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367B1 - 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367B1
KR101078367B1 KR1020090085019A KR20090085019A KR101078367B1 KR 101078367 B1 KR101078367 B1 KR 101078367B1 KR 1020090085019 A KR1020090085019 A KR 1020090085019A KR 20090085019 A KR20090085019 A KR 20090085019A KR 101078367 B1 KR101078367 B1 KR 10107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audio
image data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7087A (en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09008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367B1/en
Publication of KR2011002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은,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노래반주기에 구비된 영상데이터 제어모듈과 음성데이터 제어모듈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단계와; (b)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과 음성데이터 제어모듈을 통해 영상 데이터의 시간 정보와 음성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각각 확보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획득한 영상시간 정보와 음성시간 정보를 비교모듈을 통해 비교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영상시간과 상기 음성시간이 같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로 전송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모니터로 재생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로 전송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85019

노래반주기, 영상 데이터, 동기화

Disclosed ar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ynchroniz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a song cycle period. The method of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of the karaoke cycle, the synchronization method for synchronizing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of the karaoke cycle, (a) in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singing cycle period Reading the input image data and audio data; (b) acquiring tim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and time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hrough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respectively; (c) comparing the video time information and the audio time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b) with a comparison module; (d) In the step (c), when the video time and the audio time are the same, the video data is transmitted to a video decoder to be reproduced by a monitor connected to the song cycle period, and the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an audio decoder. And outputting to a speaker connected to the singing cycle period.

Figure R1020090085019

Karaoke, video data, synchronization

Description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반주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과 음악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 하기 위해 개선된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ynchroniz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a karaoke 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d karaoke image data for synchronizing video data and audio data reproduced in a karaoke cycle.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voice data.

노래방 시스템(KARAOKE system)에 구비된 노래반주기는, 사용자가 노래반주기의 전면에 부착된 선택버튼이나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곡을 선곡하면, 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따라 부를 수 있게 하는 오락장치이다. The karaoke period provided in the karaoke system (KARAOKE system), the user selects a desired song using a selection button or a remote control, etc.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karaoke period, is a recreation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sing along by playing it.

이와 같은 노래반주기는 노래방이라는 업소에 주로 사용되는데, 통상 앰프와 스피커, 모니터 등과 세트로 구성되어 조명이 설치된 노래방의 룸(room)에 설치되어 있다.Such a karaoke cycle is mainly used in a karaoke store, which is usually composed of an amplifier, a speaker, a monitor, and the like, and is installed in a room of a karaoke room where lighting is installed.

상기와 같은 기존의 노래반주기의 경우 동영상에 음성 부분이 빠져서 노래반주기에서 재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song cycle, the voice part is omitted from the video and played in the song cycle.

그 이유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안 음악은 음원(MIDI) 및 MP3 파일 형태로 재생하게 되기 때문에 동영상에 음성 부분에 음악을 넣어서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다양한 노래에 동영상을 서로 맞추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The reason is that music is played in the form of a sound source (MIDI) and an MP3 file while the video is being played. Therefore, the music is not included in the voice part of the video, and a method of matching the video to various songs is also used.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 노래의 원본 뮤직 비디오와 원본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각각 재생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동기화가 맞는 것 같지만 뒤로 가면서 동영상과 음악을 재생하기 위해 파일을 읽어들이는 모듈 및 디코더의 오차율 때문에 영상에서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입 모양과 음악의 동기화가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way, the original music video and the original music of a specific song are played separately, so it seems to be synchronized at first, but due to the error rate of the module and decoder that reads the file to play the video and the music on the back, In this situation, the shape of the mouth of the user singing and the music are out of sync.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방송용으로 사용하는 MPEG-TS(Transport Stream)이 있지만 국내에서 사용하는 노래반주기에서는 동영상 파일에 음성 데이터를 넣지 않기 때문에 MPEG-TS 방식을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There is an MPEG-TS (Transport Stream) used for broadcasting in order to compensate for such a problem, but in the karaoke cycle used in Korea, the MPEG-TS method cannot be used because voice data is not inserted into a video file.

