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597B1 - 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 Google Patents

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597B1
KR101081597B1 KR1020110042512A KR20110042512A KR101081597B1 KR 101081597 B1 KR101081597 B1 KR 101081597B1 KR 1020110042512 A KR1020110042512 A KR 1020110042512A KR 20110042512 A KR20110042512 A KR 20110042512A KR 101081597 B1 KR101081597 B1 KR 101081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nozzle
bracke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플러스파운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플러스파운틴(주)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102011004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5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597B1/en
Priority to PCT/KR2012/000977 priority patent/WO20121507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2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jet can be 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the rotation being orbital

Landscapes

  • Nozzl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is provided to change a stream of water in various directions by rotating a nozzle. CONSTITUTION: A mounting unit(2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a base(200). A center joint(300) is combined with a receiving unit and rotates in all directions. A plate(400) is combin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joint. A nozzle(500) is installed on the plate. One side of a driving motor(600) is combined with the plate. A load assembly(700) transmits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plate.

Description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본 발명은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노즐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교차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줄기가 다양한 형태로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allowing the nozzle to be rotat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to produce a stream of water sprayed through the nozzle in various forms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분수장치는 호수, 연못 및 하천 등에 설치되어 물의 정화 또는 공기정화의 기능 등을 수행함과 동시에 힘찬 물줄기를 품어냄으로써, 관람자가 여러 감각을 통해 시원함 및 정서적 안정감 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조경시설이다.In general, fountain devices are installed in lakes, ponds, and rivers to perform functions of water purification or air purification, and to create powerful streams of water, allowing visitors to feel cool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various senses. Facility.

그리고, 분수장치는 분사되는 물줄기와 함께 조명과 음악이 부가적으로 연출되도록 하고 있다. 즉, 물줄기와 함께 연출되는 조명을 통해 야간에 주변경치를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어 관람자가 다양한 형태의 분수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며, 물줄기와 함께 연출되는 음악을 통해 청각적인 즐거움도 함께 느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ountain device is additionally directed to the lighting and music with the sprayed water stream. In other words, the lights produced with the stream can be beautifully produced at night, allowing the viewers to enjoy various types of fountains, and the music produced with the stream to make the auditory enjoyment together.

이와 같은 분수장치는, 주로 공원, 호수 및 하천 등에 설치되어 노즐을 통해 물줄기가 분사되도록 하고 있으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줄기는 노즐 또는 펌프의 용량에 따라 고압분사 및 저압분사가 가능하다. 그리고 노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분수가 연출되도록 하고 있다.Such a fountain device is mainly installed in parks, lakes and rivers so that water flow is injected through the nozzle, and the water stream sprayed through the nozzle is capable of high pressure injection and low pressure injection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nozzle or pump.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fountains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types of nozzles.

그러나, 종래의 분수장치는 단순히 펌프의 압력을 조절하여 노즐을 통해 상향 분사되는 물줄기의 높이만을 조절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므로, 분수의 연출형태가 다양하지 못하였으며, 분수의 연출형태가 단조로워 관람자가 쉽게 실증을 느끼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untain device, the type of fountain is not varied, since the fountain is simply controlled by simply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pump to adjust only the height of the stream of water sprayed upward through the nozzle. There was a drawback to being substantiated.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방향으로만 물줄기를 분사하던 고정식 노즐이 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물줄기가 분사되는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동식 노즐이 사용되고 있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a fixed nozzle which sprays water in only one direction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and thus a movable nozzle capable of changing an angle at which the water is sprayed has been used.

그러나, 종래의 가동식 노즐은 물줄기를 양방향으로 가변시켜 연출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가동식 노즐 역시 물줄기가 분사되는 방향이 양방향으로 한정되어 있어 분수의 연출형태가 제한적이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ovable nozzle can be produced by varying the water flow in both directions, but also the movable nozzle is also limi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stream is sprayed in both directions direction of the fountain was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가동식 노즐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하여 물줄기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가변함으로써, 분수 연출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movable nozzle is freely rotat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variously chang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stream is sprayed, to propose a technique that can ensure the diversity of the fountain produ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교차회전 가능한 조인트들과 한 쌍의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의 물줄기 방향이 단방향 또는 양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어 분수연출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nozzle for spraying water to be rotat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by a cross-rotating joints and a pair of drive mo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that can be varied in various direction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one-way or two-way directions, thereby securing the diversity of the fountain outpu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는, 상부에 안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에 전후좌우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조인트와, 상기 센터조인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노즐과, 상기 플레이트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전후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로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on the top, the center joint is coupled to enable the rotation operation i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joint A plate coupled to the plate, a nozzle installed on the plate, a driving mot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ate and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plat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d assembly.

상기 센터조인트는,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센터브래킷과, 상기 노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센터브래킷 및, 상기 제1센터브래킷 및 상기 제2센터브래킷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도록 교차 축을 형성하는 센터크로스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er joint may include a first center bracke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 second center bracke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nozzle, and the first center bracket and the second center bracket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at a right angle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a center cross shaft is provided to form an intersecting axis.

상기 플레이트는, 중앙 부위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노즐헤더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노즐헤더는, 상기 공간부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맥동 및 와류를 정렬시켜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t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nozzle header forming a space portion in the center portion, the nozzle header, it is preferable to align the pulsation and vortic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space portion is supplied to the nozzle.

상기 노즐헤더는, 일측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물 공급관이 연결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이 분출되도록 상기 노즐이 결합되는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nozzle header may have an inlet to which a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one side, and an outlet to which the nozzle is coupled to eject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상기 플레이트는, 테두리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채결부재에 의해 하단에 상기 제2사이드조인트가 결합되는 다수의 연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plate may protrude in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rim, and a plurality of extensions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thereof to which the second side joint is coupled.

상기 구동모터는, 전후와 좌우를 각각 제어할 수 있게 2개 이상으로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에 구동축이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편심 회전가능하게 크랭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e moto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so that the drive shafts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edge of the base so as to control front, rear,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 crank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so as to be eccentrically rotatable.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상기 크랭크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에 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전후좌우로 교차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사이드조인트와, 상기 제1사이드조인트의 상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좌우로 교차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사이드조인트 및, 상기 제1사이드조인트의 상단과 상기 제2사이드조인트의 하단에 상하 양단이 각각 결합되며, 양단 중 어느 하나가 수평 또는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전후좌우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d assembly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 joints axially coupled to one end eccentrically rotated of the crank so as to cross-rotate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and both side edges of the plate at the top of the first side joints. A pair of second side joints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cross-rotat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both top and bottom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joint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joint. Is preferably provided horizontally or freely rotatable and includes a pair of operating rod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plate rotates back, forth, left and right.

