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839B1 -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839B1
KR101097839B1 KR1020080107435A KR20080107435A KR101097839B1 KR 101097839 B1 KR101097839 B1 KR 101097839B1 KR 1020080107435 A KR1020080107435 A KR 1020080107435A KR 20080107435 A KR20080107435 A KR 20080107435A KR 101097839 B1 KR101097839 B1 KR 101097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sound
unit
criteria
evaluation cri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330A (ko
Inventor
박영진
이정권
조완호
권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07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8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voice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1/10Transforming into visibl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에 대한 음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공간에서 음압의 강도를 측정하여 음향신호를 얻는 음향측정수단; 및 측정된 음향신호를 연산하여 소정의 공간에 음환경을 평가하는 단말기;를 구비하고, 단말기에는, 어떠한 평가기준을 적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선택된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평가결과를 연산하는 연산부; 평가결과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이다. 또한, 음향측정수단에 의해 소정의 공간에 음향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단말기에서 음향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선택수단에 의해 적용할 평가결과를 연산할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하는 단계; 연산부에서 특정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평가결과를 연산하는 단계; 및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방법에 대한 것이다.
음압센서, 음향측정수단, 연산부, 평가기준, 판정수단, 비교평가수단

Description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Sound Environment}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에 대한 음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공간에 설치된 음향측정수단으로 음향신호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평가기준 중에 적용하기를 원하는 평가기준을 선택하고 선택된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결과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소정의 공간에서 음환경이 어떠한지 음향신호를 측정하고, 그러한 음향신호가 평가기준에 적법한지를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음문제, 특히 환경소음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소음측정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정확하게 측정가능한 시스템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소음계와 같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실제로 많이 이용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향측정장비, 소음측정장비들은 기본적으로 전체 또는 밴드별 음압 레벨을 측정하여 A-청감곡선(A-weighting) 등의 기 제안된 가중함수들을 계산하는 간단한 기능부터, 소음의 분포를 그리거나 사진과 합성하여 음원을 파악하게 해주는 높은 수준의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장비들은 이렇게 얻어진 자료들을 가지고 소음의 상태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과정은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극히 제한적인 경우에 한정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는 각나라의 규제기준이나 산업체 현장에서 작용되는 기준, 측정하고 있는 소정의 공간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평가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음향측정장치에서 정확한 음압의 강도,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것과 별도로 실제규제나 권장사항 등과 비교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방대한 양의 후처리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음, 음향신호를 측정한 후에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음환경 평가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정의 공간에 음환경 및 소음에 대한 강도측정 뿐만 아니라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를 후처리과정에 따라 계산 평가하는 것이 아닌 실시간으로 평가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적용할 평가기준을 추가하거나 수정 등을 통해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여 새로운 평가기준에 대해 같은 시스템으로 현재 기준에 적합한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간으로 평가결과를 보여주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으로써 과거에 음환경이 어떠했는지 과거 평가기준에 의해 어떻게 평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에 대한 음환경 평가결과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공간에 음압을 측정하여 음향신호를 얻는 음향측정수단; 및측정된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하여 공간에 음환경을 평가하는 단말기;를 구비하고, 단말기에는, 복수의 평가기준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하여 평가결 과를 출력하는 연산부; 연산부에서 출력한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선택수단과 연산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고, 연산부에 필요한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어 평가결과 및 평가연산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음향측정수단과 단말기는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음향측정수단은, 공간에 설치되고, 음압을 측정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얻는 적어도 하나의 음압센서; 및 각각의 음압센서와 연결되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음압센서는, 마이크로폰 또는 