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558B1 - How to search for songs in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 Google Patents

How to search for songs in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558B1
KR101058558B1 KR1020090136280A KR20090136280A KR101058558B1 KR 101058558 B1 KR101058558 B1 KR 101058558B1 KR 1020090136280 A KR1020090136280 A KR 1020090136280A KR 20090136280 A KR20090136280 A KR 20090136280A KR 101058558 B1 KR101058558 B1 KR 101058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character
input
search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9264A (en
Inventor
이원수
서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090136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558B1/en
Publication of KR2011007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은, (a) 필기입력 곡 검색기의 입력부의 대기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b) 노래반주기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곡의 검색어를 상기 입력부 위에 필기 입력을 하는 단계와; (c) 필기 입력된 상기 검색어의 입력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상기 검색어의 입력 문자를 판독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입력 문자의 판독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에서 문자 판독이 성공한 경우, 상기 입력 문자와 가장 근접한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문자의 코드 변환을 실시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 (e)에서 문자 코드 변환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문자 코드 변환이 성공한 경우, 상기 문자 코드를 상기 노래반주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song retrieval method of a karaoke cycle using a handwriting input. A song searching method of a song cycle period using the disclosed handwriting input includes: (a) selecting a specific mode by a user in a standby mode of an input unit of a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b) writing a search word of a song to be searched in a song cycle on the input unit; (c) preprocessing input data of the search word input by hand, and reading input characters of the search word; (d) determining whether the reading of the input character was successful in step (c); (e) if the character reading is successful in step (d), extracting the character closest to the input character and performing code conversion of the extracted character; (f) determining whether character code conversion was successful in step (e); (g) if the character code conversion is successful in step (f), transmitting the character code wirelessly to the song cycle.

필기 입력, 노래반주기, 곡 검색기, 터치스크린 Handwriting, Karaoke, Song Finder, Touch Screen

Description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METHOD OF SEARCHING TUNE IN KARAOKE PLAYER USING HANDWRITING INPUT}How to search for songs in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METHOD OF SEARCHING TUNE IN KARAOKE PLAYER USING HANDWRITING INPUT}

본 발명은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노래반주기에서 찾고자 하는 곡의 검색어를 필기입력 곡 검색기의 입력부에 직접 필기하여 쉽고 편리하게 곡이 검색되도록 개선된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ng search method of song cycle period using a handwriting input, and more particularly, a user can directly write a search term of a song to be searched in the song cycle period to the input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to search for a song easily and conveniently. It relates to a song retrieval method of the song group cycle using the handwritten input.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의 곡을 선곡하여 재생하려면, 곡의 리스트가 기재된 책에서 직접 찾아 그 곡에 해당하는 곡의 번호 또는 곡의 제목을 리모콘의 입력버튼 또는 노래반주기의에 구비된 입력버튼을 직접 눌러야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select and play a song in a song cycle, you need to find it directly in a book that contains a list of songs, and press the input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or the input button of the song cycle to find the song number or title of the song. do.

이와 같이 종래의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은, 곡의 제목을 가나다순으로 분류하여 기재된 책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부를 노래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song search method of the song group cycle, the user selects a song to be sung using a book written by sorting the titles of the songs in alphabetical order.

이렇게 곡의 검색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의 노래반주기에는, 선곡을 위한 키입력부와, 키입력 신호를 인식하고 선곡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내부 반주 정보를 출력하는 음원회로와, 이 음원회로에서 출력되는 노래 반주신호와 마이크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회로와, 내부 반주 정보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회로가 구비되어 있다.In order to allow a user to sing a song in this manner, a conventional song group cycle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selecting a song,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a key input signal and performing selection control, and an internal accompani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sound source circu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 audio output circuit for outputting a song accompaniment signal and a microphone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circuit, and a video output circuit for outputting lyrics data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accompaniment information as a video signal are provided.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순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1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song searching method of the song group cy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곡의 제목과 그 제목에 대응하는 선곡 번호(가수 이름 포함)가 기재된 책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부를 노래의 곡명을 선택한다.(단계 101)Referring to Fig. 1, first, a song name of a song to be sung by a user is selected using a book in which the title of the song and the song number (including the singer's name) corresponding to the title are written.