상기 제1사이드조인트는, 상기 작동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사이드브래킷 및, 상기 제1사이드브래킷과 상기 크랭크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며, 상기 센터크로스샤프트와 동일 축 선을 갖도록 교차 축을 형성하는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ide joint is a first side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and the first side bracket and the eccentrically rotated end of the crank are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at a right angle to each other, the same axis as the center cross shaf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side cross shaft which forms an intersecting axis to have a line.

상기 제2사이드조인트는, 상기 작동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사이드브래킷과,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상단이 결합되는 제3사이드브래킷 및,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 및 상기 제3사이드브래킷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며, 상기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와 동일 축 선을 갖도록 교차 축을 형성하는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이 비람직하다.The second side joint may include a second side bracke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actuating rod, a third side bracket coupled to an edge of the plate, and the second side bracket and the third side bracket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side cross shaft is axially coupled at right angles and has a cross axis to have the same axis line as the first side cross shaft.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일면이 향하도록 수직으로 지지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vertically with one surface facing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he support plate is preferably fixed to expose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제1사이드브래킷의 상단 또는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는, 개방된 부위가 내부 지름보다 좁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 내에 대응삽입되어 수평회전되도록 단턱을 갖는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any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racket or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a cylindric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open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in the insertion groove A locking end having a step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insertion to rotate horizontally.

한편, 상기 제1사이드브래킷의 상단 또는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는, 개방된 부위가 내부 지름보다 좁게 형성되는 구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 내에 대응삽입되어 자유회전되도록 볼(Ball) 형태의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any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racket or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a spheric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open por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one end of the operation rod, the insertion A locking end of a ball shape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roove to be freely rotated.

또 한편, 상기 제1사이드브래킷의 상단 또는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내주 면에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는 암 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도록 외주 면을 따라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는 암 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된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t any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racket or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the insertion groove which is formed with a male or male thread forming a multi-stage perpendicular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The locking e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female thread or a male thread that is vertically formed in multiple stage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sertion groove and rotate horizontally.

또 한편, 상기 제2사이드조인트는, 하단에 개방부가 좁게 형성되는 구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 내에 대응삽입되어 자유회전되도록 볼(Ball) 형태의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ide joint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spheric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with a narrow opening,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the ball-shaped locking so as to be freely rotated correspondingly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The stage may be formed integrally.

상기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일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초기 대기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식이 형성되는 감지판과, 상기 플레이트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경우, 상기 표식을 감지한 위치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플레이트 초기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며, 현재의 회전각을 피드백시켜 제어신호에 따른 정확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inside of the driving motor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shaft and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of the plate on one surface. A sensing plate on which a mark for marking is formed, a sensing sensor for applying the position signal detecting the mark to the controller to determin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late,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l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ncoder for sensing the rotation angle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and feeds back the current rotation angle to stop at the correct posi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즐이 특정 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전후좌우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이 수직 또는 전후좌우 방향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고정적인 물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노즐을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원 또는 반원 형태의 물줄기를 유동적으로 연출할 수 있어 분수연출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nozzle to be rotat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direction, so that a fixed stream of water can be produced when the nozzle is fixed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front, left, or right directions, and the nozzle In the case of operating continuous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low of the water in the form of a circle or semi-circle can be fluidly produced to secure the diversity of fountain production.

또한,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노즐헤더로 전달하는 구동방식이므로, 노즐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반경이 넓지 않아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system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motor into a linear motion and transfers it to the nozzle header, the driving radius for rotating the nozzl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not wide, thereby ensuring easy installation space and having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의 작동로드와 제2사이드브래킷이 볼(Ball) 타입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의 작동로드와 제2브래킷이 나사 타입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의 작동로드와 제3브래킷이 볼(Ball) 타입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의 작동상태를 결합사시도에 도시한 제1작동상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의 작동상태를 정면도에 도시한 제1작동상태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ctuating rod and a second side bracket are coupled in a ball typ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to show that the operating rod and the second bracket of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crew typ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operating rod and a third bracket of a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ball type.
8A is a first operating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bined perspective view.
8B is a first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ront vie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in a limiting sense of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100)는, 분수장치의 수조부 등에 설치되며, 전후좌우로 회동가능한 노즐(500)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분수를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8b,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of the fountain device, etc., and the fountain of various forms through the nozzle 500 that can be rotated back, front, left, and right. It is to produ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100)는 상부에 안착부(210)가 형성되는 베이스(200)와, 안착부(210)에 전후좌우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조인트(300)와, 센터조인트(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400)와, 플레이트(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노즐(500)과, 플레이트(400)에 일측이 결합되어, 플레이트(400)를 전후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600)와, 구동모터(600)의 구동력을 플레이트(400)에 전달하는 로드 어셈블리(7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에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To this end,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enter 200, the mounting portion 210 is formed on the top, and the center of the mounting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is possible One side is coupled to the joint 300, the plate 4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joint 300, the nozzle 50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400, and the plate 400, and the plate 400. It includes a drive motor 60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a rod assembly 700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600 to the plate 400. In addition,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600.

상기한 구성들 중, 베이스(200)는 센터조인트(300), 플레이트(400), 노즐(500)을 비롯하여 구동모터(600)와 로드 어셈블리(700)가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200)에 구비된 안착부(210)는 일정 높이를 갖는 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센터조인트(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수평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210)에는 센터조인트(30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211)이 형성된다.Among the above configurations, the base 200 includes a center joint 300, a plate 400, a nozzle 500, and a driving motor 600 and a rod assembly 700, which are installed in the base 200. The seat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pil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top may form a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center joint 300 may be coupled thereto. In addition, at least one fastening hole 211 for fixing the center joint 300 is formed in the seating part 210.

또한, 안착부(210)는 기둥 형태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보강판(230)이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보강판(230)은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안착부(210)가 진동에 의해 흔들리거나, 외력에 의해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의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210 may be coupled or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230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llar shape. 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230 serves as a reinforcement for preventing the mounting portion 210 having a vertical length from being shaken by the vibration or the angle being distorted by the external force.

베이스(200)에는, 구동모터(600)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2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지지판(220)은, 구동축이 안착부(210)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동모터(600)의 축 방향 일면이 고정될 수 있으며, 베이스(200)에 수직 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base 2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220 for fixing the drive motor 600. Here, the support plate 220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drive motor 600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drive shaft is exposed in the mounting portion 210 direction, it may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plate form on the base 200.

