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341B1 -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341B1
KR101065341B1 KR1020080067631A KR20080067631A KR101065341B1 KR 101065341 B1 KR101065341 B1 KR 101065341B1 KR 1020080067631 A KR1020080067631 A KR 1020080067631A KR 20080067631 A KR20080067631 A KR 20080067631A KR 101065341 B1 KR101065341 B1 KR 101065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call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139A (ko
Inventor
이재명
강창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341B1/ko
Priority to US12/494,795 priority patent/US20100009716A1/en
Publication of KR2010000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으로서, 마스터 심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과, 심 전환 필요 시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전환된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통신방식 또는 사업자의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통화료가 절약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듀얼 스탠바이, 통신망, 통신 방식, 사업자, 심

Description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DUAL STANDBAY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가 동일한 통신방식 또는 사업자의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 및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멀티 모드(multi-mode) 휴대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와 같이 한 가지 통신망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통신망의 서비스 지역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멀티모드 휴대 단말기의 경우는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망의 해당 서비스 지역에서 각각의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망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dual mode) 휴대 단말기를 가정하면,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의 경우, CDMA 통신망의 서비스 지역과 GSM 통 신망의 서비스 지역 모두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는 싱글 모드(single mode) 휴대 단말기에 비하여 그 활용도가 높다.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의 경우, 각 통신망 간의 전환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booting)이 완료된 후, 대기 모드(idle mode)로 진입하여, 메뉴 조작 등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조작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전술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휴대 단말기가 제안되었다.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는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와는 달리, CDMA 통신망과 GSM 통신망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는 대기 모드 중에도 주기적으로 CDMA 통신망과 GSM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엠블(preamble) 및/또는 파일럿(pilot) 채널의 신호를 요청 및 수신하여, 채널 상태(RSSI, CINR, SoQ 등)를 측정하므로, 두 개의 통신망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수행 시, 동일하지 않은 통신방식/사업자의 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단말기의 마스터 심(SIM; Subscriber Identify Module)이 제1 통신방식/사업자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심이고, 제2 휴대 단말기의 마스터 심이 제2 통신방식/사업자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심인 경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는 다른 통신방식/사업자 통해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통신방식/사업자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 발신 시, 통신망을 확인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심을 전환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 발신 시, 상대방과 나의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통신망이 상이함을 서버가 확인하고, 이에 따라 심 전환 필요 시, 심을 전환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 발신 시, 기 저장된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매핑된 통신망 정보를 확인하여 서로 상이하면, 심을 전환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으로서, 마스터 심(SIM; Subscriber Identify Module)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과, 심 전환 필요 시,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된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로서,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두 개의 심과, 마스터 심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제1 통신부와,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마스터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 발신 시,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통신방식 또는 사업자의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통화료가 절약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업자를 통해 통화를 수행함으로 인해, 통화료가 절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하거나, 적어도 두 개의 사업자에 따른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하는 휴대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을 비롯한 복수의 통신 방식에서 선택된 두 개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하거나, 대한민국의 경우, SKT, KTF, LGT 등을 비롯한 복수의 사업자에서 선택된 두 개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하는 휴대 단말기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복수 개의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들(100a, 100b; 100)과 제1 통신망, 즉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의 기지국, 제2 통신망, 즉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의 기지국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주체가 되는 휴대 단말기, 즉 송신 휴대 단말기가 제1 휴대 단말기(100a)이고, 상대방 휴대 단말기, 즉 수신 휴대 단말기가 제2 휴대 단말기(100b)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e Service) 등을 이용할 수 있고, MP3 플레이어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의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적어도 두 개의 사업자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심(SIM)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는 두 개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하나의 심 또는 두 개의 통신망에 각각 접속할 수 있는 두 개의 심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두 개의 심, 즉 마스터 심(master SIM, 도 2의 109a)과 슬레이브 심(slave SIM, 도 2의 109b)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인 제2 휴대 단말기(100b)가 두 개의 심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휴대 단말기(100b)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가 아닌, 일반 휴대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마스터 심과 슬레이브 심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또는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각각 설정될 수 있고, 각 심 간의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전환될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통화를 위해 선택된 제2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 자세히는,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마스터 심(109a)으로 설정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를 통해 제2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 그 후에,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 즉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로부터 제2 휴대 단말기(100b)의 통신방식/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음을 알리는 심 전환 요청 신호 수신 시, 심을 전환한다. 제1 휴대 단말 기(100a)는 슬레이브 심(109b)으로 전환한 후,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켜, 제2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
전환된 심으로 호 발신 후, 통신방식/사업자가 동일한 경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100)는 통화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기존의 마스터 심(109a)으로 복원하여 제2 휴대 단말기(100b)와의 통화를 수행한다. 통화 수행 후에,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최초 호 발신 시 구동된 심과 제2 휴대 단말기(100b)와의 통화 수행 시 구동된 심이 상이한 경우, 원래 상태로 심을 복원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100)는 제1 통신부(101a), 제2 통신부(101b), 표시부(103), 키입력부(105), 메모리부(107), 마스터 심(109a), 슬레이브 심(109b) 및 제어부(111)로 구성된다.
