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001B1 -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 time monitoring - Google Patents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 time monit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001B1
KR101057001B1 KR1020090048078A KR20090048078A KR101057001B1 KR 101057001 B1 KR101057001 B1 KR 101057001B1 KR 1020090048078 A KR1020090048078 A KR 1020090048078A KR 20090048078 A KR20090048078 A KR 20090048078A KR 101057001 B1 KR101057001 B1 KR 10105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sleep
sleep state
sensing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9489A (en
Inventor
김우정
Original Assignee
(주)맨 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맨 텍 filed Critical (주)맨 텍
Priority to KR102009004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001B1/en
Publication of KR2010012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4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0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6Detecting or evaluating apnoea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시 인체의 자세, 수면 중 발생하는 인체의 움직임, 심장박동 등의 인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면자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유도하여 수면장애에 대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호흡기에 착용되어 상기 호흡기로 호흡되는 기체에 대하여 센싱한 결과를 전송하는 호흡기 센싱부와, 상기 인체에 착용되어 상기 인체의 움직임과 자세에 대하여 센싱한 결과를 전송하는 인체 동작 센싱부와, 상기 호흡기 센싱부 또는 상기 인체 동작 센싱부가 센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체정보 처리부(300)와, 상기 인체정보 처리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수면상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면자의 수면 자세를 변경하도록 유도하여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에 대응하고, 수면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sponding to sleep disorders by monitoring the human body information such as posture of the human body during sleep, movement of the human body during sleep, heartbeat, etc. in real time, and inducing the person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sleeper. A respirator sensing unit for transmitting a result of sensing the gas breathed by the respirator, a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transmitting the result of sensing the movement and posture of the human body worn on the human body, and the respiratory sensing Or a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or 300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 sensing result of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and the human body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or 3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leep state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sleep state, thereby sleeping Induced to change to respond to snoring sleep disorders such as sleep apnea and related sleep disorders is sleep self-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of generating an effect that allows you to take a good night's sleep.

수면장애,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무선, 센서, 모니터링 Sleep Disorder, Snoring, Sleep Apnea, Wireless, Sensor, Monitoring

Description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System for Corresponding to Sleep Disturbance via Real-Time Monitoring}System for Corresponding to Sleep Disturbance via Real-Time Monitoring}

본 발명은 수면시 인체의 자세, 수면 중 발생하는 인체의 움직임, 심장박동 등의 인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면자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자의 무호흡 또는 코골이를 중단시켜 수면장애에 대응하기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onitoring the human body information such as posture of the human body during sleep, movement of the human body during sleep, heart rate, etc. in real time an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sleeper, more specifically, sleep apnea or sno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to respond to sleep disorders by stopping this.

코골이는 수면자가 숨쉬는 동안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것으로서, 수면 중 호흡곤란이 있음을 나타내는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면 중에는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 혀 등과 같은 부위를 지나게 되는데, 주간에는 이 부분들이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주위 근육들이 도와주어 공기통로가 잘 막히지 않는다.Snoring occurs when the throat narrows through the air before the air enters the airway while the sleeper breathes, and the air can't easily enter and exit. In general, during sleep, air passes through areas such as the palate, neck, tonsils, tongue, etc. During the day, the surrounding muscles help to keep these parts in place so the air passages are not blocked.

그러나, 수면 중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통로가 좁아져서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에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코를 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 기타 원인으로 인해 공기통로가 완전히 막히게 되면 공기가 폐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 수면무호흡증이 발생되어 요란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와 동반하여 호흡이 곤란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However, during sleep, the muscles are relaxed and stretched, so the air passages are narrowed in part, and as the air passes through these parts, the surrounding soft parts vibrate, causing snoring. In addition, when the air passage is completely blocked due to severe muscle relaxation during sleep or other causes such as severe obesity, sleep apnea occurs, which causes air to not flow to the lungs at all, resulting in loud noise, which causes difficulty in breathing.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수면무호흡증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킴으로써 충분한 수면 시간에도 불구하고 주간에 심한 졸음 및 피로감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기억력 및 집중력이 감퇴되는 등의 증상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오랫동안 이러한 증상이 계속될 경우 심장이나 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며, 고혈압, 심장마비, 발작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에 대응하기 위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게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실효성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is sleep apnea can lead to symptoms such as decreased sleep and fatigue, as well as severe drowsiness and fatigue during the day, in spite of sufficient sleep time due to deterioration of sleep quality. In addition, if these symptoms persist for a long time, they can increase the burden on the heart or lungs and cause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heart attack and seizures. In order to cope with sleep disorders such as snoring or sleep apnea, various methods including a snoring pillow are us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s effectiveness is insignificant.

