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240B1 - 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240B1
KR101102240B1 KR1020090127994A KR20090127994A KR101102240B1 KR 101102240 B1 KR101102240 B1 KR 101102240B1 KR 1020090127994 A KR1020090127994 A KR 1020090127994A KR 20090127994 A KR20090127994 A KR 20090127994A KR 101102240 B1 KR101102240 B1 KR 101102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mdb
incoming call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1427A (en
Inventor
최성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Priority to KR102009012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240B1/en
Publication of KR2011007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4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엠디비 단말은, DMDB(Dual Mode Dual Band) 단말에 있어서,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제1 통신모듈; 이동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통신모듈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의 네트워크 환경변화를 인지한 후, 상기 제2 통신모듈로 착신 호 전환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착신 호 전환명령에 따른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가 착신 교환기로 전송된 후,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전환완료에 따른 응답(ACK) 신호 수신 시, 상기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제2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운용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DMDB 단말의 로컬 환경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망의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착신 호 자동 전환이 가능함에 따라, DMDB 단말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어, DMDB 단말의 소비전력을 격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127994

듀얼모드, 듀얼밴드, DMDB, 단말, 네트워크, IP, 무선랜, 소비전력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operating a DMDB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DM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al mode dual band (DMDB) terminal,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a wireless LAN connection;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measuring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recognizing a change in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providing an incoming call switching comman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switching command. Operation control of any one interfa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upon reception of an acknowledgment (ACK) sig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incoming call conversion from the destination exchange after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exchange. It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switch the incoming call using the home location regis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local environment of the DMDB terminal, it is possible to use only one of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inter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provided in the DMDB terminal This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MDB terminal.

Figure R1020090127994

Dual Mode, Dual Band, DMDB, Terminal, Network, IP, Wireless LAN,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Communication network system operating DMDB terminal with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 내 홈위치 등록기(HLR)의 호 착신 전환(Call-Forwarding) 기능을 이용하여, 디엠디비(DMDB) 단말에 대한 착신 호 연결 시, 로컬 환경에 따라 무선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이 자동선택되어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할 수 있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operating a DMDB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 forwarding function of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using this method, when the incoming call is connected to the DMDB terminal, the wireless Internet o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s automatic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local environment, and the DMDB terminal having the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that can use only one interface is used.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용이므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며, 배터리는 그 용량의 제한이 있어 제한 시간 동안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동통신 서비스 및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DBDM(Dual Mode Dual Band) 단말기의 경우 각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각 기능 블럭에 따로 전원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휴대인터넷 서비스 및 이동통신 서비 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류 소모가 크다. 특히,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약전계인 위치에서는 그 전류 소모가 더 심해진다. 이러한 큰 전류 소모로 인하여 모든 기능 블록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잔류 배터리만으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portable, power is supplied by a battery, and the battery has a limited capacity,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only be used for a limited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ual mode dual band (DBDM)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mobile Internet service, power must be supplied to each functional block separately in order to use each function. However, the current consumption is high when using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the current consumption becomes more severe at a position where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is a weak field. Due to such a large current consumption, when all power supply blocks are used, all functions cannot be used with only the remaining battery.

이와 같이, DMDB 단말의 소비전력이 큰 이유는 접속 가능한 무선 시스템 수의 무선 모뎀 및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각각의 기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즉, DMDB 단말은 무선 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로컬망 무선 모뎀 및 통신 프로토콜과,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위한 이동망 무선 모뎀 및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무선 시스템에 접속하여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각 시스템들과 통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일반적인 단말에 비해 소비전력이 크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MDB terminal is large because it is provided with a wireless modem and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number of wireless systems that can be connected, and supplies power for each startup. That is, the DMDB terminal should implement a local network wireless modem and communication protocol for a wireless Internet system, and a mobile network wireless modem and communication protocol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fore, since it is necessary to connect to two or more wireless systems and communicate with each system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power consumption is larger than that of a general terminal connected to one communication network as described above.

전술된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종래에는 DMDB 단말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DMDB 단말에서 사용되는 무선 모뎀칩과 고주파 전력 증폭기, CPU 등 하드웨어의 저전력화를 추구함으로써, 전체 단말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 DMDB 단말에서 사용하는 각 무선 통신 규격이 지원하는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 규정을 이용하여 통신과 관련된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MDB terminal,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ntire terminal 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hardware such as a wireless modem chip, a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a CPU used in the DMDB terminal, It shows how to reduce. 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by using a power management rule supported by each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used in a DMDB terminal is used.

그러나 전자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단말의 소비전력 감소는 단말에 적용된 부품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며, 각 부품의 설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단말의 소비전력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음성 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송/수신 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하지만 전력 소비량에 영향을 주는 통신 횟수 및 통신 시도 여부 등의 결정과 같이 상위 레벨에서 이루어지는 단말의 소비 전력 소비 전력 감소 방법에 대한 제어권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when the former method is us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components applied to the terminal, and as the design technology of each component is develop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is also reduced. Therefore, the method is very effective in reducing the power consumed when transmitting or receiving voice or user data.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there is no control over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which is performed at a higher level, such as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attempts that affect power consumption.

