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266B1 -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266B1
KR101086266B1 KR1020030019151A KR20030019151A KR101086266B1 KR 101086266 B1 KR101086266 B1 KR 101086266B1 KR 1020030019151 A KR1020030019151 A KR 1020030019151A KR 20030019151 A KR20030019151 A KR 20030019151A KR 101086266 B1 KR101086266 B1 KR 10108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frame
parent
child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4238A (en
Inventor
박종혁
이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라인
주식회사 젤파워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라인, 주식회사 젤파워,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to KR102003001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266B1/en
Publication of KR2004008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2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3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충돌회피기능 부착 반송파감지 다중접속 (CSMA/CA)을 기반으로 하는 유무선의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에서 거리에 대한 제약을 없앨 수 있는 리피터 (Repeater) 기능 및 다수의 마스터 스테이션이 공존할 수 있는 멀티 마스터 (Multi-Master) 기능을 제공하는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provides a repeatable repeater function and a multi-master function where multiple master stations can coexist.

본 발명은 해당 네트워크 내의 모든 스테이션들이 트리 구조 (tree structure)로 여러 개의 계층을 구성한다는데 그 특징을 두고 있다. 각 스테이션은 유동적으로 자신의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을 미리 판단하여 자신과 통신이 가능한 스테이션을 먼저 결정한다. 이렇게 구성된 네트워크에서는 리피터 (Repeater)가 필요에 따라 어느 곳에나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거리에 대한 제약을 해결해 준다. 또한, 그룹 ID (Group ID)를 통하여 여러 개의 마스터 스테이션들이 공존하며 각각 자신의 논리적 네트워크 (logical network)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마스터 (Multi-Master) 기능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ll stations in the network form a plurality of layers in a tree structure. Each station dynamically determines its Hierarchy Level in advance to determine which stations can communicate with it first. In such a network, repeaters can be easily installed anywhere as needed, eliminating distance constraints. In addition, multiple master stations coexist through Group ID and provide a multi-master function, which allows each to configure its own logical network.

Description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방법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의 트리 구조 (tree structur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ree structure of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키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헤더 (Frame Header)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rame header (Frame Header)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에서의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프레임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broadcast frame transmission in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HMAC)를 아파트에서의 전력선 통신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to power line communication in an apart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회피기능 부착 반송파감지 다중접속 (CSMA/CA)을 기반으로 하는 유무선의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에서 거리에 대한 제약을 없앨 수 있는 리피터 (Repeater) 기능 및 다수의 마스터 스테이션이 공존할 수 있 는 멀티 마스터 (Multi-Master) 기능을 제공하는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distance in wired / wireless point-to-point communication based on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CSMA / C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that provides a repeater function that can remove restrictions on a network and a multi-master function that can coexist with multiple master stations. .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과 같이 정해진 목표 topologyd가 없는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topology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매체 접근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In general, when there is no predetermined target topology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a media access control method that can satisfy various types of topologies is required.

또한, 열악한 채널환경으로 인하여 거리에 대한 제약을 많이 받을 경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리피터 및 멀티 마스터 기능이 필요하다.In addition, a repeater and a multi-master function are need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hen distance is limited due to poor channel environment.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피터 기능과 멀티 마스터 기능 두 가지이다. 이 두 기능은 거리에 대한 제약을 해결해 주므로 모든 topology에 적용될 수 있는 매체 접근 제어 (MAC)에 꼭 필요한 기능이라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re are two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repeater function and a multi-master function. These two functions solve the distance constraints and are essential for medium access control (MAC), which can be applied to all topologies.

멀티 마스터 (Multi-Master) 이슈는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single physical network)에 다수의 마스터 스테이션이 공존함을 의미한다. 각각의 마스터는 자신에게 종속된 다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들과 함께 하나의 논리적 네트워크 (logical network)를 구성한다. 고로, 멀티 마스터 이슈는 여러 논리적 네트워크 (logical network)의 공존을 의미한다. 열악한 채널환경 또는 먼 거리로 인하여 슬레이브가 마스터에게 보이지 않을 경우와 슬레이브의 수가 마스터의 수용능력을 초과했을 경우 멀티 마스터 기능은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 (physical network)에 또 하나의 마스터의 설치를 가능케 해준다.Multi-Master issues mean that multiple master stations coexist in a single physical network. Each master forms a logical network with a number of slave stations subordinate to it. Thus, multi-master issues mean the coexistence of multiple logical networks. If the slave is invisible to the master due to poor channel conditions or long distances and the number of slaves exceeds the capacity of the master, the multi-master feature allows the installation of another master on the same physical network.