센터조인트(300)는, 베이스(200)의 안착부(210) 상단에 결합되어 노즐(500)을 전후좌우로 교차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안착부(210)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제1센터브래킷(310)과, 노즐(500)이 결합되는 플레이트(400) 하단에 상단이 결합되는 제2센터브래킷(320) 및, 제1센터브래킷(310)과 제2센터브래킷(320)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도록 90°의 교차 축을 형성하는 "+" 형상의 센터크로스샤프트(330)가 구비된다.The center joint 30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seating portion 210 of the base 200 to couple the nozzle 500 so as to cross-rotate back and forth, right and left, and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top.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late 400 to which the nozzle 500 is coupled,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and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A center cross shaft 330 having a " + " shape is formed to form an intersecting axis of 90 [deg.] Such that the shafts are coup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따라서, 제1센터브래킷(310) 및 제2센터브래킷(320)은 안착부(210)와 플레이트(4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고정부(310a, 320a)와, 브래킷고정부(310a, 320a)에서 연장되어 센터크로스샤프트(330)의 교차 축이 축 결합될 수 있도록 도넛 형태의 홀을 형성하는 축 고정부(310b, 320b)가 결합 또는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브래킷고정부(310a, 320a)에는 축 고정부(310b, 320b)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Accordingly,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and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210 and the plate 400 by the bracket fixing parts 310a and 320a, and the bracket fixing parts 310a, Axis fixing parts 310b and 320b extending from 320a to form a donut-shaped hole so that the intersecting axes of the center cross shafts 330 are axially coupled are provided in combination or integrally. Here, the bracket fixing parts 310a and 320a have shaft fixing parts 310b and 320b protruding on both sides,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in a “c” shape.

그리고 제1센터브래킷(310) 및 제2센터브래킷(320)은, 센터크로스샤프트(330)에 결합하기 위해, 제1센터브래킷(310)의 축 고정부(310b)가 상부에 위치토록 하고, 제2센터브래킷(320)의 축 고정부(320b)가 하부에 위치토록 하되 서로 직각으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축 결합한다. In addition,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and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the shaft fixing portion 310b of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the upper portion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center cross shaft 330, The shaft fixing part 320b of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thereof, but is disposed to be offs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o be coupled to the shaft.

이때, 제1센터브래킷(310) 및 제2센터브래킷(320)의 축 고정부(310b, 320b)의 홀은 도넛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축 고정부(310b, 320b)의 홀을 도넛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센터크로스샤프트(330)를 중심으로 회전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this case, the holes of the shaft fixing portions 310b and 320b of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and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are formed in a donut shape. The reason for forming the holes of the shaft fixing portions 310b and 320b in a donut shape is to prevent interference from occurring when rotating about the center cross shaft 330.

즉, 제1센터브래킷(310)의 축 고정부(310b)와, 제2센터브래킷(320)의 축 고정부(320b)가 센터크로스샤프트(330)에 의해 서로 크로스 결합됨으로써, 좌우로 된 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전이 가능하고, 전후로 된 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센터조인트(3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플레이트(400)가 전후좌우로 회동될 수 있다.That is, the shaft fixing portion 310b of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and the shaft fixing portion 320b of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are cross-coupled with each other by the center cross shaft 330 to thereby form an axis left and right. Since the front and rear rotation is possible,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round the axis made of the front and rear, the plate 40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joint 300 may be rotat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그리고, 브래킷고정부(310a, 320a)의 테두리에는 베이스(200)의 안착부(210)에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부호 미도시)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센터브래킷(310)의 체결 홀을 통해 안착부(210)의 체결 홀(211)로 체결부재(B)를 체결함으로써, 안착부(210)의 상단에 제1센터브래킷(310)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not shown) may be vertically penetrated at the edges of the bracket fixing parts 310a and 320a to be coupled to the seating part 210 of the base 200. That is,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B to the fastening hole 211 of the seating portion 210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on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210. It can be combined integrally.

센터크로스샤프트(330)는, 제1센터브래킷(310)을 기준으로 제2센터브래킷(320)이 전후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90°의 교차 축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나의 단일 몸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축의 폭 방향을 통해 다른 하나의 축이 관통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center cross shaft 330 forms a cross axis of 90 ° so that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can be rotated back, front,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and preferably forms a single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another axis is penetrated through the width direction of the axis.

이때, 관통결합된 축은 키를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하거나, 별도의 볼트 및 용접 등에 의해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4개의 방향에 체결용 홀 또는 홈을 형성하는 몸체를 구비하고, 4개의 홀 또는 홈에 4개의 축을 각각 끼움 및 용접 결합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hrough-coupled shaft can be fixed by inserting a key to fix the position, or by a separate bolt and welding, etc. Alternatively, the shaft is provided with a body forming a fastening hole or groove in four directions, Four axes may be fitted and welded respectively to the hole or groove.

또한, 센터크로스샤프트(330)의 교차 축 끝단 부위에는, 링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의 홈에 일단이 절개된 링 타입의 고정링(L)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ing-shaped groove may be formed at a cross shaft end portion of the center cross shaft 330, and a ring-type fixing ring L having one end cut into the ring-shaped groove may be coupled.

고정링(L)은, 센터크로스샤프트(330)의 교차 축에 제1센터브래킷(310) 및 제2센터브래킷(320)의 축 고정부(310b, 320b)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Fixing ring (L), so that the shaft fixing portion (310b, 320b) of the first center bracket 310 and the second center bracket 320 to the intersecting axis of the center cross shaft 330 is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do.

그리고 축 고정부(310b, 320b)의 홀과 센터크로스샤프트(330)의 축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베어링(오일래스, 슬라이드, 볼(Ball), 구름 등)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a bearing (oil class, slide, ball, rolling, etc.)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holes of the shaft fixing parts 310b and 320b and the shaft of the center cross shaft 330 to enable smooth rotation.

플레이트(400)는, 베이스(200)의 상측에서 센터조인트(300)에 의해 전후좌우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공급되는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500)이 설치된다. 따라서 플레이트(400)가 전후좌우로 회전되면, 플레이트(400)에 설치된 노즐(500)이 함께 전후좌우로 회전되면서 분사되는 물줄기가 다양한 형태로 연출되게 된다. The plate 400 is installed to be rotat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by the center joint 300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200, and a nozzle 500 is installed to allow the supplied water to be discharged. Therefore, when the plate 400 is rotated back, front, left, and right, the nozzle 500 installed on the plate 400 is rotated back, front, left, and right together, and the sprayed water stream is produced in various forms.

그리고, 공급되는 물의 수격 및 맥동을 완화하기 위해 노즐(500)의 전단에 노즐헤더(410)가 구비된다. 따라서 플레이트(400)에 노즐헤더(410)가 결합되고, 노즐헤더(410)에 노즐(500)이 설치되어, 노즐(500)로 펌프(미도시)에서 노즐(500)로 공급되는 물은 노즐헤더(41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In addition, the nozzle header 41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nozzle 500 in order to alleviate water hammer and pulsation of the supplied water. Therefore, the nozzle header 410 is coupled to the plate 400, and the nozzle 500 is installed at the nozzle header 410,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nozzle 500 from the pump (not shown) to the nozzle 500 is a nozzl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der 410.

