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623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623B1
KR101094623B1 KR1020090032282A KR20090032282A KR101094623B1 KR 101094623 B1 KR101094623 B1 KR 101094623B1 KR 1020090032282 A KR1020090032282 A KR 1020090032282A KR 20090032282 A KR20090032282 A KR 20090032282A KR 101094623 B1 KR101094623 B1 KR 10109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capacitance
insulating layer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9497A (en
Inventor
노리오 맘바
쯔또무 후루하시
고우이찌 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to KR102009003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623B1/en
Publication of KR2009010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6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제1 절연층을 개재하여 교차하는 X전극 XP와 Y전극 YP와, 제2 절연층을 개재하여 서로 플로팅인 복수의 Z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절연층에는, 터치에 의한 압압(押壓)으로 두께가 변화되는 재질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Z전극은, 인접하는 상기 X전극과 상기 Y전극의 양방에 중첩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그 X전극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서 면적이 커지고, 상기 인접하는 X전극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서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비도전성의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터치 면적이 작아도 적은 전극 개수로 고정밀도의 위치 검출할 수 있다.X electrodes XP and Y electrodes YP intersecting via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plurality of Z electrodes floating through each other are formed throug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s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 material whose thickness is changed by pressure by touch is used. The Z electrode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both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Further, the area becomes larger as the center of the X electrode is directed, and the area becomes smaller as the center of the adjacent X electrode is directed. Therefore, non-conductive input means can be used, and high-precision posit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with a small number of electrodes even if the touch area is small.

X전극, Y전극, Z전극, 절연층, 패드부, 슬릿, 터치 패널 X electrode, Y electrode, Z electrode, insulating layer, pad part, slit, touch panel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량 결합 방식의 입력 장치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의 좌표 검출 정밀도의 고정밀도화에 바람직한 것인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is particularly preferred for high precision of coordinate detection accuracy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capacitive coupling type input device.

표시 화면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접촉 압압(押壓) 조작, 이하, 간단히 터치라고 칭함)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 입력 기능을 갖는 입력 장치(이하, 터치 센서 또는 터치 패널이라고도 칭함)를 구비한 표시 장치는, PDA나 휴대 단말기 등의 모바일용 전자 기기, 각종 가전 제품, 무인 접수기 등의 거치형 고객 안내 단말기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에 의한 입력 장치로서, 터치된 부분의 저항값 변화를 검출하는 저항막 방식, 혹은 용량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 결합 방식, 터치에 의해 차폐된 부분의 광량 변화를 검출하는 광 센서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Inpu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or touch panel) having a screen input function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touch manipulation (contact pressure manipul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touch) using a user's finger or the like on a display screen Th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is used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DAs and portable terminals, various home appliances, and stationary customer guide terminals such as unmanned receivers. As such an input device by a touch, a resistive film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of a touched part, a capacitive coupling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 optical sensor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in light quantity of a part shielded by a touch, or the like This is known.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은, 저항막 방식이나 광 센서 방식과 비교한 경우에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이나 광 센서 방식에서는 투과율이 80% 정도로 낮은 것에 대해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은 약 90%로 투과율이 높아 표시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저항막 방식에서는 저항막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 터치 위치를 검지하기 때문에, 저항막이 열화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에 대해, 정전 용량 결합 방식에서는 검출용 전극이 다른 전극 등과 접촉하도록 하는 기계적 접촉이 없어, 내구성의 점에서도 유리하다.The capacitive coupling method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when compared with the resistive film method or the optical sensor method. For example, the resistive film method or the optical sensor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the transmittance is about 80%, whereas the capacitive coupling method is about 90%,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isplay quality is not deteriorated. In addition, in the resistive film method, since the touch position is detected by the mechanical contact of the resistive film, the resistive film may be deteriorated or damaged. In the capacitive coupling method, there is no mechanical contact such that the detecting electrode contacts the other electrode. It is also advantageous in terms of durability.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식이 있다. 이 개시된 방식에서는, 종횡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검출용 세로 방향의 전극(X전극)과 검출용 가로 방향의 전극(Y전극)을 형성하고, 입력 처리부에서 각 전극의 용량을 검출한다. 터치 패널의 표면에 손가락 등의 도체가 접촉한 경우에는, 각 전극의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입력 처리부에서 이것을 검지하고, 각 전극이 검지한 용량 변화의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좌표를 계산한다. 여기서는, 검출용의 전극이 열화되어 물리적 특성인 저항값이 변화되어도 용량 검출에 미치는 영향은 적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입력 위치 검출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그 때문에, 높은 입력 위치 검출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As a capacitive coupling touch panel, there exists a system as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In this disclosed system, a vertical electrode for detection (X electrode) and a horizontal electrode for detection (Y electrode) arranged in a vertical and horizontal two-dimensional matrix shape are formed, and the capacitance of each electrode is detected by the input processing unit. When a conductor such as a fing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the capacitance of each electrode increases, so the input processing unit detects this and calculates the input coordinates based on the signal of the capacitance change detected by each electrode. Here, even if the electrode for detection deteriorates and the resistance value which is a physical characteristic changes, since it has little influence on capacitance detection, there is little influence on the input position detection precision of a touch panel. Therefore, high input position detection precision can be realized.

[특허 문헌 1] 일본 특표 2003-51179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511799

그러나,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은, 상기 특허 문헌 1과 같이 검출용의 각 전극의 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입력 좌표를 검출하기 때문에, 입력 수단으로서는 도전성이 있는 물질이 전제로 된다. 그 때문에, 저항막식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전성이 없는 수지제 스타일러스 등을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킨 경우에는, 전극의 용량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 좌표를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apacitive coupling type touch panel detects a capacitance change of each electrode for detection and detects input coordinates as in Patent Document 1, a conductive material is assumed as an input means. Therefore, when a non-conductive resin stylus or the like used in a resistive film or the lik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touch panel of a capacitive coupling method, since the capacitance change of the electrode hardly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put coordinates cannot be detected. have.

또한, 한편 도전성이 있는 물질, 예를 들면 금속 등으로 스타일러스를 만들고, 그에 의해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입력하고자 한 경우에는, 전극 개수가 증가한다. 예를 들면, 대각 4인치이고 종횡의 치수비가 3대4인 정전 용량 결합 방식 터치 패널을, 특허 문헌 1과 같은 마름모형을 기본으로 한 전극 형상으로 실현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여기서 손가락을 입력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최소의 접촉면을 직경 6㎜로 가정하고, 이 사이즈를 전극 간격으로 하여 검출용 전극을 준비하면, 전극 총수는 22개로 된다. 한편 스타일러스의 접촉면을 직경 1㎜로 가정하고, 이 사이즈를 전극 간격으로 하여 검출용 전극을 준비하면 139개로 되어, 약 6배까지 전극 개수가 증가한다. 전극 개수가 증가하면 입력 처리부에의 배선 주회에 필요로 되는 액연 면적이 커지고, 또한 제어 회로와의 신호 접속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충격 등에 대한 신뢰성도 저하된다. 또한, 입력 처리부의 단자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회로 면적도 증가하여, 코스트 증가가 염려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ylus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and the like is input to the touch panel of the capacitive coupling method, the number of electrodes increases. For example, consider a case where a capacitive coupling type touch panel having a diagonal of 4 inches and a dimension ratio of 3 to 4 is realized in an electrode shape based on a rhombus like Patent Document 1. In the case where the finger is an input object, the minimum contact surface is assumed to be 6 mm in diameter, and if the electrode for detection is prepared with this size as the electrode interval, the total number of electrodes is 22. 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ylus is 1 mm in diameter, and the detection electrodes are prepared with this size as the electrode interval, the number is 139,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electrodes by about six times. Increasing the number of electrodes increases the liquid smoke area required for wiring circumference to the input processing section, and also increases the number of signal connections with the control circuit, thereby deteriorating reliability against impacts.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terminals in the input processing section increases, the circuit area also increases, and an increase in cost is concerned.

