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687B1 - 접속 링크된 권리들 보호 - Google Patents

접속 링크된 권리들 보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687B1
KR101106687B1 KR1020067010830A KR20067010830A KR101106687B1 KR 101106687 B1 KR101106687 B1 KR 101106687B1 KR 1020067010830 A KR1020067010830 A KR 1020067010830A KR 20067010830 A KR20067010830 A KR 20067010830A KR 101106687 B1 KR101106687 B1 KR 10110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s
authenticated
content
master
autho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829A (ko
Inventor
프란시스쿠스 엘. 에이. 제이. 캠퍼맨
제라더스 씨. 피. 로코프
펭 리
다윈 헤
윌헬머스 에프. 제이. 폰티즌
스티븐 비. 루이트젠스
웨닝 유
공밍 웨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1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1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 G06F21/1012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to dom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권리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은, 콘텐츠와 연관된 마스터 권리가 제 1 인증된 장치(211)에 저장된다는 것이다. 인증된 장치는 신뢰할 수 있고 연관된 권리들에 따라서 콘텐츠를 갖는 액션들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들 장치들은 콘텐츠에 속한 권리들을 행사하고, 사용된 DRM 시스템의 보안 작업들을 수행한다. 부권리(subright)는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되며, 이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261)가 연관된 콘텐츠에 대해 주어진 액세스 유형을 제어한다. 최종적으로, 제 2 장치가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에 따르면,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에 분배된다. 부권리를 분배하는 장치는 부권리를 수신하는 장치를 인증하여, 이 제 2 장치가 신뢰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인증된 장치, 마스터 권리, 부권리, 콘텐츠, 보안 작업

Description

접속 링크된 권리들 보호{Connection linked rights protection}
본 발명은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용 가능한 콘텐츠 보호 시스템들의 수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시스템들 중 일부는 불법 복제에 대해 콘텐츠만을 보호하는 반면에, 나머지 시스템들은 사용자가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카테고리를 복제 방지(Copy Protection; CP) 시스템들이라 칭한다. CP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소비자 전자(CE) 장치들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데, 이 유형의 콘텐츠 보호는 비용이 덜 들게 구현되고 콘텐츠 제공자와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예들은 콘텐츠 스크램블링 시스템(Content Scrambling System; CSS), DVD ROM 디스크들의 보호 시스템 및 DTCP, IEEE 394 접속들을 위한 보호 시스템이다. 제 2 카테고리는 다양한 명칭들로 공지되어 있다. 방송 세계에서, 이 카테고리의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조건부 액세스(Conditional Access; CA) 시스템들로서 공지되는 반면에, 인터넷 세계에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권리 관리(DRM) 시스템들로서 공지된다.
홈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다수의 장치들,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 튜너/디 코더, CD 플레이어, VCR 등을 포함한다. 셋톱박스, PC 또는 홈 미디어 서버와 같은 한 가지 장치는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중앙 장치이고, 콘텐츠, 예를 들어 음악, 영화들, 사진들, 책들 등은 셋톱 박스를 통해서 수신된다. 콘텐츠는 또한 디스크들로서 저장 매체와 같은 다른 소스들을 통해서 또는 휴대용 장치들을 이용하여 홈에 입력될 수 있다. 이 소스는 광대역 케이블 네트워크, 인터넷 접속, 위성 다운링크 등과의 접속일 수 있다. 홈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이 인증되지 않은 콘텐츠 복제들을 행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전히,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크들에 관심을 두도록 하기 위해선,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들을 다소 자유롭게 콘텐츠를 분배하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
인증된 도메인들(Authorised Domains; AD)의 개념은 (자신들의 저작권을 보호받기 원하는) 콘텐츠 소유자들 및 (제한없이 콘텐츠를 이용하길 원하는) 콘텐츠 소비자들의 이익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해법을 찾고자 한다. AD의 주된 목적은, 소비자가 전체 AD 내에서 콘텐츠에 자유롭게 액세스하여 분배하면서, 콘텐츠의 무제한적인 디지털 복제 및 전체 도메인들에 걸쳐서 콘텐츠 분배를 방지하는 동시에 엄격한 임포트 및 익스포트 규칙들(import and export rules)을 부여함으로써 콘텐츠 소유자들 및 제공자들의 권리들이 커버된다는 점에서, 콘텐츠 소유자들(및/또는 콘텐츠 제공자들) 및 콘텐츠 소비자들의 이익 모두를 존중하는 것이다.
기본 원리는, 인증된 도메인의 경계를 가로지르지 않는 한 콘텐츠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는 제어된 네트워크 환경을 갖는다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인증된 도메인들은 홈 네트워크들이라 칭하는 홈 환경 주위에서 집중된다. 물 론, 다른 시나리오들이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여행중에 휴대용 텔레비젼을 가지고 다닐 수 있고 호텔에서 이를 사용하여 집에 있는 자신의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 상에 저장된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다. 휴대용 텔레비젼이 홈 네트워크 밖에 있는 경우조차도, 이는 사용자의 인증된 도메인의 일부이다.
소비자들은 도메인에 대한 권리들(및 콘텐츠)을 가져올 수 있고 또한 이들을 다른 도메인들로 분배할 수 있다. 권리들은 예를 들어 플레이 권리들, 1회-생성 복제 권리들(one-generation copy rights), 분배 권리들 등을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자들의 주요 관심사는 권리들(및 콘텐츠)의 불법적인 인터넷 재분배, 사용 및 복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ADs 간에서 권리들 및 콘텐츠 교환에 대한 강한 제약들을 필요로 한다. DRM 및 Pay-TV 시스템들이 콘텐츠를 ADs에 분배하고 ADs에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이 부가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AD DRAM의 아키텍쳐는 기존의 DRM 아키텍쳐들과 유사한데,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가 디지털 권리들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AD는 (네트워킹된) 장치들, 매체, 권리들 및 사용자들의 환경으로서 규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들 및 장치들은 수반하는 권리들에 따라 콘텐츠를 취급한다. 채용된 네트워크 기술들은 예를 들어, 이더넷, IEEE 1394, 블루투쓰, 802.11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D에서, 전형적으로 하나의 장치는 AD 장치 관리(ADDM)를 수행하며, 모든 장치들은 권리들 관리(RM)를 수행하는데, 즉 권리들을 처리하고 평가할 수 있다. ADDM의 작업들은 전형적으로 장치/권리 등록(인증된 도메인 장치/권리를 부가) 및 장치/권리 탈퇴(인증된 도메인으로부터 장치/권리 제거)를 포함한다. 권리들 및/또 는 콘텐츠의 보호는 통상적으로 암호 동작들(cryptographic operations)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장치 등록 동안, 모든 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 등록될 장치는 AD 키 또는 AD 식별자를 획득할 것이다. 최소 필요 조건들은, 장치가 순응(compliant)하고 도메인 크기가 임의의 제한들 내에 머무는 것이다. 이들 조건들은 ADDM에 의해 실시될 것이다. 장치 기반으로 한 ADs 대신에 사람 기반으로 한 ADs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사람 기반으로 한 ADs는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대안적으로, 하이브리드 ADs가 구현될 수 있는데, 즉 ADs는 사람들/장치들의 조합에 기초한다. 상기 정보에 따라서 기능하는 AD는 S.A.F.A.van den Heuvel, W. Jonker, F.L.A.J. Kamperman 및 P.J.Lenoir가 2002년 9월에 IBC Conference Pulblication, pp.467-474에 발표한 논문 "Secure content management in authorised domains"에 서술되어 있다.
