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580B1 -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580B1
KR101096580B1 KR1020110025196A KR20110025196A KR101096580B1 KR 101096580 B1 KR101096580 B1 KR 101096580B1 KR 1020110025196 A KR1020110025196 A KR 1020110025196A KR 20110025196 A KR20110025196 A KR 20110025196A KR 101096580 B1 KR101096580 B1 KR 10109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st area
information
photographing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미 filed Critical 김선미
Priority to KR102011002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5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580B1/en
Priority to PCT/KR2012/001974 priority patent/WO2012128531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an integrated oper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a crime at a rest place by photographing a vehicle which goes in and out the rest place. CONSTITUTION: An entrance camera unit(10) photographs an incoming vehicle. An exit camera unit(10a) photographs an outgoing vehicle. An image processing unit(20,20a) reads vehicle information by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32) generates rest place situation information. An entrance sensor(12) senses the incoming vehicle. An exit sensor(12a) senses the outgoing vehicle.

Description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그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rest area, its control method,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

본 발명은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그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정되지는 않지만 특히 고속도로 휴게소에 설치하여 진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이를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를 추출하여 다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그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a control method thereof,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which can extract information and use it for various purposes, a control method thereof,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신규 고속도로의 증가와 기존 도로의 고속도로화가 증가하면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은 휴게소로 한정된다. 고속도로의 휴게소 이용객의 증가로 인하여,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자 및 이용자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As the number of new highways increases and that of existing roads increases, the number of vehicles using highways is increasing day by day. In general, when using the highway, the space for the driver to rest is limited to rest area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ssengers at highway rest stops, various problems occur in terms of highway rest area operators and users, and thus improvement is required.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의 문제점 및 개선점의 여러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everal examples of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using the highway rest area are as follows.

첫째,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휴게소 운영자 및 이용자의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휴게소 운영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휴게소에서 범죄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의 효과적인 예방이 필요하다. 또한,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자 중 특히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휴게소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휴게소의 이용 시간 등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이에 맞추어 적절히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용자의 휴게소 이용 현황-주로 이용하는 시간대, 특정요일, 날짜 등-에 따른 효과적인 휴게소 운영 예를 들어 특정 집중 시간대의 서비스 인력의 배치 강화 등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는 이러한 이용자의 휴게소 이용 현황 등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First, as the number of highway rest stops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most efficient rest stops in terms of operators and users. For example, crimes may occur at rest areas, so effective prevention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use of the rest area more conveniently among the users of the highway rest area users, especially public transportation. Because the user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s not free to use the rest area, it is desirable to provide convenience according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rest area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user's resting place usage status-mainly used time zone, specific day of the week, date, etc., for example, strengthening the arrangement of service personnel in a specific concentrated time zone. However, at pres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ack of data on the user's use of the rest area.

둘째, 2008년도부터 경찰은 고속도로에서의 속도위반 단속시스템의 운영방식을 두 지점의 사이의 속도를 평균 속도로 환산하여 속도위반 단속을 시행하는 소위 구간 단속을 시행하고 있다. 어느 특정 지점에서의 과속 단속보다 구간 단속은 그 효율성이 높다. 그러나, 구간 단속의 특성상 구간 단속의 시점과 종점의 사이에 휴게소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록 이러한 구간이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다발하는 지점이라도 구간 단속 장비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Secondly, since 2008, the police have implemented the so-called section crackdown, which enforces the speed violation crackdown by converting the speed between two points into the average speed. Segmentation is more efficient than speeding at any particular point. However, when the rest area is located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ection crackdow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 crackdown, even if the section is a point where accidents due to speeding occur, it is impossible to install the section crackdown equipment.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solving such a problem.

셋째, 고속도로 사용 요금을 줄이기 위하여 상하행선 휴게소나 간이휴게소가 인접한 곳에서 서로 통행권을 교환하는 이른바 통행권 바꿔치기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출발하는 차량과 부산에서 출발하는 차량이 서울과 부산의 중간쯤에 만나서 서로 통행권을 바꾼다. 부산 출발 통행권을 가진 서울에서 출발하는 차량은 부산 전의 톨게이트에서 나가고, 서울 출발 통행권을 가진 부산에서 출발하는 차량은 서울 전의 톨게이트에서 나가면, 결과적으로 서울에서 출발하는 차량은 부산과 부산전의 톨게이트 사이의 요금, 부산에서 출발하는 차량은 서울과 서울전의 톨게이트 사이의 요금만을 지불하게 된다. 도로공사에서는 통행권 교환 사용 적발하고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예산을 사용하여 각각의 요금소에 이른바 "통행권 면탈 방지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요금소의 "통행권 면탈 방지 시스템"의 카메라가 잠시라도 작동을 멈추면 통행권 교환을 적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Third, there is a change of so-called right-of-going ticket in which up and down line rest stops or simple rest stops exchange their right to each other. For example, a vehicle departing from Seoul and a vehicle departing from Busan meet in the middle of between Seoul and Busan to change their pass. Vehicles departing from Seoul with a bus ticket departing from Busan leave the toll gate before Busan, while vehicles departing from Busan with a ticket departing from Seoul leave the toll gate before Seoul, and as a result, vehicles departing from Seoul are charged between Busan and the toll gate of Busan. In addition, a vehicle departing from Busan will pay only the fare between Seoul and the toll gate in Seoul. In order to detect and prevent the use of toll exchanges, KNOC uses a large amount of budget to operate the so-called toll free system. However, it is impossible to detect a toll exchange if the camera of the toll-free "toll-free system" stops working for a while.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solving such a problem.

