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994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994B1
KR101096994B1 KR1020090073617A KR20090073617A KR101096994B1 KR 101096994 B1 KR101096994 B1 KR 101096994B1 KR 1020090073617 A KR1020090073617 A KR 1020090073617A KR 20090073617 A KR20090073617 A KR 20090073617A KR 101096994 B1 KR101096994 B1 KR 10109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water supply
contain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6092A (en
Inventor
김성경
김동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994B1/en
Priority to CN201080031642.8A priority patent/CN102472548B/en
Priority to JP2012523571A priority patent/JP5406371B2/en
Priority to AU2010283082A priority patent/AU2010283082B2/en
Priority to BR112012001896A priority patent/BR112012001896B8/en
Priority to US13/384,494 priority patent/US20120111049A1/en
Priority to PCT/KR2010/005265 priority patent/WO2011019202A2/en
Priority to EP10808351.0A priority patent/EP2464923B1/en
Publication of KR2011001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9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측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보다 상측의 냉동실측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급수용기보다 상측의 냉동실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펜서;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상기 디스펜서로 강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같은 높이 또는 상기 펌프보다 높은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provided detachably on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he water is stored; An ice maker provided at a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above the water container, and making ice using water of the water container; A dispenser provided in a freezing compartment door at an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configured to extract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from the outside;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container,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A pump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th and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forcibly supply water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the ice maker or the dispenser; And a valve that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th at the same height as the pump or higher than the pump, and selectively supplies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to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supply can be made smoothly.

냉장고, 급수, 펌프, 밸브, 급수용기 Refrigerator, water supply, pump, valve, water container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화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냉기에 의하여 저장 공간이 저온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In detail, the refrigerator generates cold air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changed to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state by a refrigeration cycle, and keeps the food space fresh by keeping the storage space at a low temperature state by the cold air.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Such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versati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dietary life and the trend of high quality, and refrigerators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have been released.

이와 같은 편의장치 중 대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는 사용자에게 얼음 또는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내와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Representative of such a convenient device,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n ice maker and a dispenser for making ice.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are for providing ice or drinking water to the user, and may b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and the door.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제빙용 트레이에 직접 물을 채우는 방식, 또는, 1회 제빙을 위한 용량을 가지는 급수용기에 물을 넣어 장착하고, 상기 급수용기에 저장 된 물이 상기 제빙용 트레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을 포함한다.In general, the ice making apparatus is provided by directly filling water in an ice making tray, or by putting water in a water supply container having a capacity for one time ice making, and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the ice making tray. It includes the way.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1회분 만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으며, 만약 용량이 큰 급수용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냉동실의 온도 특성상 급수용기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제빙작업의 지속적인 수행이 불가능하게 된다.However, in such a structure, only one serving of ice can be manufactured. If a large capacity water container is used,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freezes due to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freezer compartment, making it impossible to continuously perform the ice making opera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급수라인을 제공하여 제빙장치가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급수라인이 디스펜서와도 연결되어 디스펜서를 통해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efrigerator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a water supply lin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o that the ice making device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and a wat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dispenser to draw out the drinking water through the dispenser. .

그리고, 고내에 제빙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급수용기가 제공되고, 펌프 및 급수파이프를 통해서 제빙장치와 디스펜서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었다.In addition, a refrigera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water for ice making in a refrigerator is provided and water is supplied to an ice maker and a dispenser through a pump and a water supply pipe has been develop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이스 메이커 또는 디스펜서 보다 낮은 높이의 급수용기의 물의 공급을 위해 펌프와 밸브를 급수용기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급수 악조건을 해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leasing the bad water supply conditions by placing the pump and the valve at a lower height than the water supply container for the supply of water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of a lower height than the ice maker or dispens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측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보다 상측의 냉동실측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급수용기보다 상측의 냉동실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펜서;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상기 디스펜서로 강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같은 높이 또는 상기 펌프보다 높은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를 포함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provided detachably on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he water is stored; An ice maker provided at a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above the water container, and making ice using water of the water container; A dispenser provided in a freezing compartment door at an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configured to extract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from the outside;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container,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A pump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th and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forcibly supply water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the ice maker or the dispenser; And a valve that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th at the same height as the pump or higher than the pump, and selectively supplies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to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또한, 상기 급수용기는 냉장실 또는 냉장실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냉동실 또는 냉동실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ce maker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eezer compartment or freezer compartment door.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밸브는 상기 펌프의 출구와 상기 밸브의 입구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mp and the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pump and the inlet of the valve is in communication.

또한, 상기 펌프와 밸브는 장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재는 고외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mp and the valv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mounting member, the moun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side mounted on the outer side.