제1 통신부(101a)와 제2 통신부(101b)는 무선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RF(Radio Frequency) 부이다. 제1 및 제2 통신부(101a, 101b)는 각각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1, ANT2) 등을 포함한다.
제1 통신부(101a)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RF 부이고, 제2 통신부(101b)는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의 통 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RF 부이다. 제1 통신방식(200a)이 GSM이고, 제2 통신방식(200b)이 CDMA인 경우, 제1 및 제2 통신부(101a, 101b)는 각각 GSM 망과 CDMA 망을 이용하기 위해 각각의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무선 송신과 무선 수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 사업자(200a)가 SKT이고, 제2 사업자(200b)가 KTF인 경우, 제1 및 제2 통신부(101a, 101b)는 각각 SKT 망과 KTF 망을 이용하기 위해 각각의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송신과 무선 수신을 수행한다.
표시부(103)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03)는 본 실시예에 따라 마스터 심으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 후, 심 전환 필요 시,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키면서 이를 알리는 팝업(pop-up)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심(109a)의 구동으로 호 발신 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의 통신방식/사업자가 동일하지 않음으로 인해, 심의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103)는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킴을 알리는 팝업을 표시한다. 표시부(103)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105)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키입력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통화를 위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 선택, 호 발신 신호 입력, 통화 종료 신호 입력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07)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7)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부(101a)로 설정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의 통신망과, 제2 통신부(101b)로 설정된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의 통신망 접속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는 메모리부(107)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07)는 제1 및 제2 통신부(101a, 101b)로 설정된 통신망 접속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및 제2 메모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및 제2 메모리부는 하기되는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은 듀얼 스탠바이 모드 스마트 카드로서, 예를 들어, GSM 모드와 CDMA 모드 또는 SKT와 KTF의 동시 지원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이다.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이 각각 GSM 모드와 CDMA 모드의 지원을 위한 스마트 카드인 경우,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에는 각각 GSM 모드와 CDMA 모드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각각 GSM 통신과 CDMA 통신에 사용되는 가입자 정보와 인증 정보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에 관련된 기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의 데이터는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 전용 파일(Dedicated File; DF), 단위 파일(Elementary File; EF)로 구성되는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MF는 루트 파일(Root File)에 해당한다. DF는 MF의 서브디렉토리에 해당하는 파일로서, 사업자 서비스(Telecom Service), GSM, CDMA 등이 요구하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파일이다. DF는 각 서비스에서 활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EF를 가진다. EF는 각 DF의 응용 파일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모든 파일이다. EF는 가입자 전화번호와 요금 내역 및 자주 이용하는 전화번호 등의 가입자 정보 및 보안 관련의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카드 접속부(미도시)에 각각 삽입되어, 하기되는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에 의해 제어된다. 즉,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은 카드 접속부를 통해 각각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의 제어에 따라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한다. 카드 접속부는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이 삽입되는 슬롯(slot)을 구비하여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의 장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하나의 심을 구비한 경우, 카드 접속부는 하나의 슬롯을 구비한다.