그리고 기존의 노래반주기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 음원과 MP3 파일을 음악으로 이용하여 동영상과 동기화를 맞출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특별한 기능을 위하여 동기화를 맞춰야 하는 경우라면 많은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song group cycl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problem when it is not necessary to synchronize the video with the existing sound source and the MP3 file as music, but if there is a need for synchronization for a special function, a lot of work is required. do.

이렇게 동영상과 음악의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실험방법으로 시작점을 달리하여 한번 재생을 하고 다시 맞추고 다시 재생하고 다시 맞추는 방식을 반복해야 한다. In order to synchronize the video and music like this,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method of playing, re-matching, re-playing, and re-aligning with different starting points as a continuous experiment.

또한 맞춰야 하는 동영상과 음악이 1개만이 아니라 여러 개라면 그 작업을 위해서는 계속적으로 반복적인 작업을 해야 하고, 하나의 동영상과 음악을 맞춘 기준이 다른 동영상과 음악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 동영상과 음악에 관련된 정보 를 가져야 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if there is not only one video and music that needs to be matched, but for several task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nd repeatedly perform the task, and the criteria for fitting one video and music may be different from other videos and music. The problem of having relevant information also arises.

즉, 하나의 뮤직 비디오에서 나온 영상과 음악(음성)의 컨텐츠를 서로 다른 파일로 만들어 영상과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같은 시간 정보를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재생하게 되면 영상과 음악의 동기화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In other words, when playing video and music by making different files from video and music (voice) contents from one music video, even if they have the same time information, the video and music are not synchronized when they are actually played. Occurs.

그 이유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듈과 디코더의 오차율 때문이며, 이런 경우 영상의 시작점을 달리 하면서 실험적으로 동기화를 맞추게 된다. The reason is the error rate of the module and the decoder that plays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synchronization is experimentally performed by chang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image.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각각의 컨텐츠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경우 한번 동기가 맞지 않게 되면 모두 재생될 동안에는 영상과 음성의 동기화가 맞지 않게 된다. In this way, the above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for each content, and once the content is being synchronized, video and audio are not synchronized while the content is play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동기화를 위하여 컨텐츠를 일일이 작업하여 시작점을 달리할 필요가 없고,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악을 동기화 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starting point by working with the contents for synchronization, and the image of the song cycle period to be able to synchronize and play the video and music using the time infor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and voice dat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는,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기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들여 영상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영상데이터 제어모듈과;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 주는 비디오 디코더와;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산하는 영상시간정보 추출모듈과; 입력되는 상기 노래반주기의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음성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음성데이터 제어모듈과; 상기 음성데이터 제어모듈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음성데이터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산하는 음성시간정보 추출모듈과; 상기 영상시간정보 추출모듈과 음성시간정보 추출모듈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교하고, 비교 데이터를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에 전달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에서 데이터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은 영상 데이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영상을 재생, 잠시 멈춤, 천천히 재생, 빨리 재생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음성데이터 제어모듈은 음성 데이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음성을 재생 및 잠시 멈춤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synchronization device for karaoke period video data and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ynchronization device for synchronizing the video data and audio data of the karaoke cycle, the video data of the karaoke cycle input An image dat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read and control the flow of image data; A video decoder for receiving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on a monitor connected to the song cycle period; An image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reproduction time of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 voice data control module which reads the input voice data of the singing period and controls the flow of voice data; An audio decoder for receiving voice data from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and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a speaker connected to the singing period; A voice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reproduction time of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Compare and receive video and audio data from the video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and audio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and transmit the comparison data to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to control the data reproduction speed in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Including; module, wherein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to move the image data to the desired position to play the image, pause, play slowly, play quickly,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to move the voice data to the desired position To play and pause the vo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은,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노래반주기에 구비된 영상데이터 제어모듈과 음성데이터 제어모듈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단계와; (b)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과 음성데이터 제어모듈을 통해 영상 데이터의 시간 정보와 음성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각각 확보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획득한 영상시간 정보와 음성시간 정보를 비교모듈을 통해 비교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영상시간과 상기 음성시간이 같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로 전송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모니터로 재생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로 전송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e)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영상시간과 상기 음성시간이 다른 경우, 상기 영상시간이 상기 음성시간에 비해 더 빠른지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영상시간이 빠른 경우 영상 데이터를 천천히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 전달하여 재생하고, 상기 영상시간이 빠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빠르게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 전달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Synchronization method of the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the karaoke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ynchronization method for synchronizing the video data and audio data of the karaoke cycle, (a) Read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input from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b) securing tim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and time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hrough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c) comparing the video time information and the audio time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b) with a comparison module; (d) In the step (c), when the video time and the audio time are the same, the video data is transmitted to a video decoder to be reproduced by a monitor connected to the song cycle period, and the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an audio decoder. Outputting to a loudspeaker connected to a karaoke period; and, (e) in step (c), if the video time and the audio time are different,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time is faster than the audio time. Steps; (f) In step (e), if the video time is fast, the video data is slowly transmitted to the video decoder for playback, and if the video time is not fast, the video data is quickly delivered to the video decoder for playbac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te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과 음악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하게 되므로 동기화를 위하여 컨텐츠를 일일이 작업하여 시작점을 달리할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formation is reproduced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the music,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starting point by working the contents one by one for synchronization.

