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131B1 -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 Google Patents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131B1
KR101064131B1 KR1020100062295A KR20100062295A KR101064131B1 KR 101064131 B1 KR101064131 B1 KR 101064131B1 KR 1020100062295 A KR1020100062295 A KR 1020100062295A KR 20100062295 A KR20100062295 A KR 20100062295A KR 101064131 B1 KR101064131 B1 KR 10106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unit
magnet
holder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회원
서종식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10006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131B1/en
Priority to US13/805,078 priority patent/US20130141541A1/en
Priority to PCT/KR2011/004317 priority patent/WO2011155809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1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상기 두개의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 조절이 가능한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는, 상호 좌우 이격 배치된 제1이미지센서 및 제2이미지센서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렌즈가 구비된 제1엑츄에이터;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렌즈가 구비된 제2엑츄에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엑츄에이터 및 상기 제2엑츄에이터는, 상기 제1이미지센서 또는 상기 제2이미지센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렌즈유닛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를 오토 포커싱하는 제1구동부;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유닛을 좌우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을 조절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viewing angle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an image sensor by moving two lenses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enses.
The compact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rovided with a first image sensor and a second image sensor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actuator provided with a first lens for capturing a subject in the first image sensor; A second actuator provided with a second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on the second image sensor;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comprises a holder disposed on the first image sensor or the second image sensor and coupled to the base; A subject mounted between one side of the holder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the image being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by moving the lens unit up and down; A first driving unit for auto focusing; And a second driving part mounted between one side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holder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lens unit adjacent to the other side portion to move the lens unit left and right, respectively, by the second driving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is adjusted to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subject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Description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Compact Stereoscopic Image Equipment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본 발명은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체영상 촬영을 위해 두 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을 조절하는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niatur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that adjusts a viewing angle of a subject using two lenses for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전통적으로 음성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되어 오던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그 사용분야가 날로 팽창하고 있고, 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정보의 전송은 매우 일반적인 일이 되고 있으며, 주문형 모바일 방송이나 멀티 메시지 서비스 등이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to transmit voice information, have recently expanded their fields of use due to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As a result, transmission of still image or video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s is very common. On-demand mobile broadcasting and multi-message service are good examples.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최근에는 입체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단말기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However,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t satisfied with this, and recently, they have demanded terminals capable of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3D 입체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제안되고, 그러한 단말기에 3D 입체 영상의 제작을 위한 입체영상 촬영장치가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user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3D stereoscopic images has been proposed, and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roducing 3D stereoscopic images has been proposed.

본 발명은 두개의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상기 두개의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 조절이 가능한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viewing angle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an image sensor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enses by horizontally moving two lens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는, 상호 좌우 이격 배치된 제1이미지센서 및 제2이미지센서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렌즈가 구비된 제1엑츄에이터;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렌즈가 구비된 제2엑츄에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엑츄에이터 및 상기 제2엑츄에이터는, 상기 제1이미지센서 또는 상기 제2이미지센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렌즈유닛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를 오토 포커싱하는 제1구동부;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유닛을 좌우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을 조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ll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rovided with a first image sensor and a second image sens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actuator provided with a first lens for capturing a subject in the first image sensor; A second actuator provided with a second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on the second image sensor;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comprises a holder disposed on the first image sensor or the second image sensor and coupled to the base; A subject mounted between one side of the holder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the image being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by moving the lens unit up and down; A first driving unit for auto focusing; And a second driving part mounted between one side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holder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lens unit adjacent to the other side portion to move the lens unit left and right, respectively, by the second driving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is adjusted to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subject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되는 제1코일부재; 상기 제1코일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 중 나머지 한 곳에 장착되는 제1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되는 제2코일부재; 상기 제2코일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중 나머지 한 곳에 장착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코일부재에 전원인가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제1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제1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은 상하 이동하고,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기 제2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제2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은 좌우 이동한다.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oil member mounted to one of one side of the holder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The first coil member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il member, and includes a first magnet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one side of the holder. A second coil member mounted to one of the other neighboring part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and the other neighboring part; The second coil member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includes a second magnet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and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other of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The lens unit moves up and down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power is applied to one coil member and the first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member. And the lens unit move left and right by the interaction of the second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second magnet.

