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136B1 - Surgical Traction Device - Google Patents

Surgical Tra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136B1
KR101063136B1 KR1020090091207A KR20090091207A KR101063136B1 KR 101063136 B1 KR101063136 B1 KR 101063136B1 KR 1020090091207 A KR1020090091207 A KR 1020090091207A KR 20090091207 A KR20090091207 A KR 20090091207A KR 101063136 B1 KR101063136 B1 KR 10106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pport member
surgical
wi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3641A (en
Inventor
김영우
김광기
남경원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09009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136B1/en
Publication of KR2011003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6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58Snares for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22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lexible, e.g. fabrics, meshes, or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환자 체내의 수술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때 신체 장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견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는, 환자 체내의 수술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신체 장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개구된 표면 영역을 커버하도록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신체 장기의 하부 표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막부재와, 지지부재를 신체 장기에 결속하도록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결속유닛과, 결속유닛에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체와, 환자 수술 부위에 인접한 신체의 외부에 위치하며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해 자성체 또는 금속체와 자성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 surgical trac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body organs when lifting up a body organ located above the surgical site in a patient's body. Surgical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organs located above the surgical site in the patient body, and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cover the open surface area of the support member lower surface of the body organs A protective film member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body, a binding unit coupled to the supporting member to bind the supporting member to the body organs, a magnetic body or a metal body provided in the binding unit, and a body organ located outside the body adjacent to the patient's surgical site. It may include a magnetic force generating portion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or a magnetic body and a magnetic body to support and fix in a raised state.

Liver Retractor, 간, 보호막, 와이어, 결속, 자석(magnet) Liver Retractor, Liver, Shield, Wire, Bond, Magnet

Description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RETRACTOR}Surgical Traction Device {SURGICAL RETRACTOR}

본 발명은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MIS) 시 환자 체내의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견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traction device used to pull up the body organs in the patient body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using a laparoscopic surgical tool.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커서 수술 이후의 환자 회복이 더디고,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어 환자의 이후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In general, the conventional open incision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the incision area is large and the amount of bleeding during surgery is large, the patient recovery after surgery is slow, large scars remain after the operation will interfere with the patient's future life. Recently, a new surgical technique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using laparoscopic surgical tools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open surgery.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를 써서 환자의 신체 표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a surgical technique in which only the smallest incision is made on the surface of a patient's body using an elongated surgical tool specially designed to minimize the incision required for surgery. This minimally invasive surgery requires less incisions and significantly less bleeding than open surgery, so the patient's recovery period is faster and external scars are smaller. It is increasing.

이러한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시 환자 체내의 수술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수술 부위의 시야 범위 및 각종 수술 기구들의 운동 영역을 넓히는 용도로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Retractor)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위(stomach) 수술 시 수술하려는 위가 내시경 시야에 잡히도록 하려면, 위의 상부를 덮고 있는 간의 일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야 하는데, 이러한 용도로 Liver Retractor가 사용된다.Surgical Retractor for the purpose of widening the field of view of the surgical site and the range of motion of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by lifting upward the body organ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urgical site in the patient during the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the laparoscopic surgical tool. ) Is used. For example, in a laparoscopic surgical tool, in order for the stomach to be operated in the endoscopic field of view, a part of the live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mach must be lifted upward, and the Liver Retractor is used for this purpose.

그러나, 종래의 Liver Retractor를 포함한 수술용 견인장치는 외부에 별도의 고정지지대를 설치한 후 지지대 말단부를 환자의 신체에 관통 삽입하여 상향 견인된 신체 장기를 고정시키므로, 지지대 삽입을 위한 추가적인 흉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urgical retractor including a Liver Retractor, after installing a separate fixed support on the outside to insert the end of the support through the patient's body to fix the body pulled up, additional scars for insertion of the support occurs There is a problem.

한편, Yoshihisa Sakaguchi의 "New technique for the retraction of the liver in laparoscopic gastrectomy", Surg Endosc(2008) 22:2532-2534에는 Y자형 Liver Retractor가 개시되어 있다. 이 Liver Retractor는 간의 하부를 지지하는 Y자형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세 단부에 각각 고정된 리프트 와이어로 구성되어 위 수술 시 위의 상부를 덮고 있는 간의 일부를 들어 올리게 된다. Meanwhile, a Y-shaped Liver Retractor is disclosed in Yoshihisa Sakaguchi, "New technique for the retraction of the liver in laparoscopic gastrectomy", Surg Endosc (2008) 22: 2532-2534. The Liver Retractor is composed of a Y-shap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liver, and lift wires fixed to three ends of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to lift a part of the liver covering the upper part during gastric surgery.