그리고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잠시라도 깨지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다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악을 동기화 하여 재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ontent, even if the synchronization is broken even for a while, the image and music may be synchronized again using the time inform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synchroniz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는, 영상시간 정보(데이터)와 음성시간 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노래반주기에서 영상과 음악(음성)을 동기화 하는 장치이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synchroniz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ynchronizes video and music (voice) in a karaoke cycle using image time information (data) and voice time information (data). Devic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는, 예컨대, 배경 영상 등이 저장된 영상 저장부(26)로부터 입력되는 노래반주기의 배경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들여 영상 데이터(정보)의 흐름을 제어하는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과, 이 영상데이터 제어모 듈(1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모니터(21)에 디스플레이 해 주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16)와,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산하는 영상시간정보 추출모듈(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of the singing cycle period and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reads the image data of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inging cycle period inputted from the image storage unit 26 in which the background image is stored.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video data (information), and a video decoder for receiving the video data from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and displaying the video data on the monitor 21 connected to the singing cycle period. Video Decoder) 16 and a video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2 for calculating a playback time of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에는, 많은 음원(MIDI) 등이 저장된 음원 저장부(29)로부터 입력되는 노래반주기의 음원(또는 반주)의 음성(또는 음악)데이터를 읽어 들여 음성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과, 이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로부터 음성 데이터(정보)를 수신하여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스피커(22)로 출력되도록 하는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17)와, 상기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산하는 음성시간정보 추출모듈(14)이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of the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r music) data of the sound source (or accompaniment) of the karaoke cycle input from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29 in which many sound sources (MIDI) and the like are stored. A voice data control module 15 for reading the voice data and controlling the flow of voice data, and an audio decoder for receiving voice data (information) from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15 and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the speaker 22 connected to the singing cycle period. (Audio Decoder) 17 and a voice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4 for calculating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1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에는, 영상 정보 시간과 음성 정보 시간을 각각 획득하는 상기 영상시간정보 추출모듈(12)과 음성시간정보 추출모듈(14)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교하고, 비교 데이터를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에 전달하여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에서 데이터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모듈(13)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of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nd information from the video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2 and the audio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4 for acquiring video information time and audio information time, respectively. A comparison module 13 is provided to receive and compare audio data and to transmit the comparison data to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11 so that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11 can control the data reproduction speed.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 및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은 실제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음악) 데이터를 읽어 들여 비디오 디코더(16) 및 오디오 디코더(17)에 각각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15 are devices that read actual image data and audio (music) data and deliver them to the video decoder 16 and the audio decoder 17, respectively. .

