데이터 정보통신 중심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이동통신서비스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동통신서비스에는 기존의 셀룰러전화, 무선호출 등이 있었고, 신규서비스로 개인휴대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무선데이타통신서비스, 주파수공용통신(TRS: Trunked Radio Service), 그리고 저궤도위성통신(LEO: Low Earth Orbit) 등이 등장하였다.
최근에는 인터넷 기능이 있는 휴대폰이나 PDA를 가지고 무선인터넷 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컨텐츠 다운로드, e-mail, 정보 검색 등을 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다.
무선인터넷망은 휴대폰 또는 PDA를 이용하여 이용자들이 무선인터넷을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하는데, 무선인터넷의 망 구성은 이용자의 단말기와 기지국을 연결하는 무선망 구간, 각종 교환기 및 서버시스템이 들어있는 이동교환망,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각 콘텐츠 제공사업자(CP)들에게 연결되는 인터넷 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인터넷 이용자가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전화사업자의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요구하면, 이동전화사업자의 IWF(망연동장치)와 Gateway(게이트웨이)를 거쳐서 각 컨텐츠 제공사업자(CP)의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성상 휴대성, 이동성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크기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수신량을 제한하기 위해 통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준을 List 10개 또는 20개로 제한하여 가져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자가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추가적으로 가져오기 위해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사용자에게 버튼을 누르게 하는 등의 사용자 이벤트를 통한 가져오기 기능을 요구함으로써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가져오는 사용자경험(UX)이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롤바의 움직임을 통한 화면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경험(UX)을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성을 극대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스크롤바를 스크롤영역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 및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및 하한 좌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 또는 하한 좌표값과 동일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하는 위치판단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조작에 의해 변경된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하는 좌표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는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값이 저장되는 스크롤바길이필드,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이 저장되는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좌표필드,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및 하한 좌표값이 저장되는 스크롤영역의 상한 및 하한좌표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이 동일한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서로 동일한 경우에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하고 서로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 이동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이 동일한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서로 동일한 경우에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하고 서로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 이동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은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 좌표값 또는 끝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 정보 리스트량에 따라 달라지는 스크롤바 길이를 변환하고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추가됨에 따라 달라지는 스크롤바의 위치를 변환하는 스크롤바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터치스크린에 컨텐츠 정보 리스트와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스크롤바를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크롤바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스크롤바가 이동하는 경우라면 이동된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제 4a 단계와;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판단부가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하는 제 5a 단계와; 상기 위치판단부의 요청에 의해 수신 받은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제 6a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의 스크롤바의 시작좌표필드 또는 끝좌표필드에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이 동일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상기 제 4a 단계 다음에,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이 서로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 상기 감지된 터치 조작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켜 이동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은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 좌표값 또는 끝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알림정보는, 진동, 소리, 화면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터치 조작에 의해 스크롤바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스크롤바가 이동하는 경우라면 이동된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제 4b 단계와;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판단부가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하는 제 5b 단계와; 상기 위치판단부의 요청에 의해 수신 받은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제 6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이 동일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4b 단계 다음에,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이 서로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터치 조작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켜 이동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은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 좌표값 또는 끝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알림정보는, 진동, 소리, 화면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상기 제 2단계 다음에, 상기 터치 조작에 의해 특정 항목을 선택한 경우라면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상기 제 6a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정보 리스트에 추가되는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은,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추가됨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연산하는 단계와;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추가됨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롤바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입력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스크롤바가 이동함에 따라 스크롤바가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자동적으로 화면을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수신함에 있어서 별도로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이 없더라도 화면을 전환할 수 있어서 사용자 경험(UX)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로서 스크롤영역과 스크롤바의 좌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로서 스크롤영역과 스크롤바의 좌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 리스트와 스크롤영역(220), 스크롤바(210)를 표시할 수 있다.
스크롤영역(220)은 스크롤바(210)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스크롤영역의 상한 및 하한 좌표값(230,240)은 각각 스크롤영역(220)의 첫번째 좌표값과 마지막 좌표값을 의미하며, 스크롤영역의 상한 및 하한 좌표값(230,240)은 스크롤바(210)의 이동과 무관한 고정값이다.
