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768B1 -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 - Google Patents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768B1
KR101106768B1 KR1020090083070A KR20090083070A KR101106768B1 KR 101106768 B1 KR101106768 B1 KR 101106768B1 KR 1020090083070 A KR1020090083070 A KR 1020090083070A KR 20090083070 A KR20090083070 A KR 20090083070A KR 101106768 B1 KR101106768 B1 KR 101106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circuit unit
telephone network
bluetooth headset
public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4890A (en
Inventor
송정한
Original Assignee
㈜비엔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컴 filed Critical ㈜비엔컴
Priority to KR102009008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68B1/en
Publication of KR2011002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8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는, 유선전화기와 공중전화망에 연결되는 블루투스 동글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다이얼 키패드; 상기 다이얼 키패드로부터 출력되는 번호에 상응되는 DTMF 톤을 생성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DTMF 발생기; 공중전화망에 접속되어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회로부로 출력하고, 블루투스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공중전화망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및 블루투스 헤드셋과 연결되어,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the Bluetooth dongle device connected to a landline telephone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dial dial for receiving a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 DTMF generator for generating a DTMF to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utput from the dial keypad and outputting the DTMF tone to an analog data access device; An analog data access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telephone network to perform a voice call, output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o a Bluetooth circuit unit, and receive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circuit unit and output the voice signal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And a Bluetooth circuit unit connected to a Bluetooth headset, configured to transmit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to the Bluetooth headset, and receive and output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headset to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It is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핸드폰 또는 블루투스 단말기에만 연동이 가능하던 블루투스 헤드셋을 일반전화(유선전화) 통화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일반전화 및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통화나 음악감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luetooth headset, which can only be linked to an existing mobile phone or a Bluetooth terminal, can be used even during a normal phone call (wired phon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alk and listen to music wirelessly rather than wired.

유선전화, 블루투스 동글, PSTN, 블루투스 헤드셋 Landline, Bluetooth Dongle, PSTN, Bluetooth Headset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핸드폰 또는 블루투스 단말기에만 연동이 가능하던 블루투스 헤드셋을 일반전화(유선전화) 통화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동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ngle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use a Bluetooth headset which can only be linked to an existing mobile phone or a Bluetooth terminal, even when making a normal phone call. .

근래에 들어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기기가 실생활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MP3 플레이어, PMP 등의 멀티미디어 재생기기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핸드폰과 연동되는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 블루투스 기능을 기원하는 개인용 컴퓨터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키보드, 마우스 등 기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야만 했었던 기기들의 와이어리스 환경의 구축을 위하여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이 활발하게 개발/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used in real life. In particular, Bluetooth headsets that work with multimedia players such as MP3 players and PMPs, Bluetooth headsets that work with mobile phones that support Bluetooth functions, Bluetooth hands-free devices, Bluetooth keyboards and mice that work with personal computers wishing for Bluetooth functions, etc.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nd applied to build a wireless environment for devices that had to be connected by wire.

한편, 오래전부터 유선전화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댁내에서 활용이 가능한 무선전화기가 개발되어 활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무선전화기의 경우 별도의 무선전화시스템을 구비해야 했으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유선전화에 적용하여 와이어리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landline tele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home to use a wireless phone,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additional costs are generated because such a wireless phone had to have a separate wireless telephone syst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establishing a wireless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by apply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o a wired telephon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유선전화용 동글장치의 경우 일반전화기의 송수화기 부분의 연결부위에 블루투스 동글을 접목함으로써 전화회로 없이 음성송수신 부분만을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동글장치 자체로서 발신이 불가능하며, 반드시 일반 유선전화기와 같이 이용되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dongle device for a wirelin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Bluetooth dongle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a handset portion of a general telephone to use only a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portion without a telephone circuit. In other words, the dongle device itself is not possible to transmit,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must be used as a normal landline telephone.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선전화용 동글장치의 경우 단순히 유선전화의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그 활용도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dongle device for wired telephon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s utilization is insignificant because it is simply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of a wired telephon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엑세스 배열 디바이스(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를 이용한 전화기 호접속 및 제어와 관련된 전화회로를 포함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Bluetooth including a telephone circuit associated with telephone call connection and control using an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It is done.

