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507B1 -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507B1
KR101057507B1 KR1020090049893A KR20090049893A KR101057507B1 KR 101057507 B1 KR101057507 B1 KR 101057507B1 KR 1020090049893 A KR1020090049893 A KR 1020090049893A KR 20090049893 A KR20090049893 A KR 20090049893A KR 101057507 B1 KR101057507 B1 KR 10105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antenna
low noise
signal
noise convert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147A (ko
Inventor
차승현
손민선
유경준
한아름
Original Assignee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9004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50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8Spatial transmit diversity using a single antenna at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2Waveguide ho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대역을 신호를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혼 안테나에 수신되는 감도에 따라 혼 안테나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의 대역에 따라 혼 안테나와 처리부들을 적절하게 매칭시킬 수 있다.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혼 안테나, 저잡음 컨버터, 처리부, 이송 기구, 위치 조절 기구, 제어부, 리플렉트 안테나

Description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DEVICE FOR TRANSCEIVING MULTI BAND SIGNAL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MULTI BAND SIGN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대역의 신호를 하나의 장치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플렉터 안테나(reflector antenna)는 위성 통신, 대용량의 무선 통신 등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리플렉터 안테나는 반사 망원경의 원리를 이용하여 송수신된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초점에 집중시킨다. 일반적으로 리플렉터 안테나의 초점 위치에는 혼 안테나(horn antenna)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플렉터 안테나로는 파라볼릭 안테나(parabolic antenna)가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리플렉터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는 혼 안테나로 반사되며, 혼 안테나는 반사 된 신호를 모아서 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로 전달한다. 그리고, LNB는 혼 안테나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RF 모듈로 전달한다. 반대로, 혼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리플렉터 안테나를 통해 공중으로 방사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송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의 대역 별로 복수개의 송수신 장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였다. 예를 들면, 위성 방송은 Ku 밴드 및 Ka 밴드를 통하여 각각 서비스될 수 있으나, 지금까지는 Ku 밴드 신호를 송수신하고 처리하는 Ku 밴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Ka 밴드 신호를 송수신하고 처리하는 Ka 밴드 신호 송수신 장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였다. 따라서, 다중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비용이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다중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설치 공간도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최근에는 여러 대역의 신호들을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신호를 적절히 처리할 있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선박과 항공기 및 차량과 같은 이동체는,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에서 여러 대역의 신호들을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신호 송수신 장치로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기술이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하나의 장치에서 송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하나의 장치가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간단한 구조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혼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의 대역 및 편파의 종류에 따라 그 신호가 처리될 수 있는 처리부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혼 안테나, 상기 혼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가 상기 신호의 대역 별로 복수개가 형성된 저잡음 컨버터, 및 상기 저잡음 컨버터와 상기 혼 안테나에 구비되고 상기 혼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가 상기 신호의 대역을 처리하는 처리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시키는 이송 기구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즉, 상기 이송 기구가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송시켜 상기 처리부들 중 상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부에 상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들은 상기 신호의 대역 별로 구비된 LN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잡음 컨버터의 처리부들이 상기 혼 안테나가 수신한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모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에서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들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 배치 형상으로 상기 저잡음 컨버터에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잡음 컨버터 또는 상기 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상기 처리부들의 배치 형상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처리부들의 배치 형상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송되면, 상기 혼 안테나를 상기 처리부들에 선택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으며,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의 이송 경로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는,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 및 상기 이송 기구가 내부에 수용되는 안테나 케이스, 및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기구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 및 상기 이송 기구는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기구와 상기 위치 조절 기구 및 상기 저잡음 컨버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이 제 어될 수 있다.
