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165B1 -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165B1
KR101056165B1 KR1020090130273A KR20090130273A KR101056165B1 KR 101056165 B1 KR101056165 B1 KR 101056165B1 KR 1020090130273 A KR1020090130273 A KR 1020090130273A KR 20090130273 A KR20090130273 A KR 20090130273A KR 101056165 B1 KR101056165 B1 KR 10105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lot
vehic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3104A (en
Inventor
조동호
서인수
이흥열
이준호
양학진
윤대훈
박영규
김철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3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165B1/en
Publication of KR2011007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1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1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는 제1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는 제2 전기자동차를 선택적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따라서 충전 방식이 다른 전기자동차를 한 장소에서 충전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harging a first electric vehicle charged with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and a second electric vehicle charged with a plug-in charging method are disclosed. Therefore, by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ith a different charging method in one place, it is possible for the convenience of the electric vehicle driver and to improve the charging efficiency.

전기자동차,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 Electric vehicles,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plug-in charging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및 방법{POWER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POWER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방식이 다른 전기자동차를 하나의 장소에서 충전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different charging method in one place.

경제 발전에 따라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자동차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The demand for automobiles is exploding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as the demand for automobiles increases, the exhaust gas emitted from automobiles is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이에 자동차의 배출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으며, 배출가스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더 나아가 배출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전기 자동차의 상용화가 부분적으로 시도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reducing the emission of automobil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utomobiles that can reduce the emission of gas are proceeding. Furthermore,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that do not generate emissions is partially attempted.

전기차량은 전기를 전력공급원으로 하여 운행하는 차량을 의미하며, 차량 자체에 전력공급원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하고, 탑재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전기자동차는 크게 전기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 자동차를 운행시키기 위한 전기모터와, 그 전기 모터에 전기를 공급 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operates by using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and include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s a power source in the vehicle itself, and operates by using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mounted battery. The electric vehicle is largely driven by the electric is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electric vehicle, and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motor.

최근에는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고 충전하기 위하여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개발되어 왔다. 상기 플러그인 방식은 전기자동차의 플러그인 충전 장치를 통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1회적으로 공급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운행하는 방식을 말한다.Recently, the plug-in charging method has been mainly used and developed to supply and charge the battery. The plug-in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supplying and charging power to a battery once through a plug-in charging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and operating the electric vehicle by using the same.

상기 플러그인 충전 방식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며, 한번 충전에 의해 주행하는 거리가 제한적이다. 보통 전기 자동차의 충전은 1 ~ 8시간 정도 소요되는데, 이와 같은 긴 충전 시간 동안 차량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plug-in charging method takes a long time to charge the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and the distance driven by charging once is limited. In general,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takes about 1 to 8 hours,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vehicle safely during such a long charging time.

따라서 전기자동차는 목적한 이동거리를 확보하기위해서는 자주 충전을 해주어야만 하므로, 전기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충전소의 설치 및 충전시스템은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Therefore, the electric vehicle has to be frequently charged in order to secure the intended travel distance, so the install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charging system are very important issues i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또한, 충전하는 동안에 비, 눈 등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나아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을 현재의 주유소와 같은 형태로 만드는 경우에는 충전 수요를 감당할 수가 없다.In addition, the charging should be performed while being not aff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rain or snow during charging. Furthermore, when the charging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is shaped like a current gas station, it cannot meet the demand for charging.