또한, 본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블루투스 헤드셋에 전송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that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and can transmit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to the Bluetooth headset. It is don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전화기와 공중전화망에 연결되는 블루투스 동글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다이얼 키패드; 상기 다이얼 키패드로부터 출력되는 번호에 상응되는 DTMF 톤을 생성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DTMF 발생기; 공중전화망에 접속되어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회로부로 출력하고, 블루투스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공중전화망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및 블루투스 헤드셋과 연결되어, 상기 아날 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uetooth dongle device connected to a landline telephone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the dial keypad for receiving a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 DTMF generator for generating a DTMF to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utput from the dial keypad and outputting the DTMF tone to an analog data access device; An analog data access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telephone network to perform a voice call, output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o a Bluetooth circuit unit, and receive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circuit unit and output the voice signal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And a Bluetooth circuit unit connected to a Bluetooth headset to transmit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to the Bluetooth headset, and receive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headset and output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is provided.

여기서, 전술한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는,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한 호접속을 제어하는 공중전화망 호접속부;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부로 출력하고, 상기 블루투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공중전화망 호접속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레지스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analog data connection apparatus,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for controlling a call connection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 audio processo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o the Bluetooth unit, and transmit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Bluetooth unit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regist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and the audio processor.

또한, 전술한 블루투스 회로부는, 통신반경 내의 블루투스 헤드셋을 검색하고, 검색된 블루투스 헤드셋과 페어링(Pairing)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알에프 회로부;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하여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접속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착신신호를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하여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통화신호를 상기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데이터접속장치 처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Bluetooth circuitry, RF circuitry for searching for a Bluetooth headset within the communication radius, and paired with the found Bluetooth headset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and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is received through the RF circuit unit and output to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Processing unit; And a data connection device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n incoming signal input from the data connection device to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and outputting a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to the data connection devic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한편, 전술한 블루투스 회로부는, USB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되어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해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USB 통신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luetooth circuit unit, the USB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personal computer via a USB cabl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USB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nected personal computer to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via the RF circuit unit. May be

보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USB 통신부는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forementioned USB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paired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and outpu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a connected personal comput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의 마스터 모드/슬레이브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는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망의 마스터 장치 또는 블루투스 통신망의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s described above, further comprises a selection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ster mode / slave mode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Bluetooth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using the Bluetooth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 master devic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or a slave devic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ion un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핸드폰 또는 블루투스 단말기에만 연동이 가능하던 블루투스 헤드셋을 일반전화(유선전화) 통화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Bluetooth headset, which can be linked only to an existing mobile phone or a Bluetooth terminal, can be used even during a general phone c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일반전화 및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통화나 음악감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with a built-in Bluetooth function to a general telephone and a personal compu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talk or listen to music wirelessly rather than wi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량이 많은 사용자들을 위해 블루투스 헤드셋 하나만으로 핸드폰과 유선전화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개인용 컴퓨터 등과 USB로 연동하여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통한 음악감상을 무선으로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rs with a high volume of calls to connect a mobile phone and a landline phone at the same time with a single Bluetooth headset to enable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use of the call, and also through a Bluetooth stereo headset in conjunction with a personal computer and USB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enjoy music listening wirelessl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system using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wireless system using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를 이용한 무선시스템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 공중전화망(200), 유선전화기(300),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apparatus 100 using Bluetooth includes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apparatus 100 using Bluetooth, a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a wired telephone 300, and a Bluetooth headset 600.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는 공중전화망(PSTN망, Public Subcriber Telephone Network)(200) 연결단자, 유선전화기(300) 연결단자, 5V 아답터(500)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Multifunction communication apparatus 100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network, Public Subcriber Telephone Network) (200) connection terminal, wired telephone 300 connection terminal, 5V adapter 500 connection terminal have.

공중전화망(200)은 전화통화를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연결되어야 할 망으 로서, 전화선 표준인 RJ11 잭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에 연결된다.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is basically a network to be connected to make a telephone call, and is connected to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RJ11 jack which is a telephone line standard.