상기 저잡음 컨버터는, 상기 처리부들이 일체로 형성된 처리부 모듈, 상기 처리부 모듈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혼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가 상기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처리부들과 대향되는 위치에 도파관들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 신호 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 모듈은 하나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상기 처리부들, 즉 LNB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전자 회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모듈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처리부들 사이에 형성되므로, 상기 처리부들의 배치 형상, 예를 들면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파관들은 상기 처리부들에 대응하는 배치 형상으로 상기 신호 전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파관들의 단면적은 상기 처리부들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의 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 안테나도 수신되는 신호들의 대역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 안테나는 상기 도파관들의 단면적 중 가장 큰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도파관들의 단면적 중 가장 작은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구비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파관들은 상기 혼 안테나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원형 편파인 경우, 원형 편파(circular polarization)를 선형 편파(linear polarization)로 변환하는 편파기(polariz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혼 안테나가 수신한 다중 대역의 신호들이 모두 원형 편파이면, 상기 도파관들에는 상기 편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파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는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도파관의 급격한 단면적 변화를 보상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파관들은 상기 처리부들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대역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단면적으로 형성되나, 상기 혼 안테나는 일정한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그로 인하여, 상기 도파관들 중 일부는 상기 혼 안테나와의 단면적 차이가 매우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도파관의 단면적 차이가 크게 발생되면, 상기 혼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가 상기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이 증대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혼 안테나와의 단면적 차이가 큰 도파관들에는 단차부를 상부에 형성하여 단면적의 변화를 단계적으로 천이시키는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차부는 상기 혼 안테나의 단면적보다는 작고 상기 도파관의 단면적보다는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파관들 및 상기 처리부들은,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각각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형 편파와 원형 편파의 여부에 따라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파관들 및 상기 처리부들은,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동일 주파수 대역일지라도 선형 편파와 원형 편파에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성 방송에 사용되는 Ku 밴드 신호와 Ka 밴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에는 원형 편파의 Ku 밴드 신호, 원형 편파의 Ka 밴드 신호, 선형 편파의 Ku 밴드 신호, 및 선형 편파의 Ka 밴드 신호를 수신하는 4개의 도파관들과 처리부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기구는,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에 연결되고 상기 도파관들에 상기 혼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매칭시키는 경로를 따라 상기 저잡음 컨버터 또는 상기 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잡음 컨버터 또는 상기 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또는 상기 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처리부들의 배치 형상에 대응하는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만을 이송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혼 안테나의 이동은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 설정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 설정 돌기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기구는 상기 위치 센서에 상기 위치 설정 돌기가 감지되는 작동 초기 위치로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를 정렬시킨 후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송 기구는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기 이전에 먼저 상기 작 동 초기 위치에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 기구는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이송 기구의 제어도 간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혼 안테나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저잡음 컨버터 중 어느 하나를 이송시켜 상기 저잡음 컨버터에 형성된 복수개의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혼 안테나를 매칭시키는 매칭 단계, 상기 혼 안테나와 매칭된 상기 처리부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의 대역에 따라 상기 매칭 단계에서 상기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혼 안테나를 매칭시키므로,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계에서는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혼 안테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혼 안테나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상기 혼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혼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의 대역 및 편파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 과정, 상기 판별 과정에서 판별된 상기 신호의 대역 및 편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저잡음 컨버터의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과정, 및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송시켜 상기 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처리부와 상기 혼 안테나를 매칭시키는 매칭 과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과정에서는,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를 작동 초기 위치에 정렬시킨 후 상기 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처리부와 상기 혼 안테나를 매칭시키는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이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은, 하나의 장치에서 다중 대역의 신호를 용이하게 송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는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설치 공간의 확보도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은, 다중 대역의 신호를 하나의 혼 안테나로 송수신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혼 안테나의 사용 개수를 줄여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잡음 컨버터의 신호 전달부는 단수개의 혼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이득 보상을 실현하기 때문에, 혼 안테나에 수신된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부들에 보다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은, 혼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의 대역 및 편파의 종류에 따라 혼 안테나와 매칭되는 처리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다중 대역의 신호를 간편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과 항공기 및 선박과 같은 이동체에서는 신호 대역이 다른 지역들을 통과하더라도 각 지역의 신호들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의 저잡음 컨버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저잡음 컨버터의 신호 전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는 혼 안테나(110), 저잡음 컨버터(120) 및 이송 기구(130)를 포함한다.