넷째, 정부 규정에 따르면, 운전자의 피로 정도를 고려해 휴게소 표준 간격을 15㎞로 정하고 최대 25㎞를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교통량이 많은 구간에는 주차장, 화장실, 매점 등 최소 시설만 갖춘 간이 휴게소 설치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 사이의 평균 간격(41.5㎞)이 적정 기준(15㎞)을 2.7배나 초과해 졸음운전 및 각종 안전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고속도로(20㎞)과 경부고속도로(26㎞)만 권장 기준을 가까스로 맞출 뿐, 88올림픽 고속도로(45.5km), 중앙고속도로(41km) 등을 합친 전국 149개 고속도로 휴게소의 평균 간격은 41.5㎞에 달한다. 그런데 기준에 미달하는 휴게소 간격은 졸음운전 사고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통계에 의하면, 휴게소간 평균거리가 20km로 비교적 짧은 동해고속도로의 경우에 2006년 교통사고 중 졸음운전 비율이 7.7%에 불과한 반면에 휴게소간 평균 간격이 33.93㎞로 비교적 긴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경우는 33.1%에 달했다. Fourth, according to the government regulations, the standard of rest area is set to 15km in consideration of driver's fatigue level and not to exceed 25km.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a simple rest area with only minimal facilities such as parking lots, toilets, and kiosks in areas with heavy traffic. However, the average interval (41.5km) between domestic highway rest areas exceeded the proper standard (15km) by 2.7 times, indicating that it is a major cause of drowsy driving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Only the East Sea Expressway (20km) and Gyeongbu Expressway (26km) meet the recommended standards, and the average interval of 149 highway rest areas nationwide, including the 88 Olympic Expressway (45.5km) and the Central Expressway (41km), reaches 41.5km. . However, gaps in rest areas that do not meet the standards are likely to lead to drowsy driving accident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rest stops is 20 km, which is relatively short (20 km). In 2006, the proportion of drowsy driving was only 7.7%, while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rest stops was 33.93 km. Reached%.

그런데, 고속도로의 휴게소의 증설은 많은 비용이 소용되므로, 단순히 휴게소 사이의 규정 거리뿐만 아니라 실제 교통량 및 이에 따른 이용량 등을 고려한 적절한 설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용자의 휴게소 이용 현황의 예측하여 어느 장소에 휴게소를 증설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는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현재는 이러한 이용자의 휴게소 이용 현황의 예측 등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expansion of the rest area of the expressway requires a lot of costs, it is necessary to properly install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traffic volume and the amount of use, as well as the prescribed distance between the rest plac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edict the use status of the resting place of the user and to determine in which place the rest area is effective. However, at pres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ack of data on the prediction of the user's use of the rest are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게소를 진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를 추출하여 다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그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ake a picture of a vehicle entering and leaving the rest area, a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the rest area that can be utilized for multi-purpose by extract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using image processing, The control method,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본 발명은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 카메라부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 카메라부와; 상기 진입 카메라부와 상기 진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차량의 진출입 시간 및 상기 차량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부를 포함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감지하는 진입 감지부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감지하는 진출 감지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는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하는 휴게소 체류시간 및 특정 시점에 상기 휴게소에 체류하는 차량 대수 중 최소한 한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try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advanc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image-process images captured by the entry camera unit and the exit camera unit to read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Provided is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includ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reating the rest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entry and exit tim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And an entr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ntranc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The rest area information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a rest stop time based on a vehicle number and the number of vehicles staying at the rest area at a specific time.

한편, 상기 영상처리부는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더욱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량이 대중교통수단인 경우에는 소정 체류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안내를 하는 안내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상 체류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휴게소 운영자에게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read the vehicle name, starting point, destination in the captured image. 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is a public transporta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guide for guiding a passenger of the vehicle when a predetermined dwell time elapses.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st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the rest area operator.

한편, 상기 차량의 구간별 주행 속도 산출을 위하여, 구간별 과속 판단을 수행하는 통합운영시스템에, 상기 휴게소에 들어온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입시간, 상기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출시간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합운영시스템에는, 상기 휴게소의 전방 소정 위치에 설치된 제1차량판독장치 및 상기 휴게소의 후방 소정 위치에 설치된 제2차량판독장치에서, 각각 해당 위치를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통과시각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운영시스템은 관리감독기관의 서버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alculate the traveling speed for each section of the vehicle,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for performing the speed determination for each section,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It is desirable to deliver.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may include a vehicle number and a passing time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corresponding position in a first vehicle reading apparatu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rest area and a second vehicle reading apparatu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rear of the rest area. It is desirable to deliver.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may be a server of a management oversight agency.