이상의 점으로부터,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정전 용량 결합 방식 터치 패널에서는, 비도전성 물질에 의한 입력에의 대응과, 작은 접촉면의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경우의 전극수 삭감이 과제로 된다.In view of the above, in the capacitive coupling type touch panel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number of electrodes in the case of responding to an input by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n input means of a small contact surface is a problem.

상기 과제의 해결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X전극과 복수의 Y전극과 복수의 Z전극을 구비한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을 이용한다. 이 정전 용량 터치 패널에서, 제1 평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선부가 교대로 배열되도록 하여 형성된 복수의 X전극과, 제2 평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선부가 교대로 배열되도록 하여 형성된 복수의 Y전극과, 제3 평면에서, 전기적으로 플로팅인 복수의 Z전극과, 상기 X전극과 상기 Y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층과, 상기 Y전극과 상기 Z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층을 구비하고, 상기 X전극과 상기 Y전극은, 상기 제1 절연층을 개재하여 교차되고,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상기 X전극의 패드부와 상기 Y전극의 패드부는 중첩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Z전극은,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인접하는 상기 X전극과 상기 Y전극의 양방에 중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2 절연층을, 터치에 의한 압압에 의해 두께가 변화되는 재료, 예를 들면 탄성 절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비도전성의 입력 수단에서도 상기 X전극 및 상기 Y전극과, 상기 Z전극 사이의 용량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정전 용량 결합 방식에 의해 터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a plurality of X electrodes, a plurality of Y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Z electrodes is used. In this capacitive touch panel, a plurality of X electrodes which extend in a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plane and are arranged so that the thin wire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in a second plane,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Y electrodes forme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thin wires, a plurality of Z electrodes electrically floating in a third plane, a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and the Y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Z electrode, wherein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cross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when viewed in plan, 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and The pad portion of the Y electrode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and the Z electrode is formed so as to overlap both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when viewed in plan. At this tim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whose thickness is changed by pressing by touch, for example,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X electrode, the Y electrode, and the Z electrode are also used for non-conductive input mean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apacitance change in between, and thus it becomes possible to detect a touch by the capacitive coupling method.

또한, 상기 X전극의 패드부는, 그 X전극과 인접하는 X전극의 세선부 부근까지 연장되고,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그 X전극의 패드부에서의 형상은, 그 X전극의 세선부를 향함에 따라서 면적이 커지고, 상기 인접하는 X전극의 세선부를 향함에 따라서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터치 조작에서의 접촉면에 비해 상기 X전극의 전극 간격이 넓은 경우에도, 인접하는 상기 X전극의 검출 용량 성분의 비로부터 터치 좌표 위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적은 전극 개수로 고정밀도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extends to the vicinity of the thin wire portion of the X electrode adjacent to the X electrode, and in a plan view, the shape at 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faces the thin wire portion of the X electrode. The area becomes l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rea becomes smaller as the thin wire portion of the adjacent X electrode is direc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calculate the touch coordinate position from the ratio of the detection capacitance components of the adjacent X electrodes even when the electrode spacing of the X electrodes is wider than the contact surface in the touch operation, so that the precision is small with the small number of electrodes. Position detection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복수의 Z전극을, 인접하는 상기 X전극과 상기 Y전극의 양방에 중첩시켜 형성함으로써, 상기 X전극 상에 터치에 의한 접촉면이 존재한 경우라도, 상기 Z전극을 통하여 인접하는 상기 Y전극이 용량 변화를 검지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Y전극 상에 터치에 의한 접촉면이 존재한 경우라도, 상기 Z전극을 통하여 인접하는 상기 X전극이 용량 변화를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 전체면에서 입력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상기 Y전극의 전극 개수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the plurality of Z electrodes are formed by overlapping both of the adjacent X electrodes and the Y electrodes, so that even if a contact surface by touch exists on the X electrodes, the Y electrodes adjacent through the Z electrodes are formed. The electrode can detect the change in capacitance, and on the contrary, even if a contact surface by touch is present on the Y electrode, the X electrode adjacent through the Z electrode can detect the change in capacitance, so that the entire touch panel can be detected. Input coordinates can be detected at.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electrodes of the Y electrode can also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패널의 전극의 형상이나 배치를 연구함으로써, 적은 전극 개수로 종래와 비교하여 정밀도가 높은 위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udy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of the touch panel, it is possible to detect a position with a higher precision than in the past with a small number of electrod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using drawing.

[실시예 1]Example 1

입력 장치(이하, 터치 패널이라고 부름),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n inpu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panel)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도 1에서, 참조 부호 10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이다. 터치 패널(101)은, 용량 검출용의 X전극 XP와 Y전극 YP를 갖는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X전극을 4개(XP1부터 XP4), Y전극을 4개(YP1부터 YP4)로 도시하고 있지만, 전극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패널(101)은 표시 장치(106)의 전체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 표시된 화상을 사용자가 보는 경우에는, 표시 화상이 터치 패널을 투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은 투과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101)의 X전극과 Y전극은, 검출용 배선에 의해 용량 검출부(102)에 접속된다. 용량 검출부(102)는, 제어 연산부(10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각 전극(X전극, Y전극)의 용량을 검출하고, 각 전극의 용량값에 의해 변화하는 용량 검출 신호를 제어 연산부(103)에 출력한다. 제어 연산부(103)는, 각 전극의 용량 검출 신호로부터 각 전극의 신호 성분을 계산함과 함께, 각 전극의 신호 성분으로부터 입력 좌표를 연산하여 구한다. 시스템(104)은, 터치 조작에 의해 터치 패널(101)로부터 입력 좌표가 전송되면, 그 터치 조작에 따른 표시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 제어 신호로서 표시 제어 회로(105)에 전송한다. 표시 제어 회로(105)는, 표시 제어 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화상에 따라서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에 화상을 표시한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nel 101 has an X electrode XP and a Y electrode YP for capacitive detection. Here, for example, four X electrodes (XP1 to XP4) and four Y electrodes (YP1 to YP4) are shown, but the number of electrodes is not limited thereto. The touch panel 101 is install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6. Therefore, when the user sees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since the display image needs to pass through the touch panel, the touch panel preferably has a high transmittance.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of the touch panel 101 are connected to the capacitance detecting unit 102 by the detection wiring. The capacitance detection unit 102 is controlled by a detec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operation unit 103, detects the capacitance of each electrode (X electrode, Y electrode) included in the touch panel, and measures the capacitance of each electrode. The changing capacitance detection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calculating section 103. The control calculation unit 103 calculates a signal component of each electrode from the capacitance detection signal of each electrode, and calculates and calculates input coordinates from the signal component of each electrode. When the input coordinates are transmitted from the touch panel 101 by a touch operation, the system 104 generates a display image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control circuit 105 as a display control signal. The display control circuit 105 generates a display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image transmitted by the display control signal,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device.

