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802B1 - Wearing article with crotch - Google Patents

Wearing article with cro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802B1
KR101088802B1 KR1020057019491A KR20057019491A KR101088802B1 KR 101088802 B1 KR101088802 B1 KR 101088802B1 KR 1020057019491 A KR1020057019491 A KR 1020057019491A KR 20057019491 A KR20057019491 A KR 20057019491A KR 101088802 B1 KR101088802 B1 KR 101088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knee
body part
trunk
cr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20717A (en
Inventor
유지 오타
나오미 모리이
타카코 후지이
마코토 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Publication of KR2005012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7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8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긴체부는,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전측 부분(1a)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분(1a)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와,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전측 부분(1b)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분(1b)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 2f)를 가짐으로써,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에서 대퇴부를 전후로부터 서포트한다.The body portion formed in a band shape corresponds to the thigh portion front body portion 2b formed obliquely from above to the front portion 1a in the front portion 1a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thigh and the rear side of the thigh. In the rear part to be formed obliquely from the top of the front part 1b to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ortion rear body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above the rear part and the front part 1b corresponding to the lower thigh part. By having the lower thigh side frontal body parts 2e and 2f, the thigh part is supported from front and rear in the thigh front side body part 2b and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Description

가랑이가 있는 의류{WEARING ARTICLE WITH CROTCH}Crotchless Clothing {WEARING ARTICLE WITH CROTCH}

본 발명은,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포츠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적용되는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otch garments and, in particular, to garments with crotch garments for sports.

종래의 스포츠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는, 다리부의 근육의 움직임을 서포트하기 위해서 의류의 소정 부분에 긴체력이 강한 서포트부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0-110306호 공보에는 대퇴, 무릎 및 종아리를 서포트부에서 좌우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근육의 움직임을 서포트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착용하면, 서포트부에 의해 다리부의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다리부의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안정된다. 또한, 고관절이나 무릎관절의 굴곡·신장운동을 서포트하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ART In conventional garments with sports crotch, a support portion having a strong stamina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garment in order to support the movement of muscles of the leg portio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0-110306 discloses a crotch garment that supports muscle movement by sandwiching the thighs, knees and calves from the left and right in the support portion. If the crotch-like garment is worn, the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eg part is stabilized because the support part can suppress the moveme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supporting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hip or knee joint.

그러나 신체의 움직임에는 굴곡·신장운동 외에도, 내선·외선운동, 또는 내전·외전운동 등이 있고, 상술한 특허문헌1에 개시된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서는, 굴곡·신장운동을 서포트할 수는 있어도, 다른 운동을 서포트하는 것은 곤란하다.However, in addition to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s, body movements include extrinsic, extrinsic movements, or adduction and abduction movements. In crotch garment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s may be supported. It is difficult to support exercise.

본 발명은, 다리부의 운동을 균형있게 서포트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tch garment which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leg in a balanced man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는,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피복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긴체부는,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를 적어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tch garment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wherein the elongated body formed in a band shape is the front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thigh.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part, and the rear part corresponding to the back side of the thigh part, It has at least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said back par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

착용자의 대퇴부가 긴체력이 강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에 의해 끼워지기 때문에, 대퇴부의 전후에 있는 근육을 균형있게 서포트할 수 있고, 다리부의 내선·외선운동 및 내전·외전운동이 하기 쉬워진다.Since the wearer's thigh is fitted by the strong thigh anterior thigh and the thigh thigh, the muscles in front and rear of the thigh can be supported in a balanced manner. Easier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전측 또는 후측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기울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가 대퇴부의 내측과 대퇴부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대퇴부 내측과 대퇴부 외측 양쪽으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측이란 대퇴부의 내측의 상방 또는 하방을 말하고, 상기 외측이란 대퇴부의 외측의 상방 또는 하방을 말하며, 상기 양쪽으로 연속된다는 것은, 대퇴부 내측 상방과 대퇴부 외측 하방, 또는 대퇴부 내측 하방과 대퇴부 외측 상방으로 연속되는 것을 말한다(이하, 같음). 또한,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긴체부의 일부가, 대전자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In addition,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in the crotch garment of this invention may b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up-down direction, respectively,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back side, and in this case, the thigh part front side lo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are continuous at least either of the inner side of the thigh part and the outer side of the thigh part, and more preferably both of the inner side of the thigh part and the outer thigh part. Here, the inner side refers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thigh, and the outer side refers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thigh, and continuous to both sides means the upper side of the thigh and the lower side of the thigh, or the lower side of the thigh and the outer side of the thigh. It means to be continuous upward (hereinafter equal to).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trunk | drum in a crotch garment of this invention is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a large electron.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긴체부는, 적어도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 중 어느 한쪽의 도중으로부터, 대퇴부의 내측 하방 또는 대퇴부의 외측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하부 긴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텐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에 의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대퇴하부 긴체부의 일부가 무릎의 내측 또는 무릎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거나, 대퇴하부 긴체부가 대퇴부 전측 긴체부 또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와 무릎의 내측 또는 무릎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긴체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무릎의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대퇴하부 긴체부는, 대퇴부에 있어서의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길이방향의 중앙부근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 긴체부끼리에 텐션이 보다 가해지기 쉬워진다.In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gh portion is formed at an angle from at least one of the thigh portion front side body portion and the thigh rear side body portion at an inverted thigh portion or an oblique lower thigh portion formed obliquely over the outer bottom of the thigh.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s a result, tension can be applied to either or both of the anterior thigh body part and the posterior thigh body part, so that the support effect of the anterior thigh part body part and the posterior thigh part body part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a part of the lower thigh body part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knee or the outside of the knee, or the lower thigh body part is the front of the thigh part or the thigh back body part and the inside of the knee or the kne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other body part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Thereby, the support effect of a knee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thigh body part is formed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body part in the thigh part. As a result, tension is more easily applied to the respective body parts.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긴체부는, 적어도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 중 어느 한쪽의 도중으로부터, 대퇴부의 내측 상방 또는 대퇴부의 외측 상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상부 긴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텐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에 의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대퇴상부 긴체부는, 대퇴부에 있어서의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길이방향의 중앙부근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 긴체부끼리에 텐션이 보다 가해지기 쉬워진다.In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gh portion is formed at an angle from at least one of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at an angle from the middle of the thigh part to the medial upper part or the thigh part outer part of the thigh par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s a result, tension can be applied to either or both of the anterior thigh body part and the posterior thigh body part, so that the support effect of the anterior thigh part body part and the posterior thigh part body par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emoral upper body part is formed from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emoral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rear body body part in a thigh part. As a result, tension is more easily applied to the respective body parts.

또한,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는, 적어도 하반신의 일부를 피복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긴체부는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를 적어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tch garment which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wherein the elongated body formed in the shape of a band extends from above to below the front portion in the fro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lower thigh.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the lower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formed obliquely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side body part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said rear part downward from the rear part part corresponding to the back side of the lower thigh part.

착용자의 하퇴부가, 긴체력이 강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에 의해 끼워지기 때문에, 하퇴부의 전후에 있는 근육을 균형있게 서포트할 수 있고, 다리부의 내선·외선운동 및 내전·외전운동이 하기 쉬워진다.Since the wearer's lower leg is fitted by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lower leg back body body part where the strong body strength is strong, the muscles in front and back of the lower leg part can be supported in a balanced manner. It becomes easy to do it.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하퇴부 전측 긴체부 및 하퇴부 후측 긴체부는,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하퇴부 전측 긴체부 및 하퇴부 후측 긴체부는,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이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가, 하퇴부의 내측과 하퇴부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하퇴부 내측과 하퇴부 외측의 양쪽에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 긴체부끼리에 텐션이 보다 가해지기 쉬워진다.The lower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in the crotch garment of this invention are each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up-down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In addition, in the crotch | garment of this invention,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lower leg back body part may b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up-down direction from either of a front side or a rear side, and in this case, a lower leg front si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tinuous in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a lower thigh, and the outer side of a lower thigh part,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continue in both a lower thigh part inside and a lower thigh part outer side. As a result, tension is more easily applied to the respective body parts.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는, 긴체부의 일부가, 무릎의 내측과 무릎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무릎의 내측과 무릎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긴체부의 일부에 의해 서포트되기 때문에, 무릎의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다리부의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안정된다. 그 때문에, 무릎관절의 굴곡·신장운동이 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무릎의 상측, 무릎의 하측, 무릎의 내측, 무릎의 외측이 나타내는 범위는 무릎관절 내에 있어서의 위치, 또는 슬개골의 외주로부터 수㎝이내의 위치를 말하고, 긴체부에 의해 직접 무릎관절을 안정시키는 정도로 가까운 위치를 말한다(이하, 같음). 따라서 긴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이 위치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면 좋다.In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of the trunk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the knee and the outside of the knee. In this case, since at least one of the inner side of the knee and the outer side of the knee is supported by a part of the trunk portion,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nee is suppressed and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leg is stabilized. Therefore,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 of the knee joint becomes easy. Here, the range indicated by the upper side of the knee, the lower side of the knee, the inner side of the knee, and the outside of the knee refers to a position within the knee joint or a position within several centimeter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tella, and stabilizes the knee joint directly by the body part. Refers to a location as close as possible (hereafter, equal to). Therefor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at least one part of a trunk body in contact with this position.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긴체부는, 무릎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 및 무릎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무릎의 하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서 형성되는 무릎 아래 긴체부를 더 가지고, 무릎 아래 긴체부의 윗변 가장자리는, 하퇴부의 하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착용자의 무릎의 내측, 외측 및 하측이 긴체력이 강한 무릎 아래 긴체부에 의해 확실히 서포트되기 때문에 무릎을 안정시킬 수 있고, 무릎의 쓸데없는 움직임이 억제된다. 또한, 무릎 위 또는 무릎 아래에 긴체부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무릎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The trunk portion in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 knee lower portion formed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knee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knee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knee. The upper edge of the lower body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which is recess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wer thigh. In this way, since the inner, outer and lower sides of the wearer's knee are reliably supported by the lower body portion under the strong knee, the knee can be stabilized and unnecessary movement of the knee is suppressed. In additio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knee can be secured by not contacting the body portion above or below the knee.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긴체부는, 무릎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 및 무릎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무릎의 상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서 형성되는 무릎 위 긴체부를 더 가지고, 무릎 아래 긴체부의 아랫변 가장자리는 대퇴부의 상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무릎의 안정성이 향상된다.The crotch portion in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 knee-shaped overbody portion formed ove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knee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knee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knee, The lower edge of the lower body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high. This improves knee stability.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긴체부는, 허리부의 좌우양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허리부 긴체부와, 복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부 긴체부를 더 구비하고, 복부 긴체부는 좌우에 있는 허리부 긴체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허리부의 좌우양측부에 접촉하는 허리부 긴체부를 신체중심방향으로 당길 수 있고, 고관절 및 골반을 안정시킬 수 있다.The body portion of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ist body portion formed i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ist portion, and an abdominal body portion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bdomen. The body portion preferably connects the waist portion of the waist por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pull the waist portion of the wais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ist portion in the body center direction, and stabilize the hip joint and pelvis.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대퇴부 전측 긴체부는, 대퇴부의 내측 하방으로부터 대퇴부 앞면의 상방을 지나서 대전자에 걸쳐 형성됨과 아울러, 대퇴부의 상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만곡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대퇴 앞면의 근육수축을 서포트할 수 있다.In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thigh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igh portion to the thigh por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thigh portion to the thigh portion, and is curved and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high portion. . This can support muscle contraction of the front of the thigh.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 무릎 위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옷단부를 가지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의 하단과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옷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의 상방과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상방이 허리부의 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연결되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의 하방과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하방이 대퇴부의 내측의 하방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에는 서로 텐션이 가해지고, 대퇴부의 근육으로의 서포트 효과가 증가함과 아울러 고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다.In the crotch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garment end formed in a corresponding portion on the knee, and at least one of the lower end of the anterior femoral trunk and the lower end of the femoral posterior body is located at the garment end. The upper part of the anterior thigh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thigh part posterior part are connect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waist, and the lower part of the anterior thigh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posterior thigh part correspond to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thigh. It is preferable to connect in. In this way, tension is applied to the anterior femoral trunk and the posterior thigh, and the support effect to the muscles of the thigh can be increased, and the hip joint can be supported.

도 1은, 인체하지부를 전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근육 및 골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uscles and the skeleton of the lower extremity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도 2는, 인체하지부를 후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근육 및 골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uscles and the skeleton when the human lower body is seen from the rear side.

도 3은,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3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도 4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4 is a view of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도 5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5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도 6은,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6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seen from the back side.

도 7은,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of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도 8은,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8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seen from the front.

도 9a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9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도 9b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9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side.

도 10a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10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seen from the front.

도 10b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10B is a view of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side.

도 11a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11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도 11b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11B is a view of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side.

도 12a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12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seen from the front.

도 12b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12B is a view of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side.

도 13은,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from the front.

도 14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14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seen from the front.

도 15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seen from the front.

도 16은,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16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도 17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a knee from the front.

도 17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It is the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the knee from the back.

도 18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a knee from the front.

도 18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18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knee length viewed from the back.

도 19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a knee from the front.

도 19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19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knee length viewed from the back.

도 20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It is the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a knee from the front.

도 20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It is the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the knee from the back.

도 21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a knee from the front.