한편, 상기 차량의 통행권 면탈 방지를 위하여, 상기 통행권 면탈 방지를 수행하는 통합운영시스템에, 상기 휴게소에 들어온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입시간, 상기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출시간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right of passage of the vehicle, to pass the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the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to th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right of passage It is desirable to.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 카메라부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 카메라부와; 상기 진입 카메라부와 상기 진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 및 상기 차량의 진출입 시간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차량의 진출입 시간 및 상기 차량번호를 통합운영시스템에 제공하는 정보가공부를 포함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try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advanc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n imag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image-process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entry camera unit and the exit camera unit to read vehicle information about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and an entry / exit time of the vehicle; Provided is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compris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the entry and exit tim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number to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차량 촬영단계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차량 촬영단계와;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 및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차량정보 판독단계와; 상기 차량정보 판독단계에서 판독한 진출입 시간 및 차량정보를 기초로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단계를 포함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는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하는 휴게소 체류시간 및 특정 시점에 상기 휴게소에 체류하는 차량 대수 중 최소한 한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정보 판독단계에서, 차량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더욱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량의 구간별 주행 속도 산출을 위하여, 구간별 과속 판단을 수행하는 통합운영시스템에, 상기 휴게소에 들어온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입시간, 상기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출시간을 전달하는 정보전달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exit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vehicle information on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by image processing the images photographed in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and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Provided is a control method of a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includ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creating a rest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entry and exit tim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ad in the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The rest area information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a rest stop time based on a vehicle number and the number of vehicles staying at the rest area at a specific time. In the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read the vehicle name,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traveling speed for each section of the vehicle, th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speed determination for each section,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transfer step of delivering.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차량 촬영단계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차량 촬영단계와;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 및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차량정보 판독단계와; 구간 단속을 위하여, 상기 차량정보 판독단계에서 판독한 진출입 시간 및 차량정보를 통합운영시스템에 제공하는 정보전달단계를 포함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exit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vehicle information on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by image processing the images photographed in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and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Provided is a control method of a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including an information delivery step of providing the entry and exit tim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ad in the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to th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for the interval control.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게소 전방에 설치된 제1차량판독장치에서 차량의 통과시간 및 차량번호를 받는 제1차량정보 수신단계와;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의 진입시간 및 차량번호를 받는 휴게소 진입정보 수신단계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의 진출시간 및 차량번호를 받는 휴게소 진출정보 수신단계와; 휴게소 후방에 설치된 제2차량판독장치에서 차량의 통과시간 및 차량번호를 받는 제2차량정보 수신단계와; 상기 제1차량정보 수신단계, 상기 휴게소 진입정보 수신단계, 상기 휴게소 진출정보 수신단계 및 상기 제2차량정보 수신단계에서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량판독장치와 상기 휴게소 진입부 사이의 구간 속도, 상기 휴게소 진출부와 상기 제2차량판독장치와 사이의 구간 속도 및 상기 제1차량판독장치와 상기 제2차량판독장치 사이의 구간 속도 중의 최소한 한 개를 산출하는 구간속도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통합운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ehicle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passing time and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in the first vehicle reading apparatus installed in front of the rest area; A resting place entrance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n entry time and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ing place; Resting place departure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departure time and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 second vehicle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passing time and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in a second vehicle reading apparatus installed behind the rest area; A section between the first vehicle reading apparatus and the rest area entry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irst vehicle information receiving step, the rest area entrance information receiving step, the rest area departure information receiving step and the second vehicle information receiving step. Calculating at least one of a speed, a section speed between the rest area exiting part and the second vehicle reading device, and a section speed between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and the second vehicle reading device. It provides control method of integrated operating system.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그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above-described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a control method thereof,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휴게소에서 범죄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자 중 특히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편안하게 휴게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게소 운영자 측면에서도 이용자의 휴게소 이용 현황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휴게소를 운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crime, etc. at the rest area.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rest area more conveniently and comfortably among the users of the highway rest area users, especially public transport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t area operator can operate the rest area more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user's resting state use status.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과속 구간 단속의 시점과 종점의 사이에 휴게소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과속 단속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Secon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eed regula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rest area is located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peed section.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도로에서 서로 통행권을 교환하는 이른바 통행권 바꿔치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hange of the so-called right to exchange the right to each other on the highway.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정부 규정에 따른 휴게소 표준 간격뿐만 아니라, 휴게소의 이용량 등을 예측하여 이를 고려한 휴게소의 적절한 증설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expand the rest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use of the rest area as well as the standard rest area according to government regul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부의 설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카메라부가 촬영한 영상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및 통합운영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에서 구간 단속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camera unit of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FIG. 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multi-function camera system and integrated operating system for a rest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val control in the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rest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그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게소 및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편의상 고속도로 휴게소에 사용되는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그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a control method thereof,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used in rest areas and highway rest areas, but for convenience,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used in a highway rest area, a control method thereof,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휴게소에 진출입하는 차선이 1개 차선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2차선 이상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where one lane entering and leaving the rest area is one lane. Of cours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possible to apply also to two or more lanes.

