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961B1 - 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 Google Patents

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961B1
KR101103961B1 KR1020100060204A KR20100060204A KR101103961B1 KR 101103961 B1 KR101103961 B1 KR 101103961B1 KR 1020100060204 A KR1020100060204 A KR 1020100060204A KR 20100060204 A KR20100060204 A KR 20100060204A KR 101103961 B1 KR101103961 B1 KR 101103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data
recovery
input
detection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40029A (en
Inventor
백광현
여홍창
정재훈
이희진
서인식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961B1/en
Publication of KR2011014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40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9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0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a recovery circuit for the referenc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2Construction using optical delay lines or optical buffers or optical re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데이터 복원기는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엣지 검출 펄스를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로 분리하는 개폐 회로; 상기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제1 개폐 발진기(Gated Voltage Control Oscillator: GVCO); 상기 입력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 및 상기 지연 회로를 통해 지연된 데이터를 상기 복원 클럭의 상향 엣지 및 하양 엣지를 모두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제1 및 제2 데이터로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프레이트로 복원기의 개폐회로가 동작하면서도 풀 레이트와 동일한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half rate burst mode clock data decompressor. A clock data de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lf-rate burst mode clock data decompressor including a reference phase locked loop, the clock data decompressor comprising: an open / close circuit separating an edge detection pulse generated through input data into a set signal and a reset signal; A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GVCO) for outputting a recovery clock using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A delay circuit for delaying the input data; And a data recovery unit for restoring the data delayed through the delay circuit to first and second data having different phases by using both an up edge and a down edge of the recovery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half-rate operation of the switch circuit of the restorer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same performance as the full rate.

Description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본 발명은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프 레이트에서도 풀 레이트 동작과 동일한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lf rate burst mode clock data de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ck data decompressor capable of guaranteeing the same performance as a full rate operation even at a half rate.

최근 인터넷이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에서 네트워크 공급자들은 끊임없이 네트워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With the recent Internet becoming an indispensable element in our lives, network providers are constantly striv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networks.

근래에는 네트워크 가입자들을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방식이 광대역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이며, 광케이블 네트워크에서 중계기를 수동소자로 사용하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이 높은 신뢰성과 저비용 구조가 가능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the method of connecting network subscribers with optical cables is generally adopted in that it can accommodate broadband services. The PON (Passive Optical Network) method using a repeater as a passive element in an optical cable network has high reliability and low cost. It is getting a spotlight because of its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PON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PON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N 시스템에서 공급자(Optical Line Terminal: OLT, 100)와 수동 광중계소자(passive optical splitter, 102)까지 하나의 광케이블로 연결되고, 수동 광중계소자(102)에서 각 가입자(Optical Network Unit: ONU, 104-1 내지 104-3)까지 개별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 in an PON system, an optical cable is connected to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100 and a passive optical splitter 102 in a PON system, and each of the passive optical repeaters 102 is connected to one optical cable. Optical network units (ONUs) 104-1 to 104-3 are connected via individual optical cables.

여기서, OLT(100)에서 ONU(104)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하향링크(downstream link)라 하며, 반대방향으로의 전송을 상향링크(upstream link)라 한다. Here, th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OLT 100 to the ONU 104 is called a downlink, and the transmiss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called an uplink.

이때,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는 파장이 서로 다른 빛을 사용하여 하나의 광케이블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파장분할다중화(WD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이라 한다. In this case, the downlink and the uplink may be implemented as one optical cable using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and this method is calle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N).

한편, 시분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하향링크에 있어서, OLT(100)는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복수의 ONU(104-1 내지 104-3)로 전송하고, 각 ONU(104-1 내지 104-3)는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에 도착하는 데이터만을 취할 수 있다. 상향링크에 있어서, 각 ONU(104-1 내지 104-3)에 상응하는 시간 슬롯이 할당되며, 각 ONU(104-1 내지 104-3)는 자신에 할당된 시간 슬롯에서 OLT(100)측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time division scheme may be used, and in downlink, the OLT 100 transmits data to a plurality of ONUs 104-1 to 104-3 collectively, and each ONUs 104-1 to 104-3. ) Can only take data that arrives at its assigned time. In the uplink, time slots corresponding to each ONU 104-1 to 104-3 are allocated, and each ONU 104-1 to 104-3 is assigned to the OLT 100 side in the time slot assigned thereto. Can send data

