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446B1 -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 Google Patents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446B1
KR101086446B1 KR1020090106043A KR20090106043A KR101086446B1 KR 101086446 B1 KR101086446 B1 KR 101086446B1 KR 1020090106043 A KR1020090106043 A KR 1020090106043A KR 20090106043 A KR20090106043 A KR 20090106043A KR 101086446 B1 KR101086446 B1 KR 10108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lan information
plan
land
electronic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9165A (en
Inventor
한동수
김경인
Original Assignee
김경인
한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인, 한동수 filed Critical 김경인
Priority to KR102009010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446B1/en
Publication of KR2011004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1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5Land develo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지도에 연관된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한 지번의 필지정보와 관련된 모든 개발지침을 제공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입력받고 상기 계획정보에 대하여 계획번호를 부여하는 계획정보 입력과정과,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에 대한 지번을 추출하는 지번 추출과정과,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부여된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필지정보에 대한 상기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을 형성하는 인덱싱과정과, 특정한 토지의 지번을 입력받아 상기 인덱싱과정에서 형성된 상기 배열을 통해 상기 지번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한 토지에 지정된 계획정보를 검색하는 계획정보 검색과정과,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한 개발지침을 생성하는 개발지침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번 추출과정을 자동화하여 다양한 계획정보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포함도를 산출하여 보다 정확한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land use planning information using index extraction, which indexes and arranges the pla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map and the number extracted from it, and provides all the development guidelines related to the parcel information of the specific number. A plan information input process of inputting plan information including a plan related to the use or development of land in association with an area in an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designated by the plan information and assigning a plan number to the plan information; A branch number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number of the parcel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map overlapping the area of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and in which the plan information input 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step is input; The plan number and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process for the plan information given in Indexing the number of the parce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parcel information to form an arrangement; and inputting the land number of a specific land, and planning information designated to the specific land corresponding to the land number through the arrangement formed in the indexing process. And a development guide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evelopment guide for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by using the plan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for searching and the plan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plan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By automating the system, it is easy to integrate various planning information and calculate the degree of inclusion to provide more accurate planning information or development guidance.

계획정보, 전자지도, 필지정보, 지번, 지번 추출, 개발지침 Planning Information, Electronic Map, Lot Information, Lot Number, Lot Number Extraction, Development Guide

Description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본 발명은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 이용행태, 법규 등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전자지도에 블록으로 연관시켜 표시하고, 이 계획정보에 포함된 필지정보의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plan information, including plans, usage behaviors, laws, and the like, related to land use or development, in association with blocks on an electronic map, and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parce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lan information. It is about.

또한, 본 발명은 전자지도에 연관된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한 지번의 필지정보와 관련된 모든 개발지침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indexing and arranging pla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map and a branch number extracted therefrom, and providing all development instructions related to parcel information of a specific branch number based thereon.

아울러, 본 발명은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 또는 새로이 생성되는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모두 확인하고 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ntrolling all of the land use plan information or newly generated land use pla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map.

토지의 이용 및 개발을 위해 국가, 지자체, 법인, 개인 등은 다양한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 개발의 효율적인 운용과 토지의 무분별한 개발방지를 위하여 다양한 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토지이용 계획정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 『농지법』에 의한 농지전용허가, 『산지관리법』에 의한 산지전용허가,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한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 『건축법』에 의한 건축기준, 지자체 각종조례, 『주택법』에 의한 최저주거기준, 『소방기본법』에 의한 소방력의 기준 등과 같은 다양한 계획 또는 기준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개발행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하고 있다.In order to use and develop lands, countries, local governments,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hav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various plans, and to comply with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is development and prevent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land. Land-use planning information includes regional city planning, urban master plan, urban management plan, district unit plan, landscape plan under the Landscape Act, agricultural land permit under the Farmland Act, Mountain-only permits under the Mountain Management A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nde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traffic impact assessment, building standards under the Building Act, various ordinances for local governments, minimum residential standards under the Housing Act, basic fire protection law It includes various plans or standards, such as the standards of firefighting power by the law, and regulates or restricts development activities accordingly.

또한, 필지는 하나의 지번이 부여된 일정한 범위의 토지로서, 그 지번과 경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시한 지적도에 기록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로 변환되어 전자지도에 이미지로 표시된다. 상기한 토지이용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영역 또한 이 전자지도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parcels are a range of land to which a lot number has been assigned. The parcel is recorded and managed on the cadastral map shown to identify the number and the boundary, and is converted into digital informa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a computer and converted into an image on an electronic map. Is displaye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and to which the land us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may also be provided on this electronic map.

한편, 개발지침은 개발행위를 하고자 하는 토지의 이용과 관련된 계획, 이용 행태, 법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에 의한 건축지침, 색채지침, 조경지침, 녹지지침, 시설물지침, 광고물지침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토지 소유주 또는 개발업자 등이 일정한 범위의 토지에서 개발행위를 하는 경우 그 토지에 지정된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사전에 충분하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당 토지에서의 개발지침이 준수될 수 있도록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 상기한 개발지침이 누락되어 토지에서의 개발행위가 계획되고 실행되는 경우, 돌이킬 수 없거나 돌이킬 수 있다고 하여도 시간, 비용 등의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키는 사례도 종종 있다.On the other hand, development guidelines include building guidelines, color guidelines, landscaping guidelines, green guidelines, facility guidelines, and advertising guidelines based on various land use planning information, including plans, usage behaviors, and laws related to the land use for development activities. If a landowner or developer develops on a certain range of land, the land use plan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land is sufficiently and accurately identified in advance so that the development guidelines on the land can be followed. It should be scrutinized closely. If the above development guidelines are missed and development activities are planned and executed on land, there is often a case in which huge losses such as time and money are generated even if they are irreversible or irreversible.

이에 지번을 입력받아 이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의 행위제한 등을 포함한 도시계획 - 도시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등과 같이 다양한 계층으로 일정한 범위의 토지에 중복하여 지정될 수 있다. - 의 정보를 다양한 계층으로 포탈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각각의 계층에 따라 개발지침의 항목과 내용이 다르고 복잡하며 행정처리를 위한 관련 부서도 다양하여 토지 소유주, 계획가, 개발자 등이 해당 토지의 개발지침을 모두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며, 심지어 해당 토지에 대한 행정처리를 수행하는 행정가에게 있어서도 담당이 아닌 분야의 개발지침까지 모두 확인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Urban planning including the restriction on the parcels of land that corresponds to this number by inputting the number-Urban planning includes the metropolitan city planning, urban basic plan, urban management plan, district unit plan according to the `` Law on Land Planning and Use '' It may be assigned to a certain range of land in various layers, such as a plurality of layers. -Although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portal site in various layers, the items and contents of the development guidelines are different and complicated according to each layer, and the relevant departments for administrative processing are various, so that land owners, planners, developers, etc.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all the development guidelines of the company, and it is difficult for the administrator to carry out administrative work on the land, and to find all the development guidelines of the non-sector.