이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충전 시스템 및 주차장 충전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s such, there is a need for a charging system and a parking lot charging system suitable for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하나의 장소에서 서로 다른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를 선택적으로 충전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that can selectively charge electric vehicles of different charging methods in one place to improve charging efficiency and to facilitate driver's convenie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주차장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으로 제1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라인과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으로 제2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유선 충전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시스템은 차량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통신하며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지 제2 전기자동차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전라인과 상기 유선 충전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power to a first electric vehicle by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and a second electric vehicle by a plug-in charging method. It is provided with a wired charger for. The system includes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a vehicle enters a parking lot, a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a first electric vehicle or a second electric vehicle, and a control of the controller. Accordingly, the switch includes a switch for driving one of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wired charg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급전라인은 동일한 크기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급전판들을 구비하고, 각 급전판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 line has a plurality of feed plat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same size, each feed plate is controlled independent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전기자동차 및 상기 제2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통신부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전기자동차와 상기 제2 전기자동차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nsor unit may recognize whether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enter a parking lot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에 급전라인으로부터 집전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제1 전기자동차인지 제2 전기자동차인지를 판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electric vehicle or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s present based on whether a regulator for converting AC power collected from a power supply line into DC power is present i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do.

또한, 상기 스위치가 상기 급전라인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자동차에 상기 급전라인으로부터 전원을 집전하기 위한 집전장치의 개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본 시스템은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에 따라 상기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급전판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witch selects the power supply line, the controller may measure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by measuring the number of current collectors for collect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first electric vehicle. have. At this time, the system is connected to the switch, and may further include a feed plate switch for selectively operating some of the feed plates of the feed line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가 센싱한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에 따라 상기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급전판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sense a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eeder plate switch for selectively operating some of the feeder plates of the feeder line according to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sensed by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시스템은 상기 제1 전기자동차 및 상기 제2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충전되는 충전량 정보를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충전량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충전량 수신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충전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receives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to be charged in the batter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from the electric vehicle, the charge amount for providing the received charge amoun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ge amount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에 따르면,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제1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의 제2 전기자동차를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차량의 주차장 진입 여부 를 센싱하며,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지 제2 전기자동차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 경우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에 따라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제1 전기자동차를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2 전기자동차인 경우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의 유선 충전기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전기자동차를 충전한다.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harge the first electric vehicle of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of the plug-in charging method. To this end, first, whether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is sens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first electric vehicle or the second electric vehic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first electric vehicle,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is measu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ome of the feed plates of the power supply line are sele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to charge the first electric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second electric vehicle,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s charged by operating a wired charger of a plug-in charg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에 급전라인으로부터 집전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지 제2 전기자동차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a first electric vehicle or not according to whether a regulator for converting AC power collected from a power supply line into DC power is present i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You can determine whether it is a ca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자동차에 구비되어 급전라인으로부터 AC 전원을 집전하는 집전장치의 개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에 따라 급전판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current collectors provided in the first electric vehicle to collect AC power from a power supply line. At this time, some of the feed plates of the feed line are selectively operated through a feed plate switch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 경우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에 따라 급전라인의 급전판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제1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a first electric vehicle,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is measured, and the power supply plate of the power supply line according to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They may be selectively operated to charge the first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충전되는 제1 전기자동차와 상기 제2 전 기자동차로부터 충전량을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충전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the charge amount from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and may further perform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charge amou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제1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충전부, 상기 제1 전기자동차와 다른 방식으로 충전되는 제2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충전부, 차량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통신하며,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충전 방식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충전부와 상기 제2 충전부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rg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first electric vehicle, a second for supplying power to a second electric vehicle that is charg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electric vehicle. A charging unit,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a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a charging method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first unit And a switch for selecting and driving one of the charging parts.

이 때, 상기 제1 전기자동차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며, 상기 제2 전기자동차는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ic vehicle is charged by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s charged by a plug-in (PLUG-IN) charging meth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서로 다른 방식으로 충전되는 전기자동차를 하나의 장소에서 충전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적인 측면에서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First, by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d in different ways in one plac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river's convenience in terms of time and space.

둘째, 차량이 주차장 또는 충전소에 입고되는지 센서를 통하여 인식한 이후에 충전 시스템을 구동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의 자동화가 가능하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Second, by driving the charging system after recogniz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parking lot or the charging station through the sensor,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셋째,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 또는 정지 위치를 파악하여 충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충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ird, by driving the charger by grasping the charging capacity or the stop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charging efficiency.

