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361B1 -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361B1
KR101062361B1 KR1020110037847A KR20110037847A KR101062361B1 KR 101062361 B1 KR101062361 B1 KR 101062361B1 KR 1020110037847 A KR1020110037847 A KR 1020110037847A KR 20110037847 A KR20110037847 A KR 20110037847A KR 101062361 B1 KR101062361 B1 KR 10106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ousing
water
wat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솔
Priority to KR102011003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3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3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3Arrangement for testing of watertightness of water supply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rketing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와,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통신부를 통해 원격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수도 누수 감시시스템이 개시된다.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he sound sensor for detecting the sound of water delivered through the water pipe, th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ound sensor,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ound sensor to analyze whether the water pipe leaks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and a water supply leak monitoring system having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firming, and 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result remo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Tap water leak detection device and a tap water leak detection system having the same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장에서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각 공급처(가정, 사무실, 공장, 공공장소 등)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동안 상수도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ap water leak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leak occurring in the water supply pipe during the supply of tap water to each supply source (home, office, factory, public places, etc.) and finally from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a tap water leak det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된 뒤, 시의 경우 각 구별로 큰 관을 통해 공급되고, 각 구에서는 중블록, 소블록 등으로 분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In general, tap water is purified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in the case of a city, each tap is supplied through a large pipe, and each tap is classified into a heavy block and a small block to supply tap water.

그리고 각 분배점 사이에는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어 있어 분배되는 지역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단위 시설에는 큰 관을 통하여 한꺼번에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상수도관이 설치되기도 한다.In addition, a water meter is installed between each distribution point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ap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area. In large facilitie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water pipes may be installed to supply tap water at once through large pipes.

그리고 일반 가정 주택, 상가 건물 밀집 지역 등은 도로 아래 매설된 큰 관에서 작은 관으로 연결하여 최종 사용처로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작은 관을 '지선'이라고 할 때, 대부분의 누수는 지선에서 발생하게 된다. 즉, 지선은 관이 가늘기 때문에 압력을 크게 받고, 주택 밀집 지역에서는 조인트 등으로 연결하여 길게 연결하기 때문에, 접합 및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쉽게 발생 된다.In addition, general homes and shopping centers are connected to small pipes from large pipes laid under the road to supply tap water to end users. At this time, when a small pipe is called a branch line, most leaks occur in the branch line. That is, the branch line is greatly pressured because the pipe is thin, and in a dense area of the house, the joint is connected by a long connection, so that water leakage occurs easily at the joint and the connection part.

이와 같이 각 지선에서 발생하는 누수량을 집계하게 되면, 전체적으로는 수돗물의 대략 20% 이상이 누수로 인하여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양의 수돗물이 누수됨으로써, 비용의 낭비는 물론, 누수 위치에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이물질, 세균, 중금속 등이 상수도관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In this way, when the amount of leakage occurring in each branch line is aggregated, it is known that approximately 20% or more of tap water is wasted due to leakage. As such a large amount of tap water leaks, as well as waste of cost, foreign matter, bacteria, heavy metals, etc. are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due to the pressure change at the location of the leak, which causes pollution of the water quality.

따라서 누수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노후되거나 파손된 상수도관을 교체 및 수리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누수 탐지 기술로는 소량의 누수를 탐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정확하게 가정마다 연결된 지선을 감지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place and repair old or damaged water pipes by accuratel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leaks. With conventional leak detection technology, there is a limitation in detecting a small amount of leaks, and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detect the connected ground line in each household. have.

즉, 일예로서 현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장(10)에서 공급되는 전체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메인관(11)에 수도 미터기(31)가 설치되고, 각 구(21,22,23)별로 분배되는 분배관(12) 마다 각 구(21,22,23) 별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미터기(32)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구(23)에서 각 소블록(예를 들어 동 단위)으로 분류되는 분배관들(13)에도 수도 미터기(33)가 설치되어 각 소블록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분배관(13)에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분배되어 최종 사용처에서 사용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도 미터기(34)가 설치된다.That i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 a water meter 31 is installed in the main pipe 11 to measure the total flow rate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10, and each sphere 21, 22, 23 is provided. Water meter 32 for measuring the flow rate supplied to each of the spheres (21, 22, 23) is provided for each distribution pipe 12 distributed by each. In addition, the water meter 33 is also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pipes 13 classified into each small block (for example, the same unit) in each sphere 23 so that the flow rate of tap water supplied to each small block can be measured. . In addition, the water meter 34 is install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tap water distributed from each distribution pipe 13 to each home or office and used in the end use.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현재로서는 정수장(10)에서 공급된 수돗물의 총량을 수도 미터기(31)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각 수도 미터기들(32)(33)에서 측정된 수돗물의 공급량을 측정하고, 각 가정 등 최종 사용처에서의 사용량을 수도 미터기(34)를 통해 측정하게 되면, 어느 소블록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t present, the supply amount of the tap water measured by the water meters 32 and 33 is based on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water meter 31 of the total amount of the tap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10. When the measurement is made and the amount of usage at the end use place such as each home is measured through the water meter 34, it is possible to know in which small block the leak occurs.