이렇게 곡명을 선택한 후, 해당 곡명에 해당하는 곡의 번호를 노래반주기에 입력한다.(단계 102) After selecting the song name in this way, the number of the song corresponding to the song name is input to the song cycle (step 102).

이러한 입력방법은 키입력부를 이용해서 곡의 번호로 입력하면, 이를 제어부가 인식하여 음원회로에서 해당 곡목의 노래 반주 정보를 생성하고, 마이크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노래반주 신호를 음성 출력회로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하며, 또 선곡된 곡의 가사 데이터도 생성하여 영상 출력회로를 통해 모니터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된다.(단계 103)In this input method, when a song is input using a key input uni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song accompaniment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ong accompanime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ong in the sound source circuit, and the user inputs a microphone input voice signal and the song accompaniment signal into a voice output circuit. Through the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lyrics data of the selected song is also generated and output to the monitor screen through the image output circuit so that the user can sing a desired song (step 103).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은, 곡 제목의 곡 번호를 숙지하여 키입력부로 숫자(또는 문자)를 눌러서 선곡을 해야 되므로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들은 매우 불편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song search method of the karaoke cycle, it is very inconvenient for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keyboard because they need to know the song number of the song title and press a number (or letter) with the key input unit.

그리고 종래의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에 이용되는 리모콘은 키보드 모양에 가까울 뿐이지 버튼식이므로 많은 글자를 눌러 입력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used in the song search method of the conventional song group cycle is only a keyboard shape, but it is difficult to input by pressing many letters.