상기 제1코일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에 상기 제1코일부재와 마주보게 장착되며, 상기 제2코일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에 상기 제2코일부재와 마주보게 장착되되,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 방향으로 제1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렌즈유닛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2마그네트 방향으로 제2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코일부재는 상기 제1돌기를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2코일부재는 상기 제2돌기를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의 극성은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의 극성은 좌우 방향으로 분리된다.The first coil member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lens unit, and the first magne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lder to face the first coil member, and the second coil member is on one side of the lens unit. And the second magnet is mounted to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second coil member to b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holder and to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holder, and to the one side of the lens unit in the first magnet direction. One protrusion protrudes,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magnet, the first coil member is woun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coil member It is wound around the second protrusion, the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is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is separ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렌즈유닛의 타측부와 상기 홀더의 타측부를 연결하여 상기 렌즈유닛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wire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ns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y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커버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그네트 및 상기 제2마그네트를 감싸게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 및 상기 제2마그네트의 N극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이 각각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상기 제2코일부재를 거쳐 상기 제1마그네트 및 상기 제2마그네트의 S극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The cover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respectively, the first coil member and the second coil member. It is induced to move to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hroug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mall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상기 제1엑츄에이터와 상기 제2엑츄에이터는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감 있는 영상을 만들 수 있다.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re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By adjusting the viewing angle of the subject, a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made by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sensor.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유닛을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구동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렌즈유닛을 좌우 이동시켜 상기 렌즈유닛의 좌우 이동시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여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is mounted between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lens unit to move the lens unit left and right, thereby independently moving the lens unit to the first driving portion. By moving left and righ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lens unit when moving left and right,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overall structure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상기 제1코일부재와 상기 제2코일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홀더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렌즈유닛의 이동시 상기 렌즈유닛에 부가되는 무게를 줄여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상기 제2코일부재의 전력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The first coil member and the second coil member are mounted to the lens unit, and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re mounted to the holder,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dded to the lens unit when the lens unit is move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coil member and the second coil member.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렌즈유닛의 타측부와 상기 홀더의 타측부를 연결하여 상기 렌즈유닛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렌즈유닛을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의 수를 줄여 상기 렌즈유닛의 이동시 상기 렌즈유닛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고,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e wire spr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lens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wire springs to support the lens unit when the lens unit is moved. The load on the lens unit is reduced and the overall structure is simpl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작동 과정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act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ll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of a small three-dimensional imag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작동 과정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ll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ll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mall three-dimensional imag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는 베이스(110), 제1이미지센서(111), 제2이미지센서(112), 제1렌즈(미도시), 제2렌즈(미도시), 제1엑츄에이터(200) 및 제2엑츄에이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small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110, a first image sensor 111, a second image sensor 112, and a first lens (not shown). ), A second lens (not shown), a first actuator 200 and a second actuator 300.

상기 베이스(110)는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112)가 장착된다.The base 110 is formed of a circuit board, and the first image sensor 111 and the second image sensor 112 ar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베이스(11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CPU가 장착되어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112)에 촬상된 이미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 및 상기 제2엑츄에이터(300)를 작동시킨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ase 110 has a main CPU mounted therein, accor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111 and the second image sensor 112. Operate the second actuator 300.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11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좌우 이격 배치된다.The first image sensor 111 and the second image sensor 112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112)는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촬상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시킨다.The first image sensor 111 and the second image sensor 112 convert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이러한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112)의 상부에는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 및 상기 제2엑츄에이터(300)가 각각 배치된다.The first actuator 200 and the second actuator 300 are disposed on the first image sensor 111 and the second image sensor 112, respectively.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는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10)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제1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제1렌즈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first actuator 200 is disposed on the first image sensor 111 and mounted on the base 110, and includes the first lens therein, and the first len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Move it.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는 홀더(210), 커버(220), 렌즈유닛(230), 제1구동부(240), 제2구동부(250) 및 와이어스프링(260)으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actuator 200 includes a holder 210, a cover 220, a lens unit 230, a first driver 240, a second driver 250, and a wire spring 260.

상기 홀더(2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 형성되고, 측부에는 각각 장착공(211)이 형성된다.The holder 210 has a hexahedron shap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210 are open, and mounting holes 211 are formed on the side portions thereof.