인증된 도메인들의 개념을 어느 정도 구현하는 각종 시스템들이 이미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시스템들의 예들은 SmartRight, xCP 및 NetDRM이다.
홈 미디어 네트워크는 WO 03/009536A1에 서술되어 있다. 서술된 홈 미디어 네트워크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획득 및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 1 장치, 상기 제 1 장치에 결합된 전송 매체 및 상기 전송 매체에 결합된 제 2 장치를 포함한다. 제 2 장치는, 제 1 네트워크 사용자가 자신에 대응하는 제 1 원격 식별(remote identification)에 기초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를 요청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WO 03/009536A1은, 민감한 저작물을 보호하고 미디어 생성자 및 분배자에 의해 지시된 저작권 및 사용 규칙들이 준수되는 것을 보장하는 저장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모듈은 사업 규칙들 및 DRM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셋 톱 박스 형태의 저장 관리 모듈은 디지털 콘텐츠를 획득 및 저장하도록 구현된다.
WO 03/009536 A1이 지닌 문제는 저장 관리 모듈의 사용과 연관된 비융통성인데, 그 이유는 네트워크 내의 홈 미디어 장치들에 콘텐츠의 모든 분배가 모듈에 의해 관리되고 이 모듈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전형적으로, 콘텐츠는 또한 모듈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입력되고 이 모듈을 다른 네트워크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또 다른 문제는, 홈 미디어 장치들에 의해 액세스될 콘텐츠가 전형적으로 모듈 상에 저장되고 무선 주파수를 통해서 상기 모듈에 접속될 수 있고 홈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수의 홈 미디어 장치들 상에 저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장치가 콘텐츠에 액세스하길 원할 때, 콘텐츠는 모듈로부터 검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의 관심사항의 문제들은, 디지털 콘텐츠 및 연관된 디지털 권리들의 관리가 장치 관리기 또는 저장 관리 모듈과 같은 장치 주위에 구축된다는 점에 관계된다. 이들 장치들은 전형적으로 고정되어 융통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문제는, 이들 고정된 장치들이 네트워크 관리기들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도메인들/네트워크들이 손쉽게 변경되거나 재구성될 수 없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AD의 크기는 AD에 입력되는 모든 콘텐츠에 대해서 고정되는데, 그 이유는 장치 관리기/저장 관리 모듈에 의해 중앙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문제들을 해결하고 네트워크에 포함된 장치들 중 디지털 콘텐츠 및 관련된 디지털 권리들의 부드럽고 유연한 분배 및 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장치들 또는 이들 장치들의 사용자들에 관련되지 않는 디지털 권리들을 분배 및 관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은 AD의 크기가 상이한 콘텐츠에 대해서 상이하게 되도록 하는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은 청구항 1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권리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청구항 12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을 따르면, 콘텐츠와 연관된 마스터 권리가 제 1 인증된 장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마스터 권리는 제 1 인증된 장치가 연관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유형을 제어한다. 다음에, 부권리(subright)는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되며,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가 연관된 콘텐츠에 주어진 액세스 유형을 제어한다. 그 후, 제 2 장치가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에 따르면,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에 분배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을 따르면, 제 1 및 제 2 인증된 장치 및 콘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마스터 권리를 갖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 2 장치가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에 따르면 이 제 1 인증된 장치는 콘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마스터 권리를 저장하며, 이 마스터 권리로부터 부권리를 유도하고 이 부권리를 제 2 인증된 장치로 분배한다. 게다가, 제 1 인증된 장치는 연관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유형을 제어하고,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가 연관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유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우선 콘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마스터 권리가 제 1 인증된 장치에 저장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장치의 사용자는 콘텐츠 제공자의 사이트에 로그온한다. 사용자의 신용 카드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권리를, 예를 들어, 노래 형태의 콘텐츠에 액세스할 권리를 구매하여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인 장치로 디지털 권리를 다운로딩한다. 임의 유형들의 액세스들 예를 들어 "플레이", "복제", "CD-R 굽기", "전송", "다운로드" 등이 존재한다. 오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전형적인 디지털 권리는 "무제한 플레이"이고, 이하에서, 이는 논의될 액세스 유형이다.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사용자는 플레이 무제한 권리가 관련되는 실제 노래를 다운로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미 가능한 또 다른 사이트로부터 자신의 플레이어로 이 노래를 다운로딩할 수 있거나, 이 노래는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어떤 다른 유형의 장치상에 존재할 수 있다. 실제 상품 그 자체는 콘텐츠가 아니라, 이에 액세스할 디지털 권리이다. 인증된 장치는 신뢰할 수 있고 콘텐츠 소유자들에 의해 규정되는 연관된 권리들에 따라서 콘텐츠를 갖는 액션들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인증된 장치들은 콘텐츠 아이템에 결합되는 권리들을 행사하고, 채용된 기반 DRM 시스템의 보안 작업들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디지털 권리를 오디오 플레이어로 다운로딩할 때, 콘텐츠 제공자는 암호 동작들에 의해 플레이어를 인증하여 이 플레이어가 순응한다는 것을, 즉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그 후, 부권리는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되며,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가 연관된 콘텐츠에 주어진 액세스 유형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임의 다른 인증된 장치상에서, 예를 들어 자신의 스테레오 장비 상에서 이 노래를 플레이할 수 있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이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 권리가 사용자의 소유 또는 가능한 사용자의 가족 구성원 내에서 머물기 때문이다. 그 후, 마스터 권리로부터 "플레이 무제한" 부권리를 유도할 수 있다. 부권리의 실제 유도는 임의의 인증된 장치에서 행해질 수 있는데, 이때, 이 장치는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거나 부권리를 유도하는 권리를 지닌 장치에 의해 요청된다. 지금부터, 마스터 권리를 현재 유지하는 인증된 장치를 "제 1 인증된 장치"라 칭할 것이다. 이 콘텐츠는 제 1 장치에서 복제되고 제 2 장치로 분배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콘텐츠의 분배는 많은 다른 방법들로 실행될 수 있다. 가능하다면, 제 2 장치는 콘텐츠 복제를 사전에 저장한다.