제어부(111)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11)는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 발신 시, 심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로는 심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이다. 여기서, 심 전환 요청 신호는 휴대 단말기(100a)가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를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 발신 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의 통신방식/사업자를 확인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휴대 단말기(100a)로 이를 통지하는 신호이다.
제어부(111)는 심 전환 요청 신호 수신 시,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알림부를 통해 슬레이브 심(109b)이 구동됨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팝업, 알림음, 진동 또는 램프(무음)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슬레이브 심(109b)이 구동됨을 알릴 수 있다.
제어부(111)는 변경된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 발신 시, 심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와 통화를 수행한다. 변경된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켜 호가 발신된 경우, 제어부(111)가 다시 심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11)는 최초에 마스터 심으로 설정된 마스터 심(109a)으로 복원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와 통화를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와 중간 처리부(203)를 구비한다. 마스터 심(109a)이 GSM 모드로 설정되고, 슬레이브 심(109b)이 CDMA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1 제어부(201a)는 GSM 모드를 제어하고, 제2 제어부(201b)는 CDMA 모드를 제어한다.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는 각각 무선 통신용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는 각각 모뎀(MODEM)과 코덱(CODEC)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을 가질 수 있다.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에 의해 제1 및 제2 통신부(101a, 101b)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가 부호화 및 변조되고 수신되는 신호가 복조 및 복호화 된다.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 중 하나는 주 제어부로 설정되어 휴대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전체 유닛들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주 제어부는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 중에서 어느 하나가 고정적으로 설정되거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중간 처리부(203)는 제1 및 제2 제어부(201a, 201b) 간의 상호 교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100a)의 통신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11)가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S301). 휴대 단말기(100a)의 제어부(111)는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를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심 전환 필요 여부를 확인한다(S303). 휴대 단말기(100a)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 서버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의 통신방식/사업자를 확인한다.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 서버는 자신이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휴 대 단말기(100a)로 심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심 전환 요청 신호 미수신 시, 제어부(111)는 하기되는 S311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S303 과정으로 심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어 심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111)는 심을 전환한다(S305). 제어부(111)는 호 발신 시 구동된 마스터 심(109a) 대신, 슬레이브 심(109b)이 구동되도록 심을 전환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슬레이브 심(109b)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를 표시부(103)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1)는 알림음, 진동 또는 램프(무음) 등을 통해 이를 알릴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를 발신한다(S307). 그 후에, 제어부(111)는 다시 심 전환 필요 여부를 확인한다(S309). 전술한 S303과 S305 과정을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와 통신방식/사업자가 다름을 확인하고, 제어부(111)가 심을 전환하여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를 통해 통화를 요청하지만,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는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와도 다른 통신방식/사업자로 설정되어 있을 수가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S307 과정 이후에 S309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111)는 S307 과정으로 심이 전환되면, 전환된 심을 구동시켜, 바로 통화를 수행(S311)할 수도 있다.
전술한 S309 과정을 통해, 심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 심 전환이 필요 없는 경우, 제어부(111)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와 통화를 수행한다(S311). 휴대 단말기(100a)의 전환된 슬레이브 심(109b)이 지원하는 제2 통신방식/ 사업자(200b)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의 설정된 통신방식/사업자와 동일한 경우, 휴대 단말기(100) 간 통화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통화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313), 종료 요청 시, 심 전환이 이루어졌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5). 제어부(111)는 최초로 호 발신 시 설정된 심이 통화 수행 시 다른 심으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11)는 전술한 S301 과정에서 구동된 심과 S311 과정에서 구동된 심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301 과정에서 마스터 심(109a)이 구동되었고, S311 과정에서 슬레이브 심(109b)이 구동된 경우, 제어부(111)는 원래 상태로 심을 복원한다(S319). 제어부(111)는 마스터 심(109a)이 호 발신 시 최초로 동작하도록 심의 상태를 복원한다. 한편, S315 과정에서 심의 전환이 없었던 경우, 제어부(111)는 해당 기능을 종료시킨다.