한편, 후자의 방법은 DMDB 단말에 적용된 각 모뎀들이 지원하는 무선 통신 규격의 전원 관리 기법을 이용한 방법이다. 즉, 대부분의 무선 통신 규격은 전원 용량의 한계가 있는 무선 단말의 소비 전력 감소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절차를 규정하는데, 후자의 방법은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IEEE 802.11에서는 DMDB 단말이 접속 장치(AP: Access Point)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나머지 시간 동안은 모뎀 일부의 전원을 오프(off)시켜 단말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atter method is a method using a power management schem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ed by each modem applied to the DMDB terminal. That is, mos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pecify methods and procedures for supporting a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limit in power capacity. The latter method uses them. For example, in IEEE 802.11, a DMDB terminal periodically checks a packet transmitted from an access point (AP)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powers down a portion of the modem by turning off a portion of the modem for the remaining time. To save.

이러한 후자의 방법은 상위 레벨에서의 제어권이 없다는 전자의 방법에 대한 한계는 극복할 수 있지만 복수의 모뎀을 포함하는 DMDB 단말의 특징을 이용하지 못한다. 즉 DMDB 단말에 포함된 복수의 모뎀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다시 말해 상기 DMDB 단말에 포함된 복수의 모뎀들은 그 복수의 모뎀들이 관련된 무선 통신망 각각에서 정의한 무선 통신 규격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각 모뎀들은 대응된 통신망에서 정의하는 무선 통신 규격에 의해 대응된 망 장치들(무선 랜의 경우 AP)과 주기적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This latter metho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former method of having no control at a higher level, but does not take advantage of the features of a DMDB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modems. That is, the plurality of modems included in the DMDB terminal do not complement each other but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modems included in the DMDB terminal operate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defined in eac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o which the plurality of modems are related. Therefore, each modem periodically perform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corresponding network devices (AP in wireless LAN)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defined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즉, 상기 복수의 모뎀들은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에 대응된 무선 통신 망 장치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송수신 이외의 특수한 목적, 예를 들어 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대응된 무선 통신망에서 정 의한 주기마다 대응된 무선 통신망 장치에 연결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의 모뎀들은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때에도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모뎀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후자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도 모뎀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modems do not connect to a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when there is actually data to be transmitted, but instead of a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determining a specific purpose other tha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xample, whether there is data to be received. It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at every cycle defined by.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modems may b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ven when there is no data to be transmitted, resulting i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modem. Therefore, even when using the latter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dem.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DMDB 단말에 대한 로컬 환경이 Wi-Fi 서비스 가능 지역일 경우, 홈위치 등록기(HLR)로 착신 호 전환(Call-Forwarding)을 자동 요청함으로써, Wi-Fi 인터페이스 사용 중 WCDMA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여 DMDB 단말의 소비전력을 격감시킬 수 있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ll forwarding to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when the local environment for a DMDB terminal is a Wi-Fi serviceable are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operating a DMDB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MDB terminal by deactivating the WCDMA interface by automatically requesting the WCDMA interf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MDB 단말의 착신 호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단일의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함에 따라, DMDB 단말로 적용되는 두 개의 단말번호(무선 인터넷 번호, 이동통신 단말 번호)에도 불구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상태를 통지하여 통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coming call switching of the DMDB terminal is automatically made using only a single interface, despite the two terminal numbers (wireless Internet numb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pplied to the DMDB terminal of the destin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operating a DMDB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capable of notifying a call state and improving quality of a communication ser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디엠디비 단말은, DMDB(Dual Mode Dual Band) 단말에 있어서, 무선랜 접속을 수행하는 제1 통신모듈; 이동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통신모듈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의 네트워크 환 경변화를 인지한 후, 상기 제2 통신모듈로 착신 호 전환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착신 호 전환명령에 따른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가 착신 교환기로 전송된 후,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전환완료에 따른 응답(ACK) 신호 수신 시, 상기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제2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운용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MDM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a WLAN connection in a dual mode dual band (DMDB) terminal;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measuring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recognizing a change in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providing an incoming call switching comman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fter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exchange, when receiving an ACK sig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incoming call conversion from the destination exchange, the inte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s oper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디엠디비 단말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IP 망 사이에 이종망 간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가 연결된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무선랜 접속이 가능한 제1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이동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제2 전화번호 정보가 등록되는 홈위치등록기(HLR); 및 상기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접수한 경우,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 착신 호 전환을 요구하며,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 호 전환 요구에 대한 처리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한 IP 망 접속전환을 수행한 후, 착신 호 전환완료에 따른 응답신호(ACK)를 상기 DMDB 단말로 전송하는 운영 알고리즘을 갖는 단말 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network system of the DMDM terminal having the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gateway for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P network In the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is registered with the first phone number information capable of wireless LAN access to the DMDB terminal, and the second phone number information capable of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MDB terminal is registered. ; And upon receiving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request the incoming call transfer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receiv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on the incoming call transfer request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based on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After performing the IP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through the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l switch having an operation algorithm fo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ACK)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incoming call conversion to the DMDB terminal.