최종적으로, 제 2 장치가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에 따르면,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 즉 고정식 스테레오 장비로 분배된다. 이들 분배 기준은 다수의 다양한 방법들로 공식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권리는 이 콘텐츠가 액세스될 수 있는 장치들의 유형, 콘텐츠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는 장치들의 수, 콘텐츠가 액세스되는 시간 기간, 미리 결정된 최대 거리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 등을 설명한다. 부권리를 분배하는 이 장치는 부권리를 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인증 동작을 수행하여, 제 2 장치가 신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및 관련된 디지털 권리들이 분배될 수 있는 도메인이 종래 기술에서처럼 장치 관리기 또는 저장 관리 모듈과 같은 장치 주위에 구축되지 않기 때문에, 유용하다. 첫 번째, 장치 관리기 또는 저장 관리 모듈과 같은 장치들은 전형적으로 고정되어 융통성이 없는 장치들이다. 두 번째, 콘텐츠는 전형적으로 이들 고정된 장치들 상에 저장되고, 본 발명에서처럼, 다수의 장치들 상에 제공되지 않는다. 세 번째, 도메인은 이들 고정된 장치들을 사용하여 변경될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 도메인은 마스터 권리(또는 마스터 권리들)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도메인이 마스터 권리 및 연관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음으로 매 콘텐츠 아이템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마스터 권리는 손쉽게 "소유주 바뀜(change hands)"을 할 수 있고 하나의 인증된 장치로부터 또 다른 장치로 이동될 수 있는데, 여기서 도메인은 계속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마스터 권리 자체는 분배를 위한 도메인뿐만 아니라 부권리들을 분배하기 위한 조건들을 설정한다. 이는 융통성을 네트워크에 부여하는데, 그 이유는 마스터 권리가 인증된 장치들 간에서 손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생성된 도메인이 마스터 권리를 현재 유지하는 장치와 관련하여 마스터 권리 자체에 의해 관리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제 1 인증된 장치 및 제 2 인증된 장치 간의 거리가 최대 분배 거리보다 작다는 것이다. 인증된 측정은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제 1 장치 및 부권리가 분배되는 제 2 장치 간의 거리로 수행될 것이다. 최대 분배 거리는 콘텐츠 제공자 및 사용자에 의해 동의되어야 한다. 전형적인 최대 분배 거리는 100m일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디지털 권리 분배가 발생될 수 있는 도메인의 물리적 범위,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또는 인증된 도메인이 미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마스터 권리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이웃을 방문하여 홈 네트워크를 떠나고, 이웃까지의 거리가 최대 분배 거리보다 작다면 나중의 부권리가 분배될 수 있는 오디오 플레이어로 사용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부권리가 분배될 때, 사용자는 자신의 이웃의 집에서 사용자의 오디오 플레이어 상의 연관된 콘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인증된 장치가 부권리 및 연관된 콘텐츠에 액세스하길 원할 때,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제 1 장치 및 부권리를 유지하는 제 2 장치 간의 거리의 인증된 측정이 수행될 것이다. 2개의 장치들 간의 거리가 최대 액세스 거리보다 작다면, 제 2 장치는 부권리 및 연관된 콘텐츠에 액세스를 제공받을 것이다. 최대 액세스 거리는 콘텐츠 제공자 및 사용자에 의해 동의되어야 한다. 전형적인 최대 액세스 거리는 100m일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제 2 장치가 부권리를 제공받는 경우조차도 이 장치가 비제한적으로 이동될 수 없고 여전히 부권리 및 연관된 콘텐츠를 실행(exercise)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사용자가 오디오 장치를 제 1 이웃으로 이동시키고 부권리가 오디오 플레이어에 분배되거나 미리 분배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제 1 이웃을 떠나서 오디오 장치를 제 2 이웃으로 이동시키고 여전히 부권리를 행사하는 것을 반드시 할 필요는 없는데, 이 제 2 이웃은 제 1 이웃보다 제 1 장치로부터 더 큰 거리상에 위치된다. 거리가 최대 액세스 거리를 초과하면, 이 부권리는 콘텐츠으로의 제 2 장치 액세스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 부권리들은 마스터 권리가 네트워크를 나갈 때 무효로(revoke)될 것이다. 마스터 권리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들로 네트워크를 나간다. 예를 들어,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장치는 마스터 권리를 단지 폐기 또는 삭제할 수 있음으로, 그에 따라 마스터 권리가 네트워크에서 나가는 것이라 칭할 수 있다. 마스터 권리가 네트워크를 나가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은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장치가 AD의 부분이 아닌 또 다른 인증된 장치로 이를 전달하는 것이지만, 이 장치는 또 다른 AD에 속한다. 상기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되는 부권리들을 유지하는 이 장치들은 인증된 장치에 의해 인증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는 동일한 AD의 부분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해당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되는 부권리들을 유지하는 장치들 또는 이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가 마스터 권리가 전달되는 장치에 순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이들 장치들이 인증 절차를 통과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효화(revocation)를 수행하는 방법은 제 1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 부권리를 갖는 모든 장치들에 제 1 장치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부권리들을 무효화하는 것이다. 그 후, 제 1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마스터 권리를 디스패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인증된 도메인에서 허용되는 인증된 장치들 또는 사람들의 수가 최대 도메인 참가자 수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이다. 최대 도메인 참가자 수는 콘텐츠 제공자 및 사용자에 의해 동의되어야 한다. 전형적인 최대 도메인 참가자 수는 10 개의 장치들 또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인증된 도메인의 실제 크기를 제어하는 것이 다소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콘텐츠 제공자가 도메인에서 가능한 참가자들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제공자가 미리 결정된 콘텐츠의 복제들의 수(또는 실제로 콘텐츠를 렌더링하는 권리들)를 제어하길 원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품질 파라미터는 부권리에서 설정되는데, 이 파라미터는 상기 연관된 콘텐츠를 제 2 인증된 장치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는 품질을 결정한다. 