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798B1 -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798B1
KR101084798B1 KR1020090062056A KR20090062056A KR101084798B1 KR 101084798 B1 KR101084798 B1 KR 101084798B1 KR 1020090062056 A KR1020090062056 A KR 1020090062056A KR 20090062056 A KR20090062056 A KR 20090062056A KR 101084798 B1 KR101084798 B1 KR 10108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tracking
mobile communication
mode
base station
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4568A (en
Inventor
김민규
오태근
정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798B1/en
Publication of KR2011000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7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위치 추적 장치는, 위치 추적을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추적 송출 모듈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과, 상기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추적 및 데이터 수신 서버와, 그리고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SMS)을 전송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로써 별도의 GPS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위치 추적 서비스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tracking device, a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location tracking, and a location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 tracking and base station, a location tracking and data receiving server analyzing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receiving base station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nd a text message (SMS)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 location tracking servic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using a separate GPS device thereby.

이동통신망, 위치 추적, 위치 추적 송출 모듈, 비콘, SMS Mobile network, location tracking, location tracking module, beacons, SMS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Location tracking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ts control method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통합하여 위치 추적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location for integrating a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status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s well as location tracking. A track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동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개인 및 자산의 보호를 위해 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기술에 대한 필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보호가 필요한 개인이나 차량 등과 같은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그 위치를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that can track the loca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and asset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locate its location to protect assets such as individuals or vehicles that need protection.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GPS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별도의 GPS 수신기를 필요로 하므로 비 용부담이 크고, 실내나 복잡한 도심지 등에서는 위성 신호 검출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general, the most widely used technology among the location-based services is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PS) technology. However, such a GPS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cost burden is large because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ires a separate GPS receiver, and it is difficult to detect satellite signals in an indoor or a complicated downtown area.

또 다른 위치 기반 서비스로 상술한 GPS 외에 무선랜, 블루투스,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도 좁은 영역에서의 위치 추적은 가능 하지만 넓은 지역에서의 위치 추적에는 한계가 있다. As another location-based service, various methods using wireless LAN, Bluetooth, and ultra wide band (UWB)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GPS have been studied, but these methods can be located in a small area but can be located in a large area. Location tracking has its limits.

또한, 종래 별도의 위치 추적 송출 장치를 개발하여 개인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종래의 위치 추적 송출 장치는 단순히 위치 추적 송출 장치 단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위치 추적 방식에서는 상기 위치 추적 송출 장치 내에 위치 추적 전파 송출을 위한 모듈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무선 처리부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장치 내에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기지국은 상기 무선 처리부와의 통신을 위해 별도의 통신 프로토콜을 재정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a conventional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device may be developed to provide personal and asset management services, the conventional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device is simply configured with a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device alone, and has a linkag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location tracking method, a module for transmitting location tracking radio waves and a separate wireless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re required in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device. In addition to the need for hardware, the base station has a problem of redefining a separate communication protocol for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위성을 이용한 GPS 기술과는 달리 TOA(time-of-arrival) 방식 또는 TDOA(time-difference-of-arrival) 방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합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계함으로써 개인 및 자산의 위치를 파악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unlike a GPS technology using satellites, a location using a time-of-arrival (TOA) method or a time-difference-of-arrival (TDOA) metho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 tracking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y integrating a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by link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는, 위치 추적을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추적 송출 모듈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과, 상기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추적 및 데이터 수신 서버와, 그리고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SMS)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ocation tracking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location tracking, and a location tracking receiving the signal sent from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 location tracking and data receiving server for analyz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receiving base station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nd a text message (SMS)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It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또한,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은, 상기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현재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신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신호의 패턴을 변조하여 상기 주파수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주파수에 실어 상 기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송출부와, 그리고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위치 추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requency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frequency for communication with the location tracking receiving base station, a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current location and current state data for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 transmitter that modulates a pattern of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s the signal generated on the frequency generated by the frequency generator to the location tracking receiving base station, and a location tracking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as a who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SMS)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그 내용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SMS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a text message (SM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changing the status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contents. do.

