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857B1 -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857B1
KR101067857B1 KR1020090002557A KR20090002557A KR101067857B1 KR 101067857 B1 KR101067857 B1 KR 101067857B1 KR 1020090002557 A KR1020090002557 A KR 1020090002557A KR 20090002557 A KR20090002557 A KR 20090002557A KR 101067857 B1 KR101067857 B1 KR 10106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der
module
transf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3261A (en
Inventor
박흥남
Original Assignee
문승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경 filed Critical 문승경
Priority to KR102009000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857B1/en
Publication of KR2010008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용기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용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로터리 트레이; 간섭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트레이의 배출구를 개폐시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는 개폐모듈; 상기 용기에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키는 물공급유닛 및 상기 용기를 밀폐시켜 상기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저장시키는 밀폐유닛을 포함하는 조리모듈; 상기 용기를 감싸는 홀더가 배치되고, 접혀진 홀더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홀더암이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 삽입된 용기를 이동시키는 홀더이송레일을 포함하는 홀더공급모듈; 이동 시 상기 간섭부재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 이동 시 상기 홀더암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홀더암을 작동시키는 회전암간섭부, 이동 시 상기 홀더이송레일에 배치된 치합롤러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치합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치합부가 배치된 이송모듈을 포함하기 때문에, 로터리 트레이, 개폐모듈, 이송모듈, 조리모듈 및 홀더공급모듈이 유기적으로 상호 작동되어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송모듈의 전진 또는 후진 시 발생되는 각 모듈과의 상호간섭에 의해 용기를 배출/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홀더의 복원, 용기의 삽입 및 이송을 유기적으로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ry container is disposed in a circular rotation, the rotary tray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container; An interference member is forme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for discharging the contain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rotary tray; A cooking modul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ed water to the container to cook food in the container and a sealing unit to seal the container to stor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A holder supply module including a holder surrounding the container, a holder arm for restoring the folded holder to an original state, and a holder transport rail for moving th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holder; An op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during movement, a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for operating the holder arm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holder arm during movement, and interfering with the engagement roller disposed in the holder transfer rail during movement. Since the roller engaging portion for rotating the engagement roller includes a transfer module disposed, the rotary tray,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the transfer module, the cooking module and the holder supply module are organically interoperable to cook food in the container as well as to open the container. Provided to the user, and by the mutual interference with each module generated when the transfer module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s well as discharge / transfer the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of organically implementing the restoration of the holder, the insertion and transfer of the container.

Description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Vending machin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 트레이를 이용하여 용기를 선택한 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ding machine that can be easily withdrawn after selecting a container using a rotary tray.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완제품 상태의 물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음식물 등을 조리하여 제공하는 자동판매기가 보급되고 있다. In general, a vending machine provides a user with an article in a finished state, and recently, a vending machine for cooking and providing food and the like has been spread.

일반적으로 가열된 물을 첨부하여 음식물을 취사하는 인스턴트식품용 자동판매기는 컵그릇면 등의 음식물과 이 음식물을 취사하기 위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instant food vending machine for cooking food attached to the heated water is capable of supplying food such as cup noodles and hot water for cooking the fo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판매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판매기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vending machin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그릇면이 적재됨과 더불어 온수공급부가 구비된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전면에 회전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됨과 더불어 그릇면을 판매할 수 있도록 된 도어(20)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a plurality of bowl surface is loaded and the main body 10 with a hot water supply,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bowl surface is sold The door 20 is made to be made.

상기 본체(10)는 그릇면이 순차적으로 판매될 수 있도록 적재됨과 더불어 케이스(11)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도 2에서는 5개)의 랙크조립체(12)와, 이 랙크조립체(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그릇면을 인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13)와, 이 덕트(13)를 통해 인출한 그릇면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된 그릇면받침대(14)와, 이 그릇면받침대(14)의 상부에 공급되는 온수의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후술하는 온수공급관(16)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노즐수단(15)과, 이 노즐수단(15)의 일측에는 온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온수공급관(16)이 끼워져 있다.The main body 10 is loaded so that the bowl surface can be sold sequentially and a plurality of rack assemblies 12 (five in FIG. 2)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f the case 11, and the rack assembly ( A duct 13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12) to guide the drawn out bowl surface, and a bowl surface support 14 installed to put the bowl surface container drawn out through the duct 13; Nozzle means 15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well as capable of sucking and discharging water vapor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wl surface support 14, and the nozzle means One side of (15) is fitted with a hot water supply pipe 16 so that hot water can be introduced.

미설명부호 17은 상기 그릇면받침대(14)에 떨어진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된 물통이고, 18은 누전차단기이다.Reference numeral 17 is a bucket to receive the water falling on the bowl surface support 14, 18 is an earth leakage breaker.

그리고 상기 도어(20)에는, 외곽을 구성하기 위한 판넬부재(21)와, 이 판넬부재(21)의 상부에 설치된 그릇면전시부(22)와, 이 그릇면전시부(22)의 하부에 그릇면을 판매할 수 있도록 설치된 판매부(23)와, 이 판매부(23)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릇면이 낙하되어 투출되는 그릇면투출구(24)와, 상기 판매부(23)와 그릇면투출구(24)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판매부(23)의 좌측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판매부(23)의 온수공급버튼(23a)을 조작함에 따라 공급되는 온수를 받을 수 있도록 된 온수공급도어(25)와, 상기 판매부(23)와 그릇면투출구(24)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온수공급도어(25)의 하부에 설치된 젓가락투출부(26)와, 이 젓가락투출부(26)의 옆에 설치된 동전반환부(27)와, 이 동전반환부(27)와 판매부(23)의 사이에 도어(20)를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자물쇠(28)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The door 20 has a panel member 21 for forming an outer periphery, a bowl surface display unit 22 provided on the panel member 21, and a bowl surface below the bowl surface display unit 22. Of the sales unit 23 installed to sell the product, a bowl surface discharge port 24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ales unit 23, and the bowl surface is dropped and discharged, and the selling unit 23 and the bowl surface discharge port 24. The hot water supply door 25 and the hot water supply door 25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left side of the selling unit 23 so as to receive the hot water supplied by operating the hot water supply button 23a of the selling unit 23 and the selling unit ( 23 is installed between the bowl surface discharge port 24 and the chopstick discharge unit 26 installed below the hot water supply door 25 and the coin return unit 27 installed next to the chopstick discharge unit 26. And a lock 28 provided between the coin return unit 27 and the sales unit 23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oor 20. It is.

한편, 뜨거울 물을 공급하여 음식을 조리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종래 자동판매기는 뜨거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용기를 개봉한 후 자동판매기 안에 적재하여야 하는 문제점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to provide the user after cooking food by supplying hot water to be loaded in the vending machine after opening the container to supply hot water.