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는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각각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형 편파와 선형 편파의 신호들을 각각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저잡음 컨버터(120)에는 신호의 대역 및 편파의 종류에 따라 후술하는 도파관과 처리부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혼 안테나(110)에 수신되는 신호가 원형 편파의 Ku 밴드 신호 및 원형 편파의 Ka 밴드 신호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원형 편파의 Ku 밴드 신호 및 원형 편파의 Ka 밴드의 경우는 단지 일례일 뿐이며, 그에 대하여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즉 상세히 설명하면, 선형 편파의 Ku 밴드 신호 및 선형 편파의 Ka 밴드 신호, 선형 편파의 Ku 밴드 신호 및 원형 편파의 Ka 밴드 신호, 원형 편파의 Ku 밴드 신호 및 선형 편파의 Ka 밴드 신호 등의 경우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Ku 밴드 신호와 Ka 밴드 신호는 위성 방송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이다. 즉, Ku 밴드 신호는 12GHz로부터 18GHz까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Ka 밴드 신호는 18GHz로부터 30GHz까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혼 안테나(110)은 도파관(waveguide) 형태의 안테나로서, 외부에서 다중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혼 안테나(110)는 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혼 안테나(110)의 직경은 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클수록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Ku 밴드 신호용 혼 안테나의 직경은 Ka 밴드 신호용 혼 안테나의 직 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혼 안테나(110)는 Ku 밴드 신호와 Ka 밴드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므로, Ku 밴드 신호용 혼 안테나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Ka 밴드 신호용 혼 안테나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Ku 밴드 신호용 혼 안테나의 직경이 18mm이고 Ka 밴드 신호용 혼 안테나의 직경이 11mm이면, 본 실시예의 혼 안테나는 15mm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혼 안테나(110)는 안테나 지지부(112)에 하부가 고정된 상태로 저잡음 컨버터(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지지부(112)는 후술하는 리플렉터 안테나(142)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수개의 혼 안테나(110)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가 처리하는 신호의 개수가 매우 많을 경우, 혼 안테나(110)를 하나만 사용하기 보다는 몇 개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렇게 사용되는 여러 개의 혼 안테나(110)는 신호 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저잡음 컨버터(120)는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는 장치이다. 저잡음 컨버터(120)는 작은 잡음 지수(noise figure)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잡음 컨버터(120)는, 처리부(122a)(122b)들이 일체로 형성된 처리부 모듈(122), 처리부 모듈(12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모듈 하우징(124), 및 모듈 하우징(124)에 형성되고 혼 안테나(110)가 수신한 신호가 통과되는 도파 관(126a)(126b)들이 구비된 신호 전달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 모듈(122)은 하나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 모듈(122)에는 다양한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는 처리부(122a)(122b)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전자 회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부(122a)(122b)들은 혼 안테나(110)가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122a)(122b)들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 배치 형상으로 처리부 모듈(122)에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처리부(122a)(122b)가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모듈 하우징(124)은 처리부 모듈(122)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충격과 외부 환경으로부터 처리부 모듈(122)을 보호하는 박스 형상의 부재이다. 모듈 하우징(124)은 다이캐스팅과 같은 주조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 하우징(124)와 신호 전달부(126)는 일체로 주조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달부(126)는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부(122a)(122b)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부재이다. 신호 전달부(126)는 혼 안테나(110)와 대향되는 모듈 하우징(12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달부(126)는 처리부(122a)(122b)들의 배치 형상에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처리부(122a)(122b)들의 배치 형상, 예를 들면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모듈 하우징(124)의 상부에 신호 전달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 전달부(126)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신호 전달부(126)는 혼 안테나(11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모듈 하우징(124)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신호 전달부(126)의 상면에는 도파관(126a)(126b)들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파관(126a)(126b)들은 처리부(122a)(122b)들과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호 전달부(126)의 상면에는 혼 안테나(110)의 하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26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혼 안테나(110)는 삽입홈(126c)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도파관(126a)(126b)들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파관(126a)(126b)들은 처리부(122a)(122b)들로 전달하는 신호들의 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혼 안테나(110)와 마찬가지로, 도파관(126a)(126b)들은 통과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클수록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Ku 밴드 신호가 통과되는 도파관(126b)의 단면적은 Ka 밴드 신호가 통과되는 도파관(126a)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파관(126a)의 내면에는 필요에 따라 단차부(126d)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부(126d)는 혼 안테나(110)와 도파관(126a)의 급격한 단면적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도파관(126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차 부(126d)는 도파관(126a)의 단면적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혼 안테나(110)의 단면적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차부(126d)는 혼 안테나(110)와 도파관(126a)의 단면적 차이를 완충시키는 천이 구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혼 안테나(110)로부터 신호가 유입되는 도파관(126a)의 상부에 단차부(126d)가 형성되면,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가 도파관(126a)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손실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파관(126a)(126b)들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편파기(127a)(127b)가 형성될 수 있다. 편파기(127a)(127b)는 전자파에 편파를 부여하는 장치로서, 도파관(126a)(126b)를 통과하는 신호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서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편파기(127a)(127b)를 도시하였지만, 편파기의 형상과 구현 방법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구현 방법이 설계 조건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즉, 처리부(122a)(122b)들은 반드시 선형 편파의 형태로 신호를 전달 받아야만 한다. 그러므로, 도파관(126a)(126b)들이 전달받은 신호가 원형 편파의 형태이면, 원형 편파 형태의 신호는 편파기(127a)(127b)를 통해 선형 편파의 형태로 바뀌어진다. 또한, 도파관(126a)(126b)들이 전달받은 신호가 선형 편파의 형태이면, 편파기(127a)(127b) 없이 선형 편파 형태의 신호를 처리부(122a)(122b)들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 기구(130)는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의 대역에 따라 혼 안테나(110) 또는 저잡음 컨버터(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혼 안테나(110)는 고정되고 저잡음 컨버터(120)가 이송 기구(130)에 의해 이송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이송 기구(130)는 저잡음 컨버터(120)를 이송시켜 도파관(126a)(126b)들 중 어느 하나와 혼 안테나(110)를 일치시킬 수 있다.