또한,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각 모드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tate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each mode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또한,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urrent location and current status data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또한, 상기 위치 추적 및 데이터 수신 서버는 TOA 또는 TDOA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ocation tracking and data receiving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using the TOA or TDOA metho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 제어 방법은, A)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식별자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SMS)를 수신하여 위치 추적 송출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SMS)의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이고,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와 상기 수신 모드가 동일하면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SMS)의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이고,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와 상기 수신 모드가 동일하지 않으면 검증을 요청하여, 검증된 수신 모드의 메시지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location tr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text message (SMS) containing an identifi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B) if the reception mode of the received text message (SMS) is a service mode, and the current mode and the reception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re the same, transmitt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C) requesting verification if the reception mode of the received text message (SMS) is a service mode and the current mode and the reception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re not the same, according to the message of the verified reception mode. And performing a current mode chang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또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문자 메시지(SMS)를 수신하는 단계와, A-2)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SMS)로부터 식별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A-3) 상기 식별자가 존재하면,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SMS)를 위치 추적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 step, A-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text message (SM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2)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dentifier from the received text message (SMS) Determining, and A-3) if the identifier exists, transmitting the received text message (SMS) to a location tracking module.

또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문자 메시지(SMS)의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지 검증 확인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B-2) 상기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드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3)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현재 모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그리고 B-4)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B), B-1) determining whether the reception mode of the text message (SMS) is a service mode or a verification confirmation mode, and B-2) when the reception mode is a service mode, the reception mod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is the same, B-3) requesting the current mod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B-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또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문자 메시지(SMS)의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지 검증 확인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2) 상기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드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3) 상기 수신 모드와 상기 현재 모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검증을 요청하여 상기 수신 모드의 메시지를 저장한 후, 검증된 수신 모드의 메시지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tep C)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reception mode of the text message SMS is a service mode or a verification confirmation mode, and C-2) when the reception mode is a service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is identical to each other; and C-3) if the reception mode and the current mode are not the same, requesting verification to store a message of the reception mode; And performing a current mode change of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message of the verified reception mode.

또한, 상기 C-3) 단계는, 상기 저장된 수신 모드의 메시지에 암호화 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포함하는 검증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검증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상기 검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상기 검증 메시지에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확인하여 재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재암호화된 검증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재전송된 검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검증 메시지의 수신 모드가 검증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수신 모드가 검증모드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암호화 코드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생성된 암호화 코드가 동일하면, 상기 수신된 검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C-3) includes generating a verification message including an encryption code in the stored reception mode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ver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the verification message at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re-encrypting and verifying an encryption code included in the verification message at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receiving the re-encrypted verification message. Re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retransmitted verification message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reception mode of the received verification message is a verification mode, and the reception mode is a verification mode The encryption code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f the encryption code generated in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current mode change of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verification messa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GPS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통합하거나 연계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ocation tracking de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of the integration by or integrating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to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using a separate GPS device Not only is this reduced, there is an effect to implement a variety of applica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이용해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위치 추적 송출 장치를 개발하거나 기지국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apparatus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by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doing so, there is no need to develop a separate position tracking transmission device or install a base station to reduce the cos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향후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기저대역(BaseBand; BB) 및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 RF)에서도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이 통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tracking de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in the baseband (BB) and radio frequency (RF) as well as software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sition tracking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통합형 이동통신 단말기(100), 이동통신 기지국(200) 및 위치 추적 기지국(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200)과 위치 추적 기지국(300)은 동일하거나 다른 기지국일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ocation tracking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includes an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and a location tracking base station 300.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and the location tracking base station 30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base stations.

상기 통합형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이동통신 단말기'라 칭함)(100)는 인터페이스모듈(110), 통신 모듈(120), 저장 모듈(130), 표시 모듈(140),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이하 '비콘(beacon)'이라 칭함)(150), 및 통합 제어 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n interface module 110, a communication module 120, a storage module 130, a display module 140, and a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acons, " beacons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콘(150)을 통합하여 내장하고 있으며, 이로써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내장된 상기 비콘(15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추적 서비스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tegrates and embeds the beacon 150 in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not only receiving a service provided by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embedding the beacon 150 therein. ) Can be provided with a location tracking service that can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비콘(150)과 같은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내장하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와 비콘을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칭함)를 통해 연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비콘의 현재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비콘의 현재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oes not include a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such as the beacon 15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eacon are connected through a short messag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 The mobile terminal can monitor the current status of the beacon or control the current status of the beacon.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사용자(User) 사이를 연결해 주는 수단으로, 본원에서는 주로 비콘(150)과 사용자 사이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콘(150)이 내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있는 장소의 주위 환경(예컨대, 온도, 습도 등)에 대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통합 제어 모듈(160)을 통해 상기 비콘(15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차량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면, 차량의 현재상태(차량 도어의 온/오프 등)에 대한 데이터를 마찬가지로 통합 제어 모 듈(160)을 통해 상기 비콘(150)으로 전송한다.The interface module 110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will be mainly described herein as a means for connecting the beacon 150 and the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which the beacon 150 is embedded, analog data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g, temperature, humidity, etc.) of the plac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is integratedly controlled. The module 160 transmits to the beacon 150. In additio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on / off of the vehicle door, etc.) likewise to the beacon 150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60. send.

