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503B1 - System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503B1
KR101097503B1 KR1020090077712A KR20090077712A KR101097503B1 KR 101097503 B1 KR101097503 B1 KR 101097503B1 KR 1020090077712 A KR1020090077712 A KR 1020090077712A KR 20090077712 A KR20090077712 A KR 20090077712A KR 101097503 B1 KR101097503 B1 KR 101097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roadcast service
short
coordinator
shor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0038A (en
Inventor
임철호
김문기
노재연
최근환
한경식
유재황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503B1/en
Priority to PCT/KR2010/003016 priority patent/WO2011021765A1/en
Publication of KR2011002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5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04B5/7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소정의 근거리 영역에 대해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영역과 대응되는 AP(Access Point)에 전달한 후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근거리 영역에 컨텐츠를 방송함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방송 구간에서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방송하기에 적합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정의하여 이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근거리 영역상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컨텐츠의 전송 속도도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보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ystem and method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near field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In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delivering a content for broadcasting in a predetermined short range area to a AP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a wired network may be short-range wireless. In the method of broadcasting content in a short range region, a superframe structure suitable for broadcasting content in real time in a short range wireless broadcasting section is defined and configured to transmit content through the conten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deliver content in real time in a short range wireless manner in the short range area, but also can ensure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content over a predetermined level.

근거리 무선, 유선 네트워크, 방송, 슈퍼프레임 Short-range wireless, wired network, broadcasting, superframe

Description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TECHNICAL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

본 발명은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와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근거리 영역에 대해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영역과 대응되는 AP(Access Point)에 전달한 후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근거리 영역에 컨텐츠를 방송함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방송 구간에서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방송하기에 적합한 슈퍼프레임 구조 및 이를 통해 컨텐츠의 전송 속도를 예정된 레벨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and more particularly, after delivering content for broadcasting in a predetermined short range area to an AP corresponding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a wired network. In broadcasting contents in a near field by a near field wireless method, a superframe structure suitable for broadcasting contents in real time in a near field wireless region and a near field to ensure a transmission rate of the content at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최근에 들어, WPAN/WL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Wireless LA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services have been provid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PAN / WL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Wireless LAN).

예를 들어, 주차장에서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주유중인 차량의 단 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쿠폰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For example, a service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 or a coupon is provided to a terminal of a vehicle in charge using Bluetooth in a parking lot.

이러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송신측 장비(Access Point)와 전송받는 수신측 장비(End Device) 간의 무선 전송기술이 사용되며, 송신측 장비(Access Point)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정 서버에서 송신측 장비(Access Point)로까지의 유선전송 기술이 사용된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wireless service, a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is used between an access point providing content and an end device receiving a transmission, and the content is provided to an access point. For this purpose, wired transmission technology from a specific server to an access point is used.

여기서, 무선 전송기술이 사용되는 송신측 장비(Access Point) 및 수신측 장비(End Device) 간의 데이터 통신 구간은 슈퍼프레임(Superframe)이라는 시간개념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Here, the data communication section between the access point (Access Point) and the receiving end device (End Device) us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performs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concept of time superframe (Superframe).

이러한 종래의 슈퍼프레임 구조는 송신측 장비(Access Point, 이후부터는 '코디네이터'로 명명하기로 함) 및 수신측 장비(End Device, 이후부터는 '디바이스'로 명명하기로 함) 간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근거리 영역에 브로드케스팅 방식으로 컨텐츠를 방송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This conventional superframe structure is based on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ccess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rdinator') and a receiving device (End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vice'). It is a structure that is not suitable for broadcasting content in a near field by broadcasting.

