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442B1 -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 Google Patents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442B1
KR101093442B1 KR1020090064634A KR20090064634A KR101093442B1 KR 101093442 B1 KR101093442 B1 KR 101093442B1 KR 1020090064634 A KR1020090064634 A KR 1020090064634A KR 20090064634 A KR20090064634 A KR 20090064634A KR 101093442 B1 KR101093442 B1 KR 10109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
network
main contro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6974A (en
Inventor
강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Priority to KR102009006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442B1/en
Publication of KR2011000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4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관리 컴퓨터(100); 상기 관리 컴퓨터(100)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며, 제어명령신호를 송출하는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 및 도어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전달되는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컴퓨터(100)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의 단독 출력 설정값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를 통해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에 각각 전달되어 저장되며, 여기서 상기 관리 컴퓨터(100)에 의해 설정된 단독 출력 설정값은 각 서브 단말기(300)의 설치 장소 특성에 따라 '무조건 도어 폐쇄' 또는 '무조건 도어 열림"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상기 서브 단말기(300)가 주기적으로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를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응답 신호(ALIVE ACK)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 장애 시, 상기 서브 단말기(300)가 기설정된 단독 출력 설정값을 추출하여 출입자 단말입력신호 없이 해당 단독 출력 설정값에 따른 출력 동작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장애가 해제되면 상기 관리 컴퓨터(100)로부터의 '네트워크 장애 상황 해제 명령'을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를 통해 전달받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가 응답함으로서 단독 출력 설정값에 의한 출력 동작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comprising: a management computer (100); A main control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100 by a network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And installed in the door to control the door entrance and is connected by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network, and transmits the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transmitted accordingly A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including a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wherein a single output setting value of the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set by the management computer 100 is set throug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re delivered to and stored in each of the control units, and the single output setting value set by the management computer 100 is set to either 'unconditionally closed door' or 'unconditionally open doo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characteristic of each sub-terminal 300. The sub terminal 300 periodically transmits an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ALIVE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ALIVE ACK. The sub-terminal 300 extracts a preset single output setting value and performs an out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ingle output setting value without an accessor terminal input signal when the network failure occurs. When released, the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received throug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respond to the 'network failure situation release command' from the management computer 100 to release the output operation by the independent output setting value. It is characterized by.

네트워크, 도어락 Network, door lock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수의 도어락 동작을 관리함에 있어서 각 도어락을 직접 제어하는 서브 단말기에 네트워크 장애를 대비하여 장애 시 출력 동작을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네트워크 장애 시에도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 사고, 작업 손실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managing a plurality of door lock operations connected to a network, an output operation in case of failure is preset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a network failure in a sub terminal directly controlling each door l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that can minimize confusion in the event of a network failur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work loss and property damage.

종래에는 사무실, 호텔 객실, 아파트 등의 도어 개폐 장치로는 금속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은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금속 열쇠가 분실 및 복제에 취약하여 보안성이 약한 편이었다. 요즈음에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이 지닌 취약성을 해결하고자 인증 수단으로 비밀번호 입력, 카드키, 지문, 홍채, 음성, 얼굴 등의 다양한 수단들을 사용하여 도어락의 전반적인 열림 및 잠김 동작을 제어하는 첨단의 디지털 도어락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Conventionally, mechanical door lock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using metal keys have been mainly used as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for offices, hotel rooms and apartments. However, the conventional mechanical door lock has a weak security because the metal key used as an authentication means is vulnerable to loss and duplication. Nowadays, advanced digital door locks that control the overall opening and 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using various means such as password input, card key, fingerprint, iris, voice, and face as authentication means to solve the vulnerability of the conventional mechanical door lock. It is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은 사전에 인증된 비밀 번호 또는 전자 키 등의 다양한 인증 수단이 입력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하여 출입문을 열도록 설정되어 있으 며, 부적절한 인증 수단에 의해 잠금 모드 해제가 요청되거나, 부적절한 방법에 의한 강제적인 잠금 모드 해제 시도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음을 울리며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등의 보안 기능도 함께 탑재되어 있다. The digital door lock is set to release the lock mode and open the door when various authentication means such as a pre-authenticated password or electronic key are input. If there is a forced lock mode release attempt by the user, a warning sound sounds and does not oper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그러나,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등과 같은 재난 상황 발생에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을 해야하는 경우, 도리어 이와 같이 강화된 보안 기능으로 인하여 내부 진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드릴, 해머, 노루발 못뽑이 등을 이용하여 문을 뜯어내고 내부로 진입해야하므로, 재난 상황에 따른 조치에 시간을 소모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를 더욱 많이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it is necessary to enter from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a gas leak,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nter inside due to the enhanced security func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se the drill, hammer, and presser foot to remove the door and enter the inside, so it takes time to take action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which causes more life and property damage. hav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실용신안출원 제1986-0022128호 '비상구 문의 자동 개방 장치'(1986.12.31), 국내특허출원 제2000-0046974호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비상자동 도어록 장치 및 그 방법'(2000.08.14), 국내특허출원 제2006-0060711호 '재난 상황 발생시 도어락의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하여 화재 발생 등의 재난 상황 발생시 이를 확인하고, 자동으로 개방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1986-0022128 'Emergency door door automatic opening device' (December 31, 1986),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0-0046974 'Emergency automatic door lock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in case of fire and its method '(2000.08.14),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0060711'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lock mode of door lock in case of a disaster situation ' It presents a door lock device.