그러나, 상기 Liver Retractor는 Y자형의 지지부재 사이 영역에 위치하는 간의 하부 표면에 대한 보호 기능이 없어 시술 도중 들어올려진 간의 하부 표면에 크고 작은 손상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Liver Retractor를 상향으로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별도의 걸치도구를 체내에 삽입하고 걸치도구의 단부에 리프트 와이어를 연결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야 확보가 어두운 체내에서 걸치도구에 리프트 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은 숙련된 시술자가 아닐 경우 매우 어렵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걸치도구의 삽입 및 리프트 와이어 고정을 위한 직경 3 mm 정도의 작은 흉터 세 개가 환자의 신체에 여전히 남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Liver Retractor does not have a protection function for the lower surface of the liver located in the region between the Y-shaped support member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large and small damage may be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ver lifted during the procedure. In addition, in order to lift the Liver Retractor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upwards, a separate latching tool must 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lift wir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atching tool. However, the task of connecting the lift wire to the hanging tool in a dark field of view is very difficult and inconvenient unless the skilled practitioner. In addition,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three small scars with a diameter of about 3 mm for inserting the latching tool and fixing the lift wire remain on the patient's bod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 체내의 수술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때 신체 장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urgical traction device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body organs when lifting up the body organ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rgical site in the patient body,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걸치도구를 체내에 관통 삽입하지 않고 자성(전자기력)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견인한 상태에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gical traction device that can be supported and fixed in the state of pulling the body organ of the patient upward by using magnetic (electromagnetic force) without inserting a separate latching tool into the body. .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는, 환자 체내의 수술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지지하도록 상기 신체 장기의 하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개구된 표면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신체 장기의 하부 표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막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신체 장기에 결속하는 결속유닛, 및 상기 결속유닛에 구비되며 체외에 위치하는 자력발생부와 자성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는 자성체 또는 금속체를 포함할 수 있다.Surgical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rgans to lift up and support the body organ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rgical site in the patient body, A protective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so as to cover the open surface area of the support member and surrou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organ, a binding unit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binding the support member to the body organ, and The binding unit may include a magnetic body or a magnetic body generating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outside of the body.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have a shape that branch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based on one side.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봉의 중심 부위를 굽혀 양단부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angled by bending a central portion of the rod formed in a straight shape.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굽힘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상기 보호막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굽힘 변형될 때 이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support member can be unfolded or folded in conjunction with it when the support member is bent and deformed.

또한, 상기 보호막부재는 보호하려는 상기 신체 장기의 하부 표면을 완전히 가릴 수 있는 막(membrane) 혹은 필름(film)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have a membrane or film structure that can completely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organ to be protected.

또한, 상기 보호막부재는 완전 그물망 형태의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have a mesh structure of a complete mesh shape.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와이어,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와이어, 및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를 체결 및 체결해제 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nd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at least one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t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and unfasten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여기서,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가 각각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wires and the second wire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res and the second wires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신체 장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body organs.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암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 중 다른 하나에 연 결되며 상기 암체결부재에 끼워져 체결되거나 체결해제되는 수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ay be inserted into the female fastening member, or fastened. It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to be released.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체결부재와 상기 수체결부재 간의 체결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Here,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fastening between the female fastening member and the male fastening member can be adjusted.

상기 수체결부재는, 봉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수체결몸체, 및 상기 수체결몸체의 외측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단차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water fastening body that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which are stepp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water fastening body.

상기 암체결부재는, 수체결몸체가 삽입되는 체결삽입구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암체결몸체, 체결삽입구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선단이 승강하면서 걸림홈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되는 걸림돌기부, 및 상기 암체결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돌기부의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걸림돌기부를 하강시켜 상기 걸림홈부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체결몸체를 상기 암체결몸체의 체결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걸림돌기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걸림홈부의 단차턱을 지나면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돌기부는 자체 탄성을 가지거나 상기 걸림돌기부의 선단 하부에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female fastening member is a female fastening body in which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water fastening body is inserted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inside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and the catching protrusion part is caught or released by the catching groove while the tip is elevated. And a locking release part coupled to the female fastening body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and lowering the locking protrusion when the slide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locking protrusion to release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groove. In this case, when the lock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of the female fastening body, the locking protrusion moves downward, and then moves upwards ag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stepped jaw of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An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to have elasticity or a lower end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또는, 상기 암체결부재는, 상기 수체결몸체가 삽입되는 체결삽입구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암체결몸체, 상기 체결삽입구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암체결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선단이 승강하면서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되는 걸림돌기부, 및 상기 걸림돌기부의 선단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부의 선단을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emale fastening member is a female fastening body in which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water fastening body is inserted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inside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emale fastening body and rotated. It may include a locking projection to be caught or released by the locking groove portion while the tip is raised by the lower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tip of the locking projection upward.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체는 상기 수체결부재의 후단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gnetic body or the metal body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는, 환자 수술 부위에 인접한 신체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체와 자성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지지 및 고정하는 자력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urgical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adjacent 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and generates and attracts the magnetic body or the metal body and the magnet to support and fix the body organ in a raised state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자력발생부는 전자석 및 영구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력발생부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For example,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electromagne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Liver Retractor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플라스틱, 천 또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부재가 간을 탄성적으로 들어 올리게 되므로 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including the Liver Re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member made of metal, plastic, cloth or polymer material capable of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to lift the liver elastically to minimize damage to the liver can do.

또한, 지지부재에 의해 간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지지부재의 개구된 표면 영역을 커버하는 플렉시블한 보호막부재가 간의 하부 표면을 감싸 보호하게 되므로 시술 도중 간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protective film member covering the open surface area of the support member while the liver is lifted by the support member is wrapp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ver to protect the liver surface damage during the procedure.