한편, 전술한 S309 과정에서 심 전환 요청 신호 수신하여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111)는 원래 상태로 심을 복원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S317). 제어부(111)는 제1 및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a, 200b)와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에 설정된 통신방식/사업자가 다른 경우, 최초로 호 발신 시 설정된 마스터 심으로 복원한다. 그 후에, 제어부(111)는 전술한 S311 과정을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와 통신방식/사업자 간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와 통신방식/사업자 간의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방식/사업자(200a, 200b) 간의 통신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1 휴대 단말기(100a)가 통화를 위한 제2 휴대 단말기(100b)를 선택하고,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킨다(S401).
이어서,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마스터 심(109a)으로 설정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의 서버로 제2 휴대 단말기(100b)와의 통화를 요청한다(S403).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의 서버는 제2 휴대 단말기(100b)의 통신방식/사업자를 확인한다(S405).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 서버는 자신이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2 휴대 단말기(100b)가 동일한 통신방식/사업자인 경우,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 서버는 제2 휴대 단말기(100b)로 통화를 요청한다(S427). 그 후에,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100a, 100b) 간의 통화가 수행된다.
한편, 전술한 S407 과정에서 동일한 통신방식/사업자가 아닌 경우,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 서버는 제1 휴대 단말기(100a)로 이를 통보한다(S409).
다음으로,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키고, 팝업, 알림음, 진동 또는 램프(무음)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심이 전환됨을 알린다(S411).
이어서,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의 서버로 제2 휴대 단말기(100b)와의 통화를 요청한다(S413). 그 후에,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의 서버는 제2 휴대 단말기(100b)로 통화를 요청하고(S415),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100a, 100b) 간의 통화가 수행된다.
한편, 전술한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와 같이, S413 과정 이후에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의 서버 역시 제2 휴대 단말기(100b)의 통신방식/사업자를 확인하고, 제2 휴대 단말기(100b)가 동일한 통신방식/사업자인 경우,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 서버는 제2 휴대 단말기(100b)로 통화를 요청하여,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100a, 100b) 간의 통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의 서버가 제2 휴대 단말기(100b)가 동일한 통신방식/사업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 서버는 제1 휴대 단말기(100a)로 이를 통보함으로써,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원래 상태로 심을 복원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S403 과정과 S413 과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 단말기(100a)가 두 번의 호 발신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즉, S413 과정이 백그라운드로 수행되어, 결론적으로는 제1 휴대 단말기(100a)가 한 번의 호 발신을 통해 동일한 통신방식/사업자의 심 구동으로 제2 휴대 단말기(100b)와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와 통신방식/사업자 간의 통신 방식에서, 제1 휴대 단말기와 제2 휴대 단말기의 통신방식/사업자의 동일성 여부 판단을 통신방식/사업자 서버에서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심 전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통신방식/사업자 서버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설정된 심의 통신방식/사업자와 상이함을 판단하여, 심 전환 필요 여부를 판단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에 매핑된 통신방식/사업자를 확인하여, 심 전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통화를 위해 선택된 제2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 이 때,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제2 휴대 단말기(100b)에 매핑되어 저장된 통신망, 즉 통신방식/사업자를 확인하고, 마스터 심(109a)으로 설정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이한 경우, 즉 제2 휴대 단말기(100b)에 매핑된 통신방식/사업자가 제2 통신방식/사업자(200b)인 경우,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심을 전환한다.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슬레이브 심(109b)으로 전환한 후,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켜, 제2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
여기서, 제1 휴대 단말기(100a)의 마스터 심(109a)과 슬레이브 심(109b)이 제2 휴대 단말기(100b)에 매핑되어 저장된 통신방식/사업자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1 휴대 단말기(100a)는 마스터 심을 구동시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05)는 전화번호 저장 모드 선택, 전화번호와 함께 해당 전화번호의 설정된 통신방식/사업자 정보 입력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07)는 전화번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화번호부는 전화번호 저장 모드에서 저장된 전화번호와 해당 통신방식/사업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11)는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 발신 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의 전화번호에 매핑된 통신방식/사업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1)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에 매핑된 통신방식/사업자가 마스터 심(109a)의 통신방식/사업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이한 경우, 심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11)는 전화 번호 저장 모드 선택 시, 전화번호와 함께 해당 전화번호의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통신방식/사업자 정보를 함께 메모리부(107)에 저장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100a)의 통신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11)가 호 발신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01). 