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디엠디비 단말의 네트워크 운용방법은, a) DMDB 단말의 제1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랜 접속을 위한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DMDB 단말이 착신 호 전환을 위한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접수한 후, 홈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착신 호 전환을 지시하는 단계; d) 상기 홈위치 등록기(HLR)가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무선랜 접속을 위한 제1 전화번호 정보로 전환하고, 발신 교환기(209)로부터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제1 전화번호 정보를 제시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DMDB 단말이 착신 호 전환을 위한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접수한 후, 홈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착신 호 전환을 지시하는 단계; 및 g) 상기 홈위치 등록기(HLR)가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이동통신망 접속을 위한 제2 전화번호 정보로 전환하고, 발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제2 전화번호 정보를 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operation method of the DMDM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a reception electric field for wireless LAN acces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MDB terminal Measuring the intensity; b) whe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reference value, transmitting, by the DMDB terminal, incoming call switching message information for incoming call switching to a destination exchange; c) after the terminating exchange receives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instructing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to transfer the incoming call to the DMDB terminal; d)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is switched to the first phone number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LAN access to the DMDB terminal,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to the DMDB terminal, the first telephone number Presenting information; e) transmitting, by the DMDB terminal,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for the incoming call transfer to the destination exchange when the received field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reference value in step b); f) after the terminating exchange receives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instructing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to transfer the incoming call to the DMDB terminal; And g)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switches to second phone number inform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to the DMDB terminal, and sends the second phone number information when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made from the originating exchange to the DMDB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presenting step.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디엠디비 단말 및 이의 네트워크 운영 방법은, DMDB 단말의 로컬 환경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망의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착신 호 자동 전환이 가능함에 따라, DMDB 단말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어, DMDB 단말의 소비전력을 격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일 개의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함에 따라, 착신 단말의 통화상태를 발신 단말로 통지할 수 있 어, 통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의 홈위치 등록기(HLR)로 적용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인프라의 변형 없이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MDM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and a network operating method thereof can automatically switch an incoming call using a home location register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local environment of a DMDB terminal. Since only one of the provided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inter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can be use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MDB terminal.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only a single interface,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calling terminal of the call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service applied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ervice without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infrastructur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MDB 단말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functions of a DMDB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DMDB 단말은 두 개의 통신 네트워크를 선별적으로 접속 가능함에 따라,하드웨어적으로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를 분리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1 네트워크로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및 근거리 무선 통신(Zigbee, bluetooth) 등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의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의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First, as the DMDB terminal can selectively connect two communication networks, the DMDB terminal is hardwarely separated from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etwork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frequency band includ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bluetooth), and the like, and the second network is a CDMA ( Frequency band communications networks includ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Means.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DB 단말(100)은 제1 통신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통신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접속부(103), 상기 제1 네트워크 접속부(103)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해당 채널을 할당하는 제1 RRM(105), 상기 제1 RRM(105)으로부터 할당된 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RF부(107)로 이루어진 제1 통신모듈(120)과, 제2 통신네트워크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통신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 접속부(109), 상기 제2 네트워크 접속부(109)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해당 채널을 할당하는 제2 RRM(111), 상기 제2 RRM(111)으로부터 할당된 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RF부(113)로 이루어진 제2 통신모듈(130)과,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일 때, 상기 제2 통신모듈(120)로 착신 호 전환명령을 제공하며, 상기 착신 호 전환명령에 따른 ACK 신호 수신 시, 상기 제1 통신모듈(120)만을 인에이블 제어하고,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제2 통신모듈(130)만을 인에이블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10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the DMDB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first network connection unit 103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unit 103.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including a first RRM 105 for allocating a corresponding channel, a first RF unit 107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a channel allocated from the first RRM 105, and A second network connection unit 109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RRM 111 for allocating a corresponding channel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unit 109, and Measuring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consisting of a second RF unit 113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ased on the channel allocated from the second RRM (111). Whe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providing an incoming call switching comman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When receiving an ACK signal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switching command, only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a reference value. When the following, the terminal control unit 101 for enabling the control onl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한편, 본 발명에서는 DMDB 단말을 전제로 하며, 통상의 듀얼밴드로서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130)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수행함을 실시 예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DMDB 단말(100)에서 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5)로 현재 자동전환되는 통신모드를 표시토록 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MDB terminal is assumed, and as a general dual b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performs WiFi (Wireless Fidelity)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i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Performs communication by way of example.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01 can provide a UI for displaying a communication mode currently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display 115 presented by the DMDB terminal 100.