또한, 상기 펌프와 밸브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제공하는 본체의 하부에 별도 형성되는 기계실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mp and the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is formed separate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rovid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또한, 상기 펌프와 밸브는 상기 냉장실 내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mp and the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lower side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측에 제공되는 급수용기; 상기 급수용기 상측의 냉동실측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워터디바이스; 상기 급수용기와 워터디바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용기 하측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워터디바이스로 강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높거나 동일한 높이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워터디바이스로의 물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를 포함한다.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side; A water device provided at a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above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supplied with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water device; A pump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th under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forcibly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the water device; And a valve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having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ump and selectively blocking water supply from the pump to the water device.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밸브는 장착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고외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mp and the valve is integrally coupled by the mount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fix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급수용기는 상기 냉장실 내측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inside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또한, 상기 워터디바이스는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또는 음용수를 외 부에서 취출하는 디스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maker for making ice or a dispenser for taking out the drinking wate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급수를 위한 펌프가 급수용기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밸브는 펌프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급수 악조건 상황시 밸브 개방순간 물이 역류하여 상기 펌프로 유입되어 급수 악조건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for water supply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valve is located at the same level or higher than the pump, so that when the water supply is in a bad condition, the water flows backward to the pump. It can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bad water supply condition.

따라서, 탈착식 급수용기의 사용시 빈번하게 발생 될 수 있는 급수 악조건 상황시에도 펌프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펌프의 동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급수유로 내의 잔수 배출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ump can be smoothly driven even under adverse water supply conditions, which can be frequently generated when using the removable water container,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pump can be expected. You can expect the effect to be possib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a refrigerator having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in which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케비닛(10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1 and 2,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cabinet 100, the storage space is formed, and the door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기 케비닛(10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과 서랍 등 식품의 수납을 위한 구성들이 제공된다.The cabinet 100 is form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opened, the inside is partitioned from the left and right by the barrier to form the freezing chamber 110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2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reezer compartment 11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0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storing food, such as a plurality of shelves and drawers.

상기 도어(40)는 상기 냉장실(120)과 냉동실(110)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로 구성되며, 상기 케비닛(100)에 힌지(130)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0)과 냉동실(110)은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oor 40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210 so as to shiel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10, respectively, by a hinge 130 on the cabinet 100.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combination. Therefor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10 ar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rota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10.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냉동실 도어(210)에는 각각 도어 핸들(23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는 홈바(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펜서(212) 및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와 같이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는 워터디바이스(250)가 구비될 수 있다.Door handles 230 are provided 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1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may be provided with a home bar 24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10 may include a water device using water supplied with the dispenser 212 and the ice maker assembly 3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250 may be provided.

상세히, 상기 냉동실 도어(210)의 전면에는 음용수 및/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2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10)의 배면에는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가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a dispenser 212 capable of extracting drinking water and / or ic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10. In addition, an ice maker assembly 30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10.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는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용기(400)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212)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냉동실(11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가 상기 냉동실 도어(210)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The ice maker assembly 300 is to make ice from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to be described below, it may be provided on the dispenser 212. Of course, the ice maker assembly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110 as needed. Hereinafter, for example, the ice maker assembly 300 is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10. do.

상기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300)는 급수되는 물을 얼려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31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의 하방에 구비되며,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32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ce maker assembly 300 may include an ice maker 310 for freezing water to make ice, and an ice bank 320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310 and storing iced ice. have.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는 자동으로 제빙을 위한 물이 급수되고, 상기 냉동실(110)의 냉기에 의해 얼음이 만들어진 후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320) 측으로 자동으로 이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반적인 아이스 메이커(3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ice maker 310 is automatically supplied with water for ice making, and after the ice is made by the cold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10, the ice maker 310 can be automatically iced to the ice bank 320 side, the general ice maker 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310.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에서 제빙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20)에 저장되며, 상기 디스펜서(212)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320)와 상기 디스펜서(212)를 연결하는 아이스 슈트(330)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로 공급될 수 있다.Ice iced by the ice maker 310 is stored in the ice bank 320, the ice chute 330 for connecting the ice bank 320 and the dispenser 212 when the dispenser 212 is operated. It may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310 through.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급수용기(400)가 제공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및/또는 디스펜서(212)로 공급되는 제빙용수 및/또는 음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서 급수용기(400)를 분리한 후 상기 급수용기(400)에 직접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a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The water container 400 is for storing ice making water and / or drin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310 and / or the dispenser 212, and the user may open the water container 400 at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20. After separation is configured to water the water directly into the water container (400).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워터디바이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및 디스펜서(212)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장착되며, 내부에 저수된 물은 아래에서 설명할 펌프(600)에 의해 상기 워터디바이스(25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ater container 400 is moun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device, that is,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212, and the water stored therein is stored by the pump 600 to be described below.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ly to (250).