상기한 포탈 사이트를 통한 행위제한 등을 포함한 도시계획의 제공은 특정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에 지정된 대략의 도시계획에 대한 정보에 불과하고 모든 계 획정보를 나타낸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며, 주변지역 또는 여러 필지에 걸쳐 지정된 계획정보를 지적도 등과 연계하여 도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계획의 변경, 새로운 토지이용계획의 추가 등을 수행하는 경우 계획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The provision of city planning, including the restriction of conduct through the portal site mentioned above, is merely information on the approximate city planning specified in the parc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ite number, and may not represent all the planning information. It would be said that there is a limit in showing planning information designated over parcels in connection with cadastral maps.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integrate and manage the planning information when changing the urban plan, adding a new land use plan, etc.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계층의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통합하고 특정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의 계획정보를 빠짐없이 확인하여 그에 따른 개발지침을 제공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to integrate the land use planning information of various layers in conjunction with the electronic map and to easily check the plan information of the parcels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number to provide development guidance accordingly. Its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계층의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통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전자지도로부터 상기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number associated with the pla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map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the land use plan information of the various layers in conjunction with the electronic map.

1. 지번을 기반으로 한 계획정보의 통합1. Integration of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number

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종래의 시스템이 계층별로 다양하게 산재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데이터 체계와 관리부처 사이의 통합이 용이하지 않던 문제를 해결하도록 토지에 대한 전자지도에서의 지번을 기반으로 이 계획정보를 통합한다.Conventional systems that provide planning information are scattered across the hierarchy and integrate this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number in the electronic map of the land to solve the problem that integration between different data systems and management departments was not easy. do.

2.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2. Automatic extraction of the number related to the plan information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를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표시하고 이 전자지도를 통해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지번을 추출한다. 전자지도는 다수의 격자로 세분되 고 이 격자의 중심점이 계획정보 또는 필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한다.The land for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is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electronic map, and the land number related to the plan information is extracted through this electronic map. The electronic map is sub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ids, and the center number of the grid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ncluded in the plan information or the parcel, and the number associated with the pla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extracted.

3. 계획정보와 지번의 인덱스 배열 생성3. Create index array of plan information and number

계획정보와 전자지도를 통해 자동추출된 지번을 이용하여 지번을 이용한 계획정보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행렬의 형태로 형성한다. 이 배열은 연결리스트(Linked Lists)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lan number-number index index array is formed in the form of a matrix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trieval of plan information using the number by using the plan information and the number automatically extracted through the electronic map. This array can be constructed using the Linked Lists data structure.

4.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4. Calculation of parcel coverage in relation to plan information

토지이용 계획에 필지의 일부가 포함된 토지에 대하여 전자지도에서의 해당 지번의 필지정보가 어느 정도 계획정보에 포함되었는지를 계산하여 포함도를 산출한다.For the land that contains part of the parcel in the land use plan, the degree of inclusio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extent to which the parcel information of the relevant site in the electronic map is included in the plan information.

5. 지번을 통해 검색된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 통합 제공5. Provide integrated planning information or development guidelines retrieved through the branch number

계획정보에 포함된 계획, 법규, 제한 등의 다양한 요소에 따른 개발지침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지번을 통해 검색된 계획정보와 그에 따른 개발지침을 통합하여 제공한다. 계획정보와 연계하여 개발지침을 저장하되 상기한 요소별로 세분하여 관리한다.Development guideline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plans, regulations, restrictions, etc. included in planning information is built into database, and plan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branch number and development guideline accordingly are provided. The development guidelin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lan information, but managed in detail by the above factors.

본 발명에 의한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using branch numb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전자지도와 연계되어 입력된 계획정보로부터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하게 함으로써 지번을 기반으로 계획정보를 통합하기 위해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을 수동으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며 지번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계층의 계획정보를 통합하기 용이하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1. The error that can occur in the input process by eliminating the hassle of manually inputting the number related to the plan information in order to integrate the plan information based on the number by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number from the plan information entered in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map. Minimize the number and make it easy to integrate the planning information of various layers based on the number.

2.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형성함으로써 지번을 통한 계획정보의 검색속도를 증가시키고, 연결리스트 자료구조를 이용할 경우 저장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추가되는 계획번호 또는 지번에 대한 수용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2. Increase the speed of retrieval of plan information through the number by forming the plan number-number index index and increase the flexibility of accepting additional plan numbers or numbers while saving the storage space when using the linked list data structure. Generates.

3. 지번을 기반으로 한 계획정보의 통합을 수행함으로써, 개발자는 지번과 관련된 계획정보 또는 그에 따른 개발지침을 통합하여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고 새로운 계획을 수립할 지역의 현황에 맞게 해당 계획을 조정하기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3. By integrating the plan information based on the number, the developer can easily integrate and verify the pla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r the development guidelines accordingly, and adjust the plan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region where the new plan will be developed. It produces the effect of facilitating.

4. 세분된 격자에 대한 중심점을 사전에 모두 산출하고 이 중심점을 동일한 필지정보에 포함되는 것끼리 구분하는 과정을 거치게 하는 경우, 필지의 지번 추출을 모든 중심점에서 반복하지 않고 이미 추출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정보에 포함된 중심점에 대하여는 지번추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여 지번 추출을 간략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격자의 크기와 모양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이용되는 경우, 개발정보 통합시스템의 프로세스 처리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4. If the center points for the subdivided grid are calculated in advance and the center points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included in the same parcel information, the parcel numbering of the parcels is not repeated at all the center point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included in the parce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process, thereby generating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size and shape of the grid is not changed,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process processing burden of the integrated 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

5. 전자자도에서의 두 영역 사이의 포함도를 산출함으로써 토지이용 개발을 위한 보다 정확한 자료를 개발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토지이용 계획들 사이의 적절한 조절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5. It is advantageous to provide developers with more accurate data for land use development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inclusion between the two domains in the electronic map, and to make it easier to make appropriate adjustments between land use plans. have.

6. 특정한 계획정보에 관련된 특정한 필지의 포함도를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원소로 저장하는 경우 저장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가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6. When the inclusion of specific parcels related to specific planning information is stored as elements of the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pace for storage can be minimized and the availability of the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can be increased.