넷째,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Fourth, by checking the charge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in real time and displaying i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다섯째,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레귤레이터의 존재 여부로 전기자동차의 충전 방식의 차이를 간단하게 구별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키고 충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Fifth, by simply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 of the charg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by the presence of a regulator provided in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electric vehic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greatly improve the charging efficiency.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 is shown to be larger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or to reduce the actual size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10, 이하 '충전 시스템'이라고 한다)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제1 전기자동차(20)와 플러그인(PLUG-IN) 방식의 제2 전기자동차(30)를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이다. 한편, 충전 시스템(10)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가 구비된 모든 장소에 적용될 수 있으며, 주차장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 주차장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가 구비된 장소들을 대표하는 장소로 사용될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g-in (PLUG-IN) and a first electric vehicle 20 of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charging the second electric vehicle 30 of the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system 10 may be applied to any place equipped with a charger capable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t will be said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parking lot. Hereinafter, the parking lot will be used as a representative place for places equipped with a charger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충전 시스템(10)은 전기자동차(20, 30)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100), 진입 차량의 종류(충전 방식)를 판단하는 제어부(110),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충전 방식에 따른 충전기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20), 제2 전기자동차(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유선 충전 기(130), 및 제1 전기자동차(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라인(140)을 포함한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system 10 is the sensor unit 100 for recognizing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20, 30 enters the parking lot, the control unit 110 for determining the type (charging method) of the entering vehicle. ), A switch 120 for selecting a charger according to a charging method of a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 wired charger 13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electric vehicle 30, and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supply line 1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20.

충전 시스템(1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harging system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describing the charging system illustrated in FIG. 1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시스템(10)은 서로 다른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전기자동차를 하나의 장소에서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충전 시스템(10)의 전기자동차 시스템(40)의 다양한 구성요소와 통신, 연동하여 전기자동차(20, 30)에 전원을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harg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d by different methods in one place.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20, 30 is supplied with power by communicating with and interworking with various components of the electric vehicle system 40 of the charging system 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시스템(10)은 센서부(100), 제어부(110), 스위치(120), 유선 충전기(130), 급전라인(140) 및 급전판 스위치(150)를 포함한다.The charg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a controller 110, a switch 120, a wired charger 130, a power feed line 140, and a power feed plate switch 150. do.

센서부(100)는 전기자동차(20, 30)의 주차장, 충전소 내의 진입 여부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00)는 RFID 리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하나,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면 특정 센서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The sensor unit 100 recogniz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s 20 and 30 enter the parking lot and the charging station.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an RFID reade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but may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sensor as long as it can recognize whether the vehicle has entered.

한편, 센서부(100)는 전기자동차 시스템(40)의 통신부(200)와 통신하며, 상기 통신을 통하여 전기자동차(20, 30)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센서부(100)는 통신부(200)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이 주차장 내에 진입했음을 인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10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00 of the electric vehicle system 40, and may recogniz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s 20 and 30 enter the parking lot through the communication. 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0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00, the sensor unit 100 may recognize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arking lot.

제어부(110)는 센서부(100)와 연결되어 센서부(100)가 차량의 진입 정보를 제어부(110)에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진압 차량의 종류를 파악한다. 즉, 제어부(110)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이 어떤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주차장 내에 진입한 차량이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제1 전기자동차(20)인지 플러그인 방식의 제2 전기자동차(30)인지를 판단한다. When the senso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0 and the sensor unit 100 provides vehicle entry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0,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e type of the suppressor vehicle. That is,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how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charg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entered into the parking lot is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of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type or the second electric vehicle 30 of the plug-in typ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에 레귤레이터(240)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제1 전기자동차(20)와 제2 전기자동차(30)를 식별한다. 여기서, 레귤레이터(240)는 급전라인(140)으로부터 집전장치(230)가 집전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레귤레이터(240)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제1 전기자동차(20)에만 구비된다. 따라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레귤레이터(24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20)라고 판단한다. 반대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레귤레이터(240)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차량이 제2 전기자동차(30)라고 판단한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10 identifies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30 based on whether the regulator 240 exists i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Here, the regulator 240 is a device for converting the AC power collected by the current collector 230 from the power supply line 140 to DC power, the regulator 240 is a first electric vehicle 20 of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 Is provided only. Therefore, whe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ncludes the regulator 240,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On the contrary, whe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does not include the regulator 240,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the second electric vehicle 30.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충전 방식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정보에 근거하여 스위치(120)의 동작을 제어한다.In this way,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charging method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20 based on the determined information.