하향링크에서는 OLT(100)에서 한번에 복수의 ONU(104)로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상향링크에서는 각 ONU(104-1 내지 104-3)가 할당된 시간에 보내는 데이터를 하나의 OLT(100)에서 수신해야 한다. 그러나 경로 중간에 수동광중계소자(102)로부터 각 ONU(104)까지의 채널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OLT(100)가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나 타이밍 정보는 시간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이렇게 매번 변화하는 데이터 특성에 하나의 수신기가 따라가야 하므로, 상향링크는 버스트 모드(Burst Mode: BM)로 동작하게 된다.In the downlink, the OLT 100 transmits data to a plurality of ONUs 104 at a time. In the uplink, one OLT 100 transmits data to each ONU 104-1 to 104-3 at an allocated time. Should be received. However, since the channels from the passive optical relay device 102 to each ONU 104 are different in the middle of the path, the size and timing information of the data received by the OLT 100 are different depending on time. Since one receiver has to follow the data characteristics that change every time, the uplink operates in burst mode (BM).

상기와 같은 PON 시스템에서는 트리 구조에 기인하여 상향링크 시 버스트 모드의 광패킷(optical packet)을 사용하게 되는데, OLT(100)에는 패킷과 패킷간의 위상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BM-CDR)가 요구된다. In the PON system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tree structure, an optical packet of a burst mode is used during uplink, and the OLT 100 includes a burst mode clock data decompressor to compensate for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packet and the packet.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BM-CDR) is required.

종래의 BM-CDR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tched gated oscillator를 사용한 구조 또는 도 3과 같이 개폐 회로(Gating Circuit)을 사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M. Banu, “Clock Recovery Circuits with Instantaneous Locking,” ELECTRONICS LETTERS 5th vol.28 No.23, Nov 2008). The conventional BM-CDR includes a structure using a matched gated oscillator as shown in FIG. 2 or a structure using a gating circuit as shown in FIG. 3 (M. Banu, “Clock Recovery Circuits with Instantaneous Locking, ”ELECTRONICS LETTERS 5th vol. 28 No. 23, Nov 2008).

여기서, 개폐 회로를 사용하는 구조는 개폐 발진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BM-CDR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구조이다. Here, the structure using the switching circuit can reduce the number of the switching oscillator is a structure generally employed in the BM-CDR.

일반적으로 종래의 BM-CDR은 풀 레이트(Full rate)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풀 레이트 구조의 CDR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N bps)와 같은 주파수(N Hz)로 동작하여야 하는 개폐 회로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데이터 복원부 및 출력단 또한 N Hz의 동작 속도를 가져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BM-CDR has a full rate structure. In a full-rate CDR, an open / close circuit that must operate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input data rate (N bp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ta recovery unit and the output terminal must also have an operating speed of N Hz.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프 레이트로 동작하더라도 풀 레이트와 동일한 성능이 보장될 수 있는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half rate burst mode clock data restorer capable of guaranteeing the same performance as a full rate even when operating at half r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엣지 검출 펄스를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로 분리하는 개폐 회로; 상기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제1 개폐 발진기(Gated Voltage Control Oscillator: GVCO); 상기 입력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 및 상기 지연 회로를 통해 지연된 데이터를 상기 복원 클럭의 상향 엣지 및 하양 엣지를 모두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제1 및 제2 데이터로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half-rate burst mode clock data restorer including a reference phase locked loop, the edge detection pulse generated through the input data as a set signal and a reset signal; Separate switching circuit; A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GVCO) for outputting a recovery clock using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A delay circuit for delaying the input data; And a data recovery unit for restoring the data delayed through the delay circuit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having different phases using both the up edge and the down edge of the recovery clock.