리피터 (Repeater) 이슈는 마스터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소수의 슬레이브들만이 존재할 경우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중간에 리피터가 위치하여 마스터와 슬레 이브 사이에 주고받는 프레임들을 재전송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리피터 기능 역시 거리에 대한 제약을 해결해 준다.Repeater issue means that if there are only a few slaves at a relatively far distance from the master, the repeater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aster and the slave to retransmit the frames sent and received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The repeater function also solves the distance constrai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리피터 기능과 멀티 마스터 기능에 의해 네트워크 topology에 무관하게 모든 종류의 topology에서 거리에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the point-to-multi can be operated efficiently without any distance limitation in all kinds of topologies regardless of the network topology by the repeater function and the multi-master func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 commun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방법은,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에 기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is based on a hierarchical level.

그리고 본 발명은, 스테이션들간의 관계를 계층 (Hierarchy)상에서 페어런트 (Parent) / 차일드 (Child) / 시블링 (Sibling)으로 정의하고 페어런트와 차일드 사이에서 만의 통신을 허용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ons is defined as parent / child / sibling on a hierarchy and allows only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ent and the child.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이션의 종류를 마스터 (Master) / 슬레이브 (Slave) / 리피터 (Repeater)로 정의하고 각 스테이션 별로 고유의 스테이션 ID를 부여하여 트리 구조 (tree structure)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type of station is defined as a master, a slave, and a repeater, and a unique station ID is assigned to each station to form a tree structure network. It is another feature to do.

또, 본 발명은, 리피터 (Repeater)가 슬레이브의 페어런트 (Parent)가 될 수 있게 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간의 거리에 제약을 받지 않고 리피터 기능을 제공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eater can be a parent of the slave, thereby providing a repeater func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제시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에서 각 스테이션은 자신의 계층 레벌 (Hierarchy Level)을 가지고 있고 모든 통신은 두 개의 인접한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사이에서만 일어날 수 있다.  In the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ation has its own hierarchical level and all communication can only occur between two adjacent hierarchy levels.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에서 모든 스테이션은 마스터 (Master), 슬레이브 (Slave), 또는 리피터 (Repeater)로 구분된다. In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all stations are divided into Master, Slave, or Repeater.

마스터는 백본 네트워크 (backbone network)로의 액세스 포인트 (access point)이고, 슬레이브는 마스터를 통해 광대역 액세스 (broadband access)를 하는 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이다. The master is an access point to a backbone network, and the slave is a 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 that has broadband access through the master.

리피터 (Repeater)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 필요에 따라 설치 될 수 있는 active device로 수신하는 프레임들을 재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마스터와 리피터는 슬레이브와는 달리 항상 전원이 켜져 있어야 하므로 always-on 개념이 적용된다.The repeater is responsible for retransmitting incoming frames to the active device, which can be installed as needed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Here, the master and repeater must always be powered on, unlike slaves, so the always-on concept applies.

도 1은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의 트리 구조 (tree structur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의 종류 및 미리 설정된 스테이션 ID로 나타나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ee structure of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As shown in the figure, each station is represented by a station type and a preset station ID.

모든 스테이션들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single physical network)에 공존하며 동일한 매체 (medium)를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스테이션들간에 그려진 선은 통신 링크를 나타내고 선의 길이는 두 스테이션들간의 물리적인 거리 보다는 채널상황을 나타낸다.All stations coexist in a single physical network and are assumed to share the same medium. The line drawn between stations represents the communication link and the length of the line represents the channel situation rather tha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stations.

여기서, 각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들과의 관계 및 스테이션의 종류로 정의된다. 스테이션들간의 관계는 페어런트 (Parent) / 차일드 (Child) / 시블링 (Sibling)으로 나타낸다. Here, each station is defined by the relationship with other stations and the type of s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ions is represented by parent / child / sibling.

예를 들어, R1은 R3의 페어런트이고 S19과 S20는 R3의 차일드이다. 또한, S15와 S16은 R3의 시블링으로 정의된다. 세가지 스테이션 종류인 마스터, 슬레이브, 그리고 리피터는 같은 매체 접근 제어 (MAC)에 의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동일한 device이다. For example, R1 is a parent of R3 and S19 and S20 are children of R3. Further, S15 and S16 are defined by sibling of R3. The three station types, master, slave, and repeater, are the same device that sends and receives frames by the same medium access control (MAC).