또한,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신체 장기를 별도의 걸치도구를 체내에 관통 삽입하지 않고 외부에서 자성(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들어 올려진 상태로 지지 및 고정하게 되므로, 수술 후 환자의 신체 표면에 추가적인 상처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organs lifted upward are supported and fixed in a lifted state using magnetic (electromagnetic force) from the outside without inserting a separate latching tool through the body, additional wounds on the body surface of the patient after surgery There is no.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술용 견인장치는 복강경 수술 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MIS) 시 환자의 신체 장기 중에서 특히, 간(liver)을 들어 올리는 Liver Retractor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stomach), 신장(kidney) 등 다른 신체 장기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견인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described below illustrates a Liver Retractor that lifts the liver, especially among the body organs of the patient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using a laparoscopic surgical tool, It is noted that it can also be used as a traction device that can lift other body organs such as stomach, kidney and the like without limi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gical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10)는 지지부재(100), 보호막부재(200), 결속유닛(300) 및 자성체(4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00, a protective film member 200, the binding unit 300 and the magnetic body 410 and the like.

지지부재(100)는 환자 체내의 수술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신체 장기, 예를 들어, 위(stomach) 수술 시 위의 상부를 덮고 있는 신체 장기인 간(liver)(1, 도 16 참조)의 일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지지하도록 간(1)의 하부에 삽입된다.The support member 100 is a body organ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surgical site in the patient's body, for example, the liver (1, FIG. 16), which is the body organ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mach during surgery. It is inserted in the lower part of the liver 1 to lift a part upward.

지지부재(100)는 일측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00)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봉의 대략 중간 부위를 굽혀 양단부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100)의 중간 부위를 굽혀 양단부가 이루는 각도가 대략 60~90도가 되도록 지지부재(100)를 영문자 V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재(100)를 영문자 U, O, Y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00)는 간(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굽힘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100)는 생체 적합하고 간(1)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플라스틱, 천 또는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100 may have a shape that branch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based on one side.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100 may be formed to bend approximately the middle portion of the rod formed in a straight shape so that both ends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the support member 100 in the English letter V shape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00 is approximately 60 to 9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o this support member (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English letters U, O, and Y. Here, the support member 10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so as to have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iver (1).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plastic, cloth or a polymer material which is biocompatible and capable of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iver 1.

보호막부재(200)는 지지부재(100)의 개구된 표면 영역(100a), 예컨대 지지부재(100)가 영문자 V형상을 가지는 경우 지지부재(100)의 양단부 사이의 빈 영역을 커버하도록 지지부재(100)에 부착되어 간(1)의 하부 표면을 감싸 보호한다.The protective film member 200 may cover the open surface area 100a of the support member 100,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member 100 has an English letter V shape, to cover an empty area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100. It is attached to the 100 and wraps and prot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liver (1).

보호막부재(200)는 지지부재(100)가 굽힘 변형될 때 이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 예컨대 천이나 폴리머(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호막부재(200)는 보호하려는 신체 장기의 하부 표면을 완전히 가릴 수 있도록 막(membrane), 필름(film) 또는 그물망 형태의 메쉬(mesh)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film member 20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a cloth or a polymer, so that the support member 100 can be unfolded or folded in conjunction with the bending of the support member 100.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member 200 preferably has a mesh structure in the form of a membrane, a film, or a net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organ to be protected.

결속유닛(300)은 지지부재(100)를 신체 장기에 결속하기 위해 지지부재(100)와 결합된다.The binding unit 30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00 to bind the support member 100 to body organs.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술용 견인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결속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수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inding unit of the components of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ure 3, Figure 5 is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le fastening member shown in FIG. 3.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유닛(300)은 제 1 와이어(310), 제 2 와이어(320) 및 체결부(3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binding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wire 310, a second wire 320, a fastening part 330, and the like.

제 1 와이어(310)는 지지부재(1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연결될 수 있고, 제 2 와이어(320)는 지지부재(100)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와이어(310)와 제 2 와이어(320)가 각각 복수 개일 경우, 제 1 와이어(310)와 제 2 와이어(320)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00)를 영문자 V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지지부재(100)의 중간 굽힘 부위에는 두 개의 제 1 와이어(310)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고, 지지부재(100)의 분기된 양단부 각각에는 제 2 와이어(320)가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wire 31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00, and at least one second wire 32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00. He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wires 310 and second wires 320, the first wires 310 and the second wires 320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member 100 is formed in the English letter V shape, two first wires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bend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00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a branch of the support member 100 is formed. The second wire 32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both ends.

체결부(330)는 제 1 와이어(310)와 제 2 와이어(320)의 양단을 체결하거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제 1 와이어(310)와 제 2 와이어(320)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때, 체결부(330)에 마련되는 자성체(410) 또는 금속체(420, 도 12 참조)가 환자의 체외에 위치하는 자력발생부(500, 도 13 참조)와 자성에 의한 인력이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체결부(330)는 신체 장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part 33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wire 310 and the second wire 320 to fasten or release the fastening of both ends of the first wire 310 and the second wire 320. At this time, the magnetic body 410 or the metal body 420 (see FIG. 12) provided in the fastening part 330 may be effectively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see FIG. 13) located outside the patient's body. Fastening portion 330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body organs.