여기서, 노즐헤더(410)는 일측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물 공급관(800)이 연결되는 유입구(411) 및, 유입구(411)로 유입되는 물이 분출될 수 있도록, 노즐(500)이 결합되는 유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nozzle header 410 is coupled to the nozzle 500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411 and the inlet 411, the water supply pipe 800 is connected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one side. An outlet 412 may be formed.

유입구(411)는, 노즐헤더(4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유출구(412)는 상부 중앙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유입구(411)와 유출구(412)의 위치는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inlet 411 may be formed under the nozzle header 410, and the outlet 4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but the positions of the inlet 411 and the outlet 412 are not limited. Applicable to

그리고, 유입구(411)에는 펌프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니쁠, 엘보 및 유니온 형태의 배관 류들 이용한 물 공급관(80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물 공급관(800)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합성수지, 고무 호스 등) 또는 유연성이 제공되는 종류(다관절 금속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411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800 using the nipples, elbows and union-type pipes so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can be introduced. Here, the water supply pipe 800 may be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ynthetic resin, rubber hose, etc.) or a kind (poly articulated metal pipe) provided with flexibility.

반면, 플레이트(400)에 전술한 노즐헤더(410)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 공급관(800)을 노즐(500)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으나, 가급적 노즐헤더(410)를 적용하는 것이 노즐(500)을 통해 물이 미려하게 연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described nozzle header 410 is not applied to the plate 400, the water supply pipe 8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nozzle 500 to supply water, but the nozzle header 410 is preferably applied. It is preferable that water can be produced beautifully through the nozzle 500.

이와 같은, 플레이트(400)는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원형 또는 사각 판 형태 또는 길이를 갖는 바(Bar)를 크로스 결합시킨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400)는 테두리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채결부재에 의해 하단에 제2사이드조인트(720)가 결합되는 다수의 연장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As such, the plate 40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regardless of the shape, bu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cross-bonding a bar having a circular or square plate shape or a length.
In addition, the plate 400 may protrude in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rim,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420 may be provided to which the second side joint 720 is coupled to the bottom by the coupling member.

삭제delete

예를 들어, 플레이트(400)를 사각 판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 또는 "<"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길이를 갖는 바(Bar)를 크로스 결합시킨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바를 90°로 교차시켜 "+"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manufacturing the plate 400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it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 or "<". In contrast, when the bar having a length (Bar) is produced in the form of cross-bonding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 by crossing the bar by 90 °.

연장부(420)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홀(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420)의 체결 홀을 통해 체결부재(B)를 수직으로 체결함으로써, 연장부(420)의 하단에 후술 될 제3사이드브래킷(722)의 상단을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 홀을 형성시켜 결합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At least one fastening hole (not shown) vertically penetrated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420, and the extension part may be vertically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extension part 420. An upper end of the third side bracket 72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420. Her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420 so as to change the coupling position.

또한, 연장부(420)는 "ㅗ" 와 같은 단면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중앙에 수직한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의 수평한 부위에 체결 홀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420 may extend in a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ㅗ". That is, the fastening holes may be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portion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rtion in the center.

이때, 연장부(420)는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만 구비되는 경우, 플레이트(400) 몸체에 체결 홀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 홀은 후술 될 제3사이드브래킷(722)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extension portion 420 is provided only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body of the plate 400. And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to adjust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third side bracket 722 to be described later.

한 쌍의 구동모터(600)는, 플레이트(400)의 하방에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베이스(200)의 테두리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때, 구동모터(600)의 구동축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구동축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편심 회전되는 크랭크(610)가 결합된다. The pair of drive motors 600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edges of the base 200, respectively, in order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from below the plate 400. At this time, the drive shafts of the drive motor 600 are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each drive shaft is coupled to the crank 610 is eccentrically rotated to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to a linear movement.

그리고, 구동모터(600)는 지지판(220)에 결합되고, 지지판(220)은 베이스(200)의 테두리 양측에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며, 지지판(220)의 하단은 베이스(200)의 상부 면에 용접 또는 체결부재(B)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B)는 볼트 류를 사용할 수 있다. Then, the driving motor 600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20, the support plate 220 is installed in a pair to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edge of the base 200,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220 is the base 200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e integrally coupled by welding or fastening member (B). Here, the fastening member B may use a bolt.

여기서, 한 쌍의 구동모터(600)에 구비된 각각의 크랭크(610)는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일측에 위치된 크랭크(610)의 일단이 상부로 편심 회전될 때, 타측에 위치된 크랭크(610)의 일단이 하부로 편심 회전되도록 회전편차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크랭크(610)는 연출 형태에 따라 편차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cranks 610 provided in the pair of drive motor 60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rotation direction, when one end of the crank 610 located on one side is eccentrically rotated to the top, One end of the positioned crank 610 may have a rotational deviation so as to eccentrically rotate downward. Here, each crank 610 may set various devia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production.

그리고, 구동모터(600)의 외부에는 모터케이스(62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모터케이스(6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실링부재(미도시)에 의해 기밀을 유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motor case 620 may be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driving motor 600, and the motor case 620 may be coupled to be kept airtight by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모터케이스(620)의 내부에는 결로 방지를 위한 히터(미도시)와, 습기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습도센서가 습기를 감지하는 경우에, 습도센서의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되며, 제어부는 히터를 동작시켜 모터케이스(620)의 내부에 생성된 습기를 열기를 이용해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 heater (not shown) and a humidity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moisture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motor case 620. That is, when the humidity sensor detects moisture, the sensing signal of the humidity sensor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heater to remove moisture generated inside the motor case 620 using heat.

아울러, 한 쌍의 구동모터(600)에는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일면에 플레이트(400)의 초기 대기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식(631)이 형성되는 감지판(630)과, 감지판(630)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60, 포토센서 등)가 구비된다. 따라서 감지판(630)과 감지센서(660)에 의해 플레이트(400)의 초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drive motor 60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the detection plate 630 and the detection plate 630 is formed with a mark 631 for displaying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of the plate 400 on one surface A detection sensor 660, a photo sensor, etc. for detecting the same is provided. Therefor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late 400 may be determined by the sensing plate 630 and the sensing sensor 660.

또한, 구동모터(6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엔코더(6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엔코더(640)는 구동모터(600)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피드백시키는 것으로, 현재의 회전각을 피드백 시킴으로써 제어신호에 따른 정확한 위치(회전각)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600)의 정확한 정지는 플레이트(400)의 정확한 위치로 제어 가능하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ncoder 640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600 is provided. Here, the encoder 640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motor 600 and feeds it back. The current rotation angle is fed back so that the encoder 640 stops at the correct position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exact stop of the drive motor 600 is that it can be controlled to the exact position of the plate 400.

