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857B1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857B1
KR101088857B1 KR20100032880A KR20100032880A KR101088857B1 KR 101088857 B1 KR101088857 B1 KR 101088857B1 KR 20100032880 A KR20100032880 A KR 20100032880A KR 20100032880 A KR20100032880 A KR 20100032880A KR 101088857 B1 KR101088857 B1 KR 10108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ets
wirings
region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471A (ko
Inventor
임이빈
허남중
조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to KR2010003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857B1/ko
Priority to TW100111889A priority patent/TWI515439B/zh
Priority to PCT/KR2011/002472 priority patent/WO2011126335A2/ko
Publication of KR2011011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시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브 시트는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이 배열되며,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접합부를 갖는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2배선 세트들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대응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접합부와 접합되는 제 2접합부를 갖는 제 2배선 영역; 및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을 서로 연결하며, 임의의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이웃한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개의 배선 단위로 반복적 동일 신호를 인가해야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장치에 부차적인 접촉수단 없이 단일 시트 자체로 반복적인 동일 신호를 패널로 인가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PROBE SEAT FOR TESTING LCD PANEL AND PROBE UNIT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SEAT FOR TESTING LCD PANEL}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개의 배선 단위로 반복적 동일 신호를 인가해야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장치에 부차적인 접촉수단 없이 단일 시트 자체로 반복적인 동일 신호를 패널로 인가 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공정 중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품을 선별하는 검사 공정이 포함된다.
상기 검사 공정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패널에는 구동 모듈이 부착된다. 상기 검사 공정은 상기 구동 모듈이 부착되는 부분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패널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공정이고, 이때, 상기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브 유닛이 설치된다.
상기의 검사 과정 중 패널의 화소를 검사하기 위하여 전체 패널의 화면에 동일한 R,G,B,R',G',B' 의 6가지 색상 신호의 패턴을 패널 전체의 입력부에 반복적으로 인가하여 검사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1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 모듈(미도시)이 부착되는 부분에서의 패널(10)의 패턴(11) 6개 마다 상기의 6가지의 색상 신호를 한 세트로 전송하여 이에 대한 패널의 출력 상태를 얻어 확인한다.
이와 같은 방법의 검사공정에 있어서, 도 1을 참조 하면, 패널(10)의 화소를 검사함에 사용되는 프로브 유닛은 6개의 색상 신호를 패널에 전달하는 목적으로 제작된다. 도1은 종래에, 패널(10)에 6개의 색상신호를 전송하는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6개의 색상신호를 패널(10)의 많은 수의 패턴(11)들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도1에서와 같이 6개의 색상신호로부터 패턴(11)들 각각으로 많은 수의 전송라인들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면의 배선을 갖는 필름(20)을 통해 교차배선을 형성하여 니들이나 블레이드 타입의 프로브 유닛을 접촉 수단(30)으로 사용하여 색상 신호들을 패널에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접촉 수단(30)으로서 블레이드 형태의 구조로 한쪽 끝은 패널(10)의 패턴(11)에 접촉되고 반대 쪽은 필름(20)에 형성된 색상 신호 R,G,B,R',G',B'와 같은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라인(패턴)에 접촉 된다. 여기서, 필름(20)으로의 색상 신호는 필름(20)에 접촉 수단(30)이 부착되는 반대편으로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FPCB)으로부터 전송 받는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또는 니들이 접촉수단(30)으로 장착되어 있는 프로브 유닛에서 접촉수단(30)에 6개의 색상 신호를 분배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필름(20)을 쇼팅 시트(shorting sheet) 또는 쇼팅바(shorting bar)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프로브유니트는, 제작과정에 있어서 접촉수단(30)과 쇼팅시트(필름(20))가 접촉되고, 쇼팅시트와 연성회로기판을 접속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등 프로브유니트를 결합하는 공정이 복잡하고, 쇼팅시트가 많은 수의 접촉수단(30)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면으로 제작할 수 밖에 없어서 국내에서 제작하지 못하여 해외에서 제작해야 되며 또한 소량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쇼팅시트의 제작 비용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또한 고객이 요청하는 일정에 맞춰서 공급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촉수단(30)과 쇼팅시트(20)가 접착이 아닌 접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수단(30)과 쇼팅시트(20)를 연결하는데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아지고 엘씨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검사하는데 있어서 많은 검사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고가의 양면필름의 제작과 블레이드와 같은 접촉수단이 갖는 접점오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개의 배선 단위로 반복적 동일 신호를 인가해야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장치에 부차적인 접촉수단 없이 단일 필름으로 이루어진 프로브 시트에서 배선이 교차되는 배선 연결 영역을 형성하여 프로브 시트 자체로 반복적인 동일 신호를 패널의 모든 패턴들로 각각 인가 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면의 프로브시트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시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 상의 오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엘시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엘시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엘시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브 시트는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이 배열되며,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접합부를 갖는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2배선 세트들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대응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접합부와 접합되는 제 2접합부를 갖는 제 2배선 영역; 및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을 서로 연결하며, 임의의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이웃한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은,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3배선 세트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3배선 세트들의 수는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수와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의 수 보다 하나 적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 3배선 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은,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선세트에 이웃한 제2배선세트의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접합부와 상기 제 2접합부의 접합은,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이 폴딩 경계를 이루어 접힘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배선 영역에는, 상기 제 1접합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1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단부에는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배선들이 형성되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및 상기 제 3배선 세트들 각각의 설정된 수의 배선들은 6개의 수의 배선들을 이루고, 상기 6개의 배선으로 각각 입력되는 색상신호는 R,G,B,R',G',B'의 색상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프로브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브 유닛은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프로브 시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 시트는,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이 배열되며, 상기 블록 몸체의 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접합부를 갖는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2배선 세트들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대응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접합부와 접합되는 제 2접합부를 갖는 제 2배선 영역; 