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598B1 -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598B1
KR101068598B1 KR1020097022806A KR20097022806A KR101068598B1 KR 101068598 B1 KR101068598 B1 KR 101068598B1 KR 1020097022806 A KR1020097022806 A KR 1020097022806A KR 20097022806 A KR20097022806 A KR 20097022806A KR 101068598 B1 KR101068598 B1 KR 101068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ontent
communication device
internet browser
service
p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3128A (ko
Inventor
줄리안 패스
데이비드 캐스텔
피터 한차코스
피터 칼락
미할 라자리디스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3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8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bove the transpor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에의 푸쉬된 웹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서버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에 대한 가입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 상기 서버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통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웹 콘텐츠를 푸쉬해도 된다는 사전 승인된 허가를 갖는 신뢰되는 제3자 웹 콘텐츠 제공자와 통신함 - , 및 상기 전달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과 연관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은 상기 신뢰되는 제3자 웹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푸쉬되는 새로운 웹 콘텐츠의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새로운 웹 콘텐츠의 이용 불가능성을 나타내는 제2 상태 간에 외관을 변경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Y OF INTERNET CONTENT}
본 출원은 2007년 3월 30일 제출된 발명의 명칭이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y of Internet Content)"인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0/909,181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delivery)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의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최근 진보와 증가된 무선 네트워크 대역폭 용량은 핸드헬드(handheld) 이동 통신 디바이스 상의 브라우징 능력과 함께 무선 인터넷 액세스의 이용 능력 및 발달을 이끌어 냈다. 또 다른 비교적 최근의 발달로는 뉴스, 스포츠, 주가 등과 같은 빈번하게 업데이트되는 웹 콘텐츠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의 증가하는 인기가 있다. 핸드헬드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의 전달은 이용가능한 대역폭과 같은 제한된 기반구조 리소스와 잠재적인 보안 문제로 인한 몇몇 고유의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에의 푸쉬된 웹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푸쉬된 웹 콘텐츠가 전달되어야 할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를 링크시키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확립하고,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신뢰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제공자의 신원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의 콘텐츠 전달을 허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할당 가능한 고유의 푸쉬된 웹 콘텐츠 식별정보로써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제공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동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의 전달을 위한 푸쉬마크(pushmark) 아이콘을 설정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예시적인 푸쉬마크 아이콘들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이다.
도 6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하여 푸쉬마크 아이콘을 정의하는 예시적인 기술자 파일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의 전달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의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원리는 무선 동작 환경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써 실시될 수 있다. 도 1에는 예시적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100)의 개략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102)를 포함하는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이 통신 서브시스템(104)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104)은 무선 네트워크(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200)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02)는 또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6), 플래시 메모리(108), 디스플레이(110), 보조 입력/출력(I/O) 서브시스템(112), 데이터 포트(114), 키보드(116), 트랙볼(117), 스피커(118), 마이크로폰(120), 단거리 통신(122) 및 기타 디바이스 서브시스템(124)과 같은 추가의 서브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키보드(116)는 가상 키보드 또는 물리적 키보드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터치스크린 디스 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의 서브시스템 중 일부는 통신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서브시스템은 "상주형" 또는 온디바이스(on-devic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써, 디스플레이(110)와 키보드(116)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전송을 위한 텍스트 메시지의 입력과 같은 통신 관련 기능과, 계산기나 작업 리스트와 같은 디바이스 상주형 기능 둘 다에 사용될 수 있다. 트랙볼(117)은 디스플레이(1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메뉴를 통하여 탐색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탐색 기능에 사용될 수 있다. 트랙볼(117)은 또한, 강조된(highlighted) 항목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도록, 사용자가 트랙볼을 누를 수 있게 해주는 것과 같은 부차적인 작동 특징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02)에 의해 사용되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통상적으로 플래시 메모리(108)와 같은 영구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운영 체제, 특정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의 일부가 RAM(106)과 같은 휘발성 저장공간으로 임시 로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요구되는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절차가 완료된 후에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가입자 또는 사용자와 연관된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배터리 작동형 디바이스이고, 하나 이상의 충전가능한 배터리(13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인터페이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 시예에서, 배터리(130)는 내장형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스마트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 