사용자는 콘텐츠 및 관련된 부권리들을 공유할 수 있는데, 이는 콘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는 품질을 결정하는데, 다른 사용자들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 또는 PAN에 포함된다. PAN은 AD의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콘텐츠가 분배될 수 있지만 다른 부권리들이 상이한 콘텐츠 품질들을 위하여 유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저품질 렌더링은 통상적으로 더 많은 잡음 또는 단축된 버전의 콘텐츠를 지닌 렌더링을 의미한다. 이는 재분배(superdistribution)에 관한 특징이고, 사용자들이 콘텐츠 제공자에 요금을 지불하면, 이 콘텐츠는 전체-품질 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마스터 권리가 발생되는 다음 결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들을 따르면, 제 2 인증된 장치가 부권리에 의해 주어진 연관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유형의 제어 및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된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에 적합한데, 그 이유는 액세스 및 분배 기준이 이 제공자에 의해 설정되어 결국 이 제공자가 마스터 권리가 분배되는 장치를 상기와 같은 정도로 신뢰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제 2 인증된 장치가 부권리에 의해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제공되는 액세스 유형의 제어 및 이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제 1 인증된 장치에 의해 설정된다. 이는 콘텐츠 소비자에게 적합한데, 그 이유는 소비자에게 콘텐츠 및 권리들을 취급하고 분배하는 더 큰 자유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DRM은 때때로 콘텐츠 소비자들에게 제한으로서 경험하게 된다. 콘텐츠 소비자들이 DRM을 수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같은 툴들(tools)은 DRM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때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부드럽게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인증된 장치는 제 1 인증된 장치와 접촉하여만 하는데, 이는 부권리를 행사하기 전 마스터 권리를 저장하는 제 1 인증된 장치와 접촉하여야 한다. 이는 본 발명의 보안성을 높이는 엄격한 기준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하의 설명을 연구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결합하여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접속된 장치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액세스 기준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가 도메인을 나갈 때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 부권리들의 무효화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110)를 통해서 상호접속된 장치들(101-105)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100)을 개요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 시스템(100)은 가정내 네트워크이다. 전형적인 디지털 홈 네트워크는 다수의 장치들,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 튜너/디코더, CD 플레이어, 한 쌍의 스피커들, 텔레비젼, VCR, 테이프 덱 등을 포함한다. 이들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장치, 예를 들어 텔레비젼을 또 다른 장치, 예를 들어, VCR을 제어하도록 상호접속된다. 예를 들어, 튜너/디코더 또는 셋톱 박스(STB)와 같은 하나의 장치는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중앙 장치이다.
전형적으로 음악, 노래들, 영화들, TV 프로그램들, 픽쳐들, 책들 등과 같은 것들을 포함하지만 또한 대화식 서비스들 및 게임들과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는 상주 게이트웨어(residential gateway) 또는 셋 톱 박스(101)를 통해서 수신된다. 콘텐츠는 또한, 디스크들과 같은 저장 매체와 같은 다른 소스들을 통해서 또는 휴대용 장치를 사용하여 홈에 입력할 수 있다. 이 소스는 광대역 케이블 네트워크, 인터넷 접속, 위성 다운링크 등에 접속될 수 있다. 그 후, 이 콘텐츠는 네트워크(110)를 통해서 렌더링하기 위한 싱크에 전달될 수 있다. 싱크는 예를 들어 텔레비젼 디스플레이(102),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103), 이동 전화(104) 및/또는 오디오 재생 장치(105)일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을 렌더링하는 정확한 방법은 장치 유형 및 콘텐츠 유형을 따른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에서, 렌더링은 오디오 신호들을 발생시켜 이들을 확성기들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텔레비젼 수신기에 대해서, 렌더링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발생시켜 이들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확성기들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유형들의 콘텐츠에 대해서, 유사한 적절한 액션이 취해져야만 한다. 렌더링은 수신된 신호를 해독 또는 디스크램블링,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 동기화 등등과 같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 내의 셋 톱 박스(101) 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는 적절하게 큰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106)를 포함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기록 및 후에 재생하도록 한다. 저장 매체(106)는 일종의 개인용 디지털 레코더(PDR)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셋 톱 박스(101)가 접속되는 DVD+RW 레코더일 수 있다. 콘텐츠는 또한 시스템(100)에 입력되어 컴퓨터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와 같은 캐리어(120)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103) 및 이동 전화(104)는 기지국(111)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블루투쓰 또는 IEEE 802.11b를 사용하여 네트워크(110)에 무선으로 접속된다. 다른 장치들은 종래의 유선 접속을 사용하여 접속된다. 이 장치들(101-105)이 상호작용하도록, 여러 호환성 표준들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여러 장치들이 메시지 및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고 서로를 제어하도록 하게 한다. 한 가지 널리 공지된 표준은 유니버셜 플러그 앤 플레이(UPnP) 표준이다. 다른 널리 공지된 표준들은 도메스틱 디지털 버스(D2B) 표준, IEC(1030)에 서술된 통신 프로토콜 및 유니버셜 플러그 앤 플레이이다.