그래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용기의 개봉으로 인한 음식물의 변질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동판매기 내부에서 뜨거운 물을 공급할 때 발생된 수증기가 자동판매기 내부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not only has a high risk of deterioration of food due to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water vapor generated when supplying hot water from the vending machine is diffused into the vending machine.

또한 개봉된 용기를 적재하여 쌓아야 하기 때문에 상측 용기의 밑면에 붙은 오물이 하측 용기의 음식물을 오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봉된 용기 안으로 벌레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ned container must be loaded and stacked, di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may not only contaminate food in the lower container, but also have a problem in that a bee or foreign substances penetrate into the opened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가 밀폐된 상태로 적재되고, 상기 용기 내부로 뜨거운 물을 주입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loaded with a container closed, and configured to cook food by injecting hot water into the container.

본 발명의 일측면은 용기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용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로터리 트레이; 간섭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트레이의 배출구를 개폐시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는 개폐모듈; 상기 용기에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키는 물공급유닛 및 상기 용기를 밀폐 시켜 상기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저장시키는 밀폐유닛을 포함하는 조리모듈; 상기 용기를 감싸는 홀더가 배치되고, 접혀진 홀더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홀더암이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 삽입된 용기를 이동시키는 홀더이송레일을 포함하는 홀더공급모듈; 이동 시 상기 간섭부재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 이동 시 상기 홀더암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홀더암을 작동시키는 회전암간섭부, 이동 시 상기 홀더이송레일에 배치된 치합롤러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치합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치합부가 배치된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ry container is disposed in a circular rotation, a rotary tray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so that the container is discharged; An interference member is forme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for discharging the contain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rotary tray; A cooking modul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ed water to the container to cook food in the container, and a sealed unit to seal the container to stor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A holder supply module including a holder surrounding the container, a holder arm for restoring the folded holder to an original state, and a holder transport rail for moving th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holder; An op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during movement, a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for operating the holder arm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holder arm during movement, and interfering with the engagement roller disposed in the holder transfer rail during movement. Provided is a vending machine including a transfer module having a roller engaging portion for rotating the engaging roll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용기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용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로터리 트레이; 상기 로터리 트레이의 배출구를 개폐시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는 개폐모듈; 상기 용기에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키는 물공급유닛 및 상기 용기를 밀폐시켜 상기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저장시키는 밀폐유닛을 포함하는 조리모듈; 상기 용기를 감싸는 홀더가 배치된 홀더공급모듈; 상기 개폐모듈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개폐모듈을 작동시키고, 상기 로터리 트레이에서 배출된 용기를 상기 물공급유닛 및 상기 밀폐유닛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홀더공급모듈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홀더공급모듈에 배치된 상기 홀더를 원통형으로 복원시키는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is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rotated, and a rotary tray having a discharge por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module for discharging the contain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rotary tray; A cooking modul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ed water to the container to cook food in the container and a sealing unit to seal the container to stor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A holder supply module having a holder surrounding the container; Interact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to move the container discharged from the rotary tray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sealed unit, the mutually interfered with the holder supply module disposed in the holder supply module Provided is a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transfer module for restoring the holder to a cylinder.

여기서 상기 로터리 트레이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트레이 하우징;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용기가 적재되는 복수개의 용기가이드; 상기 복수개의 용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용기가이드에 적재된 용 기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지지판;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바디; 상기 개폐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개폐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모듈의 작동부재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개폐바디를 개방시키는 간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rotary tray is a tray housing radially disposed relative to the center of rotation; A plurality of container guides inserted vertically into the tray housing to load the container; A support plate on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so that only the container loa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guides can be discharged; It includes a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ho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opening and closing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It may be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it may include an interference member to ope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operating member of the transfer module.

특히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 상기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엘엠가이드; 상기 엘엠가이드와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엘엠가이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상기 이송가이드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볼스크류가 배치되는 이송케이스; 상기 간섭부재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ransfer module transfer guide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 L guide fixed to the transfer guide; Ball screw coupled to the LM guide to linearly move the LM guide when rotating; A servo motor connected to the ball screw and rotating; A transfer case in which the transfer guide is mounted to guide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guide and the ball screw is disposed; It may include an op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또한, 상기 조리모듈은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히팅탱크; 상기 히팅탱크의 가열된 물을 상기 용기 내부에 공급시키는 상기 물공급유닛; 상기 물이 공급된 용기를 밀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용기에 발생된 수증기를 취출/저장시키는 상기 밀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유닛은 상기 용기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히팅탱크 및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가열된 물을 공급시키는 물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king module is a water tank; A heating tank configur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heat it; The water supply unit supplying heated water of the heating tank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 sealing unit which seals the container to which the water is supplied and extracts / stores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ntainer,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y penetr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 actuator for moving the insertion member up and down; 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and the insertion member for supplying heated water into the container.

또한 상기 홀더공급모듈은 상기 용기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가 개구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 홀더; 복수개의 상기 홀더가 적재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일부와 상호 걸림되로록 홀더돌기가 형성된 홀더케이스; 상기 홀더케이스에 배치되 어 상기 적재된 상기 홀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홀더탄성부재; 상기 이송모듈와의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홀더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변형시키는 홀더암; 상기 홀더케이스에서 인출된 상기 홀더가 안착되고 상기 이송모듈과의 상호 간섭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안착된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이송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supply module is a hold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A holder case which is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holders and is formed with holder protrusions to be engaged with a part of the holders; A holder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holder case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loaded holder; A holder arm that deforms the shape of the holder into a cylinder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module; The holder drawn out from the holder case may include a holder transport rail which is oper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module to move the seated holder.

여기서 상기 홀더암은 상기 홀더이송레일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고정암; 상기 이송모듈과의 상호 간섭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상기 홀더를 압착시키는 회전암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holder arm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holder transport rail to support the holder; It may include a rotary arm for pressing the holder by being rot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module.

더불어 상기 고정암 및 상기 회전암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 상기 회전암을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홀더공급모듈에서 공급된 홀더가 상기 고정암 및 상기 회전암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arm and the rotary arm is connected via a hinge, an elastic member for repositioning the rotary arm is disposed on the hinge, the holder supplied from the holder supply modul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arm and the rotary arm Can be arranged.

특히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 상기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엘엠가이드; 상기 엘엠가이드와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엘엠가이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상기 이송가이드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볼스크류가 배치되는 이송케이스; 상기 회전암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회전암간섭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ransfer module transfer guide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 L guide fixed to the transfer guide; Ball screw coupled to the LM guide to linearly move the LM guide when rotating; A servo motor connected to the ball screw and rotating; A transfer case in which the transfer guide is mounted to guide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guide and the ball screw is disposed; It may include a rotary arm interference unit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rotary arm.