상기 급수용기(4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냉장실(12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상기 워터디바이스(250)의 장착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container 4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120 as necessary, and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ater device 250.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용 용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400)는 시판되고 있는 생수병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to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and may be designed as a dedicated container. In addition, commercially available bottled water may be used as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바스켓(224)이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224)은 탈착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바스켓(22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급수용기(400)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A plurality of baskets 224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and the basket 224 is configured to be height-adjustable by detachment.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askets 224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from below.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는 상기 급수용기(400)와 결합되는 용기 연결부(222)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상기 급수용기(400) 상단의 입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20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connection portion 222 coupl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inlet of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or detachably formed by a separate member.

상세히,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상기 냉장실 도어(220)와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급수용기(400)는 상기 용기 연결부(222)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fix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where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by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t may be mounted on the back of the 220.

그리고, 상기 용기 연결부(222)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기(400)와 결합된 후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and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한편, 상기 급수용기(40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및 디스펜서(212)는 급수유로(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2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ater supply passage 500,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 212).

상기 급수유로(500)에는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은 상기 펌프(600)에 의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강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700)에 의해 분지되어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The water supply passage 500 is provided with the pump 600 and the valve 700.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may be forcibly supplied to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212 by the pump 600, branched by the valve 700, and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310 and the dispenser 212, respectively.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는 고외측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계실(140)에 배치될 수 있다.The pump 600 and the valve 700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40 to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상기 급수유로(500)는 상기 급수용기(400) 내측의 흡입유로(510),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연결되는 펌프 입력유로(520), 상기 펌프의 토출측(620)에서 상기 밸브(700)와 연결되는 펌프 출력유로(530), 상기 밸브(700)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연결되는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 상기 밸브(700)에서 상기 디스펜서(212)와 연결되는 디스펜서측 유로(550)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assage 500 may include a suction passage 510 inside the water supply vessel 400, a pump input passage 520 connected to an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and a discharge side 620 of the pump. Pump output flow path 530 connected to the valve 700, the ice maker side flow path 540 connected to the ice maker 310 in the valve 700, connected to the dispenser 212 in the valve 700 The dispenser side flow path 550 may be configured.

상세히, 상기 흡입유로(510)는 상기 급수용기(400) 내부의 물을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급수용기(400)가 상기 용기 연결부(22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급수용기(400)의 내측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In detail, the suction passage 510 is for sucking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and whe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mounted to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provided. It is formed to extend to.

그리고, 상기 흡입유로(510)는 상기 용기 연결부(22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연결부(222)의 탈착시 함께 탈착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내측에 제공되는 급수유로(500)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ction flow path 510 is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and when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is attached and detached together, the water supply path 500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It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한편,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는 상기 냉장고 도어(40)에서 상기 흡입유로(510)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600)가 상기 케비닛(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는 상기 힌지(130)를 통해 상기 냉장실 도어(220)에서 상기 케비닛(10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The pump input passage 52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510 in the refrigerator door 40 and extends to the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In this case, when the pump 6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binet 100, the pump input passage 520 is guid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20 to the cabinet 100 through the hinge 130. Can be.

또한,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는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펌프(600)의 토출측(620)과 상기 밸브(700)의 입력측(710)을 연결하여 펌프(600)에서 토출되는 물이 상기 밸브(700)를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ump output passage 530 connects the pump 600 and the valve 700 to connect the discharge side 620 of the pump 600 and the input side 710 of the valve 700 to connect the pump ( The water discharged from 600 is guided to the valve 700.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와 상기 디스펜서측 유로(550)는 각각 상기 밸브(700)에 연결되는 독립된 유로로서, 상기 밸브(700)의 일측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측으로 각각 분지되어 연장된다.The ice maker side flow path 540 and the dispenser side flow path 550 are independent flow paths connected to the valve 700, respectively, from one side of the valve 700 to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212. Each branched and extended.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와 상기 디스펜서측 유로(550)는 각각이 상기 냉동실 도어(210)측의 힌지(130)를 통하여 안내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밸브(700) 로부터 하나의 관 형태로 상기 힌지(130)를 통과한 후 분지되어 각각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Each of the ice maker side flow path 540 and the dispenser side flow path 550 may be guided through the hinge 130 at the sid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210. After passing through the hinge 130 may be branched to extend to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212,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펌프와 밸브의 사시도이다.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mp and a valv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비닛(100)의 하부에는 기계실(140)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140)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 모세관을 비롯하여, 팬모터 어셈블리(143), 드레인팬(144)과 같은 다양한 구성이 제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3 and 4, a machine room 140 is formed below the cabinet 100. The machine room 140 may form a space in which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fan motor assembly 143 and a drain pan 144 are provided, including a compressor 141, a condenser 142, and a capillary tube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

상기 기계실(140)은 상기 케비닛(100)의 하부 후측면에 고내의 저장공간과는 구획된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40)의 개구된 후면은 기계실 커버(14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The machine room 140 is formed on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00 as a separate space partitioned from the storage space in the chamber, and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rear. In addition, the opened rear surface of the machine room 140 may be shielded by the machine room cover 145.