이와 같이 구성된 DMDB 단말(100)은 AP(Access Point)를 통한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모듈(120) 또는 제2 통신모듈(130)을 자동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DMDB 단말(100)의 아이들링 상태 즉, 통화대기 상태에서 일정 주기를 갖고 제1 통신모듈(120)의 수신 상태를 검출한다.The DMDB terminal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Internet is available through an access point (AP), and automatically select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To this end, the terminal control unit 101 detects the reception stat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with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idling state of the DMDB terminal 100, that is, the call standby state.

즉,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통화대기 상태에서 제2 통신모듈(130)을 기반으로 파일롯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신하며, 이와 더불어 일정 주기를 갖고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의 제1 RF부(107)로부터 Wi-Fi 무선 통신접속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의 위치에서 Wi-Fi 무선 통신접속이 가능하지 않다면, 즉 상기 제1 RF부(107)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제2 통신모듈(130)의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한다.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101 periodically transmits a pilot signal based o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in the call waiting state, and has a certain period and the first RF unit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From 10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Fi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ossible. If the Wi-Fi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possible at the current location, that is, whe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eceived from the first RF unit 107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terminal control unit 101 rece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 Will remain enabled.

반면, 상기 제1 RF부(107)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제2 통신모듈(130)을 통해 단말 교환기(MSC)로 접속 호 전환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호 전환 메시지는 DMDB 단말(100)이 단말 교환기(MSC)로 Call-Forwarding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Call-Forwarding 서비스 신청을 위한 포멧화된 메시지를 단말 교환기(MSC)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eceived from the first RF unit 107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terminal controller 101 transmits an access call transfer message to the MSC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do. In this case, the access call transfer message is for the DMDB terminal 100 to request a call forwarding service to a terminal exchange (MSC), the terminal control unit 101 is a terminal for formatting the call-forwarding service request terminal Send to the exchange (MSC).

상기 포멧화된 메시지는 현재 접속되는 DMDB 단말(100)에 대한 착신 번호를 변경 요청하는 것으로, DMDB 단말(100)이 보유한 두 개의 전화번호 정보 중 다른 하나로 변환한다. 두 개의 전화번호 정보는 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접속되는 제1 전화번호 정보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제2 전화번호 정보이다. 현재 사용되는 전화번호로서 상기 제1 전화번호 정보는 "070-XXX-XXXX"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화번호 정보는 "010-XXX-XXXX"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formatted message is a request for changing a called number for the currently connected DMDB terminal 100, and is converted into another one of two phone number information held by the DMDB terminal 100. FIG. The two phone number information are first phone number information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telephone network and second phone number information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the currently used telephone number, the firs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may be "070-XXX-XXXX", and the seco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may be "010-XXX-XXXX".

이와 같이 착신 호 전환 서비스가 이루어지면, 제2 통신모듈(130)에서 응답가능한 제2 전화번호 정보는 제1 통신모듈(120)에서 응답 가능한 제1 전화번호 정보로 변경된다. 이는 발신 단말(미도시함)이 제1 또는 제2 전화번호 정보로 발신을 요청하더라도, 상기 DMDB 단말(100)은 상기 제1 전화번호 정보를 토대로 착신하게 된다. 전술된 착신 호 전환은 DMDB 단말(100)에 의해 자동으로 요청되는 것이다.When the incoming call transfer service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hat can be answer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is changed to the firs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hat can be answer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This allows the DMDB terminal 100 to receive a call based on the firs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even if the calling terminal (not shown) requests the call to the first or seco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he incoming call transfer described above is automatically requested by the DMDB terminal 100.

한편,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착신 호 전환 즉, Call-Forwarding 서비스 신청에 따른 답신 정보를 단말 교환기(MSC)로부터 수신하며, 수신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인에이블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통신모듈(130)은 디스에이블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DMDB 단말(100)에서 수신되는 착신 호는 인터넷 전화망(IP Network)을 통해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부(115)로 현재의 통신망 접속이 자동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101 receives the call transfer, that is, the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ll-forwarding service request from the terminal exchange (MSC), and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result enable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To control switching. 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is switched to the disabled state, and the incoming call received from the DMDB terminal 100 is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IP network).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01 indicates that the current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display 115.

따라서, DMDB 단말(100)에 대한 착신 호가 자동전환되면,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제1 RRM(105)으로 IP 통신을 위한 채널을 기동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접속부(103)를 인에이블 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RF부(107)로부터 수신된 수신전계강도를 지속적으로 검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 제어부(101)가 AP로부터 호 접속을 요청받을 경우, Wi-Fi 단말 운용을 기반으로 호 접속을 승인한다. 여기서, 상기 AP로부터 호 접속을 요청받는 것은, 발신 단말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거나 IP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DMDB 단말(100)은 발신 단말의 이종망 이용에 대한 관여는 하지 않는다.Accordingly, when the incoming call to the DMDB terminal 100 is automatically switched, the terminal controller 101 activates a channel for IP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RRM 105 and enables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unit 103. At the same time,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eceived from the first RF unit 107 is continuously detected. Thereafter, when the terminal controller 101 receive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AP, the terminal controller 101 approves the call connection based on the Wi-Fi terminal operation. Here, the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AP is that the calling terminal may us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P network, and the DMDB terminal 100 does not participate in using a heterogeneous network of the calling terminal.

그리고,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제1 RF부(107)로부터 검출되는 수신전계강도를 인지하여 상기 DMDB 단말(100)의 네트워크 환경을 감시한다. 감시 중, 상기 DMDB 단말(100)의 네트워크 수신 환경이 불안정할 경우 즉, 상기 AP 접속이 불안정할 경우 전술된 절차에 따라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현재의 착신 호를 전환하기 위한 Call-Forwarding 메시지를 단말 교환기(MSC)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제2 네트워크 접속부(109)를 인에이블 시키고, 제2 RRM(111)을 기동한 후, 기 설정된 메시지 포멧에 따른 Call-Forwarding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RF부(113)를 통해 단말 교환기(MSC)로 전송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01 monitors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DMDB terminal 100 by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recognizing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detected from the first RF unit 107. During monitoring, when the network reception environment of the DMDB terminal 100 is unstable, that is, when the AP connection is unstable, the terminal control unit 101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Call-Forwarding message for switching the current incoming call To the terminal exchange (MSC). To this end, the terminal controller 101 enables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unit 109, activates the second RRM 111, and generates a call-forwarding message according to a preset message format, thereby generating a second RF.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exchange (MSC) through the unit 113.