인터페이스(132)는 레귤레이터(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고, 레귤레이터는 배터리(130)가 통신 디바이스(100)에 전력 V+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00)는 태양열로 전력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또는 배터리의 사용 없이 다른 방식으로 전력 제공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02)는 그의 운영 체제 기능 외에도 통신 디바이스(100) 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134)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기본적인 디바이스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134)의 일부 세트는 그의 제조 중에 통신 디바이스(100) 상에 정상적으로 설치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00)는 통신 디바이스(1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PIN(product identification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ESN 또는 PIN은 통신 디바이스(100)의 조립 중에 제조시 할당될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100) 상의 (플래시 메모리(108)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134)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136)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136)은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무선 텍스트 통신을 보내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임의의 적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대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136)에 대한 다양한 대안들이 존재한다. 사용자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된 메시지는 통상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00)의 플래시 메모리(108)와 같은 로컬 저장장치에 또는 통신 디바이스(100)에서의 일부 기타 적합한 저장 요소에 저장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송신 및 수신된 메시지 중 일부는 통신 디바이스(100)가 통신하는 관련 호스트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공간에와 같이 디바이스(100)로부터 원격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또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인터넷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 모듈(138)이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상태 모듈(140), 어드레스 북 모듈(142), 개인 정보 관리자(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모듈(144), 및 다양한 기타 모듈(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또한 무선 네트워크(200), 보조 I/O 서브시스템(112), 데이터 포트(114),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22), 또는 기타 디바이스 서브시스템(12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통신 디바이스(100) 상에 로딩될 수 있다.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통신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SIM/RUIM/USIM 인터페이스(128)로 삽입되는 SIM/RUIM/USIM 카드(126)(즉,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착탈식 사용자 식별 모듈(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를 사용할 수 있다. SIM/RUIM/USIM 카드(126)는 무엇보다도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통신 디바이스(100)를 개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종래 "스마트 카드"의 하나의 유형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SIM/RUIM/USIM 카드(126)가 없으면, 통신 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200)와의 통신에 완전하게 동작되지 않는다. SIM/RUIM/USIM 인터페이스(128)에 SIM/RUIM/USIM 카드(126)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입된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가입된 서비스는, 예를 들어 이메일, 음성 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와 같은 메시징 및 웹 브라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 상에 푸쉬마크 서비스 기능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푸쉬마크 또는 푸쉬된(pushed)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1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용어 "푸쉬마크 서비스"는 본 개시에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디바이스(100)에 웹 콘텐츠를 푸쉬하는(pushing)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칭한다. 푸쉬된 웹 콘텐츠는, 예를 들어 URL, 라벨,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푸쉬마크 서비스 모듈(148)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 더 이어질 것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적합한 동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예시적인 유형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특정 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100)는 핸드헬드 스마트 폰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 유형의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10), 키보드(116), 및 트랙볼(117)과 같은 기타 입력 또는 탐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 저 모듈(138)로부터의 스크린 출력을 볼 수 있고 디스플레이(110) 상에 디스플레이된 프롬프트(prompt) 또는 질의에 응답하여 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스크린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300)의 개략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300)은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320)를 통하여 핸드헬드 이동 통신 디바이스(100)에 동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 서버(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서버(310)는 푸쉬마크 서비스를 확립하기 위하여 핸드헬드 이동 통신 디바이스(100) 상의 푸쉬마크 서비스 모듈(148)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을 호스트할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서버(330)는 또한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로부터 인터넷(34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환경(3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3자(third-party) 콘텐츠 제공자 서버(350 및 360)가 인터넷(340)에 접속될 수 있고, 이는 디바이스 서버(310), 무선 네트워크(320), 및 인터넷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38)을 통하여 디바이스(100)에 대한 무선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자 서버(350, 360)는 통신 디바이스(100)에 뉴스, 날씨, 스포츠, 주가 등과 같이 목표로 하는 웹 콘텐츠를 전달하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호스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유형에 따라,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은 빈번하게 업데이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잠재적인 보안 문제 및 기반구조 리소스 제한으로 인해, 디바이스(100)에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의 전달을 신중하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가 통신 디바이스(100) 상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설정하고 액세스하기를 원하는 경우, 설정 프로세스가 단순해야 하고 수행하는게 편리해야 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하여 푸쉬마크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마크 서비스를 설정하는 다수의 모드가 있을 수 있다. 