이들 세 스테이션은 페어런트 또는 차일드의 존재 유무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마스터는 차일드만을 가지고 있고, 슬레이브는 페어런트만을 가지고 있는 반면, 리피터는 페어런트와 차일드 모두를 가지고 있다.These three station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rent or child. The master has only children and the slave only has parents, while the repeater has both parents and children.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에서 모든 통신은 페어런트와 차일드 사이에서만 일어난다. 이는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의 가장 기본적인 규칙이다. 시블링들 사이에서는 직접적인 통신이 일어날 수 없다.In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all communication takes place only between the parent and the child. This is the most basic rule of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Direct communication cannot occur between siblings.

Upstream 통신은 차일드가 무조건 자신의 페어런트에게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으로 간단히 해결된다. 리피터의 경우 자신의 차일드로부터 받은 프레임을 다시 자신의 페어런트에게 재전송한다. Upstream communication is simply a matter of a child sending a frame to his or her parent unconditionally. The repeater retransmits the frame received from its child back to its parent.

이와 달리, downstream 통신에서는 페어런트가 각 프레임을 어느 차일드에게 전송하여야 하는지를 구분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모든 페어런트들은 라우팅 테이 블 (routing table)을 가지고 있다. 라우팅 테이블은 프레임에 내포된 소스 / 목적지 스테이션의 주소 (source/destination address)와 미리 설정된 스테이션 ID의 매핑 테이블 (mapping table)이다. In contrast, in downstream communication, the parent must distinguish to which child to send each frame. To this end, all parents have a routing table. The routing table is a mapping table of a source / destination address and a preset station ID included in a frame.

예를 들면, R3는 S19과 S20의 실제 주소 (ex. MAC address)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고 있고, R1은 S15, S16, S19, S20의 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고 있어서 상위에서 내려오는 프레임을 적절한 차일드에게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R3 stores the real addresses (ex. MAC addresses) of S19 and S20 in the routing table, and R1 stores the addresses of S15, S16, S19, and S20 in the routing table, so that frames falling from the upper level are stored. You can send it to the appropriate child.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는 페어런트가 가지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광대역 액세스 (broadband access)와 홈 네트워킹 (home networking)을 동시에 지원할 수도 있다. 홈 네트워킹은 페어런트를 통한 intercommunication에 의해 가능하다.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may support both broadband access and home networking at the same time using a routing table owned by the parent. Home networking is possible by intercommunication via parent.

예를 들어, 도 1의 S15와 S16이 같은 가정 내에 위치하여 서로 통신을 할 경우 이들의 페어런트인 R1은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확인한 후 수신한 프레임을 마스터로 전송하는 대신 다시 자신의 차일드로 재전송한다. For example, when S15 and S16 of FIG. 1 are located in the same hom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ir parent R1 checks the destination using a routing table and transmits the received frame to the master instead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frame to the master. Resend.

페어런트를 통한 intercommunication 기능을 위해 모든 페어런트는 차일드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확인하여 목적지를 정할 수 있다. 고로, 두 슬레이브 간의 intercommunication은 서로 다른 페어런트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For intercommunication through the parent, all parents can determine the destination by checking the routing table for the address of the frame received from the child. Thus, intercommunication between two slaves is equally possible if they have different parents.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키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헤더 (Frame Header)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시된 프레임 헤더는 프레임에 항상 포함되어 모든 스테이션에 의해 해독 (decode)될 수 있음을 가정한다. 4-바이트 길이의 프레임 헤 더는 다음과 같은 필드를 갖을 수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rame header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presented frame header is always included in the frame and can be decoded by all stations. The 4-byte frame header may have the following fields.

『a) FT (Frame Type): 프레임의 종류를 나타낸다. 이 필드를 통해 해당 프레임의 구조, 전송모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 등을 나타낼 수 있다. 『A) FT (Frame Type) : Indicates the type of frame. This field may indicate the structure, transmission mode, broadcast frame, etc. of the corresponding frame.

b) HL (Hierarchy Level): 전송하는 소스 스테이션 (source station)의 계층 레벨을 나타낸다. b) Hierarchy Level (HL) : Hierarchy level of a transmitting source station.

c) GID (Group ID): 이 필드는 멀티 마스터 기능을 가능케 해준다. c) GID (Group ID) : This field enables the multimaster function.