그리고, 상기 기계실(140)의 내측에는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는 장착부재(800)에 의해 일체로 결합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800)에 의해 상기 기계실(140)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mp 600 and the valve 700 are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140. The pump 600 and the valve 700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mounting member 800, and may be fixedly mounted inside the machine room 140 by the mounting member 800.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장착부재(800)의 좌측(도 4에서 볼 때)에는 밸브(700)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재(800)의 우측에는 펌프(600)가 장착되어 전체가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valve 700 is mounted on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4) of the mounting member 800, and the pump 600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unting member 800 so that the whole is one. It may be formed in an assembly form.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800)의 일측에는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기계실(140)의 내부 일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810)가 형성된다. 상 기 장착부(810)의 위치 및 형상은 상기 기계실(140) 내부의 장착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And, one side of the mounting member 800 is formed with a mounting portion 810 that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chine chamber 140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Position and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81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140).

상기 장착부재(800)는 상기 밸브(700)와 상기 펌프(600)가 동일한 높이에서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밸브(700)가 상기 펌프(600)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unting member 800 is formed so that the valve 700 and the pump 600 can be mounted side by side at the same height, and the valve 700 is located above the pump 600 as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상기 밸브(700)와 펌프(600)는 상기 장착부재(800)에 장착되어 서로 인접한 상태가 되며, 상기 펌프(600)에서 토출되는 물은 아래에서 설명할 펌프 출력유로(530)를 통해서 상기 밸브(7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The valve 700 and the pump 600 are mounted to the mounting member 800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600 passes through the pump output passage 530 to be described below. And can be supplied to 700.

상기 급수유로(500)와 상기 펌프(600) 및 밸브(700)의 연결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펌프(600)와 밸브(700)에는 급수유로(500)가 연결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connec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500 and the pump 600 and the valve 700, the water supply passage 500 is connected to the pump 600 and the valve 700,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is may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212.

상세히,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이 흡입되는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에는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가 연결된다.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는 전체적으로 입력측 연장관(522)과 입력측 연결관(524)으로 구성된다.In detail, the pump input channel 520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into which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sucked. The pump input flow path 520 is composed of an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and the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as a whole.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은 연질의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소재로 형성되며, 내경이 대략 5/16inch로 형성된다.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은 상기 흡입유로(510)에서 상기 펌프(600)의 인접한 일측까지 연장되며, 입력측 연결관(524)에 의해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접속된다.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is formed of a soft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material,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of approximately 5/16 inch. 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extends from the suction passage 510 to an adjacent side of the pump 600 and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by an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은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상기 입력측 연 장관(522)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은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의 단부와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이 서로 직선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이 접혀지거나 굴곡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is for connecting the input side 610 and the input side extension 522 of the pump 600, is formed of a flexible silicone material. The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and the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state, the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is folded or bent It is formed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so as not to be blocked.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과 연결되는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은 내경이 1/4inch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의 양단은 서로 다른 내경의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과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connected to the input side connecting pipe 524 may be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of 1 / 4inch, both ends of the input side connecting pipe 524 is 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of different inner diameter ( 522 and the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은 양측은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의 외측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is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inner diameter so that both sides of the input side 610 and 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of the pump 600 having a different diameter. Therefore, the outside of the input side connecting pipe 524 may be formed stepped, or may be formed inclined.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은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의 대응하는 양단에 압입되며,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이 가지는 탄성에 의해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과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 각 단부가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input side 610 and 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of the pump 600 are pressed into the corresponding both ends of the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by the elasticity of the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 And each end of the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put side connecting pipe 524.

한편,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는 상기 펌프(600)의 토출측(620)과 상기 밸브(700)의 입력측(710)을 연결하며, 출력 연장관(532)과 출력 연결관(5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 연장관(532)은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입력측(710)에서 상기 펌프(600)의 일측까지 연장 되며, 상기 출력 연결관(534)에 의해 상기 펌프(600)의 토출측(620)과 접속된다.Meanwhile, the pump output passage 530 connects the discharge side 620 of the pump 600 and the input side 710 of the valve 700, and includes an output extension pipe 532 and an output connection pipe 534. . The output extension pipe 532 is formed of a polyethylene material similar to 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extends from the valve input side 710 to one side of the pump 600, by the output connecting pipe 534 It is connected with the discharge side 620 of 600.