스크롤바의 시작 좌표값(250)은 스크롤바의 첫번째 좌표값를 의미하고, 스크롤바의 끝 좌표값(260)은 스크롤바의 마지막 좌표값을 의미한다.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 좌표값(250,260)은 사용자의 터치동작 전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 좌표값(250,260)으로 초기화되어 있다.
스트롤바의 위치 좌표값은 시작 좌표값 또는 끝 좌표값으로 정의될 수 있고, 시작 좌표값은 끝 좌표값에 스크롤바의 길이값을 뺀 값으로 나타낼 수도 있고, 끝 좌표값은 시작 좌표값에 스트롤바의 길이값을 더한 값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 터치스크린(120), 좌표검출부(130), 위치판단부(140), 스크롤바변환부(150), 메모리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스 필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 변환회로, 수신 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등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20)은 데이터나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로 동작함과 동시에 동작 제어를 위한 메뉴, 배터리 정보, 신호 수신 상태 정보들이 표시되는 표시장치로도 동작한다.
터치스크린(120)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감압식 터치스크린이 있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정전 용량 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센싱하는 방식으로 손가락을 화면에 댄 순간에 ITO막에 흐르던 전자가 손가락을 통해 몸 안으로 흐르게 되어 이때 변화가 일어난 전자의 위치를 센서가 감지하여 동작하는 방식의 터치스크린이다. 감압식 터치스크린은 말 그대로 압력을 인식하여 동작한다. 즉, 2개의 전도층이 공기층을 가운데 두고 마주보고 있는데 화면을 통해 누름으로써 2개의 전도층이 맞닿게 되어 터치를 인식하게 된다.
터치스크린(120)은 터치패널(touch panel)과 터치패널제어기 등을 포함하며, 터치패널이 위치를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터치패널제어기로 전송하고, 터치패널제어기는 상기 신호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좌표검출부(130)는 상기 터치스크린(120)의 특정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스크롤바(210)가 이동하면 변경된 현 위치의 스크롤바의 시작 좌표값(250)은 초기 시작 좌표값에 이동한 거리를 더해서 구할 수 있고, 상기 변경된 현 위치의 스크롤바의 시작 좌표값(250)에 스크롤바의 길이값을 더해서 스크롤바의 끝 좌표값(260)을 계산할 수 있다. 변경된 현 위치의 시작 및 끝 좌표값은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위치판단부(140)는 스크롤바의 위치를 판단하여 컨텐츠 정보 리스트의 요청여부를 제어하거나 이동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위치판단부(140)는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을 비교하여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의 요청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가 “시작”으로 정의된 경우는 “시작+길이”가 하한과 동일한지 판단하고 “위치”가 “끝”으로 정의된 경우는 “끝”이 하한과 동일한지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판단부(140)는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과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230)을 비교하여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의 요청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가 “시작”으로 정의된 경우는 “시작”이 상한과 동일한지 판단하고 “위치”가 “끝”으로 정의된 경우는 “끝-길이”가 하한과 동일한지 판단하게 된다.
스크롤바변환부(150)는 상기 위치판단부(140)의 제어에 의해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수신받으면서 원 컨텐츠 정보리스트에 추가된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여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서 스크롤바의 길이 및 위치를 제어한다.
메모리부(16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컨텐츠 정보 리스트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제어부(170)가 상기 좌표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 좌표값(250,260)을 전달해주면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300)에서의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좌표필드(320,330)에 검출된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 좌표값(250,260)을 저장한다.
제어부(17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터치입력에 따른 스크롤바(210)의 이동이 있을 경우 그에 대응하여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스크롤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좌표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 좌표값(250,260)을 전달받으면 상기 메모리부(160)에 전달해준다.
