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862B1 -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862B1
KR101068862B1 KR1020090032111A KR20090032111A KR101068862B1 KR 101068862 B1 KR101068862 B1 KR 101068862B1 KR 1020090032111 A KR1020090032111 A KR 1020090032111A KR 20090032111 A KR20090032111 A KR 20090032111A KR 101068862 B1 KR101068862 B1 KR 10106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data
server
management system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686A (ko
Inventor
허정호
권한솔
박희경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주택공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주택공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2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86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수도, 가스, 냉·난방 등을 위한 각 센서들을 동기화시켜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용도별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화 및 분석하고 공급함으로써,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너지 재생 설비, 에너지 측정 센서 및 통신장치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관리 대상 건물에서의 에너지의 생성량과 소비량을 측정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리 대상 건물에는, 상기 에너지 측정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서버가 설치되고, 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너지 관리에 요구되는 데이터로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서버;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부터 가공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웹브라우저 형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에너지 관리, 실시간, 모니터링, 센서, 동기화,

Description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Demand-based real time energ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수도, 가스, 냉·난방 등을 위한 각 센서들을 동기화시켜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용도별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화 및 분석하고 공급함으로써,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물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빌딩 내에 설치된 전력, 조명, 냉·난방 등 공조(空調), 방재 및 방범설비 등의 서브시스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서브시스템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빌딩관리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은 개개의 단일건물에 대해서 사용되는 전기, 가스, 온도, 유량 등을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각각의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 건물 전체적으로 소모되는 에너지에 대하여는 별도로 관리하지 않으면 알 수 없고, 상기와 같은 자료가 단일건물에 국한되기 때문에 지역 또는 구역의 건물군을 통합관리하는 상황에서는 더욱더 파악할 수조차 없다.
둘째,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은 각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운영 및 관리되기 때문에, 사용하고 버려지는 폐수 또는 사용되기 전의 원수(가공하지 않은 지하수 또는 수돗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 것과 같은 재생에너지를 생산 및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시스템끼리의 결합이 불가능하다.
셋째,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별로 센서를 설치하기 때문에 센서의 수량과 종류가 많아질 수밖에 없어서 불필요한 설치비용과 유지 관리비가 과다하다는 문제가 있다.
넷째,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에 설치했던 센서나 각종 기기들은 에너지 관리가 목적이 아닌 설비의 유지 관리를 목적으로 한 것들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량에 있어서 데이터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지난 자료에 대한 분석 및 향후 에너지 소비에 대한 예측 및 관리를 전혀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수도, 가스, 냉·난방 등을 위한 각 센서들을 동기화시켜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용도별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화 및 분석하고 공급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내 설비별로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아닌 에너지 용도별로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센서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에너지 소비에 대한 예측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에너지 재생 설비, 에너지 측정 센서 및 통신장치를 구비한 관리 대상 건물에서의 에너지의 생성량과 소비량을 측정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된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데, 관리 대상 건물에는 상기 에너지 측정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서버가 설치되고, 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너지 관리에 요구되는 데이터로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서버;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부터 가공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웹브라우저 형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부터 가공된 데이터를 분석 및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로부터 분석 및 진단된 정보가 상기 웹서버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는 분석 및 진단된 정보에 대해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라고 판단시 경보 메시지를 상기 웹서버로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에너지 재생 설비 및 에너지 측정 센서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통신장치에 연결되며, 에너지 측정 센서는 전력량계, 유량계, 온도계, 가스 유량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분석 및 진단 서버는 상기 측정 센서와의 시간 동기화를 통해 건물에서 현재 소비되는 에너지를 통계화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분석 및 진단 서버는 관리 시스템에 입력된 대상 건물의 정보 에 기초하여 대상 건물별로 면적대비 에너지 