반면에, 저잡음 컨버터(120)가 고정되고 혼 안테나(110)가 이송 기구(130)에 의해 이송되면, 혼 안테나(11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하여 혼 안테나(110)의 수신 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혼 안테나(110)를 고정시키고 저잡음 컨버터(120)를 이송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송 기구(130)가 저잡음 컨버터(120)를 이송시키면, 처리부(122a)(122b)들 중 혼 안테나(110)가 수신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부에 혼 안테나(110)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잡음 컨버터(120)의 처리부(122a)(122b)들이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처 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에서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이송 기구(130)는, 혼 안테나(110)와 저잡음 컨버터(120)에 연결된 가이드부(132), 및 가이드부(132)에 구비되고 가이드부(132)를 따라 저잡음 컨버터(12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2)는 도파관(126a)(126b)들에 혼 안테나(11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매칭시키는 직선 경로를 따라 저잡음 컨버터(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잡음 컨버터(120)가 가이드부(132)를 따라 이동되면, 혼 안테나(110)의 하부는 신호 전달부(126)에 형성된 삽입홈(126c)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도파관(126a)(126b)들이 혼 안테나(1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32)는 저잡음 컨버터(120)를 처리부(122a)(122b)들의 배치 형상, 즉 직선 형상에 대응하는 이송 경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가이드부(132)는 처리부(122a)(122b)들의 배치 형상에 대응하는 곡선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이송 경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132)는, 안테나 지지부(112)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돌기(132a), 제1 가이드 돌기(132a)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132c), 및 모듈 하우징(124)의 상부에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32c)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 가이드 돌기(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잡음 컨버터(120)는 가이드 레일(132c)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될 수 있다. 가이드부(132)는 안테나 지 지부(112)와 모듈 하우징(124)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테나 지지부(112)와 모듈 하우징(124)의 좌측과 우측에 가이드부(132)가 각각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제1 가이드 돌기(132a)와 제 2 가이드 돌기(132b)의 대향되는 부위에는 완충부재(13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완충부재(135)는 이송 기구(130)의 작동시 제1 가이드 돌기(132a)와 제2 가이드 돌기(132b)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4)는, 안테나 지지부(112)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 브래킷(134a), 모터 브래킷(134a)에 배치된 구동 모터(134b), 구동 모터(134b)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듈 하우징(124)의 상부에 일단이 수평하게 고정된 스크류축(134c)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축(134c)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봉 형상의 부재이다. 스크류축(134c)은 신호 전달부(126)의 측면에 형성된 축고정부(129)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한 외팔보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134b)는 스크류축(134c)의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스크류축(134c)의 수나사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모터 브래킷(134a)과 구동 모터(134b)에는 구동 모터(134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36)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브래킷(134a)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134b)와 대향되게 지지 플레이트(137)가 구비될 수 있고, 구동 모터(134b)와 지지 플레이트(137) 사이에는 구동 모터(134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6)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모터(134b)가 탄성부재(136)에 의 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면, 구동 모터(134b)와 스크류축(134c)의 나사 결합시 수나사와 암나사의 백래쉬(backrash)로 인한 구동 모터(134b)의 미세한 흐들림을 방지하여 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혼 안테나(110) 또는 저잡음 컨버터(120)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 설정 돌기(138)가 구비될 수 있고, 혼 안테나(110) 또는 저잡음 컨버터(120) 중 다른 하나에는 위치 설정 돌기(138)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139)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혼 안테나(110)가 고정된 안테나 지지부(112)에 위치 센서(139)가 배치되고, 저잡음 컨버터(120)의 신호 전달부(126)에 위치 설정 돌기(138)가 돌출된 것으로 설명한다.
