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248B1 -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 Google Patents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248B1
KR101113248B1 KR1020100132899A KR20100132899A KR101113248B1 KR 101113248 B1 KR101113248 B1 KR 101113248B1 KR 1020100132899 A KR1020100132899 A KR 1020100132899A KR 20100132899 A KR20100132899 A KR 20100132899A KR 101113248 B1 KR101113248 B1 KR 101113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martphone
keyboard
usb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도영
Original Assignee
(주)옴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옴니오 filed Critical (주)옴니오
Priority to KR102010013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2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switching apparatus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veniently input text by connecting a computer or a smart phone to a switching apparatus. CONSTITUTION: A switch(110) creates a mode establishment control signal in order to establish a smart phone input mode or a computer input mode. The smart phone input mode inputs keyboard information to a smart phone(300). The computer input mode in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to a computer(200). A control module(120) out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de establishment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or the smart phone. The control module transmits a touch screen input signal to the computer by receiving the touch screen input signal from the smart phone.

Description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보드 신호를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입력하거나 스마트폰의 사용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게 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ing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keyboard signal to a computer and a smartphone or inputting usag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to a computer.

정보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전화를 걸거나 받고,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휴대 전화의 개념을 탈피하여, WIFI 망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rapidly develop,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smart phone capable of making and receiving a phone call, and breaking the concept of a mobile phone for sending and receiving SMS messages,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WIFI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stalling a program to execut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his is rapidly spreading.

이러한 스마트폰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지도를 검색하거나, 실시간으로 뉴스 등을 검색할 수 있고, 증권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장점들로 인하여, 사용자수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Such smart phone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search for maps, search for news in real time, and install securities programs.

이러한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서 키패드 대신에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텍스트 입력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한정된 공간에 자판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일일이 자판을 손으로 눌러서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자판이 터치되어 오타가 입력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스마트폰을 휴대하고 이동 중인 상태가 아니라, 사무실 등에서 사무를 보는 과정에서도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The smart phone adopts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nstead of a keypad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but displays a keyboard in a limited space, and the user inputs text by pressing the keyboard by h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djacent keyboard is touched and a typo is input. In particular, the method of inputting text using the smart phone's touch screen also causes inconvenience in using the smart phone in the process of watching office work in the office, rather than carrying the smart phone.

이렇게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사용자들은 터치스크린상에서 멀티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데 편리함을 느끼게 되었다. 예컨대, 종래의 컴퓨터 입력 장치로 이용되는 마우스 등은 화면상의 한 지점만을 선택할 수 있고, 따라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면상에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탭으로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여 클릭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으나, 멀티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터치패드에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상에서 이전 페이지이지 또는 앞 페이지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users feel convenient to execute various functions using multi-touch functions on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a mouse or the like used as a conventional computer input device can select only one point on the screen.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t is inconvenient to move the mouse cursor to a tab that execut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on the screen. However,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that provides a multi-touch function, the touch pad can recognize a movement of a finger to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and can easily move to the previous page or the previous page on a web browser.

그러나, 이러한 편리한 기능을 종래의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터치패드와 같은 별도의 태블릿장치를 연결하여 마우스 겸용으로 혹은 마우스를 대체하여 활용하거나, 터치 입력이 가능한 서브모니터를 별도로 구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태블릿장치 혹은 모니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며, 복잡한 케이블 연결 및 설치로 인해서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However, in order to perform such a convenient function on a conventional computer,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separate tablet device such as a touch pad to the computer and use it as a mouse or replace a mouse, or separately purchase and install a sub-monitor capable of touch input. do. In this case, it is not economical to install a separate tablet device or monitor, and there was inconvenience in use due to complicated cable connection and install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키보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및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스마트폰과 컴퓨터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ing device that can input information to a smartphone and a computer using a keyboard familiar to the user, and to perform the synchronization and keyboard input that can perform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will b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스위칭장치를 통해서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의 멀티터치 정보와 같은 스마트폰상의 입력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받고,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정보와 같은 출력 정보를 스마트폰에 입력하여 스마트폰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컴퓨터에서 수행되던 기능을 스마트폰에서 수행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서 수행되던 기능을 컴퓨터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즉, 컴퓨터의 기능과 스마트폰의 기능을 서로 호환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by interlocking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through such a switching device, by receiving input information on the smartphone, such as multi-touch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to the computer, such as display information of the computer By inputting the output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smart phone, the function that was performed on the computer can be performed on the smart phone, and the function that was performed on the smart phone can be performed on the computer, that is, the computer It is to provide a switching device that can be performed to be compatible with the function of the smartphone func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는, 스마트폰과 컴퓨터가 접속된 스위칭 장치로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서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컴퓨터로 출력한다.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switching device connected to a smart phone and a computer, the switch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switch, the keyboa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switch; Output to your smartphone or computer.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컴퓨터 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device may perform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입력정보를 상기 컴퓨터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입력정보로서 상기 컴퓨터로 출력할 수 있다.The switching device may output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to the computer as input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computer.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컴퓨터에서 발생된 출력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device may output the outpu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mputer to the smartphone and output through the smartphone.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컴퓨터에서 발생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에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switching device may output the video signal generated from the computer to the smartphone, and output the video signal to a screen of the smartphone.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키보드 모듈을 내장하여 상기 키보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device may include a keyboard module to generate the keyboard information.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USB 키보드가 접속되어, 상기 USB 키보드로부터 상기 키보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USB keyboard, to receive the keyboard information from the USB keyboard.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device may generate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smartphone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r a computer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computer by a user's operation. The switch;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output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or the smart phone.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키보드 정보를 발생시키는 키보드 모듈; 및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the keyboard module for genera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And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키보드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board module to the smartphone or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컴퓨터를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고, 상기 컴퓨터와 상기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상기 컴퓨터와 상기 스마트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USB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controller and the computer to output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ler to the computer, and to connect the computer and the smartphone to perform synchronization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smartphone. It may further include a USB hub.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시리얼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 by serial communication or Bluetooth, and transmit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입력모드에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터치스크린 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컴퓨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좌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신호를 상기 USB 허브를 통해서 상기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 touch screen input signal from the smart phone in the computer input mode, and control the coordinates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signal. Transfer to the computer via the USB hub.