여기서, 감지판(630)은 원 또는 반원 형태의 판재로 구동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고, 표식(631)은 오목한 홈, 볼록한 돌기 및 그림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ensing plate 630 may be rotated together by being coupled to the drive shaft in a circular or semi-circular plate material, the mark 631 may be formed as a concave groove, a convex protrusion and a picture.

또한, 구동모터(600)에는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6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감속기(650)에 의해 구동모터(600)의 회전이 감속되어 플레이트(400)가 저속이면서 고출력의 파워로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motor 600 may be provided with a reducer 650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shaft. That is,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600 is decelerated by the reducer 650 so that the plate 400 may rotate at a low speed and high power.

이에 따라, 관리자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100)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경우에, 구동이 중지된 플레이트(400)가 최초의 대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dministrator stops driving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400 where the driving is stopped may be returned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예를 들어, 노즐(500)이 수직을 향하는 상태가 플레이트(400)의 초기 대기위치라고 제어부에 기설정한다면, 작동 후 정지되는 시점에서 플레이트(400)가 수평한 상태로 다시 복귀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구동모터(600)가 중지되는 경우에 초기 대기위치가 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tate in which the nozzle 500 is vertical is preset to the controller as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of the plate 400,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plate 400 to the horizontal state is performed at the time of stopping after the operation. Can be. That is, when the pair of driving motors 600 are stopped, the driving motor 600 may be driven to be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600)에는 제어부의 제어 컴퓨터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미도시)과,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6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구동모터(600)의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e motor 6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computer of the controller,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600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It may be further provided. That is, the administrator is to control the drive motor 600 from a long distance.

로드 어셈블리(700)는, 크랭크(610)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에 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전후좌우로 교차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사이드조인트(710)와, 제1사이드조인트(710)의 상부에서 플레이트(400)의 직각방향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좌우로 교차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사이드조인트(720) 및, 제1사이드조인트(710)의 상단과 제2사이드조인트(720)의 하단에 상하 양단이 각각 결합되며, 양단 중 어느 하나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플레이트(400)가 전후좌우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작동로드(730)를 포함한다.The rod assembly 700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 joints 710 and a first side joint 710 which are axially coupled to one end eccentrically rotated of the crank 610 so as to cross-rotate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A pair of second side joints 720 and a second side joint 720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edges of the plate 400 at the top of the plate 400 so as to be cross-rotated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joint 720, and any one of both ends is provided to be free to rotate, and includes a pair of operating rods 730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plate 400 rotates back, forth, left and right. do.

여기서, 한 쌍의 제1사이드조인트(710)는 크랭크(610)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에 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전후좌우로 교차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작동로드(73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사이드브래킷(711) 및, 제1사이드브래킷(711)과 크랭크(610)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며, 90°의 교차 축을 형성하는 "+" 형상의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712)를 포함한다.Here, the pair of first side joints 710 are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crank 610 eccentrically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cross-rotating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the firs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rod 730 The first side bracket 711 and the first side cross eccentrically rotated ends of the first side bracket 711 and the crank 610 are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at a right angle to each other and form a cross axis of 90 °. And a shaft 712.

여기서, 제1사이드브래킷(711)의 하단 양측에는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712)의 교차 축에 축 결합되도록 각각 연장되어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712)의 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는 축 고정부(711a)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사이드브래킷(711)은 축 고정부(711a)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Here,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ide bracket 711 extends to be coupled to the intersecting axis of the first side cross shaft 712 to form a hole to be coupled to the axis of the first side cross shaft 712. The shaft fixing part 711a is provided. Here, the first side bracket 711 has a shaft fixing portion 711a protrudes on both sides is provided in a "-" shape.

즉, 제1사이드브래킷(711)의 하단 양측에 각각 돌출된 축 고정부(711a)와 전술한 크랭크(610)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이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712)에 의해 크로스 결합됨으로써, 제1사이드조인트(710)에 연결되는 작동로드(730)가 전후좌우로 회동될 수 있다.That is, the shaft fixing parts 711a protruding on both lower ends of the first side bracket 711 and the one end eccentrically rotated by the crank 610 are cross-coupled by the first side cross shaft 712, thereby making The operating rod 730 connected to the one side joint 710 may be rotated back, front, left, and right.

그리고, 한 쌍의 제2사이드조인트(720)는 제1사이드조인트(710)의 상부에서 플레이트(400)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좌우로 교차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작동로드(7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사이드브래킷(721)과, 플레이트(400)의 테두리에 상단이 결합되는 제3사이드브래킷(722) 및, 제2사이드브래킷(721)과 제3사이드브래킷(722)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며,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712)와 동일 축 선을 갖도록 90°의 교차 축을 형성하는 "+" 형상의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723)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723)는 전술한 센터크로스샤프트(330)와 동일 축선을 이룬다.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side joints 720 are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plate 400 at the top of the first side joints 710, respectively,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the operating rod 730. The second side bracket 721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the third side bracket 722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edge of the plate 400, the second side bracket 721 and the third side bracket 722 is A second side cross shaft 723 having a "+" shape that is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at a right angle to each other and forms an intersecting axis of 90 ° to have the same axis line as the first side cross shaft 712 is provided. Here, the second side cross shaft 723 forms the same axis as the center cross shaft 330 described above.

여기서, 제2사이드브래킷(721)의 하단 양측과 제3사이드브래킷(722)의 상단 양측에는, 서로 교차되게 돌출되어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723)의 교차 축에 각각 어긋나게 축 결합되도록 연장되어,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723)의 교차 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는 축 고정부(721a, 722a)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제2사이드브래킷(721) 및 제3사이드브래킷(722)은 축 고정부(721a, 722a)가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Here, the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721 and the upper both sides of the third side bracket 722 protrude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extend so as to be axially coupled to the crossing axes of the second side cross shaft 723, respectively. Shaft fixing portions 721a and 722a are formed to form holes so that the crossing axes of the second side cross shafts 72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Here, the second side bracket 721 and the third side bracket 722 have shaft fixing portions 721a and 722a protruding from both sides, respectively, to have a “c” shape.

그리고, 제3사이드브래킷(722)의 상부에는 전술한 플레이트(400)의 연장부(420)가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 홀(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third side bracket 722 so that the extension part 420 of the plate 400 may be coupled by the fastening member B. .

따라서, 제2사이드브래킷(721)의 하단 양측에 각각 돌출된 축 고정부(721a)와, 제3사이드브래킷(722)의 상단 양측이 각각 돌출된 축 고정부(722a)가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723)에 의해 크로스 결합됨으로써, 제2사이드조인트(720)에 연결되는 플레이트(400)가 전후좌우로 회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side cross shaft includes a shaft fixing part 721a which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721, and a shaft fixing part 722a which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third side bracket 722. By cross-coupling by 723, the plate 400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joint 720 may be rotated back, forth, left, and right.