상기 장착공(211)은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홀더(210)의 측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240)의 제1마그네트(242)와 상기 제2구동부(250)의 제2마그네트(252)가 각각 삽입 장착된다.The mounting hole 2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of the holder 210, the inside of the first magnet 242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50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as will be described later Each of the second magnets 252 is inserted and mounted.

또한 상기 홀더(210)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유닛(230)이 상하 및 좌우 이동되게 장착된다.In addition, the lens unit 230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holder 210 to mov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상기 커버(22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개방 형성되고, 상기 홀더(210)의 상부와 측부를 감싸게 장착되어 상기 홀더(210)의 내부를 보호한다.The cover 22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s formed up and down open, and is mounted to surround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holder 210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holder 210.

또한 상기 커버(220)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제1마그네트(242) 및 상기 제2마그네트(252)를 감싸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over 22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magnet 242 and the second magnet 252.

그리고 상기 커버(220)는 상기 제1마그네트(242) 및 상기 제2마그네트(252)의 N극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이 각각 상기 제1코일부재(241) 및 상기 제2코일부재(251)를 거쳐 상기 제1마그네트(242) 및 상기 제2마그네트(252)의 S극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The cover 220 has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at the N poles of the first magnet 242 and the second magnet 252 via the first coil member 241 and the second coil member 251, respectively. It is induced to move to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242 and the second magnet 252.

이러한 커버(220)는 상기 제1마그네트(242) 및 상기 제2마그네트(252)에 서발생하는 자기력선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기회로의 효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The cover 220 prevents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from the first magnet 242 and the second magnet 252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magnetic circuit.

또한 상기 커버(220)는 상기 홀더(210)를 보호하는 기능과 요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220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overall structure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holder 210 and the function of the yoke at the same time.

상기 렌즈유닛(23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원형의 개구홀(231)이 형성된다.The lens unit 23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 circular opening hole 231 is formed in the center.

상기 개구홀(231)은 상기 렌즈유닛(23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렌즈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홀(231)의 중심과 상기 제1렌즈의 광축은 동심을 이룬다.The opening hole 231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s unit 230, and the first lens is provided therein, and the center of the opening hole 231 and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are concentric. .

또한 상기 렌즈유닛(230)의 일측부에는 상기 홀더(210) 방향,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240)의 제1마그네트(242) 방향으로 각각 제1돌기(232)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protrusion 232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lens unit 230 in the direction of the holder 210, that is, in a direction of the first magnet 242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as described below. .

상기 렌즈유닛(230)의 일측부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양측, 즉 상기 렌즈유닛(230)의 좌측과 우측이다.As shown in FIGS. 3 and 6, one side of the lens unit 230 is both sides of the X-axis direction, that is,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ns unit 230.

그리고 상기 제1돌기(232)는 사각형 형상이며, Z축 방향 너비보다 Y축 방향 너비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유닛(23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좌우 대칭되게 돌출된다.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232 has a rectangular shape, the width of the Y-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Z-axis direction, and protrudes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ns unit 230, respectively.

또한 상기 렌즈유닛(230)의 일측부와 이웃되는 타측부에는 상기 홀더(210) 방향,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그네트(252) 방향으로 각각 제2돌기(233)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233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one side portion of the lens unit 230 in the holder 210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magnet 252 direction as described later.

상기 렌즈유닛(230)의 타측부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의 양측, 즉 전방과 후방이다.As shown in FIGS. 3 and 6,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230 is both sides of the Y-axis direction, that is, the front and the rear.

그리고 상기 제2돌기(233)는 사각형 형상이며, Z축 방향 너비가 X축 방향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second protrusion 233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Z-axis width is larger than the X-axis width.

이러한 상기 제2돌기(233)는 상기 렌즈유닛(230)의 전방과 후방에 상기 개구홀(231)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다.The second protrusion 233 is protruded in the front and rear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opening hole 231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ens unit 230.

