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733B1 - 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733B1
KR101097733B1 KR1020100031996A KR20100031996A KR101097733B1 KR 101097733 B1 KR101097733 B1 KR 101097733B1 KR 1020100031996 A KR1020100031996 A KR 1020100031996A KR 20100031996 A KR20100031996 A KR 20100031996A KR 101097733 B1 KR101097733 B1 KR 101097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film
display module
icon film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2714A (en
Inventor
권순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0003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733B1/en
Publication of KR2011011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7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7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전환을 통해 다양한 아이콘들을 선택적으로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이 리모콘은 하우징과, 회로기판 상면에 부착되어 전기적 스위치 동작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돔시트 및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전면이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며 조작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과,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기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무선송출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전원공급을 위해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은 다수의 아이콘이 인쇄된 제1아이콘필름과, 제1아이콘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제1아이콘필름의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이 인쇄된 제2아이콘필름과, 제1아이콘필름과 제2아이콘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1반투명필름과; 제1아이콘필름 위에 배치된 제2반투명필름과; 제1아이콘필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광원과, 제2아이콘필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광원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selectively display a variety of icons through the screen switching to control a variety of functions, while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the size can be reduced, manufacturing cost or power consumption can be switched icon It relates to a remote control having a display module. The remote control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me seat and the circuit board having a housing, an actuato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to perform an electrical switch operation, and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the screen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t includes an icon display module, a wireless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user's operation signal to be sen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for power supply.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includes a first icon film having a plurality of icons printed thereon, a second icon film disposed under the first icon film and printed with icons of the first icon film and other icons, and a first icon film. A first translucent film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con films; A second translucent film disposed on the first icon film; And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irradiate light to the first icon film,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irradiate light to the second icon film.

Description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상에 다양한 아이콘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various icons on a screen.

텔레비전, 홈시어터, DVD플레이어와 같은 전자기기들은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Remote controller)을 구비한다. 최근 이러한 기기들이 고급화되고 그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도 채널선택이나 볼륨조절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많은 버튼들을 구비한다.Electronic devices such as televisions, home theaters, and DVD players have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evice remotely. Recently, as these devices are advanced and various functions thereof,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m is equipped with many buttons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channel selection and volume control functions.

그러나 버튼식 리모콘은 다수의 문자키, 숫자키, 각종 기능키 등 많은 버튼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복잡하다. 또 키들이 작아 조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버튼 수가 많아짐에 따라 그 부피가 큰 문제가 있다.However, the button-type remote control is visually complicated because it has many buttons such as a plurality of character keys, numeric keys, and various function keys. In addition, the keys are not only difficult to operate, but also have a large volume problem as the number of buttons increases.