하지만, 최근 대형 사무실이나 빌딩 등에서 사무실 내 각 작업 룸에 대한 작업 인원을 체크 및 관리하고 중요 시설물에 대한 접근을 관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도어락 단말기를 이더넷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고 그 도어락의 동작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네트워크 단말에 전원 공급이 단절되게 되면 해당 도어락 시스템의 보안 기능에 의해 강제 잠금 모드가 진행되기 때문에 단순한 네트워크 장애임에도 불구하고 작업 룸 등의 폐쇄로 인한 작업 손실이 발생하고 예기치 못한 룸 폐쇄로 인해 인명 안전 사고가 발생하곤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재난 발생시나 네트워크 장애시에 도어락을 무조건 개방시키는 것도 중요 시설물이나 귀중품을 보호하기 위한 도어락 시스템의 원 설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However, in order to check and manage the workforce of each work room in the office and to manage access to important facilities in a large office or a building, a plurality of door lock terminals are connected through an Ethernet network and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can be centrally performed. The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is being used. In the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if an error occurs in the communication of the network or the power supply to the network terminal is cut off, the forced lock mode is performed by the security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door lock system.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even though it is a simple network failure, work loss occurs due to the closure of the work room, and a safety accident occurs due to an unexpected room closure. However, it is true that the unconditional opening of the door lock in the event of a disaster or network failure is not desirable in light of the original purpose of installing the door lock system to protect important facilities or valuab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관리 컴퓨터(100); 상기 관리 컴퓨터(100)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며, 제어명령신호를 송출하는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 및 도어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전달되는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컴퓨터(100)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의 단독 출력 설정값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를 통해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에 각각 전달되어 저장되며, 여기서 상기 관리 컴퓨터(100)에 의해 설정된 단독 출력 설정값은 각 서브 단말기(300)의 설치 장소 특성에 따라 '무조건 도어 폐쇄' 또는 '무조건 도어 열림"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상기 서브 단말기(300)가 주기적으로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를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응답 신호(ALIVE ACK)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 장애 시, 상기 서브 단말기(300)가 기설정된 단독 출력 설정값을 추출하여 출입자 단말입력신호 없이 해당 단독 출력 설정값에 따른 출력 동작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장애가 해제되면 상기 관리 컴퓨터(100)로부터의 '네트워크 장애 상황 해제 명령'을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를 통해 전달받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가 응답함으로서 단독 출력 설정값에 의한 출력 동작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anagement computer (100); A main control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100 by a network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And installed in the door to control the door entrance and is connected by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network, and transmits the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transmitted accordingly A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including a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wherein a single output setting value of the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set by the management computer 100 is set throug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re delivered to and stored in each of the control units, and the single output setting value set by the management computer 100 is set to either 'unconditionally closed door' or 'unconditionally open doo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characteristic of each sub-terminal 300. The sub terminal 300 periodically transmits an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ALIVE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ALIVE ACK. The sub-terminal 300 extracts a preset single output setting value and performs an out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ingle output setting value without an accessor terminal input signal when the network failure occurs. When released, the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received throug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respond to the 'network failure situation release command' from the management computer 100 to release the output operation by the independent output setting value.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장애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통신 장애와,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전원이 단절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전원 장애와,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고장 장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network failure is a communication failure in whic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sub terminal 300 cannot exchange data through a network, and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so that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loses power. A power failure in which the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sub terminal 300 cannot exchange data, and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causes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sub