또한, 제어부(11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충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제1 전기자동차(20)에 구비된 집전장치(230)의 개수를 파악함으로써, 제1 전기자동차(20)의 충전 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1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길이, 크기 등 물리량을 측정하여 차량의 충전 용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measure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current collectors 230 provided in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In contrast, the controller 110 may indirectly measure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vehicle by measuring a physical quantity such as the length and siz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나아가, 제어부(110)는 차량의 정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전 시스템(10)은 차량의 정지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이에 상기 위치 측정부가 차량의 정지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하여 제어부(110)가 차량의 정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10 may measure the stationary position of the vehicle. Although not shown, the charging system 10 further includes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stationary position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stop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10 so that the controller 110 can determine the stop position of the vehicle.

스위치(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유선 충전기(130)와 급전라인(140)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 때, 스위치(120)는 ON/OFF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가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20)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10)는 스위치(120)를 ON 시켜 급전라인(140)을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10)가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2 전기자동차(30)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10)는 스위치(120)를 OFF 시켜 유선 충전기(130)를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치(120)의 상기 ON/OFF 동작에 따른 급전라인(140)과 유선 충전기(130)의 선택은 반대로 설정될 수도 있다. The switch 120 selects one of the wired charger 130 and the power feeding line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t this time, the switch 120 may be an ON / OFF switch.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the controller 110 may select the power supply line 140 by turning on the switch 120. On the contrary, whe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second electric vehicle 30, the controller 110 may turn off the switch 120 to select the wired charger 130. Selection of the power supply line 140 and the wired charger 130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120 may be reversely set.

유선 충전기(130)는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에 의하여 제2 전기자동차(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유선 충전기(130)는 스위치(120)가 OFF 되는 경우에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The wired charger 130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electric vehicle 30 by a plug-in charging method. The wired charger 130 may start to operate when the switch 120 is turned off.

급전라인(140)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에 의하여 제1 전기 자동차(20)에 전원을 공급한다. 급전라인(140)은 스위치(120)의 ON 되는 경우에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line 140 supplies power to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by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The power supply line 140 may start operation when the switch 120 is turned 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급전라인(140)은 다수개의 급전판들(140a, 140b, 140c)을 구비한다. 이 때, 급전판들(140a, 140b, 140c)은 동일한 크기로 일 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와 달리, 급전판들(140a, 140b, 140c)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거나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급전판들(140a, 140b, 140c) 각각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 line 140 includes a plurality of feed plates 140a, 140b, 140c. At this time, the feed plates 140a, 140b, 140c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same size. Alternatively, the feed plates 140a, 140b, 140c may have different sizes or be arranged at irregular intervals.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eed plates 140a, 140b, 140c is independently controlled.