그러나 소블록 단위로는 누수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가정집으로 연결된 연결관(지선)에서 누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으며, 일일이 관리자가 연결관의 누수를 감지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이 요구되므로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although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 leak occurs in the small block unit, it is not easy to check which leak occurs in a connector (branch line) that is connected to a specific home, and because the manager must detect the leak of the connector, It takes a lot of work and requires a lot of manpower, there is an uneconomic problem.

또한, 각 가정의 수도 미터기(34)를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현실적으로는 점검인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1개월에서 길게는 3개월 단위로 누수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밖에 없으므로, 수개월 동안 발생하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heck the water meter 34 of each household at any time, and in reality, due to the lack of manpower, there is no choice but to directly check the leakage on a monthly basis for three month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또한, 대부분의 지선 즉, 각 가정으로 연결되는 상수도관은 지하 또는 건물 등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branch line, that is,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each home is buried underground or in a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heck for leak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최종 사용처로 공급되는 상수도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수도 누수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nd a water supply leak monitoring system having the same structure so that the leak of water supply to the end user can be effectively detected.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는,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ater supply leak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he sound sensor for detecting the sound of the water deliver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ound sensor; And a control unit which analyze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ound sensor and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water pipe leaks, and transmits a check result remo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여기서, 상기 소리 감지센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통신부 및 제어유닛이 설치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금속재질 부분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하는 소리 전달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리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되는 소리에 의해 떨리는 떨림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떨림판의 떨리는 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소리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ound sensor, at least a portion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housing there is formed an empty space in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A sound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from a metal part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to transmit a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nto the housing; A vibration plat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is shaken by a sound transmitt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member; It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sound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trembling sound of the shaking plate to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preferably includes.

또한, 상기 하우징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폐쇄된 일단부 상기 소리 전달부재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에 접하여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제어유닛과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소리 수집부가 설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폐쇄된 일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떨림판을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떨림판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소리 연결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는 상기 제1하우징,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를 통해 상기 떨림판으로 전달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housing, the first housing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close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the empty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ther end opene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the other open end of the first housing to form an enclosed interior space, the second housing having th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ound collection unit installed therein; A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of a metal material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closed end of the first housing toward the second housing to support the vibration plate, wherein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of a non-metal material, and the sound connection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member may be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plate through the first housing and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또한, 상기 떨림판은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그 중심에서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와 연결되며, 상기 떨림판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소리 수집부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vibration plate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ther open end of the first housing,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jection at the center, the sound collecting unit is installed in a position facing the vibration plate spaced apart It is good to be.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리 수집부, 상기 통신부 및 제어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sound collect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는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is installed in the water pipe further includes a water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water pressure sensor is preferab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로부터 유량 감지데이터를 전달받아, 유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유량분석부를 더 포함하는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low rate analysis unit for receiving the flow rate detection data from the water meter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flow rate and to read the water consumption.

또한,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로부터 유량 감지데이터를 전달받아, 유량의 변화를 분석하는 유량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low rate analysis unit for receiving the flow rate detection data from the water meter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flow rate.

또한, 상기 소리 감지센서는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함 또는 제수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ound sensor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water meter box or the distillation side where the water meter is installe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는,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과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 감지센서와; 상기 수압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압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p water leak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he water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ip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ater pressure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ater pressure sensor to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water pipe is leaked, and 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result remo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은,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과; 설정된 일정 구역별로 설치되어 해당 구역에 설치되는 상기 상수도 누수감지장치들 간의 통신거리를 확장하여 감지정보를 중계하는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를 통해 전달되는 감지정보를 상기 해당 구역별로 수집하는 수집기와; 상기 수집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여 각 구역별 위치별 누수 감지여부, 누수감지위치 및 원격검침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서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ap water leak det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ap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 repeater installed for each predetermined zone and relaying detection information by extending a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tap water leak detection devices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zone; A collector for collecting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repeater for each corresponding zone; A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llector, checks the received information, checks for leak detection, leak detection location, and remote meter reading for each zone, and manages to take follow-up actions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및 누수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된 상수도관에 설치가 용이하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 크기를 감지하여 누수 여부 및 누수 발생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and the leak det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in the water supply pipe exposed to the outside, by detecting the volume of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leak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occurs There is this.