사용자는 통화를 위한 호 발신 모드 또는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전화번호 저장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호 발신 모드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S503). 휴대 단말기(100a)의 제어부(111)는 마스터 심(109a)을 구동시켜 제1 통신방식/사업자(200a)를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로 호를 발신한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선택된 전화번호에 통신방식/사업자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5). 제어부(111)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의 전화번호에 매핑되어 통신방식/사업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111)는 전술한 도 3에 대응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메모리부(107)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거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지만, 전화번호만 저장되어 있고, 통신방식/사업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의 전화번호에 통신방식/사업자가 매핑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1)는 심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507). 제어부(111)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의 통신방식/사업자가 마스터 심(109a)의 통신방식/사업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11)는 마스터 심(109a)의 통신방식/사업자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에 매핑되어 저장된 통신방식/사업자와 상이한 경우, 심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심 전환이 필요 없는 경우, 제어부(111)는 하기되는 S513 과정을 수행한다.
심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11)는 심을 전환한다(S509). 제어부(111)는 호 발신 시 구동된 마스터 심(109a) 대신, 슬레이브 심(109b)이 구동 되도록 심을 전환한다. 이 때, 제어부(111)는 슬레이브 심(109b)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를 표시부(103)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1)는 알림음, 진동 또는 램프(무음) 등을 통해 이를 알릴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1)는 슬레이브 심(109b)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고(S511), 상대방 휴대 단말기(100b)와 통화를 수행한다(S513).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통화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515), 종료 요청 시, 심 전환이 이루어졌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17). 제어부(111)는 최초로 호 발신 시 설정된 심이 통화 수행 시 다른 심으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11)는 전술한 S503 과정에서 구동된 심과 S513 과정에서 구동된 심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503 과정에서 마스터 심(109a)이 구동되었고, S513 과정에서 슬레이브 심(109b)이 구동된 경우, 제어부(111)는 원래 상태로 심을 복원한다(S519). 제어부(111)는 마스터 심(109a)이 호 발신 시 최초로 동작하도록 심의 상태를 복원한다. 한편, S517 과정에서 심의 전환이 없었던 경우, 제어부(111)는 해당 기능을 종료시킨다.
한편, 전술한 S501 과정에서 호 발신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11)는 전화 번호 저장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21).
전화번호 저장 모드인 경우, 제어부(111)는 전화번호와 해당 전화번호의 통신방식/사업자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부(107)에 저장한다(S523). 사용자는 전화번호 저장 시, 전화번호와 함께 해당 전화번호에 설정된 통신망, 즉 통신방식/사업자 정보를 함께 매핑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호 발신으로 마스터 심을 구동시킨 뒤, 마스터 심의 통신방식/사업자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통신방식/사업자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화를 위한 상대방 휴대 단말기를 선택하면, 해당 휴대 단말기의 통신방식/사업자와 마스터 심의 통신방식/사업자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심 전환 또는 마스터 심 구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호 발신으로 마스터 심을 구동시키기 이전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심의 전환 또는 마스터 심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와 통신방식/사업자 간의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9)

  1.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심(SIM; Subscriber Identify Module)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호 발신 시 구동되는 상기 마스터 심의 통신망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심의 통신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심 전환 필요로 판단하는 과정과,
    심 전환 필요 시, 상기 마스터 심에서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된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과정은,
    상기 마스터 심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망 서버가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을 확인하는 과정과,
    동일한 통신망인 경우, 상기 제1 통신망 서버가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다른 통신망인 경우, 상기 제1 통신망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심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는,
    상기 마스터 심의 설정된 통신망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매핑된 통신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과정 이후에,
    상기 전환된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과,
    심 전환 필요 시, 상기 마스터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심 전환 불필요 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수행 과정 이후에,
    통화 종료 시, 최초로 호 발신 시 설정된 심이 상기 통화 수행 시 다른 심으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심의 전환이 있었던 경우, 상기 최초로 호 발신 시 설정된 심으로 복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 시,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됨을 알림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하는 과정은,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됨을 팝업, 알림음, 진동 또는 램프(무음)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심의 통신망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심의 통신망은,
    통신방식 또는 사업자에 따른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방법.