또한, 이러한 수면자의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하기 위하여는 특별한 장비, 즉 복잡한 측정용 케이블을 수면자의 신체에 연결함으로써 수면에 방해가 되어 깊은 수면을 이룰 수 없도록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장치는 동작 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관찰되는 수면자에게 모니터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요구하여 수면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으며, 모니터링되는 데이터 내용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확인하는 등의 시간상의 지연이 발생함에 따라 응급상황 발생 시 실시간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회를 잃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inuously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sleep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achieve deep sleep by disturbing the sleep by connecting a special equipment, that is, a complex measuring cable to the sleeper's body. Since the monitoring device has a limited operating range, the monitoring device restricts the sleeper's movements by requiring the observed sleeper to be located close to the monitoring situation. As a time delay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opportunity to take action in real time when an emergency occurs is l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면을 취하는 수면자의 신체에 착용된 측정 센서를 통하여 호흡량, 심전도, 자세 등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수면자의 수면상태를 모니터링 또는 판별하고, 이런 수면자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spiratory rate, electrocardiogram, posture and the like through a measurement sensor worn on the body of the sleeping person to sleep, monitor or determine the sleep state of the sleep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for controlling the sleep state of the sleep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면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침대의 매트리스가 변형되도록 하여 수면자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수면자가 수면장애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that allows the sleeper to escape from sleep disorder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leeper so that the mattress of the bed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sleep.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자가 수면 중일 때의 인체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수면자, 보호자 및 의료 관계자에게 실시간으로 상황을 전달함으로써 만일의 응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nitor the human body information when the sleeper is sleeping, if real-time monitoring occurs to the sleeper, guardian and medical personnel real-time monitoring to prepare for any emergency situation To provide a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은, 인체의 호흡기에 착용되어 상기 호흡기로 호흡되는 기체에 대하여 센 싱한 결과를 전송하는 호흡기 센싱부와, 상기 인체에 착용되어 상기 인체의 움직임과 자세에 대하여 센싱한 결과를 전송하는 인체 동작 센싱부와, 상기 호흡기 센싱부 또는 상기 인체 동작 센싱부가 센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체정보 처리부(300)와, 상기 인체정보 처리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수면상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the real-time monit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spirator sens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sensing the gas to be breathed into the respirator wearing a respirator of the human body, and is worn on the human body Human body information sens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sensing the movement and posture of the human body, and the human body information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in accordance with the sensing result of the respiratory sensing unit or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And a sleep state controller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 processor 300 and the control signal from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or 30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수면자의 수면 자세를 변경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에 대응하고, 침대의 매트리스를 변형하여 수면자의 호흡기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여 수면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by inducing sleepers to change the sleeping posture to cope with sleep disorders such as snoring, sleep apnea, and to modify the mattress of the bed so that the oxygen supply to the respirator of the sleeper so that the sleeper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둘째, 수면자의 인체정보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호흡기 센싱부 또는 인체 동작 센싱부를 무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수면자를 구속하지 않고도 인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수면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Second, by wirelessly configuring the respiratory sensing unit or the human motion sensing unit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the sleeper,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human body information and control the sleep state without restraining the sleeper.

세째, 수면자의 인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거나 수면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the sleeper can be remotely monitored in real time or control the sleep stat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호흡기 센싱부와 인체 동작 센싱부를 인체에 착용한 예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respirator sensing unit and a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are worn on a human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호흡기 센싱부(100)는 공기량 센서(111), CO2 센서(112), 센서신호 변환모듈(120), 및 센싱데이터 전송모듈(130)을 포함하여 호흡기의 입구에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호흡기 센싱부(100)는 공기량 센서(111) 및 CO2 센서(112)가 코 또는 입에 착용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어 인체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의 측정에 의해 발생한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서신호 변환모듈(120)과 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센싱데이터 전송모듈(130)을 포함한다.First,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be worn at the inlet of the respirator, including the air volume sensor 111, CO 2 sensor 112,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120, and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130 will be.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is provided in a position where the air volume sensor 111 and the CO 2 sensor 112 can be worn on the nose or the mouth, and ar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of a human body. In order to transmit the analog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120 for converting the digital data and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130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digital data.

이 호흡기 센싱부(100)의 공기량 센서(111)는 호흡기 센싱부(100)가 착용된 인체의 호흡기 입구에서 인체로 흡기 또는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고, CO2 센서(112)는 상기한 흡기 또는 배기되는 공기에 포함된 CO2의 양을 측정하는 것 으로서 수면자의 호흡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특히, 인체의 안면에 착용되는 것이므로 안면에 착용하여도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수면 중 착용이 해제되지 않도록 작고 가벼우며 인체공학적인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volume sensor 111 of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measures the amount of air intake or exhaust from the respirator inlet of the human body on which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is worn, and the CO 2 sensor 112 is By measuring the amount of CO 2 contained in one intake or exhaust air, it is equipped to check the breathing state of the sleeper. In particular, since it is to be worn on the face of the human body it is desirable to form a small, light and ergonomic shape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sleep even when worn on the face and is not released during sleep.