유선전화기(300)도 역시 RJ11 잭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 유선전화기를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선전화기(300)가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글장치(100)에 연결된 일반 유선전화기(300)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The wired telephone 300 is also connected using the RJ11 jack, and can be connected to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wired telephone generally used in an office or home. As such, when the wired telephone 300 is connected to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the user may not only make a phone call using the Bluetooth headset 600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but also connect to the dongle device 100 in general. The landline phone 300 can be used to make a phone call.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기용 블루투스 동글장치(100)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장치와 달리 별도의 유선전화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전화통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세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more preferably,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for a wirelin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even without a separate wireline telephone, unlike the Bluetooth dong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such a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5V 아답타(500)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의 전원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동글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The 5V adapter 500 is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ly power to the dongle device 100.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와 블루투스 헤드셋(600)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페어링(Pairing)되어 피코넷(Piconet)을 형성하고 무선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동글장치(100)와 블루투스 헤드셋(600)은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피코넷을 형성/관리하는 마스터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가 되며, 블루투스 헤드셋(600)은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게 된 다.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Bluetooth headset 600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aired using a Bluetooth method to form a piconet and perform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ore preferably, the dongle device 100 and the Bluetooth headse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using a headset profile. At this time, the master to form / manage the piconet becomes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using Bluetooth, Bluetooth headset 600 is to function as a slav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이용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각종 블루투스 기기가 연결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핸드폰(700)이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의 슬레이브로 연결되어 블루투스 핸드폰을 이용하여 유선전화통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using the Bluetooth headset 600, various Bluetooth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Bluetooth headset profile can be connected and used, the Bluetooth mobile phone 700 shown in FIG. ) May be connected to a slave of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to perform a landline call using a Bluetooth mobile phone.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는 공중전화망(200)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 무선송신하고,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부터 무선송신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공중전화망(200)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apparatus 100 using Bluetooth receives a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and wirelessly transmits it to the Bluetooth headset 600, and receives a voice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headset 600 to receive a public telephone network. By performing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200, the telephone call function is performed.

다른 한편으로,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글장치(100)와 블루투스 헤드셋(600)이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을 이용하여 연결된 후, 블루투스 헤드셋(600)과 블루투스 핸드폰(700) 또한 헤드셋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와 블루투스 헤드셋(600) 간의 헤드셋 프로파일을 통해 공중전화망(200)을 이용한 전화통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블루투스 헤드셋(600)과 블루투스 핸드폰(700) 간의 헤드셋 프로파일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화통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이용하여 유선전화와 이동통신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dongle device 100 and the Bluetooth headse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using a headset pro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headset 600 and the Bluetooth mobile phone 700 are also It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using a headset profile. When the wireless system is configured in this manner,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telephone call function using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through the headset profile between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apparatus 100 and the Bluetooth headset 600 using Bluetooth. Through the headset profile between the Bluetooth headset 600 and the Bluetooth cellular phone 700, a telephone call func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provided. That is,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a landline phone and mobile communication using one Bluetooth headset 600.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개인용 컴퓨터(400)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기기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에 연결되며,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가 기존의 음성통화 중계기능 이외에 오디오신호 중계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ireless system using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is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400 is connected to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is configured to perform an audio signal relay func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voice call relay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의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시스템을 설명하도록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ame technical features as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FIG. 1 will be omitted, and a wireless system using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other technical features of the embodiment of FIG. 1.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의 연결단자에 공중전화망(200), 유선전화기(300), 컴퓨터(400), 5V 아답터(500)가 연결된다.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the wired telephone 300, the computer 400, and the 5V adapter 50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apparatus 100 using Bluetooth.

컴퓨터(400)는 USB 포트를 통해 USB 케이블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의 연결단자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노트북이나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의 D+, D- 데이터 라인을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의 USB 통신부에 연결하게 되며, 블루투스 동글장치(100)는 컴퓨터(40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오디오 컨텐츠)의 재생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는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였다. The computer 4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USB cable through a USB port. More specifically, the D + and D- data lines of a USB port of a notebook or personal computer are connected to the USB communication unit of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nd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multimedia content (audio content) from the computer 400.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signal is output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headset 600. Here, an embodiment is constructed using a computer such as a notebook computer or a personal computer.

