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432B1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432B1
KR101086432B1 KR1020070026792A KR20070026792A KR101086432B1 KR 101086432 B1 KR101086432 B1 KR 101086432B1 KR 1020070026792 A KR1020070026792 A KR 1020070026792A KR 20070026792 A KR20070026792 A KR 20070026792A KR 101086432 B1 KR101086432 B1 KR 10108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station information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373A (ko
Inventor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4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각 역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가 각 역에 대한 식별기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동 수단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식별기호를 수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를 사용하여 현재의 역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여, 상기 결정된 역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수단에 인접해 있는 모바일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방법 중 하나인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현재의 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스피커가 아닌 이어폰으로 음향을 듣거나, 동영상이나 TV에 집중하기 때문에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방송하는 역 정보를 듣기 어려운 경우라도, 목적지를 지나쳐 버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Method for informing station information using near area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3은 각 역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가 이동 수단에 구비된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기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0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이나 버스역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통신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및 DMB 수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의 보급 증가로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영화나 TV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이때, 보통의 사용자는 타인 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피커가 아닌 이어폰으로 음향을 듣고, 시청 중인 동영상이나 TV에 집중하기 때문에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방송하는 역 정보를 듣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수시로 현재 위치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경우 목적지를 지나쳐 버리는 불편함을 경험하게 된다. 즉,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영화나 TV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스피커가 아닌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듣기 때문에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제공하는 역 정보 알림 방송을 제대로 들을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에서 정확히 하차하기 위해 수시로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시청 중인 동영상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할 뿐 아니라, 잘못하면 목적지를 지나쳐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게 한다. 동영상 재생이나 DMB 수신이 가능한 핸드폰이나 PMP 등의 모바일 단말의 공급 및 수요가 증가하는 현재의 추세로 보아 이러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용자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여진다.
만약,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현재의 버스나 지하철의 역 정보를 알려준다면, 사용자는 위와 같은 번거로움이나 불편함 없이 모바일 단말을 통해 동영상이나 TV를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현재의 역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목적지를 지나치는 불편함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활 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각 역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가 각 역에 대한 식별기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동 수단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식별기호를 수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를 사용하여 현재의 역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여, 상기 결정된 역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수단에 인접해 있는 모바일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근거리 통신이란, 가까운 거리에 있는 통신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예로 블루투스가 있다. 블루투스란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단말기, 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이나 그 규격에 맞는 제품을 이르는 말이다. 블루투스는 소형/저가격/저전력소모 등의 특징을 가지므로, 모바일 장치들이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기타 주변장치들 간의 가까운 거리(10m~100m)내의 무선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블루투스 기기들은 최소 2개에서 최대 8개까지 즉석에서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런 기본 네트워크를 피 코넷(Piconet)이라 한다. 모든 피코넷은 하나의 마스터(master) 기기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slave) 기기로 이루어 진다. 또한, 하나의 블루투스 기기는 마스터인 동시에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스터 기기는 통신을 시작하는 블루투스 기기로 피코넷의 데이터 량을 조절하고, 피코넷에 접근하는 슬레이브 기기들을 통제해 데이터의 충돌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각 역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가 각 역에 대한 식별기호를 전송한다(제100 단계). 각 역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는 자신의 통신 가능 지역에 있는 버스나 지하철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 즉, 근거리 무선통신을 시작한다. 각 역은 버스 정류장이 될 수도 있고, 지하철 역이 될 수도 있으며, 기차역이 될 수도 있다. 각 역에는 마스터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각 역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는 각 역을 고유하게 나타내는 식별기호를 슬레이브 기기로 전송한다. 마스터 기기는 일정한 주기로 각 역에 대한 식별기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일정한 주기는 이동 수단의 역 간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의 경우에는 1 내지 2[min] 내외의 주기를 갖으며, 기차의 경우에는 몇십분의 주기를 갖을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이러한 전송 주기에 대한 미리 정의된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도 3은 각 역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가 이동 수단에 구비된 슬레이브 기기로 식별기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역에서 출발한 이동수단이 B역의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 들어오게 되면, B역에 설치되어 있는 마스터기기 B는 B역에 대한 식별기호를 이동수단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지하철, 버스, 기차 등이 될 수 있다.
제100 단계 후에, 이동 수단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가 식별기호를 수신하고, 슬레이브 기기가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를 사용하여 현재의 역 정보를 결정한다(제102 단계). 도 3에 도시된 이동수단에는 슬레이브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기기 B로부터 전송된 B역에 대한 식별기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식별기호를 근거로, 이동수단에 구비된 슬레이브 기기는 이동 수단이 위치하는 곳이 B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0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이동수단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로부터 식별기호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가를 판단한다(제200 단계). 여기서, 소정 시간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일시적으로 두절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임계 시간을 의미한다.
만일, 식별기호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된다면,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가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제202 단계). 이동수단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는 이동 수단이 거처 온 이전 역 또는 현재의 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만일,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가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를 테이블 정보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를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로 갱신한다(제204 단계).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가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동 수단에 설치된 스레이브 기기에는 이전 역에 대한 식별기호가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슬레이브 기기는 이전 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에는 이전 역에 대한 정보를 현재 이동수단이 위치해 있는 역의 정보로 갱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의 테이블 정보를 갖는 데이터 베이스가 슬레이브 기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블 정보의 일 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역 정보 식별 기호
A역 xxx
B역 yyy
C역 zzz
.... ....