terminal 300 to transmit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ailure disorder that can not be exchang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부(220)와,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자 단말입력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신호가 셋팅되어 저장된 서브 제어데이터 저장부(240)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자 단말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제어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제어명령신호를 추출하여 전송함으로써 각 서브 단말기(300)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제어 처리부(230)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로부 터 요청되는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에 대하여 응답 처리(ALIVE ACK)를 수행하는 서브 주기신호 처리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220 for the network connection, the control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ub-terminal 300 is set and stored sub-control data Output of each sub terminal 300 by extrac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stored in the sub control data storage unit 240 according to the storage unit 240 and the accessor terminal inpu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ub terminals 300. A sub-control signal processor 250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and a sub-cycle signal processor 250 for performing response processing (ALIVE ACK) with respect to the operable availability signal ALIVE requested from the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단말기(30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부(320)와, 도어 출입을 위해 출입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입력 처리부(330)와, 도어 출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해 도어의 출입 수단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출력 처리부(340)와, 시간 처리를 위한 타이머(360)와, 주기적으로 발신되는 신호인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를 생성 및 처리하기 위한 주기신호 처리부(370)와, 네트워크 장애 시 수행하게 될 단독 출력 설정값이 저장되는 단독 출력설정 저장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sub terminal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20 for network access, a terminal input processing unit 330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an accessor for door access, and allowing or blocking door access. The terminal control output processor 340 for controlling access means of the door, the timer 360 for time processing, and the periodic signal processor 370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an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which is a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And a single output setting storage unit 350 that stores a single output setting value to be performed when a network failure occurs.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수의 도어락 동작을 관리함에 있어서 각 도어락을 직접 제어하는 서브 단말기에 네트워크 장애를 대비하여 장애 시 출력 동작인 단독 출력 설정값을 각각의 서브 단말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네트워크 장애 시에도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 사고, 작업 손실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terminal that directly controls each door lock in a plurality of door lock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a network is provided with an independent output set value, which is an output operation in case of a failure, in preparation for a network failure. By setting in advan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fusion even in the event of network failure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work loss and property dama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수의 도어락 동작을 관리함에 있어서 각 도어락을 직접 제어하는 서브 단말기에 네트워크 장애를 대비하여 장애 시 출력 동작을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네트워크 장애 시에도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 사고, 작업 손실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confusion even in the event of a network failure by pre-setting an output operation in case of a network failure in a sub terminal that directly controls each door lock in managing a plurality of door lock operations connected to a network. And it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loss of work and property damage,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은, 이너넷 환경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는 관리 컴퓨터(100)와, 정상 상황에서 제어명령신호를 송출하는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송출되는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control computer 100, which is controlled by the administrator, connected via a gateway in the Ethernet environment,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signal in a normal situation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a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for transmitting the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sent accordingly.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애 상황에서도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가 자체 설정된 출력값을 통해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의 제어명령 없이 단독으로 설정된 출력(예컨데, 열림, 닫힘)을 진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 시에도 혼란 없이 원활한 도어락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 network failure situation, each sub-terminal 300 proceeds with an independently set output (for example, open and closed) without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hrough its own set output value without confusion in the event of a network failure. It will support the smooth operation of the door lock.