한편,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장 치(100)와 블루투스 헤드셋은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및 AVRCP(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such a function,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nd the Bluetooth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using a headset profile, an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A2DP), and an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 (AVRCP). It is configured to be.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은 일반적으로 통화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SCO link를 통해 통화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한 프로파일이며, A2DP는 스테레오 음성 무선전송을 위한 프로파일로서 기기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파일이고, AVRCP는 다음곡/이전곡/재생/일시정지 등의 오디오리모트 컨트롤 을 위한 프로파일이다. Headset Profile is a profile that is generally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through the SCO link to support a call function, and A2DP is a profile for stereo audio wireless transmission, which is a profile for performing audio data streaming between devices, and AVRCP Is a profile for audio remote control such as next song / previous song / play / pause.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를 이용한 무선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와 블루투스 헤드셋(600) 간의 헤드셋 프로파일을 통해 공중전화망(200)을 이용한 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A2DP를 통해 컴퓨터(400)를 통해 재생되는 음원을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통하여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음원의 감상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와 컴퓨터(400)의 USB 포트를 이용하여 D+, D- 데이터 라인을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의 USB 통신부와 연결하여 컴퓨터(400)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고,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에서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A2DP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셋(600)에 전송함으로써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this way, when the wireless system using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he telephone using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through the headset profile between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nd the Bluetooth headset 600 The call func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sound source played through the computer 400 can be viewed through the Bluetooth headset 600 through the A2DP. Here, the listening of the sound source is performed by connecting the D + and D- data lines with the USB communication unit of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using the USB port of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nd the comput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audio signal that is reproduced and output, and transmit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to the Bluetooth headset 600 by using the A2DP, it is configured to enjoy the sound source played on the computer.

또한, AVRCP를 이용하여 제한적이긴 하지만, 예를 들어 컴퓨터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indow Media Player)로 실행한 음원을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이 용하여 음원 재생 및 중지, 일시정지, 이전곡 또는 다음곡의 재생 컨트롤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400)를 통해 재생되는 음원을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 감상하다가, 공중전화망(200)을 통한 전화수신이 감지된 경우 음원의 재생을 잠시 중단하고 전화통화를 한 후, 다시 음원을 감상할 수 있는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use of AVRCP is limited, for example, the sound source played by the computer's window media player can be played and stopped, paused, paused, previous or next song by using the Bluetooth headset 600. Playback controls and so on. Therefore, while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to be played through the computer 400 with the Bluetooth headset 600, if the telephone reception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is detected, the playback of the sound source is paused for a while after the phone call, the sound source again The ability to do so becomes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의 상세한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for performing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만의 고유한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First, a brief description of the unique technical features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로,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 및 개인 컴퓨터용 블루투스 USB 동글 겸용 장치로서, 종래의 기술을 적용한 동글장치의 경우 일반전화기의 송수화기 부분의 연결부위에 블루투스 동글을 접목함으로써 전화회로 없이 음성송수신 부분만을 이용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은 아날로그 데이터 접속장치(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를 이용한 전화기 호접속 및 제어와 관련된 전화회로를 포함한 블루투스 동글장치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nd a Bluetooth USB dongle device for personal computers, in the case of the dongle device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by incorporating a Bluetooth dongle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andset part of the general telephone Unlike the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without a circui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Bluetooth dongle device including a telephone circuit related to telephone call connection and control using an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둘째로, 기존의 기술을 적용한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컴퓨터의 USB 포트의 D+, D- 데이터 라인을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의 USB 통신부와 연결하여 컴퓨터(4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블루투스 헤드셋(6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는 장치라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Secondly, unlike the prior art to which the existing technology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outputs the D + and D- data lines of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from the computer 400 by connecting the USB communication unit of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additional device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to the Bluetooth headset 6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는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110), 블루투스 회로부(120), 전원부(130), 다이얼 키패드(140), DTMF(Dial Tone Multi-Frequency) 발생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110, a Bluetooth circuitry unit 120, a power supply unit 130, a dial keypad 140, and a DTMF (Dial). Tone Multi-Frequency) generator 150 may be included.

다이얼 키패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화번호를 입력받게 되며, DTMF 발생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이얼 키패드로부터 출력되는 번호에 상응되는 DTMF 톤을 생성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110)로 출력하게 된다. The dial keypad receives a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he DTMF generator generates a DTMF to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utput from the dial keypa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outputs the DTMF tone to the analog data access device 110.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110)는 공중전화망(200)에 접속되어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공중전화망(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회로부(120)로 출력하고, 블루투스 회로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공중전화망(200)으로 출력하게 된다.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110 is connected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to perform a voice call, and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to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Bluetooth circuit unit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120 is received and output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이러한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110)는 공중전화망(200)에 접속하기 위한 컴퓨터와 모뎀 내의 인터페이스로서, 전화회선 인터페이스 모듈이라고도 부르며 팩스, 사설 교환기(PBX), 셋톱박스, 경보 시스템 등을 포함한 일반 전화 교환망(PSTN망)에 부착되는 장치이다. The analog data access device 110 is an interface in a computer and a modem for connecting to a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also called a telephone line interface module, and includes a general telephone switching network including a fax machine, a private branch exchange (PBX), a set-top box, an alarm system, and the like. It is a device attached to (PST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 접속장치(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를 이용한 전화기 호접속 및 제어와 관련된 전화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별도의 유선전화기(30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독립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apparatus 100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lephone circuit associated with telephone call connection and control using an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wired telephone ( Even if 300 is not provided, the phone call can be independently performed.

