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617B1 -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617B1
KR101076617B1 KR1020100082964A KR20100082964A KR101076617B1 KR 101076617 B1 KR101076617 B1 KR 101076617B1 KR 1020100082964 A KR1020100082964 A KR 1020100082964A KR 20100082964 A KR20100082964 A KR 20100082964A KR 101076617 B1 KR101076617 B1 KR 10107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securities
module
controller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근
Original Assignee
(주)한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틀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한틀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8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컨트롤러와, 수납된 수표를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의 데이터를 읽어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기 위한 판독모듈과, 상기 수표를 이미지화시키기 위한 스캔모듈과,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분류에 따른 마크를 수표에 인쇄하기 위한 마킹모듈과, 상기 수표에 배서를 위한 배서날인부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분류에 따라 수표를 소팅하여 분리 수납시키기 위한 소팅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표 또는 어음 등을 발행처(은행)에 따라 분류하고, 또한 각 은행별 기준에 따라 해당 수표용지에 각종 날인과 지급처리정보(은행, 처리담당자 코드)의 표기 및 배서 날인과, 분류된 수표나 어음을 분리 수납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각 은행별로 분류된 수표 또는 어음의 맞교환이나, 또는 차액 정산과 같은 업무처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분류 작업의 전자동화를 통하여 종래에 수작업을 통한 분류 작업에 비하여 처리 속도나 정확도는 물론, 소요 인원을 최소화함으로써 노동력 및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AUTO SORTING APPARATUS OF CHECK}
본 발명은 수표, 어음 등의 각종 유가증권을 발행처(은행)에 따라 분류하고, 또한 각 은행별 기준에 따라 유가증권 용지에 각종 날인과 지급처리정보(은행, 처리담당자 코드)의 표기 및 배서 날인과, 분류된 유가증권(수표나 어음)을 분리 수납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각 은행별로 분류된 유가증권(수표 또는 어음)의 맞교환이나, 또는 차액 정산과 같은 업무처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분류 작업의 전자동화를 통하여 종래에 수작업을 통한 분류 작업에 비하여 처리 속도나 정확도는 물론, 소요 인원을 최소화함으로써 노동력 및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표나 어음 등의 각종 유가증권이 각 은행에 입고되면 이들을 발행처(금융회사, 은행)별로 분류하게 되며, 분류된 유가증권(수표나 어음)은 발행기관(은행 도는 금융회사)별로 맞교환하거나, 또는 차액 정산과 같은 업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가증권(수표나 어음 등)의 분류 방식은 업무처리담당자가 입고된 유가증권을 발행한 금융회사를 일일이 확인하여 수작업을 통하여 발행처별로 분류하고,
더 나아가 각 발행처별로 유가증권의 진위여부를 확인과, 지급필 날인 작업과, 지급처리정보(지급은행, 처리담당자)를 인쇄(날인) 작업을 수작업을 통하여 수행함으로써 지급 유가증권의 분류작업과, 각종 날인 및 배서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처리되어야 할 유가증권의 분량이 대량인 경우에는 이를 분류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됨으로 업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와,
더 나아가 업무처리담당자의 피로감이 가중됨으로써 수표나 어음 등의 유가증권 처리작업(분류 및 날입)에 대한 신뢰도 역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저렴하면서도 콤팩트하게 구성된 유가증권 처리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표 또는 어음 등의 유가증권을 발행처(은행 등의 금융회사)에 따라 분류하고, 또한 각 발행처별 기준에 따라 해당 유가증권 용지에 각종 날인과 지급처리정보(은행, 처리담당자 코드)의 표기 및 배서 날인과, 분류된 유가증권을 분리 수납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각 발행처별로 분류된 유가증권의 맞교환이나, 또는 차액 정산과 같은 업무처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업무 능률을 향상과 업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유가증권의 자동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분류 작업의 전자동화를 통하여 종래에 수작업을 통한 분류 작업에 비하여 처리 속도나 정확도는 물론, 소요 인원을 최소화함으로써 노동력 및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는 컨트롤러; 수납된 수표를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부; 상기 수표에 기재된 자기잉크문자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기 위한 판독모듈; 상기 수표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기 위한 스캔모듈;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분류에 따른 마크를 인쇄하기 위한 마킹모듈; 상기 수표에 배서를 위한 배서날인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분류에 따라 수표를 소팅하여 분리 수납시키기 위한 소팅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캔모듈에는 광학식문자인식기인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이 더 구비되어, 지로용지 처리기능을 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킹모듈은 