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980B1 -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980B1
KR101091980B1 KR1020080101731A KR20080101731A KR101091980B1 KR 101091980 B1 KR101091980 B1 KR 101091980B1 KR 1020080101731 A KR1020080101731 A KR 1020080101731A KR 20080101731 A KR20080101731 A KR 20080101731A KR 101091980 B1 KR101091980 B1 KR 101091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cache
content
server
brow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594A (ko
Inventor
심선호
유응재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9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7Selecting a data network PoA [Point of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서버가 데이터 저장소인 캐시서버 및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에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고, 무선단말기가 사업자 네임서버로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며, 및 요청을 받은 사업자 네임서버가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무선단말기와 캐시서버 간의 응답속도 및 무선단말기와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를 저장한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 중 최적의 저장소를 선택하여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도록 할 수 있다.
CDN, 캐시서버, 복제서버, 고스트서버, 브라우저캐시

Description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elivery using cache server and browser cache}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와 인접한 다른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하고,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사업자의 캐시서버(cache server) 및 그룹핑된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 캐시와 무선단말기와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특정 저장소에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의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컨텐츠(예컨대,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의 수는 매우 많다. 웹 서버가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수의 클라이언트들 각각에게 일대일로 제공하기에는 많은 부하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웹 서버는 단일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연결되어 있는데 반하여 컨텐츠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는 다수의 ISP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ISP들 간의 트래픽은 컨텐츠 제공자와 클라이언트가 늘어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트래픽 혼잡으로 인한 전송지연 및/또는 전송실패율이 높아진다. 최악의 경우에는 웹 서버의 기능장애(fail-over)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CDN이다. CDN이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컨텐츠 제공자의 웹 서버에 집중되어 있는 컨텐츠, 예를 들어 그림, 배너, 비디오 또는 오디오와 같이 용량이 크거나 클라이언트들의 요구가 빈번한 컨텐츠를 다수의 ISP 상호 접속점(PoP: Point of Presence)에 광역적으로 분산 배치된 호스트 서버에 미리 저장해 놓고,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이용자와 가장 근접한 호스트 서버의 경로를 반환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그 반환된 경로를 통해 호스트 서버에 접속한 후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서비스이다. 여기서 호스트 서버는 캐시서버, 복제서버 또는 고스트서버(이하, 캐시서버로 칭함)로 다양하게 일컬어진다.
그런데 CDN 사업자가 전세계의 모든 지역에 클라이언트가 만족한 만한 용량 및 응답시간을 갖는 캐시서버를 설치하고 운용하는 데는 많은 비용 및 시간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현재 상용화된 CDN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캐시서버를 지정해 놓고,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있을 경우 대응되는 캐시서버에 해당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컨텐츠 서버에 요청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캐시서버에 특정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원시(origin) 컨텐츠 서버로 컨텐츠 요청(request)이 몰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이동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인 경우에는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속도가 유선단말기에 비해 더욱 느려질 수 있으므로, 캐시서버를 증설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와 인접한 다른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하고,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사업자의 캐시서버(cache server) 및 그룹핑된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 캐시와 무선단말기와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저장소에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은, 컨텐츠서버가 데이터 저장소인 캐시서버 및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에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무선단말기가 사업자 네임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및 상기 요청을 받은 사업자 네임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캐시서버 간의 응답속도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그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반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컨텐츠서버가 특정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다른 컨텐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청 빈도가 높은 상기 컨텐츠를 미리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예상되는 상기 컨텐츠를 미리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사업자 네임서버가 GPS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사업자 네임서버가 무선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기반으로 임의의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사업자 네임서버가 무선단말기와 통신가능한 3개의 기지국을 이용해 삼각측량하여 임의의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에서, 상기 브라우저캐시 그룹은 다른 브라우저캐시 그룹과 중첩적으로 브라우저캐시를 포함하도록 그룹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요청단계에서 IP 어드레스 요청을 받으면 상기 응답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응답속도를 