및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을 서로 연결하며, 임의의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이웃한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은,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3배선 세트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3배선 세트들의 수는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수와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의 수 보다 하나 적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 3배선 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은,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선세트에 이웃한 제2배선세트의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접합부와 상기 제 2접합부의 접합은,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이 폴딩 경계를 이루어 접힘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배선 영역에는, 상기 제 1접합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1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 1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일정 길이의 연성 회로 기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는,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상기 프로브 시트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을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에 압착 고정하는 고정 커버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부에는 다수의 제 1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커버에는 다수의 제 2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홀들과 상기 제 2결합홀들 각각에는 결합 볼트들이 결합되어 상기 블록 몸체와 상기 고정 커버는 서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 커버의 상면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상기 입력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을 가압하는 탄성체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단부에는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배선들을 구비하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블록 몸체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는, 제 1블록 몸체와, 상기 제 1블록 몸체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 2블록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저면은 상기 제 1배선 영역이 하향 경지도록 상기 제 2블록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블록 몸체에는,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저면과 예각을 이루며, 일단이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는 탄성 로드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탄성 로드의 일단은 상기 블록 몸체의 전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출력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블록 몸체에는 상기 탄성 로드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삽입홀에 위치되는 탄성 로드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가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저면과 상기 제 2블록 몸체의 저면 사이 영역에는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탄성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블록몸체의 저면에는 상기 프로브시트의 접힘부분이 안쪽으로 삽입되어 보호될 수 있는 접힘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및 상기 제 3배선 세트들 각각의 설정된 수의 배선들은 6개의 수의 배선들을 이루고, 상기 6개의 배선에 각각 입력되는 상기 색상신호는 R,G,B,R',G',B'의 색상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프로브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브 시트의 제조 방법은 시트 몸체의 일측에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로 이루어지는 제 1배선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마주보는 상기 시트 몸체의 타측에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2배선 세트들로 이루어지는 제 2배선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을 서로 연결하며, 임의의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이웃한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을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2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어 상기 제 1접합부와 접합되는 제 2접합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은,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3배선 세트들의 수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수와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의 수 보다 하나 적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 3배선 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은,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선세트에 이웃한 제2배선세트의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을 따르도록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접합부와 상기 제 2접합부의 접합은, 상기 배선 연결 영역에 폴딩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폴딩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을 접어 상기 제 1접합부와 상기 제 2접합부를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배선 영역에, 상기 제 1접합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입력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1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단부에,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배선들이 형성되는 입력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및 상기 제 3배선 세트들 각각의 설정된 수의 배선들을 6개의 수의 배선들로 형성하고, 상기 6개의 배선들로 각각 입력되는 신호는 R,G,B,R',G',B'의 색상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개의 배선 단위로 반복적 동일 신호를 인가해야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장치에 부차적인 접촉수단 없이 배선이 한쪽에만 형성된 단면의 프로브 시트에서 배선이 교차되는 배선 연결 영역을 형성하여 단일 시트 자체로 반복적인 동일 신호를 패널로 인가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단면의 프로브시트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시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기존의 니들이나 블레이드에 의한 다수의 프로브핀의 연결 상의 오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프로브 유닛의 제작에 있어서 발생되는 과도한 비용 증가와 납품 일정을 줄이고, 제작 오류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접촉 장치와 패널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로브 유닛의 블레이드에 의한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브 시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접합부가 접합된 프로브 시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접합부가 접합된 프로브 시트를 보여주는 다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프로브 시트가 패널 및 연성 회로 기판과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프로브 시트를 갖는 프로브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프로브 시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 1,2접합부가 접합된 프로브 시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프로브 시트를 갖는 프로브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엘시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엘시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엘시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하여 제조된 프로브 시트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 하면, 일정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시트 몸체(110)를 준비한다. 상기 프로브 시트는 필름과 같은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1배선 영역(200)의 형성]
그리고 상기 시트 몸체(110)의 일 측에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510)로 이루어지는 제 1배선 영역(20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 각각은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정된 수의 배선들은 패널검사에 사용되는 신호의 묶음 단위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예로써, 6가닥의 배선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6가닥의 배선들 각각은 R, G, B, R' G',B'의 색상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6가닥의 배선들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선영역(200)에는 제1배선세트(510)들이 복수개 존재하며, 제1배선세트(510)는 6개의 배선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배선영역(200)에 존재하는 배선들의 전체수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패널에 형성되는 패턴을 테스트 하는데 필요한 수이다.