여기에서, 네트워크 장애 상황이라 함은 예기치 못한 원인에 의해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상황으로, 네트워크의 선로 또는 네트워크 통신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통신 장애와,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전원이 단절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전원 장애와,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고장 장애 등이 포함된다. Here, the network failure situation is a situation in which the network cannot operate normally due to an unexpected cause, and a problem occurs in a line or a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twork, and thus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sub terminal ( A communication failure in which 300 cannot exchange data, a power failure in whic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is disconnected from power, and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sub terminal 300 cannot exchange data;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does not operate normally, and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sub-terminal 300 includes a failure failure that can not exchange data.

기본적으로 상술한 네트워크 장애가 없는 정상 상태에서는, 각각의 룸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상기 서브 단말기(300)가 도어락에 대하여 입력되는 출입자의 단말입력신호(예컨데, 카드키 인증에 따른 인증키값)를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가 해당 전송된 단말입력신호를 자체 제어 데이터를 통해 판단하여 적절한 제어명령신호(예컨데, 열림, 닫힘)를 해당 서브 단말기(300)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서브 단말기(300)가 수신한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도어락에 출력제어를 함으로써 해당 도어락이 기능하게 되며, 이러한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의 개입이 없이는 서브 단말기(300)가 도어락에 출력제어를 하지 않게 된다. Basically, in the normal state without the above-described network failure, the sub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door lock of each room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is inputted to the terminal input signal of an accessor (for example, card key authentication) inputted to the door lock. The authentication key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main control terminal 200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put signal through its own control data so as to provide an appropriate control command signal (for example, open, The output) to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received by the sub-terminal 300, so that the door lock functions, an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he sub terminal 300 does not control output to the door lock.

우선, 상기 관리 컴퓨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연결되며,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브 단말기(300)에 해당 서브 단말기(300)가 네트워크 장애 발생을 인지했을 시 수행하게 될 단독 출력 설정값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해당 관리 컴퓨터(100)는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마다 각 서브 단말기(300)의 설치 장소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단독 출력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리 컴퓨터(100)의 단독 출력 설정값은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전달되어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에 전송되게 된다. First, the management computer 100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and performed when the sub terminal 300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 network failure to the sub terminal 3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Set the standalone output settings. At this time, the management computer 100 may set different independent output setting valu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characteristics of each sub-terminal 300. Th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o each sub terminal 300.

다음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서브 단말 기(3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를 통해 해당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를 전송한 서브 단말기(300)가 수행할 출력을 결정하여 해당 서브 단말기(300)에 전달하게 된다. 즉, 모든 서브 단말기(300)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행위(카드 인식, 지문 입력 등의 행위)는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로서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보고되게 되며, 해당 서브 단말기(300)는 보고를 수신한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서 내리는 제어명령신호(예컨데, 열림, 닫힘)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명령신호에 따른 출력(예컨데, 도어 개방, 도어 차단)만을 수행하게 된다. Subsequently,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basically receives an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ub terminal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through the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The 300 determines an output to be performed and transmits the output to the corresponding sub terminal 300. That is, the user's actions (card recognition, fingerprint input, etc.) performed in all the sub terminals 300 are reported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s an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sub terminal 300 reports. Receives a control command signal (for example, open and closed) issued by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performs only output (for example, door opening and door blocking)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이러한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의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i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해당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부(220)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제어 처리부(230)와,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자 단말입력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신호가 셋팅되어 저장된 서브 제어데이터 저장부(240)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요청되는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에 대하여 응답 처리(ALIVE ACK)를 수행하는 서브 주기신호 처리부(250)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1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20 for network connection, a sub control processor 23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sub terminals 300, and each sub terminal ( Respons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sub control data storage 240 and the control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accessor terminal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300, and the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ALIVE requested from the plurality of sub terminals 300. And a sub period signal processing unit 250 for performing (ALIVE ACK) and a control unit 210 for controlling each unit.

상기 통신부(2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자체 IP를 가지고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20 has its own IP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network.