홈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101-105)은 콘텐츠의 인증되지 않은 복제들을 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행하기 위하여, DRM 시스템과 같은 보안 프레임워크가 필요로 된다. 보안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 가정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들은 구현방식 요건들에 따라서 이와 같이 행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이들 장치들은 서로 인증할 수 있고 콘텐츠를 안전하게 분배한다.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는 보안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이는 보호되지 않은 콘텐츠가 인증되지 않은 장치들로 "인 더 클리어(in the clear)"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뢰받지 않은 장치들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가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장치들이 순응하며 및/또는 동일한 AD에 속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미리 성공적으로 인증되는 다른 장치들에 상기 장치들이 단지 콘텐츠를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상대편이 악의의 장치(malicious device)를 사용하여 인증되지 않은 복제들을 행할 수 없도록 한다. 장치가 인증된 제조자에 의해 구축되면 이 장치만이 성공적으로 인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그 이유는 단지 인증된 제조자들만이 성공적인 인증을 위한 특정 비밀을 알거나 자신들의 장치들에 신뢰성 있는 제3 자에 의해 발부된 인증서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른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인증된 장치(211)에서 콘텐츠 소비자는 인터넷(231) 또는 이외 다른 어떤 적절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콘텐츠 제공자(221)의 사이트에 로그온(241)한다. 사용자의 신용 카드를 사용하여 마스터 권리("무제한 플레이")를 구매하여 예를 들어 노래 형태의 연관된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이 디지털 마스터 권리를 다운로딩하여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컴퓨터, MP3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인 제 1 인증된 장치(211)에 저장한다. 콘텐츠 소비자는 또한 마스터 권리가 관련되는 실제 노래를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다운로딩할 수 있다. 용어 "인증된 장치"는, 마스터 권리를 컴퓨터로 다운로딩할 때 콘텐츠 제공자가 암호 동작들에 의해 플레이어를 인증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인증은 서술된 실시예에서 서로 통신하는 임의의 2개 이상의 장치들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라. 이는 예를 들어 식별 번호 형태 또는 암호화에 의해 또는 디지털 서명을 제공함으로써 일부 식별자 또는 인증자가 제공될 분배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인증은 전형적으로 시스템에서 보안성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정보는 인증받지 않은 제 3 자가 네트워크 상에서 도청하는 것을 방지하고 분배된 정보를 액세스하여/훔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암호화된다. 정확히 말하면, 보안 시스템에 의해 취해져야 하는 보안 조치는 보안 설비들을 구현하는 비용 및 복제된 콘텐츠의 소유자 및/또는 콘텐츠 제공자가 해를 입을 위험 또는 그 결과 간의 트레이트-오프이다.
그 후, 부권리는 제 1 인증된 장치(211)에서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다. 이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261) 예를 들어 휴대용 결합된 CD/MP3 플레이어가 연관된 콘텐츠에 제공되는 어떠한 액세스 유형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 플레이 무제한 부권리가 유도된다. 이 콘텐츠는 제 1 장치(211)에서 복제될 수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제 2 장치(261)로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 분배는 많은 다른 방 법들로 실행될 수 있다. 가능하다면, 제 2 장치는 콘텐츠 복제를 이미 저장한다.
제 2 장치가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에 따르면,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261)에 분배된다. 또 다시, 부권리를 분배하는 이 장치(211)는 부권리를 수신하는 장치(261)에 대한 인증 동작을 수행하여, 제 2 장치가 신뢰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가장 간단한 형태로, 일치될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부권리가 분배되는 장치가 신뢰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인데, 즉 제 1 장치가 제 2 장치를 인증하는 것이다.
부권리가 제 2 인증된 장치에 분배되기 복제 보호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대안적으로, 이는 적절한 방식으로 복제될 수 없는 부권리에서 규정된다. 이는, 제 2 인증 장치가 인증 절차를 통과하도록 관리되는 악의의 장치인 경우에 부권리가 많은 수 복제되어 분배될 수 없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다음에 인증된 장치들은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지 않는 장치로부터 복제 보호되는 부권리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스터 권리 그 자체는 부권리들을 분배하기 위한 조건들을 뿐만 아니라 분배를 위한 도메인을 설정한다. 마스터 권리는 하나의 인증된 장치로부터 도메인을 계속적으로 변경시키는 또 다른 장치로 손쉽게 전달되는데, 그 이유는 마스터 권리가 도메인의 "중앙"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스터 권리는 어느 장치가 대응한 콘텐츠 조각을 위한 도메인 관리기로서 작용하는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 순간에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장치는 도메인 관리기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 2 인증된 장치(261)가 부권리에 의해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제공되는 액세스 유형의 제어 및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제 1 인증된 장치(211)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인증된 장치가 부권리에 의해 연관된 콘텐츠에 제공되는 액세스 유형의 제어 및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대안적으로 서비스 제공자(221)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전자의 시나리오는 콘텐츠 소비자에 적합한데, 그 이유는 이는 소바자에게 콘텐츠 및 권리들을 취급 및 분배시에 큰 자유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후자의 시나리오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적합한데, 그 이유는 액세스 및 분배 기준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결국, 이 서비스 제공자는 마스터 권리 상기와 같은 정도로 분배되는 장치를 신뢰할 필요가 없게 한다.
본 발명의 장치들은 CPUs, ASICs 형태의 프로세싱 수단(213, 263) 또는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수단 및 상기 프로세싱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변수들을 저장하는 RAMs, ROMs, EEPROMs 등과 같은 관련된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인증된 장치(311) 및 제 2 인증된 장치(361) 간의 거리(381)가 최대 분배 거리, 즉 20m보다 작다는 것이다. 인증된 측정은 마스터 권리(312)를 유지하는 제 1 장치(311) 및 부권리(362)가 분배되는(371) 제 2 장치(361) 간의 거리(381)에 대해 수행된다.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 간의 거리가 20m 이상이면, 부권리는 분배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도메인의 크기가 마스터 권리에 의해 설정된다는 것을 매우 명확하게 한다.
인증된 측정은 여러 가지 방법들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이를 행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참조된 PHNL020681EPP에 서술되어 있다. 제 1 신호는 제 1 시간(t1)에서 제 1 통신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 제 2 장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제 1 신호를 제 1 및 제 2 장치에 의해 공유되는 어떤 비밀에 따라서 수정함으로써 제 2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후, 제 2 신호는 제 2 시간(t2)에서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장치로 전송된다. 제 1 장치는 제 2 신호가 공통 비밀에 따라서 수정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로 인해, 제 1 장치는 제 2 신호가 제 2 장치로부터 발신되고 공통 비밀을 알지 못하는 임의의 제3 통신 장치로부터 발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한다. 이 거리는 t1 및 t2 간의 시간차를 토대로 결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인증된 장치(461)가 부권리(462) 및 연관된 콘텐츠를 실행하길 원할 때, 마스터 권리(412)를 유지하는 제 1 장치(411) 및 부권리(462)를 유지하는 제 2 장치(461) 간의 거리(481)의 인증된 측정이 수행될 것이다. 2 개의 장치들 간의 거리(481)가 최대 액세스 거리, 즉 40m보다 작다면, 제 2 장치는 부권리를 행사할 것이고 액세스가 연관된 콘텐츠에 제공될 것이다. 이는 또 다시, 도메인의 크기가 마스터 권리에 의해 설정된다는 것을 명백하게 한다. 이는 또한 분배 기준이 설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세스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간결성으로 인해, 단지 하나의 "제 2 인증된 장치"가 도 2 내지 도 4에 걸쳐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 다수의 제 2 인증된 장치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 메인에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하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은 인증된 거리 측정이 수행되지만, 이때 제 2 장치가 단지 부권리를 행사함으로써 2 개의 장치들 간의 거리가 예를 들어 10m의 최대 액세스 거리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연관된 콘텐츠으로 액세스할 것이다. 이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가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PAN은 정보 기술 장치들의 상호접속으로서 규정되는데, 이 장치들은 각 개인으로부터 또는 PAN에 포함되는 중앙 장치로부터의 최대 거리, 전형적으로 중앙 장치로부터 10미터의 범위 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랩탑,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및 휴대용 프린터를 갖고 다니는 사람은 일부 무선 기술 형태를 이용하여 어떠한 플러그 없이도 이들 장치들을 상호접속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종류의 개인 영역 네트워크는 또한 유선들 없이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에 상호접속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기술들은 블루투쓰, IrDA, SWAP(공유된 무선 액세스 프로토콜) 및 OpenAir이다. PAN이 적절한 해결책인 시나리오가 후술된다.
