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07B1 - 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07B1
KR101080107B1 KR1020110037926A KR20110037926A KR101080107B1 KR 101080107 B1 KR101080107 B1 KR 101080107B1 KR 1020110037926 A KR1020110037926 A KR 1020110037926A KR 20110037926 A KR20110037926 A KR 20110037926A KR 101080107 B1 KR101080107 B1 KR 10108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ver
terminal
file
net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광식
김준엽
정병훈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3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07B1/en
Priority to US13/824,795 priority patent/US9426204B2/en
Priority to JP2013544409A priority patent/JP5629022B2/en
Priority to PCT/KR2012/002973 priority patent/WO2012144806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sharing data among independent networks without using a portable storing medium. CONSTITUTION: A first terminal(100) connected to a first network is used in the first network. A first network link server(110) located between a sharing storage(300) and the first terminal transceives or controls data. A second terminal(200) connected to a second network is used in the second network. A second network link server(210) located between the sharing storage and the second terminal controls and transceives the data. The first and the second network link servers shares one storage space of the sharing storage.

Description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본 발명은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가 독립된 환경에서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독립된 망간에 메일 송수신, 파일 송수신 및 클립보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linkage system for data sharing between independent networks,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shared storage in a network independent environment, data can be easily transmitted and received,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independent network between th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linkage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네트워크망은 각각 독립될 수 있으며, 독립된 망은 제1망, 제2망, 제3망 등과 같이 여러 개일 수 있다. The network may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there may be several independent networks such as a first network, a second network, and a third network.

그런데, 제1망과 제2망이 독립된 상태에서 양 망간의 메일 송수신은 불가능하며, 제1망에서 생성된 메일의 내용과 파일은 별도의 저장 매체를 통하여 제2망으로 이동하여 업무를 하여야 한다. 특히, 제1망에서 생성된 메일의 내용이 다른 제3망과 링크가 된 경우는 제2망에서 활용 또는 열람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제2망에서 생성된 메일을 제1망에서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망에서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통해 제1망으로 이동하여 메일을 열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re independent, mai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both networks is impossible, and contents and files of the mail generated in the first network must be moved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a separate storage medium to perform work. . In particular, when the contents of the e-mail generated in the first network are linked with another third network, it is impossible to use or view the second network. In addition, when the mail generated in the second network is to be viewed in the first network, it is inconvenient to move the mail to the first network through a separate portable storage medium in the second network to read the mail.

또한, 제1망에서 자료를 다운받아 제2망에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통하여 제2망으로 이동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even if you want to download the data from the first network and utilize it in the second network,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move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a separate portable storage medium.

한편, 제1망의 이미지와 텍스트는 별도의 화면 캡쳐 시스템을 사용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통하여 제2망으로 이동하여 활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and text of the first network is inconvenient to store as a file using a separate screen capture system and to move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a separate portable storage medium to utilize.

이와 같이 네트워크망이 독립된 환경에서 양 망간의 자료 이동은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사용하여야 하며, 저장매체의 반출입과 비인가 저장매체의 사용 통제 등 관리 절차가 수반되어야 하며, 자료의 저장 및 이동이 전적으로 사용자의 판단에 의거하여 수행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자료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장기간의 저장매체의 사용으로 인한 마모, 파손 등으로 중요한 업무자료들이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data transfer between two networks in a network-independent environment should use separate portable storage media, and management procedures such as import and export of storage media and control of use of unauthorized storage media should be involved. Since it is performed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user, there is a possibility of data leakage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mportant work data may be lost due to wear, damage, etc. due to long-term use of the storage medium.

또한, 네트워크망이 독립된 환경에서 독립된 양 망간에 화면 캡쳐, 키보드입력정보(keylogging) 등이 차단되고, 자료에 대해 양 망간에 끌어 놓기(drag & drop), 복사 후 붙여넣기(copy & paste) 등이 차단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screen capture, keyboard input information, etc. are blocked between two independent networks in a network independent environment, and drag and drop and copy and paste data between the two networks. It is blocked,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네트워크가 독립된 환경에서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휴대형 저장매체의 사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독립된 양 망간에 메일 송수신, 파일 송수신 및 클립보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use of a portable storage medium by sharing data using a shared storage in an independent network environment, sending and receiving mail,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wo independent networks And to provide a network linkage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clipboar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제1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1망에서 사용되는 제1단말기와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1망 연계서버와 제2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2망에서 사용되는 제2단말기와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2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2망 연계서버 및 하나의 저장 공간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가 공유하는 공유스토리지를 포함한다.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hared storage and the first terminal used in the first network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that controls or transmits and receives a second network connection that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used in the second network and the shared storage and the second terminal to control or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server and one storage space includes a shared storage shared by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and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이때, 상기 공유스토리지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별 읽기 및 쓰기 권한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볼륨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hared storage may include at least two volumes having different read and write rights for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and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상기 제1단말기가 수신한 메일을 eml 파일(a)로 변환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제1망 메일서버 및 상기 제2단말기가 발신할 메일을 eml 파일(b)로 변환 및 저장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제2망 메일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network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network mail server and the first network to convert the mail received by the first terminal to an eml file (a) to transmit to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The second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network mail server for converting and storing the outgoing mail into an eml file (b) and transmitting the mail to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또한, 상기 제1망 메일서버는 상기 수신한 메일 중에서 기지정된 메일에 대해서만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may transmit only a predetermined mail among the received mails to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또한,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을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을 SMTP(Simple Mail Tran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망 메일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transmits the eml file a to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and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transmits the eml file a using SMTP (Simple Mail Tranfer Protocol). The second network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l server.