d) DID (Destination ID): 목적지 스테이션 (destination station)의 스테이션 ID를 나타낸다. 스테이션 ID는 각 스테이션에 부여된 고유의 ID이다. 마스터의 스테이션 ID는 항상 0인 반면, 리피터의 스테이션 ID는 1부터 7까지 있을 수 있다. 슬레이브들의 스테이션 ID는 8에서 63까지 존재한다. d) DID (Destination ID) : indicates the station ID of the destination station. The station ID is a unique ID assigned to each station. The station ID of the master is always 0, while the station ID of the repeater may be from 1 to 7. The station IDs of the slaves are from 8 to 63.

e) SID (Source ID): 소스 스테이션 (source station)의 스테이션 ID를 나타낸다. e) SID (Source ID) : indicates the station ID of the source station.

f) FSL (Frame Symbol Length): 해당 프레임의 심볼 개수. f) Frame Symbol Length (FSL) : Number of symbols in the frame.

g) CRC (Cyclic Redundancy Check)』g) CRC (Cyclic Redundancy Check) 』

도 3은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에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이 전송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은 네트워크내의 모든 스테이션이 받아봐야 하는 프레임을 지칭한다. 3 illustrates a method in which broadcast frames are transmitted in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A broadcast frame refers to a frame that all stations in the network should receive.

차일드가 없는 슬레이브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전송할 시 기존과 마찬가지로 무조건 자신의 페어런트에게만 전송하면 된다. 허나, 마스터와 리피터는 자신의 페어런트나 차일드 모두가 수신할 수 있도록 모든 스테이션이 해독 (decode)할 수 있는 전송모드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전송한다. A child without a slave needs to send only its own parent when sending a broadcast frame. However, the master and repeater send broadcast frames in a transmission mode that can be decoded by all stations for both their parent or child to receive.

브로드캐스트 프레임 전송의 가장 기본적인 규칙은 마스터와 리피터가 수신하는 모든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이다. 자신이 전송한 프레임을 다른 스테이션의 재전송에 의해 다시 수신하는 상황은 최종 브로드캐스트 전송 스테이션 ID (Last Broadcast Transmitter ID or LBT ID)를 각 프레임에 포함하여 해결할 수 있다.The most basic rule of broadcast frame transmission is to retransmit all broadcast frames received by the master and repeater. Receiving the frame transmitted by the other station by retransmission of another station can be solved by including the last broadcast transmitter station ID (Last Broadcast Transmitter ID or LBT ID) in each frame.

도 3 (a)는 S13이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전송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S13은 슬레이브이므로 단순히 해당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R3에게만 전달하면 된다. R3는 이 프레임을 수신하면 해당 프레임의 LBT ID를 13으로 바꾼 후 모든 스테이션이 해독 (decode)할 수 있는 전송모드로 재전송한다. 3 (a) shows that S13 transmits a broadcast frame. In this case, since S13 is a slave, simply transmit the corresponding broadcast frame only to R3. When R3 receives this frame, it changes its LBT ID to 13 and retransmits it to a transmission mode that all stations can decode.

이는 도 3 (b)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R3에 의해 재전송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은 R1, S13, S14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S13은 LBT ID를 통해 수신한 프레임이 자신이 전송한 것임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버린다. R1은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의 LBT ID를 3으로 변경하여 재전송한다.This is shown in Figure 3 (b). In this case, the broadcast frame retransmitted by R3 may be received by R1, S13, and S14. S13 discards the frame received through the LBT ID because it knows that it has transmitted it. R1 changes the LBT ID of the received broadcast frame to 3 and retransmits it.

모든 스테이션들은 자신의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을 가지고 있다. 마스터의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은 항상 0인 반면, 모든 슬레이브들과 리피터들은 자신의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을 맨 처음 전원이 켜진 후 수행하는 채널 스캐닝 과정 (channel scanning procedure)에서 결정한다. 그 후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Every station has its own hierarchical level. The hierarchical level of the master is always zero, while all slaves and repeaters determine their hierarchical level in the channel scanning procedure performed after the initial power-up. The hierarchy level can then change fluidly.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을 결정하는 것은 페어런트를 결정하는 것을 의 미한다. 채널 스캐닝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채널상황에 빠르게 적응하며 좀 더 나은 페어런트를 찾는 과정이다. 이는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의 계층 (Hierarchy)에서 가장 효율적인 라우트 (optimum route)를 찾는 것을 의미한다. 채널 스캐닝은 슬레이브와 리피터에 의해서 다음의 경우에만 수행된다.Determining the hierarchy level means determining the parent. Channel scanning is the process of quickly adapting to changing channel conditions over time and finding a better parent. This means finding the most efficient route in the hierarchy of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Channel scanning is performed by the slave and the repeater only if:

『 ㉠ 전원이 켜지자마자.`` As soon as the power is turned on.