또한, 상기 키보드 모듈은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 입력모드에서 상기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키보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스마트폰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The keyboard module may include a function key button for executing a smartphone control function, and the controller may input a smart key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button when the keyboa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button is input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the smartphone to execute a function of the smartphon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button.

또한, 상기 키보드 모듈은 외부로부터 접속된 USB 키보드를 외부 USB 장치로 인식하고, 상기 USB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해석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USB 호스트부로 구현될 수 있다.The keyboard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 USB host unit that recognizes a USB keyboard connected from the outside as an external USB device, converts a signal input from the USB keyboard into a signal that can be interpreted by the controller,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USB 키보드와 접속되어 USB 키보드를 외부 장치로 인식하고, 상기 USB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 USB 호스트부; USB 허브를 통해서 상기 컴퓨터와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1 USB 슬레이브 처리부; 스위칭부를 통해서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상기 스마트폰과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 2 USB 슬레이브 처리부; 상기 제 1 USB 슬레이브 처리부를 상기 컴퓨터에 접속시키고,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서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컴퓨터에 접속시키는 상기 USB 허브;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제 2 USB 슬레이브 처리부 또는 상기 USB 허브와 연결시키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USB 호스트부로부터 입력된 키보드정보를 상기 제 2 USB 슬레이브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 1 USB 슬레이브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컴퓨터로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USB host unit connected to a USB keyboard to recognize the USB keyboard as an external device, conver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keyboard,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keyboard information to a controller; A first USB slave processor connected to the computer through a USB hub and transmitting keyboar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computer; A second USB slave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smartphone having a USB host function through a switching unit and outpu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from the smartphone to the controller; The USB hub for connecting the first USB slave processing unit to the computer and for connecting the smartphone connect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to the computer; The switching unit which connects the smartphone to the second USB slave processing unit or the USB hub according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output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host unit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second USB slave processing unit or through the first USB slave processing unit. You can output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USB 허브를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컴퓨터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may connect the smartphone and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perform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USB 키보드 및 상기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제 2 USB 허브; 상기 제 2 USB 허브를 통해서 접속된 상기 USB 키보드 및 상기 스마트폰을 외부 장치로 인식하고, 상기 USB 키보드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USB 호스트부; 상기 컴퓨터 및 제어부와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제 1 USB 허브;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USB 호스트부로부터 입력된 키보드 정보를, 상기 제 1 USB 허브를 통해서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거나, 상기 USB 호스트부 및 상기 제 2 USB 허브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USB hub connected to the USB keyboard and the smart phone; A USB host unit recognizing the USB keyboard and the smart phon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USB hub as an external device, converting signals input from the USB keyboard and the smart phon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s to a controller; A first USB hub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th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computer; And out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host unit to the computer through the first USB hub or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USB host unit and the second USB hub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It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USB 허브, 상기 USB 호스트부, 및 상기 제 2 USB 허브간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컴퓨터와 상기 스마트폰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set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USB hub, the USB host unit, and the second USB hub to synchronize the computer with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간편하게 조작함으로써, 스위칭 장치에 내장된 키패드 또는 외부에서 접속된 USB 키보드를 이용하여, 스위칭 장치에 접속된 컴퓨터 및 스마트폰에 선택적으로 텍스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The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ing the keyboard with the computer and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by using a keypad built in the switching device or an externally connected USB keyboard by a user simply operating the switch. Optional text can be easily entered into computers and smartphones connected to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를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멀티터치 정보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입력정보는 본 발명의 스위칭 장치의 전환에 의하여 컴퓨터에 그 정보가 전달되어 컴퓨터의 입력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스마트폰을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이 컴퓨터의 입력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using the smartphone, such as the multi-touch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is transmitted to the computer by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mitted and used as input information of a computer, and it is possible to use a smartphone as an input device of a computer such as a mouse and a keyboard.

더불어, 본 발명의 스위칭 장치를 이용하면, 메신저창과 같은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화면을 스마트폰에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스마트폰을 컴퓨터의 보조모니터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swi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window screen of a computer such as a messenger window can be delivered to the smartphon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hereby enabling the smartphone to be used as an auxiliary monitor of the comput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본 발명의 스위칭 장치에 접속하여 스마트폰을 컴퓨터와 동기화시키고 스마트폰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connect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to the swi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ynchronize the smartphone with the computer and to charge the smartphon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가 구현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and 2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switching device which performs synchronization and keyboard input of a computer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witching device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and keyboard input between a computer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ing a computer and a smartphone and performing a keyboard inpu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witching device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and keyboard input between a computer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00)의 동기화 및 키보드 모듈에서 발생된 키보드 텍스트와 기능키 입력과 같은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100)(이하,"스위칭 장치(100)"라고 약칭함)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1 and 2 are switching devices for performing information input such as keyboard text and function key input generated from the synchronization of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and the keyboard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is a block diagram (hereinafter, abbreviated as " switching device 100 ").