급전판 스위치(150)는 스위치(120)와 연결되어 동작한다. 급전판 스위치(150)는 급전라인(140)의 급전판들(140a, 140b, 140c) 중 일부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120)가 ON 되어 급전라인(140)을 선택하는 경우, 급전판 스위치(150)는 급전판들(140a, 140b, 140c) 중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급전판을 통하여 제1 전기자동차(20)에 전원을 공급한다. The feed plate switch 150 is connected to the switch 120 to operate. The feed plate switch 150 selects some of the feed plates 140a, 140b, 140c of the feed line 140. For example, when the switch 120 is turned on to select the feed line 140, the feed plate switch 150 selects some of the feed plates 140a, 140b, 140c, and selects the feed plate through the selected feed plate. 1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급전판 스위치(150)는 제어부(110)가 측정한 제1 전기자동차(20)의 충전 용량에 따라 급전판들(140a, 140b, 140c) 중 일부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1 전기자동차(20)가 소형차로서 충전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급전판 스위치(150)는 제1 급전판(140a)을 선택하고, 제1 급전판(140a)을 통하여 제1 전기자동차(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달리, 제1 전기자동차(20)가 대형차로서 충전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급전판 스위치(150)는 제1 내지 제3 급전판(140a, 140b, 140c)을 모두 선택하고, 급전판들(140a, 140b, 140c)을 통하여 제1 전기자동차(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plate switch 150 selects some of the power supply plates 140a, 140b, and 140c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measured by the controller 110. .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is a small car and its charging capacity is relatively small, the feed plate switch 150 selects the first feed plate 140a and the first feed plate 140a. 1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20. 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is a large vehicle and its charging capacity is relatively large, the feed plate switch 150 selects all of the first to third feed plates 140a, 140b and 140c, and feeds the feed plates.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through the 140a, 140b, and 140c.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급전판 스위치(150)는 제어부(110)가 측정한 제1 전기자동차(20)의 정지 위치에 따라 급전판들(140a, 140b, 140c)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자동차(20)가 제2 급전판(140b) 상에 위치한 경우, 급전판 스위치(150)는 제어부(110)로부터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 고, 제2 급전판(140b)만을 선택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eed plate switch 150 may select some of the feed plates 140a, 140b, 140c according to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measured by the controller 110. Can be.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ic vehicle 20 is located on the second feed plate 140b, the feed plate switch 150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from the control unit 110 and receives the second feed plate ( Select only 140b) and supply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시스템(10)은 충전량 수신부(160)와 표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harging system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arge receiving unit 160 and the display unit 170.

충전량 수신부(160)는 전기자동차 시스템(40)의 충전량 송신부(260)로부터 배터리(220, 250)에 충전되는 충전량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충전량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이 때, 충전량 송신부(260)는 배터리(220, 250)에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 충전 완료 정보를 충전량 수신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충전량 송신부(260)는 배터리(220, 250)에 충전 중인 경우에 현재 충전량 정보를 충전량 수신부(160)에 제공할 수도 있다. The charge amount receiving unit 160 receives charge amount information charged in the batteries 220 and 250 from the charge amount transmitting unit 260 of the electric vehicle system 40, and transmits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10. At this time, the charging amount transmitter 260 may provide the charg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harging amount receiver 160 when the charging of the batteries 220 and 250 is completed. Alternatively, the charge amount transmitter 260 may provide the charge amount receiver 160 with the current charge amount information when the batteries 220 and 250 are being charged.

표시부(170)는 충전량 정보를 전광판 등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즉, 충전량 수신부(160)가 충전량 정보 또는 충전 완료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110)가 표시부(170)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the charging amount information by using an electric sign or the like. That is, when the charge amount receiving unit 160 transmits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or the charge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0,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o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70.

이와 같이, 충전 시스템(10)이 서로 다른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전기자동차를 하나의 장소에서 충전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시스템(10)은 차량의 충전 용량 및/또는 정지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전기를 구동함으로써, 충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charging system 10 ca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charged by different charging methods in one place, so that the driv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charging system 10 may drive the charger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and / or the stop position of the vehicl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harging efficienc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 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제1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의 제2 전기자동차를 선택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방법이다. Referring to FIG. 3,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lectively charging a first electric vehicle of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and a second electric vehicle of a plug-in charging method. It is a wa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에 따르면, 먼저 충전 시스템에 구비된 센서부가 전기자동차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센싱한다(S10). 이 때, 센서부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전기자동차를 인식하고, 그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sensor unit provided in the charging system sens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S10).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recognizes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제어부는 주차장에 진입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방식을 판단한다(S20). 예를 들어, 제어부는 주차장에 진입한 전기자동차가 제1 전기자동차인지 제2 전기자동차인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기자동차에 레귤레이터가 구비되었는지 여부로 전기자동차의 종류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determines a charg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S20). For exampl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first electric vehicle or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type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regulator is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결과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킨다(S30). 예를 들어, 제어부는 주차장에 제1 전기자동차가 진입한 경우에는 스위치를 ON 시키고, 제2 전기자동차가 진입한 경우에는 스위치를 OFF 시키는 방식으로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operates the switch using the determined result (S30).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switch by turning on the switch when the first electric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and by turning off the switch when the second electric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스위치가 OFF 되는 경우, 제2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킨다(S40). 예를 들어, 제2 전기자동차가 주차장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가 스위치를 OFF 시켜 플러그인 충전 방식의 유선 충전기를 동작시킨다. 이에 제2 전기자동차는 유선 충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s charged (S4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electric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switch to operate the plug-in charging type wired charger.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ic vehicle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wired charger to charge power to the battery.