㉡ 자신의 페어런트로부터 받은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에러가 발생할 경우.   경우 The error occurs continuously in the frame received from its parent.

㉢ 자신의 페어런트의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이 바뀌었을 경우.   계층 The hierarchy level of your parent has changed.

㉣ 주기적으로.』   적 으로 periodically.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스테이션들은 미리 설정된 고유의 스테이션 ID를 부여 받는다. 도 2에 제시된 프레임 헤더를 사용할 경우 슬레이브의 페어런트가 될 수 있는 스테이션은 마스터와 7개의 리피터로 총 8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ll stations are assigned a unique unique station ID. In the case of using the frame header shown in FIG. 2, there are a total of eight stations, which can be parents of slaves, with a master and seven repeaters.

리피터의 페어런트가 될 수 있는 스테이션은 마스터와 6개의 다른 리피터로 총 7개가 존재한다. 스테이션은 채널 스캐닝 요청 프레임 (Channel Scanning Request frame or CSR frame)이라는 짧은 컨트롤 프레임 (short control frame)을 전송하여 채널 스캐닝을 시작한다. There are a total of seven stations that can be parents of repeaters, the master and six other repeaters. The station starts a channel scanning by transmitting a short control frame called a channel scanning request frame or a CSR frame.

CSR 프레임은 모든 페어런트 후보자에게 차례대로 전송된다. CSR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 페어런트 후보자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도 랜덤 트레이닝 시퀀스 (pseudo random training sequence)를 전송하여 CSR 프레임을 전송한 스테이션이 downstream 채널 측정 (channel estimation)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 CSR frame is transmitted in turn to all parent candidates. The parent candidate capable of receiving the CSR frame transmits a pseudo random training sequen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so that the station transmitting the CSR frame performs downstream channel estimation.                     

여기서, 계산된 downstream 채널 SNR (Signal-to-Noise Ratio)과 트레이닝 시퀸스에 명시된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을 참조하여 CSR 프레임을 전송한 스테이션은 자신의 페어런트를 결정한다. 페어런트 후보자중 가장 효율적인 라우트 (optimum route)를 제공하는 페어런트가 결정되면 자신의 계층 레벨 (Hierarchy Level)도 자연히 결정된다.Here, the station transmitting the CSR frame determines its parent by referring to the calculated downstream channel signal-to-noise ratio (SNR) and the hierarchical level specified in the training sequence. Once a parent is determined that provides the most efficient route among the parent candidates, it is also natural to determine its Hierarchy Level.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에서 멀티 마스터 기능은 스테이션 ID와 같이 각 스테이션에 부여된 고유의 그룹 ID (Group ID or GID)를 통해 제공된다. 스테이션들은 프레임 헤더에 명시된 그룹 ID를 보고 가상적 반송파감지 (virtual carrier sense)를 실행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In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the multi-master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a unique group ID (GID) assigned to each station, such as a station ID. The stations look at the group ID specified in the frame header and decide whether or not to perform a virtual carrier sense.

각 그룹 ID는 하나의 논리적 네트워크 (logical network)를 표현한다. 도 2에 제시된 프레임 헤더를 사용할 경우 GID 필드는 3-bit이므로 총 8개의 논리적 네트워크 (logical network)가 공존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Each group ID represents one logical network. When using the frame header shown in FIG. 2, the GID field is 3-bit, which means that a total of eight logical networks can coexist.

각 논리적 네트워크 (logical network)는 하나의 마스터와 최대 7개의 리피터, 그리고 최대 56개의 슬레이브로 구성되므로 멀티 마스터 기능은 최대 8개의 마스터, 56개의 리피터, 그리고 448개의 슬레이브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single physical network)에 공존할 수 있게 한다. Each logical network consists of one master, up to seven repeaters, and up to 56 slaves, so the multi-master function allows up to eight masters, 56 repeaters, and 448 slaves to be a single physical network. to coexist in a network).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를 아파트에서의 전력선 통신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application of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to power line communication in an apart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체 접근 제어 (MAC)의 일종으로 마스터 (Master)와 슬레이브 (Slave)로 구성된 충돌회피기능 부착 반송파감지 다중접 속 (CSMA/CA)을 기반으로 한다. 마스터 또는 액세스 포인트 (access point)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네트워크에는 다수의 슬레이브들이 존재하고 마스터는 이 슬레이브들과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한다. 다시 말해, 마스터는 모든 슬레이브들과 1:1 통신을 할 수 있는 반면, 슬레이브는 마스터를 제외한 다른 스테이션들과는 직접적인 통신을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구성된 매체 접근 제어 (MAC) 방식은 광대역 액세스 (broadband access)에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medium access control (MAC) based on a carrier detection multiple access (CSMA / CA) with a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composed of a master and a slave. In a network constituted by a master or an access point, there are multiple slaves and the master has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with these slaves. In other words, the master can communicate 1: 1 with all slaves, while the slave cannot communicate directly with other stations except the master. As such, a medium access control (MAC) scheme consisting of a master and a slave is useful for broadband access.