상기 유가증권의 진위여부, 지급필여부 및 발행처에 따라 서로 다른 날인을 인쇄하는 복수의 인쇄롤러로 구성되는 스탬핑부와, 지급처리정보를 상기 유가증권에 인쇄하기 위한 프린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는 수표 또는 어음 등을 발행처(은행)에 따라 분류하고, 또한 각 은행별 기준에 따라 해당 유가증권 용지에 각종 날인과 지급처리정보(은행, 처리담당자 코드)의 표기 및 배서 날인과, 분류된 수표나 어음을 분리 수납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각 발행처별로 분류된 수표 또는 어음의 맞교환이나, 또는 차액 정산과 같은 업무처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업무 능률을 향상과 업무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분류 작업의 전자동화로, 종래에 수작업을 통한 분류 작업에 비하여 처리 속도나 정확도는 물론, 소요 인원을 최소화함으로써 노동력 및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명칭 중 '수표'는 어음과 같은 유가증권을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을 의미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수표' 또는 '유가증권'이라는 명칭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는,
컨트롤러(10); 수납된 수표(C)를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부(20); 상기 수표(C)에 기재된 자기잉크문자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10)에 전송하기 위한 판독모듈(30); 상기 수표(C)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상기 컨트롤러(10)에 전송하기 위한 스캔모듈(40);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한 분류에 따른 마크를 인쇄하기 위한 마킹모듈(50); 상기 수표(C)에 배서를 위한 배서날인부(60); 및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한 분류에 따라 수표(C)를 소팅하여 분리 수납시키기 위한 소팅모듈(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는 그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1)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를 덮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각 구성이 장착된 후 이들의 노출을 방지하여 먼지나 기타 이물질 등의 침투를 차단함은 물론, 외견상으로 미관을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서, 상기 컨트롤러(10)는
판독모듈(30), 스캔모듈(40), 마킹모듈(50) 및 소팅모듈(70) 등과 연결되어 수표(C)의 분류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고, 또한 전송된 데이터를 연산하여 각 모듈에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업무 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10)는, 각 은행마다 구비되어 수표(C)의 분류 및 처리를 위한 전용PC(11)로서, 상기 전용PC(11)에는 수표(C)의 분류 및 처리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각 모듈과 연계된다.
즉 상기 전용PC(11)는 판독모듈(30)로부터 수집 또는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이를 연산하여 기 설정입력된 분류기준에 따른 마크를 인쇄하도록 마킹모듈(50)에 명령을 전송하고, 아울러 분류 기준에 따라 수표(C)를 소팅하여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소팅모듈(70)에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용PC(11)는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처리 담당자의 아이디로 로그인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킹모듈(50)이 업무처리 담당자의 로그인 아이디나 코드를 수표용지에 인쇄(또는 날인)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업무처리에 따른 책임이나 관리가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전용PC(11)는 스캔모듈(40)에 의하여 이미지화된 수표(C)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역할과, 공급부(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C)의 공급 속도를 제어하여 조절함으로써 수표(C) 이송 작업의 부하를 방지하여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서, 상기 공급부(20)는
은행에 입금된 수표(C) 또는 어음 등을 분류하기 위해, 자행 또는 타행 발행여부를 가리지 않고 무작위로 수납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공급부(20)에 수납된 유가증권은 이송부(25)에 의해 낱장씩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20)는 수거된 수표(C)를 수용하는 수납부(23)와, 상기 수납부(23)의 수표(C)를 낱장으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20)는 상기 베이스(1) 상부에 구비되는 블록 형태의 본체(21)가 구비된다. 그리고,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처리 수표의 이송경로는, 상기 공급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본체(21)의 외벽면을 따라 만곡진 형태의 굴곡부(21a)가 여러 단계를 거쳐 형성되어 수표(C)의 이송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20)의 수납부(23)에는 상기 본체(21)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블록(23a)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록(23a)과 본체(21)의 외벽면 사이에 처리하여야할 수표(C)를 수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지지블록(23a)의 하부에는 지지블록(23a)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수납된 수표(C)를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23c)가 구비된다.