상기 통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기지국(200) 사이에 무선 통신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예컨대, 음성통화, 영상통화, SMS,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등)를 제공한다. 이때, SMS를 전송될 경우, 상기 SMS는 비콘에 대한 위치정보 데이터 및 상태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0 provides a service (eg, voice call, video call, SMS,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etc.)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In this case, when the SMS is transmitted, the SMS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status information data of the beacon.

상기 저장 모듈(130)은 상기 통신 모듈(120)을 통해 전송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비콘(150)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상태정보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module 130 stores various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or stores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status information data of the beacon 150.

상기 표시 모듈(140)은 상기 저장 모듈(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비콘(150)의 현재 위치 또는 상기 비콘(150)의 현재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40 displays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40 may display a current position of the beacon 150 or a current state of the beacon 150.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비콘)(150)은 위치 추적 송출 신호를 주기적으로 상기 위치 추적 기지국(300)으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비콘(150)은 상기 비콘(150)의 현재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함께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150)은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beacon) 150 periodically sends a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signal to the location tracking base station 300. In addition, the beacon 150 may transmit a dat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beacon 150.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통합 제어 모듈(16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전체를 전반적으로 제어 한다. 특히, 상기 통신 모듈(120)을 통해 SMS를 수신하면, 상기 SMS가 비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비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시 상기 SMS을 상기 비콘(150)으로 전송한다.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60 controls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a whole. In particular, when the SMS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MS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beacon, and when the SMS inclu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beacon, the SMS is transmitted to the beacon 150. send.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200)은 상기 통합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으로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is a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s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various multimedia services provided to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위치 추적 기지국(300)은 상기 비콘(150)과 TOA(time-of-arrival) 또는 TDOA(time-difference-of-arrival) 방식으로 신호 및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함으로써 위치 추적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으로서, 앞에 언급된 것처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200)과 동일한 기지국이거나 또는 별도의 위치 추적을 위한 기지국(300)일 수 있다. The location tracking base station 300 provides location and data services by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data with the beacon 150 in a time-of-arrival (TOA) or time-difference-of-arrival (TDOA) scheme. As the base station for the mobile station, as mentioned above, it may be the same base station as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or the base station 300 for a separate location track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통합된 위치 추적 송출 모듈(150)의 상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150)은 신호 생성부(151), 주파수 생성부(152), 송출부(153), SMS 처리부(154), 상태 처리부(155), 및 위치 추적 제어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150 integrated in the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posi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150 includes a signal generator 151, a frequency generator 152, a transmitter 153, an SMS processor 154, a state processor 155, and a position track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56.

상기 신호 생성부(151)는 사용자로부터 비콘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을 시,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비콘의 현재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SMS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신호 생성부(151)는 상기 SMS가 인증된 사용자가 전송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전송된 SMS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signal generator 151 generates information data on the current state when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beacon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 may transmit an SMS to change the current state of the beac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erein the signal generator 151 validates the validity of the transmitted SMS to determine whether the SMS is sent by an authenticated user. Generate data for verification.

상기 주파수 생성부(152)는 위치 추적 기지국(300)과의 통신을 위한 주파수를 생성한다. The frequency generator 152 generates a frequency for communication with the location tracking base station 300.

상기 송출부(153)는 상기 신호 생성부(151)로부터 생성된 신호 패턴을 변조하여 상기 주파수 생성부(152)를 통해 생성된 주파수에 실어 위치 추적 기지 국(300)으로 송출한다.The transmitter 153 modulates the signal pattern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51 and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pattern to the location tracking base station 300 on the frequency generated by the frequency generator 152.