이때,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주기적으로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상기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는 상술한 통신 장애, 전원 장애, 고장 장애 등의 원인으로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네트워크 장애 상황인지 여부를 서브 단말기(300)가 확인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신호로서, 네트워크가 정상적인 상황일 경우 해당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는 응답 신호(ALIVE ACK)를 해당 응답요청한 서브 단말기(300)에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정상 상태임을 인지시켜 주게 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availability confirmation signal ALIVE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each sub terminal 300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may cause the network to operate normally due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failure, power failure, failure failure, and the like. As a signal that is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in orde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network failure situation is impossible, the corresponding main control terminal 200 when the network is normal, the response signal (ALIVE ACK) )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sub-terminal 300 to recognize that the network is in a normal state.

즉,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는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를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서브제어 처리부(230)가 해당 출입자 단말입력신호와 서브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내부에 있는 서브 제어데이터 저장부(240)에 기저장된 셋팅값에서 해당 도어락에 대하여 해당 출입자단말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제어명령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해당 제어명령신호를 요청한 서브 단말기(30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receives an accessor terminal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ub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sub control processor 230 receives the accessor terminal input signal and the sub input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220 extracts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signal for the case where the corresponding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door lock from the setting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ub control data storage unit 240 using the uniqu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questing sub terminal 300 through).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는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를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기신호 처리부(250)가 해당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에 대한 응답 신호(ALIVE ACK)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해당 응답신호를 요청한 서브 단말기(30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receives an operation check signal ALIVE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each sub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sub period signal processing unit 250 A response signal (ALIVE ACK) for the operation availability confirmation signal (ALIV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ub terminal 300 which requested the response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다음으로, 상기 서브 단말기(30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Next, the sub terminal 300 is illustrated in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는 도어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부(320)와, 해당 도어 출입을 위해 출입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입력 처리부(330)과, 해당 도어 출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해 도어의 출입 수단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출력 처리부(340)와, 시간 처리를 위한 타이머(360)와, 주기적으로 발신되는 신호인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를 생성 및 처리하기 위한 주기신호 처리부(370)와, 네트워크 장애 시 수행하게 될 단독 출력 설정값이 저장되는 단독 출력설정 저장부(35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1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each sub-terminal 300 is installed in a door to control access to a door, and processes a communication unit 320 for network connection and information input by an accessor for access to the door. The terminal input processing unit 330, the terminal control output processing unit 340 for controlling the access means of the door to allow or block the door entrance, the timer 360 for time processing, and the signal that is periodically sent A periodic signal processor 370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an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an independent output setting storage unit 350 for storing an independent output setting value to be performed in the event of a network failure, and a controller 310 for controlling each unit It consists of.

상기 통신부(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자체 IP를 가지고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20 has its own IP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network.

상기 단말입력 처리부(330)는 해당 서브 단말기(300)가 설치되는 도어의 출입인증을 위하여 출입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키패드 수단, 출입자가 접촉시키는 카드키를 인식하는 카드키 리더 수단, 출입자가 입력하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 수단, 출입자가 확인시키는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인식 수단, 출입자가 발생시킨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수단, 출입자가 확인시키는 얼굴을 인식하는 영상인식 수단과, 별도의 벨, 인터폰,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8 개의 입력 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The terminal input processing unit 330 may include a keypad means for recognizing a password inputted by an accessor for access authentication of a door in which the sub terminal 300 is installed, a card key reader means for recognizing a card key contacted by an accessor, Fingerprint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input fingerprint, iris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iris confirmed by the person, voic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voice generated by the person, video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face confirmed by the person, and a separate bell , An interphone, a speaker, and the like, and eight input means may be connected.

상기 단말 제어출력 처리부(340)는 해당 서브 단말기(300)가 설치되는 도어에서 단말입력 처리부(330)를 통해 출입인증을 한 출입자에 대하여 해당 출입인증의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출력으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도어 개폐 수단, 추가적인 인증 절차의 시작을 위한 2차 인증 개시 수단, 인터폰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폰 활성화 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8 개의 출력 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 output processing unit 340 is an output that appear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ccess authentication to the person who authenticated the access through the terminal input processing unit 330 in the door in which the sub-terminal 300 is installed, or open the door Closeabl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secondary authentication initiation means for initiating additional authentication procedures, interphone activation means for connection with the interphone, and the like, and eight output means can be connected.