이러한 관계로 최근에는 기계적으로 버튼을 누르는 방식이 아니라 화면상에 다양한 아이콘들을 선택적으로 표출시켜 사용자가 이를 동작시킬 수 있는 터치식 리모콘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모콘은 아이콘들의 표시 및 조작을 위해 엘씨디(LCD)와 같은 고가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높아 리모콘으로써 그 효용가치가 낮았다.In this regard, recently, touch-type remote controllers have been proposed to selectively display various icons on a screen instead of mechanically pressing a button to allow a user to operate them. However, since the remote control uses an expensive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d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nd manipulating icons, the remote control is not only expensive but also has high power consumption, and thus has low utility value.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씨디와 같은 고가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채용하지 않고서도 화면 전환을 통해 다양한 아이콘들을 선택적으로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s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various functions by selectively displaying various icons through screen switching without employing an expensive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d a touch screen. It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with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that allow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면전환을 통해 서로 다른 아이콘들을 표출시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나 소비전력을 통상의 버튼식 리모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various functions by displaying different icons through the screen switching,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r power consumption to the conventional button-type remote control level To provide a remote control with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that can be maintain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은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상면에 부착되어 전기적 스위치 동작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돔시트 및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전면이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며 조작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과,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기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무선송출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전원공급을 위해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은 다수의 아이콘이 인쇄된 제1아이콘필름과, 제1아이콘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제1아이콘필름의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이 인쇄된 제2아이콘필름과, 제1아이콘필름과 제2아이콘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1반투명필름과; 제1아이콘필름 위에 배치된 제2반투명필름과; 제1아이콘필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광원과, 제2아이콘필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광원을 포함한다.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dome formed with a housing having an opening in the front, a circuit board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n actuato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to perform an electrical switch operation.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at and the circuit board, the front surface of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the screen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 wireless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ransmitting a radio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user.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signal of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a pow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housing for power supply,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comprises a first icon film, a plurality of icons printed, and the first icon film A second icon film disposed below and printed with icons and other icons of the first icon film; A first semitransparent film disposed between the first icon film and the second icon film; A second translucent film disposed on the first icon film; And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irradiate light to the first icon film,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irradiate light to the second icon fil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상기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은 상기 제1아이콘필름의 단부와 상기 복수의 제1광원을 덮도록 부착된 복수의 제1차광시트와, 상기 제2아이콘필름의 단부와 상기 복수의 제2광원을 덮도록 부착된 복수의 제2차광시트와, 상기 제1아이콘필름의 테두리와 상기 제2아이콘필름의 테두리를 덮도록 상기 제1아이콘필름 위에 부착된 제3차광시트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ght-shielding sheet attached to cover the end of the first icon film and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blocking sheets attached to cover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icon film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and on the first icon film to cover an edge of the first icon film and an edge of the second icon film; It further comprises an attached third light blocking she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상기 복수의 제1광원과 제2광원은 적층 시 상호 겹치지 않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when stack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상기 복수의 제1광원은 제1아이콘필름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또는 폭방향 양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광원은 상기 제2아이콘필름의 폭방향 양측 단부 또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각각 대응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loca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con film,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Correspondingly provided to b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second icon film,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상기 제1아이콘필름은 장변 길이가 상기 제2아이콘필름의 장변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2아이콘필름은 단변 길이가 상기 제1아이콘필름의 단변 길이보다 넓게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first icon film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side length is provided longer than the long side length of the second icon film, the second icon film has a short side length of the first icon It is provided wider than the short side length of a fil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중 어느 한 쪽이 선택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trols either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to selectively emit ligh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은 화면전환을 통해 다양한 아이콘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의 화면을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본적인 기기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리모콘의 구성을 현저하게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이 용이하며 그 크기 또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display a variety of icons through the screen switching, and if necessary, can operate the basic device even without displaying the screen of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Therefo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can be significantly simplified, easy to use and the size can also be reduced.

또 본 발명은 엘씨디와 같은 고가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채용하지 않고서도 화면전환을 통하여 다양한 아이콘들을 표출시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나 소비전력을 통상의 버튼형 리모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various functions by displaying various icons through screen switching without employing an expensive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d a touch screen, so that manufacturing cost or power consumption can be maintained at the level of a normal button type remote controller. It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사시도로,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에 제1모드의 아이콘들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사시도로,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에 제2모드의 아이콘들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icons of a first mode are displayed on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con of the second mode is displayed on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of the remote control with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 하우징(10)의 전면부에 설치된 화면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20)과 고정형 키패드모듈(40), 그리고 복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한다. 또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로기판(60)과, 전자기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기(61), 동작제어를 위해 회로기판(60)에 마련된 제어장치(미도시), 그리고 각 부분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housing 10, the screen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20 and the fixed keypad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0 Module 40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lso installed in the housing 10 is a circuit board 60, a wireless transmitter 61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to an electronic device, a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circuit board 60 for operation control, and each And a power suppl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ion.

하우징(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상측의 전면하우징(11)과, 전면하우징(11)의 배면 쪽에 결합되는 후면하우징(12)을 포함하고, 전면하우징(11)은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20)과 고정형 키패드모듈(40)의 전면이 노출상태에서 상하 장착될 수 있도록 각각 상측 개구(11a)와 하측 개구(11b)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10 includes an upper front housing 11 coupled to each other and a rear housing 12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front housing 11, and the front housing 11 An upper opening 11a and a lower opening 11b are respectively provided so that the front surfaces of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20 and the fixed keypad module 40 can be mounted up and down in an exposed state.