도 21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a knee from the back.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ele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우선, 실시형태의 설명에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할 때에 사용하는 근육이나 골격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인체하지부를 전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근육 및 골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인체하지부를 후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근육 및 골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부 전측에는 장내전근(102), 치골근(103) 및 봉공근(104)이 배치되고, 하퇴부의 전측에는 장비골근(108), 전경골근(109), 장지신근(110), 비복근(111) 및 가자미근(11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부의 후측에는, 대내전근(101), 반건양근(105), 대퇴이두근(106) 및 반막양근(107)이 배치되고, 하퇴부의 후측에는, 비복근(111) 및 가자미근(11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대전자(113)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이들은 대표적인 근육이나 골격을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근육이나 골격을,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First,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arrangement of muscles and skeletons used when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diagram showing muscles and a skeleton when the human lower body is seen from the front side,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muscles and a skeleton when the human lower body is seen from the rear side. As shown in FIG. 1, the intestinal anterior muscle 102, the pubic muscle 103, and the baric muscle 104 are disposed in the anterior femoral region, and the anterior bone of the instrument 108, the anterior bone muscle 109, and the extensor extensor 110. , Gastrocnemius muscle 111 and soleus muscle 112 are dispos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anterior mass muscle 101, the semi-tenso muscle 105, the biceps muscle 106, and the semi-half muscle 107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thigh, and the gastrocnemius muscle 111 and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The soleus 112 is arranged. 1 and 2, the great electron 113 is shown. In addition, these are typical muscles and skeletons, and the muscles and skeletons suppor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포츠용 스패츠(스포츠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스포츠용 스패츠(1)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스포츠용 스패츠(1)의 배면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sports spats (clothes with sports crotch)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3 is a front view of the sports spats 1, and FIG. 4 is a rear view of the sports spats 1.

도시와 같이, 스포츠용 스패츠(1)는, 허리부로부터 하퇴부까지를 피복하는 스패츠이고, 띠형상으로 형성된 긴체부(2)를 가진다. 이 스포츠용 스패츠(1)의 본체 및 긴체부(2)는,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파워네트, 사틴네트, 트리코네트, 투 웨이 트리코트 또는 투 웨이 랏셀이 있다. 본체 및 긴체부(2)에 있어서의 소재에 대해서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를 들면, 본체 천에는 투 웨이 트리코트(56dtex의 폴리에스테르사 혼 율 82%, 55dtex의 폴리우레탄사 혼율 18%)를 사용하고, 긴체부에는 파워네트 (55dtex의 나이론사 혼율 82%, 310dtex의 폴리우레탄사 혼율 18%)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긴체부(2)는, 스포츠용 스패츠(1)의 본체부분과 마찬가지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구성되지만, 생지(生地)의 긴체력은 긴체부(2)의 쪽이 강하다는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또한, 본체 천 소재는 2방향으로 신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ports spat 1 is a spat covering the waist to the lower thigh and has a body portion 2 formed in a band shape. The main body and the trunk | drum 2 of this sports spat 1 are comprised by the material which has elasticity. Examples of the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clude power nets, satin nets, tricot nets, two-way tricots or two-way lacssels. For example, a two-way tricoat (82% polyester yarn blending rate of 56 dtex and 18% polyurethane yarn mixing rate of 55 dtex) is applied to the main fabric. ) And a power net (82% nylon yarn kneading rate of 55 dtex and 18% polyurethane yarn mixing rate of 310 dtex) is used for the body portion. Thus, although the trunk | drum 2 is comprised by the material which has elasticity similarly to the main-body part of the sports spats 1, the trunk | drum of the dough is seen that the trunk | drum 2 is strong. There are feature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cloth material has elongation in two directions.

긴체부의 폭은, 형성되는 부위나 의류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통틀어서 수치로 규정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평균하여 2㎝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하여 3㎝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중점적으로 서포트할 부위에 대응하는 긴체부의 폭은 5㎝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예를 들면, 종아리에 접촉하는 긴체부의 폭은 2∼6㎝정도로 하고, 내슬이나 외슬에 접촉하는 긴체부의 폭은 3㎝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5∼10㎝정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퇴에 접촉하는 긴체부의 폭은 3∼8㎝정도로 하고, 대전자 및 허리부에 접촉하는 긴체부의 폭은 4㎝ 이상(경우에 따라 8∼15㎝정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분적으로 20㎝정도의 광폭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들 수치는 일본인 남성의 M사이즈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의 일례이다(이하, 같음). 또한, 상술한 긴체부의 폭에 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다.Since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ortion to be formed and the size of the garment,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numerical value as a whole, but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form at least 2 cm on average, more preferably 3 cm or more It is preferable to form.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width | variety of the trunk | drum corresponding to the site | part to support especially importantly at 5 cm or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lf is about 2 to 6 cm, and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or outer chain is 3 cm or more (more preferably, about 5 to 10 cm).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 variety of the trunk | drum which contacts a thigh should be about 3-8 cm, and the width | variety of the trunk | drum which contacts a great trochanter and a waist part should be 4 cm or more (about 8-15 cm in some cases). In addition, it is good also as forming partially the wide part about 20 cm. In addition, these figures are an example when it is based on the medium size of Japanese male (it is the same below). In addition, about the width | variety of the above-mentioned body part, it is the same also in the other Example demonstrated below.

또한, 긴체부(2)는 연속한 천으로 형성해도 되지만, 복수의 천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긴체부(2)의 형성방법으로서는 2방향으로의 신장을 가지는 본체 천의 외측에 긴체력이 강한 천을 겹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체 천의 내측에 포개도 된다. 또한, 이들 긴체부(2)의 형성방법에 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다.In addition, although the trunk | drum 2 may be formed with a continuous cloth, you may form with several cloth. Moreover, as a formation method of the trunk | drum 2,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superimpose the cloth with strong body force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cloth which has elongation in two directions, you may overlap inside the main body cloth. In addition, the formation method of these body parts 2 is the same also in the other Example demonstrated below.

이와 같은 긴체부(2)는, 예를 들면, 대전자와 무릎의 내측 측면 사이, 대퇴내측 상방과 무릎의 외측 측면 사이, 또는 무릎의 측면과 그 반대측의 발목 측면 사이를 보다 짧은 거리로 연결하도록 형성하면, 이 긴체부(2)에 접촉하는 근육에 대하여 보다 텐션이 가해지기 쉬워진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긴체부는 직선 또는 직선에 가까운 형상이면 보다 짧은 거리로 연결할 수 있지만, 반드시 직선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양쪽 점을 지점으로 해서 그 최단 라인인 직선을 상측으로 부풀게 한 곡선으로 형성해도 되며, 하측으로 부풀게 한 곡선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긴체부(2)를 보다 짧은 거리로 연결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다.Such a body portion 2 may, for example, connect a shorter distanc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medial side of the knee, between the medial upper side and the lateral side of the knee, or between the side of the knee and the ankle side on the opposite side. When formed, the tension is more likely to be applied to the muscles in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2. Further,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rigid body portion can be connected at a shorter distance as long as it is a straight line or a shape close to a straight line, but it is not necessarily formed as a straight line, for example, a straight line that is the shortest line with both points as a point. May be formed in a curve inflated upward, or may be formed in a curve inflated downward. In addition, it is the same in other Example demonstrated below about 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body part 2 in a shorter distance.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체부(2)는,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1a)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가지고,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1b)에 하퇴부 전측 긴체부(2e, 2f)를 가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체부(2)는,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c)에 대퇴부 후측 긴체부(2c,2d)를 가진다. 이하, 각 긴체부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3, the trunk | drum 2 has a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in the part 1a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a thigh part, and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e, in the part 1b corresponding to a lower part front side, 2f). Moreover, as shown in FIG. 4, the trunk | drum 2 has thigh part rear trunk | drum 2c, 2d in the part 1c corresponding to the back side of a thigh.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ody portion will be described.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는,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1a)에 있어서 상기 부분(1a)의 외측의 상방으로부터 내측의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상부는 스 패츠(1)의 대전자(113)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하부는 무릎관절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는, 상부의 대전자(113)에 대응하는 부분과, 하부의 무릎관절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서, 거의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대퇴 앞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촉함으로써 그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대퇴부의 앞면의 근육이 묶여진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는, 대퇴부 앞면에 있어서 대퇴부의 내측 하방으로부터 외측 상방, 바람직하게는 내슬로부터 대전자에 이르는 부분에 접촉되어 있으면, 직선형상이어도, 약간 상하로 만곡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대전자(113)로부터 위의 부분은 대전자(113)로부터 허리의 측부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In the part 1a corresponding to the thigh part front sid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shown in FIG. 3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said part 1a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anterior femoral proximal part 2b is locat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nter-electrode 113 of the spats 1, and the lower part of the anterior femoral proximal part 2b corresponds to the inside of the knee joint. Located in the part. The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 is formed almost linearly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thigh ove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trochanter 113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lower knee joint. The contact thus binds the muscles of the front of the thigh between its upper and lower parts. Moreover, if the thigh front side body part 2b is in contact with the part which extends from the insid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to the outer upper part, preferably the inner chain to the large electron in the front of the thigh part, even if it is linear or slightly curved up and down shape, do. In addition, a portion above the trochanter 113 of the thigh-side front body portion 2b extends upward along the side of the waist from the trochanter 113.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는, 하퇴부의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1b)에 있어서, 상기 부분(1b)의 내측의 상방으로부터 외측의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상부는, 무릎관절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하부는, 발목의 외측에 대응하는 옷단부분에 위치한다. 하퇴부 전측 긴체부(2e)는, 그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장비골근(108)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퇴부 전측 긴체부(2e)를 형성함으로써 장비골근(108)의 움직임이 서포트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상부는, 반드시 무릎관절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하퇴부의 전측 표면상에 있어서의 중심부근보다 내측( 가랑이측) 또한 상측에 달하여 있으면 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상부 와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띠형상 부분의 하부는, 반드시 하퇴부 전측에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긴체부의 대부분이 하퇴부 전측에 있으면,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d)에까지 그 일부가 연속해서 형성되어도 된다(도 4 참조).In the part 1b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lower thigh,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ortion 2e shown in FIG. 3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portion 1b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id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e is locat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knee join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e is located in the hem par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ankle. The lower thigh side trunk portion 2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instrument bone 108. By forming such a lower leg anterior side body portion 2e, the movement of the equipment bone 108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locat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knee joint, and at least the inner side (crotch side) also reaches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musc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leg. All you need is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strip | belt-shaped part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front side trunk part 2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only in the front part of the lower part, and if most of the trunk parts are in front of the lower part, it corresponds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part. A part may be formed continuously to the part 1d to be made (refer FIG. 4).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f)는,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1b)에 있어서, 상기 부분(1b)의 외측의 상방으로부터 내측의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의 상부는 무릎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의 하부는 발목의 내측에 대응하는 옷단부분에 위치한다. 하퇴부 전측 긴체부(2f)는 그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전경골근(109), 장모지신근(도시생략), 장지신근(110) 및 장비골근(108)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퇴부 전측 긴체부(2f)를 형성함으로써 전경골근(109), 장모지신근, 장지신근(110) 및 장비골근(108)의 움직임이 서포트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띠형상 부분의 하부는 반드시 하퇴부 전측에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d)에 그 일부가 형성되어도 된다(도 4 참조).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f shown in FIG. 3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said part 1b to the inner side downward in the part 1b corresponding to the lower thigh part front sid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eg front side trunk portion 2f is locat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knee join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eg front side trunk portion 2f is located at the he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ankle. The lower thigh front side body part 2f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orearm bone 109, the long hair extensor muscle (not shown), the long extensor muscle 110, and the equipment bone muscle 108. By forming such a lower leg anterior side body part 2f, the movement of the forearm muscle 109, the long hair extensor muscle, the long extensor muscle 110, and the equipment bone muscle 108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strip | belt-shaped part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front side trunk | drum 2f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only in the front part of the lower part, but a part is formed in the part 1d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part. (See FIG. 4).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와 하퇴부 전측 긴체부(2f)는, 무릎의 하측에서 교차하여 윗변 가장자리가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릎의 주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무릎의 내측부분에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 및 하퇴부 전측 긴체부(2e)가 형성되고, 무릎의 외측부분에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f)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도 4 참조)가 형성되지만, 무릎의 상방부분에는 긴체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무릎을 좌우양측면 및 하방의 3방향으로부터 서포트함으로써 무릎인대가 적확하게 서포트되고 무릎관절의 굴신·신장운동이 하기 쉬워진다. 또한, 무릎의 상방 부분에 긴체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무릎의 운동 추종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e and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f cross | intersect from the lower side of a knee, and the upper edge is formed in V shap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a knee, the inner part of a knee is provided with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2b and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and the outer part of a knee has a lower part front side long part. Although the body part 2f and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2d (refer FIG. 4) are formed, a body part is not formed in the upper part of a knee. In this way, by supporting the knee from three directions,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ower side, the knee ligaments are correctly supported and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knee joint is facilitated. In addition, by not forming a bod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kne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followability of the knee.