또한 상기 홀더이송레일은 상기 이송모듈과 상호 간섭에 의해 회전되는 치합롤러; 상기 치합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 상기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엘엠가이드; 상기 엘엠가이드와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엘엠가이드를 직선 이 동시키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상기 이송가이드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볼스크류가 배치되는 이송케이스; 상기 치합롤러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켜 상기 치합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치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transfer rail is engaged roller which is rot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module; A rotation belt rotated by the engagement roller, and the transfer module includes a transfer guide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 L guide fixed to the transfer guide; A ball screw coupled to the LM guide to linearly move the LM guide when rotated; A servo motor connected to the ball screw and rotating; A transfer case in which the transfer guide is mounted to guide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guide and the ball screw is disposed; It may include a roller engaging portion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engaging roller to rotate the engaging roll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음식물이 저장된 용기; 상기 용기에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키는 물공급유닛 및 상기 용기를 밀폐시켜 상기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저장시키는 밀폐유닛을 포함하는 조리모듈; 상기 용기를 감싸는 홀더가 배치되고, 접혀진 홀더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홀더암이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 삽입된 용기를 이동시키는 홀더이송레일을 포함하는 홀더공급모듈; 이동 시 상기 간섭부재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 이동 시 상기 홀더암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홀더암을 작동시키는 회전암간섭부, 이동 시 상기 홀더이송레일에 배치된 치합롤러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치합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치합부가 배치된 이송모듈; 상기 용기가 상기 이송모듈로 이동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메인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for storing food; A cooking modul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ed water to the container to cook food in the container and a sealing unit to seal the container to stor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A holder supply module including a holder surrounding the container, a holder arm for restoring the folded holder to an original state, and a holder transport rail for moving th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holder; An op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during movement, a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for operating the holder arm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holder arm during movement, and interfering with the engagement roller disposed in the holder transfer rail during movement. A transfer module having a roller engagement portion for rotating the engagement roller; It provides a vending machine including a main case in which the inlet is formed so that the container is moved to the transfer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로터리 트레이, 개폐모듈, 이송모듈, 조리모듈 및 홀더공급모듈이 유기적으로 상호 작동되어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rotary tray,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the transfer module, the cooking module and the holder supply module is organically interoperable to cook food in the container as well as provide the container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이송모듈의 전진 또는 후진 시 발생되는 각 모듈과의 상호간섭에 의해 용기를 배출/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홀더의 복원, 용기의 삽입 및 이송을 유기적으로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organically implementing the restoration, the insertion and transfer of the holder as well as the discharge / transfer of the container by mutual interference with each module generated when the transfer module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터리 트레이가 도시된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송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송모듈 및 개폐모듈의 간섭 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송모듈 및 개폐모듈의 간섭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용기가 조리모듈로 이송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용기가 밀폐모듈로 이송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용기가 홀더공급모듈로 이송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홀더공급모듈의 홀더암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홀더공급모듈의 홀더암 작동 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3은 홀더공급모듈의 홀더이송레일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tray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transport module shown in Figure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fer modu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shown in Figure 3,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ference state of the transfer modu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shown in Figure 3,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cooking modul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sealed module,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holder supply modul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holder arm operation of the holder supply module,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holder arm operation of the holder supply module, Figure 13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holder transport rail of the holder supply module Is a perspective view All.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음식물이 저장된 용기(10)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회전되는 로터리 트레이(20, 이하 "트레이"라 한다)와, 상기 트레이(20)를 개폐하여 상기 용기(10)를 낙하시키는 개폐모듈(30)과, 상기 용기(10)를 조리시키는 조리모듈(50)과, 상기 용기(10)를 감싸는 홀더(61)를 공급하는 홀더공급모듈(60)과, 이동시 상기 개폐모듈(30), 상기 홀더공급모듈(60)과의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개폐모듈(3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상 기 개폐모듈(30)을 통해 낙하된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모듈(40)을 포함한다. 1 to 13, the vend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otary tray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y”) in which a container 10 in which food is stored is disposed and rotated in a circular shape. An opening / closing module 30 for dropping the container 10 by opening and closing the tray 20, a cooking module 50 for cooking the container 10, and a holder 61 surrounding the container 10.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holder supply module 60 for supply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and the holder supply module 60 during movement. It includes a transfer module 40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dropped through.

상기 용기(10)는 알루미늄 또는 주석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모듈(50)을 통해 내부의 내용물이 조리된다. The container 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tin, and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10 are cooked through the cooking module 50.

상기 트레이(20)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트레이 하우징(22)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22)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용기(10)가 적재되는 복수개의 용기가이드(24)와, 상기 복수개의 용기가이드(24) 중 어느 하나의 용기가이드(24)에 적재된 용기(10)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25)가 형성된 지지판(26)과, 상기 하우징(22)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27) 및 기어(28)(29)가 배치된다. The tray 20 may include a tray housing 22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 plurality of container guides 24 inserted perpendicular to the tray housing 22 to load the container 10, and Servo for rotating the housing 22 and the support plate 26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25 so that only the container 10 loaded in any one of the container guide 24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guide 24 is discharged The motor 27 and the gears 28 and 29 are disposed.

상기 하우징(22)은 상기 용기가이드(24)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홀(23)이 형성된다. The housing 2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holes 23 so that the container guide 24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용기가이드(2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하 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24a)를 통해 상기 용기(10)가 투입/적재되고, 하측 개구부(24b) 및 상기 배출구(25)가 일치될 때 하측에 배치된 상기 용기(10)가 상기 트레이(20) 밖으로 배출된다. The container guide 2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 lower side, the container 10 is introduced / loaded through the upper opening 24a, the lower opening 24b and the outlet 25 ) Is discharged out of the tray 20 when the container 10 disposed below.

상기 서보모터(27) 및 기어(28)(29)는 상기 지지판(26)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22)을 상대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로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보모터(27)의 작동에 의해 넘버링된 상기 용기가이드(24)가 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25)와 일치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용기(10)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servo motor 27 and the gears 28 and 29 are rotating mechanisms for relatively rotating the housing 2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26,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 the container guide 24 numbered by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27 is rotated to coincide with the discharge port 25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container 10 desired by the user.

상기 개폐모듈(30)은 상기 배출구(25)를 개폐시키는 개폐바디(35)와, 상기 개폐바디(35)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32)과, 상기 개폐바디(35)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모듈(40)의 이동 시 상호 간섭되어 상기 개폐바디(35)를 개방시키는 간섭부재(34)를 포함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is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25, a spring 32 which i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and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It includes an interference member 34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module 40.