따라서 상기 제 1배선 영역(200)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을 상기 시트 몸체(110)의 일 측에서 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 각각의 배선들은 서로 나란하게 시트 몸체(110)의 행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제 2배선 영역(300)의 형성]
이어, 상기 시트 몸체(110)의 하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배선 영역(200)과 마주 보는 측에 제 2배선 세트들(520)로 이루어지는 제 2배선 영역(30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 각각은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수의 배선들은 제1배선영역(200)에 설정된 배선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6가닥의 배선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6가닥의 배선들 각각은 R, G, B, R' G',B'의 색상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6가닥의 배선들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배선 영역(300)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을 상기 시트 몸체(110)의 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 각각의 배선들은 서로 나란하게 시트 몸체(110)의 행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을 서로 동일 세트 수를 이루어 대응되도록 배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 각각에서의 배선들은 서로 동일 선 상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배선 연결 영역(400)의 형성]
다수의 제 3배선 세트들(530)로 이루어지는 배선 연결 영역(400)을 상기 제 1,2배선 영역(200,300)의 사이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선 연결 영역(400)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혀지는 경계(F)를 제공하며, 제 3배선 세트들(530)의 배선들이 서로 대각선 방향을 따라 교차되는 영역(또는 배선 교차 구간)을 제공한다.
배선연결영역(400)은 제 1배선 영역(200)과 제 2배선 영역(300)을 서로 연결하며, 임의의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이웃한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배선 세트들(530) 각각은 제1배선세트들(510) 및 제2배선세트들(520)을 구성하는 배선수와 동일한 배선수를 가지며, 즉6가닥의 배선들로 이루어지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6가닥의 배선들 각각은 R, G, B, R',G',B'의 색상 신호를 전송한다.상세하게는,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3배선 세트들(530)의 수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의 수와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의 수 보다 하나 적게 준비한다.
그리고 제 3배선 세트들(530)은, 각각의 제 3배선 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은,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선세트에 이웃한 제2배선세트의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 1배선 영역(200)과 제 2배선 영역(300)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배선 세트들(510) 중 제 1배선 영역(200)의 최하단측의 제 1배선 세트(510)와, 제 2배선 세트들(520) 중 제 2배선 영역(300)의 최상단측의 제 2배선 세트(520) 각각은 제 3배선 세트(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를 이룬다.