소음측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평가기준은, 공간의 종류, 목적, 평가기준을 적용하는 국가 및 평가기관에 의해 결정되는 법적소음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평가연산데이터는, 평가기준을 기준으로 한 관련규정, 환경규정, 권고사항 및 규제사항으로 결정되며, 그리고 판정연산데이터와 비교평가 연산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연산부에 필요한 평가연산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수정, 삭제 또는 추가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산부는, 제어부에서 제공된 판정연산데이터을 이용하여 선택수단으로 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가 평가기준에 적법한 것인지 또는 부적법한 것인 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판정수단; 및 제어부에서 제공된 비교평가 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판정결과가 평가기준에 어느 정도 적법한지 또는 어느 정도 부적법한 지를 비교평가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는 비교평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평가기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선택수단을 제어하여 적용할 평가기준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음향측정수단과 단말기는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음환경 평가방법에 있어서, 음향측정수단에 의해 소정 공간의 음압을 측정하여 음향신호를 얻는 단계; 단말기에서 음향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선택수단이 복수의 평가기준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연산부에서 선택된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연산부에서 출력한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음향신호를 얻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음압센서로 공간의 음압을 측정하여 아날로그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음압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선택수단은 스위치로 구성되고, 선택된 평가기준은 공간의 종류, 목적, 평가 기준을 적용하는 국가 또는 평가기관에 의해 결정되는 법적소음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선택 단계, 출력 단계 및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선택수단과 연산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각각을 제어하고, 제어부는 연산부에 필요한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연산부에서 출력된 평가결과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한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연산부에 필요한 평가연산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수정, 삭제 또는 추가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평가결과 출력 단계는, 판정수단이 제어부에서 제공된 판정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수단으로 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가 평가기준에 적법한 것인지 또는 부적법한 것인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비교평가수단이 제어부 제공된 비교평가 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판정결과가 평가기준에 어느 정도 적합한지 또는 어느 정도 부적법한 지를 비교평가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음향측정수단과 단말기는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제어부에 의해 적용할 평가기준을 교체할 지를 결정하고, 평가기준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는 선택수단을 제어하여 적용할 평가기준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공간에 대해 음환경 상태 및 소음상태를 측정하는 것 뿐아니라 실시간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음환경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압을 측정하는 수단과 측정된 음향신호를 연산하여 평가결과를 얻는 단말기는 서로 분리가능하여 음향측정수단의 종류가 바뀌어도 음환경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단말기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하여 평가결과를 연산할 수 있는 장치로 소형으로 제작하여 휴대가 가능하며 소정의 공간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연산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하며 그래프나 평가등급등을 표로 디스플레이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수정, 추가 등을 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스템 자체의 교환없이 평가기준을 업데이트함으로써 현재에 적합한 평가기준으로 평가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평가결과를 얻는 도중에 적용할 평가기준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신속하게 다른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를 알 수 있으며 다른 평가결과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신속하게 알 수 있다. 연산에 의한 평가결과는 소정의 공간에 음환경 및 소음이 특정 평가기준에 적합한지를 알 수 있는 것 뿐아니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규제사항, 권장사항 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적절한 음환경을 가지고 있는 지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소정의 공간에 대해 실시간으로 음향신호를 측정 하고 평가까지 가능함으로써 음환경에 대한 신속한 저음화 조치가 가능하고 소음에 대한 피해를 예방 및 방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음환경 및 소음측정장치에 실시간으로 평가까지 가능한 단말기를 연결한 것으로 경제적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음환경 평가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따른 음환경 평가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1은 음환경 평가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환경 평가 시스템은 음향측정수단(100)이 연결수단(150)에 의해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음향측정수단(100)의 경우, 복수개의 음압센서(110)로 소정의 공간(50)에 대한 음압을 측정하게 된다. 음압의 단위는 주로 데시벨(dB) 또는 파스칼(Pa)로 나타내며 큰 값일 수록 큰 음압을 나타낸다. 데시벨은 절대값이 아닌 상대값을 나타내는데 주로 가청음압의 최저치인 20마이크로파스칼을 기준음압으로 하여 20log(측정음압/기준음압)로 계산하게 된다.