상기 스프링(32)은 미도시된 자동판매기(100)의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개폐바디(35)에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개폐바디(35)는 상기 배출구(25)를 폐쇄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One end of the spring 32 is fixed to the case of the vending machine 10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in a state in which the outlet 25 is closed Is placed.

상기 간섭부재(34)는 상기 이송모듈(40)의 이동 시에 서로 접촉되어 간섭됨으로서 상기 개폐바디(35)를 기구적으로 상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바디(35)의 하측에 고정되어 배치된다.The interference member 34 is intended to mechanically counteract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by being in contact with and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the transfer module 40 moves. In this embodiment, the interference member 34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It is fixedly disposed below the 35.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개폐바디(35)는 상기 배출구(25)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대 이동될 때 이동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안내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Although not show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guide guide (not shown) to prevent it from being moved out of the movement path when relatively moved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25.

상기 이송모듈(40)은 상기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된 용기(10)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가이드(42)와, 상기 이송가이드(42)에 고정된 엘엠가이드(LM guide, 44)와, 상기 엘엠가이드(44)와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엘엠가이드(44)를 직선이동시키는 볼스크류(46)와, 상기 볼스크류(46)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서보모터(48)와, 상기 이송가이드(42)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42)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볼스크류(46)가 배치되는 이송케이스(49)를 포함한다. The transfer module 40 includes a transfer guide 42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1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5, an LM guide 44 fixed to the transfer guide 42, and Ball screw 46 for linearly moving the LM guide 44 when combined with the LM guide 44, the servo motor 48 connected to the ball screw 46 to rotate, and the transfer guide ( 42 is mounted to guid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guide 42 and includes a conveying case 49 in which the ball screw 46 is disposed.

상기 엘엠가이드(44), 상기 볼스크류(46) 및 상기 서보모터(48)는 상기 용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기구이고, 상기 엘엠가이드(44), 상기 볼스크류(46) 및 상 기 서보모터(48)의 구조 및 작동방법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내용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LM guide 44, the ball screw 46 and the servo motor 48 is a transfer mechanism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the LM guide 44, the ball screw 46 and the servo motor (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48) are general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상기 서보모터(48)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46)가 회전되면서 상기 엘엠가이드(44)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송가이드(42)가 직선 이동된다. In this case, the ball screw 46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rvomotor 48 so that the LM guide 44 is linearly moved forward or backward, and thus the transfer guide 42 is linearly moved.

특히 상기 이송가이드(42)는 직선 이동 시 상기 간섭부재(34)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45)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45)는 이송가이드(42)의 직선 이동 시 특정 구간에서 상기 간섭부재(34)와 기구적으로 상호 간섭을 발생시켜 상기 간섭부재(34)를 이동시키며, 이를 통해 상기 개폐바디(35)를 상대 이동시킨다. In particular, the transfer guide 42 includes an operating member 45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34 when the linear guide moves, and the operating member 45 has a specific section dur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transfer guide 42. In order to mechanically generate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34 to move the interference member 34, thereby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relativ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섭부재(34) 및 상기 작동부재(45)는 상기 이송가이드(42)의 후진 시 서로 간섭되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배출구(25)를 통해 용기(10)가 상기 이송가이드(42)의 암(41) 전방에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interference member 34 and the operation member 45 are formed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transfer guide 42 is reversed, through which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5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guid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fall in front of the arm 41 of 42.

상기 조리모듈(50)은 물탱크(52)와, 상기 물탱크(42)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히팅탱크(54)와, 상기 히팅탱크(54)의 가열된 물을 상기 용기(10) 내부에 공급시키는 물공급유닛(56)과, 상기 물이 공급된 용기(10)를 밀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용기(10)에 발생된 수증기를 취출/저장시키는 밀폐유닛(58)을 포함한다. The cooking module 50 includes a water tank 52, a heating tank 54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42 and heating the water, and a heated water of the heating tank 54. It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56 to be supplied therein, and a sealed unit 58 to seal the container 10 to which the water is supplied and to take out / store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ntainer 10.

상기 물탱크(52)에는 물이 저장되고, 상기 물탱크(52)의 물은 상기 히팅탱크(54)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히팅탱크(54)는 내부에 PCT히터와 같은 전열기(55)가 배치되어 상기 물을 소정온도로 가열시킴과 아울러 온도센서(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히팅탱크(54)의 물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 기 전열기(55)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히팅탱크(54)의 물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시킨다.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52,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52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heating tank 54. The heating tank 54 is disposed inside the heater 55 such as a PCT heater to heat the wat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s disposed to detect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heating tank 54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heating tank 54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set by a user by controlling the heater 55 accor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상기 물공급유닛(56)은 상기 용기(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용기(10)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56a)와, 상기 삽입부재(56a)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56b)와, 상기 히팅탱크(54) 및 상기 삽입부재(56a)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10) 내부로 가열된 물을 공급시키는 물공급관(56c)을 포함한다. The water supply unit 56 penetrates the upper portion of the vessel 10 and is inserted into the vessel 10 into the insert member 56a, and the actuator 56b for moving the insert member 56a up and down. And a water supply pipe 56c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54 and the insertion member 56a to supply heated water into the container 10.

상기 삽입부재(56a)는 상기 용기(10)의 상측을 관통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insertion member 56a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0.

상기 액추에이터(56b)는 본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가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삽입부재(56a)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56b)는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가압부재(58b)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actuator 56b has a hydraulic cylinder disposed in this embodiment and is oper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to move the insertion member 56a. Here, the actuator 56b also moves the pressing member 58b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in the up / down direction.

상기 물공급관(56c)은 상기 히팅탱크(54)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삽입부재(56a)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10)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재(56a)의 일부가 상기 용기(10)에 삽입될 때 상기 용기(10) 내부로 가열된 물을 공급하며, 상기 물공급관(56c)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water supply pipe 56c is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54 to receive water, and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member 56a to penetrate the container 10 so that a part of the insertion member 56a is the container ( 10 is supplied to the heated water into the container 10 when inserted into the 10, and the configuration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56c is a general configura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밀폐유닛(58)은 상기 삽입부재(56a)에 의해 형성된 삽입홀(미도시)을 차폐시키는 밀폐부재(58a)와, 상기 밀폐부재(58a)에 고정되고 상기 액추에이터(56b)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재(58b), 상기 가압부재(58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밀폐탄성부재(58c)와, 상기 밀폐부재(58a)와 연통되게 배치된 호스(58d)와, 상기 호스(58d)를 통해 공급된 수증기 및 냄새가 저장되는 스팀탱크(58e)를 포함한다. The sealing unit 58 is a sealing member 58a for shielding the insertion hole (not shown) formed by the insertion member 56a, and is fixed to the sealing member 58a and pressed by the actuator 56b. The pressurizing member 58b, the hermetic elastic member 58c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urging member 58b, the hose 58d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aling member 58a, and the hose 58d are supplied. And a steam tank 58e in which stored steam and odors are stored.