[제 1접합부(접합부1, 210)의 형성]
이어, 제 1배선 영역(200)에 제 1배선 세트들(510)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일정 영역을 개방한다. 일정영역은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모든 제1배선세트들(510)의 일부분을 세로방향으로 노출시킨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개방되는 일정 영역이 제 1접합부(210)이다. 제1접합부(210)의 위치는 제1배선영역(200)에서 출력부(230)가 형성되는 부분보다는 더 제2배선영역(300) 쪽으로 위치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접합부(210)는 제 1배선 세트들(510)이 시트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일정 영역에 해당되는 시트 몸체(110)의 일면을 절개하여 이룰 수도 있고,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이 시트 몸체(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일정 영역을 제외한 시트 몸체(110)의 일면에 절연물을 도포하거나 절연 커버 테이프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출력부(230)의 형성]
상기 시트 몸체(1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어 출력부(230)를 형성한다. 출력부(230)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패널에 형성된 패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시트 몸체(110)의 제1배선영역(200)의 일측 끝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출력부(230) 역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을 검사하고자 하는 패널의 패턴과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일정 영역을 이루어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의 경우에 역시, 제 1배선 세트들(510)이 시트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일정 영역에 해당되는 시트 몸체(110)의 일면을 절개하여 이룰 수도 있고,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이 시트 몸체(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일정 영역을 제외한 시트 몸체(110)의 일면에 절연물을 도포하거나 절연 커버 테이프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접합부(접합부2, 310)의 형성]
상기 제 2접합부(310)는 상기 제 1접합부(210)에 접합되는 부분으로서, 시트 몸체(110)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2배선 세트들(520)의 타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접합부(310)는 제 2배선 세트들(520)이 시트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의 타측단 일정 영역에 해당되는 시트 몸체(110)의 일면을 절개하여 이룰 수도 있고,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이 시트 몸체(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일정 영역을 제외한 시트 몸체(110)의 일면에 절연물을 도포하거나 절연 커버 테이프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입력부(220)의 형성 제 1예]
이어, 색상 신호를 입력할 있는 입력부(220)를 상기 제 1배선 영역(200)에서 출력부(230)와 제 1접합부(210)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220)는 제 1배선 세트들(520)이 시트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출력부(230)와 제 1접합부(210)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 1배선 세트들(510)의 일정 영역에 해당되는 시트 몸체(110)의 일면을 절개하여 이룰 수도 있고,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이 시트 몸체(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일정 영역을 제외한 시트 몸체(110)의 일면에 절연물을 도포하거나 절연 커버 테이프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트 몸체(110)에, 제 1,2배선 영역(200,300)과,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배선 연결 영역(4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2접합부(210,310)의 접합 과정]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배선 연결 영역(400)에 폴딩 경계(F)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시트 몸체(110)가 평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 2접합부(310)를 상기 제 1접합부(210)와 접합되도록 상기 배선 연결 영역(400)을 폴딩 경계(F)를 기준으로 접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 몸체(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는 배선 연결 영역(400)이 폴딩 경계(F)를 기준으로 접히면서, 배선 연결 영역(400)에서의 제 3배선 세트들(530)은 서로 교차되지만 필름에 의해 덮여있으므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프로브 시트(100)에서, 제 1배선 영역(200)에 형성되는 입력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 1배선 세트들(510) 중 어느 하나의 배선세트로 색상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색상 신호는 배선연결영역(400)의 제3배선세트(530)를 통하여 제2배선영역(300)의 제2배선세트(52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송된 6가지 색상신호는 제2배선세트(520)의 제2접합부(220)가 제1접합부(210)에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접합부(210)를 통하여 다시 제1배선세트(510)로 전송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하면, 도 3에서, 제1배선영역(200)의 가장 위에 위치한 6개의 배선으로 구성되는 윗쪽에서부터 첫번째 제1배선세트(510)의 입력부(220)로 6가지 색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첫번째 제1배선세트(510)에 연결된 제3배선세트(530)를 통해서 제2배선영역(300)의 위쪽에서부터 두번째 제2배선세트(520)에 포함되는 6개의 배선으로 6가지 색상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제2배선영역(300)이 폴딩경계(F)를 기준으로 접히면 위쪽에서 두번째 제2배선세트(520)의 배선들은 위쪽에서 두번째 제1배선세트(510) 의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위쪽에서두번째 제1배선세트(510)로도 6가지 색상신호가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배선영역(200)에 존재하는 제1배선세트(510)들마다 6가지 색상신호가 계속해서 반복하여 입력된다. 제 1배선 영역(20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출력부(230)를 통해서 반복되는 6가지 색상신호가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색상 신호들의 입력은 입력부(220)와 연결되는 연성 회로 기판(150, 도 6도시)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 하여, 제 1,2배선 세트들(510,520)의 세트수를 n(자연수)개라고 하면, 제3배선세트들(530)의 세트 수는 n-1개가 된다.