또한, 상기 제1망 메일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a)에 첨부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converts a rendering image of the eml file (a) into a PDF file, attaches the PDF file to the eml file (a), and together with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Can transmit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을 SMTP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망 메일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cond network link server transmits the eml file b to the first network link server, and the first network link server sends the eml file b to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using SMTP. Can be sent to.

또한, 상기 제2망 메일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b)에 첨부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Further, the second network mail server converts a rendering image of the eml file (b) into a PDF file, attaches the PDF file to the eml file (b), and joins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together. Can transmit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자료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승인자 DB를 참조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인받는 승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may further include an approval unit which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approved with reference to the approver DB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또한,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단말기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 환경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2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2단말기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 환경으로 출력되어,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간에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또는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in the form of a network drive, the folder and file contents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output in a GUI environment, and the first terminal may be in the form of a network drive in the second terminal. Connectable, the folder and file contents of the second terminal is output to the GUI environment, it can provide an interface that can be sent by dragging or copying (drag) or copy the file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period. .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 또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제2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 간에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를 조합하여 기설정된 파일 형태로 재생성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을 재생성하는 작업을 기설정된 시간단위로 수행하고, 상기 재생성된 파일을 전송할 때에 큐(Queue)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or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transmits at least one file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the file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unit, and the divided unit is divided. In combination, the file can be regenera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and transmitted to the shared storage. At this time, the regeneration of the file may be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a queue may be used to transmit the regenerated file.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와 상기 공유스토리지간 또는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간 자료의 송수신은 전용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between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and the shared storage or between the shared storage and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may use a dedicated transmission protocol.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공유되는 클립보드(clipboard)를 생성 또는 관리하고,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상기 제1단말기에서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 복사하면,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서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부터 붙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보드의 내용은 복사를 수행하는 쪽의 상기 공유스토리지 볼륨에만 존재할 수 있다. The second network link server and the first network link server may generate or manage a clipboard that is shared using the shared storage, and may use any copy shortcut key on the second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When copied to the clipboard,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can be pasted from the clipboard through any pasting shortcut. At this time, the contents of the clipboard may exist only in the shared storage volume of the copying side.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network linkage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독립된 망간의 자료 공유를 위하여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Firs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portable storage medium for data sharing between independent networks,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둘째, 독립된 망간의 메일 송수신시 자동으로 메일을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보안의 위협이 없다.Second, there is no security threat by automatically converting and sending mails when sending and receiving mail between independent networks.

셋째, 독립된 망간의 파일 전송시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하여 전송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서버에 부하가 없고, 공유스토리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Third, even when multiple terminals are connected and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when transferring files between independent networks, there is no load on the server and the quality of shared storage can be improved.

넷째, 독립된 망간에 클립보드를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Fourth, the clipboard can be used for independent manganese so that unnecessary work is not requi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일 송수신 기능이 부가된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서 메일을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망에서 제2망으로 자료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2망에서 제1망으로 자료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를 복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를 붙여넣기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ransmitting data using shared storage.
3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sharing data between independent networks added with a mai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il in th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network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flow of data transmission from the first network to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flow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network to the firs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pying a clipboard via any copy hotke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pasting a clipboard via any paste hot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은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가 독립된 환경에서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독립된 망간에 메일 송수신, 파일 송수신 및 클립보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the independent manganese data for facilita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ail, file transmission and clipboard between the independent networks by sharing data using a shared storage in an independent network environment It relates to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sharing.