상기 개폐 회로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반주기 지연시키는 반주기 지연 셀; 상기 입력 데이터와 상기 반주기 지연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엣지 검출 펄스를 생성하는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 및 상기 제1 개폐 발진기로부터 입력된 GVCO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엣지 검출 펄스를 상기 셋 신호 및 상기 리셋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witching circuit may include: a half cycle delay cell that delays the input data by a half cycle; An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edge detection pulse using the input data and the half cycle delayed data; And a signal separator configured to separate the edge detection pulse into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using a GVCO clock input from the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상기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는 배타적논리합 게이트 또는 논리곱 게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n exclusive logic gate or an AND gate.

상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엣지 검출 펄스 및 상기 GVCO 클럭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셋 신호를 출력하는 셋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엣지 검출 펄스 및 상기 GVCO 클럭의 반전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The signal separator may include: a set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set signal by input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and the GVCO clock; And a reset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reset signal by input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and the inverted signal of the GVCO clock.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개폐 발진기는, 하나 이상의 지연 셀; 및 상기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복원 클럭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 클럭 출력부는 셋 신호 입력단, 리셋 신호 입력단 및 상기 지연 셀로부터 클럭이 입력되는 클럭 입력단을 포함하는 차동 회로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oscillator, at least one delay cell; And a recovery clock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recovery clock, wherein the recovery clock output unit may be a differential circuit including a set signal input terminal, a reset signal input terminal, and a clock input terminal to which a clock is input from the delay cell.

상기 복원 클럭 출력부는 상기 클럭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클럭의 상태에 따라 상기 셋 신호 입력단 및 리셋 신호 입력단 중 하나를 사용하여 복원 클럭을 출력한다. The recovery clock output unit outputs a recovery clock using one of the set signal input terminal and the reset signal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lock input through the clock input terminal.

상기 GVCO 클럭은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연 셀 중 하나의 출력이다. The GVCO clock is the output of one of the one or more delay cells.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상기 지연 회로를 통해 지연된 데이터 중 상기 복원 클럭의 상향 엣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D-플립플롭; 및 상기 지연 회로를 통해 지연된 데이터 중 상기 복원 클럭의 하향 엣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D-플립플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recovery unit may include: a first D-flip-flop configured to output data input from an upper edge of the recovery clock among data delayed through the delay circuit; And a second D-flip-flop that outputs data input at a downward edge of the recovery clock among the data delayed through the delay circu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엣지 검출 펄스를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로 분리하는 개폐 회로 및 상기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제1 개폐 발진기를 구비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 코어; 및 상기 제1 개폐 발진기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하는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lf-rate burst mode clock data restorer, an open / close circuit for separating an edge detection pulse generated through input data into a set signal and a reset signal, and a recovery clock using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A clock data recovery core having a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for outputting the signal; And a reference phase locked loop allowing the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to operate at a preset frequency.

본 발명에 따르면, 셋/리셋 개념을 이용하기 때문에 클럭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하프 레이트로 동작하면서도 풀 레이트와 동일한 BER(Bit Error Rate) 및 CID Consecutive Identical Digit)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set / reset has an advantage of guaranteeing the same bit error rate (BER) and CID Consecutive Identical Digit (BER) performance as the full rate while operating at half rate for clock data recovery.

도 1은 일반적인 PON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종래의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회로(402)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입력 데이터 및 지연 셀과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된 펄스의 타이밍도.
도 7은 종래의 풀 레이트에서 동작하는 개폐 회로를 하프 레이트로 동작시켰을 경우에 나타나는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셋/리셋 스위칭 개념을 적용한 개폐 회로 및 GVCO 구조를 사용한 경우의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 클럭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한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PON system.
2 to 3 show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urst mode clock data decompressor.
4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half rate burst mode clock data decompresso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circuit 4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iming diagram of pulses output through input data and delay cells and edge detection pulse outputs, respectively;
Fig. 7 is a timing diagram shown when a conventional open / close circuit operating at full rate is operated at half rate.
8 is a timing diagram in the case of using an open / close circuit and a GVCO structure to which the set / reset switching conce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covery clock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llustrate examples of recovering clock and data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half rate burst mode clock data recover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럭 데이터 복원기는 클럭 데이터 복원 코어(400, 이하, ‘CDR 코어’라 함) 및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4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lock data restor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lock data recovery core 4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DR core') and a reference phase locked loop 420.