  10. 적어도 두 개의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두 개의 심과,
    마스터 심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제1 통신부와,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마스터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 발신 시, 상기 마스터 심의 통신망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심의 통신망이 동일하지 않아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마스터 심에서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11. 삭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는,
    상기 마스터 심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망 서버가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통신망을 확인하고, 동일하지 않은 통신망인 경우, 상기 제1 통신망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심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는,
    상기 마스터 심의 설정된 통신망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매핑된 통신망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의 통신망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 시, 상기 슬레이브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고, 심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마스터 심을 구동시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며, 심 전환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종료 시, 최초로 호 발신 시 설정된 심이 상기 통화 수행 시 다른 심으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심의 전환이 있었던 경우, 상기 최초로 호 발신 시 설정된 심으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 시,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슬레이브 심으로 전환됨을 팝업, 알림음, 진동 또는 램프(무음)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심의 통신망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심의 통신망은,
    통신방식 또는 사업자에 따른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KR1020080067631A 2008-07-11 2008-07-11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1065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31A KR101065341B1 (ko) 2008-07-11 2008-07-11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US12/494,795 US20100009716A1 (en) 2008-07-11 2009-06-30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31A KR101065341B1 (ko) 2008-07-11 2008-07-11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39A KR20100007139A (ko) 2010-01-22
KR101065341B1 true KR101065341B1 (ko) 2011-09-16

Family

ID=4150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631A KR101065341B1 (ko) 2008-07-11 2008-07-11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09716A1 (ko)
KR (1) KR101065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271B1 (ko) * 2009-01-05 2015-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71758B1 (ko) * 2009-01-14 2015-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565082B2 (ja) 2009-07-31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決定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31767B2 (ja) 2009-07-31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29036B2 (ja) 2009-08-06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53812B2 (ja) * 2009-08-12 2013-11-2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104953A (zh) * 2009-12-17 2011-06-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卡手机及其智能卡注册方法
US20110217969A1 (en) * 2010-03-05 2011-09-0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with multiple subscriptions that utilize a single baseband-radio frequency resource chain
KR20110103625A (ko) * 2010-03-15 2011-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용 단말기 및 오디오 패스 연결 방법
CN101801088B (zh) 2010-03-18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码分多址系统中的调度方法及单模芯片
KR101649994B1 (ko) * 2010-04-30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자동 심카드 선택을 위한 장치및 방법
WO2011160231A2 (en) * 2010-06-23 2011-12-29 Polar Wireless Corp.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communications
CN101895845B (zh) * 2010-07-15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码分多址单模双待终端调度短消息的方法及装置
IL207180A (en) * 2010-07-25 2016-03-31 Elta Systems Ltd A system for switching application processors in cellular systems
CN101984688A (zh) * 2010-10-20 2011-03-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网双待终端进行通讯的方法和装置
KR20120079901A (ko) * 2011-01-06 2012-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통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듀얼 심카드 단말기와 네트웍 시스템
EP2518983A3 (en) 2011-04-28 2013-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storing data from subscriber identity module in a portable terminal
TWI442756B (zh) * 2011-05-23 2014-06-21 Hon Hai Prec Ind Co Ltd 手機及其選擇用戶識別卡的方法
WO2013007869A1 (en) * 2011-07-13 2013-01-17 Nokia Corporation Dual or multiple sim standby and active using a single digital baseband