따라서, 입력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 1배선 영역(200)의 최상단 제 1배선 세트(510)인 1번 제1배선세트(510)의 제 1,2,3,4,5,6배선에 6가지의 색상 신호인 R,G,B,R',G',B'신호를 각각 순서대로 입력시키면, 상기 제 1배선으로 입력된 R 색상 신호는 1번 제 3배선 세트(530)의 제 1'배선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 1'배선으로 전송된 R 색상 신호는 2번 제 2배선 세트(520)의 제 1"배선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1"배선으로 전송된 R 색상 신호는 제 2접합부(310)와 접합된 제 1접합부(210)에서 상기 최상단의 하단에 배열된 2번 제 1배선 세트(510)의 제1번 배선에 전송되어 출력부(23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번 제 1배선 세트(510)의 제 1배선으로 전송된 R 색상 신호는 2번 제 1배선 세트(510) 하단에 배열되는 3번 제 1배선 세트(510)의 제 1배선으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외에, 나머지 G,B,R',G',B'신호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되어 출력부(23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1,2배선 영역(200,3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400)을 동일층을 이루는 영역의 시트 몸체(110)에 형성한다. 그리고, 배선 연결 영역(400)을 접어 제 2배선 영역(300)의 단부에 형성된 제 2접합부(310)를 제 1배선 영역(200)에 형성된 제 1접합부(210)에 접합시켜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510) 중 어느 하나의 세트에 색상 신호를 입력하면, 이는 모든 제 1배선 세트들(51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출력부(23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접합부(210)와 상기 제 2접합부(310)의 접합은, 물리접 접촉을 포함하며, 초음파 융착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프로브 시트를 사용의 예를 보여준다. 즉, 연성 회로 기판(150)은 프로브 시트(100)의 입력부(220)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220)는 연성 회로 기판(150)으로부터 6가지의 색상 신호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력 받은 6가지의 색상 신호는 제 1배선 세트들(510)로 배선이 교차되는 영역인 배선 연결 영역(400)을 통하여 동일하게 분배된다.
상기와 같이 제 1배선 세트들(510)의 출력부(230)는 패널(10)의 패턴(11)에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의 출력부(230)로 출력되는 수 개로 반복된 색상 신호들은 패턴(11)으로 전송되어 색상 신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트 몸체(11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 1배선 영역(200)에서의 출력부(230)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접촉단인 패턴(11)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색상 신호 검사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접합물 없이 전기적 검사를 용이하게 실시함과 아울러 액정 디스플레이 검사용 프로브 유닛을 제작함에 따르는 제작 비용과 시간 및 프로브 유닛의 관리적인 면에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입력부(221)의 형성 제 2예]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 하면,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에서의 입력부(221)는 제 2배선 영역(300)의 단부에,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배선들(221a)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출력부(23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은 도 11의 'A'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제 2배선 영역(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입력부(221)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배선 영역(300)의 단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시트 몸체(110)에 형성된다. 도3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시트(100)는 입력부(220)로 6가지 색상신호를 입력하는 연성회로기판(150)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구조이며,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시트(100')는 입력부(221)를 후단에 배치함으로써 프로브시트(100')가 연성회로기판(150)의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150)을 생략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제 1,2접합부(210,310)는 배선 연결 영역(400)이 폴딩 경계(F)를 기준으로 제2접합부(310)가 제1접합부(210) 위로 접힘에 따라 서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배선 영역(300)은 별도의 추가 폴딩 경계(F1)를 기준으로 다시 접혀서 제2블록몸체(720)의 후단까지 연장된다. 추가 폴딩경계(F1)의 위치는 제2배선영역(300) 내에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 1배선 영역(20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출력부(230)와 상기 제 2배선 영역(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입력부(221)는 상기와 같이 시트 몸체(110)가 폴딩 경계(F) 및 추가 폴딩 경계(F1)를 기준으로 접혀지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221)의 노출되는 입력 배선들(221a)은 하나의 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며, 즉, 6가닥의 배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6가닥의 배선들 각각에는 상기에 언급된 6가지의 색상 신호가 각각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6가닥의 입력 배선은 제 1,2접합부(210,310)를 통하여 제 1 배선 세트들(510) 중 어느 하나의 6가닥의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6가지의 색상 신호를 각각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송된 6가지의 색상 신호는 제 3배선 세트들(530)을 통하여 제 1배선 세트들(510)의 출력부(23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폴딩경계(F)를 기준으로 시트몸체(110)를 접어서 제1접합부(210)와 제2접합부(310)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면, 입력 배선들(221a)을 통해서 입력되는 6가지 색상신호들은 입력배선들(221a)에 직접 연결된 위에서 두번째에 위치한 2번 제2배선세트(520)와 이에 연결된 제3배선세트(530)를 통하여 위에서 첫번째에 위치한 1번제1배선세트(510)로 전송된다. 