본 발명에서 제1망 및 제2망은 독립된 별도의 네트워크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한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으며 독립되어 있는 네트워크망이면 충분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mean independent separate network networks, and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network, and an independent network network is suffic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제1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1망에서 사용되는 제1단말기(100)와 공유스토리지(300)와 상기 제1단말기(100)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1망 연계서버(110)와 제2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2망에서 사용되는 제2단말기(200)와 상기 공유스토리지(300)와 상기 제2단말기(200)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2망 연계서버(210) 및 하나의 저장 공간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가 공유하는 공유스토리지(3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is connected to a first network and used in the first network. Located between the 100 and the shared storage 300 and the firs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and the second network for controlling 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ed in the second network A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located between a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hared storage 3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to control or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 storage space of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and the shared storage 300 shared by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도 2는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는 하나의 저장 공간을 다수의 서버가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별 읽기 및 쓰기 권한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볼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유스토리지(300)의 저장공간에 대한 읽기 및 쓰기 권한 제어로 일방향성 및 망간 독립성이 보장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 외 자료 반입시 악성코드 검사기능 및 자료 반출시 인가된 파일여부 확인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ransmitting data using shared storage. As shown, the shared storage 300 supports the ability to share a single storage space by a plurality of servers, the first network-linked server 110 and the second network-linked server 210 by It can consist of at least two volumes with different read and write permissions. In this way, the read and write permission control of the storage space of the shared storage 300 provides one-way and manganese independence. In addition, when importing data, it is possible to add a function for checking malicious code and checking whether a file is authorized when exporting data.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일 송수신 기능이 부가된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상기 제1단말기(100)가 수신한 메일을 eml 파일(a)로 변환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하는 제1망 메일서버(120) 및 상기 제2단말기(200)가 발신한 메일을 eml 파일(b)로 변환 및 저장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하는 제2망 메일서버(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with a mai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d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12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which converts the received mail into an eml file (a)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110, sends an eml file ( b)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network mail server 220 to be converted to and stored in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210 to be trans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서 메일을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제2망과 제1망 간의 메일을 송수신 프로세스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il in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network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il between a second network and a first network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먼저, 제3망에서 생성된 메일을 제1망에서 제2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가 제3망으로부터 메일을 수신하면(①),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미리 제2망으로 송신하도록 메일을 미리 지정하거나 선택한다(②). 그에 따라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는 상기 수신한 메일 중에서 기지정된 메일에 대해서만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수신한 메일을 eml 파일(a)로 변환하여 전송한다(③).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상기 eml 파일(a)을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④)하고,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상기 eml 파일(a)을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망 메일서버 (220)로 전송하며(⑤), 상기 전송된 메일을 제2단말기(200)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⑥)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제1망으로부터 메일을 수신하여 제2망으로 전송하는 것 외에 사용자가 제1망에서 제2망으로 메일을 전송하는 것도 포함한다. First, a process of transmitting a mail generated in the third network from the first network to the second network. When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120 receives the mail from the third network (1), the first terminal 100 pre-specifies or selects the mail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network (2). Accordingly,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120 transmits only the predetermined mail among the received mails to the first network linkage server 110. At this time, the received mail is converted into an eml file (a) and transmitted. (③)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transmits (4) the eml file (a) to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using the shared storage 300, and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 Transmits the eml file (a) to the second network mail server 220 using the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⑤), and transfers the transmitted mail to the second terminal 200. It is delivered to (⑥). Of course, this process includes not only receiving mail from the first network and sending it to the second network, but also the user sending the mail from the first network to the second network.

이때,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는 상기 eml 파일(a)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a) 첨부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eml 파일의 경우 다른 네트워크 망으로의 링크가 포함되어 있거나 이미지 파일들이 첨부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망이 달라질 경우에 깨지거나 그 내용을 모두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eml 파일(a)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여 첨부함으로써, 깨지거나 링크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문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랜더링(rendering)은 광원·위치·색상 등 외부의 정보를 고려하면서 사실감을 불어넣는 과정을 뜻하는 컴퓨터그래픽스 용어로, 랜더링 이미지는 랜더링 처리가 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미지 파일의 첨부만 없는 경우라면 글자만 PDF 파일로 변환하면 되지만, 글자 이외에 그림 등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사실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랜더링 과정을 거쳐 PDF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가 PDF 파일로 변환하였으나, 별도의 PDF 변환 서버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PDF 변환 서버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제1망 연계서버(110)에서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 다른 망으로 송부할 메일을 전송하기 전에 PDF 변환 서버에서 eml 파일(a)을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a)에 첨부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 외 설계 변경 가능한 범위를 모두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120 converts a rendering image of the eml file (a) into a PDF file, attaches the PDF file to the eml file (a), and attaches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Can be sent to 110 together. In the case of eml files, links to other networks are included or image files are attached, so when the network is different, it is often broken or cannot display all of the contents.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by converting and attaching a rendering image of the eml file (a) to a PDF file, it is possible to solve a problem that is not broken or linked so that the full text can be viewed. Rendering is a computer graphics term for a process of injecting realism while considering external information such as a light source, a position, and a color. A rendering image refers to a rendered image. If only the image file is not attached, only the text may be converted into a PDF file. However, in the case of including an image such as a picture in addition to the text,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he text to PDF through a rende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120 converts the file into a PDF file. However,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120 may include a separate PDF conversion server. In case a separate PDF conversion server is provided, the PDF conversion server converts the eml file (a) into a PDF file before sending the mail to be sent from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to the shared storage 300 to another network. In addition, the PDF file may be attached to the eml file (a) and transmitted to the shared storage 300, and includes all other design changeable ranges.