음압센서(110)는 마이크로폰 또는 소음측정센서 등에 해당하며 소정 공 간(50)의 음압을 측정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음압센서(110)를 설치하여 측정하게 된다. 음압센서(110)는 소정 공간(50)의 음압을 측정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음압센서(110)는 디지털 변환기(120)에 연결되어 있다. 디지털 변환기(A/D컨버터)(120)는 음압센서(11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신호를 신호취득 모듈에서 이산화하여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음향신호가 연산부(300)를 포함하는 단말기(200)에 전송되어 음환경을 평가하게 된다. 단말기(200)는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평가결과를 연산을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라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또는 핸드폰 등 그 구체적인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측정수단(100)은 연결수단(150)에 의해 단말기(200)에 연결되며 연결수단(150)은 유선은 물론 무선으로도 가능하며 디지털 음향신호를 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된다. 단말기(200)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음향신호를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를 알려주게 된다.
먼저, 선택수단(210)은 스위치(220) 형태로 되어 사용자가 평가결과를 연산할 기준이 되는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하게 된다. 선택수단(210)의 스위치(220)는 특정 평가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평가기준 단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스위치(220)가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평가기준에 연결된 연산부로 음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평가기준은 소정 공간(50)의 종류(예:주거지,사무실,공장) 및 국가 및 평가제시기관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정 공간(50)의 목적과 국가 및 기관 등의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게 되면 그에 따른 평가기준이 선택되게 된다.
선택수단(210)에 따라 특정 평가기준이 선택되면 연산부(300)는 그러한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결과를 연산하게 된다. 음향신호를 특정 평가기준에 따라 연산하여 얻은 평가결과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소정 공간(50)에 대해 음향측정수단(100)이 실시간으로 음향신호를 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되면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가 디스플레이부(400)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도 2는 음환경 평가를 위해 선택수단(210), 연산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제어부(500) 및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하고 있는 단말기(200)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측정수단(100)에서 얻은 디지털 음향신호가 단말기(200)의 선택수단(210)으로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선택수단(210)은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공간(50)의 목적, 적용할 국가, 평가기관 등을 고려해 적용할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되게 된다.
연산부(300)는 전송된 음향신호를 선택된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평가기준에 따라 소정 공간(50)의 음압이 적정 기준을 초과하여 부적법한지 초과하지 않아 적법한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310)과 특정 평가기준을 기준으로 환경관련 규정 및 권장사항 등을 고려하여 어 느 정도 적절한 지 비교평가하는 비교평가수단(320)을 구비하고 있다.
연산부(300)에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평가연산데이터는 선택된 평가기준마다 다를 것이다. 연산부(300)에는 특정 평가기준마다 개별 연산수단들이 연결되어 있고, 판정수단(310)에는 개별 판정수단(310a,310b,310c,310d)들을 포함하고, 비교평가수단(320)에는 개별 비교평가수단(320a,320b,320c,320d)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수단(210)의 스위치(220)는 가장 위쪽에 있는 평가기준을 선택한 것을 알 수 있고, 연산부(300)에는 선택된 평가기준과 연결된 개별 판정수단(310a)과 개별 비교평가수단(320a)과 연결되어 이들이 연산을 수행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연산을 하기 위해 필요한 평가연산데이터는 제어부(500)에서 제공받으며 판정연산데이터와 비교평가연산데이터로 구성되어 진다. 판정수단(310)은 판정연산데이터를 제어부(500)에서 제공받고, 비교평가수단(320)은 비교평가데이터를 제어부(500)에서 제공 받는다. 이러한 평가연산데이터는 평가기준에 따른 관련규정, 환경규정, 권고사항 및 규제사항 등으로 결정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산부(300)에 연산할 연산수단(판정수단, 비교평가수단)들의 갯수는 선택수단(210)에서 선택할 수 있는 특정 평가기준의 갯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선택수단(210)에서 선택된 평가기준마다 그 기준에 맞는 연산부(300)의 판정수단(310) 및 비교평가수단(320)으로 평가결과를 연산하게 된다. 판정수단(310)에서의 연산은 음향신호가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판정연산데이터로 제한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초과하는 경우 특정 평가기준에 부적법 하다고 판단하고,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적법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평가수단(320)은 특정평가기준과 특정평가기준에 따른 환경관련규정 및 권장사항을 고려한 비교평가 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평가기준에 적절한 지 또는 어느 정도 부적절한 지를 평가하게 된다. 