도 3은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300)는 스트롤바(210)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값이 저장되는 각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컨텐츠 정보량에 따라 달라지는 스크롤바(210)의 길이값이 저장되는 스크롤바길이필드(310)를 포함한다. 또한,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 좌표값(250,260)이 저장되는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좌표필드(320,33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120)에 표시되는 스크롤영역의 상한 및 하한 좌표값(230,240)이 저장되는 스크롤영역의 상한 및 하한좌표필드(340,35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터치스크린(120)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컨텐츠 정보 리스트 표시 요청에 따라 메모리부(160)에 기존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 리스트 또는 최초로 표시될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여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고, 스크롤영역(220)에 스크롤바(210)를 표시한다. 이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상기 터치스크린(120)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해주고, 그에 따라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20)에 터치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고 그 터치입력에 따라 스크롤바(210)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10) 상기 스크롤바(210)가 이동하는 경우라면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한 후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좌표필드(320,330)에 그 값을 저장한다. (S420)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60)에서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300)를 전달받고 상기 위치판단부(140)로 전달해준다. 상기 위치판단부(140)는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과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한다.(S440)
만일,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과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측에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한다.(S460)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터치스크린(120)은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다. (S470).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표시할 경우, 화면을 전환하여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만을 표시할 수도 있고, 종래의 원 컨텐츠 정보 리스트에 수신된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추가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반면,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과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동정도에 따라 스크롤바(210)를 스크롤영역(220)상에 이동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스크롤바(210)의 스크롤영역(220)상 위치에 따라 화면 표시 영역에 해당되는 컨텐츠 정보 리스트의 일부를 스크롤바(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하고(S450), S410~S450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고 그 터치입력이 스크롤바(210)의 이동을 위한 것이 아니라 특정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항목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S430)
상기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과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별도로 알림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S480)
이때 알림정보는 상기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과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화면상으로는 그 동일여부를 판단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사용자에게 그 동일여부를 알려주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정보는, 진동, 소리, 화면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경우는 상기 도4의 경우와 유사하게 동작하고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상기 위치판단부(140)는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230)과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을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한다.(S540)
만일,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230)과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측에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한다.(S560)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터치스크린(120)은 화면을 전환하여 수신된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만을 화면에 표시한다. (S570)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230)과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별도로 알림정보를 제공해주는 과정(S580)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때 알림정보는 상기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230)과 상기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화면상으로는 그 동일여부를 판단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사용자에게 그 동일여부를 알려주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정보는, 진동, 소리, 화면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6a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수신된 후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기 전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6b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스크롤바(210)가 이동된 경우를 나타내고, 이때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과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으로서의 끝 좌표값이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이므로 이동정도에 따라 스크롤바(210)를 스크롤영역(220)상에 이동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스크롤바(210)의 스크롤영역(220)상 위치에 따라 화면 표시 영역에 해당되는 컨텐츠 정보 리스트의 일부를 스크롤바(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있다.
6c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스크롤바(210)가 이동하여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과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으로서의 끝 좌표값이 동일하게 된 경우를 나타낸 화면으로, 이때 위치판단부(140)가 컨텐츠 제공 서버 측에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한다.
6d는 위치판단부(140)의 요청에 의해 수신된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20)에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화면을 전환하여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만을 표시하게 되고, 스크롤바는 다시 시작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7a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수신된 후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기 전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7b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스크롤바(210)가 이동된 경우를 나타내고, 이때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230)과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으로서의 시작 좌표값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이동정도에 따라 스크롤바(210)를 스크롤영역(220)상에 이동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스크롤바(210)의 스크롤영역(220)상 위치에 따라 화면 표시 영역에 해당되는 컨텐츠 정보 리스트의 일부를 스크롤바(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있다.
7c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스크롤바(210)가 이동하여 스크롤영역의 상한 좌표값(230)과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으로서의 시작 좌표값이 동일하게 된 경우를 나타낸 화면으로, 이때 위치판단부(140)가 컨텐츠 제공 서버 측에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한다.
7d는 위치판단부(140)의 요청에 의해 수신된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20)에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화면을 전환하여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만을 표시하게 되어, 스크롤바는 다시 시작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8a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수신된 후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기 전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8b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스크롤바(210)가 이동하여 스크롤영역의 하한 좌표값(240)과 스크롤바의 위치 좌표값으로서의 끝 좌표값이 동일하게 된 경우를 나타낸 화면으로, 이때 위치판단부(140)가 컨텐츠 제공 서버 측에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한다.