다음으로, 제2망에서 메일을 생성하여 제1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제2단말기(200)에서 메일을 작성하여 발송(⑦)하면, 해당 메일이 제2망용 메일인지 제1망용 메일인지 판단한다. 판단한 결과 제1망으로 발송되는 메일이라면,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발송 메일을 eml 파일(b)로 변환(⑧)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⑨)한다.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상기 eml 파일(b)를 SMTP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로 전송(⑩)하고,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는 제1망으로 메일을 송신한다(⑪). Next, a process of generating a mail in the second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mail to the first network. When the mail is created and sent (⑦) by the second terminal 2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il is a mail for the second network or the mail for the first networ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l is sent to the first network,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210 converts (8) the sent mail into an eml file (b) and uses the shared storage 300 to connect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⑨) to (110).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transmits the eml file b to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120 using SMTP, and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120 transmits the first network. Send an e-mail (⑪).

이때에도, 상기 제2망 메일서버 (220)는 상기 eml 파일(b)의 랜더링 이미지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b)에 첨부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In this case, the second network mail server 220 converts the rendered image of the eml file (b) into a PDF file, attaches the PDF file to the eml file (b), and connects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210. ) Can be sent together.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또한, eml파일은 Windows Mail 및 Outlook Express에서 읽을 수 있는 파일고, 꼭 eml 파일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Office Outlook에서 열어서 읽을 수 있는 msg 파일 등도 무방하다. In addition, eml files are files that can be read by Windows Mail and Outlook Express. The eml files are not limited to eml files, and msg files can be opened and read by Office Outlook.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제2망 연계서버(210)는 승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자료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승인자 DB를 참조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인을 받는데, 메일을 포함한 자료가 다른 망으로 송수신 되는 것은 승인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승인부는 상기 승인자 DB에 자료 종류별 승인이 필요한 승인자 리스트를 저장하여 두고, 자료 송수신시 승인을 받도록 한다. 다만, 자료가 송수신될 때마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승인을 받도록 수동 승인을 설정할 수도 있지만, 반복적 작업인 경우에 자동 승인으로 체크를 해두면 승인받을 것으로 취급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of the network linkage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pproval unit (not shown). That is, in case of sending and receiving data, the approval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by referring to the approver DB, but the data including mai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other networks often need approval. Therefore, the approval unit stores the list of approvers requiring approval for each data type in the approver DB, and receives the approval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However, although manual approval can be set to receive approval online or offline whenever data is sent or received, it can be treated as approved if it is checked with automatic approval in case of repetitive work.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망에서 제2망으로 자료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망에서 제2망으로 자료 전송시, 제1단말기(100)에서 제1망 연계서버(110)로,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제1망 전송통제서버로 자료를 전송한다(①). 제1망 전송통제서버를 통하여 공유스토리지(300)에 자료를 쓰면(②), 상기 제2망 전송통제서버가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부터 자료를 읽어와서(③)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④)하고,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제2단말기(200)로 전송한다.5 illustrates a flow of data transmission from the first network to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network to the second network,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and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transmit the first network. Send data to the control server (①). When data is written to the shared storage 300 through the first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server (②), the second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server reads data from the shared storage 300 (③) and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 (4), and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transmits to the second terminal 2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2망에서 제1망으로 자료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망에서 제1망으로 자료 전송시, 제2단말기(200)에서 제2망 연계서버(210)로,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제2망 전송통제서버로 자료를 전송한다(①). 제2망 전송통제서버를 통하여 공유스토리지(300)에 자료를 쓰면(②), 상기 제1망 전송통제서버가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부터 자료를 읽어와서(③)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④)하고,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제1단말기(100)로 전송한다. 6 illustrates a flow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network to the firs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network to the first network, the second terminal 200 to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and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transmit the second network. Send data to the control server (①). When data is written to the shared storage 300 through the second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server (②), the first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server reads data from the shared storage 300 (③) and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 (4), and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transmits to the first terminal 100.