블루투스 회로부(120)는 블루투스 헤드셋(600)과 연결되어,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 전송하고,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110)로 출력하게 된다.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Bluetooth headset 600, transmits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110 to the Bluetooth headset 600, and receives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headset 600 Output to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110.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110)는 공중전화망 호접속부(111), 오디오 처리부(112) 및 컨트롤 레지스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111, the audio processing unit 112 and the control register 113.

공중전화망 호접속부(111)는 공중전화망(200)을 통한 호접속을 제어하게 된다. 즉, 공중전화망 호접속부(111)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링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111 controls the call connection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That is,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111 detects a r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forms a call path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ring signal is detected.

오디오 처리부(112)는 공중전화망(200)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회로부(120)로 출력하고, 블루투스부 회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공중전화망(200)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12)는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지 또는 연결된 유선전화기(300)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기기에 따라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udio processor 112 outputs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to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user performs a call using the Bluetooth headset 600 or a call using the connected wired telephone 300 to a device for performing a call. Therefore,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input and output of a voice signal.

컨트롤 레지스터(113)는 공중전화망 호접속부(111)와 오디오 처리부(11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The control register 113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111 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112.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회로부(120)는 알에프 회로부(121), 오디오 처리부(122), 데이터접속장치 처리부(123) 및 USB 통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RF circuit unit 121, an audio processor 122, a data connection device processor 123, and a USB communication unit 124.

알에프 회로부(121)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셋과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부로서, 통신반경 내의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검색하고, 검색된 블루투스 헤드셋(600)과 페어링(Pairing)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및 AVRCP(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가 이용될 수 있다. The RF circuit unit 121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Bluetooth headset using Bluetooth. The RF circuit unit 121 searches for a Bluetooth headset 600 within a communication radius and is paired with the found Bluetooth headset 600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 headset profile, an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A2DP), and an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 (AVRCP) may be used.

오디오 처리부(122)는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알에프 회로부(121)를 통하여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 전송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알에프 회로부(121)를 통해 수신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110)로 출력하게 된다. The audio processor 122 transmits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110 to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600 through the RF circuit unit 121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600. It is received through the RF circuit unit 121 and output to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110.

데이터접속장치 처리부(123)는 데이터접속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착신신호를 알에프 회로부(121)를 통하여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 전송하고,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부터 알에프 회로부(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통화신호를 데이터접속장치(110)로 출력하게 된다. The data connection device processing unit 123 transmits an incoming signal input from the data connection device 110 to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600 through the RF circuit unit 121 and transmits the RF circuit unit 121 from the Bluetooth headset 600. It outputs the cal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ata connection device 110.

USB 통신부(124)는 USB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00)의 USB 포트에 연결되어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알에프 회로부(121)를 통해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 전송하게 되며, 보다 바람직 하게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다음곡/이전곡/재생/일시정지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알에프 회로부(121)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40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SB communication unit 124 receives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connected personal computer 400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personal computer 400 through a USB cable to the Bluetooth headset 600 paired through the RF circuit unit 121. And, more preferably receives a control signal (control signal for the control of the next song / previous song / playback / pause, etc.) transmitted from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600 through the RF circuit 121,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may be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connected personal computer 400.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의 연결단자에 공중전화망(200), 유선전화기(300), 컴퓨터(400), 5V 아답터(500)가 연결된다.First,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the wired telephone 300, the computer 400, the 5V adapter 5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using Bluetooth.