이에 따라, 종래의 슈퍼프레임 구조는 실시간성으로 컨텐츠를 방송할 수 있도록 보장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근거리 영역상에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도도 일정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superframe structure does not guarantee not only that the content can be broadcast in real time,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transmission speed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 the short range region is not constant.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There is a need for a solu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 명의 목적은 소정의 근거리 영역에 대해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영역과 대응되는 AP(Access Point)에 전달한 후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근거리 영역에 컨텐츠를 방송함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방송 구간에서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방송하기에 적합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liver content for broadcasting on a predetermined short range area to a AP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a wired network, A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to implement a superframe structure suitable for broadcasting contents in real time in a short range wireless broadcasting section in broadcasting contents in a short range region in a wireless manner. And it provides a device appli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 무선방식의 방송 구간에서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방송하기에 적합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통해 근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코디네이터에서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at least one device located in the local area from the coordinator corresponding to the local area through a superframe structure suitable for broadcasting the content in real time in the short-range wireless broadcasting section. A system and method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are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코디네이터는 유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받은 후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바 이스는 상기 전용 구간에 대응되는 타임 슬롯에 동작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evice and a device for 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n a short range area. A system including a coordinator for processing a resource, wherein the coordinator is provided with the content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from a wired network, and then the coordinator is preset in an active section of the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s broadcast to the short-range area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a broadcast service, and the device receives the content by operating in a time slot corresponding to the dedicated sectio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디네이터는 상기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상기 전용 구간을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에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ordinator receives the contents in real time and broadcasts the contents in real time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the dedicated sectio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코디네이터는,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로서, 상기 디바이스와 동기를 맞추고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서브 비콘을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 및 유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에 상기 컨텐츠의 방송을 요청하는 상위계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의 구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ordinator of the superframe structure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 the short-range area 12. A coordinator for processing resources for a network, comprising: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for synchronizing with the device and broadcasting a sub-beacon in the short range region to determine a structure of a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And an upper layer unit receiving content for a broadcast service in the local area from a wired network and requesting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to broadcast the content,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responds to the request. The content is broadcasted to the local area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broadcast service preset in an active period among the sections of the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슈퍼프레임의 구간 중 인엑티브 구간에서 마스터 채널로 이동하여 마스터 비콘을 전송한 후 채널 스위칭을 통해 서비스 채널로 전환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을 통해 상기 서브 비콘을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moves to the master channel in the inactive period of the section of the superframe, and transmits the master beacon, and then switch to the service channel through channel switching, the sub-beacon through the service cha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in the broadcast method.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엑티브 구간을 시계열적으로 상기 서브 비콘을 전송하기 위한 비콘슬롯 구간, 상기 서브 비콘의 전송 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 다른 디바이스들과 경쟁적으로 통신 연결하기 위한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 상기 전용 구간, 및 상기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대역폭의 할당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구간인 GTS(Guaranteed Time Slot)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is a beacon slot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sub beacons in time series for the active interval, the device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sub beacons competitively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of the at least one or more devices At least one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for connection, the dedicated period, and a GTS (Guaranteed Time Slot), which is a period for operation of an application for allocating an application or bandwidth for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lementation includes a contention free period (CFP) including the ab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에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through 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CSMA / CA) scheme in the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적응되는 상기 전용 구간 및 상기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varies the size of the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dicated period and the contention free period (CFP) adapted to the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컨텐츠를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상기 전용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assigns at least on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 a broadcast manner to set the dedicated s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거나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전송을 실행하지 않으며, 상기 전용 구간을 통한 상기 컨텐츠의 전송이 실패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상기 상위계층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does not request a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from the device or execute a retransmission of the content, and this is the result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through the dedicated section fails.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lay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디바이스는,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여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는 코디네이터로부터 서브 비콘을 수신한 후, 상기 서브 비콘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용 구간에 대한 시계열 상의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코디네이터로부터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되어 방송 채널이 시작되는 상기 전용 구간 내의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을 판별하며, 상기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코디네이터로부터 방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 및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수신 결과를 제공받아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위한 상위계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mong the systems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evice is located in the short range region to form at least one wireless network As a device, after receiving a sub beacon from the coordinator for processing a resource for the device, and through the sub beacon to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preset in the active period of the super frame based o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Determine a location on a time series with respect to a dedicated section for a broadcast interval, determine a broadcast service time slot within the dedicated section where a broadcast channel is started by broadcasting from the coordinator to the short-range region, and broadcast from the coordinator during th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And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for operating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content and an upper layer unit for receiving a result of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to start a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은 상기 방송 채널의 종류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for each type of the broadcast channel.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또는 상기 코디네이터 이외의 다른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을 필터링하여 제거한 후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레임을 처리하여 상기 상위계층부에 결과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filters and removes frames received from a network other tha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or a coordinator other than the coordinator, and processes the frames for the contents to result in the upper layer unit. It is characterized by repor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FCS(Frame Check Sequence) 값을 판별하고, 상기 FCS(Frame Check Sequence) 값에 예정된 레벨 이상의 오류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determines a frame check sequence (FCS) value for a frame of the content, and removes the corresponding frame when an error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included in the frame check sequence (FCS) value.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수신에 대해 불규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추가적인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does not perform additional filtering when the frame reception of the content is set in an irregular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불규칙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타입에 대한 서브 필드를 판별한 결과가 예약된 프레임 타입이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버전에 대한 서브 필드를 판별한 결과가 예약된 프레임 버전이 아닌 경우, 및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에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있을 때에 상기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상기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ID가 아닌 경우 또는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의 방송과 대응되는 네트워크 ID가 아닌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에 해당되면 추가적인 필터링을 통해 해당 프레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determines that the subfield for the frame type of the content is not set to the irregular mode, the sub access to the frame version of the content is not performed. When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field is not the reserved frame version, and when the frame of the content includes the network ID of the frame transmission destination, the network ID of the frame transmission destination is not the network ID of the device, or to the local area. If the corresponding condi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network ID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is not included, the corresponding frame is removed through additional filter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레임 제어 필드의 그룹 키 서브 필드에 있는 그룹 키 값이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되어 기 저장중인 그룹 키 값과 매칭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프레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removes the frame when the group key value in the group key subfield of the frame control field for the content does not match the group key value that is allocated to the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위한 방법은,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와 동기를 맞추고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상기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서브 비콘을 최초 타임 슬롯에 할당하여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는 서브 비콘의 전송 구간 단계, 상기 서브 비콘을 수신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유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방송하는 것과 관련되는 명령어 프레임을 송수신하기 위한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대한 트래픽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전용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전용 구간 단계 및 상기 전용 구간의 종료 후 상기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대역폭의 할당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구간인 GTS(Guaranteed Time Slot)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를 설정하기 위한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form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or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 the short range region; A method for coordinating resources to achieve a superframe structur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comprising: firstly, a sub-beacon for synchronizing with the device and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the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Transmitting a sub-beacon to be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by allocating a time slot,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sub beacon, and then broadcasting content for a broadcast service received from a wired network to the local area; Related to Comprising a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step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and frames, at least on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 a broadcast manner according to the traffic conditions for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At least one dedicated section step for setting a dedicated section and at least one GTS (Guaranteed Time Slot)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for requesting allocation of bandwidth or an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after the end of the dedicated section; And a contention free period (CFP) step for setting a contention free period (CFP).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용 구간 단계는 상기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의 수 및 프레임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구간 크기를 가변적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edicated interval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size is variably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broadcast service time slots and the frame size.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 기반의 컨텐츠 전송 방법은,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소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 간에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코디네이터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가 상기 디바이스와 동기를 맞추고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서브 비콘을 상기 근거리 영역에 송출하는 서브 비콘 송출 단계, 상기 코디네이터의 상위계층부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방송 요청을 수신하는 방송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슈퍼프레임의 구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컨텐츠 방송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가 상기 전용 구간에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 모듈을 동작케 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디바이스의 상위계층부에 전달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된느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하는 수신결과 보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content based on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n a short range region; A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 for a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 range area between coordinators for processing resources for the device,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of the coordinator synchronizes with the device and is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A sub-beac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sub-beacon for determining a structure of a superframe to be in the short range region, a broadcast reques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broadcast request for the content from an upper layer unit of the coordinator, in response to the request remind A content broadcasting step of broadcasting the content to the short-range area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broadcast service preset in an active section of the perframe, and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of the device provides the content to the dedicated section; Receiving the content receiving step of operating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content and the reception result report for transmitting the reception result for the content to the upper layer of the device to start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근거리 영역에 대해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영역과 대응되는 AP(Access Point)에 전달한 후 근거 리 무선방식으로 근거리 영역에 컨텐츠를 방송함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방송 구간에서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방송하기에 적합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정의하여 이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함에 따라, 근거리 영역상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컨텐츠의 전송 속도도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for broadcasting in a predetermined short range area is delivered to the AP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a wired network, and then in the short range wireless method, the content is broadcast in the short range area. By defining a superframe structure suitable for broadcasting contents in real time in the broadcasting section and transmitting the contents through them, not only can the contents be delivered in real time in a short range wirelessly but also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contents is plan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guaranteed above the level.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지는 시스템은 소정의 지역에 위치하는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200) 및 이러한 디바이스(200)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1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in FIG. 1,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includes at least one device 200 for 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n a short range region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And the coordinator 100 for processing resources for such a device 200.