또한, 무릎의 주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각 긴체부의 폭은 3∼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폭이면, 일정한 폭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고, 다른 폭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른 폭에 의해 형성될 경우에는, 인대의 약한 내슬에 접촉하는 부분의 폭을 다른 부분의 폭보다, 특히 외슬이나 무릎 아래의 폭보다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릎의 주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각 긴체부의 폭에 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 variety of each trunk | drum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a knee is 3-10 cm. If it is the width of this range, it may be formed by the constant width and may be formed by the other width. In addition, when formed by other widths,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width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eak inner shoulder of the ligamen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portion, especially the width under the outer shoulder or the knee. The width of each body portion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knee is also the same in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또한, 상술한 도 3에 나타내는 긴체부 외에, 다음에 기재되는 2개의 긴체부를 더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첫번째 긴체부는, 도 3에 나타내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내슬부분으로부터 종아리의 내측면을 지나,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의 종아리 내측면 접촉 개소의 상부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다. 두번째 긴체부는, 도 3에 나타내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의 외슬부분으로부터 종아리의 외측면을 지나,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종아리 외측면 접촉 개소의 상부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들 2개 긴체부는, 양쪽 모두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어느 한쪽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긴체부를 형성함으로써 무릎의 내측, 외측 및 하측에 접촉하고 있는 긴체부에 텐션이 가해지기 쉬워져, 무릎을 서포트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들 긴체부가 종아리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종아리를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이들 2개 긴체부는, 직선으로 형성될 경우가 가장 텐션이 가해지기 쉬워져 바람직하지만, 다소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2개 긴체부는, 상기 각 긴체부에 연결된 다른 긴체부와의 사이에 텐션이 가해지면 좋기 때문에 다른 긴체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도 좋다.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body portion shown in FIG. 3 described above, two body portions described below may be further formed. The first trunk portion is formed from the inner shoulder portion of the lower thigh side trunk portion 2e shown in FIG. 3 to pass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calf and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alf inner surface contact point of the lower thigh side trunk portion 2f. The second trunk portion is formed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alf outer surface contact point of the lower thigh side trunk portion 2e from the outer shoulder portion of the lower thigh side trunk portion 2f shown in FIG. 3. These two body parts may be formed both, and may form only one. By forming such a body part, tension is easy to be applied to the body part which contacts the inner side, the out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a knee, and the effect of supporting a knee can be improved. Moreover, these body parts can support a calf by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a calf. Moreover, when these two elongate parts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tension tends to be most easily applied, but it may be somewhat curved. In addition, since these two body parts need to be tensioned with other body parts connected to each said body part, they may be formed in narrower width | variety than other body parts.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는,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c)에 있어서 상기 부분(1c)의 외측의 상방으로부터 내측의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상부는 대전자(113)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부는 무릎관절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는, 그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반건양근(105)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를 형성함으로써 반건양근(105)의 움직임이 서포트된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상부는 반드시 대전자(113)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대퇴부 상부의 후측 표면상에 있어서의 중심부근을 초과하여 있으면 된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대전자(113)로부터 위의 부분은, 대전자(113)로부터 허리부의 측부에 접촉하고, 뒷중심의 상부를 향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힙의 불룩한 상부(허리부 상부)에 접촉하며, 좌우에 있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끝부가 웨스트 라인(허리부 상부)의 뒷중심부근에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는, 허리부의 측부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연결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가 허리부의 측부에서 연결됨으로써 서로 텐션이 가해지고, 대퇴부의 근육으로의 서포트 효과가 증가함과 아울러 고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 또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가, 대전자(113)를 포함한 허리부의 측부에 접촉함으로써 고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대퇴부 후측 긴체부(2c)가 허리부의 뒷중심에서 연결되거나, 좌우의 대퇴부 전측 긴체부(2b)가 복부 앞중심에서 연결됨으로써 고관절으로의 서포트 효과가 더욱 증가한다. 좌우의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를 허리부의 뒷중심에서 연결할 경우에는, 연결개소를 허리부 상방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said part 1c to the inner side in the part 1c corresponding to the back side of the thigh part.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posterior thigh portion 2c of the thigh is locat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reat trochanter 11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high side thigh portion 2c is locat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knee joint.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is formed so as to support the semi-dry muscles 105 between its upper and lower portions. By forming such a femoral posterior body part 2c, the movement of the semi-dry muscles 105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thigh rear body part 2c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locat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ounter-electrode 113, and should just exceed the center root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thigh. In addition, a portion above the trochanter 113 of the posterior thigh body part 2c contacts the side of the waist from the trochanter 113, is form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center, and the bulging upper part of the hip (waist) The tip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s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rear center of the waist line (upper waist). In addition,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2c may be connected to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2b shown in FIG. 3 in the side part of a waist part. In this way,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and the thigh front side body portion 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side of the lower back, whereby tension is applied to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support effect to the muscles of the thigh and supporting the hip joint. In addition, the hip joint can be supported by the thigh rear body part 2c or the thigh front side body part 2b being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waist including the great trochanter 113. In addition, the support effect to the hip joint is further increased by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emoral posterior body part 2c at the back center of the waist, or the left and right femoral posterior body part 2b being connected at the front abdomen center. In the case where the left and right thigh portion rear body portions 2c are connected at the rear center of the wais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onnecting portion above the waist portion.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는,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c)에 있어서 상기 부분(1c)의 내측의 상방으로부터 외측의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상부는 좌골결합점부근(둔열하방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하부는 무릎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는, 그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대퇴이두근(106), 반막양근(107) 및 반건양근(105)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를 형성함으로써 대퇴이두근(106), 반막양근(107) 및 반건양근(105)의 움직임이 서포트된다. 또한, 좌우의 대퇴부에 있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상단은, 좌골결합점부근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에 있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에는 서로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상부는, 대퇴부 후측의 내측상부(가랑이 아래)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상부는, 둔열에 접촉해서 웨스트 라인에 이르는 것으로 해도 되고, 둔열에 접촉해서 허리부 상방의 뒷중심에서 다른 긴체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에는, 보다 텐션이 가해지게 되고 근육으로의 서포트 효과가 향상된다.In the part 1c corresponding to the back side of the thigh part,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2d shown in FIG. 4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said part 1c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id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posterior thigh body part 2d is located a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ciatic joint point (low dull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posterior thigh part 2d is located a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knee joint. Located. The posterior thigh body portion 2d is formed so as to support the femoral biceps 106, the semi-half muscle 107, and the semi-dry muscle 105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By forming such a femoral posterior body part 2d, the movement of the biceps femur 106, the semi-half muscle 107, and the semi-dry muscle 105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thigh rear body part 2d in the left and right thighs is connected near the sciatic joint point. As a result, tension is applied to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on either side. The upper part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may be located on the inner upper part (under the crotch) behind the thigh.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back thigh body part 2d of the thigh may be in contact with the gluteal cleft, and may reach the waist line, or may be connected to another cuff in the back center above the waist in contact with the gluteal cleft. As a result, tension is applied to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more and the support effect to the muscle is improved.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부 후측 긴체부(2c)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는, 둔열상방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허리부의 신장이 확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착용자가 전굴(前屈)동작을 행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의류가 그 동작에 용이하게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since the thigh rear body part 2c and the thigh rear body part 2d are not formed above the gluteal sulcus, elongation of the waist is ensured. Thus, for example, even when the wearer performs a front-end operation, the clothing can easily follow the operation.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는, 각각의 상부에 있어서는 대퇴외측 상방으로부터 대전자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연결되고, 각각의 하부에 있어서는 대퇴내측 하방으로부터 무릎의 내측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는, 대퇴외측 상방인 고관절측부, 및 대퇴내측 하방인 내슬의 각각에 있어서 대퇴부의 전후에 접촉하는 긴체부가 연결되어 있다. 즉, 대퇴부의 내측과 외측의 양쪽에 있어서 대퇴부의 전후에 접촉하는 긴체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무릎관절과 고관절 쌍방에 긴체력을 가할 수 있고, 무릎관절과 고관절 쌍방을 안정시켜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이 무릎의 내측에 있어서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상부가 상술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하부와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상부는 무릎의 외측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는, 반드시 양쪽 형성될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의 긴체부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 중 어느 한쪽의 긴체부에 대해서는, 양쪽 긴체부의 교차부분으로부터 하측의 부분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를 내슬과 대전자에서 연결시킴으로써 내슬과 허리측부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후술하는 무릎 아래 긴체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무릎 아래 긴체부 및 외슬·내슬에 접촉하는 부분을 대퇴의 전후에서 역방향으로 당길 수 있고, 무릎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무릎의 바로 위의 부분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무릎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2b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body part 2c are connected in the part containing a charg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gh in each upper part, and the thigh in each lower part. It is connected inward of the knee from the medial downward. In this case, in each of the hip joint side part which is outward of the thigh and the inner shoulder which is lower in the thigh, the body part which contacts before and behind the thigh part is connected. That is, the body part which contacts the back and front of the thigh part in both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thigh part is connected. As a result, a long physical force can be applied to both the knee joint and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and the hip joint can be stabilized and supported. Moreover, in the inner side of this knee,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high front side body part 2e is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thigh front side body part 2b and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2c.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thigh rear body part 2d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are connected from the outer side of a knee. In addition, both the thigh rear body part 2d and the thigh rear body part 2c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on both sides, and may form only one of the long body parts. In addition, you may form only the lower part from the intersection part of both body parts about the one body part of 2 t of thigh part rear body parts, and 2 t of femoral back body parts. In addition, you may form only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In this case, the inner thigh and the lower back side can be stabilized by connecting the thigh front thigh portion 2b and the thigh rear thigh portion 2c with the inner thigh and the great trochanter. In addition, you may form only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d. In this case, by forming the below-knee body portion further, the below-knee body portion and the part contacting the outer and inner shoulders can be pu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e thigh and the knee can be stabilized. In additio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knee can be secured by forming the thigh front side body portion 2b so as not to contact the portion just above the knee.

이와 같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에서 대퇴부를 전후로부터 서포트함으로써 고관절이나 무릎관절에 있어서의 내선·외선운동 또는 내전·외전운동이 하기 쉬워진다. 또한, 긴체부의 일부에서 무릎을 좌우 및 하방으로부터 서포트함으로써 무릎이 안정되고, 무릎관절에 있어서의 굴곡·신장운동이 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다리부를 사용하는 운동시의 근육의 활동을 서포트하는 것에 바람직한 스포츠용 스패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by supporting the thigh from the front and rear in the anterior femoral trunk and the posterior thigh, the internal and external movements or the adduction and abduction movements in the hip and knee joints are facilitated. 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knee from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lower part in a part of the trunk portion, the knee is stabilized, and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 in the knee joint is facilitat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the sports spats suitable for supporting the activity of the muscle at the time of exercise using a leg part.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 대퇴부 후측 긴체부 및 하퇴부 전측 긴체부는, 허리, 대퇴, 무릎 및 하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서로 연결(연속)되고, 허리부의 뒷중심의 상방과 하방에 있어서 좌우의 대퇴부 후측 긴체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긴체부가 허리부의 뒷중심(등뼈와 골반이 접촉하는 개소)을 지점으로 해서 텐션을 가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신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해서 하반신에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허리, 대퇴, 무릎 및 하퇴의 근육과 관절을 균형있게 서포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tinuously) in any one of the waist, thigh, knee, and lower thigh, and the left and right thigh parts ar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rear center of the waist part. The rear body part is connected. As a result,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centering on the center of the body, because each of the body parts has a structur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back center of the waist (a point where the spine and pelvis conta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alance the muscles and joints of the lower back, thigh, knee and lower leg.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스포츠용 스패츠(1)에 있어서는 대퇴부 전측에 1개의 긴체부(2b)를 형성하고, 대퇴부의 후측에 2개의 긴체부(2c,2d)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퇴부의 후측의 긴체부를 대퇴부 전측의 긴체부보다 많이 형성함으로써 대퇴부를 전후로 동작시킬 때의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얻어진다.In the sports spats 1 shown in Figs. 3 and 4, one body portion 2b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thigh and two body portions 2c and 2d are formed on the back of the thigh. Thus, the support effect at the time of operating the thigh back and forth can be improved by forming more the thigh portion at the rear side of the thigh than the thigh portion at the front of the thigh. Such an effect is similarly obtained also in the other Examples described below.

다음에 도 5∼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포츠용 스패츠의 긴체부(2)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modification of the trunk | drum 2 of the sports spats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5는, 스포츠용 스패츠(1)의 정면도이고,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1a)에 형성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a)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a)는,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1a)에 있어서 상기 부분(1a)의 내측의 상방으로부터 외측의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상부는 가랑이 아래 대퇴내측(대퇴내측 상방)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하부는 무릎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여기서 대퇴부의 근육을 그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비스듬히 묶음으로써, 그 사이에 있는 근육에 있어서의 수축 운동이 서포트된다. 따라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를, 대퇴부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하고, 치골근(103), 단내전근(도시생략), 장내전근(102) 및 대내전근(101)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치골근(103), 단내전근, 장내전근 (102) 및 대내전근(101)의 움직임이 서포트되는 것이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하부는 반드시 무릎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대퇴부 전측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중심 라인보다 외측(옆측), 즉, 대퇴외측하부에 도달되어 있으면 된다.FIG. 5: is a front view of the sports spat 1, and shows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2a formed in the part 1a corresponding to the thigh part front side. In the part 1a corresponding to the thigh part front sid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shown in FIG. 5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said part 1a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id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anterior thigh body part 2a is locat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thigh (upper thigh), and the lower part of the anterior thigh part 2a is locat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knee joint. Located. By tightening the thigh muscles oblique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here, contractional movement in the muscles therebetween is supported. Therefore, the femoral anterior side body part 2a can be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thigh, and can support the pubic muscle 103, the unilateral anterior muscle (not shown), the intestinal anterior muscle 102, and the anterior large muscle 101. By forming so as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pubic muscle 103, unilateral anterior muscle, intestinal anterior muscle 102 and the internal anterior muscle 101.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anterior thigh body part 2a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locat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a knee joint, and it is at least outer side (lateral side), ie, the femoral lateral lower part than the center line of the up-down direction in the anterior side of the thigh. You just need to reach.

도 6은, 스포츠용 스패츠(1)의 배면도이고,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d)에 형성되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2g)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2g)는,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d)에 있어서 상기 부분(1d)의 외측의 상방으로부터 내측의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퇴부 후측 긴체부(2g)의 상부는 무릎관절의 외측 혹은 무릎관절외측보다 하방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하퇴부 후측 긴체부(2g)의 하부는 발목의 내측에 대응하는 옷단부분에 위치한다. 하퇴부 후측 긴체부(2g)는, 그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비복근(111), 후경골근(도시생략) 및 가자미근(112)를 서포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퇴부 후측 긴체부(2g)를 형성함으로써 비복근(111), 후경골근 및 가자미근(112)의 움직임이 서포트된다. 또한, 하퇴부 후측 긴체부(2g)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띠형상 부분은 반드시 하퇴부의 후측에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그 일부가 형성되어도 된다.FIG. 6 is a rear view of the sports spats 1 and shows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g formed in the portion 1d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g shown in FIG. 6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portion 1d in the portion 1d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eg rear body portion 2g is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than the outer side of the knee joint or the knee joint outer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eg rear body portion 2g corresponds to the inner side of the ankle. Located in The lower thigh portion 2g is formed so as to support the gastrocnemius muscle 111, the posterior tibial muscle (not shown), and the soleus muscle 112 between its upper and lower portions. By forming such a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g, the movement of the gastrocnemius muscle 111, the posterior tibial muscle and the soleus muscle 112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strip | belt-shaped part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eg part rear body part 2g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only in the rear part of a lower leg part, The part may be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leg part front side.