사용자는 랩탑과 같은 휴대용 장치 상에 저장된 노래들, 영화들 또는 다른 데이터 형태의 콘텐츠를 갖는다. 이 콘텐츠는 랩탑의 하드 디스크 또는 휴대용이며 저비용의 고성능 저장 디스크인 예를 들어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된 SFFO(Small Form Factor Optical) 디스크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 휴대용 장치(SFFO)는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모터 코치의 적재칸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가방에 감춰진다. 사용자는 또한 근처에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를 갖는다.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랩탑과의 무선 접속을 통해서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랩탑으로부터의 부권리 및 콘텐츠가 이미 오디오 플레이어 상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콘텐츠의 복제를 요청할 수 있다. 오디오 플레이어가 랩탑에 의해 인증될 수 있다면, 즉,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이 일치되면, 부권리는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되고 오디오 플레이어에는 부권리가 제공된다. 이 부권리는 사용자에게 콘텐츠에 액세스할 권리를 제공한다. 가능하다면,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다소 더 엄격한데, 그 결과 부권리는 랩탑 및 오디오 플레이어 간의 거리가 최대 분배 거리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만 분배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부권리를 행사하여 연관된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하여 오디오 플레이어를 원할 때, 즉 사용자가 "플레이" 버튼을 누를 때, 플레이어(이는 부권리를 유지한다) 및 랩탑(이는 마스터 권리를 유지한다) 간의 거리의 인증된 측정이 수행된다. 2 개의 장치들 간의 거리가 예를 들어 10m의 최대 액세스 거리보다 작은 경우, 플레이어는 부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연관된 콘텐츠에 액세스한다. 이는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장치로부터 10m 범위 내의 모든 인증된 장치들, 이 경우에 랩탑은 PAN에 포함되고 콘텐츠를 렌더링하도록 행사하기 위하여 부권리들을 제공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콘텐츠 및 관련된 부권리들을 PAN에 포함되는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들에게 마스터 권리가 소정 거리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렌더링될 수 있는 저품질의 버전 또는 원래 콘텐츠의 요약된 버전과 같은 샘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광고를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허용되고 콘텐츠 생성자의 저작권을 위반하지 않아야 한다. 콘텐츠를 렌더링하는 품질은 부권리에 설정된다. 이는 동일한 콘텐츠가 분배될 수 있지만 상이한 부권리들이 상이한 콘텐츠 품질들을 위하여 유도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저품질의 렌더링은 통상적으로 더 많은 잡음의 단축된 버전의 콘텐츠를 지닌 렌더링 또는 혼합된 광고를 갖는 렌더링을 의미한다. 사용자들이 콘텐츠 제공자에게 요금을 지불하면, 이 콘텐츠는 매우 낮은 대역폭 접속을 사용하여 전체-품질 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에서, 마스터 권리(512)가 도메인(501)을 나갈 때(571), 마스터(512)로부터 유도되는 부권리들(522, 532, 542, 552, 562)이 무효로(581)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 언급된 바와 같이, 마스터 권리는 많은 다양한 방법들로 도메인을 나간다.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이 장치는 마스터 권리를 폐기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마스터 권리를 유지하는 장치는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 부권리들을 유지하는 장치들을 인증하는 또 다른 인증된 장치를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되는 부권리들을 유지하는 장치들이 마스터 권리가 전달되는 장치와 일치하지 않거나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안한다. 무효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되는 부권리를 갖는 모든 장치들(521, 531, 541, 551, 561)에 제 1 장치(511)가 접촉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각 장치로부터 이들을 제거함으로써 부권리들을 무효화한다. 그 후, 제 1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마스터 권리를 디스패치할 수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이 인증된 도메인에서 허용되는 인증된 장치들 또는 사람들의 수가 최대 도메인 참가자 수보다 작을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6개의 장치들(511, 521, 531, 541, 551, 561)은 도메인(501)에 포함된다. 최대 도메인 참가자 수가 6으로 설정된다는 가정하에서, 또 다른 장치는 부권리에 따르지 않음으로 도메인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전형적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서술되었지만, 많은 다양한 변경들, 수정들 등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서술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2)

  1.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인증된 장치에 콘텐츠와 연관된 마스터 권리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마스터 권리는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가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대해 갖는 액세스 유형을 제어하는, 상기 마스터 권리 저장 단계(251);
    상기 마스터 권리로부터 부권리(subright)를 유도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권리는 제 2 인증된 장치가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대해 주어진 액세스 유형을 제어하는, 상기 부권리 유도 단계; 및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가 상기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distribution criterion)에 따르면, 상기 부권리를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에 분배하는 단계(27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 간의 거리가 최대 액세스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에 분배되는 상기 부권리를 행사함으로써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가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 간의 거리가 최대 분배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인,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권리가 폐기될 때, 상기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 상기 부권리를 무효로 하는 단계(581)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는 인증된 도메인에 포함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마스터 권리가 상기 인증된 도메인의 부분이 아니지만 또 다른 인증된 도메인에 속하는 또 다른 인증된 장치로 전달될 때, 상기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 상기 부권리를 무효로 하는 단계(581)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 및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는 인증된 도메인(501)에 포함되고, 상기 인증된 도메인의 크기는 상기 마스터 권리에 의해 관리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권리를 저장하는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는 상기 인증된 도메인(501)을 관리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상기 인증된 도메인(501)에서 허용되는 인증된 장치들 또는 사람들의 수가 최대 도메인 참가자 수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인,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인증된 장치가 부권리에 의해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대해 주어진 액세스 유형의 제어, 및 상기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상기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서비스 제공자(221)에 의해 설정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인증된 장치가 부권리에 의해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대해 주어진 액세스 유형의 제어, 및 상기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상기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콘텐츠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부권리에서 설정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연관된 콘텐츠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는 품질을 결정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는, 상기 부권리를 행사하기 전 상기 마스터 권리를 저장하는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와 접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방법.