미리 측정하여 상기 요청단계에서 IP 어드레스 요청을 받으면 상기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네트워크의 부하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기설정된 측정 시간에 상기 응답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기설정된 측정 주기에 따라 상기 응답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마다 상기 응답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응답속도 중 가장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은, 컨텐츠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캐시서버, 및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캐시서버 간의 응답속도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사업자 네임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업자 네임서버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부, 무선단말기와 컨텐츠를 저장한 캐시서버 간의 응답속도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컨텐츠를 저장한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보유한 상기 응답속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이 사업자 네임서버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부, 캐시서버 및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보유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를 저장한 저장소와 상기 무선단말기 간의 응답속도를 측정하여 가장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저장한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와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 무선단말기와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상태가 좋거나 더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최적의 저장소에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게 되어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사용 및 사용자 편의 증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컨텐츠 전송시스템은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제1 브라우저캐시 내지 제n 브라우저캐시(120-1, ..., 120-n), 사업자 네임서버(130), 캐시서버(140), 컨텐츠서버(150) 및 네트워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는 이동통신망(160)으로 연결된 서버와 이동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단말을 의미한다.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는 브라우저(browser) 에 특정 컨텐츠를 요청(request)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er) 등이 입력되면, DNS(Domain Name Server)의 기능을 갖는 사업자 네임서버(130)에 액세스(access)하여 도메인명을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버(150) 또는 캐시서버(140)의 IP 주소로 변환하고 해당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로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사용하는 WAP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와 달리, WAP을 사용하지 않는 웹(web)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등을 통하여 각 무선단말기에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해당 웹 서버와 통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게 된다. 즉, 사업자 네임서버(130), 캐시서버(140) 및 컨텐츠서버(150) 중 어느 한 서버가 WAP을 사용하지 않는 웹 서버인 경우, 해당 서버와 특정 무선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기로 IP 주소를 할당하거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기능을 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서버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제1 브라우저캐시(browser cache) 내지 제n 브라우저캐시(120-1, ..., 120-n)는 각각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의 브라우저에 대응되는 컨텐츠 저장소이다. 즉, 각각의 브라우저가 컨텐츠서버(150) 또는 캐시서버(14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면, 제1 브라우저캐시 내지 제n 브라우저캐시(120-1, ..., 120-n) 중 대응되는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에 저장하여, 브라우저 창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데 활용하게 된다.
사업자 네임서버(130)는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DNS(Domain Name Server)를 의미하며, 기호명(symbolic name)을 기계가 사용하는 숫자 주소로 변환하여 알려 주는 역할을 하는 네임서버의 일종이다. 사업자 네임서버(130)는 CDN 사업자가 CDN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운용하는 네임서버로서 캐시서버(140)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갖고 있다.
캐시서버(140)는 예를 들어, 복제서버(copy server) 또는 고스트 서버(ghost server) 등으로 불리며, 컨텐츠서버(150)가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복사본을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캐시서버(140)는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중 어느 한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응답하는 역할을 한다.
컨텐츠서버(150)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페이지 및 객체(object)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중 어느 한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이 있을 경우 응답하는 역할을 하는 서버이다. 즉, 컨텐츠서버(150)는 특정 무선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컨텐츠서버(150)가 보유한 컨텐츠 중 일부를 캐시서버(140)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캐시서버(140)에서 특정 무선단말기의 요청에 따른 컨텐츠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동통신망(160)는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사업자 네임서버(130), 캐시서버(140), 및 컨텐츠서버(15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중 어느 한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에 컨텐츠 요청을 위한 URL 등이 입력되면, 사업자 네임서버(130)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를 요청한 무선단말기가 제1 무선단말기(110-1)라면, 사업자 네임서버(130)에서는 제1 무선단말기(110-1)의 브라우저캐시 및 제1 무선단말기(110-1)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group)으로 그룹핑(grouping)한다. 지역적으로 인접한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 하는 이유는, 인접한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가 일반적으로 빠르기 때문이다. 그룹핑되는 브라우저캐시 그룹은, 예를 들어, 다른 브라우저캐시 그룹과 중첩적으로 브라우저캐시를 포함하도록 그룹핑될 수 있다.