전면하우징(11) 상부에 마련된 복수의 조작버튼은 전원버튼(51), 외부입력전환버튼(52), 그리고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2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아이콘표시모듈(20)의 화면을 제1모드와 제2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전환버튼(53)을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provided on the front housing 11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power button 51, the external input switching button 52, and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20, and at the same time, the icon display module ( And a mode switching button 53 for switching the screen of FIG. 20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고정형 키패드모듈(40)은 상대적으로 사용이 잦은 키들로 구성된다. 이 키패드모듈(40)은 볼륨 증가 및 감소키(41,42), 무음키(45), 채널증가 및 감소키(43,44), 그리고 전자기기의 화면상에 채널리스트를 표출시키기 위한 채널리스트키(46)를 구비한다. 이러한 키패드모듈(40)의 키들은 도면에 도시한 예처럼 회로기판의 접점들을 연결하는 메탈돔시트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통상적인 리모콘의 키들처럼 버튼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일 예로써 키패드모듈의 키들과 조작버튼들을 설명한 것일 뿐 키들과 조작버튼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xed keypad module 40 is composed of relatively frequent keys. The keypad module 40 has a volume increase and decrease key 41 and 42, a silent key 45, a channel increase and decrease key 43 and 44, and a channel list for displaying a channel list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key 46 is provided. The keys of the keypad module 40 may be configured in a metal dome sheet switch method for connecting the contacts of the circuit board as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like keys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Here, as an example, the keys and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keypad module are described, but the keys and the operation buttons are not limited thereto.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60)의 전면에 결합되며, 그 전면이 전면하우징(11)의 상측 개구(11a)를 통하여 노출된다. 아이콘표시모듈(20)은 다수의 아이콘이 인쇄된 제1아이콘필름(21)과, 제1아이콘필름(21) 하부에 배치되며 제1아이콘필름(21)의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이 인쇄된 제2아이콘필름(22)과, 제1아이콘필름(21)과 제2아이콘필름(22) 사이에 배치된 제1반투명필름(23)과, 제1아이콘필름(21) 위에 배치된 제2반투명필름(24)과, 제1아이콘필름(21)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복수의 제1광원(26)과, 제2아이콘필름(22)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복수의 제2광원(27)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2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60, and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opening 11a of the front housing 11. The icon display module 20 includes a first icon film 21 printed with a plurality of icons, a first icon film 21 disposed below the first icon film 21, and icons and other icons printed on the first icon film 21. 2 the icon film 22, the first semi-transparent film 23 disposed between the first icon film 21 and the second icon film 22, and the second semi-transparent film disposed on the first icon film 21. 24,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26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first icon film 21,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27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second icon film 22. Include.

제1아이콘필름(21)은 광투과율이 90% 이상인 투명필름에 빛 확산 및 반사특성을 가진 소재에 의해 다수의 아이콘들이 인쇄된 것이다. 제1아이콘필름(21)의 소재로는 빛을 안내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투명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제1아이콘필름(21)에 인쇄되는 아이콘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채널을 직접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키 등 비교적 사용빈도 높은 다수의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icon film 21, a plurality of icons are printed on a transparent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90% or more by a material having light diffusion and reflection characteristics.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icon film 21,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or polyurethane, which can guide light, may be used. As illustrated in FIG. 1, the icons printed on the first icon film 2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that are relatively frequently used, such as a channel key that allows a user to directly select and change a channel.

제2아이콘필름(22)도 제1아이콘필름(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소재에 의해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다. 제2아이콘필름(22)에 인쇄되는 아이콘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이콘필름(21)에 인쇄된 아이콘들과 다른 다수의 기능키들, 즉 메뉴설정과 방향설정을 위한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아이콘필름(21)의 아이콘들보다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낮은 것들이다. 또 제1 및 제2아이콘필름(21,22)의 아이콘들은 인쇄용 소재에 색상을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The second icon film 22 is also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by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icon film 22. The icons printed on the second icon film 22 may include icons printed on the first icon film 21 and a plurality of other function keys, that is, keys for menu setting and direction setting, as shown in FIG. 2. Can be. The frequencies of use a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the icons of the first icon film 21. In addition, icons of the first and second icon films 21 and 22 may be expressed in various colors by adding color to a printing material.

제1아이콘필름(21)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제1광원(26)은 제1아이콘필름(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제2아이콘필름(22)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제2광원(27)은 제2아이콘필름(22)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복수의 제1광원(26)은 제1아이콘필름(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제2광원(27)은 제2아이콘필름(22)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적층 마련되는 제1,2아이콘필름(21,22)의 특성상 어느 하나의 필름을 향해 조사되는 빛이 다른 필름으로 전파되거나 잔상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이러한 형태는 광원들(26,27)이 위치하는 부분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아이콘표시모듈(20)의 두께를 얇게 하여 리모콘의 두께를 더욱 슬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26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first icon film 21 are installed to b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icon film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rradiates light to the second icon film 22.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27 are disposed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icon film 22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on the contrary,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26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icon film 21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27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con film 22. It may be installed to be located at both ends. This is because the light irradiated toward one film does not propagate to another film or the afterimage remains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icon films 21 and 22 are laminated. ) Do not overlap, so the thickness of the icon display module 20 can be made thinner,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remote control.