위치 센서(139)는 위치 설정 돌기(138)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광센서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위치 설정 돌기(138)가 위치 센서(139)의 수광부(139a)와 발광부(139b)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를 이송 기구(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초기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이송 기구(130)는 작동 초기 위치에 배치된 후 작동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는 안테나 케이스(140), 리플렉터 안테나(142), 안테나 서포터(144), 및 위치 조절 기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케이스(140)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써, 리플렉터 안테나(142), 혼 안테나(110), 저잡음 컨버터(120), 이송 기구(130), 안테나 서포터(144), 및 위치 조절 기구(146)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 한 안테나 케이스(140)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안테나 케이스(140)는 전자파를 통과시키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부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테나 케이스(140)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외부와 내부를 밀봉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안테나(142)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혼 안테나(110)로 반사시켜 혼 안테나(110)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보조 안테나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리플렉터 안테나(142)로 파라볼릭 안테나(parabolic antenna)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안테나 서포터(144)는 안테나 케이스(140)에 형성되어 리플렉터 안테나(142)와 혼 안테나(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다. 안테나 서포터(144)의 일단은 리플렉터 안테나(142) 또는 혼 안테나(11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테나 서포터(144)의 일단이 리플렉터 안테나(142)에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위치 조절 기구(146)는 안테나 서포터(144)에 구비되어 리플렉터 안테나(142)와 혼 안테나(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위치 조절 기구(146)는, 안테나 서포터(144)에 구비된 위치 조절 모터(146a), 리플렉터 안테나(142)의 회전축에 형성된 위치 조절 기어(146b), 위치 조절 모터(146a)의 회전축에 구비된 기어와 위치 조절 기어(146b)에 배치된 위치 조절 벨트(146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절 모터(146a)의 작동을 제어하면, 리플렉터 안테나(142)와 혼 안테나(110)의 수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50), 신호 감도 측정부(152), 및 신호 대역 판별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안테나 케이스(14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 기구(130)와 위치 조절 기구(146) 및 저잡음 컨버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이송 기구(130)의 작동을 조절하여 혼 안테나(110)에 도파관(126a)(126b)들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위치 조절 기구(146)의 작동을 조절하여 혼 안테나(110)와 리플렉터 안테나(1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저잡음 컨버터(120)의 작동을 조절하여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위치 센서(128)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혼 안테나(11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 감도 측정부(152)는 혼 안테나(110)에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를 측정하는 장치이고, 상기 신호 대역 판별부(154)는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판별하는 장치이다. 신호 감도 측정부(152)와 신호 대역 판별부(154)는 저잡음 컨버터(120)의 처리부 모듈(122) 또는 제어부(15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과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의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은 수신 단계(1), 매칭 단계(4)(5)(6), 및 처리 단계(7)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단계(1)에서는, 혼 안테나(110)가 리플렉터 안테나(142)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혼 안테나(110)에서 수신된 신호는 혼 안테나(110)를 통해 신호 전달부(126)로 전달된다.
상기 매칭 단계(4)(5)(6)에서는, 혼 안테나(110)가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도파관(126a)(126b)들 중 어느 하나를 혼 안테나(110)와 매칭시켜 상기 신호를 저잡음 컨버터(120)가 증폭 및 주파수 변조시킨다.
예를 들면, 매칭 단계(4)(5)(6)는, 혼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판별하는 판별 과정(4), 판별 과정(4)에서 판별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저잡음 컨버터(120)의 처리부(122a)(122b)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 택 과정(5), 및 저잡음 컨버터(120)를 이송시켜 선택 과정(5)에서 선택된 처리부를 혼 안테나(110)에 매칭시키는 매칭 과정(6)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가 Ku 밴드 신호 및 Ka 밴드 신호인 것으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판별 과정(4)에서는 신호 대역 판별부(154)가 혼 안테나(110)에서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판별할 수 있다. 즉, Ku 밴드 신호 또는 Ka 밴드 신호 중 어떤 신호가 혼 안테나(110)에 수신되는 지를 판별한다.