충돌회피기능 부착 반송파감지 다중접속 (CSMA/CA)를 사용하는 스테이션은 물리적 반송파감지 (physical carrier sense)를 통해 채널상에 다른 스테이션이 전송한 프레임이 있는지를 항상 관찰한다. 프레임의 전송이 감지될 경우 가상적 반송파감지 (virtual carrier sense)를 통해 해당 프레임이 전송되는 기간동안을 기다림으로써 프레임들간의 충돌 (collision)을 최소화 시킨다. 전송할 프레임이 있을 경우 백오프 과정 (backoff procedure)를 통해 프레임들간에 일어날 수 있는 충돌을 최소화하며 효율적인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가능케 한다.Stations using collision avoidance carrier detection multiple access (CSMA / CA) always observe the presence of frames transmitted by other stations on the channel through physical carrier sense. When transmission of a frame is detected, the collision between the frames is minimized by waiting for a period during which the frame is transmitted through a virtual carrier sense. If there is a frame to be transmitted, a backoff procedure minimizes collisions between frames and enables efficient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기존의 충돌회피기능 부착 반송파감지 다중접속 (CSMA/CA)을 기반으로 한 매체 접근 제어 (MAC) 방식은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항상 서로 보이는 경우를 가정하므로 거리에 대한 제약을 받는다. 본 발명은 계층 (Hierarchy)이라는 개념을 갖은 매체 접근 제어 (MAC)을 통해 서로 보이지 않는 스테이션들간의 통신을 가능케 해준다. 또한, 여러 개의 마스터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single physical network)에 공존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medium access control (MAC) method based on the existing carrier detection multiple access (CSMA / CA) with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is limited to distance because it assumes that the master and the slave are always visible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invisible stations through a medium access control (MAC) with the concept of hierarchy. It also allows multiple masters to coexist on a single physical network.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 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by illustrating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HMAC)는 리피터 기능과 멀티 마스터 기능을 통해 거리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어떠한 topology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채널 스캐닝은 네트워크내에서의 통신 효율성을 극대화 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리피터는 필요에 따라 어느 곳에나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HMAC)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ny topology without limiting distance through the repeater function and the multi-master function. Channel scanning maximizes communication efficiency within the network. In addition, the repea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ywhere as needed.

Claims (9)