또한 상기 렌즈유닛(230)의 전방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이 장착되는 연결부(234)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lens unit 23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234 to which the wire spring 260 is mount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연결부(234)는 사각형 형상이며,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The connection part 234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제1구동부(240)는 상기 홀더(210)의 일측부와 상기 렌즈유닛(230)의 일측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유닛(230)을 상하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riving unit 240 is mounted between one side of the holder 210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230 to move the lens unit 230 up and down.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구동부(240)는 제1코일부재(241)와 제1마그네트(242)로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first driving part 240 includes a first coil member 241 and a first magnet 242.

상기 제1코일부재(241)는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전선으로, 상기 제1돌기(232)를 중심으로 권취되어 상기 렌즈유닛(230)의 일측부에 장착된다.The first coil member 241 is a wire through which current flows, and is woun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232 and mounted on one side of the lens unit 230.

즉 상기 제1코일부재(241)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유닛(23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된다. That is, the first coil member 241 consists of two and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ns unit 23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코일부재(2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방향 너비보다 Y축 방향 너비가 더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il member 241 has a larger Y-axis width than the Z-axis width.

상기 제1마그네트(242)는 상기 제1코일부재(241)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홀더(210)의 일측부에 장착된다.The first magnet 242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il member 241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lder 210.

상기 홀더(210)의 일측부는 상기 홀더(210)의 좌측 및 우측이며, 상기 제1마그네트(242)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홀더(21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상기 장착공(211)에 각각 삽입 고정된다. One side of the holder 210 is the left and right of the holder 210, the first magnet 242 is composed of two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11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holder 210, respectively It is fixed.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242)의 극성은 상하 방향으로 분리된다.In addition, the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242 is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그네트(242)는 Z축 방향으로 극성이 분리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단이 N극 상단이 S극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first magnet 242 has a polarity separated in the Z-axis direction.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마그네트(242)는 하단이 S극 상단이 N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first magnet 242 may have a lower pole and an upper pole of the north pole.

이러한 상기 제1마그네트(242)에는 제1자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제1자기장과 상기 제1코일부재(241)에 전원인가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30)을 상하 이동한다.A first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first magnet 242, and the lens unit 230 is formed by an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ic field and a first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member 241. To move up and down.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코일부재(241)가 상기 홀더(2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242)가 상기 렌즈유닛(230)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코일부재(241) 보다 무거운 상기 제1마그네트(242)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30)에 걸리는 무게 부하가 커져 상기 제1코일부재(241)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이 증가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first coil member 241 may be mounted on the holder 210, and the first magnet 242 may be mounted on the lens unit 230. In this case, the first coil member 241 may be mounted on the lens unit 230. The weight of the load applied to the lens unit 230 is increased by the first magnet 242 that is heavier than 241,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first coil member 24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코일부재(241)를 상기 렌즈유닛(230)에 장착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242)를 상기 홀더(210)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렌즈유닛(230)의 이동시 상기 렌즈유닛(230)에 부가되는 무게를 줄여 상기 제1코일부재(241)의 전력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il member 241 is mounted on the lens unit 230, and the first magnet 242 is mounted on the holder 210, thereby providing the lens unit 230. By reducing the weight added to the lens unit 230 dur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coil member 241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상기 제2구동부(250)는 상기 홀더(210)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230)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유닛(230)을 좌우 이동시킨다.The second driving unit 250 is mounted between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one side of the holder 210 and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lens unit 230 to move the lens unit 230 left and right. .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구동부(250)는 제2코일부재(251)와 제2마그네트(252)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riving part 250 includes a second coil member 251 and a second magnet 252.

상기 제2코일부재(251)는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전선으로, 상기 제2돌기(233)를 중심으로 권취되어 상기 렌즈유닛(230)의 타측부에 장착된다.The second coil member 251 is a wire through which current flows, and is wound around the second protrusion 233 to b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230.

즉 상기 제2코일부재(251)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유닛(2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장착된다.That is, the second coil member 251 is composed of two and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lens unit 23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2코일부재(2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Z방향 너비가 X축 방향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oil member 251 has a Z-direction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X-axis direction.

상기 제2마그네트(252)는 상기 제2코일부재(251)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홀더(210)의 타측부에 장착된다. The second magnet 252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coil member 251 and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210.