이후,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단말 교환기(MSC)로부터 착신 호 자동전환 요청에 따른 응답신호(ACK)를 접수한 후,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디스에이블 제어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130)을 인에이블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의 네트워크 환경변화에 따라 자동 전환된 통신망을 이용하게 된다.Thereafter, the terminal control unit 101 receives a response signal (ACK)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request from the terminal exchange (MSC), and then controls to disab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Enable control of module 130. Therefore, the user uses the communication network automatically switched according to the network environment changes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서는 DMDB 단말(100)에 대한 착신 호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을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 의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에 지시된 착신 호 연결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at the incoming call switching to the DMDB terminal 100 is automatically performe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state indicated on the display unit 115 can be manually switched according to the user's wil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호 자동전환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201)과 IP 망(203) 사이로 이종망 간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211)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동통신망(201)은 착신 교환기(207) 및 발신 교환기(209)를 포함하여 홈위치등록기(HLR:205)가 상호 접속되며, 상기 게이트웨이(211)는 착신 교환기(207) 및 발신 교환기(209)와 연결된다.2 illustrate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automatic call forwa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gateway 211 for connecting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s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1 and the IP network 203.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1 is connected to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205 including an incoming exchange 207 and an outgoing exchange 209, and the gateway 211 has a destination exchange 207 and an outgoing exchange 209. ).

상기 착신 교환기(207) 및 발신 교환기(209)는 본 발명의 설명 편의를 위한 구분한 것이나, 발신단말(213)의 위치에 따라 착신 교환기(207) 및 발신 교환기(209)는 동일한 단말 교환기(MSC)로 인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착신 호 자동연결을 위한 단말 교환기(207, 209)가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는 DMDB 단말(100)에게 부여한 두 개의 전화번호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The destination exchange 207 and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are divi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and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are the same terminal exchange (MSC)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riginating terminal 213. ) Can be recognized. In such a communication network, a terminal switch 207 or 209 for automatic connection of an incoming cal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sented. In addition,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holds two phone number information assigned to the DMDB terminal 100.

상기 단말 교환기(207, 209)는 상기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접수한 경우,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로 착신 호 전환을 요구하며,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로부터 착신 호 전환 요구에 대한 처리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211)를 통한 IP 망 접속전환을 수행한 후, 착신 호 전환완료에 따른 응답신호(ACK)를 상기 DMDB 단말(100)로 전송하는 운영 알고리즘을 포함한다.When the terminal exchange 207 or 209 receives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the terminal exchange 207 or 209 requests the incoming call transfer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and processes the incoming call transfer request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After receiving the result information, performing the IP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through the gateway 211 based on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ACK)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incoming call to the DMDB terminal 100 Includes operational algorithms.

따라서, 상기 단말 교환기(207, 209)는 DMDB 단말(100)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자동 제공되는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토대로, 인터넷 전화가 가능한 IP 망 접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DMDB 단말(100)이 WCDMA 통신 환경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랜(WLAN) 환경으로 진입할 경우에, 상기 단말 교환기(207, 209)는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전환하는 것이다. 그러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terminal exchanges 207 and 209 perform an IP network connection capable of Internet telephony based on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automatically provided according to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DMDB terminal 100. This is when the DMDB terminal 100 enters a wireless LAN (WLAN) environment in which a wireless Internet access is possible in a WCDMA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terminal switchboards 207 and 209 receiv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and access the current network. It is to change the environment. Next, a detail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호 자동전환을 위한 주요동작을 설명하는 플로 우챠트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main operation for the automatic transfer of the incoming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S301 단계에서 상기 DMDB 단말(100)은 현재의 네트워크 환경을 인지한다. 이는 DMDB 단말(100)이 소정의 주기를 갖고 인지하는 것으로, 주변 AP에 대한 수신전계강도를 판단한다. 상기 DMDB 단말(100)의 판단 결과,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DMDB 단말(100)은 기 설정된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상기 착신 교환기(207)로 제공한다. 이러한 메시지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과 관계없이 자동 전송된다.First, in step S301, the DMDB terminal 100 recognizes the current network environment. This is the DMDB terminal 100 recognizes with a predetermined period, and determines the received field strength for the neighboring AP.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DMDB terminal 100, whe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DMDB terminal 100 provides preset call forwarding messag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This messag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nt regardless of the user's choice.