이때, 그룹핑된 그룹에 속하는 브라우저캐시가 제1 무선단말기(110-1)의 제1브라우저캐시(110-1)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n)의 제n 브라우저캐시(110-n)라면, 사업자 네임서버(130)는 제1 무선단말기(110-1)와 캐시서버(140) 간의 응답속도 및 제1 무선단말기(110-1)와 제2 브라우저캐시 내지 제n 브라우저캐시(120-2, ..., 120-n) 중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해당 컨텐츠를 제1 무선단말기(110-1)로 전송할 저장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제1 무선단말기(110-1)로 반환하게 된다.
이 경우, 사업자 네임서버(130)가 제1 무선단말기(110-1)로부터 IP 어드레스 요청을 수신하면, 각 저장소와 제1 무선단말기(110-1) 간의 응답속도를 측정하여 저장소를 선택하고 해당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네 임서버(130)에서 미리 응답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제1 무선단말기(110-1)로부터의 IP 어드레스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된 응답속도 정보를 참조하여 저장소를 선택하고 해당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전송할 수도 있다.
사업자 네임서버(130)에서 미리 응답속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특정 측정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시간에 응답속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답속도의 측정 주기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응답속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마다 응답속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업자 네임서버(130)가 제1 무선단말기(110-1)로부터의 IP 어드레스 요청에 대응하여 응답속도를 측정하고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경우 또는 미리 측정한 응답속도 정보를 참조하여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경우에는 최적의 저장소를 선택하여 해당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반환하게 되며, 최적의 저장소 선정은, 예를 들어, 응답속도가 가장 빠른 저장소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 반환은, 예를 들어, 사업자 네임서버(130)가 각 저장소의 네트워크 부하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부하가 적은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제1 무선단말기(110-1)로 반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네임서버(1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업자 네임서버(13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네임서버(130)는 입출력부(210), 제어부(220) 및 데이터베이스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출력부(210)는 이동통신망(16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데이터베이스부(230)는 캐시서버(14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 및 제1 브라우저캐시 내지 제n 브라우저캐시(120-1, ..., 120-n) 중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보유한 저장소이다.
제어부(220)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중 특정 무선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230)가 보유한 컨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컨텐츠를 보유한 저장소와 상기 특정 무선단말기 간의 응답속도를 측정하고, 가장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특정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230)는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각각과 캐시서버(140) 간의 응답속도 및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각각과 다른 무선단말기에 속한 제1 브라우저캐시 내지 제n 브라우저캐시(120-1, ..., 120-n) 중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제1 무선단말기 내지 제n 무선단말기(110-1, ..., 110-n) 중 특정 무선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230)가 보유한 응답속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게 된다. 반환되는 IP 어드레스가 가장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저장소의 IP 어드레스 일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230)가 보유한 정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데이터베이스부(230)에 저장된 브라우저캐시 그룹테이블(310) 및 링크 정보테이블(320)의 예시도이다.
도 3에서 브라우저캐시 그룹테이블(310)을 참조하면, 무선단말기 IP 어드레스와 브라우저캐시 그룹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링크 정보테이블(320)은 브라우저캐시 그룹, 무선단말기 IP 어드레스 및 저장 컨텐츠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브라우저캐시 그룹테이블(310)에서 무선단말기 IP 어드레스 항목은 각각의 무선단말기에 대응되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필드이다. 그리고 브라우저캐시 그룹 항목은 각각의 무선단말기 IP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브라우저캐시가 속한 브라우저캐시 그룹의 정보를 포함한 필드이다.