7. 계획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요소에 대응되는 개발지침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발지침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개발지침 생성을 모듈화하여 계획정보의 증가에 따른 개발지침의 증가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7. Build development guidelines corresponding to each element included in the planning information into a separate database and generate the development guidelines by using them, thereby minimizing the increase of the development guidelines by increasing the planning information by modularizing the development guidelines. It is effective to le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BEST MOD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개발정보 통합시스템 1.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발정보 통합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은 계획정보 입력부(210), 지번추출부(220), 계획정보 DB(230), 계획정보 검색부(250), 개발지침 제공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200 includes a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a branch extracting unit 220, a plan information DB 230, a plan information search unit 250, and a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먼저, 계획정보 입력부(210)는 행정법규 시스템(110), 토지이용계획 시스템(120), 도시개발 관리시스템(130) 등으로부터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 법규, 이용행태 등을 포함한 계획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계획정보의 입력 과정에서 전자지도 시스템(190)을 이용하여 상기한 계획정보와 관련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연계되어 계획정보 DB(Database)(230)에 저장된다. 이 계획정보 입력부(210)는 전자지도 시스템(190)에서 제공받은 CAD(Computer-Aided Design) 형태 등의 전자지도를 제시하고 이 전자지도에 상기한 계획정보와 관련된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미리 준비된 상기한 계획정보의 경계선 등이 입력된 파일을 전송받도록 하여 상기한 계획정보를 전자지도와 연계되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includes a plan including laws, regulations, usage behavior, etc. related to the use or development of land from the administrative law system 110, the land use planning system 120, the urban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130, and the like. Receive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plan information, it is stored in the plan information DB (Database) 230 in association with an area i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related to the plan information by using the electronic map system 190. The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presents an electronic map, such as a computer-aided design (CAD) form provided by the electronic map system 190, and displays an area related to the plan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or prepares in advance. The boundary information of the pla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input file so that the plan informat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map.

이와 같이 입력된 계획정보에는 고유한 번호인 계획번호를 부여하여 다른 계획정보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며, 계획정보에 따른 다양한 개발지침도 계획정보의 요소별로 나누어 이 계획정보 DB(230)에 저장된다. 이 개발지침으로는 계획정보가 그대로 이용되기도 하고, 계획정보에 포함된 계획, 법규, 이용행태 등의 각각의 요소에 따른 별도의 규제사항, 지침 등이 이용되기도 한다.The plan information entered as described above is assigned a plan number, which is a unique number,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lan information, and various development guidelines according to the plan information are also divided into elements of plan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plan information DB 230. . The development guideline may use the plan information as it is, or separate regulations and guidelines may be used depending on each element of the plan, regulations, and usage behavior included in the plan information.

지번추출부(220)는 상기한 계획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받은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으로부터 이 영역에 포함된 필지정보의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상기한 필지정보는 지적도에서의 필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에 대한 경계선과 그 필지에 해당하는 지번, 지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지번은 상기한 계획정보와 연계되어 계획정보 DB(23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한 계획정보에 부여된 계획번호와 추출된 지번에 대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행렬의 형태로 생성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연결리스트(Linked Lists)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계획정보 DB(230)에 저장하도록 하기도 한다.The branch number extracting unit 220 automatically extracts the branch number of parce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gion from the region of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is designated. The parce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boundary line of an area i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parcel in the cadastral map, and a number, a category,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parcel. The number extract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plan information DB 230 in association with the plan information. In addition, a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for the plan number and the extracted number is given in the form of a matrix, and in some cases, the plan information DB (Linked List) data structure is used. 230 may be stored.

계획정보 DB(230)는 상기한 계획정보, 계획에 따른 개발지침, 전자지도 연계정보, 추출된 지번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The plan information DB 230 stores and manages the plan information, development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plan, electronic map linkage information, extracted branch numbers, and the like.

계획정보 검색부(250)는 지번을 이용하여 상기 지번추출부(220)에 의해 생성 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통한 계획정보의 검색을 수행한다. 검색된 계획정보의 리스트에서 선택된 계획정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통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개발지침 제공부(260)는 상기 계획정보 검색부(250)에서 검색된 지번과 관련된 계획정보의 각각의 요소에 따른 개발지침을 종합하여 제공한다. The plan information search unit 250 searches for plan information through the plan number-number index index array generated by the branch extracting unit 220 using the number.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te and confirm the details of the selected plan information from the list of retrieved pla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guide provider 260 provides the development guide according to each element of the pla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retrieved by the plan information search unit 250.

관리자(20)는 관리단말(290)을 통해 상기한 계획정보를 입력하고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을 관리한다. 도 1에서는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과 관리단말(290)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개념적인 것이고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개발자(30)는 조회단말(300)을 통해 토지이용 계획을 수립 또는 시행하기 위해 상기한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을 이용하며, 행정가, 토지소유주, 건축가 등을 포함한다. 조회단말(30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통신망을 통해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에 연결되며, 각각의 부처에서 수립한 토지이용 계획을 직접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에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manager 20 inputs the plan information through the management terminal 290 and manages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200. In FIG. 1,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200 and the management terminal 290 are illustrated separately, but it is conceptual and may be physically provided in one system. In addition, the developer 30 uses the above-described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200 to establish or execute a land use plan through the inquiry terminal 300, and includes an administrator, a landowner, an architect, and the like. The inquiry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and directly uses the land information plan established by each department to develop a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 Of course, you can also enter (200).

2.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2.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Use Planning Information Using Lot Number Extraction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의 실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전자지도를 도시한다. 전자지도(5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지에 대한 경계선(510), 지번(530), 지목(550)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필지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Hereinafter,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using branch number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using branch number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n electronic ma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electronic map 500 visually displays parce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a boundary line 510, a branch number 530, a branch tree 550, and the like.

먼저,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은 전자지도(500)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토지이용 계획정보를 입력받는다(S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연계된 전자지도를 도시한다.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500)에서의 영역을 계획 경계선(610)으로 구분하여 전자지도(500)와 연계시킨다. 도 4는 전자지도(500)에 연계되어 자연환경보전지역, 도로예정지구, 하수처리구역 등이 계획정보로 입력된 것을 도시한다. 자연환경보전지역은 계획 경계선 P1, 도로예정지구는 계획 경계선 P2, 하수처리구역은 계획 경계선 P3으로 각각 표시되었다.First, th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using the land number extraction receives land use plan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an area in the electronic map 500 (S100). 4 illustrates an electronic map associated with pla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n the electronic map 500 corresponding to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is divided by the plan boundary line 610 and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map 500. 4 shows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zone, road planned district, sewage treatment zone, etc. are input as plan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map 500.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is indicated by the planned boundary P1, the planned road area by the planned boundary P2, and the sewage treatment area by the planned boundary P3.

이와 같이 전자지도(500)와 연계되어 입력되는 계획정보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계획정보 DB(230)에서 고유한 번호인 계획번호를 부여받아(S150) 계획정보 DB(230)에 저장된다. 이 계획번호는 계획정보 DB(230)에서 중복되지 않는 것이면 되고, 관리자(20)가 임의로 부여하거나 시스템에서 랜덤하게 생성하여 부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연환경보전지역은 RN-001, 도로예정지구는 TR-034, 하수처리구역은 AS-027의 계획번호를 부여받았다.The plan information input in association with the electronic map 500 is given a plan number which is a unique number from the plan information DB 2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S150) and stored in the plan information DB 230. The plan number may not be duplicated in the plan information DB 230, and may be randomly assigned by the manager 20 or randomly generated by the system. As shown in Figure 4,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zone RN-001, the road planned district TR-034, the sewage treatment zone has been assigned the plan number of AS-027.