체결부(330)는 제 1 와이어(310)와 제 2 와이어(3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암(female)체결부재(331)와, 제 1 와이어(310)와 제 2 와이어(32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암체결부재(331)에 끼워져 체결되거나 체결해제되는 수(male)체결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330)는 암체결부재(331)가 제 1 와이어(310)에 연결되고 수체결부재(335)가 제 2 와이어(320)에 연결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반대로, 체결부(330)는 수체결부재(335)가 제 1 와이어(310)에 연결되고 암체결부재(331)가 제 2 와이어(320)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fastening part 330 includes a female fastening member 331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wire 310 and the second wire 320, and the first wire 310 and the second wire 320. It may include a male fastening member 335 connected to the other and inserted into or fastened to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part 330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310 and the male fastening member 335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320. . However, on the contrary, the fastening part 3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ale fastening member 335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310 and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320.

암체결부재(331)는 암체결몸체(33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체결삽입구(331a)가 형성되고, 체결삽입구(331a)의 내측 저면에 걸림돌기부(333)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arm fastening body 332, and the arm fastening member 331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on the inner bottom of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수체결부재(335)는 체결삽입구(331a)에 삽입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봉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수체결몸체(336)와, 수체결몸체(336)의 외측 하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단차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부(337)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체결몸체(336)를 암체결몸체(332)의 체결삽입구(331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걸림돌기부(333)와 걸림홈부(337) 간 걸림이 발생하지 않고 수체결몸체(336)를 체결삽입구(331a)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걸림돌기부(333)와 걸림홈부(337) 간 걸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암체결부재(331)와 수체결부재(335) 간의 체결되는 구간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수체결부재(335)는 암체결몸체(332)의 체결삽입구(33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부(336a)가 뾰족하게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fastening member 335 is a water body body 336 is formed long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polygonal ro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a plurality of stepped inclined in one direction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dy body 336 The locking groove 337 may be configured. Therefore, when the body body 336 is moved in th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of the female body body 332, the body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333 and the locking groove 337 does not occur and the body body can be locked. Only when the 336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a jam occurs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333 and the locking groove 337.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ction between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and the male fastening member 335. In addition, the water fastening member 335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tip portion 336a is sharply tapere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of the female fastening body 332.

도 7 및 8은 도 3에 나타낸 암체결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7과 도 8은 암체결부재에서 체결 위치 상태와 체결해제 위치 상태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arm fastening member shown in FIG. 3, and FIGS. 7 and 8 are views illustrating a fastening position state and a disengaging position state in the arm fastening member, respectively.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재(331)는 암체결몸체(332), 걸림돌기부(333) 및 걸림해제부(33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arm fastening member 33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with a female fastening body 332, a locking protrusion 333, a locking release part 334, and the like.

암체결몸체(331)는 수체결부재(335)가 삽입되는 체결삽입구(331a)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The female fastening body 331 is formed such that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into which the male fastening member 335 is inserted penetrates inside.

걸림돌기부(333)는 체결삽입구(331a)의 내측 하면에 일방향, 예컨대 걸림홈부(337)의 경사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선단이 승강하면서 걸림홈부(337)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된다. 여기서, 수체결몸체(335)를 암체결몸체(331) 의 체결삽입구(331a)에 삽입 시 걸림돌기부(333)가 하방으로 이동하였다가 걸림홈부(337)의 단차턱을 지나면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홈부(337)에 걸리도록 걸림돌기부(333)는 자체 탄성을 가진다.The locking protrusion 333 is dispos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337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and is caught or released by the locking groove 337 while the tip is lifted. Here, the locking projection 333 is moved downward when the water fastening body 335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of the female fastening body 331, and then moves upward ag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stepped jaw of the locking groove 337. The locking protrusion 333 has its own elasticity so as to b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337.

걸림해제부(334)는 암체결몸체(3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림돌기부(333)의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걸림돌기부(333)를 하강시켜 걸림홈부(337)와 걸림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걸림해제부(334)는 암체결몸체(331)의 옆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31b)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해제버튼(334a)과, 걸림해제버튼(334a)에 고정되고 걸림돌기부(333)의 상면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봉(33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해제버튼(334a)을 걸림돌기부(333)의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드봉(334b)이 걸림돌기부(333)의 선단을 하방으로 눌러 걸림홈부(337)와의 걸림을 해제하게 된다. The locking release part 334 is coupled to the female fastening body 331 to be slidably movable, and lowers the locking protrusion 333 when the slide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to release the locking groove 337. It plays a role. For example, the locking release part 334 is fixed to the locking release button 334a and the locking release button 334a which are slidably mounted in the guide groove 331b formed on the side of the female fastening body 331. It may be composed of a slide rod 334b disposed to interse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333. Accordingly, when the locking release button 334a is slid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locking projection 333, the slide rod 334b is pushed downward of the locking projection 333 to release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groove 337. do.