이때, 본 발명의 요지는, 도어의 개폐를 포함한 모든 출력이 중앙의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의 명령을 받아 이루어지는 해당 서브 단말기(300)가 네트워크 장애 시 자체적으로 기설정된 단독 출력 설정값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포함한 모든 출력을 즉각 결정하여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서브 단말기(300)의 출력이라 함은 특별한 설명이 없다면 도어의 개폐 명령이라 간주해도 무방하다. At this tim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output inclu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receives the command of the main main control terminal 200, the sub terminal 300 is a door through a single output setting value set by itself in case of network failure Sinc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determine and execute all outputs, inclu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put of the sub-terminal 30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considered as the opening and closing command of the door unless otherwise specified.

상기 주기신호 처리부(370)는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를 상기 타이머(360)의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320)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ALIVE ACK)의 수신 여부를 통해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The periodic signal processor 370 periodically generates an operation check signal ALIVE according to a set time of the timer 360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etwork failure by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ALIVE ACK)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상기 단독 출력 설정 저장부(350)는 상기 주기신호 처리부(370)를 통해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된 이후 해당 서브 단말기(300)가 특별한 출입자 단말입력신호 없이 즉각적으로 실시하게 될 단독 출력 설정값이 저장되게 되며, 이러한 단독 출력 설정값은 상기 제어부(310)에 의해 단말 제어출력 처리부(340)로 전달됨으로써 즉각적으로 기설정된 서브 단말기(300)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standalone output setting storage unit 350 stores the standalone output setting value to be immediately executed by the corresponding sub terminal 300 without a special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after the periodic signal processing unit 370 is determined to be a network failure. The single output setting valu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trol output processor 340 by the controller 310 to immediately output the preset sub-terminal 300.

이때, 이러한 단독 출력 설정값은 해당 서브 단말기(300)가 설치된 설치 장소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데, 중요 시설물이나 귀중품이 보관되는 보안룸이나 보관룸에 설치된 서브 단말기(300)에 대하여는 네트워크 장애 시에 대비한 단독 출력 설정값이 '무조건 도어 폐쇄'로 설정되어 단말 제 어출력 처리부(340)를 통해 상황 해제(네트워크 장애 복구) 시까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 인원이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룸에 설치된 서브 단말기(300)에 대하여는 네트워크 장애 시에 대비한 단독 출력 설정값이 '무조건 도어 열림'으로 설정되어 단말 제어출력 처리부(340)를 통해 상황 해제(네트워크 장애 복구) 시까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ingle output setting value may have different output valu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place where the corresponding sub terminal 300 is installed.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sub terminal 300 installed in a security room or a storage room in which important facilities or valuables are stored, a single output setting value in case of a network failure is set to 'unconditionally closing the door' so that the terminal control output processing unit 340 It can be maintained until the situation is released (network failure recovery), and for the sub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work room where the worker is performing work, the independent output setting value for the network failure is 'unconditional door' It is set to 'open'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until the situation release (network failure recovery) through the terminal control output processing unit 340.

한편, 해당 네트워크 장애 이후의 상황 해제는 상기 관리 컴퓨터(100)의 '네트워크 장애 상황 해제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관리 컴퓨터(100)의 '네트워크 장애 상황 해제 명령'은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의해 각 서브 단말기(300)에 전달되고 해당 서브 단말기(300)의 응답이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의해 관리 컴퓨터(100)에 전달됨으로써 완료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release after the network failure is made by the 'network failure situation release command' of the management computer 100, the 'network failure situation release command' of the management computer 100 is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each sub-terminal 300 and the response of the corresponding sub-terminal 300 is completed by being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100 by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본다. Now, with reference to Figure 4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관리 컴퓨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에 대한 단독 출력 설정값을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는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의 네트워크 IP를 통해 해당 단독 출력 설정값을 각 서브 단말기(300)에 전송하며, 자신의 단독 출력 설정값을 수신한 각 서브 단말기(300)는 내부에 있는 단독 출력설정 저장부(350)에 해당 단독 출력 설정값을 저장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를 대비하게 된다(S10). Referring to FIG. 4, first, the management computer 100 transmits a single output setting value for each sub terminal 300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and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ransmits the respective control outputs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he sole output setting value is transmitted to each sub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IP of the sub terminal 300, and each sub terminal 300 having received its own output setting value has an exclusive output setting storage unit therein. By storing the corresponding output value set alone in 350 to prepare for a network failure (S10).