  12.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권리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인증된 장치;
    콘텐츠와 연관된 마스터 권리; 및
    제 2 인증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가 상기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는 콘텐츠와 연관된 상기 마스터 권리를 저장(251)하고, 상기 마스터 권리로부터 부권리를 유도하고, 상기 부권리를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에 분배(271)하고,
    상기 마스터 권리는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가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대해 갖는 액세스 유형을 제어하고, 상기 부권리는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가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대해 갖는 액세스 유형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는: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단(213, 263); 및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 간의 거리가 최대 액세스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에 분배되는 상기 부권리를 행사함으로써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에 분배되는 상기 부권리 및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 간의 거리가 최대 분배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인,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권리가 폐기될 때, 상기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 상기 부권리를 무효로 하는 수단(213, 263)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는 인증된 도메인에 포함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권리가 상기 인증된 도메인의 부분이 아니지만 또 다른 인증된 도메인에 속하는 또 다른 인증된 장치로 전달될 때, 상기 마스터 권리로부터 유도된 상기 부권리를 무효로 하는 수단(213, 263)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 및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는 인증된 도메인(501)에 포함되고, 상기 인증된 도메인의 크기는 상기 마스터 권리에 의해 관리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권리를 저장하는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는 상기 인증된 도메인(501)을 관리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상기 인증된 도메인(501)에 허용되는 인증된 장치들 또는 사람들의 수는 최대 도메인 참가자 수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인,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19.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인증된 장치가 부권리에 의해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주어진 액세스 유형의 제어, 및 상기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상기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서비스 제공자(221)에 의해 설정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20.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인증된 장치가 부권리에 의해 상기 연관된 콘텐츠에 주어진 액세스 유형의 제어, 및 상기 마스터 권리와 연관된 상기 미리 결정된 분배 기준은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21.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콘텐츠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부권리에서 설정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연관된 콘텐츠가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는 품질을 결정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22.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된 장치는, 상기 부권리를 행사하기 전 상기 마스터 권리를 저장하는 상기 제 1 인증된 장치에 접촉하는 수단(263)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수행 시스템.
KR1020067010830A 2003-12-04 2004-11-19 접속 링크된 권리들 보호 KR101106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4544.6 2003-12-04
EP03104544 2003-12-04
PCT/IB2004/052484 WO2005055022A1 (en) 2003-12-04 2004-11-19 Connection linked rights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829A KR20060116829A (ko) 2006-11-15
KR101106687B1 true KR101106687B1 (ko) 2012-01-18

Family

ID=3463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830A KR101106687B1 (ko) 2003-12-04 2004-11-19 접속 링크된 권리들 보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27903B2 (ko)
EP (2) EP1692587A1 (ko)
JP (1) JP4734257B2 (ko)
KR (1) KR101106687B1 (ko)
CN (1) CN1890618B (ko)
ES (1) ES2534831T3 (ko)
WO (1) WO2005055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20304A1 (en) * 2003-12-19 2008-12-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 N.V. Method of Accessing Data Content in Storage Devices
US20050201726A1 (en) * 2004-03-15 2005-09-15 Kaleidescape Remote playback of ingested media content
US20100071070A1 (en) * 2005-01-07 2010-03-18 Amandeep Jawa Managing Sharing of Media Content From a Server Computer to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Client Computers Across the Computer Network
US20090217036A1 (en) * 2005-05-04 2009-08-27 Vodafone Group Plc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365218B2 (en) 2005-06-24 2013-01-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ed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US8635659B2 (en) * 2005-06-24 2014-01-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dio receiver modular card and method thereof
CN1322388C (zh) * 2005-08-15 2007-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对具有拷贝导出权限的版权进行限制的方法及装置
JP5020566B2 (ja) * 2005-09-01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ファイル操作の制限方法
KR20070032570A (ko) * 2005-09-16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접속방법 및 그 시스템
EP1938237B1 (en) 2005-09-30 2018-12-12 Koninklijke Philips N.V. Improved drm system
KR100856404B1 (ko) 2006-01-03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23260B1 (ko) * 2006-01-19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메인에 가입하지 않은 기기로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91289B1 (ko) * 2006-01-31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컨텐츠를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7091189A2 (en) * 2006-02-06 2007-08-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led derivative rights on the digital content
KR100791291B1 (ko) * 2006-02-1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서 drm 컨텐츠를 로밍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장치
KR101210341B1 (ko) * 2006-02-11 2012-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네트워크에서 노드간 전파 지연 및 거리를 정확하고안전하게 측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패킷네트워크 노드
KR100703805B1 (ko) * 2006-02-15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도메인의 디바이스에서 drm 컨텐츠를 로밍하여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70250617A1 (en) * 2006-04-21 2007-10-25 Pantech Co., Ltd. Method for managing user domain
US8671135B1 (en) * 2006-04-24 2014-03-11 Real-Time Innovations, Inc. Flexible mechanism for implementing the middleware of a data distribution system over multiple transport networks
US7827559B1 (en) 2006-04-24 2010-11-02 Real-Time Innovations, Inc. Framework for executing multiple threads and sharing resources in a multithreaded computer programming environment
KR100941535B1 (ko) * 2006-06-09 201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서 장치의 도메인 탈퇴 방법, 그 장치및 그 시스템
WO2007148212A2 (en) * 2006-06-22 2007-12-27 Nokia Corporation Enforcing geographic constraints in content distribution
US9112874B2 (en) 2006-08-21 2015-08-18 Pantech Co., Ltd. Method for import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ata for user domain
US8886568B2 (en) 2006-10-12 2014-11-11 Koninklijke Philips N.V. License specific authorized domains
US20080148363A1 (en) * 2006-12-15 2008-06-19 Nbc Universal, Inc. Digital rights management copy sharing system and method