도 7은, 스포츠용 스패츠(1)의 배면도이고,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d)에 형성되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내어지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는,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1d)에 있어서 상기 부분(1d)의 내측의 상방으로부터 외측의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퇴부 후측 긴체부(2h)의 상부는 무릎관절의 내측 혹은 무릎관절 내측보다 하방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하퇴부 후측 긴체부(2h)의 하부는 발목의 외측에 대응하는 옷단부분에 위치한다.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는, 그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비복근(111) 및 가자미근(112)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를 형성함으로써, 비복근(111) 및 가자미근(112)의 움직임이 서포트된다. 또한, 하퇴부 후측 긴체부(2h)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띠형상 부분은, 반드시 하퇴부의 후측에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그 일부가 형성되어도 된다.FIG. 7 is a rear view of the sports spats 1 and shows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h formed in the portion 1d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h shown in FIG. 7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portion 1d to the lower side in the portion 1d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eg posterior body portion 2h is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than the inside of the knee joint or the inside of the knee join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eg posterior body portion 2h corresponds to the outer side of the ankle. Located in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h is formed so as to support the gastrocnemius muscle 111 and the soleus muscle 112 between its upper and lower portions. By forming such a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h, the movement of the gastrocnemius 111 and the soleus muscle 112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strip | belt-shaped part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eg part rear body part 2h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only in the rear part of a lower leg part, The part may be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part front side.

도 8은, 스포츠용 스패츠의 전면도이고,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1b)에 형성되는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무릎 아래 긴체부(2v)(실선부분)는, 무릎관절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 및 무릎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무릎관절의 하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서 형성되고,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윗변 가장자리는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무릎이 무릎의 내측, 외측 및 하측으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기 때문에 무릎의 쓸데없는 움직임이 억제되어, 무릎의 신장운동이 하기 쉬워진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형성함으로써 무릎의 굴곡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무릎 아래에 있는 슬개인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윗변 가장자리의 형상은, 반드시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U자형상이나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윗변 가장자리의 형상은, 하퇴부의 하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는, 2개의 긴체부를 무릎 아래에서 교차시킴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릎의 상측에 대응하는 부분은, 긴체부(2)보다 긴체력이 약한 약긴체부(H)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릎의 운동 추종성의 저하를 억지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용 스패츠의 본체부(긴체부(2)를 제외한다) 및 약긴체부(H)는 긴체부(2)보다 긴체력이 약한 생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본체부(긴체부(2)를 제외한다)와 약긴체부(H)는 완전히 같은 생지로 일체형성되어 있어도 좋다.Fig. 8 is a front view of the sports spats and shows the lower knee portion 2v formed in the portion 1b corresponding to the lower leg front side. The lower knee part 2v (solid line part) shown in FIG. 8 is formed from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a knee joint,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a knee joint from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a knee joint, The upper edge of the lower body portion 2v is formed in a V shape. As a result, since the wearer's knee is reliably supported from the inside, the outside, and the bottom of the knee, unnecessary movement of the knee is suppressed, and the knee extension movement is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the bending motion of the knee is suppressed by forming the body portion 2v under the knee, the knee pads under the knee can be protecte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upper side edge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a kne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in V shap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U shape or a crescent shape. That is, the shape of the upper side edge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a knee should just be formed in the shape which du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wer thigh part. In addition,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may be formed by crossing two body parts under the kne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sinc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a knee is formed by the weak-tight body part H whose weaker physical force is weaker than the trunk | drum 2, the fall of the movement followability of a knee can be suppressed. . In addition, the main body part (except the body part 2) and the weak body part H of sports spats should just be formed by the dough which is weaker than the body part 2, and the body part (body part 2) ) And the weak-tight portion (H) may be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dough.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긴체부(2)는, 상술한 각 부를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조합시켜도,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시킨 긴체부(2)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Here, even if the above-mentioned body parts 2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mbined as described below,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body parts 2 combined as shown in Figs. 3 and 4 are obtained. .

우선, 대퇴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조합에 대해서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조합에 의해 무릎의 내전동작 및 외슬이 서포트된다. 특히, 착지했을 때에 무릎이 외측으로 가지 않도록 서포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조합에 의해 대전자 및 내슬이 서포트된다. 대전자를 서포트함으로써 고관절이 서포트되어, 고관절의 굴곡·신장 동작이 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조합시켜진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스패츠(1)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긴체부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가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조합된 긴체부의 대퇴외측, 대퇴내측에 있어서의 연결부분의 상하 폭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퇴외측에 있어서의 연결부분의 상하 폭을 5∼15㎝정도로 하고, 대퇴내측에 있어서의 연결부분의 상하 폭을 5∼10㎝정도로 하면 좋다. 이들 폭에 관한 기재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게 한다. 또한, 이 긴체부의 조합에 중둔근(둔부상부의 근육)을 서포트하는 긴체부를 더하면, 고관절의 외선동작을 서포트할 수 있다.First, about the combination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a thigh part, you may combin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d. This combination supports the adduction motion of the knee and the outer chain. In particular, there is an effect of supporting the knee so as not to go outward when landing. In addition, you may combin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This combination supports large electrons and inner chains. By supporting the electrifier, the hip joint is supported, and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hip joint is facilitated. When the femoral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combined in this way are seen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spats 1, each body part becomes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up-down direction.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connection part in the thigh outer side and the thigh inner side which were combined in this way are 5 cm or more. More 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connecting portions on the outer side of the thigh may be about 5 to 15 cm, and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connecting portions on the inner side of the thigh may be about 5 to 10 cm. The description regarding these width | varieties is the same also in another Example. In addition, by adding the body part supporting the gluteus maximus (muscle in the upper part of the hip) to the combination of the body part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external motion of the hip joint.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조합에 의해 무릎의 내전동작 및 고관절의 내전동작이 서포트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조합에 의해 무릎의 외전·외선동작이 서포트된다. 이와 같이 조합시켜진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스패츠(1)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하방향에 대해서 각각의 긴체부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가 된다.Moreover, you may combin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This combination supports the knee adduction and hip joint pronation. Moreover, you may combin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d. This combination supports abduction and external movement of the knee. The combined thigh part front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are thu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spats 1.

이와 같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에서 대퇴부를 전후로부터 서포트함으로써 고관절이나 무릎관절에 있어서의 내선·외선운동 또는 내전·외전운동이 하기 쉬워진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의 일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일부에서 무릎을 좌우로부터 서포트함으로써 무릎관절에 있어서의 굴곡·신장운동이 하기 쉬워진다.In this way, by supporting the thigh from the front and rear in the anterior femoral trunk and the posterior thigh, the internal and external movements or the adduction and abduction movements in the hip and knee joints are facilitated. 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knee from the left and the right in part of the anterior femoral trunk and a part of the anterior femoral trunk,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 in the knee joint becomes easy.

다음에 하퇴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조합에 대해서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조합에 의해 무릎의 내전동작 및 내슬이 서포트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와 하퇴부 후측 긴 체부(2g)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조합에 의해 무릎의 외전동작 및 외슬이 서포트된다. 이와 같이 조합시켜진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는, 스패츠(1)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하방향에 대해서 각각의 긴체부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가 된다.Next, about the combination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a lower leg part, you may combine the lower leg part front body part 2e and the lower leg part back body part 2h. This combination supports the knee extension motion and the inner blade. In addition, you may combine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f and the lower leg back side body part 2g. This combination supports the abduction movement of the knee and the outer blade. When the lower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combined in this way are seen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spats 1, each body part becomes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up-down direction.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g)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조합에 의해 무릎의 외선동작 및 하퇴의 외선이 서포트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축구의 인사이드킥 동작 등이 서포트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조합에 의해 무릎의 외선동작이 서포트된다. 이와 같이 조합시켜진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는, 스패츠(1)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하방향에 대해 각각의 긴체부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가 된다.Moreover, you may combine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e and the lower leg back side body part 2g. By this combination, the outer line of the knee and the outer line of the lower leg are supported. As a result, for example, an inside kick operation of soccer is supported. Moreover, you may combine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f and the lower leg back side body part 2h. This combination supports external knee motion. The lower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combined in this way have a relationship in which each body part inclines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up-down direction when seen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spats 1.

이와 같이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로 하퇴부를 전후에서 서포트함으로써 무릎관절이나 발목에 있어서의 내선·외선운동 또는 내전·외전운동이 하기 쉬워진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의 일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의 일부로 무릎을 좌우로부터 서포트함으로써 무릎관절에 있어서의 굴곡·신장운동이 하기 쉬워진다.In this way, by supporting the lower thigh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thigh and the lower thigh, the extension and external movements or the adduction and abduction movements in the knee joint and ankle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knees from the left and the right with a part of the lower thigh portion and the lower thigh portion,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 in the knee joint is facilitated.

또한, 상술한 대퇴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각 조합과, 상술한 하퇴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각 조합을 각각 조합시켜도 된다. 이 경우의 구체예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a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다리부 전측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하퇴부 전측 긴체부 (2f)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b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다리부의 후측에 있어서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g)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a, b에 나타내어지는 스패츠는, 대퇴부에 있어서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로 형성되고, 하퇴부에 있어서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g)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긴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대퇴부 및 하퇴부가 전후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게 된다. 또한, 각 긴체부는, 무릎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무릎의 외측에 접촉하는 긴체부가 각 긴체부에 의해 4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무릎의 외측이 확실히 서포트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또 무릎의 내측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무릎의 내측에 접촉하는 다른 긴체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무릎이 내측과 외측으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게 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g)는, 하퇴내측 하방에서 쌍방의 긴체부를 연결시킴으로써 각 긴체부에 보다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f) 및 하퇴부 후측 긴체부(2g)의 하단은, 스패츠의 옷단에 이르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you may combine each combination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thigh part, and each combination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lower thigh part, respectively. A specific example in this c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9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and shows a state where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2a and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f are combined on the leg front side. FIG. 9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rear, and shows a state where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and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g are combined at the rear side of the leg portion. The spats shown in Figs. 9A and 9B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2a and the thigh back body part 2d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thigh, and the bottom thigh side body part 2f and the thigh part.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g is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incline in the same direction. By forming each of the body parts in this way, the thigh and lower thighs of the wearer can be reliably supported from front to back. In addition, each of the body parts is connec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knee. Therefore, since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knee is pulled in four directions by each body part, the outside of the wearer's knee is surely supported. In addition, in this case, you may provide another body part which contacts the inner side of a knee so that the inner side of a knee can be supported. As a result, the wearer's knee is surely supported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 addition,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f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2g can apply more tension to each body part by connecting both body parts from the lower lower inner sid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s of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f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2g reach the end of the spats.

도 10a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다리부 전측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하퇴부 전측 긴체부(2e)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b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다리부의 후측에 있어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h)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 는 것이다. 도 10a, b에 나타내어지는 스패츠는, 대퇴부에 있어서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로 형성되고, 하퇴부에 있어서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h)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상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상부는, 대전자에 접촉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긴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대퇴부 및 하퇴부가 전후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게 된다. 또한, 무릎의 내측에 접촉하는 긴체부가 각 긴체부에 의해 4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무릎의 내측이 확실히 서포트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더욱 무릎의 외측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다른 긴체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무릎이 내측과 외측으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게 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는, 하퇴외측 하방에서 쌍방의 긴체부를 연결시킴으로써 각 긴체부에 보다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e) 및 하퇴부 후측 긴체부(2h)의 하단은, 스패츠의 옷단에 이르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10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2b and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are combined on the leg front side. Fig. 10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and shows a state where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and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h are combined at the rear side of the leg portion. The spats shown in Figs. 10A and 10B are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thigh, and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and the bottom thigh part.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h is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incline in the same direction.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upper part of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2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a counter electron. By forming each of the body parts in this way, the thigh and lower thighs of the wearer can be reliably supported from front to back. In addition, since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knee is pulled in four directions by each body part, the inside of the wearer's knee is surely supported. In this case, another body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support the outside of the knee further. As a result, the wearer's knee is surely supported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 addition,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2h can apply more tension to each body part by connecting both body parts from the lower thigh side lower sid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s of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2h reach the end of the spats.

또한, 상술한 대퇴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각 조합과, 상술한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각각 조합시켜도 된다. 이 경우의 구체예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a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다리부 전측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무릎 아래 긴체부(2v)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b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다리부의 후측에 있어서 대퇴부 후측 긴체부(2d)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a, b에 나타내어지는 스패츠는, 대퇴부에 있어서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하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하부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외슬측 상부는, 외슬의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긴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대퇴부가 전후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게 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가 무릎의 내측, 외측 및 하측에 접촉하고, 또한 대퇴부의 전후에 형성되는 긴체부에 의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무릎이 3방향으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된다. 이와 같이 무릎 위에 긴체부가 접촉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무릎의 자유도가 확보되어 운동 추종성이 향상된다. 이것에 대하여 무릎 위에 긴체부가 접촉되어 있을 경우에는, 무릎의 안정성은 향상되지만, 운동 추종성이 뒤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1a, b에 나타내어지는 스패츠에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를 더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부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내슬측 상부는, 내슬의 부분에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내슬에 접촉하는 부분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2c)에 의해 대퇴부의 외측 상방을 향해서 당겨짐과 아울러,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외슬에 접촉하는 부분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2a)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에 의해 대퇴부의 내측 상방을 향해서 당겨진다. 즉,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내슬측 접촉부와 외슬측 접촉부가 대퇴부 전후에 있어서 각각 역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무릎의 서포트력이 보다 증대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내슬측 상부에 연결시켜서 긴체부를 더 형성하고, 이 긴체부의 상부를 대퇴부 전측 긴체부 (2a) 또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에 연결해도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 대퇴부 후측 긴체부(2c)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하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부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내슬측 상부는, 내슬의 부분에서 연결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하부와 스포츠용 스패츠의 옷단을 연결하는 긴체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무릎 아래 및 무릎의 내외에 있는 긴체부에는 보다 텐션이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서포트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하부와 스포츠용 스패츠의 옷단을 연결하는 긴체부는 1개라도 좋지만,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좌우 하방으로 당기도록 2개 형성됨으로써, 보다 텐션이 가해지기 쉬워진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형성하지 않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In addition, you may combine each combination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thigh part, and the above-mentioned knee body part 2v respectively. A specific example in this c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11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and shows a state where the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a and the knee bottom trunk portion 2v are combined at the front of the leg portion. FIG. 11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showing a state where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leg. In the thighs, the spats shown in Figs. 11A and 11B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ront thigh part 2a of the thigh and the rear thigh part 2d of the thigh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Moreover,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d, and the outer chain sid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are connected in the part of an outer chain. In this way, the thighs of the wearer are reliably supported from front to rear by forming the respective rigid portions. In addition, since the lower body portion 2v under the knee contacts the inner side, the out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knee, and is pulled obliquely upward by the trunk portion formed before and after the thigh, the wearer's knee is surely supported from three directions. . In this way, when the body is not in contact with the kne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knee is secured, and the motion followability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dy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knee, the stability of the knee is improved, but the followability of motion is inferior. In addition, you may further form the thigh back side trunk | drum 2c in the spats shown to FIG. 11A and b.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back thigh body part 2c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hain side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are connected in the part of the inner chain. As a result, the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2v below the knee is pulled toward the outer upper side of the thigh by the thigh side front portion 2c, and the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2v below the knee touches the outer chain. It is pulled toward the inner upper side of the thigh by the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a and the thigh rear side trunk portion 2d. That is, since the inner and outer side contact portions of the lower body portion 2v below the knee are pulled in opposite directions before and after the thigh portion, the support force of the knee is further increased. Further, the upper body portion may be further connected by connect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body portion 2v below the kne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er body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anterior thigh side body portion 2a or the rear thigh portion 2d portion. In addition, you may combin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and the lower knee part body part 2v.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2c,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hain side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are connected in the part of the inner shoulder. In addition, by forming a further body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2v below the knee and the hem of the sports spats,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lower body portion inside and outside the knee and the knee, thereby improving the support effect. . In addition, although one body part which connects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and the hem of the sports spat may be sufficient, it is formed in two so that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may be pull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ension is added more, It becomes easy to lo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2a and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2d without forming the knee body part 2v under the knee.