또한, 호흡기 센싱부(100)의 센싱데이터 전송모듈(130)은 센싱된 인체정보가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그비(Zigbee), 무선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하여 호흡기 센싱부(100)의 센서신호 변환모듈(120)은 호흡기 센싱부(100) 내의 센서에서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전송을 위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 준다. 아울러, 이 호흡기 센싱부(100)에서의 데이터 전송이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원공급과 전송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호흡기 센싱부(100) 내의 센서에서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인체 동작 센싱부(200)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preferably transmits the sensed human body information wirelessly,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LAN may be used. In order to use such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120 of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converts the analo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in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into digital data for wireless transmission. In addition, the data transmission in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wireless transmission, and the human body operates the analo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in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to secure the power supply and transmission stability.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200 by wire.

인체 동작 센싱부(200)는 ECG(ElectroCardioGram) 센서(211), 가속도 센서(212), 중력 센서, 센서신호 변환모듈, 및 센싱데이터 전송모듈(230)을 포함하여 인체의 한 부분에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인체 동작 센싱부(200)에 포함된 ECG 센서(211)는 인체 동작 센싱부(200)가 착용된 인체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심전도 측정을 위한 단자는 인체 동작 센싱부(200)를 인체에 착용하 기 위한 밴드의 내면에 위치시키거나 별도로 구비된 단자를 인체 동작 센싱부(200)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may be worn on a part of a human body including an electrocardiogram (ECG) sensor 211, an acceleration sensor 212, a gravity sensor, a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and a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230. It is configured to. The ECG sensor 211 included in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measures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human body on which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is worn. The terminal for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is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to be worn on or separately provided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to be used.

가속도 센서(212)는 인체의 흉부 또는 복부의 호흡에 따른 움직임 등과 같은 인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흉부 또는 복부에 인체 동작 센싱부(200)를 착용하기 위해 밴드 등을 이용한 경우 이 밴드에 연결되어 움직임 또는 탄력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중력 센서는 인체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의 한 부분에 착용되어 인체의 기울기 등의 측정을 통해 인체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중력 센서는 인체의 흉부에 착용하여 자세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력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여 인체의 다른 부분에 착용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켜 복수의 중력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인체의 자세를 좀 더 상세하게 측정하게 할 수도 있다.Acceleration sensor 212 measures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such as the movement of the human chest or abdomen, such as, when connected to the band to use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in the chest or abdomen Can be configured to measure changes in movement or elasticity. In addition, the gravity sensor is for measuring the posture of the human body, and is worn on a part of the human body to determine the posture of the human body through measurem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human body. The gravity sensor is preferably worn on the chest of the human body to check the posture.The gravity sensor is further provided to be worn on other parts of the human body and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to provide a plurality of gravity sensors to adjust the posture of the human body. You can also make more detailed measurements.

또한, 인체 동작 센싱부(200)의 센싱데이터 전송모듈(230)은 호흡기 센싱부(100)의 센싱데이터 전송모듈(130)과 같이 센싱된 인체정보가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그비(Zigbee), 무선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하여 인체 동작 센싱부(200)의 센서신호 변환모듈(220)은 인체 동작 센싱부(200)에 연결된 센서가 측정한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전송을 위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 준다.In addition,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230 of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preferably transmits the sensed human body information wirelessly, such as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respiratory sensing unit 100, and Zigbee. ),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LAN may be used.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220 of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converts the analog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connected to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into digital data for wireless transmission.

상기한 호흡기 센싱부(100)에서 유선으로 아날로그 센서 신호를 전달하고자 할 경우 이 호흡기 센싱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아날로그 센서 신호도 함께 변환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센서신호 변환모듈(220)과 센싱데이터 전송모듈(230)은 별도로 구성하여 인체의 한 부분에 착용되게 하거나 인체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When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intends to transmit the analog sensor signal by wire, the analog sensor signal received from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may also be converted and transmitted. In addition, the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220 and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230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to be worn on a part of the human body or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human bod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침대에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침대의 매트리스(701, 702, 703)를 3 부분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매트리스(701, 702, 703)를 변형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3 부분으로 나누어진 매트리스(701, 702, 703)에 한정된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mounted on a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of the bed are shown in three parts, but this i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various configurations for deforming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701, 702, and 703.