KR20080074683A (ko) * 2007-02-09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566171B1 (ko) * 2007-03-09 2015-1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US8885832B2 (en) 2007-03-30 2014-11-11 Ricoh Company, Ltd. Secure peer-to-peer distribution of an updatable keyring
US8046328B2 (en) * 2007-03-30 2011-10-25 Ricoh Company, Ltd. Secure pre-caching through local superdistribution and key exchange
KR100888047B1 (ko) * 2007-06-13 2009-03-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에서 키분배 방법 및 시스템
JP5098771B2 (ja) * 2007-07-18 2012-12-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ドメイン登録方法
US8233432B2 (en) * 2007-08-31 2012-07-31 Silicon Image, Inc. Ensuring physical locality of entities sharing data
US9412125B2 (en) * 2007-09-12 2016-08-09 Sony Corporation Open market content distribution
US8805744B2 (en) * 2007-10-01 2014-08-12 Disney Enterprises, Inc. Podblasting-connecting a USB portable media device to a console
US8837722B2 (en) * 2007-10-16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Secure content distribution with distributed hardware
JP4919944B2 (ja) * 2007-12-10 2012-04-1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ライセンス配信システム
US8763149B1 (en) * 2008-04-30 2014-06-24 Google Inc. Site dependent embedded media playback manipulation
US8196177B2 (en) * 2008-10-16 2012-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enabled policy management for a service provider in a federated environment
GB2476487A (en) * 2009-12-23 2011-06-29 Key Criteria Technology Ltd A multi-device multimedia system
JP4764943B2 (ja) * 2009-12-29 2011-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動作制御装置、動作制御方法、ライセンス提供システム、動作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2343863A1 (en) * 2010-01-07 2011-07-1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related aspects
WO2012054903A2 (en) 2010-10-21 2012-04-26 Rimage Corporation Content distribution and aggregation
WO2012088633A1 (en) * 2010-12-30 2012-07-05 Technicolor (China) Technology Co., Ltd. Video receiving device and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5301011B1 (ja) * 2012-05-23 2013-09-25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CN103024475B (zh) * 2012-12-21 2016-08-24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电视节目的录制及授权播放方法及系统
WO2014136480A1 (ja) * 2013-03-08 2014-09-1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US9112849B1 (en) * 2014-12-31 2015-08-18 Spotify Ab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creation of hotspots for media contr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7912A1 (en) * 2003-04-15 2005-01-27 Alain Azoulay Dual-access monopole antenna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438A (ja) * 1994-11-23 1996-10-11 Xerox Corp ディジタルワークの配給及び使用制御システム並びにディジタルワークへのアクセス制御方法
ATE419586T1 (de) 1995-02-13 2009-01-15 Intertrust Tech Corp Systeme und verfahren zur gesicherten transaktionsverwaltung und elektronischem rechtsschutz
JP3552807B2 (ja) * 1995-09-14 2004-08-11 株式会社東芝 情報機器及び情報提供方法
JPH09160899A (ja) * 1995-12-06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サービス処理装置
US20010021950A1 (en) * 1998-07-10 2001-09-13 Michael Hawle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computer network using tangible media
WO2001054091A2 (en) * 2000-01-19 2001-07-26 Cyberlocato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taxation of gaming and other activities over a communitations network
JP2001344369A (ja) * 2000-03-30 2001-12-14 Sharp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コンテンツ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US7010808B1 (en) * 2000-08-25 2006-03-07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digital content to a portable storag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US20020157002A1 (en) * 2001-04-18 2002-10-24 Messerges Thomas S.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nd convenient management of digital electronic content
JP4177040B2 (ja) * 2001-07-17 200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利用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ライセンス情報取得方法
US7574723B2 (en) 2001-07-19 2009-08-11 Macrovision Corporation Home media network
US7487363B2 (en) * 2001-10-18 2009-02-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copying and moving of content between devices and domains based on conditional encryption of content key depending on usage
JP4177073B2 (ja) * 2001-10-19 200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機器認証システムおよび機器認証方法
EP1510071B1 (en) * 2002-05-22 2019-05-15 Koninklijke Philips N.V.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TE385605T1 (de) * 2002-08-29 2008-0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intrittspunkt für daten der digitalen rechteverwaltung
US20040088541A1 (en) * 2002-11-01 2004-05-06 Thomas Messerges Digital-rights management system
US7899187B2 (en) * 2002-11-27 2011-03-01 Motorola Mobility, Inc. Domain-based digital-rights management system with easy and secure device enrollment
NZ544910A (en) * 2003-07-24 2007-06-29 Konink Philips Electronics N Hybrid device and person based authorized domain architecture
US20050071663A1 (en) * 2003-09-26 2005-03-3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eparation of copy protection rul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7620362B2 (en) * 2003-12-04 2009-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access to wirelessly broadcast electronic works during playback
US7512987B2 (en) * 2004-12-03 2009-03-31 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 Adaptive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plural device domai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7912A1 (en) * 2003-04-15 2005-01-27 Alain Azoulay Dual-access monopole antenna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34257B2 (ja) 2011-07-27
KR20060116829A (ko) 2006-11-15
ES2534831T3 (es) 2015-04-29
US20070162979A1 (en) 2007-07-12
US7627903B2 (en) 2009-12-01
EP1692587A1 (en) 2006-08-23
EP2284645A1 (en) 2011-02-16
CN1890618B (zh) 2011-08-03
EP2284645B1 (en) 2015-02-25
JP2007519090A (ja) 2007-07-12
CN1890618A (zh) 2007-01-03
WO2005055022A1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687B1 (ko) 접속 링크된 권리들 보호
EP1510071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1242660B1 (ko) 도메인으로의 개선된 액세스
US10528704B2 (en) Divided rights in authorized domain
CN100474921C (zh) 内容的输入控制的方法和设备
CA2550768C (en) Hybrid device and person based authorized domain architecture
KR101537527B1 (ko) 도메인에 대한 개선된 액세스
JP5149385B2 (ja) コンテンツ共有方法
US20080195548A1 (en) License Data Structure and License Issuing Method
KR20040104642A (ko) 제한을 가진 조건적 액세스를 위한 보안 모듈들
JP2007528658A (ja) 改良されたドメインマネージャ及びドメイン装置
WO2006051494A1 (en) Improved revocation in authorized domain
KR100999829B1 (ko) 디바이스들 사이의 클래스-기반 콘텐트 전달
WO2007085989A2 (en) Improved certificate chain validation
KR20070022019A (ko) 개선된 도메인 매니저 및 도메인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