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194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194B1
KR101072194B1 KR1020040038563A KR20040038563A KR101072194B1 KR 101072194 B1 KR101072194 B1 KR 101072194B1 KR 1020040038563 A KR1020040038563 A KR 1020040038563A KR 20040038563 A KR20040038563 A KR 20040038563A KR 101072194 B1 KR101072194 B1 KR 10107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st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usage rest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3071A (en
Inventor
신성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194B1/en
Publication of KR2005011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할 경우 지정된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분실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전화 기능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상기 분실 단말기의 사용을 자동으로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실 단말기에는 사용제한 명령을 위한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가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실 단말기에 전화를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실 단말기는 전화를 수신하여 그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고, 그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기설정된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인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기설정된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사용제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limiting use thereof, where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stricted by calling a lost terminal by using a terminal having a designated telephone numb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limiting the use of the lost terminal when lost, the lost terminal has a phone number for a restriction of use command is set, the user to the lost terminal using the terminal registered with the telephone number Calling a telephone; Receiving, by the lost terminal, detecting caller information and checking whether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a preset usage restriction command telephone number; When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determined to be a preset usage restriction command telephone number, activating the usage restriction function.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한 사용 제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usage restriction method using a calling party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한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할 경우 기설정된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분실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그 분실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age restriction method using a caller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a call is made to the lost terminal using a terminal having a preset phone number to restrict the use of the lost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limiting use thereof.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도 단말기를 이용해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SMS), 전화 번호부 또는 전화 통화 목록 검색 기능, 게임 기능, 시계 기능 등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전원부, 메모리, 키패드 및 제어부를 기본적으로 구성하는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단말기에 따라 각기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성요소들의 특성은 각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도록 변경된다.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using the terminal in addition to a simple call function. For example,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SMS), a phone book or telephone call list search function, a game function, a clock function, and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ically configures a display unit, a power unit, a memory, a keypad, and a controller, and performs a desir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a program and a controller stored in the memory. At this ti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are changed to be suitable for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desired by the user in each terminal.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집이나 기타 다른 곳에 놓고 왔을 경우(즉, 분실했을 경우),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단말기 습 득자가 무단으로 사용하는 전화 기능에 대해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eft at home or elsewhere (i.e. lost), there is no function to remotely control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thus preventing the phone learner's unauthorized use of the telephone function. There was no problem.

물론,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설정해 두거나 단문 메시지 등을 통해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비밀번호를 설정해 두는 방법은 사용자 자신도 전화를 사용할 때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기지국을 통해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기능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우선, 그러한 기능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규격을 정해야 하고, 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지국 시스템을 정비해야 하는 등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Of course, you can think of how to set a password on the terminal or control it by sending a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a short message.However, the method of setting a password is cumbersome in that the user must enter a password every time he / she uses the phone. However, the method of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a base station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remotely, but first, a specification of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such a function is required, and a base station necessary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is required. There is a costly and time-consuming problem, such as a system maintena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할 경우 기설정된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분실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전화 기능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so that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a phone function can be dialed to the lost terminal by using a terminal having a preset phone number to limit the telephone func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limiting its us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상기 분실 단말기의 사용을 자동으로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실 단말기에는 사용제한 명령을 위한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가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실 단말기에 전화를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실 단말기는 전화를 수신하여 그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고, 그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기설정된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인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기설정된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사용제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limiting the use of the lost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Calling a phone to the lost terminal by using the terminal registered with the telephone number; Receiving, by the lost terminal, detecting caller information and checking whether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a preset usage restriction command telephone number; If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determined to be a preset usage restriction command telephone number, activating the usage restri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최근 서비스되고 있는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분실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분실 단말기에 걸려온 전화의 발신자 번호가 기설정된 사용제한 명령을 위한 전화번호인 경우, 분실된 단말기임을 단말기의 내/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단말기의 기능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의 시스템이나 운영 체제를 정비하지 않고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mit the use of a lost terminal by using a caller number that is recently serviced, the terminal is a lost terminal when the caller number of the call received on the lost terminal is a phone number for a preset restriction comm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on an internal / external display of a terminal and restricting the use of a terminal function. A mobile communication that can be executed simply by upgrading a program of a mobile terminal without having to maintain a base station system or an operating system. It is a main idea to provide a method of restricting the use of a terminal.