또한, 전술한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712) 및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723)의 교차 축의 끝단 부위에는, 링 형상의 홈(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의 홈에 일단이 절개된 링 타입의 고정링(L)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ing-shaped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an intersection axis of the first side cross shaft 712 and the second side cross shaft 723, and one end of the ring-shaped groove may be formed. Fixed ring (L) of the cut ring type can be combined.

고정링(L)은,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712)의 교차 축에 제1사이드브래킷(711)의 축 고정부(711a)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723)의 교차 축에 제2사이드브래킷(721)과 제3사이드브래킷(722)의 축 고정부(721a, 722a)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The fixing ring L prevents the shaft fixing portion 711a of the first side bracket 711 from being coupled to the crossing shaft of the first side cross shaft 712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side cross shaft. The shaft fixing parts 721a and 722a of the second side bracket 721 and the third side bracket 722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n axially coupled state to the crossing axes of the 723.

한 쌍의 작동로드(730)는, 구동모터(6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플레이트(400)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제1사이드조인트(710)에 상단이 수평 또는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사이드조인트(720)에 하단이 결합되어 플레이트(400)가 전후좌우로 교차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The pair of actuating rods 730 is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to the plate 400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e motor 600 into a linear movement, the upper end is horizontal or free rotation to the first side joint 710 It is coupled to be possibl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side joint (720)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so that the plate 400 can be cross-rotat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그리고, 전술한 제1사이드브래킷(711)의 상단 또는 제2사이드브래킷(721)의 하단에는, 개방부가 좁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홈(72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로드(730)의 일단에는 삽입홈(721b)에 대응 삽입되어 수평회전되도록 단턱을 갖는 걸림단(73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ylindrical insertion groove 721b having a narrow opening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racket 711 or a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721, and the operating rod 730 may be formed. At one end, a locking end 731 having a step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sertion groove 721b so as to rotate horizontally.

따라서, 걸림단(731)이 원통 형상의 삽입홈(72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사이드브래킷(711) 또는 제2사이드브래킷(721)이 작동로드(730)의 일단을 기준으로 수평회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ide bracket 711 or the second side bracket 721 is horizontally rotated relative to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730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end 731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insertion groove 721b. Can be.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사이드브래킷(711)의 상단 또는 제2사이드브래킷(721)의 하단에는, 개방부가 좁게 형성되는 구 형상의 삽입홈(72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로드(730)의 일단에는 삽입홈(721b')에 대응 삽입되어 자유회전되는 볼(Ball) 형태의 걸림단(731')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a spherical insertion groove 721b ′ having a narrow opening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racket 711 or a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721. In addition,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7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locking end 731 'having a ball shape that is freely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21b'.

따라서, 볼(Ball) 형상을 갖는 걸림단(731')이 구 형상의 삽입홈(721b')에 대응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1사이드브래킷(711) 또는 제2사이드브래킷(721)이 작동로드(730)의 일단을 기준으로 자유회전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ide bracket 711 or the second side bracket 721 is operated with the ball end 731 'having the bal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herical insertion groove 721b'. It may be freely rotated relative to one end of 730.

또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721)의 하단에는 내주 면에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는 암 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홈(72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작동로드(730)의 일단에는 삽입홈(721b'')에 대응 삽입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도록 외주 면을 따라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는 암 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된 걸림단(7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721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721b ″ formed with a male or male thread forming a plurality of stages perpendicular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n addition,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73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end 731 '' having a female or male thread formed vertic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21b '' and rotate horizontally. have.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된 걸림단(731'')이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홈(721b'')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사이드브래킷(721)이 작동로드(730)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side bracket 721 is rotated relative to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730 in a state where the threaded locking end 731 ''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hreaded insertion groove 721b ''. Can be.

또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3사이드브래킷(722)의 하단에는, 개방부가 좁게 형성되는 구 형상의 삽입홈(72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로드(730)의 일단에는 삽입홈(722b)에 대응 삽입되어 자유회전되는 볼(Ball) 형태의 걸림단(731')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lower end of the above-described third side bracket 722 may be formed with a spherical insertion groove 722b having a narrow opening portion. In addition,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7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locking end 731 'in the form of a ball that is freely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22b.

따라서, 볼(Ball) 형상의 걸림단(731')이 삽입홈(72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사이드브래킷(711) 또는 제2사이드브래킷(721)이 작동로드(730)의 일단을 기준으로 자유회전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ide bracket 711 or the second side bracket 721 refers to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730 in a state where the ball-shaped locking end 7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22b. It can also be freely rotated.

이하, 도 8a와 8b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먼저, 관리자의 제어부 조작에 의해 한 쌍의 구동모터(600)를 함께 구동시키는 경우, 한 쌍의 구동축에 결합된 각각의 크랭크(610)가 일정한 편차를 가지면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First, when driving a pair of drive motor 600 together by the control unit operation of the manager, each of the cranks 610 coupled to the pair of drive shaft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a certain deviation.

이때, 크랭크(610)의 편심회전되는 일단에 축 결합된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712)와 제1사이드브래킷(711) 및 작동로드(730)가 상하 및 전후좌우로 연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side cross shaft 712 and the first side bracket 711 and the operating rod 730 axially coupled to one end eccentrically rotated of the crank 610 are interlocked up, down, front, rear, left and right.

그리고, 작동로드(730)의 상단에 결합된 제2사이드브래킷(721)과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723) 및 제3사이드브래킷(722)이 상하 및 전후좌우로 연동하게 되며, 제2사이드브래킷(721)에 연결된 플레이트(400)의 일측과 직각을 이루는 플레이트(400)의 타측이 반대되게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side bracket 721 and the second side cross shaft 723 and the third side bracket 722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730 are interlocked up, down,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the second side bracket The other side of the plate 400 forming a right angle with one side of the plate 400 connected to 721 is repeated to rise and fall.

즉, 일측의 제1사이드조인트(710)와 제2사이트조인트(720) 및 작동로드(730)가 크랭크(610)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승함과 동시에, 타측의 제1사이드조인트(710)와 제2사이트조인트(720) 및 작동로드(730)가 크랭크(610)의 편심 회전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side joint 710 and the second side joint 720 and the operating rod 730 on one side are raised by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crank 610, and the first side joint 710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site joint 720 and the actuating rod 730 are lowered by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crank 610.