따라서, 종래와 같이 누수를 확인하기 위해 매몰된 상수도관을 외부로 노출시켜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수도 미터기를 설치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누수 감지장치를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expose the buried water supply pipe to the outside in order to check for leaks as in the prior art, and whether the water supply is leaked by a simple method of installing a leak detection device on the exposed part to install the water meter. It can be easily confirmed.

또한, 각각의 누수 감지센서가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므로, 누수된 위치정보를 쉽게 획득하여 관리자가 누수 발생지점을 쉽게 찾아내어 점검 및 수리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고, 관리 인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each leak detection sensor ha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he leak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easily obtained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find, check and repair the leak occurrence point, thereby enabling rapid processing and reducing management manpower.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administrative costs.

도 1은 종래의 누수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가 단위블록별로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는 정상적인 경우의 소리 크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b는 누수 발생시 소리 크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leak detection method.
2A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apparatus is installed for each uni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supply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p water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tap water leak detection device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oudness form in a normal case; FIG.
6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m of sound volume when a leak occu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누수 감지 시스템은, 단위구역 즉, 단위블록 별로 설치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60)와, 중계기(61,62)와, 수집기(71,72) 및 관리서버(810)를 구비한다.
2 to 5, the tap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 water leak detection device 60, the repeaters (61, 62) and the collector (installed per unit area, that is, unit blocks) 71 and 72 and a management server 810.

상기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60)는, 상수도관(50,5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50)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100)와, 통신부(200)와, 제어유닛(300), 전원공급부(400), 수압센서(500), 유량분석부(600)를 구비한다.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6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0, 50 '), the sound detection sensor 100 for detecting the sound of the water deliver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a control unit 300, a power supply unit 400, a water pressure sensor 500, and a flow rate analysis unit 600.

상기 상수도관(50,50')은 각 단위블록(구 또는 동단위)(A,B...)과 같은 비교적 큰 단위로 구분되는 큰 상수도관(51,52)에서 각 가정집(71)이나 사무실(72) 등으로 연결하는 지선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정수장의 물을 최종 목적지로 분기하여 공급하도록 설치된 관에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블록(A,B)은 예를 들어 도시를 기준으로 할 때, 각 구의 동이나 아파트 단지, 도로를 기준으로 구분된 블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water conduits 50, 50 'are each house 71 in large water conduits 51, 52, which are divided into relatively large units such as unit blocks (old or copper units) (A, B ...). It corresponds to the branch line which connects to the office 72, etc., and corresponds to the pipe installed so that the water of a purification plant may branch and supply to the final destination. Here, the unit blocks (A, B), for example, based on the city, may be divided into blocks divided based on the dong, apartment complex, road of each ward.

상기 소리 감지센서(100)는 상수도관(5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그 상수도관(50)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누수 여부 및 누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수도관(50)은 대부분이 땅속에 매몰되어 있거나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된 부분 즉, 수도 미터기(700)가 설치된 부분(수도 미터기함)에 굴착 작업 없이 설치되거나, 또는 지하에 매몰된 상수도관 및 밸브를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소위 제수변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sensor 10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0 to detect the size of the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pipe 50,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location of the leak. Since the water pipe 50 is mostly buried in the ground or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it is installed without excavation work on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portion (water meter box) installed water meter 700, Or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the so-called ditches provided to inspect the water pipes and valves buried underground.

이러한 소리 감지센서(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소리 전달부재(120)와, 떨림판(130)과, 소리 수집부(140) 및 체결부(150)를 구비한다.3 to 5, the sound sensor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a shaking plate 130, a sound collecting unit 140, and a fastening unit ( 150).