이 때, 2번제1배선세트(510)는 2번제2배선세트(520)에 제1및 제2접합부(210, 310)를 통하여 직접 연결되므로 6가지 색상신호가 수신되고, 2번제1배선세트(510)에 연결된 제3배선세트(530)를 통해 3번제2배선세트(520)로도 6가지 색상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3번제2배선세트(520)에 연결되는 3번제1배선세트(510)에도 6가지 색상신호가 전송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제1배선세트(510)의 각각으로 6가지 색상신호가 각각 전송되어 출력부(230)를 통해서 출력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프로브 시트를 갖는 프로브 유닛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 하여, 상기에 언급된 입력부(220)의 제 1예가 적용된 프로브 시트(100)를 갖는 프로브 유닛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프로브 유닛은 블록 몸체(700)와, 상기 블록 몸체(700)의 저면에 배치되는 프로브 시트(100)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브 시트(100)는,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510)이 배열되며, 상기 블록 몸체(700)의 일측단인 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부(230)와,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접합부(210)를 갖는 상기 제 1배선 영역(200)과, 상기 제 1배선 영역(2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2배선 세트들(520)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과 대응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접합부(210)와 접합되는 제 2접합부(310)를 갖는 제 2배선 영역(300) 및 상기 제 1배선 영역(200)과 상기 제 2배선 영역(30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이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510)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5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40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로브 시트(100)가 상기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블록 몸체(700)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입력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 1배선 세트들(510)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일정 길이의 연성 회로 기판(150)이 설치된다.
[프로브 유닛의 구조]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블록 몸체(700)는 제 1블록 몸체(710)와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블록 몸체(720)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저면은 상기 제 1배선 영역(200)이 하향 경지도록 상기 제 2블록 몸체(72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 2블록 몸체(720)의 저면은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저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에는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저면과 예각을 이루며, 일단이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전단으로 돌출되는 탄성 로드(750)가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에는 상기 탄성 로드(750)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홀(7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로드(750)의 경사는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저면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탄성 로드(750)의 일단은 상기 블록 몸체(700)의 전단부에 위치되는 출력부(230)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 로드(750)의 일단은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일측단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여 패널의 패턴에 접촉하는 출력부(230)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이에 더하여,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홀(712)을 관통하는 고정홀(7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711)에는 삽입홀(712)에 위치되는 탄성 로드(750)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760)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볼트(760)에 의하여 상기 탄성 로드(750)는 삽입홀(711)에서의 위치 고정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로드(750)의 일단이 상부에서 출력부(230)를 하방으로 탄성을 구비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압되는 출력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패턴(11)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저면과 상기 제 2블록 몸체(720)의 저면 사이 영역에는 상기 제 1블록 몸체(71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탄성홈(713)이 더 형성된다. 탄성홈(713)은 출력부(230)가 패널(10)의 패턴(11)에 접촉할 때 판 스프링 역할을 하여 압축 및 신장 탄성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블록몸체(710)가 출력부(230)를 누르는 힘이 더 잘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2블록몸체(720)의 저면에 밀착 배치되는 프로브시트(100)의 접힘부분을 보호하여 프로브시트(100) 내의 배선이 끊어지거나 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블록몸체(720)의 저면에 프로브시트(100)의 접힘부분이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접힘방지홈(7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블록 몸체(700)는 상기 블록 몸체(700)의 저면에 배치되는 상기 프로브 시트(100)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150)을 상기 블록 몸체(700)의 저면에 압착 고정하는 고정 커버(73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커버(730)의 상면은 상기 블록 몸체(700)의 저면에 상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 커버(730)의 상면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150)과 상기 입력부(220)가 밀착되도록 상기 연성 회로 기판(150)을 가압하는 탄성체(7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740)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의 탄성력을 구비하여 상기 연성 회로 기판(150)이 입력부(220)에 압착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블록 몸체(700)의 저면부에는 다수의 제 1결합홀(7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커버(730)에는 다수의 제 2결합홀(7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결합홀들(721)과 상기 제 2결합홀들(731) 각각에는 결합 볼트들(770)이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블록 몸체(700)와 상기 고정 커버(7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 하면, 상기에 언급된 입력부(221)의 제 2예에 따라 형성되는 프로브시트(10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블록 몸체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로브시트가 폴딩경계(F)를 기준으로 접히고 다시 제 2배선 영역(300)의 추가 폴딩 경계(F1)를 기준으로 벤딩된다. 입력부(221)는 상기 블록 몸체(700)의 외부로 연장되며, 제 2배선 세트들(520)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배선들(221a)을 갖는 프로브 시트(10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블록 몸체의 저면에 설치된다.