각 스테이션이 물리적 반송파감지(physical carrier sense)를 통해 채널 상에 다른 스테이션이 전송한 프레임이 있는지를 관찰하는 단계;Observing whether each station has a frame transmitted by another station on a channel through a physical carrier sense; 상기 각 스테이션은 상기 다른 스테이션이 전송한 프레임의 전송이 감지될 경우 가상적 반송파감지(virtual carrier sense)를 통해 감지된 프레임이 전송되는 기간 동안을 기다리는 단계; 및When each station detects transmission of a frame transmitted by the other station, waiting for a period during which the detected frame is transmitted through a virtual carrier sense; And 상기 각 스테이션은 전송할 프레임이 있을 경우 백오프 과정(backoff procedure)를 거쳐 상기 전송할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Each station transmitting a frame to be transmitted through a backoff procedure when there is a frame to be transmitted; 상기 각 스테이션은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로의 액세스 포인트 (access point)인 마스터 스테이션,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을 통해 광대역 액세스 (broadband access)를 하는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인 슬레이브 스테이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과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사이에 설치되어 수신하는 프레임들을 재전송하는 리피터(Repeater)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이고,Each station is a master station that is an access point to a backbone network, a slave station that is a 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 that performs broadband access through the master station, and the master station and the Any one of repeater stations installed between slave stations to retransmit received frames, 상기 각 스테이션은 자신의 계층 레벨(Hierarchy Level)을 가지고 있고,Each station has its own Hierarchy Level, 상기 각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들과의 관계에 따라 페어런트(Parent), 차일드(Child), 및 시블링(Sibling)으로 정해지고,Each station is determined by parent, child, and sibling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other stations,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은 상기 리피터 스테이션 및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페어런트가 되고,The master station becomes a parent of the repeater station and the slave station,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은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 및 상기 리피터 스테이션의 차일드가 되고,The slave station becomes a child of the master station and the repeater station, 상기 리피터 스테이션은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 및 다른 리피터 스테이션의 차일드 스테이션이 되면서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및 또 다른 리피터 스테이션의 페어런트가 되고,The repeater station becomes a child station of the master station and another repeater station and becomes a parent of the slave station and another repeater station,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은 상기 차일드만을 가지고,The master station has only the child, 상기 리피터 스테이션은 상기 페어런트와 상기 차일드를 모두 가지고,The repeater station has both the parent and the child,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은 상기 페어런트만을 가지고,The slave station has only the parent, 상기 시블링은 상기 페어런트 및 상기 계층 레벨이 동일한 둘 이상의 스테이션을 말하는 것이고,The sibling refers to two or more stations having the same parent and the hierarchical level; 상기 스테이션들 간의 프레임의 전송은 오직 페어런트와 차일드 사이에서만 이루어지고,The transmission of frames between the stations is made only between the parent and the child, 상기 전송할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Transmitting the frame to be transmitted, 상기 차일드가 상기 페어런트에게 상기 전송할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The child transmitting the frame to the parent to the parent; And 상기 페어런트가 상기 차일드에게 상기 전송할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방법.And the parent is one of the steps of transmitting the 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child,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페어런트와 차일드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는 스테이션들 간의 프레임의 전송은,The transmission of frames between stations, which are made only between the parent and the child, 상기 계층 레벨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업스트림(Upstream) 전송 및 상기 계층 레벨이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다운스트림(Downstream) 전송을 포함하고,An upstream transmission for transmitting the frame from the higher to the lower hierarchical level, and a downstream transmission for transmitting the frame from the lower to the higher hierarchical level; 상기 페어런트는 프레임에 내포된 소스 및 목적지 스테이션의 주소(source and destination address)와 미리 설정된 스테이션 ID의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인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을 가지고 있고,The parent has a routing table that is a mapping table of source and destination addresses and preset station IDs contained in a frame. 상기 전송할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After transmitting the frame to be transmitted, 상기 전송할 프레임을 수신한 차일드가 상기 리피터 스테이션인 경우 상기 리피터 스테이션은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수신한 프레임 중 일부를 상기 리피터 스테이션의 차일드 중 어느 하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방법.If the child receiving the frame to be transmitted is the repeater station, the repeater station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a portion of the frame received through the routing table to any one of the children of the repeater station. A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method for multi-point communic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리피터 스테이션의 차일드 중 어느 하나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After transmitting to any one of the children of the repeater station, 상기 차일드가 전송한 프레임을 수신한 페어런트가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를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Confirming a destination of a frame received by the parent that has received the frame transmitted by the child using the routing table; And 상기 차일드가 전송한 프레임을 수신한 페어런트는 목적지가 상기 페어런트의 다른 차일드인 경우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특정 부분을 상기 다른 차일드에게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방법.The parent receiving the frame transmitted by the child further comprises retransmitt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received frame to the other child if the destination is another child of the parent. A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차일드 또는 페어런트가 전송하는 프레임은,The frame transmitted by the child or parent, 최종 브로드캐스트 전송 스테이션(Last Broadcast Transmitter:LBT) 아이디(ID)를 포함하고 모든 스테이션이 해독할 수 있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이고,Is a broadcast frame that contains a Last Broadcast Transmitter (LBT) ID and is decipherable by all stations, 상기 전송할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Transmitting the frame to be transmitted, 상기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스테이션이 수신하는 단계;A station receiving the broadcast frame; 상기 스테이션이 마스터 스테이션 및 리피터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이 상기 최종 브로드캐스트 전송 스테이션 아이디를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전송한 스테이션으로 수정하는 단계; 및When the station is one of a master station and a repeater station, the station receiving the broadcast frame modifies the last broadcast transmission station ID to the station that sent the broadcast frame; And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이 수정된 최종 브로드캐스트 전송 스테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방법.And retransmitting, by the station receiving the broadcast frame, the broadcast frame including the modified last broadcast transmission station ID.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재전송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이 마스터 스테이션 및 리피터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이고, The station receiving the retransmitted broadcast frame is either a master station or a repeater station, 상기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단계 이후에,After retransmitting the broadcast frame, 재전송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에 포함된 최종 브로드캐스트 전송 스테이션 아이디가 재전송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의 아이디와 동일한 경우, 재전송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은 재전송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버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방법.If the last broadcast transmitting station ID included in the retransmitted broadcast frame is the same as the ID of the station receiving the retransmitted broadcast frame, the station receiving the retransmitted broadcast frame further discards the retransmitted broadcast frame. And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각 스테이션은 고유의 그룹 아이디(Group ID:GID)를 저장하고 있고,Each station stores a unique Group ID (GID), 상기 다른 스테이션이 전송한 프레임은 프레임을 전송한 스테이션의 그룹 아이디를 포함하고 있으며,The frame transmitted by the other station includes a group ID of the station transmitting the frame. 상기 각 스테이션은 상기 감지된 프레임에 포함된 그룹 아이디가 각 스테이션에 저장된 그룹 아이디와 상이한 경우에 상기 가상적 반송파감지를 통해 감지된 프레임이 전송되는 기간 동안을 기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대 멀티 포인트 통신을 위한 계층적 매체 접근 제어 방법.Wherein each station waits for a period during which the detected frame is transmitted through the virtual carrier detection when the group ID included in the detected frame is different from the group ID stored in each station. Hierarchical Media Access Control Method for Networks.
KR1020030019151A 2003-03-27 2003-03-27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KR101086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151A KR101086266B1 (en) 2003-03-27 2003-03-27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151A KR101086266B1 (en) 2003-03-27 2003-03-27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238A KR20040084238A (en) 2004-10-06
KR101086266B1 true KR101086266B1 (en) 2011-11-24