상기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통신부(200)와, 제어유닛(300) 및 전원공급부(400)가 설치된다.The housing 110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is completely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communication unit 200,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power supply unit 400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된 제1하우징(111)과, 제1하우징(111)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113) 및 지지돌기(115)를 구비한다. 상기 제1하우징(111)은 폐쇄된 일단부에 상기 소리 전달부재(120)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빈 공간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소리 전달부재(120)와 제1하우징(111)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리 전달부재(120)와 제1하우징(111)을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하게 되며, 상수도관(5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소리 전달부재(120)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손실 없이 제1하우징(111)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소리 센싱을 통한 누수 감지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housing 110 includes a first housing 111 formed of a metal material, a second housing 113 and a support protrusion 115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11. The first housing 11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a closed one end,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ther open end.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and the first housing 111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metal material, may be formed integrally, or may be combined by welding or the like. As such,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and the first housing 111 are formed of the same metal material, and the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installed to contact the water supply pipe 50 is not lost. It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the housing 111 can increase the leak detection reliability through sound sensing.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의 바닥으로부터 개방단부까지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115)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115)도 제1하우징(11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떨림판 지지돌기(115)는 소리 전달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111)을 관통하여 제1하우징(111)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소리 전달부재(120) 및 떨림판 지지돌기(115)를 통해 제1하우징(111) 내부에 설치되는 떨림판(130)으로 소리가 직접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소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115)는 제1하우징(111)의 밀폐된 일단부의 내부 바닥 중앙부분에서 개방된 타단부 까지 연장되게 설치된다.
The vibration plate supporting protrusion 115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111 to the open end. Preferably,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11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housing 111. In addition, more preferably,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11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to penetrate the first housing 111 to protrude into the first housing 111. Therefore, the sound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plate 130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1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member 120 and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115, so that the sound can be collected more effectively. do.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115 is installed to extend from the inner bottom center portion of the closed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111 to the other end opened.

상기 제1하우징(111)의 개방단부에서 확장형성된 플랜지부(111a)에는 오링(161)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161)를 사이에 두고 제2하우징(113)과 마주하여 상호 상보적으로 결합되며, 하우징(110)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되도록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flange portion 111a extended from the open end of the first housing 111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O-ring 161 is mounted, and faces the second housing 113 with the sealing member 161 therebetween. They are mutually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the housing 110 is firmly coupled so that the inside is sealed off from the outside.

상기 제2하우징(113)은 제1하우징(111)의 개방된 타단부에 접하여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이루며, 그 내부에 상기 제어유닛(300), 통신부(200) 및 전원공급부(4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리 수집부(140)도 상기 제2하우징(113) 내부에 상기 떨림판(130)과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떨림판(130)의 떨림시 발생되는 소리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하우징(113)은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113)의 개방된 단부에서 확장형성된 플랜지부(113a)는 제1하우징(111)의 플랜지부(111a)와 접하여 결합되는 곳으로서, 추가적인 실링부재(16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홈 또는 원형 띠 형상으로 실링부재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113 is coupled to contact the other open end of the first housing 111 to form a sealed inner space, the control unit 300,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power supply unit 400 therein.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sound collecting unit 140 is also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113 to face the vibration plate 130 to effectively collect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vibration plate 130 is shaken. The second housing 113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non-metal material,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flange portion 113a extended at the open end of the second housing 113 is a contact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111a of the first housing 111 and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 installing an additional sealing member 161. Alternatively, the sealing member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상기 떨림판(130)은 얇은 금속판으로서, 그 중앙부분이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115)의 단부에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떨림판(130)은 원 형상으로서, 상기 제1하우징(111)의 개방 단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형성된다.The vibration plate 130 is a thin metal plate,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an end of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115 by a screw or the like. The shaking plate 130 has a circular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 end of the first housing 111.

따라서 상기 소리 전달부재(120)와 제1하우징(1110 및 떨림판 지지돌기(115)를 통해 떨림판(130)으로 소리가 전달되며, 떨림판(130)이 전달된 소리 즉, 음파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소리가 증폭되어 상기 소리 수집부(140)에서는 소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plate 130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member 120 and the first housing 1110 and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115, and the vibration plate 130 is vibrated by the sound, that is, sound waves. As a result, the sound is amplified so that the sound collecting unit 140 can collect the sound more effectively.

상기 소리 수집부(140)는 상기 떨림판(130)과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소리 수집부(140)는 상기 제어유닛(300) 즉,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소리 수집용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소리는 상기 제어유닛(300)으로 전달된다.The sound collecting unit 140 is installed to face the vibration plate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13. The sound collecting unit 140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300, that is, a sensor module for collecting sound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1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상기 체결부(150)는 소리 전달부재(120)가 상수도관(50)에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수도관(50)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소리 전달부재(12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리 전달부재(120)에 체결되는 제1클램퍼(151)와, 제2클램퍼(15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클램퍼(151,152)는 상수도관(50)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서로의 일단이 서로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수도관(5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소리 전달부재(120)의 외주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조임너트(153)가 설치되고, 상기 조임너트(153)를 조정하여 상기 소리 전달부재(120)가 제1클램퍼(151)를 통과하여 상수도관(50)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50 is connected so that the sound transmission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0 in a state where the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50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sound transmission member 120. To this end, the first clamper 151 and the second clamper 152 fastened to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are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clampers 151 and 152 are coupled to surround the water pipe 50, one end of each other is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 is firmly coupled to the water pipe 50 by a bolt and nut, etc. Can be fastened. 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and a tightening nut 153 is installed, and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passes through the first clamper 151 to adjust the tightening nut 153. It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tube (50).