상기 밀폐부재(58a)는 상기 용기(10)의 상부를 감쌀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sealing member 58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상기 가압부재(58b)는 상기 밀폐부재(58a)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밀폐부재(58a)에 고정되어 상기 액추에이터(56b)의 작동 시 상기 밀폐부재(58a)와 함께 이동된다. The pressing member 58b is disposed above the sealing member 58a and is fixed to the sealing member 58a to move together with the sealing member 58a when the actuator 56b is operated.

상기 밀폐탄성부재(58c)는 상기 가압부재(58b)가 상기 액추에이터(56b)에 의해 압착될 때, 상기 가압부재(58b)를 지지함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56b)에 의해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가압부재(58b)를 원위치 시키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탄성부재(58c)는 고정된 상기 지지판(26) 또는 케이스 등에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pressurizing member 58b is pressed by the actuator 56b, the closed elastic member 58c supports the pressing member 58b to remove the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actuator 56b. It is arranged to return 58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rmetic elastic member 58c may be fixed to a structure fixed to the support plate 26 or the cas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스(58d) 및 상기 밀폐부재(58a) 사이 또는 상기 호스(58d) 및 상기 스팀탱크(58e) 사이에는 압력밸브(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압력밸브는 상기 스팀탱크(58e)의 수증기가 상기 용기(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is embodiment, a pressure valve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hose (58d) and the sealing member (58a) or between the hose (58d) and the steam tank (58e), the pressure valve is the steam tank ( 58e) prevents water vapor from flowing back to the container 10 side.

상기 홀더공급모듈(60)은 상기 용기(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가 개구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 홀더(61)와, 복수개의 상기 홀더(61)가 적재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61)의 일부와 상호 걸림되로록 홀더돌기(63)가 형성된 홀더케이스(62)와, 상기 홀더케이스(62)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된 상기 홀더(6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홀더탄성부재(64)와, 상기 이송모듈(40)의 이송가이드(42)와의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홀더(61)의 형태를 원형으로 변형시키는 홀더암(66)과, 홀더케이스(62)에서 인출된 상기 홀더(61)가 안착되고 상기 이송가이드(42)와의 상호 간섭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안착된 홀더(61)를 이동시키는 홀더이송레일(68)을 포함한다. The holder supply module 60 is formed to have a holder 6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opening up and down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 and a plurality of holders 61 to be loaded, and the holder 61. A holder case (62) having a holder protrusion (63) formed to be engaged with a part of the holder), and a holder elastic member (64) disposed on the holder case (62)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loaded holder (61). ), A holder arm 66 which deforms the shape of the holder 61 in a circular shape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guide 42 of the transfer module 40, and the holder withdrawn from the holder case 62. 61 includes a holder transport rail 68 which is seated and oper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port guide 42 to move the seated holder 61.

상기 홀더(61)는 상/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개구된 상측 직경이 하측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holder 61 i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ed with a larger opening diameter than the lower side.

상기 홀더케이스(62)는 압착된 상기 홀더(61)가 수직하게 세워져 수납되고, 상기 홀더탄성부재(6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돌기(63)는 상기 복수개의 홀더(61) 중 상기 홀더이송레일(68)로 배출 예정인 홀더(61)의 일측과 상호 걸림되고, 상기 홀더돌기(63)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61)의 상부 일측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켜 상기 홀더(61)의 상측 개구된 부분이 일부 확장된 상태(도 3의 61)로 형성되게 한다. The holder case 62 is accommodated by the holder 61 is pressed vertically standing upright, and is supported by the holder elastic member (64). Here, the holder protrusion 63 is interlocked with one side of the holder 61 to be discharged to the holder transfer rail 68 among the plurality of holders 61, and the holder protrusion 63 is the holder in this embodiment. Interlocking is formed with the upper one side of the 61 so that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holder 61 is formed in a partially expanded state (61 in FIG. 3).

상기 홀더암(66)은 상기 홀더이송레일(68)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61)를 지지하는 고정암(66a)과, 상기 이송가이드(42)와의 상호 간섭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상기 홀더(61)를 압착시키는 회전암(66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암(66b)은 상기 고정암(66a)에 대해 상대 회전되게 배치됨으로서 상기 홀더(61)를 압착하여 원래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암(66a) 및 회전암(66b)은 힌지(66c)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66c)에 탄성부재인 토션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되어 상기 이송가이드(42)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호전암(66b)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The holder arm 66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holder transfer rail 68 to support the holder 61, and is rot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guide 42. And a rotary arm 66b for pressing 61. In this case, the rotary arm 66b is disposed to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arm 66a, thereby compressing the holder 61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In addition, the fixed arm (66a) and the rotary arm (66b) is connected via a hinge (66c), the torsion spring (not shown), which is an elastic member is disposed on the hinge (66c) is the external force by the transfer guide 42 When it is removed, the arm arm 66b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홀더이송레일(68)은 상기 이송가이드(42)와 상호 간섭에 의해 회전되는 치합롤러(67)와, 상기 치합롤러(67)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벨트(6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치합롤러(67)는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가이드(42)와의 치합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회전벨트(69)는 상기 치합롤러(67)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된다. The holder transfer rail 68 includes a engagement roller 67 rot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guide 42, and a rotation belt 69 rotated by the engagement roller 67. Here, the toothing roller 67 has a tooth shap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rotated by the toothing with the transfer guide 42, and the rotating belt 69 is rotated by friction with the toothing roller 67.

한편, 상기 이송가이드(42)는 상기 회전암(66b)과의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회전암간섭부(42a) 및 상기 치합롤러(67)와 치합되어 상기 치합롤러(67)를 회전시키는 롤러치합부(42b)가 더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guide 42 is engaged with the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42a and the engagement roller 67 to generate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rotary arm 66b, the roller teeth for rotating the engagement roller 67. The matching portion 42b is further formed.