이와 같은 동작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플레이트(400)는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단의 센터조인트(300)를 중심으로 상단이 수평회전하게 되며, 노즐(50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전되므로, 노즐(500)을 통해 수평으로 원을 이루는 형태의 물줄기가 반복적으로 연출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the plate 400 is rotat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joint 300 at the bottom in the inclined state to one side, and rotates horizontally in the tilted state of the nozzle 500. Therefore, the water stream having a horizontal circle shape through the nozzle 500 may be repeatedly produced.

물론, 상기한 구동패턴과 다르게 한 쌍의 구동모터(60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노즐(50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양방향으로 왕복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노즐(500)을 통해 반원 형태의 물줄기가 연출될 수 있다.Of course, by rotating the pair of drive motors 60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drive pattern, the nozzle 500 may be repeatedly reciprocated in both directions in an inclined state. At this time, the semi-circular water stream may be produced through the nozzle 500.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동모터(600)만을 구동시킴으로써 노즐(500)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왕복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400)를 수직 또는 전후좌우 방향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킨 후, 노즐(500)을 통해 고정적인 물줄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driving only one drive motor 600, the nozzle 500 can be reciprocated only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fter the plate 400 is fixed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or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nozzle ( It is also possible to spray a fixed stream of water through 500).

이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100)는, 종래에 한 번도 시도된바 없는 기술로서, 노즐(500)을 수직 또는 전후좌우 방향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고정적인 물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노즐(500)을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원 형태의 물줄기를 유동적으로 연출할 수 있어 분수연출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that has never been tried in the past, and is fixed when the nozzle 500 is fixed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front, rear, left, or right directions. When the water flow can be produced, and the nozzle 500 is continuously operated, the flow of the water in the form of a circle can be produced in a fluid manner, thereby ensuring the diversity of the fountain output.

또한, 구동모터(6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플레이트(400)로 전달하는 구동방식이므로, 노즐(500)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반경이 넓지 않아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method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ing motor 600 into a linear motion and transmits it to the plate 400, the driving radius for rotating the nozzle 500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not wide, thereby ensuring easy installation space. The structure has a simple advantag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100)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Therefore,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such as dimensions, shapes, structures,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어 노즐장치 200: 베이스
210: 안착부 220: 지지판
230: 보강판 300: 센터조인트
310: 제1센터브래킷 320: 제2센터브래킷
330: 센터크로스샤프트 400: 플레이트
410: 노즐헤더 411: 유입구
412: 유출구 420: 연장부
500: 노즐 600: 구동모터
610: 크랭크 620: 모터케이스
630: 감지판 631: 표식
640: 엔코더 650: 감속기
660: 감지센서 700: 로드 어셈블리
710: 제1사이드조인트 711: 제1사이드브래킷
712: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 720: 제2사이드조인트
721: 제2사이드브래킷 722: 제3사이드브래킷
723: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 730: 작동로드
731, 731', 731'': 걸림단 800: 물 공급관
L: 고정링 B: 체결부재
100: control nozzle device 200: base
210: seating portion 220: support plate
230: reinforcement plate 300: center joint
310: first center bracket 320: second center bracket
330: center cross shaft 400: plate
410: nozzle header 411: inlet
412: outlet 420: extension part
500: nozzle 600: drive motor
610: crank 620: motor case
630: detection plate 631: marker
640: encoder 650: reducer
660: sensor 700: rod assembly
710: first side joint 711: first side bracket
712: first side cross shaft 720: second side joint
721: second side bracket 722: third side bracket
723: second side cross shaft 730: operating rod
731, 731 ', 731'': Hanging 800: Water supply pipe
L: retaining ring B: fastening member

Claims (15)

상부에 안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안착부에 전후좌우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조인트; 상기 센터조인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노즐; 상기 플레이트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전후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로드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센터조인트는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센터브래킷과, 상기 노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센터브래킷; 및 상기 제1센터브래킷 및 상기 제2센터브래킷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도록 교차축을 형성하는 센터크로스샤프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전후와 좌우를 각각 제어할 수 있게 2개 이상으로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에 구동축이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편심 회전가능하게 크랭크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A base on which a seating portion is formed; A center joint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enter joint; A nozzle installed on the plate; A driving mot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ate to provide power to rotate the plat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a rod assembly transferr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plate. And including
The center joint may include a first center bracke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center bracke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nozzle; And a center cross shaft configured to form a cross shaft such that the first center bracket and the second center bracket are axially coup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 drive motors are installed at two or more at right angles to the edge of the base to control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dual tilt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nk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drive shaft so as to be eccentrically rotatable. Multi vector controlled nozzle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중앙 부위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노즐헤더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노즐헤더는, 상기 공간부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맥동 및 와류를 정렬시켜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t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nozzle header forming a space portion in the central portion,
The nozzle header,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sation and vortex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space is supplied to the nozz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더는, 일측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물 공급관이 연결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이 분출되도록 상기 노즐이 결합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nozzle header, the inlet por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one side; And an outlet port to which the nozzle is coupled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is ej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테두리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채결부재에 의해 하단에 제2사이드조인트가 결합되는 다수의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te is protruded in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rim, a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tensions coupled to the second side joint at the bottom by the coupling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상기 크랭크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에 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전후좌우로 교차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사이드조인트;
상기 제1사이드조인트의 상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좌우로 교차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사이드조인트; 및
상기 제1사이드조인트의 상단과 상기 제2사이드조인트의 하단에 상하 양단이 각각 결합되며, 양단 중 어느 하나가 수평 또는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전후좌우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d assembly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 joints axi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rank which is eccentrically rotated so as to cross-rotate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A pair of second side joints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plate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 joints, the second side joints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joint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joint, and one of the two ends is provided to be horizontally or freely rotated so as to transmit a driving force so that the plate rotates back, forth, left and right.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조인트는, 상기 작동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사이드브래킷; 및
상기 제1사이드브래킷과 상기 크랭크의 편심 회전되는 일단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며, 상기 센터크로스샤프트와 동일 축 선을 갖도록 교차 축을 형성하는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ide joint may include a first side bracke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And
And a first side cross shaft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side bracket and the eccentrically rotated end of the crank at a right angle to each other, and forms an intersecting axis to have the same axis line as the center cross shaft. Tilt multi-vector controlled nozzle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드조인트는, 상기 작동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사이드브래킷;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상단이 결합되는 제3사이드브래킷; 및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 및 상기 제3사이드브래킷이 서로 어긋나게 직각으로 축 결합되며, 상기 제1사이드크로스샤프트와 동일 축 선을 갖도록 교차 축을 형성하는 제2사이드크로스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side joint may include a second side bracke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A third side bracket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n edge of the plate; And
A second side cross shaft which is axially coupled at right angles to the second side bracket and the third side bracket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and has a same axis line as the first side cross shaft; Tilt multi-vector controlled nozzl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일면이 향하도록 수직으로 지지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vertically with one surface facing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he support plate is fixed to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is exposed to the mount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브래킷의 상단 또는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는, 개방된 부위가 내부 지름보다 좁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 내에 대응삽입되어 수평회전되도록 단턱을 갖는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t any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racket or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a cylindric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open por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inner diameter,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operation rod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tepped end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ed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브래킷의 상단 또는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는, 개방된 부위가 내부 지름보다 좁게 형성되는 구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 내에 대응삽입되어 자유회전되도록 볼(Ball) 형태의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t any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racket or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a spheric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open por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inner diameter,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end of the ball (Ball) shape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freely rotated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브래킷의 상단 또는 상기 제2사이드브래킷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는, 내주 면에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는 암 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도록 외주 면을 따라 수직으로 다단을 이루는 암 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된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t least one of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bracket or a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bracket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a female or male thread is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stages perpendicular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working rod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emale end or male threaded end forming a plurality of vertical stag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rotate horizontall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드조인트는, 하단에 개방부가 좁게 형성되는 구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 내에 대응삽입되어 자유회전되도록 볼(Ball) 형태의 걸림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ide joint is formed with a spherical insertion groove having a narrow opening at a lower end thereof,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end of the ball (Ball) shape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freely rotated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일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초기 대기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식이 형성되는 감지판;
상기 플레이트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경우, 상기 표식을 감지한 위치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플레이트 초기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며, 현재의 회전각을 피드백시켜 제어신호에 따른 정확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틸트 멀티벡터 제어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al 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e motor,
Inside the drive motor, the sensing plate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the marking plate for marking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of the plate on one surface;
A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late by applying a position signal detecting the mark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plate is stopped; And
And an encoder configured to sense a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motor and apply it to the controller, and to feed back a current rotation angle to stop at an accurate posi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KR1020110042512A 2011-05-04 2011-05-04 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KR101081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512A KR101081597B1 (en) 2011-05-04 2011-05-04 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PCT/KR2012/000977 WO2012150759A1 (en) 2011-05-04 2012-02-09 Dual-tilt multi-vector control nozz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512A KR101081597B1 (en) 2011-05-04 2011-05-04 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597B1 true KR101081597B1 (en) 2011-11-08

