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056B1 -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056B1
KR101091056B1 KR1020090044964A KR20090044964A KR101091056B1 KR 101091056 B1 KR101091056 B1 KR 101091056B1 KR 1020090044964 A KR1020090044964 A KR 1020090044964A KR 20090044964 A KR20090044964 A KR 20090044964A KR 101091056 B1 KR101091056 B1 KR 10109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weight
drug administration
medicine container
admin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972A (ko
Inventor
정도운
소지은
환 정
조경민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4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05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72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of the count-down type, i.e. counting down a predetermined interval after each re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4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해진 약물 투여시간이 되면 이를 환자나 환자 보호자에게 알리고, 약통의 이전 중량과 현재 중량을 비교하여 정해진 양의 약물이 정확히 투여되었는지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는 약물 투여시간, 1회 투여량(무게), 외출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약물 투여시간이 되면 약물 투여시간을 알려주되, 약물 투여시간이 경과한 후 약물이 보관된 약통의 무게를 측정하여 이전 약통의 무게와 비교하는 약통의 무게 변화로 약물의 투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량을 1회 투여량과 비교하여 약물의 과다 또는 부족 투여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약물의 미투여, 과다 투여 또는 부족 투여라고 판단한 경우에 이 사실을 알려주는 약물보관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Drug Administration Inform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해진 약물 투여시간이 되면 이를 환자나 환자 보호자에게 알리고, 약통의 이전 중량과 현재 중량을 비교하여 정해진 양의 약물이 정확히 투여되었는지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고령화 인구는 갈수록 증가하고, 이로 인해 성인병과 같은 만성질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고령자 중 70% 이상이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만성질환으로 인해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약을 복용하지 않아 질병 치료에 실패하거나 치료효과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또한, 잘못된 약복용 즉, 정량 미준수나 잘못된 투여 등으로 인해 오히려 질병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2007-99816호에는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 특허는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에 따라 시간별 및 요일별로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와 투약시간을 알리고, 상기 약물복용 여부를 저장한 후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약물 서버로 전송하는 휴대가능한 투여알람장치와, 상기 투여알람장치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병명, 병명에 따른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설정하거나 상기 환자의 병명과 병명에 따른 약물복용 여부를 수신받아 환자를 관리하는 약물 서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술은 환자에게 환자의 병명, 약의 종류 및 약물투약시간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상기 환자의 약물투약결과를 저장 및 수신받아 환자의 병에 따른 치료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환자가 약물을 투약한 후 그 투약 결과를 직접 입력해야 하므로 고령의 환자나 만성질환자가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 투약 결과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환자의 병에 따른 치료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약을 부적절하게 복용하였는지, 과복용하였는지를 알지 못하여 즉, 약물 투여량을 알지 못하여 잘못된 약을 복용할 수 있는 위험이 있고, 환자의 취침이나 외출 상황 등과 같이 상황에 맞는 알람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약물 보관함에 로드셀과 타이머 및 설정키를 구비하여 환자가 약물 투여결과를 입력하지 않아도 약물 투약 여부를 알 수 있어 편리하고, 무게 변화로 정량의 약을 복용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취침, 외출, 미복용, 과복용 등의 상황에 맞도록 알림을 할 수 있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는, 약물 투여시간, 1회 투여량(무게), 외출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약물 투여시간이 되면 약물 투여시간을 알려주되, 약물 투여시간이 경과한 후 약물이 보관된 약통의 무게를 측정하여 이전 약통의 무게와 비교하는 약통의 무게 변화로 약물의 투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량을 1회 투여량과 비교하여 약물의 과다 또는 부족 투여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약물의 미투여, 과다 투여 또는 부족 투여라고 판단한 경우에 이 사실을 알려주는 약물보관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투여 모니터링 방법은, 약물 투여시간, 1회 투여량(무게), 외출이나 취침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약물 투여시간이 인지 아닌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약물 투여시간이 된 경우 외출모드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외출모드인 경우에 환자의 휴대폰에 약물 투여시간을 SMS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출모드가 아닌 경우에 약물 투여시간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약물 투여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약물이 보관된 약통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전에 측정된 약통의 무게와 비교하여 약통의 무게 