소비량,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 종류별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 소비 패턴 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며, 또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향후 에너지 수요 예측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 서버와 상기 분석 및 진단 서버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건물에서 소모되는 전체 에너지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역 또는 구역의 건물군의 관리 대상 건물 모두를 웹브라우저를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재생 에너지 설비로부터 생산되는 에너지와 소비되는 에너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통합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처럼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별로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에너지 용도별로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센서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향후 에너지 소비에 대해 예측 및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관리 대상 건물(200a~200d)이 네트워크 등의 망을 통해 관리 센터(100)에 접속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관리 대상 건물(200a~200d)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에너지 재생 설비(214, 234), 에너지 측정 센서(211~213, 221~223, 231~233) 및 통신장치(210, 220, 230, 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장치(210, 220, 230)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서버(290)로 라우팅하는 라우터일 수 있으며, 상기 도면에서 P.S로 나타낸 제1 그룹의 에너지 측정 센서(211, 212, 213)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한 조명, 기계설비, 전자설비 및 냉·난방 등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용도별로 측정하고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측정 센서(211)는 조명에 사용되는 전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측정 센서(212)는 기계 설비에 사용되는 전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측정 센서(213)는 냉·난방 등에 사용되는 전력을 측정하도록 에너지 흐름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G.S로 나타낸 제2 그룹의 에너지 측정 센서(221, 222, 223)는 가스 에너지를 사용한 급탕, 온수 및 냉·난방 등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용도별로 측정하고 제공하도록 설치되고, 도면에서 B.S로 나타낸 제3 그룹의 에너지 측정 센서(231, 232, 233)는 열 에너지를 사용한 급탕 및 온수 등에 소요되는 열 에너지 용도별로 측정하고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M.S로 나타낸 바와 같은 기상 센서(24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기상 센서(243)로부터 측정된 기온, 습도, 풍량 등의 현재의 기상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도의 사용량 등을 취득하기 위한 유량 측정 센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들 에너지 측정 센서(211~213, 221~223, 231~233) 및 기상 센서(243)는 전용선 라인 또는 전력선 라인을 통해 통신장치(210, 220, 230, 240)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룹에 속한 에너지 측정 센서(211~213, 221~223, 231~233)와 기상 센서(243)로부터 검지된 검출값은 각각의 그룹에 해당하는 통신장치(210, 220, 230, 240)를 통해 관리 대상 건물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서버(290)로 전송된다. 이때 사용되는 에너지 측정 센서들은 전용선 통신 또는 PLC 통신이 가능한 전자식 유량계, 디지털식 전력량계, 또는 에너지 미터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화된 값을 통신장치를 통해 데이터 수집 서버(29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아날로그식 센서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센서의 출력측에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등을 설치하고,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수집 서버(29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수집 서버(290)는 상기 통신장치(210, 220, 230, 240)로부터 전송된 미가공된 데이터를 자체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이를 TCP/IP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인터넷 등을 통해 접속된 관리 센터(100)로 전송한다.
도 3은 관리 센터(100)에 설치된 장치를 도시한 것인데,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 서버(29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너지 관리에 요구되는 데이터로 용도별로 가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서버(110)와,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110)로부터 가공된 데이터를 분석 및 진단하는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와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110)와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로부터 취득되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웹브라우저 형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1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서버(110)는 데이터 수집 서버(290)로부터 전송되는 미가공 데이터를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 및/또는 웹서버(130)에 제공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 서버(110)는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290)로부터 수신된 미가공 데이터를 용도별, 종류별, 월별, 시간대별, 특정 영역별 등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고 테이블화하여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가공된 데이터를 자체의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는 데이터 처리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가공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대상 건물별로 면적대비 에너지 소비량,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 종류별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 소비 패턴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웹서버(1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대상 건물에 대한 면적 등에 대한 기초정보는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에 