선택 과정(5)에서는 판별 과정(4)에서 판별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저잡음 컨버터(120)의 처리부(122a)(122b)들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가 Ku 밴드 신호이면 Ku 밴드 신호를 처리하는 Ku 밴드 신호 처리부(122a)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반면에,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가 Ka 밴드 신호이면 Ka 밴드 신호를 처리하는 Ka 밴드 신호 처리부(122b)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매칭 과정에서는 이송 기구(130)를 작동시켜 상기 처리부(122a)(122b)에 대응하는 도파관(126a)(126b)을 혼 안테나(110)와 매칭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혼 안테나(110)가 수신한 신호는 도파관(126a)(126b)을 따라 이미 활성화된 처리부(122a)(122b)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Ku 밴드 신호가 통과되는 도파관(126b)에 혼 안테나(110)를 매칭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기구(130)는 위치 센서(139)에 위치 설정 돌기(138)가 감지되는 위치로 저잡 음 컨버터(120)를 먼저 이동시켜 혼 안테나(110)와 저잡음 컨버터(120)를 작동 초기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기구(130)는 혼 안테나(11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Ku 밴드 신호가 통과되는 도파관(126b)의 상측에 배치시킨다. 따라서,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가 도파관(126b)을 통해 처리부(122b)로 전달 가능하게 된다.
상기 처리 단계(7)에서는, 활성화된 처리부(122a)(122b)가 혼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즉, Ku 밴드 신호 처리부(122a)는 Ku 밴드 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시킬 수 있으며, Ka 밴드 신호 처리부(122b)는 Ka 밴드 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Ku 밴드 신호와 Ka 밴드 신호는 중간 주파수로 변환 증폭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100)의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은 감도 측정 단계(2) 및 위치 조절 단계(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도 측정 단계(2)와 위치 조절 단계(3)는 수신 단계(1)와 매칭 단계(4)(5)(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도 측정 단계(2)에서는 신호 감도 측정부(152)가 혼 안테나(110)에 수신된 신호의 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신호 감도 측정부(152)에 측정된 신호의 감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매칭 단계(4)(5)(6)가 실시될 수 있고, 신호 감도 측정부(152)에 측정된 신호의 감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위치 조절 단계(3)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 단계(3)에서는 위치 조절 기구(146)가 혼 안테나(110)와 리 플렉터 안테나(142)의 위치를 조절하여 혼 안테나(110)에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신호 감도 측정부(152)에 측정된 신호의 감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위치 조절 기구(146)의 작동을 정지하고, 매칭 단계(4)(5)(6)로 진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의 저잡음 컨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의 저잡음 컨버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저잡음 컨버터의 신호 전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110: 혼 안테나
120: 저잡음 컨버터 122: 처리부 모듈
124: 모듈 하우징 126: 신호 전달부
130: 이송 기구 132: 가이드부
134: 구동부 140: 안테나 케이스
146: 위치 조절 기구 150: 제어부

Claims (9)

  1.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혼 안테나;
    상기 혼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상기 신호의 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처리부가 상기 신호의 대역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 저잡음 컨버터; 및
    상기 저잡음 컨버터와 상기 혼 안테나에 구비되고, 상기 혼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가 대역에 따라서 상기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도록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여서 상기 처리부들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된 도파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혼 안테나를 일치시키는 이송 기구;
    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들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 배치 형상으로 상기 저잡음 컨버터에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저잡음 컨버터 또는 상기 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상기 처리부들의 배치 형상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 및 상기 이송 기구가 내부에 수용되는 안테나 케이스; 및
    상기 안테나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기구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 컨버터는,
    상기 처리부들이 일체로 형성된 처리부 모듈;
    상기 처리부 모듈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혼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가 상기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처리부들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도파관들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 신호 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파관들의 단면적은 상기 처리부들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의 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들은 상기 혼 안테나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원형 편파인 경우 원형 편파를 선형 편파로 변환하는 편파기를 더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기구는,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에 연결되고, 상기 도파관들에 상기 혼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매칭시키는 경로를 따라 상기 저잡음 컨버터 또는 상기 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잡음 컨버터 또는 상기 혼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구비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 설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 설정 돌기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 기구는 상기 위치 센서에 상기 위치 설정 돌기가 감지되는 작동 초기 위치로 상기 혼 안테나와 상기 저잡음 컨버터를 정렬시킨 후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시키는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8. 