여기서, 코디네이터(100)는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받은 후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200)에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제공받은 컨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리소스 처리를 담당한다.Here, the coordinator 100 receives content for broadcasting in the short-range area from the wired network (eg, the Internet), and then provides the content received in a short-range wireless manner to at least one device 200 located in the short-range area. Responsible for processing resources for broadcasting.

이를 위해, 코디네이터(100) 및 디바이스(2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슈 퍼프레임 구조는 비콘 프레임, 엑티브 구간, 인엑티브 구간으로 크게 구분된다.To this end, the superframe structure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rdinator 100 and the device 200 is largely divided into a beacon frame, an active section, and an inactive section.

이와 같은 기본 구조의 슈퍼프레임은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채널의 시간을 제한하고 프레임의 각 구간을 구분하여 근거리 영역에 방송 방식으로 해당 컨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전용 구간을 정의함에 따라, 실시간성의 방송 데이터도 전송속도의 지연없이 근거리 영역 내의 각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superframe of such a basic structure is limited to limiting the time of the channel and classifying each section of the frame so as to provide a broadcast service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short range by broadcasting. As the interval is defined, the broadcast data of real time may be transmitted to each device 200 in the short range without delay in transmission speed.

코디네이터(100)는 상기와 같이 정의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통해 슈퍼프레임의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해당 컨텐츠를 근거리 영역에 방송한다.The coordinator 100 broadcas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local area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a broadcast service preset in the active section of the superframe through the superframe structure defined as described above.

이에,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디바이스(200)는 전용 구간에 대응되는 타임 슬롯에 방송수신 모듈을 동작케 하여 근거리 영역으로 방송되고 있는 컨텐츠를 수신한다.Accordingly, the device 200 located in the short range region receives the content broadcast in the short range region by operating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in a time slot corresponding to the dedicated sec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디네이터(100) 및 디바이스(200) 간의 통신을 위한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슈퍼프레임은 코디네이터(100) 및 디바이스(2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간개념을 유선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에서 전달되는 방송 서비스용 컨텐츠를 근거리 영역에 원활하게 방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를 제시한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uperfram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rdinator 100 and the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1. As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in FIG. 2, the super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broadcast service content delivered from a wired network (eg, the Internet) to a time concept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rdinator 100 and the device 200. We propose a new structure for smooth broadcasting to the area.

비콘 프레임에 위치하는 서브 비콘은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코디네이터(100)가 근거리 영역 상에 위치하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것으로, 디바이스(200)와 동기를 맞추고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는 S0(Superframe Order) 값, BO(Beacon Order) 값을 포함한다. 참고로, S0(Superframe Order) 값 및 BO(Beacon Order) 값은 코디네이터(100)가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의 상태를 보고 결정하는 값이다.The sub-beacon located in the beacon frame is transmitted by the coordinator 100 which manages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to the device 200 located in the short range, and synchronizes with the device 200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superframe. It includes S0 (Superframe Order) value and BO (Beacon Order) value. For reference, the S0 (Superframe Order) value and the BO (Beacon Order) value are values determined by the coordinator 100 based on the state of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예를 들면, 보낼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S0(Superframe Order) 값 및 BO(Beacon Order) 값을 큰 값으로 부여하고, 실시간성 트래픽이면 BO(Beacon Order) 값을 작은 값으로 한다.For example, if there is a lot of data to send, S0 (Superframe Order) value and BO (Beacon Order) value are given as large values, and in case of real-time traffic, BO (Beacon Order) value is set as small value.