이후, 상기 서브 단말기(300)는 주기신호 처리부(370)를 통해 생성된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ALIVE ACK)의 수신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네트워크 활성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12). Thereafter, the sub terminal 300 periodically transmits an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ALIVE generated by the periodic signal processing unit 370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us receives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from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By checking whether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LIVE ACK) is received to determine whether the network is active (S12).

여기에서, 상기 서브 단말기(300)는 상기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에 대한 응답 신호(ALIVE ACK)가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이를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하고(S14), 즉시 내부에 있는 단독 출력설정 저장부(350)에 저장된 단독 출력 설정값을 추출하게 된다(S16).Herein, if the response signal ALIVE ACK for the operation availability confirmation signal ALIVE is not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he sub terminal 300 determines that this is a network failure (S14) and immediately internally. The single output setting value stored in the single output setting storage unit 350 is extracted (S16).

또한, 상기 서브 단말기(300)는 특별한 출입자 단말입력신호 없이 상기 추출된 단독 출력 설정값에 따른 출력 동작을 단말 제어출력 처리부(340)를 통해 처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를 대비해 기설정된 출력이 출력 수단을 통해 처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18). In addition, the sub-terminal 300 processes the out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tracted single output setting value through the terminal control output processing unit 340 without a special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so that the preset output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means in preparation for a network failure. It is controlled to be processed (S18).

이후, 네트워크 장애가 해제되면, 상기 관리 컴퓨터(100)는 '네트워크 장애 상황 해제 명령'를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를 통해 각 서브 단말기(300)에 전달하게 되고,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는 이에 대한 응답을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를 통해 관리 컴퓨터(100)에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 해제를 네트워크 전체에 인식시키게 된다(S22). Thereafter, when the network failure is released, the management computer 100 transmits a 'network failure situation release command' to each sub terminal 300 throug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each sub terminal 300 is connected thereto. The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100 throug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to recognize the network failure release to the entire network (S2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에 대한 일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of a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인 컨트롤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일예시도. Figure 2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control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브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일예시도.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ub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관리 컴퓨터(100);Management computer 100; 상기 관리 컴퓨터(100)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며, 제어명령신호를 송출하는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 및A main control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computer 100 by a network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And 도어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출입자 단말입력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전달되는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를 포함하되, Installed in the door to control the door access and is connected by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network, and transmits the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transmitted accordingly Including a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상기 관리 컴퓨터(100)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의 단독 출력 설정값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를 통해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에 각각 전달되어 저장되며, 여기서 상기 관리 컴퓨터(100)에 의해 설정된 단독 출력 설정값은 각 서브 단말기(300)의 설치 장소 특성에 따라 '무조건 도어 폐쇄' 또는 '무조건 도어 열림"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The independent output sett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sub terminals 300 set by the management computer 100 are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the plurality of sub terminals 300 throug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respectively, wherein the management computer ( The single output set value set by 100) is set to either 'unconditionally closed door' or 'unconditionally open doo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characteristic of each sub-terminal 300, 상기 서브 단말기(300)가 주기적으로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를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응답 신호(ALIVE ACK)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The sub terminal 300 periodically transmits an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ALIVE to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checks whether a response signal ALIVE ACK is received to determine whether a network failure occurs. 네트워크 장애 시, 상기 서브 단말기(300)가 기설정된 단독 출력 설정값을 추출하여 출입자 단말입력신호 없이 해당 단독 출력 설정값에 따른 출력 동작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장애가 해제되면 상기 관리 컴퓨터(100)로부터의 '네트워크 장애 상황 해제 명령'을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를 통해 전달받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가 응답함으로서 단독 출력 설정값에 의한 출력 동작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In case of a network failure, the sub terminal 300 extracts a predetermined single output setting value and performs an out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ingle output setting value without an access terminal input signal. A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received throug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respond to a 'network failure situation release command' to release the output operation by a single output setting valu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 장애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통신 장애와,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전원이 단절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전원 장애와,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에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와 서브 단말기(300)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되는 고장 장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 The network failure is a communication failure in which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sub terminal 300 cannot exchange data through a network, and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of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 And a power failure in which the sub terminal 300 cannot exchange data, and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so that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sub terminal 300 may exchange data. A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comprising a fault failur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 컨트롤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부(220)와, 각각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자 단말입력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신호가 셋팅되어 저장된 서브 제어데이터 저장부(240)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자 단말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제어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제어명령신호를 추출하여 전송함으로써 각 서브 단말기(300)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제어 처리부(230)와, 다수의 서브 단말기(300)로부터 요청되는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ALIVE)에 대하여 응답 처리(ALIVE ACK)를 수행하는 서브 주기신호 처리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 The main control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20 for network connection and a sub control data storage unit 240 in which a control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an accessor terminal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ub terminal 300 is set. And a sub-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utput operation of each sub-terminal 300 by extrac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stored in the sub-control data storage unit 240 according to an accessor terminal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ub-terminals 300. And a sub period signal processing unit 250 for performing response processing (ALIVE ACK) on the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ALIVE requested from the plurality of sub terminals 300.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브 단말기(30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부(320)와, 도어 출입을 위해 출입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입력 처리부(330)와, 도어 출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해 도어의 출입 수단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출력 처리부(340)와, 시간 처리를 위한 타이머(360)와, 주기적으로 발신되는 신호인 동작가능여부 확인 신호를 생성 및 처리하기 위한 주기신호 처리부(370)와, 네트워크 장애 시 수행하게 될 단독 출력 설정값이 저장되는 단독 출력설정 저장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 The sub terminal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20 for network connection, a terminal input processing unit 330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an accessor for door access, and an access means for a door to allow or block access to the door. A terminal control output processor 340 for controlling the signal, a timer 360 for time processing, a periodic signal processor 370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an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which is a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and a network failure The network-based door lo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ngle output setting storage unit 350 to store the single output setting value to be performed.
KR1020090064634A 2009-07-15 2009-07-15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KR1010934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34A KR101093442B1 (en) 2009-07-15 2009-07-15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34A KR101093442B1 (en) 2009-07-15 2009-07-15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74A KR20110006974A (en) 2011-01-21
KR101093442B1 true KR101093442B1 (en) 2011-12-19