Family

ID=4539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512A KR101081597B1 (en) 2011-05-04 2011-05-04 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1597B1 (en)
WO (1) WO2012150759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7534A (en) * 2012-06-11 2013-10-23 杭州明珠音乐喷泉有限公司 360-degree continuous-rotation synchronous-power-supply two-dimensional waterscape sprayer and rotation method thereof
CN103372508A (en) * 2012-06-11 2013-10-30 杭州明珠音乐喷泉有限公司 Two-dimensional waterscape sprayer with continuous rotation and synchronous power supply functions and rotation method for two-dimensional waterscape sprayer
KR101531705B1 (en) * 2015-04-13 2015-06-25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The multidegree of freedom fountain nozzle device
KR20150109796A (en) * 2014-03-21 2015-10-02 서울메트로 a system for Ventilation and Smoke Evacuation on Subway Train Vehicle
KR101569430B1 (en) 2015-04-10 2015-11-17 이랜드체육조경(주) Water jetting apparatus for fountain
KR101590036B1 (en) * 2015-09-23 2016-02-12 (주)백조씽크 Oil spr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8186A (en) * 2019-09-02 2021-03-05 刘红娟 Watering device for afforest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7971A1 (en) * 2008-12-12 2010-06-17 Disney Enterprises, Inc. Fluid effects platform with a pivotally-mounted and remotely-positioned output manifol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802B1 (en) * 2009-03-12 2009-11-03 플러스파운틴(주)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KR100957838B1 (en) * 2009-08-24 2010-05-14 플러스파운틴(주)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7971A1 (en) * 2008-12-12 2010-06-17 Disney Enterprises, Inc. Fluid effects platform with a pivotally-mounted and remotely-positioned output manifold
US7886992B2 (en) * 2008-12-12 2011-02-15 Disney Enterprises, Inc. Fluid effects platform with a pivotally-mounted and remotely-positioned output manifol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7534A (en) * 2012-06-11 2013-10-23 杭州明珠音乐喷泉有限公司 360-degree continuous-rotation synchronous-power-supply two-dimensional waterscape sprayer and rotation method thereof
CN103372508A (en) * 2012-06-11 2013-10-30 杭州明珠音乐喷泉有限公司 Two-dimensional waterscape sprayer with continuous rotation and synchronous power supply functions and rotation method for two-dimensional waterscape sprayer
CN103357534B (en) * 2012-06-11 2015-08-12 杭州明珠音乐喷泉有限公司 A kind of 360 degree of continuous rotation power supply synchronization two-dimensional waterscape sprayers and spinning solution thereof
KR20150109796A (en) * 2014-03-21 2015-10-02 서울메트로 a system for Ventilation and Smoke Evacuation on Subway Train Vehicle
KR101569430B1 (en) 2015-04-10 2015-11-17 이랜드체육조경(주) Water jetting apparatus for fountain
KR101531705B1 (en) * 2015-04-13 2015-06-25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The multidegree of freedom fountain nozzle device
KR101590036B1 (en) * 2015-09-23 2016-02-12 (주)백조씽크 Oil spr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759A1 (en)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597B1 (en) Dual tilt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KR100994111B1 (en) Rotary system of fountain nozzle
US8714466B2 (en) Fire-fighting monitor with remote control
KR100989368B1 (en) Swing nozzle apparatus for fountain
KR100957838B1 (en)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KR101252584B1 (en) Multiaxial and time-varying driving injection device
CN201140131Y (en) Shower water exit switching device
CN104525402B (en) Sprinkling equipment
KR200428674Y1 (en) Rotating type fountain device
CN210304172U (en) Spray lance rotary drive structure
CN209941595U (en) Building site dust device
KR200388151Y1 (en) Rotary nozzle system for fountain
CN210491994U (en) Sprinkling irrigation equipment is used in view gardens
US20090116952A1 (en) Rolling Fluid Machine Especially With a Liquid Spraying at the Output
KR20160031322A (en) Pivotable Type Fountain Device
CN206380436U (en) A kind of automatic sprinkler
CN201482652U (en) Water outlet panel adjustment structure of gondola water faucet
CN203155411U (en) Shower head water outlet switching structure
CN218078466U (en) Spray gun capable of adjusting spray angle
CN216605804U (en) Intelligent numerical control equipment of water dancing robot
CN216756816U (en) Rotary nozzle for sprinkler
KR200383474Y1 (en) Apparatus to operate twist jet in fountain
CN212035268U (en) Integrated farmland sprinkling irrigation device
CN202045037U (en) Regulation device of rotary spray gun
CN201105247Y (en) Rotary nozzle used for fountain water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