이와 같이 종래의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은, 키보드 모양의 전용 리모콘 으로 곡명이나 가수 명으로 검색하였지만, 다.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특히 노년층들에게는 매우 불편한 검색방법이었다.As described above, the song search method of the song group cycle is performed by the name of the song or the name of the singer with a keyboard-type dedicated remote controller. It was a very uncomfortable search method for older people who were not familiar with the keyboar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노래반주기에서 찾고자 하는 곡의 검색어를 필기입력 곡 검색기의 입력부에 직접 필기하여 검색할 수 있게 하여,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이 쉽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r can directly search the search terms of the song to be found in the song cycle period by writing directly to the input unit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it is easy and convenient to search songs of the song cycle peri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ng retrieval method of a karaoke cycle using a handwriting input that can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은, (a) 필기입력 곡 검색기의 입력부의 대기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b) 노래반주기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곡의 검색어를 상기 입력부 위에 필기 입력을 하는 단계와; (c) 필기 입력된 상기 검색어의 입력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상기 검색어의 입력 문자를 판독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입력 문자의 판독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에서 문자 판독이 성공한 경우, 상기 입력 문자와 가장 근접한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문자의 코드 변환을 실시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 (e)에서 문자 코드 변환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문자 코드 변환이 성공한 경우, 상기 문자 코드를 상기 노래반주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h) 상기 단계 (g)에서 전송한 상기 문자 코드를 상기 노래반주기가 수신하는 단계와; (i) 수신한 상기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의 곡목 데이터베이스에서 곡을 검색하는 단계와; (j) 상기 단계 (i)에서 곡 검색이 성공한 경우,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검색된 곡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i)에서, 상기 노래반주기의 곡목 데이터베이스 검색은, (k) 상기 검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문자 코드와 관련된 곡의 검색어를 입력하는 단계와; (l)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문자의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와; (m) 상기 곡의 검색어와 관련된 대표 문자를 추출하는 단계와; (n) 상기 식별자와 상기 대표 문자를 비교하는 단계와; (o) 상기 단계 (n)에서 상기 식별자와 상기 대표 문자가 같은 경우, 검색하고자 하는 곡명을 식별자 별로 분류하는 단계와; (p) 더 이상 분류할 곡명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q) 상기 단계 (p)에서 더 이상 분류할 곡명이 없다고 판단되면, 분류한 곡명을 각 식자별로 이진 트리 형태로 정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ng searching method of a song group cycle using a handwriting input, comprising: (a) selecting a specific mode by a user in a standby mode of an input unit of a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b) writing a search word of a song to be searched in a song cycle on the input unit; (c) preprocessing input data of the search word input by hand, and reading input characters of the search word; (d) determining whether the reading of the input character was successful in step (c); (e) if the character reading is successful in step (d), extracting the character closest to the input character and performing code conversion of the extracted character; (f) determining whether character code conversion was successful in step (e); (g) if the character code conversion is successful in step (f),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haracter code to the song cycle period; (h) receiving, by the karaoke cycle, the character code transmitted in step (g); (i) retrieving a song from the song database of the song cycle period using the received character code; (j) if the song search is successful in the step (i), displaying a list of found songs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connected to the song cycle period;
In the step (i), the music database search of the song cycle period may include: (k) inputting a search word of a song related to the character code into the search database; (l) setting an identifier of a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search word; (m) extracting a representative character associated with a search word of the song; (n) comparing the identifier with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 classifying a song name to be searched for by identifier if the identifier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are the same in step (n); (p)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any more songs to classify; (q) if it is determined in step (p) that there are no more song names to classify, sorting the classified song names in binary tree form for each typewriter to create a databa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래반주기에서 찾고자 하는 곡의 검색어를 필기입력 곡 검색기의 입력부에 직접 필기하여 찾고자 하는 곡을 검색할 수 있어, 버튼 입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쉽고 편리한 곡의 검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arch for a song to be found by writing the search word of the song to be found in the song cycle period directly to the input unit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sy and convenient way of searching for so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 중 필기입력 곡 검색기에서의 검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search method in a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among song search methods in a karaoke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이 적용된 곡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도 3a의 필기입력 곡 검색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상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c에는 도 3b의 입력부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d에는 도 3a의 노래반주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상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3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ng search system to which a song search method of a karaoke period using the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FIG. 3B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of FIG. 3A.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put unit of FIG. 3B, and FIG. 3D illustrate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music recording cycle of FIG. 3A. Is shown.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은, 우선, 필기입력 곡 검색기(30)의 터치 스크린(30b)의 대기모드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펜이나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30b)에 구비된 입력부(30a) 를 통해 특정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110)Referring to each of thes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ng search method of the song group cycle using the handwriting input, first,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of the touch screen 30b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for example, with a pen or finger; The specific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30a provided in the touch screen 30b.

여기서, 상기 특정 모드는 한글, 영문, 숫자의 입력키(32,33,34)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필기입력 곡 검색기(30)에서, ←는 입력한 문자 및 숫자를 지우는 지우기 키(delete key)(35)이고, →는 스페이스 기능이 있는 건너뛰기 키(space key)(36)이다. 또한 완료는 입력 완료키(37)이며, 도면부호 31은 필기 입력 패널부이다.Here, the specific mode is selected from the input keys 32, 33, 34 of Korean, English, and numbers. In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 is a delete key 35 to delete the entered letters and numbers, and → is a space key 36 with a space function. Completion is an input completion key 37, and reference numeral 31 is a handwriting input panel unit.

이어서, 노래반주기(10)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곡의 검색어를 입력부(30a) 위에 구비된 상기 필기 입력 패널부(31)에 필기 입력을 한다.(단계 120) Subsequently, a handwriting input is performed on the handwriting input panel unit 31 provided on the input unit 30a with the search word of the song to be searched for in the song cycle period 10 (step 120).

예컨대, 입력 키 중 한글을 선택하고, 입력 패널부(31)에 '동'이라는 쓴다.For example, Korean is selected from the input keys, and the word 'dong' is written in the input panel unit 31.