도 1은 키보드 모듈(121)에서 발생된 키보드 정보를 컴퓨터가 입력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위칭 장치가 키보드 정보를 컴퓨터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witching device outputs keyboard information to a computer so that the computer can use keyboar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keyboard module 121 as input information.

도 2는 커보드 모듈(121)에서 발생된 키보드 정보를 스마트폰이 입력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위칭 장치가 키보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witching device out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so that the smartphone can use the keyboar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keyboard module 121 as input informa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는 스위치(110) 및 제어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 모듈(120)은 키보드 모듈(121), 제어부(123) 및 USB 허브(12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110 and a control module 120, and the control module 120 includes a keyboard module ( 121), the controller 123, and the USB hub 125a.

먼저, 스위치(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물리적 스위치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키보드 신호를 스마트폰(300)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키보드 신호를 컴퓨터(200)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3)로 출력한다. First, the switch 110 is implemented as a physical switch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by hand, by the user's operation, the computer 200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or keyboard signal for inputting the keyboard signal to the smartphone 300 Generates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computer input mode to be input to the output to the control unit 123.

컴퓨터 입력모드에서는 스마트폰의 터치정보 등과 같은 입력 정보가, 시리얼 통신 방식(예컨대, RS-232C 방식,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칩을 이용한 시리얼 통신방식 등)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과 같은 별도의 통신채널(30-2)을 통해서 제어부로 입력되고, 제어부에서 키보드모듈(121)에서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와 함께 컴퓨터(200)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 입력 모드에서는 컴퓨터(200)에서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출력된 디스플레이 정보 등의 컴퓨터 출력정보가 USB 허브(125a)를 통하거나 별도의 통신 채널(30-2)을 통해서 스마트폰(300)으로 입력되어, 스마트폰(300)이 컴퓨터(200)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In the computer input mode, input information such as a touch information of a smartphone may be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an RS-232C method,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chip), or a Bluetooth method. Input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channel (30-2), it is possible to transfer to the computer 200 with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board module 121 from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computer output information such as displa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USB hub 125a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B hub 125a or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channel 30-2. The smartphone 300 may be used as an external display device of the computer 200 by being input to 300.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가 스위치(110)를 Vcc 단자에 접촉시키면, 약 5V의 전압 펄스가 제어부(123)로 입력되어 컴퓨터 입력모드가 설정되고,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가 스위치(110)를 접지단자에 접촉시키면 제어부(123)로는 전압펄스가 입력되지 않아 스마트폰 입력모드가 설정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when the user touches the switch 110 to the Vcc terminal, a voltage pulse of about 5 V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23 to set the computer input mod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When the switch 11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the voltage pulse is not input to the controller 123, thereby setting the smartphone input mode.

제어 모듈(120)은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키보드 모듈(121)로부터 입력된 키보드 정보 및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입력정보를 컴퓨터(200)로 전송하거나, 키보드 정보 및 컴퓨터에서 발생된 정보를 스마트폰(300)으로 출력하는 한편,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00)을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연결하여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00)을 동기화시킨다. 제어 모듈(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 모듈(121), 제어부(123) 및 USB 허브(12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module 120 transmi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board module 121 and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computer 200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or the keyboar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mputer are smart. While outputting to the phone 300,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are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USB protocol to synchronize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odule 120 includes a keyboard module 121, a controller 123, and a USB hub 125a.

제어 모듈(120)의 키보드 모듈(121)은 일반적인 키보드의 키패드와 동일한 키패드(121-2) 및 스마트폰(300)의 특수 기능(스마트폰의 화면 밝기 조절, 음량 조절 등)을 실행시키는 기능키(1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패드(121-2)와 기능키(121-1)는 사용자가 해당 키를 누름에 따라서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키보드 모듈(121)은 이러한 키 입력 신호들을 키보드 신호로서 제어부(123)로 출력한다. 이때, 컴퓨터(200)에서 발생된 정보(예컨대, 디스플레이 정보 등) 및 스마트폰(300)에서 발생된 터치패드 정보 등은 서로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직접 상호 전송되거나, 별도 통신 채널(30-2)을 통해서 제어부(123)의 제어하에 상호 전송될 수 있다.The keyboard module 121 of the control module 120 ha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the same keypad 121-2 as the keypad of a general keyboard and a special function of the smartphone 300 (adjusting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smartphone, adjusting the volume, etc.). It comprises a 121-1. The keypad 121-2 and the function key 121-1 generate a key input signal as the user presses the corresponding key, and the keyboard module 121 outputs the key input signals to the controller 123 as a keyboard signal. do.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mputer 200 (eg, display information) and the touch pa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30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USB hub 125a or may be separately transmitted. 2) may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3.

USB 허브(125a)는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제어부(123), 스마트폰(300), 및 컴퓨터(200)와 연결된다. USB 허브(125a)는 제어부(123)와 컴퓨터(200)를 연결하여 제어부(123)로부터 입력된 키보드 정보나, 터치패드 입력 정보와 같은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정보를 컴퓨터(200)로 출력하고,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00)을 연결하여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00)의 동기화 및 스마트폰(300)의 충전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서 발생된 정보(예컨대, 디스플레이 정보 등)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입력정보(예컨대, 터치패드 입력 정보 등)을 컴퓨터로 전송한다.The USB hub 125a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3, the smartphone 300, and the computer 200 according to the USB protocol. The USB hub 125a connects the controller 123 and the computer 200 to output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ler 123 or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smartphone such as touch pad input information to the computer 200. By connecting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not only to synchronize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and to charge the smartphone 300, but also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mputer (for example, display information, etc.) )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touch pad input information, etc.) generated from the smartphone is transmitted to the computer.