기본적인 연결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100)를 조작하여 기기등록모드(Pairing mode)를 수행하며, 블루투스 동글장치(100)는 통신반경 내의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게 된다.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의 통신반경 내에 블루투스 헤드셋(60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블루투스 동글장치(100)는 검색된 블루투스 헤드셋(600)을 슬레이브로 페어링하여 피코넷을 형성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블루투스 동글장치(100)와 블루투스 헤드셋(600)은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및 AVRCP(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After the basic connection is completed, the user operates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 device registration mode (Pairing mode),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to search for a Bluetooth device in the communication radius do. When the Bluetooth headset 600 exists withi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is ready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y pairing the discovered Bluetooth headset 600 with a slave to form a piconet. Will complete. At this time,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and the Bluetooth headset 600 are connected by using a headset profile, an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A2DP), and an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 (AVRCP).

온 후크(On Hook) 상태에서 공중전화망(200)으로부터 전화가 오게되면, 먼저 공중전화망 호접속부(111)는 링(Ring)신호를 검출하여 컨트롤 레지스터(113)를 통해 알에프 회로부(121)의 데이터접속장치 처리부(123)로 출력하게 된다. When the telephone comes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200 in the on-hook state,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111 first detects a ring signal to detect the data of the RF circuit unit 121 through the control register 113. Output to the connection device processing unit 123.

컨트롤 레지스터(113)으로부터 출력되는 착신신호(링신호 검출신호)를 입력받은 알에프 회로부(121)는 블루투스 헤드셋(600)으로 착신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착신신호를 수신한 블루투스 헤드셋(600)은 구비된 음향수단 등을 통하여 벨을 울림으로써 사용자에게 전화가 온 것을 알리게 된다. 이때, 동시에 유선전화기(300)에서도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벨이 울린다.The RF circuit unit 121 receiving the incoming signal (ring signal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register 113 transmits the incoming signal to the Bluetooth headset 600, and the Bluetooth headset 600 receiving the incoming signal is provided. By ringing the bell through the sound means, etc., the user is notified of the incoming call. At this time, at the same time, a bell to notify that the call came from the landline (300).

사용자가 전화가 온 것을 인지하여 블루투스 헤드셋(600)의 토크(Talk) 버튼을 누르면, 블루투스 헤드셋(600)은 통화신호를 블루투스 동글장치(100)로 전송하게 되며, 통화신호의 전송/수신에 따라 통화상태 즉, 오프 후크(Off Hook) 상태가 된다. 통화상태가 되면, 음성신호의 전달은 아날로그 DAA(110)의 오디오 처리부(112)와 블루투스 회로부(120)의 오디오 처리부(122)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When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call is coming and presses the talk button of the Bluetooth headset 600, the Bluetooth headset 600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Bluetooth dongle device 100,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call signal. The call state is off. When the call state is established,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between the audio processor 112 of the analog DAA 110 and the audio processor 122 of the Bluetooth circuit 120.

온 후크(On Hook) 상태에서 전화를 걸기 위하여 본 발명의 Hook 스위치를 눌러 오프 후크(Off Hook) 상태가 되게한 후, 다이얼 키패드(140)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하는 번호를 누르면 DTMF 발생기(150)를 통해서 각 번호에 맞는 DTMF 톤을 발생시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Press the Hook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an off hook state in order to make a call in an on hook state, and then press a number to make a call using the dial keypad 140 to generate a DTMF generator ( 150), DTMF tones for each number can be generated and the call can be made.

블루투스 헤드셋(600)이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일 경우 컴퓨터(400)와 USB 통신부(124)의 USB 통신을 통해서 음원을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Bluetooth headset 600 is a stereo Bluetooth headset, the sound source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USB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uter 400 and the USB communication unit 124.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 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에 도시된 다기능 통신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100), 블루투스 헤드셋(600), 블루투스 핸드폰(700) 등의 블루투스 장치로 구성되는 블루투스 통신망에서 마스터(Master) 장치로서만 동작되도록 구성된 반면, 도 4에 도시된 다기능 통신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망에서의 마스터(Master) 장치 또는 슬레이브(Slave)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First,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shown in FIG. 3 is only a master device in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composed of Bluetooth devices such as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Bluetooth headset 600, the Bluetooth mobile phone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figured to operate,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shown in FIG. 4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master device or a slave device in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100)는 마스터 장치모드, 슬레이브 장치모드를 지원하며, 일반적인 상태(별다른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마스터 장치모드로 부팅되어 피코넷을 구성/운용하게 되며,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선택부를 조작한 상태(버튼을 누른 상태 등)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슬레이브 장치모드로 부팅되어 다른 마스터 장치를 통해 구성/운용되는 피코넷에 참여하여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게 된다.That is,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master device mode and a slave device mode,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in a general state (no operation), the device is booted into the master device mode. The piconet is configured / operated,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in the state of operating the selector composed of buttons (such as pressing a button), the device boots into slave device mode and participates in the piconet configured / operated by another master device. It acts as a slave device.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기능 통신장치의 마스터 모드/슬레이브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부는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공지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ster mode / slave mode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Can be configured. Such a selection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known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a keypad, a touch pad, and the like.