도 2는 용량 검출부(102)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전류적분에 의한 용량 검출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단, 용량 검출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용량과 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드 캐패시터에 의한 용량 검출 방식이나, 동일하게 스위치와 용량을 이용하여 전하를 용량에 수송하는 차지 트랜스퍼 방식 등, 터치 패널의 용량 검출용 전극의 용량, 혹은 용량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방식이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전류 적분에 의한 용량 검출 회로는, 정전류원과, 정전류원의 전류를 터치 패널(101)의 X전극 및 Y전극에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 SW_A와, 전류 적분 시의 용량 검출용 전극의 전압 VINT와 참조 전압 VREF를 비교하는 컴퍼레이터(107), 및 용량 검출용 전극의 전압을 리세트하기 위한 스위치 SW_B로 구성된다. 여기서, X전극 XP에 접속되는 상기 스위치 SW_A, SW_B, 및 그 제어 신호를 SW_XPA, SW_XPB로 기재하고, Y전극 YP에 접속되는 상기 스위치 SW_A, SW_B, 및 그 제어 신호를 SW_YPA, SW_YPB로 기재하고 있다.2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apacitance detector 102. Here, as an example, a capacitance detection circuit by current integration is shown. However, the capacitive detection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capacitive detection method by a switched capacitor using a capacitor and a switch, or a charge transfer method in which charges are transferred to a capacitor using a switch and a capacitor in the same manner. As long as it is a system which can detect the capacitance or the capacitance change of the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of a panel, it is applicable to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capacitance detection circuit by the current integration shown in FIG. 2 includes a constant current source, a switch SW_A for applying current from the constant current source to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of the touch panel 101, and an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during current integration. The comparator 107 compares the voltage VINT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with the voltage VINT, and the switch SW_B for resetting the voltage of the capacitance detecting electrode. Here, the switches SW_A, SW_B and its control signals connected to the X electrode XP are described as SW_XPA and SW_XPB, and the switches SW_A, SW_B and their control signals connected to the Y electrode YP are described as SW_YPA and SW_YPB. .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용량 검출부(102)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여기서는 제어 신호가 하이 레벨일 때에 스위치가 접속 상태로 되고, 제어 신호가 로우 레벨일 때에 스위치가 비접속 상태로 된다고 가정한다. 용량 검출부(102)는, SW_XP1B를 로우 레벨로 하여 리세트 상태를 해제하고, 그리고 SW_XP1A를 하이 레벨로 하여 정전류원과 XP1 전극을 접속한다. 이에 의해 터치 패널(101)의 용량 검출용 전극 XP1의 전압 VINT는 상승한다. 참조 전압 VREF는 리세트의 전위(여기서는, GND로 가정)보다도 고전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SW_XP1A가 하이 레벨로 되고나서 VINT가 VREF에 도달할 때까지 컴퍼레이터(107)의 출력은 로우 레벨로 된다. VINT가 참조 전압 VREF 이상으로 되면, 컴퍼레이터(107)는 하이 레벨을 출력한다. 그 후, SW_XP1A가 비접속 상태, SW_XP1B가 접속 상태로 되어 XP1 전극이 리세트될 때까지, 컴퍼레이터(107)는 하이 레벨을 출력한다. 전술한 XP1 전극의 충방전이 종료되면, 다음으로 XP2 전극의 충방전을 마찬가지로 행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XP1부터 XP4, YP1부터 YP4의 전극의 용량 검출을 행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입력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전류 적분에 의한 용량 검출에 의해, 터치 패널(101)의 용량 검출용 전극의 용량이 변화된 경우의 XP1 전극의 전압 VINT를 도시한 도면이다. 터치 패널(101)의 XP1 전극 상에 터치가 없는 경우에는 XP1 전극의 용량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참조 전압 VREF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검출 조작마다 거의 일정하게 된다. 한편,XP1 전극 상에 터치가 있는 경우에는, XP1 전극의 용량은 변화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용량이 증가하였다고 가정하면, 정전류원의 전류는 일정하기 때문에, 참조 전압 VREF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길어진다. 제어 연산부(103)는, 이 터치 상황에 의한 참조 전압 VREF까지의 도달 시간의 차를, 용량 검출 신호의 상승 타이밍의 차로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연산부(103)는, 용량 검출 신호의 상승 타이밍의 차를 각 전극의 신호 성분으로서 산출하고, 각 전극의 신호 성분으로부터 입력 좌표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3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apacitance detecting unit 102 shown in FIG. It is assumed here that the switch is in the connected state when the control signal is at the high level, and the switch is in the unconnected state when the control signal is at the low level. The capacitance detecting unit 102 sets the SW_XP1B to the low level to cancel the reset state, and connects the constant current source and the XP1 electrode with the SW_XP1A to the high level. As a result, the voltage VINT of the electrode XP1 for capacitance detection of the touch panel 101 increases.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set at a higher potential than the reset potential (assuming GND here). Therefor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07 goes to the low level until SW_XP1A goes high and until VINT reaches VREF. When VINT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comparator 107 outputs a high level. Thereafter, the comparator 107 outputs a high level until the SW_XP1A is in the non-connected state and the SW_XP1B is in the connected state until the XP1 electrode is reset. After the above-described charge and discharge of the XP1 electrode is completed, charge and discharge of the XP2 electrode is then similarly performed. This operation is repeated to detect the capacitance of the electrodes XP1 to XP4 and YP1 to YP4. By repeating the above operation, input coordinates can be detected continuously. 4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VINT of the XP1 electrode when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ance detecting electrode of the touch panel 101 is changed by capacitance detection by the current integration shown in FIGS. 2 and 3. When there is no touch on the XP1 electrode of the touch panel 101, the capacitance of the XP1 electrode does not change, so the time until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reached is almost constant for each detection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touch on the XP1 electrode, the capacitance of the XP1 electrode is changed. Her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apacitance is increased, since the current of the constant current source is constant, the time until reaching the reference voltage VREF becomes long. The control calculating part 103 can detect the difference of the arrival time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by this touch situation as the difference of the rise timing of a capacitance detection signal. Therefore, the control calculating part 103 can calculate the difference of the rise timing of a capacitance detection signal as a signal component of each electrode, and can calculate an input coordinate from the signal component of each electrod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101)에 형성한 용량 검출용의 전극에 대하여, 도 5a, 도 5b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formed in the touch panel 10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 5A, FIG. 5B, and FIG.

도 5a는 터치 패널(101)의 용량 검출용의 X전극 XP 및 Y전극 YP, 또한 그 상부에 형성한 Z전극 ZP의 전극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X전극 XP와 Y전극 YP는, 검출용 배선에 의해 용량 검출부(102)에 접속된다. 한편,Z전극 ZP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플로팅의 상태로 한다. 도 5b는 X전극 XP와 Y전극 YP의 전극 패턴만을 도면에 도시한 것이다. Y전극은 터치 패널(101)의 가로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으며, 복수의 Y전극이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Y전극과 X전극의 교차 부분은, 각 전극의 교차 용량을 삭감하기 위해서 Y전극과 X전극의 전극 폭을 가늘게 하고 있다. 이 부분을 임시로 세선부라고 부른다. 따라서, Y전극은 그 연장 방향으로 세선부와, 그 이외의 전극 부분(이하에서는, 패드부라고 부름)을 교 대로 배치한 형상으로 된다. 인접하는 Y전극 사이에, X전극을 배치한다. X전극은 터치 패널(101)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X전극이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된다. Y전극과 마찬가지로,X전극은 그 연장 방향으로 세선부와 패드부를 교대로 배치한 형상으로 된다. 이하에서, X전극의 패드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임시로 X전극을 검출용 배선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 위치(혹은 X전극의 세선부)를, X전극의 가로 방향의 중심이라고 가정한다. X전극의 패드부의 전극 형상은, 인접하는 X전극의 중심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면적이 작아지고, 그 X전극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X전극, 예를 들면 XP1과 XP2 사이에서의 X전극의 면적을 생각한 경우에는, XP1 전극의 중심 부근에서는 XP1 전극의 패드부의 전극 면적이 최대로 되고, 또한 XP2 전극의 패드부의 전극 면적은 최소로 된다. 한편,XP2 전극의 중심 부근에서는 XP1 전극의 패드부의 전극 면적이 최소로 되고, 또한 XP2 전극의 패드부의 전극 면적이 최대로 된다. 여기서, 인접하는 2개의 X전극간에서의 패드부 형상은, 한쪽의 X전극의 형상이 볼록 형상이며, 다른 한쪽의 X전극 형상이 오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5A is a diagram showing electrode patterns of the X electrodes XP and Y electrodes YP for capacitive detection of the touch panel 101, and the Z electrodes ZP formed thereon. The X electrode XP and the Y electrode YP are connected to the capacitance detecting unit 102 by the detection wiring. On the other hand, the Z electrode ZP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and is in a floating state. FIG. 5B shows only the electrode patterns of the X electrode XP and the Y electrode YP in the figure. The Y electrodes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uch panel 101, and a plurality of Y electrode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ersection of the Y electrode and the X electrode narrows the electrode widths of the Y electrode and the X electrode in order to reduce the cross capacitance of each electrode. This part is temporarily called thin line. Therefore, the Y electrode has a shape in which thin wire portions and other electrode por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d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 X electrode is disposed between adjacent Y electrodes. The X electrodes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uch panel 101, and a plurality of X electrodes ar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Like the Y electrode, the X electrode has a shape in which the thin wire portion and the pad por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Hereinafter, in order to explain the shape of 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it is assumed that the wiring position (or the thin wire portion of the X electrode) for temporarily connecting the X electrode to the detection wiring is the center of the X electro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lectrode shape of 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becomes smaller as it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area becomes larger as it is closer to the center of the X electrode.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area of the X electrode between two adjacent X electrodes, for example, XP1 and XP2, the electrode area of the pad portion of the XP1 electrode is maximized near the center of the XP1 electrode, and also the pad of the XP2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rea is minim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XP2 electrode, the electrode area of the pad portion of the XP1 electrode is minimum, and the electrode area of the pad portion of the XP2 electrode is maximum. Here, the shape of the pad portion between two adjacent X electrod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one X electrode is convex, and the shape of the other X electrode is concave.