제1 및 제2광원(26,27)은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FPCB(28,29) 상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FPCB(28,29)은 일측 단부(28a,29a)가 회로기판(60)과 각각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26 and 27 may be formed of LEDs and are installed on the FPCBs 28 and 29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60. One end 28a, 29a of the FPCBs 28 and 29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60, respectively.

또한, 제1광원들(26)이 제1아이콘필름(21) 단부에서 제1아이콘필름(21)으로만 빛을 조사하고, 제2광원들(27)이 제2아이콘필름(22) 단부에서 제2아이콘필름(22)으로만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1아이콘필름(21)과 제2아이콘필름(22)의 사이즈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아이콘필름(21)의 장변 길이를 제2아이콘필름(22)의 장변 길이보다 길게 마련하고 제2아이콘필름(22)의 단변 길이를 제1아이콘필름(21)의 단변 길이보다 넓게 마련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하여 제1,2아이콘필름(21,22)의 폭과 길이를 상호 다르게 마련하면, 광원들(26,27)이 상호 겹쳐지지 않기 때문에 제1광원(26)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제1아이콘필름(21)으로만 조사되고, 제2광원(27)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제2아이콘필름(22)으로만 조사된다. In addition, the first light sources 26 irradiate light only from the end of the first icon film 21 to the first icon film 21, and the second light sources 27 from the end of the second icon film 22. The size of the first icon film 21 and the second icon film 22 may be different so that only the second icon film 22 can be irradiated with light. For example, the long side length of the first icon film 21 may be longer than the long side length of the second icon film 22, and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second icon film 22 may be wider than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first icon film 21. If the widths and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icon films 21 and 22 are provid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or vice versa,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26 is not generated because the light sources 26 and 27 do not overlap each other. Is irradiated only to the first icon film 21, and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7 is irradiated only to the second icon film 22.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장치가 제1광원(26)과 제2광원(27) 중 어느 한 쪽으로만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면, 제1광원(26)과 제2광원(27)은 둘 중 어느 한 쪽만 발광되면서 제1아이콘필름(21)과 제2아이콘필름(22) 중 어느 한 쪽의 아이콘들만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device selectively applies the power to only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26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7 by a user's manipulation, the first light source 26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7 are both Only one of the two light emitting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only the icons of either one of the first icon film 21 and the second icon film (22).

제1반투명필름(23)은 제1광원(26)이 발광하여 제1아이콘필름(21)의 아이콘들이 표출되는 상황에서 제2아이콘필름(22)에 인쇄된 아이콘들의 잔상이 전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제2반투명필름(24)은 제2광원(27)이 발광하여 제2아이콘필름(22)의 아이콘들이 표출되는 상황에서 제2아이콘필름(21)에 인쇄된 아이콘들의 잔상이 전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제2아이콘필름(22)의 아이콘들이 표출될 때 제1아이콘필름(21)에 인쇄된 아이콘들의 잔상이 전면에 드러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1아이콘필름(21)의 아이콘들은 제2아이콘필름(22)의 아이콘들보다 엷게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ranslucent film 23 prevents the afterimages of the icons printed on the second icon film 22 from being expos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icons of the first icon film 21 are emitted by the first light source 26 emitting light. The second translucent film 24 emits light so that the second light source 27 emits light so that the afterimages of the icons printed on the second icon film 21 are not exposed to the front in the situation where the icons of the second icon film 22 are displayed. Function. When the icons of the second icon film 22 are displayed, the icons of the first icon film 21 are the second icon film 22 in order to minimize the afterimage of the icons printed on the first icon film 21. Printing thinner than the