코디네이터(100)가 이와 같은 서브 비콘을 슈퍼프레임의 0번째 슬롯(즉, 비콘슬롯 구간)에서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The coordinator 100 transmits such a sub beacon to the device 200 located in the near area in the 0th slot (ie, beacon slot section) of the superframe.

이로서, 디바이스(200)는 서브 비콘을 수신한 후 BO(Beacon Order) 값으로 서브 비콘 사이의 간격(BI: Beacon Interval)을 결정하고, S0(Superframe Order) 값으로는 엑티브 구간(SD: Superframe Duration)을 결정한다. As a result, the device 200 determines a Beacon Interval (BI) between the sub beacons with a BO (Beacon Order) value after receiving the sub beacon, and an active period (SD: Superframe Duration) as the S0 (Superframe Order) value. Is determined.

여기서, 서브 비콘 사이의 간격(BI: Beacon Interval)은 다음 서브 비콘이 전송될 때까지의 길이이고, SD(Superframe Duration)은 비콘 프레임의 시작부터 엑티브 구간 끝까지의 길이이다. 한편, 서브 비콘 사이의 간격(BI: Beacon Interval)와 엑티브 구간(SD: Superframe Duration)이 결정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인엑티브 구간이 결정되어 진다.Here, the interval between sub beacons (BI: Beacon Interval) is the length until the next sub beacon is transmitted, SD (Superframe Duration) is the length from the start of the beacon frame to the end of the active period. Meanwhile, as the interval between sub beacons (BI: Beacon Interval) and the active period (SD: Superframe Duration) is determined, the inactive period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O(Beacon Order) 값은 0 ≤ BO ≤ 14 값을 가지며, SD(Superframe Duration) 값도 0 ≤ SO ≤ 14 값을 가진다. 여기서, SD(Superframe Duration) 값이 14가 되면 인엑티브 구간을 존재하지 않게 된다.The BO (Beacon Order) value has a value of 0 ≦ BO ≦ 14 and the SD (Superframe Duration) value also has a value of 0 ≦ SO ≦ 14. Here, when the SD (Superframe Duration) value is 14, there is no inactive section.

또한, 인엑티브 구간에서는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모든 디바이스(200)가 Sleep 모드로 들어가게 되고 마스터 비콘을 전송하는 코디네이터(100)만 마스터 채널로 이동하여 마스터 비콘을 전송한다.In addition, in the inactive section, all devices 200 located in the short range area enter the sleep mode, and only the coordinator 100 transmitting the master beacon moves to the master channel to transmit the master beacon.

여기서, 마스터 비콘의 역할은 디바이스(200)가 서비스 연결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특정 채널로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Here, the role of the master beacon is responsible for a function for fixing to a specific channel so that the device 200 can quickly connect the service.

이에, 디바이스(200)는 마스트 비콘을 수신한 후 채널 스위칭을 통해 서비스 채널로 전환하여 서브 비콘을 수신한다.Accordingly, the device 200 receives the mast beacon and then switches to the service channel through channel switching to receive the sub beacon.

이후로, 서브 비콘이 전송되고 곧바로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디바이스(200)들 간에 경쟁적으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구간인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이 이어지고,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에서는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통해 통신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a sub-beacon is transmitted and a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which is a section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attempted competitively between devices 200 located in a short-range area, is followed by a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In Period, communic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through a CSMA / 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scheme.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은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 및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에 따라 줄어들 수 있는 구간이며, 응답 신호를 제외한 모든 통신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is a section that can be reduced according to a dedicated section for transmitting content for broadcast service and a Contention Free Period (CFP), and all communications except for response signals are CSMA / Preferably, the carrier is made through 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CA) scheme.

또한,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이 끝나기 전에 통신하는 디바이스(200)의 응답 신호 송수신과 IFS(Inter Frame Spaces) 구간이 종료되어야 하며,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컨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모든 명령어 프레임도 이 구간을 통해 통신된다.In additi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IFS (Inter Frame Spaces) section must be terminated before the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ends, and all command frames for broadcasting content in a short-range wireless manner. Is also communicated over this section.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 다음 슬롯 시작과 함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용 구간이 시작되며, 이러한 전용 구간은 컨텐츠를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을 할당함에 따라 이루어진다.A dedicated section for a broadcast service is started at the beginning of a next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and this dedicated section is performed by allocating at least on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for transmitting content in a broadcast manner.

여기서,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은 방송 채널의 종류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예를 들면 KBS1은 0x00 값을 가지고 첫 번째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에서 서비스되고, MBC는 0x01 값을 가지고 두 번째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에서 서비스가 될 수 있다.Here, th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for each type of broadcast channel. For example, KBS1 is serviced in the first broadcast service time slot with a value of 0x00, and MBC has a second broadcast service time slot with a value of 0x01. Can be a service from.

이와 같은 전용 구간 동안에는 할당된 방송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보장받으며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의 통신은 사용하지 않는다.During this dedicated period, communication for the allocated broadcast service is guaranteed and CSMA / 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communication is not used.