한편, 다기능 통신장치의 블루투스 회로부(120)는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망의 마스터 장치 또는 블루투스 통신망의 슬레이브 장치로 부팅되어 동작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선택부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기능 통신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블루투스 회로부(120)는 마 스터 모드로 부팅되어 동작하며, 사용자가 선택부를 조작한 상태에서 다기능 통신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블루투스 회로부(120)는 슬레이브 모드로 부팅되어 동작하게 된다. Meanwhile,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is booted and operated as a master device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or a slave device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ion unit. That is, when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selection unit separately,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is booted and operated in the master mode, and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operates the selection unit.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100, the Bluetooth circuit 120 is booted in the slave mode to operate.

여기서, 이러한 듀얼 모드 기능(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마스터(동글) 모드 또는 슬레이브(헤드셋) 모드로 동작되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 회로부(120)는 하나의 블루투스 칩에 마스터 어플리케이션과 슬레이브 어플리케이션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각 어플리케이션을 블루투스 기능 중 역할교환(role switching) 기능을 이용하여 각각의 모드가 스위칭되도록 구성된다. Here, in order to support such a dual mode function (function operated in the master (dongle) mode or slave (headset) mod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as described above is a master application on one Bluetooth chip. And slave applications are configured in combination, and each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switch each mode using a role switching function among Bluetooth functions.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장치(100)의 블루투스 회로부(120) 내의 오디오 처리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마스터 모드/슬레이브 모드 선택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오디오 입력부(A)(122-1), 오디오 입력부(B)(122-2), 오디오 출력부(A)(122-3), 오디오 출력부(B)(1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more preferably, the audio processing unit 122 in the Bluetooth circuit unit 120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ort the audio input unit (A) 122 to support the master mode / slave mode selec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1), an audio input unit (B) 122-2, an audio output unit (A) 122-3, and an audio output unit (B) 122-4.

여기서, 오디오 입력부(A)(122-1)와 오디오 출력부(A)(122-3)는 다기능 통신장치(100)가 마스터 모드로 부팅되어 마스터 장치로 동작할 때 아날로그 DAA(100)의 오디오 처리부(113)와 연동되어 오디오신호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오디오 입력부(B)(122-2)와 오디오 출력부(B)(122-4)는 다기능 통신장치(100)가 슬레이브 모드로 부팅되어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할 때 마이크부(160)와 스피커부(170)에 각각 연동되어 오디오신호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여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Here, the audio input unit (A) 122-1 and the audio output unit (A) 122-3 are the audio of the analog DAA 100 when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100 is booted in a master mode to operate as a master device. The audio input unit (B) 122-2 and the audio output unit (B) 122-4 are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3 to perform the input / output function of the audio signal. When booted and operated as a slave device, the microphone unit 160 and the speaker unit 170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perform an input / output function of an audio signal, thereby functioning as a Bluetooth hands-free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system using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ireless system using a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의 구성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의 구성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 200 : PSTN망100: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200: PSTN network

300 : 유선전화기 400 : 컴퓨터300: landline phone 400: computer

500 : 5V 아답터 600 : 블루투스 헤드셋500: 5V adapter 600: Bluetooth headset

700 : 블루투스 핸드폰700: Bluetooth Cell Phone

Claims (6)