이들 장치 중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을 조작하게 되면 영상 데이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고 잠시 멈춤, 천천히 재생, 빨리 재생 등의 작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11 is operated among these devices, the image data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o reproduce the image, and the operation (function) of pausing, slowing, and quick replaying can be performed.

마찬가지로, 상기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도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과 같이 음성 데이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재생 및 잠시 멈춤 기능 등을 한다. Similarly,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15 also plays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to a desired position and plays and pauses the video data.

그리고 상기 비디오 디코더(16) 및 오디오 디코더(17)는 노래반주기의 제어부(CPU, Central Processing Unit)(33)에 구비된다.The video decoder 16 and the audio decoder 17 are provided i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33 of a music recording cycl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를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of the singing cycle peri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of the singing cycle period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은, 영상과 음성(음악) 정보(데이터)에서 모두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그 시간 정보의 시간을 서로 비교하여 그 시간의 오차만큼의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여 영상과 음성의 동기화를 이루도록 한 방법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 and 2, in the method of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of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im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both video and audio (music) information (data) and the time of the time information is mutually different.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data by the error of the time by comparison to achieve the synchronization of the image and the voic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은, 우선, 노래반주기에 구비된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과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에서 영상 저장부(26) 및 음원 저장부(29)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 터를 읽어 들인다.(단계 110)In the method of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of the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image storage unit 26 and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in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11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15 provided in the karaoke cycle The video data and audio data inputted from 29 are read. (Step 110).

이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을 통해 영상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확보하고,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확보한다.(단계 120)Subsequently, tim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is obtained through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11, and time information of the voice data is obtained through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15 (step 120).

상기 단계 120에서 각각 획득한 영상시간 정보와 음성시간 정보를 비교모듈(13)을 통해 비교한다.(단계 130) The video time information and the audio time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120 are compared through the comparison module 13. (Step 130).

즉,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 및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에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받은 영상시간정보 추출모듈(12)과 음성시간정보 추출모듈(14)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산하여 영상 시간 정보와 음성 시간 정보를 확보하고, 이렇게 확보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비교모듈(13)이 서로 비교하게 된다. That is, the video time information extracting module 12 and the audio time information extracting module 14 receiving the video and audio data from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15 are the playback time of the video and audio data. To obtain video time information and audio time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module 13 compares the obtained video and audio data with each other.

상기 단계 130에서, 상기 영상시간(정보)과 음성시간(정보)이 같은 경우, 영상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16)로 전송하여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모니터(21)로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17)로 전송하여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스피커(22)로 출력한다.(단계 140)In step 130, when the video time (information) and the audio time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video data is transmitted to the video decoder 16 and reproduced by the monitor 21 connected to the song cycle period.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audio decoder 17 and output to the speaker 22 connected to the singing cycle period (step 140).

즉, 상기 비교모듈(13)이 비교한 영상 시간 정보와 음성 시간 정보가 같은 경우에는, 다른 작업을 하지 않고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 및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에 있는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16) 및 오디오 디코더(17)로 전송하여 재생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video time information and the audio time information compared by the comparison module 13 are the same, the data in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15 is not decoded. 16) and the audio decoder 17 to play back.

이와 같이 영상과 음성의 시간 정보가 같으면, 노래반주기에서 재생하는 영 상과 음성은 동기화가 맞게 된다.If the time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the audio is the same, the video and the audio reproduced in the karaoke cycle are synchronized.

한편, 상기 단계 130에서, 상기 영상시간과 음성시간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영상시간이 음성시간에 비해 더 빠른지 판단한다.(단계210) On the other hand, in step 130, if the video time and the audio time is differ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deo time is faster than the audio time (step 210).