상기 홀더(210)의 타측부는 상기 홀더(210)의 타측부와 이웃한 면으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10)의 Y축 방향의 양측부, 즉 상기 홀더(210)의 전방과 후방이다.The other side of the holder 210 is a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210, as shown in FIGS. 3 and 6, both sides of the holder 210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the holder 210. ) Is the front and rear.

상기 제2마그네트(252)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홀더(21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상기 장착공(211)에 삽입 고정된다. The second magnet 252 is composed of two and fixed to the mounting hole 211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holder 210.

또한 상기 제2마그네트(252)는 극성이 좌우 방향으로 분리된다.In addition, the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252 is separ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즉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그네트(252)는 X축 방향으로 극성이 분리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이 S극 우측이 N극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second magnet 252 has a polarity separat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has the S pole and the right side has the N pole.

물론 상기 제2마그네트(252)는 우측이 S극 좌측이 N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Of course, the second magnet 252 may have an N pole on the left side of the S pole.

이러한 상기 제2마그네트(252)에는 제2자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제2자기장과 상기 제2코일부재(251)에 전원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30)을 좌우 이동한다.A second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second magnet 252, and the lens unit 230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magnetic field and a second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member 251. Move left and right.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코일부재(251)가 상기 홀더(210)에 장착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252)가 상기 렌즈유닛(230)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제2코일부재(251) 보다 무거운 상기 제2마그네트(252)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30)에 걸리는 무게 부하가 커져 상기 제2코일부재(251)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이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second coil member 251 may be mounted to the holder 210, and the second magnet 252 may be mounted to the lens unit 230. In this case, the second coil member ( The weight of the load applied to the lens unit 230 is increased by the second magnet 252 that is heavier than 251,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second coil member 25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코일부재(251)를 상기 렌즈유닛(230)에 장착하고 상기 제2마그네트(252)를 상기 홀더(210)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렌즈유닛(230)의 이동시 상기 렌즈유닛(230)에 부가되는 무게를 줄여 상기 제2코일부재(251)의 전력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second coil member 251 to the lens unit 230 and the second magnet 252 to the holder 210, by the By reducing the weight added to the lens unit 230 during the movemen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coil member 251.

이와 같이 상기 제2구동부(250)는 상기 홀더(210)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230)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유닛(230)을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구동부(240)와 독립적으로 상기 렌즈유닛(230)을 좌우 이동시켜 상기 렌즈유닛(230)의 좌우 이동시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여 촬영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riving unit 250 is mounted between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one side of the holder 210 and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lens unit 230 to right and left the lens unit 230. By moving, the lens unit 230 is moved left and right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to reduce the weight of the lens unit 230 when moving left and right, an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t works.

또한 이러한 상기 제2구동부(250)는 상기 제1렌즈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제2엑츄에이터(300)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상기 제2렌즈와 함께 상기 제1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이미지의 주시각을 조절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part 250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ogether with the second lens that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second actuator 300 by moving the first lens left and right. Adjust the visual angle of the image.

한편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은 탄성력을 갖는 얇은 와이어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유닛(230)의 타측부와 상기 홀더(210)의 타측부를 연결하여 상기 렌즈유닛(230)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Meanwhile, the wire spring 260 is made of a thin wire wire having elastic force, and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230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210 to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nect the lens unit 230. Elastic support.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의 일단은 상기 연결부(234)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234)의 반대방향에 있는 상기 홀더(210)의 타측부, 즉 상기 홀더(210)의 후방에 장착된다.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wire spring 260 is moun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34, and the other end is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21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34, that is, the rear of the holder 210. Is mounted on.

이러한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은 상기 렌즈유닛(230)의 상하 및 좌우 이동시 상기 홀더(210)에 고정된 타단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렌즈유닛(230)을 지지한다.The wire spring 260 is ben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ased on the other end fixed to the holder 210 when the lens unit 230 moves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o support the lens unit 230.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은 상기 렌즈유닛(230)의 타측부와 상기 홀더(210)의 타측부를 연결하여 상기 렌즈유닛(230)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하 및 좌우 방향을 각각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으로 모두 지지하여 상기 렌즈유닛(230)을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260)의 수를 줄이고, 이로 인해 상기 렌즈유닛(230)의 이동시 상기 렌즈유닛(23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며, 촬영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 spring 260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230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2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lens unit 230 in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Reducing the number of wire springs 260 supporting the lens unit 230 by supporting all of the wire spring 260 without using a separate spring, thereby moving the lens when the lens unit 230 The load on the unit 230 is reduced,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simplified.