다만, 이와 같이 제2망과 제1망간에 자료를 전송할 때에,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다. 즉, 상기 제2단말기(200)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으로 출력되어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상기 제2단말기(200)로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또는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상기 제1단말기(100)로 전송할 때에 동일하다. 즉, 제2단말기(200)에서도 상기 제1단말기(100)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또는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However, when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second network and the first network in this way, the first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network drive. That is, the folder and file contents of the second terminal 200 are output to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environment, and drag a file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with a mouse or Provides an interface for copying and sending. This is the same when transmitting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o the first terminal 100. That is, the second terminal 200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form of a network drive, and provides an interface for dragging or copying a file to be transmitted with a mouse.

물론,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사용자는 제2단말기(200)에서 제1단말기(100) 또는, 제1단말기(100)에서 제2단말기(200)로 파일이 바로 전송되는 것으로 인지하지만, 파일이 전송되는 과정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과정에 따른다. Of course, due to such an interface,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file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o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but the file is transmitted. The process i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shown in Figures 5 and 6.

다만, 자료를 전송할 때에 복수 개의 제2단말기(200)가 한꺼번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동시접속자 수가 많아져서 제2망 연계서버(210)에 부하가 생기고 공유스토리지(300)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파일 단위를 조합하여 기설정된 파일 형태로 재생성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 전송하여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However, when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00 are to be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when transmitting dat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s increases, causing a load on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and degrading the quality of the shared storage 300. . Therefore, when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transmits at least one file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divides the file into a predetermined unit and combines the divided file units to preset the file. The problem is solved by regenerating the data to the shared storage 300.

이와 같이 파일을 재생성하는 작업을 기설정된 시간단위로 수행하고, 상기 재생성된 파일을 큐(Queue)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의 부하를 방지하고, 상기 공유스토리지(300)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e regeneration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the regenerated files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using a queue, thereby preventing the load of the second network associated server 210, and the shared storage. The quality of the 300 can be improved.

즉, 복수 개의 제2단말기(200)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각 파일을 일정한 크기의 단위로 나누고, 나누어진 파일 단위를 조합하여 새로운 파일로 재생성하므로 상기 재생성된 파일은 여러 파일의 나누어진 단위가 조합되어 생성된다. That is, when multiple file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00, each file is divided into unit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divided files are combined and regenerated as a new file so that the regenerated file is multiple files. The divided units of are produced by combining.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에서 상기 제2단말기(200)로 자료를 전송할 때에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전송된다. 또한,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재생성한 파일을 다시 원래의 파일들로 복구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복구하는 작업은 상기 제2망 전송통제서버와 상기 제1망 전송통제서버를 통하여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송통제서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1망 연계서버(110)와 제2망 연계서버(210)에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transmitting data from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to the second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process. In addition, in the case of receiving a file, a work of restoring the regenerated file back to the original files should be performed. It is preferable to. However,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 transmission control server, it can be performed in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and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of cours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망과 제2망 간에 자료를 송수신하는 경우, 공유스토리지(300)를 거치게 된다. 즉, 서로 다른 망을 공유스토리지(300)를 통하여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 및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와 상기 공유스토리지(300)간 자료의 송수신은 전용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 전송 프로토콜은 상기 제1망 또는 제2망 안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제1망 또는 제2망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동일하지 않다면 그 종류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it passes through the shared storage (300). That is, different networks are connected through the shared storage 300. Therefor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between the second network linking server 210 and the first network linking server 110 and the shared storage 300 preferably uses a dedicated transmission protocol. The dedicated transmission protocol is for distinguishing from a protocol used in the first network or the second network, and the typ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unless 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in the first network or the second network.

한편,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공유되는 클립보드(clipboard)를 생성 또는 관리할 수 있다. 클립보드(clipboard)는 잘라내서 붙여넣기를 하는 과정을 통해 문서나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자료가 전송될 때 짧은 시간 동안 해당 자료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제1망 및 제2망과 같이 독립된 네트워크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공유스토리지(300)에 클립보드의 내용을 저장함으로써 제1망과 제2망 간에 클립보드를 지원한다. Meanwhile, the second network link server 210 and the first network link server 110 may generate or manage a clipboard shared using the shared storage 300. A clipboard is a software program used to store data for a short time when it is transferred between documents or applic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cutting and pasting. Generally,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re used. It is not supported in independent networks such as network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clipboard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by storing the contents of the clipboard in the shared storage 300.

예를들어,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임의의 복사 단축키(예를 들어, ctrl+C)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 복사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예를 들어, ctrl+V)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의 내용을 붙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를 복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클립보드를 복사하는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For example, when copying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o the clipboard through an arbitrary copy shortcut (for example, ctrl + C), an arbitrary paste shortcut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is used. For example, the contents of the clipboard can be pasted through ctrl + V). 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pying a clipboard through an arbitrary copy shortcut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s an embodiment of copying a clipboard.