Family

ID=3736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151A KR101086266B1 (en) 2003-03-27 2003-03-27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26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23B1 (en) 2013-01-08 2014-10-2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3379161A1 (en) 2017-03-20 2018-09-26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er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17B1 (en) * 2005-10-06 201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of broadcast data frame in mesh network wiht multiple mesh portals
KR100987384B1 (en) * 2007-01-19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ireless LAN network for supporting mobility of a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terminals in the network
WO2010041555A1 (en) * 2008-10-06 2010-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Data relay system and operation time alloc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199A (en) 1997-04-07 1998-10-23 Yazaki Corp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address with tree structure
WO1999014897A2 (en) 1997-09-17 1999-03-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requency hopping piconets in an uncoordinated wireless multi-us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199A (en) 1997-04-07 1998-10-23 Yazaki Corp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address with tree structure
WO1999014897A2 (en) 1997-09-17 1999-03-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requency hopping piconets in an uncoordinated wireless multi-user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23B1 (en) 2013-01-08 2014-10-2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491733B2 (en) 2013-01-08 2016-11-08 Kt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LAN and apparatus therefor
EP3379161A1 (en) 2017-03-20 2018-09-26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er control method thereof
US10989430B2 (en) 2017-03-20 2021-04-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238A (en)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8705C (en) Protocol for controlling media visit with priority and without contention intervals
US7406094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Reinisch et al. Wireless technologies in home and building automation
JP3940203B2 (en) Communication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multiple transmission rates
US5673031A (en) Redundant radio frequency network having a roaming terminal communication protocol
US7969952B2 (en) Method of implementing multicast routing system in mobile ad-hoc network environment
KR101269036B1 (en) Bandwidth management in a powerline network
CN1454419B (en) Method to support contention-free intervals and QoS in a CSMA network
US7190686B1 (en) Self configuring high throughput medium access control for wireless networks
US20130235730A1 (en) Path selection for routing traffic in a network
JP5770199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having a batteryless ZigBee device,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JP5265014B2 (en) Ultra-reliable coordinated wireless communication
US20080159358A1 (en) Unknown Destination Traffic Repetition
JP3763515B2 (en) Data link layer extension for high latency wireless MAC protocol
KR200700545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data broadcast within beaconing network
KR101086266B1 (en) A hierarchical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for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Decotignie Wireless fieldbusses–a survey of issues and solutions
CN102104533B (en) Method for optimizing RRPP (rapid ring protection protocol) single ring network data transmitting path and ring network node
JP4617498B2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KR20060061347A (en) Radio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protocol using an automatic repeater
JP6937286B2 (en) Wireless relay device and wireless relay method
KR10065040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frames in ad-hoc networks using csma/ca
Aissaoui et al. Distributed Physical-layer Network Coding MAC Protocol
Ansari A Study onWireless Ad Hoc Networks
Rao Ethernet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