또 아이콘표시모듈(20)은 제1광원들(26)과 제2광원들(27)의 빛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다수의 차광시트들을 구비한다. 차광시트들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이콘필름(2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와 복수의 제1광원(26)을 덮도록 제1아이콘필름(21)에 부착된 복수의 제1차광시트(31)와, 제2아이콘필름(22)의 폭방향 양측 단부와 복수의 제2광원(27)을 덮도록 제2아이콘필름(22)에 부착된 복수의 제2차광시트(32)와, 제1아이콘필름(21)의 테두리와 제2아이콘필름(22)의 테두리를 덮도록 제1아이콘필름(21) 위에 부착되며 제1 및 2아이콘필름(21,22)의 아이콘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33a)가 형성된 제3차광시트(33)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icon display module 2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sheets to prevent the light of the first light sources 26 and the second light sources 27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blocking sheets attached to the first icon film 21 to cover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con film 21 and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26 are provided. The sheet 31, a plurality of second light blocking sheets 32 attached to the second icon film 22 to cover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icon film 2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27; And attached to the first icon film 21 to cover the edges of the first icon film 21 and the edges of the second icon film 22 and to expose the icons of the first and second icon films 21 and 22. A third light blocking sheet 33 having an opening 33a is provided.

제2아이콘필름(22)의 하부와 회로기판(60)의 상면 사이에는 그 길이가 제1아이콘필름(21)의 길이에 대응하고 그 폭이 제2아이콘필름(22)의 폭에 대응하는 돔시트(35)가 구비된다. 돔시트(35)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 시 눌러지는 전기적 스위치 동작에 따른 아이콘의 위치를 회로기판(6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 특허등록 제10-0929150호에 따라 제조된 액츄에이터(36)가 돌출 형성된 돔시트(35)를 채용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dome whose length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first icon film 21 and whose width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second icon film 22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con film 22 and the top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60. The sheet 35 is provided. The dome sheet 35 is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icon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witch operation press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 to the circuit board 60,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9150 filed and registered by the inventor Since the manufactured actuator 36 can adopt the protruding dome sheet 35,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한편, 아이콘표시모듈(20)을 조립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60) 상에 돔시트(35), 제2아이콘필름(22), 제2차광시트(32), 제1반투명필름(23), 제1아이콘필름(21), 제1차광시트(33), 제2반투명필름(24), 제3차광시트(33)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방식으로 부착한다. 제2반투명필름(24) 위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페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재질의 액정보호시트(미도시)를 선택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assembling the icon display module 20, as shown in FIG. 4, the dome sheet 35, the second icon film 22, the second light shielding sheet 32, and the first on the circuit board 60 are illustrated. The translucent film 23, the first icon film 21, the first light blocking sheet 33, the second semitransparent film 24, and the third light blocking sheet 33 are sequentially attached in a manner of being laminated. A liquid crystal protective sheet (not shown) made of polycarbonate (PC)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y be selectively provided on the second semitransparent film 24.

다음은 이러한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의 사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how to use the remote control having such an icon display module.

리모콘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도 1의 아이콘표시모듈(20)을 켜지 않고서도 기본적인 조작을 할 수 있다. 즉 상측의 전원버튼(51)과 아래쪽의 고정형 키패드모듈(40)에 마련된 기능키들을 이용하여 볼륨조절이나 채널변경, 무음선택, 전자기기 화면상에 채널리스트를 표출시키는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When using the remote control, the user can perform basic operations without turning on the icon display module 20 of FIG. That is, by using the function keys provided on the upper power button 51 and the fixed keypad module 40 on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execute functions for volume control, channel change, silent selection, and channel list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사용자가 채널 등을 직접 선택하고자 할 때는 하우징(10) 전면의 모드전환버튼(53)을 조작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표시모듈(20)의 화면이 표시된다. 모드전환버튼(53)을 실행할 때는 도 1의 예처럼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제1아이콘필름(21)의 아이콘들이 표출된다(제1모드). 이때 제어장치는 제1광원(26)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제1아이콘필름(21)에만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제1아이콘필름(21)에 인쇄된 아이콘들이 표출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아이콘필름(21) 상에 나타낸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돔시트(35)가 눌러지면서 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아이콘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송출기(61)를 통해 전자기기에 마련된 리모컨수신부에 송출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wants to directly select a channel or the like, the screen of the icon display module 20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 by operat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53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0. When the mode switch button 53 is executed, icons of the first icon film 21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use are displaye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 (first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first light source 26 to emit light so that light is irradiated only to the first icon film 21 so that the icons printed on the first icon film 21 are displaye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clicks on the icon shown on the first icon film 21, the corresponding dome sheet 35 is pressed and the control device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icon operated by the user and corresponds to the recognized icon position. By converting the command data to digital data, and by sending the converted digital data to the remote control receiver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61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표시모듈(20)을 제1모드로 사용하던 중에 메뉴설정이나 다른 기능의 조작을 위해 아이콘표시모듈(20)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때는 하우징(10) 상부의 모드전환버튼(53)을 조작하거나 제1모드의 아이콘들 중 모드전환아이콘을 조작한다. 이렇게 하면 제어장치는 제2광원(27)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제2아이콘필름(22)에만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제2아이콘필름(22)의 아이콘들이 표출된다. 따라서 제2아이콘필름(22)의 아이콘들을 조작하여 전자기기의 다른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while using the icon display module 20 in the first mode, the icon display module 20 is switched to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 2 for menu setting or operation of other functions. If you want to operate the mode switching button 53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or the mode switching icon of the icons of the first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second light source 27 to emit light so that only the second icon film 22 is irradiated with light, thereby displaying the icons of the second icon film 22. Therefore, the other icons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ontrolled by manipulating the icons of the second icon film 22.