고속도로(1)에서 휴게소(7)로 들어오는 진입로(3)에는, 상기 휴게소(7)로 들어오는 차량(100)을 감지하는 진입 감지부(12)와, 상기 진입 감지부(12)가 차량(100)을 감지하면 상기 차량(100)을 촬영하는 진입 카메라부(10)가 설치된다. 휴게소(7)에서 고속도로(1)로 나가는 진출로(5)에는 상기 휴게소(7)에서 나가는 차량(100)을 감지하는 진출 감지부(12a)와, 상기 진출 감지부(12a)가 차량을 감지하면 상기 차량(100)을 촬영하는 진출 카메라부(10a)가 설치된다. 진입 카메라부(10) 및 진출 카메라부(10a)는 진출입하는 차량(100)의 전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ccess road 3 that enters the rest area 7 from the highway 1, the entrance detection unit 12 that detects the vehicle 100 entering the rest area 7, and the entry detection unit 12 include the vehicle 100. ), The entrance camera unit 10 for capturing the vehicle 100 is installed. The exit roadway 5 exiting from the rest area 7 to the highway 1 includes an exit detection unit 12a for detecting the vehicle 100 exiting the rest area 7 and the exit detection unit 12a for detecting the vehicle. When the exit camera unit 10a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100 is installed. The entry camera unit 10 and the advance camera unit 10a are preferably installed to photograph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100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진입 감지부(12), 진입 카메라부(10), 진출 감지부(12a), 진출 카메라부(10a)는 영상처리부(20,20a)에 각각 연결된다. 영상처리부(20,20a)에서는 진입 카메라부(10)와 진출 카메라부(10a)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차량에 관한 '차량정보'(상세한 내용은 후술함)를 판독하게 된다. 진입 감지부(12) 및 진출 감지부(12a)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루프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레이저, 지자기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특정 센서 없이 차량(100)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촬영된 차량의 영상에서 차량의 특징부분 또는 차량의 번호가 판독되면, 차량으로 판단하여 저장하는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100)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리적인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과, 영상처리 기법 등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며,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entrance detection unit 12, the entrance camera unit 10, the entrance detection unit 12a, and the entrance camera unit 10a are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respectively. 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image-process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entry camera unit 10 and the advance camera unit 10a to read out 'vehicle information'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regarding the vehicle. The entrance detection unit 12 and the exit detection unit 12a may generally use the most commonly used loop sensor. In addition, a lase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may be used. In addition,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may be used to continuously photograph the vehicle 100 without a specific sensor and to determine and store the vehicle as a vehicle when a feature of the vehicle or the number of the vehicle is read from the image of the vehicle.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using a physical sensor,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or the like may be used as a means for detecting the vehicle 100,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한편 영상처리부(20,20a)는 중앙제어부(30)에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및 판독된 차량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30)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제어부(30)는 촬영된 영상 및 판독된 차량정보를 근거로 유용한 각종 정보(상세한 내용은 후술함)를 가공하는 정보가공부(32)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제어부(30)에는 정보가공부(32)에서 가공된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정보를 중앙제어부(30)를 운영하는 휴게소 운영자에게 알려 주는 운영자용 출력부(34)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제어부(30)에는 휴게소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전광판 또는 키오스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안내부(36)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20a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30, it is preferable to transfer the captured image and the read vehicle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30.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3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 for processing a variety of useful information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nd the read vehicl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3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operator output unit 34 to inform the operator of the rest area operating the central control unit 30,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 .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3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guide unit 36, which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gnboard or kiosk that displays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rest area user.

한편, 위에서는 영상처리부(20,20a), 정보가공부(32) 및 중앙제어부(30)를 별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영상처리부(20,20a) 및/또는 정보가공부(32)를 중앙제어부(30)와 함께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30 are separately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20a and / 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 may be configured together with the central control unit 30.

도 3을 참조하여, 영상처리부(20,20a)에서, 촬영된 차량의 영상에서 판독하는 '차량정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vehicle information' read from an image of a photographed vehicle by 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will be described below.

진입 카메라부(10) 및 진출 카메라부(10a)에서 촬영한 영상(200)은 통상 차량(100)의 전면이다. 차량의 전면 영상(200)은 번호판(11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고속버스, 관광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은 차량의 전면에 해당 버스의 'oo 고속'. 'oo 관광' 등과 같은 차량명칭(120)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전면 유리창에는 출발지/목적지(130), 출발시간(140) 등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image 200 captured by the entry camera unit 10 and the advance camera unit 10a is generally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The front image 200 of the vehicle basically includes the license plate 110.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express buses and sightseeing buses is called 'oo express'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 vehicle name 120 such as 'oo tourism' is generally displayed, and a departure point / destination 130 and a departure time 140 are generally displayed on the windshield.

영상처리부(20,20a)에서는 촬영된 영상(200)에서 최소한 번호판(110)을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처리하여 차량번호를 판독한다. 차량번호를 판독하는 것은 과속 단속 등에서 이미 사용되는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process the at least license plate 110 in the photographed image 200 by image processing to read the vehicle number. Reading the vehicle number is a technique already used in the speed regulation, an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더 나아가, 영상처리부(20,20a)에서는 촬영된 영상(200)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차량명칭(120), 출발지/목적지(130), 출발시간(140) 등을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or 20a read the vehicle name 120, the starting point / destination 130, the starting time 140, and the like by the image processing in the captured image 20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 특히 영상처리부(20,20a) 및 중앙처리부(30)에서 판독된 차량번호 등을 기초로 휴게소의 이용 현황 등에 대한 유용한 각종 정보(이하 편의상 '휴게소 상황정보')를 가공하는 것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various kinds of useful information on the usage status of the rest area, etc., based o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vehicle number rea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 etc. For the sake of convenience, processing of 'rest area information' is explained.

진입 감지부(12)가 휴게소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면(S1), 진입 카메라부(10)가 상기 차량을 촬영한다(S3). 촬영된 영상(200)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판독한다(S5). 그리고 진출 감지부(12a)가 휴게소에서 차량이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면(S7), 진출 카메라부(10a)가 상기 차량을 촬영하며(S9), 촬영된 영상(200)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판독한다(S11). 그리고 차량의 진입 및 진출시 판독한 차량정보를 기초로 하여 휴게소 상황정보를 가공한다(S13). When the entrance detecting unit 12 detects that the vehicle enters the rest area (S1), the entrance camera unit 10 captures the vehicle (S3). Image processing of the photographed image 200 to read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he vehicle number (S5). When the entrance detecting unit 12a detects that the vehicle enters the rest area (S7), the entrance camera unit 10a captures the vehicle (S9), and processes the photographed image 200 to image at least the vehicle number. Read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 (S11). Then, the rest area information is processed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read when the vehicle enters and exits (S13).