이어서, S100 내지 S150을 통해 입력받은 계획정보에 포함되는 필지의 지번을 상기한 전자지도(500)를 통해 추출한다(S200). 이 S200은 입력된 계획정보로부터 지번을 자동으로 추출하게 해 주는 것으로서 다양한 계층의 계획정보를 통합하기 용이하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추후 ‘3.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추출된 계획정보에 포함되는 필지의 지번을 계획정보 DB(230)에 상기 계획정보의 계획번호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 DB의 모식도이다. 입력된 계획정보의 계획번호(700)와 전자지도(500)를 통해 추출된 지번이 연계되어 저장되고, 계획이름, 계획종류, 계획정보에 대한 경계선 정보 등이 더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arcel number of the parcel included in the pla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100 to S150 is extracted through the electronic map 500 (S200). This S200 is to automatically extract the branch number from the inputted planning informa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integrate the planning information of the various layers, '3. Automatic extraction of the number related to the pla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arcel number of the parcel included in the extracted pla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lan information DB 230 in association with the plan number of the plan informa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lanning information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 number 700 of the input plan information and the branch number extracted through the electronic map 500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plan name, plan type, and boundary line information about the plan information may be further stor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모식도이다. 도 5을 통해 설명한 계획정보 DB(230)의 데이터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계획정보는 여러 지번에 걸쳐 지정되고 이 각각의 계획정보에 포함된 지번 또한 중복되어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계획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계획번호와 필지를 식별할 수 있는 지번을 이용하여 행렬 형태의 인덱스 배열을 형성한다(S300). 이렇게 함으로써 지번을 통한 계획정보의 검색을 더욱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 number-number index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ata of the plan information DB 2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each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over several branches, and the numbers included in the respective plan information may also appear to overlap. Forming an index array in the form of a matrix by using a plan number to identify the number and the number to identify the parcel (S30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retrieval of the planning information through the branch more quickly.

계획정보 DB(230)에 저장된 전체 계획정보와 필지정보에 대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행렬의 원소의 값이 드물게 나타나는 희소행렬(Sparse Matrix)의 형태가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이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은 연결리스트(Linked Lists)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저장되고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소행렬 및 연결리스트 자료구조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형태의 인덱스 배열은 지번을 기반으로 한 계획정보의 검색을 더욱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연결리스트 자료구조를 이용할 경우 저장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추가되는 계획번호(700) 또는 지번(530)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As shown in FIG. 6, the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for the overall plan information and parcel information stored in the plan information DB 230 is in the form of a sparse matrix in which the values of elements of the matrix are rare. In this case, the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is preferably stored and managed using a linked list data structure. Sparse matrix and linked list data structure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here. This type of index array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search the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number more quickly, and the plan number (700) or the number is added while saving the storage space when using the linked list data structure. It produces an effect that can flexibly accommodate 530.

이렇게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이 형성되고 나면, 지번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관련된 계획정보를 검색(S400)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검색된 계획정보로부터 관련된 개발지침을 생성(S450)하고, 입력받은 지번과 관련된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을 제공한다(S500). 이 S400 내지 S500을 통해 개발자(30)는 지번과 관련된 계획정보 또는 그에 따른 개발지침을 통합하여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고 새로운 계획을 수립할 지역의 현황에 맞게 해당 계획을 조정하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추후 ‘5.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의 통합 제공’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fter the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is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quickly search for related plan information using the number (S400). The development guidance is generated from the retrieved plan information (S450), and the plan information or development guidance associated with the input number is provided (S500). Through the S400 to S500, the developer 30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verification by integrating the plan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r the development guidelines accordingly, and adjusting th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region where the new plan is to be established. , Later '5. Integration of planning information or development guidelines ”.

3.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3. Automatic extraction of number related to plan information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 된 지번의 자동추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 방법의 실시 순서도이다. 먼저, 전자지도(500)를 다수의 격자(grid)로 세분한다(S21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격자로 세분된 전자지도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격자로 세분하였으나 지번 추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육각형 등의 다른 형태의 격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크기와 모양이 변하는 가변형 격자로 세분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automatically extracting a branch associated with pla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a branch associated with pla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electronic map 500 is sub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ids (S210). 8 illustrates an electronic map subdivided into multiple grid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although the subdivision is divided into square grids of the same size, other types of grids, such as a regular hexagon, may be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branch number extraction, and in some cases, may be subdivided into variable grids of varying size and shape.

또한, S210은 계획정보와 관련된 범위에 한정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드의 크기는 계획정보 또는 필지정보를 나타내는 영역보다 작게 하여 지번 추출의 정확도를 보장하여야 하고, 그 크기를 작게할 수록 정확도가 증가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그리드를 너무 작게 하면 지번추출을 위한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부담이 가중되므로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의 성능을 고려하여 격자의 크기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210 is preferably to be limited to the range associated with the planning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grid should be smaller than the area representing the planning information or parcel information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number extraction, the smaller the size the more accurate It is natural to increase. However, if the grid is made too small, the burden for processing the process for extracting the number of places is increased, so that the size of the grid is preferab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200.

이어서, 세분된 격자의 중심점을 산출한다(S220).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격자로 전자지도(500)를 세분하였으므로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대한 2차 평면에서의 좌표가 각각 (a, b), (a, d), (c, b), (c, d)라고 할 때 그 무게중심에 대한 2차 평면에서의 좌표는 ((a+c)/2, (b+d)/2)가 되며, 이 무게중심을 세분된 격자의 중심점으로 이용하게 된다. 격자의 모양이 정육각형 등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중심점을 산출하는 방법도 달라지게 됨은 당연하며 그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격자에 대한 넓이도 같이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center point of the subdivided grating is calculated (S220).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8.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nic map 500 is subdivided into square grids of the same size, the coordinates in the second plane for the vertices of the square are (a, b), (a, d), (c, b, respectively). ), (c, d), the coordinate in the second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is ((a + c) / 2, (b + d) / 2), which is the center of gravity It will be used as a center point. When the shape of the lattice is made of other shapes such as regular hexagons,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enter point will also be different. If the size is changed,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width of each lattice as well.