여기서 상기 체결부(150)도 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수도관(50)을 통해 소리 전달부재(120)로 소리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fastening part 150 may also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sound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120 through the water conduit 50.

상기 통신부(200)는 제2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3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00)에서 발송되는 데이터는 각 단위블록별(A,B)로 설치되는 중계기들(61,62)을 통해 수집기(71,72)로 수집되거나 또는 직접 수집기(71,72)로 수집된 후, 통신망(310)을 통해 원격의 관리센터(800)로 전송된다.The communication unit 20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113, and preferably include an antenna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The data sen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00 is collected by the collectors 71 and 72 through the repeaters 61 and 62 installed in each unit block (A and B) or collected by the collectors 71 and 72 directly. After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8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10).

즉, 통신부(200)는 소리 감지센서(100)에서 상수도관(5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리를 제어유닛(300)에서 판단한 결과 및 감지데이터가 각 단위블록(A,B)의 수집기(71,72)로 모아지도록 전송함으로써, 관리센터(800)의 관리서버(810)에서는 지역별, 즉 단위블록별(A,B)로 누수 감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계기(61,62)는 가로등이나, 전신주 등에 설치되는 무선리피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집기(71,72)는 블록별로 설치되는 케이트웨이를 포함하여, 통신망(310)을 통해 관리서버(8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수집기(71,72)는 CDMA 무선통신 또는 전용선 등의 유선통신 모두 가능하다.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200 detect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50 by the sound sensor 100 and determines the detected sound by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detection data is the unit blocks (A, B). By transmitting to the collector (71, 72) of the), the management server 810 of the management center 800 can collect the leak detection data by region, that is, unit blocks (A, B). Here, the repeaters 61 and 62 may include a wireless repeater installed in a street lamp or a telephone pole, and the collectors 71 and 72 include a gateway installed by blocks, and through a management network 310. Data may be sent to 810. That is, the collectors 71 and 72 are capable of both CDMA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such as a dedicated line.

상기 중계기(61,62)는 각 지역의 지형지물에 의한 통신 장애에 따라서 누수 감지장치(60)에서의 무선 데이터 전송 가능 거리가 감쇄될 수 있으므로, 누수 감지장치(60)들 간의 데이터를 중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repeaters 61 and 62 may reduc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istance from the leak detection device 60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failure caused by a feature of each region, thereby relaying data between the leak detection devices 60. Can transmit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제2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소리 수집부(140)와 상기 통신부(200) 및 전원공급부(400) 각각이 연결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 형태로 설치되는 제어유닛(300)에는 상시 소리 수집부(140)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신부(200) 및 전원공급부(400)로서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 circuit board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13, and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of the sound collecting unit 140,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power supply unit 400 are connected. have. The control unit 300, which is installed in the form of the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with a sound collecting unit 140, and a battery may be installed as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power supply unit 400.

이러한 제어유닛(300)은 소리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소리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50)에서 누수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unit 300 may determine whether a leak occurs in the corresponding water pipe 50 by analyzing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140.

즉, 누수 지점이 소리 감지센서(100)를 연결한 지점에서 가까울 경우 높은 음(고 주파수)의 소리가 난다(예를 들어 쐐~ 하는 소리). 반대로 누수 지점이 소리 감시센서(100)에서 멀 경우 낮은 음(저주파수)의 소리가 난다(예를 들어 웅~ 하는 소리). 따라서 이러한 소리가 전달되어 떨림판(130)이 떨리는 소리를 수집하여 측정된 소리의 크기를 제어유닛(300)에서 확인함으로써 누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leak point is close to the point where the sound sensor 100 is connected, a high sound (high frequency) sounds (for example, a wedge sound). On the contrary, when the leak point is far from the sound monitoring sensor 100, a low sound (low frequency) sounds (for example, a loud voice). Therefore, the sound is transmitted and the shaking plate 130 collects the trembling sound and checks the measured volume of the measured sound in the control unit 300 to determine whether a leak has occurred.

도 6a 및 도 6b는 정상적인 경우의 소리의 크기형태와 누수 발생시의 소리 크기의 형태를 예로 들어 보인 것으로서, 누수 발생시에는 누수로 인하여 기본적으로 집안에서 상수도를 사용하는 때보다 더 큰 소리가 발생하게 되며,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를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소리의 크기형태를 통해서 누수 여부 및 누수 확률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6A and 6B illustrate the form of sound volume in a normal case and the form of sound volume in case of a leak. In the case of a leak, a loud sound is generated by default due to a leak. Even if the water supply system is not used, it will continuously generate a certain amount of sou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leakage and the probability of leakage through the loudness form of the sound.