변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가 없는 경우 약물 미투여 사실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가 있는 경우 그 약통의 무게 변화량을 1회 투여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량이 크면 과다 투여라고 판단하고, 적으면 부족 투여라고 판단하여 과다 또는 부족 투여 사실을 환자에게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환자가 약물 투여결과를 입력하지 않아도 약물 투입 여부를 알 수 있어 편리하고, 정량의 약을 복용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취침, 외출, 미복용, 과복용 등의 상황에 맞도록 알람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약물보관함(10)은 만성질환자, 고령자, 독거노인 등이 기거하고 있는 가정 등에 주로 구비되어 약물 투여시간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상면에 로드셀(12)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13)와 디스플레이(14)가 구비된다. 그리고, 무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12)의 상부에는 약물이 보관되는 약통(15)이 올려져, 상기 로드셀(12)은 약물을 포함한 약통(15)의 무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키(13)는 약물 투여시간이나 1회 약물 투여량(무게), 취침이나 외출 모드 등을 입력하여 설정하고, 디스플레이(14)는 현재 시각이나 키(13)에 의해 입력되는 각종 정보, 약통의 무게 등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약물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약물보관함(10)은 키(13), 로드셀(12), 차동증폭기(16), LPF/신호증폭기(17), 샘플/홀드부, 마이크로프로세서(20), 알람부(19), 통신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키(13)는 약물 투여시간이나 1회 약물 투여량(무게), 취침이나 외출 모드 등을 설정하고, 로드셀(12)은 약물을 포함한 약통(15)의 무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차동증폭기(16)는 로드셀(12)로부터 출력되는 두 아날로그 전기적 신호의 차이가 있을 때 그 차이를 증폭하여 로드셀(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LPF/신호증폭기(17)는 차동증폭기(16)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를 증폭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PF(low pass filter: 저역통과필터)는 2차 버터워즈 필터(butterworth) 즉, 특정 주파수에서 평탄한 통과 특성을 지니는 버터워즈 고주파차단 필터를 사용하여, 60Hz의 전원선 노이즈와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리고, 신호증폭기는 상기 LPF의 신호를 다단 증폭한다.
또한, 샘플/홀드부(18)는 현재 약통(15)의 무게에 해당하는 신호를 샘플링 후 홀드하여, 약물 투여 후 변화된 약통(15)의 무게와 비교함으로써 투여한 약물의 무게를 검출한다. 이 샘플/홀드부(18)를 통해 약물의 투여 여부 및 약물 투여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약물 투여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약통(15) 무게의 변화가 없으면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약통(15) 무게의 변화가 있되, 약통 무게의 변화량이 1회 약물 투여량(무게)보다 많으면 과다 투여, 적으면 부족 투여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 샘플/홀드부(18)를 통해 로드셀(12) 신호의 영점보정이 가능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의 보정이 가능하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A/D 컨버터(21a,21b), 시스템 제어부(23), 메모리(24), 타이머/카운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A/D 컨버터(21a,21b)는 샘플/홀드부(18)에서 출력된 신호와 LPF/신호증폭기(17)에서 출력된 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시스템 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해 이 디지털값을 메모리(24)에 저장하여 약통(15)의 무게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메모리(24)에는 약물보관함(10)을 운영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키(13)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 및 약통(15)의 무게 등이 저장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3)는 타이머/카운터(22)를 제어하여 현재 시각이나 키(13)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값 또는 약통(15)의 무게 등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타이머/카운터(22)를 감시하여 약물 투여시간이 되면 알람부(19)를 통해 약물 투여시간을 알린다. 그리고, 알람부(19)는 약물 투여시간, 약물 미투여, 약물 과다 투여, 약물 부족 투여 등을 시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나, 문자, 점멸에 의해 나타내는 표시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3)는 약물 투여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약통(15)의 무게 변화가 없으면 약물 미투여 사실을 알람부(19)를 통해 알리고, 약통(15)의 무게 변화량을 1회 투여량과 비교하여 약통(15)의 무게 변화량이 크면 과다 투여를, 적으면 부족 투여를 알람부(19)를 통해 알린다.
한편, 통신부(30)는 외부의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통신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센서네트워크(40)를 통해 약물보관함(10)과 홈네트워크 서버 또는 PC(50)가 데이터 연계가 가능하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나 PC(50)는 유무선 통신망(60)을 통해 병원 등의 원격지 서버(70)와 연결되어 원격지 서버(70)에서 환자 개인별 약물 투여상황에 대한 DB(72)를 관리하여 지속적으로 약물투여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나 PC(50)는 약물보관함(10)과 데이터를 연계하여 유무선 통신망(60)을 통해 외출 모드인 경우 환자의 휴대폰(80)에 약물 투여시간을 SMS로 알려 외출시에도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나 PC(50)는 약물보관함(10)과 데이터를 연계하여 환자의 보호자(약사, 의사, 사회 복지사 포함)의 휴대폰(80)에 약물 투여 여부, 약물 투여량 등에 대한 정보를 SMS로 알려 환자의 약물 투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투여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키(13)를 이용해 약물 투여시간, 1회 투여량(무게), 외출이나 취침모드를 입력하면, 입력 내용이 메모리(24)에 저장되어 설정된다(S402).