촬영된 영상(200)에서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차량번호를 판독하면, 상기 차량 번호뿐만 아니라 판독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자가용/영업용, 승용차/승합차 등 인지를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차량의 번호는 임의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며, 차량의 번호에는 차종 및 용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번호판등의 기준에 관한고시(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431호 등 참조) 예를 들어, 차량의 번호로 차량을 구분해보면, 차량의 번호에 앞자리 2 번호가 1-69이면 승용차이며, 승합차는 70~79 번호이다.If the vehicle number is read by image processing from the photographed image 200, the vehicle number as well as the vehicle number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number is a car / vehicle, a car, a van.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the vehicle is not arbitrarily determined, and the number of the vehicl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vehicle and its purpose. (Notice on the standards of the license plate of our country, etc.) For example, if a vehicle is classified by a vehicle number, the first two digits 1-69 of the vehicle number are passenger cars, and the vans are 70-79 numbers.

판독된 차량번호를 기초로 하여 소정의 정보를 가공(S13)하는 것은 정보가공부(32) 또는 중앙제어부(3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판독된 차량번호별로 휴게소에 체류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진입 카메라부(10) 및 진출 카메라부(10a)가 진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하는 시간을 기록하고 이를 영상처리부(20,20a), 정보가공부(32) 및 중앙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정보가공부(32) 또는 중앙제어부(30)에서는 진출입 시간을 알 수 있다. 진출시간에서 진입시간을 빼면 해당 차량의 휴게소 체류 시간이 된다. 즉 차량번호별로 휴게소 체류 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종류별-자가용/영업용, 승용차/승합차 등-로 휴게소에 체류 시간을 산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때, 휴게소 근무자의 차량, 도로공사 차량 등과 같은 특정의 차량은 제외하고 체류 시간을 산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Processing of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S13) based on the read vehicle number is preferably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 or the central control unit 30. For example, the time for staying in the rest area is calculated for each vehicle number read. Since the entry camera unit 10 and the advance camera unit 10a can record the time of photographing the vehicle entering and entering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it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20a,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 and the central controller 30,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 or the central control unit 30 can know the entry and exit time. Subtracting the entry time from the departure time is the rest time of the vehicle. Tha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st stop time for each vehicle number. In addi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alculate the residence time in the rest area by vehicle type-such as car / commercial, passenger car / van.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residence time except for a specific vehicle such as a vehicle of a rest stop worker, a road construction vehicle.

한편, 특정 휴게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체류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범죄 용의 차량이나 불법 영업 차량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휴게소 이용자의 건강상의 문제로 소정 시간 이상 체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별된 차량을 검문 검색 등을 하여 범죄 등을 방지하며, 이용자의 안전 여부 확인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1시간을 소정의 체류시간 상한으로 미리 설정하였다면, 휴게소 진입 후 1시간 이상이 경과 하였어도 진출하지 않는 차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차량번호와 차량영상을 운영자용 출력부(34)에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휴게소 관리원에게 PDA 장비와 같은 휴대용 장치를 보급하고, 중앙제어부(30)에서는 상기 휴대용 장치에 소정시간 이상의 체류를 하고 있는 차량번호와 차량영상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38)를 더욱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 vehicle that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a particular rest area is likely to be a criminal vehicle or an illegal business vehic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due to the health problems of the resting plac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such a crime by performing a screening search, such as the selected vehicl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safe. For example, if one hour is set in advance as a predetermined residence time upper limit,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es not advance even if more than one hour has elapsed after entering the rest area, and the determined vehicle number and vehicle image are output to the operator output unit 34. Display and trigger an alarm. In addition, the rest area manager to supply a portable device such as PDA equipment, the central control unit 30 further includes an interface unit 38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number and the vehicle image that has stayed in the portable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is possible.

한편, 영상처리부(20,20a)에서는 촬영된 영상(200)에서 차량번호 이외에도 각종 다른 정보를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촬영된 차량이 대중교통인 경우에는, 차량명칭, 출발지/목적지, 출발시간을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안내부(36)에 차량번호, 차량명칭, 출발지, 목적지 및 휴게소 출발 예정 시간 등을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안내부(36)는 전광판 등과 같이 비교적 크고 시인성이 좋은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36)에서는 차량번호, 차량명칭, 출발지, 목적지는 영상처리부(20,20a)에서는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판독한 정보를 사용하면 되며, 휴게소 출발 예정 시간은 해당 차량의 진입 시간에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0-15분을 더하여 산출하면 되며, 또한 차량의 전면에 출발시간이 표시된다면 이를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판독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may read various other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vehicle number from the captured image 200 by image processing. For example, when the photographed vehicle is public transporta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ad the vehicle name, the departure point / destination and the departure time. In such a case, the guide unit 36 may display a vehicle number, a vehicle name, a departure point, a destination, and a rest stop departure time.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36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relatively large and good visibility, such as an electronic sign. In the guide unit 36, the vehicle number, the vehicle name,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may use information read by the image processing in 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For example, the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10-15 minutes. If the departure time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it may be read and used by image processing.

예를 들어, 안내부(36)에 "00 고속, 차량번호 0000, 출발지 00, 목적지 00, 출발시간 00:00, 여유시간 00분" 등과 같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여유시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감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해당 차량이 휴게소를 떠나게 되면, 이는 진출 카메라부(10a)에서 감지되므로 영상처리부(20,20a)에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가 판독되면 갱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splay on the guide unit 36 such as "00 high speed, vehicle number 0000, departure 00, destination 00, departure time 00:00, spare time 00 minute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spare time has elapse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o be subtracted. When the vehicle leaves the rest area,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advance camera unit 10a. Therefore, when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is rea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s 20 and 20a,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n update.