즉,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간이 음성 데이터의 재생 시간보다 빠른지 판단한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video data is earlier tha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audio data.

이와 같이 영상 정보 시간과 음성 정보 시간이 다른 경우에는,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여 음성 데이터에 맞춰줘야 한다. 이렇게 음성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는 이유는, 소리(음성)의 깨짐에 민감하여 소리보다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여 동기화를 맞추게 된다.  When the video information time and the audio information time are different in this way, the video data should be controlled to match the audio data. The reason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stead of controlling audio data is to synchronize synchronization by controlling image data which is sensitive to a break of sound (voice) and reacts less sensitively than sound.

상기 단계 210에서, 상기 영상시간이 음성시간에 비해 빠른 경우, 영상 데이터를 천천히(음성시간에 비해 빠른 만큼 느리게) 상기 비디오 디코더(16)로 전달하여 모니터(21)로 재생하게 한다.(단계 220)In the step 210, if the video time is faster than the audio time, the video data is transmitted slowly (as fast as the voice time) to the video decoder 16 for playback on the monitor 21 (step 220). )

반면, 상기 단계 210에서, 상기 영상시간이 음성시간에 비해 빠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빠르게(음성시간에 비해 늦은 만큼 빠르게) 상기 비디오 디코더(16)로 전달하여 모니터(21)로 재생하는 한다.(단계 230)On the other hand, in step 210, if the video time is not fast compared to the audio time, the video data is delivered to the video decoder 16 quickly (as fast as late than the audio time) to be reproduced by the monitor 21. (Step 230)

이와 같이 영상 시간 정보가 음성 시간 정보보다 빠른 경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에서 데이터를 천천히 비디오 디코더(16)로 보내 재생하게 된다. When the video time information is earlier than the audio time information,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slowly sends the data to the video decoder 16 for playback.

반면, 영상 시간 정보가 음성 시간 정보보다 느린 경우에는,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로 영상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하여 비디오 디코더(16)에서 재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영상과 음악의 동기화를 맞추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deo time information is slower than the audio time information, the video data is quickly transmitted to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11 so that the video decoder 16 reproduces it. This operation is repeated to synchronize video and music.

다른 한편, 상기 단계 140, 220, 및 230 수행 후, 모니터(21) 및/또는 스피커(22)로의 재생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재생이 완료되었으면 본 프로세스를 종료하며, 재생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110부터 재 시작한다.(단계 310)On the other hand, after performing the steps 140, 220, and 2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layback to the monitor 21 and / or the speaker 22 is completed, and the process ends if the playback is completed, and if the playback is not completed, the step Restart from 110 (step 31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래반주기에서 특정 노래에서 나온 뮤직비디오 영상과 음악을 따로 재생하는 경우, 서로 간의 동기화는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기능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separately playing music video images and music derived from a specific song in a karaoke cycle, synchronization between each other is an essential function.

만약, 노래반주기의 영상과 음악이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뮤직비디오의 경우 가수가 부르는 동작 및 입과 음악은 서로 맞지 않게 된다. If the image and music of the singing cycle cycle is not synchronized, in the case of the music video, the singer's movements and mouth and music do not match each other.

이런 경우, 영상과 음악을 맞추어야 하고, 이를 위해 각각의 기준을 잡고 동기화를 맞춰주어야 한다. 각 영상과 음악은 디지털화 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현재 재생하고 있는 위치의 시간 정보(Time-Stamp)를 알아낼 수 있다. In this case, you have to match the video with the music, and to do this, you need to set the criteria and synchronize them. Since each video and music is digitized data,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time-stamp of the current playing position.

이와 같이 영상과 음악에서 모두 각기 시간 정보를 알아낼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의 동기화 작업을 하게 된다. 동기화를 하는 경우 음악을 기준하며 영상은 음악에 맞춰서 동기화를 하도록 한다. In this way, since time information can be found in both video and music, the time information is used to synchronize with each other. When synchronizing, it is based on music, and images are synchronized according to music.