즉,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특정한 제어신호를 보내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분실 단말기에 전화를 걸면, 분실 단말기는 특정 발신자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올 경우, 자동으로 사용 제한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이 단말기를 획득한 타인이 마음대로 단말기를 사용하는 행위(폰북 검색, 음성 호 발신, SMS 발신 등)를 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base station does not send a specific control signal, when a user makes a call to a lost terminal using a predetermined terminal, the lost terminal automatically limits usage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a terminal having a specific caller's telephone number. By activating the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other person who acquires the terminal from using the terminal freely (phonebook search, voice call transmission, SMS transmission, etc.).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일단, 대부분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걸려올 경우, 그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여 전화 번호부(폰북)에 저장된 번호인지를 체크하여, 폰북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의 이름을 표시하고, 폰북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전화번호를 그대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First, m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etect the caller information when a call is received, check whether the number is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display the name of the registered user if the phone number is stored in the phone book. If the phone number is not stored in the phonebook, the phone number is displayed as it is.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화가 걸려올 경우 상기 폰북 체크 과정에 추가로 사용제한 명령 발신자 번호인지를 체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물론, 이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제한 명령을 위한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call limit number is a call limit number in addition to the phonebook check process when a call is received. Of course, for this purpose, a user interface (UI) for registering a phone number for a usage restriction command is ad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상기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의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말기 제조 업체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절차로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 제한할 수 있는 메뉴나 전화번호를 복수로 등록할 수도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for registration of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phone number may proceed in various shapes and procedures according to the terminal manufacturer, and may register a plurality of menus or phone numbers that can be restricted in use.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기지국 시스템을 정비하지 않아도 되며, 기존에 출시된 단말기에 대해서도 단말기의 프로그램만 업그레이드하는 것에 의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user interface program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ed to maintain the base station system,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by upgrading only the program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previously released termin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한 사용 제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발신자 정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 방법은 있으나, 임의로 발신자 정보를 조작하여 전송할 수는 없기 때문에, 사용제한을 위해 송신측 단말기에서는 제어명령이나 사용자 인증 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1 is a flowchart showing a usage restriction method using a caller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re is a method in which caller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to a counterpart terminal. For this purpose, the sending terminal does not need to enter a control command or a user authentication number.

오로지, 수신측 단말기(분실 단말기)에서는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여, 그 전화번호가 폰북에 저장된 번호인지와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로 등록된 번호인지를 체크하여, 등록된 사용자 이름을 표시하거나 단말기의 사용제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Only the receiving terminal (lost terminal) detects the caller information and checks whether the telephone number is a number stored in the phonebook and a registered number as a restriction instruction telephone number, and displays the registered user name or uses the terminal. This is done by activating the limit function.

도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그 분실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로 등록된 전화기(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실 단말기로 전화를 한다. 상기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는 것은 자명하다.Referring to FIG. 1, when a user lo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akes a call to the lost terminal by using a teleph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with a usage restriction command phone number registered in the lost terminal. Obviously,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phone number i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이에 따라, 상기 전화 호출을 받은 분실 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는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여, 그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기 지정된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인지 체크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lost terminal receiving the telephone call detects caller information and checks whether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a predetermined usage restriction command telephone number.

만약, 상기 호출 전화번호가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로 지정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사용제한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상기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는 복수개를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이 제한되는 기능도 지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f the calling telephone number is determined to be a telephone number designated as a restriction instruction telephone number, the restriction feature is activated. In this case, the usage restriction command phone number may be specified in a plurality,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specify a function that is limited to use.

예컨대, 상기 발신자 정보에 의해 사용제한을 할 수 있는 기능에는 폰북 검색 기능, 스케줄, 메모 검색 기능, 최근 통화목록 검색 기능, 무선 인터넷 검색 기능, 음성 발신, SMS 발신, 데이터 호 발신 기능이 있다. For example, functions that can be restricted by the caller information include a phone book search function, a schedule, a memo search function, a recent call list search function, a wireless Internet search function, a voice call, an SMS call, and a data call call.

이때, 상기 사용제한 기능에서 전화 수신 기능은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사용제한을 해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격으로 할 수도 있지만, 단말기를 회수하여 자체에 등록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제한을 해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ll reception function in the usage restriction function can be used as it is, and if you want to cancel the usage restriction, you can do it remotely, but you can cancel the usage restriction by retrieving the terminal and entering the registered password. have.