도 12a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다리부 전측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무릎 아래 긴체부(2v)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b는,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다리부의 후측에 있어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a, b에 나타내어지는 스패츠는, 대퇴부에 있어서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하부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외슬측 상부는, 외슬의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상부는 대전자에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긴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대퇴부가 전후로부터 확실히 서포트 되게 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가 무릎의 내측, 외측 및 하측에 접촉하고, 또한 대퇴부의 전후에 형성되는 긴체부에 의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무릎이 3방향으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된다. 이와 같이 무릎 위에 긴체부가 접촉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무릎의 자유도가 확보되어 운동 추종성이 향상된다. 이것에 대하여 무릎 위에 긴체부가 접촉되어 있을 경우에는, 무릎의 안정성은 향상되지만, 운동 추종성이 뒤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2a, b에 나타내어지는 스패츠에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를 더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부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내슬측 상부는 내슬의 부분으로 연결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내슬측 상부에 연결시켜서 긴체부를 더 형성하고, 이 긴체부의 상부를 대퇴부 전측 긴체부(2a) 또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에 연결해도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 대퇴부 전측 긴체부(2d)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하부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내슬측 상부는 내슬의 부분으로 연결되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d)의 하부 및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외슬측 상부는 외슬의 부분으로 연결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하부와 스포츠용 스패츠의 옷단을 연결하는 긴체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무릎 아래 및 무릎의 내외에 있는 긴체부에는, 보다 텐션이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서포트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의 하부와 스포츠용 스패츠의 옷단을 연결하는 긴체부는 1개여도 좋지만,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좌우하방으로 당기도록 2개 형성함으로써 보다 텐션이 가해지기 쉬워진다.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형성하지 않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 (2a)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FIG. 12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front, and shows a state where the thigh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a and the knee lower body portion 2v are combined on the front leg portion. FIG. 12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viewed from the back,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eg portion. The spats shown in Figs. 12A and 12B are formed in a relationship in whic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thigh.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and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hain side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are connected in the part of an outer chain.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thigh rear body part 2c is in contact with the counter electron. In this way, the thighs of the wearer are reliably supported from front to back by forming the respective rigid portions. In addition, the wearer's knee is reliably supported from three directions because the lower body portion 2v under the knee contacts the inner side, the out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knee, and is pulled obliquely upward by the body portion formed before and after the thigh. In this way, when the body is not in contact with the kne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knee is secured, and the motion followability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dy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knee, the stability of the knee is improved, but the followability of motion is inferior. In addition, you may further form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in the spats shown in Figs. 12A and 12B.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thigh rear body part 2c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hain side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are connected to the part of the inner shoulder. Moreover, you may connect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knee body 2v below a knee, and may further form a body part, and may connect the upper part of this body part to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or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2c. In addition, you may combin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d, and the lower knee part 2v.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anterior femoral side body part 2b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knee side of the lower body part 2v of the knee are connected to the part of the inner shoulder, and the lower part of the femoral anterior body part 2d and the lower body part 2v of the knee.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is connected to the part of the outer side. In addition, by forming a further body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2v below the knee and the hem of the sports spats,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lower body portion inside and outside the knee and the knee, so that the support effect is improved. do.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and the one body part connecting the hem of the sports spat may be one, but the tension is applied more by forming two so that the lower body part 2v below the knee can be pulled left and right. Easi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and the thigh back body part 2c without forming the knee part 2v under the knee.

다음에, 도 13∼도 16에 나타내는 스포츠용 스패츠의 정면도를 참조하여, 대퇴부 전측에 있어서의 긴체부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대퇴부 전측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au)(대퇴상부 긴체부)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퇴부 앞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au)는, 대퇴부의 내측의 상방으로부터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도중에 있는 양 긴체부(2b, 2au)의 연결부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au)를 형성함으로써, 대퇴부 전측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에 텐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에 의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u)의 폭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폭보다 좁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4㎝정도여도 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ront view of the sports spats shown in FIGS. 13-16, the modification of the trunk | drum in front of a thigh part is demonstrated. FIG. 13: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u (thigh part body part) were combined in the front of the thigh part. The thigh part front side trunk | drum 2b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gh part front surface downward as mentioned abov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u is form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gh 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to the connection part of both body parts 2b and 2au. By forming such a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au, sinc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thigh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 that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emoral anterior side downward, the support by the femoral anterior side body portion 2b is supported. The effect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width | variety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u can be mad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Specifically, about 2-4 cm may be sufficient.

도 14는, 대퇴부 전측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aw)(대퇴하부 긴체부)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aw)는, 대퇴부의 외측의 하방으로부터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도중에 있는 양 긴체부(2b, 2aw)의 연결부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w)의 하방부는, 무릎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의 상방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aw)를 형성함으로써, 대퇴부 전측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에 텐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에 의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릎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에도 텐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의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w)의 폭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 및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의 폭보다 좁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4㎝정도여도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가 대퇴 앞면에 있어서 대퇴부의 하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만곡하는 곡선형상이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aw)가 무릎관절의 바로 위의 개소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연결될 경우에는, 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aw)에 의해 무릎 위 긴체부가 형성된다. 즉, 무릎 위 긴체부는, 무릎관절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 및 무릎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상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서 형성된다. 무릎 위 긴체부 아랫변 가장자리는 역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무릎 위 긴체부 아랫변 가장자리의 형상은, 반드시 역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역U자형상이나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무릎 위 긴체부 아랫변 가장자리의 형상은, 대퇴부의 상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무릎 위 긴체부를 형성함으로써, 무릎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thigh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 and the thigh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aw (the thigh lower body portion) are combined on the anterior thig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w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igh part to the connection part of both body parts 2b and 2aw which are in the middle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Moreover,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w is connec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f formed in the outer side of a knee part. By forming such a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aw, sinc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thigh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 that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emoral anterior side downward, the support by the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 is supported. The effec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lower thigh side front body portion 2f formed outside the knee portion, the support effect of the knee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width | variety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w can be made narrow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f. Specifically, about 2-4 cm may be sufficient. Further, the femoral anterior trunk portion 2b has a curved shape cur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thigh on the front of the thigh, and the anterior femoral anterior portion 2aw of the thigh portion is located at the position just above the knee joint. When connected to 2b), the thigh-sided proximal portion 2b and the thigh-sided proximal body portion 2aw form the upper body portion above the knee. That is, the upper body portion above the knee is formed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knee joint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knee joint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knee joint. The lower edge of the upper body of the knee is formed in an inverted V shap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lower edge of the upper body part of the kne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in an inverted V shape, but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U shape or a crescent shape, for example. That is, the shape of the lower edge of the upper body part of the knee should just be formed in the shape which du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high part. By forming the above-knee long body portion, the stability of the knee can be improved.

도 15는, 대퇴부 전측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u)(대퇴상부 긴체부)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퇴부 앞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u)는, 대퇴부의 외측의 상방으로부터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도중에 있는 양 긴체부(2a, 2bu)의 연결부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w)를 형성함으로써, 대퇴부 전측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에 텐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에 의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u)의 폭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폭보다 좁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4㎝정도여도 된다.FIG. 15: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and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u (thigh part body part) were combined in the front of the thigh part. The thigh part front side trunk | drum 2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surface downward as mentioned above. The femoral part front body part 2bu is form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gh part to the connection part of both body parts 2a and 2bu in the middle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By forming such a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w,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thigh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a that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emoral anterior side downward, so that the support by the femoral anterior side body portion 2a is supported. The effec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u can be mad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a. Specifically, about 2-4 cm may be sufficient.

도 16은, 대퇴부 전측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w)(대퇴하부 긴체부)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w)는, 대퇴부의 내측의 하방으로부터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도중에 있는 양 긴체부(2a, 2bw)의 연결부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w)의 하방부는, 무릎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상방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w)를 형성함으로써, 대퇴부 전측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에 텐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에 의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릎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에도 텐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의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w)의 폭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a) 및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의 폭보다 좁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4㎝정도여도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가 대퇴 앞면에 있어서 대퇴부의 하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만곡하는 곡선형상이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bw)가 무릎관절의 바로 위의 개소에 있어서 대 퇴부 전측 긴체부(2a)와 연결될 경우에는, 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w)에 의해 무릎 위 긴체부가 형성된다. 즉, 무릎 위 긴체부는, 무릎관절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 및 무릎관절의 외측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상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서 형성된다. 무릎 위 긴체부 아랫변 가장자리는 역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무릎 위 긴체부 아랫변 가장자리의 형상은, 반드시 역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역U자형상이나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무릎 위 긴체부 아랫변 가장자리의 형상은, 대퇴부의 상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FIG. 16: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and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w (low thigh body part) were combined in the front of the thigh part.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w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igh 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two body parts 2a and 2bw. Moreover,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w is connec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formed in the inside of a knee part. By forming such a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w,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thigh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a that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emoral anterior side downward, so that the support by the femoral anterior side body portion 2a is supported. The effec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lower thigh side front body portion 2e formed outside the knee portion, the support effect of the knee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width | variety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w can be made narrow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and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Specifically, about 2-4 cm may be sufficient. Further, the femoral anterior body part 2a is curved in a shape that is rec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emoral part in the front of the femur, and the femoral anterior body part 2bw is the femoral anterior body part in the position just above the knee joint. When it is connected to (2a), the above-thigh body part 2a and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w form the above-knee body part. That is, the upper body portion above the knee is formed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knee joint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knee joint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knee joint. The lower edge of the upper body of the knee is formed in an inverted V shap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lower edge of the upper body part of the kne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in an inverted V shape, but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U shape or a crescent shape, for example. That is, the shape of the lower edge of the upper body part of the knee should just be formed in the shape which du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high part.

도 13∼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부 전측에는, 대퇴부 앞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교차가능한 경사를 가지고, 대퇴부의 측부 상방 또는 측부 하방으로부터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의 도중에 걸쳐서 형성되는 긴체부(2au, 2aw, 2bu, 2bw)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긴체부(2au, 2aw, 2bu, 2bw)는, 무릎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되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의 상방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 2b)의 도중에 형성되는 다른 대퇴부 전측 긴체부(2au, 2aw, 2bu, 2bw)와의 연결부분은, 대퇴부에 있어서의 대퇴부 전측 긴체부(2a, 2b)의 길이방향의 중앙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 긴체부끼리에 텐션이 보다 가해지기 쉬워진다.As shown in FIGS. 13-16, the thigh front side has the inclination which can cross | intersect the thigh side front body part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gh part front side, and the said thigh front side body 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gh or from the side lower sid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runk | drum 2au, 2aw, 2bu, 2bw formed over the way.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se trunk parts 2au, 2aw, 2bu, 2bw are connec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eg front side trunk part formed in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a knee part. Moreover,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oth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u, 2aw, 2bu, 2bw formed in the middle of the above-mentioned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2b is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2b of the thigh par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near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tension is more easily applied to the respective body parts.

또한, 상술한 도 13∼도 16에 나타낸 긴체부(2au, 2aw, 2bu, 2bw)는, 대퇴부 전측에 형성했을 경우를 예시한 것이지만, 대퇴부의 후측에도 이들과 같은 긴체부 를 형성해도 된다. 즉, 대퇴부 후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와 교차가능한 경사를 가지고, 대퇴부의 측부 상방 또는 측부 하방으로부터 상기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도중에 걸쳐서 형성되는 긴체부를 대퇴부의 후측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 긴체부는, 무릎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되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의 상방부와 연결시켜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body parts 2au, 2aw, 2bu, 2bw shown in FIGS. 13-16 mentioned above were formed in the front of a thigh part, you may form such a body part also in the back side of a thigh part. That is, the thigh portion formed over the middle of the thigh portion posterior side of the thigh por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gh portion or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igh portion is inclined to intersect with the thigh side posterior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above to the rear of the thigh portion. You may form. Moreover, you may connect this trunk | bulb part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high part rear trunk | drum part formed in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a knee part.