제어부(123)는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컴퓨터(200)와 연결됨과 동시에 스마트폰(300)과 시리얼 통신 방식(예컨대, RS-232C 방식,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칩을 이용한 시리얼 통신방식 등)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연결된다. The controller 123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USB hub 125a and at the same time serial communication using the smartphone 300 and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RS-232C method,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chip) System, etc.) or Bluetooth.

제어부(123)는 스위치(110)로부터 입력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컴퓨터 입력모드 또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컴퓨터 입력모드에서, 제어부(123)는 키보드 모듈(121)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 및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패드 입력정보와 같은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입력정보를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컴퓨터(200)에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스마트폰의 터치 패드 정보를 컴퓨터의 입력정보로서 이용하여 스마트폰(300)을 컴퓨터(200)의 터치패드로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의 도면부호 10-1 참조). 이 때,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00)은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동기화 및 충전이 수행된다(도 1의 도면부호 20-1 참조).The controller 123 is set to either the computer input mode or the smartphone input mode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110. In the computer input mode, the controller 123 receives input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smartphone, such as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board module 121 and touchpad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the smartphone 300, through the USB hub 125a. By transmitting the text to the computer 200 as in a general computer keyboard, or using the touch pad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as input information of the computer, the smartphone 300 is used as a touch pad of the computer 200. It can be utilized as (see reference numeral 10-1 of Fig. 1). At this time,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USB hub 125a to perform synchronization and charging (see reference numeral 20-1 of FIG. 1).

한편, 스마트폰 입력모드에서, 제어부(123)는 키보드 모듈(121)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를 시리얼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300)에 텍스트 입력을 수행한다(도 2의 도면부호 30-2 참조). 스마트폰 입력모드에서도 스마트폰(300)은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컴퓨터(200)와 연결되어 컴퓨터(200)와 동기화되고 컴퓨터(20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전류에 의해서 충전이 수행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200)에서 발생된 정보(예컨대, 디스플레이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the controller 123 transmi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board module 121 to the smartphone 300 in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to perform text input to the smartphone 300. (See reference numeral 30-2 of FIG. 2).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the smartphone 300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USB hub 125a to be charged by the charging current provided from the computer 200 and synchronized with the computer 200.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mputer 200 (eg, display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a smart phone for use.

또한, 제어부(123)는 스마트폰 입력모드에서 기능키(121-1)에 대응되는 키보드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기능키(121-1)를 식별한 후, 기능키(121-1)에 대응되는 스마트폰 제어신호를 스마트폰(300)으로 출력하여 기능키(121-1)에 대응되는 스마트폰(300)의 기능(화면 밝기 조절, 음량 조절 등)을 실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keyboa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121-1 is input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the controller 123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key 121-1 and then corresponds to the function key 121-1. Outputs the smart phone control signal to the smart phone 300 to execute a function (screen brightness control, volume control, etc.) of the smart phone 300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121-1.

또한, 컴퓨터 입력모드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300)을 활성화 시킨 후,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제어부(123)는 스마트폰(300)으로부터 터치스크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컴퓨터(200)는 제어부(123)로부터 수신된 스마트폰(300)의 터치스크린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컴퓨터(200) 화면에 표시되는 좌표를 제어한다(도 2의 10-2참조) 예컨대, 사용자는 스마트폰(300)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손가락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컴퓨터(200) 화면에 표시되는 마우스의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puter input mode, the user may activate the smart phone 300, and then perform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ntroller 123 receives the touch screen input signal from the smart phone 300, which is then USB. It transmits to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hub (125a), the computer 200 controls the coordinate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200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signal of the smartphone 300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23 For example, the user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er 200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300. .

한편,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폰 입력모드에서도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컴퓨터(200) 및 스마트폰(300)간에 동기화 및 스마트폰의 충전이 수행됨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illustrated in FIG. 2, the synchronization and the charging of the smartphone are performed between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through the USB hub 125a.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00)간의 동기화 및 스마트폰(300)의 충전은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00)을 직접 연결하여 수행된다. 이에 반해, 멀티터치 정보와 같이 스마트폰(300)에서 발생된 입력 정보와, 디스플레이 출력정보와 같이 컴퓨터(200)에서 발생된 출력정보는, USB 허브(125a)를 통해서 직접 교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통신 채널(30-2)을 통해서 교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In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and the charging of the smartphone 300 are performed through the USB hub 125a and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00. This is done by connecting directly. On the contrary, inpu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martphone 300 such as multi-touch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mputer 200 such as display output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directly exchanged through the USB hub 125a. It should be noted that it may be implemented to be exchanged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channel 30-2.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가 구현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키보드 형태의 스위칭 장치(100)의 일부 영역에 스마트폰(30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스마트폰(300)과 제어부(123), 및 스마트폰(300)과 USB 허브(125a)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190)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스마트폰(300)이 수용부에 수용되면서 스마트폰(300)의 통신 포트와 커넥터(190)가 결합된다. 또한, 수용부의 우측에는 사용자가 버튼식으로 컴퓨터 입력모드와 스마트폰 입력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110) 및 스마트폰(300)의 화면 밝기 및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키(121-1)들이 설치되어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Referring to FIG. 3, an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smart phone 300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keyboard-type switching device 100, and therein, the smart phone 300, the controller 123, and the smart phone. The connector 190 that can connect the 300 and the USB hub 125a protrudes to the outside, so that the smartphone 30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port and the connector 190 of the smartphone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do. In addi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user can switch the computer input mode and the smartphone input mode by the button 110 and the function key (121-1) for adjusting the screen brightness and volume of the smartphone 300, etc. ) Are installed.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So far, the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는 키보드 모듈(121)에 별도의 키패드 및 기능키들을 설치하지 않고, 일반적인 USB 키보드(4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고, 이를 위해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는 스위칭 장치(100)에 접속된 USB 키보드(400)를 외부 장치로 인식하고, USB 키보드(400)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를 변환하여 제어부(123)로 출력하는 USB 호스트 신호 처리부(이하, "USB 호스트부(122)"라 약칭함)를 키보드 모듈(121)로서 설치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이외의 구성 및 기능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uses a general USB keyboard 400 without installing separate keypads and function keys on the keyboard module 121. The user can input the text by using the keyboard. For this purpose, the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ecognizes the USB keyboard 400 connected to the switching device 100 as an external device, and the USB keyboard 400. The USB host signal processing unit (hereinafter, abbreviated as "USB host unit 122") that conver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panel 123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23 is different from the keyboard module 121. . Other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경우에, 스위칭 장치(100)와 스마트폰(310)이 시리얼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스마트폰(310)이 USB Host장치로서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차이점을 갖는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switching device 100 and the smartphone 310 do not use serial communication or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smartphone 310 communicates as a USB Host device according to the USB protocol. It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at it is performed.