즉 상기 지지블록(23a) 하면부에 연결된 복수로 이동바(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1)에는 상기 이동바(미도시)가 관통하여 수평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공(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1) 내부에는 상기 각 이동바(미도시)와 연결된 이동체(23b)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23c)는 코일스프링으로 상기 이동체(23b)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21)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체(23b)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처리되어야할 수표(C)의 분량에 따라 상기 지지블록(23a)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표(C)의 분량에 상관없이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지지블록(23a)에는 손잡이(23d)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일정 분량의 수표(C)를 수납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23d)를 파지하여 지지블록(23a)을 잡아당겨 상기 지지블록(23a)과 본체(21)의 외벽면 사이에 수표(C)를 수납함(71)으로써 수표(C)의 수납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급부(20)의 이송부(25)는 상기 베이스(1) 일측에 배열된 구동모터(25a)와,
상기 베이스(1)의 상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21)의 외벽면에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롤포스트(25f)와,
상기 각 롤포스트(25f)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25a)와 연계되는 이송롤러(25b)와,
상기 본체(21)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각 이송롤러(25b)에 대응하는 보조이송롤러(25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25a)에 구비된 구동축에는 풀리(25e)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 이송롤러(25b)의 상부에도 풀리(25e)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25a)의 풀리(25e)와 상기 이송롤러(25b) 중 일부 이송롤러(25b)의 풀리(25e)에 벨트(25d)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구동모터(25a)와 연결된 이송롤러(25b)와 또 다른 이송롤러(25b)가 벨트(25d)에 연결되어 상호 연계됨으로써 구동모터(25a)의 구동력을 각 이송롤러(25b)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23)에 수용된 수표(C)가 상기 이송롤러(25b)와 보조이송롤러(25c) 사이에 접촉 배열되어 상기 이송롤러(25b)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본체(21)의 외벽면을 따라 이송되어 수표(C)를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21)의 외벽면이 여러 단계에 걸친 굴곡부(21a)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은
하기할 각 모듈과 연결된 컨트롤러(10)가 각 모듈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아울러 수신된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여 각 모듈로 재전송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최소한의 소요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굴곡부(21a)를 여러 단계로 형성하여 수표(C)의 충분한 이동거리를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수표(C)의 과잉공급이나 또는 수표(C)의 적체(積滯)를 방지함으로써 수표(C)의 이송 작업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20)는 하기할 판독모듈(30), 스캔모듈(40), 마킹모듈(50) 및 배서날인부(60)까지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21)를 벗어난 부분에서는 상기 수표(C)의 이송 시 이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3)가 구비되어 수표(C)가 각 가이드플레이트(3) 사이를 통과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서, 상기 판독모듈(30)은
상기 공급부(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C)에 기재된 자기잉크문자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0)에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하여 자기잉크문자에 수록된 수표정보에 따라 수표(C)를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우선 수표(C)의 앞면 또는 뒷면 하단부에는 수표 번호, 일련번호 및 계정번호 등과 같은 자기잉크문자(MIC : Magnetic Ink Character)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기잉크문자에는 수표(C)의 진위여부, 수표(C)의 도난 분실여부, 수표(C)의 발행처 등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판독모듈(30)은 상기 공급부(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C)에서 그 하단부에 기재된 자기잉크문자를 판독하기 위한 자기잉크문자인식장치(31)인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판독모듈(30)인 자기잉크문자인식장치(31)는 상기 베이스(1) 상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20)의 이동 경로 후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본체(21)의 외벽면에 인접하여 수표(C)에 기재된 자기잉크문자를 읽어 들이게 된다.