CDR 코어(400)는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420)에 의해 고정된 주파수를 갖는 복원 클럭(recovered clock)을 생성하며, 생성된 복원 클럭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복원한다.The CDR core 400 generates a recovered clock having a fixed frequency by the reference phase locked loop 420 and recovers input data using the generated recovered cloc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럭 데이터 복원기는 하프 레이트(half rate), 즉 입력 데이터 레이트(input data rate, N bps)의 반에 해당하는 주파수(N/2 Hz)로 동작하면서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ck data decompressor is operated at a half rate, i.e., a frequency (N / 2 Hz) corresponding to half of an input data rate (N bps). Restore the data.

본 실시예에 따르면, CDR 코어(400)는 개폐 회로(Gating Circuit, 402), 제1 개폐 발진기(Gat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 GVCO1 404), 지연 회로(406) 및 데이터 복원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DR core 400 includes a switching circuit 402, a first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 GVCO1 404, a delay circuit 406, and a data recovery unit 408. can do.

개폐 회로(402)는 입력 데이터(input data)를 이용하여 엣지 검출 펄스(Edge Detection Pulse: ED pulse)을 생성하며, 엣지 검출 펄스를 셋(set) 신호 및 리셋(reset) 신호로 분리한다. The open / close circuit 402 generates an edge detection pulse (ED pulse) using input data, and separates the edge detection pulse into a set signal and a reset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회로(402)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circuit 4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회로(402)는 지연 셀(500),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502) 및 신호 분리부(504)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switching circuit 40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delay cell 500, an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502, and a signal separation unit 504.

개폐 회로(402)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지연 셀(500)은 입력 데이터를 소정 시간만큼 지연시키며, 지연된 데이터가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502)로 입력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n / close circuit 402, the delay cell 500 first delays the input data by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delayed data is input to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502.

도 6은 입력 데이터 및 지연 셀(500)과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502)를 통해 각각 출력된 펄스의 타이밍도이다.6 is a timing diagram of input data and pulses output through the delay cell 500 and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502, respectively.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셀(500)은 입력 데이터 주기의 반(T/2)만큼 지연시키며,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502)는 반주기만큼 지연된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의 주기의 1/2인 엣지 검출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지연 셀(500)은 이처럼 반주기 지연된 펄스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반주기 지연 셀로 정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delay cell 500 delays by half (T / 2) of the input data period, and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502 uses the data and input data delayed by half a period of the input data. An edge detection pulse that is 1/2 of the period is generated and output. The delay cell 500 may be defined as a half cycle delay cell in that it outputs a half cycle delayed puls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502)는 입력 데이터와 반주기 지연된 데이터의 논리 연산을 통해 엣지 검출 펄스를 출력한다. 이때,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502)는 배타적 논리합(XOR) 게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논리곱(AND) 게이트 및 그밖에 다양한 논리 연산이 가능한 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502 outputs an edge detection pulse through a logical operation of input data and half cycle delayed data. In this case,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502 may be configured as an exclusive OR g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502 may include an AND gate and a gate capable of various logic operations.

종래에 풀 레이트로 동작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의 개폐 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셀 및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만을 구비하고 있고, 엣지 검출 펄스가 그대로 제1 개폐 발진기(GVCO1)로 입력된다(도 3 참조).Conventionally, an open / close circuit of a clock data restorer operating at full rate includes only a delay cell and an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as shown in FIG. 3, and the edge detection pulse is input to the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GVCO1 as it is. (See FIG. 3).