미리 저장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는, 분석 및 진단된 정보에 있어서, 용도별 또는 종류별 등으로 제공된 에너지 소비량 중 평소에 비해 과도하게 높게 나타나거나, 특정 사용량을 넘는 경우와 같은 비정상적인 이벤트를 웹서버(130)로 통지함으로써 웹서버에 접속된 사용자가 대상 건물에서의 에너지 관리 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는, 각 관리 대상 건물들에 대해 각각의 분석 및 진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분석된 결과에 대한 리포트 등을 작성하여 관리자 또는 전문가 그룹에 메일링 할 수도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은 분석 데이터에 포함된 면적대비 에너지 소비량,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 종류별 에너지 소비량 각각에 대해 평균값과 비교하여 생성되는 진단 정보를 생성하고 그 진단 정보에 포함된 값이 미리 정해진 크기의 값 보다 큰 경우를 과도하게 높게 에너지가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면적대비 에너지 소비량,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 종류별 에너지 소비량의 최대값을 정해두고 이들 소비량이 최대값을 초과한 경우를 특정 사용량을 넘어선 것으로 판단하여 그 값을 진단 정보로서 웹서버에 통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 [표 1] 및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관리 대상 건물들에 있어서의 에너지 순시값과 누적값의 계산식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09022355022-pat00001
[표 2]
Figure 112009022355022-pat00002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는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관리 대상 건물들에 대한 에너지 순시값과 누적값 등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21)에 실시간으로 계산 및 저장하고, 이를 웹서버(1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웹서버(130)에 접속한 경우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웹서버(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 서버(110) 및/또는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요청 할 때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게 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110)에서 데이터 수집 서버(290)로부터 수신된 미가공 데이터를 용도별, 종류별, 월별, 시간대별, 특정 영역별 등으로 데이터를 세분화하고 테이블화하여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12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가공된 데이터가 자체의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됨에 따라,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용도별, 종류별, 영역별 등으로 사용되는 에너지를 모니터링하므로 에너지 관리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가 외부 단말(150)을 사용하여 웹서버(130)에 접속한 후, 특정 관리 대상 건물 내의 에너지 설비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 건물에는 제어 서버(29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서버(295)는 전력선 라인 또는 전용선 등을 통해 제어 대상의 단말에 결합된다. 사용자는 웹서버(130)에 통상의 인증 절차(로그인)을 거쳐 권한이 부여된 후, 웹브라우저 상에서 제공되는 제어기능을 통해 제어 서버(295)에 접속할 수 있고, 제어 서버(295)에 접속한 후 제어 서버(295)에 설치된 제어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항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관리 대상 건물 내의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센터에 설치되는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관리 대상 건물 내에서 제어서버와 제어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관리센터
110 : 데이터 처리 서버
120 :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
130 : 웹서버
210, 220, 230, 240 : 통신장치
214, 234 : 에너지 재생설비
290 : 데이터 수집 서버

Claims (9)

  1. 에너지 재생 설비, 다수의 에너지 측정 센서로 이루어진 복수의 에너지 측정 센서 그룹 및 복수의 통신장치를 구비한 관리 대상 건물에서의 에너지의 생성량과 소비량을 측정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측정 센서 그룹 각각은 상기 관리 대상 건물 내에 에너지 종류별로 설치되고, 에너지 측정 센서 그룹에 포함된 다수의 에너지 측정 센서는 에너지 용도별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 각각은 상기 관리 대상 건물 내에 에너지 종류별로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용도별로 설치된 다수의 에너지 측정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 대상 건물에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와 연결되어 복수의 통신 장치로부터 미가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서버가 설치되며,
    상기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수집된 미가공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너지 관리에 요구되는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서버 ―여기서 데이터 처리서버는 미가공된 데이터를 용도별, 종류별, 월별, 시간대별, 영역별 데이터로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테이블화 함―;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부터 가공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웹브라우저 형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측정 센서는 전력량계, 유량계, 온도계, 가스 유량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로부터 가공된 데이터를 분석 및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는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입력된 대상 건물의 정보와, 대상 건물별로 상기 가공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면적대비 에너지 소비량,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 종류별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 소비 패턴을 포함하는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포함된 면적대비 에너지 소비량,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 종류별 에너지 소비량 각각에 대해 평균값과 비교하여 생성되는 진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로부터 생성된 분석 데이터 및 진단 정보는 상기 웹서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재생 설비 및 에너지 측정 센서는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처리 서버와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진단 서버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건물에는, 상기 관리 대상 건물 내의 각종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버가 설치되고, 상기 웹서버는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한하여 상기 제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0090032111A 2009-04-14 2009-04-14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06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111A KR101068862B1 (ko) 2009-04-14 2009-04-14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111A KR101068862B1 (ko) 2009-04-14 2009-04-14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686A KR20100113686A (ko) 2010-10-22