상기와 같이 필기 입력된 검색어의 입력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상기 검색어의 입력 문자를 판독한다.(단계 130)As described above, the input data of the handwritten input search word is preprocessed, and the input character of the search word is read (step 130).

즉, 필기 입력을 시작하면, 터치 스크린(30b)의 터치센서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추출하여 입력 데이터 중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는 전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 후, 상기 입력 문자를 판독한다.That is, when the writing input is started, the electronic signal is extracted from the touch sensor of the touch screen 30b to perform a preprocessing operation of removing unnecessary data from the input data. Then, the input character is read.

상기 단계 130에서 입력 문자의 판독이 성공했는지 판단한다.(단계 140)In step 1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ding of the input character is successful (step 140).

만약, 상기 단계 140에서 문자 판독이 성공한 경우, 상기 입력 문자와 가장 근접한 문자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문자의 코드 변환을 실시한다.(단계 150)If the character reading is successful in step 140, the character closest to the input character is extracted and code conversion of the extracted character is performed (step 150).

즉, 문자 판독 후 미리 모델이 되는 문자를 학습한 학습 데이터베이스(DB)(30e)에서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문자를 추출하고, 추출한 문자를 코드 변환 예컨대, 한글 같은 경우 KSC5601 코드 변환 작업을 실시한다.That is, after reading the character, the character that is a model is compared in advance in the learned training database (DB) 30e, and the closest character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character is subjected to KSC5601 code conversion in the case of code conversion, for example, Hangul.

상기 단계 150에서 문자 코드 변환이 성공했는지 판단한다.(단계 160)In step 1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code conversion is successful (step 160).

상기 단계 160에서 문자 코드 변환이 성공한 경우, 문자 코드를 필기입력 곡 검색기(30)의 제어부(30c)가 무선 송수신부(30d)를 통해 노래반주기(10)에 전송한다.(단계 170)If the character code conversion is successful in step 160, the control unit 30c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transmits the character code to the singing cycle period 1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30d (step 170).

여기서, 무선 전송은, 필기입력 곡 검색기(30)의 무선 송수신부(30d) 및 노래반주기(10)의 무선 송수신부(10a)를 각각 이용하여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wireless transceiver 30d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10a of the music recording period 10, respectively.

이러한 무선 송수신은, 근거리에 적용되므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Radio Frequency) 등의 무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하면 된다.Since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applied at a short range, for example, any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and RF (Radio Frequency) can be used. You can do it by selecting.

이렇게 무선통신 방식으로 필기입력 곡 검색기(30)로부터 필기입력에 의한 곡 검색어가 노래반주기(10)로 전송된 이후의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을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ong search method using the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ong search word by the handwriting input from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 중 노래반주기에서의 검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search method in a song cycle among song search methods of a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 170에서 전송한 문자 코드를 무선 송수신부(10a)를 이용하여 노래반주기(10)가 수신한다.(단계 210)Referring to FIG. 4, the song code period 10 receives the character code transmitted in step 170 by using the wireless transceiver 10a. (Step 210).

이렇게 수신한 문자 코드는 제어부(10b)의 내부 메모리(10ba)에 저장하는 동시에 제어부(10b)는 수신한 문자 코드를 참조하여 노래반주기(10)의 곡목 데이터베이스(DB)(10c)에서 곡을 검색한다.(단계 220)The received character code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10ba of the controller 10b, and the controller 10b searches for a song in the music database DB of the song group 10 by referring to the received character code. (Step 220)

상기 단계 220에서 곡 검색이 성공한 경우, 노래반주기(10)의 제어부에서는 이를 영상처리부(10d)에 보내 디스플레이(2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20)의 화면에 검색된 곡의 리스트가 표시된다.(단계 230)If the song search is successful in step 220, the control unit of the singing cycle period 10 sends it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0d so that it can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the list of songs foun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Is displayed (step 230).