제2모드의 화면에서 다시 제1모드로 전환할 때도 모드전환버튼(53)이나 화면상에 마련되는 모드전환아이콘을 조작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또 아이콘표시모듈(20)은 모드전환버튼(53)을 상대적으로 길게 조작하는 방식에 의하여 화면이 나타나지 않게 꺼지도록 할 수 있다. 또 아이콘표시모듈(20)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장치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반투명필름(24) 상부에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미도시)을 배치하여 아이콘표시모듈(20)이 모드전환버튼을 상대적으로 길게 조작하는 방식에 의하여 화면이 나타나지 않게 꺼지도록 하였을 때 터치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When switching from the screen of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again, it can be changed by operat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53 or the mode switching icon provid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icon display module 20 may be turned off so that the screen does not appear by operating the mode switch button 53 relatively long. In addition, when the set time elapses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icon display module 20, the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that it is not in use, and may turn off automatically. In addition, the capacitive touch screen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second translucent film 24 so that the icon display module 20 may be turned off so that the screen does not appear by operat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relatively long. When the touch screen can be selectively operated.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은 아이콘표시모듈(20)의 화면전환을 통해 다양한 아이콘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아이콘표시모듈(20)의 아이콘들을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정형 키패드모듈(40)을 통하여 기본적인 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버튼형 리모콘에 비하여 그 구성을 현저하게 단순화할 수 있고 그 크기 또한 줄일 수 있다. 또 엘씨디와 같은 고가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채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비용이나 소비전력을 통상의 버튼형 리모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ively display various icons through the screen switching of the icon display module 20. In addition, even if the icons of the icon display module 20 are not displayed, the basic device can be operated through the fixed keypad module 40 as necessary.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button type remote controller, the configuration can be significantly simplified and its size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does not employ expensive display devices such as LCD and touch screen, so manufacturing cost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maintained at the level of a normal button type remote controller.

10: 하우징, 20: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
21: 제1아이콘필름, 22: 제2아이콘필름,
23: 제1반투명필름, 24: 제2반투명필름,
26: 제1광원, 27: 제2광원,
31: 제1차광시트, 32: 제2차광시트,
33: 제3차광시트, 35: 돔시트,
40: 고정형 키패드모듈,
51: 전원버튼, 53: 모드전환버튼,
60: 회로기판, 61: 무선송출기.
10: housing, 20: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21: the first icon film, 22: the second icon film,
23: first translucent film, 24: second translucent film,
26: first light source, 27: second light source,
31: first light blocking sheet, 32: second light blocking sheet,
33: third shading sheet, 35: dome sheet,
40: fixed keypad module,
51: power button, 53: mode switch button,
60: circuit board, 61: radio transmitter.

Claims (7)