예를들어 등급을 구별하여 평가기준에 기준값에서 초과된 양이 클수록 등급을 높게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를 0등급이라고 정하고 초과되는 양이 클 수록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하고 기준값보다 미만인 경우, 미만인 값의 크기에 따라 -1등급. -2등급으로 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비교평가방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권리범위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이러한 평가결과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소정 공간(50)에 대해 실시간으로 현재 음압이 소정 공간(50)에서 허용되는 특정평가기준에 적합한지 부적합한 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어느 정도 적합한지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는 사용자가 평가결과를 인식할 수 있는 문자나 그래프 등으로 가능하며 구체적인 디스플레이된 모습의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수단(210)과 연산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는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어부(500)는 연산부(300)가 평가결과 연산에 필요한 평가연산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연산에 필요한 평가연산데이터와 과거와 현재 실시간으로 연산된 평가결과 및 디스플레이된 평가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600)와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600)는 실시간으로 연산된 평가결과를 저장할 뿐 아니라, 선택수단(210) 및 연산부(300)에서 연산 가능한 평가기준에 대한 평가연산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부(300)에 제공하여 평가결과를 연산하도록 한다. 또한, 선택수단(210)에서 선택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갯수와 연산부(300)에서 특정평가기준에 따른 연산수단(판정수단, 비교평가수단)의 갯수는 변화가 가능하다. 제어부(500)는 새롭게 필요한 평가연산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600)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500)는 새롭게 업데이트된 평가기준에 따라 선택수단(210)에 스위치(220)의 갯수를 변화하여 그에 따른 새로운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부(300)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새롭게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추가하는 것 뿐 아니라, 적용규정이 개정되거나 평가기준이 달라지거나 필요없는 평가기준, 규제사항 또는 권장사항이 수정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600)에서 평가연산데이터의 수정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수정된 사항으로 연산부(300)의 연산을 가능하게 하며 삭제된 사항은 더 이상 평가결과의 연산에 적용되지 않게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현재 음향측정수단(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전송된 음향신호에 적용되는 특정 평가기준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교체시킬 수 있다. 즉, 현재 평가결과를 연산하는 특정 평가기준을 달리하고 싶을 때, 제어부(500)는 선택수단(210)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평가기준으로 교체할 수 있 다.
구체적으로 공장이라는 소정 공간(50)에서 음향측정수단(100)에 의해 측정된 음향신호를 받아 A 평가기관이 제시한 평가기준을 선택수단(210)에서 선택하여 연산부(300)에서 선택된 평가기준에 따른 개별 연산수단(판정수단, 비교평가수단)으로 평가결과를 출력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B 평가기관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를 알고 싶은 경우 평가기준을 교체할 수 있다. B 평가기관에 따른 평가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제어부(500)는 선택수단(210)의 스위치(220)를 변화시키게 되면 그와 연결된 판정수단(310) 및 비교평가수단(320)으로 평가결과를 연산하여 출력하게 된다. 다만, 새롭게 적용할 평가기준에 대한 평가연산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되어 있는 사항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음향측정수단(100)과 평가결과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200)는 분리가 가능하여 음향측정수단(100)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소정의 공간(50)에서 음향측정수단(100)에 의해 측정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평가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즉 음향신호를 받아서 평가결과를 얻는 것은 항상 일체형을 이룰 필요는 없다. 소정의 음향측정수단(100)으로 음향신호를 측정하여 평가결과를 연산하다가 소정의 음향측정수단(100)을 분리하고 또 다른 음향측정수단(100)을 연결수단(150)에 의해 단말기와 연결하여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음향측정수단(100)에 의해 공장과 같은 소정의 공간(50)에서 디지털 음향신호를 측정하고 난 후에 사무실이나 주거지에서 선택수단(210), 연산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갖는 단말기(200)에 연결하여 적용할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 가결과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복수의 음압센서가 설치된 소정의 공간에 음환경을 평가하는 음환경 평가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센서(110)인 마이크로폰 5개가 각각 4개는 소정의 공간(50) 벽에 설치되고, 나머지 1개는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마이크로폰이 각각의 위치에서 음압을 측정하게 된다. 각각의 마이크로폰은 디지털 변환기(120)에 연결되어 음압의 평균된 값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50)에 대한 디지털 음향신호를 얻게 된다. 디지털 음향신호는 선택수단(210)과 연산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구비한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소정의 공간(50)에 적용할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음환경을 평가하게 된다. 도 3은 하나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마이크로폰의 갯수와 소정의 공간(50)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의 위치 등을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 아님은 자명하다.