도11 및 도12에는 도10의 형태로 접혀서 형성된 프로브시트(100')가 뒤집혀서 블록몸체의 저면에 장착된다.
이때, 제 1배선 영역(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출력부(230)는 제 1블록 몸체(710)의 일측단의 저부에서 하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입력부(221)는 제 2블록 몸체(720)의 타측단을 통하여 일정 길이 외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프로브 시트 110 : 시트 몸체
200 : 제 1배선 영역 210 : 제 1접합부
220 : 입력부 230 : 출력부
300 : 제 2배선 영역 310 : 제 2접합부
400 : 배선 연결 영역 510 : 제 1배선 세트
520 : 제 2배선 세트 530 : 제 3배선 세트
700 : 블록 몸체 710 : 제 1블록 몸체
711 : 고정홀 712 : 삽입홀
713 : 탄성홈 720 : 제 2블록 몸체
721 : 제 1결합홀 730 : 고정 커버
731 : 제 2결합홀 740 : 탄성체
750 : 탄성 로드 760 : 고정 볼트
770 : 결합 볼트 F : 폴딩 경계
F' : 추가 폴딩 경계

Claims (25)

  1.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이 배열되며,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접합부를 갖는 제 1배선 영역;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2배선 세트들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대응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접합부와 접합되는 제 2접합부를 갖는 제 2배선 영역; 및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을 서로 연결하며, 임의의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이웃한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은,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3배선 세트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3배선 세트들의 수는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수와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의 수 보다 하나 적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 3배선 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은,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선세트에 이웃한 제2배선세트의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합부와 상기 제 2접합부의 접합은,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이 폴딩 경계를 이루어 접힘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선 영역에는,
    상기 제 1접합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1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단부에는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배선들이 형성되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및 상기 제 3배선 세트들 각각의 설정된 수의 배선들은 6개의 수의 배선들을 이루고,
    상기 6개의 배선으로 각각 입력되는 색상신호는 R,G,B,R',G',B'의 색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7.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프로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시트는,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이 배열되며, 상기 블록 몸체의 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접합부를 갖는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2배선 세트들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대응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하며 상기 제 2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접합부와 접합되는 제 2접합부를 갖는 제 2배선 영역; 및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을 서로 연결하며, 임의의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이웃한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은,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3배선 세트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3배선 세트들의 수는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수와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의 수 보다 하나 적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 3배선 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은,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선세트에 이웃한 제2배선세트의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합부와 상기 제 2접합부의 접합은,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이 폴딩 경계를 이루어 접힘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선 영역에는,
    상기 제 1접합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1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 1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일정 길이의 연성 회로 기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는,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상기 프로브 시트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을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에 압착 고정하는 고정 커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저면부에는 다수의 제 1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커버에는 다수의 제 2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홀들과 상기 제 2결합홀들 각각에는 결합 볼트들이 결합되어 상기 블록 몸체와 상기 고정 커버는 서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 커버의 상면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상기 입력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을 가압하는 탄성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단부에는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배선들을 구비하는 입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블록 몸체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는, 제 1블록 몸체와, 상기 제 1블록 몸체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 2블록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저면은 상기 제 1배선 영역이 하향 경지도록 상기 제 2블록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록 몸체에는,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저면과 예각을 이루며, 일단이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전단으로 돌출되는 탄성 로드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탄성 로드의 일단은 상기 블록 몸체의 전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출력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록 몸체에는 상기 탄성 로드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삽입홀에 위치되는 탄성 로드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가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저면과 상기 제 2블록 몸체의 저면 사이 영역에는 상기 제 1블록 몸체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탄성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블록몸체의 저면에는 상기 프로브시트의 접힘부분이 안쪽으로 삽입되어 보호될 수 있는 접힘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1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및 상기 제 3배선 세트들 각각의 설정된 수의 배선들은 6개의 수의 배선들을 이루고,