도 5b에서는, X전극 좌측의 패드부의 전극 형상을 볼록 형상, 우측의 전극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X전극 우측의 전극 형상을 볼록 형상, 좌측의 전극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하여도 되고, X전극 좌우의 전극 형상을 볼록 형상으로 하고, 인접하는 X전극의 전극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In FIG. 5B, although the electrode shape of the pad part of the X electrode left side is convex shape, and the electrode shape of the right side is concave shape,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electrode shape on the right side of the X electrode may be convex and the electrode shape on the left side may be concave, the electrode shape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X electrode may be convex, and the electrode shape of the adjacent X electrode is concave. You may also

다음으로,Z전극 ZP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에서, Z전극 ZP는, Y 전극과 평행한 복수의 슬릿과, X전극과 평행한 복수의 슬릿에 의해, 복수의 전극 ZP로 분할된다. 도 5a에서는,Y전극과 평행한 슬릿의 세로 방향의 위치를, 각 X전극 상과 각 Y전극 상에 형성하고 있고, 각 X전극 상의 슬릿의 세로 위치는 X전극 형상의 볼록형 형상의 정점 부근, 혹은 오목형 형상의 골짜기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Y전극 상의 슬릿의 세로 위치는, Y전극의 전극 폭의 중심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X전극과 평행한 슬릿수는, 인접하는 X전극간에 복수 개소 형성한다. 그 때의 X전극과 평행한 슬릿의 간격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상정하는 입력 수단의 최소 접촉면의 치수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shape of the Z electrode ZP will be described. In FIG. 5A, the Z electrode ZP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lectrodes ZP by a plurality of slits parallel to the Y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slits parallel to the X electrode. In Fig. 5A,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slit parallel to the Y electrode is formed on each X electrode and each Y electrode, and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slit on each X electrode is near the apex of the convex shape of the X electrode shape, Or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icinity of a concave valle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slit on each Y electrode should be near the center of the electrode width of a Y electrode.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slits parallel to the X electrode is formed in plural places between adjacent X electrodes. Although the space | interval of the slit parallel to the X electrode at that time can be arbitrarily se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lose to the dimension of the minimum contact surface of the assumed input means.

도 6은 도 5a에서 점 A부터 점 B까지의 터치 패널(101)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단면도에서는, 터치 패널 동작의 설명에 필요로 되는 층만을 도시하고 있다. 터치 패널(101)의 각 전극은 투명 기판 상에 형성한다. 투명 기판으로부터 가까운 층부터 먼 층으로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투명 기판에 가까운 개소에 X전극 XP를 형성하고, 다음에 X전극과 Y전극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막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Y전극 YP를 형성한다. 여기서, X전극 XP와 Y전극의 순번을 교체하여도 된다. Y전극 YP의 다음에는 압력 검지용 절연층을 배치하고, 그 다음에 Z전극 ZP와 보호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압력 검지용 절연층은, 터치 조작에 의한 압압 시에, 막 두께가 변화되는 투명한 절연 재료이면 된다. 예를 들면, 탄성 절연 재료 등을 이용하여, 압력 검지용 절연층을 형성하여도 된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101 from point A to point B in FIG. 5A. In this cross section, only the layers required for the explanation of the touch panel operation are shown. Each electrode of the touch panel 101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he order from the layer closest to the layer farther from the transparent substrate will be described in order. First, the X electrode XP is formed at a position near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n an insulating film for insulating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is formed. Then, the Y electrode YP is formed. Here, the order of the X electrode XP and the Y electrode may be replaced. After the Y electrode YP, an insulating layer for pressure detection is arranged, and then a Z electrode ZP and a protective layer are formed. The pressure detecting insulating layer may be a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whose film thickness is changed at the time of pressing by touch operation. For example, an insulating layer for pressure detection may be formed using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101)에서의 터치 조작 시의 용량 변화에 대하여,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capacitance change at the time of touch operation in the touch panel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7B, 8A, and 8B.

도 7a 및 도 7b는, 터치 조작의 입력 수단이 손가락 등의 도체인 경우의 용량 변화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여기서는, 터치 시의 압압이 작아서 압력 검지용 절연층의 두께가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각 전극의 전극 용량은, 인접 전극과의 프린지 용량, 교차 용량, 그 밖의 기생 용량과의 합성 용량으로 되지만, 여기서는 Z전극과의 사이의 평행 평판 용량만 주목하고, 그 밖의 전극 용량은 터치 조작 시와 터치 조작이 없는 경우에서 변화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여기서, 터치 조작이 없는 경우의 Z전극 ZPA와 X전극 XP1 사이의 용량을 Cxz, Z전극 ZPA와 Y전극 YP2 사이의 용량을 Cyz로 가정한다.7A and 7B are schematic diagrams for describing capacitance changes when the input means for touch operation is a conductor such as a finger. It is assumed here that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is small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 detection insulating layer does not change. In addition, although the electrode capacitance of each electrode becomes a combined capacitance with a fringe capacitance with an adjacent electrode, a cross capacitance, and other parasitic capacitance, only the parallel plate capacitance with a Z electrode is noted here, and the other electrode capacitance is touched.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operation and in the absence of touch operation. Here, assume that the capacitance between the Z electrode ZPA and the X electrode XP1 in the absence of a touch operation is Cxz,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Z electrode ZPA and the Y electrode YP2 is Cyz.

X전극 XP1의 전극 용량을 용량 검출부(102)가 검출할 때는, Y전극 YP2는 리세트 상태로 GND 전위로 된다. 그 때문에 X전극 XP1로부터 본 경우의 합성 용량은, Z전극 ZPA가 플로팅이기 때문에,Cxz와 Cyz의 직렬 접속의 용량으로 된다. 이 때의 X전극의 합성 용량 Cxp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된다.When the capacitance detecting unit 102 detects the electrode capacitance of the X electrode XP1, the Y electrode YP2 is reset to the GND potential. Therefore, since the Z electrode ZPA is floating, the combined capacitance in the case seen from the X electrode XP1 becomes the capacitance of the series connection of Cxz and Cyz. The synthesized capacitance Cxp of the X electrode at this time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1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1

한편, 터치 조작에 의해 손가락의 접촉이 있는 경우에는, Z전극 ZPA에 손가락의 정전 용량 성분 Cf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합성 용량을 등가 회로로 나타내면 도 7b로 되고, 터치 조작 시의 X전극의 합성 용량 Cxpf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finger touches by touch operation, it can be regarded as a state in which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component Cf of the fing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Z electrode ZPA. In the case where the synthesized capacitance in this case is represented by an equivalent circuit, it becomes Fig. 7B, and the synthesized capacitance Cxpf of the X electrode during touch operation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2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2

제어 연산부(103)는, 터치 조작이 없을 때의 XP1 전극 용량 Cxp와, 터치 조작이 있을 때의 XP1 전극 용량 Cxpf의 차분을 XP1 전극의 신호 성분으로서 계산한다. 터치 조작 유무에서의 전극 용량의 차분 ΔCxp는, 수학식 1과 수학식 2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operation unit 103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XP1 electrode capacitance Cxp when there is no touch operation and the XP1 electrode capacitance Cxpf when there is a touch operation as the signal component of the XP1 electrode. The difference ΔCxp of the electrode capacitance with or without touch operation can be calculated from the equations (1) and (2).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3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3

수학식 3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 용량의 차분 ΔCxp는 손가락의 정전 용량 Cf에 의존하기 때문에, 제어 연산부(103)에 의해 XP1 전극의 신호 성분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Equation 3, since the difference ΔCxp of the electrode capacitance depends on the capacitance Cf of the finger, the control calculation unit 103 can calculate the signal component of the XP1 electrode.