8c는 위치판단부(140)의 요청에 의해 수신된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20)에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원 컨텐츠 정보 리스트에 추가된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여 터치스크린(120)에 표시한다.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추가됨에 따라 스크롤바의 길이 및 위치가 변경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컨텐츠 정보 리스트(1-1~1-20)에 다음 컨텐츠 정보 리스트(2-1~2-20)이 추가되면 2-1은 전체 컨텐츠 정보 리스트(1-1~2-20)에서 중간쯤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크롤바의 길이는 이전(8a, 8b) 보다 50% 감소하게 될 것이고, 스크롤바의 위치는 전체 컨텐츠 정보 리스트 중에서 2-1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중앙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터치스크린 130 : 좌표검출부
140 : 위치판단부 150 : 스크롤바변환부
160 : 메모리부 170 : 제어부
210 : 스크롤바 220 : 스크롤영역
230,240 : 스크롤영역의 상한 및 하한 좌표값
250,260 : 스크롤바의 시작 및 끝 좌표값
300 : 스크롤영역의 데이터 레코드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여 스크롤 바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크롤 바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된 스크롤 바의 위치 좌표 값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위치 좌표 값과 스크롤 영역의 상한 좌표 값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위치 좌표 값과 상기 스크롤 영역의 상한 좌표 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컨텐츠 정보 리스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전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위치 좌표 값과 상기 스크롤 영역의 상한 좌표 값이 동일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전환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위치 좌표 값과 상기 스크롤 영역의 상한 좌표 값이 서로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감지된 터치 조작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켜 이동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전환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위치 좌표 값은 상기 스크롤 바의 시작 좌표 값 또는 끝 좌표 값인 화면 전환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는 진동, 소리, 화면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화면 전환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00035814A 2010-04-19 2010-04-19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 KR10111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14A KR101115374B1 (ko) 2010-04-19 2010-04-19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14A KR101115374B1 (ko) 2010-04-19 2010-04-19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15A KR20110116415A (ko) 2011-10-26
KR101115374B1 true KR101115374B1 (ko) 2012-02-15

Family

ID=4503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814A KR101115374B1 (ko) 2010-04-19 2010-04-19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34A (ko) * 2012-09-07 2014-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확인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123014A (ko) 2018-04-23 2019-10-31 신한생명보험 주식회사 모바일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691B1 (ko) * 2012-11-20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검색방법
CN105589893B (zh) * 2014-11-13 2019-10-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对象列表的浏览控制方法及装置
KR101990833B1 (ko) * 2017-03-06 2019-06-19 주식회사 케이티 웹 브라우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54A (ko) * 2006-08-01 2008-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파일검색방법
KR100867096B1 (ko) 2007-08-03 2008-11-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이동 방법 및그 이동 단말기
KR20090120087A (ko) * 2008-05-19 2009-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웹 페이지표시방법
KR20090125377A (ko) * 2008-06-02 2009-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리 구조의 메뉴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54A (ko) * 2006-08-01 2008-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파일검색방법
KR100867096B1 (ko) 2007-08-03 2008-11-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이동 방법 및그 이동 단말기
KR20090120087A (ko) * 2008-05-19 2009-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웹 페이지표시방법
KR20090125377A (ko) * 2008-06-02 2009-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리 구조의 메뉴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34A (ko) * 2012-09-07 2014-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확인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345992B2 (en) 2012-09-07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unread message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08916B1 (ko) * 2012-09-07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확인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123014A (ko) 2018-04-23 2019-10-31 신한생명보험 주식회사 모바일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15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1001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及电子设备
US8875037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thereof
WO2020258929A1 (zh) 文件夹界面切换方法及终端设备
CN105975190B (zh) 一种图形界面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8491148B (zh) 一种应用分享方法及终端
EP3699743B1 (en) Image view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251761B1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102446587B1 (ko) 태스크 전환 방법 및 단말기
KR10111537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면 전환 방법
CN110879680B (zh) 一种图标管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536415B (zh) 应用音量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40112911A (ko)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762613B (zh) 一种状态图标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9542311B (zh) 一种文件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810262B (zh) 一种应用的配置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600807B (zh)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介质
US20080012822A1 (en) Motion Browser
KR100312232B1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CN112558826A (zh) 快捷操作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8811177B (zh) 一种通信方法及终端
CN112905278A (zh) 一种应用程序切换方法及装置
WO2019233317A1 (zh) 数据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07562317B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
KR101528271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WO2019228106A1 (zh) 按压面积优化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