블록 410에 도시된 제1 모드에서, 제3자는 통신 디바이스(100)에 대한 고유의 ESN 또는 PIN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100)와의 푸쉬마크 서비스를 확립하라는 요청을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에 보낼 수 있다. 이러한 ESN 또는 PIN 번호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108)에 저장될 수 있다. 블록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안의 제2 모드에서,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인터넷 웹페이지 URL을 엶으로써 푸쉬마크 서비스를 확립하라는 요청을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에 보낼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통신 디바이스(100)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푸쉬마크를 보내는 프로세스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들 대안의 모드들은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블록 402에서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은 푸쉬마크를 설정하거나 그것을 삭제하라는 서비스 요청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 402에서, 실시예에서, 푸쉬마크 서비스는 적합한 푸쉬마크 기술자(descriptor) 파일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더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기술자 파일은 제3자가 통신 디바이스(100)에 푸쉬마크를 보내도 된다는 이전의 허가(permission)를 갖는 신뢰되는(trusted) 제3자인지 아닌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이 사용자 개시된 것이라면, 사용자가 가입하기 원하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이 디바이스 서버(310)를 통하여 통신 디바이스(100)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를 전달해도 된다는 사전 승인된(pre-approved) 허가를 갖는 신뢰되는 제3자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서비스 요청을 보낼지의 결정이 결정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기술자 파일에 의존하기 보다는, 보통 기술자 파일에서 제공될 모든 파라미터가 대신 제3자 콘텐츠 제공자로부터의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요청을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는 제3자가 그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한 가입 및 스케쥴링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고, 이어서 핸드헬드 이동 통신 디바이스(100)에 콘텐츠를 전달하도록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에 요청할 수 있게 해준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블록 402에서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이 보내지면, 블록 430에서 적합한 푸쉬마크가 정의될 수 있고, 블록 4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푸쉬마크 서비스가 확립될 수 있다. 블록 402에 보내진 임의의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이 블록 440에서 로깅될 수 있고, 푸쉬마크 서비스에의 액세스를 상술하는(detailing) 로그 엔트리는 필요한 경우 추후 검토 및 보고를 위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블록 460에서 구성 정보가 블록 402에의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성 블록 460은 기반구조 제공자의 내부 네트워크 구성 내에 푸쉬마크 서비스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푸쉬마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3자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하나 이상의 고유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ID가 할당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는 다른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푸쉬되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들)을 덮어쓰기하거나 간섭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각각의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기반구조 제공자에 의해 고유의 푸쉬마크 ID가 할당될 수 있고, 각각의 제3자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보내지는 임의의 콘텐츠 전달 요청은 할당받은 고유의 푸쉬마크 ID를 동반하여야 한다. 인증된(authorized) 콘텐츠 제공자만이 푸쉬마크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가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증 모델은 콘텐츠 제공자를 인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네트워크 인증 모델은, 콘텐츠 제공자에게 제한된 수의 기반구조 제공자의 포트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콘텐츠 제공자에게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예를 들어,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을 갖는 디바이스 서버(310)) 상의 특정 포트 번호 또는 번호들에의 액세스가 허가될 수 있다. 또한, 기반구조 제공자 네트워크를 통하여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을 행할 시스템의 IP 어드레스를 제공하도록 콘텐츠 제공자에게 요청될 수 있다. 그러면, IP 어드레스가 각각의 콘텐츠 제공자와 매칭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의 특정 특성(즉, 고유의 IP 어드레스, 할당된 포트 번호 등)과 부합되지 않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이 임의의 시스템에 의해 요청되고 있는 경우, 푸쉬마크 요청은 거부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은 전적으로 제3자 콘텐츠 제공자로부터의 HTTP 요청에 인코딩된 파라미터를 통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하여 푸쉬마크를 설정할 때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커맨드들이다:
PMCmd(필수): 실행될 푸쉬마크 커맨드. 수락가능한 값은, 커맨드에 대한 "추가(add)" 또는 "삭제(delete)" 일 수 있음;
PIN(필수): 푸쉬마크가 전달되어야 할 통신 디바이스;
PMURL(PMCmd=add인 경우 필수): 브라우저 채널 푸쉬마크 아이콘이 클릭된 경우 시작될 URL.
PMName(선택적): 사용자의 디바이스 상에 브라우저 채널에 대하여 나타날 푸쉬 마크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이름. 이것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대신에 PMURL이 디스플레이될 것임.
PMunreadIconURL(선택적): 브라우저 채널의 읽지않음(unread) 상태에 대하여 사용될 푸쉬마크의 URL. 이것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디폴트 일반 브라우저 채널 푸쉬마크가 사용자의 디바이스 상에 나타날 것임.
PMreadIconURL(선택적): 브라우저 채널의 읽음(read) 상태에 대하여 사용될 푸쉬마크 아이콘의 URL. 이것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PMunreadIconURL이 사용될 것임.
PMsuccessURL(선택적): 푸쉬마크 요청이 성공한 경우, 리디렉션될(redirected) 페이지의 URL. 이 변수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성공 페이지로 리디렉션되지 않을 것이지만, 반환 코드(return code)가 다시 전달될 것임.
PMfailURL(선택적): 푸쉬마크 요청이 실패한 경우, 리디렉션될 페이지의 URL. 이 변수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실패 페이지로 리디렉션되지 않을 것이지만, 반환 코드가 다시 전달될 것임.