즉, 노래반주기(10)에서는 전송 받은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빠르게 곡목 데이터베이스(DB)(10c)를 검색해야 실시간으로 곡명을 보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목 데이터베이스(DB)(10c)를 상기와 같은 방법(단계 210~230)으로 미리 구성하여 입력된 코드값을 찾고, 디스플레이(20)의 화면에 표시한다.That is, in the song group cycle 10, the song title database (10) can be quickly searched for the song title in real time by using the received character code. Accordingly, the grain database (DB) 10c is previously configured by the above method (steps 210 to 230) to find the input code value, and to display i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특히, 상기 단계 220의 노래반주기(10)의 곡목 데이터베이스의 검색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the search method of the music database of the song cycle period 10 of step 2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 중 노래반주기의 곡목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곡 검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song searching method in a song database of a song cycle in a song search method using a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 5의 검색방법은 전체 콘텐츠에 대한 곡명 및 가수 명(singer's name)을 어떻게 분류 할 것인가에 대한 알고리즘이다.The search method of FIG. 5 is an algorithm for classifying song names and singer's names for all contents.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곡목 데이터베이스(10c)에 문자 코드와 관련된 곡의 검색어를 입력한다.(단계 310)Referring to FIG. 5, first, a search word of a song related to a character code is input to the music piece database 10c.

이어서,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문자의 식별자를 설정한다.(단계 320)Subsequently, an identifier of a character related to the search word is set.

한글 같은 경우 식별자, id_string[]={"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그리고 영문인 경우 식별자={"A","B","C","D","E","F","G","H","I","J","K","L","M","N","O","P","Q","R","S ","T","U","V","W","X","Y","Z"}, 숫자인 경우 식별자={숫자: "0","1","2","3","4","5","6","7","8","9"}In case of Hangul, Identifier, id_string [] = {"" "," I "," Dah "," La "," M "," Bah "," Sa "," A "," Za "," Cha ", "Car", "ta", "wave", "lower"}, and in English, identifier = {"A", "B", "C", "D", "E", "F",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U", "V", "W", "X", "Y", "Z"}, if numeric identifier = {number: "0", "1", "2", " 3 "," 4 "," 5 "," 6 "," 7 "," 8 "," 9 "}

또한 mjr_ch= 곡명 대표문자, id_idx=현재 식별자 위치로 각각 설정한다.In addition, mjr_ch = music name representative character, id_idx = current identifier position,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곡의 검색어와 관련된 대표 문자를 추출한다.(단계 330) 즉, 곡명이나 가수 명에서 대표문자를 추출한다.The representative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search word of the song is extracted (step 330). That i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s extracted from the name of the song or the singer.

또한 해당 식별자와 추출한 대표 문자를 비교{if(mjr_ch==id_string[id_idx])}한다.(단계 340)In addition, the identifier is compared with the extracted representative character {if (mjr_ch == id_string [id_idx])} (step 340).

상기 단계 340에서 식별자와 대표 문자가 같은 경우, 검색한 곡명을 식별자 별로 분류한다.(단계 350)If the identifier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are the same in step 340, the searched song names are classified by identifier.

그리고 더 이상 분류할 곡명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 360)It is then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any more songs to classify (step 360).

상기 단계 360에서 더 이상 분류할 곡명이 없다고 판단되면, 분류한 곡명을 각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자별로 이진 트리 형태로 정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단계 370) 즉, 전체 콘텐츠에 대한 곡명 및 가수명을 식별자별로 분류하고 분류한 식별자별로 이진트리 정렬형태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놓는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60 that there are no more song names to classify, the sorted song names are sorted in binary tree form for each typewriter as shown in FIG. 6 (step 370), that is, the song names for all contents. And the singer names are sorted by identifier and the database is made in binary tree sorted form according to the sorted identifier.