또한, 제어유닛(300)에서는 측정된 소리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특정 시간대에서 일정 주기 이상 지속 될 경우, 물이 누수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누수 확률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유닛(300)은 누수 확률값과, 측정된 소리 크기에 따른 데이터와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ID)를 함께 매칭시켜서 통신부(200)를 통해 원격의 관리서버(8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각 구역별 각 지선 즉, 최종 목적지로 연결되는 상수도관(50)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센서(100)는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ID)를 가지며, 고유 식별번호(ID)와 함께 전달되는 누수 감지데이터를 통해서 감지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determine that the water is leaked when the measured sound volume las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in a certain time perio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leak probability value. Therefore, the control unit 300 matches the leakage probability value, the data according to the measured loudness and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ogether,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to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8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0. That is, the leak detection sensor 100 installed in each branch line of each zone, that is, the water supply pipe 50 connected to the final destination ha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is transmitted along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Through the leak detection data, the detection position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상기 제2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리 수집부(140)와 통신부(200) 및 제어유닛(3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4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The power supply unit 400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13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sound collecting unit 140,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The power supply unit 400 may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상기 수압센서(500)는 상기 상수도관(50,50')에 설치되어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수도관(50,50')의 지상으로 노출된 부분(수도 미터기(700)가 상수도관(50)과 연결되는 소위 연결조인트 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압센서(500)는 상수도관(50,50')을 통해 이동하는 상수도물의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는 제어유닛(300)으로 전달된다. 제어유닛(300)은 수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누수가 발생할 경우 수용처로 인입되는 수압이 미리 측정되어 설정된 수압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수압의 변화량을 통해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최종 사용처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수압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지역별, 구역별로 일정한 수압이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지역 및 구역별 평균 수압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된 수압과 비교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water pressure sensor 500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50, 50 ') to measure the water pressure, preferably the portion (water meter 700) exposed to the ground of the water supply pipe (50, 50') It is installed in the so-called connecting joint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0). The water pressure sensor 500 measures the water pressure of the tap water moving through the water pipes 50 and 50 ', and the measu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e leakage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water pressure. That is, when a leak occurs, the water pressure drawn into the receiving destination is previously measured and lowered than the set water pressure. That is, the pressure of tap water supplied to each end use may be different, but since it is common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in each region and zone, the water leakage is compared with the measured pressure based on the average pressure in each region and region. It can be determined.

또한, 미리 사용처별로 정상적인 수압을 측정하여 정상적인 수압을 각 사용처별로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각 사용처별 정상적인 수압과 사용처별 측정된 수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누수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normal water pressure for each user in advance to obtain and store the normal water pressure for each user, and compare the normal pressure of each stored user and the measured pressure of each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leak occurred when the difference is out of the error range. have.

또한, 상기 유량 분석부(600)에서는 수도 미터기(700)에서의 유량측정치를 분석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함은 물론, 유량측정치를 검침정보로 활용하여 제어유닛(300)으로 전달한다. 즉, 유량 분석부(600)에서는 사용유량의 급격한 증가시 사용처 내부에서의 누수 발생 등으로 유추하여 이상신호 정보를 제어유닛(300)으로 전달하여 제어유닛(300)에서 이를 참고하여 누수여부를 판단하거나, 이상신호를 통신부(200)를 통해 소리감지 데이터와 함께 원격의 관리센터(800)로 전달함으로써, 관리서버(810)에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원격 검침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low rate analysis unit 600 analyzes the flow rate measurement value in the water meter 700 to determine whether the leak, as well as using the flow rate measurement as meter read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300. That is, the flow rate analyzer 600 infers the occurrence of leakage in the inside of the place of use when the flow rate rapidly increases, and transmits the abnormal sign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0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eak by referring to the control unit 300. Alternatively, by transmitting the abnormal signal to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800 together with the sound detection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0, it is possible to take follow-up measures in the management server 810, and also to enable remote meter reading.

상기 관리센터(800)에는 관리서버(810)와 상황표시 모니터(8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management center 800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810 and a status display monitor 820.

상기 관리서버(810)는 각 단위블록별(A,B)로 수집되어 전송되는 누수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누수 감지정보를 각 단위블록별(A,B) 사용처별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각 사용처별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관리서버(810)는 누수 발생 정보를 상황표시 모니터(820)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The management server 810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each unit block (A, B), and analyzes the received leak detection information for each unit block (A, B) by use destination and finally each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eak by each user.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810 displays the leak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status display monitor 82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check.