상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고속버스, 관광버스 등의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휴게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탑승 안내를 위한 방송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쾌적한 휴게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for a user such as a highway bus and a tour bus to use the rest area safely and comfortably, and can reduce the broadcasting for boarding guidance, thereby creating a more comfortable rest area environment.

한편, 중앙제어부(30)에서 가공되는 휴게소 상황정보, 예를 들어 시간대별, 차량종류별, 차량 댓수, 차량별 체류시간, 특정시점 체류하고 있는 차량의 수 등과 같은 실시간 통계정보를 휴게소 운영자가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게소로 진입하는 차량의 증가에 따른 대비를 할 수 있으며, 또한 휴게소의 차량의 평균 체류시간/휴게소 진입차량의 수 등과 매출의 연관성 등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휴게시설의 확장 또는 휴게소 간의 비교가 가능한 자료의 산출 등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rest area operator effectively uses real-time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the rest area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30, for example, time zone, vehicle type, number of vehicles, residence time by vehicle, and number of vehicles staying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t is possibl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entering the rest area, and also to know the average residence time of the vehicles at the rest area / number of vehicles entering the rest are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ales and the rest. It is possible to produce data that can be expanded or compared between rest areas.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들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5 and 6, an embodiment of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구간 과속 단속, 통행권 면탈 방지 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제어부(30)가 통신망(40)을 통하여 통합운영시스템(50)에 연결된다. 통합운영시스템(50)는 구간 과속 단속, 통행권 면탈 방지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통합운영시스템(50)는 경찰청 및/또는 도로공사 등과 같은 관리감독기관의 운영서버가 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section speeding enforcement, prevention of passage right,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ral 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5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50 is a device used for speeding down a section and preventing the loss of a right to pass.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50 is operated by a supervisory authority such as a police agency and / or a road construction. Can be a server.

한편, 휴게소의 전방 소정 위치에는 제1차량번호 판독장치(300)가 설치되며, 휴게소의 후방 소정 위치에는 제2차량번호 판독장치(400)가 설치되며, 상기 제1차량번호 판독장치(300) 및 상기 제2차량번호 판독장치(400)는 통신망(40a)을 통합운영시스템(50)에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3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st area, the second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4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st area, and the first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300 is installed. And the second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4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40a to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50.

제1차량번호 판독장치(300)는 제1차량 감지부(320) 및 제1카메라부(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차량 감지부(320) 및 제1카메라부(310)는 제1제어부(330)에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차량번호 판독장치(400)는 제2차량 감지부(420) 및 제2카메라부(4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차량 감지부(420) 및 제2카메라부(410)는 제2제어부(430)에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망(40a)은 통합제어부와 통합운영시스템(50) 사이의 통신망(40)을 같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300 preferably includes a first vehicle detecting unit 320 and a first camera unit 310, and the first vehicle detecting unit 320 and the first camera unit 310 It is mor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330. The second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400 preferably includes a second vehicle detecting unit 420 and a second camera unit 410, and the second vehicle detecting unit 420 and the second camera unit 410 It is mor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43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40a may use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betwee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nd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50 together.

한편, 휴게소 전방 및 후방의 소정 위치는 구간단속이 요구되는 시점 및 종점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요구되는 소정 위치에 제1차량번호 판독장치(300) 및 제2차량번호 판독장치(400)를 설치할 수 있다. 제1차량번호 판독장치(300) 및 제2차량번호 판독장치(400)는 새롭게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에 설치된 장치 예를 들어 고속도로 진입부 및 진출부에 설치된 차량번호 판독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predetermined positions in front and rear of the rest area may be a starting point and an end point at which section enforcement is required, and thus, the first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300 and the second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400 are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Can be. The first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300 and the second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400 may be newly installed, and may also use an existing device installed, for example, a vehicle number reading device installed at a highway entrance and exit.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간 단속을 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principle of section interruption will be described.