혼 안테나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신호가 저잡음 컨버터에 형성된 복수개의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도록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어느 하나를 이송 기구가 이송시켜 상기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혼 안테나를 매칭시키는 매칭 단계; 및
    상기 혼 안테나와 매칭된 상기 처리부가 상기 혼 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혼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의 대역 및 편파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 과정; 상기 판별 과정에서 판별된 상기 신호의 대역 및 편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저잡음 컨버터의 처리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과정; 및 상기 혼 안테나 또는 상기 저잡음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송시켜 상기 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처리부와 상기 혼 안테나를 매칭시키는 매칭 과정;
    를 구비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
  9. 삭제
KR1020090049893A 2009-06-05 2009-06-05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05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893A KR101057507B1 (ko) 2009-06-05 2009-06-05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893A KR101057507B1 (ko) 2009-06-05 2009-06-05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147A KR20100131147A (ko) 2010-12-15
KR101057507B1 true KR101057507B1 (ko) 2011-08-17

Family

ID=4350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893A KR101057507B1 (ko) 2009-06-05 2009-06-05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518B1 (ko) * 2016-01-20 2016-07-18 주식회사 케이앤에스아이앤씨 듀얼 밴드의 신호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용 단일 안테나 시스템
KR102334147B1 (ko) * 2020-12-18 2021-12-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인잠수정의 안테나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728B1 (ko) 2011-01-27 2012-07-19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다중 편파 위성 신호를 위한 편파기 회전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위성 신호 수신 장치
EP2943993B1 (en) 2013-01-11 2017-02-01 Thrane & Thrane A/S A polariz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polarizer
CN104569519A (zh) * 2015-01-20 2015-04-29 侯如升 一种多波段信号发射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221B1 (ko) 2003-01-04 2005-07-18 주식회사중앙시스템 디지털 위성방송 중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221B1 (ko) 2003-01-04 2005-07-18 주식회사중앙시스템 디지털 위성방송 중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518B1 (ko) * 2016-01-20 2016-07-18 주식회사 케이앤에스아이앤씨 듀얼 밴드의 신호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용 단일 안테나 시스템
KR102334147B1 (ko) * 2020-12-18 2021-12-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인잠수정의 안테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147A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194B1 (ko)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KR101057507B1 (ko)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다중 대역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166728B1 (ko) 다중 편파 위성 신호를 위한 편파기 회전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위성 신호 수신 장치
CN102576925B (zh) 车载天线及用于发射和/或接收信号的方法
US9019033B2 (en) Contactless connector
JP6259468B2 (ja) 非接触型コネクタ
US4584588A (en) Antenna with feed horn and polarization feed
AU2003285642A1 (en) Sens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magnetic signals
US4896163A (en) Microwave receiving device
CN101483276A (zh) 卫星信号接收用天线系统及其驱动方法
JP2002299940A (ja) パラボラアンテナ
JP2015190809A (ja) レーダ装置およびレーダ方法
KR101919581B1 (ko) 회전형 디폴라라이저를 사용하여 직선형 편파 및 원형 편파를 절환하는 장치
KR101046208B1 (ko) 위성 안테나 장치
US20230288532A1 (en) Antenna for a radar apparatus
CN201838720U (zh) 一种vsat站天线接收增益校准的装置
JP4160905B2 (ja) 通信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移動送受信反射アンテナ
KR101216010B1 (ko) 동일편파와 교차편파의 송수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용 안테나
EP1111714B1 (en) System for determining alignment of a directional radar antenna
KR102452042B1 (ko) 레이더 수위 측정 장치
KR100869328B1 (ko) 위성 추적용 안테나의 위성 추적방법
JP4260038B2 (ja) 開口面アンテナ
WO20050670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v receiving and internet transreceiving on a satellite antenna
KR101038246B1 (ko) 위성 안테나 시스템
US20230072603A1 (en) Gnss antenna system for receiving multi-band gnss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