이후로, 상기의 전용 구간이 끝나는 다음 슬롯부터 SD(Superframe Duration)이 끝나는 슬롯까지,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이 지속된다. 이러한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은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대역폭의 할당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구간인 GTS(Guaranteed Time Slot)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reafter, the contention free period (CFP) continues from the next slot where the dedicated period ends to the slot where the SD (Superframe Duration) ends. The contention free period (CFP) includes at least one GTS (Guaranteed Time Slot) which is an interval for operation of an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200 or an application requiring allocation of bandwidth.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에서도 GTS(Guaranteed Time Slot)를 할당받은 디바이스(200)에게 통신을 보장하며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의 통신을 사용하지 않는다.Even in a contention free period (CFP), communication is guaranteed to a device 200 assigned a GTS (Guaranteed Time Slot) and does not use CSMA / 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이와 같은 슈퍼프레임 구조에 기반하는 코디네이터(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 명하면, 디바이스(200)와 동기를 맞추고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서브 비콘을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 및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로부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에 컨텐츠의 방송을 요청하는 상위계층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coordinator 100 based on such a superframe structure in more detail, a sub-beacon for synchronizing with the device 200 and determining a structure of a superframe based on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s included in the short-range region.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for broadcasting, and an upper layer unit for receiving content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range area from a wired network (eg, the Internet) and requesting the broadcasting of the content unit 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여기서,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상위계층부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의 구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근거리 영역에 방송한다.Here,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upper layer uni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broadcast service preset in the active section of the superframe section based o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Broadcast to the area.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텐츠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거나 컨텐츠에 대한 재전송을 하지 않으며, 슈퍼프레임 중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해 컨텐츠의 전송이 실패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상위계층부에 전달한다.Whe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does not request a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from the device 200 located in the short range area or retransmit the content, and fails to transmit the content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the broadcast service during the superframe. The result message is sent to the upper layer.

또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전송 프레임의 발신자 주소는 코디네이터(100)의 주소가 되며, 만일 코디네이터(100)가 16비트 쇼트(Short) 주소를 가지고 있다면 발신자 주소는 64 비트 확장주소보다 16비트 쇼트(Short) 주소의 사용을 우선으로 한다.Also, the sender address of the data transmission frame for the content becomes the address of the coordinator 100. If the coordinator 100 has a 16 bit short address, the sender address is 16 bit shorter than the 64 bit extended address. The use of addresses is given priority.

그렇지 않다면 발신자 주소는 64 비트 확장주소가 사용된다. 수신지 주소는 브로드케스트 주소를 사용한다.Otherwise, the sender address is a 64-bit extended address. The destination address uses the broadcast address.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ID는 코디네이터(100)의 네트워크 ID와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ID에 대한 서브필드는 "1"로 설정되고,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만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entifier 필드에 표기하고, 소스 네트워크 Identifier 필드에 대한 표기는 생략된다.If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D is the same by comparing the network ID of the coordinator 100 with the network ID of the frame transmission destination, the subfield for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D is set to "1", and only the network ID of the frame transmission destination is transmitted. In the network Identifier field of the destination, the notation for the source network Identifier field is omitted.

그렇지 않다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ID에 대한 서브필드는 "0"으로 설정되고 두 네트워크 Identifier 필드는 모두 표기된다.Otherwise, the subfield for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D is set to "0" and both network identifier fields are marked.

또한, 디바이스(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코디네이터(100)로부터 서브 비콘을 수신한 후, 서브 비콘을 통해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용 구간에 대한 시계열 상의 위치를 판별하고, 코디네이터(100)로부터 근거리 영역에 방송되어 방송 채널이 시작되는 전용 구간 내의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을 판별하며, 판별한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 동안에 코디네이터(100)로부터 방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 및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로부터 컨텐츠의 수신 결과를 제공받아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위한 상위계층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fter receiving a sub beacon from the coordinator 100, the sub-beacon broadcasts in a pre-configured short range region in an active section of a superframe based on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A position on a time series of a dedicated section for a service is determined, a broadcast service time slot in a dedicated section in which a broadcast channel is started by being broadcasted from the coordinator 100 to a short-range region, and the coordinator 100 is determined during the determined broadcast service time slot.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for operating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content broadcasted from) and the upper layer unit for receiving a result of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for star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여기서,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대응되는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 이외에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컨텐츠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대응되는 코디네이터(100) 이외에 다른 코디네이터(1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에 필터링하여 제거한 후 해당하는 컨텐츠 프레임에 대한 처리만을 하여 상위계층부에 처리 결과에 대한 보고를 한다.In this case,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receives content frames from a network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short-range wireless network, or filters and removes content frames received from a coordinator 100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coordinator 100. The processing result is reported to the upper layer unit only by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frame.

또한,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FCS(Frame Check Sequence) 값을 판별하고, FCS(Frame Check Sequence) 값에 예정된 레벨 이상의 오류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을 제거한다.In additio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determines a frame check sequence (FCS) value for a frame of content, and removes the frame when an error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included in the frame check sequence (FCS) value.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가 컨텐츠의 프레임 수신에 대해 불규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추가적인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으며, 불규칙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에 해당되면 추가적으로 필터링을 실행한다.If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is set to the irregular mode for the frame reception of the content, additional filtering is not performed. If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is not set to the irregular mode, the filtering is additionally performed i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상기의 조건이라 함은 컨텐츠의 프레임 타입에 대한 서브 필드를 판별한 결과가 예약된 프레임 타입이 아닌 경우, 컨텐츠의 프레임 버전에 대한 서브 필드를 판별한 결과가 예약된 프레임 버전이 아닌 경우, 및 컨텐츠의 프레임에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있을 때에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디바이스(200)의 네트워크 ID가 아닌 경우 또는 근거리 영역으로의 방송과 대응되는 네트워크 ID가 아닌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을 일컫는다.The above condition means that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subfield for the frame type of the content is not the reserved frame type,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subfield for the frame version of the content is not the reserved frame version, and the content When the frame ID of the frame has a network ID of the frame transmission destination, it refers to a condition including when the network ID of the frame transmission destination is not the network ID of the device 200 or when the network ID of the frame transmission destination is not the network ID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to the near area.