즉 상기 자기잉크문자인식장치(31)는 그 헤드부에서 자기잉크문자를 인식한 후, 자기잉크문자에 의해 수집되고 추출된 수표(C)정보를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1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10)에서 수표(C)의 진위여부, 수표(C)의 도난 분실여부, 수표(C)의 발행처 등과 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분류하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자기잉크문자인식장치(31)에는 회동수단(33)이 구비되어 자기잉크문자인식장치(3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표(C)에 기재된 자기잉크문자의 인식 감도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서, 상기 스캔모듈(40)은
상기 수표(C)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상기 컨트롤러(10)에 전송하여 이지미화된 수표(C)를 데이터로 보관하고, 또한 자기잉크문자 이외에 수표(C)의 전후면에 기재된 각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판독모듈(30)과 함께 수표(C)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캔모듈(40)은 상기 베이스(1)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표(C)가 본체(21)의 굴곡부(21a)를 지나 직선을 공급되는 위치에 구비된 스캐너(41)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스캐너(41)는 수표(C)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이미지를 스캐닝하기 위해 두 개의 헤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캔모듈(40)에 의하여 상기 수표(C)의 전후면을 이미지화하여 상기 컨트롤러(10)로 전송하여 이를 백업 데이터로 저장하여 해당 수표(C)를 처리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특정 기간 동안 의무적으로 보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캔모듈(40)에서 상기 컨트롤러(10)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문자, 도형과 같은 정보를 추가 판독하여 획득함으로써 스캐닝된 수표(C)의 정보 판단수단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서, 상기 마킹모듈(50)은
상기 판독모듈(30)과, 스캔모듈(40)에 의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10)가 연산하여 분류처리한 후, 분류 기준에 따른 특정 마크를 수표(C)에 인쇄하여 수표(C)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킹모듈(50)은,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하여 분류된 각종 정보인 상기 수표(C)의 무효처리여부, 진위여부, 지급필여부 및 발행처에 따라 서로 다른 날인을 인쇄하기 위한 복수의 스탬핑부(51)와,
상기 수표(C)에 분류처리 사용자의 날인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팅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마킹모듈(50)의 스탬핑부(51)는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정보에 관한 특정 마크를 인쇄하도록 명령이 내려지면,
이에 따라서 상기 스탬핑부(51)는 주어진 명령을 수행하여 수표(C)에 특정 마크를 날인하게 된다.
다만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는 상기 스탬핑부(51)가 두 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스탬핑부(51)는 각각 수표(C)의 발행처에 따라 자행 발행수표(C)와, 타행 발행수표(C)를 구별할 수 있는 마크를 해당 수표(C)에 날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탬핑부를 더 구비하여 수표의 무효처리여부, 진위여부 및 지급필여부 등의 분류 기준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수표에 특정 마크를 날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각 스탬핑부(51)는 상기 수표(C)에 날인을 위한 인쇄롤러(51a)와,
상기 인쇄롤러(51a)와 근접 배열되어 지지하고, 상기 수표(C)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5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스탬핑부(51)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의 양측에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1)의 상면부에 고정된 가이드바(51c)가 구비되며,
상기 각 가이드바(51c) 상단부에는 상기 인쇄롤러(51a)와 가이드롤러(51b)가 한 쌍을 이루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롤러(51a)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분류 기준에 따른 각종 마크가 각인되어 있어 상기 공급부(20)에 의하여 상기 인쇄롤러(51a)와 가이드롤러(51b) 사이를 통과하는 수표(C)에 특정 마크를 인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프린팅부(53)는 첨부된 도면상에서 상기 각 스탬핑부(51)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1)의 상면부 고정된 프린터(53a)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린터(53a)에서는 상기 전용PC(11)에 로그인한 업무처리담당자의 로그인 아이디나 코드를 수표(C)에 인쇄하여 업무처리 수행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무처리에 따른 책임이나 관리가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린팅부(53)의 프린터(53a) 후방에는 카트리지의 교체 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힌지형 고정구(53b)가 구비되어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마킹모듈(50)이 복수의 스탬핑부(51)와 프린팅부(53)를 구비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마킹모듈(5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린팅부(53)가 스탬핑부(51)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스탬핑부(51)를 생략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서, 상기 배서날인부(60)는