링크 정보테이블(320)에서 브라우저캐시 그룹 항목은, 브라우저캐시 그룹테 이블(310)의 각 브라우저캐시 그룹 항목과 링크된(linked) 정보 필드이며, 정보의 링크는, 예를 들어, 연결 리스트(linked list)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단말기 IP 어드레스 항목은 각 브라우저캐시 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필드이다. 저장 컨텐츠 항목은 각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에 저장된 컨텐츠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브라우저캐시 그룹테이블(310)을 참조하면,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0'인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는 제1그룹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그룹 항목에 링크된 링크 정보테이블(320)의 항목에는 제1그룹에 속하는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의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0', '111.111.111.111', '111.111.111.112', ... 등임을 알 수 있다.
이때,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0'인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에 저장된 컨텐츠는 'image1.gif' 및 'image2.gif' 이며, 마찬가지로,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1'인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에는 'image1.gif' 및 'image3.gif'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고,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2'인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에는 'image2.gif' 및 'image3.gif'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0'인 무선단말기가 사업자 네임서버(130)로 'image3.gif'의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면, 이를 수신한 사업자 네임서버(130)는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 캐시서버(140)와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0'인 무선단말기 간의 응답속도, 및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1', '111.111.111.112'인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 각각과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0'인 무선단말기 간의 응답속도를 각각 측정한다. 그리고 가장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0'인 무선단말기로 반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데이터베이스부(230)에 저장된 응답속도 정보테이블(400)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업자 네임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브라우저캐시 그룹테이블(310) 및 링크된 정보테이블(320)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 정보테이블(400)을 더 포함하고 있어, 사업자 네임서버(130)의 제어부(220)가 특정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를 선택하고 해당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응답속도 정보 테이블(400)은 무선단말기 IP 어드레스, 브라우저캐시 그룹, 다른 무선단말기의 IP 어드레스 및 응답속도 항목을 포함한다.
무선단말기 IP 어드레스 항목은 컨텐츠를 요청하는 무선단말기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필드이다.
브라우저캐시 그룹 항목은 특정 IP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 캐시가 속한 브라우저캐시 그룹 정보를 포함한 필드이다.
다른 무선단말기의 IP 어드레스 항목은 특정 IP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와, 동일한 브라우저캐시 그룹에 속하는, 다른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에 대응되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필드이다.
응답속도 항목은 각 무선단말기와 다른 무선단말기에 속한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 정보를 포함한 필드이다.
응답속도 정보 테이블(400)을 참조하면, IP 어드레스 '111.111.111.110'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는 브라우저캐시 그룹 중 제1그룹에 속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IP 어드레스 '111.111.111.110'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와 같이 제1그룹에 속하는, 다른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의 IP 어드레스는 '111.111.111.111', '111.111.111.112', ... 등임을 알 수 있다.
응답속도 항목을 참조하면, IP 어드레스 '111.111.111.110'의 무선단말기와 IP 어드레스 '111.111.111.111'에 대응되는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가 '1 ms' 이고, IP 어드레스 '111.111.111.110'의 무선단말기와 IP 어드레스 '111.111.111.111'에 대응되는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가 '2 ms' 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네임서버(130)가 IP 어드레스 '111.111.111.110'의 무선단말기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저장한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았고,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 브라우저캐시의 IP 어드레스가 '111.111.111.111' 및 '111.111.111.112' 이며,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 캐시서버가 존재하지 않거나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 캐시서버(140)와 IP 어드레스 '111.111.111.110'의 무선단말기 간의 응답속도가 '3 ms'인 경우를 가정하면, 사업자 네임서버(130)는 상대적으로 응답속도가 더 빠른 저장소에 대응되는 무선단말기의 IP 어드레스인 '111.111.111.111'를, IP 어드레스 '111.111.111.110'의 무선단말기로 반환하게 된 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서버(150)에서 캐시서버(140)로 특정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510). 또한 컨텐츠서버(150)는 제2 브라우저캐시(120-2)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520).