아울러,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컨텐츠에 대한 프레임 제어 필드의 그룹 키 서브 필드에 있는 그룹 키 값이 디바이스(200)에 할당되어 기 저장중인 그룹 키 값과 매칭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프레임을 제거한다.In additio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removes the frame when the group key value in the group key subfield of the frame control field for the content does not match the group key value that is previously stored in the device 200.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 기반의 컨텐츠 전송 방법은 코디네이터(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가 근거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서비스 연결을 위한 설정을 빠르게 할 수 있 도록 특정 채널로 고정하기 위한 마스터 비콘을 근거리 영역에 송출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shown in FIG. 1. As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in FIG. 3, the superframe structure-base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 range region causes the device 200 in which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of the coordinator 100 is located in the short range region. In order to quickly set up a connection, the master beacon for fixing to a specific channel is transmitted to a short range region (S100).

이에,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비콘을 수신하여 수신해야 하는 서비스 채널을 확인한 후 해당하는 서비스 채널로 이동한다(S102 내지 S106).Therefore, the device 200 receives the master beacon and checks the service channel to be received and then moves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channel (S102 to S106).

이후로, 코디네이터(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가 근거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200)와의 동기를 맞추고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서브 비콘을 근거리 영역에 송출한다(S108 및 S110).Subsequent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of the coordinator 100 transmits a sub-beacon to the local area to synchronize with the device 200 located in the local area and to determine a superframe structure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 S108 and S110).

이에, 서브 비콘을 수신한 디바이스(200)는 서브 비콘 내의 BO(Beacon Order) 값으로 서브 비콘 사이의 간격(BI: Beacon Interval)을 결정하고, S0(Superframe Order) 값으로는 엑티브 구간(SD: Superframe Duration) 등을 결정한다(S112).Accordingly, the device 200 that receives the sub beacon determines a beacon interval (BI) between sub beacons using a BO (Beacon Order) value in the sub beacon, and an active period (SD :) as a S0 (Superframe Order) value. Superframe Duration) and the like (S112).

이에, 슈퍼프레임을 이루는 각 구간에 대한 타임 슬롯 순서를 판별하여 소정의 방송 채널이 시작되는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의 순서를 확인하게 된다(S114).Accordingly, the sequence of time slots for each section constituting the superframe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sequence of broadcast service time slots in which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is started (S114).

이후로, 코디네이터(100)의 상위계층부가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으로부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수신한 후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방송서비스의 개시를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에 요청한다(S116).Thereafter, the upper layer of the coordinator 100 receives the content for broadcasting in the short range area from the wired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and then requests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to start the broadcast service for the received content (S116). ).

상기 S106 단계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코디네이터(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슈퍼프레임의 구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컨텐츠를 대응되는 근거리 영역에 방송한 다(S118).In response to the request in step S106,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of the coordinator 100 broadcasts the content to a corresponding short-range area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a broadcast service preset in the active section of the superframe section. (S118).

이에, 상기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디바이스(2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전용 구간 중 방송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에 방송수신 모듈을 동작케하여 활성화한다(S120).According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of the device 200 located in the short range region operates and activates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in a broadcast service time slot to receive a broadcast service during a dedicated section (S120).

디바이스(2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활성화된 방송수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영역으로 방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한다(S122).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of the device 200 receives the content broadcasted in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the activated broadcast receiving module (S122).

또한, 디바이스(2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 컨텐츠에 대한 수신 결과를 디바이스(200)의 상위계층부에 전달하여 컨텐츠에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한다(S124).In additio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of the device 200 transmits the reception result of the content to the upper layer unit of the device 200 to start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12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근거리 영역에 대해 방송하기 위한 컨텐츠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영역과 대응되는 AP(Access Point)에 전달한 후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근거리 영역에 컨텐츠를 방송함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방송 구간에서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방송하기에 적합한 슈퍼프레임 구조 및 이를 통해 컨텐츠의 전송 속도를 예정된 레벨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 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content for broadcasting in the predetermined short-range area to the AP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short-range area through a wired network, and then broadcast the content to the short-range area by the near-field method, The superframe structure suitable for broadcasting content in real time in the broadcasting section and through which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content can be guaranteed at a predetermined level,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sales is not only sufficient but also realistically possible. As such, it is an invention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디네이터 및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위한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uperfram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rdinator and th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an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shown in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코디네이터 200 : 디바이스100: coordinator 200: device