도 5를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는 스위치(110) 및 제어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 모듈(120)은 USB 호스트부(122), 제어부(124), 제 1 USB 슬레이브 처리부(126a), 제 2 USB 슬레이브 처리부(126b), USB 허브(125c), 및 스위칭부(1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switch 110 and a control module 120, and the control module 120 includes a USB host unit 122 and a controller 124. ), A first USB slave processing unit 126a, a second USB slave processing unit 126b, a USB hub 125c, and a switching unit 129.

먼저, 스위치(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물리적 스위치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키보드 신호를 스마트폰(310)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키보드 신호를 컴퓨터(200)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4)로 출력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스위치(110)를 Vcc 단자에 접촉시키면, 약 5V의 전압 펄스가 제어부(124)로 입력되어 컴퓨터 입력모드가 설정되고, 사용자가 스위치(110)를 접지단자에 접촉시키면 제어부(124)로는 전압펄스가 입력되지 않아 스마트폰 입력모드가 설정됨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First, the switch 110 is implemented as a physical switch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by hand, and by the user's operation, the computer 200 to enter the smartphone input mode or keyboard signal to input the keyboard signal to the smartphone 310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computer input mode to be input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control unit 124.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contacts the switch 110 to the Vcc terminal, a voltage pulse of about 5 V is input to the controller 124 to set the computer input mode, and the user sets the switch 110 to the ground terminal. When contacted to the control unit 124, the voltage pulse is not input so that the smartphone input mode is set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제어 모듈(120)은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키보드 정보를 컴퓨터(200) 또는 USB Host 장치로 동작하는 스마트폰(310)으로 출력하는 한편, 스마트폰(310)의 터치 정보 등과 같이,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정보를 컴퓨터(200)로 출력한다. 또한,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10)의 동기화는 USB Slave장치로 동작하도록 전환된 스마트폰(310)을 USB 허브(125c)를 통해서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연결하여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10)을 동기화시키고, 스마트폰(310)의 충전을 수행한다.The control module 120 out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smart phone 310 operating as the computer 200 or the USB host device, and, like the touch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310,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ne is output to the computer 200. 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 phone 310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310 to operate as a USB slave device through the USB hub 125c in accordance with the USB protocol computer 200 and the smart phone ( 310 is synchronized, and the smartphone 310 is charged.

제어 모듈(120)의 USB 호스트부(122)는 자신에게 접속된 USB 키보드(400)를 외부 장치로 인식하여, USB 키보드(400)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를 변환하여 제어부(124)로 출력한다.The USB host unit 122 of the control module 120 recognizes the USB keyboard 400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ver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keyboard 400, and outputs the converted keyboar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4.

제 1 USB 슬레이브 처리부(126a)(이하, "제 1 USB 슬레이브"라 약칭함)는 USB 허브(125c)를 통해서 컴퓨터(200)와 접속되어,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컴퓨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124)로 출력하고, 제어부(124)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 및 스마트폰(310)으로부터 제어부(124)로 입력된 터치 정보와 같은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정보를 변환하여 컴퓨터(200)로 전송한다. The first USB slave processing unit 126a (hereinafter, abbreviated as "first USB slave")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USB hub 125c to receive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puter 200 according to the USB protocol. The computer 200 converts information generated by a smartphone such as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ler 124 and touch information input from the smartphone 310 to the controller 124. To send.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10)의 동기화시에는 제어부(124)에 의해서 스마트폰(310)은 USB슬레이브로 동작되도록 설정되며, USB허브(125c)를 통해서 컴퓨터(200)와 바로 연결되어 동기화가 수행된다. When the computer 200 is synchronized with the smartphone 310, the smartphone 310 is set to operate as a USB slave by the controller 124,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and synchronized with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USB hub 125c. Is performed.