도 9는 암체결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rm fastening membe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재(331)는 암체결몸체(332), 걸림돌기부(333), 걸림해제부(334) 및 탄성부재(331c) 등을 구비하며, 탄성부재(331c)를 제외하고는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재(331)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9, the arm fastening member 33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n arm fastening body 332, a locking protrusion 333, a locking release part 334, an elastic member 331c, and the like. Except for the elastic member 331c, it is the same as the arm fastening member 33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탄성부재(331c)는 수체결몸체(336)를 암체결몸체(332)의 체결삽입구(331a)에 삽입 시 걸림돌기부(333)가 하방으로 이동하였다가 걸림홈부(337)의 단차턱을 지나 면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홈부(337)에 걸리도록 걸림돌기부(333)의 선단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걸림돌기부(333)에도 자체 탄성이 있을 수 있고, 탄성이 없는 경우에는 걸림돌기부(333)가 암체결부재(331)에 링크(미도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lastic member 331c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dy 336 of the female fastening body 332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of the female fastening body 332, the locking protrusion 333 moves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stepped jaw of the locking groove 337. It may include a spring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333 to b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337 while moving upward again. In this case, the locking protrusion 333 may have its own elasticity, and in the absence of elasticity, the locking protrusion 333 may be connected to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by a link (not shown).

도 10 및 11은 암체결부재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0과 도 11은 암체결부재에서 체결 위치 상태와 체결해제 위치 상태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n arm fastening member, and FIGS. 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a fastening position state and a disengaging position state in the arm fastening member, respectively.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재(331)는 암체결몸체(332), 걸림돌기부(333) 및 탄성부재(331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10 and 11, the arm fastening member 33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the arm fastening body 332, the locking projection 333 and the elastic member 331c.

암체결몸체(332)는 수체결몸체(336)가 삽입되는 체결삽입구(331a)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female fastening body 332 is formed such that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into which the water fastening body 336 is inserted penetrates inside.

걸림돌기부(333)는 체결삽입구(331a)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암체결몸체(33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힌지(333a)로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선단이 승강하면서 걸림홈부(337)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된다. 이때, 걸림돌기부(333)의 후단은 암체결몸체(332)의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돌기부(333)의 돌출된 부위를 잡고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부(333)의 후단을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부(333)의 선단이 힌지(333a)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걸림홈부(337)와의 걸림이 해제된다.The locking protrusion 333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31a and is coupled to the female fastening body 332 by a hinge 333a so as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Is jammed or released.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emale fastening body 332 to rotate by hold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Accordingly, when the rea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is rotated upward, the locking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is released while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rotates downward based on the hinge 333a.

탄성부재(331c)는 걸림돌기부(333)의 선단 하부에 마련되어 걸림돌기부(333)의 선단을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331c may include a spring provided below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upward.

자성체(410)는 체결부(330)에 구비되며, 체외에 위치하는 후술할 자력발생부(500)와 자성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는 영구자석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체(410)가 수체결부재(335)의 후단에 부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암체결부재(33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체(410)가 사각형 막대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 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magnetic body 410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portion 330,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located outside the body and the permanent magnets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gnetic body 410 is illustrated to be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water fastening member 335,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attached to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gnetic body 4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bar,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ylindrical, spherical.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gical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11)는 지지부재(100), 보호막부재(200), 결속유닛(300) 및 금속체(420)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일 실시예의 자성체(410)를 자력발생부(500)와 자성에 의한 인력이 발생할 수 있는 금속체(420)로 대체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12, 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100, a protective member 200, a binding unit 300, a metal body 420, and the like. The magnetic body 410 of the embodiment is replaced with the magnetic force generator 500 and the metal body 420 capable of generating attraction force by the magnet,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Same as the embodiment. Therefor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의 자력발생부가 수술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portion of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operating tabl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10)는 환자 수술 부위에 인접한 신체의 외부에 위치하며, 자성체(410) 또는 금속체(420)와 자성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켜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지지 및 고정하는 자력발생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3,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utside the body adjacent 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the magnetic body 410 or the metal body 420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bod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force generating part 500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organ in an upwardly lifted state.

자력발생부(500)는 다수 개의 링크부재로 연결되는 다관절 아암(501)에 의해 수술대(3)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관절 아암(501)은 수술대(3)의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링크부재(501a)와, 베이스 링크부재(501a)와 연결되는 중간 링크부재(501b)와, 중간 링크부재(501b)와 연결되고 다관절 아암(501)의 단부에 해당하는 팁 링크부재(501c)로 구성되는 3관절 아암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관절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링크부재(501a)는 수술대(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수술대(3) 근처의 구조물, 천정 혹은 벽면에 고정될 수 있고, 팁 링크부재(501c)의 선단에 자력발생부(500)가 구비된다.The magnetic force generator 500 is fixed to the operating table 3 by an articulated arm 501 connected by a plurality of link member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ticulated arm 501 includes a base link member 501a fixed to one side of the operating table 3, an intermediate link member 501b connected to the base link member 501a, and an intermediate link member 501b. ) And a three-joint arm that is configured as a tip link member 501c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articulated arm 5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articulated structures. Here, the base link member 501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rating table 3, or may be fixed to a structure, a ceiling, or a wall near the operating table 3, and may include a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at the tip of the tip link member 501c. 500).