따라서 도 6과 같은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파일들은 구성되며, 곡명이나 가수 명의 대표문자로 해당 식별자별로 분류한 후 이진 트리 형태로 정렬시킨다.Therefore, the database files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6, sorted by the identifier by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the song name or the singer's name, and sorted in a binary tree form.

한편, 상기 단계 340에서 상기 식별자와 대표 문자가 다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식별자(id_idx++)로 이동하여 다시 해당 식별자와 추출한 대표 문자를 비교한 후, 상기 단계 340의 식별자와 대표 문자가 같을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단계 380)On the other hand, if the identifier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s different in step 340, as shown in Figure 6, after moving to the next identifier (id_idx ++) and compares the identifier and the extracted representative character again, the identifier of step 340 and Repeat until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s the same (step 380).

즉, 다음 식별자(id_idx++)로 이동하여 비교한 후, 해당 식별자와 추출한 대표 문자가 같을 때까지 식별자 수만큼 반복한다.That is, it moves to the next identifier (id_idx ++), compares it, and repeats the number of identifiers until the identifier and the extracted representative character are the same.

그리고 상기 단계 360에서 더 분류할 곡명이 있다고 판단되면, 다음의 곡명을 얻어오고, 상기 단계 330부터 재 수행한다.(단계 390)If it is determined in step 360 that there are song names to be further classified, the next song name is obtained, and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step 330 (step 390).

실시예Example

상기 노래반주기(10)에서 곡명, "동백아가씨"를 찾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case in which the song title, “camellia chick” is to be found in the singing cycle period 10.

도 7a는 검색어가 입력되기 전의 디스플레이(20)의 실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7a의 디스플레이(20)의 화면에서 한글입력부(21)가 공백으로 되어 있다.7A illustrates an actual screen of the display 20 before a search word is input. Therefore, the Hangul input unit 21 is blank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of FIG. 7A.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의 화면에서 한글입력부(21)에 '동'이라는 한글 문자가 입력되었다. 이는 상기 필기입력 곡 검색기(30)의 입력부(30a)에서 필기입력 패널부(31)에 '동'이라는 필기한 후, 입력 완료키(37)를 누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필기입력 곡 검색기(30) 및 노래반주기(10)의 동작에 의해 한글입력부(21)에 '동'이란 글자기 입력된 것이다.As shown in FIG. 7B, a Hangul character 'dong' is input to the Hangul input unit 21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This is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put unit 30a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writes 'dong' in the handwriting input panel unit 31 and then presses the input completion key 37. And by the operation of the song half cycle 10 is the letter 'dong' is input to the Hangul input unit 21.

그러면, '동'으로 시작하는 곡 리스트가 디스플레이(20)의 화면에 '가나다'순서대로 표시(또는 출력)된다.Then, the list of songs starting with 'dong' is displayed (or output) in the order of "going through"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또한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해서 '백'과 '아'라는 글자를 연속하여 입력하면, 디스플레이(20)의 화면상에서 출력되는 곡들의 범위가 줄어들면서 표시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C and 7D, when the letters 'white' and 'a' are continuously inp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range of song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is reduced and displayed. Will be.

이렇게 줄어든 범위의 곡 리스트에서 찾고자 하는 곡을 선택하면 된다.From the list of songs in this reduced range, select the song you want to fin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은, 필기입력 곡 검색기(30), 노래반주기(10), 디스플레이(20)로 구성된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노래반주기(10)에서는 필기입력 곡 검색기(30)에서 입력된 필기를 한 자씩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고, 노래반주기(10)에서는 곡명 데이터베이스(DB)(10c)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20)의 화면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매우 편리하게 노래반주기(10)의 곡을 검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ng retrieval method using the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karaoke device consisting of a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a karaoke period 10, the display 20, In the 10)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30 transmits the handwriting inpu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one by one, in the music cycle period 10 to search the song name database (DB) (10c) to show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0 It is very convenient to search the songs of the song group cycle 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순서도.1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conventional song search method of the karaoke cyc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 중 필기입력 곡 검색기에서의 검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search method in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of the song search method of the song half cycle using the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이 적용된 곡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Figure 3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ng search system to which the song search method of the karaoke cycle using a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필기입력 곡 검색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상세 블록 구성도.Figure 3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song searcher of Figure 3a in more detail.