또한,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무릎 위 긴체부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e) 및 하퇴부 후측 긴체부(2g)와 조합시켜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무릎 위 긴체부는, 무릎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하퇴부 전측 긴체부(2e) 또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2g)와 연결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e)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g)는, 하퇴부에 있어서 하퇴의 전측 혹은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하퇴부 전측 긴체부(2e)는 내슬로부터 하퇴 전측에 접촉되고, 하퇴 하방의 외과에 걸쳐서 형성된다. 한편, 하퇴부 후측 긴체부(2g)는 외슬로부터 하퇴 후측에 접촉되고, 하퇴 하방의 내과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한,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무릎 위 긴체부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2f) 및 하퇴부 후측 긴체부(2h)와 조합시켜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무릎 위 긴체부는, 무릎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하퇴부 전측 긴체부(2f) 또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2h)와 연결된다.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2f)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는, 하퇴부에 있어서 하퇴 전측 혹은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하퇴부 전측 긴체부(2f)는 외슬로부터 하퇴 전측에 접촉 되고, 하퇴 하방의 내과에 걸쳐서 형성된다. 한편, 하퇴부 후측 긴체부(2h)는 내슬로부터 하퇴 후측에 접촉하고, 하퇴 하방의 외과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퇴부의 전후에 있어서 강긴체부를 서로 반대로 경사지도록 형성해서 무릎 위 긴체부와 연결시킴으로써 무릎 위와 무릎 내측과 무릎 외측의 3쪽에 접촉되는 각 긴체부에 텐션이 가해지게 되어 무릎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무릎 아래에 긴체부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무릎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무릎 아래에 긴체부를 형성했을 경우에는 무릎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you may form in the knee upper body part shown to FIG. 14 and FIG. 16 in combination with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e, and the lower leg back side body part 2g. In this case, the upper kne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ortion 2e or the lower leg rear body portion 2g 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knee. In addition,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e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2g are formed so as to inclin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respectively, as viewed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That is, the lower thigh side proximal body portion 2e comes in contact with the lower thigh side from the inner shoulder and is formed over the surgery of the lower thigh downward. On the other hand,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g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thigh from the outer chain and is formed over the internal medicine of the lower thigh. In addition, you may form in the knee upper body part shown in FIG. 14 and FIG. 16 in combination with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art 2f, and the lower leg back body body part 2h. In this case, the upper body portion above the knee is connected to the lower leg front side body portion 2f or the lower leg rear body portion 2h 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knee. In addition,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2f and the lower thigh part rear body part 2h ar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respectively, as viewed from either the lower thigh side or the rear side. That is, the lower thigh side frontal body portion 2f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thigh side from the outer chain, and is formed over the internal medicine of the lower thigh side. On the other hand,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2h comes in contact with the lower thigh from the inner shoulder and is formed over the surgery of the lower thigh. In this way, the rigid body parts are inclin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thigh and connected to the upper body parts on the knees so that tension is applied to each of the long body part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knees, the inner side of the knees, and the outer side of the knees, thereby supporting the knees. . In this case, in the case where the body is not formed below the kne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knee can be secured. On the other hand, when a long body part is formed below a knee, stability of a knee can be improved.

또한,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무릎 위 긴체부와, 도 8에 나타내는 무릎 아래 긴체부(2v)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무릎의 주변이 확실히 서포트된다. 이 경우에, 무릎 위 긴체부의 상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과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서 긴체부를 형성하고, 또한, 무릎 아래 긴체부의 하부로부터 발목의 내측과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서 긴체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긴체부는, 무릎 위 긴체부의 상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 및 외측의 상방까지 형성되고, 무릎 아래 긴체부의 하부로부터 발목의 내측 및 외측의 하방(발목길이의 경우에는 옷단)까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의 긴체부에 의해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전측 긴체부가 형성된다. 한편, 대퇴부의 후측에 형성되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스패츠(1)의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봤을 때에,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퇴부의 후측에 형성되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는, 스패츠(1)의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봤을 때에 하퇴부 전 측 긴체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후의 긴체부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함으로써 대퇴, 무릎, 종아리가 보다 균형있게 서포트된다.In addition, you may combine the upper knee part shown in FIG. 14 and FIG. 16, and the lower knee part 2v shown in FIG. This reliably supports the circumference of the knee. In this case, the upper body portion is form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knee to the at least one of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thigh portion, and a longer body portion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trunk | drum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form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above the knee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thigh portion, and is form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below the knee to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ankle (the hem in the case of ankle length). It is more preferable. These body parts form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front body part.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gh rear side body portion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high portion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gh front side body portion when viewed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spats 1. The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ower thigh portion front body portion when viewed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spats 1. In this way, by forming the front and rear body part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highs, knees, and calves are more balancedly supported.

이상과 같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로 대퇴부를 전후로부터 서포트함과 아울러,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로 하퇴부를 전후에서 서포트함으로써 고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에 있어서의 내선·외선운동 또는 내전·외전운동이 더욱 하기 쉬워진다. 또한, 각 긴체부의 일부에 의해 무릎이 좌우로부터 서포트되기 때문에 무릎관절에 있어서의 굴곡·신장운동도 하기 쉬워진다.As described above, by supporting the thigh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thigh and the thigh side of the thigh, and supporting the lower thigh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thigh and the lower thigh, the extremity and the external line in the hip, knee and ankle Exercise or adduction and abduction movement becomes easier to do. In addition, since the knees are supported from the left and right by a part of each of the body parts,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s in the knee joints are also easily performed.

또한, 대퇴부 전측과 하퇴부 전측, 또는 대퇴부의 후측과 하퇴부의 후측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긴체부의 경사의 관계는, 대퇴부에 있어서의 긴체부의 경사와 하퇴부에 있어서의 긴체부의 경사가 각각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대퇴 및 종아리를 포함한 발 전체에 있어서, 내선·외선운동 및 내전·외전운동에 필요한 근육을 보다 균형있게 서포트할 수 있다.Incident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ination of each of the trunk portions at the front of the thigh and the front of the lower thigh, or the rear of the thigh and the rear of the lower thigh is opposite to the slope of the trunk at the thigh and the slope of the trunk at the lower thigh.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support the muscles necessary for extrinsic, extrinsic and extensor and abduction exercises in the entire foot including the thigh and the calf.

또한, 대퇴부와 하퇴부에 형성되는 긴체부는, 대퇴부 또는 하퇴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긴체부가 전후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에 다른 쪽에 형성되는 긴체부는, 대퇴부 또는 하퇴부를 좌우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예를 들면, 대퇴부에서는 긴체부가 전후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로 형성되어 무릎의 내측 및 외측에 접촉하고, 하퇴부에서는 긴체부가 좌우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로 형성되어 옷단에 이 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대퇴부에서는 긴체부가 좌우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로 형성되어 무릎의 내측 및 외측에 접촉하고, 하퇴부에서는 긴체부가 전후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로 형성되어 옷단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긴체부를 형성함으로써 대퇴부 또는 하퇴부가 전후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고, 또한 무릎이 좌우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기 때문에, 내선·외선운동, 내전·외전운동 및 굴곡·신장운동에 있어서의 각 동작에 필요한 근육을 균형있게 서포트할 수 있다.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the trunk | drum formed in the thigh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in the state which the trunk | drum part formed in either the thigh part or the lower thigh part is fitted from front and back.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thigh portion or the lower thigh portion is sandwich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thigh portion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body is sandwiched from the front and rear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knee, and in the lower thigh is formed so that the body is sandwiched from the left and right to reach the hem. It is enough. In addition, the thigh portion may b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body is fitted from the left and the right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knee. In this way, since the thigh or lower thigh is firmly supported from the front and rear and the knee is firmly supported from the left and the right, the muscles necessary for the respective motions in the extrinsic, extrinsic, abduction, abduction, and flexion and kidney movements are formed. I can support it in a good balance.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로 대퇴부를 전후로부터 서포트할 경우에는, 상술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나 하퇴부 후측 긴체부 중 어느 한쪽을 적어도 가지고 있으면 된다.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have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lower thigh side front body part and the lower thigh side back body part when supporting the thigh from front and rear in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로 대퇴부를 전후로부터 서포트할 경우에는, 대퇴부 전측 또는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대퇴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각각이 거의 동 위치가 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상하방향으로 어긋나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예를 들면, 대퇴부 전측 긴체부를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방에 형성하고, 대퇴부 후측 긴체부를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방에 형성하는 경우나, 대퇴부 전측 긴체부를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방에 형성하고, 대퇴부 후측 긴체부를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방에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when supporting the thigh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thigh and the thigh rear body,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thigh, the front of the thigh and the rear of the thigh and the thigh rear of the thigh You may form so that each may become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nd you may form so that a thigh part front body part and a thigh part rear body part may shift | deviate to an up-down direction. Here, the case where it is formed shift | deviating to an up-down direc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For example, the part of a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is formed abov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part of the thigh part, and the part which corresponds to the back side of the thigh part of the thigh part In the case of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the front part of the thigh part may be formed below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thigh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thigh part may be formed abov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rear part of the thigh.

또한,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로 하퇴부를 전후로부터 서포트할 경우에는, 하퇴부 전측 또는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하퇴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의 각각이 거의 동 위치가 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하퇴부 전측 긴체부와 하퇴부 후측 긴체부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예를 들면, 하퇴부 전측 긴체부를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방에 형성하고, 하퇴부 후측 긴체부를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방에 형성하는 경우나, 하퇴부 전측 긴체부를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방에 형성하고, 하퇴부 후측 긴체부를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방에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when supporting the lower thigh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thigh and the lower thigh, the lower thigh and the lower thigh of the lower thigh and the lower thigh You may form so that each may become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nd you may form so that a lower leg part front body part and a lower leg part back body part may shift | deviate to an up-down direction. Here, the case where it forms in a shift | deviation to an up-down direc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For example, the lower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is formed abov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thigh part front side, and the lower thigh part back side body part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part,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it is formed below, the lower leg front side trunk portion is formed below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leg front side, and the lower leg rear body portion may be formed abov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leg por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긴체부(2)를 대퇴부분과 하퇴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 때문에 나눈 것으로서, 긴체부(2)가 대퇴부분과 하퇴부분으로 분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trunk | drum 2 was divided into the thigh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and demonstrated, this is di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show that the trunk | drum 2 is divided into the thigh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허리부로부터 하퇴부까지를 피복하는 발목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허리부로부터 대퇴부까지를 피복하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나, 허리부로부터 무릎 아래부분까지를 피복하는 무릎 아래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웨스트로부터 상방에 상반신을 피복하는 부분을 가지는 스포츠용 스패츠여도 좋고, 발목으로부터 아래로 발바닥을 지나가는 부분을 가지는 스포츠용 스패츠나 타이츠여도 좋다. 또한, 가랑이 사이부에 보호 패드를 가지는 스포츠용 스패츠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case where it applies to the sports spats of the ankle length which covers the waist part to the lower thigh part is demonstrated, the sports spats of the knee length which covers the waist part to the thigh par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sports knee pants having a length below the knee covering the waist to the bottom of the knee. Moreover, the sports spats which have the part which coat | covers the upper body from the waist upward may be sufficient, and the sports spats and tights which have the part which passes a sole from the ankle downward. Furthermore, sports spats may have a protective pad between the crotch portion.

여기서,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의 구체예를 도 17∼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7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대퇴부 전측에, 상술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7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대퇴부의 후측에 상술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7a, b에 나타내어지는 스패츠는, 대퇴부에 있어서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d)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는, 대전자(113)를 포함한 허리부의 측부에 접촉하고, 허리부의 측부를 따라서 윗 방향으로 연장되어 웨스트에 이르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는 허리부의 측부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연결되고, 또한, 허리부 상부에도 접촉하며, 좌우의 대퇴부 후측 긴체부(2c)가 허리부 상부의 뒷중심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에는 서로 텐션이 가해져서 대퇴부의 근육으로의 서포트 효과가 증가함과 아울러 고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대퇴부에 있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상단은, 좌골결합점부근(둔열하방부위)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에 있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에는 서로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상부는, 대퇴부 후측의 내측상부(가랑이 아래)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하단,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단이 대퇴부의 내측의 옷단부(S)에 위치하고,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하단이 대퇴부의 외측의 옷단부(S)에 위치하고 있다. 이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하단과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단은, 대퇴부의 내측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개소의 상하 폭은 5∼1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긴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대퇴부가 전후로부터 확실히 서포트되게 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a)의 하단,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단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하단은, 반드시 모든 하단이 스포츠용 스패츠의 옷단부(S)에 위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어느 1개의 하단이 옷단부(S)에 위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긴체부(2)의 하단위치에 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에 있어서도 같다.Here, the specific example of the sports spats of the knee length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17-21. Fig. 17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knee length as seen from the front, and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thigh. Fig. 17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the knee from the back,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thigh rear body portion 2c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ar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high. In the thighs, the spats shown in Figs. 17A and 17B are formed wit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thigh back body part 2c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thigh part back side. The body 2d is formed in a relationship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high part front side trunk | drum 2b is formed in the part which contacts the side part of the waist part including the counter-electrode 113, extends upward along the side part of a waist part, and reaches a waist. The femoral posterior body part 2c is connected to the femoral anterior body part 2b at the side of the waist, and also contacts the upper part of the waist, and the left and right femoral posterior body part 2c is located at the rear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waist part. It is connected. In this way, tension is applied to the femoral posterior body part 2c and the femoral anterior body part 2b so that the support effect to the muscles of the thigh can be increased and the hip joint can be supported.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in the left and right thighs is connected near the sciatic joint point (the gluteal fever bottom part). As a result, tension is applied to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on either side. The upper part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may be located on the inner upper part (under the crotch) behind the thigh. Moreover, the lower end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lower end of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are located in the hem end S of the inner side of the thigh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2d is the outer end part of the thigh part. It is located in (S). The lower end of this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and the lower end of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are connected inward of the thigh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is connection point are about 5-10 cm. By forming each of the body parts in this way, the thighs of the wearer can be surely supported from front to back.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a,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and the lower end of the thigh back body part 2d, all the lower ends are necessarily located in the hem end S of sports spats. There is no need, and at least one of the lower ends may be located at the clothes end S. In additio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above-mentioned body part 2 is the same also in the sports pants of the knee length shown in FIGS. 18-21 demonstrated below.