상기 SMS 처리부(154)는 비콘의 현재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관리자(201)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전송된 SMS를 분석 및 처리한다.The SMS processing unit 154 analyzes and processes the SMS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network manager 201 or the user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state of the beacon.

이때, 상기 SMS는 기존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전송되며, 일반 문자 메시지와 구별되도록 비콘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기 SMS의 포맷은 도 3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SMS is transmitted using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es a beacon identifier to be distinguished from a general text message. The format of the S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상기 상태 처리부(15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비콘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각 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The state processor 155 grasp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beac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each mode.

상기 위치 추적 제어부(156)는 상기 비콘(15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송출부(153)의 포트 초기화, 여러 이벤트 처리, 에러 처리, 위치 추적에 필요한 송출 신호와 데이터를 정확한 시간 간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 설정,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환경 설정 등을 제어한다.The location tracking control unit 156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f the beacon 150,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signal and data necessary for port initialization, various event processing, error processing, location tracking of the transmission unit 153 Timer settings for controlling at precise time intervals, and environment setting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비콘(150)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합되어 내장되지 않고 단독으로 구성될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부(미도시)와 메모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beacon 15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interface unit (not shown) and a memory unit (not shown) when the beacon 150 is integr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not integrated.

이렇게, 상기 비콘(150)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는 상기 위치 추적 기지국(300)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수신된 신호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비콘의 현재 상태 데이터가 검출된다. 그 후, 상기 위치 추적 기지국(300)의 위치추적 및 데이터 수신 서버(301)에서는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TOA 또는 TDOA 방식에 따른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비콘(15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며, 이를 맵(map)과 연동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계산된 값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되며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콘(150)의 위치 및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50 is received by the positioning base station 300 to de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current state data of the beacon. Thereafter, the location tracking and data receiving server 301 of the location tracking base station 300 calculat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eacon 150 by an algorithm according to the TOA or TDOA method based on the detected data, and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a map. In addition, the calculat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the position and current state of the beacon 150.

도 3은 상기 SMS 처리부(154)에서 SMS 수신 시 이를 분석하기 위한 SMS 포맷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SMS 포맷(400)은 식별자 필드(401), 비콘 번호 필드(402), 모드 타입 필드(403), 및 메시지 필드(404)로 구성된다.3 shows an SMS format for analyzing the SMS when the SMS processing unit 154 receives the SMS. Referring to FIG. 3, the SMS format 400 consists of an identifier field 401, a beacon number field 402, a mode type field 403, and a message field 404.

상기 식별자 필드(401)는 수신된 SMS가 비콘을 위한 SMS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SMS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5 바이트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SLM]'을 포함하는 문자를 비콘과 관련된 문자로 설정하면, 통합 제어 모듈(160)에서는 '[SLM]'이 포함된 문자가 수신되면 이를 바로 비콘(150)의 SMS 처리부(154)로 전송한다.The identifier field 401 is configur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received SMS is an SMS for a beacon or a general SMS, and consists of 5 bytes. For example, when a character including '[SLM]' is set as a character related to a beaco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60 immediately receives a character including '[SLM]' and sends the SMS processor of the beacon 150. To 154.

상기 비콘 번호 필드(402)는 비콘의 고유 번호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8 바이트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비콘 번호(402)에 해당하는 비콘만이 해당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The beacon number field 402 is for identifying the unique number of the beacon, it is composed of 8 bytes. This means that only beacons corresponding to the beacon number 402 can analyze the message.

예를 들어, 다수의 차량을 관리하는 사업장에서 차량 도난 방지를 위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다수의 차량에 각 고유 번호를 갖는 비콘을 각각 부착함으로써, 각 차량에 대한 개별적인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a business that manages a large number of vehicles requires management for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a beacon having a unique number may be atta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reby providing a separate location tracking service for each vehicle. have.

상기 모드 타입 필드(403)는 서비스 모드인지 검증 확인 모드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1 바이트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서비스 모드일 경우 'S', 검증 확인 모드일 경우 'V'로 나타낼 수 있다.The mode type field 403 is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the service mode or the verification confirmation mode is composed of 1 byte. For example, it may be represented as 'S' in the service mode and 'V' in the verification confirmation mode.