도 3c는 도 3b의 입력부의 상세도.3C is a detailed view of the input unit of FIG. 3B.

도 3d는 도 3a의 노래반주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상세 블록 구성도.FIG. 3D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ong cycle of FIG. 3A;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 중 노래반주기에서의 검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search method in the song cycle of the song search method of the song cycle period using the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 중 노래반주기의 곡목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곡 검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FIG. 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song searching method in a song title database of a singing period in a song searching method using a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식별자별로 분류한 후 이진 트리 형태로 정렬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atabase file of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ong search method of a karaoke cycle using a handwriting input is sorted by an identifier and sorted in a binary tree form; FIG.

도 7a 내지 도 7d는 노래반주기에서 곡명, "동백아가씨"를 찾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검색어가 입력될 때 디스플레이의 실제 화면을 도시한 도면.7A to 7D are diagrams showing actual screens of a display when a search word is input by taking a case where a song name, “camellia chick” is to be found in a song cycle, as an examp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노래반주기10. Singing

20. 디스플레이20. Display

30. 필기입력 곡 검색기30. Handwriting Song Finder

30a. 입력부30a. Input

30b. 터치 스크린30b. touch screen

30c. 제어부30c. Control

31. 필기 입력 패널부31. Handwriting input panel

37. 입력 완료키37. Input complete key

Claims (5)

(a) 필기입력 곡 검색기의 입력부의 대기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a) selecting a specific mode by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of the input unit of the handwriting input music searcher; (b) 노래반주기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곡의 검색어를 상기 입력부 위에 필기 입력을 하는 단계와;(b) writing a search word of a song to be searched in a song cycle on the input unit; (c) 필기 입력된 상기 검색어의 입력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상기 검색어의 입력 문자를 판독하는 단계와;(c) preprocessing input data of the search word input by hand, and reading input characters of the search word;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입력 문자의 판독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d) determining whether the reading of the input character was successful in step (c); (e) 상기 단계 (d)에서 문자 판독이 성공한 경우, 상기 입력 문자와 가장 근접한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문자의 코드 변환을 실시하는 단계와;(e) if the character reading is successful in step (d), extracting the character closest to the input character and performing code conversion of the extracted character; (f) 상기 단계 (e)에서 문자 코드 변환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f) determining whether character code conversion was successful in step (e); (g)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문자 코드 변환이 성공한 경우, 상기 문자 코드를 상기 노래반주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와;(g) if the character code conversion is successful in step (f),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haracter code to the song cycle period; (h) 상기 단계 (g)에서 전송한 상기 문자 코드를 상기 노래반주기가 수신하는 단계와;(h) receiving, by the karaoke cycle, the character code transmitted in step (g); (i) 수신한 상기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의 곡목 데이터베이스에서 곡을 검색하는 단계와;(i) retrieving a song from the song database of the song cycle period using the received character code; (j) 상기 단계 (i)에서 곡 검색이 성공한 경우, 상기 노래반주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검색된 곡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j) if the song search is successful in the step (i), displaying a list of found songs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connected to the song cycle period; 상기 단계 (i)에서, 상기 노래반주기의 곡목 데이터베이스 검색은,In the step (i), the music database search of the song cycle period, (k) 상기 검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문자 코드와 관련된 곡의 검색어를 입력하는 단계와;(k) inputting a search word of a song related to the character code into the search database; (l)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문자의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와;(l) setting an identifier of a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search word; (m) 상기 곡의 검색어와 관련된 대표 문자를 추출하는 단계와;(m) extracting a representative character associated with a search word of the song; (n) 상기 식별자와 상기 대표 문자를 비교하는 단계와;(n) comparing the identifier with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 상기 단계 (n)에서 상기 식별자와 상기 대표 문자가 같은 경우, 검색하고자 하는 곡명을 식별자 별로 분류하는 단계와;(o) classifying a song name to be searched for by identifier if the identifier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are the same in step (n); (p) 더 이상 분류할 곡명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p)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any more songs to classify; (q) 상기 단계 (p)에서 더 이상 분류할 곡명이 없다고 판단되면, 분류한 곡명을 각 식자별로 이진 트리 형태로 정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q) if it is determined in step (p) that there are no more song names to classify, creating a database by sorting the classified song names in a binary tree form for each typewriter; a song using a handwriting input comprising: How to search for songs in half cy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n)에서 상기 식별자와 상기 대표 문자가 다른 경우, 다음의 식별자로 이동하여 다시 비교한 후, 상기 단계 (n)을 상기 식별자와 상기 대표 문자가 같을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If the identifier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are different in the step (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peating the step (n) until the identifier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are the same after moving to the next identifier and comparing the same again. Song retrieval method of the song half cycle using a handwriting inpu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p)에서 더 이상 분류할 곡명이 있다고 판단되면, 다음의 곡명을 얻어오고, 상기 단계 (c)부터 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검색방법.If it is determined in step (p) that there are no more song names to classify, the next song name is obtained, and the step of performing a song cycle period using the handwriting inpu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gain from the step (c). Search method.
KR1020090136280A 2009-12-31 2009-12-31 How to search for songs in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KR101058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280A KR101058558B1 (en) 2009-12-31 2009-12-31 How to search for songs in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280A KR101058558B1 (en) 2009-12-31 2009-12-31 How to search for songs in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264A KR20110079264A (en) 2011-07-07
KR101058558B1 true KR101058558B1 (en) 2011-08-23