제 2 USB 슬레이브 처리부(126b)(이하, "제 2 USB 슬레이브"라 약칭함)는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310)과 접속되어,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스마트폰(31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124)로 출력하여 제어부(124)로 입력되는 키보드 신호와 함께 컴퓨터(200)로 전송한다. The second USB slave processing unit 126b (hereinafter, abbreviated as "second USB slave")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310 having a USB host function, and receiv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310 according to the USB protocol. The converted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24 and transmitted to the computer 200 together with the keyboard signal input to the controller 124.

USB허브(125c)는 제 1 USB 슬레이브(126a)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 및 스마트폰의 입력 정보를 컴퓨터(200)로 출력하거나, USB 슬레이브기능으로 전환된 스마트폰(310)과 접속되어 컴퓨터(200)와의 동기화 신호를 컴퓨터(200) 및 스마트폰(310)으로 전송한다.The USB hub 125c out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st USB slave 126a and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to the computer 200 or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310 which has been switched to the USB slave function. )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10.

제어부(124)는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USB 호스트부(122)로부터 입력된 키보드정보를 제 1 USB 슬레이브(126a)(컴퓨터 입력 모드의 경우) 또는 상기 제 2 USB 슬레이브(126b)(스마트폰 입력 모드의 경우)로 출력하고,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129)로 출력하여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10)간에 통신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USB 키보드(400)를 이용하여 컴퓨터(200) 또는 스마트폰(300)에 텍스트를 입력하도록 하는 한편,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10)을 동기화시킨다.The control unit 124 out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host unit 122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first USB slave 126a (in the computer input mode) or the second USB slave 126b (smartphone input). Mode), and outputs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129 to set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1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USB keyboard 400 to display the computer 200. Or input text into the smartphone 300, and synchronize the computer 200 with the smartphone 310.

스위칭부(129)는 제어부(124)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을 수행하여 스마트폰(310)을 제 2 USB 슬레이브(126b) 또는 USB 허브(125c)와 연결시킨다.The switching unit 129 performs switching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24 to connect the smartphone 310 to the second USB slave 126b or the USB hub 125c.

제 3 실시예의 스마트폰 입력모드에서 USB 키보드(400)로부터 입력된 키보드 정보는 USB 호스트부(122)를 통해서 제어부(124)로 입력되고, 제어부(124)에서 출력된 키보드 정보는 제 2 USB 슬레이브(126b)를 통해서 스마트폰(310)으로 입력되어 텍스트 입력이 수행된다.In the smartphone input mod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keyboard 40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24 through the USB host unit 122, and the keyboar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ler 124 is the second USB slave. The text input is performed by being input to the smartphone 310 through 126b.

또한, 컴퓨터 입력 모드에서 USB 키보드(400)로부터 입력된 키보드 정보는 USB 호스트부(122)를 통해서 제어부(124)로 입력되고, 제어부(124)에서 출력된 키보드 정보는 제 1 USB 슬레이브(126a)를 통해서 컴퓨터(200)로 입력되어 텍스트 입력이 수행된다.In addition,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keyboard 400 in the computer input mode is input to the controller 124 through the USB host unit 122, and the keyboar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ler 124 is the first USB slave 126a. Input to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text input is performed.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서, 멀티터치 정보와 같이 스마트폰(310)에서 발생된 입력 정보와, 디스플레이 출력정보와 같이 컴퓨터(200)에서 발생된 출력정보는 제어부(124)를 통해서 상호 교환되도록 구현되었으나, USB 허브(125c)를 통해서 직접 교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In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martphone 310 such as the multi-touch information and the outpu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mputer 200 such as the display output information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24. Although implemented to be interchangeable, it should be noted that it may be implemented to be exchanged directly through the USB hub 125c.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위칭 장치(100)와 스마트폰(320)이 시리얼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을 수행한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6,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witching device 100 and the smartphone 320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USB protocol without using serial communication or Bluetooth commun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는 스위치(110) 및 제어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 모듈(120)은 USB 호스트부(128), 제어부(127), 제 1 USB 허브(125d), 및 제 2 USB 허브(125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wit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switch 110 and a control module 120, and the control module 120 includes a USB host unit 128 and a controller 127. ), A first USB hub 125d, and a second USB hub 125e.

먼저, 스위치(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물리적 스위치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키보드 신호를 스마트폰(320)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키보드 신호를 컴퓨터(200)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7)로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스위치(110)를 Vcc 단자에 접촉시키면, 약 5V의 전압 펄스가 제어부(127)로 입력되어 컴퓨터 입력모드가 설정되고, 사용자가 스위치(110)를 접지단자에 접촉시키면 제어부(127)로는 전압펄스가 입력되지 않아 스마트폰 입력모드가 설정된다.First, the switch 110 is implemented as a physical switch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by hand, by the user's operation, the computer 200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or keyboard signal for inputting the keyboard signal to the smartphone 320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computer input mode to be input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control unit 127.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touches the switch 110 to the Vcc terminal, a voltage pulse of about 5 V is input to the controller 127 to set the computer input mode, and the user sets the switch 110 to the ground terminal. When contacted to the control unit 127, the voltage pulse is not input, the smartphone input mode is set.

제어 모듈(120)은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키보드 정보를 컴퓨터(200) 또는 스마트폰(320)으로 출력하는 한편,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20)을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연결하여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20)을 동기화시키고, 스마트폰(320)을 충전한다.The control module 120 out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200 or the smartphone 320, while connecting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20 according to the USB protocol to the computer. The 200 and the smartphone 320 are synchronized, and the smartphone 320 is charged.