유선전화기와 공중전화망에 연결되는 블루투스 동글장치에 있어서,In the Bluetooth dongle device connected to landline and public telephone network,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다이얼 키패드; A dial keypad for receiving a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다이얼 키패드로부터 출력되는 번호에 상응되는 DTMF 톤을 생성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DTMF 발생기;A DTMF generator for generating a DTMF to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utput from the dial keypad and outputting the DTMF tone to an analog data access device; 공중전화망에 접속되어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회로부로 출력하고, 블루투스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공중전화망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및An analog data access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telephone network to perform a voice call, output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o a Bluetooth circuit unit, and receive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circuit unit and output the voice signal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alog Data Access). Arrangement); And 블루투스 헤드셋과 연결되어,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회로부;A Bluetooth circuit unit connected to a Bluetooth headset, transmi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to the Bluetooth headset, receiv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headset,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는,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한 호접속을 제어하는 공중전화망 호접속부;A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for controlling a call connection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회로부로 출력하고, 상기 블루투스 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An audio processo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o the Bluetooth circuit unit, and transmit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Bluetooth circuit unit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상기 공중전화망 호접속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레지스터;A control regist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call connection unit 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블루투스 회로부는,The Bluetooth circuit unit, 통신반경 내의 블루투스 헤드셋을 검색하고, 검색된 블루투스 헤드셋과 페어링(Pairing)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알에프 회로부; An RF circuit unit for searching for a Bluetooth headset within a communication radius and pairing with the found Bluetooth headset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하여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and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is received through the RF circuit unit and output to the analog data connection device. Processing unit; 상기 데이터접속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착신신호를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하여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통화신호를 상기 데이터접속장치로 출력하는 데이터접속장치 처리부; 및A data connection device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n incoming signal input from the data connection device to a paired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and outputting a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to the data connection device; And USB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되어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해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USB 통신부;A USB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USB port of a personal computer via a USB cable and receiv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nected personal computer and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to the paired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USB 통신부는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알에프 회로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 And the USB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paired Bluetooth headset through the RF circuit unit, and outpu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a connected personal compu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는,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Bluetooth,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의 마스터 모드/슬레이브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selection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ster mode / slave mode of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Bluetooth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는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어신호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망의 마스터 장치 또는 블루투스 통신망의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통신장치. The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Bluetoot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as a master device or a slave device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or.
KR1020090083070A 2009-09-03 2009-09-03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 KR101106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70A KR101106768B1 (en) 2009-09-03 2009-09-03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70A KR101106768B1 (en) 2009-09-03 2009-09-03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90A KR20110024890A (en) 2011-03-09
KR101106768B1 true KR101106768B1 (en) 2012-01-18

Family

ID=4393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070A KR101106768B1 (en) 2009-09-03 2009-09-03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6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577A (en) * 2003-12-31 2005-07-05 시코드 주식회사 Apparatus for unified communication equipments using a bluetooth protocol
KR20080112925A (en) * 2007-06-22 2008-12-26 주식회사 아이네트빌 Call Mode Switching System using Bluetooth USB Dong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577A (en) * 2003-12-31 2005-07-05 시코드 주식회사 Apparatus for unified communication equipments using a bluetooth protocol
KR20080112925A (en) * 2007-06-22 2008-12-26 주식회사 아이네트빌 Call Mode Switching System using Bluetooth USB Dong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90A (en)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38222A1 (en) Intergr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1119399B (en) Blue tooth loudspeaker
US20220286538A1 (en) Earphon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1115081A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blue tooth wireless earphone capable of extending to support wireless network telephone
KR100221772B1 (en) Network-telephone
KR101106768B1 (en)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luetooth
KR100801061B1 (en) Bluetooth hands free kit for vehicle and bluetooth hands free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06094182A (en) Connec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set
US20020085539A1 (en) Internet phone interface card having sound function
JP2001045145A (en) Wireless earphone microphone set for portable phone, portable phone main body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KR200168870Y1 (en) Versatility keyboard having audio listening and telephone function
KR20050072986A (en) Relay device
JP5010779B2 (en) Cordless telephone and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TW591929B (en) Bluetooth wireless phone set
KR100392063B1 (en) Remocon for portable phones
KR200193536Y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omputer and conventional telephone for internet telephone usage
KR10032328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phone call
JP2004180087A (en) Interphone system
KR200165423Y1 (en) Key-board phone for the computer
KR0143813B1 (en) Telephone system
KR200165424Y1 (en) Key-board phone for the computer
KR200347947Y1 (en) system for generating sound of the bell using a record process
JP4749272B2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KR100413537B1 (en) hands free phone
JP2000278370A (en) Transmitter/receiver device with secret talk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