자력발생부(500)는 신체 내부에 위치하는 수술용 견인장치(10)의 자성체(410) 또는 금속체(420)와 자성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자석 및 영구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발생부(510)는 다관절 아암(501)의 단부에 결합되는 케이스(511)의 내벽에 구비되는 영구자석(513)과, 영구자석(513)의 내부에 중심에 배치되는 전자석(5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발생부(520)는 케이스(521)의 내벽에 구비되는 전자석(523)과, 전자석(515)의 내부 중심에 배치되는 영구자석(5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515,523)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선케이블 및 전지 등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513,525)과 전자석(515,523)의 전체 형상을 사각 형태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so as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by the magnetic body 410 or the metal body 420 of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10 located inside the body and the magnet. Can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the magnetic force generator 510 includes a permanent magnet 513 and a permanent magnet 513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case 511 coupled to the end of the articulated arm 501. It may be composed of an electromagnet 515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sid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5,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20 includes an electromagnet 523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521 and a permanent magnet 525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electromagnet 515. Can be configured. Here, the wire cable and the battery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s (515, 523) can be understood by known technique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overall shapes of the permanent magnets 513 and 525 and the electromagnets 515 and 523 are illustrated in a quadr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또한, 도 14 및 15에서는 자력발생부(500)가 영구자석(513,525) 및 전자석(515,523)으로 이루어진 이중 형태의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자력발생부(500)가 영구자석(513,525) 또는 전자석(515,523)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일 형태의 구성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FIGS. 14 and 15,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exemplifies a dual form of the permanent magnets 513 and 525 and the electromagnets 515 and 523. However,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is the permanent magnets 513 and 525 or the electromagnets 515 and 523.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single form consisting of onl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10)는 위(stomach) 수술 시 위의 상부를 덮고 있는 간(1)을 위로 들어 올려 수술 부위의 시야 범위 및 각종 수술 기구들의 운동 영역을 넓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Surgical tra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 lift up the liver (1)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mach during the surgery (stomach) to widen the field of view of the surgical site and the range of motion of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Can be used for purposes.

이하, 도 16 내지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신체 장기를 들어 올려 고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ures 16 to 19, the process of lifting and fixing the body organs using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견인장치(10)를 투관침(trocar)(미도시)을 통해 환자의 체내로 삽입한다. 이때, 수술용 견인장치(10)의 삽입을 위해 별도의 삽입도구(미도시)가 사용되며, 삽입도구의 단부에 지지부재(100)를 연결한 후 환자의 체내 원하는 위치로 수술용 견인장치(10)를 이송시킨다. 예를 들어, 위(stomach) 수술 시 위의 상부를 덮고 있는 간(1)의 일부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지지하도록 삽입도구를 사용하여 지지부재(100) 및 보호막부재(200)로 구성된 수술용 견인장치(10)를 간(1)의 하부로 이송시킨다. 이때, 지지부재(100)에 와이어(310,320)를 통해 연결되는 체결부(330)는 암체결부재(331)와 수체결부재(335)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 있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6,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10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through a trocar (not shown). At this time, a separate insertion tool (not shown) is used for the insertion of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10, and after connecting the support member 100 to the end of the insertion tool surgical traction device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e patient's body ( 10) Transfer. For example, a surgical traction consisting of a support member 100 and a shield member 200 using an insertion tool to lift and support a portion of the liver 1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mach upward during a stomach surgery. The device 10 is transported to the bottom of the liver 1. 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330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00 through the wires 310 and 3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of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and the water fastening member 335 is released.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 및 보호막부재(200)를 간(1)에 결속하기 위해 체결부(330)의 수체결부재(335)를 암체결부재(331)에 끼워 체결한다. 이때, 수체결부재(335)를 암체결부재(331)에 삽입하는 길이 조절에 의해 지지부재(100)가 간(1)에 결속하는 힘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수체결부재(35)를 암체결부재(331)에 약간 삽입하여 체결하는 경우 지지부재(100)는 간(1)을 약간 느슨하게 결속하게 되고, 수체결부재(335)를 암체결부재(331)에 더 깊이 삽입하여 체결하는 경우 지지부재(100)는 간(1)을 단단하게 결속하게 된다. 따라서, 수체결부재(335)와 암체결부재(331) 간의 체결 시 지지부재(100)와 체결되는 간(1)의 외표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암체결부재(331)와 수체결부재(335) 간의 체결되는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330)에 마련되는 자성체(410) 또는 금속체(420)는 신체 외부의 자력발생부(500)와 대응되도록 간(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7,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5 of the fastening part 330 is arm fastening member 331 to bind the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tective film member 200 to the liver 1. Tighten it in. At this tim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ce that the support member 100 binds to the liver 1 by adjusting the length of inserting the male fastening member 335 into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For example, when the fastening member 35 is slightly inserted into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and fastened, the support member 100 will loosen the liver 1 slightly loosely, and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5 may be female fastened. In the case of fastening by inserting the member 331 deeper, the support member 100 tightly binds the liver 1. Therefore,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and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and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are fastened to the extent that no damage occu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0 and the liver 1 fastened to the female fastening member 331. It is prefera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length of the fastening between the (335). In addition, the magnetic body 410 or the metal body 420 provided in the fastening part 330 is positioned above the liver 1 so as to correspond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part 500 outside the body.