도 18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대퇴부 전측에 상술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가 형성되고, 복부에 복부 긴체부(2x)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대퇴부의 후측에 상술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방부분인 대퇴부 후측 긴체부(2cw)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a에 나타내는 복부 긴체부(2x)는, 허리부의 측부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연결된다. 좌우에 있는 복부 긴체부(2x)는 복부중앙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허리부의 양측부에 접촉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신체중심방향으로 당길 수 있어, 고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복부 긴체부(2x)를 형성함으로써 허리부의 양측부를 내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어, 골반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복부 긴체부(2x)는, 하복부보다 상방에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랑이에 가까운 하복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부 긴체부(2x)의 소재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보다 긴체력이 약한 다른 소재여도 되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같은 소재여도 된다. 복부 긴체부(2x)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연속시켜, 같은 소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복부 긴체부(2x)의 폭은 2㎝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복부 긴체부(2x)의 폭은, 같은 폭이어도 되지만, 허리부의 측부측으로부터 신체중심을 향해서 좁아지고 있어도 되고, 허리부의 측부측으로부터 신체중심을 향해서 넓어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복부 긴체부(2x)는, 본체 천의 내측에 봉합해도 되고, 외측에 봉합해도 된다. 복부 긴체부(2x)의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의 연결부분은 본체 천에 봉합되지만, 복부 긴체부(2x)의 위 가장자리와 아래 가장자리는 본체 천에 봉합되지 않고 뜬 상태여도 된다. 또한, 도 18b에 나타내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w)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대퇴부 후측의 중심부근에 연결되고, 대퇴부의 내측 하방에만 형성된다. 또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w)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는 대퇴내측 하방에서 연결되어 있다.Fig. 18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the knee from the front,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thigh and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x is formed in the abdomen. . Fig. 18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the knee from the back,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w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which are the lower portions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described above on the rear side of the thigh. Indicates the state in which is formed. The abdominal body part 2x shown in FIG. 18A is connected wit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in the side part of a waist part. The abdominal body parts 2x on either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abdomen cent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ull the femoral anterior side body portion 2b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aist in the body center direction, and stabilize the hip joint. That is, by forming the above abdominal trunk portion 2x, a force pulling both sides of the waist portion inwardly can be applied, and the pelvis can be stabilized.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x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abdomen. This can prevent the lower abdomen close to the crotch from being pressed. Further, the material of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x may be another material having a weaker body force than the thigh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 or may be the same material as the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You may comprise the abdominal trunk part 2x and the thigh part front side trunk part 2b continuously, and consist of the same raw material.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x is preferably formed to be 2 cm or more, but more preferably about 5 to 15 cm. Although the width | variety of the abdominal trunk part 2x may be the same width, it may be narrowing toward the body center from the side part of a waist part, or may be widening toward the body center from the side part of a waist part. In addition,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x may be sea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fabric or may be sealed to the outsid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x with the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is sealed to the main body fabric, but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x may be left open without being sealed to the main body fabric. In addition,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2cw shown in FIG. 18B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thigh part back side of the thigh back body part 2d, and is formed only in the inner side below the thigh part. In addition, the thigh rear body part 2cw and the thigh front side body part 2b are connected below the thigh.

도 19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대퇴부 전측에 상술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가 형성되고, 복부에 복부 긴체부(2y)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9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대퇴부의 후측에 상술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상방 부분인 대퇴부 후측 긴체부(2cu)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9a에 나타내는 복부 긴체부(2y)는, 허리부의 측부에 있어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연결된다. 복부 긴체부(2y)는, 상복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허리부의 양측부에 접촉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신체중심방향으로 당길 수 있어 고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복부 긴체부(2x)를 형성함으로써 허리부의 양측부를 내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어 골반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복부 긴체부(2y)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의 연결부분에 있어서의 폭이 가장 넓고, 신체 앞중심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폭이 좁아져, 신체 앞중심을 초과한 곳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에 있는 복부 긴체부(2y)는, 서로 앞중심을 초과한 부분에 있어서 겹쳐져 있다. 또한,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은 1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부 긴체부(2y)의 소재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는 다른 소재여도 좋고,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같은 소재여도 좋다. 복부 긴체부(2y)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연속시키고 같은 소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복부 긴체부(2y)의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의 연결부분은 본체 천에 봉합되지만, 복부 긴체부(2x)의 위 가장자리와 아래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은, 본체 천에 봉합되지 않고 뜬 상태여도 된다. 또한, 도 19b에 나타내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u)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대퇴부 후측의 중심부근에 연결되고, 대퇴부의 외측 상방에 접촉하며, 대전자 부근에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연결되어 허리부 상방에 형성된다.Fig. 19A is a view showing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the knee from the front, showing the above-mentioned femoral anterior body portion 2b formed on the anterior side of the thigh, and the abdominal body portion 2y being formed in the abdomen. . Fig. 19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the knee from the back,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u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which are upper portions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described above on the rear side of the thigh. Indicates the state in which is formed. The abdominal body part 2y shown in FIG. 19A is connected wit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in the side part of a waist part.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y is formed to contact the upper abdomen. This makes it possible to pull the femoral anterior side body portion 2b in contact with both side portions of the waist in the body center direction and stabilize the hip joint. That is, by forming the above abdominal trunk portion 2x, a force for pulling both sides of the waist portion inwardly can be applied to stabilize the pelvis.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y has the widest width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anterior thigh portion 2b of the thigh, gradually narrows in width toward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and extends beyond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 Therefore, the abdominal body parts 2y on either side overlap each other in the part which exceeded the front center.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widest part is preferably about 10 cm.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y may be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or may be the same material as the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You may comprise the abdominal trunk part 2y and the thigh part front side trunk part 2b continuously, and consist of the same raw material. In addition, although the connection part of the abdominal trunk part 2y with the thigh front side trunk part 2b is sutured to the main body cloth, either one of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abdominal trunk part 2x is not sewn into the main body fabric The state may be sufficient. Further, the femoral posterior body portion 2cu shown in FIG. 19B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uscle of the posterior thigh of the femoral posterior body portion 2d, contacts the outer upper side of the thigh, and is connected to the femoral anterior body portion near the trochanter. It is formed above the waist.

도 20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대퇴부 전측에 상술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가 형성되고, 복부에 복부 긴체부(2z)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0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대퇴부의 후측에 상술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하방부분인 대퇴부 후측 긴체부(2dw)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0a에 나타내는 복부 긴체부(2z)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연속한 소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복부 긴체부(2z)의 소재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는 다른 소재여도 된다. 복부 긴체부(2z)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연속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폭이 가장 넓고, 신체의 앞중심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폭이 좁아진다. 또한,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은 1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좁은 부분의 폭은 5㎝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에 있는 복부 긴체부(2z)는 신체의 앞중심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허리부의 양측부에 접촉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신체중심방향으로 당길 수 있어 고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복부 긴체부(2x)를 형성함으로써 허리부의 양측부를 내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어 골반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복부 긴체부(2z)의 위 가장자리와 아래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은, 본체 천에 봉합되지 않고 뜬 상태여도 된다. 또한, 도 20b에 나타내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w)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대퇴부 후측의 중심부근에 연결되고, 대퇴부의 외측 하방에만 형성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와 대퇴부 후측 긴체부(2c)는, 대퇴내측 하방, 및 대퇴외측 상방의 대전자 근방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3종류의 복부 긴체부(2x, 2y, 2z)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발목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에 있어서 설명한 여러 가지 긴체부와 적절히 조합시켜도 된다.Fig. 20A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length above the knee from the front,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thigh and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z is formed in the abdomen. . Fig. 20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knee length from the back,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w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described above on the rear side of the thigh. Indicates the state in which is formed.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z shown in FIG. 20A is formed of a material continuous to the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In addition, the raw material of the abdominal trunk part 2z may be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thigh front side trunk part 2b.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z has the widest width at the portion continuous with the thigh front side trunk portion 2b, and gradually decreases in width toward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widest part is about 10 cm,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narrowest part is about 5 cm.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abdominal trunk portions 2z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As a result, the femoral anterior side body portion 2b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aist can be pulled in the body center direction, and the hip joint can be stabilized. That is, by forming the above abdominal trunk portion 2x, a force for pulling both sides of the waist portion inwardly can be applied to stabilize the pelvis. In addition, either one of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z may be in a state of being floated without being sealed to the main fabric. In addition,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w shown in FIG. 20B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gh rear side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and is formed only outside the thigh. Further, the femoral anterior thigh portion 2b and the thigh posterior thigh portion 2c are connected in the vicinity of the trochanter below the inner thigh and above the thigh. The three types of abdominal trunk portions 2x, 2y, and 2z described above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with various trunk portions described in the other embodiments (sports spats of ankle length) described above.

또한, 상술한 도 18a, 도 19a, 도 20a에 나타내어지는 복부 긴체부(2x, 2y, 2z)는, 허리부의 좌우양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연결하고 있지만, 복부 긴체부(2x, 2y, 2z)가 연결되는 긴체부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대퇴부 후측 긴체부여도 되고, 허리부의 좌우양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다른 긴체부여도 된다. 즉, 상술한 도 18∼도 20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는 복부 긴체부(2x, 2y, 2z)가 연결하는 긴체부로서 편의상, 대퇴부 전측 긴축부(2b)를 사용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복부 긴체부(2x, 2y, 2z)가 연결하는 긴체부는, 허리부의 좌우양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허리부 긴체부이면 된다. 이와 같이 복부 긴체부(2x, 2y, 2z)를 허리부의 좌우양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허리부 긴체부와 연결함으로써 허리부 긴체부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부 긴체부와 허리부 긴체부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대퇴부, 무릎부 및 하퇴부에 있어서 형성되는 여러 가지 긴체부와 조합시켜서 형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dominal trunk part 2x, 2y, 2z shown to FIG. 18A, 19A, and 20A mentioned above connects the thigh front side trunk part 2b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waist part, The body part to which the abdominal body parts 2x, 2y, and 2z are connected is not limited to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For example, it may be a thigh part rear body part, or may be another body part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waist part. That is,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0,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b, 2y, 2z is described as a trunk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thigh anterior thigh portion 2b for convenience. What is necessary is just the waist body part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waist part which 2x, 2y, 2z) connect. In this way, the abdominal trunk portion 2x, 2y, 2z is connected to the waist trunk portion formed at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ist portion, whereby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waist trunk portion. The abdominal body part and the waist body part can be form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body parts formed in the thigh part, the knee part and the lower thigh part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도 21a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대퇴부 전측에 상술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를 변형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1b는,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대퇴부의 후측에 상술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 및 대퇴부 후측 긴체부(2d)의 상방부분인 대퇴부 후측 긴체부(2du)가 형성되어 있 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1a에 나타내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는, 상술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의 라인을 대퇴부의 전면에 있어서 상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한 것이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는, 대전자(113)근방으로부터 대퇴부 앞면의 상방을 지나서 대퇴부의 내측 하방에 이르는 부위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즉,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는 대퇴직근의 근복를 지나지 않고 대전자에 이르는 것이 된다. 따라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를 직선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비해 긴체부가 대퇴직근의 근복를 통과하지 않는 만큼 대퇴직근이 부풀어 올랐을 때에 근복를 압박하지 않는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는, 대전자(113)근방으로부터 허리부의 측부에 있어서 도 21b에 나타내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와 연결된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의 하방은, 대퇴부의 내측 하방에 있어서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방과 연결된다. 또한,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의 폭은, 허리부의 측부 부근에 접촉하는 가장 넓은 부분으로 10∼15㎝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퇴부에 접촉하는 가장 좁은 부분으로 4∼5㎝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의 하방과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하방과의 대퇴내측에 있어서의 연결부분의 상하 폭은, 8㎝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대퇴부 전측 긴체부(2bx)를 형성함으로써 대퇴 앞면의 근육수축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나타내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du)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2c)의 대퇴부 후측의 중심부근에 연결되고, 대퇴부의 내측 상방에만 형성된다.FIG. 21: A is a figure which looked at the sports spats of the knee length from the front, and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x which modified the above-mentioned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was formed in the front of the thigh part. Fig. 21B is a view of the sports spats of the knee length from the back,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u which is the upper part of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c and the thigh rear body portion 2d described above on the rear side of the thigh. Indicates the state that is formed.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x shown in FIG. 21A is formed by bending the line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 mentioned above in the shape which was dug upwar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thigh part. The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x is formed so as to contact a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vicinity of the trochanter 113 to the inner lower side of the thigh through the front of the thigh. That is, the anterior thigh body part 2bx of the thigh does not reach the abdominal muscle of the thigh muscle and reaches the large electr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igh anterior thigh portion 2bx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the thigh muscle does not press the thigh muscle when the thigh portion does not pass through the thigh muscle.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x is connected with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shown in FIG. 21B in the side part of the waist part from the vicinity of the trochanter 113. FIG.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x is connect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back body part 2c in the medial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front thigh portion 2bx of the thigh is preferably about 10 to 15 cm as the widest part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waist, and preferably about 4 to 5 cm as the narrowest part in contact with the thigh. Do.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inner thigh of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2bx and the lower part of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2c are about 8 cm. By forming such a femoral anterior side trunk portion 2bx, muscle contraction of the front of the thigh can be supported. In addition, the thigh rear body part 2du shown in FIG. 21B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thigh part rear side of the thigh rear body part 2c, and is formed only inside the thigh part inside.

또한, 상술한 무릎 위 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도 17∼도 21)에 형성되는 각 긴체부의 구체예는, 발목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 및 무릎 아래길이의 스포츠용 스패츠 등에도 적용가능하다.In addition, the specific example of each body part formed in the sports spats (FIGS. 17-21) of the above knee length is applicable also to sports spats of ankle length, sports spats of a knee length, etc.