한편 상기 제2엑츄에이터(300)는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10)에 장착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의 우측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second actuator 300 is disposed on the first image sensor 111 and mounted on the base 110, and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ctuator 200 as shown in FIG. 1. .

이러한 상기 제2엑츄에이터(300)는 내부에 상기 제2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제2렌즈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와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cond actuator 300 includes the second lens therein and is the same as the first actuator 200 except for moving the second len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mall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엑츄에이터(2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First,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actuator 200 will be described.

도 4(a), 도 5(a) 및 도 6(a)는 상기 렌즈유닛(230)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4 (a), 5 (a) and 6 (a) show the initial state of the lens unit 230.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제1코일부재(241)와 상기 제2코일부재(25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4(a)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부재(241)의 중심부는 상기 제1마그네트(242)의 중심부와 근접하게 배치된다.In the initial state, no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member 241 and the second coil member 251, and as shown in 4 (a), the center of the first coil member 241 is the first coil member 241. It is disposed close to the center of the magnet 242.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은 상기 렌즈유닛(23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5 (a) the wire spring 26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ens unit 230.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그네트(252)와 상기 제2코일부재(251)는 상기 렌즈유닛(23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second magnet 252 and the second coil member 251 are disposed symmetrically about the lens unit 230.

먼저 제1구동부(240)에 의한 상기 렌즈유닛(230)의 상하 방향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First, a vertical direction operation process of the lens unit 230 by the first driving unit 240 will be described.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부재(24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코일부재(241)에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제1마그네트(242)에서 발생하는 제1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30)은 상승한다.As shown in FIG. 4B,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member 241, a first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coil member 241 and a first magnet generated by the first magnet 242 are provided. The lens unit 230 is rai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magnetic field.

상기 렌즈유닛(230)이 상승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은 상기 연결부(234)에 고정된 일단이 상기 렌즈유닛(230)과 함께 상승하여 휘어져 이완된다.When the lens unit 230 is raised, as shown in FIG. 5 (b), one end of the wire spring 260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34 rises with the lens unit 230 and is bent and relaxed.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30)을 초기 위치, 즉 하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제1코일부재(241)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렌즈유닛(230)을 초기위치, 즉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In this case, the wire spring 260 elastically supports the lens unit 230 in an initial position, that is, a downward direct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coil member 241 is stopped, the lens unit 230. Move to initial position, ie downward direction.

물론 상기 제1코일부재(241)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상기 렌즈유닛(230)은 하강한다.Of course, if the direction of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coil member 241 is reversed, the lens unit 230 is lowered.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1구동부(240)는 상기 렌즈유닛(230)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에 촬상되는 피사체를 오토 포커싱한다.Through this process, the first driving unit 240 moves the lens unit 230 up and down to autofocus an object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111.

즉 상기 제1구동부는(240)는 상기 렌즈유닛(230)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춘다. That is, the first driver 240 automatically moves the lens unit 230 to focus the subject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111.

다음은 제2구동부(250)에 의한 상기 렌즈유닛(230)의 좌우 방향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peration of the lens unit 230 by the second driving unit 250 will be described.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코일부재(25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2코일부재(251)에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기 제1마그네트(242)에서 발생하는 제2자기장의 상호 작요아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30)은 좌측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6 (b),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member 251, a second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second coil member 251 and a second generated by the first magnet 242. The lens unit 230 is moved to the left by mutually compromising the magnetic field.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은 상기 연결부(234)에 고정된 일단이 상기 렌즈유닛(230)과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여 휘어진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wire spring 260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34 is bent to the left along with the lens unit 230.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26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30)을 초기위치, 즉 우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상기 제2코일부재(251)에 전원 공급을 중단되면 상기 렌즈유닛(230)을 초기위치, 즉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In this case, the wire spring 260 elastically supports the lens unit 230 in an initial position, that is, in a right direct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stops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coil member 251. To the initial position, ie to the right.