상기 마킹모듈(50)에 의하여 분류 기준에 따른 특정 마크가 인쇄된 후, 배서 날인을 통하여 수표(C)의 소요사항을 기재하거나 또는 서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서날인부(60)는 입금일자(처리일자), 계좌번호 또는 입금자 등의 소요사항을 날인하여 이를 상대방에게 교부하게 되는데,
이는 발행처에 따라 수표(C)를 분류하여 각 은행별로 분류된 수표(C)를 맞교환이나, 또는 차액 정산하는 경우 각 은행별로 수표(C)를 교부하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배서날인부(60)는 프린터(61)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C)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배서 양식을 프린팅한 후,
배서가 날인된 수표(C)를 하기할 소팅모듈(70)로 수표(C)를 공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에서, 상기 소팅모듈(70)은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한 분류 기준에 따라 수표(C)를 소팅하고, 분류된 수표(C)들을 각 분류 형태별로 분리 수납하여 수표(C)의 분류 작업을 종결짓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팅모듈(70)은 상기 컨트롤러(10)에 따른 분류 기준에 따라 수표(C)를 집적하고, 상호 구획된 복수의 수납함(71)과,
상기 각 수납함(71)으로 수표(C)를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수납시키기 위한 이송롤러(2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함(71)은 수표(C)의 발행처별로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무효처리 수표(C)나 위조, 모조된 수표(C) 등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송롤러(25b)는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하여 제어되어 분류 기준에 따라 해당 이송롤러(25b)드가 작동하여 분류 기준에 맞는 수납함(71)으로 수표(C)를 이송하여 수납시킴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는 수표나 어음 등의 각종 유가증권 뿐만 아니라, 지로용지 자동처리업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의 스캔모듈(40)에는 광학식문자인식기인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광학식문자인식기인 OCR은 지로용지에 새겨진 문자를 빛을 이용하여 판독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10)에 전송하여 해당 지로용지에 수록된 납부정보(지로번호, 납부금액, 발행기관 등)를 추출하여, 각 기관별 또는 공과금의 종류별로 분류하고, 수납처리정보(납부일자, 납부자, 수납은행, 처리담당자 등)를 상기 지로용지에 인쇄(또는 날인)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식문자인식기인 OCR은 상기 스캔모듈(40)의 스캐너(41)에 내장되는 형태로 공급되어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스캐너(41)와 분리하여 별도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C : 수표
1 : 베이스 3 : 가이드플레이트
10 : 컨트롤러 11 : 전용PC
20 : 공급부 21 : 본체
21a : 굴곡부 23 : 수납부
23a : 지지블록 23b : 이동체
23c : 탄성체 23d : 손잡이
25 : 이송부 25a : 구동모터
25b : 이송롤러 25c : 보조이송롤러
25d : 벨트 25e : 풀리
25f : 롤포스트
30 : 판독모듈 31 : 자기잉크문자인식장치(MICR)
33 : 회동수단
40 : 스캔모듈 41 : 스캐너
50 : 마킹모듈 51 : 스탬핑부
51a : 인쇄롤러 51b : 가이드롤러
51c : 가이드바 53 : 프린팅부
53a : 프린터 53b : 고정구
60 : 배서날인부 61 : 프린터
70 : 소팅모듈 71 : 수납함

Claims (3)

  1. 베이스(1)의 상부에 고정되는 블록 형태의 본체(21)에 구비되며, 다수의 유가증권을 수납하는 수납부(23)와, 상기 수납부(23)에 수납된 유가증권을 낱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5)로 구성되는 공급부(20)와;
    상기 본체(21)의 외벽면에 인접하여 상기 공급부(20)의 이동 경로 후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이송부(25)에 의해 이송되는 유가증권의 일면에 기재된 일련번호 및 계정번호와 같은 자기잉크문자(Magnetic Ink Character)를 감지하는 자기잉크문자인식장치(31)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잉크문자인식장치(31)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후술하는 컨트롤러(10)에 전송하기 위한 판독모듈(30)과;
    상기 베이스(1)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유가증권이 상기 본체(21)의 굴곡부(21a)를 지나 직선경로에 위치되는 스캐너(41)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경로로 이송되는 상기 유가증권의 일면 또는 양면을 스캔하여, 스캐닝된 상기 유가증권 이미지를 후술하는 컨트롤러(10)에 전송하기 위한 스캔모듈(40)과;
    상기 판독모듈(30)로부터 전송받은 해당 유가증권 자기잉크문자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유가증권의 무효처리여부, 진위여부, 발행처 정보에 따라 분류하며, 후술하는 마킹모듈(50) 및 배서날인모듈(60)과 연계되어 분류결과에 따라 각 모듈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와;
    상기 유가증권의 이송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하여 해당 유가증권의 분류결과 정보에 관한 특정 마크를 인쇄하도록 명령이 내려지면, 상기 유가증권의 일면에 분류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마크를 인쇄하기 위한 복수의 스탬핑부(51)와, 상기 유가증권의 일면에 분류처리 사용자의 날인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팅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킹모듈(50)과;