대안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을 하기 위한 단순 HTML 폼이 제3자 콘텐츠 제공자의 웹사이트 상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은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에의 HTTP 요청에 인코딩된 파라미터를 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부하 균등화(load balancing) 목적을 위해, 푸쉬마크 서버 이름은 DNS 서버가 다수의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에 분배할 수 있는 별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는 기반구조 제공자의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고, 기반구조 제공자가 필요하다고 간주하는 곳은 어디든 물리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단체 본부, 지방 지역 사무소, 등). 다수의 지리적 위치들을 보다 양호하게 서비스하기 위하여, 푸쉬 서버는 기반구조 제공자에 의해 국지적으로 위치되어 국부적으로 관리될 수 있지만, 필요하거나 요구되는 경우 또한 원격으로 관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제3자 콘텐츠 제공자는 사용자가 자신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는 가입 메커니즘의 개발 및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제3자 콘텐츠 제공자는 또한, 업데이트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를 특정 통신 디바이스(100)에 푸쉬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100)로부터의 ESN 또는 PIN의 캡쳐를 담당할 수 있다. 제3자 콘텐츠 제공자는 또한, 각각의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푸쉬 채널이 사용자에게 배포될 때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개발 및 유지를 담당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 상에 푸쉬마크를 설정하면, 제3자 콘텐츠 제공자는 업데이트가 이용할 수 있게 될 때 디바이스(100)에 직접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를 푸쉬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3자 콘텐츠 제공자가 핸드헬드 이동 통신 디바이스(100)에 콘텐츠를 직접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대신, 디바이스 서버(310) 상에서 실행 중인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이 제3자 콘텐츠 제공자를 대신하여 임의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 업데이트를 수행할 신뢰되는 에이전트로서 채용될 수 있다. 알 수 있듯이, 이 안전한 전달 모드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를 보낼 수 있는 제3자 콘텐츠 제공자의 능력을 더욱 제한하는 것일 수 있지만, 기반구조 리소스의 사용에 걸친 제어 및 보안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제 도 5a를 참조하면, "푸쉬마크 아이콘"으로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400)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푸쉬마크 서비스 모듈(148)은 각각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푸쉬마크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를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108))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유의 식별자는 특정 웹사이트 URL과 연관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사용자가 이들 푸쉬마크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대 응하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과 콘텐츠에 자동으로 액세스된다(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저 모듈(138)을 통하여).
계속해서 도 5a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용이하게 구별하기 위하여, 푸쉬마크 서비스 모듈(148)은 특정 콘텐츠 제공자로부터인 것으로서 연관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식별하는 고유의 그래픽 특징을 갖는 제3자 생성(third-party generated) 푸쉬마크를 (예를 들어, 제3자 콘텐츠 제공자(350, 3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푸쉬마크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를 나타내는 그래픽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예에서, "Circle News", "Five Star Entertainment" 및 "Cross Finance"와 같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스크린(500A)으로부터 선택되도록 이용될 수 있는 대응하는 푸쉬마크(502A, 504A, 506B)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이 대응하는 그래픽 심볼 아래에 나타나도록 이들 푸쉬마크 이름이 각각의 푸쉬마크에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푸쉬마크 이름 또는 푸쉬마크 아이콘과 연관된 다른 텍스트가 스크린의 어떤 다른 곳에 나타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새로운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예를 들어, "Shadow Box Sports")이 승인되고 통신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신되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들의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해 대응하는 새로운 푸쉬마크(508B)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스크린(500B)에 추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다수의 푸쉬마크 아이콘들이 "읽음" 상태 및 "읽지않음" 상태와 같은 상이한 상태들을 나타내도록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한 가장 최근의 업데이트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아직 읽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푸쉬마크(예를 들어, "Circle News" 및 "Five Star Entertainment" 참조)는 아래의 이탤릭체 텍스트와 함께 진하게 강조된 푸쉬마크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읽지않음"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적인 예일 뿐이며, 사실상 임의의 시각적으로 두드러진 특징이 "읽지않음"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가청 표시자 또는 촉각적 표시자가 "읽지않음" 상태를 더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5c에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이들 푸쉬마크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예를 들어, 터치하거나 클릭함으로써) 이들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액세스하는 경우,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윈도우가 윈도우(512, 514)에서 열릴 수 있다. 사용자가 각각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서 새로 업데이트된 항목을 선택하면, 도 5d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Circle News" 및 "Five Star Entertainment"에 대하여 대응하는 푸쉬마크는 푸쉬마크 아이콘 및 텍스트를 보통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읽음"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이들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들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또 다른 업데이트가 디바이스(100)에 푸쉬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읽지않음" 상태를 나타내는 강조된 버전의 푸쉬마크 아이콘이 다시 한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읽음" 및 "읽지않음" 상태를 둘 다 나타내는 푸쉬마크 아이콘의 상이한 버전들을 포함함으로써, 제3자 콘텐츠 제공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은 사용자로부터 더 자주 주목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푸쉬마크가 광고 수익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 이점이 될 수 있다.