도 2의 침대는 인체정보 처리부(300), 수면상태 제어부(400), 인체정보 표시부(500), 매트리스(701, 702, 703) 및 지지대(710, 720, 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인체정보 처리부(30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호흡기 센싱부(100) 또는 인체 동작 센싱부(200)로부터 센싱된 인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체의 수면상태를 판별하고 이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bed of FIG. 2 includes a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a sleep state control unit 400, a human body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mattresses 701, 702, and 703, and supports 710, 720, and 730. First,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receives the human body information sensed from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or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determine the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and control the sleep state. Generate a signal.

수면상태 제어부(400)는 상기한 인체정보 처리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매트리스(701, 702, 703)를 변형시키기 위한 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이 모터 의 제어에 의해 매트리스(701, 702, 703)의 지지대(710, 720, 730)가 움직이고 이에 따라 매트리스(701, 702, 703)가 변형되어 인체의 자세를 변경하여 수면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는 수면상태 제어부(400)를 편의상 모터(451, 452, 453)와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모터도 수면상태 제어부(400)에 포함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The sleep stat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motor for deforming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motor, the supports 710, 720, and 730 of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move, and accordingly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are deform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human body to control the sleep state. Will be. In FIG. 2, the sleep state controller 400 is illustrated separately from the motors 451, 452, and 453 for convenience,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otor is also included in the sleep state controller 400.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수면자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하는 매트리스(701, 702, 703)의 변형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Modifications of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to change the sleeping posture to control the sleep state can be realized by various configurations as follows.

우선, 매트리스 1(701)을 받치는 지지대(710)에 모터 1(451)을 연결하여 매트리스 1(701)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를 변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트리스 1(701)을 지지하는 지지대(710)를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인체의 부분별로 구분하여 자세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motor 1 451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710 that supports the mattress 1 701, thereby changing the height or inclination of the mattress 1 701. To this end, by dividing the support 710 for supporting the mattress 1 (701) into a plurality of zone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by dividing by the parts of the human body.

또한, 매트리스 2(702)의 내에 지지대(720)를 위치시키고, 여러 개로 나누어진 지지대(720)를 관절로 연결하여 모터 2(452)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트리스 2(702)를 접거나 휘도록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매트리스 2(702) 내부에 위치시킨 지지대(720)를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인체의 부분별로 구분하여 자세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support 720 in the mattress 2 (702), by connecting the support 720 divided into several joints to be moved by the motor 2 (452), by folding the mattress 2 (702) or It can be deformed to bend. In this case, by dividing the support 720 positioned in the mattress 2 (702) into a plurality of zone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by dividing by the parts of the human body.

또한, 매트리스 내에 형성된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누운 인체의 등을 마사지 해 주는 안마기에서와 같이, 매트리스 3(703)의 내에 지지대(730)와 모터 3(453)을 여러개 위치시키고, 여러개의 모터 3(453)을 동시에 움직여 여러 지지대(730)에 의해 형성된 모양을 변형함으로써, 매트리스 3(703)이 지지대(730)가 형성한 모양에 따라 변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또한 매트리스 3(703) 내부에 위치시킨 지지대(730)와 모터 3(453)을 구역에 따라 복수로 구성함으로써, 인체의 부분별로 구분하여 자세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in the massager to massage the back of the human body lying down by the movement of the device formed in the mattress, the support 730 and the motor 3 (453) are placed in the mattress 3 (703), several motor 3 ( By simultaneously moving the 453 to modify the shape formed by the various support 730, the mattress 3 (703)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formed by the support 730. In this case,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support 730 and the motor 3 (453) located inside the mattress 3 (703) according to the zon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by dividing by the parts of the human body.