또한, 관리서버(810)는 누수 감지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누수 발생지역에 대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처리하게 된다. 즉, 누수 발생지역을 담당하는 담당자의 단말기(830)나 관리소(840)로 누수 발생정보(누수발생지점, 시기 등)를 전송하여 즉각 확인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통보하고, 확인 및 후속조치가 이루어졌는지 사후 점검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단말기(830)에 표시된 누수위치에 대한 정보 및 관리정보(점검, 수리 등의 명령신호)에 따라서 누수가 발생하는 지점을 쉽게 찾아내어 신속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810 is processed based on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to take the follow-up actions for the leak location. In other words, it transmits the leak occurrence information (leak occurrence point, timing, etc.) to the terminal 830 or the management station 840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leak occurrence area so that it can be immediately checked and processed, and confirmation and follow-up actions are made. You can perform a follow-up check if it is lost. Therefore, the manager can easily find the point where the leakage occur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leakage location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mmand signal, such as inspection, repair, etc.) displayed on the terminal 830, and can quickly check and repair.

또한, 관리서버(810)는 누수가 발생한 지점이 집(사무실) 내부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해당 집의 주인에게 안내정보를 발송할 수 있도록 관리소(840)로 명령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집주인에게 상수도의 누수 사실을 알려주어 과도한 물 사용으로 인한 비용의 발생을 줄이고, 사용자의 민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anagement server 810 is confirmed that the leak occurs in the house (office), by sending a command signal to the management office 840 to send the guide information to the owner of the home, the water supply to the landlord By noticing leaks, the company can reduce the cost of excessive water use and greatly reduce the user's complaints.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소리 감지센서 110..하우징
120..소리 전달부재 130… 떨림판
140..소리 수집부 200..통신부
300..제어유닛 400..전원공급부
500..수압센서 600..유량분석부
700..수도 미터기 800..관리센터
100. Sound sensor 110. Housing
120. Sound transmitting member 130... Tremor
140. Sound collection unit 200 Communication unit
300. Control unit 400. Power supply
500. Water pressure sensor 600. Flow rate analysis part
700 .. Water meter 800 .. Management Center

Claims (11)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소리 감지센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통신부 및 제어유닛이 설치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금속재질 부분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하는 소리 전달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리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되는 소리에 의해 떨리는 떨림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떨림판의 떨리는 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소리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A sound sensor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and detecting a sound of water deliver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ound sensor;
And a control unit which analyze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ound sensor and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water pipe leaks, and transmits a check result remo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sensor,
A housing having at least a portion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having an empty space in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installed;
A sound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from a metal part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to transmit a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nto the housing;
A vibration plat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is shaken by a sound transmitt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member;
And a sound collect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ollecting the trembling sound of the trembling plate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sound to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폐쇄된 일단부 상기 소리 전달부재가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에 접하여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제어유닛과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소리 수집부가 설치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폐쇄된 일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떨림판을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떨림판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소리 연결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는 상기 제1하우징,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를 통해 상기 떨림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A first hous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having a closed end connected to the sound transmitting member and having an empty sp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ther end opene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the other open end of the first housing to form an enclosed interior space, the second housing having th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ound collection unit installed therein;
And a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formed of a metal material which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closed end of the first housing toward the second housing to support the vibration plate.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and the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connecting member is delivered to the vibration plate through the first housing,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leakage leak detec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떨림판은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타단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그 중심에서 상기 떨림판 지지돌기와 연결되며,
상기 떨림판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소리 수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vibration plate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ther ope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plate support protrusion at the center thereof.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collector is installed in a position facing the vibrat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리 수집부, 상기 통신부 및 제어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sound collect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압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는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further includes a water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ater pressur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로부터 유량 감지데이터를 전달받아, 유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검침하는 유량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flow rate analysis unit for receiving the flow rate detection data from the water meter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and analyzes the change in the flow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로부터 유량 감지데이터를 전달받아, 유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유량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flow rate analysis unit for receiving the flow rate detection data from the water meter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flow rate and to measure the water consump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감지센서는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는 수도 미터기함 또는 제수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ound sensor is a tap water leak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water meter box or the distillation valve is installed water me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37847A 2011-04-22 2011-04-22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KR101062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847A KR101062361B1 (en) 2011-04-22 2011-04-22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847A KR101062361B1 (en) 2011-04-22 2011-04-22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361B1 true KR101062361B1 (en) 2011-09-05