제어 모듈(120)의 USB 호스트부(128)는 제 2 USB 허브(125e)를 통해서 자신에게 접속된 USB 키보드(400) 및 스마트폰(320)을 외부 장치로 인식하여,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USB 키보드(400)로부터 수신되는 키보드 정보 및 스마트폰(320)으로부터 입력되는 멀티터치 정보와 같은 스마트폰(320)에서 발생된 입력정보와 동기화 신호를 제어부(127)로 출력하고, 제어부(12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변환하여 스마트폰(320)으로 전송한다. The USB host unit 128 of the control module 120 recognizes the USB keyboard 400 and the smartphone 320 connected to itself through the second USB hub 125e as external devices, and according to the USB protocol, the USB Input information and synchronization signals generated in the smartphone 320 such as keyboa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keyboard 400 and multi-touch information input from the smartphone 320 are output to the controller 127 and from the controller 127. The input signals are converted and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320.

제 1 USB 허브(125d)는 컴퓨터(200)와 접속되어, USB 프로토콜에 따라서 컴퓨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부(127)로 출력하고, 제어부(127)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와 스마트폰(320)에서 발생된 입력정보 및 동기화 신호를 변환하여 컴퓨터(200)로 전송한다.The first USB hub 125d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200, outpu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puter 200 to the controller 127 according to the USB protocol, and in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and the smart phone (keyboard) input from the controller 127.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at 320 are converted and transmitted to the computer 200.

제어부(127)는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USB 호스트부(128)로부터 입력된 키보드정보를, 제 1 USB 허브(125d)를 통해서 컴퓨터(200)로 출력하거나, USB 호스트부(128) 및 제 2 USB 허브(125e)를 통해서 스마트폰(320)으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제 1 USB 허브(125d), 상기 USB 호스트부(128), 및 상기 제 2 USB 허브(125e)간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컴퓨터(200)와 스마트폰(320)을 동기화시키고, 스마트폰(320)을 충전시킨다. The controller 127 outputs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host unit 128 to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first USB hub 125d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or the USB host unit 128 and the second. While outputting to the smartphone 320 through the USB hub (125e), by setting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USB hub (125d), the USB host unit 128, and the second USB hub (125e), The computer 200 and the smartphone 320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and the smartphone 320 is charged.

제 4 실시예의 스마트폰 입력모드에서, USB 키보드(400)에서 출력된 키보드 정보는 제 2 USB 허브(125e) 및 USB 호스트부(128)를 통해서 제어부(127)로 입력된 후, 다시 제어부(127)로부터 출력되어 USB 호스트부(128) 및 제 2 USB 허브(125e)를 통해서 스마트폰(320)으로 입력된다. 또한, 컴퓨터 입력모드에서, USB 키보드(400)에서 출력된 키보드 신호는 제 2 USB 허브(125e) 및 USB 호스트부(128)를 통해서 제어부(127)로 입력되고, 제어부(127)에서 출력된 키보드 정보는 제 1 USB 허브(125d)를 통해서 컴퓨터(100)로 입력된다.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keyboar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USB keyboard 40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27 through the second USB hub 125e and the USB host unit 128, and then the controller 127 is again. ) And is input to the smartphone 320 through the USB host unit 128 and the second USB hub 125e. In addition, in the computer input mode, the keyboard signal output from the USB keyboard 40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27 through the second USB hub 125e and the USB host unit 128, and the keyboard output from the controller 127.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mputer 100 via the first USB hub 125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위칭 장치
110 스위치
120 제어 모듈
121 키보드 모듈
122 USB 호스트부
123, 124, 127 제어부
125a, 125c, 125d, 125d USB 허브
126a, 126b USB 슬레이브 처리부
190 커넥터
200 컴퓨터
300,310,320 스마트폰
400 USB 키보드
100 switching device
110 switch
120 control module
121 keyboard module
122 USB Host
123, 124, 127 controls
125a, 125c, 125d, 125d USB hub
126a, 126b USB Slave Processing Unit
190 connectors
200 computers
300,310,320 smartphone
400 USB keyboard