S303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착신 교환기(207)는 DMDB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수신한다. 착신 교환기(207)는 Call-Forwarding 서비스로 인지하며, 서비스 절차에 따라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로 서비스 수행을 지시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는 현재 등록되어 있던 이동통신 단말번호 즉, 제2 전화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제1 전화번호 정보로 변경한다.In step S303,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receives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MDB terminal 100.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recognizes the call-forwarding service and instructs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to perform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service procedure. In response,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changes the currently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that is, the seco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to the preset firs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는 현재 등록변경된 사항을 착신 교환기(207)로 통지하며, 착신 교환기(207)는 중계기(BSS)를 통해 착신 호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응답신호(ACK)를 상기 DMDB 단말(100)로 전달한다. 상기 DMDB 단말(100)은 이를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부(115)로 착신 호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또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DMDB 단말(100)은 제2 통신모듈(130)을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인에이블시켜 무선랜 기반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변경을 수행한다.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notifies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of the current registration change, and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receives a response signal ACK for notifying that the incoming call transfer is completed through the repeater BSS. Transfer to the DMDB terminal 100. After receiving this, the DMDB terminal 100 indicates that the incoming call has been switched to the display 115.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MDB terminal 100 disable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enable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to perform an interface change to enable a WLAN-based call. do.

한편, 상기 DMDB 단말(100)의 제1 통신모듈(120)만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발 신단말(213)이 DMDB 단말(100)과의 호 접속을 요구할 경우, 즉 S305 단계와 같이 발신단말(213)은 발신 교환기(209)를 통해 상기 DMDB 단말(100)과의 호 접속을 요청하면, S307 단계와 같이 상기 발신 교환기(209)는 홈위치 등록기(205)로 착신 단말인 DMDB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부가정보 조회를 요청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착신 단말인 DMDB 단말(100)에 대한 서비스 가입정보이다. 이는 DMDB 단말(100)이 착신 호 자동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정보로서, 상기 발신 교환기(209)는 조회대상인 DMDB 단말(100)이 착신 호 자동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인지한다.Meanwhile, when only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of the DMDB terminal 100 is enabled, when the calling terminal 213 requests a call connection with the DMDB terminal 100, that is, the calling terminal as in step S305 When 213 requests a call connection with the DMDB terminal 100 through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transmits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to the DMDB terminal 100 as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in step S307.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for the DMDB terminal 100 which is the called terminal. This i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MDB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service, and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recognizes that the DMDB terminal 100 as the inquiry target is subscribed to the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service.

따라서, 발신 교환기(209)는 상기 부가정보를 토대로 DMDB 단말(100)이 착신 호 자동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현재 무선랜 접속이 가능함을 인지한다.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는 DMDB 단말(100)과의 무선랜 접속을 위한 제1 전화번호 정보를 발신 교환기(209)로 제공한다. 이후, 발신 교환기(209)는 상기 제1 전화번호 정보를 토대로 게이트웨이(211)를 거쳐 IP 망(203)과 접속하여 상기 발신단말(213)과 DMDB 단말(100)과의 호 접속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상기 DMDB 단말(100)은 무선랜을 통해 발신단말(213)과의 호 접속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recognizes that the DMDB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service based 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at the WLAN connection is currently possible.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provides firs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for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DMDB terminal 100 to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Thereafter,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connects to the IP network 203 via the gateway 211 based on the firs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and performs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originating terminal 213 and the DMDB terminal 100. For this reason, the DMDB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all terminal 213 through the wireless LAN.

이후, 상기 DMDB 단말(100)의 통신 네트워크 환경이 전환될 경우, 즉 AP에 대한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S321 단계와 같이 상기 DMDB 단말(100)은 착신 호 전환을 요구하는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상기 착신 교환기(207)로 전송한다. 상기 착신 교환기(207)는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로 착신 호 전환을 요구한다. 이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제1 전화 번호 정보를 WCDMA 망 접속을 위한 제2 전화번호 정보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of the DMDB terminal 100 is switched, that is, whe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AP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DMDB terminal 100 requests an incoming call switching message as shown in step S321. Information is sent to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requests the incoming call transfer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based on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This is a request to convert the currently set firs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o seco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for WCDMA network access.

따라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205)는 착신 교환기(207)의 요청에 응답하여 전화번호 변경을 수행한다. 그리고, 홈위치 등록기(205)는 착신 교환기(207)로 전화번호 변경완료에 따른 메시지를 제공하며, 착신 교환기(207)는 이를 DMDB 단말(100)로 전달한다. 이로 인해, 상기 DMDB 단말(100)은 Wi-Fi 통신환경을 디스에이블시키고, WCDMA 통신환경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DMDB 단말(100)에 대한 통신환경이 전환되는 것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통신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소모를 줄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Therefore,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changes the telephone numbe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Then,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provides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telephone number change completion to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transfers it to the DMDB terminal (100). For this reason, the DMDB terminal 100 disables the Wi-Fi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switches to the WCDMA communication environment. Here, the change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the DMDB terminal 100 means that the power consumption for maintaining the two communication environments as described above is reduced.

한편, 상기 DMDB 단말(100)의 통신환경이 전환된 후, 발신단말(213)로부터 호 요청이 요구될 경우, 이는 S325 단계와 같이 발신단말(213)이 발신 교환기(209)를 통해 DMDB 단말(100)과의 통신 접속을 요구하는 것으로, 상기 발신 교환기(209)는 홈위치 등록기(205)로 착신 단말 즉, DMDB 단말(100)에 대한 위치 및 부가서비스 조회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DMDB terminal 100 is switched, when a call request is requested from the originating terminal 213, it is determined that the originating terminal 213 through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as the DMDB terminal (step S325) (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100,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requests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for a location and additional service inquiry for the called terminal, i.e., the DMDB terminal 100, and receives a response thereto. .