도 7은 종래의 풀 레이트에서 동작하는 개폐 회로를 하프 레이트로 동작시켰을 경우에 나타나는 타이밍도이다. Fig. 7 is a timing diagram shown when a conventional open / close circuit operating at full rate is operated at half rate.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레이트로 동작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의 개폐 회로를 하프 레이트에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클럭을 생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7A, when the open / close circuit of the clock data restorer operating at full rate is applied to the half rate as it is, as shown in FIG. 7B, a recovery clock for restoring the input data cannot be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즉, 입력 데이터의 복원을 위해서는 엣지 검출 펄스의 하향 엣지 또는 상승 엣지에 동기되어 발진하는 복원 클럭이 생성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개폐 회로 등을 그대로 하프 레이트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엣지 검출 펄스에 동기된 복원 클럭을 생성할 수 없게 된다. That is, in order to restore the input data, a recovery clock that oscillat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ownward edge or the rising edge of the edge detection pulse should be generated. When the conventional switching circuit is applied to the half rate as it is, the synchronization with the edge detection pulse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Generated recovery clock cannot be generated.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502)에 신호 분리부(504)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Th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detection unit 504 is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50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부(504)는 셋 신호 출력부(504-1) 및 리셋 신호 출력부(504-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signal separator 5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t signal output unit 504-1 and a reset signal output unit 504-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 신호 출력부(504-1) 및 리셋 신호 출력부(504-2)는 논리곱 게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5, the set signal output unit 504-1 and the reset signal output unit 504-2 may be configured as an AND gat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하기에서는 셋 신호 출력부(504-1) 및 리셋 신호 출력부(504-2)가 논리곱 게이트로 이루어진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et signal output unit 504-1 and the reset signal output unit 504-2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ase of an AND gat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셋/리셋 스위칭 개념을 적용한 개폐 회로 및 GVCO 구조를 사용한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8 is a timing diagram in the case of using an open / close circuit and a GVCO structure to which the set / reset switching conce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셋 신호 출력부(504-1)에는 엣지 검출 펄스(T/2 ED Pulse) 및 제1 개폐 발진기(404)로부터의 클럭(이하, GVCO Clock)이 입력되며, 리셋 신호 출력부(504-2)에는 엣지 검출 펄스(T/2 ED Pulse) 및 상기한 GVCO 클럭의 반전 신호(GVCO Clock_b)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t signal output unit 504-1 receives an edge detection pulse T / 2 ED pulse and a c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VCO clock) from the first switching oscillator 404, and outputs a reset signal. The unit 504-2 includes an edge detection pulse T / 2 ED pulse and the inverted signal GVCO Clock_b of the GVCO clock.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 신호 출력부(504-1)는 엣지 검출 펄스와 GVCO 클럭이 모두 하이일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하며, 리셋 신호 출력부(504-2는 엣지 검출 펄스와 반전된 GVCO 클럭이 모두 하이일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As shown in FIG. 8, the set signal output unit 504-1 outputs a high signal when both the edge detection pulse and the GVCO clock are high, and the reset signal output unit 504-2 inverts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s a high signal when all the GVCO clocks are high.

상기와 같이, 개폐 회로(402)에 셋/리셋 구조를 제공하는 경우, 엣지 검출 펄스가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로 분리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t / reset structure is provided to the switching circuit 402, the edge detection pulse is divided into a set signal and a reset signal.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 발진기(404)는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클럭(Recovered Clock)을 출력한다. The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404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utputs a recovered clock using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 클럭의 상향 엣지는 셋 신호의 하향 엣지에 동기되며, 복원 클럭의 하향 엣지는 리셋 신호의 하향 엣지에 동기된다. As shown in FIG. 8, the up edge of the recovery clock is synchronized with the down edge of the set signal, and the down edge of the recovery clock is synchronized with the down edge of the reset signa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 발진기(404)는 하나 이상의 지연 셀(510-1 내지 510-n) 및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복원 클럭 출력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4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one or more delay cells 510-1 to 510-n and a recovery clock output unit 512 for outputting a recovery clock. Can b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연 셀(510-n) 중 하나의 출력이 셋 신호 출력부(504-1) 및 리셋 신호 출력부(504-2)로 입력되는 GVCO 클럭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셋 신호 출력부(504-1)에는 GVCO 클럭이 그대로 입력되며, 리셋 신호 출력부(504-2)에는 반전된 GVCO 클럭이 입력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put of one of the delay cells 510-n becomes the GVCO clock input to the set signal output unit 504-1 and the reset signal output unit 504-2. As described above, the GVCO clock is input directly to the set signal output unit 504-1, and the inverted GVCO clock is input to the reset signal output unit 504-2.