이제 도 5e를 참조하면, 선택을 위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들을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500E) 상의 특정 위치에 특정 푸쉬마크 아이콘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E)는 푸쉬마크 아이콘들을 위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정의된 푸쉬마크 위치(521-526)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를 다시 참조하여, 푸쉬마크 아이콘(502B, 504B, 506B 및 508B)은 각각 푸쉬마크 위치(521, 522, 523 및 524)에 할당되고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푸쉬마크 아이콘(502B-508B)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한 새로운 푸쉬마크가 추가되는 경우,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은 특정 푸쉬마크 위치에 푸쉬마크 아이콘(502B-508B) 각각을 고정시키도록(anchor)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마크(502B, 504B, 506B, 및 508B)는 푸쉬마크 위치(521, 522, 523 및 524)에 고정될 수 있다. 새로운 푸쉬마크가 추가되면, 새로운 푸쉬마크 아이콘은 푸쉬마크 위치(525)에 위치될 수 있다. 추가된 다음 푸쉬마크 아이콘은 푸쉬마크 위치(526)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새로운 푸쉬마크 아이콘이 추가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E)에서의 임의의 원하는 푸쉬마크 위치(521-526)에 푸쉬마크 아이콘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탐색 제어부(예를 들어, 트랙볼(117))를 가질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E)에서의 푸쉬마크 아이콘(502B, 504B, 506B, 및 508B)의 일관된 위치지정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의 더 쉬운 사용자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제 도 5e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푸쉬마크 아이콘(502B, 504B, 506B, 및 508B)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푸쉬마크(502B, 504B, 506B, 및 508B)를 다른 유형의 푸쉬마크와 조합할 수 있는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F))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F)는 푸쉬마크 아이콘(502B, 504B, 506B, 및 508B)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F)에서의 특정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메인 데스크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f에 도시된 예시적인 예에서, 푸쉬마크 아이콘(502B, 504B, 506B, 및 508B)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00F)에서 정의되어 있는 아이콘 위치들(531-539)의 제2 행으로부터 시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행(위치 531, 532, 및 533)은 우선순위(priority)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F)의 제1 행에 위치될 수 있도록 보유(reserved)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행에 위치되는 우선순위 아이콘은 메시지 리스트(Message List) 아이콘, 달력(Calendar) 아이콘, 및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아이콘(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 아이콘에 대하여 제1 행을 보유해 둠으로써, 사용자는 우선순위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00F)에서의 그들 뚜렷한 위치로부터 옮길 필요 없이 메인 데스크톱 사용자 인터페이스(500F)에 다양한 푸쉬마크(502B, 504B, 506B, 및 508B)를 추가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모든 우선순위 아이콘이 푸쉬마크 아이콘 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 위치 행렬이 4개 행과 6개 열을 제공하는 경우, 우선순위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해 총 최대 12 개의 전용 위치를 허용하도록 제1 행과 제2 행이 보유될 수 있다. 그 다음, 다른 푸쉬마크들은 제3 행에서 시작하는 푸쉬마크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행에 의해 아이콘 위치들을 보유하는 대신에, 특정 아이콘 위치가 우선순위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해 보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우선순위 아이콘을 위해 아이콘 위치 행렬 좌측의 아이콘 위치들의 첫 번째 하나 또는 2개의 열을 보유하기를 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아이콘 위치 행렬의 상단 좌측 코너의 2개 열 x 2개 행의 부분행렬과 같은 특정 아이콘 위치를 보유하기를 원할 수 있다. 사실상 아이콘 위치를 보유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대안으로서, 다른 예로서, 아이콘 위치 행렬에서 위치들의 제1 행(즉, 가장 위의 행) 또는 위치들의 제1 열(즉, 가장 왼쪽의 열)과 같은 특정 위치들이, 푸쉬마크 아이콘의 더 두드러진 위치지정과 더 많은 주목을 끄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푸쉬마크 아이콘들에 대하여 보유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하여 푸쉬마크를 정의하고 후속 업데이트를 인증하기 위해 푸쉬마크 서비스 모듈(14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푸쉬마크 기술자 파일(600)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기술자 파일은 디바이스 서버(310) 상에 저장될 수 있고,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URL(602),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한 텍스트 라벨(604), 푸쉬마크를 포함하는 그래픽 파일에 링크시키는 그래픽 파일 URL(606), 및 성공 메시지 페이지(608)와 실패 메시지 페이지(610)와 같은 다양한 기타 URL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3자 콘텐츠 제공자의 웹사이트에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에의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푸쉬마크 서비스 서버 모듈(149)은 디바이스 서버(310) 상의 푸쉬마크 기술자 파일(600)을 참조할 수 있다. 그러면,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푸쉬마크 정의는 기술자 파일에 의해 정의되는 대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하여 푸쉬마크 서비스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하게 정의된 파라미터가 없으면, 제3자 콘텐츠 제공자는 통신 디바이스(100) 상에 푸쉬마크를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신뢰되는 제3자 콘텐츠 제공자만에의 전달 액세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술자 파일에 의존하지 않고, 푸쉬마크 서비스를 확립하라는 요청은, 그렇지 않았다면 기술자 파일에 의해 제공되었을 모든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3자 HTTP 요청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3자 콘텐츠 제공자가 제어된 푸쉬마크 서비스를 통하여 디바이스(100)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를 푸쉬할 수 있게 해주고, 전체 기반구조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반구조 제공자가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거나 한정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인증된 콘텐츠 제공자가 푸쉬마크 아이콘이 제시될 수 있는 방식(예를 들어, 상이한 "읽음" 및 "읽지않음" 상태를 나타낼 상이한 버전의 푸쉬마크 아이콘) 및 콘텐츠의 정의에 대하여 충분한 제어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
기능적으로, 이는 또한 이들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한 콘텐츠의 요청 및 푸쉬가 더 이상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개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바이스 사용자가 그들 PIN 번호를 갖는 콘텐츠 제공자를 신뢰하고 콘텐츠 제공자가 기반구조 제공자에 의해 승인되는 한, 푸쉬는 제3자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이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확인(verification)되면, 제3자 콘텐츠 제공자는 그들이 원할 때마다 상이한 라벨, 푸쉬마크 아이콘, 또는 URL 링크로써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브라우저 채널은 더 이상 정적이지 않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7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700)이 시작되고, 블록 702에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가 전달되어야 할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0)는 그의 ESN 또는 PIN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다.