상기한 매트리스 1(701), 매트리스 2(702), 매트리스 3(703)을 통해 설명한 것은 매트리스(701, 702, 703)를 변형하는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트리스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매트리스를 변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지지대(710, 720, 730) 이외의 체인, 유압기 등의 다양한 기구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above descriptions of the mattress 1 701, the mattress 2 702, and the mattress 3 703 are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deforming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and the mattress has to be divided into several parts. It is not to be understood that if the mattress can be deformed, it may be composed of various mechanisms such as chains, oil presses, etc., other than the supports 710, 720, and 73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인체정보 표시부(500)는 센싱된 인체정보 또는 판별된 수면상태 등을 화면으로 표시하여 보호자 또는 의료인이 인체의 수면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인체정보 처리부(300)는 상기한 인체정보 또는 수면상태 등의 정보를 의료인, 관리자 등에게 전송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에서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 준다. 또한, 인체정보 처리부(300)는 상기한 인체정보에 따라 보호자에게 착용된 경보기 등의 부가장치(600) 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인체정보 처리부(300), 수면상태 제어부(400) 및 인체정보 표시부(500)의 동작은 추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3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an body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displays the sensed human body information or the determined sleep state on the screen so that a guardian or a medical person can check the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information or the sleep state, such as medical personnel, administrators and the like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to enable management from a remote. In addition,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may control an additional device 600 such as an alarm worn by a guardian according to the human body information. Operations of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the sleep state control unit 400, and the human body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호흡기 센싱부(100) 또는 인체 동작 센싱부(200)가 인체에 착용되어 센싱한 인체정보를 인체정보 처리부(300)의 센싱데이터 수신모듈(310)로 전송한다.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호흡기 센싱부(100)에 포함된 센서신호 변환모듈(120) 및 센싱데이터 전송모듈(130)은 호흡기 센싱부(100)와 인체 동작 센싱부(200)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인체 동작 센싱부(200)에 구비된 센서신호 변환모듈(220) 및 센싱데이터 전송모듈(230)을 이용하여 인체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or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is worn on the human body and transmits the sensed human body information to the sensing data receiving module 310 of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120 and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130 included in the respiratory sensing unit 100 are wired to the respiratory sensing unit 100 and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When connected, the human bod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220 and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230 provided in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인체정보 처리부(300)는 센싱데이터 수신모듈(310), 수면상태 판별모듈(320), 제어신호 생성모듈(340), 제어신호 전달모듈(350), 경보신호 생성모듈(370), 부가장치 통신모듈(380), 및 원격관리 통신모듈(3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싱데이터 수신모듈(310)은 호흡기 센싱부(100) 또는 인체 동작 센싱부(200)로부터 센싱된 인체정보를 수신한다. 상기한 센싱된 인체정보는 무선으로 수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그비(Zigbee), 무선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includes a sensing data reception module 310, a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320,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40,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0, an alarm signal generation module 370, and additional device communication. Module 380, and a remote management communication module 390. The sensing data receiving module 310 receives the human body information sensed from the respirator sensing unit 100 or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00. Preferably, the sensed human body information is received wirelessly,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or WLAN may be used.

수면상태 판별모듈(320)은 센싱데이터 수신모듈(310)이 수신한 인체정보를 이용하여 인체의 수면상태를 판별한다. 상기 인체정보에 포함된 호흡량, CO2 농도, 호흡주기, 심장박동, 수면자세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가 발생하였는지 판별하게 된다. 이는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수면 중 인체정보를 축적하여 인체의 수면상태를 판별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인체정보에 포함된 개별 정보들을 조합하여 일정 수치를 기준으로 수면상태를 판별하게 할 수도 있다.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320 determines the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using the human bod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nsing data receiving module 310. It is determined whether sleep disorders such as snoring and sleep apnea have occurred using information such as respiratory rate, CO 2 concentration, respiratory cycle, heart rate, and sleep posture included in the human body information. This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sleeping state of the human body by accumulating human body information during sleep of people with sleep disorders such as snoring and sleep apnea, or by combining individu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uman body information based on a predetermined value It can also be determined.

제어신호 생성모듈(340)은 수면상태 판별모듈(320)이 판별한 수면상태에 따라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침대의 매트리스(701, 702, 703)의 변형을 이용한 수면자세의 변경을 통해 수면상태를 제어하도록 한 것으로서, 매트리스(701, 702, 703)가 변형되도록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예를들어, 침대의 중앙부분이 위로 솟아 볼록하게 변형함으로써 수면자가 자세를 변경하도록 유도한다거나, 수면자의 목부분에 해당하는 매트리스의 일부분을 볼록하게 변형함으로써 인체의 호흡통로를 확보하게 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제어의 형태를 위한 제어신호를 미리 구비하고 인체의 수면상태에 따라 다른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할 수도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4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leep state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determined by 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320.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sleep state by changing the sleeping posture using the deformation of the mattress (701, 702, 703) of the bed, to control the motor to deform the mattress (701, 702, 703) 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For example, the central part of the bed rises upward and convex to induce the sleeper to change his posture, or to convex part of the mattress corresponding to the neck of the sleeper so as to secure a breathing path of the human body. Would be possible. The control signal for the various types of control may be provided in advance and other control signals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leeping state of the human body.

제어신호 전달모듈(350)은 제어신호 생성모듈(340)로부터의 수면상태 제어신 호를 수면상태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침대에 인체정보 처리부(300)와 수면상태 제어부(400)가 같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신호를 유선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고, 이 경우에 제어신호 전달모듈(350)과 수면상태 제어부(400)의 제어신호 수신모듈(410)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수면상태 제어부(40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 signal transfer module 350 transfers the sleep stat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40 to the sleep state controller 400.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and the sleep state control unit 400 are included together,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by wire.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0 and the sleep state Even if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odule 410 of the controller 400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sleep state controller 400 may be controlled.