복원 클럭 출력부(512)는 지연 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셋 신호 및 리셋 신호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원 클럭을 생성한다. The recovery clock output unit 512 may be defined as a delay cell, and generates a recovery clock using one of a set signal and a reset signal.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 클럭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covery clock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원 클럭 출력부(512)는 클럭 입력단(900), 셋 신호 입력단(902) 및 리셋 신호 입력단(90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동 회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reconstructed clock output unit 51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clock input terminal 900, a set signal input terminal 902, and a reset signal input terminal 904. do.

클럭 입력단(900)에는 지연 셀(510-n)로부터의 클럭이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클럭의 상태가 로우(L)인 경우, 셋 신호 입력단(902)이 동작하여 발진하게 되며, 입력 클럭의 상태가 하이(H) 인 경우, 리셋 신호 입력단(904)이 동작하여 발진하게 된다 The clock from the delay cell 510-n is input to the clock input terminal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the input clock is low (L), the set signal input terminal 902 is operated to oscillate. When the state of the input clock is high (H), the reset signal input terminal 904 is Will start to oscillate

상기와 같이, 복원 클럭 출력부(512)는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클럭을 생성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overy clock output unit 512 generates a recovery clock using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복원부(408)에는 복원 클럭 및 지연 회로(406)에서 지연된 데이터가 입력되며, 데이터 복원부(408)는 복원 클럭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복원한다. Referring to FIG. 4, data delayed by the recovery clock and delay circuit 406 is input to the data recovery unit 408, and the data recovery unit 408 restores the input data using the recovery clock.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복원부(408)는 적어도 2개의 D-플립플롭(408-1 내지 408-2)을 포함할 수 있으며,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recovery unit 408 may include at least two D-flip flops 408-1 to 408-2.

D-플립플롭은 클럭의 상향 엣지 또는 하향 엣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값을 출력하는 회로로서, 데이터 플립플롭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SR 플립플롭 및 반전(NOT) 게이트를 포함한다. The D-flip-flop is a circuit that output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ata input at the up edge or the down edge of the clock, and is called a data flip-flop and generally includes an SR flip-flop and an NOT gat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D-플립플롭(408-1)은 상향 엣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하며, 제2 D-플립플롭(408-2)은 하향 엣지 트리거 방식을 이용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 flip-flop 408-1 uses an up edge trigger method, and the second D flip-flop 408-2 uses a down edge trigger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이, 복원 클럭 출력부(512)는 셋 및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하프 레이트의 복원 클럭을 출력한다. 이처럼 하프 레이트 복원 클럭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풀 레이트에서와 동일한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D-플립플롭이 서로 다른 엣지에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overy clock output unit 512 outputs a half-rate recovery clock using the set and reset signals. In this case, two D-flip-flops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at different edge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even when using a half-rate recovery clock, the same performance as at full rate can be achieved.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클럭 및 데이터를 복원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and 11 illustrate examples of recovering clock and data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 클럭의 상향 엣지 및 하향 엣지를 모두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복원하게 되며, 서로 다른 엣지 트리거 방식을 사용하는 바, 서로 다른 위상(phase)을 갖는 데이터(Recovered Data Phase A 및 Recovered Data Phase B)로 복원된다. As shown in FIGS. 10 to 11, the input data is restored using both the up edge and the down edge of the recovery clock, and different edge trigger schemes are used. Recovered to Recovered Data Phase A and Recovered Data Phase B).

상기와 같은 CDR 코어(400)의 동작은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420)와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The operation of the CDR core 400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reference phase locked loop 420.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420)는 제2 개폐 발진기(422), 주파수 분주기(424), 위상주파수검출기(Phase Frequency Detector, 426), 전하펌프(Charge Pump, 428), 루프필터(Loop Filter, 430)를 포함한다. The reference phase locked loop 420 includes a second open / close oscillator 422, a frequency divider 424, a phase frequency detector 426, a charge pump 428, and a loop filter 430. ).

주파수분주기(424)는 제2 개폐 발진기(422)의 출력주파수 fVCO를 분주비를 N으로 분주하여 fV의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The frequency divider 424 divides the output frequency f VCO of the second open / close oscillator 422 by the division ratio N to output a signal having a frequency of f V.