Claims (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스마트폰과 컴퓨터가 접속된 스위칭 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컴퓨터 입력모드에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터치스크린 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컴퓨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좌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신호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As a switching device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a computer,
A switch for generating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smartphone input mode for inputting keyboar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r a computer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computer by a user's operation;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or the smart phone.
The control module receives a touch screen input signal from the smartphone in the computer input mode, and transmits the touch screen input signal to the computer so that the computer can control coordinates displayed on a computer screen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signal. Swi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computer.
스마트폰과 컴퓨터가 접속된 스위칭 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 입력모드에서 상기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키보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스마트폰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As a switching device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a computer,
A switch for generating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smartphone input mode for inputting keyboar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r a computer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computer by a user's operation;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or the smart phone.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keyboard module including a function key button for executing a smartphone control function,
When the keyboa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button is input in the smartphone input mode, the control module outputs a smartphon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button to the smartphone so that A swi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xecute a function.
스마트폰과 컴퓨터가 접속된 스위칭 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키보드 정보를 발생시키는 키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 모듈은 외부로부터 접속된 USB 키보드를 외부 USB 장치로 인식하고, 상기 USB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에서 해석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USB 호스트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As a switching device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a computer,
A switch for generating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smartphone input mode for inputting keyboar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r a computer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computer by a user's operation;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or the smart phone.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keyboard module for genera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The keyboard module is a swi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as a USB host for recognizing a USB keyboard connected from the outside as an external USB device, and converts a signal input from the USB keyboard into a signal that can be interpreted by the control module.
스마트폰과 컴퓨터가 접속된 스위칭 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USB 키보드와 접속되어 USB 키보드를 외부 장치로 인식하고, 상기 USB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 USB 호스트부;
USB 허브를 통해서 상기 컴퓨터와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키보드 정보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1 USB 슬레이브 처리부;
스위칭부를 통해서 USB 호스트 기능을 갖는 상기 스마트폰과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 2 USB 슬레이브 처리부;
상기 제 1 USB 슬레이브 처리부를 상기 컴퓨터에 접속시키고,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서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컴퓨터에 접속시키는 상기 USB 허브;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제 2 USB 슬레이브 처리부 또는 상기 USB 허브와 연결시키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USB 호스트부로부터 입력된 키보드정보를 상기 제 2 USB 슬레이브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 1 USB 슬레이브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As a switching device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a computer,
A switch for generating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smartphone input mode for inputting keyboar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r a computer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computer by a user's operation;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or the smart phone.
The control module
A USB host unit connected to a USB keyboard to recognize the USB keyboard as an external device, conver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keyboard,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keyboard information to a controller;
A first USB slave processor connected to the computer through a USB hub and transmitting keyboar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computer;
A second USB slave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smartphone having a USB host function through a switching unit and outpu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from the smartphone to the controller;
The USB hub for connecting the first USB slave processing unit to the computer and for connecting the smartphone connect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to the computer;
The switching unit which connects the smartphone to the second USB slave processing unit or the USB hub according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Output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and outputs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host unit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second USB slave processing unit or to the computer through the first USB slave processing unit. Outputting a switching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USB 허브를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컴퓨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witching unit
And switching the smartphone and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perform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computer.
스마트폰과 컴퓨터가 접속된 스위칭 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키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입력하는 스마트폰 입력모드 또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USB 키보드 및 상기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제 2 USB 허브;
상기 제 2 USB 허브를 통해서 접속된 상기 USB 키보드 및 상기 스마트폰을 외부 장치로 인식하고, 상기 USB 키보드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USB 호스트부;
상기 컴퓨터 및 제어부와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키보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제 1 USB 허브; 및
상기 모드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USB 호스트부로부터 입력된 키보드 정보를, 상기 제 1 USB 허브를 통해서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거나, 상기 USB 호스트부 및 상기 제 2 USB 허브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As a switching device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a computer,
A switch for generating a mode sett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smartphone input mode for inputting keyboar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or a computer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to the computer by a user's operation;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o the computer or the smart phone.
The control module
A second USB hub connected to a USB keyboard and the smartphone;
A USB host unit recognizing the USB keyboard and the smart phon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USB hub as an external device, converting signals input from the USB keyboard and the smart phon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s to a controller;
A first USB hub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th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computer; And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control signal, the keyboa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host unit is output to the computer through the first USB hub or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USB host unit and the second USB hub. Switching device comprising the control uni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USB 허브, 상기 USB 호스트부, 및 상기 제 2 USB 허브간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컴퓨터와 상기 스마트폰을 동기화시키고,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USB hub, the USB host unit, and the second USB hub to synchronize the computer with the smartphone and to charge the smartphone.
KR1020100132899A 2010-12-22 2010-12-22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KR101113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899A KR101113248B1 (en) 2010-12-22 2010-12-22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899A KR101113248B1 (en) 2010-12-22 2010-12-22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664A Division KR20120071295A (en) 2011-06-03 2011-06-03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248B1 true KR101113248B1 (en) 2012-02-20

Family

ID=4584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899A KR101113248B1 (en) 2010-12-22 2010-12-22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2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96B1 (en) 2015-08-17 2016-11-11 주식회사 티비알 Method for realizing key pressing in key bo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38Y1 (en) * 2001-04-17 2001-10-11 정원교 Multifunctional keyboard assembly and its interface unit for inputing into personal communicational deveice
KR200379476Y1 (en) * 2004-08-31 2005-03-18 (주)새롬전자 Portable interfac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38Y1 (en) * 2001-04-17 2001-10-11 정원교 Multifunctional keyboard assembly and its interface unit for inputing into personal communicational deveice
KR200379476Y1 (en) * 2004-08-31 2005-03-18 (주)새롬전자 Portable interfac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96B1 (en) 2015-08-17 2016-11-11 주식회사 티비알 Method for realizing key pressing in key board
US10007357B2 (en) 2015-08-17 2018-06-26 Tbr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press of key on key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235B2 (en) KVM switch with embedded bluetooth module
US8417971B2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202050483U (en) Remote controller
EP282455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puter terminal
KR101226303B1 (en) Wireless Multitasking Keyboard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20130024615A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2902406B (en) The system of a kind of touch terminal and control electronic equipment thereof
WO2018010021A1 (en) Pointer control in a handheld computer by way of hid commands
CN101924807A (en) Touch-screen mobile phone and mouse input method
TW201316216A (en) System and method for touch device with external input function
CN102122195A (en) Multifunctional integrated device
CN202197354U (en) Remote controller
CN102761649A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CN102685314B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65026A1 (en) Remote Controller Utilized with Charging Dock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KR101113248B1 (en)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KR20120071295A (en) Switching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computer and smart phone and inputting keyboard signal to the same
CN101945151A (en) Touch screen mobile phone and keyboard input method
US20140347279A1 (en) Keyboard device with switchable connection path and its switching method
US8560740B2 (en) Keyboard equipped with switching interfaces
KR100605930B1 (en)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mobile station
US20190041997A1 (en) Pointer control in a handheld computer by way of hid commands
CN202677355U (en) Remote control type electronic whiteboard
KR101228477B1 (en) Case having mouse function interconnecting mobile
CN102346645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e demonstr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