이와 같이, 격자의 중심점이 산출되면 이 격자에 대한 중심점의 좌표가 계획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판별한다(S2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점 포함여부 판별원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계획 경계선(610)에 대한 중심점 C1(v, w)의 포함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우선 2차원 평면에서 중심점 C1(v, w)에 대한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연장선과 계획 경계선(610)과의 최근접 교점의 좌표를 각각 2개씩 구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점 C1(v, w)의 연장선에 대한 x축 방향으로의 최근접 교점 두개는 각각 X1(x1, w), X2(x2, w)가 되고 y축 방향으로의 최근접 교점 두개는 각각 Y1(v, y1), Y2(v, y2)가 된다. 이렇게 구해진 각 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1의 두 조건이 모두 참일 때 중심점 C1(v, w)이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enter point of the grid is calcul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point for the grid are included in the planning information (S230).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whether a center point is in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enter point C1 (v, w) is included in the planning boundary 610, first, the extension line and the planning boundary line 610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C1 (v, w) in the two-dimensional plane. Find two coordinates of the nearest intersection point with). As shown in FIG. 10, the two nearest points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ine of the center point C1 (v, w) become X1 (x1, w) and X2 (x2, w), respectively, and the nearest point in the y-axis direction. The two intersections are Y1 (v, y1) and Y2 (v, y2), respectively. Using the coordinates of each point thus obtained,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point C1 (v, w) is included in the plan boundary line 610 when both conditions of Equation 1 below are true.

x1 < v ≤ x2 ------ ①x1 <v ≤ x2 ------ ①

y1 < w ≤ y2 ------ ②y1 <w ≤ y2 ------ ②

이 경우 ①은 참이나 ②가 거짓이 되어 중심점 C1(v, w)은 계획경계선(610)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 격자에 대하여 S220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① may be true, but ② may be false, and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center point C1 (v, w) is not included in the plan boundary line 610. In this case, S220 is performed for the next lattice.

S230의 결과 격자의 중심점이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된다고 판별된 경우 이 중심점이 포함된 필지의 지번을 추출한다(S250). 도 10의 중심점 C2(x, y)는 S230의 결과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된다고 판별된 후, 중심점 C2(x, y)가 포함된 필지정보를 확인하고 이 필지정보에 포함된 지번을 추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중심점 C2(x, y)가 포함된 필지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S230에서 중심점이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즉, 중심점 C2(x, y)의 연장선에 대한 x축 방향으로의 최근접 교점 두개는 각각 X3(x3, y), X4(x4, y)가 되고 y축 방향으로의 최근접 교점 두개는 각각 Y3(x, y3), Y4(x, y4)가 된다. 이렇게 구해진 각 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2의 두 조건이 모두 참일 때 중심점 C2(x, y)가 143-21의 지번을 가지는 필지에 대한 경계선(510)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er point of the resultant grid of S230 is included in the plan boundary 610, the number of the parcel including the center point is extracted (S250). 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er point C2 (x, y) of FIG. 10 is included in the result plan boundary line 610 of S230, it checks the parcel information including the center point C2 (x, y) and extracts the number included in the parcel information. The process of doing so is illustrated. The method of confirming parcel information including the center point C2 (x, y)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checking whether the center point is included in the plan boundary line 610 in S230. That is, the two nearest intersections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ine of the center point C2 (x, y) become X3 (x3, y) and X4 (x4, y), respectively, and the two nearest intersections in the y-axis direction are respectively. Y3 (x, y3) and Y4 (x, y4). By using the coordinates of each point thus obtained,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point C2 (x, y) is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510 for the parcel having the branch number of 143-21 when both conditions of Equation 2 below are true.

x3 < x ≤ x4 ------ ③x3 <x ≤ x4 ------ ③

y3 < y ≤ y4 ------ ④y3 <y ≤ y4 ------ ④

이 경우 ③과 ④가 모두 참이 되어 중심점 C2(x, y)는 해당 필지에 대한 경계선(510)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 필지정보에 대한 포함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도 중심점 C2(x, y)에 가까운 필지정보에 대해서만 확인하도록 그 범위를 제 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중심점 C2(x, y)가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되고 143-21의 지번을 가지는 필지에 대한 경계선(510)에도 포함되는 것이 확인되면, 계획 경계선(610)에 해당하는 계획정보의 계획번호와 연계하여 상기 필지정보에 포함된 143-21의 지번이 저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both ③ and ④ become true, and the center point C2 (x, y) is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510 for the parcel. In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parce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rcel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range so as to check only parcel information close to the center point C2 (x, 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enter point C2 (x, y) is included in the planning boundary 610 and also included in the boundary line 510 for the parcel having the number of 143-21, the planning of the plan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nning boundary 610 is performed. The number of 143-21 included in the parcel information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number.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계획 경계선(610)과 관련된 계획정보의 계획번호가 AS-027이라고 하면 상기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에서 계획번호 AS-027과 지번 143-21에 해당하는 원소에 ‘1’을 저장한다. 만약 해당 계획번호 또는 지번이 상기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에 없다면 해당 계획번호 또는 지번을 추가하여 저장하게 된다.If a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is formed, if the plan number of the pla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lan boundary 610 is AS-027, the plan number AS-027 and the number 143-21 in the plan number-index index array are set. Store '1' in the corresponding element. If the plan number or branch number is not in the plan number index number array, the plan number or branch number is added and stored.

또한, 중심점 C3에 대해서도 상기한 과정을 통해 지번추출을 수행하게 되는데, 우선 중심점 C3는 계획 경계선(610)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되어 이 중심점 C3가 포함된 필지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상기한 중심점 C2(x, y)가 포함된 143-21의 지번을 가지는 필지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다른 지번을 가진 인접한 필지정보에는 포함될 것이므로 다른 필지에 대한 경계선을 이용하여 중심점 C3가 포함된 필지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In addition,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for the center point C3. First, the center point C3 is determined to be included in the plan boundary 610, and the parcel information including the center point C3 will be checked. Since it is not included in the parcel having the number of 143-21 including the center point C2 (x, y), it will be included in the contiguous parcel information having the other branch number, so that the parcel information including the center point C3 is used by using the boundary line for other parcels. Confirmation process

이와 같은 자동 지번추출 방법은 지번을 기반으로 계획정보를 통합하기 위해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을 수동으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계획정보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is automatic branch extraction method eliminates the hassle of manually inputting the bran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nning information in order to integrate the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branch number, and minimizes the errors that may occur in the input process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the planning information. There is.

한편, 세분된 격자에 대한 중심점을 사전에 모두 산출하고 이 중심점을 동일한 필지정보에 포함되는 것끼리 구분하는 과정을 거치게 하는 경우, S250에 의한 필지의 지번 추출을 모든 중심점에서 반복하지 않고 이미 추출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정보에 포함된 중심점에 대하여는 지번추출 과정을 생략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격자의 크기와 모양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이용되는 경우, 격자의 필지정보에 대한 포함여부의 확인을 계획정보를 입력할 때마다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변화가 적은 필지정보의 특성을 고려할 때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의 프로세스 처리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를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center points for the subdivided grid are all calculated in advance and the center points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included in the same parcel information, the extraction of the parcel number of the parcels by S250 is not repeated at all the center points. For the center point included in the parc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ranch number,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process may be omitted. When the size and shape of the grid is used constantly, it is not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gri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grid information every time the plan information is input. It produce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cessing burden of the system 200.