US8478341B2 (en) 2011-11-26 2013-07-02 Bmobile Llc Automatic selection of SIM card for multi-SIM mobile devices
US8718685B2 (en) * 2011-12-12 2014-05-06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multiple SIM page reception
US20130210484A1 (en) * 2012-02-14 2013-08-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une-away in dual-sim dual-standby mobile devices
KR101863314B1 (ko) 2012-02-20 2018-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심 카드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101491898B1 (ko) * 2013-02-22 2015-02-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심 카드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52699B1 (ko) 2013-03-21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US9066330B2 (en) 2013-09-30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Simultaneous voice and data for Dual-SIM-Dual-Standby (DSDS) wireless device
CN106341856A (zh) * 2015-07-10 2017-01-18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切换双卡终端用卡的方法及装置
CN108834089B (zh) * 2018-06-28 2021-11-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Sim卡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287051B (zh) * 2018-10-26 2020-05-12 浙江创意声光电科技有限公司 强电控制器及其强电管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038A (ja) 2000-07-14 2002-03-29 Ntt Docomo Inc 移動体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加入者情報管理装置、携帯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位置情報登録方法および呼制御方法
JP2006121334A (ja) 2004-10-20 2006-05-11 Vodafone Kk 情報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18122T2 (de) * 2000-07-14 2006-08-24 Ntt Docomo, Inc. Standortsregistrationsverfahren mit Unterstützung für mehrere SIM Karten mit unterschiedlichen Funktionen
TW508933B (en) * 2001-04-23 2002-11-01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SIM card of mobile phone and device therefor
EP1718087A1 (en) * 2005-04-28 2006-11-02 Koninklijke KPN N.V.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one of a set of SIM card readers comprised by a communications device for setting up an outgoing call
US20070111714A1 (en) * 2005-11-14 2007-05-1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ome network provider of incoming wireless calls
US20080020765A1 (en) * 2006-07-21 2008-01-24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between multiple sets of stored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KR100832260B1 (ko) * 2007-02-03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426295B (zh) * 2007-10-31 2016-09-14 Nxp股份有限公司 在无线通信系统中实现双待机状态的方法和系统
TWI358227B (en) * 2007-11-16 2012-02-11 Inventec Appliances Corp Dual-mode dual-standby portable communication app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038A (ja) 2000-07-14 2002-03-29 Ntt Docomo Inc 移動体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加入者情報管理装置、携帯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位置情報登録方法および呼制御方法
JP2006121334A (ja) 2004-10-20 2006-05-11 Vodafone Kk 情報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9716A1 (en) 2010-01-14
KR20100007139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341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1007200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1117712B1 (ko)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764213B (zh) 蓝牙通信装置和方法以及短程无线通信装置和方法
EP1449395B1 (en) Radiotelephone system
US8180400B2 (en) Service setting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0466833C (zh) 通信系统和用于操作这种系统的方法
CN101494474B (zh) 自动连接蓝牙车载免提设备的方法和终端设备
EP1077007B1 (en) Improved gsm cellular terminal
US88053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of a dual-standby portable terminal
EP18021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mergency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668344A (zh) 双待移动终端的视频通信设备和方法
EP2043340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8554143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CN108882319A (zh) 移动网络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66984B (zh) 通话记录的同步方法、云平台和终端
US7340239B2 (en) Mechanism to allow use of typed emergency calls
US20100167781A1 (en) Method for display of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JPH09181798A (ja) 電話機
KR101284144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위한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KR20100093701A (ko) 동시대기 단말 및 그의 통화 중 대기음 제공 방법
KR201101085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94315A (ko) 어드레스 북 레코드의 폰­대­폰 전송
CN101795452B (zh) 客户识别模块卡的鉴权方法及终端
CN101282547B (zh) 一种基于Windows Mobile操作系统拨打电话的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