상기 회전암(66b)은 상기 힌지(66c)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인 바, 상기 회전암간섭부(42a)는 상기 회전암(66b)의 후방에서 전방 측으로 상기 회전암(66b)을 밀어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암간섭부(42a)는 상기 이송가이드(42)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이송레일(68)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The rotary arm 66b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around the hinge 66c, and the rotary arm interference part 42a pushes the rotary arm 66b from the rear of the rotary arm 66b to the front side and rotates. Is configured t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42a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wer side of the transfer guide 42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older transfer rail 68.

상기 롤러치합부(42b)는 본 실시예에서 랙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치합롤러(67)는 외주면이 피니언의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치합부(42b)는 상기 회전암간섭부(42a)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암(42a)의 회전 및 상기 치합롤러(67)의 회전이 상호 연동되도록 배치된다. The roller engaging portion 42b is formed in the form of a rack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roller 67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nion. Here, the roller engaging portion 42b is formed in the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42a,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arm 42a and the rotation of the engaging roller 67 are dispos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사용자에 의해 음식이 선택되면, 상기 자동판매기의 제어부는 상기 음 식과 일치되는 트레이(20)를 회전시켜 배출구(25)와 일치시키고, 상기 배출구(25)에 위치된 트레이(20)의 용기(10)는 상기 개폐모듈(30)에 의해 낙하가 제한된다. First, when food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of the vending machine rotates the tray 20 corresponding to the food to match the outlet 25, the container of the tray 20 located in the outlet 25 10 is limited to fall by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30.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모듈(40)을 후진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이송모듈(40)의 작동부재(45) 및 상기 개폐모듈(30)의 간섭부재(34)가 상호 간섭되어 상기 개폐바디(35)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배출구(25)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상기 배출구(25)에서 트레이(20) 하측에 배치된 용기(10)가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가 낙하된 후 상기 이송모듈(40)이 다시 전진됨으로서 상기 암(41)이 낙하된 용기(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간섭부재(34)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개폐바디(35)가 닫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reverses the transfer module 40, and thus the operating member 45 of the transfer module 40 and the interference member 34 of the open / close module 30 interfere with each other to open and close the open / close body 35. ), The outlet 25 is opened. In addition, the container 10 disposed below the tray 20 is dropped from the open outlet 25. After the container 10 is dropped, the transfer module 40 is advanced again,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interference member 34 is moved while the arm 41 moves the dropped container 10 forward. It is remov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is closed.

여기서 상기 개폐바디(35)의 상측면(35a)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개폐바디(35)가 닫힐 때 상기 트레이(20)의 용기를 밀어 올림으로서, 상기 트레이(20)의 용기(10)가 연속해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6, 도7)Here, the upper surface 35a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is formed to be inclined, thereby pushing up the container of the tray 2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35 is closed, so that the container 10 of the tray 20 is continuous. To prevent it from falling. 6 and 7

이후 상기 암(41)은 상기 용기(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조리모듈(50)의 물공급유닛(56)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물공급유닛(56a)의 상/하 이동시켜 상기 용기(10) 내부로 가열된 물을 공급한다. Thereafter, the arm 41 moves to the water supply unit 56 side of the cooking module 50 to supply water to the container 10, and moves the container up and down of the water supply unit 56a. (10) The water heated inside is supplied.

그리고 상기 물 공급 후에 상기 이송모듈(40)이 작동되어 상기 용기(10)를 소정거리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고, 상기 용기(10)는 밀폐유닛(58)의 밀폐부재(58a) 하측에 위치된다. 이후 상기 용기(10)의 상측이 폐쇄되도록 상기 밀폐부재(58a)를 하강시켜 상기 용기(10)를 밀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용기(10)의 내용물이 조리될 때까지 소정시간 대기되고, 상기 대기 시간 중에 발생되는 스팀 및 냄새는 스팀탱크(58e)에 저장되어 상기 자동판매기(100) 내부로 수증기 및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After the water supply, the transfer module 40 is operated to move the container 10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ntainer 10 is positioned below the sealing member 58a of the sealing unit 58. Thereafter,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0 is closed to lower the sealing member 58a to seal the container 10 and wait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10 are cooked. Steam and odor generated during the storage is stored in the steam tank 58e to prevent the diffusion of water vapor and odor into the vending machine 100.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이송모듈(40)이 상기 용기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홀더공급모듈(60)로 이동시킨다.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transfer module 40 moves the container to the front to move the holder supply module 60.

한편, 상기 홀더공급모듈(60)로 상기 용기(10)가 이동될 때, 상기 회전암간섭부(42a)가 상기 회전암(66b)을 밀어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회전암(66b)을 힌지(66c)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되는 회전암(66b)에 의해 상기 회전암(66b) 및 상기 고정암(66a) 사이에 배치된 홀더(61)가 압착되어 원통형으로 복원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암간섭부(42a) 및 상기 회전암(66b)이 서로 간섭된 후에 상기 암(41)이 상기 용기(10)를 밀어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송모듈(40)에서 상기 회전암간섭부(42a) 및 상기 암(41)이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10 is moved to the holder supply module 60, the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42a pushes the rotary arm 66b to move the hinge 66c. ), The holder 61 disposed between the rotary arm 66b and the fixed arm 66a is compressed and restored to the cylindrical shape by the rotating arm 66b. Here, the rotary arm interference part 42a and the rotary arm 66b interfer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rm 41 pushes the container 10 to move the rotary arm interference part ( 42a) and the arm 41 are disposed.

즉 상기 용기(10)가 상기 홀더(61)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이송가이드(42)가 전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암간섭부(42a)에 의해 상기 회전암(66b)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That is, when the container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61, the rotary arm 66b is rotated by the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42a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transfer guide 42 forward. .

그래서 상기 홀더(61)가 원통형으로 복원된 후 상기 용기(10)가 소정 거리 낙하되면서 상기 홀더(61) 내부로 삽입되고, 이때 상기 용기(10)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홀더(61)가 상기 홀더돌기(63)에서 이탈되며, 상기 홀더(61)가 상기 홀더케이스(62)에서 이탈되면서 내측에 적재된 다른 홀더가 상기 홀더이송레일(68) 측으로 돌출된다. Thus, after the holder 61 is restored to a cylindrical shape, the container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61 while fall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holder 61 is inserted into the holder during the insertion of the container 10. The holder 63 is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63, and the holder 61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case 62, and the other holder loaded therein protrudes toward the holder transfer rail 68.