Claims (19)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A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near field wireless network in a near field and a coordinator for processing resources for the device. 상기 코디네이터는,The coordinator, 유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받은 후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After receiving the content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from a wired network, the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broadcast service preset in an active section among superframes based o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broadcasts in the near field, 상기 디바이스는,The device, 상기 전용 구간에 대응되는 타임 슬롯에 동작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And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wherein the content is received in a time slot corresponding to the dedicated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ordinator is 상기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상기 전용 구간을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에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And receiving the content in real time and broadcasting the content in real time to the short range area through the dedicated section.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로서,A coordinator for processing resources for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near field wireless network in a near field, 상기 디바이스와 동기를 맞추고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서브 비콘을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 및A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for synchronizing with the device and broadcasting a sub-beacon in the short range region for determining a structure of a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And 유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에 상기 컨텐츠의 방송을 요청하는 상위계층부;를 포함하고,And an upper layer unit receiving content for a broadcast service in the local area from a wired network and requesting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to broadcast the content.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의 구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코디네이터.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content is broadcasted to the local area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broadcast service preset in the active period of the section of the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Coordinator of the system consisting of a superframe structure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local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슈퍼프레임의 구간 중 인엑티브 구간에서 마스터 채널로 이동하여 마스터 비콘을 전송한 후 채널 스위칭을 통해 서비스 채널로 전환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을 통해 상기 서브 비콘을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코디네이 터.Near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to the master channel in the inactive period of the superframe period, to transmit the master beacon to switch to the service channel through channel switching, and to transmit the sub beacon through the service channel in a broadcast manner Coordinator of the system consisting of a superframe structure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엑티브 구간을 시계열적으로 상기 서브 비콘을 전송하기 위한 비콘슬롯 구간, 상기 서브 비콘의 전송 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 다른 디바이스들과 경쟁적으로 통신 연결하기 위한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 상기 전용 구간, 및 상기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대역폭의 할당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구간인 GTS(Guaranteed Time Slot)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코디네이터.A beacon slot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sub-beacons in the active section in time series, and a contention access section (CAP) for competitively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of the at least one device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sub-beacons (CAP; Contention) Contention free period (CFP) including at least one access period (CFP), the dedicated period, and at least one GTS (Guaranteed Time Slot) which is a period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for the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or an application that requires the allocation of bandwidth Coordinator of the system consisting of a superframe structure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region,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as includ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에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코디네이터.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range region, which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through a CSMA / 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scheme in the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Of coordina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디바이스에 적응되는 상기 전용 구간 및 상기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코디네이터.In the short range region, the size of the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is variably s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dicated period and the contention free period (CFP) adapted to the device. Coordinator of the system consisting of a superframe structure for the broadcast ser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컨텐츠를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상기 전용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코디네이터.The coordinator of the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reg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dedicated section by allocating at least on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 a broadcast man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거나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전송을 실행하지 않으며, 상기 전용 구간을 통한 상기 컨텐츠의 전송이 실패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상기 상위계층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코디네이터.Requesting a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from the device or performing retransmission of the content, and if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through the dedicated section fails, delivering a result message to the upper layer to the upper layer. A coordinator of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여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서,At least one device located in the near area to form a near field wireless network,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는 코디네이터로부터 서브 비콘을 수신한 후, 상기 서브 비콘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용 구간에 대한 시계열 상의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코디네이터로부터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되어 방송 채널이 시작되는 상기 전용 구간 내의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을 판별하며, 상기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코디네이터로부터 방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 모듈을 동작시키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 및After receiving the sub-beacon from the coordinator for processing the resource for the device, a dedicated section for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preset in the active section of the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through the sub-beacon Determine a location on a time series with respect to the time series, determine a broadcast service time slot in the dedicated section where the broadcast channel starts from the coordinator, and receive content broadcast from the coordinator during th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to operat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the mobile station; And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수신 결과를 제공받아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위한 상위계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디바이스.And a higher layer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result of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and to start a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is 상기 방송 채널의 종류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디바이스.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ystem comprises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또는 상기 코디네이 터 이외의 다른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을 필터링하여 제거한 후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레임을 처리하여 상기 상위계층부에 결과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디바이스.In the short-range area,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the frame received from the network other tha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or the coordinator other than the coordinator to process the frame for the content and report the result to the upper layer. Device of the system consisting of a superframe structure for the broadcast ser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에 대한 FCS(Frame Check Sequence) 값을 판별하고, 상기 FCS(Frame Check Sequence) 값에 예정된 레벨 이상의 오류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디바이스.The frame check sequence (FCS) value of the frame of the content is determined, and if the err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frame check sequence (FCS) value, the broadcast service in the short range reg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is removed. Device of the system consisting of a superframe structure for.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The method of claim 12 or 13,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수신에 대해 불규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추가적인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디바이스.The device of the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characterized in that additional filtering is not performed when the frame reception of the content is set to an irregular mod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불규칙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타입에 대한 서브 필드를 판별한 결과가 예약된 프레임 타입이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 버전에 대한 서브 필드를 판별한 결과가 예약된 프레임 버전이 아닌 경 우, 및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에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있을 때에 상기 프레임 전송 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상기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ID가 아닌 경우 또는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의 방송과 대응되는 네트워크 ID가 아닌 경우를 포함하는 조건에 해당되면 추가적인 필터링을 통해 해당 프레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디바이스.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ubfield for the frame type of the content is not a reserved frame type when the random mode is not set,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ubfield for the frame version of the content is a reserved frame version. The network ID of the frame transmission destination is not the network ID of the device or the network ID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to the local area. A device in a system hav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wherein the frame is removed through additional filtering when a condition including a case is me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는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상기 컨텐츠에 대한 프레임 제어 필드의 그룹 키 서브 필드에 있는 그룹 키 값이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되어 기 저장중인 그룹 키 값과 매칭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프레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중 디바이스.Broadcasting service in the short-range area, if the group key value in the group key subfield of the frame control field for the content does not match the group key value which is allocated to the device and is already stored. Device of the system consisting of a superframe structure for.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스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서,A method for forming a superframe structur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a coordinator for processing resources for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near field wireless network in a near field, 상기 디바이스와 동기를 맞추고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상기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서브 비콘을 최초 타임 슬롯에 할당하여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는 서브 비콘의 전송 구간 단계;Transmitting a sub beacon for synchronizing with th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ub beacon to the short range by allocating a sub beacon for determining a structure of the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n an initial time slot; 상기 서브 비콘을 수신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유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방송하는 것과 관련되는 명령어 프레임을 송수신하기 위한 경쟁접근 구간(CAP; Contention Access Period) 단계;A contention access period (CAP)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and frame associated with broadcasting a content for a broadcast service received from a wired network to the local area afte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device receiving the sub beacon. ) step;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대한 트래픽 상태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전용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전용 구간 단계; 및A dedicated section step of setting a dedicated section including at least one broadcast service time slo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 a broadcast manner according to a traffic state of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And 상기 전용 구간의 종료 후 상기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대역폭의 할당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구간인 GTS(Guaranteed Time Slot)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를 설정하기 위한 경쟁자유 구간(CFP; Contention Free Perio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위한 방법.Contention Free Period (CFP) including at least one GTS (Guaranteed Time Slot), which is an interval for operation of an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or an application requiring allocation of bandwidth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dedicated interval. And a contention free period (CFP) step for establishing a CDMA structure; and a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구간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dedicated section step 상기 방송서비스 타임 슬롯의 수 및 프레임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구간 크기를 가변적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위한 방법.And determining a section size variably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broadcast service time slots and a frame size. 근거리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리소소를 처리하기 위한 코디네이터 간에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area between at least one device for 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n a short range area and a coordinator for processing a resource for th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코디네이터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가 상기 디바이스와 동기를 맞추고 상기 근거리 무선방식의 네트워크에 기반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서브 비콘을 상기 근거리 영역에 송출하는 서브 비콘 송출 단계;A sub-beac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b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unit of the coordinator, a sub-beacon for synchronizing with the device and determining a structure of a superframe based on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 the short range region; 상기 코디네이터의 상위계층부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방송 요청을 수신하는 방송 요청 수신 단계;A broadcast reques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broadcast request for the content from an upper layer unit of the coordinator;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슈퍼프레임의 구간 중 엑티브 구간에 기 설정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구간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는 컨텐츠 방송 단계;A content broadcasting step of broadcasting the content to the short range region through a dedicated section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broadcasting service preset in an active section of the superframe sec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상기 디바이스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부가 상기 전용 구간에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 모듈을 동작케 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단계; 및A content receiving step of allowing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of the device to operat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content in the dedicated section; And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디바이스의 상위계층부에 전달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하는 수신결과 보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 기반의 컨텐츠 전송 방법.A reception result repor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ption result of the content to an upper layer of the device to start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uperframe structure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short range region Based content delivery method.
KR1020090077712A 2009-08-21 2009-08-21 System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 KR101097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712A KR101097503B1 (en) 2009-08-21 2009-08-21 System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
PCT/KR2010/003016 WO2011021765A1 (en) 2009-08-21 2010-05-12 System and method for a broadcast service in a local area, and a device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712A KR101097503B1 (en) 2009-08-21 2009-08-21 System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038A KR20110020038A (en) 2011-03-02
KR101097503B1 true KR101097503B1 (en) 2011-12-22