상기 메시지 필드(404)는 비콘 모드 변경 메시지 또는 암호 확인 코드 메시지를 나타내는 필드로, 상기 모드 타입 필드(403)의 모드에 따라 1 또는 4 바이트로 구성된다.The message field 404 is a field indicating a beacon mode change message or an encryption confirmation code message, and is composed of 1 or 4 bytes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mode type field 403.

만약, 상기 모드 타입 필드(403)로부터 판단된 모드가 서비스 모드일 경우, 상기 메시지 필드(404)는 비콘 모드 변경 메시지가 되며, 1 바이트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A'로 표시할 경우 2초마다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하고, 'B'로 표시할 경우 15초마다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f the mode determined from the mode type field 403 is a service mode, the message field 404 becomes a beacon mode change message and consists of 1 byte. For example, if it is displayed as 'A' may be set to transmit the location data every 2 seconds, if it is displayed as 'B' may be set to transmit the location data every 15 seconds.

만약, 상기 모드 타입 필드(403)로부터 판단된 모드가 검증 확인 모드일 경우, 상기 메시지 필드(404)는 비콘에서 검증을 위해 보낸 암호 메시지에 대한 검증 확인 메시지가 되며, 4 바이트로 구성된다.If the mode determined from the mode type field 403 is a verification confirmation mode, the message field 404 becomes a verification confirmation message for an encryption message sent for verification in a beacon, and consists of 4 bytes.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기지국(200) 간의 데이터 전송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측에서의 데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control method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he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정상(normal) 상태의 경우 비콘(150)은 주기적으로 현재 상태와 위치 추적 송출 신호를 이동통신 기지국(200)에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비콘(150)은 SMS 수신대기 모드 상태에 있다. 4A, in the normal state, the beacon 150 periodically transmits the current state and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At the same time, the beacon 150 is in the SMS receive standby mode.

이때, 네트워크 관리자(201)나 사용자로부터 비콘(150)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비콘 식별자(401)를 포함한 SMS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SMS을 수신한다(S501). 상기 수신된 SMS은 통합 제어 모듈(160)에서 비콘 식별자(401)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502), 비콘 식별자(401)가 포 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SMS을 비콘(150)으로 전송한다(S503). 그 다음, 상기 비콘(150)으로 전송된 SMS은 SMS 처리부(154)에서 전송된 SMS 포맷에 따라 분석하여 검증확인 모드인지 서비스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504). 즉, 상기 SMS가 비콘(150)의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것인지 또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지 또는 비콘(150)에서 보낸 모드 변경에 대한 검증 메시지의 검증확인을 위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At this time, when the SMS including the beacon identifier 401 is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manager 201 or the user to change or control the state of the beacon 15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the SMS (S501). . The received SMS determines whether the beacon identifier 401 is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60 (S502), and if the beacon identifier 401 is included, transmits the SMS to the beacon 150 ( S503). Next, the SMS transmitted to the beacon 150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SMS format transmitted from the SMS processing unit 154 to determine whether the verification mode or the service mode (S504).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MS requests the current state of the beacon 150 or whether to change the mode or to verify the verification message for the mode change sent from the beacon 150.

이때, 상기 SMS가 검증확인 모드로 판단되면(S505), 비콘(150)은 자체 생성된 암호화 코드와 SMS로 수신된 내용에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 만약 암호가 동일하다면,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비콘 모드 변경 메시지는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어 그 내용에 따라 비콘의 모드를 변경한다(S507). 만약 암호가 동일하지 않다면,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비콘 모드 변경 메시지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비콘의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다시 SMS 수신대기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SMS is determined to be in the verification confirmation mode (S505), the beacon 150 compares the encryption code included in the contents generated by the SMS with the self-generated encryption code and determines whether they match with each other (S506). If the password is the same, the previously stored beacon mode change message is determined to be valid and changes the mode of the beacon according to the content (S507). If the password is not the same, the previously stored beacon mode change message is determined to be invalid and operates again in the SMS reception standby mode without changing the mode of the beacon.