블록 704에서, 방법(700)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통신 디바이스(100)에 링크시키는 푸쉬마크 서비스를 확립한다. 이는 통신 디바이스(100) 상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에 대한 푸쉬마크 아이콘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 706에서, 방법(700)은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은 인코딩된 푸쉬마크 서비스 파라미터를 갖는 HTTP 요청을 통하여 제3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결정 블록 708에서, 방법(700)은 신뢰되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 제공자의 신원(identity)이 확인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확인은, 푸쉬마크 서비스 요청과 함께 수신한, 콘텐츠 제공자에게 할당된 고유의 푸쉬마크 ID의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되지 않는 경우, 방법(700)은 블록 71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전달하거나 푸쉬마크 서비스를 설정하라는 요청이 거절된다. 그 다음, 방법(700)은 종료한다.
결정 블록(708)에서, 확인되는 경우, 방법(700)은 결정 블록 712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방법(700)은 콘텐츠가 전달되어야 할 통신 디바이스가 고유하게 식별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고유하게 식별되지 않는 경우, 방법(700)은 블록 71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전달하거나 푸쉬마크 서비스를 설정하라는 요청이 거절된다. 그 다음, 방법(700)은 종료한다.
결정 블록 712에서, 고유하게 식별되는 경우, 방법(700)은 블록 714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통신 디바이스에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콘텐츠의 전달이 허가된다. 블록 716에서, 통신 디바이스 상에 설정된 푸쉬마크 아이콘은 전달된 새로운 콘텐츠의 "읽지않음" 상태를 나타내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결정 블록 718에서, 새로운 콘텐츠가 읽지않음으로 남아있는 경우, 읽지않음 상태를 나타내는 푸쉬마크 아이콘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새로운 콘텐츠를 읽은 경우, 방법(700)은 블록 720으로 진행하며, 여시에서, 푸쉬마크 아이콘은 모든 콘텐츠를 읽 었음을 나타내도록 업데이트된다. 그 다음, 방법(700)은 종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에의 푸쉬된 웹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푸쉬된 웹 콘텐츠가 전달되어야 할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를 링크시키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확립하고,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신뢰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제공자의 신원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의 콘텐츠 전달을 허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할당 가능한 고유의 푸쉬된 웹 콘텐츠 식별정보로써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제공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 ESN 또는 PIN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기술자 파일에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HTTP 요청에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와 연관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정의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대안의 상태들을 나타낼 하나 이상의 대안의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들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읽음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제공하고, 읽지않음 상태를 나타내는 제2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에의 푸쉬된 웹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본 시스템은, 푸쉬된 웹 콘텐츠가 전달되어야 할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를 링크시키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확립하고,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신뢰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제공자의 신원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의 콘텐츠 전달을 허가하도록, 적응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은 할당 가능한 고유의 푸쉬된 웹 콘텐츠 식별정보로써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제공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도록 더 적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 ESN 또는 PIN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도록 더 적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은 기술자 파일에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저장하도록 더 적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은 HTTP 요청에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인코딩하도록 더 적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은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와 연관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정의하도록 더 적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은 하나 이상의 대안의 상태들을 나타낼 하나 이상의 대안의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들을 제공하도록 더 적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은 읽음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제공하고, 읽지않음 상태를 나타내는 제2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제공하도록 더 적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는 URL, 라벨,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의 선택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디바이스로 로딩되면 통신 디바이스에의 푸쉬된 웹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적응시키는 데이터 프로세서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가 제공되며, 푸쉬된 웹 콘텐츠가 전달되어야 할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코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를 링크시키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확립하기 위한 코드,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신뢰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제공자의 신원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통신 디 바이스에의 콘텐츠 전달을 허가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는 할당 가능한 고유의 푸쉬된 웹 콘텐츠 식별정보로써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제공자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 ESN 또는 PIN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는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와 연관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정의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복수의 아이콘 위치를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우선순위 아이콘을 위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우선순위 아이콘 위치를 보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아이콘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이 고정된 채 유지되는 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상기 특정 아이콘 위치에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본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복수의 아이콘 위치를 정의하 고, 적어도 하나의 우선순위 아이콘을 위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우선순위 아이콘 위치를 보유하도록, 적응되는 메인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본 디바이스는,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아이콘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이 고정된 채 유지되는 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상기 특정 아이콘 위치에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적응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특허 명세서의 개시의 일부분은 저작권 보호 대상이 되는 자료를 포함한다. 특허 및 상표청 특허 파일 또는 기록에 나타나는 한, 저작권 소유자는 특허 문서 또는 특허 개시의 모사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모든 저작권 권한을 보유한다.