삭제delete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상면에 부착되어 전기적 스위치 동작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돔시트 및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전면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며 조작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기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상기 무선송출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전원공급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은 다수의 아이콘이 인쇄된 제1아이콘필름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아이콘필름의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이 인쇄된 제2아이콘필름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과 상기 제2아이콘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1반투명필름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 위에 배치된 제2반투명필름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광원과, 상기 제2아이콘필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광원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의 단부와 상기 복수의 제1광원을 덮도록 부착된 복수의 제1차광시트와, 상기 제2아이콘필름의 단부와 상기 복수의 제2광원을 덮도록 부착된 복수의 제2차광시트와, 상기 제1아이콘필름의 테두리와 상기 제2아이콘필름의 테두리를 덮도록 상기 제1아이콘필름 위에 부착된 제3차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A dome seat with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surface, a circuit board installed in the housing, an actuato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an actuator configured to perform an electrical switch operation, and the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that is exposed through the screen and the screen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a wireless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o send a user's operation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tter A power supply installed in the housing for power supply;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first icon film printed with a plurality of icons, a second icon film disposed under the first icon film and printed with icons different from the icons of the first icon film, and the first icon film; A first semi-transparent film disposed between the first icon film and the second icon film, a second translucent film disposed on the first icon film,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irradiate light to the first icon film.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irradiate light to the second icon film, and end portions of the first icon film and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rst light blocking sheets, a plurality of second light blocking sheets attached to cover end portions of the second icon film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edges of the first icon film and the second icon film. The film so that the first icon, the second remote control with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comprising: a third light-shielding sheet attached on the cover bord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광원과 제2광원은 적층 시 상호 겹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are install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when stack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광원은 제1아이콘필름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또는 폭방향 양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광원은 상기 제2아이콘필름의 폭방향 양측 단부 또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각각 대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con film,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may be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r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con film. Remote control with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stalled so as to posi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콘필름은 장변 길이가 상기 제2아이콘필름의 장변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2아이콘필름은 단변 길이가 상기 제1아이콘필름의 단변 길이보다 넓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icon film has a long side length that is longer than the long side length of the second icon film, the second icon film has a short side length is a switchable icon, characterized in that is provided wider than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first icon film Remote control with display modu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중 어느 한 쪽이 선택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control device controls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to selectively emit ligh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상면에 부착되어 전기적 스위치 동작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가 형성된 돔시트 및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전면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며 조작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자기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기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상기 무선송출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전원공급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은 다수의 아이콘이 인쇄된 제1아이콘필름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아이콘필름의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이 인쇄된 제2아이콘필름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과 상기 제2아이콘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1반투명필름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 위에 배치된 제2반투명필름과, 상기 제1아이콘필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광원과, 상기 제2아이콘필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반투명필름 상부에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A dome seat with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surface, a circuit board installed in the housing, an actuato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an actuator configured to perform an electrical switch operation, and the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that is exposed through the screen and the screen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a wireless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o send a user's operation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tter A power supply installed in the housing for power supply;
The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first icon film printed with a plurality of icons, a second icon film disposed under the first icon film and printed with icons different from the icons of the first icon film, and the first icon film; A first semi-transparent film disposed between the first icon film and the second icon film, a second translucent film disposed on the first icon film,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irradiate light to the first icon film.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irradiate light to the second icon film,
A remote control having a switchable icon displ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ive touch screen is disposed on the second translucent film.
KR1020100031996A 2010-04-07 2010-04-07 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KR1010977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96A KR101097733B1 (en) 2010-04-07 2010-04-07 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96A KR101097733B1 (en) 2010-04-07 2010-04-07 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14A KR20110112714A (en) 2011-10-13
KR101097733B1 true KR101097733B1 (en) 2011-12-22

Family

ID=4502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96A KR101097733B1 (en) 2010-04-07 2010-04-07 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7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599B1 (en) 2014-12-23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645Y1 (en) * 2007-06-20 2008-02-28 (주) 디지로그 디스플레이 A conversional keypad package using light guiding shee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645Y1 (en) * 2007-06-20 2008-02-28 (주) 디지로그 디스플레이 A conversional keypad package using light guiding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14A (en)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862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30040131A (en) Touch keypad module
KR101301521B1 (en) Portable terminal
US2017016383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20080280652A1 (en) Reconfigurable keypad method in handset device operable with plural subsystems
JP4922227B2 (en) Electronics
US20110242612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operation device
JP2007068173A (en) Touch key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US2011024261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operation device
JP2011258382A (en) Operating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2010153139A (en) Electronic device
KR20090113371A (en)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092038A1 (en) Chameleon button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tactile feel
WO2008097039A1 (en) Keyboard input device capable of key color adjusting and key color adjusting method using thereof
US20160291835A1 (en)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display control system and input device
KR20090125071A (en)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524964A (en) Device for entering control commands
KR101097733B1 (en) 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KR101031008B1 (en) Remote controller having conversion type icon display module
US5610797A (en) Control panel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JP7177978B2 (en) Remote control device
KR100698139B1 (en) Mobile Phone and Key Inputing Device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65665Y1 (en) Image display module
KR101339035B1 (en) Folder type remocon
CN210627135U (en)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