만약, 단계(S504)에서, 상기 SMS가 서비스 모드로 판단되면(S508), 비콘(150)의 현재 모드와 SMS에서 보낸 모드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S509). 만약 모드가 동일하다면, 이동통신 기지국(200)으로부터 현재 비콘(150)의 상태를 알기 위해 상태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하여(S510) 데이터 메시지로 현재 비콘(150)의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511). 만약 모드가 동일하지 않다면, 비콘(150)의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요청으로 판단하여 이 비콘 모드 변경 메시지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 다(S512). 그런 다음, 상기 비콘에 해당하는 고유한 암호화 코드를 생성하여(S513)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200)으로 검증 메시지를 전송한다(S514).If, in step S504, the SMS is determined to be a service mode (S508),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or not the current mode of the beacon 150 and the mode sent from the SMS (S509). If the mode is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to know the current state of the beacon 150 (S5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current beacon 150 in a data message. To transmit (S511). If the mode is not the same, it is determined as a request for changing the mode of the beacon 150 and stores the received message to validate the beacon mode change message (S512). Then, by generating a unique encryp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beacon (S513) and transmits a ver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S514).

한편,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200)에서는 상기 단계(S514)에서 전송된 검증 메시지를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방법이 도 4b에 도시된다.Meanwhi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a data control method for verifying the ver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in step S514 is illustrated in FIG. 4B.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검증 메시지를 수신하면(S601), 상기 검증 메시지에 포함된 암포화 코드를 확인한다(S602). 그런 다음,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상기 검증 메시지에 암호화 코드를 재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재전송한다(S603). Referring to FIG. 4B, when a ver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601), an encryption code included in the verification message is checked (S602). Then, the network manager regenerates the encryption code in the verification message and re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603).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통합한 통합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네트워크 구성도.1 is a network diagram of an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orporating a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통합된 위치 추적 송출 모듈(150)의 상세 블록 구성도.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150 integrated in an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SMS 처리부(155)에서 수신된 SMS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SMS format received by an SMS processing unit 155.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기지국(200) 간의 데이터 전송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측에서의 데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4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control method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ransmitting data between an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기지국(200) 간의 데이터 전송 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00) 측에서의 데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4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control method at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00) side when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통합형 이동통신 단말기 110: 인터페이스모듈100: integrated mobile terminal 110: interface module

120: 통신 모듈 130: 저장 모듈120: communication module 130: storage module

140: 표시 모듈 150: 위치 추적 송출 모듈140: display module 150: position tracking sending module

160: 통합 제어 모듈 151: 신호 생성부160: integrated control module 151: signal generator

152: 주파수 생성부 153: 송출부152: frequency generator 153: transmitter

154: SMS 처리부 155: 상태 처리부154: SMS processing unit 155: status processing unit

156: 위치 추적 제어부 200: 이동통신 기지국156: location tracking control unit 200: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300: 위치 추적 기지국 400: SMS 포맷300: location tracking base station 400: SMS format

Claims (11)