4.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4. Calculation of parcel coverage in relation to plan informa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원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 과정은 상기한 ‘3.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에서 계획정보에 포함된 것으로 추출된 지번의 필지정보에 포함된 중심점에 대해서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계획정보와 다른 계획정보 사이의 포함도를 포함하여 두 영역 사이의 중첩도를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degree of inclusion of parcels associated with the pla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parcel coverage included in this plan information is described in '3. It is preferable to perform only the center point included in the parcel information of the branch number extracted as included in the plan information in the 'automatic extraction of the branch number related to the plan information'. Although a method of calculating the degree of inclusion of the parcel associated with the plan information is described he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used to calculate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 two areas, including the degree of inclusion between plan information and other plan information.

먼저, 특정한 영역 X에 포함된 격자의 중심점의 집합을 Center(X)라고 하고, 특정한 집합 S에 포함된 원소의 개수를 N[S]라고 하면, 영역 B가 영역 A에 속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포함도(A, B)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First, a set of center points of a lattice included in a specific area X is called Center (X), and the number of elements included in a specific set S is N [S]. (A, B)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3 below.

포함도(A, B) = N[Center(A) ∩ Center(B)] / N[Center(B)]Coverage (A, B) = N [Center (A) ∩ Center (B)] / N [Center (B)]

이 포함도는 0 이상, 1 이하의 값을 가지며, 0은 포함되지 않음을, 1은 모두 포함됨을 의미한다. 여기에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렇게 산출된 특정한 계획정보에 관련된 특정한 필지의 포함도는 상기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원소로 저장되게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저장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가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degree of inclusion has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less than or equal to 1, where 0 is not included and 1 is included. It can also be multiplied by 100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The degree of inclusion of the specific parcels related to the specific plan information thus calculated may be stored as an element of the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in which case the space for storage is minimized and the availability of the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is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creased.

도 11에서의 142-3의 지번을 가진 필지정보는 AS-027의 계획정보에 그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서, 142-3의 지번을 가진 필지의 경계선에 그 중심점이 포함되는 격자의 개수는 모두 78개이고 그 중에서 17개가 AS-027의 계획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되었다. 따라서, 142-3의 지번을 가지는 필지정보의 AS-027의 계획정보에 대한 포함도는 ‘17/78 = 0.22’와 같이 계산된다. 백분율로 나타내면 22%가 된다.The parcel information with the number 142-3 in FIG. 11 includes a part of the plan information of AS-027, and the number of the lattice including the center point is 78 in the boundary line of the parcel with the number 142-3. And 17 of them were determined to be included in the planning information of AS-027. Therefore, the degree of inclusion of the plan information of AS-027 of the parcel information having the number of 142-3 is calculated as '17 / 78 = 0.22 '. The percentage is 22%.

이와 같은 포함도 산출 방법을 통해 필지의 일부가 토지이용 계획에 포함된 경우의 그 포함도를 산출하여 보다 정확한 자료를 개발자(3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계획정보 사이의 중첩도를 산출하여 새로운 토지이용 계획을 수립할 경우 그 범위를 적절히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토지이용 계획들 사이의 적절한 조절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is inclusion calcula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the developer 30 with more accurate data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inclusion when a part of the parcel is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and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various plan information. If the new land use plan is formulated, it is effective to designate the range appropriately and to facilitate the appropriate adjustment between the existing land use plans.

5. 계획정보 또는 개발지침의 통합 제공5. Providing integration of planning information or development guidelines

상기한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을 이용하여 지번을 이용한 계획정보의 검색을 신속하게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검색된 계획정보를 리스트로 제공하고 이 리스트에서 특정 계획정보를 선택하면 그 상세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색한 지번에 해당하는 필지에 관련된 모든 계획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계획정보로부터 개발자(30)가 준수해야할 개발지침을 종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By using the plan number-number index array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quickly integrate the search of plan information using the number, and provide the searched plan information as a list and select specific plan information from the list. You can provide information. In addition, all plan information related to parcels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number can be searched, and the development instructions to be followed by the developer 30 can be generated from the searched plan information.