만일 스위치가 ON 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을 센싱한다(S5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집전 장치의 개수를 통하여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을 측정한다. If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senses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S50).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easures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number of current collectors provided in the first electric vehicle.

급전판 스위치는 측정한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에 따라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구동시킨다(S60). 예를 들어, 제1 전기자동차가 소형차인 경우에 급전판 스위치는 급전판들 중 일부만을 구동시키고, 제1 전기자동차가 대형차인 경우에 급전판 스위치는 급전판들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크기와 충전 용량이 절대적으로 비례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The feed plate switch selects and drives some of the feed plates of the feed line according to the measured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S60).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ic vehicle is a small car, the feeder plate switch may drive only some of the feeder plates, and when the first electric vehicle is a large car, the feeder plate switch may drive all of the feeder plates. However, the size of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capacity are not absolutely proportional.

이에 구동된 급전판을 통하여 제1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킨다(S70). 예를 들어, 제어부는 스위치를 ON 시키고, 급전판 스위치를 통하여 급전판을 선택한 후, 제1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first electric vehicle is charged through the feed plate driven therein (S7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switch, selects the feed plate through the feed plate switch, and then supplies power to the first electric vehicl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는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에 따라 급전판 스위치가 급전판들 중 상기 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급전판을 구동하여, 제1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may measure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a feed plate switch may drive a feed plate corresponding to the stop position among the feed plates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electric vehicle.

또한, 제어부는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의 충전량 정보를 전기자동차로부터 제공받아 전광판 등의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충전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완료된 경우, 제어부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완료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receive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being charged from the electric vehicle and display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a display unit such as an electric sign.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charging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display unit.

이와 같이, 본 방법에 따르면, 충전 시스템이 서로 다른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전기자동차를 하나의 장소에서 충전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시스템은 차량의 충전 용량 및/또는 정지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 로 충전기를 구동함으로써, 충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method, the charging system ca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charged by different charging methods in one place, so that the driv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charging system can drive the charger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and / or the stop position of the vehicl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harging efficiency.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describing the charging system illustrated in FIG. 1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10: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20 : 제1 전기자동차 30 : 제2 전기자동차20: first electric vehicle 30: second electric vehicle