(음환경 평가방법)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환경 평가방법의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당업자가 쉽게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실시예일 뿐 권리범위가 이하의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음환경 평가방법에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음향측정수단(100)이 소정 공간(50)의 음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음형신호 를 얻게 된다(S10). 음향신호는 연결수단(150)에 의해 단말기(2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게 된다(S20). 단말기(200)에 구비된 선택수단(210)의 스위치(220)가 소정 공간(50)의 종류, 목적, 평가기관 및 국가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평가기준 중에 적용할 평가기준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30). 평가기준을 선택하게 되면 연산부(300)에서 선택된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S40). 그리고,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400)는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평가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한다(S50).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음환경 평가방법에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소정의 공간(50)에 복수의 음압센서(110)가 설치되어 있고, 음압센서(110) 각각은 소정의 공간(50)에 음압을 측정하여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100). 각각의 음압센서(110)는 디지털 변환기(120)에 연결되어 있고, 디지털 변환기(120)는 아날로그신호를 이산화하여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게 된다(S200).
디지털 음향신호는 실시간으로 연결수단(150)에 의해 단말기(200)로 전송되게 된다(S300). 그리고, 선택수단(210)은 사용자가 원하는 평가결과를 얻기 위해 복수의 평가기준 중에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하게 된다(S400). 사용자가 특정국가, 소정의 장소에 목적, 특정 평가기관 등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500)는 선택수단(210)이 해당조건에 따른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수단(210)의 스위치(220)를 제어하게 된다.
선택수단(210)은 특정 평가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연산부(300)에 연결되어 있다. 연산부에는 특정 평가기준마다 연결된 개별 연산수단들을 포함하고 있다. 연산부(300)의 판정수단(310)은 제어부(500)에서 제공된 판정연산데이터를 적용하여 소장 공간(50)에서 얻은 음향신호가 특정 평가기준에 적법한지 부적법한지를 판정하게 된다(S500). 그리고, 비교평가수단(320)은 제어부(500)에서 제공된 비교평가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음향신호가 특정 평가기준에 적법하다면 어느 정도 적절한지를 평가하고, 부적법한 경우 어느 정도 부적절할 지를 수치로 평가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S600). 이러한 연산부(300)에서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평가기준, 규제사항 및 권장사항을 고려한 평가연산데이터를 제어부(500)에서 제공받아 수행하게 된다.