도 8a 및 도 8b는, 터치 조작의 입력 수단이 비도전성이며, 터치 시의 압압에 의해 압력 검지용 절연층의 두께가 변화되는 경우의 용량 변화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터치 조작이 없는 경우의 XP1 전극의 용량은,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터치 시의 압압에 의해 Z전극 ZPA와 용량 검출용 전극 사이의 압력 검지용 절연층이 얇아진 경우의 도면이다. 이 경우의 Z전극 ZPA와 X전극 XP1간의 용량을 Cxza로 하고, Z전극 ZPA와 Y전극 YP2간의 용량을 Cyza로 한 경우, 평행 평판 용량은 두께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다음의 수학식이 성립한다.8A and 8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capacity change when the input means for touch operation is non-conductive and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 detection insulating layer is changed by pressure during touch. The capacitance of the XP1 electrode when there is no touch operation can be represented by Equation 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8A and 8B are diagrams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 detectio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Z electrode ZPA and the capacitance detecting electrode is thinned by the pressure during touch. In this case, when the capacitance between the Z electrode ZPA and the X electrode XP1 is set to Cxza,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Z electrode ZPA and the Y electrode YP2 is set as Cyza, the parallel plate capacitan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4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4

X전극 XP1의 전극 용량을 용량 검출부(102)가 검출할 때에는, Y전극 YP2는 리세트 상태로 GND 전위로 된다. 그 때문에 X전극 XP1로부터 본 경우의 합성 용량은, Z전극 ZPA가 플로팅이기 때문에,Cxza와 Cyza의 직렬 접속의 용량으로 된다. 이 때의 X전극의 합성 용량 Cxpa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된다.When the capacitance detecting unit 102 detects the electrode capacitance of the X electrode XP1, the Y electrode YP2 is reset to the GND potential. Therefore, since the Z electrode ZPA is floating, the combined capacitance in the case seen from the X electrode XP1 becomes the capacitance of the series connection of Cxza and Cyza. The synthesis capacitance Cxpa of the X electrode at this time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5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5

제어 연산부(103)는, 터치 조작이 없을 때의 XP1 전극 용량 Cxp와, 터치 조작이 있을 때의 XP1 전극 용량 Cxpa의 차분을 XP1 전극의 신호 성분으로서 계산한다. 터치 조작 유무에 의한 전극 용량의 차분 ΔCxpa는, 수학식 1과 수학식 5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calculation unit 103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XP1 electrode capacitance Cxp when there is no touch operation and the XP1 electrode capacitance Cxpa when there is a touch operation as the signal component of the XP1 electrode. The difference ΔCxpa of the electrode capacitance with or without touch operation can be calculated from the equations (1) and (5).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6
Figure 112009022450174-pat00006

수학식 4와 수학식 6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 용량의 차분 ΔCxpa를 용량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연산부(103)에 의해 XP1 전극의 신호 성분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equations (4) and (6), since the difference detector ΔCxpa of the electrode capacitance can be detected by the capacitance detection unit 102, the control calculation unit 103 can calculate the signal component of the XP1 electrode. have.

이상의 점으로부터, 압력 검지용 절연층과 Z전극 ZP를 이용함으로써, 비도전성의 입력 수단이라도, 압압에 의해 압력 검지용 절연층의 두께가 변화됨으로써 용량 변화에 의해 입력 좌표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view of the above, by using the pressure detecting insulating layer and the Z electrode ZP, even if it is a non-conductive input means,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 detecting insulating layer is changed by pressure, so that the input coordinates can be detected by the change in capacitance. .

다음으로, 도 9a∼도 9d 및 도 10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에 의한 접촉면이 작은 경우에, 접촉면의 위치가 가로 방향으로 변화한 경우의 각 전극의 신호 성분 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9A-9D and FIG. 10, the signal component of each electrode in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a contact surface changes to a horizontal direction when a contact surface by touch operation is small is demonstrated.

도 9a는 인접하는 2개의 X전극인 XP2와 XP3 사이에서, X전극 상에서 접촉면의 위치가 변화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XA는 XP2의 중심 부근이며, XB는 XP2와 XP3의 중간 부근이며, XC는 XP3의 중심 부근이다. 도 9a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Z전극 ZP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9b는 접촉면의 위치가 XA일 때의, XP2와 XP3의 제어 연산부(103)가 산출하는 신호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9c는 위치 XB일 때, 도 9d는 위치 XC일 때의 XP2와 XP3의 신호 성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한 정전 용량 Cf나,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한 Z전극 ZP와 용량 검출용 전극 사이의 용량 변화는, 접촉면의 면적에 의존한다. 따라서, 용량 검출용 전극과 접촉면이 겹치는 면적이 큰 경우에는 신호 성분이 커지고, 반대로 용량 검출용 전극과 접촉면이 겹치는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신호 성분이 작아진다. 위치 XA에서는, 접촉면과 XP2가 겹치는 부분이 많고, XP3과는 거의 겹치지 않기 때문에,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P2의 신호 성분이 크고, XP3의 신호 성분은 작아진다. 위치 XB에서는, XP2 및 XP3과 접촉면이 겹치는 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되므로,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출되는 신호 성분은 XP2와 XP3에서 거의 동일하게 된다. 또한, 위치 XC에서는, 접촉면과 XP3이 겹치는 부분이 많고, XP2와 거의 겹치지 않기 때문에,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XP3의 신호 성분이 크고, XP2의 신호 성분은 작아진다. 제어 연산부(103)는, 각 전극의 신호 성분을 이용하여 무게 중심 계산을 행하여, 접촉면이 터치 조작에 의해 접촉한 입력 좌표를 산출한다. 도 9c와 같이 XP2와 XP3에서 동일한 정도의 신호 성분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 위치는 XP2 전극과 XP3 전극의 중간에 오기 때문에, 입력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9b나 도 9d와 같이 한쪽의 X전극의 신호 성분이 매우 큰 경우에는, 무게 중심 위치는 큰 신호 성분을 검출한 X전극 부근으로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입력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FIG. 9A shows a state where the contact surface is changed on the X electrode between two adjacent X electrodes XP2 and XP3. XA is near the center of XP2, XB is near the middle of XP2 and XP3, and XC is near the center of XP3. In FIG. 9A, the Z electrode ZP is not shown for the sake of simplicity. 9B is a diagram showing signal components calculated by the control computing unit 103 of XP2 and XP3 when the position of the contact surface is XA. Similarly, Fig. 9C shows the signal components of XP2 and XP3 at the position XB, and Fig. 9D, respectively. The capacitance change between the capacitance Cf described in FIGS. 7A and 7B or the Z electrode ZP and the capacitance detection electrode described in FIGS. 8A and 8B depends on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Therefore, when the area where the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and the contact surface overlap is large, the signal component becomes large. On the contrary, when the area where the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electrode and the contact surface overlaps is small, the signal component becomes small. In the position XA, since the contact surface and XP2 overlap with each other and hardly overlap with XP3, as shown in Fig. 9B, the signal component of XP2 is large and the signal component of XP3 is small. In the position XB, the area where the contact surfaces of XP2 and XP3 overlap with each other is almost the same, so that the signal components calculated as shown in Fig. 9C are almost the same in XP2 and XP3. Further, in the position XC, since the contact surface and the XP3 overlap with each other and hardly overlap with the XP2, as shown in Fig. 9D, the signal component of the XP3 is large and the signal component of the XP2 is small. The control calculating part 103 calculates the center of gravity using the signal component of each electrode, and calculates the input coordinate which the contact surface touched by touch operation. When signal components of the same degree are obtained in XP2 and XP3 as shown in Fig. 9C, since the center of gravity position is between the XP2 electrode and the XP3 electrode, the input coordinates can be calcul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component of one X electrode is very large as shown in Figs. 9B and 9D, since the center of gravity position is near the X electrode where the large signal component is detected, the input coordinates can be similarly calculated.