100 : 센서부 110 : 제어부100: sensor unit 110: control unit

120 : 스위치 130 : 유선 충전기120: switch 130: wired charger

140 : 급전라인 150 : 급전판 스위치140: feed line 150: feed plate switch

Claims (21)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으로 제1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라인과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으로 제2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유선 충전기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In an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having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power to a first electric vehicle by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and a wired charger for supplying power to a second electric vehicle by a plug-in charging method. , 차량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the vehicle enters a parking lot; 상기 센서부와 통신하며,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지 제2 전기자동차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a first electric vehicle or a second electric vehicle;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전라인과 상기 유선 충전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including a switch for driving to select one of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wired charg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급전라인은 동일한 크기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급전판들을 구비하고, 각 급전판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The power supply lin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eed plat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f the same size, each fee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is independently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전기자동차 및 상기 제2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통신부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전기자동차와 상기 제2 전기자동차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The sensor unit recognizes whether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to enter the parking lot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에 급전라인으로부터 집전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제1 전기자동차인지 제2 전기자동차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electric vehicle or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s located i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by determining whether a regulator for converting AC power collected from a power supply line into DC power is present. system.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위치가 상기 급전라인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자동차에 상기 급전라인으로부터 전원을 집전하기 위한 집전장치의 개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When the switch selects the power supply line,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by measuring the number of current collectors for collect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first electric vehicle.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에 따라 상기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급전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And a feeder plate switch connected to the switch and for selectively operating some of the feeder plates of the feeder line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를 센싱하고, The control unit senses a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상기 제어부가 센싱한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에 따라 상기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급전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And a feeder plate switch for selectively operating some of the feeder plates of the feeder line according to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sensed by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전기자동차 및 상기 제2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충전되는 충전량 정보를 상기 제1 전기자동차 및 상기 제2 전기자동차로부터 각각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충전량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충전량 수신부; 및A charge amount receiving unit receiving charge amount information charged in a batter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from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and providing the received charge amount to the controller; And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충전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시스템.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제1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의 제2 전기자동차를 선택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에 있어서,In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method for selectively charging the first electric vehicle of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an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of the plug-in charging method, 1) 차량의 주차장 진입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1) sensing whether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2)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지 제2 전기자동차인지를 판단하는 단계;2)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a first electric vehicle or a second electric vehicle; 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 경우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easuring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first electric vehicle; 4) 상기 측정된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에 따라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제1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 4) charging the first electric vehicle by selectively operating some of the feed plates of the power supply line according to the measured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2 전기자동차인 경우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의 유선 충전기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 whe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second electric vehicle,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s charged by operating a wired charger of a plug-in charging method. How to charge the parking lo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step 2)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에 급전라인으로부터 집전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 And determining whether a regulator for converting AC power collected from a power supply line into DC power is present i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step 3) 상기 제1 전기자동차에 구비되어 급전라인으로부터 AC 전원을 집전하는 집전장치의 개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 And a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by measuring the number of current collectors provided in the first electric vehicle to collect AC power from a power supply lin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에 따라 급전판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급전라인의 급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 And selectively operating some of the feed plates of the feed line through a feed plate switch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제1 전기자동차인 경우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Measuring a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the first electric vehicle; And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정지 위치에 따라 급전라인의 급전판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제1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 And charging the first electric vehicle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feed plates of the power supply line according to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 전기자동차가 충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되는 제1 전기자동차로부터 충전량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2 전기자동차가 충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되는 제2 전기자동차로부터 충전량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Receiving charge amou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electric vehicle being charged when the first electric vehicle is charged, and receiving charge amoun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electric vehicle being charged when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s charged; And 상기 전달받은 충전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 충전 방법. The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charg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charge amount information. 제1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충전부;A first charg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electric vehicle; 상기 제1 전기자동차와 다른 방식으로 충전되는 제2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충전부;A second charg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second electric vehicle that is charged differently from the first electric vehicle; 차량의 충전소 진입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the vehicle enters a charging station; 상기 센서부와 통신하며, 상기 충전소에 진입한 차량의 충전 방식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a charging method of a vehicle entering the charging station;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충전부와 상기 제2 충전부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And a switch for selecting and driving one of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1 전기자동차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며, 상기 제2 전기자동차는 플러그인(PLUG-IN)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The first electric vehicle is charged by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harging method, the second electric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by plug-in (PLUG-IN) charging method.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소에 진입한 차량에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차량의 충전 방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The controller determin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whether a regulator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is present in the vehicle entering the charging station.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과 정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The controller further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capacity and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소에 진입한 제1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집전장치의 개수를 측정하여 상기 충전소에 진입한 차량의 충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The controller measures the number of current collectors provided in the first electric vehicle entering the charging station to measure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vehicle entering the charging station.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2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or 2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자동차의 충전 용량과 정지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충전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충전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And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operates som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plates provided in the first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and the stop position of the first electric vehicle.
KR1020090130273A 2009-12-23 2009-12-23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1010561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273A KR101056165B1 (en) 2009-12-23 2009-12-23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273A KR101056165B1 (en) 2009-12-23 2009-12-23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104A KR20110073104A (en) 2011-06-29
KR101056165B1 true KR101056165B1 (en) 2011-08-11