시스템 제어부(23)는 타이머/카운터(22)로 약물 투여시간이 인지 아닌지를 감시하여(S404), 약물 투여시간이 되면 외출모드인지 아닌지 판별하고(S406), 외출 모드인 경우에는 통신부(30)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나 PC(50)에 약물 투여시간을 SMS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홈네트워크 서버나 PC(50)는 약물 투여시간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환자의 휴대폰(80)에 약물 투여시간을 전송한다(S416).
상기 외출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알람부(19)를 통해 약물 투여시간을 알린다(S408).
상기 시스템 제어부(23)는 약물 투여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지난 후 로드셀(12)을 제어하여 약통(15)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하고, 측정된 약통(15)의 무게를 이전에 측정된 약통의 무게와 비교하여 약통의 무게 변화가 있는지 판단한다(S410).
상기 약통(15)의 무게 변화가 없으면 환자가 약물을 투여하지 아니한 것이므로, 알람부(19)를 통해 약물 미투여 사실을 알려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한다(S418).
상기 약통(15)의 무게 변화가 있으면 그 약통(15)의 무게 변화량을 S402의 설정 단계에서 입력한 1회 투여량과 비교하여(S412), 약통(15)의 무게 변화량이 크면 과다 투여라고 판단하고, 적으면 부족 투여라고 판단하여 과다 또는 부족 투여 사실을 알람부(19)를 통해 환자에게 알린다(S414).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23)는 통신부(30)를 통해 약물 투여시간, 약물 미투여, 약물 과다 투여, 부족 투여 등에 대한 정보를 환자 보호자의 휴대폰(80)에 SMS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수행하는 약물 투여에 관한 정보는 홈네트워크 서버 또는 PC와 원격지 서버의 관리 DB에 같이 저장되어 환자 개인별 약물 투여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약복용률을 높임으로써 사회적 의료비용을 줄이고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약을 정기적으로 복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고령자의 약복용 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 제약회사 등의 새로운 IT-의료 융합시장의 창출이 가능하다. 또한, 만성질환자가 정량의 약을 정시에 복용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약복용 시간알림, 부적절 복용 감지 및 과복용을 방지할 수 있고, 취침, 외출, 기복용, 미복용 등 만성질환자의 현재 상황을 추론하여 상황에 맞는 약복용 안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의사, 약사, 보호자가 고령의 만성질환자의 약복용 상태를 SMS, 인터넷, 통계 정보 등을 통한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한 것이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고, 그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 내지 균등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보관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약물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투여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약물보관함 12: 로드셀
13: 키 14: 디스플레이
15: 약통 18: 샘플/홀드부
20: 마이크로 프로세서 50: 홈네트워크 서버 또는 PC
70: 원격지 서버 80: 휴대폰

Claims (10)

  1. 약물 투여시간, 1회 투여량(무게), 외출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약물 투여시간이 되면 약물 투여시간을 알려주되,
    약물 투여시간이 경과한 후 약물이 보관된 약통의 무게를 측정하여 이전 약통의 무게와 비교하는 약통의 무게 변화로 약물의 투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량을 1회 투여량과 비교하여 약물의 과다 또는 부족 투여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약물의 미투여, 과다 투여 또는 부족 투여라고 판단한 경우에 이 사실을 알려주는 약물보관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보관함에는 통신부가 구성되어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나 PC와 데이터를 연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약물보관함에서 홈네트워크 서버나 PC를 통해 환자의 휴대폰에 약물 투여시간에 대한 SMS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나 PC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서버에 연결되어, 원격지 서버에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함으로써 환자 개인별 약물 투여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보관함에는 약물 투여시간이나 1회 투여량(무게), 외출모드를 설정하는 키와,
    상기 약물을 포함한 약통의 무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증폭하는 차동증폭기와,
    상기 차동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를 증폭하는 LPF/신호증폭기와
    현재 약통의 무게에 해당하는 신호를 샘플링 후 홀드하여, 약물 투여 후 변화된 약통의 무게와 비교함으로써 투여한 약물의 무게를 검출하도록 하는 샘플/홀드부와,
    상기 약물 투여시간, 약물의 미투여, 과다 투여 또는 부족 투여를 시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람부와,
    타이머/카운터를 제어하여 약물보관함을 운영하는 시스템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에서 설정한 설정값이나, 현재 시각, 약통의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LPF/신호증폭기의 LPF는 특정 주파수에서 평탄한 통과 특성을 지니는 버터워즈 고주파차단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8. 약물 투여시간, 1회 투여량(무게), 외출이나 취침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약물 투여시간이 되는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약물 투여시간이 된 경우 외출모드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외출모드인 경우에 환자의 휴대폰에 약물 투여시간을 SMS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출모드가 아닌 경우에 약물 투여시간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약물 투여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약물이 보관된 약통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전에 측정된 약통의 무게와 비교하여 약통의 무게 변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가 없는 경우 약물 미투여 사실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가 있는 경우 그 약통의 무게 변화량을 1회 투여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약통의 무게 변화량이 크면 과다 투여라고 판단하고, 적으면 부족 투여라고 판단하여 과다 또는 부족 투여 사실을 환자에게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에서 행해지는 약물 투여 상황을 통신망을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나 PC 또는 원격지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미투여, 과다 투여, 부족 투여시 환자 보호자의 휴대폰에 이 사실을 SMS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모니터링 방법.