도 10은 Y전극 상에서 도 9a와 마찬가지로 접촉면이 변화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가로 방향의 위치는, 도 9a의 XA가 XA', XB가 XB', XC가 XC'에 상당한다. 도 10에서 접촉면은 X전극과 직접 겹쳐져 있지 않지만, 접촉면이 겹쳐져 있는 Z전극 ZP는 인접하는 X전극 XP2와 XP3에 겹쳐져 있다. 따라서, Y전극 상에서의 접촉에 의한 용량 변화는, Z전극 ZP를 통한 용량 커플링에 의해 인접하는 X전극에서도 검출할 수 있다.FIG. 10 shows a state where the contact surface is changed on the Y electrode as in FIG. 9A. The posi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corresponds to XA 'in Fig. 9A, XB's XB', and XC's XC '. In FIG. 10, the contact surface does not directly overlap with the X electrode, but the Z electrode ZP having the contact surface overlaps with the adjacent X electrodes XP2 and XP3. Therefore, the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contact on the Y electrode can be detected also in adjacent X electrodes by the capacitive coupling through the Z electrode ZP.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X전극의 전극 형상을 이용함으로써, 접촉면에 비해 X전극의 전극 간격이 넓은 경우라도 무게 중심 계산이 가능하게 되어, 고정밀도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면에 비해 X전극의 전극 간격을 넓힘으로써 종래의 전극 패턴보다 전극 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X전극의 전극 형상이 Y전극을 사이에 두어 이산적이라도, 전기적으로 플로팅인 Z전극을 인접하는 X전극과 Y전극에 걸치도록 배치함으로써, 터치 패널 전체면에서 X 방향의 입력 좌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electrode shape of the X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calculated even when the electrode spacing of the X electrode is larger than the contact surface, and the position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Do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electrod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ectrode pattern by widening the electrode spacing of the X electrodes relative to the contact surface. In addition, even if the electrode shape of the X electrode is discrete with the Y electrod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electrically floating Z electrode is arranged to span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thereby detecting input coordinates in the X direction on the entire touch panel. It becomes possible.

다음으로, 도 11a∼도 11d를 이용하여, 터치 조작에 의한 접촉면이 작은 경우에, 접촉면의 위치가 세로 방향으로 변화한 경우의 각 전극의 신호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1A-11D, the signal component of each electrode in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a contact surface changes to a vertical direction when a contact surface by touch operation is small is demonstrated.

도 11a는, 인접하는 2개의 Y전극인 YP2와 YP3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접촉면의 위치가 변화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YA는 YP2의 중심 부근이며, YB는 YP2와 YP3의 중간 부근이며, YC는 YP3의 중심 부근이다. 접촉면이 위치 YA인 경우에는 접촉면과 겹치는 Y전극은 YP2만이기 때문에, 제어 연산부(103)가 검출하는 신호 성분은, 도 11b와 같이 YP2 전극의 신호 성분만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접촉면이 위치 YC인 경우에는 접촉면과 겹치는 Y전극은 YP3만이기 때문에, 도 11d와 같이 YP3 전극의 신호 성분만으로 된다. 한편, 접촉면이 위치 YB와 같이 X 전극 상에 있는 경우에는, 접촉면과 겹치는 Z전극 ZP가 인접하는 Y전극과 교차하고 있다. 그 때문에,X전극 상에서의 접촉에 의한 용량 변화는, Z전극 ZP를 통한 용량 커플링에 의해 인접하는 Y전극에서 검출할 수 있다. 위치 YB의 경우에는, YP2 전극과 교차하는 Z전극 ZP에서 발생하는 용량 변화와, YP3 전극과 교차하는 Z전극 ZP에서 발생하는 용량 변화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YP2와 YP3에서 얻어지는 신호 성분이 대략 동일하게 된다. 제어 연산부(103)는, X전극의 입력 좌표 산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전극의 신호 성분을 이용하여 무게 중심 계산을 행하여, 접촉면이 터치 조작에 의해 접촉한 입력 좌표를 산출한다. 도 11c와 같이 YP2와 YP3에서 동일한 정도의 신호 성분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 위치는 YP2 전극과 YP3 전극의 중간에 오기 때문에, 입력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1b나 도 11d와 같이 한쪽의 Y전극의 신호 성분만의 경우에는, 무게 중심위치는 신호 성분을 검출한 Y전극의 중심 부근으로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입력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Fig. 11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ontact surface is ch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wo adjacent Y electrodes YP2 and YP3. YA is near the center of YP2, YB is near the middle of YP2 and YP3, and YC is near the center of YP3. When the contact surface is the position YA, since the Y electrode overlapping with the contact surface is only YP2, the signal component detected by the control calculating section 103 is only the signal component of the YP2 electrode as shown in Fig. 11B. Similarly, in the case where the contact surface is the position YC, since the Y electrode overlapping with the contact surface is only YP3, as shown in FIG. 11D, only the signal component of the YP3 electrode is u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ct surface is on the X electrode like the position YB, the Z electrode ZP overlapping the contact surface intersects with the adjacent Y electrode. Therefore, the capacitance change due to the contact on the X electrode can be detected at the adjacent Y electrodes by the capacitive coupling through the Z electrode ZP. In the case of the position YB, the capacitance change occurring at the Z electrode ZP crossing the YP2 electrode and the capacitance change occurring at the Z electrode ZP crossing the YP3 electrode are approximately equal. Therefore, as shown in Fig. 11C, the signal components obtained in YP2 and YP3 are approximately the same. The control calculation unit 103 calculates the center of gravity using the signal component of each electrode as in the case of the calculation of the input coordinates of the X electrodes, and calculates the input coordinates that the contact surface touches by touch operation. When signal components of the same degree are obtained in YP2 and YP3 as shown in Fig. 11C, the input center can be calculated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position is between the YP2 electrode and the YP3 electrod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nly the signal component of one Y electrode as shown in Figs. 11B and 11D, since the center of gravity position becomes near the center of the Y electrode which detected the signal component, the input coordinates can be similarly calcul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Y전극의 전극 형상이, X전극을 사이에 두어 이산적이라도, 전기적으로 플로팅인 Z전극을 인접하는 X전극과 Y전극에 걸치도록 배치함으로써, 터치 패널 전체면에서 Y 방향의 입력 좌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X전극이 존재하는 영역의 세로 방향의 입력 좌표를, 전술한 Z전극을 이용함으로써 검출 가능하기 때문에, Y전극의 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로 방향의 Y 좌표에서도 무게 중심 계산에 의한 좌표 연산이 가능하게 되어, 고정밀도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shape of the Y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electrically floating Z electrode spans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even though the electrode shape is discretely interposed between the X electrode. It is possible to detect input coordinates in the Y direction on the entire touch panel. In addition, since the input coordin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gion where the X electrodes are present can be detect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Z electrod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Y electrodes. In addition, the coordinate calculation by the center of gravity calculation is possible also in the vertical Y coordinate, and it becomes possible to detect a position with high precis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X전극, Y전극, 및 Z전극의 전극 형상에 의한 용량 검출용 전극 개수의 삭감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각 4인치(종횡비는 3대4로 가정)의 터치 패널에서의 전극 개수를 계산하였다. 여기서는, 상정하는 최소의 접촉면을 직경 1.0㎜로 가정하고, Y전극의 전극 간격을 2.0㎜로 하였다. X전극의 전극 간격을 파라미터로 하였을 때의 전극수를 통합한 그래프를 도 13에 나타낸다. X전극의 전극 간격을 넓힘으로써 X전극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 간격을 6.0㎜로 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경우의 전극수 139개(X전극과 Y전극 모두 1.0㎜의 전극 간격으로 배열한 경우)에 대하여, 용량 검출용의 전극수를 약 100개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electrodes for capacitance detection by the shape of the electrodes of the X electrode, the Y electrode, and the Z electrod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shown, a diagonal 4 inch ( The number of electrodes in the touch panel (assuming aspect ratio of 3 to 4) was calculated. Here, the minimum contact surface assumed is assumed to be 1.0 mm in diameter, and the electrode spacing of the Y electrodes was 2.0 mm. FIG. 13 shows a graph incorporating the number of electrodes when the electrode spacing of the X electrodes is used as a parameter. By increasing the electrode spacing of the X electrodes, the number of X electrodes can be reduced. For example, by setting the electrode interval to 6.0 mm, the number of electrodes for capacitance detection is reduced by about 100 for 139 electrodes in the prior art (when both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are arranged at an electrode interval of 1.0 mm). It becomes possible.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해 용량 검출용의 전극 개수를 삭감함으로써, 검출용 배선 주회를 위한 액연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01)과 용량 검출부(102)의 접속선수도 적어지기 때문에, 신뢰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용량 검출용의 전극 개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용량 검출부의 단자수도 삭감 할 수 있어, IC화하였을 때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electrodes for capacitance detection, the liquid lead dimension for the detection wiring circumferenc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connections between the touch panel 101 and the capacitance detecting unit 102 is reduced, reliability improvement can also be expected.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electrodes for capacitance detection is reduced, the number of terminals of the capacitance detection unit can also be reduc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t the time of ICization.