다음으로, 도 18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 아암(501)에 의해 수술대(3)에 고정된 자력발생부(500)를 환자의 수술 부위에 인접한 신체 표피(S)의 외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자력발생부(500)는 환자 체내의 간(1) 상부에 위치하는 자성체(410) 또는 금속체(420)와 대응하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fixed to the operating table 3 by the articulated arm 501 is located outside the body epidermis S adjacent 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Let's do it. In this case,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corresponds to the magnetic body 410 or the metal body 420 located on the liver 1 in the patient's body.

자력발생부(500)를 간(1) 상부에 위치시킨 후 별도의 복강경 삽입도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간(1)의 하부를 강제로 상향 견인시킨 후, 견인된 상태에서 자력발생부(500)가 자성체(410) 또는 금속체(420)의 상부에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다관절 아암(501)의 자세를 추가 조정한 후 자력발생부(500)를 작동시키면, 자성체(410) 또는 금속체(420)와 자력발생부(500) 간의 자성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여 상향 견인된 간(1)이 견인된 상태에서 지지 및 고정되게 된다. After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is positioned above the liver 1, the lower part of the liver 1 is forcibly pulled upward using a separate laparoscopic insertion tool (not shown), and then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 If the posture of the articulated arm 501 is further adjusted such that the 50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ic body 410 or the metal body 420,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is operated, the magnetic body 410 or the metal body The attraction force due to the magnetism between the 420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500 is generated to be supported and fixed while the liver 1 towed upward.

이때, 지지부재(100)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플라스틱, 천 또는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어 간(1)을 탄성적으로 받쳐 주므로, 견인된 상태에서 간(1)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00)가 간(1)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지부재(100)의 개구된 표면 영역(100a)을 커버하는 플렉시블한 천, 폴리머 등과 같은 보호막부재(200)가 간(1)의 하부 표면을 감싸 보호하게 되므로 수술 도중 간(1) 하부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100 is formed of a metal, plastic, cloth or polymer material capable of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liver (1), to prevent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liver (1) in the towed state Can be. In addition, a protective film member 200 such as a flexible cloth, a polymer, or the like covering the open surface area 100a of the support member 100 while the support member 100 is lifted up the liver 1 is the liver 1. Since it is wrapp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ver to prevent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liver (1) during surger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gical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술용 견인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결속유닛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inding unit of the components of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shown in FIG.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3;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수체결부재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le fastening member shown in FIG. 3;

도 7 및 8은 도 3에 나타낸 암체결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emale fastening member shown in FIG.

도 9는 암체결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rm fastening member;

도 10 및 11은 암체결부재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rm fastening member;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gical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의 자력발생부가 수술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portion of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operating table,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자력발생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13;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자력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13, and

도 16 내지 19는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신체 장기를 들어 올려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6 to 19 is an exemplary view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process of lifting and fixing the body organs using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11 : 수술용 견인장치 100 : 지지부재 10,11: surgical traction device 100: support member

200 : 보호막부재 300 : 결속유닛 200: protective film member 300: binding unit

310 : 제 1 와이어 320 : 제 2 와이어 310: first wire 320: second wire

330 : 체결부 331 : 암체결부재 330: fastening portion 331: female fastening member

335 : 수체결부재 410 : 자성체 335: water fastening member 410: magnetic material

420 : 금속체 500 : 자력발생부 420: metal 500: magnetic force generating portion

513,525 : 영구자석 515,523 : 전자석513,525 Permanent magnet 515,523 Electromagnet

Claims (20)