경보신호 생성모듈(370)은 수면상태 판별모듈(320)에 의해 판별된 인체의 수면상태가 수면자 자신 또는 보호자에 의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 이를 수면자 또는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경보신호를 전달하거나 이에 따라 부가장치(600)가 동작되도록 한다.The alarm signal generation module 370 generates an alarm signal for notifying the sleeper or the guardian of the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determined by 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320 when the action of the sleeper or the guardian is necessary. The generated alarm signal is transmitted or the additional device 600 is operated accordingly.

부가장치 통신모듈(380)은 상기한 경보신호 생성모듈(370)로부터의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부가장치(600)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수면자에게 수면무호흡증이 발생되었을 때, 보호자에게 경보신호를 보내어 수면자에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자 등을 구비한 전자팔찌를 보호자가 착용하고 있다고 하면, 인체의 수면상태가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판별되어 경보신호 생성모듈(370)에서 경보신호가 발생되고, 이 경보신호를 전달받은 부가장치 통신모듈(380)은 보호자가 착용한 전자팔찌에 구비된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자 등이 동작되도록 경보신호를 전자팔찌로 전달하게 된다.The additional device communication module 380 receives the alarm signal from the alarm signal generation module 370 and operates the additional device 600. For example, if a guardian wears an electronic bracelet equipped with a speaker, a display, a vibrator, etc. in order to send an alarm signal to the guardian when the sleep apnea occurs, the guardian wears an alarm. The sleep state of the sleep apnea is determined to be an alarm signal generated from the alarm signal generating module 370, the communication device 380 receives the alarm signal is provided with a speaker, display,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bracelet to operate the vibrator.

상기한 전달을 위해 인체정보를 수신하는 센싱데이터 수신모듈(310)과 동일한 형태의 전송방법으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센싱된 인체정보의 전송과 호환될 수 있도록 하거나 공동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팔찌 이외에, 인체와 가까운 곳에 위치시켜 수면자에게 직접 경보신호를 소리, 빛, 진동 등으로 전달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인체정보에 따라 동작되도록 하는 다양한 부가장치(6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the delivery, the interface may be configured using the same type of transmission method as the sensing data receiving module 310 for receiving the human body information so as to be compatible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sensed human body information or to use a common network interface. .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electronic bracelet, it may be located close to the human body to directly transmit the alarm signal to the sleeper as a sound, light, vibration, etc., can be used by connecting a variety of additional devices 60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course it can.

원격관리 통신모듈(390)은 원격관리 시스템(900)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한 연결이 모두 가능하다. 특히, 인체정보 처리부(300)에서 수신한 인체정보, 판별된 수면상태, 발생된 제어신호 또는 경보신호 등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관리 시스템(900)으로 전송하고, 원격관리 시스템(9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면상태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는 원격지에서도 인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응급상황 시에도 빠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조치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remote management communication module 390 is connected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9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be connected via wired or wireless. In particular, the human bod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ed sleep state, generated control signal or alarm signal and transmits to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90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remote management system 900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leep state controller 400. This makes it possible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human body at a remote location, so that it can be quickly processed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xecute measures to control the sleep state without visiting in person.

한편, 인체정보 처리부(300)의 제어신호 전달모듈(35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수면상태 제어부(400)의 제어신호 수신모듈(410)은 모터 제어모듈(43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모터(45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모터 제어모듈(430)은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하는 모터에 맞게 구비된 모터가 구동되 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다양한 모터(451, 452, 453)를 동작시킴으로써, 매트리스(701, 702, 703)를 변형시키고, 이에 따라 수면자가 자세를 변경하도록 하여 수면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odule 410 of the sleep state control unit 400 received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0 of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control module 430 to the motor Allow 450 to be operated. The motor control module 430 controls the motor provided for the motor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be driven.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erating the various motors 451, 452, and 453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are deformed, and accordingly, the sleeper changes his posture to change the sleeping state. You can control it.