Family

ID=4360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712A KR101097503B1 (en) 2009-08-21 2009-08-21 System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7503B1 (en)
WO (1) WO201102176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3069B2 (en) 2014-03-18 2019-08-13 Smartrek Technologies Inc. Mesh network system and techniqu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543B1 (en) 2013-05-10 2020-11-0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alleviating problem of hidden n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2539161B1 (en) * 2015-11-03 2023-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oT BROADCASTING NETWORK FOR LOW POWER WIRELESS SENSOR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2940B2 (en) 2002-11-30 2008-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a acc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in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039B1 (en) * 2005-07-06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Frame Structure of Superframe Transmitted in Wireless Network, Method For Transmitting the Superfr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Wakeup by using the Superfr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2940B2 (en) 2002-11-30 2008-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a acc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in wireless networ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3069B2 (en) 2014-03-18 2019-08-13 Smartrek Technologies Inc. Mesh network system and techniques
US11191045B2 (en) 2014-03-18 2021-11-30 Smartrek Technologies Inc. Mesh network system and techniques
US11974243B2 (en) 2014-03-18 2024-04-30 Smartrek Technologies Inc. Mesh network system and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1765A1 (en) 2011-02-24
KR20110020038A (en)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5792B2 (en) Channel allo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 wireless network
US7280555B2 (en)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lgorithms and protocols for optimizin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protocols in wireless networks
KR101163077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n ultra wide-band medium access control distributed reservation protocol
AU767684B2 (en)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US85378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onal virtual sensing random access for wireless networks
US20050152394A1 (en) Method of transferring a TCP stream in PAN
US7684428B2 (en) System and method to free unused time-slots in a distributed MAC protocol
US200801778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setup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2010028636A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WI575999B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under contention-based protocol
JP2010028637A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988861B1 (en) Network join method and network device
JP2006246465A (en) Wireless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7174120A (en) Inter-road-vehicle communication method
KR1017321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ommunication handover
US2005012293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a shared transmission medium
KR101097503B1 (en) System and method get accomplished superframe structure for broadcast service in local area, and apparatus to the same
KR20110039859A (en) System and method for reserving guaranteed time slot of superfram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WO2008050110A1 (en) Communications systems
JP2008022106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Ye et al. A jamming‐based MAC protoco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ireless multihop ad‐hoc networks
KR20120138612A (en) Multi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
KR100526184B1 (en) Method of multimedia data transmssion in wireless network
WO2018133133A1 (en) Resource usage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Hussain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uccessful Transmission Probability and Throughput for DSRC MAC Protocol for Next Generation Connected Vehicle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