KR1020090044964A 2009-05-22 2009-05-22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091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64A KR101091056B1 (ko) 2009-05-22 2009-05-22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64A KR101091056B1 (ko) 2009-05-22 2009-05-22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972A KR20100125972A (ko) 2010-12-01
KR101091056B1 true KR101091056B1 (ko) 2011-12-08

Family

ID=4350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964A KR101091056B1 (ko) 2009-05-22 2009-05-22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460B1 (ko) * 2015-05-15 2017-05-15 김주희 스마트 약통스테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복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3856B2 (en) 2011-03-17 2019-07-16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9427520B2 (en) 2005-02-11 2016-08-30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741001B2 (en) 2000-05-18 2017-08-22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7860583B2 (en) 2004-08-25 2010-12-28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EP1316048A2 (en) 2000-05-18 2003-06-04 ALARIS Medical Systems,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US11087873B2 (en) 2000-05-18 2021-08-10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10062457B2 (en) 2012-07-26 2018-08-28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notifications for adverse patient events
US9069887B2 (en) 2000-05-18 2015-06-30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430554B2 (en) 2013-05-23 2019-10-01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preparation queue
US11182728B2 (en) 2013-01-30 2021-11-23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workflow management
ES2831803T3 (es) * 2013-03-13 2021-06-09 Carefusion 303 Inc Sistema de notificación de atención médica sensible al contexto
CN105074766A (zh) 2013-03-13 2015-11-18 康尔福盛303公司 预测性用药安全
EP2973366B1 (en) 2013-03-13 2020-08-19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986A (ja) 2002-08-05 2004-03-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薬剤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
JP2005204686A (ja) 2004-01-20 2005-08-04 Dainippon Printing Co Ltd 投薬管理システム
JP2005285023A (ja) 2004-03-30 2005-10-13 Meding:Kk 薬剤服用管理機能付き携帯型電子端末、薬剤服用管理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または記憶した機器並びに薬剤服用管理システム
JP2009100885A (ja) 2007-10-23 2009-05-14 Dainippon Printing Co Ltd 薬剤服用情報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986A (ja) 2002-08-05 2004-03-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薬剤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
JP2005204686A (ja) 2004-01-20 2005-08-04 Dainippon Printing Co Ltd 投薬管理システム
JP2005285023A (ja) 2004-03-30 2005-10-13 Meding:Kk 薬剤服用管理機能付き携帯型電子端末、薬剤服用管理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または記憶した機器並びに薬剤服用管理システム
JP2009100885A (ja) 2007-10-23 2009-05-14 Dainippon Printing Co Ltd 薬剤服用情報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460B1 (ko) * 2015-05-15 2017-05-15 김주희 스마트 약통스테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복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972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056B1 (ko) 약물 투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151176A1 (en) Medication Adherence Device And Coordinated Care Platform
TWI539400B (zh) 臨床資訊管理系統
US20120169467A1 (en) Patient alert management system
KR20150072111A (ko) 복약관리 방법, 복약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복약관리 시스템
US20110032104A1 (en) Medicine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patient's medication period through message transmission
US20090093688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Servicing
CN100479796C (zh) 智能药箱
WO2008079340A2 (en) Portable health & safety monitoring device
Maglogiannis et al. Mobile reminder system for furthering patient adherence utilizing commodity smartwatch and Android devices
CN108986409B (zh) 一种智慧养老预警系统
JP2011030934A (ja) 服薬管理装置とプログラム及び服薬管理方法
JP7346868B2 (ja) 服薬状況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96114B2 (ja) 服薬管理装置とプログラム及び服薬管理方法
KR101684868B1 (ko)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JP2012165800A (ja) 在宅服薬コンプライアンス支援装置とプログラム及び服薬コンプライアンス確認方法
JP2019101565A (ja) 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7334070B2 (ja) 点滴監視装置、点滴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111202A (ja) 測定状況を記録するパルスオキシメータ
JP6956569B2 (ja) 残薬管理装置および残薬管理システム
Selvabharathi et al. Design of IoT Based smart pill box for healthcare applications
Poongodi et al. SMB: An smart featured medicine box for patient monitoring
KR20070047049A (ko) 휴대폰 단말기 등을 이용하는 약 투약시간 (식사시간) 및차기 내원일시 알림방법과 시스템
DK201300466A1 (en) Monitoring System
TW201308262A (zh) 具遠端監控的生理量測設備及具該設備的量測監控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