전술한, 테이블 정보를 사용해,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역 정보를 이동 수단이 현재 위치한 역의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이전에 저장된 식별기호가 "xxx"이고,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가 "yyy"라 하면, 식별기호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이동 수단이 현재 위치한 역의 정보를 식별기호 "yyy"에 대응하는 B역으로 갱신한다.
그러나,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가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와 일치한다면,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를 유지한다(제206 단계). 예를 들어, 이전에 저장된 식별기호가 "xxx"이고, 현재 수신된 식별기호도 "xxx"라 하면, 식별기호가 일치하므로, 이동 수단이 현재 위치한 역의 정보를 식별기호 "xxx"에 대응하는 A역으로서 유지한다.
한편, 제200 단계에서, 식별기호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순차적인 각 역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 역 정보를 갱신한다(제208 단계). 맵 정보는 각 역에 대한 순차적인 역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표 1의 "A역, B역, C역..."의 정보를 의미한다.
식별기호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동 수단이 머물러 있던 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단이 A역에서 벗어나서 더이상 A역의 마스터 기기A로부터 식벽기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에는, 이동수단의 슬레이브 기기는 이동 수단이 B역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A역의 다음 역이 B역이라는 것을 맵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B역의 근거리 통신 영역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역 정보를 B역이라고 갱신한다.
제102 단계 후에, 슬레이브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여, 결정된 역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 수단에 인접해 있는 모바일 통신 기기로 전송한다(제104 단계). 이동 수단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는 역 정보가 갱신되었는가를 감지한다. 만일 역 정보가 갱신되었다면,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로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모드 전환의 기술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 내용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슬레이브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모드 전환을 하게 되면, 모드 전환된 마스터 기기는 이동 수단에 인접해 있는 모바일 통신 기기로 갱신된 역 정보를 전송한다. 이동 수단에 인접해 있는 모바일 통신 기기는 예를 들어, 지하철, 버스 또는 기차 등에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9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기기를 의미한다.
모바일 통신 기기는 수신된 역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나,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 발명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를 내장하는 매체(들)로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분배되어 처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능적인 프로그램들,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은 근거리 통신 방법 중 하나인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현재의 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를 지나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블루투스 기술은 소형/저가격/저전력 소모의 특징을 가지는 근거리 통신 방법일 뿐 아니라, 현재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폰이나 PMP/PDA 등의 휴대 장치들의 보급이 증가하는 추세로 본 발명의 높은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각 역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가 각 역에 대한 식별기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동 수단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식별기호를 수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수신된 식별기호를 사용하여 역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역 정보가 갱신되면,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여, 상기 갱신된 역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수단에 인접해 있는 모바일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기호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식별기호가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된다면, 상기 수신된 식별기호가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기호가 상기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와 일치한다면, 상기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기호가 상기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를 테이블 정보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 상기 이전에 수신된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를 상기 수신된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역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기호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순차적인 각 역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 역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은
    버스, 전철 및 기차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이동 수단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KR1020070026792A 2007-03-19 2007-03-19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KR10108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92A KR101086432B1 (ko) 2007-03-19 2007-03-19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92A KR101086432B1 (ko) 2007-03-19 2007-03-19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373A KR20080085373A (ko) 2008-09-24
KR101086432B1 true KR101086432B1 (ko) 2011-11-25

Family

ID=4002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792A KR101086432B1 (ko) 2007-03-19 2007-03-19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05B1 (ko) 2013-05-02 2013-08-01 (주)아이스플럽 차량에서의 자동 안내 방송 장치를 활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모바일 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4178691A1 (ko) * 2013-05-02 2014-11-06 주식회사 사운들리 차량에서의 자동 안내 방송 장치를 활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모바일 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226B1 (ko) * 2014-02-28 2019-12-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05B1 (ko) 2013-05-02 2013-08-01 (주)아이스플럽 차량에서의 자동 안내 방송 장치를 활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모바일 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4178691A1 (ko) * 2013-05-02 2014-11-06 주식회사 사운들리 차량에서의 자동 안내 방송 장치를 활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모바일 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373A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915B1 (ko) 단말기의 컨텐츠 수신 장치 및 방법
EP2400707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hand-held device and method thereof
US9661494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US926484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1946486A (zh) 用于实时流式媒体服务中的广告插入通知的系统和方法
CN103259907A (zh) 情景模式切换系统及方法
CN102067488A (zh) 用于增加广告显示的可能性的系统、方法和装置
KR10183493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CN103546223A (zh) 用于车辆声频系统的广播内容
CN100479543C (zh) 用于更新具有一键通功能的终端的位置的方法及终端
KR10108643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역 정보 알림 방법
CN103200077A (zh) 一种语音通话时数据交互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379296B1 (ko) 이벤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벤트 서비스 서버
US79913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output in portable terminal
CN104580340A (zh) 数据更新系统及其数据更新方法、移动多媒体中继设备
CN104022788A (zh) 用于音频流传输的音频系统和相关联的方法
KR20010105651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일 위치 정보 통지 방법와 그에 따른장치
KR20070090478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00203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US20110013604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Devices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220052567A (ko) 지능형 점자블록을 이용한 역 도착 알림 방법
KR100618327B1 (ko) 지하철 정류장 알림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2014005802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
CN203104777U (zh) 利用广播系统实现将位置信号传送到移动通信终端的通信装置
KR20080054191A (ko) 이동단말에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