먼저,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로 복사(S10)하면, 상기 제2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시스템 클립보드를 확인하여 클립보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0). 확인 결과 클립보드 데이터가 없으면 클립보드 데이터가 없음을 팝업으로 알리는데(S30), 별도의 알림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클립보드 데이터가 있다면 상기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클립보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S40)하여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한다. 전송된 파일은 공유스토리지(300)를 거쳐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되며, 제1단말기(1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저장된 파일을 클립보드 데이터 전문으로 변환(S50)하여 제1단말기(10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한다. 따라서, 제1단말기(100)에서 복사해둔 클립보드 데이터를 붙여넣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 붙여넣기가 가능해진다.  First, when the second terminal 200 is copied to the clipboard through an arbitrary copy shortcut (S10), the clipboard agent of the second terminal 200 checks the system clipboard to determine whether the clipboard data exists. (S20).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re is no clipboard data, a pop-up notifies that there is no clipboard data (S30). In addition, if there is clipboard data, the clipboard agent stores the clipboard data in a file (S40)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10. The transmitted fil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110 via the shared storage 300, and the clipboard agent of the first terminal 100 converts the stored file into a clipboard data text (S50) to the first terminal. Save it to the system clipboard at 100. Therefore, when the clipboard data copi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is to be pasted, it is possible to paste.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를 붙여넣기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클립보드를 붙여넣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pasting a clipboard through an arbitrary paste shortcut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bes an embodiment of pasting a clipboard in detail.

먼저,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실행하면(S110), 상기 제2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시스템 클립보드를 확인하여 클립보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20). 도 7에서와 같이 이미 붙여넣기 할 데이터가 복사 단축키를 통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클립보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2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클립보드 전송요청(S130)을 제2망 연계서버(210)로 보낸다. 이 요청은 공유스토리지(300)를 거쳐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되고, 이 요청을 수신한 상기 제1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제1단말기(200)의 시스템 클립보드를 참조하여 클립보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S140)하여 다시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한다. 물론, 이때 제1단말기(10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클립보드 데이터가 없다면 아무것도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를 통해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된 클립보드 데이터 파일은 제2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를 통해 클립보드 데이터 전문으로 변환되고(S150), 클립보드 붙여넣기가 실행된다(S160). First, when an arbitrary paste shortcut key is executed in the second terminal 200 (S110), the clipboard agent of the second terminal 200 checks a system clipboard to determine whether clipboard data exists (S120). ). As shown in FIG. 7, the data to be pasted is already stored in advance through a shortcut key for copying, but when there is no clipboard data, the clipboard agent of the second terminal 200 removes the clipboard transmission request (S130). Send to the network 2 linked server (210). The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10 via the shared storage 300, and the clipboard agent of the first terminal 200 that receives the request receives the system clipboard of the first terminal 200. With reference to the clipboard data is stored in a file (S140)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link server 110 again. Of course, if there is no clipboard data in the system clipboard of the first terminal 100, nothing will be executed. The clipboard data file transmitted to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210 through the shared storage 300 is converted into a clipboard data message through the clipboard agent of the second terminal 200 (S150) and pasted to the clipboard. Inserting is performed (S160).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단말기(2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제2단말기(200)로 클립보드를 이용하는 것도 동일하다. 다만, 이때에도 상기 클립보드의 내용은 복사를 수행하는 쪽의 공유스토리지(300) 볼륨에만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클립보드로 인하여 보안이 위협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200 is described as a reference, but it is also the same as using the clipboar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However, even at this time, the contents of the clipboard are preferably present only in the volume of the shared storage 300 of the copying side, thereby preventing the security from being threatened by the clipboard.

한편, 지금까지 본 발명을 2대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독립된 환경으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네트워크가 다른 방법을 통해 물리적으로 독립된 경우뿐만 아니라 논리적으로 독립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함을 물론이다. 즉,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네트워크가 독립되었을 때 제1망과 접속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 또는 모듈은 본 발명의 제1단말기, 제1망 연계서버, 제1망 메일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2망과 접속하는 장치 또는 모듈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2단말기, 제2망 연계서버, 제2망 메일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면 된다. Meanwhil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in which the network is physically independent using two terminals, the network may be used in a logically independent environment as well as when the network is physically independent through other methods. That is, the device or module that functions to connect to the first network when the network is physically or logically independent serves as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and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or module connected to the network may serve as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and the second network mai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망과 제2망과 같이 독립된 네트워크망이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독립된 네트워크망 사이의 자료공유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multiple independent network networks such as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may exist, and data sharing between a plurality of independent network networks may be equally applica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제1단말기 110 제1망 연계서버
120 제1망 메일서버
200 제2단말기 210 제2망 연계서버
220 제2망 메일서버
300 공유스토리지
100 first terminal 110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120 first network mail server
200 Second Terminal 210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220 second network mail server
300 share storage