이 개발지침의 생성을 위해서는 계획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요소에 대응되는 개발지침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발지침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모든 계획정보에 대한 별도의 개발지침을 저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한 데이터베이스는 논리적으로 별도로 구분되면 충분하고 물리적으로 상기한 계획정보 DB(230)에 같이 위치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개발지침 생성을 모듈화하여 계획정보의 증가에 따른 개발지침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order to generate this development guideline, the development guideline corresponding to each element included in the planning information is constructed as a separate database, and the development guideline is generated by using the development guideline, thereby saving the separate development guideline for all the planning information. It can reduce the burden. Naturally, the above-mentioned database is sufficient if it is divided separately and can be physically located together in the plan information DB 230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e modularization of the development guideline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increase of the development guidelin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pla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발정보 통합시스템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의 실시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using branch number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전자지도.3 is an electronic map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연계된 전자지도.4 is an electronic map associated with the plan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 DB의 모식도.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lanning information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획번호-지번 인덱스 배열의 모식도.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 number-number index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된 지번의 자동추출 방법의 실시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a branch associated with pla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격자로 세분된 전자지도.8 is an electronic map sub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id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점 포함여부 판별원리를 도시한 모식도.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center point inclu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획정보와 관련된 필지의 포함도 산출원리를 도시한 모식도.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degree of inclusion of parcels associated with the plan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삭제delete 계획정보 입력부(210), 지번추출부(220), 계획정보 검색부(250) 및 개발지침 제공부(260)를 포함하는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에서 실행되는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executed in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200 including a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branch extracting unit 220, plan information search unit 250 and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As 상기 계획정보 입력부(210)가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 상기 전자지도는 토지를 적어도 고유한 지번을 가진 필지정보로 구분하여 전자기기에 이미지로 표시한 것 또는 상기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정보이다. - 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입력받고 상기 계획정보에 대하여 계획번호 - 상기 계획번호는 상기 계획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유번호이다. - 를 부여하는 계획정보 입력과정;An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assigned, where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includes plan related to the land use or development-the electronic map divides the land into parcel information having at least a unique land number; To display the image on the electronic device or digital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image. -A plan number for the plan information received in association with the area in-the plan number is a unique number that allows the plan information to be identified. A process of inputting plan information to grant-; 상기 지번추출부(220)가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에 대한 지번을 추출하는 지번 추출과정;The branch number extracting unit 220 extracts the branch number for the parcel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that overlaps the area o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and, the plan information input in the planning information input process. ; 상기 지번추출부(220)가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부여된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필지정보에 대한 상기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을 형성하는 인덱싱과정;An indexing process in which the branch extracting unit 220 indexes the plan number for the plan information given 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process and the branch number for the parcel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process to form an arrangement; 상기 계획정보 검색부(250)가 특정한 토지의 지번을 입력받아 상기 인덱싱과정에서 형성된 상기 배열을 통해 상기 지번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한 토지에 지정된 계획정보를 검색하는 계획정보 검색과정;A plan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of the plan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0 for receiving a site number of a specific land and retrieving pla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specific land corresponding to the site number through the arrangement formed in the indexing process; 상기 개발지침 제공부(260)가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한 개발지침을 생성하는 개발지침 생성과정;을 포함하되,And a development guide generatio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to generate a development guideline for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by using the plan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plan information search process. 상기 지번 추출과정은,The branch number extraction process, 상기 전자지도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 또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격자로 세분하는 전자지도 그리딩과정;An electronic map drawing process of dividing the electronic map into a plurality of grids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area i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or the parcel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map; 상기 전자지도 그리딩과정에서 세분된 상기 격자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를 산출하는 중심점 산출과정;A center point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coordinates for a center point of the grid subdivided in the electronic map drawing process; 상기 중심점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상기 격자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가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격자가 지시하는 토지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로 판별하는 포함여부 판별과정;When the coordinates for the center point of the grid calculated in the center point calculation process is included in the area of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designated by the plan information, the land indicated by the grid is determined as the land designated by the plan information. Determination of inclusion; 상기 포함여부 판별과정에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로 판별된 상기 토지를 지시하는 상기 격자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것으로 판별하는 중첩 판별과정;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designated by the plan information includes parcel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map including coordinates of a center point of the grid indicating the land, in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as the designated land in the inclusion process. An overlapping judging step for judging that it overlaps with the region i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ning information using lan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중심점 산출과정에서의 상기 중심점은,The center point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center point, 상기 전자지도의 평면상에서 상기 격자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격자의 무게중심에 대한 좌표가 상기 중심점에 대한 좌표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And coordinates fo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rid calculated using the vertices of the grid on the plane of the electronic map are used as coordinates for the center point.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중첩 판별과정 이후에,After the overlap determination process,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것으로 판별된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임의의 한 필지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격자 중에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임의의 한 필지정보의 포함도를 산출하는 포함도 산출과정;I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and, among all grids included in any one parcel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map determined that the planning information overlaps with the area i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and. An inclusion degree calculation process of calculating an inclusion degree of the arbitrary parcel information for the plan information by calculating a ratio of a grid included in an area of the plan information;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use planning information using land extraction, further comprising a. 계획정보 입력부(210), 지번추출부(220), 계획정보 검색부(250) 및 개발지침 제공부(260)를 포함하는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에서 실행되는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executed in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200 including a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branch extracting unit 220, plan information search unit 250 and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As 상기 계획정보 입력부(210)가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 상기 전자지도는 토지를 적어도 고유한 지번을 가진 필지정보로 구분하여 전자기기에 이미지로 표시한 것 또는 상기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정보이다. - 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입력받고 상기 계획정보에 대하여 계획번호 - 상기 계획번호는 상기 계획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유번호이다. - 를 부여하는 계획정보 입력과정;An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assigned, where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includes plan related to the land use or development-the electronic map divides the land into parcel information having at least a unique land number; To display the image on the electronic device or digital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image. -A plan number for the plan information received in association with the area in-the plan number is a unique number that allows the plan information to be identified. A process of inputting plan information to grant-; 상기 지번추출부(220)가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에 대한 지번을 추출하는 지번 추출과정;The branch number extracting unit 220 extracts the branch number for the parcel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that overlaps the area o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and, the plan information input in the planning information input process. ; 상기 지번추출부(220)가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부여된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필지정보에 대한 상기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을 형성하는 인덱싱과정;An indexing process in which the branch extracting unit 220 indexes the plan number for the plan information given 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process and the branch number for the parcel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process to form an arrangement; 상기 계획정보 검색부(250)가 특정한 토지의 지번을 입력받아 상기 인덱싱과정에서 형성된 상기 배열을 통해 상기 지번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한 토지에 지정된 계획정보를 검색하는 계획정보 검색과정;A plan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of the plan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0 for receiving a site number of a specific land and retrieving pla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specific land corresponding to the site number through the arrangement formed in the indexing process; 상기 개발지침 제공부(260)가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한 개발지침을 생성하는 개발지침 생성과정;을 포함하되,And a development guide generatio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to generate a development guideline for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by using the plan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plan information search process. 상기 인덱싱과정에서의 상기 배열은,The arrangement in the indexing process,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에 대한 행렬로 구성되며, 연결리스트(Linked Lists)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And a matrix of the plan number and the land number, and using the linked list data structure, wherein the land management plan information is managed using land number extraction. 삭제delete 계획정보 입력부(210), 지번추출부(220), 계획정보 검색부(250) 및 개발지침 제공부(260)를 포함하는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에서 실행되는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executed in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200 including a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branch extracting unit 220, plan information search unit 250 and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As 상기 계획정보 입력부(210)가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 상기 전자지도는 토지를 적어도 고유한 지번을 가진 필지정보로 구분하여 전자기기에 이미지로 표시한 것 또는 상기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정보이다. - 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입력받고 상기 계획정보에 대하여 계획번호 - 상기 계획번호는 상기 계획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유번호이다. - 를 부여하는 계획정보 입력과정;An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assigned, where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includes plan related to the land use or development-the electronic map divides the land into parcel information having at least a unique land number; To display the image on the electronic device or digital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image. -A plan number for the plan information received in association with the area in-the plan number is a unique number that allows the plan information to be identified. A process of inputting plan information to grant-; 상기 지번추출부(220)가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에 대한 지번을 추출하는 지번 추출과정;The branch number extracting unit 220 extracts the branch number for the parcel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that overlaps the area o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and, the plan information input in the planning information input process. ; 상기 지번추출부(220)가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부여된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필지정보에 대한 상기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을 형성하는 인덱싱과정;An indexing process in which the branch extracting unit 220 indexes the plan number for the plan information given 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process and the branch number for the parcel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process to form an arrangement; 상기 계획정보 검색부(250)가 특정한 토지의 지번을 입력받아 상기 인덱싱과정에서 형성된 상기 배열을 통해 상기 지번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한 토지에 지정된 계획정보를 검색하는 계획정보 검색과정;A plan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of the plan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0 for receiving a site number of a specific land and retrieving pla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specific land corresponding to the site number through the arrangement formed in the indexing process; 상기 개발지침 제공부(260)가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한 개발지침을 생성하는 개발지침 생성과정;을 포함하되,And a development guide generatio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to generate a development guideline for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by using the plan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plan information search process.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정보가 검색된 경우에,When at least one plan information is found in the plan information search process, 상기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각각의 계획정보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Providing a list of the searched plan information and to check the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plan information, 상기 검색된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이 상기 전자지도에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And an area of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and to which the retrieved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so as to be displayed separately in the electronic map. 계획정보 입력부(210), 지번추출부(220), 계획정보 검색부(250) 및 개발지침 제공부(260)를 포함하는 개발정보 통합시스템(200)에서 실행되는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executed in the development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200 including a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branch extracting unit 220, plan information search unit 250 and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As 상기 계획정보 입력부(210)가 토지의 이용 또는 개발과 관련된 계획을 포함하는 계획정보를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 상기 전자지도는 토지를 적어도 고유한 지번을 가진 필지정보로 구분하여 전자기기에 이미지로 표시한 것 또는 상기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정보이다. - 에서의 영역과 연계하여 입력받고 상기 계획정보에 대하여 계획번호 - 상기 계획번호는 상기 계획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유번호이다. - 를 부여하는 계획정보 입력과정;An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assigned, where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includes plan related to the land use or development-the electronic map divides the land into parcel information having at least a unique land number; To display the image on the electronic device or digital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image. -A plan number for the plan information received in association with the area in-the plan number is a unique number that allows the plan information to be identified. A process of inputting plan information to grant-; 상기 지번추출부(220)가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전자지도에서의 필지정보에 대한 지번을 추출하는 지번 추출과정;The branch number extracting unit 220 extracts the branch number for the parcel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that overlaps the area on the electronic map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land, the plan information input in the planning information input process. ; 상기 지번추출부(220)가 상기 계획정보 입력과정에서 부여된 상기 계획정보에 대한 상기 계획번호와 상기 지번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필지정보에 대한 상기 지번을 인덱싱하여 배열을 형성하는 인덱싱과정;An indexing process in which the branch extracting unit 220 indexes the plan number for the plan information given in the plan information input process and the branch number for the parcel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branch number extraction process to form an arrangement; 상기 계획정보 검색부(250)가 특정한 토지의 지번을 입력받아 상기 인덱싱과정에서 형성된 상기 배열을 통해 상기 지번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한 토지에 지정된 계획정보를 검색하는 계획정보 검색과정;A plan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of the plan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0 for receiving a site number of a specific land and retrieving pla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specific land corresponding to the site number through the arrangement formed in the indexing process; 상기 개발지침 제공부(260)가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획정보가 지정된 토지에 대한 개발지침을 생성하는 개발지침 생성과정;을 포함하되,And a development guide generatio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guide providing unit 260 to generate a development guideline for the land to which the plan information is designated by using the plan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plan information search process. 상기 개발지침 생성과정 이전에,Before the development guideline generation process, 상기 계획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법규 또는 기준에 대응되어 준수되어야 하는 행위제한 또는 지침을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고, 상기 계획정보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상기 계획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법규 또는 기준에 대응되는 상기 행위제한 또는 상기 지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합하여 상기 개발지침 생성과정에서의 상기 개발지침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Prepare a restriction or guideline for action that is to be observed in response to each law or standard included in the plan information and provide it as a database, and correspond to each law or standard included in the plan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plan information search proces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 use plan information using the number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elopment guideline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evelopment guideline is generated by collecting the behavior restrictions or the guideline from the database.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7 or 8, 상기 지번 추출을 이용한 토지이용 계획정보의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land-use planning information using the number extraction is recorded.
KR1020090106043A 2009-11-04 2009-11-04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KR101086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43A KR101086446B1 (en) 2009-11-04 2009-11-04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43A KR101086446B1 (en) 2009-11-04 2009-11-04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165A KR20110049165A (en) 2011-05-12
KR101086446B1 true KR101086446B1 (en) 2011-11-25