상기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기재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5)

  1. 통신 디바이스에 웹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에 대한 가입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 상기 서버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통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웹 콘텐츠를 푸쉬해도 된다는 사전 승인된 허가를 갖는 신뢰되는 제3자 웹 콘텐츠 제공자와 통신함 - ; 및
    상기 전달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과 연관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은 상기 신뢰되는 제3자 웹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푸쉬되는 새로운 웹 콘텐츠의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새로운 웹 콘텐츠의 이용 불가능성을 나타내는 제2 상태 간에 외관을 변경하는 것인, 웹 콘텐츠 전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할당 가능한 고유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식별정보로써 상기 신뢰되는 제3자 웹 콘텐츠 제공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웹 콘텐츠 전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PIN(product identification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웹 콘텐츠 전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기술자(descriptor) 파일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의 가입 요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웹 콘텐츠 전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요청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의 가입 요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웹 콘텐츠 전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와 연관된 복수의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콘텐츠 전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대안의 상태들을 나타낼 하나 이상의 대안의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웹 콘텐츠 전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정 아이콘 위치에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을 고정시키는(anchoring) 것을 포함하는 것인 웹 콘텐츠 전달 방법.
  9.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에 대한 가입 요청을 전달하고 - 상기 서버는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통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웹 콘텐츠를 푸쉬해도 된다는 사전 승인된 허가를 갖는 신뢰되는 제3자 웹 콘텐츠 제공자와 통신함 - ;
    상기 전달된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과 연관되는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은 상기 신뢰되는 제3자 웹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푸쉬되는 새로운 웹 콘텐츠의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새로운 웹 콘텐츠의 이용 불가능성을 나타내는 제2 상태 간에 외관을 변경하는 것인, 통신 디바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가입 요청은 할당 가능한 고유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식별정보로써 상기 신뢰되는 제3자 웹 콘텐츠 제공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통신 디바이스.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가입 요청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 ESN 또는 PIN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고유하게 식별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통신 디바이스.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가입 요청은 기술자 파일에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의 가입 요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신 디바이스.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가입 요청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요청에 인코딩된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의 가입 요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신 디바이스.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은 각각의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 서비스에 대하여 정의되는 것인 통신 디바이스.
  15. 청구항 9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대안의 상태들을 나타낼 하나 이상의 대안의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서비스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정 아이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인 통신 디바이스.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인 것인 통신 디바이스.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는 URL, 라벨, 텍스트, 그래픽 파일,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 아이콘의 선택시 상기 푸쉬된 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인 통신 디바이스.
  19.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97022806A 2007-03-30 2008-03-28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068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918107P 2007-03-30 2007-03-30
US60/909,181 2007-03-30
US12/058,011 2008-03-28
US12/058,011 US8539553B2 (en) 2007-03-30 2008-03-28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y of internet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3128A KR20090133128A (ko) 2009-12-31
KR101068598B1 true KR101068598B1 (ko) 2011-09-30

Family

ID=3980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806A KR101068598B1 (ko) 2007-03-30 2008-03-28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39553B2 (ko)
EP (1) EP2145425B1 (ko)
JP (1) JP5019653B2 (ko)
KR (1) KR101068598B1 (ko)
CN (1) CN101690121A (ko)
AU (1) AU2008234379B2 (ko)
CA (1) CA2681969C (ko)
MX (1) MX2009010456A (ko)
WO (1) WO200811917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36B1 (ko) * 2012-07-23 2014-05-30 한국과학기술원 인텐트에 기반하여 이동된 웹 객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14900B1 (ko) 2012-07-23 2014-07-04 한국과학기술원 인텐트에 기반하여 웹 객체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414844B1 (ko) 2012-07-23 2014-07-07 한국과학기술원 푸쉬를 사용하여 웹 객체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9442687B2 (en) 2012-07-23 2016-09-1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web object based on i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1501A (ja) * 2008-01-31 2009-08-13 Toshiba Corp 移動通信機器
US20100169828A1 (en) * 2008-12-29 2010-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desktop organization via magnet icons
US8763089B2 (en) * 2010-01-12 2014-06-24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echanism
KR101629709B1 (ko) * 2010-01-20 201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모듈을 내장한 컴퓨터 기기에서 부팅 방법 및 장치
US20120054814A1 (en) * 2010-08-30 2012-03-01 Rajiv Porayath Portable Internet Media Viewer
KR20120065078A (ko) 2010-12-10 2012-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된 채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실시간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개인화된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US9767195B2 (en) * 2011-04-21 2017-09-19 Touchstream Technologies, Inc. Virtualized hosting and displaying of content using a swappable media player