또 한편, 인체정보 표시부(500)는 인체정보 처리부(300)에서 수신한 인체정보, 판별된 수면상태, 발생된 제어신호 또는 경보신호 등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 등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인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인체정보 처리부(30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고, 각각의 모듈의 동작을 위한 설정을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uman body information display unit 500 displays the human bod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ed sleep state,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or the alarm signal through a monitor, and the like. It allows you to check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status of each module included in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0 may be displayed, and the setting for the operation of each module may be execu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매트리스(701, 702, 703)를 변형하여 수면상태를 제어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침대의 매트리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청정기, 가습기, 전열기 등의 환경조절 장치 뿐만 아니라, 의료용의 주사액 투입기, 제세동기 등의 장치를 연결하여 수면상태 제어부(400)를 구성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is described through real-time monitoring that controls the sleep state by modifying the mattresses 701, 702, and 703, but is not limited to the mattress of the bed, and sleep of the human bod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leep state control unit 40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devices such as a medical injector, a defibrillator, as well as an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such as an air cleaner, a humidifier, and a heater to control the state.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호흡기 센싱부와 인체 동작 센싱부를 인체에 착용한 예시도.1 is an exemplary diagram wearing a respiratory sensing unit and a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을 침대에 적용한 예시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pplying a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호흡기 센싱부 111 : 공기량 센서100: respiratory sensing unit 111: air volume sensor

112 : CO2 센서 120, 220 : 센서신호 변환모듈112: CO 2 sensor 120, 220: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130, 230 : 센싱데이터 전송모듈 200 : 인체 동작 센싱부130, 230: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200: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211 : ECG 센서 212 : 가속도 센서211: ECG sensor 212: acceleration sensor

213 : 중력 센서 300 : 인체정보 처리부213: gravity sensor 300: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10 : 센싱데이터 수신모듈 320 : 수면상태 판별모듈310: sensing data receiving module 320: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340 : 제어신호 생성모듈 350 : 제어신호 전달모듈340: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odule

370 : 경보신호 생성모듈 380 : 부가장치 통신모듈370: alarm signal generation module 380: additional device communication module

390 : 원격관리 통신모듈 400 : 수면상태 제어부390: remote management communication module 400: sleep state control unit

410 : 제어신호 수신모듈 430 : 모터 제어모듈410: control signal receiving module 430: motor control module

450, 451, 452, 453 : 모터 500 : 인체정보 표시부450, 451, 452, 453: motor 500: human body information display unit

600 : 부가장치 701, 702, 703 : 매트리스600: additional device 701, 702, 703: mattress

710, 720, 730 : 지지대 900 : 원격관리 시스템710, 720, 730: support 900: remote management system

Claims (13)

인체의 호흡기에 착용되어 상기 호흡기로 호흡되는 기체에 대하여 센싱한 결과를 전송하는 호흡기 센싱부;A respirator sensing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result of sensing a gas worn on a respirator of the human body and breathed into the respirator; 상기 인체에 착용되어 상기 인체의 움직임과 자세에 대하여 센싱한 결과를 전송하는 인체 동작 센싱부;A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which is worn on the human body and transmits a result of sensing the movement and posture of the human body; 상기 호흡기 센싱부 및 상기 인체 동작 센싱부가 센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체정보 처리부;A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respirator sensing unit and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상기 인체정보 처리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수면상태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sleep state controller configured to execute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a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or. 상기 호흡기 센싱부는,The respiratory sensing unit, 상기 호흡기의 입구에 착용되어 상기 호흡기로 호흡되는 기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량 센서;An air volume sensor worn at the inlet of the respirator to measure an amount of gas breathed into the respirator; 상기 호흡기로 호흡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CO2 센서;CO 2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gas breathed into the respirator; 상기 센싱한 결과로 나타난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서신호 변환모듈;A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resulting from the sensing into digital data for wireless transmission; 상기 센서신호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센싱데이터 전송모듈;를 포함하며,And a sensing data transmiss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sensor signal conversion module. 상기 인체 동작 센싱부는,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상기 인체에 대한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ECG 센서;An ECG sensor for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of the human body; 상기 인체의 호흡에 따른 움직임을 포함하는 상기 인체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 movement of the human body including a movement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the human body; 상기 인체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중력 센서;를 포함하며,And a gravity sensor for measuring the posture of the human body. 상기 수면상태 제어부는,The sleep state control unit, 상기 인체정보 처리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모듈;A control sign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움직이도록 하는 모터;A motor for moving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ttress of the bed; 상기 제어신호 수신모듈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모터 제어모듈;을 포함하며,And a motor control module for operat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module.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지지대는 상기 매트리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진 지지대를 각각 구분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나뉘어진 지지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ttress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mattress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he support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to move separately, the support paper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tress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체정보 처리부는,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호흡기 센싱부 또는 상기 인체 동작 센싱부가 센싱한 결과를 전송받는 센싱데이터 수신모듈;A sensing dat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result of sensing by the respirator sensing unit or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모듈이 전송받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판별하는 수면상태 판별모듈;A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using a result received by the sensing data receiving module; 상기 수면상태 판별모듈에 의해 판별된 수면상태에 따라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모듈;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determined by 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이 생성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 전달 모듈;A control signal transfer module transferr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Sleep disorders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인체정보 처리부는,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수면상태 판별모듈에 의해 판별된 수면상태에 따라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신호 생성모듈;An alarm signal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determined by 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상기 경보신호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경보신호를 부가장치로 전송하는 부가장치 통신모듈;An additional device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n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on module to an additional device;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부가장치는,The additional device, 상기 경보신호를 전송받아 스피커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진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alarm signal to drive a speaker means, a display means or a vibration means.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인체정보 처리부는,The human bod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호흡기 센싱부 또는 상기 인체 동작 센싱부가 센싱한 결과 또는 상기 수면상태 판별모듈에 의해 판별된 수면상태를 전송하고 인체의 수면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원격관리 통신모듈;A remote management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result of sensing by the respirator sensing unit or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or the sleep state determined by 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module an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호흡기 센싱부 또는 상기 인체 동작 센싱부가 센싱한 결과와 상기 인체의 수면상태를 표시하는 인체정보 표시부;A human body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a result of sensing by the respirator sensing unit or the human body motion sensing unit and a sleep state of the human body;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면장애 대응 시스템.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tim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48078A 2009-06-01 2009-06-01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 time monitoring KR1010570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078A KR101057001B1 (en) 2009-06-01 2009-06-01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 time monit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078A KR101057001B1 (en) 2009-06-01 2009-06-01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 time monit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489A KR20100129489A (en) 2010-12-09
KR101057001B1 true KR101057001B1 (en) 2011-08-16