평가결과가 연산되면 그러한 평가 결과를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700). 따라서, 실시간으로 소정의 공간(50)에서 측정한 음향신호가 특정 평가기준에 적합한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연산된 평가결과는 데이터베이스(60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게 된다(S800).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음환경 평가방법에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단말기(200)는 음향측정수단(100)에서 출력한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송받게 된다(S1000). 앞서 설명한 것처럼 음향측정수단(100)과 단말기(200)는 분리될 수 있고, 소정 공간(50)에서 디지털 음향신호를 측정하고 난 후에 연결수단(150)에 의해 단말기(200)와 연결하여 평가결과를 연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600)에 평가기준, 규제사항 및 권장사항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의 수정, 삭제 또는 추가가 필요한 지를 결정하게 된다(S2000). 수정, 추가 또는 삭제가 필요한 경우 제어부(500)는 데이터베이스(600)에 평가연산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를 하여 업데이트하게 된다(S3000). 업데이트가 되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되어 있는 업데이트된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로 평가결과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선택수단(210)은 사용자가 원하는 평가결과를 얻기 위해 복수의 평가기준 중에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하게 된다(S4000). 사용자가 특정국가, 소정 공간(50)의 목적, 특정 평가기관 등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500)는 해당조건에 따른 특정 평가기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수단(210)의 스위치(220)를 제어하게 된다.
선택수단(210)은 특정 평가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연산부(300)와 연결되어 있고, 연산부(300)의 판정수단(310)은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판정연산데이터를 적용하여 소정 공간(50)에서 측정된 음향신호를 연산하여 특정 평가기준에 적법한지 부적법한 지를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평가수단(320)에서 음향신호가 특정 평가기준에 적법하다면 어느 정도 적절한지를 평가하고 부적법한 경우 어느 정도 부적절할 지를 평가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연산은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비교평가 연산데이터를 제어부(500)에서 제공받아 수행하게 된다(S5000).
그리고, 출력된 평가결과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되게 된다(S6000). 또한, 평가 결과는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S7000). 따라서, 실시간으로 소정 공간(50)의 음향신호가 특정 평가기준에 적합한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된 평가결과는 데이 터 베이스(60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게 된다(S8000).
평가결과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전송받은 음향신호에 대해 특정 평가기준을 교체하기를 원하는 지 결정할 수 있다(S9000). 특정 평가기준에 교체를 원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적용하기를 원하는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기준을 얻기 위해 선택수단(210)의 스위치(220)를 움직이게 한다(S10000). 선택수단(210)에서 적용할 평가기준을 선택하게 되면 그 후 부터는 새롭게 선택된 특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를 연산부(300)에서 연산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400)에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환경 평가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수단, 연산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및 데이버베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음압센서가 소정의 공간에 설치된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낸 음환경 평가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음환경 평가방법의 흐름도,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음환경 평가방법의 흐름도,
도 6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음환경 평가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소정 공간
100:음향측정수단
110:음압센서
120:디지털변환기
150:연결수단
200:단말기
210:선택수단
220:선택수단의 스위치
300:연산부
310:판정수단
320:비교평가수단
400:디스플레이부
500:제어부
600:데이터베이스

Claims (18)

  1. 소정의 공간에 음압을 측정하여 음향신호를 얻는 음향측정수단; 및
    측정된 상기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하여 상기 공간에 음환경을 평가하는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에는,
    복수의 평가기준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상기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출력한 상기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선택수단과 상기 연산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 필요한 상기 평가기준에 따른 상기 평가연산데이터를 상기 연산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평가결과 및 상기 평가연산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에 필요한 상기 평가연산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수정, 삭제 또는 추가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상기 평가기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여 적용할 상기 평가기준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측정수단과 상기 단말기는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측정수단은,
    상기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음압을 측정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얻는 적어도 하나의 음압센서; 및
    각각의 상기 음압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센서는,
    마이크로폰 또는 소음측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연산데이터는,
    판정연산데이터와 비교평가 연산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된 상기 판정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수단으로 부터 전송받은 상기 음향신호가 상기 평가기준에 적법한 것인지 또는 부적법한 것인 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판정수단;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된 상기 비교평가 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판정결과가 상기 평가기준에 어느 정도 적법한지 또는 어느 정도 부적법한 지를 비교평가하여 상기 평가결과를 출력하는 비교평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 시스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측정수단과 상기 단말기는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시스템.