상기와 같이 사용제한 기능이 활성화될 경우, 단말기는 내/외부 엘시디에 분실된 단말기임을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하여 단말기 습득자에게 알린다.When the usage restriction function is activate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notifies the terminal learner by displaying a phrase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is lost on the internal / external LC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사용 제한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할 경우 지정된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분실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것만으로 분실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업자 입장에서는 간단한 프로그램 변경에 의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age restriction method using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erminal having a designated phone numb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and functions of the lost terminal by simply calling the lost terminal. By limiting this, the operator can improve security by a simple program change, and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Claims (8)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분실 단말기의 사용을 자동으로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limiting the use of the lost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분실 단말기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중 하나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분실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와;Calling the lost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usage restriction command telephone numbers registered in the lost terminal; 상기 호출된 분실 단말기에서, 수신된 호출번호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기설정된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인지 체크하는 단계와;Detecting, at the called lost terminal, detecting caller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call number and checking whether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a preset usage restriction command telephone number;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기설정된 사용제한 명령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사용제한 기능을 활성화시켜 분실 단말기의 기능중 일부 기능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f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determined to be a preset usage restriction command telephone number, activating the usage restriction function to limit the use of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lost terminal; 상기 사용제한 기능이 활성화되면 내/외부 엘시디에 분실된 단말기임을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하여 습득자에게 알리며, 상기 사용이 제한되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되며, 폰북 검색 기능, 스케줄, 메모 검색 기능, 최근 통화목록 검색 기능, 무선 인터넷 검색 기능, 음성 발신, SMS 발신 및 데이터 호 발신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When the usage restriction function is activated, a message indicating the lost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 external LCD to inform the acquirer, and the use restriction function is selectively set by the user, and the phonebook search function, schedule, memo search function, Method of limiting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recent call list search function, wireless Internet search function, voice call, SMS call and data call c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제한 기능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function, 단말기에 등록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Method for limiting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released by entering a password registered in th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38563A 2004-05-28 2004-05-2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 KR101072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63A KR101072194B1 (en) 2004-05-28 2004-05-2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63A KR101072194B1 (en) 2004-05-28 2004-05-2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71A KR20050113071A (en) 2005-12-01
KR101072194B1 true KR101072194B1 (en) 2011-10-10

Family

ID=3728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563A KR101072194B1 (en) 2004-05-28 2004-05-2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1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3492B2 (en) * 2006-02-16 2010-12-0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Mobile terminal,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data access control progr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244A (en) * 1997-09-22 1999-04-09 Toshiba Corp Method for limiting use of telephone function by call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and portable equipment provided with portable telephone function
JP2001177873A (en) * 1999-12-20 2001-06-29 Toshiba Corp Wireless telephone set
JP2002368868A (en) 2001-06-08 2002-12-20 Nec Corp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its remote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244A (en) * 1997-09-22 1999-04-09 Toshiba Corp Method for limiting use of telephone function by caller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and portable equipment provided with portable telephone function
JP2001177873A (en) * 1999-12-20 2001-06-29 Toshiba Corp Wireless telephone set
JP2002368868A (en) 2001-06-08 2002-12-20 Nec Corp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its remot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71A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82208A (en) Mobile terminal service limiting device and method
KR20060102452A (en) Idle screen message display capable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message display
KR10059034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lock in a mobile station
KR20070005956A (en) Portable terminal with bluetooth module and method of bluetooth connecting thereof
KR100642683B1 (en) Method for automatic bluetooth pairing
KR10065068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detail lock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US20090111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ime
KR10107219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thereof
KR100798139B1 (en) Method of telegram phone number display control
KR100403745B1 (en) Method for checking user information and calling the user automatically on lock state in portable telephone
KR2004010015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is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06695B1 (en) Method for managing using mess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199B1 (en) Terminal for canceling lock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90183B1 (en) Method for automatic locking in portable terminal
KR100365778B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ringing up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KR10071172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stance messag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20093253A (en) Method of setting a calling number in mobile phone
KR100504814B1 (en) Communication account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50095485A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phone remotely
KR100851307B1 (e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KR10077144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abbreviated dialing and method of abbreviated dialing thereof
JP4684145B2 (en) Mobile phone and telephon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KR2017000900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nd using method of the same
KR20050017036A (en) Private information hiding mode configur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48196A (en) Mobile phone with phone lock using short messages and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