위치 추적을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추적 송출 모듈;A posi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position tracking;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A location tracking receiving base station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상기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추적 및 데이터 수신 서버; 및A location tracking and data receiving server for analyz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location tracking receiving base station to calculate a loc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nd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SMS)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And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ransmitting a text message (SMS)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은,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상기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A frequency generator for generating a frequency for communication with the location tracking receiving base station;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현재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current position and current state data for the posi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And 상기 신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신호의 패턴을 변조하여 상기 주파수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주파수에 실어 상기 위치 추적 수신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송출부; 및A transmitter for modulating a pattern of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modulated pattern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frequency generator to the location tracking receiving base station; And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위치 추적 제어부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 Position trac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posi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SMS)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그 내용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further includes an SMS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a text message (SM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changing the status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contents. Position tra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The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tracking send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memory unit for storing a current position and current state data of the position tracking send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및 데이터 수신 서버는 TOA 또는 TDOA 방식 을 사용하여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cation tracking and data receiving server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using a TOA or TDOA scheme. A)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식별자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SMS)를 수신하여 위치 추적 송출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A) receiving, by the mobile terminal, a text message (SMS) including an identifi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B)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SMS)의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이고,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와 상기 수신 모드가 동일하면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B) if the reception mode of the received text message (SMS) is a service mode, and the current mode and the reception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re the same, transmitt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 C)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SMS)의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이고,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와 상기 수신 모드가 동일하지 않으면 검증을 요청하여, 검증된 수신 모드의 메시지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 제어 방법.C) if the reception mode of the received text message (SMS) is a service mode, and the current mode and the reception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re not the same, request verification, and track the location according to the message of the verified reception mode. And performing a change of a current mode of the transmitting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tep A) A-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문자 메시지(SMS)를 수신하는 단계;A-1)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ext message (SM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2)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SMS)로부터 식별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A-2)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dentifier from the received text message (SMS); A-3) 상기 식별자가 존재하면,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SMS)를 위치 추적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 제어 방법.A-3) if the identifier exists,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text message (SMS) to a location tracking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B), B-1) 상기 문자 메시지(SMS)의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지 검증 확인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B-1) determining whether a reception mode of the text message (SMS) is a service mode or a verification confirmation mode; B-2) 상기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드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2) when the reception mode is a service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reception mode and the current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re the same; B-3)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현재 모드를 요청하는 단계; 및B-3)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requesting the current mode; And B-4)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 제어 방법.B-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C), C-1) 상기 문자 메시지(SMS)의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지 검증 확인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C-1) determining whether a reception mode of the text message (SMS) is a service mode or a verification confirmation mode; C-2) 상기 수신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드와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C-2) when the reception mode is a service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reception mode and the current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re the same; C-3) 상기 수신 모드와 상기 현재 모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검증을 요청 하여 상기 수신 모드의 메시지를 저장한 후, 검증된 수신 모드의 메시지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장치 제어 방법.C-3) if the reception mode and the current mode are not the same, request verification and store the message of the reception mode, and then change the current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se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verified reception mode message. And controlling the tracking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C-3), 상기 저장된 수신 모드의 메시지에 암호화 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포함하는 검증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verification message including an encryption code in the stored reception mode messag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검증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er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상기 검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the verification message at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상기 검증 메시지에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확인하여 재암호화하는 단계;Confirming and re-encrypting an encryption code included in the verification message at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재암호화된 검증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단계;Re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re-encrypted ver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재전송된 검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the retransmitted verification message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수신된 검증 메시지의 수신 모드가 검증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a reception mode of the received verification message is a verification mode; And 상기 수신 모드가 검증모드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암호화 코드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생성된 암호화 코드가 동일하면, 상기 수신된 검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송출 모듈의 현재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 제어 방법.If the reception mode is the verification mode and the encryption code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ncryption code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re the same, changing the current mode of the location tracking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verification message. Position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step of including.
KR1020090062056A 2009-07-08 2009-07-08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0847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56A KR101084798B1 (en) 2009-07-08 2009-07-08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56A KR101084798B1 (en) 2009-07-08 2009-07-08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68A KR20110004568A (en) 2011-01-14
KR101084798B1 true KR101084798B1 (en) 2011-11-21

Family

ID=4361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056A KR101084798B1 (en) 2009-07-08 2009-07-08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7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427A (en) 2017-11-15 2019-05-23 박순구 Position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ing beacon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124B1 (en) 1998-12-10 200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124B1 (en) 1998-12-10 200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427A (en) 2017-11-15 2019-05-23 박순구 Position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ing beac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68A (en)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2030A1 (en) Techniques for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utilizing a collaborative database
JP5012809B2 (en) Server, communication system,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0955960B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location signaling for service
US110374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ed individual violation instruction
US200301173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 tracking a wireless device
US200201695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tracking
US8660587B2 (en)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time period
BR112012020076B1 (en) EMERGENCY ALERT SYSTEM
JP2006267024A (en) Position authentication system, position calculator, and program
JP4962237B2 (en) Progra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on location of portable device and file encryption key
JP2008242644A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position information
US20040092269A1 (en)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in cellular network
KR20120012943A (en) Real time lo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rfid tags which relay gps signal
KR101961174B1 (en) Apparatus for verificating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using crowd sourc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084798B1 (en)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10856147B2 (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TWI549541B (en) Message passing method
JP5960035B2 (en) Location information system
CN101784007B (en) Locat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related device
JP5961239B2 (en) Posi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1246387B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by broadband network gateway
US11323257B2 (en) Encryption of beacons
JP2004254229A (en) Location positioning system
JP2016184907A (en)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r, mobile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90053636A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