물론 상기 제2코일부재(251)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상기 렌즈유닛(230)은 우측으로 이동한다.Of course, if the direction of the power applied to the second coil member 251 is reversed, the lens unit 230 moves to the right.

한편 상기 제2엑츄에이터(300)의 동작 과정은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의 동작 과정과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econd actuator 300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actuator 200,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와 상기 제2엑츄에이터(300)는 위 과정을 통해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112)에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을 조절한다. The first actuator 200 and the second actuator 300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the first and second lenses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The angle of view of the subject captured by the image sensor 111 and the second image sensor 112 is adjusted.

이와 같이 상기 제1엑츄에이터(200)와 상기 제2엑츄에이터(300)는 상기 제1이미지센서(111)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112)에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감 있는 영상을 만들 수 있다.As such, the first actuator 200 and the second actuator 300 adjust the viewing angles of the subjects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111 and the second image sensor 112, there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Using the image captured in the image can create a three-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인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miniatur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베이스, 111 : 제1이미지센서, 112 : 제2이미지센서, 200 : 제1엑츄에이터, 210 : 홀더, 211 : 장착공, 220 : 커버, 230 : 렌즈유닛, 231 : 개구홀, 232 : 제1돌기, 233 : 제2돌기, 234 : 연결부, 240 : 제1구동부, 241 : 제1코일부재, 242 : 제1마그네트, 250 : 제2구동부, 251 : 제2코일부재, 252 : 제2마그네트, 260 : 와이어스프링,110: base, 111: first image sensor, 112: second image sensor, 200: first actuator, 210: holder, 211: mounting hole, 220: cover, 230: lens unit, 231: opening hole, 232: first 1 protrusion, 233: 2nd protrusion, 234: connecting portion, 240: 1st driving portion, 241: 1st coil member, 242: 1st magnet, 250: 2nd driving portion, 251: 2nd coil member, 252: 2nd magnet , 260: wire spring,

Claims (5)

상호 좌우 이격 배치된 제1이미지센서 및 제2이미지센서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렌즈가 구비된 제1엑츄에이터;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렌즈가 구비된 제2엑츄에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엑츄에이터 및 상기 제2엑츄에이터는,
상기 제1이미지센서 또는 상기 제2이미지센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를 덮는 커버;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하 및 좌우로 이동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제1렌즈 또는 제2렌즈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된 렌즈유닛;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렌즈유닛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를 오토 포커싱하는 제1구동부;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유닛을 좌우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상기 제1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주시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A base provided with a first image sensor and a second image sens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actuator provided with a first lens for capturing a subject in the first image sensor;
A second actuator provided with a second le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on the second image senso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 holder disposed on the first image sensor or the second image sensor and coupled to the base;
A cover covering the holder;
A lens unit mounted in the holder to be mov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having any one of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therein;
A subject mounted between one side of the holder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the image being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by moving the lens unit up and down; A first driving unit for auto focusing;
And a second driving part mounted between one side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lens unit moving the lens unit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 main part of the subject captured by the first image sensor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hrough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by the second driver. Small stereoscopic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vi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되는 제1코일부재;
상기 제1코일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 중 나머지 한 곳에 장착되는 제1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되는 제2코일부재;
상기 제2코일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와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 중 나머지 한 곳에 장착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코일부재에 전원인가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제1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제1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기 제2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제2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은 좌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riving unit,
A first coil member mounted to one of one side of the holder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It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il member, and comprises a first magnet which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one side of the holder and one side of the lens unit,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coil member mounted to one of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other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one side portion of the lens unit;
It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coil member, and comprises a second magnet which is mounted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and one side of the holder and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The lens uni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member and the first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magnet.
And the lens unit moves left and right by an interaction between a second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member and a second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second magn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에 상기 제1코일부재와 마주보게 장착되며,
상기 제2코일부재는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홀더의 일측부와 이웃한 타측부에 상기 제2코일부재와 마주보게 장착되되,
상기 렌즈유닛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 방향으로 제1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렌즈유닛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2마그네트 방향으로 제2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코일부재는 상기 제1돌기를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2코일부재는 상기 제2돌기를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의 극성은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의 극성은 좌우 방향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il member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lens unit,
The first magnet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holder to face the first coil member,
The second coil member is mounted to the other sid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lens unit,
The second magnet is mounted to face the second coil member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holder,
One side of the lens unit is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agnet,
On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a second protrusion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magnet,
The first coil member is woun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The second coil member is wound around the second protrusion,
The polarity of the first magnet is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mall polarity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is separ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닛의 타측부와 상기 홀더의 타측부를 연결하여 상기 렌즈유닛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wire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ns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y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Small stereoscopic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그네트 및 상기 제2마그네트를 감싸게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 및 상기 제2마그네트의 N극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이 각각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상기 제2코일부재를 거쳐 상기 제1마그네트 및 상기 제2마그네트의 S극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over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respectively, the first coil member and the second coil member. Small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duced to move to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hrough.
KR1020100062295A 2010-06-11 2010-06-29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KR1010641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95A KR101064131B1 (en) 2010-06-29 2010-06-29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US13/805,078 US20130141541A1 (en) 2010-06-11 2011-06-13 Compact camera actuator and compact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device
PCT/KR2011/004317 WO2011155809A2 (en) 2010-06-11 2011-06-13 Compact camera actuator and compact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95A KR101064131B1 (en) 2010-06-29 2010-06-29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131B1 true KR101064131B1 (en) 2011-09-15