환자 체내의 수술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지지하도록 상기 신체 장기의 하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inserted below the body organs to lift and support the body organs located above the surgical site in the patient body upward; 상기 지지부재의 개구된 표면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신체 장기의 하부 표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막부재; A protective film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cover the open surface area of the support member and surrounding and prot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organ;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신체 장기에 결속하는 결속유닛; 및A binding unit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binding the support member to the body organs; And 상기 결속유닛에 구비되며, 체외에 위치하는 자력발생부와 자성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는 자성체 또는 금속체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traction device provided in the binding unit, including a magnetic body or a magnetic body generating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and the magnetic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has a shape branch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with respect to one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봉의 중심 부위를 굽혀 양단부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angled by bending a central portion of the rod formed in a straight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굽힘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굽힘 변형될 때 이에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support member can be unfolded or folded in connection with the bending of the suppor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부재는 막(membrane), 필름(film) 또는 메쉬(mesh)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has a membrane, a film, or a mesh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유닛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inding unit,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와이어;At least one first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와이어; 및At least one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를 체결 및 체결해제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traction device provided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comprising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and releasing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가 각각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wh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plural in nu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신체 장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8.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astening part is located above the body orga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암체결부재; 및A female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상기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와이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암체결부재에 끼워져 체결되거나 체결해제되는 수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tra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comprising a male fastening member that is fastened to or fastened to the female fastening memb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부재와 상기 수체결부재 간의 체결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11. 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ength of the fastening between the female fastening member and the male fastening member can be adjus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결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ater fastening member, 봉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수체결몸체; 및A water body formed in a rod shape; And 상기 수체결몸체의 외측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단차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trac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e formed stepped inclined in one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bod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rm fastening member, 상기 수체결몸체가 삽입되는 체결삽입구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암체결몸체;Female fastening body is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fastening body is inserted; 상기 체결삽입구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선단이 승강하면서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되는 걸림돌기부; 및It is disposed inclined in one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fastening insertion port, the locking projection portion which is caught or released by the locking groove while the leading end is elevated; And 상기 암체결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돌기부의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걸림돌기부를 하강시켜 상기 걸림홈부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A sliding traction device coupled to the female fastening body, the surgical traction device including a locking release portion for releasing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groove by lowering the locking projection when the slide movemen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결몸체를 상기 암체결몸체의 체결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걸림돌기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걸림홈부의 단차턱을 지나면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돌기부는 자체 탄성을 가지거나 상기 걸림돌기부의 선단 하부에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locking projection moves downward when the water lock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of the female locking body, and then moves upwards ag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stepped jaw of the locking groove, thereby catching the locking groove. The locking projection has a self-elevation or surgical 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rm fastening member, 상기 수체결몸체가 삽입되는 체결삽입구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암체결몸체;Female fastening body is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fastening body is inserted; 상기 체결삽입구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암체결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선단이 승강하면서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되는 걸림돌기부; 및A locking protrusion disposed inclined in one direction inside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emale fastening body, the locking protrusion being caught or released by the locking groove while the tip is lifted by the rotation; And 상기 걸림돌기부의 선단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부의 선단을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traction devic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s including an elastic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체는 상기 수체결부재의 후 단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11. 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magnetic body or the metal body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water faste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 수술 부위에 인접한 신체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체와 자성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지지 및 고정하는 자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The magnetic force gen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force generator is located outside the body adjacent 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and generates and attracts the magnetic body or the metal body and the magnetic body to support and fix the body organ in an upwardly lifted state. Surgical tra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는 전자석 및 영구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18. The surgical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전자석; 및Electromagnets; And 상기 전자석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traction device comprising a permanent magnet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electromagnet. 환자 체내의 수술 부위의 상부에 위치하는 신체 장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ody organs located above the surgical site in the patient's body; 상기 지지부재의 개구된 표면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신체 장기의 하부 표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막부재; A protective film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cover the open surface area of the support member and surrounding and prot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organ;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신체 장기에 결속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결 속유닛;A binding unit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bind the support member to the body organs; 상기 결속유닛에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체; 및Magnetic or metal bodies provided in the binding unit; And 환자 수술 부위에 인접한 신체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신체 장기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해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체와 자성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견인장치.Surgical traction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adjacent 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including a magnetic force generating portion for generating an attraction force by the magnetic body or the metal body and the magnetic body to support and fix the body organs in an upwardly lifted state Device.
KR1020090091207A 2009-09-25 2009-09-25 Surgical Traction Device KR101063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07A KR101063136B1 (en) 2009-09-25 2009-09-25 Surgical Tra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07A KR101063136B1 (en) 2009-09-25 2009-09-25 Surgical Tra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641A KR20110033641A (en) 2011-03-31
KR101063136B1 true KR101063136B1 (en) 2011-09-07

Family

ID=4393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207A KR101063136B1 (en) 2009-09-25 2009-09-25 Surgical Tra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1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666A1 (en) * 2011-06-07 2012-12-13 (주)다림양행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KR101327134B1 (en) * 2011-07-22 2013-11-20 서오남 Liver elevator
KR101441044B1 (en) * 2012-12-20 2014-09-17 이주리 Pouch type retractor
ES2557517B1 (en) * 2015-07-20 2016-11-02 Anas SARRAJ ASIL Retractor of perfected cardiac surg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6028A1 (en) 2005-12-29 2007-07-05 Van Lue Stephen J Magnetic surgical/oral retractor
US20090198107A1 (en) 2006-10-10 2009-08-06 Park Adrian E Adjustable Line and Net Retra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6028A1 (en) 2005-12-29 2007-07-05 Van Lue Stephen J Magnetic surgical/oral retractor
US20090198107A1 (en) 2006-10-10 2009-08-06 Park Adrian E Adjustable Line and Net Retra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641A (en)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9335B2 (en) Remountable hemostatic clip device with engagement on sleeve
EP3493750B1 (en)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retracting tissue
US8075481B2 (en) Internal retraction systems and devices
DK2627264T3 (en) MEDICAL DEVICES WITH DETACHABLE, pivotal jaws
US9974532B2 (en) Clip for organ retraction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20140180014A1 (en) Tissue Retractor Assembly
US1153406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retraction
US20130172682A1 (en) Tissue Retractor Assembly
KR101063136B1 (en) Surgical Traction Device
WO2013020107A1 (en) Surgical implant deployment device
AU2013226309A1 (en) Omnidirectional closure clip
EP2244641B1 (en) Endoscope anchoring device
WO2020232054A1 (en) Tissue clip devices and systems
EP3013252A1 (en) Hemostasis device with one way trap
US11129623B2 (en) Dual support jaw design
WO2015153646A1 (en) Minimally invasive surgery tissue (mist) clip
US20170258591A1 (en) Device for treating a body tissue, and associated treatment kit
KR20230125054A (en) Repositioning Clips with Extensions
US20220117604A1 (en) Clip for endoscope
WO2023114216A1 (en) Repositionable over the scope clip
KR20230058497A (en) Grappling systems and methods for lumen apposition or wound defects
CN117750915A (en) Repositionable out-of-range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