단계(S510) 및 단계(S520)에서의 컨텐츠 전송과 저장은, 컨텐츠서버(150)가 특정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계(S510) 및 단계(S520)에서의 컨텐츠 전송과 저장은, 컨텐츠서버(150)에 저장된 컨텐츠 중 다른 컨텐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청 빈도가 높은 컨텐츠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요청이 예상되는 컨텐츠를, 특정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요청이 있기 전에 미리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제1 무선단말기(110-1)는 단계(S510) 및 단계(S520)에서 컨텐츠를 저장한 저장소 중 제1 무선단말기(110-1)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사업자 네임서버(130)로 요청한다(S530).
단계(S530)에서 IP 어드레스 요청을 받은 사업자 네임서버(130)는, 무선단말 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제1 무선단말기(110-1)의 위치정보 및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제1 무선단말기(110-1)와 캐시서버(140) 간의 응답속도 및 제1 무선단말기와 해당 컨텐츠를 저장한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S540), 예를 들어, 최적의 저장소로 선택된 제2 브라우저캐시(120-2)가 속하는 무선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제1 무선단말기로 반환한다(S550).
단계(S540)에서 사업자 네임서버(13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정보 서버는, 예를 들어, 미국 국방부를 위해 개발된 24개의 나브스타 위성들을 이용하여 대략 50~100m 범위에 있는 수신기의 위치를 알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 무선단말기 등과 통신하는 기지국을 파악하여 대략 500~1500m 범위에 있는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셀(cell) 방식, 또는 기지국 3개를 이용해 삼각측량하여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삼각측량 방식 등을 이용하여 각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단계(S540)에서의 응답속도 고려는, 예를 들어, IP 어드레스 요청을 받은 후 응답속도를 측정하여 고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사업자 네임서버(130)에서 기설정된 방식으로 측정하여 미리 저장한 응답속도 정보를 참조하여 응답속도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응답속도의 측정은, 예를 들어, 사업자 네임서버(130)가 제1 무선단말기(110-1)로 캐시서버(140)의 IP 어드레스 또는 각 브라우저캐시에 대응되는 무선단말기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전송하고, 제1 무선단말기(110-1)가 해당 저장소 각 각으로 응답속도를 계산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응답을 받도록 한 후, 소요된 RTT(Round Trip Time) 정보를 사업자 네임서버(130)가 수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단계(S550)에서는, 예를 들어, 단계(S540)에서 고려한 제1 무선단말기(110-1)와의 응답속도 중 제일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제2 브라우저캐시(120-2)를 포함한 무선단말기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제1 무선단말기(110-1)로 반환할 수 있다.