또한 상기 이송가이드(42)가 후진될 때, 상기 롤러치합부(42b) 및 상기 치합 롤러(67)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치합롤러(67)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벨트(69)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벨트(69) 위에 배치된 용기(10)가 상기 회전벨트(69)를 따라 이동되어 사용자가 꺼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fer guide 42 is reversed, the roller engagement portion 42b and the engagement roller 67 are rotated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the rotation belt 69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engagement roller 67. While the container 10 disposed on the rotating belt 69 is moved along the rotating belt 69 is placed in a position that the user can take ou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로터리 트레이(20), 개폐모듈(30), 이송모듈(40), 조리모듈(50) 및 홀더공급모듈(60)이 유기적으로 상호 작동되어 용기(10)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nd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otary tray 20, an opening / closing module 30, a transfer module 40, a cooking module 50, and a holder supply module 60 which are organically interoperable with each other. (10)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the container 10 to the user as well as cooking food inside.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200)는 일 실시예와 달리 로터리 트레이(20)가 제거되고, 사용자가 메인케이스(210)에 형성된 투입구(215)를 통해 용기(10)를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4, the vending machin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rotary tray 20 is removed, and the container is opened through the inlet 215 formed in the main case 210. 10) is configured to inject.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투입구(215)를 통해 용기(10)를 투입한 후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상기 이송모듈(40), 조리모듈(50) 및 홀더공급모듈(60)이 일실시예와 같이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되어 상기 용기(10)의 내용물을 조립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리된 용기(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So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switch (not shown) after the container 10 is put through the inlet 215, the transfer module 40, the cooking module 50 and the holder supply module 60 is one embodiment Organically interacted with, such as to assembl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10 as well as to provide the cooked container 10 to the user.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성을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nd is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판매기가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판매기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vending machine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터리 트레이가 도시된 일부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rotary tray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송모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module shown in FIG.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송모듈 및 개폐모듈의 간섭 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fer modu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shown in FIG.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송모듈 및 개폐모듈의 간섭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ference state of the transfer modu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shown in FIG.

도 8은 용기가 조리모듈로 이송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cooking module

도 9는 용기가 밀폐모듈로 이송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sealed module

도 10은 용기가 홀더공급모듈로 이송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holder supply module

도 11은 홀더공급모듈의 홀더암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holder arm operation of the holder supply module

도 12는 홀더공급모듈의 홀더암 작동 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holder arm operation of the holder supply module

도 13은 홀더공급모듈의 홀더이송레일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lder transport rail of the holder supply modu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용기 20 : 로터리 트레이10 container 20 rotary tray

30 : 개폐모듈 40 : 이송모듈30: opening and closing module 40: transfer module

50 : 조리모듈 60 : 홀더공급모듈50: cooking module 60: holder supply module

Claims (14)

용기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용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로터리 트레이; A rotary tray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and rotat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ntainer; 간섭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트레이의 배출구를 개폐시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는 개폐모듈; An interference member is forme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for discharging the contain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f the rotary tray; 상기 용기에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키는 물공급유닛 및 상기 용기를 밀폐시켜 상기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저장시키는 밀폐유닛을 포함하는 조리모듈; A cooking modul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ed water to the container to cook food in the container and a sealing unit to seal the container to stor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상기 용기를 감싸는 홀더가 배치되고, 접혀진 홀더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홀더암이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 삽입된 용기를 이동시키는 홀더이송레일을 포함하는 홀더공급모듈; A holder supply module including a holder surrounding the container, a holder arm for restoring the folded holder to an original state, and a holder transport rail for moving th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holder; 이동 시 상기 간섭부재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 이동 시 상기 홀더암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홀더암을 작동시키는 회전암간섭부, 이동 시 상기 홀더이송레일에 배치된 치합롤러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치합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치합부가 배치된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An op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during movement, a rotary arm interference portion for operating the holder arm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holder arm during movement; A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transfer module having a roller engaging portion for rotating the engaging roller. 용기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용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로터리 트레이;A rotary tray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and rotat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ntainer; 상기 로터리 트레이의 배출구를 개폐시켜 상기 용기를 배출시키는 개폐모듈;Opening and closing module for discharging the contain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rotary tray; 상기 용기에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시키는 물공급유닛 및 상기 용기를 밀폐시켜 상기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저장시키는 밀폐유닛을 포함하는 조리모듈;A cooking module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ed water to the container to cook food in the container and a sealing unit to seal the container to stor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상기 용기를 감싸는 홀더가 배치된 홀더공급모듈;A holder supply module having a holder surrounding the container; 상기 개폐모듈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개폐모듈을 작동시키고, 상기 로터리 트레이에서 배출된 용기를 상기 물공급유닛 및 상기 밀폐유닛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홀더공급모듈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홀더공급모듈에 배치된 상기 홀더를 원통형으로 복원시키는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Interact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to move the container discharged from the rotary tray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sealing unit, the interference with the holder supply module disposed on the holder supply module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transfer module for restoring the holder in a cylindrical shape.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로터리 트레이는 The rotary tray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트레이 하우징;A tray housing disposed radially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용기가 적재되는 복수개의 용기가이드;A plurality of container guides inserted vertically into the tray housing to load the container; 상기 복수개의 용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용기가이드에 적재된 용기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지지판;A support plate on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so that only the container loa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guides can be discharged;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hou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개폐모듈은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is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바디;An opening and closing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상기 개폐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상기 개폐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모듈의 작동부재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개폐바디를 개방시키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And an interference member fixed to the open / close body and interfering with an operating member of the transfer module to open the open / close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이송모듈은 The transfer module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A transfer guide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엘엠가이드;An L guide fixed to the transfer guide; 상기 엘엠가이드와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엘엠가이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볼스크류;Ball screw coupled to the LM guide to linearly move the LM guide when rotating;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서보모터;A servo motor connected to the ball screw and rotating; 상기 이송가이드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볼스크류가 배치되는 이송케이스;A transfer case to which the transfer guide is mounted to guide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guide and to which the ball screw is disposed; 상기 간섭부재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Vending machine comprising an op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조리모듈은 The cooking module 물탱크;Water tank; 상기 물탱크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히팅탱크;A heating tank configur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heat it; 상기 히팅탱크의 가열된 물을 상기 용기 내부에 공급시키는 상기 물공급유닛;The water supply unit supplying heated water of the heating tank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상기 물이 공급된 용기를 밀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용기에 발생된 수증기를 취출/저장시키는 상기 밀폐유닛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And a sealed unit which seals the container to which the water is supplied and extracts / stores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ntainer.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물공급유닛은 The water supply unit 상기 용기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An insertion member penetr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inserted into the container; 상기 삽입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An actuator for moving the insertion member up and down; 상기 히팅탱크 및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가열된 물을 공급시키는 물공급관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and the insertion member to supply heated water into the container.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홀더공급모듈은 The holder supply module 상기 용기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가 개구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 홀더;A hold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복수개의 상기 홀더가 적재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일부와 상호 걸림되로록 홀더돌기가 형성된 홀더케이스;A holder case which is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holders and is formed with holder protrusions to be engaged with a part of the holders; 상기 홀더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된 상기 홀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홀더탄성부재;A holder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holder case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loaded holder; 상기 이송모듈와의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홀더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변형시키는 홀더암;A holder arm that deforms the shape of the holder into a cylinder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module; 상기 홀더케이스에서 인출된 상기 홀더가 안착되고 상기 이송모듈과의 상호 간섭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안착된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이송레일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And a holder conveying rail to which the holder withdrawn from the holder case is seated and oper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module to move the seated holder. 청구항 8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홀더암은 The holder arm 상기 홀더이송레일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고정암;A fixed arm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holder transport rail to support the holder; 상기 이송모듈과의 상호 간섭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상기 홀더를 압착시키는 회전암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And a rotary arm for pressing the holder by being rot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module.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고정암 및 상기 회전암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 상기 회전암을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홀더공급모듈에서 공급된 홀더가 상기 고정암 및 상기 회전암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된 자동판매기. The fixed arm and the rotary arm are connected via a hinge, an elastic member for repositioning the rotary arm is disposed on the hinge, the holder supplied from the holder supply module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arm and the rotary arm Vending machine.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이송모듈은 The transfer module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A transfer guide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엘엠가이드;An L guide fixed to the transfer guide; 상기 엘엠가이드와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엘엠가이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볼스크류;Ball screw coupled to the LM guide to linearly move the LM guide when rotating;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서보모터;A servo motor connected to the ball screw and rotating; 상기 이송가이드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볼스크류가 배치되는 이송케이스; A transfer case to which the transfer guide is mounted to guide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guide and to which the ball screw is disposed; 상기 회전암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회전암간섭부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Vending machine including a rotary arm interference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rotary arm. 청구항 8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홀더이송레일은 The holder transport rail is 상기 이송모듈과 상호 간섭에 의해 회전되는 치합롤러;A engagement roller rotated by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transfer module; 상기 치합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벨트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Vending machine including a rotating belt rotated by the engagement roller. 청구항 1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이송모듈은 The transfer module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A transfer guide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엘엠가이드;An L guide fixed to the transfer guide; 상기 엘엠가이드와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엘엠가이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볼스크류;Ball screw coupled to the LM guide to linearly move the LM guide when rotating;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서보모터;A servo motor connected to the ball screw and rotating; 상기 이송가이드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볼스크류가 배치되는 이송케이스;A transfer case to which the transfer guide is mounted to guide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guide and to which the ball screw is disposed; 상기 치합롤러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켜 상기 치합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치합부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A vending machine including a roller engaging portion for genera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engaging roller to rotate the engaging roller. 삭제delete
KR1020090002557A 2009-01-13 2009-01-13 Vending machine KR101067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557A KR101067857B1 (en) 2009-01-13 2009-01-13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557A KR101067857B1 (en) 2009-01-13 2009-01-13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261A KR20100083261A (en) 2010-07-22
KR101067857B1 true KR101067857B1 (en) 2011-09-27