도 14 및 도 15는 Z전극의 슬릿의 위치를 변화시킨 경우이다. 도 5a, 도 14, 및 도 15의 Z전극 ZP에서, X전극과 평행한 슬릿은 동일하며, Y전극과 평행한 슬릿이 상이한다. 단,Z전극이 인접하는 X전극과 Y전극에 걸쳐 교차하고 있는 점은 공통이다.14 and 15 show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slit of the Z electrode is changed. 5A, 14, and 15, the slits parallel to the X electrode are the same, and the slits parallel to the Y electrode are different. However, the point where the Z electrode intersects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is common.

도 14에서, Y전극과 평행한 슬릿은 각 Y전극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X전극과 Y전극에는 동일한 Z전극이 걸쳐 교차하기 때문에,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X전극 상의 용량 변화를 커플링에 의해 Y전극이 검출 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Y전극 상의 용량 변화를 커플링에 의해 X전극이 검출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5a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Fig. 14, slits parallel to the Y electrodes are disposed near the center of each Y electrode. As a result, since the same Z electrode intersects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the Y electrode can be detected by coupling the capacitance change on the X electrode as in the case of FIG. 5A, and conversely, the capacitance change on the Y electrode is reversed. The X electrode can be detected by the coupling. For this reason, the same effect as FIG. 5A can be expected.

도 15에서는,Y전극과 평행한 슬릿은 각 X전극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X전극과 Y전극에는 동일한 Z전극이 걸쳐 교차하기 때문에,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X전극 상의 용량 변화를 커플링에 의해 Y전극이 검출 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Y전극 상의 용량 변화를 커플링에 의해 X전극이 검출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5a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Fig. 15, slits parallel to the Y electrodes are arranged near the center of each X electrode. As a result, since the same Z electrode intersects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the Y electrode can be detected by coupling the capacitance change on the X electrode as in the case of FIG. 5A, and conversely, the capacitance change on the Y electrode is reversed. The X electrode can be detected by the coupling. For this reason, the same effect as FIG. 5A can be expected.

도 16은 도 5b에 도시한 X전극의 형상을 변화시킨 경우이다. 도 5b 및 도 16에서, Y전극의 형상은 동일하다. 도 5b에서는 X전극 형상이 오목형 형상, 볼록형 형상이었지만, 도 16은 대략 삼각형에 가까운 형상이다. 도 5b 및 도 16 모두, 인접하는 X전극의 중심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면적이 작아지고, 그 X전극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면적이 커지는 특징은 동일하다. 그 때문에, 도 5b와 마찬가지의 효과 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X전극의 형상은, 인접하는 X전극의 중심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면적이 작아지고, 그 X전극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면적이 커지는 형상이면, 도 5b, 도 16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FIG. 16 is a case where the shape of the X electrode shown in FIG. 5B is changed. 5B and 16, the shape of the Y electrode is the same. In FIG. 5B, the X electrode has a concave shape and a convex shape. However, FIG. 16 is a shape that is nearly triangular. 5B and 16 are the same in that the area becomes smaller as they are closer to the center of the adjacent X electrodes, and the area is larger as they are closer to the center of the X electrodes. Therefore, the same effect as that of FIG. 5B can be expected. The shape of the X electrode is not limited to the shapes of FIGS. 5B and 16 as long as the area becomes smaller as it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area becomes larger as it is closer to the center of the X electrod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도전성의 입력 수단에 의해 터치 패널 상에 접촉한 경우라도, 용량 검출용의 X전극이나 Y전극과, 그 상부의 Z전극과의 거리가 변화함으로써 용량 변화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전 용량 결합 방식으로서 입력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항막식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지제 스타일러스에도 대응 가능하게 되어, 저항막식 터치 패널과의 치환의 장벽이 낮아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non-conductive input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the distance between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and the Z electrode thereon is changed. Since the capacitance change can be caused, the input coordinate can be detected as the capacitive coupling method. This makes it possible to cope with the resin stylus used in the resistive film type, and the barrier of substitution with the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is lowered.

또한, 인접하는 X전극간의 입력 위치는, 인접하는 2개의 X전극으로부터 얻어지는 용량 변화의 신호비에 의해 산출할 수 있도록 전극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X전극 개수를 삭감하고, 또한 Y전극은 Z전극의 배치를 연구함으로써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출용 전극으로부터 입력 처리부까지의 주회 배선에서 필요한 액연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디자인성의 우도가 향상된다. 또한, 입력 처리부의 단자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염가로 고정밀도의 입력 위치 검출을 할 수 있는 정전 용량 결합 방식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접촉면이 작은 입력 수단,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등에서도 정밀도 좋게 입력 좌표의 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도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X electrodes is reduced by studying the electrode shape so that the input position between adjacent X electrodes can be calculated by the signal ratio of the capacitance change obtained from two adjacent X electrodes. Can be reduced by studying. As a result, the liquid lead width required for the circumferential wiring from the detection electrode to the input processing portion can be narrowed, and the likelihood of designability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erminals of the input processing unit can be suppressed, a capacitive coupling type touch panel capable of detecting the input position with high precision at low cost can be realized. In addition, since input coordinates with a small contact surface, for example, a stylus or the like,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pplications such as character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입력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도 2는 용량 검출부(102)의 회로 구성도.2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pacitance detector 102.

도 3은 용량 검출부(102)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3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apacitance detector 102. FIG.

도 4는 용량 검출 시에서의 용량 검출용 전극의 전압 파형도.4 is a voltage waveform diagram of a capacitance detection electrode at the time of capacitance detec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터치 패널의 전극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5A and 5B are plan views showing electrode shapes of the touch pane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터치 패널의 전극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ode structure of a touch pane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터치 패널에서 용량 검출용 전극의 정전 용량에 의한 용량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7A and 7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capacitance changes due to capacitance of a capacitance detecting electrode in a touch pane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터치 패널에서 용량 검출용 전극의 압력 검지용 절연층의 두께 변화에 의한 용량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8A and 8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capacitance changes caused by changes in thickness of the pressure detection insulating layer of the capacitance detection electrode in the touch pane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X전극 상에서의, X 방향의 복수의 접촉면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b∼도 9d는 도 9a의 각 위치에서의 XP2 및 XP3의 신호 성분을 나타내는 그래프.Fig. 9A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contact surfaces in the X direction on the X electrode, and Figs. 9B to 9D are graphs showing signal components of XP2 and XP3 at each position of Fig. 9A.