단계(S550)에서 제2 브라우저캐시(120-2)에 대응되는 IP 어드레스를 반환받은 제1 무선단말기(110-1)는, 해당 IP 어드레스로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하고(S560), 제2 브라우저캐시(120-2)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전송받게 된다(S570). 단계(S570)에서의 컨텐츠 전송은,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P2P: Peer to Peer)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컨텐츠를 저장한 캐시서버와 브라우저캐시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상태가 좋거나 더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최적의 저장소에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CDN 서비스 제공을 위한 캐시서버를 증설하여 운용하지 않아도,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신속히 응답할 수 있게 되어, 캐시서버 및 컨텐츠서버로 몰리게 되는 컨텐츠 요청을 분산할 수 있으며, CDN 서비스 사업자 및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업자 네임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브라우저캐시 그룹테이블 및 링크 정보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응답속도 정보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8)

  1. 컨텐츠서버가 데이터 저장소인 캐시서버 및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에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무선단말기가 사업자 네임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및
    상기 요청을 받은 사업자 네임서버가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 외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group)으로 그룹핑(grouping)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캐시서버 간의 응답속도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그룹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반환단계; 를 포함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컨텐츠서버가 특정 무선단말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를 미리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예상되는 상기 컨텐츠를 미리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사업자 네임서버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사업자 네임서버가 무선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기반으로 임의의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 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사업자 네임서버가 무선단말기와 통신가능한 3개의 기지국을 이용해 삼각측량하여 임의의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에서
    상기 브라우저캐시 그룹은 다른 브라우저캐시 그룹과 중첩적으로 브라우저캐시를 포함하도록 그룹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요청단계에서 IP 어드레스 요청을 받으면 상기 응답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응답속도를 미리 측정하여 상기 요청단계에서 IP 어드레스 요청을 받으면 상기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네트워크의 부하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기설정된 측정 시간에 상기 응답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기설정된 측정 주기에 따라 상기 응답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마다 상기 응답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단계는
    상기 응답속도 중 가장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16. 컨텐츠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캐시서버; 및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 외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캐시서버 간의 응답속도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사업자 네임서버; 를 포함하는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17.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부;
    무선단말기와 컨텐츠를 저장한 캐시서버 간의 응답속도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컨텐츠를 저장한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 간의 응답속도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 외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보유한 상기 응답속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업자 네임서버.
  18.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부;
    캐시서버 및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캐시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 외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의 브라우저캐시 및 상기 무선단말기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브라우저캐시를 하나의 브라우저캐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보유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에 전송될 컨텐츠를 저장한 저장소와 상기 무선단말기 간의 응답속도를 측정하여 가장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저장소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반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업자 네임서버.
KR1020080101731A 2008-10-16 2008-10-16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1091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731A KR101091980B1 (ko) 2008-10-16 2008-10-16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731A KR101091980B1 (ko) 2008-10-16 2008-10-16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594A KR20100050594A (ko) 2010-05-14
KR101091980B1 true KR101091980B1 (ko) 2011-12-08

Family

ID=4227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731A KR101091980B1 (ko) 2008-10-16 2008-10-16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3667B2 (en) 2008-01-14 2013-09-24 Akamai Technologies, Inc. Policy-based content insertion
KR101837004B1 (ko) * 2010-06-18 2018-03-09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 인크. 모바일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의 확장
KR20120058782A (ko)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중심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단말, 중간 노드 및 이들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594A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03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ext-aware mobile data management
JP414488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システム、プロキ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US20190044787A1 (en) Point of presence management in request routing
US9160703B2 (en) Request routing management based on network components
US9106701B2 (en) Request routing management based on network components
EP2266064B1 (en) Request routing
US8301778B2 (en) Service provider registration by a content broker
EP2294515B1 (en) Request routing using network computing components
US20100042725A1 (en) Contents provider participation type contents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contents delivery network domain name system server thereof
CN101989951A (zh) 一种选择服务节点的方法、系统和设备
US8972513B2 (en) Content caching
KR101091980B1 (ko)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CN112202833B (zh) Cdn系统、请求处理方法以及调度服务器
KR101104727B1 (ko)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1066871B1 (ko)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EP3422674A1 (en) A method of resolving a domain name by a dns server to a plurality of ip address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equipment
CN105025042B (zh) 一种确定数据信息的方法及系统、代理服务器
US20090248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alue added services via wireless access points
CN115883657A (zh) 一种云盘服务加速调度的方法及系统
KR101018817B1 (ko) 웹페이지 표시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유무선망을 통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웹페이지 표시 방법
KR20100020911A (ko)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그 웹서버 및 컨텐츠 제공자 dns 서버
CN103188323A (zh) 基于用户主机缓存设备提供Web服务的系统和方法
KR101091981B1 (ko)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보안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0463836B1 (ko) 무선 단말기 특성의 그룹화를 통한 컨텐츠 변환 및 캐슁시스템과 방법
Qin et al. Lehigh explorer: A real time video streaming application with mobility support for content centric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