특히, 동영상의 경우 약간의 지연이나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잘 알 수 없지만 음악의 경우 지연이나 데이터의 깨짐이 발생하게 된다면 사용자는 그것을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든 동기화의 기준은 음악을 기준으로 작업을 하게 된다. In particular, even if a slight delay or loss of data occurs in the case of a video, the user may not know well, but in the case of a delay or breakage of data in the case of a user, the user may immediately know it. Therefore, all synchronization criteria are based on music.

그리고 노래반주기의 제어부(33)에는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각각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 디코더(16) 및 오디오 디코더(17)가 구비되는데, 영상을 재생할 경우 는 비디오 디코더(16)를 이용하고, 음악이나 음성을 재생할 경우에는 오디오 디코더(17)를 이용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3 of the karaoke cycle is provided with a video decoder 16 and an audio decoder 17 capable of reproducing video and audio data, respectively. The audio decoder 17 is used to reproduce the audio.

또한 노래반주기에서 동기화를 맞춰야하는 영상과 음악을 재생시킬 경우 우선 영상과 음성을 같이 재생을 시키도록 한다. 영상과 음성을 재생하면서 계속적으로 영상의 시간 정보와 음성의 시간 정보를 알아내면서 음성의 시간 정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며, 영상의 시간 정보를 음성 시간 정보에 맞추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playing video and music that need to be synchronized in the song cycle, first play the video and audio together. While playing the video and audio, the time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udio are continuously monitored,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udio is continuously monitored,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video is adjusted to the audio time information.

만약, 음성 시간이 좀 더 빠르면 영상을 조금 더 빠르게 재생하도록 하여 음성과 맞추도록 하고, 음성 시간이 느리게 재생이 된다면 반대로 영상의 재생을 약간 천천히 하도록 하여 음성과 동기화를 맞추게 된다. If the voice time is faster, the video is played a little faster to match the voice. If the voice time is slow, the video is played a little slower to synchronize with the vo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synchroniz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a karaok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영상데이터 제어모듈11. Image data control module

12. 영상시간정보 추출모듈12. Video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3. 비교모듈13. Comparison Module

14. 음성시간정보 추출모듈14. Voice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5. 음성데이터 제어모듈15. Voice Data Control Module