Family

ID=4495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847A KR101062361B1 (en) 2011-04-22 2011-04-22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361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90B1 (en) * 2011-09-1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System and method monitoring a water leak
WO2016085091A1 (en) * 2014-11-28 2016-06-02 주식회사 유솔 Water supply meter and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KR20170006149A (en) 2015-07-07 2017-01-17 (주)본테크놀러지 Leakage detecting apparatus
KR101721364B1 (en) 2015-10-30 2017-04-10 김창영 water control valve MANAGEMENT METHOD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KR101756207B1 (en) * 2016-01-20 2017-07-10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Safety device for the subsurface water upper equipment having leakage detection and security function
KR101827949B1 (en) * 2017-07-14 2018-02-12 이에스피 주식회사 A leak sensing device for a meter
KR20190019466A (en) * 2017-08-17 2019-02-27 조선남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leakage detec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2923245A (en) * 2021-02-03 2021-06-08 宁波水表(集团)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water supply pipe network
KR20230082780A (en) 2021-12-02 2023-06-09 한국토지주택공사 A Leak Sensing Apparatus for Water Pipes and Leak Sens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129102A (en) * 2022-02-28 2023-09-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Apparatus detecting leakage of val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39B1 (en) * 2000-12-11 2003-11-20 주식회사 셈즈 Water leakout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KR100947246B1 (en) * 2009-08-07 2010-03-11 오광석 A leak sencing system and apparatus for sencing of leak
KR100973662B1 (en) * 2010-01-20 2010-08-03 주식회사 유앤유소프트 Water leakage position estim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39B1 (en) * 2000-12-11 2003-11-20 주식회사 셈즈 Water leakout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KR100947246B1 (en) * 2009-08-07 2010-03-11 오광석 A leak sencing system and apparatus for sencing of leak
KR100973662B1 (en) * 2010-01-20 2010-08-03 주식회사 유앤유소프트 Water leakage position estimating system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90B1 (en) * 2011-09-1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System and method monitoring a water leak
US10209114B2 (en) 2014-11-28 2019-02-19 Usol Co., Ltd. Water meter and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WO2016085091A1 (en) * 2014-11-28 2016-06-02 주식회사 유솔 Water supply meter and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KR101627793B1 (en) * 2014-11-28 2016-06-07 주식회사 유솔 A water meter and a waterworks controll system using the same
KR20170006149A (en) 2015-07-07 2017-01-17 (주)본테크놀러지 Leakage detecting apparatus
KR101721364B1 (en) 2015-10-30 2017-04-10 김창영 water control valve MANAGEMENT METHOD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KR101756207B1 (en) * 2016-01-20 2017-07-10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Safety device for the subsurface water upper equipment having leakage detection and security function
KR101827949B1 (en) * 2017-07-14 2018-02-12 이에스피 주식회사 A leak sensing device for a meter
KR20190019466A (en) * 2017-08-17 2019-02-27 조선남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leakage detec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955808B1 (en) * 2017-08-17 2019-03-07 조선남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leakage detec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2923245A (en) * 2021-02-03 2021-06-08 宁波水表(集团)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water supply pipe network
CN112923245B (en) * 2021-02-03 2024-02-13 宁波水表(集团)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exploring leakage of water supply network
KR20230082780A (en) 2021-12-02 2023-06-09 한국토지주택공사 A Leak Sensing Apparatus for Water Pipes and Leak Sens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129102A (en) * 2022-02-28 2023-09-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Apparatus detecting leakage of valve
KR102575886B1 (en) * 2022-02-28 2023-09-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Apparatus detecting leakage of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361B1 (en)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US10209114B2 (en) Water meter and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KR101250955B1 (en) A leak sencing apparatus
KR100947246B1 (en) A leak sencing system and apparatus for sencing of leak
CN205785299U (en) A kind of piping lan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EP1805492B1 (en) Tracking vibrations in a pipeline network
KR101107085B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7668670B2 (en) Tracking vibrations in a pipeline network
CN205405824U (en) Detection alarm system of leaking based on wireless network
KR100855170B1 (en) Sewer pipe monitoring system
CN201273457Y (en) Pipe leakage monitoring device
KR101406507B1 (en) Acoustic/pressure complex sensing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of water pipe
US118026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monitoring of the condition of pipeline components
KR101382232B1 (en) Leak sensing system
CN206694848U (en) A kind of leak detecting device for gas pipeline
KR20180065581A (en) Ultrasonic water meter with freeze protection function, leak detecting system including the ultrasonic water meter and leaking point edtecting method usinf the system
US11340133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gas-leakage along an underground pipeline system
KR100406239B1 (en) Water leakout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KR102313851B1 (en) Water leak detection system
KR20050026445A (en) Automatic pressure and spot sound transmission device for waterworks
KR101185368B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CN207528302U (en) It is a kind of to carry out level monitoring device using ultrasonic sensor
JP2001311676A (en) Water leak-detecting system
CN211576487U (en)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KR20020088856A (en) Water supply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