상기 출력 연결관(534)은 상기 입력측 연결관(52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펌프(600)의 토출측(620)과 상기 출력 연장관(532)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 연결관(534)은 직선구간에만 형성되어 접히거나 굴곡에 의해 내부의 유로가 막히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output connecting pipe 534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put side connecting pipe 522 and is formed to connect the discharge side 620 of the pump 600 and the end of the output extension pipe 532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output connection pipe 534 is formed only in a straight sec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flow path inside is not blocked by folding or bending.

한편, 상기 펌프의 토출측(620)과 상기 출력 연결관(534) 및 출력 연장관(532)은 모두 1/4inch의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side 620 and the output connecting pipe 534 and the output extension pipe 532 of the pump are all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of 1 / 4inch.

즉, 상기 펌프(600)로 입력되는 물이 안내되는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의 내경이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펌프(600)의 구동시 흡입되는 물의 유량을 충분하게 공급하여 물 흡입시의 맥동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pump input passage 520 through which the water inputted into the pump 600 is guided is formed larger than the pump output passage 530 to sufficiently satisfy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cked when the pump 600 is drive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ulsation when inhaling water by supplying the

더욱이, 상기 펌프(600)를 통해 흡입 토출되는 물의 흡입 및 토출 순간에 상기 실리콘 소재의 입력측 연결관(524)과 토출측 연결관(534)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관로 내의 수축이나 팽창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side connection pipe 524 and the discharge side connection pipe 534 of the silicon material is elastically deformable at the moment of suction and discharge of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pump 600, which may occur during contraction or expansion in the pipeline. Noise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밸브(700)의 제1 토출측(720)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연결되는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형성되며, 1/4inch의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700)의 제2 토출측(730)에서 상기 디스펜서(212)와 연결되는 상기 디스펜서측 유로(550)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형성되며, 5/16inch의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Meanwhile, the ice maker side flow path 540 connected to the ice maker 310 at the first discharge side 720 of the valve 700 is formed of polyethylene material and has an inner diameter of 1/4 inch. In addition, the dispenser side flow path 550 connected to the dispenser 212 at the second discharge side 730 of the valve 700 is formed of polyethylene material and has an inner diameter of 5/16 inch.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12)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측으로 공급 되는 제빙용수의 양보다 상기 디스펜서(212)를 통해 취출되는 음용수의 양이 더 많아 빠르게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ispenser 212 is operated,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212 is greater than that of the ice ma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310, so that drinking water can be quickly taken out.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동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물공급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이다.5 and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tat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제빙용수 및 음용수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급수용기(400)에 물을 채워 넣고 상기 용기 연결부(222)와 상기 급수용기(400)를 결합한 후 상기 급수용기(400)가 상기 냉장실 도어(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용기(400)는 생수병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급수과정 없이 시판되는 생수를 개방하여 상기 용기 연결부(222)와 결합시키게 된다.1 to 6, first, in order to use ice-making water and drinking water, the water container 400 is filled with water, and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and the water container 400 are combined and then the water container ( 400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20. The water container 400 may be a bottled water bottle, in which case i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connection portion 222 by openi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bottled water without a separate water supply process.

상기 급수용기(400)와 용기 연결부(2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510)는 상기 급수용기(4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용기(400) 내부의 물을 흡입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용기 연결부(222)의 장착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510)는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와 접속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 및 디스펜서(212)로의 물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By the combination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and the container connecting portion 222, the suction flow path 510 is located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to suck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The suction flow path 510 is connected to the pump input flow path 520 by the container connection part 222 so that the water supply to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212 is possibl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빙을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로의 물공급 신호가 전달되거나, 상기 디스펜서(212)를 통해 음용수를 취출하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 펌프(600)가 구동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ater supply signal to the ice maker 310 is transmitted for ice making or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drinking machine through the dispenser 212, the pump 600 is driven.

상기 펌프(6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급수용기(400) 내부의 물은 상기 흡입유로(510)를 통해 흡입되며,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를 통해 상기 펌프(600)로 흡입된다. 이때, 흡입되는 물은 상기 입력측 연장관(522)과 입력측 연결관(524) 및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을 차례로 지나 상기 펌프(600)로 공급된다.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channel 510 by the driving of the pump 600, and is sucked into the pump 600 through the pump input channel 520. At this time, the suctioned water is supplied to the pump 600 through the input side extension pipe 522 and the input side connecting pipe 524 and the input side 610 of the pump 600 in order.