    상기 6개의 배선에 각각 입력되는 색상신호는 R,G,B,R',G',B'의 색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20. 시트 몸체의 일측에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1배선 세트들로 이루어지는 제 1배선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마주보는 상기 시트 몸체의 타측에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2배선 세트들로 이루어지는 제 2배선 영역을 형성하고,
    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을 서로 연결하며, 임의의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이웃한 제1배선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영역을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일측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1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2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어 상기 제 1접합부와 접합되는 제 2접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은,
    설정된 수의 배선들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 3배선 세트들의 수를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의 수와 상기 제 2배선 세트들의 수 보다 하나 적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 3배선 세트를 구성하는 배선들은, 임의의 제1배선세트의 배선들과, 상기 임의의 제1배선세트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선세트에 이웃한 제2배선세트의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배선 영역과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을 따르도록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합부와 상기 제 2접합부의 접합은,
    상기 배선 연결 영역에 폴딩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폴딩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배선 연결 영역을 접어 상기 제 1접합부와 상기 제 2접합부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제 1배선 영역에,
    상기 제 1접합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배선 세트들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입력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1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선 영역의 단부에,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배선들이 형성되는 입력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선 세트들과 상기 제 2배선 세트들 및 상기 제 3배선 세트들 각각의 설정된 수의 배선들을 6개의 수의 배선들로 형성하고,
    상기 6개의 배선들로 각각 입력되는 신호는 R,G,B,R',G',B'의 색상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KR20100032880A 2010-04-09 2010-04-09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KR101088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2880A KR101088857B1 (ko) 2010-04-09 2010-04-09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TW100111889A TWI515439B (zh) 2010-04-09 2011-04-06 用於測試lcd面板之探針片、具有該探針片之探針單元及該探針片之製造方法
PCT/KR2011/002472 WO2011126335A2 (ko) 2010-04-09 2011-04-08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2880A KR101088857B1 (ko) 2010-04-09 2010-04-09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471A KR20110113471A (ko) 2011-10-17
KR101088857B1 true KR101088857B1 (ko) 2011-12-06

Family

ID=4476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2880A KR101088857B1 (ko) 2010-04-09 2010-04-09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88857B1 (ko)
TW (1) TWI515439B (ko)
WO (1) WO20111263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9668A (zh) * 2019-06-12 2019-08-3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检测治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6132A1 (ja) 2003-03-26 2004-10-07 Nhk Spring Co., Ltd. 液晶パネル用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3449U (en) * 1995-11-16 2001-09-01 Hitachi Ltd LCD display panel with buckling driving multi-layer bendable PCB
JP2002164626A (ja) * 2000-11-29 2002-06-07 Optrex Corp 可撓配線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267109A (ja) * 2008-04-25 2009-11-12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フレキシブル半導体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6132A1 (ja) 2003-03-26 2004-10-07 Nhk Spring Co., Ltd. 液晶パネル用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4015A (en) 2012-08-16
KR20110113471A (ko) 2011-10-17
WO2011126335A2 (ko) 2011-10-13
WO2011126335A3 (ko) 2012-01-12
TWI515439B (zh) 2016-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2382B (zh) 显示装置及其检测绑定区域绑定情况的方法
CN107623991B (zh) 柔性膜、电路板组件及显示装置
KR950012109A (ko) 리워킹이 용이한 소형경량 표시장치 및 그 실장방법
KR20180025411A (ko) 표시 장치
CN110568683B (zh) 阵列基板、显示装置及其测试方法
KR101114824B1 (ko) 엘씨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엘씨디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CN101359000A (zh) 电气讯号接续装置
CN1983584A (zh) 半导体器件和半导体器件的检查方法
KR20090112635A (ko) 회로기판 검사용 테스트기 모듈
KR20140131813A (ko) 분산 배치된 비아 플러그들을 포함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KR101263788B1 (ko) 액정 패널 검사용 필름, 액정 패널 검사 장치 및 액정 패널 검사 장치의 제조 방법
CN205487266U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US20220125408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device for interfacing high density ultrasound matrix array transducer with integrated circuits
WO1999022571A2 (fr) Module electronique flexible tridimensionnel
KR101088857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및 이를 갖는 프로브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시트 제조 방법
US20060176071A1 (en) Inspection probe, inspection device for optical panel and inspection method for the optical panel
WO2004086132A1 (ja) 液晶パネル用検査装置
US7982481B2 (en) Module for a parallel tester for the testing of circuit boards
CN103189790B (zh) 用于测试lcd面板的薄膜和测试装置及该装置的制造方法
KR101258512B1 (ko) 액정 패널 검사용 필름, 액정 패널 검사 장치 및 액정 패널 검사 장치의 제조 방법
CN104216149B (zh) 一种具有修补线结构的液晶显示面板
CN112133241B (zh) 覆晶薄膜、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0565216C (zh) 检查块
CN117423705A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265570B1 (ko) 액정 패널 검사용 필름, 액정 패널 검사 장치 및 액정 패널 검사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