또한, 스포츠용 스패츠에 있어서 대퇴부로부터 위의 허리부에 형성되는 긴체부는, 아래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대퇴부의 외측에 있어서는, 대전자를 포함한 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또한 대전자로부터 허리측부에 접촉하여, 웨스트에 걸쳐서 거의 직선형상으로 연속해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대전자로부터 허리의 측부 및 허리의 불룩한 상방에 접촉하여 웨스트 라인상에서 종결되어도 좋고, 허리의 불룩한 상방으로부터 뒷중심을 향해서 연장되어 웨스트 라인의 뒷중심부근에서 좌우가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대전자로부터 허리의 불룩한 일부를 지나서 웨스트 라인의 뒷중심부근에서 좌우가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대전자로부터 복부를 지나서 복부의 중심에서 좌우가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이들의 긴체부를 조합시켜서 형성해도 좋다. In the sports spats, the body portion formed on the upper back portion from the thigh portion may be formed as follows. For example, the outer side of the thigh may be formed at a location including a charger, and may be formed continuously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cross the waist in contact with the waist side from the large electron. Moreover, it may be terminated on a waist line by contacting the side of a waist and the bulging upper part of a waist from a large trochanter, and may extend toward the back center from the bulging upper part of a waist, and may connect left and right near the back center of a waist lin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waistline after passing through the bulging portion of the waist from the large trochanter. The right and left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abdomen through the abdomen from the large trochanter. In addition, you may form in combination these body parts.

또한,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있어서의 긴체부의 부여방법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랑이가 있는 의류 본체에 소정 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겹치게 해서 그것을 봉합시킴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가랑이가 있는 의류 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겹치게 해서 그것을 접착 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의류 본체와 긴체부의 긴체력 차이를 적절히 설정하기 쉽고, 또한, 큰 긴체력 차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긴체부와 그 이외의 부분를 각각 소정 형상의 파트로 해서, 그들을 잇대어 붙여서 본 발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 본체에 소정 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잡아 늘이고 겹치게 해서 봉합 또는 접착하는 방법에 의해 긴체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 본체에 신축성 생지를 포갤 경우에는, 긴체부를 형성하는 신축성 생지의 긴체력이, 가랑이가 있는 의류 본체의 긴체력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긴체부에 의해 강력한 긴체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 본체의 소정 부분에 탄성 수지 함침 또는 탄성 수지 필름의 부착에 의한 방법에 의해 긴체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긴체부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탄성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수지 그 외의 탄성 수지가 적용가능하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포개지 않아도 끝나므로, 긴체부의 두께가 보다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생지를 경편(經編)이나 환편(丸編)의 자카드에 의해 편조직을 바꿈으로써 긴체력의 강약차를 형성하고, 긴체력이 강한 편조직에 의해 긴체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겹치게 하지 않아도 완성되므로, 긴체부의 두께가 보다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형성하는 생지로서 환편지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실을 보충하는 컷보스편수법에 의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긴체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환편에 의할 경우는, 편조직을 바꾸는 방법과 부분적으로 실을 보충하는 컷보스편수법을 조합시켜서 긴체력의 강약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applying the trunk portion in the crotched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by superimposing a stretchable dough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crocheted garment body. It may be formed by sealing it, or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stretchable dough of a predetermined shape with a crotch garment main body and adhering it. According to these methods, it is easy to appropriately set the difference in the tension force between the garment main body and the body por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large difference in tension force. In addition, you may make a crotch garment of this invention by joining them together, respectively, as a part of a predetermined shape, respectively, as a part of a fixed part and other parts.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by a method of stretching and overlapping a stretchable dough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 the crotch-like garment main body to seal or glue it. In the case where the stretchable dough is laid on the crotch garment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tch force of the stretchable dough forming the stretch portion is stronger than the stretch force of the crotch garment body. According to these methods, a strong tightening force can be imparted by the tightening portion. Moreover, you may form a trunk | drum by the method by elastic resin impregnation or adhesion of an elastic resin film in the predetermined part of the crotch | clothes main body. According to these methods, the thickness of a trunk | drum is comparatively thin can be obtained. As the elastic resin, polyurethane resins, polyester elastomer resins and other elastic resins are applicable. According to these methods,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superposed, it can obtain that thickness of a trunk | drum is thinner. In addition, the elastic dough constituting the crotch garment body is changed by a knitting or circular knitting jacquard to form a strong strength and weakness difference, and by a strong knitting system You may form a trunk body part. According to these methods, since it is completed even if it does not overlap, it can obtain that the thickness of a trunk | drum is thinner. In addition, when circular knitted fabric or the like is used as the dough for forming the crotch-like garment, a relatively strong body portion can be formed by a cut boss knitting method that partially replenishes the yarn. In the case of circular knitt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a long stamina can also be formed by combining the method of changing a knitting structure and the cut boss knitting method which partially fills a thread.

또한,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대표예로서 스포츠용 스패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스포츠용 스패츠 이외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거들, 스포츠용 타이츠, 스패츠형 수영복, 스포츠웨어, 스타킹 및 타이츠 등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도 적용가능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sports spats are demonstrat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rotched garment,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other than sports spats. For example, it is also applicable to crotch garments, such as girdle, sports tights, spats-type swimsuit, sportswear, stockings and tights.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따르면, 띠형상의 긴체부에 의해 굴곡·신장운동, 내선·외선운동 및 내전·외전운동에 필요한 근육의 움직임이 서포트되기 때문에, 다리부의 운동을 균형있게 서포트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rotch-clothed gar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since the strip | belt-shaped body part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muscle which is necessary for a flexion, an extension movement, an extension and an external movement, and an adduction and an abduction movement, it supports the movement of a leg well-balanced. We can expect superior effect to be able to do.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다리부의 운동을 균형있게 서포트하는 스포츠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적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for example, sports crotch clothing that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legs in a balanced manner.

Claims (30)

하반신의 일부를 피복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As the crotch which covers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긴체부는,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를 가지고, 또한 하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하퇴부 전측 긴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In the front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thigh, the trunk portion formed in a band shape is the rear side of the thigh portion front side trunk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portion downward and from the rear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thi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emoral posterior body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the top of the portion downwardly, and has a lower thighside front body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above of the anterior portion in the anterior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thigh side. Crotch cloth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상기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The crotch gar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gh part front body part and the thigh part rear body part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상기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The crotch garme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ront thigh portion of the thigh and the rear thigh portion of the thigh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반신의 일부를 피복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As the crotch which covers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긴체부는,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를 가지고, 또한 하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하퇴부 후측 긴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In the front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thigh, the trunk portion formed in a band shape is the rear side of the thigh portion front side trunk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portion downward and from the rear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thi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emoral posterior body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the top of the portion downward, and further has a lower thigh rear body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above the rear portion in the rea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thigh. Crotch clothing.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상기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The crotch garment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front thigh portion and the thigh rea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상기 대퇴부 후측 긴체부는, 전측 또는 후측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각각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The crotch garment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the thigh part front side body part and the thigh back side body part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반신의 일부를 피복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As the crotch which covers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긴체부는, 대퇴부 전측에 대응하는 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전측 긴체부와, 대퇴부의 후측에 대응하는 후측 부분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걸쳐서 비스듬히 형성되는 대퇴부 후측 긴체부를 가지고,In the front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thigh, the trunk portion formed in a band shape is the rear side of the thigh portion front side trunk portion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portion downward and from the rear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thigh portion. With the thigh rear side body part formed obliquely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무릎 위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옷단부를 가지고, With the hem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art on the knee,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의 하단과 상기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하단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옷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The crotch garment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lower end of the front thigh part of the thigh and a lower end of the rear thigh of the thigh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thigh. 삭제delete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의 상방과 상기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상방이 허리부의 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연결되고,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의 하방과 상기 대퇴부 후측 긴체부의 하방이 대퇴부의 내측의 하방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2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anterior thigh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thigh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re connec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side portion of the waist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anterior thigh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posterior thigh portion are formed. The crotch-like garment, which is connect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thigh.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전측 긴체부는 대퇴부의 내측 하방으로부터 대퇴부 앞면의 상방을 지나서 대전자에 걸쳐 형성됨과 아울러, 대퇴부의 상부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만곡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29. The crotch according to claim 28, wherein the anterior thigh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igh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thigh and spans the trochanter, and is formed by bending in a shape that is reces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high. clothing.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긴체부는 허리부의 좌우양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허리부 긴체부와, 복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부 긴체부를 더 구비하고, 3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waist body portion formed i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ist portion, and an abdominal body portion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bdomen, 상기 복부 긴체부는, 좌우에 있는 상기 허리부 긴체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The abdominal elongated portion, crotch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waist portion on the left and right.
KR1020057019491A 2003-04-15 2004-04-14 Wearing article with crotch KR1010888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0882 2003-04-15
JPJP-P-2003-00110882 2003-04-15
JPJP-P-2003-00371513 2003-10-31
JP2003371513 2003-10-31
PCT/JP2004/005325 WO2004091328A1 (en) 2003-04-15 2004-04-14 Wearing article with cro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717A KR20050120717A (en) 2005-12-22
KR101088802B1 true KR101088802B1 (en) 2011-12-01

Family

ID=3330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491A KR101088802B1 (en) 2003-04-15 2004-04-14 Wearing article with crotch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618804B1 (en)
JP (1) JP4495674B2 (en)
KR (1) KR101088802B1 (en)
CA (2) CA2521593C (en)
DE (1) DE602004031102D1 (en)
HK (1) HK1089632A1 (en)
TW (1) TWI330522B (en)
WO (1) WO200409132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352A (en) * 2000-12-22 2002-06-29 권윤주 Pear juice containing her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2674A1 (en) 2004-05-20 2005-12-01 Wacoal Corp. Bottom garment
US8214926B2 (en) * 2009-07-06 2012-07-10 Intelliskin Usa, Llc Posture improving garment
JP4956585B2 (en) * 2009-07-15 2012-06-20 株式会社デサント Football wear
JP2012140719A (en) * 2010-12-28 2012-07-26 Asahi Kasei Fibers Corp Bottom clothes
KR101223912B1 (en) * 2011-02-21 2013-01-22 지정우 Functional wear to balance and strengthen for lower body
GB2480924B (en) * 2011-06-03 2012-07-25 Speedo Int Ltd Sports garment
FR2986402B1 (en) * 2012-02-08 2014-03-14 Herve Teyssedre DEVICE FOR AIDING THE MARKET
ES2660485T3 (en) 2012-04-10 2018-03-22 Wacoal Corp. Crotch Exercise
TWM439356U (en) * 2012-04-17 2012-10-21 Ming-Yao Luo Pants for function training
JP6156834B2 (en) * 2012-11-30 2017-07-05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Training innerwear and training innerwear design method
US9872526B2 (en) * 2012-12-13 2018-01-23 Marc Safra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JP5947328B2 (en) * 2014-03-11 2016-07-06 美津濃株式会社 clothes
EP3174413B1 (en) * 2014-07-30 2022-01-26 VF Imagewear, Inc. Pan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JP2016047969A (en) * 2014-08-27 2016-04-07 磨毅 小柳 Anterior cruciate ligament protection spat
KR101675338B1 (en) * 2015-07-06 2016-11-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Training pants
JP6831511B2 (en) * 2016-08-30 2021-02-17 学校法人近畿大学 Lower body clothing
WO2019235360A1 (en) * 2018-06-05 2019-12-12 美津濃株式会社 Swimwear
WO2022224939A1 (en) * 2021-04-20 2022-10-27 旭化成株式会社 Bottom clothes production method
US11986028B2 (en) 2021-05-06 2024-05-21 Ariat International, Inc. Equestrian pants gar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903A (en) 1999-04-21 2001-07-17 Wacoal Corp Clothing
JP2002212814A (en) 2000-11-09 2002-07-31 Combi Corp Clothes for enhancing strength of le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074A (en) * 1991-06-10 1993-04-13 Dicker Timothy P Exercise suit with resilient reinforcing
JP3668316B2 (en) * 1996-03-04 2005-07-06 オンヨネ株式会社 Sportswear
JP3012819B2 (en) * 1997-04-01 2000-02-28 株式会社ワコール Lower limb protection clothing
JPH1112814A (en) * 1997-06-13 1999-01-19 Descente Ltd Tights with taping function
JP3747121B2 (en) * 1997-08-22 2006-02-22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テクニカルセンター Exercise clothing
JP3682715B2 (en) * 2000-11-10 2005-08-10 株式会社デサント Swimsuit
JP4491525B2 (en) * 2001-01-25 2010-06-30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テクニカルセンター Exercise clot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903A (en) 1999-04-21 2001-07-17 Wacoal Corp Clothing
JP2002212814A (en) 2000-11-09 2002-07-31 Combi Corp Clothes for enhancing strength of le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352A (en) * 2000-12-22 2002-06-29 권윤주 Pear juice containing her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62952A1 (en) 2004-10-28
JPWO2004091328A1 (en) 2006-07-06
TWI330522B (en) 2010-09-21
CA2521593C (en) 2012-08-07
TW200509820A (en) 2005-03-16
WO2004091328A1 (en) 2004-10-28
KR20050120717A (en) 2005-12-22
EP1618804A4 (en) 2008-03-12
EP1618804A1 (en) 2006-01-25
DE602004031102D1 (en) 2011-03-03
CA2762952C (en) 2014-05-20
HK1089632A1 (en) 2006-12-08
EP1618804B1 (en) 2011-01-19
JP4495674B2 (en) 2010-07-07
CA2521593A1 (en)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802B1 (en) Wearing article with crotch
US7730552B2 (en) Pants garment
US8245324B2 (en) Bottom garment
KR101359442B1 (en) Clothing with crotch for exercise
JP5964366B2 (en) Compression clothing and manufacturing method
JP6065000B2 (en) Crotch clothing for exercise
JP3809031B2 (en) Exercise clot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64296B2 (en) Clothing
WO2004096105A1 (en) Crotched wearing article
US10092048B2 (en) Garment
JPH10280209A (en) Leg-protective clothing
JP4368364B2 (en) Exercise spats
JP2007023466A (en) Athletic tights
JP5486842B2 (en) Clothing
JP5629807B2 (en) Clothing
JP5682942B2 (en) Clothes
JP5333974B2 (en) Lower body clothing with taping function
JP2005146450A (en) Athletic tights
JP3666868B2 (en) Lower limb support clothing with crotch
JP2023077783A (en) Inner wear
JP2018114182A (en) Swimm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