Family

ID=4436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043A KR101086446B1 (en) 2009-11-04 2009-11-04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446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284B1 (en) * 2015-08-19 2015-11-24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with user orientation
KR101621430B1 (en)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with time series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common id information of same thematic maps data
KR101621427B1 (en)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order transmission
KR101621428B1 (en)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order merging
KR101621424B1 (en)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and shar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with user orientation for land suitability assessment
KR101632066B1 (en) * 2015-11-05 2016-06-20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common id information of same thematic maps data
KR101632065B1 (en) * 2015-08-19 2016-06-20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sharing thematic maps of urban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data-distributed processing
KR20160072861A (en) * 2014-12-15 2016-06-24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System for displaying carbon emission on the region planing model
KR102021308B1 (en)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uilding regulation information search system connected with a land lot nu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84B1 (en) 2016-01-19 2017-01-06 한국국토정보공사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natioal reference map using orthophotograph
KR102184048B1 (en) * 2018-07-10 2020-11-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51B1 (en) 2001-02-19 2004-08-04 김광우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it with computer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51B1 (en) 2001-02-19 2004-08-04 김광우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it with computer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861A (en) * 2014-12-15 2016-06-24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System for displaying carbon emission on the region planing model
KR101700648B1 (en) * 2014-12-15 2017-02-01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System for displaying carbon emission on the region planing model
KR101571284B1 (en) * 2015-08-19 2015-11-24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with user orientation
KR101632065B1 (en) * 2015-08-19 2016-06-20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sharing thematic maps of urban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data-distributed processing
KR101621430B1 (en)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with time series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common id information of same thematic maps data
KR101621427B1 (en)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order transmission
KR101621428B1 (en)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order merging
KR101621424B1 (en) *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and shar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with user orientation for land suitability assessment
KR101632066B1 (en) * 2015-11-05 2016-06-20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common id information of same thematic maps data
KR102021308B1 (en)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uilding regulation information search system connected with a land lot nu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165A (en)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446B1 (en)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Cheng et al. Automating utility route design and planning through GIS
CN114971597B (en) BIM-based calculated amount and metering payment road cost calcu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859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integrated information of land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AlSaggaf et al. ArcSPAT: an integrat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odel for site layout planning
Adebayo et al. Investigating retail property market dynamics through spatial accessibility measures
Medina et 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based pavement management system: a case study
KR101745321B1 (en) Method for providing analysis information of traffic impact assessment based on 3D spacial data
CN115063175A (en) Shop service range defining method, system,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JP4351230B2 (en) Design document data generation system and design document data generation method
JP6568989B1 (en) Fixed asset management system
KR102212140B1 (en)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civil engineering permit based on land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nd relation law
CN112990774A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mountain village and town development boundary demarcation, and storage medium
CN112883139A (en) Automatic checking method for spatial data and service data based on GIS vector calculation
KR20080080008A (en) A database for link of serch data in gis system, a serch method
CN115375107B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scale of sensing facility
Ogryzek Simulator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a tool for selecting the optimal use of land
US202202774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United States of America nationwide building code for all jurisdictions having authority to adopt and enforce building cod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jurisdiction with authority for building code adoption and enforcement at the location of real property and the supplying of the building code for real property to the user
Akin CAD/GIS integration: rationale and challenges
Al-Bayati et al.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raffic in Al-Mada’an city using rerouting technique
KR102648924B1 (en) Extracting method and system for buying residual land
Rabah et al. Customized standalone GIS-based tool for ground water quality assessment: Gaza Strip as a case study
CN107230176A (en) A kind of history resource points Relational Evaluation method based on envelope chart analysis
JP46984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ight to go in Go
Colomb et al. Parcel Manager: a parcel reshaping model incorporating design rules of residential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