Claims (17)

제1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1망에서 사용되는 제1단말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1망 연계서버;
제2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2망에서 사용되는 제2단말기;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2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2망 연계서버; 및
하나의 저장 공간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가 공유하는 공유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말기가 수신한 메일을 eml 파일(a)로 변환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제1망 메일서버; 및
상기 제2단말기가 발신할 메일을 eml 파일(b)로 변환 및 저장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제2망 메일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network and used in the first network;
A first network linked server located between a shared storage and the first terminal to control or transmit data;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network and used in the second network;
A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located between the shared storage and the second terminal to control or transmit data; And
And a storage space shared by the first network linkage server and the second network linkage server in one storage space.
A first network mail server converting the mail received by the first terminal into an eml file (a) and transmitting the mail to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And
And a second network mail server for converting and storing the mail to be sent by the second terminal into an eml file (b) and transmitting the mail to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스토리지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별 읽기 및 쓰기 권한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볼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red storage,
And at least two volumes having different read and write rights for each of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and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메일서버는,
상기 수신한 메일 중에서 기지정된 메일에 대해서만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network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only the predetermined mail from the received mail to the first network link serv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을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을 SMTP(Simple Mail Tran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망 메일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transmits the eml file (a) to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The second network link server transmits the eml file (a) to the second network mail server using the Simple Mail Tranfer Protocol (SMT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메일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a)에 첨부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Independent manganes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rendering image (rendering image) of the eml file (a) to a PDF file, and attaching the PDF file to the eml file (a) and transmitted together to the first network linked server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sha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을 SMTP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망 메일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transmits the eml file (b) to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is a network linkage system for independent network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eml file (b) to the first network mail server using SMT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메일서버 는,
상기 eml 파일(b)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b)에 첨부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network mail server,
Independent manganese data,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rendering image (rendering image) of the eml file (b) to a PDF file, and attaching the PDF file to the eml file (b) and sent together to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sha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자료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승인자 DB를 참조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인받는 승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network linked server,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th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further comprises a; approval unit that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approved with reference to the approver D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단말기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 환경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2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2단말기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 환경으로 출력되어,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간에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또는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in the form of a network drive, the folder and file contents of the first terminal is output to the GUI environment,
The first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in the form of a network drive, the folder and file contents of the second terminal is output to the GUI environment,
Th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dragging or copying the file with the mouse 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perio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 또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제2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 간에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를 조합하여 기설정된 파일 형태로 재생성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or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file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dividing the file into a predetermined unit, recombining the divided unit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file to transmit to the shared storag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 또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파일을 재생성하는 작업을 기설정된 시간단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or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data sharing between the manganes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generating the fil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 또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재생성된 파일을 전송할 때에 큐(Queue)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or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sharing data between independent networks, characterized by using a queue for transmitting the regenerated fi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와 상기 공유스토리지간 또는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간 자료의 송수신은 전용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network linkage system for independent data sharing between the second network link server and the shared storage or between the shared storage and the first network link server using a dedicated transmission protoc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공유되는 클립보드(clipboard)를 생성 또는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network connection server and the first network connection server,
A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or managing a clipboard (clipboard) to be shared using the shared stora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상기 제1단말기에서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 데이터를 복사하면,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서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부터 데이터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5,
When copying data to the clipboard via any copy shortcut on the second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pasting data from the clipboard via any paste shortcut on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is performed.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independent manganese data sharing.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의 내용은 복사를 수행하는 쪽의 상기 공유스토리지 볼륨에만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contents of the clipboard exist only in the shared storage volume of the copying side.
KR1020110037926A 2011-04-22 2011-04-22 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KR1010801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926A KR101080107B1 (en) 2011-04-22 2011-04-22 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US13/824,795 US9426204B2 (en) 2011-04-22 2012-04-19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sharing data among independent networks
JP2013544409A JP5629022B2 (en) 2011-04-22 2012-04-19 Network linkage system for data sharing between independent networks
PCT/KR2012/002973 WO2012144806A2 (en) 2011-04-22 2012-04-19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sharing data among independent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926A KR101080107B1 (en) 2011-04-22 2011-04-22 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107B1 true KR101080107B1 (en) 2011-11-04