통합운영시스템(50)는 제1차량 판독장치(300), 제2차량 판독장치(400) 및 휴게소용 중앙제어부(30)에서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차량 판독장치(300)의 설치 위치, 상기 제2차량 판독장치(400)의 설치 위치 및 휴게소(7)의 진입부(3) 및 진출부(5)에서 각각 차량의 차량번호 및 통과시간을 알 수 있다. 또한 통합운영시스템(50)는 제1차량 판독장치(300)와 휴게소용 진입부(3) 사이의 거리(Z1), 제2차량 판독장치(400)와 휴게소용 진출부(5) 사이의 거리(Z2), 제1차량 판독장치(300)와 제2차량 판독장치(400) 사이의 거리(Z)도 미리 알고 있다. 따라서, 통합운영시스템(50)는 제1차량 판독장치(300)와 휴게소용 진입부(3) 사이의 구간(Z1) 및 제2차량 판독장치(400)와 휴게소용 진출부(5) 사이의 구간(Z2)에서 운행 시간을 산출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여 구간 단속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차량(100)이 휴게소(7)를 들르지 않은 경우에는 제1차량 판독장치(300)와 제1차량 판독장치(300) 사이의 구간(Z)에서의 운행 시간을 산출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여 구간 단속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50 us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the second vehicle reading device 400, and the rest area control unit 30, to determine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reading device 400, and the entrance number 3 and the exit portion 5 of the rest area 7 can know the vehicle number and the passing tim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50 is the distance (Z1) between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and the rest area entrance (3),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vehicle reading device 400 and the rest area exit (5). (Z2), the distance Z between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and the second vehicle reading device 400 is also known in advance. Accordingly,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50 may include a section Z1 between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and the rest area entrance part 3 and between the second vehicle reading device 400 and the rest area exit 5.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ection control by calculating the driving time in the section Z2 and calcula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in the section. Of course, when the vehicle 100 does not stop at the rest area 7, the vehicle time in the section Z between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and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driving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section interruption by calculating the speed of.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영상처리장치, 중앙제어장치에서 시간의 동기화가 필요한데, 이는 GPS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동기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ime synchronization is required in each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entral control apparatus, which may use a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GPS or a network,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구간 단속의 시점과 종점의 사이에 휴게소(7)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과속 단속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차량 판독장치(300) 및 제1차량 판독장치(300)를 고속도로 진입부 및 출입부에 이미 설치된 판독장치를 사용하면, 전체 고속도로를 구간 단속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단속 카메라가 있는 지점만 피해가는 운전 형태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고 교통사고 예방과 규정 속도 준수를 통한 많은 이점이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rest area 7 is located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peeding section control, the speed regula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and the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300 use a reading device already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the exit of the highway, the entire highway is configured as a section enforcement system to control the camer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iving pattern to avoid only the point where there is an accident and there are many advantages through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and compliance with the regulation speed.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통행권 면탈 방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5, it will be described below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right to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통행권 면탈은 주로 장거리 이용자가 통행료의 절감을 위해 통행권의 교환사용을 하며, 장거리 이용자는 휴게소 이용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중앙제어부(30)에서 산출된 정보를 통합운영시스템(50)에 전송하게 되며, 휴게소 출입에 등록된 차량정보의 검색만으로 통행권 교환 사용 여부를 확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행선에 위치한 휴게소를 들른 차량이 하행선의 톨게이트를 빠져나가는 경우에는 통행권 교환이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exemption of toll tickets is mainly for long-distance users in exchange of tolls to reduce tolls, and long-distance users must use rest areas. Therefore,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50,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o use the right of exchange of exchange only by searching for the vehicle information registered at the entrance to the rest area. For example, when a vehicle that stops at a rest stop located on an upward line exits the toll gate of an downward lin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has been an exchange of passes.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간 단속 및/또는 통행권 면탈 방지 시스템 등은 휴게소 상황정보를 이용하는 것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odify and use the thought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the section crackdown and / or exemption from the right to pass can be configured and applied independently of using the rest area information.

10 : 진입 카메라부 12 : 진입 감지부
10a : 진출 카메라부 12a : 진출 감지부
12,12a : 영상처리부 30 : 중앙제어부
50 : 통합운영시스템 300,400 : 제1차량판독장치,제2차량판독장치
10: entry camera unit 12: entry detection unit
10a: advance camera unit 12a: advance detection unit
12,12a: image processing unit 30: central control unit
50: integrated operating system 300,400: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second vehicle reading device