    상기 유가증권의 이송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프린터(61)을 포함하며, 상기 마킹모듈(50)에 의해 상기 유가증권 일면에 특정 마크가 인쇄된 후, 해당 유가증권의 일면에 입금일자, 계좌번호 등과 같은 소요사항 또는 처리담당자의 서명을 날인하고 후술하는 소팅모듈(70)로 이송하는 배서날인부(60); 및
    상기 유가증권의 이송경로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호 구획된 복수의 수납함(71)과, 상기 각 수납함(71)으로 수표(C)를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수납시키기 위한 이송롤러(25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러(10)에 의한 분류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된 유가증권들을 각 분류형태별로 소팅하여 상기 각 수납함(71)에 분리 수납시키기 위한 소팅모듈(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모듈(40)에는 광학식문자인식기인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이 더 구비되어, 지로용지 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3. 삭제
KR1020100082964A 2010-08-26 2010-08-26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KR10107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964A KR101076617B1 (ko) 2010-08-26 2010-08-26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964A KR101076617B1 (ko) 2010-08-26 2010-08-26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617B1 true KR101076617B1 (ko) 2011-10-25

Family

ID=4503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964A KR101076617B1 (ko) 2010-08-26 2010-08-26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6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49B1 (ko) * 2012-09-27 2014-04-22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CN109080270A (zh) * 2018-09-17 2018-12-25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输送票据或纸张的通道
CN109564712A (zh) * 2016-07-29 2019-04-02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装置及货币处理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49B1 (ko) * 2012-09-27 2014-04-22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CN109564712A (zh) * 2016-07-29 2019-04-02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装置及货币处理方法
CN109564712B (zh) * 2016-07-29 2021-07-16 光荣株式会社 货币处理装置及货币处理方法
CN109080270A (zh) * 2018-09-17 2018-12-25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输送票据或纸张的通道
CN109080270B (zh) * 2018-09-17 2024-02-06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输送票据或纸张的通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9717B2 (ja) 封筒及び単一シートの供託装置
US8018632B2 (en) Scanner/imager
EP2827306A1 (en) Valuable media processing device
CN1636222A (zh) 自动银行机货币跟踪系统及方法
KR101076617B1 (ko)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WO2016137846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electronic report tracking
KR100980075B1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KR20070047025A (ko) 단일 운송로를 가진 금융자동화기기
CN103514635B (zh) 物品验证
JP6225791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RU227305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денежных знаков посредством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банковской машины
JP6313570B2 (ja) 受取証書発行機、料金自動収受機及び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KR10118399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인자장치
CN110570579A (zh) 一种金融自助终端
KR100265372B1 (ko) 은행창구형이미지시스템
KR200374272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195996Y1 (ko) 장표처리장치
WO2015015535A1 (ja) 紙幣処理システム、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980010885A (ko) 지로 장표 무인 자동 수납 장치와 시스템
KR100526581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출금장치
CN101176105A (zh) 支票接收和现金分发的自动银行机系统及方法
US11410134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reconciling deposits
KR101262930B1 (ko)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를 이용한 발행 또는 회수 수표 자동 분류 방법
KR101117405B1 (ko) 자동화기기의 용지프린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