Family

ID=4539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926A KR101080107B1 (en) 2011-04-22 2011-04-22 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6204B2 (en)
JP (1) JP5629022B2 (en)
KR (1) KR101080107B1 (en)
WO (1) WO2012144806A2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82B1 (en) * 2014-10-27 2016-01-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by cloud server
KR20190004579A (en) * 2017-07-04 2019-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90045892A (en) * 2019-04-19 2019-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53836B1 (en) * 2018-05-31 2019-12-09 (주)피디씨 Data sharing system and method between closed intranet and open intranet
KR20200007060A (en) * 2020-01-10 202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WO2022035157A1 (en) * 2020-08-11 2022-02-17 이청종 Mobile computing device comprising compartmentalized computing module
KR102408433B1 (en) * 2021-07-27 2022-06-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5425B (en) * 2020-12-03 2021-08-06 南京机敏软件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copying and pasting among cloud application programs of multiple cross-cloud server host machine sessions
JP7116972B1 (en) * 2021-06-17 2022-08-12 アイマトリッ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file transfer system
WO2022264457A1 (en) * 2021-06-17 2022-12-22 アイマトリッ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File transfer system
CN113419656B (en) * 2021-06-22 2022-11-11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Dual-system mail sharing method and device, interactive all-in-one machine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6690B2 (en) * 2001-02-20 2003-08-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orage area network as network attached storage
JP2002288124A (en) * 2001-03-21 2002-10-0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Workstation system, computer device, data transfer method, data editing method, computer program creat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7010663B2 (en) * 2002-03-22 2006-03-07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viding a plurality of existing volumes of storage into a plurality of virtual logical units of storage
US7870493B2 (en) * 2005-10-03 2011-01-11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clipboard
KR100785361B1 (en) 2006-10-18 2007-12-18 텔코웨어 주식회사 Contents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stant messaging/prese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based on presence information and recording device same as
KR100740682B1 (en) * 2006-11-30 2007-07-19 (주)필라넷 Secure file server system prevent data save from local pc, and and method thereof and media that can record computer program for method thereof
JP2009181167A (en) * 2008-01-29 2009-08-13 Hitachi Ltd Computer system, remote copy method, and first computer
BRPI1010897A2 (en) * 2009-05-19 2019-02-19 Nholdings S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local device with computer services from a remote provider and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a user of a virtual machine hosted by a remote server
KR101103619B1 (en) 2009-10-07 2012-01-09 엠텍비젼 주식회사 Multi-port memory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thereof
JP5091974B2 (en) * 2010-03-31 2012-12-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Facsimile device with transfer function and control program for facsimile device with transfer functio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82B1 (en) * 2014-10-27 2016-01-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by cloud server
KR20190004579A (en) * 2017-07-04 2019-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72469B1 (en) * 2017-07-04 2019-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53836B1 (en) * 2018-05-31 2019-12-09 (주)피디씨 Data sharing system and method between closed intranet and open intranet
KR20190045892A (en) * 2019-04-19 2019-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67186B1 (en) * 2019-04-19 2020-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00007060A (en) * 2020-01-10 202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175953B1 (en) 2020-01-10 2020-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seperate networks and method for the same
WO2022035157A1 (en) * 2020-08-11 2022-02-17 이청종 Mobile computing device comprising compartmentalized computing module
KR102408433B1 (en) * 2021-07-27 2022-06-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US11811795B2 (en) 2021-07-27 2023-11-07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29022B2 (en) 2014-11-19
WO2012144806A3 (en) 2013-03-07
US9426204B2 (en) 2016-08-23
JP2014505288A (en) 2014-02-27
US20130173732A1 (en) 2013-07-04
WO2012144806A2 (en)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107B1 (en) 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US11422951B2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s for meetings between two users
JP4989654B2 (en) Distributed clipboard (DISTRIBUTEDCCLIPBOARD)
CN102946440B (en) Automatic cloud synchronization and recovery system based on cloud storage technology
US10050800B2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s for meetings for providing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s network
CN112769582A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 for conferencing
US20150134817A1 (en) Cloud server aggregator to facilitate access and transmission of data stored on multiple cloud servers
WO2013037981A1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s for meetings
KR1015405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encrypted document
JP2004525443A (en) Remote printing
US20080263455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file sharing
CN108632807A (en) The method and device of mobile terminal accessing control
US20190044796A1 (en) Dead drop network architecture
CN103795764B (en) A kind of method, Cloud Server and the thin client of the triggering of cloud business
US9692720B1 (en) Preventing modification of an email
CN109542647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WI678096B (en) Fil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by graphic code
US9692719B2 (en) Transmission and presentation of private content in electronic messages
CN113656817A (en) Data encryption method
JP6750347B2 (en) Document browsing control device, document browsing control system and program
JP684341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devices and storage medium
Chang et al. The design of an XMPP-based service integration scheme
JP2017215856A (en) Cloud-type data sharing system
CN105701366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le propagation
KR101524743B1 (en) Virtual cl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