KR101068862B1 true KR101068862B1 (ko) 2011-09-30

Family

ID=4313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111A KR101068862B1 (ko) 2009-04-14 2009-04-14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5467B2 (en) 2013-02-20 2017-11-21 Lg Cns Co., Ltd. Building energy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634713B1 (ko) 2023-08-29 2024-02-08 (주)화신코리아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84B1 (ko) * 2010-10-28 2015-03-05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전력 측정 장치, 전력 관리 서버 및 방법
KR101032882B1 (ko) * 2010-10-29 2011-05-06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세대 내 무선 위치 인식 기반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11270B1 (ko) * 2011-04-12 2013-09-25 주식회사 엘에스엘시스템즈 부피가 큰 구조물의 열특성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1989962B1 (ko) * 2013-03-29 2019-06-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101482407B1 (ko) * 2013-06-03 2015-01-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72412A (ko) 2014-12-15 2016-06-23 (주)한진에프에이에스 에너지 소비 패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KR101878291B1 (ko) * 2017-05-24 2018-08-07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에너지 빅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4190B1 (ko) * 2018-05-25 2020-06-17 (주)씨이랩 실시간 에너지데이터 분석을 위한 환경 요인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102126692B1 (ko) * 2018-11-30 2020-07-07 앤시정보기술주식회사 IoT기반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및 데이터 분석 시스템
KR102248063B1 (ko) * 2019-03-19 2021-05-03 변원섭 유틸리티 모니터링 장치
KR102283580B1 (ko) * 2019-06-18 2021-07-30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서브미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화 플랫폼 시스템
KR102269581B1 (ko) * 2020-10-16 2021-06-28 화인시스템(주) 인공 지능 기반 빌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80280B1 (ko) * 2020-11-17 2022-12-22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336606B1 (ko) * 2021-05-26 2021-12-09 (주)헤리트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118863A (zh) * 2021-12-07 2022-03-01 特斯联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可再生碳中和能源系统
CN117610972B (zh) * 2024-01-24 2024-05-07 荣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绿色建筑数字化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37A (ko) * 2001-09-06 2003-03-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산업시설 관리 시스템
KR20060131738A (ko) * 2003-09-16 2006-12-20 이티지 인터내셔널 엘엘씨 광역 전기 수요 공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37A (ko) * 2001-09-06 2003-03-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산업시설 관리 시스템
KR20060131738A (ko) * 2003-09-16 2006-12-20 이티지 인터내셔널 엘엘씨 광역 전기 수요 공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5467B2 (en) 2013-02-20 2017-11-21 Lg Cns Co., Ltd. Building energy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634713B1 (ko) 2023-08-29 2024-02-08 (주)화신코리아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686A (ko) 201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862B1 (ko)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2011015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energy management by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US8027795B2 (en) Load model generation for estimating a load value from a base load value in a system
US201101254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CN102013731B (zh) 一种能耗管理方法
CN103852744A (zh) 电能计量装置分布式在线监测系统及其方法
CN111190375B (zh) 一种用于水电站设备的智能监控系统与监控方法
CN108318080A (zh) 一种采用Lora数据采集传输监测房屋变形和预警系统
CN104267698A (zh) 基于网络通信技术的电缆井安全运行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06527327A (zh) 一种民用燃气安全监测方法
JP2009153252A (ja) デマンド監視システム
CN117078017A (zh) 一种用于电力电网设备监控智能化决策分析系统
CN108021117A (zh) 基于云平台的能源管理系统
KR20110125047A (ko) 룰 엔진을 통한 이종 시설물의 센서 데이터 분석 방법
CN117474250A (zh) 一种新能源多功能集成智能应用系统
KR101092734B1 (ko) 통합검침시스템을 이용한 수용가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203909837U (zh) 应用于燃气分布式能源系统的在线监测和能效评估系统
KR20180057920A (ko) 태양광 발전효율을 감시 및 분석하는 시스템
JP2012161167A (ja) グリーンエネルギー認証システム
KR100971845B1 (ko)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7127461B2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CN109932024A (zh) 一种工业流量仪表故障远程判断方法及系统
CN210670150U (zh) 能源数据管理系统
CN204166364U (zh) 基于网络通信技术的电缆井安全运行监控系统
TWI655841B (zh) 太陽能發電效率之分析系統及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