Family

ID=4350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078A KR101057001B1 (en) 2009-06-01 2009-06-01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 time monit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00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980A (en) * 2015-01-07 2016-07-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 real-time sleep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KR20170030507A (en) 2017-03-10 2017-03-17 전자부품연구원 Smart bed,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219749B2 (en) 2015-08-07 2019-03-05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mart bed and user state monitoring system and user state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171B1 (en) * 2011-03-31 2013-05-14 한국전기연구원 Intellectual Medical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Type
KR101220104B1 (en) * 2011-05-30 2013-01-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leeping Situation Sensing
US20130108995A1 (en) * 2011-10-31 2013-05-02 C&D Research Group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influencing body position
KR101387614B1 (en) * 2012-08-30 2014-04-2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System for detecting sleep disorders with sensor unit attached to trousers
KR101676950B1 (en) * 2015-03-23 2016-11-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abnormal breath diagnosis
KR101695223B1 (en) 2015-06-12 2017-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sens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KR101784416B1 (en) * 2016-12-15 201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of snoring and sleep apnea
KR102148613B1 (en) 2019-01-28 2020-10-14 닉스 주식회사 System for inducing sleep using carbon dioxi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05B1 (en) * 2005-06-03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leep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05B1 (en) * 2005-06-03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leep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980A (en) * 2015-01-07 2016-07-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 real-time sleep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KR101647431B1 (en) * 2015-01-07 2016-08-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 real-time sleep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US10219749B2 (en) 2015-08-07 2019-03-05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mart bed and user state monitoring system and user state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30507A (en) 2017-03-10 2017-03-17 전자부품연구원 Smart bed,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489A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001B1 (en)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through real time monitoring
JP5951630B2 (en) Monitor, predict, and treat clinical symptoms
CN101389268B (en) External device that continuously monitors for osdb and delivers audio stimulation therapy
JP2017533744A (en) Headrest adjusting device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US20100191136A1 (en) System, pad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leeping person to detect an apnea state condition
US202202732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user position using multi-compartment bladders
KR101121096B1 (en) System for Inducement to Change of Sleep Posture by Sensing Body Status
KR20140006256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leep apnea based on bio radar
US202303978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untreated health-related issues
US202400914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subjective comfort level
CN106580325A (en) Sleep breathing monitoring equipment and sleep breathing monitoring method
KR20140003867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leep apnea and stage of sleep
KR20210130501A (en) Sleep monitoring and sleep disorder response system
US20100258125A1 (en) Respirator and/or Anesthetic Device
JPH07328079A (en) Sleeping device
EP3995074A1 (en) Comprehensive care device
KR102451746B1 (en) Automatic chest wall vibration system through patient lung sound monitor
US20230144677A1 (en) User interface with integrated sensors
CN108814607A (en) A kind of clinic device for detecting respiratory and method
US202400003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ser body position during respiratory therapy
KR100319218B1 (en) Intraoral device for diagnosis and warning of sleep apnea
TWM544072U (en) Remote control system of bed group
WO2023187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ositional sleep disordered breathing status
TWM502199U (en) Wearing type wireless control system of bed set
JP202353988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mask recommend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