위상주파수검출기(426)와 전하펌프(428)는 기준주파수 fR과 fV의 차이를 검출하여 전하펄스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저대역필터(430)를 거쳐 출력주파수를 조정한다. The phase frequency detector 426 and the charge pump 428 detect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frequencies f R and f V and output a charge pulse. The signal adjusts the output frequency via the low band filter 43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420)는 제2 개폐 발진기(422)의 출력주파수가 데이터 레이트의 절반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되도록 고정하며, 이를 통해 하프 레이트 기반으로 클럭 및 데이터가 복원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reference phase locked loop 420 is fixed such that the output frequency of the second open / close oscillator 422 becomes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data rate, so that the clock and data are restored based on the half rate. do.

본 발명은 풀 레이트와 동일한 BER(Bit Error Rate) 및 CID Consecutive Identical Digit)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의 주요 특성 중 하나인 BER(Bit Error Rate), 즉 비트 오류율은 수신된 비트의 수에 대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수를 말한다. 또한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의 주요 특성 중 하나인 CID(Consecutive Identical Digit)는 연속된 “HIGH” 또는 “LOW” 데이터 입력 시, 오류 발생 없이 데이터 복원이 가능한 비트 수를 말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guarantee the same bit error rate (BER) and CID Consecutive Identical Digit (BER) performance as the full rate, where the bit error rate (BER), which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burst mode clock data restorer, Refers to the number of bits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being delivere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bits received. In addition,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burst mode clock data restorer, CID (Consecutive Identical Digit), is the number of bits that can recover data without error when consecutive “HIGH” or “LOW” data is inpu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Claims (10)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엣지 검출 펄스를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로 분리하는 개폐 회로;
상기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제1 개폐 발진기(Gated Voltage Control Oscillator: GVCO);
상기 입력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 및
상기 지연 회로를 통해 지연된 데이터를 상기 복원 클럭의 상향 엣지 및 하양 엣지를 모두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제1 및 제2 데이터로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 회로는,
상기 입력 데이터와 상기 입력 데이터의 반주기 지연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엣지 검출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개폐 발진기로부터 입력된 GVCO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엣지 검출 펄스를 상기 셋 신호 및 상기 리셋 신호로 분리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
A half rate burst mode clock data decompressor comprising a reference phase locked loop,
An open / close circuit separa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generated through the input data into a set signal and a reset signal;
A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GVCO) for outputting a recovery clock using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A delay circuit for delaying the input data; And
It includes a data recovery unit for restoring the data delayed through the delay circuit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having a different phase by using both the up edge and the white edge of the recovery clock,
The opening and closing circuit,
Genera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by using the input data and the half-cycle delayed data of the input data, and separa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into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by using a GVCO clock input from the first switching oscillator. Clock Data Restor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회로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반주기 지연시키는 반주기 지연 셀;
상기 엣지 검출 펄스를 생성하는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 및
상기 엣지 검출 펄스를 상기 셋 신호 및 상기 리셋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를 포함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circuit,
A half cycle delay cell that delays the input data by a half cycle;
An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genera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And
And a signal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into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검출 펄스 출력부는 배타적논리합 게이트 또는 논리곱 게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클럭 데이터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edge detection pulse output unit is at least one of an exclusive logic gate or an AND g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엣지 검출 펄스 및 상기 GVCO 클럭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셋 신호를 출력하는 셋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엣지 검출 펄스 및 상기 GVCO 클럭의 반전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ignal separation unit,
A set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set signal by input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and the GVCO clock; And
And a reset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reset signal by inputting the edge detection pulse and the inverted signal of the GVCO cloc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발진기는,
하나 이상의 지연 셀; 및
상기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복원 클럭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 클럭 출력부는 셋 신호 입력단, 리셋 신호 입력단 및 상기 지연 셀로부터 클럭이 입력되는 클럭 입력단을 포함하는 차동 회로인 클럭 데이터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oscillator,
One or more delay cells; And
A recovery clock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recovery clock,
And the recovery clock output unit is a differential circuit including a set signal input terminal, a reset signal input terminal, and a clock input terminal to which a clock is input from the delay ce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클럭 출력부는 상기 클럭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클럭의 상태에 따라 상기 셋 신호 입력단 및 리셋 신호 입력단 중 하나를 사용하여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recovery clock output unit outputs a recovery clock using one of the set signal input terminal and the reset signal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lock input through the clock input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GVCO 클럭은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연 셀 중 하나의 출력인 클럭 데이터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GVCO clock is an output of one of the one or more delay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상기 지연 회로를 통해 지연된 데이터 중 상기 복원 클럭의 상향 엣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D-플립플롭; 및
상기 지연 회로를 통해 지연된 데이터 중 상기 복원 클럭의 하향 엣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D-플립플롭을 포함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recovery unit,
A first D-flip-flop that outputs data input from an up edge of the recovery clock among the data delayed through the delay circuit; And
And a second D-flip-flop that outputs data input at a lower edge of the recovery clock among the data delayed through the delay circuit.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엣지 검출 펄스를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로 분리하는 개폐 회로 및 상기 셋 신호 및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클럭을 출력하는 제1 개폐 발진기를 구비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 코어; 및
상기 제1 개폐 발진기가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하는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되,
상기 레퍼런스 위상 고정 루프는 상기 입력 데이터 레이트의 1/2에 상응하는 주파수로 고정된 레퍼런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개폐 발진기를 포함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기.
In the half rate burst mode clock data decompressor,
A clock data recovery core having an open / close circuit for separating an edge detection pulse generated through input data into a set signal and a reset signal, and a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for outputting a recovery clock using the set signal and the reset signal; And
A reference phase locked loop for operating the first open / close oscillator at a preset frequency,
The reference phase locked loop includes a second open / close oscillator for outputting a fixed reference signal at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one half of the input data rate.
삭제delete
KR1020100060204A 2010-06-24 2010-06-24 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KR101103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204A KR101103961B1 (en) 2010-06-24 2010-06-24 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204A KR101103961B1 (en) 2010-06-24 2010-06-24 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40029A KR20110140029A (en) 2011-12-30
KR101103961B1 true KR101103961B1 (en) 2012-01-13