Family

ID=4264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557A KR101067857B1 (en) 2009-01-13 2009-01-13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85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651B1 (en) * 2013-06-26 2014-04-15 서상한 Instant food cooking supplies for vending machine
KR20160067646A (en) * 2014-12-04 2016-06-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upplying Cup Holder,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Beverage Having the Same
EP3791764A1 (en) * 2019-09-16 2021-03-17 Völkl Patente GmbH & Co. KG Coffee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7240B (en) * 2015-05-28 2017-04-05 汪爱群 A kind of intelligent cooking food machine
CN106157452B (en) * 2016-07-19 2019-02-26 卜鹏飞 Fruit juice self-service sal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844A (en) 1997-11-28 1999-06-18 Kokoro:Kk Heat cooking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60001844A (en) * 2005-10-31 2006-01-06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noodle container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KR200406590Y1 (en) 2005-10-31 2006-01-23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Apparatus for drawing out noodle containers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KR200409200Y1 (en) 2005-11-29 2006-02-22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noodle container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844A (en) 1997-11-28 1999-06-18 Kokoro:Kk Heat cooking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60001844A (en) * 2005-10-31 2006-01-06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noodle container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KR200406590Y1 (en) 2005-10-31 2006-01-23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Apparatus for drawing out noodle containers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KR200409200Y1 (en) 2005-11-29 2006-02-22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noodle container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651B1 (en) * 2013-06-26 2014-04-15 서상한 Instant food cooking supplies for vending machine
KR20160067646A (en) * 2014-12-04 2016-06-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upplying Cup Holder,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Beverage Having the Same
KR101652290B1 (en) 2014-12-04 2016-08-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upplying Cup Holder,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Beverage Having the Same
EP3791764A1 (en) * 2019-09-16 2021-03-17 Völkl Patente GmbH & Co. KG Coffee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261A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857B1 (en) Vending machine
EP3551942B1 (en) An oven comprising a water tank
EP1226779B1 (en) Washing agents dispenser for a household washing machine, namely a dishwasher
EP1310199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extracting a cartridge for preparing a beverage
EP1268912B1 (en) Washing agent dispensing device for a household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dishwasher
US9717393B2 (en) Household appliance with bulk unit-dose dispenser
US20130276635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from a capsule
EP2037183B1 (en) Steam oven device and water tank for use in the same
AU2011206624A1 (en) Ergonomic ingredient holder and service unit coordination
WO1986007648A1 (en) Automatic dispenser of heated food, especially cooked french fries
JP2019503783A (en) Distribution group of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front insertion type filter holder
WO20061262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beverages, in particular coffee, from single portion packages
KR101895049B1 (en) Automatic ramen vending machine using pressure vessel
JP2005530248A (en) Noodle vending machine
JP2019523091A (en)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capsule kit for preparing a beverage
CN105050460A (en) Dispensing device with barrier properties
KR20100071697A (en) Extracting apparatus for capsule
ITTO20060405A1 (en) MACHINE FOR BREAKING A BEVERAGE STARTING FROM POWDERED MATERIALS IN A CONTAINER
JP2011163719A (en) Heating cooker
CN215502557U (en) Steaming and baking cooking inner container structure and steaming and baking cooking machine
KR20120001884A (en) A cooking vessel for cooking appliance
WO2012080597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hot drink for a household machine for infusing a powdered material packaged in metered amounts
FR2824168A1 (en) Automatic distribution of fresh foods which may be heated or cooked, uses cold storage area and microwave oven, with vertical transport unit to carry food from storage, via oven if needed to delivery outlet
KR102357187B1 (en) Capsule typ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apsule storage box
KR20100032784A (en)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