US8825842B2 (en) * 2011-04-28 2014-09-02 Facebook, Inc. Managing notifications pushed to user devices
WO2013112153A1 (en) 2012-01-26 2013-08-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dentifying a push communication pattern
EP2706727B1 (en) * 2012-09-11 2014-09-10 BlackBerry Limi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uthorizing endpoints of a push pathway
CN104901817B (zh) * 2014-03-07 2018-07-10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目标信息推送方法及装置
US10178192B2 (en) * 2015-09-15 2019-01-08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Behavior-based browser bookmarks
JP6888266B2 (ja) 2016-10-06 2021-06-16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452920B2 (en) * 2017-10-31 2019-10-22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summary storyboard from a plurality of image frames
US10929498B2 (en) * 2019-04-02 2021-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and storing relevant user content in a collection accessible to user in website subscribed to service
KR20210037314A (ko) 2019-09-27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집적 회로를 이용하여 펌웨어를 갱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832B1 (ko) * 1999-09-29 2002-06-07 윤종용 인터넷 접속 무선단말기의 앵커속성 표시방법
US6742127B2 (en) * 1998-04-30 2004-05-25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ecurity in a push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0078A (en) * 1997-06-17 1999-08-17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icon images on a computer display monitor
US6311058B1 (en) 1998-06-30 2001-10-3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elivering data content over a low bit rate transmission channel
AU2001274553A1 (en) * 2000-06-26 2002-01-08 Sony Communication Network Corporation Time limit replacing contents display using network
US20030032409A1 (en) 2001-03-16 2003-02-13 Hutcheson Stewart Douglas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content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4890740B2 (ja) * 2001-09-29 2012-03-07 シーベ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ェブブラウザに対する非同期メッセージのプッシュ
GB0321674D0 (en) * 2003-09-16 2003-10-15 Cognima Ltd Catching content on phones
US20050262530A1 (en) * 2004-05-24 2005-11-24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US7539484B2 (en) * 2005-02-22 2009-05-26 Snapin Soft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voice calls, such as enhancing voice calls with data services
JP2006236284A (ja) * 2005-02-28 2006-09-07 Ntt Advertising Inc 情報管理システム
US7752209B2 (en) 2005-09-14 2010-07-06 Jumptap, Inc. Presenting sponsored cont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US7453868B2 (en) * 2005-12-30 2008-11-18 Microsoft Corporation Strategies for sending content to a target device
US7941497B2 (en) * 2007-02-22 2011-05-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ty-based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subscribing to dynamic push channels
US8112720B2 (en) * 2007-04-05 2012-02-07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d graphically associating programmatically-generated media item recommendations related to a user's socially recommended media i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2127B2 (en) * 1998-04-30 2004-05-25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ecurity in a push server
KR100339832B1 (ko) * 1999-09-29 2002-06-07 윤종용 인터넷 접속 무선단말기의 앵커속성 표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36B1 (ko) * 2012-07-23 2014-05-30 한국과학기술원 인텐트에 기반하여 이동된 웹 객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14900B1 (ko) 2012-07-23 2014-07-04 한국과학기술원 인텐트에 기반하여 웹 객체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414844B1 (ko) 2012-07-23 2014-07-07 한국과학기술원 푸쉬를 사용하여 웹 객체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9442687B2 (en) 2012-07-23 2016-09-1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web object based on i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2912A (ja) 2010-07-08
CN101690121A (zh) 2010-03-31
AU2008234379A1 (en) 2008-10-09
US20090013387A1 (en) 2009-01-08
KR20090133128A (ko) 2009-12-31
JP5019653B2 (ja) 2012-09-05
WO2008119175A1 (en) 2008-10-09
MX2009010456A (es) 2009-11-09
AU2008234379B2 (en) 2011-06-23
EP2145425A4 (en) 2014-10-08
EP2145425A1 (en) 2010-01-20
EP2145425B1 (en) 2018-08-01
CA2681969C (en) 2016-01-26
CA2681969A1 (en) 2008-10-09
US8539553B2 (en)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598B1 (ko) 인터넷 콘텐츠의 전달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0533440C (zh) 基于对共享式数据的访问权限来提供服务
US9065817B2 (en) Authenticating linked accounts
EP3203709B1 (en) Cloud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loud service server
US7707292B2 (en) Method for signing into a mobile device over a network
US9392075B1 (en) URLs with IP-generated codes for link security in content networks
CN105635063B (zh) 物联网通信协议配置方法和装置
CN101771676B (zh) 一种跨域授权的设置、鉴权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20100064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wser within a Web Site and Proxy Server
US9094370B2 (en) Remote access to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from a web browser extension
US200901430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act picture synchronization and distribution
EP2146475A1 (en) Access to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from a remote terminal
KR20070024660A (ko) 데이터 다운로딩에서 사용자 확인
US104375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pplication installation
CN103973642A (zh) 实现js应用程序接口安全访问控制的方法与装置
US200700557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ccess from a website via Web or WAP access
US11882154B2 (en) Template representation of security resources
KR101328118B1 (ko) 비밀 데이터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802975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kins for a web page
WO2006028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ccess from a website via web or wap access
KR20090068917A (ko) 유무선 위젯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733596B (zh) 用于管理对由电子设备提供的资源组的访问的方法
US20050235155A1 (en) Identification of users on a network
KR100936011B1 (ko) 가상 커뮤니티 및 상기 가상 커뮤니티에서의 릴레이션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29098A (ko) 왑 클라이언트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