Claims (17)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 카메라부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 카메라부와;
상기 진입 카메라부와 상기 진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차량의 진출입 시간 및 상기 차량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부와;
상기 휴게소로 들어오는 상기 차량을 감지하는 진입 감지부와;
상기 휴게소에서 나가는 상기 차량을 감지하는 진출 감지부를 포함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An entry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advanc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image-process images captured by the entry camera unit and the exit camera unit to read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ich creates the rest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entry and exit tim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An entrance detector detecting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including a depart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삭제delete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 카메라부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 카메라부와;
상기 진입 카메라부와 상기 진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차량의 진출입 시간 및 상기 차량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는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하는 휴게소 체류시간 및 특정 시점에 상기 휴게소에 체류하는 차량 대수 중 최소한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An entry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advanc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image-process images captured by the entry camera unit and the exit camera unit to read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reating the rest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entry and exit tim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The resting place status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a rest stop time based on a vehicle number and the number of vehicles staying at the rest area at a specific time.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 카메라부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 카메라부와;
상기 진입 카메라부와 상기 진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차량의 진출입 시간 및 상기 차량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더욱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An entry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advanc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image-process images captured by the entry camera unit and the exit camera unit to read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reating the rest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entry and exit tim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reading the vehicle name, starting point, destin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대중교통수단인 경우에는 소정 체류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안내를 하는 안내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The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guide unit for guiding a passenger of the vehicle when a predetermined dwell time elapses when the vehicle is a public transportation means. 제5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상 체류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휴게소 운영자에게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6. The rest area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staying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o a rest area operator.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 카메라부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 카메라부와;
상기 진입 카메라부와 상기 진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차량의 진출입 시간 및 상기 차량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구간별 주행 속도 산출을 위하여, 구간별 과속 판단을 수행하는 통합운영시스템에, 상기 휴게소에 들어온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입시간, 상기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출시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카메라 시스템.
An entry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advanc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image-process images captured by the entry camera unit and the exit camera unit to read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reating the rest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entry and exit tim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traveling speed for each section of the vehicle, an integrated operation system for performing speed determination for each sec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d the vehicle number / vehicle advance time of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Resting camer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운영시스템에는, 상기 휴게소의 전방 소정 위치에 설치된 제1차량판독장치 및 상기 휴게소의 후방 소정 위치에 설치된 제2차량판독장치에서, 각각 해당 위치를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통과시각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카메라 시스템.The vehicle of claim 7, wherein th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includes a first vehicle reading devic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rest area, and a second vehicle reading apparatu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hind the resting place, respectively. Camera system for rest area, characterized in that passing the number and passing ti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운영시스템은 관리감독기관의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카메라 시스템.8. The resting place camera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is a server of a management supervisory institution.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 카메라부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 카메라부와;
상기 진입 카메라부와 상기 진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차량의 진출입 시간 및 상기 차량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통행권 면탈 방지를 위하여, 상기 통행권 면탈 방지를 수행하는 통합운영시스템에, 상기 휴게소에 들어온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입시간, 상기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출시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카메라 시스템.
An entry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 advanc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image-process images captured by the entry camera unit and the exit camera unit to read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reating the rest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entry and exit tim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right of the vehicle, to pass the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the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to th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right of passage A resting camera system.
삭제delete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차량 촬영단계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차량 촬영단계와;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 및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차량정보 판독단계와;
상기 차량정보 판독단계에서 판독한 진출입 시간 및 차량정보를 기초로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휴게소 상황정보는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하는 휴게소 체류시간 및 특정 시점에 상기 휴게소에 체류하는 차량 대수 중 최소한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
An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a rest area;
An exit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vehicle information on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by image processing the images photographed in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and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creating rest area information on the basis of entry / exit time and vehicle information read in the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The resting place status information is a control method of a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rest time of the rest area based on the vehicle number and the number of vehicles staying at the rest area at a specific time.
삭제delete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차량 촬영단계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차량 촬영단계와;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 및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차량정보 판독단계와;
상기 차량정보 판독단계에서 판독한 진출입 시간 및 차량정보를 기초로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정보 판독단계에서, 차량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더욱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
An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a rest area;
An exit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vehicle information on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by image processing the images photographed in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and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creating rest area information on the basis of entry / exit time and vehicle information read in the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In the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reading the vehicle name, starting point, destination.
휴게소로 들어오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차량 촬영단계와;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을 촬영하는 진출차량 촬영단계와;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 및 상기 진입차량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최소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차량정보 판독단계와;
상기 차량정보 판독단계에서 판독한 진출입 시간 및 차량정보를 기초로 휴게소 상황정보를 만드는 정보가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구간별 주행 속도 산출을 위하여, 구간별 과속 판단을 수행하는 통합운영시스템에, 상기 휴게소에 들어온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입시간, 상기 휴게소에서 나가는 차량의 차량번호/차량 진출시간을 전달하는 정보전달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
An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entering a rest area;
An exit vehicl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A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vehicle information on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a vehicle number by image processing the images photographed in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and the entrance vehicle photographing step;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creating rest area information on the basis of entry / exit time and vehicle information read in the vehicle information reading step,
In order to calculate the traveling speed for each section of the vehicle, an integrated operation system for performing speed determination for each sec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number / vehicle entry tim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rest area and the vehicle number / vehicle advance time of the vehicle leaving the rest area. Control method of a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transfer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25196A 2011-03-22 2011-03-22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 KR101096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96A KR101096580B1 (en) 2011-03-22 2011-03-22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
PCT/KR2012/001974 WO2012128531A2 (en) 2011-03-22 2012-03-20 Multifunctional camera system for a rest area, method for controlling sam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u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96A KR101096580B1 (en) 2011-03-22 2011-03-22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580B1 true KR101096580B1 (en) 2011-12-21

Family

ID=4550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196A KR101096580B1 (en) 2011-03-22 2011-03-22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6580B1 (en)
WO (1) WO2012128531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1760A (en) * 2021-12-13 2022-03-25 江苏高速公路信息工程有限公司 Intelligent service area big data fus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371Y1 (en) 2006-08-28 2006-11-13 이성수 Control booth for use in rest stops of highw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390A (en) * 1984-03-05 1986-07-29 Soft Plus Corp. Computerized parking system
US6281928B1 (en) * 1998-05-13 2001-08-28 Chuo Hatsujo Kabushiki Kaisha Positional detector device for a vehicular license p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371Y1 (en) 2006-08-28 2006-11-13 이성수 Control booth for use in rest stops of high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8531A2 (en) 2012-09-27
WO2012128531A3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5287B2 (en) Public roa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ublic road parking management method
JP62659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management using lighting networks
CA2704332A1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KR102000555B1 (en) System confirming parking position
JP6471665B2 (en) Vehicle guidance system
CN107111940B (en)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method
JP2011515753A (en) Bidirectional control system to control city and off-road road networks for safety, standardization of vehicle performance and / or various regulations
WO2016113973A1 (en)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method
CN105046967A (en) Control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CN107004352B (en)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method
JP2009140381A (en)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394201B1 (en) Traffic violation enforcement system using cctv camera mounted on bus
JP2009116480A (en) Monitoring device for illegal passing vehicle
KR102041188B1 (en) Accident Vehicle Tow Position Notification System
JP4969108B2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KR1022981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llegal vehicle
KR101096580B1 (en) Multifunction camera system for a resting pl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l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untifunction carema system
JP2014056412A (en) Vehicular passage control system, in-vehicle device, and toll processing unit
US20050111699A1 (en) Suite of parking regulation control systems
JP2003337966A (en) Toll charging processing method for toll road, charging processing system, and on-vehicle device and roadside machine for toll charging processing for toll road
CN112565570A (en) Passenger vehicle overload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V2X and V2X vehicle-mounted unit
JP2004326410A (en) Tollgate terminal equipment for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etc on-vehicle unit and entry/leaving validity/invalidity deciding method
KR20190135331A (en) Traffic safety service system using lane-based precision positioning technology
KR20030009243A (en) DSRC omitted
KR20030044945A (en) Method for collecting congestion toll fee at traffic congestion block by using recognition of license plate and system for detecting automobile violating 10th-day no driv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