Family

ID=4550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204A KR101103961B1 (en) 2010-06-24 2010-06-24 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9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22A (en) * 2005-03-25 2006-09-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urst mode clock/data recovering circuit robust to duty cycle distor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22A (en) * 2005-03-25 2006-09-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urst mode clock/data recovering circuit robust to duty cycle dist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40029A (en)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52528A1 (en) Jitter control in optical network
US7027544B2 (en) Data clocked recovery circuit
CN110445568B (en) Clock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US7020401B2 (en) Transponder and wavelength division-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equipment
JP2007243796A (en) Multi-rate p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used therefor
US8139947B2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with clock selector
Klein et al. Network synchronization-a challenge for SDH/SONET?
US9002195B2 (en) Solution for hitless protection in high-speed OTN framer and front-end
KR101103961B1 (en) Half rate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JP5023514B2 (en) Terminal device used in P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ransmission timing thereof
ITTO991185A1 (en) METHOD OF RECOVERY OF THE CLOCK SIGNA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CIRCUIT.
US7301896B2 (en) Redundant changeover apparatus
JP2014027333A (en) Data recovery device, signal processor, data recovery method,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66286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multiple data signals
WO2020186647A1 (en) Improved burst-mode clock-data-recovery (bm-cdr) for 10g-pon
CN100486148C (en) Loopback protector for light monitor channel
US7580629B2 (en) Los beat detector
JP2005159701A (e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JP2007300445A (en) Station side apparatus to be used for multi-rate pon system,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synchronizing method in the system
JP5262779B2 (en) Clock data reproduction circuit, reproduction method, and PON system
Wang et al. A 2.56 Gbps Asynchronous Serial Transceiver with Embedded 80 Mbps Secondary Data Transmission Capability in 65nm CMOS
JP2012004701A (en) Station side device of pon system, clock data reproduction circuit, and clock reproduction method
US8615063B2 (en) Level transition determination circu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4088311B2 (en) Light input break detector
KR970009678B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clock and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