Family

ID=4440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273A KR101056165B1 (en) 2009-12-23 2009-12-23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1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5870B1 (en) 2013-03-29 2018-06-27 Nissan Motor Co., Ltd Contactless electricity supply system and electricity supply device
KR101865855B1 (en) * 2016-05-20 2018-07-16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apable of Charging Power
WO2018080236A2 (en) * 2016-10-28 2018-05-03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Electric vehicle charged by selecting charging module enabling faster charg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device for same
KR101974507B1 (en) * 2017-05-29 2019-05-03 디아이케이(주) Multi phas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KR102476486B1 (en) * 2017-08-07 2022-12-09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tilizing a topology structure of rectifier in a wired charging system
KR102403352B1 (en) * 2020-07-07 2022-05-27 김명호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for Unmanned Hotel
KR102589050B1 (en) * 2021-03-08 2023-10-18 (주)와이파워원 Power supply equipment and system of wireless charging electric road while stopping and driving, and power collect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240140213A1 (en) * 2021-03-08 2024-05-02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wer supply equipment and system of wireless charging electric road while stopping and driving, and power collec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230119838A (en) 2022-02-08 2023-08-16 오형종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813A (en) 1998-02-02 1999-08-10 Harness Syst Tech Res Ltd Power supply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relay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H11266509A (en) 1998-03-16 1999-09-28 Park 24 Co Ltd Electric vehicle charger
JP2002140398A (en) * 2000-11-01 2002-05-17 Nec Corp Feeding service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JP2007336710A (en) * 2006-06-15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electronic apparatus and non-contact charg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813A (en) 1998-02-02 1999-08-10 Harness Syst Tech Res Ltd Power supply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relay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H11266509A (en) 1998-03-16 1999-09-28 Park 24 Co Ltd Electric vehicle charger
JP2002140398A (en) * 2000-11-01 2002-05-17 Nec Corp Feeding service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JP2007336710A (en) * 2006-06-15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electronic apparatus and non-contact char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104A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165B1 (en) Electric car parking l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8169183B2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and vehicle
US8742907B2 (en) Electric power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CN203237067U (en) Wireless intelligentized charging power station system
CN204895167U (en) Stake of charging of embedding ground formula new forms of energy electric automobile
US11130419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N102361342A (en) Electric automobi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20140000455A (e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N105531162A (en) Charging system of in-vehicle battery and charging method of in-vehicle battery
KR20190074215A (en) System for replacing battery of electric vehicle having energy sav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493697B (en) Parking spot lock of automobile and method
CN104114400B (en) Industrial vehicle, the Work management system of industrial vehicle and electrodynamic type fork truck
JP2013153610A (en) Charging system and power measurement device for use therein
CN103311995A (en) Intelligent electromobile charging pile
CN201364599Y (en) Solar-powered environment-friendly automatic charging on-board unit device
CN205788800U (en) A kind of parking stall takies situation and judges and running vehicle tolling device
CN103208202A (en) Wireless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places
CN205178606U (en) Stake of charging that unmanned on duty is wireless
KR1012516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Battery with Non Contact Electromagnetic Inductive Charging in Parking Lot
CN204376433U (en) A kind of invisible electrical automobile intelligent charging device
CN103311999A (en) Intelligent charging pile of electric vehicles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CN202422437U (en) Wireless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stalls
CN204204179U (en) A kind of fuel charger wireless terminal control device
KR1012516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Battery with Non Contact Electromagnetic Inductive Charging in Parking Lot
JPWO2019044708A1 (en) Power system, power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