이때, 상기 펌프(600)의 구동시 발생되는 맥동에 의해 상기 입력측 연결관(524)는 탄성 변형되어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으며, 관로의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저감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600)의 내측으로 충분한 유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맥동을 줄여 줄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input side connecting pipe 524 may be elastically deformed and expanded or contracted by pulsation generated when the pump 600 is driven, and the noise of the pipe may be reduced by alleviating the impact of the pipe. In addition, a sufficient flow rate of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pump 600 to reduce pulsation.

그리고,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를 통해 상기 펌프(600)에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밸브(700)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펌프(600)에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펌프(600)의 토출측(620)과 상기 출력 연결관(534)과 출력 연장관(532)을 차례로 지나 상기 밸브(700)로 공급되며, 상기 토출되는 물의 맥동 또한 상기 출력 연결관(534)에서 충격을 완화하게 되어 관로상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600 through the pump output passage 530 is guided to the valve 700. 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600 is supplied to the valve 700 through the discharge side 620 of the pump 600, the output connecting pipe 534 and the output extension pipe 532 in turn, the discharge Pulsation of the water is also to mitigate the impact in the output connection pipe 534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on the pipeline.

상기 밸브(700)로 공급된 물은 제빙용수 공급신호를 지령받은 경우에는 상기 밸브(700)의 제1 토출측(720)이 개방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를 통해 아이스 메이커(310)으로 공급된다.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valve 700 is commanded to the ice making water supply signal, the first discharge side 720 of the valve 700 is opened, and the ice maker 310 is opened through the ice maker side flow path 540. Supplied by.

그리고, 음용수의 취출을 위한 공급신호를 지령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토출측(620)이 개방되며, 상기 디스펜서측 유로(550)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212)로 공급되어 외부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supply signal for drawing drinking water is commanded, the second discharge side 620 is opened, and is supplied to the dispenser 212 through the dispenser side flow path 550 to be externally taken out.

한편, 상기 냉장고(1)의 구동 중 급수용기(400)에 저장된 물을 모두 사용하 게 되어 급수용기(400)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펌프(600)의 구동시 상기 급수유로(500)상에 공기와 물이 혼재되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l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u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on the water supply passage 500 when the pump 600 is driven whe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empty. Air and water may be mixed to be in a state as shown in FIG. 5.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FIG. 5,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용기(400)의 물이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는 상기 급수유로(500)상에 물이 채워져 상기 펌프(600)의 구동시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토출측(620)의 압력 차이에 의해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befor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completely exhausted, water is fi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500 so that the input side 610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pump 600 when the pump 600 is driven. The pressure difference of 620 allows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310.

한편, 상기 펌프(6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급수용기(400) 내의 물이 완전히 흡입된 후,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펌프(600)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급수유로(500) 내에는 물과 공기가 함께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completely sucked by the driving of the pump 600, when the pump 600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310 of the pump 600 Air is sucked into the input side 610, and water and air are present together in the water supply passage 500.

상세히, 상기 급수용기(400)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600)가 구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급수용기(400) 내의 공기가 상기 흡입유로(510)와 상기 펌프 입력유로(520)를 통해 상기 펌프(600)로 유입되고, 상기 펌프(60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펌프 출력유로(530)를 지나 상기 밸브(700)로 유입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로 공급된다.In detail, when the pump 600 is driven while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empty, ai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passes through the suction channel 510 and the pump input channel 520. The air flowing into the tank 600 and discharged from the pump 600 passes through the pump output passage 530 and flows into the valve 700 and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side passage 540.

따라서, 상기 흡입유로(510)와 펌프 입력유로(520), 펌프 출력유로(530) 및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 일부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suction passage 510, the pump input passage 520, the pump output passage 530, and a part of the ice maker side passage 540 are filled with air.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용기(400)에 물을 채워 넣어 다시 장착하게 되더라도, 상기 펌프(600)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의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토출측(620) 모두에 공기가 채워지게 되어 급수 악조건 상태가 되어 상기 펌프(600)가 원활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압력을 발생시키지 못하게 된다.In such a state, even when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is refilled with water, the pump 600 cannot generate pressure for discharging the residual water of the ice maker side flow path 540. That is, the air is filled in both the input side 610 and the discharge side 620 of the pump 600 is in a bad condition of the water supply, so that the pump 600 does not generate a pressure that can smoothly supply water.