도 10은 Y전극 상에서의, X 방향의 복수의 접촉면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10 is a diagram showing positions of a plurality of contact surfaces in the X direction on the Y electrode.

도 11a는 Y전극 상에서의, Y 방향의 복수의 접촉면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b∼도 11d는 도 11a의 각 위치에서의 XP2 및 XP3의 신호 성분을 나타내는 그 래프.Fig. 11A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contact surfaces in the Y direction on the Y electrode, and Figs. 11B to 11D are graphs showing signal components of XP2 and XP3 at each position of Fig. 11A.

도 12는 터치 패널에서의 용량 검출용 전극의 배치도.12 is a layout view of electrodes for capacitance detection in a touch panel.

도 13은 용량 검출용 전극 개수의 X전극 간격 의존을 나타내는 그래프.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e of the X electrode interval on the number of electrodes for capacitance detec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다른 Z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nother Z electro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다른 Z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FIG. 1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nother Z electro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다른 X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nother X electro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XP : 용량 검출용의 X전극XP: X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YP : 용량 검출용의 Y전극YP ': Y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101 : 터치 패널101: touch panel

102 : 용량 검출부102: capacity detection unit

103 : 제어 연산부103: control operation unit

104 : 시스템 CPU104: system CPU

105 : 표시 제어 회로105: display control circuit

106 : 표시 장치106: display device

107 : 컴퍼레이터107: comparator

SW_A, SW_B : 스위치, 및 그 제어 신호SW_A, SW_B: switch, and its control signal

VINT : 용량 검출용 전극의 전류 적분 전압VINT: Current-integrated voltage of the electrode for capacitance detection

VREF : 참조 전압VREF: reference voltage

ZP, ZPA : Z전극ZP, ZPA: Z electrode

Cf : 정전 용량Cf: capacitance

Cxz, Cxza : X전극과 Z전극 사이의 용량 성분Cxz, Cxza: Capacitive component between X electrode and Z electrode

Cyz, Cyza : Y전극과 Z전극 사이의 용량 성분Cyz, Cyza ': Capacitive component between Y electrode and Z electrode

XA, XB, XC : 접촉면 위치XA, XB, XC: Contact surface position

XA',XB',XC' : 접촉면 위치XA ', XB' , XC ': contact surface position

YA, YB, YC : 접촉면 위치YA, YB, YC: Contact surface position

Claims (13)

표시 영역 상에서의 터치 위치 좌표를 정전 용량 결합 방식에 의해 검출하는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pacitive touch panel that detects touch position coordinates on a display area by a capacitive coupling method. 상기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은, The capacitive touch panel, 제1 평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패드부와 세선부가 교대로 배열되도록 하여 형성된 복수의 X전극과,A plurality of X electrod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formed by alternately arranging pad portions and thin wire portions; 제2 평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패드부와 세선부가 교대로 배열되도록 하여 형성된 복수의 Y전극과,A plurality of Y electrod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 a second plane and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pads and the thin wires being alternately arranged; 제3 평면에서, 전기적으로 플로팅인 복수의 Z전극과,A plurality of Z electrodes electrically floating in the third plane, 상기 X전극과 상기 Y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층과,A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상기 Y전극과 상기 Z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Y electrode and the Z electrode, 상기 X전극과 상기 Y전극은, 상기 제1 절연층을 개재하여 교차되고,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intersect with each other via the first insulating layer;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상기 X전극의 패드부와 상기 Y전극의 패드부는 중첩 하지 않게 배치되고,In the plan view, 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and the pad portion of the Y electrode are disposed not to overlap, 상기 Z전극은,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인접하는 상기 X전극과 상기 Y전극의 양방에 중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the Z electrode is formed so as to overlap both of the adjacent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when viewed in plan view.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절연층은, 터치에 의한 압압(押壓)에 의해 그 제2 절연층의 두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changed by pressing by touch.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절연층은, 탄성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formed of an elastic insulat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X전극의 패드부는, 그 X전극과 인접하는 X전극의 세선부 부근까지 연장되고,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extends to the vicinity of the thin wire portion of the X electrode adjacent to the X electrode,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상기 X전극의 패드부에서의 형상은, 그 X전극의 세선부를 향함에 따라서 면적이 커지고, 상기 인접하는 X전극의 세선부를 향함에 따라서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In the plan view, the shape of 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is larger in area as it faces the thin wire portion of the X electrode, and smaller in area as it faces the thin wire portion of the adjacent X electrode.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상기 Y전극의 패드부의 폭이, 상기 Y전극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일정하고,In the plan view, the width of the pad portion of the Y electrode is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Y electrode extends, 상기 X전극의 패드부와 상기 Y전극의 패드부는,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상기 X전극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the pad portion of the X electrode and the pad portion of the Y electrode are alternately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X electrode extends when viewed in plan view.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인접하는 2개의 상기 X전극의 패드부에서, 한쪽의 그 패드부의 형상은 볼록형 형상이고, 다른 한쪽의 그 패드부의 형상은 오목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pad part of two adjacent said X electrodes WHEREIN: The shape of the pad part of one side is convex shape, and the shape of the pad part of the other side is concave shap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인접하는 2개의 상기 X전극의 패드부에서, 양방의 그 패드부의 형상은 볼록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In the pad portions of two adjacent X electrodes, the shape of both of the pad portions is a convex shap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Z전극은, 상기 X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른 복수의 슬릿에 의해 분할되고, 또한 상기 Y전극의 연장 방향을 따른 복수의 슬릿에 의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the Z electrode is divided by a plurality of slit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X electrode, and further divided by a plurality of slit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Y electrod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Y전극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Z전극의 슬릿은,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상기 Y전극 상에 1개씩 형성되고, 또한 상기 X전극 상에 1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one slit of the Z electrod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Y electrode extends is formed one on the Y electrode and one on the X electrode in plan view.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Y전극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Z전극의 슬릿은, 평면적으로 본 경 우에, 상기 Y전극 상에 1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one slit of the Z electrod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Y electrode extends is formed one by one on the Y electrode when viewed in plan view.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Y전극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Z전극의 슬릿은,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상기 X전극 상에 1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one slit of the Z electrod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Y electrode extends is formed one by one on the X electrode when viewed in plan view.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pacitive touch panel, 상기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은,The capacitive touch panel, 제1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제1 전극과,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제2 전극과,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절연하는 제1 절연층과,A first insulating layer insula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중첩하는 복수의 제3 전극과,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overlapp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 a planar view; 상기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절연하는 제2 절연층으로 구성되고,It is composed of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 insulating the thir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2 절연층은, 터치에 의해 상기 제2 절연층의 두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changed by the touch.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복수의 제3 전극은, 각각이 전기적으로 플로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are each electrically floating.
KR1020090032282A 2008-04-15 2009-04-14 Display device KR1010946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282A KR101094623B1 (en) 2008-04-15 2009-04-1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5617 2008-04-15
KR1020090032282A KR101094623B1 (en) 2008-04-15 2009-04-14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97A KR20090109497A (en) 2009-10-20
KR101094623B1 true KR101094623B1 (en) 2011-12-15

Family

ID=4155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282A KR101094623B1 (en) 2008-04-15 2009-04-14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6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3976A (en) * 2015-06-15 2017-01-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6997A (en) 2004-10-27 2006-05-18 Pfu Ltd Three-dimensional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6997A (en) 2004-10-27 2006-05-18 Pfu Ltd Three-dimensional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97A (en)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065B1 (en) Display device
JP5345336B2 (en)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433014B (en) Display device
KR101056338B1 (en) Display panel
US8531418B2 (en) Touch sensor having improved edge response
JP5531768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US10831295B2 (e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370369A1 (en) Touch Sensing Device
CN111752422B (en) Electrode for touch panel, touch panel comprising same and terminal equipment
KR101094623B1 (en) Display device
CN114270300A (en) Touch panel device
JP2013156949A (en) Touch panel
CN113056721A (en) Input device
JP2013134698A (en) Touch panel
JP7043186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CN111596803A (en) Touch panel device
CN113168249A (en) Touch panel,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