Family

ID=4491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280A KR101058558B1 (en) 2009-12-31 2009-12-31 How to search for songs in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55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860A (en) * 1996-09-05 1998-03-24 Sanyo Electric Co Ltd Handwirtten input data processor,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idum
JP2005166035A (en) * 2003-11-14 2005-06-23 Pioneer Electronic Corp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program for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860A (en) * 1996-09-05 1998-03-24 Sanyo Electric Co Ltd Handwirtten input data processor,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idum
JP2005166035A (en) * 2003-11-14 2005-06-23 Pioneer Electronic Corp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program for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264A (en)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9656C (en) Music search system and music search apparatus
US6864809B2 (en) Korean language predictive mechanism for text entry by a user
JP53696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1265326A (en) Performance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score display device
JPH08129393A (en) Karaoke device
KR20070116853A (en) Scan shuffle for building playlists
KR20070080481A (en)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highlight part using lyric
CN107146631A (en) Music recognition methods, note identification model method for building up,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058558B1 (en) How to search for songs in song cycle using handwriting input
CN106446280A (en) Song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05227850A (en)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program
KR101467852B1 (en) Controlling method for reproduction of sound from playing musical instrument by electronic pen using prints code image is printed there on and Electronic pen performing therof
JPH08160975A (en) Karaoke music selecting device
JP3973948B2 (en) Karaoke support program for mobile phones
CN103678467B (e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system
JP5402141B2 (en) Melody creation device, melody creation program, and melody creation method
KR101249228B1 (en) Remote controller having a speech searching input means for a karaoke player providing music searching fun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the system with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16118650A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ctionary function, electronic dictionary system and control program of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ctionary function
KR200269367Y1 (en) Electronic music selection apparatus for back music sound machine used text detected PDA
KR20200070733A (en)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s with apparatus for recommending music contents
KR20110035158A (en) Method of searching data for karaoke player
KR101266972B1 (en) Song searching method and song searching apparatus using song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KR0141639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songs making use of lyrics
JP3727173B2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Arentz et al. Retrieving musical information based on rhythm and pitch corre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