이와 같은 급수 악조건의 해제를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밸브(700)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펌프(600)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워터디바이스(250)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310)와 디스펜서(212)로 구성되는 경우 동작되는 쪽으로 밸브(700)가 절환되어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ice maker 310 is operated to release the bad water supply condition, the valve 700 is opened and the pump 600 is operated. In this case, when the water device 250 is composed of the ice maker 310 and the dispenser 212, the valve 700 may be switched to open to be operated.

한편, 상기 밸브(700)와 펌프(600)는 상기 워터디바이스(250)는 물론 상기 급수용기(400)보다 더 하방에 위치함은 물론 상기 밸브(700)와 펌프(600)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alve 700 and the pump 600 is located below the water device 250 as well as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as well as the valve 700 and the pump 600 in the adjacent position Stay connected.

그리고, 상기 밸브(700)는 상기 펌프(600)와 동일한 높이 또는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700)가 개방되는 순간,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 내부에 남아 있던 물이 상기 밸브(700)를 지나 상기 펌프(600)측으로 유입된다.And, the valve 700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or higher than the pump 600, the moment the valve 700 is opened, as shown in Figure 6 inside the ice maker side flow path 540 The remaining water flows into the pump 600 through the valve 700.

즉, 상기 밸브(700)와 상기 펌프(600)의 위치 및 상기 급수유로(500)의 구조상 상기 밸브(700)의 개방시 상기 펌프(6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상기 펌프(600)의 내측 및 상기 펌프(600)의 입력측(610)과 토출측(620)은 모두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That is, due to the position of the valve 700 and the pump 600 and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500, when the valve 700 is open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pump 600 to allow the pump 600 to be opened. The inner side and the input side 610 and the discharge side 620 of the pump 600 are both filled with water.

이와 같이 장착 위치 즉, 높이 차에 의해 상기 밸브(700)의 개방시 상기 펌 프(600)측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유로(500)상의 급수 악조건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600)는 정상적인 토출압력을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측 유로(540)의 잔수를 토출 가능하게 되며, 이어서 상기 급수용기(400)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s such, when the valve 700 is opened by the mounting position, that is, the height differenc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pump 600 and the water supply adverse condition on the water supply passage 500 may be released. Accordingly, the pump 600 may generate a normal discharge pressure to discharge the remaining water of the ice maker side flow path 540, and then may smoothly supply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Make s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펌프와 밸브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mp and a valv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물공급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이다.5 and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tat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냉장실측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급수용기;A water supply container detachably provided at a side of a refrigerating chamber and storing water; 상기 급수용기보다 상측의 냉동실측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An ice maker provided at a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above the water container, and making ice using water of the water container; 상기 급수용기보다 상측의 냉동실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펜서;A dispenser provided in a freezing compartment door at an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configured to extract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from the outside;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유로;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container,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급수용기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용기의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 또는 상기 디스펜서로 강제 공급하는 펌프; 및A pump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flow path and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forcibly supply water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the ice maker or the dispenser; And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디스펜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를 포함하며,A valve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to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상기 펌프와 밸브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제공하는 본체의 하부에 별도 형성되는 기계실 내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pump and the valve is formed integrally,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inside the machine room is formed separate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rovid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펌프와 밸브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pump and the valve ar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브는 상기 펌프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valve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um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펌프와 상기 밸브는 상기 펌프의 출구와 상기 밸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출력 연장관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pump and the valve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an output extension pipe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pump and the inlet of the val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펌프와 밸브는 장착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기계실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pump and the valve is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the mounting membe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ixedly mounted inside the machine roo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브는 상기 펌프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valve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pump,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73617A 2009-08-11 2009-08-11 Refrigerator KR1010969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617A KR101096994B1 (en) 2009-08-11 2009-08-11 Refrigerator
CN201080031642.8A CN102472548B (en) 2009-08-11 2010-08-11 Refrigerator
JP2012523571A JP5406371B2 (en) 2009-08-11 2010-08-11 refrigerator
AU2010283082A AU2010283082B2 (en) 2009-08-11 2010-08-11 Refrigerator
BR112012001896A BR112012001896B8 (en) 2009-08-11 2010-08-11 Refrigerator
US13/384,494 US20120111049A1 (en) 2009-08-11 2010-08-11 Refrigerator
PCT/KR2010/005265 WO2011019202A2 (en) 2009-08-11 2010-08-11 Refrigerator
EP10808351.0A EP2464923B1 (en) 2009-08-11 2010-08-1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617A KR101096994B1 (en) 2009-08-11 2009-08-11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092A KR20110016092A (en) 2011-02-17
KR101096994B1 true KR101096994B1 (en) 2011-12-20