S327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209)는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DMDB 단말(100)이 현재 무선랜 접속이 불가함을 통지받으며, DMDB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착신 교환기(207)를 인지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 교환기(209)는 착신 교환기(207)를 통해 DMDB 단말(100)과 발신단말(213) 간의 호 접속을 수행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DMDB 단말(100)은 단말의 네트워크 환경변화에 따라, 무선랜 접속 또는 WCDMA 접속 환경을 자동 변경함으로써, 단말의 통화대기 상태에서 소요되는 전력을 격감시키게 된다.In step S327,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is notified that the DMDB terminal 100 is currently unable to access a wireless LAN based on a response signal,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MDB terminal 100, the destination exchange ( 207). Accordingly,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performs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MDB terminal 100 and the originating terminal 213 through the terminating exchange 207. As a result, the DMDB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duces the WLAN connection or WCDMA connec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power required in the call waiting state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환경에 따라 착신 호가 자동 전환되고, 착신 호 변경상태를 홈위치 등록기(205)에서 인지하고 있음에 따라, DMDB 단말(100)이 현재 제1 전화번호 정보를 사용하여 통화하거나, 제2 전화번호 정보를 사용하여 통화하더라도, 임의의 발신단말은 DMDB 단말(100)의 통화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ming call is automatically switch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terminal, and as the incoming call change state is recognized by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the DMDB terminal 100 uses the current first phone number information to make a call. Or, even if the call using the second phone number information, any caller terminal can check the call state of the DMDB terminal (10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DMDB 단말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토록 하여, 결국 DMDB 단말의 소비전력을 격감시킬 뿐만 아니라, DMDB 단말기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어 DMDB 단말기 시장의 산업적 이용 가치가 극히 높다고 할 것이다. 더욱이, 통신 인프라의 변형 없이 DMDB 통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DMDB 통신산업의 활성화를 유도함에 따라, 서비스 시장의 산업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 of only one of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inter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provided in the DMDB terminal, which can reduce not onl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MDB terminal, but also increase the maturity of the DMDB terminal. The industrial value of the DMDB handset market is extremely high. Moreover, the industrial value of the service market is expected to be high as the DMDB communication industry is promoted by promoting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DMDB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changing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MDB 단말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functions of a DMDB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DMDB 단말에 대한 통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for a DMDB terminal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mai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drawings>

101 : 단말 제어부 103 : 제1 네트워크 접속부101: terminal control unit 103: first network connection unit

105 : 제1 RRM 107 : 제1 RF부105: first RRM 107: first RF unit

109 : 제2 네트워크 접속부 111 : 제2 RRM109: second network connection 111: second RRM

113 : 제2 RF부 201 : 이동통신망113: second RF unit 201: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3 : IP망 205 : 홈위치 등록기(HLR)203: IP network 205: Home Location Register (HLR)

207 : 착신 교환기(MSC) 209 : 발신 교환기(MSC)207 terminating exchange (MSC) 209 originating exchange (MSC)