Family

ID=4495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295A KR101064131B1 (en) 2010-06-11 2010-06-29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13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75B1 (en) 2012-10-15 2013-12-06 주식회사 하이소닉 Actuator for compact camera
CN110651224A (en) * 2017-05-19 2020-01-03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WO2020197149A1 (en) * 2019-03-28 2020-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75B1 (en) 2008-09-30 2009-12-16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US20100080545A1 (en) 2008-10-01 2010-04-0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ulti-drive mechanism lens actuator
KR100965913B1 (en) 2008-12-17 2010-06-24 주식회사 하이소닉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function for compensation hand vib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75B1 (en) 2008-09-30 2009-12-16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US20100080545A1 (en) 2008-10-01 2010-04-0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ulti-drive mechanism lens actuator
KR100965913B1 (en) 2008-12-17 2010-06-24 주식회사 하이소닉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function for compensation hand vibratio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75B1 (en) 2012-10-15 2013-12-06 주식회사 하이소닉 Actuator for compact camera
WO2014061907A1 (en) * 2012-10-15 2014-04-24 (주)하이소닉 Actuator for compact camera
CN104115063A (en) * 2012-10-15 2014-10-22 爱斯尼克电子有限公司 Actuator for compact camera
CN110651224A (en) * 2017-05-19 2020-01-03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CN110651224B (en) * 2017-05-19 2022-02-08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CN114371543A (en) * 2017-05-19 2022-04-19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US11378769B2 (en) 2017-05-19 2022-07-05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WO2020197149A1 (en) * 2019-03-28 2020-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device
CN113678428A (en) * 2019-03-28 2021-11-19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EP3952274A4 (en) * 2019-03-28 2022-12-21 LG Innotek Co., Ltd. Camera device
CN113678428B (en) * 2019-03-28 2024-03-12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7823B2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echanism
US9377632B2 (en) Lens driving device with 3D elastic support structure
US9075285B2 (en) Photography device with anti-shake function
KR101200711B1 (en)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apparutus for camera, and the camera with the same
KR100932175B1 (en)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KR101197077B1 (en)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apparutus for camera, and the camera with the same
KR101182549B1 (en) 3d stereoscopic camera module
US9933628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JP6739573B1 (en) Lens drive for camera
US10018800B2 (en) Lens driving apparatus
KR20120133161A (en)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KR20110135502A (en)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KR100947949B1 (en) Camera module for mobile device
CN116546297A (en) Camera module
KR101064131B1 (en) Compac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tereo image
KR20120133904A (en) Multi-function voice coil motor
KR20140059329A (en) Voice coil motor
KR100992193B1 (en) Compact camera device
CN106773460B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with double cameras
CN202956526U (en) Lens drive device
CN108072962A (en) Lens driver
US20160202446A1 (en) Lens driving apparatus
KR100798862B1 (en) Actuator for mobile advice
KR102456661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KR20150109894A (en) Camera actuator for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