Family

ID=4358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617A KR101096994B1 (en) 2009-08-11 2009-08-11 Refrigerator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111049A1 (en)
EP (1) EP2464923B1 (en)
JP (1) JP5406371B2 (en)
KR (1) KR101096994B1 (en)
CN (1) CN102472548B (en)
AU (1) AU2010283082B2 (en)
BR (1) BR112012001896B8 (en)
WO (1) WO2011019202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0029B2 (en) 2011-12-09 2018-02-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WO2013086501A2 (en) 2011-12-09 2013-06-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KR20140075291A (en) * 2012-12-11 2014-06-19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P2015008579A0 (en) 2013-02-05 2015-07-31 Purdue Pharma Lp Tamper resistant pharmaceutical formulations
KR101536442B1 (en) * 2013-11-21 2015-07-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ES2791727T3 (en) 2014-02-24 2020-11-05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device,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CN207963280U (en) * 2017-11-27 2018-10-1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Refrigerator
BR112020021334A2 (en) * 2018-04-20 2021-02-09 Electrolux Do Brasil S.A. cooler
CN115325750A (en) 2018-06-20 2022-11-11 惠而浦有限公司 Refrigerator with a door
US11112159B2 (en) 2018-08-01 2021-09-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BR102019015737A2 (en) 2018-08-01 2020-02-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7159781B2 (en) * 2018-10-17 2022-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KR20220015191A (en) * 2020-07-30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639A1 (en) * 2004-06-04 2005-12-08 Hortin Gregory G Variable flow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WO2009061118A2 (en) * 2007-11-05 2009-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746A (en) * 1989-08-04 1991-01-29 Roberts Mark J Apparatus for transferring water from a container to a refrigerator ice maker
JPH0618140A (en) * 1992-07-02 1994-01-25 Hitachi Lt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US5511388A (en) * 1994-03-22 1996-04-30 Taylor; James E. Water distillation unit for a refrigerator
KR19990074720A (en) * 1998-03-13 1999-10-05 구자홍 Water Suppl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Unit of Complex Refrigerator
US6973803B2 (en) * 2003-04-28 2005-12-13 Olive Bentley J Refrigerator water supply systems
JP2005098559A (en) * 2003-08-26 2005-04-14 Toshiba Corp Refrigerator
CN1683884A (en) * 2004-04-12 2005-10-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Electric refrigerator
KR20060060447A (en)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maker for semi-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ice-making mold
CN100533019C (en) * 2005-05-09 2009-08-2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Water supplying pipe for refrigerator distributor
US7543453B2 (en) * 2005-12-09 2009-06-09 Whirlpool Corporation Measured fill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BRPI0621339B1 (en) * 2006-02-15 2020-03-31 Lg Electronics Inc SUPER COOLING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STEY ICE THROUGH SUPER COOLING
KR101452762B1 (en) * 2007-12-18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639A1 (en) * 2004-06-04 2005-12-08 Hortin Gregory G Variable flow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WO2009061118A2 (en) * 2007-11-05 2009-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06371B2 (en) 2014-02-05
CN102472548A (en) 2012-05-23
KR20110016092A (en) 2011-02-17
EP2464923A2 (en) 2012-06-20
AU2010283082B2 (en) 2013-05-23
WO2011019202A2 (en) 2011-02-17
AU2010283082A1 (en) 2012-03-01
EP2464923A4 (en) 2018-04-25
BR112012001896A2 (en) 2016-03-15
BR112012001896B8 (en) 2021-12-21
JP2013501206A (en) 2013-01-10
BR112012001896B1 (en) 2020-07-14
EP2464923B1 (en) 2020-07-22
WO2011019202A3 (en) 2011-06-03
US20120111049A1 (en) 2012-05-10
CN102472548B (en)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994B1 (en) Refrigerator
US9841226B2 (en) Refrigerator
KR101188513B1 (en) Refrigerator
KR101997259B1 (en) Refrigerator
US10888825B2 (en) Refrigerator
US20140157810A1 (en) Refrigerator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TWI452249B (en) Refrigerator
KR20110138777A (en) Refrigerator
JP5460664B2 (en) refrigerator
KR100751106B1 (en) Refrigerator door with ice-making room
EP2496899B1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KR101754360B1 (en) Refrigerator
KR100991543B1 (en) Refrigerator's ice or water extractor
KR101079469B1 (en) Refrigerator
KR101085612B1 (en) Refrigerator
KR101088221B1 (en) Refrigerator
KR20110012321A (en) Refrigerator
KR20130017010A (en) Refrigerator
KR101754365B1 (en) Refrigerator
KR101150590B1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igerator
KR20130046043A (en) Refrigerator
KR200217545Y1 (en) Refrigerator
KR200461420Y1 (en) Refrigerator
KR20130017004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