  11. 제 10항의 음환경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에 있어서,
    음향측정수단에 의해 소정 공간의 음압을 측정하여 음향신호를 얻는 단계;
    단말기에서 상기 음향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선택수단이 복수의 평가기준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연산부에서 선택된 상기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연산데이터를 연산하여 평가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에서 출력한 상기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단계, 상기 출력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선택수단과 상기 연산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각각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에 필요한 상기 평가연산데이터를 상기 연산부에 제공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연산부에서 출력된 평가결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한 상기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연산부에 필요한 상기 평가연산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수정, 삭제 또는 추가하여 업데이트하며,
    상기 평가결과 출력 단계는,
    판정수단이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된 판정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수단으로 부터 전송받은 상기 음향신호가 상기 평가기준에 적법한 것인지 또는 부적법한 것인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비교평가수단이 상기 제어부 제공된 비교평가 연산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판정결과가 상기 평가기준에 어느 정도 적합한지 또는 어느 정도 부적법한 지를 비교평가하여 상기 평가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를 얻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음압센서로 상기 공간의 음압을 측정하여 아날로그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상기 음압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측정수단과 상기 단말기는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적용할 상기 평가기준을 교체할 지를 결정하고,
    상기 평가기준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여 적용할 상기 평가기준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환경 평가방법.
KR1020080107435A 2008-10-31 2008-10-31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 KR101097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35A KR101097839B1 (ko) 2008-10-31 2008-10-31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35A KR101097839B1 (ko) 2008-10-31 2008-10-31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30A KR20100048330A (ko) 2010-05-11
KR101097839B1 true KR101097839B1 (ko) 2011-12-23

Family

ID=4227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435A KR101097839B1 (ko) 2008-10-31 2008-10-31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1982C (en) 2004-09-27 2013-06-18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to manage spillover in an audience monitoring system
US8855101B2 (en) 2010-03-09 2014-10-07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synchronize actions of audio source monitors
US9021516B2 (en) 2013-03-01 2015-04-2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spillover by measuring a crest factor
US9118960B2 (en) 2013-03-08 2015-08-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spillover by detecting signal distortion
US9219969B2 (en) * 2013-03-13 2015-12-2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spillover by analyzing sound pressure levels
US9191704B2 (en) 2013-03-14 2015-11-17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crediting errors due to spillover using audio codes and/or signatures
US9924224B2 (en) 2015-04-03 2018-03-20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a state of a media presentation device
US9848222B2 (en) 2015-07-15 2017-12-19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spill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30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839B1 (ko) 음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음환경 평가방법
CN101097706B (zh) 控制显示特征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视接收机
CN103575177B (zh) 具有用户定义的显示的手持测量工具
US20100228521A1 (en) Electronic balance
CN107504634B (zh) 过滤网的洁净度检测方法、装置、空调器及可读存储介质
CN102959375B (zh) 用于检测按钮的激活的算法
KR101442601B1 (ko) 파일의 타겟 압축율 결정방법 및 장치
CN105241580A (zh) 一种温度校准方法及终端
EP251551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djusting menu bar softkey display dynamically
US10982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ackground noise of sensor
KR20210016609A (ko) 배터리 잔존가치 표시 장치
US10979833B2 (en) Acoustical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JP3976095B2 (ja) 液晶表示装置のガンマ値取得方法及びそれを実現するガンマ値取得システム並びにそのガンマ値取得コンピュータと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US20230177105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the measurement uncertainty of a measuring system
US20200217709A1 (en) Waage mit Überlastdiagnose
KR2007003005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테스트 방법, 그 장치 및 테스트시스템
JP2002228495A (ja) 計器評価システム
CN111276092B (zh) 一种优化参数确定方法及装置
JP7054641B2 (ja) 構造物特性評価システム
KR10142033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휘도의 불균일도 측정방법
CN109726992B (zh) 任务完成时间的评估方法及装置
US9900719B2 (en) Level set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320214B2 (ja) 重量指示計
JP2020190980A (ja) 劣化推定装置、劣化推定システム、劣化推定方法および劣化推定プログラム
CN110832557B (zh) 传感器装置、背景噪声数据发送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