16. 비디오 디코더16. Video Decoder

17. 오디오 디코더17. Audio Decoder

21. 모니터21. Monitor

22. 스피커22. Speaker

26. 영상 저장부26. Video storage

29. 음원 저장부29. Sound recording unit

33. 제어부33. Control part

Claims (5)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장치에 있어서,In the synchronization device for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the song cycle period, 입력되는 상기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들여 영상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영상데이터 제어모듈과;An image dat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of image data by reading the input image data of the song cycle period;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 주는 비디오 디코더와;A video decoder for receiving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on a monitor connected to the song cycle period;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산하는 영상시간정보 추출모듈과;An image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reproduction time of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입력되는 상기 노래반주기의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음성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음성데이터 제어모듈과;A voice data control module which reads the input voice data of the singing period and controls the flow of voice data; 상기 음성데이터 제어모듈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오디오 디코더와;An audio decoder for receiving voice data from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and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a speaker connected to the singing period; 상기 음성데이터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산하는 음성시간정보 추출모듈과;A voice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reproduction time of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상기 영상시간정보 추출모듈과 음성시간정보 추출모듈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교하고, 비교 데이터를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에 전달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에서 데이터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하되,Compare and receive video and audio data from the video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and audio time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and transmit the comparison data to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to control the data reproduction speed in the video data control module. Including a module;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은 영상 데이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영상을 재생, 잠시 멈춤, 천천히 재생, 빨리 재생 동작을 수행하고,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moves the image data to a desired position to play the image, pause, play slowly, play quickly, 상기 음성데이터 제어모듈은 음성 데이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음성을 재생 및 잠시 멈춤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장치.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is a device for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voice data of the karaoke cy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voice data to a desired position to play and pause the voice. 삭제delete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동기화 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In the synchronization method for synchro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of the song cycle period, (a) 상기 노래반주기에 구비된 영상데이터 제어모듈과 음성데이터 제어모듈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단계와;(a) read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inputted from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nd the voice data control module included in the singing period; (b) 상기 영상데이터 제어모듈과 음성데이터 제어모듈을 통해 영상 데이터의 시간 정보와 음성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각각 확보하는 단계와;(b) securing tim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and time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hrough the image data control module and the audio data control module; (c) 상기 단계 (b)에서 획득한 영상시간 정보와 음성시간 정보를 비교모듈을 통해 비교하는 단계와;(c) comparing the video time information and the audio time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b) with a comparison module;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영상시간과 상기 음성시간이 같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로 전송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모니터로 재생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로 전송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d) In the step (c), when the video time and the audio time are the same, the video data is transmitted to a video decoder to be reproduced by a monitor connected to the song cycle period, and the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an audio decoder. And outputting to a speaker connected to the singing cycle. (e)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영상시간과 상기 음성시간이 다른 경우, 상기 영상시간이 상기 음성시간에 비해 더 빠른지 판단하는 단계와;(e) in step (c), if the video time is different from the audio time,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time is faster than the audio time; (f)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영상시간이 빠른 경우 영상 데이터를 천천히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 전달하여 재생하고, 상기 영상시간이 빠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빠르게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 전달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f) In step (e), if the video time is fast, the video data is slowly transmitted to the video decoder for playback, and if the video time is not fast, the video data is quickly delivered to the video decoder for playback. Step; Synchronization method of the image data and audio data of the karaoke 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85019A 2009-09-09 2009-09-09 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078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19A KR101078367B1 (en) 2009-09-09 2009-09-09 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19A KR101078367B1 (en) 2009-09-09 2009-09-09 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087A KR20110027087A (en) 2011-03-16
KR101078367B1 true KR101078367B1 (en) 2011-10-31

Family

ID=4393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019A KR101078367B1 (en) 2009-09-09 2009-09-09 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3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362A1 (en) * 2017-12-12 2019-06-20 미디어스코프 주식회사 System for synchronizing accompaniment with singing voice in online karaoke servic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870B1 (en) * 2020-08-27 2023-04-26 최인욱 Device for serving dance image based on midi 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compu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362A1 (en) * 2017-12-12 2019-06-20 미디어스코프 주식회사 System for synchronizing accompaniment with singing voice in online karaoke servic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087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850B1 (en) Creating a new video production by intercutting between multiple video clips
US106814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omposite videos
US96914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usic videos synchronized with an audio track
JP2013171070A (en)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151245B2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157347A1 (en) Generation of audio-synchronized visual content
US10354630B2 (en) Performan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101078367B1 (en) Synchronous apparatus of image data and sound data for karaoke player and method for the same
JP5063254B2 (en) Movie playback apparatus and movie playback method
JP2007199574A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nd music telop retrieval server
JP6110731B2 (en) Command input recognition system by gesture
JP5338312B2 (en) Automatic performance synchronization device, automatic performance keyboard instrument and program
KR101244289B1 (en) Method of synchronizing mp3 music data with lyrics data for midi
US20200162783A1 (en) A Method Of Combining Data
JP7295777B2 (en) karaoke device
US10229712B2 (en) Method for recording a plurality of audio files
JP2005250242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cording medium
JP7197688B2 (en) Playback control device, program and playback control method
JP4843120B1 (en) Music reproduction method,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KR102524870B1 (en) Device for serving dance image based on midi 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computing device
JP2008197272A (en) Data reproducer, data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012398A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ound source, device and method of playing digital sound source
JP2013012262A (en) Synchronous reproduction apparatus and synchronous reproduction method
KR2013009653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s data thereof
JP6453696B2 (en) Karaoke system, program and karaok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