213 : 발신단말213: calling terminal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DMDB 단말의 운용을 위해 이동통신망(201)과 IP 망(203) 사이에 이종망 간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211)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provided with a gateway 211 for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1 and the IP network 203 for the operation of the DMDB terminal, (1)상기 이동통신망(201)은,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무선랜 접속이 가능한 제1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이동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제2 전화번호 정보가 등록되는 홈위치등록기(HLR:205)와,       (1)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1 is a home location register that registers firs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apable of wireless LAN access to the DMDB terminal and seco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capable of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MDB terminal ( HLR: 205)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접수한 경우 상기 홈위치등록기(205)로 착신 호 전환을 요구하며, 상기 홈위치등록기(205)로부터 착신 호 전환 요구에 대한 처리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211)를 통한 IP 망 접속전환을 수행한 후, 착신 호 전환완료에 따른 응답신호(ACK)를 상기 DMDB 단말로 전송하는 운영 알고리즘을 갖는 단말 교환기(207, 209)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When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for the DMDB terminal is received, the incoming call transfer request is made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and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on the incoming call transfer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205; A terminal switch (207) having an operation algorithm for performing an IP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through the gateway 211 based on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ting an acknowledgment signal (ACK) to the DMDB terminal upon completion of the incoming call conversion; 209); (2)상기 DMDB 단말은, 무선랜 접속을 위한 통신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접속부(103)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접속부(103)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해당 채널을 할당하는 제1 RRM(105)과, 상기 제1 RRM(105)으로부터 할당된 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RF부(107)로 이루어진 제1 통신모듈(120)과,      (2) The DMDB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network connection unit 103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LAN connection, and a first RRM that allocates a corresponding channel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unit 103 ( 105,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including a first RF unit 107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ased on a channel allocated from the first RRM 105; 상기 이동통신망(201)에 접속하여 그 수신되는 착신 호 전환명령을 수행하는 제2 통신모듈(130)과,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1 to perform a received call transfer command;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의 네트워크 환경변화를 인지한 후, 상기 제2 통신모듈(120)로 착신 호 전환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착신 호 전환명령에 따른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가 착신 교환기(207)로 전송된 후, 상기 착신 교환기(207)로부터 착신 호 전환완료에 따른 응답(ACK) 신호 수신 시, 상기 제1 통신모듈(120) 및 상기 제2 통신모듈(130)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운용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1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After measuring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recognizing the network environment change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provides an incoming call switching comman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incoming After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ll transfer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receives an A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incoming call transfer from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And a terminal controller (101)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any one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제6항에 있어서, 상기IP망(203)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및 근거리 무선 통신(Zigbee, bluetooth)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이동통신망(201)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P network 203 is any one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bluetooth),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1 is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상기 IP망(203)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망이고, 상기 이동통신망(201)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The IP network 203 is a WiFi Fidelity (WiFi)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1 is a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a DMDB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system. 삭제delete DMDB 단말을 활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In the oper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tilizing a DMDB terminal, a) DMDB 단말의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무선랜 접속을 위한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a) measuring a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for wireless LAN acces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of the DMDB terminal; b)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DMDB 단말이 착신 호 전환을 위한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착신 교환기(207)로 전송하는 단계와;      b) transmitting, by the DMDB terminal,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for the incoming call transfer to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when the received field streng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c) 상기 착신 교환기(207)가 상기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접수한 후, 홈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착신 호 전환을 지시하는 단계와;      c) instructing the incoming exchange 207 to receive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and instructing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to transfer the incoming call to the DMDB terminal; d) 상기 홈위치 등록기(HLR)가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무선랜 접속을 위한 제1 전화번호 정보로 전환하고, 발신 교환기(209)로부터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제1 전화번호 정보를 제시하는 단계와;      d)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is switched to the first phone number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LAN access to the DMDB terminal,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to the DMDB terminal, the first telephone number Presenting information; e)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DMDB 단말이 착신 호 전환을 위한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착신 교환기(207)로 전송하는 단계와;      e) transmitting, by the DMDB terminal,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for the incoming call transfer to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when the received field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reference value in step b); f) 상기 착신 교환기(207)가 상기 착신 호 전환메시지 정보를 접수한 후, 홈위치 등록기(HLR)로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착신 호 전환을 지시하는 단계와;      f) instructing, by the destination exchange 207, the incoming call transfer message information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to instruct the incoming call transfer to the DMDB terminal; g) 상기 홈위치 등록기(HLR)가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이동통신망 접속을 위한 제2 전화번호 정보로 전환하고, 발신 교환기(209)로부터 상기 DMDB 단말에 대한 호 연결 요청 시, 상기 제2 전화번호 정보를 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g)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switches to the seco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to the DMDB terminal, and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riginating exchange 209 to the DMDB terminal, the second telephone number Presenting information;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operating a DMDB terminal having an incoming cal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consisting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전계강도는 단말의 통화대기 상태에서 설정된 주기를 갖고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measured with a set period in a call waiting state of a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이고, 상기 이동통신망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10. Th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of claim 9, wherein the wireless LAN is WiFi Fidelity (WiFi) communic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ntrol method.
KR1020090127994A 2009-12-21 2009-12-21 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11022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94A KR101102240B1 (en) 2009-12-21 2009-12-21 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94A KR101102240B1 (en) 2009-12-21 2009-12-21 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27A KR20110071427A (en) 2011-06-29
KR101102240B1 true KR101102240B1 (en) 2012-01-03

Family

ID=4440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994A KR101102240B1 (en) 2009-12-21 2009-12-21 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2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26B1 (en) * 2011-11-28 2013-09-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rvice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943A (en) * 2003-12-03 2005-06-1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e for allowing plurality of users to be specked by one-phone terminals and system therof
KR20060063620A (en)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 and the handoff method thereof
KR20070096767A (en) * 2006-03-24 2007-10-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 for multi-number services and that controll method
KR20080012106A (en) * 2006-07-31 2008-02-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apparatus,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943A (en) * 2003-12-03 2005-06-1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e for allowing plurality of users to be specked by one-phone terminals and system therof
KR20060063620A (en)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 and the handoff method thereof
KR20070096767A (en) * 2006-03-24 2007-10-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 for multi-number services and that controll method
KR20080012106A (en) * 2006-07-31 2008-02-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apparatus,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27A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943B1 (en) Method for saving power of complex wireless phone and apparatus the same
US2006018347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EP2114108B1 (en) Method of select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operating with a communication device in an idle mode, and communication device
US8219093B2 (en) Handover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e mobile station
US951661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 mobile station
US20110280239A1 (en) Communication session hand-off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130102261A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rove receiving/sending voice cal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7970434B2 (en) Dual-mode phone and calling method
KR201100562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883392A (en) Multi-mode and multi-standby mobile terminal, domain server and voice call switching method
WO2016168829A1 (en) Smart headset and method of routing service in response to proximity to mobile device
CN111867008B (en) Multi-mode base station and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09717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checking quality of service
CN101389079B (en) Radio terminal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connected network
GB2396525A (e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idle state support therefor
KR101102240B1 (en) Network system for using a dmdb mobile having a function of auto call-forward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0612685B1 (en)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JP2008277919A (en)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wireless lan terminal
US9602764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video calls 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130011289A (en) The load balancing method in multi-mode femtocell and multi-mode femtocell therefor
JP2002335569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2084566A (en) Mobile body communication system
KR1014189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gn traffic
CN103781052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multi-mode terminal
JP565929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