Family

ID=4361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634A KR101093442B1 (en) 2009-07-15 2009-07-15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44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57B1 (en) * 2003-06-30 2004-02-25 주식회사 가드텍 Information Security System Inter-working with Entra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57B1 (en) * 2003-06-30 2004-02-25 주식회사 가드텍 Information Security System Inter-working with Entra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74A (en)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8151B1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door locks under emergency
US1064819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access in a gunshot event
JP5996598B2 (en) Security system with PIN lock
KR101765080B1 (en) smart door lock system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KR100809538B1 (en) Unification wireless digital door apparatus capable of image communication
KR20180060901A (en) Meothod for controlling locking device
KR101935547B1 (en) Door lock and recoding device using bluetooth
KR102401090B1 (en) Two-factor authentication door lock
US11727770B2 (en) Emergency evacuation process
KR102634314B1 (en) Integrated distribution frame system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authenticating the worker's face and fingerprint
US1072670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access with improved safety
KR101093442B1 (en) Network based door lock system
CN101383082B (en) Remote household electronic anti-thef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18196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multi-step locking
TWM504297U (en) Multi-functional entry system
US20240142931A1 (en) Door system for one or a plurality of doors with a plurality of door components as well as a first communication bus
JP2006227756A (en) Cooperation controller
WO2020164104A1 (en) Processing chip, master control device, and access control system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KR101107011B1 (en) The remote control type locking apparatus for door having crime prevention function
CN101188043A (en) An intelligent building safety guard system and its monitoring method
KR20200081809A (en)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emergency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KR20120106141A (en) Wireless door lock built in security function apparatus
TW202121346A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access with improved safety
KR20110023241A (en) Door lock system that use radio communication
KR102180580B1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simplified wir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